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0412B1 - 오토바이용 도난 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오토바이용 도난 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0412B1
KR101020412B1 KR1020100084993A KR20100084993A KR101020412B1 KR 101020412 B1 KR101020412 B1 KR 101020412B1 KR 1020100084993 A KR1020100084993 A KR 1020100084993A KR 20100084993 A KR20100084993 A KR 20100084993A KR 101020412 B1 KR101020412 B1 KR 1010204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key
box
east
switching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49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상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앤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앤이
Priority to KR10201000849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04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04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04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5/00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 B62H5/20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indicating unauthorised use, e.g. acting on signall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3/00Acoustic signal devices; Arrangement of such devices on cy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45/00Electrical equipmen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use as accessories on cy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J45/40Sensor arrangements; Mounting thereof
    • B62J45/41Sensor arrangements; Moun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enso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24Reminder alarms, e.g. anti-loss al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25/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vehicle anti-theft devices
    • B60R2325/30Vehicles applying the vehicle anti-theft devices
    • B60R2325/306Motorcy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2Motorcycles, Trikes; Quads; Scoo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토바이용 도난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종래의 만능키나 혹은 다른 도구를 이용하여 오토바이 키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여 오타바이를 도난당하는 문제점과 원격 리모콘 도난 방지장치의 문제점은 전원 노이즈에 따른 에러와 우천시 리모콘 오동작 그리고 장시간 오토바이 정지시 배터리 방전의 문제점이 발생하고 또한 만능키나 다른 도구를 이용하여 락 장치를 풀면 경보음은 울리나 시동이 걸려 도난 방지장치가 무용지물이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데 이를 해결하고자 하는 오토바이용 도난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을 통해 상하이동부에 형성된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스위치가 스위치박스부에 형성된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스위칭단자의 온/오프에 따라 시동이 걸리거나 충격, 강제로 핸들 락을 풀 경우, 기타 도구 및 맞지 않는 키를 키삽입부에 삽입할 경우에 버저를 통해 경보음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오토바이의 도난을 전자 장치에 의존하는 것이 아닌 상기한 스위치와 스위칭단자간의 온/오프 동작을 통해 수행하여 종래의 전원 노이즈에 따른 에러 및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오토바이용 도난 방지 장치{antitheft device for motorcycle.}
본 발명은 오토바이용 도난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종래의 만능키나 혹은 다른 도구를 이용하여 오토바이 키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여 오타바이를 도난당하는 문제점과 원격 리모콘 도난 방지장치의 문제점은 전원 노이즈에 따른 에러와 우천시 리모콘 오동작 그리고 장시간 오토바이 정지시 배터리 방전의 문제점이 발생하고 또한 만능키나 다른 도구를 이용하여 락 장치를 풀면 경보음은 울리나 시동이 걸려 도난 방지장치가 무용지물이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데 이를 해결하고자 하는 오토바이용 도난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자동차와 같은 전자 장치는 전원 노이즈에 대한 장치가 부착되어 전원 노이즈가 발생하지 않지만 오토바이는 엔진 자체가 2 행정이기 때문에 전원노이즈가 심하게 발생되고 현재 생산되는 모든 오토바이는 전원에 많은 노이즈를 발생시키고 있다.
종래의 제품은 무선리모콘 방식이기 때문에 항상 전원이 인가되어야 하기 때문에 전원 노이즈로 인한 에러 발생이 빈번히 일어나고 또한 무선리모콘이 외부로 노출되기 때문에 우천시 에러 발생 우려가 있었다.
또한, 박스형태의 전자 장치를 오토바이에 장착하고 이를 원격 리모컨을 통해 제어할 경우에는 배터리 용량이 작아 이틀 후에는 방전이 되는 문제점으로 인하여 원격 리모컨을 오토바이에 적용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오토바이 키가 키삽입부에 삽입될 경우에 키에 형성된 다수의 제4자석부의 극성과 다수의 제1자석부의 극성이 동일하면 제1자석부가 제2홀부로 이동하고 상하이동부가 이동되면서 스위칭단자와 접속하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스위치가 오프되어 (이때, 도난 경보 해제가 되어) 경보음 해제와 동시에 시동이 걸리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오토바이 키가 키삽입부에 삽입될 경우에 키에 형성된 다수의 제4자석부의 극성과 다수의 제1자석부의 극성이 동일하지 않거나 기타 도구가 키삽입부에 삽입되면 스위칭단자와 접속하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스위치가 온 상태를 유지하되, 상기 키를 강제로 돌려 핸들 락을 풀게 되면 충격센서와 연결되어 있는 버저가 울리고, 충격을 가하지 않아도 키 락을 강제로 풀면 경보음이 울리고 시동 또한 걸리지 않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인 오토바이용 도난 방지 장치는,
어느 일측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제1자석부를 삽입하도록 제1홀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에 키삽입홈이 형성되어 있는 키삽입부와;
어느 일측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제1자석부가 삽입되도록 제2홀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에는 스위칭단자와 접속하는 스위치가 일정 간격을 유지하여 적어도 한 개 이상 형성되어 있는 상하이동부와;
상기 상하이동부가 내부에 포함되어 있고, 어느 일측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제1자석부가 좌우로 이동할 수 있도록 제3홀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에 스위치와 접속하는 스위칭단자를 일정 간격 유지하도록 적어도 한 개 이상 형성되며, 상기 스위칭단자와 연결되는 다수의 전선을 삽입하는 전선삽입홈이 형성되는 스위치박스부와;
상기 상하이동부에 형성된 제2홀부의 어느 일측에 형성되는 제1스프링부와;
키에 형성된 제4자석부에 의해 제1홀부 및 제2홀부 간에서 좌우로 이동하는 다수의 제1자석부와;
키삽입부에 삽입되며,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제4자석부가 형성되어 있는 키와;
상기 키삽입부의 끝단과 연결되어 키삽입부의 회동에 따라 회전되는 회전체와,
스위칭단자와 스위치에 연결되는 다수의 전선이 어느 일측에 연결되는 키박스용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키박스스위치부와;
스위칭단자에 연결되는 어느 하나의 전선이 연결되어 충격을 감지하는 충격센서와;
상기 충격센서와 상기 다른 어느 하나의 전선이 연결되어 충격 발생시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버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게 된다.
본 발명인 오토바이용 도난 방지 장치는,
상하이동부에 형성된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스위치가 스위치박스부에 형성된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스위칭단자의 온/오프에 따라 시동이 걸리거나 충격, 강제로 핸들 락을 풀 경우, 기타 도구 및 맞지 않는 키를 키삽입부에 삽입할 경우에 버저를 통해 경보음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오토바이의 도난을 전자 장치에 의존하는 것이 아닌 상기한 스위치와 스위칭단자간의 온/오프 동작을 통해 수행하여 종래의 전원 노이즈에 따른 에러 및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종래의 무선리모콘 도난 경보장치는 리모콘을 이용하여 락을 임의로 걸어줘야 하지만 본 발명의 경우에는 오토바이에서 키를 빼게 되면 자동으로 도난경보장치로 변환되는 것이다.)
