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7421B1 - 청각장애인을 위한 의사 소통 시스템 - Google Patents

청각장애인을 위한 의사 소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7421B1
KR101017421B1 KR1020080110098A KR20080110098A KR101017421B1 KR 101017421 B1 KR101017421 B1 KR 101017421B1 KR 1020080110098 A KR1020080110098 A KR 1020080110098A KR 20080110098 A KR20080110098 A KR 20080110098A KR 101017421 B1 KR101017421 B1 KR 1010174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hearing impaired
communication device
key input
interpr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00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50959A (ko
Inventor
양승호
송지원
Original Assignee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801100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7421B1/ko
Publication of KR201000509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09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74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74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47Telephone sets including user guidance or feature selection means facilitating their use
    • H04M1/2474Telephone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disabled people
    • H04M1/2475Telephone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disabled people for a hearing impaired u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6Simultaneous speech and data transmission, e.g. telegraphic transmission over the same condu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Otolaryngolog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청각장애인을 위한 의사 소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청각장애인이 통화를 접속하면 수화화상통화가 가능한 통역사가 상주하는 원격지의 통역센터와, 상기 통역센터에 원격으로 접속하여 통역사와 수화화상통화를 할 수 있는 휴대통신장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의사 소통 시스템을 이용하면 청각장애인들은 통역센터와 원격 접속이 가능한 휴대통신장치를 이용함으로써 근거리 또는 원거리의 건청인과 원활하면서도 정확한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청각, 장애인, 통역, 건청인

Description

청각장애인을 위한 의사 소통 시스템 { communication system for deaf person }
본 발명은 청각장애인을 위한 의사 소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청각장애인들의 실제 생활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의사소통이 충분히 전달 및 만족될 수 있게 사용되는 청각장애인을 위한 의사 소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보화 사회에 있어서 정보통신의 접근은 의사소통 및 정보획득의 수단으로 일상생활을 영위하는 핵심요소로 인식되며 이에 대한 접근이 배제된다는 것은 사회적 참여로부터 배제됨을 의미한다.
한편, 최근 우리나라는 정보화가 급진전 되었지만, 아직도 정보화 취약계층에 대한 사회적 배려는 부족한 형편이다.
특히, 장애인의 정보접근성은 비장애인의 1/3 수준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는데, 장애인들이 지니고 있는 사회경제적, 인구학적 특성이 정보 및 통신의 접근에 매우 불리하게 작용하고 있다.
그러나, 그보다 더 중요한 것은 사회 경제학적, 인구학적 특성(고연령, 저학력, 저소득 등) 뿐만 아니라 장애 그 자체가 직접적으로 정보의 습득과 활용에 매우 큰 영향을 끼치고 있다는 사실이다. 정보 사회에서 정보 및 통신의 접근이 보장되지 않는다면 이미 물리적 세계에서 접근이 제한적인 장애인들은 더욱 소외되고 차별 받을 수밖에 없다.
따라서, 장애인들에게 정보와 통신에 대한 접근 방법과 기회를 제공하는 것은 이들의 소외와 차별을 해소하고 사회적 참여를 보장하기 위한 중요한 요소이다.
한편, 장애인의 경우 일반인들과는 상당히 다른 신체적, 심리적 및 사회적 특성과 인지능력을 보여준다.
이와 같은 장애 중에 청각장애는 말을 이루는 소리를 듣는 청각기관에 이상이 생기거나 또는 들은 소리를 뜻 있는 말로 해석하는 중추기관에 이상이 생겨 의사소통에 지장이 있는 경우를 일컫는 것으로, 미국의 장애인 교육법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Act)에 의하면 청각장애는 농과 난청을 포함하는데, “농”이란 음을 증폭하여 들려주든, 증폭하지 않든 청각으로 언어를 처리하는데 장애가 있을 정도로 아동의 교육적 수행에 부정 영향을 미치는 대단히 심한 청각장애를 의미하는 것으로 정의하고, “난청”이란 농의 정의에는 포함되지 않으나 아동의 교육적 수행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영구적인 또는 변동하는 청각장애를 의미한다.
