KR101020691B1 - 무선 파라미터군을 생성하는 장치, 송신기, 및 수신기 - Google Patents

무선 파라미터군을 생성하는 장치, 송신기, 및 수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0691B1
KR101020691B1 KR1020077026201A KR20077026201A KR101020691B1 KR 101020691 B1 KR101020691 B1 KR 101020691B1 KR 1020077026201 A KR1020077026201 A KR 1020077026201A KR 20077026201 A KR20077026201 A KR 20077026201A KR 101020691 B1 KR101020691 B1 KR 1010206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io parameter
guard interval
transmitting
symbol
radi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62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11189A (ko
Inventor
마모루 사와하시
켄이치 히구치
히로유키 아타라시
모토히로 탄노
요시히사 키시야마
요시아키 오푸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ublication of KR200800111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11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06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06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26Arrangements specific to the transmitter on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04L27/2605Symbol extensions, e.g. Zero Tail, Unique Word [U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47Arrangements specific to the receiver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ransmitters (AREA)

Abstract

무선 파라미터군을 생성하는 장치는, 한 조의 무선 파라미터군에 의해 규정되는 유효 심볼부의 기간과 동일한 기간의 유효 심볼부를 가지며, 상기 한 조의 무선 파라미터군에 의해 규정되는 가드 인터벌부의 기간과는 상이한 가드 인터벌부를 갖는 심볼을 규정하는 다른 한 조의 무선 파라미터군을 도출하는 수단을 갖는다. 본 장치는, 한 조의 무선 파라미터군에 의해 규정되는 1 심볼 중의 가드 인터벌부가 점하는 비율과, 다른 한 조의 무선 파라미터군에 의해 규정되는 1 심볼 중의 가드 인터벌부가 점하는 비율이 동등하도록 다른 한 조의 무선 파라미터군을 도출하는 수단을 갖는다.
Figure R1020077026201
무선 파라미터군, 인터리버,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OFDM), 가드 인터벌

Description

무선 파라미터군을 생성하는 장치, 송신기, 및 수신기 {RADIO PARAMETER GROUP GENERATING APPARATUS, TRANSMITTER AND RECEIVER}
본 발명은, 무선 파라미터군을 생성하는 장치, 송신기, 및 수신기에 관한 것이다.
영상통신이나 데이터통신이 주로 이루어지는 제4세대 이동통신시스템(the fourth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에서는, 제3세대 이동통신시스템(IMT-2000)을 훨씬 능가하는 능력이 요구되어, 대용량화(higher capacity), 고속화(faster speed), 브로드밴드화(broadbanding) 등을 충분히 달성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종류의 시스템에서는, 옥내(inside houses)나 옥외(outside houses)에서의 다양한 통신환경이 상정된다. 옥외에서는 예를 들면 고속이동하는 이동국(mobile station)에 대한 고속 패킷 전송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광범위한 영역을 망라하는 복수의 셀(멀티 셀)이 마련된다. 옥내에서는 전파의 감쇠가 크기 때문에, 옥외 기지국에서 무선통신을 서포트하는 것이 아니라,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s)가 옥내에 마련된다. 또, 통신 리소스의 이용효율을 높이는 등의 관점에서, 종래의 회선교환형 통신(circuit switching type communication)이 아니라, 무선구간에서도 패킷 전송에 의한 통신이 이루어진다. 또한, 기지국보다 상위의 장치와 이동국 간의 통신, 특히 하향방향의 데이터 전송에서는, 유니캐스트(unicast) 방식뿐만 아니라, 멀티캐스트(multicast) 방식이나 브로드캐스트(broadcast) 방식도 이루어진다(장래적인 통신시스템의 동향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비 특허문헌 1 참조).
한편, 광대역 이동통신시스템에서는, 멀티패스(multipath) 환경에 의한 주파수 선택성 페이딩(frequency selective fading)의 영향이 현저해진다. 때문에,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방식이, 차세대 통신방식에 유망시되고 있다. OFDM방식에서는, 전송해야할 정보를 포함하는 유효 심볼부에 가드 인터벌(guard interval)부를 부가함으로써 하나의 심볼이 형성되고, 소정의 송신시간간격(TTI:Transmission Time Interval) 동안 복수개의 심볼이 송신된다. 가드 인터벌부는, 유효 심볼(effective symbol)부에 포함되어 있는 정보의 일부로 작성된다. 가드 인터벌부는, 사이클릭 프리픽스(CP:Cyclic Prefix) 또는 오버헤드(overhead)라고도 불린다.
수신 측에서는, 다양한 전파지연(propagation delay)을 갖는 패스가 수신된다. OFDM방식에서는 전파지연량이 가드 인터벌부의 기간 내에 포함되면, 심볼간 간섭(inter-symbol interference)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가드 인터벌의 기간을 비교적 길게 함으로써, 다양한 지연파를 유효하게 합성할 수 있다. 이것은, 상당히 큰 셀 반경에서 통신이 이루어지는 경우나, 멀티캐스트 방식으로 다양한 셀로부터 이동국으로 동일한 정보가 동시에 전송되는 경우에 특히 유리하다. 그러나, 가드 인터벌부는 유효 심볼부 내용의 일부에 지나지 않으므로, 가드 인터벌부의 기간을 길게 하는 것은, 정보의 전송효율 관점에서는 바람직하지 않다. 시 가지나 옥내와 같은 전파지연이 비교적 짧은 환경이나, 유니캐스트 방식이 수행되는 환경 등에서는, 비교적 짧은 기간의 가드 인터벌부를 설정함으로써 통신품질이 충분히 확보되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다양한 통신환경에 최적의 1종류의 가드 인터벌부를 설정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는, 길고 짧은 다양한 가드 인터벌부를 갖는 심볼을 규정하는 무선 파라미터군을 다수 마련하고, 그때마다 최적의 심볼 포맷으로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다종다양한 심볼 포맷에 맞추어 수행하는 신호처리의 부담은 극히 크고, 장치구성이 비교적 간이한 이동국에게는 불리하다. 동작주파수(클록 주파수)에 선택지가 없는 이동국에서는, 가능한 신호 처리에 관한 제약이 엄격하므로, 그와 같은 이동국에서는 특히 불리해진다.
비특허문헌 1: 大律: "Systems beyond IMT-2000에서 challenge∼wireless로부터의 approach∼", ITU 저널, Vol. 33, No. 3, pp. 26-30, Mar. 2003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의 적어도 하나에 대처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그 과제는, OFDM 방식의 이동통신시스템에 사용되고, 유니캐스트(unicast) 방식 및 멀티캐스트(multicast) 방식의 쌍방에 유연하게 대응가능한 송신기, 수신기, 및 그를 위한 무선 파라미터를 생성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에서는, 가드 인터벌(guard interval)부 및 유효 심볼(effective symbol)부를 갖는 심볼을 소정의 시간 프레임 동안 복수 개 송신 또는 수신하는 OFDM 방식의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무선 파라미터군(radio parameters)을 생성하는 장치가 사용된다. 본 장치는, 한 조의 무선 파라미터군에 의해 규정되는 유효 심볼부의 기간과 동일한 기간의 유효 심볼부를 가지며, 상기 한 조의 무선 파라미터군에 의해 규정되는 가드 인터벌부의 기간과는 상이한 가드 인터벌부를 갖는 심볼을 규정하는 다른 한 조의 무선 파라미터군을 도출하는 수단을 갖는다. 본 장치는, 한 조의 무선 파라미터군에 의해 규정되는 1 심볼 중의 가드 인터벌부가 점하는 비율과, 다른 한 조의 무선 파라미터군에 의해 규정되는 1 심볼 중의 가드 인터벌부가 점하는 비율이 동등하도록 다른 한 조의 무선 파라미터군을 도출하는 수단을 갖는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따르면, OFDM 방식의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송신기 및 수신기가 유니캐스트 방식 및 멀티캐스트 방식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신기의 개략 블록도(1)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신기의 개략 블록도(2)를 나타낸다.