또한, 오토바이 키가 키삽입부에 삽입될 경우에 키에 형성된 다수의 제4자석부의 극성과 다수의 제1자석부의 극성이 동일하면 제1자석부가 제2홀부로 이동하고 상하이동부가 이동되면서 스위칭단자와 접속하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스위치가 오프되어 시동이 걸리도록 함으로써, 경보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오토바이 키가 키삽입부에 삽입될 경우에 키에 형성된 다수의 제4자석부의 극성과 다수의 제1자석부의 극성이 동일하지 않거나 기타 도구가 키삽입부에 삽입되면 스위칭단자들과 접속하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스위치가 온 상태를 유지하되, 상기 키를 강제로 돌려 핸들 락을 풀게 되면 충격센서와 연결되어 있는 버저를 통해 경보음을 발생시키도록 함으로써, 오토바이 도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충격을 가하지 않아도 강제로 키락을 풀면 경보음이 발생되며 시동 또한 걸리지 않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토바이용 도난 방지 장치의 키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토바이용 도난 방지 장치의 평상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토바이용 도난 방지 장치의 평상시 상태를 나타낸 단면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토바이용 도난 방지 장치의 키가 키삽입부에 삽입될 경우에 제1자석부가 제2홀부로 이동되는 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토바이용 도난 방지 장치의 키삽입부에 키를 삽입할 경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토바이용 도난 방지 장치의 키삽입부에 키를 삽입한 경우에 키의 위치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토바이용 도난 방지 장치의 키삽입부에 극성이 다른 키를 삽입할 경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토바이용 도난 방지 장치의 키삽입부에 극성이 같은 키를 삽입할 경우에 핸들 락장치만 풀 경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토바이용 도난 방지 장치의 키삽입부에 극성이 같은 키를 삽입할 경우에 핸들 락장치만 풀 경우에 키의 위치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토바이용 도난 방지 장치의 키삽입부에 극성이 같은 키를 삽입한 후 시동을 걸 경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토바이용 도난 방지 장치의 키삽입부에 극성이 같은 키를 삽입한 후 시동을 걸 경우에 키의 위치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토바이용 도난 방지 장치의 볼의 동작에 의해 원상 복귀되는 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오토바이용 도난 방지 장치의 볼의 동작에 의해 원상 복귀되는 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토바이용 도난 방지 장치는,
오토바이용 도난 방지 장치에 있어서,
어느 일측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제1자석부를 삽입하도록 제1홀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에 키삽입홈이 형성되어 있는 키삽입부와;
어느 일측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제1자석부가 삽입되도록 제2홀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에는 스위칭단자와 접속하는 스위치가 일정 간격을 유지하여 적어도 한 개 이상 형성되어 있는 상하이동부와;
상기 상하이동부가 내부에 포함되어 있고, 어느 일측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제1자석부가 좌우로 이동할 수 있도록 제3홀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에 스위치와 접속하는 스위칭단자를 일정 간격 유지하도록 적어도 한 개 이상 형성되며, 상기 스위칭단자와 연결되는 다수의 전선을 삽입하는 전선삽입홈이 형성되는 스위치박스부와;
상기 상하이동부에 형성된 제2홀부의 어느 일측에 형성되는 제1스프링부와;
키에 형성된 제4자석부에 의해 제1홀부 및 제2홀부 간에서 좌우로 이동하는 다수의 제1자석부와;
키삽입부에 삽입되며,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제4자석부가 형성되어 있는 키와;
상기 키삽입부의 끝단과 연결되어 키삽입부의 회동에 따라 회전되는 회전체와,
스위칭단자와 스위치에 연결되는 다수의 전선이 어느 일측에 연결되는 키박스용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키박스스위치부와;
스위칭단자에 연결되는 어느 하나의 전선이 연결되어 충격을 감지하는 충격센서와;
상기 충격센서와 상기 다른 어느 하나의 전선이 연결되어 충격 발생시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버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오토바이용 도난 방지 장치는,
오토바이용 도난 방지 장치에 있어서,
어느 일측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제1자석부를 삽입하도록 제1홀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에 키삽입홈이 형성되어 있는 키삽입부와;
어느 일측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제1자석부가 삽입되도록 제2홀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측에는 스위칭단자와 접속하는 스위치가 일정 간격을 유지하여 적어도 한 개 이상 형성되어 있는 상하이동부와;
어느 일측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제1자석부가 좌우로 이동할 수 있도록 제3홀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측에 스위치와 접속하는 스위칭단자를 일정 간격 유지하도록 적어도 한 개 이상 형성되는 스위치박스부와;
상기 다수의 스위칭단자 및 스위치와 연결되는 전선과;
상기 상하이동부에 형성된 제2홀부의 어느 일측에 형성되는 제1스프링부와;
키에 형성된 제4자석부에 의해 제1홀부 및 제2홀부 간에서 좌우로 이동하는 다수의 제1자석부와;
키삽입부에 삽입되며,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제4자석부가 형성되어 있는 키와;
상기 키삽입부의 끝단과 연결되어 키삽입부의 회동에 따라 회전되는 회전체와,
스위칭단자와 스위치에 연결되는 다수의 전선이 어느 일측에 연결되는 키박스용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키박스스위치부와;
스위칭단자에 연결되는 어느 하나의 전선이 연결되어 충격을 감지하는 충격센서와;
상기 충격센서와 상기 다른 어느 하나의 전선이 연결되어 충격 발생시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버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스위치는,
제2키박스용스위치와 연결되어 있는 제1전선이 연결되어 있는 제1스위치와,
버저와 연결되어 있는 제3전선이 연결되어 있는 제2스위치와,
제4키박스용스위치와 연결되어 있는 제5전선이 연결되어 있는 제3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스위칭단자는,
제3키박스용스위치와 연결되어 있는 제2전선이 연결되어 있는 제1스위칭단자와,
제1키박스용스위치와 연결되어 있는 제4전선이 연결되어 있는 제2스위칭단자와,
충격센서와 연결되어 있는 제6전선이 연결되어 있는 제3스위칭단자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스위치는,
제2키박스용스위치와 연결되어 있는 제1전선이 연결되어 있는 제1스위치와,
버저와 연결되어 있는 제3전선이 연결되어 있는 제2스위치와,
제4키박스용스위치와 연결되어 있는 제5전선이 연결되어 있는 제3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스위칭단자는,
제3키박스용스위치와 연결되어 있는 제2전선이 연결되어 있는 제1스위칭단자와,
제1키박스용스위치와 연결되어 있는 제4전선이 연결되어 있는 제2스위칭단자와,
충격센서와 연결되어 있는 제6전선이 연결되어 있는 제3스위칭단자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1키박스용스위치는 B(+)출력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2키박스용스위치는 B(-)입력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3키박스용스위치는 CDS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4키박스용스위치는 B(+)입력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키가 키삽입부에 삽입될 경우에,
키에 형성된 다수의 제4자석부의 극성과 다수의 제1자석부의 극성이 동일하면 제1자석부가 제2홀부로 이동하여 상하이동부가 하측으로 이동되면서 스위칭단자들과 접속하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스위치가 오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키가 키삽입부에 삽입될 경우에,
키에 형성된 다수의 제4자석부의 극성과 다수의 제1자석부의 극성이 동일하지 않으면 스위칭단자들과 접속하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스위치가 온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키가 키삽입부에 삽입될 경우에,
키에 형성된 다수의 제4자석부의 극성과 다수의 제1자석부의 극성이 동일하지 않으면 스위칭단자들과 접속하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스위치가 온 상태를 유지하되, 상기 키를 강제로 돌려 핸들 락을 풀게 되면 충격센서와 연결되어 있는 버저를 통해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일실시예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른 오토바이용 도난 방지 장치는,
상하이동부의 하단 혹은 상단의 어느 일측에 형성되어 상하이동부를 하측으로 이동시키는 제2스프링부와;
스위치박스부의 하단의 어느 일측에 형성되어 상하이동부의 일부가 접촉하게 되면 상하이동부를 상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구성되는 볼;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다른 일실시예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른 오토바이용 도난 방지 장치는,
상하이동부의 상단 혹은 하단의 어느 일측에 형성되어 상하이동부를 하측으로 이동시키는 제2스프링부와;