한편, 우리나라의 장애인 복지법에서는 청각장애로 인하여 장기간에 걸쳐 일상생활 또는 사회생활에 상당한 제약을 받는 자를 청각장애인으로 정의하고 있으 며, 동법시행령은 청각장애인의 기준으로, 두 귀의 청각 손실이 각각 60dB이상인 자, 한 귀의 청각손실이 80dB 이상, 다른 귀의 청력 손실이 40dB 이상인 자, 두 귀에 들리는 보통 말소리의 명료도가 50 퍼센트 이하인 자로 규정하고 있다.
한편, 난청인과 일부 농인들은 청능 훈련을 받고 음성언어를 습득하여 구화법을 사용하기도 하나, 청각장애인 사회에서의 주된 의사소통 언어로 수화(手話)를 사용한다. 이와 같은 수화는 소리 없이 동작으로 의사를 소통하는 언어로 수화의 사용에는 때때로 지문자(指文字)와 음성언어가 보조수단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이때, 수화는 조사나 용언의 활용 등 문법체계가 국어와 달라서 소리글자인 국어와 수화 기호는 일대일 대응관계를 갖지 못하기 때문에 국어의 문법체계를 따르는 문법성 수화가 개발되어 청각장애인에게 읽기 및 쓰기 능력을 향상시키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그 효과는 아직 검증되지 않았다. 그 밖에도 필담이나 몸짓 등으로 의사소통을 하기도 한다.
그런데,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청각장애인은 다른 신체 장애인들과 비교하여 외관(外觀)으로 확연히 구분되는 장애의 특징은 없으나 의사소통의 어려움은 내적인 문제를 유발한다고 보고되고 있다. 심리학자나 언어학자들의 연구 결과에 의하면 청각장애인들의 인지능력은 정상인(이하, '건청인'이라 한다.)과 차이가 없다.
그러나, 농아인의 학문성취도는 기대수준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나는데, 이는 학문 성취 수준이 지체되어 있기 보다는 그들의 언어 이해력이 낮은 탓이다. 또한 청각장애인들은 사회 및 성격적 적응에 있어서 건청인과 차이가 없지만, 의사소통 문제로 인한 스트레스는 청각장애인들의 정신 건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처럼 청각장애로 인한 의사소통의 문제는 이들의 언어와 심리, 학습 등을 포함한 일상생활을 제약하게 되어 이들의 삶의 질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한편, 최근에 이와 같은 청각장애인들의 의사소통을 도와주는 보조기기들이 출시되고 있으나, 대부분 청각장애인들의 신체적인 특성인 청각의 장애에 따른 의사소통의 문제를 도와주기 위해 작은 목소리를 크게 확장시켜주거나 입력된 문자 정보를 청각정보로 변환 시켜주는 것과 같이 단편적인 해결책만을 제시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단순한 정보의 변환이나 정보의 형태 변환과 같은 일차적 대안보다는 청각장애인들의 실제 생활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의사소통이 충분히 전달 및 만족될 수 있도록 고안된 청각장애인을 위한 의사 소통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청각장애인이 근거리 또는 원거리의 건청인과의 의사소통 및 원거리의 청각장애인과의 원활한 의사소통이 가능하도록 하는 청각장애인을 위한 의사 소통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청각장애인이 통화를 접속하면 수화화상통화가 가능한 통역사가 상주하는 원격지의 통역센터와, 상기 통역센터에 원격으로 접속하여 통역사와 수화화상통화를 할 수 있는 휴대통신장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각장애인을 위한 의사 소통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휴대통신장치는; 상기 청각장애인의 영상 및 음성을 캡쳐하는 카메라 및 마이크와, 상기 통역사의 음성정보를 출력하는 스피커와, 상기 통역센터에 연결하여 수화화상통화시에 통역사의 영상이 표시되는 제1디스플레이부와, 문자나 숫자 및 특수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제1키입력부와, 상기 통역센터에 접속하여 정 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장거리 통신부와, 상기 장거리통신을 제어하기 위한 메인제어프로그램 및 전화번호를 저장 및 관리하는 제1메모리부와, 상기 제1키입력부와 장거리 통신부와 제1메모리부의 기능을 감시 및 제어하는 