도 3은, 다중화부에서 시간 다중화가 수행되는 경우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4는, 다중화부에서 주파수 다중화가 수행되는 경우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 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기의 개략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해 도출되는 무선 파라미터군에서 각각 규정되는 심볼 포맷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해 도출되는 무선 파라미터군에서 각각 규정되는 심볼 포맷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해 도출되는 다양한 무선 파라미터군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9는 주파수 선택성 페이딩의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이다.
도 10은, 공유 제어 채널 및 공유 데이터 채널을 다중화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부호의 설명
302-1~ND 데이터 채널 처리부
304 제어 채널 처리부
306 다중화부
308 고속 역 푸리에 변환부
310 가드 인터벌 삽입부
312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부(D/A)
320 무선 파라미터 설정부
322 터보 부호기
324 데이터 변조기
326 인터리버
328 직병렬 변환부(S/P)
342 컨볼루션 부호기
344 QPSK 변조기
346 인터리버
348 직병렬 변환부(S/P)
402 직교 변조기
404 국부발진기
406 밴드 패스 필터
408 믹서
410 국부발진기
412 밴드 패스 필터
414 전력증폭기
502 안테나
504 저잡음 증폭기
506 믹서
508 국부발진기
510 대역 통과 필터
512 자동 이득 제어부
514 직교검파기
516 국부발진기
518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부
520 심볼 타이밍 검출기
522 가드 인터벌 제거부
524 고속 푸리에 변환부
526 디멀티플렉서
528 채널 추정부
530 채널 보상부
532 병직렬 변환부(P/S)
534 채널 보상부
536 디인터리버
538 터보 복호기
540 비터비 디코더
542 무선 파라미터 설정부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르면, 한 조의 무선 파라미터군에 의해 규정되는 유 효 심볼부의 기간과 동일한 기간의 유효 심볼부를 가지며, 상기 한 조의 무선 파라미터군에 의해 규정되는 가드 인터벌부의 기간과는 상이한 가드 인터벌부를 갖는 심볼을 규정하는 다른 한 조의 무선 파라미터군이 도출된다. 이렇게 하여 도출되는 무선 파라미터군에서는, 유효 심볼부의 기간 즉 서브캐리어 간격(subcarrier interval)이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어떠한 무선 파라미터군이 사용되는 경우에도, 무선통신기는, OFDM 방식의 변조 및 복조 처리(고속 역 푸리에 변환 및 고속 푸리에 변환)에 있어서의 신호처리 방법을 바꾸지 않아도 된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르면, 한 조의 무선 파라미터군에 의해 규정되는 1 심볼 중의 가드 인터벌부가 점하는 비율(손실률:loss rate)과, 다른 한 조의 무선 파라미터군에 의해 규정되는 1 심볼 중의 가드 인터벌부가 점하는 비율이 동등하도록 다른 한 조의 무선 파라미터군이 도출된다. 손실률이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어떠한 무선 파라미터군이 사용되는 경우에도 데이터 전송효율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르면, 서브캐리어 간격 및 손실률이 원하는 값이 되도록, 무선 파라미터군이 도출된다. 예를 들면, 어떤 1조의 무선 파라미터군에서 규정되는 서브캐리어 수는, 다른 한 조의 무선 파라미터군에서 규정되는 서브캐리어 수의 정수 배로 설정되어도 좋다. 이에 따라, 서브캐리어 간격 및 손실률을 제어하면서, 가드 인터벌부의 기간이 크게 상이한 무선 파라미터군을 도출할 수 있다.
송신기 및 수신기는, 통신방식이 멀티캐스트 방식인지 아닌지에 따라, 복수 의 무선 파라미터군 중에서 한 조의 무선 파라미터군을 선택하여도 좋다.
송신기 및 수신기는, 복수의 유저에게 동일 내용을 전송하기 위한 공유 제어 채널(shared control channel)과, 유저마다 데이터 전송에 사용되는 복수의 유저 간에 공용되는 공유 데이터 채널(shared data channel)을, 시간방향으로, 주파수 방향으로, 또는 시간 및 주파수 방향으로 다중화(multiplexing)하는 수단을 구비한다. 공유 제어 채널 및 공유 데이터 채널을 시간 및 주파수 방향의 2방향으로 다중화하는 경우에, 어느 타임슬롯에서의 주파수 방향의 채널 배치와, 다른 타임슬롯에서의 주파수 방향의 채널 배치가 상이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에 따라, 시간방향 및 주파수방향의 페이딩 내성(fading tolerance)을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다.
실시예 1
이하의 실시 예에서는 하향링크(downlink)에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방식을 채용하는 시스템이 설명되나, 다른 멀티캐리어(multi-carrier) 방식의 시스템에 본 발명이 적용되어도 좋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송신기의 개략 블록도(1)를 나타낸다. 이 송신기는 전형적으로는 기지국(base station)에 마련되지만, 동일한 송신기가 이동국(mobile station)에 구비되어도 좋다. 기지국은, ND개의 데이터 채널 처리부(302-1~ND), 제어 채널 처리부(304), 다중화부(MUX)(306), 고속 역 푸리에 변환부(IFFT: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308), 가드 인터벌(GI) 삽입부(310), 디 지털 아날로그 변환부(D/A)(312), 무선 파라미터 설정부(320)를 갖는다. ND개의 데이터 채널 처리부(302-1~ND)는 동일한 구성 및 기능을 가지므로, 302-1이 그들을 대표하여 설명된다. 데이터 채널 처리부(302-1)는, 터보 부호기(turbo coder)(322), 데이터 변조기(324), 인터리버(interleaver)(326), 직병렬 변환부(S/P)(328)를 갖는다. 제어 채널 처리부(304)는, 컨볼루션 부호기(convolution coder)(342), QPSK 변조기(344), 인터리버(346), 직병렬 변환부(S/P)(348)를 갖는다.
ND개의 데이터 채널 처리부(302-1~ND)는, 트래픽 정보 데이터를 OFDM 방식으로 전송하기 위한 베이스밴드(baseband) 처리를 수행한다. 터보 부호기(322)는, 트래픽 정보 데이터의 오류 내성을 높이기 위한 부호화를 수행한다. 데이터 변조기(324)는, QPSK(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16QAM(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64QAM 등과 같은 적절한 변조방식으로, 트래픽 정보 데이터를 변조한다. 적응 변조 부호화(AMC:Adaptive Modulation and Coding)가 수행되는 경우에는, 이 변조방식은 적절히 변경된다. 인터리버(326)는, 트래픽 정보 데이터가 정렬하는 순서를 소정의 패턴에 따라서 바꿔 나열한다. 직병렬 변환부(S/P)(328)는, 직렬적인 신호계열(stream)을 병렬적인 신호계열로 변환한다. 병렬적인 신호계열 수는, 서브캐리어 수에 따라서 결정되어도 좋다.
제어 채널 처리부(304)는, 제어 정보 데이터를 OFDM 방식으로 전송하기 위한 베이스밴드 처리를 수행한다. 컨볼루션 부호기(342)는, 제어 정보 데이터의 오류 내성을 높이기 위한 부호화를 수행한다. QPSK 변조기(344)는, 제어 정보 데이터를 QPSK 변조방식으로 변조한다. 적절한 어떠한 변조방식이 채용되어도 좋으나, 제어 정보 데이터의 정보량은 비교적 적기 때문에, 본 실시 예에서는, 변조다치수가 적은 QPSK 변조방식이 채용되고 있다. 인터리버(346)는, 제어 정보 데이터가 정렬하는 순서를 소정의 패턴에 따라서 바꿔 나열한다. 직병렬 변환부(S/P)(348)는, 직렬적인 신호계열을 병렬적인 신호계열로 변환한다. 병렬적인 신호계열 수는, 서브캐리어 수에 따라서 결정되어도 좋다.
