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8498B1 - 청각장애인을 위한 컨텐츠 음향 출력장치 - Google Patents

청각장애인을 위한 컨텐츠 음향 출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8498B1
KR102598498B1 KR1020210026812A KR20210026812A KR102598498B1 KR 102598498 B1 KR102598498 B1 KR 102598498B1 KR 1020210026812 A KR1020210026812 A KR 1020210026812A KR 20210026812 A KR20210026812 A KR 20210026812A KR 102598498 B1 KR102598498 B1 KR 1025984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ound
module
main body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68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22324A (ko
Inventor
이화정
Original Assignee
(주)위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위놉스 filed Critical (주)위놉스
Priority to KR10202100268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8498B1/ko
Publication of KR202201223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23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84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84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1/00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 G09B21/009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deaf pers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1/00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 G09B21/04Devices for conversing with the deaf-blind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6Speech to text system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1/00Speech or voice signal processing techniques to produce another audible or non-audible signal, e.g. visual or tactile, in order to modify its quality or its intelligibility
    • G10L21/06Transformation of speech into a non-audible representation, e.g. speech visualisation or speech processing for tactile aids
    • G10L2021/065Aids for the handicapped in understan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Toys (AREA)
  • Amplifiers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 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컨텐츠 음향 출력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본체부에 그림, 팝업북, 영상 등의 다양한 컨텐츠를 탑재하고 컨텐츠에 표시된 패턴을 인식하여 자기장 형태의 음향신호로 출력하도록 함으로써, 텔레코일이 포함된 보청기, 인공와우 등의 청각보조기구를 착용한 청각장애인도 본체부에 탑재된 개별적인 다양한 컨텐츠의 음향을 즐길 수 있도록 하는 청각장애인을 위한 컨텐츠 음향 출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청각장애인을 위한 컨텐츠 음향 출력장치{A Sound Output Device of Contents for Hearing Impaired Person}
본 발명은 컨텐츠 음향 출력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본체부에 그림, 팝업북, 영상 등의 다양한 컨텐츠를 탑재하고 컨텐츠에 표시된 패턴을 인식하여 자기장 형태의 음향신호로 출력하도록 함으로써, 텔레코일이 포함된 보청기, 인공와우 등의 청각보조기구를 착용한 청각장애인도 본체부에 탑재된 개별적인 다양한 컨텐츠의 음향을 즐길 수 있도록 하는 청각장애인을 위한 컨텐츠 음향 출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청각장애인을 위해 사용되는 보청기, 인공와우는 마이크로폰을 통해 수집되는 외부의 소리를 집음하여 스피커를 통해 전달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다만, 전화통화시에는 소리의 울림이 있어 텔레코일을 이용하여 소리를 집음하는 방식이 보청기 등에 적용되어 사용되고 있다.
텔레코일은 자기장 신호를 수집하여 소리로 변환하는 장치를 말하며, 아래 특허문헌과 같이 목걸이 형태의 루프를 통해 자기장을 발생시켜 보청기에서 이를 수신하여 청취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도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제품의 경우에는 목걸이 등을 착용해야 하는 거추장스러움이 있다.
한편, 최근에는 음향을 출력하는 책이나 영상물 등의 콘텐츠가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데, 청각장애인의 경우에는 소음 등으로 인해 이러한 음향을 높은 품질로 청취할 수 없어 이러한 컨텐츠를 제대로 이용할 수 없는 상황이다.