스위치박스부의 하단의 어느 일측에 형성되어 상하이동부의 일부가 접촉하게 되면 상하이동부를 상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구성되는 볼;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오토바이용 도난 방지 장치는,
오토바이용 도난 방지 장치에 있어서,
어느 일측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제1자석부를 삽입하도록 제1홀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에 키삽입홈이 형성되어 있는 키삽입부와;
키삽입부에 삽입되며,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제4자석부가 형성되어 있는 키와;
어느 일측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제1자석부가 삽입되도록 제2홀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에는 스위칭단자와 접속하는 스위치가 일정 간격을 유지하여 적어도 한 개 이상 형성되어 있는 상하이동부와;
키에 형성된 제4자석부에 의해 제1홀부 및 제2홀부 간에서 좌우로 이동하는 다수의 제1자석부와;
상기 상하이동부에 형성된 제2홀부의 어느 일측에 형성되는 제1스프링부와;
상기 상하이동부의 하단 혹은 상단의 어느 일측에 형성되어 상하이동부를 하측으로 이동시키는 제2스프링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또 다른 일실시예에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른 오토바이용 도난 방지 장치는,
상하이동부가 내부에 포함되어 있고, 어느 일측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제1자석부가 좌우로 이동할 수 있도록 제3홀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에 스위치와 접속하는 스위칭단자를 일정 간격 유지하도록 적어도 한 개 이상 형성되며, 상기 스위칭단자와 연결되는 다수의 전선을 삽입하는 전선삽입홈이 형성되는 스위치박스부와;
키삽입부의 끝단과 연결되어 키삽입부의 회동에 따라 회전되는 회전체와,
스위칭단자와 스위치에 연결되는 다수의 전선이 어느 일측에 연결되는 키박스용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키박스스위치부와;
스위칭단자에 연결되는 어느 하나의 전선이 연결되어 충격을 감지하는 충격센서와;
상기 충격센서와 상기 다른 어느 하나의 전선이 연결되어 충격 발생시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버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키가 키삽입부에 삽입될 경우에,
키에 형성된 다수의 제4자석부의 극성과 다수의 제1자석부의 극성이 동일하면 제1자석부가 제2홀부로 이동하고 상하이동부가 하측으로 이동되면서 스위칭단자들과 접속하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스위치가 오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또 다른 일실시예에의 다른 부가적인 양상에 따른 오토바이용 도난 방지 장치는,
상하이동부가 내부에 포함되어 있고, 어느 일측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제1자석부가 좌우로 이동할 수 있도록 제3홀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에 스위치와 접속하는 스위칭단자를 일정 간격 유지하도록 적어도 한 개 이상 형성되며, 상기 스위칭단자와 연결되는 다수의 전선을 삽입하는 전선삽입홈이 형성되는 스위치박스부와;
키삽입부의 끝단과 연결되어 키삽입부의 회동에 따라 회전되는 회전체와,
스위칭단자와 스위치에 연결되는 다수의 전선이 어느 일측에 연결되는 키박스용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키박스스위치부와;
스위칭단자에 연결되는 어느 하나의 전선이 연결되어 충격을 감지하는 충격센서와;
상기 충격센서와 상기 다른 어느 하나의 전선이 연결되어 충격 발생시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버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키가 키삽입부에 삽입될 경우에,
키에 형성된 다수의 제4자석부의 극성과 다수의 제1자석부의 극성이 동일하지 않으면 스위칭단자들과 접속하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스위치가 온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또 다른 일실시예에의 또 다른 부가적인 양상에 따른 오토바이용 도난 방지 장치는,
상하이동부가 내부에 포함되어 있고, 어느 일측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제1자석부가 좌우로 이동할 수 있도록 제3홀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에 스위치와 접속하는 스위칭단자를 일정 간격 유지하도록 적어도 한 개 이상 형성되며, 상기 스위칭단자와 연결되는 다수의 전선을 삽입하는 전선삽입홈이 형성되는 스위치박스부와;
키삽입부의 끝단과 연결되어 키삽입부의 회동에 따라 회전되는 회전체와,
스위칭단자와 스위치에 연결되는 다수의 전선이 어느 일측에 연결되는 키박스용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키박스스위치부와;
스위칭단자에 연결되는 어느 하나의 전선이 연결되어 충격을 감지하는 충격센서와;
상기 충격센서와 상기 다른 어느 하나의 전선이 연결되어 충격 발생시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버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키가 키삽입부에 삽입될 경우에,
키에 형성된 다수의 제4자석부의 극성과 다수의 제1자석부의 극성이 동일하지 않으면 스위칭단자들과 접속하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스위치가 온 상태를 유지하되, 상기 키를 강제로 돌려 핸들 락을 풀게 되면 충격센서와 연결되어 있는 버저를 통해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오토바이용 도난 방지 장치는,
오토바이용 도난 방지 장치에 있어서,
어느 일측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제1자석부를 삽입하도록 제1홀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에 키삽입홈이 형성되어 있는 키삽입부와;
어느 일측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제1자석부가 삽입되도록 제2홀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 혹은 하측에는 스위칭단자와 접속하는 스위치가 일정 간격을 유지하여 적어도 한 개 이상 형성되어 있는 상하이동부와;
어느 일측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제1자석부가 좌우로 이동할 수 있도록 제3홀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 혹은 하측에 스위치와 접속하는 스위칭단자를 일정 간격 유지하도록 적어도 한 개 이상 형성되는 스위치박스부와;
상기 상하이동부에 형성된 제2홀부의 어느 일측에 형성되는 제1스프링부와;
키에 형성된 제4자석부에 의해 제1홀부 및 제2홀부 간에서 좌우로 이동하는 다수의 제1자석부와;
키삽입부에 삽입되며,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제4자석부가 형성되어 있는 키와;
상기 키삽입부의 끝단과 연결되어 키삽입부의 회동에 따라 회전되는 회전체와,
스위칭단자와 스위치에 연결되는 다수의 전선이 어느 일측에 연결되는 키박스용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키박스스위치부와;
스위칭단자에 연결되는 어느 하나의 전선이 연결되어 충격을 감지하는 충격센서와;
상기 충격센서와 상기 다른 어느 하나의 전선이 연결되어 충격 발생시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버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또 다른 일실시예에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른 오토바이용 도난 방지 장치는,
상하이동부의 하단 혹은 상단의 어느 일측에 형성되어 상하이동부를 하측으로 이동시키는 제2스프링부와;
스위치박스부의 하단의 어느 일측에 형성되어 상하이동부의 일부가 접촉하게 되면 상하이동부를 상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구성되는 볼;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스위치는,
제2키박스용스위치와 연결되어 있는 제1전선이 연결되어 있는 제1스위치와,
버저와 연결되어 있는 제3전선이 연결되어 있는 제2스위치와,
제4키박스용스위치와 연결되어 있는 제5전선이 연결되어 있는 제3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스위칭단자는,
제3키박스용스위치와 연결되어 있는 제2전선이 연결되어 있는 제1스위칭단자와,
제1키박스용스위치와 연결되어 있는 제4전선이 연결되어 있는 제2스위칭단자와,
충격센서와 연결되어 있는 제6전선이 연결되어 있는 제3스위칭단자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1키박스용스위치는 B(+)출력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2키박스용스위치는 B(-)입력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3키박스용스위치는 CDS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4키박스용스위치는 B(+)입력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오토바이 키가 키삽입부에 삽입될 경우에,
키에 형성된 다수의 제4자석부의 극성과 다수의 제1자석부의 극성이 동일하면 제1자석부가 제2홀부로 이동하고 상하이동부가 이동되면서 스위칭단자와 접속하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스위치가 오프되어 경보음 해제와 동시에 시동이 걸리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오토바이 키가 키삽입부에 삽입될 경우에,
키에 형성된 다수의 제4자석부의 극성과 다수의 제1자석부의 극성이 동일하지 않거나 기타 도구가 키삽입부에 삽입되면 스위칭단자와 접속하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스위치가 온 상태를 유지하되, 상기 키를 강제로 돌려 핸들 락을 풀게 되면 충격센서와 연결되어 있는 버저가 울리고, 충격을 가하지 않아도 키 락을 강제로 풀면 경보음이 울리고 시동이 걸리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통해 본 발명인 오토바이용 도난 방지 장치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토바이용 도난 방지 장치의 키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적용되는 오토바이용 키는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제4자석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오토바이용 키가 키삽입부에 삽입되는 것이다.