다중화부(MUX)(306)는, 변조 및 부호화 등의 처리가 완료된 트래픽 정보 데이터와, 처리가 완료된 제어 정보 데이터를 다중화한다. 다중화는, 시간 다중, 주파수 다중, 또는 시간 및 주파수 다중 중 어느 방식이어도 좋다.
고속 역 푸리에 변환부(308)는, 거기에 입력된 신호를 고속 역 푸리에 변환하고, OFDM 방식의 변조를 수행한다.
가드 인터벌 삽입부(310)는, 변조가 완료된 신호에 가드 인터벌을 부가함으로써, OFDM 방식에서의 심볼을 작성한다. 주지와 같이, 가드 인터벌은, 전송하는 심볼의 선두 또는 말미의 일부를 복제함으로써 얻어진다.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부(D/A)(312)는, 베이스밴드의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한다.
무선 파라미터 설정부(320)는, 통신에 사용되는 무선 파라미터를 설정한다. 무선 파라미터(군)는, OFDM 방식의 심볼 포맷을 규정하는 정보를 포함하고, 가드 인터벌부의 기간 TGI, 유효 심볼부의 기간, 1 심볼 중의 가드 인터벌부가 점하는 비 율, 서브캐리어 간격 Δf 등의 값을 특정하는 한 군의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유효 심볼부의 기간은 서브캐리어 간격의 역수 1/Δf와 같다. 무선 파라미터 설정부(320)는, 통신상황에 따라 혹은 다른 장치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적절한 무선 파라미터군을 설정한다. 예를 들면, 무선 파라미터 설정부(320)는, 수행되는 통신이 멀티캐스트 방식인지 아닌지에 따라, 사용하는 무선 파라미터군을 달리해도 좋다. 예를 들면, 유니캐스트 방식이 수행되고 있는 경우에는, 보다 단기간의 가드 인터벌부를 규정하는 무선 파라미터군이 사용되고, 멀티캐스트 방식이 수행되는 경우에는, 보다 장기간의 가드 인터벌부를 규정하는 무선 파라미터군이 사용되어도 좋다. 무선 파라미터 설정부(320)는, 적절한 무선 파라미터군을, 그때마다 계산해서 도출하여도 좋으며, 혹은 무선 파라미터군의 복수의 조를 미리 메모리에 기억시켜 두고, 필요에 따라서 그들 중 한 조가 선택되어도 좋다. 무선 파라미터군이 어떻게 도출되는지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송신기의 개략 블록도(2)를 나타내며, 도 1의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부(312) 이후의 부분(RF 송신부)을 나타낸다. RF 송신부는, 직교변조기(402), 국부발진기(404), 밴드패스 필터(bandpass filter)(406), 믹서(mixer)(408), 국부발진기(410), 밴드패스 필터(412), 전력증폭기(414)를 갖는다.
직교변조기(402)는, 거기에 입력된 신호로부터, 중간주파수의 동상성분(in-phase component) 및 직교성분(quadrature-phase component)을 생성한다. 밴드패스 필터(406)는, 중간주파수 대역에 대한 여분의 주파수 성분을 제거한다. 믹서(408) 는, 국부발진기(410)를 이용하여, 중간주파수의 신호를 고주파수의 신호로 변환(up-convert)한다. 밴드패스 필터(412)는 여분의 주파수 성분을 제거한다. 전력증폭기(414)는, 안테나(416)로부터 무선송신을 수행하기 위해서, 신호의 전력을 증폭한다.
일반적으로, 도 1의 데이터 채널 처리부에 입력된 트래픽 정보 데이터는, 터보 부호기(322)에서 부호화되고, 데이터 변조기(324)에서 변조되고, 인터리버(326)에서 바꿔 나열되고, 직병렬 변환기(328)에서 병렬화된다. 제어 정보 데이터도 마찬가지로, 부호화되고, 변조되고, 인터리브되고, 병렬화된다. 데이터 채널 및 제어 채널은, 다중화부(306)에서 서브캐리어마다 다중화되고, 고속 역 푸리에 변환부(308)에서 OFDM 방식의 변조가 수행되고, 변조 후의 신호에 가드 인터벌이 부가되고, 베이스밴드의 OFDM 심볼이 출력된다. 베이스밴드의 신호는,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되고, 도 2의 RF 송신부의 직교변조기(402)에서 직교변조되어, 대역 제한 후에 적절히 증폭되어 무선송신된다.
다중화부(306)는, 제어 채널 및 데이터 채널을 적절히 다중화하고, 출력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다중화부(306)에 파일럿 채널이 입력되고, 이것도 다중화된다. 다른 실시 예에서는 도면 중에 파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일럿 채널이 직병렬 변환부(348)에 입력되고, 파일럿 채널이 주파수축 방향으로 다중화되어도 좋다. 다중화는, 시간방향, 주파수 방향, 또는 시간 및 주파수의 2방향 중 어떠한 수법으로 이루어져도 좋다. 도 3은, 2개의 신호가 시간 다중화되는 경우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에서, 채널 #1, 채널 #2는 1 이상의 데이터 채널 및 제어 채널을 일반적 으로 나타낸다. 간단명료한 도시를 위해, 2개의 신호의 다중화 상태가 나타나 있으나, 3개의 신호가 시간 다중화되어도 좋다. 도 4는 2개의 신호가 주파수 다중화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다중화부(306)에서 어떠한 다중화가 수행됨으로써, 제어 채널 및 데이터 채널에 적절한 무선 리소스(타임슬롯 및/또는 주파수)가 할당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신기의 개략 블록도를 나타낸다. 이와 같은 수신기는, 전형적으로는 이동국에 마련되지만, 기지국에 구비되어도 좋다. 수신기는, 안테나(502), 저잡음 증폭기(504), 믹서(506), 국부발진기(508), 대역 통과 필터(510), 자동 이득 제어부(512), 직교검파기(orthogonal detector)(514), 국부발진기(516),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부(518), 심볼 타이밍 검출기(520), 가드 인터벌 제거부(522), 고속 푸리에 변환부(524), 디멀티플렉서(demultiplexer)(526), 채널 추정부(528), 채널 보상부(530), 병직렬 변환부(P/S)(532), 채널 보상부(534), 디인터리버(deinterleaver)(536), 터보 복호기(538), 비터비 디코더(viterbi decoder)(540), 무선 파리미터 설정부(542)를 갖는다.
저잡음 증폭기(504)는, 안테나(502)로 수신한 신호를 적절히 증폭한다. 증폭 후의 신호는, 믹서(506) 및 국부발진기(508)에 의해 중간주파수로 변환된다(down-convert). 대역 통과 필터(510)는, 필요없는 주파수성분을 제거한다. 자동 이득 제어부(512)는, 신호 레벨이 적절히 유지되도록, 증폭기의 이득이 제어된다. 직교검파기(514)는, 국부발진기(516)를 이용하여, 수신한 신호의 동상성분(I) 및 직교성분(Q)에 기초하여, 직교 복조한다.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부(518)는, 아날로그 신호 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심볼 타이밍 검출기(520)는, 디지털 신호에 기초하여, 심볼(심볼 경계)의 타이밍을 검출한다.
가드 인터벌 제거부(522)는, 수신한 신호로부터 가드 인터벌에 상당하는 부분을 제거한다.
고속 푸리에 변환부(524)는, 입력된 신호를 고속 푸리에 변환하고, OFDM 방식의 복조를 수행한다.