(특허문헌) 등록특허공보 제10-0714233호(2007. 04. 26. 등록)"목걸이 형태의 전선에 의해 발생하는 자기장을 이용한 무선 보청기"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본체부에 그림, 팝업북, 영상 등의 다양한 컨텐츠를 탑재하고 컨텐츠에 표시된 패턴을 인식하여 자기장 형태의 음향신호로 출력하도록 함으로써, 텔레코일이 포함된 보청기, 인공와우 등의 청각보조기구를 착용한 청각장애인도 본체부에 탑재된 개별적인 다양한 컨텐츠의 음향을 즐길 수 있도록 하는 청각장애인을 위한 컨텐츠 음향 출력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본체부를 통해 음향에 따른 자기신호와 함께 실제 소리의 출력도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청각장애인 뿐만 아니라 일반사용자도 함께 컨텐츠를 즐길 수 있도록 하는 청각장애인을 위한 컨텐츠 음향 출력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모드조작부의 회전에 따라 자기신호의 출력을 개시하면서 소리 신호의 출력과 함께 볼륨의 조정까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음향 출력에 대한 작동 조절이 쉽고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청각장애인을 위한 컨텐츠 음향 출력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본체부를 통해 주변의 음성을 입력하여 문자로의 출력이 이루어지도록 하거나 자기장 신호로의 출력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청각장애인이 컨텐츠에 관한 음향과 함께 주변 사람이나 선생님 등으로부터의 음성도 문자 또는 음향을 통해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청각장애인을 위한 컨텐츠 음향 출력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주변 음성의 문자 변환에 대한 불일치 정도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여, 문자 변환에 대한 정확성을 감시할 수 있도록 하는 청각장애인을 위한 컨텐츠 음향 출력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받침레그를 통해 본체부를 세울 수 있도록 하여 본체부의 사용과 컨텐츠의 인식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받침레그를 본체부 하단에 삽입·수용할 수 있도록 하여 보관 및 본체부만의 사용도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청각장애인을 위한 컨텐츠 음향 출력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본체부와 연결되는 외부 기기를 통해 입력되는 음향도 자기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도록 함으로써, 본 컨텐츠 음향 출력장치를 통해 스마트폰, 기타 음성팝업북 등 다른 컨텐츠 기기의 음향도 청각장애인에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청각장애인을 위한 컨텐츠 음향 출력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해서 구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청각장애인을 위한 컨텐츠 음향 출력장치는 시각적으로 인식 가능한 콘텐츠가 장착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장착된 콘텐츠에 표시된 패턴을 인식하며, 상기 본체부와 연결되어 패턴에 관한 정보를 전달하는 컨텐츠인식부와; 상기 컨텐츠인식부에 의해 인식된 패턴에 따라 저장된 음향신호를 출력하는 음향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음향출력부는 청각장애인의 청각보조기구를 통해 인식할 수 있는 자기장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청각장애인을 위한 컨텐츠 음향 출력장치에 있어서, 상기 음향출력부는 상기 컨텐츠인식부에 의해 인식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인식신호수신모듈과, 상기 인식신호수신모듈에 의해 수신된 신호에 대해 저장된 음향정보를 매칭시키는 저장음향매칭모듈과, 매칭된 음성정보를 자기 신호로 출력시키는 자기신호출력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청각장애인을 위한 컨텐츠 음향 출력장치에 있어서, 상기 음향출력부는 상기 본체부의 스피커부를 통해 매칭된 음향을 함께 출력하는 소리출력모듈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청각장애인을 위한 컨텐츠 음향 출력장치는 상기 음향출력부의 음향 출력 모드를 조절하는 모드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모드조절부의 작동을 조절하는 모드조작부를 포함하며, 상기 모드조절부는 상기 모드조작부의 초기 회전에 따라 상기 자기신호출력모듈에 의한 자기신호의 출력을 개시하는 신호출력개시모듈과, 상기 모드조작부가 일정정도 이상 회전할 경우 상기 소리출력모듈에 의한 소리의 출력을 추가적으로 개시하는 소리출력개시모듈과, 소리 출력 개시후 모드조작부의 추가적인 회전에 따라 소리의 출력 크기를 증가시키는 볼륨조정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청각장애인을 위한 컨텐츠 음향 출력장치는 상기 본체부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을 청각장애인에게 전달하는 음성전달부를 포함하고, 상기 음성전달부는 상기 본체부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수신하는 음성신호수신모듈과, 수신된 음성을 문자로 변환하는 문자변환모듈과, 변환된 문자를 본체부를 통해 표시하는 문자출력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청각장애인을 위한 컨텐츠 음향 출력장치에 있어서, 상기 음성전달부는 문자로 변환된 음성을 자기신호로 변환하는 자기신호변환모듈과, 변환된 자기신호를 출력하는 변환신호출력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청각장애인을 위한 컨텐츠 음향 출력장치는 상기 음성전달부에 의한 문자 출력 상태를 확인하는 전달확인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달확인부는 입력된 음성과 문자가 불일치하는 정보를 본체부를 통해 입력하는 불일치입력모듈과, 불일치하는 문자의 개수에 관한 정보를 선택하는 불일치개수선택모듈과, 상기 음성전달부에 의한 문자 변환 개수를 누적하여 저장하는 변환누적저장모듈과, 누적하여 저장되는 문자 변환 개수에 대한 불일치 문자의 비율에 따라 불일치 정도를 산정하는 불일치지수산정모듈과, 산정된 불일치 지수가 설정값을 초과하는 경우 음성전달부의 작동이상으로 판단하여 이를 알리는 변환이상알림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청각장애인을 