제1제어부와,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1배터리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휴대통신장치는 근거리의 건청인과 필담(筆談)이 가능하도록 상기 키입력부를 통한 키입력 문자가 상기 제1디스플레이부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휴대통신장치는 무선으로 신호송수신이 가능한 제1근거리통신부가 더 구비되어; 청각장애인의 손목에 착용되되 상기 제1근거리통신부와 무선으로 신호가 수신되면 진동음을 출력하는 바이브레이터 장치와 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바이브레이터 장치는; 상기 제1근거리통신부와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2근거리통신부와, 키입력을 위한 제2키입력부와, 상기 제2근거리통신부 및 제2키입력부의 입력정보를 처리하는 제2제어부와, 상기 휴대통신장치를 통해 수신되는 문자메시지 또는 키입력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제2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제2근거리통신부를 통해 통화시도신호 또는 문자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진동음을 상기 청각장애인에게 전달하기 위해 구동되는 진동모듈부와,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제2배터리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바이브레이터 장치는 현재시간을 표시하는 시계모듈부와 타인의휴대 통신 장치로부터 무선으로 신호가 수신되면 점멸되는 램프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키입력부는 상기 청각장애인이 대응할 수 없는 음성 전화가 온 경우에 상기 휴대통신장치에 저장된 녹음메시지가 송출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응답버튼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휴대통신장치는 가정이나 사무실에서 사용시 보다 큰 화면으로 수화를 대화할 수 있도록 디자인된 거치장치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청각장애인들은 통역센터와 원격 접속이 가능한 휴대통신장치를 이용함으로써 근거리 또는 원거리의 건청인과 원활하면서도 정확한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손목에 착용할 수 있는 바이브레이터 장치를 구비하여 진동으로 휴대통신장치의 통화신호의 수신여부을 확인할 수 있어 휴대통신장치를 신체에 지니고 있지 않고 일정 반경 내의 위치에만 두더라도 용이하게 바이브레이터 장치를 통해 확인할 수 있어 가정에서의 일상생활 중이나 수면 시에도 휴대통신장치의 수신 정보를 놓치지 않게 함은 물론, 신체에서 멀어지면 감지할 수 없는 진동 신호의 특성으로 인한 청각장애인들의 불안감을 해소하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청각장애인을 위한 의사 소통 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청각장애인을 위한 의사 소통 시스템을 이용한 의사 소통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청각장애인을 위한 의사 소통 시스템의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청각장애인을 위한 의사 소통 시스템의 상세 구성도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청각장애인을 위한 의사 소통 시스템은 청각장애인(10)이 약국이나 상점 등에 방문하는 경우 근거리의 건청인(20)과 무리없이 의사소통을 할 수 있도록 하거나, 또는 원거리의 건청인(30) 또는 청각장애인(40)과 무리없이 의사소통을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도록 설계된다.
물론, 근거리의 청각장애인들(10,11) 끼리는 수화를 통해 직접 대화함이 가능하므로 그와 같은 경우에는 본 발명에 따른 청각장애인을 위한 의사 소통 시스템의 기능이 지극히 제한적이므로 이하에서는 그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청각장애인을 위한 의사 소통 시스템은 청각장애인(10)이 휴대하며 원격지의 통역센터(50)의 통역사(51)와 수화화상통화를 할 수 있는 휴대통신장치(100)를 이용한다.