디멀티플렉서(526)는, 수신한 신호에 다중화되어 있는 파일럿 채널, 제어 채널, 및 데이터 채널을 분리한다. 이 분리방법은, 송신측의 다중화(도 1의 다중화부(306)에서의 처리내용)에 대응하여 수행된다.
채널 추정부(528)는, 파일럿 채널을 이용하여 전파로의 상황을 추정하고, 채널 변동을 보상하도록, 진폭 및 위상을 조정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이 제어신호는 서브캐리어마다 출력된다.
채널 보상부(530)는, 데이터 채널의 진폭 및 위상을, 채널 추정부(528)로부터의 정보에 따라서 서브캐리어마다 조정한다.
병직렬 변환부(P/S)(532)는, 병렬적인 신호계열을 직렬의 신호계열로 변환한다.
채널 보상부(534)는, 제어 채널의 진폭 및 위상을, 채널 추정부(528)로부터의 정보에 따라서 서브캐리어마다 조정한다.
디인터리버(deinterleaver:536)는, 신호가 정렬하는 순서를 소정의 패턴에 따라서 변경한다. 소정의 패턴은, 송신측의 인터리버(도 1의 326)에서 수행되는 재정렬의 역 패턴에 상당한다.
터보 복호기(538) 및 비터비 디코더(viterbi decoder:540)는, 트래픽 정보 데이터 및 제어 정보 데이터를 각각 복호한다.
무선 파라미터 설정부(542)는, 도 1의 무선 파라미터 설정부(320)와 마찬가지로, 통신에 사용되는 무선 파라미터를 설정한다. 무선 파라미터 설정부(542)는, 적절한 무선 파라미터를, 그때마다 계산하여 도출하여도 좋으며, 혹은 무선 파라미터군의 복수의 조를 미리 메모리에 기억시켜 두고, 필요에 따라서 그것에 액세스해도 좋다. 무선 파라미터군이 어떻게 도출되는지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안테나에서 수신된 신호는, RF 수신부 내에서 증폭, 주파수변환, 대역제한, 직교복조 등의 처리를 거쳐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다. 가드 인터벌이 제거된 신호에 대하여, 고속 푸리에 변환부(524)에 의해 OFDM 방식의 복조가 수행된다. 복조 후의 신호는, 디멀티플렉서(526)에서 파일럿 채널, 제어 채널, 및 데이터 채널로 각각 분리된다. 파일럿 채널은, 채널 추정부에 입력되고, 전파로의 변동을 보상하기 위한 보상신호가 거기에서 서브캐리어마다 출력된다. 데이터 채널은 그 보상신호를 이용하여 서브캐리어마다 보상되고, 직렬적인 신호로 변환된다. 변환 후의 신호는, 디인터리버(536)에서 인터리버에서 실시된 재정렬과 역 패턴으로 바꿔 나열되고, 터보 복호기(538)에서 복호된다. 제어 채널도 마찬가지로 보상신호에 의해 채널 변동이 보상되고, 비터비 디코더(540)에서 복호된다. 이후, 복원된 데이터 및 제어 채널을 이용하는 신호처리가 수행된다.
다음으로, 무선 파라미터 설정부(320,542)에서 설정되는 무선 파라미터군의 내용 및 도출법이 설명된다. 무선 파라미터군은, 서브캐리어 간격, 샘플링 주파수, 유효 심볼부의 기간, 가드 인터벌부의 기간, 1 프레임(또는 1 TTI)에 포함되는 심볼 수 및 1 TTI(Transmission Time Interval)의 기간 등을 지정하는 것으로 한다. 단, 이들 파라미터 모두가 독립적으로 설정가능한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서브캐리어 간격과 유효 심볼부의 기간은, 서로 역수의 관계에 있다. 또, 1 프레임이 1 TTI라면, 1 심볼의 기간(가드 인터벌부와 유효 심볼부의 합계기간)에 심볼 수를 곱한 것이, TTI의 기간이 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제1 무선 파라미터군으로부터 제2 무선 파라미터군을 도출하는 3가지 방법이 설명된다.
우선,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무선 파라미터군이 다음과 같이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서브캐리어 간격 = 22.5kHz
전(全) 서브캐리어 수 = 200
샘플링 주파수 = 5.76MHz = 3/2×3.84MHz
유효 심볼부의 기간 = 256 샘플(44.4㎲)
가드 인터벌부의 기간 = 32 샘플(5.5㎲)
1 심볼의 기간 = 288 샘플(가드 인터벌부+유효 심볼부)
손실률 = 32/288 =11.1%
1 프레임(또는 1 TTI)에 포함되는 심볼 수 = 10
1 TTI의 기간 = 0.5ms
또한, 손실률이란 1 심볼 중의 가드 인터벌부가 점하는 비율이다. 이 부분은 데이터 전송효율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는 리던던시(redundancy)한 부분이 된다. 손실률η과, 가드 인터벌부의 기간 TGI과, 유효 심볼부의 기간 Teff 사이에는,
η = TGI/(TGI+Teff)×100[%]
의 관계가 성립한다.
(1)무선 파라미터군을 도출하는 제1 방법은, 서브캐리어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1 프레임 중의 심볼 수를 줄이고, 가드 인터벌부의 기간을 늘인다.
예를 들면, 제1 무선 파라미터에서는 1 프레임에 10 심볼이 포함되어 있으나, 이것이 9 심볼로 줄어든다. 줄인 1 심볼(288 샘플) 만큼의 기간이 9등분 되어, 그것들이 가드 인터벌부에 각각 할당된다. 그 결과,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효 심볼부의 기간(256 샘플)은 동등하지만, 가드 인터벌부의 기간이 넓어진 심볼이 프레임 중에 9개 포함된다. 이렇게 하여 도출된 제2 무선 파라미터군은, 다음과 같은 값을 갖는다.
서브캐리어 간격 = 22.5kHz
전(全) 서브캐리어 수 = 200
샘플링 주파수 = 5.76MHz = 3/2×3.84MHz
유효 심볼부의 기간 = 256 샘플(44.4㎲)
가드 인터벌부의 기간 = 64 샘플(11.1㎲)
1 심볼의 기간 = 320 샘플
손실률 = 64/320 =20%
1 프레임(또는 1 TTI)에 포함되는 심볼 수 = 9
1 TTI의 기간 = 0.5ms
이 제1 수법에 의해, 1 프레임 중의 심볼 수가 8로 줄어든 경우, 제2 무선 파라미터군은 다음과 같은 값을 갖는다(도 6(C)).
서브캐리어 간격 = 22.5kHz
전(全) 서브캐리어 수 = 200
샘플링 주파수 = 5.76MHz = 3/2×3.84MHz
유효 심볼부의 기간 = 256 샘플(44.4㎲)
가드 인터벌부의 기간 = 104 샘플(18.1㎲)
1 심볼의 기간 = 360 샘플
손실률 = 104/360 =28.9%
1 프레임(또는 1 TTI)에 포함되는 심볼 수 = 8
1 TTI의 기간 = 0.5ms
이하 동일한 방법으로, 1 프레임 중의 심볼 수가 상이한 무선 파라미터군을 도출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유효 심볼부의 기간은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서브캐리어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즉, 이 수법으로 도출된 무선 파라미터군은, 어느 것이나 동일한 서브캐리어 간격을 규정하지만, 가드 인터벌부의 기간 및 심볼 수는 서로 다르다.
(2)무선 파라미터군을 도출하는 제2 방법은, 손실률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프레임 중의 심볼 수를 변경한다. 손실률의 정의로부터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손실률을 일정하게 하기 위해서는, 가드 인터벌부 및 유효 심볼부의 비율이 일정하게 유지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제1 무선 파라미터군에 대하여,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드 인터벌부 및 유효 심볼부의 기간을 각각 2배로 늘여, 1 프레임 중의 심볼 수를 5개로 할 수 있다. 이 경우의 제2 무선 파라미터군은 다음과 같은 값을 갖는다.