위한 컨텐츠 음향 출력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본체부를 받쳐 세우는 받침레그부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레그부는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본체부를 지면과 일정 높이 이격되도록 세우는 받침레그와,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 일정 깊이 함입되도록 형성되어 받침레그가 삽입되는 레그수용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청각장애인을 위한 컨텐츠 음향 출력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외부 기기와 연결되어 외부 기기로부터 음향정보를 입력받는 음향입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음향출력부는 상기 음향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음향신호에 따라 자기신호를 발생시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와 하기에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본체부에 그림, 팝업북, 영상 등의 다양한 컨텐츠를 탑재하고 컨텐츠에 표시된 패턴을 인식하여 자기장 형태의 음향신호로 출력하도록 함으로써, 텔레코일이 포함된 보청기, 인공와우 등의 청각보조기구를 착용한 청각장애인도 본체부에 탑재된 개별적인 다양한 컨텐츠의 음향을 즐길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본체부를 통해 음향에 따른 자기신호와 함께 실제 소리의 출력도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청각장애인 뿐만 아니라 일반사용자도 함께 컨텐츠를 즐길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모드조작부의 회전에 따라 자기신호의 출력을 개시하면서 소리 신호의 출력과 함께 볼륨의 조정까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음향 출력에 대한 작동 조절이 쉽고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본체부를 통해 주변의 음성을 입력하여 문자로의 출력이 이루어지도록 하거나 자기장 신호로의 출력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청각장애인이 컨텐츠에 관한 음향과 함께 주변 사람이나 선생님 등으로부터의 음성도 문자 또는 음향을 통해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주변 음성의 문자 변환에 대한 불일치 정도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여, 문자 변환에 대한 정확성을 감시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받침레그를 통해 본체부를 세울 수 있도록 하여 본체부의 사용과 컨텐츠의 인식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받침레그를 본체부 하단에 삽입·수용할 수 있도록 하여 보관 및 본체부만의 사용도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본체부와 연결되는 외부 기기를 통해 입력되는 음향도 자기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도록 함으로써, 본 컨텐츠 음향 출력장치를 통해 스마트폰, 기타 음성팝업북 등 다른 컨텐츠 기기의 음향도 청각장애인에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각장애인을 위한 컨텐츠 음향 출력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참고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각장애인을 위한 컨텐츠 음향 출력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참고도
도 3은 본체부 내부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참고도
도 4는 음향출력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5는 모드조절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6은 음성전달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7은 전달확인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8은 본체부 상부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참고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각장애인을 위한 컨텐츠 음향 출력장치를 나타내는 참고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각장애인을 위한 컨텐츠 음향 출력장치를 나타내는 참고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청각장애인을 위한 컨텐츠 음향 출력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고,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각장애인을 위한 컨텐츠 음향 출력장치를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컨텐츠 음향 출력장치는 시각적으로 인식 가능한 콘텐츠가 장착되는 본체부(1)와; 상기 본체부에 장착된 콘텐츠에 표시된 패턴을 인식하며, 상기 본체부와 연결되는 컨텐츠인식부(2)와; 상기 컨텐츠인식부(2)에 의해 인식된 패턴에 따라 저장된 음향신호를 출력하는 음향출력부(3)와; 상기 음향출력부(3)의 음향 출력 모드를 조절하는 모드조절부(4)와; 상기 본체부(1)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을 청각장애인에게 전달하는 음성전달부(5)와; 상기 음성전달부(5)에 의한 문자 출력 상태를 확인하는 전달확인부(6);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음향 출력장치는 텔레코일이 장착된 보청기, 인공와우 등의 청각보조기구를 착용한 청각장애인을 위한 것으로, 컨텐츠의 음향에 따른 자기장 신호를 발생시켜 청각장애인이 컨텐츠에 포함된 음향신호를 들을 수 있도록 한다. 