이때, 청각장애인(10)이 휴대통신장치(100)를 통해 수화나 SMS정보의 수신 유무 등에 관한 정보를 원활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손목에 착용하는 바이브레이터 장치(200)와, 가정이나 사무실에서 사용시 보다 큰 화면으로 수화를 대화할 수 있 도록 디자인된 거치장치(300)가 더 구비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청각장애인을 위한 의사 소통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부 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상기 휴대통신장치(100)는 본원 발명의 전체 시스템의 중심이 되는 모듈로서, 가로형 또는 세로형의 폴더 방식으로 디자인됨이 바람직하며, 후측에 착탈이 가능한 전원부인 배터리가 내장되며, 기기를 세울 수 있도록 하여 양손을 사용한 자유로운 수화가 가능하도록 외형 설계하고, 인터페이스에 있어서는 문자와 함께 수화로도 장치의 사용을 안내 하도록 디자인되어 문자에 능숙하지 못한 청각장애인들의 편의를 도모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휴대통신장치(100)는 청각장애인(10)의 영상 및 음성을 캡쳐하는 카메라(102) 및 마이크(104)와, 음성정보를 출력하는 스피커(106)와, 통상적인 전화번호와 수화화상통화시에 통역사(51)의 영상이 표시되는 제1디스플레이부(108)와, SMS서비스 등을 위해 문자나 숫자 및 특수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제1키입력부(110)와, 원거리 전화통신을 위한 장거리 통신부(112)와, 메인제어프로그램 및 전화번호와 같은 관리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제1메모리부(114)와, 상기 제1키입력부(110)와 장거리 통신부(112)와 제1메모리부(114)의 기능을 감시 및 제어하는 제1제어부(116)와,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1배터리부(118)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청각장애인(10)들은 상기 휴대통신장치(100)를 이용하여 수화영상통화 및 문자 메시지 등으로 원거리의 청각장애인(40)들과 통신하며, 근거리 또는 원거리의 건청인(20,30)과 대화나 전화시에는 통역센터(50)를 연결하여 원격통역이나 전화 중개 통역 등의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통역센터(50)는 휴대통신장치(100)와 원격으로 통신연결 가능한 장거리통신부가 구비되며 화상통신이 가능하도록 카메라와 이어마이크가 구비되는 서버 및 유/무선전화기가 구비됨은 당연하므로 통역센터의 각각의 부수적인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물론, 상기 휴대통신장치(100)는 통역센터(50)를 통하지 않고서도 간단히 청각장애인(10)이 문자를 입력하고 이를 근거리의 건청인(20)이 확인하며 문자입력하는 일련의 과정을 통해 간단한 대화를 돕는 디지털 필담 기능이 가능하다.
이때, 원격지의 통역센터(50)와의 연결하거나 원거리의 건청인(30) 또는 청각장애인(40)과의 통신을 위해 상기 장거리 통신부(112)는 GSM, CDMA, IMT 2000, 와이브로, 무선 TRS, UHF, VHF, AM, FM 등 장거리 통신이 가능한 모듈로 구성됨은 당연하다.
한편, 상기 제1키입력부(110)는 전화번호나 문자메시지 또는 필담(筆談) 등이 가능하도록 청각장애인(10)이 직접 키입력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입력정보는 제1메모리부(114)에 저장된다.
또한, 상기 휴대통신장치(100)는 청각장애인(10)이 항상 휴대하고 있어야 하고 통화시도 또는 SMS문자메시지 등의 송수신 여부를 수시로 확인하기 어렵다 따라서, 상기 휴대통신장치(100)와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바이브레이터 장치(200)가 구 비된다.
이와 같은 바이브레이터 장치(200)와 휴대통신장치(100)가 무선으로 근거리통신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휴대통신장치(100)는 상기 바이브레이터 장치(200)와 무선으로 신호송신이 가능한 제1근거리통신부(120)가 구비되고, 상기 바이브레이터 장치(200)도 상기 제1근거리통신부(120)와 무선통신이 가능한 제2근거리통신부(202)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근거리통신부(120,202)는 무선 통신 반경 10m이내의 비허가 주파수대역(예 ISM밴드)을 이용하는 블루투스(bluetooth), 직비(igbee) 등의 무선모듈로 구성되어 쌍방향 통신을 하게 된다. 