서브캐리어 간격 = 11.25(=22.5÷2)kHz
전(全) 서브캐리어 수 = 400(=200×2)
샘플링 주파수 = 5.76MHz = 3/2×3.84MHz
유효 심볼부의 기간 = 512(=256×2) 샘플(88.8㎲)
가드 인터벌부의 기간 = 64(=32×2) 샘플(11.1㎲)
1 심볼의 기간 = 576 샘플
손실률 = 64/576 =11.1%
1 프레임(또는 1 TTI)에 포함되는 심볼 수 = 5
1 TTI의 기간 = 0.5ms
또한, 제1 무선 파라미터군에 대하여, 도 6(E)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드 인터벌부 및 유효 심볼부의 기간을 각각 4배로 늘여, 1 프레임 중의 심볼 수를 2.5개로 할 수도 있다. 이 경우의 제2 무선 파라미터군은 다음과 같은 값을 갖는다. 단, 이 경우는 정수개의 심볼이 하나의 프레임에 포함되도록, 1 프레임의 기간을 0.5ms 에서 예를 들면 1.0ms로 연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서브캐리어 간격 = 5.625(=22.5÷4)kHz
전(全) 서브캐리어 수 = 800(=200×4)
샘플링 주파수 = 5.76MHz = 3/2×3.84MHz
유효 심볼부의 기간 = 1024(=256×4) 샘플(177.8㎲)
가드 인터벌부의 기간 = 128(=32×4) 샘플(22.2㎲)
1 심볼의 기간 = 1152 샘플
손실률 = 128/1152 =11.1%
1 프레임(또는 1 TTI)에 포함되는 심볼 수 = 2.5
1 TTI의 기간 = 0.5ms
이 수법에 따르면, 손실률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므로, 데이터 전송효율이 동등한 무선 파라미터군을 도출할 수 있다. 제1 수법에서는, 프레임 중의 심볼 수가 줄어듦에 따라, 손실률은 서서히 커져 버린다.
(3)무선 파라미터군을 도출하는 제3의 방법은, 제1 수법과 제2 수법의 조합이다. 예를 들면, 무선 파라미터군에 제1 수법을 적용하여 제2 무선 파라미터군을 도출하고, 그 제2 무선 파라미터군에 제2 수법을 적용함으로써 제3 무선 파라미터군이 도출된다. 예를 들면, 제1 무선 파라미터군에 제1 수법을 적용하여,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심볼 포맷을 규정하는 제2 무선 파라미터군이 얻어졌다고 하자. 이 제2 무선 파라미터군에 의한 손실률은 64/320=20%였다. 이 제2 무선 파라미터군에 대하여, 손실률을 일정하게 하면서 심볼 수가 변경된다. 예를 들면, 가드 인터벌부의 기간 및 유효 심볼부의 기간을 각각 2배로 늘이면, 제3 무선 파라미터 군은 다음과 같은 값이 된다(도 6(F)).
서브캐리어 간격 = 11.25kHz
전(全) 서브캐리어 수 = 400
샘플링 주파수 = 5.76MHz = 3/2×3.84MHz
유효 심볼부의 기간 = 512 샘플(88.8㎲)
가드 인터벌부의 기간 = 128 샘플(22.2㎲)
1 심볼의 기간 = 640 샘플
손실률 = 128/640 =20%
1 프레임(또는 1 TTI)에 포함되는 심볼 수 = 4.5
1 TTI의 기간 = 0.5ms
이 경우도, 정수개의 심볼이 하나의 프레임에 포함되도록, 1 프레임의 기간을 예를 들면 1.0ms로 연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여 도출된 제3 무선 파라미터군은, 도 6(B)에 도시된 무선 파라미터군과 동일한 손실률(20%)을 가지며, 도 6(D)에 도시된 무선 파라미터군과 동일한 서브캐리어 간격(11.25kHz)을 갖는다. 그러나, 제3 무선 파라미터군에 의한 가드 인터벌부의 기간(128 샘플)은, 도 6(B) 및 도 6(D)에 도시된 어느 것(64 샘플)보다도 긴 점에 유의를 요한다. 제3 수법에 따르면, 서브캐리어 간격 및 손실률에 일정한 관계를 갖는 무선 파라미터군을 효율적으로 도출할 수 있다.
도 7은, 도 6과 동일하지만, 제1 무선 파라미터군으로서, 이하에 나타낸 것과 같은 다른 값이 설정된 경우의 것을 나타낸다.
서브캐리어 간격 = 16.875kHz
전(全) 서브캐리어 수 = 266
샘플링 주파수 = 8.64MHz = 9/4×3.84MHz
유효 심볼부의 기간 = 512 샘플(59.259㎲)
가드 인터벌부의 기간 = 64 샘플(7.407㎲)
1 심볼의 기간 = 576 샘플
손실률 = 64/576 =11.1%
1 프레임(또는 1 TTI)에 포함되는 심볼 수 = 10
1 TTI의 기간 = 0.667ms
이 제1 무선 파라미터군에 제1 수법을 적용하고, 유효 심볼부의 기간을 유지하면서 심볼 수를 9개로 줄이면, 다음과 같은 제2 무선 파라미터군이 도출된다(도 7(B)).
서브캐리어 간격 = 16.875kHz
전(全) 서브캐리어 수 = 266
샘플링 주파수 = 8.64MHz = 9/4×3.84MHz
유효 심볼부의 기간 = 512 샘플(59.259㎲)
가드 인터벌부의 기간 = 128 샘플(14.8㎲)
1 심볼의 기간 = 640 샘플
손실률 = 128/640 =20%
1 프레임(또는 1 TTI)에 포함되는 심볼 수 = 9
1 TTI의 기간 = 0.667ms
또한, 심볼 수를 8개로 줄이면, 다음과 같은 제2 무선 파라미터군이 도출된다(도 7(C)).
서브캐리어 간격 = 16.875kHz
전(全) 서브캐리어 수 = 266
샘플링 주파수 = 8.64MHz = 9/4×3.84MHz
유효 심볼부의 기간 = 512 샘플(59.259㎲)
가드 인터벌부의 기간 = 208 샘플(24.1㎲)
1 심볼의 기간 = 720 샘플
손실률 = 208/720 =28.9%
1 프레임(또는 1 TTI)에 포함되는 심볼 수 = 8
1 TTI의 기간 = 0.667ms
다음으로, 제1 무선 파라미터군에 제2 수법을 적용하여, 손실률을 유지하면서 가드 인터벌부의 기간을 2배로 하면, 다음과 같은 제2 무선 파라미터군이 도출된다(도 7(D)).
서브캐리어 간격 = 8.438kHz
전(全) 서브캐리어 수 = 532
샘플링 주파수 = 8.64MHz = 9/4×3.84MHz
유효 심볼부의 기간 = 1024 샘플(118.519㎲)
가드 인터벌부의 기간 = 128 샘플(14.815㎲)
1 심볼의 기간 = 1152 샘플
손실률 = 128/1152 =11.1%
1 프레임(또는 1 TTI)에 포함되는 심볼 수 = 5
1 TTI의 기간 = 0.667ms
제1 무선 파라미터군에 제2 수법을 적용하여, 손실률을 유지하면서 가드 인터벌부의 기간을 4배로 하면, 다음과 같은 제2 무선 파라미터군이 도출된다(도 7(E)).