특히, 본 컨텐츠 음향 출력장치는 본체부(1)에 팝업북, 그림, 영상 등의 컨텐츠가 포함되도록 하고, 컨텐츠에는 특정 패턴이 표시되도록 하여 컨텐츠인식부(2)를 통한 패턴의 인식에 따라 패턴별로 저장된 음향이 출력되도록 함으로써 청각장애인 개별적으로 음향이 포함된 컨텐츠를 즐길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컨텐츠 음향 출력장치는 음향에 따른 자기장 신호와 함께 실제 소리도 함께 출력될 수 있도록 하여 청각장애인과 함께 일반 사용자도 컨텐츠 음향을 들을 수 있도록 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컨텐츠 음향 출력장치는 주변 음성, 예를 들어 선생님이나 부모님의 음성을 입력받아 문자나 자기 신호로 출력시킬 수 있도록 하여 컨텐츠 음향을 듣는 청각 장애인과 대화하거나 설명을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1)는 컨텐츠를 제공하는 외형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상부면에 그림, 팝업북, 일반책 등의 컨텐츠가 장착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본체부(1)에는 상기 컨텐츠인식부(2)가 연결되어 컨텐츠에 표시되는 패턴의 인식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본체부(1) 내부에는 음향출력부(3), 모드조절부(4), 음성전달부(5), 전달확인부(6) 등의 구성이 형성되어 인식된 패턴에 따른 음향신호를 출력하고, 음향 출력 모드의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주변 음성을 입력받아 문자 또는 자기신호로의 변환 출력이 이루어지도록 함과 함께 변화의 정확도를 감시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본체부(1)는 지면에서 일정 높이 세워져 용이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고, 음향 출력 모드의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소리의 출력 및 음성의 입력, 문자의 출력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본체부(1)는 컨텐츠부(11), 인식부재연결부(12), 받침레그부(13), 모드조작부(14), 스피커부(15), 마이크부(16), 문자출력부(1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부(11)는 본체부(1) 상부면에 장착되어 청각장애인 등에게 시각적인 컨텐츠를 제공하는 구성으로, 그림, 팝업북, 일반책 등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컨텐츠부(11)는 lcd 화면 등으로 형성되어 영상 등의 출력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특히, 상기 컨텐츠부(11)는 다수의 점들로 이루어지는 닷코드 또는 닷패턴이 일정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패턴들은 상기 컨텐츠인식부(2)에 의해 인식되어 패턴에 따라 저장된 음향이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컨텐츠부(11)는 그림 등의 컨턴체의 특정 위치에 상기 컨텐츠인식부(2)에 의해 인식될 수 있는 패턴들이 인쇄되도록 하고, 청각장애인이 해당 패턴을 컨텐츠인식부(2)에 의해 인식할 때 패턴에 따라 저장된 음향, 예를 들어 그림과 매칭되는 단어, 캐릭터의 대사 등의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인식부재연결부(12)는 상기 컨텐츠인식부(2)가 연결되는 구성으로, 본체부(1)의 일측면에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더욱 정확하게 상기 인식부재연결부(12)는 상기 컨텐츠인식부(2)의 후술할 연결라인(212)이 삽입되어 연결되도록 할 수 있으며, 컨텐츠인식부(2)의 인식부재(21)를 통해 인식된 정보가 본체부(1)의 음향출력부(3)로 전달되어 패턴에 따른 음향이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받침레그부(13)는 상기 본체부(1)를 지면에 세우는 구성으로, 지면에서 일정 높이 이격된 상태로 세워질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받침레그부(13)는 청각장애인이 인식부재(21)를 통해 더욱 쉽고 편하게 컨텐츠부(11)를 터치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받침레그부(13)는 사용 상태에 따라 미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본체부(1) 하측으로 완전 함입되도록 형성되어 본체부(1)가 평평한 상태로 지면에 안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받침레그부(13)는 받침레그(131) 및 레그수용홈(13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받침레그(131)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 하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본체부(1)를 지면에 세우는 구성으로, 본체부(1)가 지면과 일정 높이 이격된 상태에서 세워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레그수용홈(132)은 본체부(1) 하단에 일정 깊이 함입되어 형성되는 구성으로, 상기 받침레그(131)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받침레그(131)는 미사용시 레그수용홈(132)에 완전 삽입될 수 있고, 받침레그(131)의 미사용시에도 본체부(1)를 바닥에 놓고 컨텐츠 음향 출력장치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모드조작부(14)는 음향 출력 모드를 조작하는 구성으로, 상기 음향출력부(3)를 통해 출력되는 음향 신호의 종류를 조작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모드조작부(14)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 상에 회전 가능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회전에 따라 상기 음향출력부(3)의 작동을 개시하면서 컨텐츠의 선택에 따른 음향의 자기 신호가 발생되도록 하고, 일정 정도의 회전 후에는 자기 신호와 함께 소리도 출력될 수 있도록 하며, 추가적인 회전에 따라 소리의 볼륨 조절까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컨텐츠 음향 출력장치의 사용자는 자기 신호 및 소리 신호의 출력 개시와 볼륨 조절을 단일의 모드조작부(14)를 통해 모두 실행할 수 있으므로 장치의 조작이 매우 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스피커부(15)는 본체부(1) 상에 형성되어 소리를 출력하는 구성으로, 상기 컨텐츠인식부(2)에 의한 컨텐츠부(11)의 인식에 따른 음향신호를 소리로 출력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스피커부(15)는 상기 모드조작부(14)에 의해 소리 신호의 출력이 선택된 경우에만 작동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마이크부(16)는 본체부(1)를 통한 음성의 입력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 