즉, 상기 바이브레이터 장치(200)는 손목에 착용이 가능한 밴드부(202)가 일측에 구비되는 하우징(200a)에 구비되되 상기 휴대통신장치(100)와 근거리통신을 위한 제2근거리통신부(202)와, 키입력을 위한 제2키입력부(204)와, 상기 제2근거리통신부(202) 및 제2키입력부(204)의 입력정보를 처리하는 제2제어부(206)와, 상기 휴대통신장치(100)를 통해 수시되는 문자메시지 또는 키입력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제2디스플레이부(208)와, 상기 제2근거리통신부(202)를 통해 통화시도신호 또는 문자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진동음 또는 점멸신호를 상기 청각장애인에게 전달하기 위해 구동되는 진동모듈부(210) 또는 램프구동부와, 구동프로그램이 저장되는 제2메모리부(216)와,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제2배터리부(212)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휴대통신장치(100)와 바이브레이터 장치(200)의 제1 및 2디스플레이부(108,208)는 LCD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바이브레이터 장치(200)를 손목에 시계처럼 착용한 상태로 사용할 수 있으며 휴대통신장치(100)의 수신 신호를 무선으로 수신받게 되면 진동으로 알려준다.
따라서, 청각장애인(10)이 신체에서 멀어지면 감지할 수 없는 진동 신호의 특성 때문에 청각장애인(10)이 불안해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되며, 가정에서의 일상생활 중이나 수면 시에도 휴대통신장치(100)의 수신 정보를 놓치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바이브레이터 장치(200)는 별도의 시계모듈부(214)가 더 구비된다. 이와 같은 시계모듈부(214)가 더 구비되어 평소에는 시간을 확인할 수 있어 그 기능이 확대되며, 휴대통신장치(100)에 메시지나 전화가 수신되는 경우에는 바이브레이터 장치(200)를 통해 간단한 수신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키입력부(204)는 자동응답버튼(204a)이 구비된다. 이와 같은 자동응답버튼(204a)은 특히 청각장애인(10)이 대응할 수 없는 음성 전화가 온 경우에는 휴대통신장치(100)의 제1메모리부(114)에 저장된 “청각장애인이니 문자 메시지로 연락주세요”하는 녹음된 메시지가 송출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하여, 편리한 대응을 가능하도록 하였다.
이와 같은 바이브레이터 모듈(200)은 휴대통신장치(100)를 손목에 착용할 수 있는 결합부의 역할을 하여 이동 중이나 자동차 등의 장소에서 수화영상통화를 장시간 사용하게 될 때에 편리를 도모하도록 디자인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휴대통신장치(100)는 가정이나 사무실에서 사용시 보다 큰 화면 으로 수화를 대화할 수 있도록 디자인된 거치장치(300)가 더 구비된다.
이와 같은 거치장치(300)는 가정이나 사무실에서 휴대통신장치(100)를 결합하여 큰 화면에서 수화영상통화가 가능하도록 제공함과 동시에 제1배터리부(118)의 충전 등 휴대통신장치(100)의 보관을 위한 거치대의 역할을 하도록 디자인됨이 바람직하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거치장치(300)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면에 상기 휴대통신장치(100)를 거치할 수 있도록 하는 거치홈(310)이 형성되고, 전면에는 제3디스플레이부(308)가 설치되어 상기 거치홈(310)에 휴대통신장치(100)를 거치하여 결합시킨 경우, 상기 제3디스플레이부(308)를 통해 보다 큰 화면에서 수화화상통화를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거치장치(300)는 가정의 초인종이 눌려지는 경우 진동되어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청각장애인(10)들이 일상생활을 더욱 편리하게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청각장애인을 위한 의사 소통 시스템을 이용한 의사소통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휴대통신장치(100)를 구비한 청각장애인(10)이 근거리의 건청인(20)과 의사소통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예를 들어 상점이나 약국에 가서 물건이나 약을 사고자 하는 경우 청각장애인(10)은 휴대통신장치(100)를 이용해 필담을 할 수 있다. 이 경우 청각장애인(10)은 휴대통신장치(100)의 제1키입력부(110)를 통해 문자정보를 입력하면 상기 휴대통신장치(100)의 제1디스플레이부(108)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며 이를 점원이나 약사와 같은 근거리의 건청인(20)이 이를 직접 확인하고 필요한 물건이나 약을 제공하게 된다.