서브캐리어 간격 = 8.438kHz
전(全) 서브캐리어 수 = 1064
샘플링 주파수 = 8.64MHz = 9/4×3.84MHz
유효 심볼부의 기간 = 2048 샘플(237.037㎲)
가드 인터벌부의 기간 = 256 샘플(29.630㎲)
1 심볼의 기간 = 2304 샘플
손실률 = 256/2304 =11.1%
1 프레임(또는 1 TTI)에 포함되는 심볼 수 = 2.5
1 TTI의 기간 = 0.667ms
마지막으로, 제1 무선 파라미터에 제1 수법을 적용하고 또한 제2 수법을 적용하면,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제3 무선 파라미터군이 도출된다(도 7(F)).
서브캐리어 간격 = 8.438kHz
전(全) 서브캐리어 수 = 532
샘플링 주파수 = 8.64MHz = 9/4×3.84MHz
유효 심볼부의 기간 = 1024 샘플(118.519㎲)
가드 인터벌부의 기간 = 256 샘플(29.630㎲)
1 심볼의 기간 = 1280 샘플
손실률 = 256/1280 =20%
1 프레임(또는 1 TTI)에 포함되는 심볼 수 = 4.5
1 TTI의 기간 = 0.667ms
이상과 같이 도출된 무선 파라미터군은, TTI=0.5ms의 경우에 도출된 것과 동일한 성질을 갖는다. 즉, 다양한 TTI에 대하여, 동일한 성질을 갖는 무선 파라미터군을 신속히 복수 조 마련할 수 있다. 게다가, 이들 무선 파라미터군은 모두 공통되는 샘플링 주파수에 대한 것이므로, 클록 주파수를 파라미터 세트마다 바꿀 필요는 없다.
도 8은, TTI=0.5ms의 경우의 무선 파라미터군의 몇 개를 나타낸다. 도시되어 있는 전체 9조의 무선 파라미터군 중 8조는, 제1 무선 파라미터군에 제1 및/또는 제2 수법을 적용함으로써 도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서브캐리어 간격 및 손실률에 관하여 일정한 관계를 갖는 무선 파라미터군을 조직적이면서 효율적으로 도출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기준이 되는 무선 파라미터군에 의한 서브캐리어 간격이나 심볼 수를 줄여서 새로운 무선 파라미터군이 도출되었으나, 이들을 늘여서 새로운 무선 파라미터군이 도출되어도 좋다.
실시 예 2
상술한 바와 같이, 무선전송에 사용되는 주파수대역이 넓어지면, 멀티 패스 페이딩에 기인하는 주파수 선택성 페이딩의 영향도 커지게 된다. 도 9는 주파수 선택성 페이딩의 영향을 받은 신호의 수신 레벨을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도 9(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무선전송에 사용되는 주파수대역이 비교적 협대역이면, 그 대역 내에서의 수신 레벨은 일정한 것으로 취급할 수 있다. 그러나, 도 9(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그것이 광대역이 되면, 수신 레벨의 주파수 의존성이 현저해진다. 그래서, 전 무선대역을 복수의 주파수 블록으로 분할하고, 주파수 블록 단위로 적응변복조 부호화, ARQ, 패킷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것이 고속화나 대용량화에 유효하다. 일반적으로, 하나의 주파수 블록은 1 이상의 캐리어 주파수를 포함하나, 본 실시 예에서는, 주파수 블록 각각에 복수의 서브캐리어가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이와 같은 주파수 블록은, 청크(chunk)라고도 불린다. 주파수 블록 또는 청크는 무선 리소스를 할당하는 단위로 사용되어도 좋다.
도 10은, 공통 채널(common channel) 및 공유 채널(shared channel)을 다중화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공통 채널은, 불특정 이동국 사이에 동일한 리소스를 이용하는 통신에 사용된다. 공유 채널은, 특정 이동국 사이에 스케줄링과 함께 사용되며, 복수의 이동국 사이에서 공유된다.
구체적 예로서, 하향링크에서의 공통 채널로서, 공유 제어 채널, 멀티캐스트 채널, 파일럿 채널, 및 동기 채널을 들 수 있다. 공유 제어 채널은 브로드캐스트 정보(시스템 정보)나, 대기시의 페이딩 정보를 전송한다. 멀티캐스트 채널은, 복수의 셀 사이트(기지국)로부터 송신되는 동일한 정보 데이터를 전송하고, 수신측에서 적절히 합성된다. 이 경우에, 주파수 및 시간에 관한 다이버시티가 수행된다. 또한, 주파수 및 시간적인 홉핑이 수행되어도 좋다. 파일럿 채널은 송신측 및 수신측에서 기지의(known) 참조신호를 전송하며, 지향성이 날카로운 지향성 빔으로 송신되어도 좋으며, 지향성이 날카롭지 못하거나 또는 무지향성 빔으로 송신되어도 좋다. 동기 채널은 셀 서치에 사용된다.
하향링크에서의 공유 채널로서, 공유 제어 채널 및 공유 데이터 채널을 들 수 있다. 공유 제어 채널은, 물리 제어 메시지나 레이어 2의 제어 메시지(FFS)를 통지한다. 공유 제어 채널의 통신에, 채널 상태 정보(CQI:Channel Quality Indicator)를 이용한 적응 송신 전력 제어가 수행되어도 좋다. 공유 데이터 채널은, 트래픽 데이터나 레이어 3의 제어 메시지를 전송한다. 주파수 및 시간 영역의 채널 변동에 따른 스케줄링이 수행된다. 스케줄링에 추가하여, 적응 변조 부호화(AMC) 및 하이브리드 ARQ 등도 수행된다.
상향링크에서의 공통 채널로서, 고속 액세스 채널(Fast Access Channel), 예약 채널, 및 동기 채널을 들 수 있다. 이들은 스케줄링 되지않고 각 유저로부터 송신되므로, 유저끼리 경합할 가능성이 있다. 고속 액세스 채널은, 지연의 허용도가 엄격한 트래픽 데이터, 비교적 사이즈가 작은 트래픽 데이터, 및 제어정보 등을 전송한다. 예약 채널은, 후술하는 공유 데이터 채널을 사용할 것을 예약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전송한다. 동기 채널은, 복수의 유저로부터의 공유 데이터 채널 및 공유 제어 채널의 수신 타이밍이 가드 구간 이내에 들어가도록 송신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상향링크에서의 공유 채널로서, 공유 데이터 채널 및 공유 제어 채널을 들 수 있다. 공유 데이터 채널은, 예약 채널로 예약한 후에 사용할 수 있는 채널이며, 트래픽 데이터나 레이어 3의 제어 메시지를 전송한다. 주파수 및 시간 영역의 채널 변동에 따른 스케줄링이 수행된다. 스케줄링에 추가하여, 적응 변조 부호화(AMC) 및 하이브리드 ARQ 등도 수행된다. 공유 제어 채널은, 물리 제어 메시지나 레이어 2의 제어 메시지(FFS)를 통지한다. 공유 제어 채널의 통신에, 채널 상태 정보(CQI)를 이용한 적응 송신 전력 제어가 수행되어도 좋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유 제어 채널 및 공유 데이터 채널은, 타임슬롯(시간방향) 및 주파수 블록(주파수방향)의 2방향으로 다양한 형식으로 할당하면서 송신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간단 명료화를 위해, 공유 제어 채널 및 공유 데이터 채널 2종류의 채널을 다중화하는 예가 도시되어 있으나, 2 이상의 채널이 다중화되어도 좋다.