상에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상기 마이크부(16)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별도의 마이크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하여 음성의 입력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마이크부(16)를 통해 입력된 음성은 상기 음성전달부(5)로 전달되어 문자 또는 자기신호의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되며, 이를 통해 청각장애인 주변의 선생님, 부모님 등으로부터 컨텐츠부(11)에 대한 설명, 대화 등에 대한 음성을 입력받아 청각장애인에게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문자출력부(17)는 본체부(1) 상에 형성되어 문자 등의 출력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으로, LCD 등으로 형성되는 다양한 화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문자출력부(17)는 상기 음성전달부(5)에 의해 변환되는 문자를 본체부(1) 상의 화면을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주변 선생님, 부모님 등의 음성을 문자 형태로 청각장애인에게 전달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인식부(2)는 상기 컨텐츠부(11) 상에 형성된 닷코드 등을 인식하는 구성으로, 다수의 점으로 형성되는 특정 패턴을 인식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컨텐츠인식부(2)는 특정 패턴의 인식이 가능한 렌즈 등을 포함하는 인식부재(21)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인식부재(21)는 연결라인(212)에 의해 본체부(1)와 연결되어 인식부재(21)에 의해 인식된 정보가 본체부(1)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인식부재(21)는 컨텐츠부(11)에 형성된 특정 패턴의 닷코드 등을 인식하는 구성으로, 터치펜의 형태로 형성되어 그 끝단에 형성되는 인식모듈(211)을 통해 특정 패턴의 인식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인식모듈(211)은 특정 패턴을 인식할 수 있는 이미지센서로 형성될 수 있으며, 특정 패턴을 인식하여 디지털 코드를 형성하고, 디지털 코드에 관한 정보를 음향출력부(3)로 전달하여 디지털 코드에 따라 저장된 음향의 출력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본 컨텐츠 음향 출력장치의 사용자는 컨텐츠부(11) 상에 형성된 닷코드 등을 인식부재(21)의 끝단을 통해 터치하도록 하여 인식하도록 하고, 이에 관한 정보가 음향으로 출력되도록 하여 컨텐츠부(11)에 삽입된 음향신호를 들을 수 있게 된다.
상기 연결라인(212)은 인식부재(21)를 본체부(1)와 연결하는 구성으로, 상기 인식부재연결부(12)에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인식부재(21)에 의해 인식된 정보가 상기 음향출력부(3)로 전달되어 저장된 음향에 따른 자기신호 또는 소리의 출력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 음향출력부(3)는 상기 컨텐츠인식부(2)를 통한 컨텐츠부(11)의 선택에 따른 음향신호를 출력하는 구성으로, 더욱 정확하게는 상기 인식부재(21)에 의해 인식되는 컨텐츠부(11) 상의 특정 패턴에 따라 저장된 음향 정보의 출력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음향출력부(3)는 상기 인식부재(21)에 의해 인식되는 컨텐츠부(11) 상의 패턴에 관한 정보, 예를 들어 디지털 코드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도록 하며, 수신된 디지털 코드에 따라 저장된 음향의 출력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음향출력부(3)는 저장 음향에 따른 자기 신호를 출력하여 보청기 등 청각보조기구 내의 텔레코일을 통해 자기 신호를 수신하도록 하고, 수신된 자기 신호가 청각장애인이 들을 수 있는 음향신호로 변환되어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음향출력부(3)는 청각장애인이 상기 인식부재(21)를 통해 터치하는 컨텐츠부(11)에 인쇄된 패턴에 따라 그에 상응하는 음향이 청각장애인의 청각보조기구로 전달되어 듣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향출력부(3)는 저장 음향에 따른 자기 신호의 출력과 함께 상기 스피커부(15)를 통해 소리의 출력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주변 일반 사람이나 선생님, 부모님 등도 청각장애인이 터치하는 컨텐츠부(11)에 따른 음향을 함께 듣고 대화하거나 지도 등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음향출력부(3)는 인식신호수신모듈(31), 저장음향매칭모듈(32), 자기신호출력모듈(33), 소리출력모듈(3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식신호수신모듈(31)은 상기 컨텐츠인식부(2)에 의해 인식되는 패턴 정보를 수신하는 구성으로, 상기 인식부재(21)의 끝단에 형성된 인식모듈(211)에 의해 인식되는 컨텐츠부(11) 상의 패턴 정보를 디지털 코드의 형태로 수신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저장음향매칭모듈(32)은 상기 인식신호수신모듈(31)에 의해 수신된 정보에 따라 저장된 음향정보를 매칭시키는 구성으로, 컨텐츠부(11)에 인쇄된 패턴에 따른 음향정보를 미리 저장하도록 하고, 수신되는 패턴 정보에 따라 저장된 음향을 매칭시키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인식부재(21)를 통해 컨텐츠부(11) 상에 인쇄된 패턴을 터치함으로써 그에 맞는 음향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자기신호출력모듈(33)은 상기 저장음향매칭모듈(32)에 의해 매칭된 음향정보에 따른 자기장 신호를 출력하는 구성으로, 보청기 등 청각보조기구의 텔레코일이 수신할 수 있는 자기장 신호의 출력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자기신호출력모듈(33)은 코일의 형태로 형성되어 음향에 따른 자기 신호의 출력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자기장 신호를 출력하도록 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청각보조기구에 대한 자기장 신호의 전달이 더욱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청각장애인은 자신이 인식부재(21)를 통해 터치한 위치에 대응되는 음향정보를 텔레코일을 통해 수신하여 직접 들을 수 있게 된다.