키에 형성되는 다수의 제4자석부(151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정 간격으로 배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때, 제1자석부의 동일한 위치에 동일한 극성을 가져야 시동을 걸 수 있게 되는데, 만약에 10개의 제4자석부가 일정 간격으로 N극(또는 S극)으로 배열되면 이에 대응되는 제1자석부의 극성도 N극(또는 S극)으로 배열하여야 10개의 제1자석부가 제2홀부로 이동되어 시동을 걸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토바이용 도난 방지 장치의 키가 키삽입부에 삽입될 경우에 제1자석부가 제2홀부로 이동되는 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키삽입부(100)에 키가 삽입되어 제4자석부(1510)가 제1홀부(110)에 위치한 제1자석부(900)와 나란히 위치하게 되면 동일한 극성 예를 들어 둘 다 N극일 경우에는 제1자석부가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어 제2홀부에 위치하게 된다.
그러면 제3홀부(310)에 걸쳐 있던 제1자석부가 제3홀부에서 제2홀부로 이동되어 상하이동부는 하측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하측으로의 이동을 신속하게 할 수 있도록 제2스프링부를 구성할 수도 있는데, 제2스프링부의 위치는 하측 혹은 상측 중 어디에 구성하여도 상하이동부를 이동시키는데 지장 없을 것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토바이용 도난 방지 장치의 평상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토바이용 도난 방지 장치는,
어느 일측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제1자석부(900)를 삽입하도록 제1홀부(110)가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에 키삽입홈(120)이 형성되어 있는 키삽입부(100)와;
어느 일측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제1자석부가 삽입되도록 제2홀부(210)가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에는 스위칭단자(320)와 접속하는 스위치(220)가 일정 간격을 유지하여 적어도 한 개 이상 형성되어 있는 상하이동부(200)와;
상기 상하이동부가 내부에 포함되어 있고, 어느 일측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제1자석부가 좌우로 이동할 수 있도록 제3홀부(310)가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에 스위치와 접속하는 스위칭단자를 일정 간격 유지하도록 적어도 한 개 이상 형성되며, 상기 스위칭단자와 연결되는 다수의 전선을 삽입하는 전선삽입홈(350)이 형성되는 스위치박스부(300)와;
상기 상하이동부에 형성된 제2홀부의 어느 일측에 형성되는 제1스프링부(500)와;
키에 형성된 제4자석부에 의해 제1홀부 및 제2홀부 간에서 좌우로 이동하는 다수의 제1자석부(900)와;
키삽입부에 삽입되며,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제4자석부(1510)가 형성되어 있는 키(1500)와;
상기 키삽입부의 끝단과 연결되어 키삽입부의 회동에 따라 회전되는 회전체(1100)와,
스위칭단자와 스위치에 연결되는 다수의 전선이 어느 일측에 연결되는 키박스용스위치(1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키박스스위치부(1000)와;
스위칭단자에 연결되는 어느 하나의 전선이 연결되어 충격을 감지하는 충격센서(1300)와;
상기 충격센서와 상기 다른 어느 하나의 전선이 연결되어 충격 발생시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버저(1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스위치박스부(300)는 어느 일측에는 상하이동부를 포함하고 있으며, 타측에는 키삽입부를 형성하고 있으며, 하측에는 키박스스위치부(1000)를 형성하되, 키삽입부 및 키박스스위치부 사이에 핸들락장치(200)를 형성하고 있게 된다.
상기한 스위치박스부의 구조 및 키삽입부에 키가 삽입되어 핸들락장치를 동작시키는 원리는 이미 당업자들에게는 널리 알려진 기술이며, 본 발명의 핵심적인 기술은 아니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겠다.
한편, 상기 스위치박스부(300)는 어느 일측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제1자석부가 좌우로 이동할 수 있도록 제3홀부(310)가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에는 상하이동부에 형성되어 있는 스위치들과 접속하는 스위칭단자(320)를 일정 간격 유지하도록 적어도 한 개 이상 형성하게 되며, 상기 스위칭단자와 연결되는 다수의 전선을 삽입하는 전선삽입홈(350)이 형성되게 된다.
또한, 상기 스위치와 연결되는 다수의 전선들을 삽입하기 위한 삽입홈 또한 형성하고 있게 된다.
본 발명의 가장 중요한 핵심사항은 제1자석부를 좌우로 이동시킴에 따라 상기 스위칭단자와 스위치를 온/오프시켜 시동을 걸거나, 충격이나 기타 도구에 의해 키삽입부에 삽입될 경우에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것이며 이를 위한 구조는 상기한 바와 같은 것이다.
상기 키삽입부(100)는 어느 일측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제1자석부(900)를 삽입하도록 제1홀부(110)가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에 키삽입홈(120)이 형성되어 있게 된다.
상기 제1홀부가 형성된 갯수와 동일한 제1자석부의 갯수가 필요한 것은 당연한 것이며, 상기 키삽입홈에 키가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1홀부, 제2홀부, 제3홀부의 크기는 바람직하게는 동일하여야 상기 제1자석부가 좌우로 이동되는데 지장이 없을 것이다.
본 발명에서 가장 중요한 구성 요소인 상기 상하이동부(200)는 어느 일측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제1자석부가 삽입되도록 제2홀부(210)가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에는 스위칭단자(320)와 접속하는 스위치(220)가 일정 간격을 유지하여 적어도 한 개 이상 형성되어 있게 된다.
이때, 일실시예에 따른 스위치가 상하이동부의 옆면에 구성하게 되면 이에 접속하기 위한 스위칭단자 또한 옆면에 구성하여야 하며, 만약 스위치가 상하이동부의 하면에 구성된다면 이에 접속하기 위한 스위칭단자 또한 하면에 구성되어야 한다.
상기 하면에 구성되는 것은 다른 일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하겠다.
본 발명에서는 3개의 스위치와 이와 접속되는 스위칭단자는 3개를 설치 구성하였으며, 스위치와 스위칭단자마다 전선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전선들은 제1키박스용스위치, 제2키박스용스위치, 제3키박스용스위치, 제4키박스용스위치, 충격센서, 버저와 연결되게 되므로 총 6개의 전선이 필요하게 된다.
또한, 상기 상하이동부에 제1스프링부(500)를 제2홀부의 어느 일측에 형성시키게 되는데, 제1스프링부를 형성시키는 이유는 제1홀부, 제2홀부, 제3홀부가 나란히 위치하게 되면 제1자석부를 제1홀부, 제2홀부, 제3홀부에 걸쳐지도록 하여 상하이동부가 키가 삽입되지 않을 경우 혹은 동일한 극성을 가진 키가 삽입되지 않을 경우에 하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하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스위치와 스위칭단자들간의 접속이 끊겨지므로 평상시에는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한 홀들을 구성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부가적인 양상에 따라 제2스프링부를 상하이동부의 하단 혹은 상단의 어느 일측에 형성시켜 상하이동부를 하측으로 이동시킬 경우에 신속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즉, 키가 키삽입부에 삽입되어 모든 제1자석부가 제2홀부에 위치하게 되면 제2스프링부의 동작에 의해 상하이동부가 하측으로 하강하는 것을 돕게 되며 이에 의해 상하이동부의 어느 일측에 구성된 스위치와 스위칭단자들이 오프되게 된다.