도 10(A)에 도시된 예는 시분할 다중화의 예를 나타낸다. 도 10(B)에 도시된 예는 주파수분할 다중화의 예를 나타낸다. 도 10(C)에 도시된 예는 시간 및 주파수의 2차원 다중화의 예를 나타낸다. 도 10(D)에 도시된 예도 시간 및 주파수의 2차원 다중화의 다른 예를 나타낸다. 상술한 바와 같은 광대역화에 동반되는 주파수방향의 페이딩에 대한 내성을 높이는 관점에서는, 주파수방향으로 넓게 분산시켜 채널을 다중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10(C), (D)와 같이, 특히, 도 10(D)과 같이, 시간 및 주파수의 쌍방향으로 다중화하면, 주파수방향의 페이딩 내성을 높이면서, 고속 이동에 동반되는 시간방향의 페이딩 내성도 높일 수 있다. 도 10(C)에 서는, 어떤 타임슬롯에서의 주파수방향의 채널의 다중화 배치 패턴이, 다른 타임슬롯에서의 것과 동등하다. 도 10(D)에서는, 어떤 타임슬롯에서의 주파수방향의 채널의 다중화 배치 패턴이, 다른 타임슬롯에서의 것과 상이하여(이와 같은 채널 배치는 스태거드(Staggered) 방식이라고도 불린다.), 페이딩 내성을 더욱더 기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 요지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설명의 편의상, 본 발명이 몇 개의 실시 예로 나뉘어 설명되었으나, 각 실시 예의 구분은 본 발명에 본질적이지 않고, 1 이상의 실시 예가 필요에 따라 사용되어도 좋다.
본 국제출원은 서력 2005년 4월 28일에 출원한 일본국 특허출원 제2005-133322호에 기초한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이며, 그 전 내용을 본 국제출원에 원용한다 .

Claims (10)

  1.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OFDM) 방식의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송신기에 있어서,
    가드 인터벌부 및 유효 심볼부가 포함된 심볼을 기설정된 송신시간간격을 가지는 시간 프레임 동안 복수개 송신하는 송신부;
    상기 송신부로부터의 송신에 사용되는, 수신기에서의 수신에 사용시키기 위해 알려야 하는 무선 파라미터로, 그리고 서브캐리어 간격, 하나의 시간 프레임에 포함되는 심볼의 수, 가드 인터벌부의 기간을 적어도 특정 가능한 무선 파라미터를 복수 조 규정하고, 어느 하나의 무선 파라미터를 상기 송신부에 설정하는 설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설정부에 있어서 규정되는 복수 조의 무선 파라미터 중 적어도 2조의 무선 파라미터는, 각각 서로 동일한 서브캐리어 기간 및 상이한 가드 인터벌부의 기간을 가지며, 상기 적어도 2조의 무선 파라미터 각각에 포함된 복수의 심볼의 기간의 합계는 서로 동일하며, 상기 적어도 2조의 무선 파라미터 각각에 포함된 복수의 심볼의 개수는 1심볼만큼 차이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시간 프레임 동안에 복수의 심볼만을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기.
  3.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부는, 통신방식이 멀티캐스트 방식인지 아닌지에 따라 한 조의 무선 파라미터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기.
  4.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복수의 유저에게 동일 내용을 전송하기 위한 공통 채널과, 유저마다의 데이터 전송에 사용되는 공용 데이터 채널을, 시간방향 또는 주파수방향으로 다중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기.
  5.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복수의 유저에게 동일 내용을 전송하기 위한 공통 채널과, 유저마다의 데이터 전송에 사용되는 공용 데이터 채널을, 시간방향 및 주파수방향으로 다중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기.
  6.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OFDM) 방식의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송신방법에 있어서,
    가드 인터벌부 및 유효 심볼부가 포함된 심볼을 기설정된 송신시간간격을 가지는 시간 프레임 동안 복수개 송신하는 단계;
    송신에 사용되는, 수신기에서의 수신에 사용시키기 위해 알려야 하는 무선 파라미터로, 그리고 서브캐리어 간격, 하나의 시간 프레임에 포함되는 심볼의 수, 가드 인터벌부의 기간을 적어도 특정 가능한 무선 파라미터를 복수 조 규정하고, 어느 하나의 무선 파라미터를 설정하는 단계;를 구비하고,
    상기 설정하는 단계에 있어서 규정되는 복수 조의 무선 파라미터 중 적어도 2조의 무선 파라미터는, 각각 서로 동일한 서브캐리어 기간 및 상이한 가드 인터벌부의 기간을 가지며, 상기 적어도 2조의 무선 파라미터 각각에 포함된 복수의 심볼의 기간의 합계는 서로 동일하며, 상기 적어도 2조의 무선 파라미터 각각에 포함된 복수의 심볼의 개수는 1심볼만큼 차이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하는 단계는, 시간 프레임 동안에 복수의 심볼만을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방법.
  8. 제 6항 또는 7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하는 단계는, 통신방식이 멀티캐스트 방식인지 아닌지에 따라 한 조의 무선 파라미터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방법.
  9. 제 6항 또는 7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하는 단계는, 복수의 유저에게 동일 내용을 전송하기 위한 공통 채널과, 유저마다의 데이터 전송에 사용되는 공용 데이터 채널을, 시간방향 또는 주파수방향으로 다중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방법.
  10. 제 6항 또는 7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하는 단계는, 복수의 유저에게 동일 내용을 전송하기 위한 공통 채널과, 유저마다의 데이터 전송에 사용되는 공용 데이터 채널을, 시간방향 및 주파수방향으로 다중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방법.
KR1020077026201A 2005-04-28 2006-04-21 무선 파라미터군을 생성하는 장치, 송신기, 및 수신기 KR1010206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133322A JP4463723B2 (ja) 2005-04-28 2005-04-28 送信機及び送信方法
JPJP-P-2005-00133322 2005-04-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1189A KR20080011189A (ko) 2008-01-31
KR101020691B1 true KR101020691B1 (ko) 2011-03-11

Family

ID=37307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6201A KR101020691B1 (ko) 2005-04-28 2006-04-21 무선 파라미터군을 생성하는 장치, 송신기, 및 수신기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3) US7848447B2 (ko)
EP (1) EP1881628B1 (ko)
JP (1) JP4463723B2 (ko)
KR (1) KR101020691B1 (ko)
CN (3) CN101977174B (ko)
BR (1) BRPI0610410A2 (ko)
CA (1) CA2605772C (ko)
ES (1) ES2411330T3 (ko)
RU (1) RU2407173C2 (ko)
TW (1) TW200644479A (ko)
WO (1) WO200611806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69858B2 (en) 2004-10-14 2011-06-28 Qualcomm Incorporated Wireless terminal methods and apparatus for use in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s supporting different size frequency bands
US7567502B2 (en) * 2004-10-14 2009-07-28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adjusting bandwidth alloc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JP4732808B2 (ja) * 2005-06-14 2011-07-27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無線パラメータ群を生成する装置
JP4567628B2 (ja) * 2005-06-14 2010-10-20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局、送信方法及び通信システム
US7894818B2 (en) * 2005-06-15 2011-02-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multiplexing broadcast and unicast traffic in a multi-carrier wireless network
EP1933489A1 (en) 2005-10-07 2008-06-18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Wireless communication base station device and pilot transmitting method
EP1968335B1 (en) 2006-01-19 2011-10-05 Panasonic Corporation Radio communication base station device and pilot transmission method
CN101406016A (zh) 2006-03-17 2009-04-08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无线通信基站装置及导频配置方法
JPWO2007129620A1 (ja) * 2006-05-01 2009-09-1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無線通信基地局装置および無線通信基地局装置における送信方法
US8335196B2 (en) 2006-09-19 2012-12-18 Qualcomm Incorporated Accommodating wideband and narrowband communication devices
US8259773B2 (en) * 2006-10-31 2012-09-04 Alcatel Lucent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plexing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and 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transmissions
WO2008099342A1 (en) * 2007-02-12 2008-08-21 Nokia Corporation Shared control channel data-assisted channel estimation
BRPI0807885A2 (pt) * 2007-03-01 2014-06-17 Ntt Docomo Inc Aparelho da estação de base e método de controle de comunicação.