상기 소리출력모듈(34)은 상기 자기신호출력모듈(33)에 의한 자기장 신호의 출력과 함께 스피커부(15)를 통한 소리의 출력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으로, 자기신호출력모듈(33)과 같이 저장음향매칭모듈(32)에 의해 매칭된 저장 음향을 소리로 출력하도록 한다. 상기 소리출력모듈(34)은 상기 모드조작부(14)의 조작을 통해 소리의 출력이 개시되는 경우 자기신호출력모듈(33)과 함께 작동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청각장애인과 함께 주변의 선생님, 부모님 등도 컨텐츠 음향을 함께 듣고 대화하거나 추가적인 설명 등을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모드조절부(4)는 상기 음향출력부(3)에 의한 출력 모드를 조절하는 구성으로, 자기신호출력모듈(33)에 의한 자기 신호의 출력이 이루어지도록 하거나 이와 함께 스피커부(15)를 통한 소리의 출력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모드조절부(4)는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단일의 상기 모드조작부(14)를 통해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조작의 편의성을 높이도록 할 수 있으며, 회전에 따라 자기신호 및 소리 출력의 작동을 조절하고 이에 더해 볼륨의 조정까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모드조절부(4)는 신호출력개시모듈(41), 소리출력개시모듈(42), 볼륨조정모듈(4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신호출력개시모듈(41)은 상기 자기신호출력모듈(33)의 작동을 개시하는 구성으로, 본체부(1) 내의 전원 공급이 개시되어 자기신호출력모듈(33)의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소리출력개시모듈(42)은 상기 소리출력모듈(34)에 의한 소리의 출력을 개시하는 구성으로, 자기신호출력모듈(33)과 함께 소리출력모듈(34)의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소리출력개시모듈(42)은 상기 모드조작부(14)의 회전에 따라 신호출력개시모듈(41)이 작동한후 일정 정도 추가로 회전하는 경우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볼륨조정모듈(43)은 소리출력모듈(34)에 의해 출력되는 소리의 볼륨을 조정하는 구성으로, 상기 소리출력개시모듈(42)의 작동후 모드조작부(14)가 회전함에 따라 볼륨의 크기가 커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음성전달부(5)는 상기 본체부(1)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을 청각장애인에게 전달하는 구성으로, 주변 선생님이나 부모님 등의 음성이 청각장애인에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음성전달부(5)는 본체부(1)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을 문자 형태로 출력하여 청각장애인에게 시각적인 인식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또는 음성을 자기 신호로 변환하여 전달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음성전달부(5)는 본체부(1) 옆에서 선생님, 부모님 등 일반 사용자의 음성이 문자 또는 자기신호를 통해 청각장애인에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하여 컨텐츠부(11)에 관한 추가적인 설명을 제공하거나 대화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음성전달부(5)는 음성신호수신모듈(51), 문자변환모듈(52), 문자출력모듈(53), 자기신호변환모듈(54), 변환신호출력모듈(5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성신호수신모듈(51)은 상기 마이크부(16)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수신하는 구성으로, 본체부(1) 주변의 선생님, 부모님 등 일반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하도록 한다.