이때, 정확한 의사소통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는 청각장애인(10)은 휴대 통신장치(100)의 제1키입력부(110)의 입력을 통해 통역센터(50)를 연결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제1키입력부(110)를 통해 통화가 시도되면 장거리통신부(112)를 통해 신호가 전송되어 통역센터(50)로 연결되며, 도움이 필요한 청각장애인(10)은 카메라(102)를 통해 필요한 내용을 수화(手話)로 표시하게 되면 청각장애인(10)의 수화화상정보가 장거리통신부(112)를 통해 통역센터(50)로 전송되며 이를 화상으로 확인한 통역사(51)는 원격으로 수화화상정보를 송수신하는 방식으로 대화하게 된다.
한편, 상기 통역센터(50)의 통역사(51)는 수화를 함과 동시에 음성으로 도움이 필요한 내용을 말하게 되며 그에 따라 음성정보 역시 장거리통신부(112)를 통해 수신되어 스피커(106)를 통해 음성출력시켜 주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거치면서 청각장애인(10)은 휴대통신장치(100)를 이용해 청각장애인(10)은 통역사(51)와 통역을 하게 되며, 통역사(51)의 음성은 휴대통신장치(100)의 스피커(106)를 통해 출력됨으로서 근거리의 건청인(20)이 이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휴대통신장치(100)를 구비한 청각장애인(10)이 원거거리의 건청인(30) 또는 원거리의 청각장애인(40)과 의사소통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예를 들어 병원 등에 진찰을 예약하고자 하는 경우에 청각장애인(10)은 휴대통신장치(100)를 이용해 원거리의 건청인(30)의 휴대폰이나 전화 등에 접속하여 의 사소통이 필요하다.
이 경우 청각장애인(40)은 휴대통신장치(100)의 제1키입력부(110) 조작으로 통역센터(50)로 접속하고 통역센터(50)의 통역사(51)는 원거리의 건청인(30)의 휴대폰(31)으로 접속한 상태에서 상기 통역센터(50)의 통역사(51)는 수화영상통화를 통해 청각장애인(10)과 대화하며, 이를 통해 청각장애인(10)의 문의사항을 통역사(51)가 별도의 유선 또는 무선전화를 이용해 원거리의 건청인(30)의 휴대폰(31)에 음성통화를 하여 원하는 정보를 전달 및 수신하는 과정을 통해 청각장애인(10)과 원거리의 건청인(30)의 의사소통을 돕게 된다.