WO2008108228A1 (ja) 2007-03-01 2008-09-12 Ntt Docomo, Inc. 基地局装置及び通信制御方法
CN101669399B (zh) 2007-03-01 2014-02-26 株式会社Ntt都科摩 基站装置和通信控制方法
US8335233B2 (en) 2007-03-01 2012-12-18 Ntt Docomo, Inc. Base sta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using an uplink shared channel
BRPI0808175A2 (pt) 2007-03-01 2014-08-05 Ntt Docomo Inc Aparelho da estação de base e método de controle de comunicação
BRPI0808174A2 (pt) 2007-03-01 2014-08-05 Ntt Docomo Inc Aparelho da estação de base e método de controle de comunicação
KR20090129441A (ko) 2007-03-01 2009-12-16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기지국장치 및 통신제어방법
ES2498931T3 (es) * 2007-03-26 2014-09-26 Fujitsu Limited Aparato de recepción para una estación móvil y método de comunicación para un sistema de comunicaciones móviles
US7978779B2 (en) * 2007-07-24 2011-07-12 National Chiao Tung University Tone-interleaved coded modulation scheme for MIMO OFDM communication
KR20090024623A (ko) * 2007-09-04 2009-03-0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고속 무선 통신을 위한 프레임 구성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고속 무선 통신 장치
JPWO2009123105A1 (ja) * 2008-03-31 2011-07-28 シャープ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基地局装置および移動局装置
US10057389B2 (en) 2013-05-28 2018-08-21 Intel Deutschland Gmbh Methods and devices for processing a data frame
US10749724B2 (en) * 2014-11-20 2020-08-18 Futurewei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setting cyclic prefix length
WO2018179433A1 (ja) * 2017-03-31 2018-10-04 富士通株式会社 無線装置、無線システムおよび処理方法
KR102078943B1 (ko) * 2018-12-14 2020-02-19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중환경에 적응적인 수중통신 방법
KR102268063B1 (ko) * 2018-12-14 2021-06-22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중환경에 적응적인 수중통신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27122A (ja) * 1997-05-26 1998-12-08 Jisedai Digital Television Hoso Syst Kenkyusho:Kk Ofdm信号復調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425713C1 (de) 1994-07-20 1995-04-20 Inst Rundfunktechnik Gmbh Verfahren zur Vielträger Modulation und Demodulation von digital codierten Daten
JP3503723B2 (ja) 1996-05-17 2004-03-08 パイオニア株式会社 伝送モード識別機能を有するディジタル放送受信機
TW400675B (en) 1997-12-05 2000-08-01 Ind Tech Res Inst The synchronizing method and device for the OFDM signal with guard interval
US6643275B1 (en) 1998-05-15 2003-11-0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Random access in a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WO2001024410A1 (en) * 1999-09-29 2001-04-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compensating timing error using pilot symbol in ofdm/cdma communication system
JP3544635B2 (ja) 1999-10-05 2004-07-2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送受信装置および送受信方法
EP1107637A1 (en) 1999-12-07 2001-06-13 Motorola Semiconducteurs S.A. Cellular radio communications system with frequency hopping on the control channel
JP3581072B2 (ja) * 2000-01-24 2004-10-27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チャネル構成方法及びその方法を利用する基地局
US20020154705A1 (en) 2000-03-22 2002-10-24 Walton Jay R. High efficiency high performance communications system employing multi-carrier modulation
JP2002094402A (ja) 2000-09-11 2002-03-29 Hitachi Ltd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及びデジタル放送受信方法
CA2361247C (en) * 2000-11-06 2008-10-07 Ntt Docomo, Inc. Transmitter, transmitting method, receiver, and receiving method for mc-cdma communication system
JP4000057B2 (ja) 2000-11-17 2007-10-3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Ofdm通信装置
JP3628977B2 (ja) * 2001-05-16 2005-03-1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無線基地局装置及び通信端末装置
JP3860762B2 (ja) * 2002-02-14 2006-12-20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通信システム、チャネル同期確立方法、及び移動局
RU2004118845A (ru) * 2002-10-23 2005-04-10 Самсунг Электроникс Ко., Лтд (KR)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генерирования последовательности заголовка в системе связи очрк
SE527445C2 (sv) * 2003-03-25 2006-03-07 Telia Ab Lägesanpassat skyddsintervall för OFDM-kommunikation
KR100547734B1 (ko) * 2003-06-13 2006-01-31 삼성전자주식회사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을 사용하는 이동 통신시스템에서 매체 접속 제어 계층의 동작 상태 제어 방법
EP1665707A1 (en) * 2003-09-22 2006-06-07 Nokia Corporation Method, system and receiver in receiving a multi-carrier transmission
JP3898681B2 (ja) 2003-09-30 2007-03-28 株式会社東芝 携帯端末、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方法
EP2058972B1 (en) * 2003-12-25 2011-08-17 NTT DoCoMo, Inc. Radio communication system, transmitter, receiver and radio communicating method
US7397839B2 (en) * 2004-01-27 2008-07-08 Ntt Docomo, Inc. OFDM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CN1588936A (zh) 2004-07-15 2005-03-02 浙江大学 具有自适应保护间隔的正交频分复用传输系统
JP4732808B2 (ja) * 2005-06-14 2011-07-27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無線パラメータ群を生成する装置
US7876842B2 (en) * 2006-04-14 2011-01-25 Panasonic Corporation Multicarrier transmission method, multicarrier modulation signal transmission apparatus, multicarrier modulation signal reception apparatus, multicarrier modulation signal transmission method, and pilot signal generation method
JP4823107B2 (ja) * 2007-03-09 2011-11-2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Ofdm変調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27122A (ja) * 1997-05-26 1998-12-08 Jisedai Digital Television Hoso Syst Kenkyusho:Kk Ofdm信号復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1189A (ko) 2008-01-31
TWI314404B (ko) 2009-09-01
CA2605772A1 (en) 2006-11-09
CN102984111A (zh) 2013-03-20
US20090034638A1 (en) 2009-02-05
EP1881628A1 (en) 2008-01-23
BRPI0610410A2 (pt) 2010-06-22
TW200644479A (en) 2006-12-16
EP1881628B1 (en) 2013-03-13
CN101977174B (zh) 2013-01-02
CN101208889B (zh) 2013-06-12
RU2407173C2 (ru) 2010-12-20
US7991064B2 (en) 2011-08-02
CA2605772C (en) 2011-07-05
EP1881628A4 (en) 2011-05-25
RU2007142934A (ru) 2009-06-10
JP2006311359A (ja) 2006-11-09
US20110038434A1 (en) 2011-02-17
WO2006118062A1 (ja) 2006-11-09
US20110249764A1 (en) 2011-10-13
CN101208889A (zh) 2008-06-25
US7848447B2 (en) 2010-12-07
CN102984111B (zh) 2015-04-22
ES2411330T3 (es) 2013-07-05
US8111766B2 (en) 2012-02-07
JP4463723B2 (ja) 2010-05-19
CN101977174A (zh) 2011-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0691B1 (ko) 무선 파라미터군을 생성하는 장치, 송신기, 및 수신기
KR101242592B1 (ko) 무선 파라미터군을 생성하는 장치, 송신기 및 수신기
RU2421916C2 (ru) Перед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передачи данных
KR101276191B1 (ko) 송신장치, 송신방법, 수신장치 및 수신방법
US8902951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OFDM using code division multiplexing
US8442220B2 (en) Transmission apparatus and transmission method
KR20070114388A (ko) 하향링크 채널용의 송신장치 및 송신방법
JP4782220B2 (ja) 受信機及び受信方法
JP4733200B2 (ja) 受信装置
JP4782229B2 (ja) 送信機及び送信方法、移動通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