한편, 상기 키삽입부의 끝단과 연결되어 키삽입부의 회동에 따라 회전되는 회전체(1100)와,
스위칭단자와 스위치에 연결되는 다수의 전선이 어느 일측에 연결되는 키박스용스위치(1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키박스스위치부(1000)가 구성되게 된다
또한, 상기 스위칭단자에 연결되는 어느 하나의 전선이 연결되어 충격을 감지하는 충격센서(1300)와;
상기 충격센서와 상기 다른 어느 하나의 전선이 연결되어 충격 발생시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버저(1400);가 구성되게 된다.
한편,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스위치(220)는,
제2키박스용스위치(1202)와 연결되어 있는 제1전선(410)이 연결되어 있는 제1스위치(221)와,
버저(1400)와 연결되어 있는 제3전선(430)이 연결되어 있는 제2스위치(222)와,
제4키박스용스위치(1204)와 연결되어 있는 제5전선(450)이 연결되어 있는 제3스위치(223)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스위치와 접속되는 스위칭단자(320)는,
제3키박스용스위치(1203)와 연결되어 있는 제2전선(420)이 연결되어 있는 제1스위칭단자(321)와,
제1키박스용스위치(1201)와 연결되어 있는 제4전선(440)이 연결되어 있는 제2스위칭단자(322)와,
충격센서(1300)와 연결되어 있는 제6전선(460)이 연결되어 있는 제3스위칭단자(323)를 포함하여 구성되어진다.
이때, 상기 제1키박스용스위치는 B(+)출력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2키박스용스위치는 B(-)입력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3키박스용스위치는 CDS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4키박스용스위치는 B(+)입력에 연결되어진다.
상기와 같이 전선이 결선된 상태에서 하기와 같은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즉, 평상시에는 스위치와 스위치단자들이 접속을 유지하고 있는 상태이므로 충격센서는 온 상태가 되어 있으며, 제1스위치는 제1전선(410)에 의해 제2키박스용스위치(1202)와 연결되어 있으며, 제2키박스용스위치(1202)가 B(-)입력과 연결된 상태가 되고, 상기 제1스위칭단자(321)는 제2전선(420)에 의해 제3키박스용스위치(1203)와 연결되어 있으며, 제3키박스용스위치(1203)가 CDS에 연결된 상태가 된다.
이때, 회전체에 구성된 단자가 제3키박스용스위치(1203)와 제2키박스용스위치(1202)에 접속되어 있게 되므로 CDS와 B(-)입력이 연결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CDS와 B(-)입력이 연결된 상태가 되므로 이중 보완 기능을 유지하게 되며 시동이 걸리지 않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제1스위치 및 제1스위칭단자는 시동을 담당하게 된다.
또한, 제2스위치(222)는 제3전선(430)에 의해 버저(1400)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2스위칭단자(322)는 제4전선(440)에 의해 제1키박스용스위치(1201)에 연결되어 있으며, 제1키박스용스위치는 B(+)출력에 연결된 상태가 된다.
즉, 상기 제2스위치 및 제2스위칭단자는 경보를 담당하게 된다.
또한, 제3스위치(223)는 제5전선(450)에 의해 제4키박스용스위치(1204)와 연결되어 있으며, 제4키박스용스위치는 B(+)입력에 연결되어 있으며, 제3스위칭단자(323)는 제6전선(460)에 의해 충격센서(1300)와 연결되어 있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충격을 가하면 B(+)입력은 항시 온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충격 센서가 작동하게 된다.
즉, 상기 제3스위치 및 제3스위칭단자는 충격 감지를 담당하게 되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평상시에는 회전체의 단자가 제3키박스용스위치(1203)와 제2키박스용스위치(1202)에 접속되어 있게 되므로 CDS와 B(-)입력이 연결된 상태가 되므로 시동이 걸리지 않게 되는 것이며, 경보는 B(+)출력과 B(+)입력이 접속되어 있지 않아 동작하지 않게 된다.(왜냐하면, 버저에 전압이 가해지지 않기 때문이다.)
부연 설명하자면, 상기 오토바이 키가 락 상태에 있으면 B(-)입력과 CDS 단자가 접속되어 있어서(이때, B(+)출력단자와 B(+)입력단자가 떨어져 있게 됨.) 시동이 걸리지 않게 되며 오토바이 키를 온 상태에 놓으면(시동을 걸기 위하여) 반대로 B(-)입력과 CDS 단자가 떨어지고 B(+)출력단자와 B(+)입력단자가 접속하게 된다.
상기 CDS 단자는 스타트 스위치를 누르면 점화플러그로 전원을 인가하는 라인인데 만약 B(-)입력단자와 접속되어 있으면 점화플러그로 가는 전원이 B(-)입력단자 즉, 접지로 흘러 전압이 발생되지 않는다.
만약, CDS 단자가 B(-)입력단자와 떨어져 있으면 레귤레이터에서 나오는 전압이 점화플러그로 전달되어 시동이 걸리게 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토바이용 도난 방지 장치의 키삽입부에 키를 삽입할 경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키를 키삽입부에 삽입할 경우에는 키에 형성된 다수의 제4자석부의 극성과 다수의 제1자석부의 극성이 동일하면 동일한 극성에 의해 서로 밀어내게 되어 제1자석부가 제2홀부로 이동하고 상하이동부가 하측으로 이동되면서 스위칭단자와 접속하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스위치들이 오프되는 것이다.
이때, B(-)입력 단자와 CDS는 온상태가 되고, B(+)입력과 B(+)출력 단자는 오프가 되어 충격센서에 전원 공급이 차단되어 경보음이 동작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즉, 충격 센서, 경보, 시동은 전원이 차단되어 동작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경보가 오프되므로 울리지 않게 되며 시동은 스위치가 떨어졌지만 CDS 단자가 B(-)입력단자가 접속을 유지하므로 시동이 걸리지 않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토바이용 도난 방지 장치의 키삽입부에 키를 삽입한 경우에 키의 위치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키를 삽입하게 되면 락 온에 키가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토바이용 도난 방지 장치의 키삽입부에 극성이 다른 키를 삽입할 경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키에 형성된 다수의 제4자석부의 극성과 다수의 제1자석부의 극성이 동일하지 않으면 스위칭단자들과 접속하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스위치가 온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이때, 키를 강제로 돌려 핸들 락을 풀게 되면 충격센서와 연결되어 있는 버저를 통해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것이다.
즉,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강제로 돌릴 경우에는 B(+)입력과 충격센서가 연결되어 버저를 통해 경보음이 발생되는 것이다.
또한, 강제로 충격을 가하지 않아도 B(+)출력과 버저가 연결되어 버저는 울리게 되는 것이다.
다시 말하자면, 제4키박스용스위치와 제1키박스용스위치가 온 상태가 되므로 제2스위치 및 제2스위칭단자를 통해 B(+)출력이 버저와 연결되므로 경보가 발생하는 것이다.
한편, 종래에는 경보음이 울려도 시동을 걸수도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시동이 걸리지 않게 된다.
왜냐하면, CDS 단자가 B(-)입력단자와 접속을 유지하므로 시동이 걸리지 않게 되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토바이용 도난 방지 장치의 키삽입부에 극성이 같은 키를 삽입할 경우에 핸들 락장치만 풀 경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즉, 키에 형성된 다수의 제4자석부의 극성과 다수의 제1자석부의 극성이 동일하면 동일한 극성에 의해 서로 밀어내게 되어 제1자석부가 제2홀부로 이동하고 상하이동부가 하측으로 이동되면서 스위칭단자들과 접속하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스위치들이 오프되는 것이다.