또한, 원거리의 청각장애인(40)과 의사소통을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원거리의 청각장애인(40) 역시 동일한 구조의 휴대통신장치(100)가 구비되어야 함은 당연하며, 이를 통해 직접 청각장애인들(10,40)끼리 수화영상통화를 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청각장애인을 위한 의사 소통 시스템을 이용한 의사 소통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청각장애인을 위한 의사 소통 시스템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청각장애인을 위한 의사 소통 시스템의 상세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청각장애인 11: 근거리 청각장애인
20: 근거리의 건청인 30: 원거리의 건청인
40: 원거리의 청각장애인 50: 통역센터
51: 통역사 100: 휴대통신장치
200: 바이브레이터 장치 300: 거치장치

Claims (9)

  1. 청각장애인이 통화를 접속하면 수화화상통화가 가능한 통역사가 상주하는 원격지의 통역센터와,
    상기 통역센터에 원격으로 접속하여 통역사와 수화화상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무선으로 신호송수신이 가능한 제1근거리통신부가 구비된 휴대통신장치와,
    청각장애인의 손목에 착용되되 상기 제1근거리통신부와 무선으로 신호가 수신되면 진동음을 출력하는 바이브레이터 장치와,
    후면에 상기 휴대통신장치를 거치할 수 있도록 하는 거치홈이 형성되고, 전면에는 휴대통신장치가 결합된 경우 보다 큰 화면에서 수화화상통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제3디스플레이부가 설치된 거치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휴대통신장치는; 상기 청각장애인의 영상 및 음성을 캡쳐하는 카메라 및 마이크와, 상기 통역사의 음성정보를 출력하는 스피커와, 상기 통역센터에 연결하여 수화화상통화시에 통역사의 영상이 표시되는 제1디스플레이부와, 문자나 숫자 및 특수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제1키입력부와, 상기 통역센터에 접속하여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장거리 통신부와, 장거리통신을 제어하기 위한 메인제어프로그램 및 전화번호를 저장 및 관리하는 제1메모리부와, 상기 제1키입력부와 장거리 통신부와 제1메모리부의 기능을 감시 및 제어하는 제1제어부와,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1배터리부로 구성되고,
    상기 바이브레이터 장치는; 상기 제1근거리통신부와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2근거리통신부와, 키입력을 위한 제2키입력부와, 상기 제2근거리통신부 및 제2키입력부의 입력정보를 처리하는 제2제어부와, 상기 휴대통신장치를 통해 수신되는 문자메시지 또는 키입력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제2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제2근거리통신부를 통해 통화시도신호 또는 문자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진동음을 상기 청각장애인에게 전달하기 위해 구동되는 진동모듈부와, 구동프로그램이 저장되는 제2메모리부와,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제2배터리부와, 현재시간을 표시하는 시계모듈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키입력부는 상기 청각장애인이 대응할 수 없는 음성 전화가 온 경우에 상기 휴대통신장치에 저장된 녹음메시지가 송출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응답버튼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각장애인을 위한 의사 소통 시스템.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통신장치는 근거리의 건청인과 필담(筆談)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1 키입력부를 통한 키입력 문자가 제1디스플레이부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각장애인을 위한 의사 소통 시스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브레이터 장치는 타인의 휴대 통신 장치로부터 무선으로 신호가 수신되면 점멸되는 램프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각장애인을 위한 의사 소통 시스템.
  8. 삭제
  9. 삭제
KR1020080110098A 2008-11-06 2008-11-06 청각장애인을 위한 의사 소통 시스템 KR1010174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0098A KR101017421B1 (ko) 2008-11-06 2008-11-06 청각장애인을 위한 의사 소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0098A KR101017421B1 (ko) 2008-11-06 2008-11-06 청각장애인을 위한 의사 소통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0959A KR20100050959A (ko) 2010-05-14
KR101017421B1 true KR101017421B1 (ko) 2011-02-28

Family

ID=42276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0098A KR101017421B1 (ko) 2008-11-06 2008-11-06 청각장애인을 위한 의사 소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742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72917A1 (en) * 2017-03-24 2018-09-27 Cochlear Limited Binaural segregation of wireless accessories
KR102033730B1 (ko) * 2019-03-26 2019-10-17 주식회사 이큐포올 농인과 청인간의 전화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제공방법 및 이를 위한 클라우드 데이터 변환 중계시스템