상기 문자변환모듈(52)은 음성신호수신모듈(51)에 의해 수신되는 음성을 문자로 변환하는 구성으로, 일반적으로 공지된 변환 알고리즘이 적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문자출력모듈(53)은 문자변환모듈(52)에 의해 변환된 문자를 상기 문자출력부(17)를 통해 출력하는 구성으로, 본체부(1) 상의 화면을 통해 문자를 출력하도록 하여 청각장애인이 주변 사람의 음성을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자기신호변환모듈(54)은 상기 음성신호수신모듈(51)에 의해 수신된 음성을 자기장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구성으로, 음성에 따른 자기장 신호의 출력을 통해 보청기 등의 청각보조기구에서 음성의 인식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자기신호변환모듈(54)은 주변의 음성을 문자 형태뿐만 아니라 청각장애인이 들을 수 있는 음향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글씨를 모르는 유아 등에게도 음성의 전달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변환신호출력모듈(55)은 자기신호변환모듈(54)에 의해 변환된 자기장 신호를 출력하는 구성으로, 상기 자기신호출력모듈(33)에 의해 텔레코일에서 인식할 수 있는 자기장 신호를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전달확인부(6)는 상기 음성전달부(5)의 작동 상태를 확인하는 구성으로, 특히 음성에 따른 문자 변환의 출력이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전달확인부(6)는 주변 사용자로 하여금 음성과 문자 출력의 불일치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입력된 정보에 따라 문자 변환 및 출력의 불일치 정도를 산정하도록 할 수 있고, 불일치 정도가 높아지는 경우 이를 알려 점검이나 교체, 수리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전달확인부(6)는 불일치입력모듈(61), 불일치개수선택모듈(62), 변환누적저장모듈(63), 불일치지수산정모듈(64), 변환이상알림모듈(6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불일치입력모듈(61)은 문자 변화의 불일치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는 구성으로, 본체부(1)에 형성된 별도의 버튼(미도시)을 눌러 불일치 정보의 입력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불일치개수선택모듈(62)은 불일치입력모듈(61)에 의한 버튼의 입력이 있은후 불일치되는 문자의 개수를 입력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상기 문자출력부(17)를 통해 개수를 입력할 수 있는 창을 제공하여 불일치하는 문자 개수의 입력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변환누적저장모듈(63)은 음성에서 문자로 변환되는 문자의 개수를 누적하여 저장하는 구성으로, 상기 문자변환모듈(52)에 의해 변환되는 문자의 개수를 누적하여 저장하도록 한다.
상기 불일치지수산정모듈(64)은 문자 변화의 불일치 정도를 산정하는 구성으로, 상기 변환누적저장모듈(63)에 의해 저장되는 문자 변환 개수와 상기 불일치개수선택모듈(62)에 의해 입력되는 불일치 문자의 개수의 비율에 따라 불일치 정도를 산정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불일치지수산정모듈(64)은 불일치되는 문자의 개수도 누적하여 저장하도록 하고, 누적되는 총 변환 문자의 개수와 불일치되는 문자의 개수의 비율에 따라 불일치 정도의 산정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변환이상알림모듈(65)은 문자 변환 작동의 이상을 알리는 구성으로, 상기 불일치지수산정모듈(64)에 의해 산정되는 불일치 정도가 설정된 값을 초과하는 경우 이상으로 판단하여 이를 알리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변환이상알림모듈(65)은 본체부(1) 상에서 이상 신호를 나타내는 소리를 출력하도록 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문자출력부(17)를 통해 이상을 표시하도록 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변환이상알림모듈(65)에 의해 이상 신호가 발생하는 경우 이를 신속하게 인지하여 문자변환모듈(52)에 대한 점검과 교체, 수리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각장애인을 위한 컨텐츠 음향 출력장치를 도 9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컨텐츠 음향 출력장치의 본체부(1)는 음향입력부(18)와 충전부(19)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향입력부(18)는 외부 기기의 음향을 입력받는 구성으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의 일측에 형성되어 스마트폰, 태블릿, 음성팝업북 등의 외부기기와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음향입력부(18)는 외부 기기로부터 음향신호를 수신하도록 할 수 있으며, 수신된 음향신호는 상기 음향출력부(3)를 통해 자기신호로 변환되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컨텐츠 음향 출력장치는 상기 컨텐츠인식부(2)를 통해 본체부(1) 상의 컨텐츠부(11)를 터치하여 컨텐츠에 따른 음향의 출력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별도의 컨텐츠 기기를 연결하여 그로부터 출력되는 음향을 자기신호로 변환시켜 청각보조기구로 전달하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컨텐츠기기에 대한 음향도 컨텐츠 음향 출력장치를 통해 듣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음향출력부(3)는 음향신호수신모듈(35)을 추가로 포함하여 상기 음향입력부(18)를 통해 입력되는 음향신호를 수신하도록 할 수 있으며, 수신된 음향을 자기신호출력모듈(33)을 통해 자기장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충전부(19)는 본체부(1) 내의 전원공급수단(미도시)을 충전하는 구성으로, 본체부(1) 일측에 형성되어 충전수단과의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배터리 등으로 형성되는 전원공급수단을 충전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출원인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한 어떠한 변경예 또는 수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본체부 11: 컨텐츠부