이때, B(-)입력 단자와 CDS는 온상태가 되고, 즉, 제2키박스용스위치와 제3키박스용스위치가 회전체의 단자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므로 접지되어 시동이 걸리지 않게 된다.
왜냐하면, B(+)입력과 B(+)출력 단자는 오프 상태가 되기 때문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토바이용 도난 방지 장치의 키삽입부에 극성이 같은 키를 삽입할 경우에 핸들 락장치만 풀 경우에 키의 위치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키는 락 오프에 위치하게 되어 핸들 락 장치도 풀리게 되는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토바이용 도난 방지 장치의 키삽입부에 극성이 같은 키를 삽입한 후 시동을 걸 경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키에 형성된 다수의 제4자석부의 극성과 다수의 제1자석부의 극성이 동일하면 동일한 극성에 의해 서로 밀어내게 되어 제1자석부가 제2홀부로 이동하고 상하이동부가 하측으로 이동되면서 스위칭단자들과 접속하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스위치들이 오프되는 것이다.
이때, 회전체가 돌아가게 되어 제1키박스용스위치와 제4키박스용스위치가 접속되어 B(+)입력과 B(+)출력 단자는 온 상태가 되는 것이며, 충격센서는 스위치들이 오프되어 있으므로 오프된 상태가 되므로 경보는 발생하지 않게 된다.
즉, B(-)입력 단자와 CDS가 오프 상태가 되어 시동이 걸리게 되며 스위치들이 오프가 되므로 경보가 발생하지 않는 것이다.
따라서, 오토바이에 부착된 스타트 스위치(미도시)를 누르면 시동이 걸리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토바이용 도난 방지 장치의 키삽입부에 극성이 같은 키를 삽입한 후 시동을 걸 경우에 키의 위치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키는 온 상태에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토바이용 도난 방지 장치의 볼의 동작에 의해 원상 복귀되는 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원상 복귀를 위하여,
상하이동부의 하단 혹은 상단의 어느 일측에 형성되어 상하이동부를 하측으로 이동시키는 제2스프링부(600)와;
스위치박스부의 하단의 어느 일측에 형성되어 상하이동부의 일부가 접촉하게 되면 상하이동부를 상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구성되는 볼(1600)을 포함하여 구성되게 된다.
즉, 제2스프링부를 상하이동부의 하단 혹은 상단의 어느 일측에 형성시켜 스프링의 반발력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시 신속한 이동을 돕게 된다.
이후, 원상 복귀를 위하여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스위치박스부의 하단에 형성되어 상하이동부의 일부가 접촉하게 되면 상하이동부를 상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볼(1600)을 구성하게 된다.
키를 키삽입부에 삽입할 경우에 볼과 상하이동부는 접촉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되며, 키를 키삽입부에서 이격시킬 경우에는 키를 돌려 이격시키게 되므로 상하이동부가 회전을 하게 되어 상하이동부의 일부가 볼에 접촉하게 되고 볼은 원형이므로 부드럽게 상하이동부가 볼의 위를 타게 되고 상하이동부는 상측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볼의 하단에는 스프링을 통해 지지하고 있게 되며 볼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볼을 감싸는 부재를 구성하게 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오토바이용 도난 방지 장치의 볼의 동작에 의해 원상 복귀되는 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즉,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이동부의 하측에 스위칭단자와 접속하는 스위치가 일정 간격을 유지하여 적어도 한 개 이상 형성되게 되면, 스위치박스부의하측에는 상기 스위치들과 접속하는 스위칭단자를 일정 간격 유지하도록 적어도 한 개 이상 형성시키게 되며, 상기 스위칭단자 및 스위치에는 전선이 각각 연결되게 된다.
이때, 원상 복귀의 다른 예로서,
상하이동부의 상단 혹은 하단의 어느 일측에 형성되어 상하이동부를 하측으로 이동시키는 제2스프링부와;
스위치박스부의 하단의 어느 일측에 형성되어 상하이동부의 일부가 접촉하게 되면 상하이동부를 상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구성되는 볼;로 구성되게 된다.
키삽입부에 키가 삽입되면 키에 형성된 다수의 제4자석부의 극성과 다수의 제1자석부의 극성이 동일하면 동일한 극성에 의해 서로 밀어내게 되어 제1자석부가 제2홀부로 이동하고 상하이동부가 중력 및 제2스프링부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되게 된다.
이후, 키삽입부에서 키를 뺄려면 키를 돌려 빼게 되므로 상하이동부가 회전을 하게 되어 상하이동부의 일부가 볼에 접촉하게 되고 접촉된 상하이동부가 상측으로 이동되어 원상 복귀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 및 동작을 통해 본 발명은 상하이동부에 형성된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스위치가 스위치박스부에 형성된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스위칭단자의 온/오프에 따라 시동이 걸리거나 충격, 강제로 핸들 락을 풀 경우, 기타 도구 및 맞지 않는 키를 키삽입부에 삽입할 경우에 버저를 통해 경보음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오토바이의 도난을 전자 장치에 의존하는 것이 아닌 스위치와 스위칭단자간의 온/오프 동작을 통해 수행하여 종래의 전원 노이즈에 따른 에러 및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내용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된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키삽입부
110 : 제1홀부
120 : 키삽입홈
200 : 상하이동부
210 : 제2홀부
220 : 스위치
300 : 스위치박스부
310 : 제3홀부
320 : 스위칭단자
350 : 전선삽입홈
500 : 제1스프링부
600 : 제2스프링부
900 : 제1자석부
1000 : 키박스스위치부
1100 : 회전체
1200 : 키박스용스위치
1300 : 충격센서
1400 : 버저
1500 : 키
1510 : 제4자석부
1600 : 볼
2000 : 핸들락장치

Claims (19)

  1. 오토바이용 도난 방지 장치에 있어서,
    어느 일측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제1자석부를 삽입하도록 제1홀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에 키삽입홈이 형성되어 있는 키삽입부와;
    어느 일측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제1자석부가 삽입되도록 제2홀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에는 스위칭단자와 접속하는 스위치가 일정 간격을 유지하여 적어도 한 개 이상 형성되어 있는 상하이동부와;
    어느 일측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제1자석부가 좌우로 이동할 수 있도록 제3홀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에 스위치와 접속하는 스위칭단자를 일정 간격 유지하도록 적어도 한 개 이상 형성되며, 상기 스위칭단자와 연결되는 다수의 전선을 삽입하는 전선삽입홈이 형성되는 스위치박스부와;
    상기 상하이동부에 형성된 제2홀부의 어느 일측에 형성되는 제1스프링부와;
    키에 형성된 제4자석부에 의해 제1홀부 및 제2홀부 간에서 좌우로 이동하는 다수의 제1자석부와;
    키삽입부에 삽입되며,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제4자석부가 형성되어 있는 키와;
    상기 키삽입부의 끝단과 연결되어 키삽입부의 회동에 따라 회전되는 회전체와,
    스위칭단자와 스위치에 연결되는 다수의 전선이 어느 일측에 연결되는 키박스용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키박스스위치부와;
    스위칭단자에 연결되는 어느 하나의 전선이 연결되어 충격을 감지하는 충격센서와;
    상기 충격센서와 상기 다른 어느 하나의 전선이 연결되어 충격 발생시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버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바이용 도난 방지 장치.