KR102496398B1 (ko) * 2022-03-04 2023-02-06 주식회사 씨와이디정보기술 사용자 디바이스에 페어링되어 음성-텍스트를 변환하는 장치 및 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6316A (ko) * 2016-12-07 2018-06-19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청각장애인용 실시간 서비스 통합 플랫폼 운영 방법
KR102142033B1 (ko) * 2019-06-26 2020-08-06 주식회사 샘물정보통신 수화 통역 검증 시스템
KR102152326B1 (ko) * 2020-02-14 2020-09-04 주식회사 샘물정보통신 글로벌 수화 통역 지원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7756A (ko) * 1999-11-12 2000-04-06 황병익 수화 번역 장치
KR20060068121A (ko) * 2004-12-16 2006-06-21 김미경 휴대폰의 수신 감지기
KR20070071854A (ko) * 2005-12-30 2007-07-04 브이케이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청각장애인과 정상인 사이의 통화 보조방법
KR20080076270A (ko) * 2007-02-15 2008-08-20 골든키정보통신 주식회사 시각 장애인 길 안내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7756A (ko) * 1999-11-12 2000-04-06 황병익 수화 번역 장치
KR20060068121A (ko) * 2004-12-16 2006-06-21 김미경 휴대폰의 수신 감지기
KR20070071854A (ko) * 2005-12-30 2007-07-04 브이케이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청각장애인과 정상인 사이의 통화 보조방법
KR20080076270A (ko) * 2007-02-15 2008-08-20 골든키정보통신 주식회사 시각 장애인 길 안내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72917A1 (en) * 2017-03-24 2018-09-27 Cochlear Limited Binaural segregation of wireless accessories
US10136229B2 (en) 2017-03-24 2018-11-20 Cochlear Limited Binaural segregation of wireless accessories
KR102033730B1 (ko) * 2019-03-26 2019-10-17 주식회사 이큐포올 농인과 청인간의 전화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제공방법 및 이를 위한 클라우드 데이터 변환 중계시스템
KR102496398B1 (ko) * 2022-03-04 2023-02-06 주식회사 씨와이디정보기술 사용자 디바이스에 페어링되어 음성-텍스트를 변환하는 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0959A (ko) 2010-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40392B1 (en)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deaf and mute persons
KR101017421B1 (ko) 청각장애인을 위한 의사 소통 시스템
US20170303052A1 (en) Wearable auditory feedback device
KR101226928B1 (ko) 스마트 초인종 시스템
US7830271B2 (en) Audio coordinated visual indicator
KR101846218B1 (ko) 근거리 무선 통신망을 기반으로 청각 장애인의 음성 대화를 지원하는 청각 장애인용 언어통역 보조장치, 음성합성서버, 음성인식서버, 알람 장치, 강연장 로컬 서버, 및 음성 통화 지원 어플리케이션
KR102112822B1 (ko) 보완 대체 의사소통 시스템
JP2002085444A (ja) 聴導装置及び聴導方法及び聴導装置を動作させるプログラムを記憶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憶媒体
US20230260534A1 (en) Smart glass interface for impaired users or users with disabilities
RU2312646C2 (ru) Устройство частичной замены функций речи и слуха
KR20090088591A (ko) 대화형 완구 및 이를 이용한 일정관리방법
Kemper et al. Addressing the communication needs of an aging society
KR101720762B1 (ko) 장애인용 홈네트워크 시스템
Thibodeau Advanced practices: assistive technology in the age of smartphones and tablets
US20170018281A1 (en) Method and device for helping to understand an auditory sensory message by transforming it into a visual message
KR102633725B1 (ko) 청각장애인을 위한 스마트 글래스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US11057525B1 (en) Communication system for covert and hands-free communication
Olaosun et al. Assistive technology for hearing and speech disorders
JP2016146870A (ja) 救命支援装置
KR102211161B1 (ko)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피보호자 단말, 보호자 단말
KR102598498B1 (ko) 청각장애인을 위한 컨텐츠 음향 출력장치
JP2002232944A (ja) 携帯型通信端末、通信中継装置、通信中継プログラムおよび該通信中継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Gandhewar et al. Accessibility in disability: revolutionizing mobile technology
KR20200087940A (ko) 감정의 전달이 가능한 청각장애인 스마트글래스
CA2214243C (en)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deaf and mute pers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