  2. 오토바이용 도난 방지 장치에 있어서,
    어느 일측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제1자석부를 삽입하도록 제1홀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에 키삽입홈이 형성되어 있는 키삽입부와;
    어느 일측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제1자석부가 삽입되도록 제2홀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측에는 스위칭단자와 접속하는 스위치가 일정 간격을 유지하여 적어도 한 개 이상 형성되어 있는 상하이동부와;
    어느 일측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제1자석부가 좌우로 이동할 수 있도록 제3홀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측에 스위치와 접속하는 스위칭단자를 일정 간격 유지하도록 적어도 한 개 이상 형성되는 스위치박스부와;
    상기 다수의 스위칭단자 및 스위치와 연결되는 전선과;
    상기 상하이동부에 형성된 제2홀부의 어느 일측에 형성되는 제1스프링부와;
    키에 형성된 제4자석부에 의해 제1홀부 및 제2홀부 간에서 좌우로 이동하는 다수의 제1자석부와;
    키삽입부에 삽입되며,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제4자석부가 형성되어 있는 키와;
    상기 키삽입부의 끝단과 연결되어 키삽입부의 회동에 따라 회전되는 회전체와,
    스위칭단자와 스위치에 연결되는 다수의 전선이 어느 일측에 연결되는 키박스용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키박스스위치부와;
    스위칭단자에 연결되는 어느 하나의 전선이 연결되어 충격을 감지하는 충격센서와;
    상기 충격센서와 상기 다른 어느 하나의 전선이 연결되어 충격 발생시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버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바이용 도난 방지 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제2키박스용스위치와 연결되어 있는 제1전선이 연결되어 있는 제1스위치와,
    버저와 연결되어 있는 제3전선이 연결되어 있는 제2스위치와,
    제4키박스용스위치와 연결되어 있는 제5전선이 연결되어 있는 제3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바이용 도난 방지 장치.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단자는,
    제3키박스용스위치와 연결되어 있는 제2전선이 연결되어 있는 제1스위칭단자와,
    제1키박스용스위치와 연결되어 있는 제4전선이 연결되어 있는 제2스위칭단자와,
    충격센서와 연결되어 있는 제6전선이 연결되어 있는 제3스위칭단자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바이용 도난 방지 장치.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제2키박스용스위치와 연결되어 있는 제1전선이 연결되어 있는 제1스위치와,
    버저와 연결되어 있는 제3전선이 연결되어 있는 제2스위치와,
    제4키박스용스위치와 연결되어 있는 제5전선이 연결되어 있는 제3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스위칭단자는,
    제3키박스용스위치와 연결되어 있는 제2전선이 연결되어 있는 제1스위칭단자와,
    제1키박스용스위치와 연결되어 있는 제4전선이 연결되어 있는 제2스위칭단자와,
    충격센서와 연결되어 있는 제6전선이 연결되어 있는 제3스위칭단자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1키박스용스위치는 B(+)출력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2키박스용스위치는 B(-)입력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3키박스용스위치는 CDS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4키박스용스위치는 B(+)입력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바이용 도난 방지 장치.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키가 키삽입부에 삽입될 경우에,
    키에 형성된 다수의 제4자석부의 극성과 다수의 제1자석부의 극성이 동일하면 제1자석부가 제2홀부로 이동하여 상하이동부가 하측으로 이동되면서 스위칭단자들과 접속하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스위치가 오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바이용 도난 방지 장치.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키가 키삽입부에 삽입될 경우에,
    키에 형성된 다수의 제4자석부의 극성과 다수의 제1자석부의 극성이 동일하지 않으면 스위칭단자들과 접속하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스위치가 온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바이용 도난 방지 장치.
  8.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키가 키삽입부에 삽입될 경우에,
    키에 형성된 다수의 제4자석부의 극성과 다수의 제1자석부의 극성이 동일하지 않으면 스위칭단자들과 접속하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스위치가 온 상태를 유지하되, 상기 키를 강제로 돌려 핸들 락을 풀게 되면 충격센서와 연결되어 있는 버저를 통해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바이용 도난 방지 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하이동부의 하단 혹은 상단의 어느 일측에 형성되어 상하이동부를 하측으로 이동시키는 제2스프링부와;
    스위치박스부의 하단의 어느 일측에 형성되어 상하이동부의 일부가 접촉하게 되면 상하이동부를 상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구성되는 볼;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바이용 도난 방지 장치.
  10. 제 2항에 있어서,
    상하이동부의 상단 혹은 하단의 어느 일측에 형성되어 상하이동부를 하측으로 이동시키는 제2스프링부와;
    스위치박스부의 하단의 어느 일측에 형성되어 상하이동부의 일부가 접촉하게 되면 상하이동부를 상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구성되는 볼;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바이용 도난 방지 장치.
  11. 오토바이용 도난 방지 장치에 있어서,
    어느 일측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제1자석부를 삽입하도록 제1홀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에 키삽입홈이 형성되어 있는 키삽입부와;
    키삽입부에 삽입되며,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제4자석부가 형성되어 있는 키와;
    어느 일측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제1자석부가 삽입되도록 제2홀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에는 스위칭단자와 접속하는 스위치가 일정 간격을 유지하여 적어도 한 개 이상 형성되어 있는 상하이동부와;
    키에 형성된 제4자석부에 의해 제1홀부 및 제2홀부 간에서 좌우로 이동하는 다수의 제1자석부와;
    상기 상하이동부에 형성된 제2홀부의 어느 일측에 형성되는 제1스프링부와;
    상기 상하이동부의 하단 혹은 상단의 어느 일측에 형성되어 상하이동부를 하측으로 이동시키는 제2스프링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바이용 도난 방지 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하이동부가 내부에 포함되어 있고, 어느 일측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제1자석부가 좌우로 이동할 수 있도록 제3홀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에 스위치와 접속하는 스위칭단자를 일정 간격 유지하도록 적어도 한 개 이상 형성되며, 상기 스위칭단자와 연결되는 다수의 전선을 삽입하는 전선삽입홈이 형성되는 스위치박스부와;
    키삽입부의 끝단과 연결되어 키삽입부의 회동에 따라 회전되는 회전체와,
    스위칭단자와 스위치에 연결되는 다수의 전선이 어느 일측에 연결되는 키박스용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키박스스위치부와;
    스위칭단자에 연결되는 어느 하나의 전선이 연결되어 충격을 감지하는 충격센서와;
    상기 충격센서와 상기 다른 어느 하나의 전선이 연결되어 충격 발생시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버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키가 키삽입부에 삽입될 경우에,
    키에 형성된 다수의 제4자석부의 극성과 다수의 제1자석부의 극성이 동일하면 제1자석부가 제2홀부로 이동하고 상하이동부가 하측으로 이동되면서 스위칭단자들과 접속하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스위치가 오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바이용 도난 방지 장치.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하이동부가 내부에 포함되어 있고, 어느 일측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제1자석부가 좌우로 이동할 수 있도록 제3홀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에 스위치와 접속하는 스위칭단자를 일정 간격 유지하도록 적어도 한 개 이상 형성되며, 상기 스위칭단자와 연결되는 다수의 전선을 삽입하는 전선삽입홈이 형성되는 스위치박스부와;
    키삽입부의 끝단과 연결되어 키삽입부의 회동에 따라 회전되는 회전체와,
    스위칭단자와 스위치에 연결되는 다수의 전선이 어느 일측에 연결되는 키박스용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키박스스위치부와;
    스위칭단자에 연결되는 어느 하나의 전선이 연결되어 충격을 감지하는 충격센서와;
    상기 충격센서와 상기 다른 어느 하나의 전선이 연결되어 충격 발생시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버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키가 키삽입부에 삽입될 경우에,
    키에 형성된 다수의 제4자석부의 극성과 다수의 제1자석부의 극성이 동일하지 않으면 스위칭단자들과 접속하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스위치가 온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바이용 도난 방지 장치.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하이동부가 내부에 포함되어 있고, 어느 일측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제1자석부가 좌우로 이동할 수 있도록 제3홀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에 스위치와 접속하는 스위칭단자를 일정 간격 유지하도록 적어도 한 개 이상 형성되며, 상기 스위칭단자와 연결되는 다수의 전선을 삽입하는 전선삽입홈이 형성되는 스위치박스부와;
    키삽입부의 끝단과 연결되어 키삽입부의 회동에 따라 회전되는 회전체와,
    스위칭단자와 스위치에 연결되는 다수의 전선이 어느 일측에 연결되는 키박스용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키박스스위치부와;
    스위칭단자에 연결되는 어느 하나의 전선이 연결되어 충격을 감지하는 충격센서와;
    상기 충격센서와 상기 다른 어느 하나의 전선이 연결되어 충격 발생시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버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키가 키삽입부에 삽입될 경우에,
    키에 형성된 다수의 제4자석부의 극성과 다수의 제1자석부의 극성이 동일하지 않으면 스위칭단자들과 접속하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스위치가 온 상태를 유지하되, 상기 키를 강제로 돌려 핸들 락을 풀게 되면 충격센서와 연결되어 있는 버저를 통해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바이용 도난 방지 장치.
  15. 오토바이용 도난 방지 장치에 있어서,
    어느 일측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제1자석부를 삽입하도록 제1홀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에 키삽입홈이 형성되어 있는 키삽입부와;
    어느 일측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제1자석부가 삽입되도록 제2홀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 혹은 하측에는 스위칭단자와 접속하는 스위치가 일정 간격을 유지하여 적어도 한 개 이상 형성되어 있는 상하이동부와;
    어느 일측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제1자석부가 좌우로 이동할 수 있도록 제3홀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 혹은 하측에 스위치와 접속하는 스위칭단자를 일정 간격 유지하도록 적어도 한 개 이상 형성되는 스위치박스부와;
    상기 상하이동부에 형성된 제2홀부의 어느 일측에 형성되는 제1스프링부와;
    키에 형성된 제4자석부에 의해 제1홀부 및 제2홀부 간에서 좌우로 이동하는 다수의 제1자석부와;
    키삽입부에 삽입되며,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제4자석부가 형성되어 있는 키와;
    상기 키삽입부의 끝단과 연결되어 키삽입부의 회동에 따라 회전되는 회전체와,
    스위칭단자와 스위치에 연결되는 다수의 전선이 어느 일측에 연결되는 키박스용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키박스스위치부와;
    스위칭단자에 연결되는 어느 하나의 전선이 연결되어 충격을 감지하는 충격센서와;
    상기 충격센서와 상기 다른 어느 하나의 전선이 연결되어 충격 발생시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버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바이용 도난 방지 장치.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하이동부의 하단 혹은 상단의 어느 일측에 형성되어 상하이동부를 하측으로 이동시키는 제2스프링부와;
    스위치박스부의 하단의 어느 일측에 형성되어 상하이동부의 일부가 접촉하게 되면 상하이동부를 상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구성되는 볼;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바이용 도난 방지 장치.
  1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제2키박스용스위치와 연결되어 있는 제1전선이 연결되어 있는 제1스위치와,
    버저와 연결되어 있는 제3전선이 연결되어 있는 제2스위치와,
    제4키박스용스위치와 연결되어 있는 제5전선이 연결되어 있는 제3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스위칭단자는,
    제3키박스용스위치와 연결되어 있는 제2전선이 연결되어 있는 제1스위칭단자와,
    제1키박스용스위치와 연결되어 있는 제4전선이 연결되어 있는 제2스위칭단자와,
    충격센서와 연결되어 있는 제6전선이 연결되어 있는 제3스위칭단자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1키박스용스위치는 B(+)출력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2키박스용스위치는 B(-)입력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3키박스용스위치는 CDS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4키박스용스위치는 B(+)입력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바이용 도난 방지 장치.
  18. 제 15항에 있어서,
    오토바이 키가 키삽입부에 삽입될 경우에,
    키에 형성된 다수의 제4자석부의 극성과 다수의 제1자석부의 극성이 동일하면 제1자석부가 제2홀부로 이동하고 상하이동부가 이동되면서 스위칭단자와 접속하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스위치가 오프되어 경보음 해제와 동시에 시동이 걸리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바이용 도난 방지 장치.
  19. 제 15항에 있어서,
    오토바이 키가 키삽입부에 삽입될 경우에,
    키에 형성된 다수의 제4자석부의 극성과 다수의 제1자석부의 극성이 동일하지 않거나 기타 도구가 키삽입부에 삽입되면 스위칭단자와 접속하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스위치가 온 상태를 유지하되, 상기 키를 강제로 돌려 핸들 락을 풀게 되면 충격센서와 연결되어 있는 버저가 울리고, 충격을 가하지 않아도 키 락을 강제로 풀면 경보음이 울리고 시동이 걸리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바이용 도난 방지 장치.
KR1020100084993A 2010-08-31 2010-08-31 오토바이용 도난 방지 장치 KR1010204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4993A KR101020412B1 (ko) 2010-08-31 2010-08-31 오토바이용 도난 방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4993A KR101020412B1 (ko) 2010-08-31 2010-08-31 오토바이용 도난 방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20412B1 true KR101020412B1 (ko) 2011-03-08

Family

ID=43938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4993A KR101020412B1 (ko) 2010-08-31 2010-08-31 오토바이용 도난 방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041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71731A1 (ko) * 2013-04-17 2014-10-23 Yun Gi Seok 오토바이 및 차량의 도난방지를 위한 독립 다접점 키박스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7987A (ko) * 2001-02-19 2002-08-24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경량차의 원격 로크 조작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7987A (ko) * 2001-02-19 2002-08-24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경량차의 원격 로크 조작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71731A1 (ko) * 2013-04-17 2014-10-23 Yun Gi Seok 오토바이 및 차량의 도난방지를 위한 독립 다접점 키박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56872A (en) Padlock with tamper alarm
TWI701378B (zh) 具鎖芯整合感測器之鎖具及偵測鎖芯之撬動之方法
CN101575919A (zh) 一种新型磁性机械防盗锁
CN204296923U (zh) 一种电动车断电式电机锁
CN104358473B (zh) 一种电子锁
HRP940763A2 (en) Vehicle anti-theft system
CN204531692U (zh) 叶片电子锁和电子钥匙
CN105696629B (zh) 一种电缆防盗井盖
EP3333061A1 (en) Device for preventing the theft of batteries of electric bicycles
KR101020412B1 (ko) 오토바이용 도난 방지 장치
CN102425339B (zh) 一种可自动上锁的电子锁
KR100996074B1 (ko) 오토바이용 도난 방지 장치
CN204663177U (zh) 一种无钥匙孔弹子防盗锁芯及防盗锁和配套的钥匙
CN204489020U (zh) 一种电动自行车防盗锁和电动自行车
CN101899930B (zh) 智能型多重防盗报警锁
CN103774924B (zh) 防盗锁芯及解锁的方法
CN104252980A (zh) 隔离开关熔断器组及其安全联锁装置
CN106320847A (zh) 一种车用智能锁
KR101283477B1 (ko) 실린더형 전자식 잠금장치용 실린더 몸체
CN102030054B (zh) 遥控龙头锁
CN111696799B (zh) 具有防止非法操作功能的防爆插接装置
CN201835615U (zh) 电动车涨刹自动开关报警锁
CN203372318U (zh) 手动按压斜面接触式电动车龙头锁
KR960006512B1 (ko) 차량의 도난 방지장치
US1591646A (en) De leo v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