12: 인식부재연결부 13: 받침레그부
131: 받침레그 132: 레그수용홈
14: 모드조작부 15: 스피커부
16: 마이크부 17: 문자출력부
18: 음향입력부 19: 충전부
20: 컨텐츠인식부 21: 인식부재
211: 인식모듈 22: 연결라인
3: 음향출력부 31: 인식신호수신모듈
32: 저장음향매칭모듈 33: 자기신호출력모듈
34: 소리출력모듈 35: 음향신호수신모듈
4: 모드조절부 41: 신호출력개시모듈
42: 소리출력개시모듈 43: 볼륨조정모듈
5: 음성전달부 51: 음성신호수신모듈
52: 문자변환모듈 53: 문자출력모듈
54: 자기신호변환모듈 55: 변환신호출력모듈
6: 전달확인부 61: 불일치입력모듈
62: 불일치개수선택모듈 63: 변환누적저장모듈
64: 불일치지수산정모듈 65: 변환이상알림모듈

Claims (9)

  1. 시각적으로 인식 가능한 콘텐츠가 장착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장착된 콘텐츠에 표시된 패턴을 인식하며, 상기 본체부와 연결되어 패턴에 관한 정보를 전달하는 컨텐츠인식부와;
    상기 컨텐츠인식부에 의해 인식된 패턴에 따라 저장된 음향신호를 출력하는 음향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음향출력부는 청각장애인의 청각보조기구를 통해 인식할 수 있는 자기장 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음향출력부는
    상기 컨텐츠인식부에 의해 인식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인식신호수신모듈과, 상기 인식신호수신모듈에 의해 수신된 신호에 대해 저장된 음향정보를 매칭시키는 저장음향매칭모듈과, 매칭된 음성정보를 자기 신호로 출력시키는 자기신호출력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음향출력부는
    상기 본체부의 스피커부를 통해 매칭된 음향을 함께 출력하는 소리출력모듈을 추가로 포함하며,
    하기 컨텐츠 음향 출력장치는
    상기 음향출력부의 음향 출력 모드를 조절하는 모드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모드조절부의 작동을 조절하는 모드조작부를 포함하며,
    상기 모드조절부는,
    상기 모드조작부의 초기 회전에 따라 상기 자기신호출력모듈에 의한 자기신호의 출력을 개시하는 신호출력개시모듈과, 상기 모드조작부가 일정정도 이상 회전할 경우 상기 소리출력모듈에 의한 소리의 출력을 추가적으로 개시하는 소리출력개시모듈과, 소리 출력 개시후 모드조작부의 추가적인 회전에 따라 소리의 출력 크기를 증가시키는 볼륨조정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각장애인을 위한 컨텐츠 음향 출력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음향 출력장치는
    상기 본체부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을 청각장애인에게 전달하는 음성전달부를 포함하고,
    상기 음성전달부는,
    상기 본체부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수신하는 음성신호수신모듈과, 수신된 음성을 문자로 변환하는 문자변환모듈과, 변환된 문자를 본체부를 통해 표시하는 문자출력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각장애인을 위한 컨텐츠 음향 출력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전달부는
    문자로 변환된 음성을 자기신호로 변환하는 자기신호변환모듈과, 변환된 자기신호를 출력하는 변환신호출력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각장애인을 위한 컨텐츠 음향 출력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음향 출력장치는
    상기 음성전달부에 의한 문자 출력 상태를 확인하는 전달확인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달확인부는,
    입력된 음성과 문자가 불일치하는 정보를 본체부를 통해 입력하는 불일치입력모듈과, 불일치하는 문자의 개수에 관한 정보를 선택하는 불일치개수선택모듈과, 상기 음성전달부에 의한 문자 변환 개수를 누적하여 저장하는 변환누적저장모듈과, 누적하여 저장되는 문자 변환 개수에 대한 불일치 문자의 비율에 따라 불일치 정도를 산정하는 불일치지수산정모듈과, 산정된 불일치 지수가 설정값을 초과하는 경우 음성전달부의 작동이상으로 판단하여 이를 알리는 변환이상알림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각장애인을 위한 컨텐츠 음향 출력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본체부를 받쳐 세우는 받침레그부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레그부는,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본체부를 지면과 일정 높이 이격되도록 세우는 받침레그와,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 일정 깊이 함입되도록 형성되어 받침레그가 삽입되는 레그수용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각장애인을 위한 컨텐츠 음향 출력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외부 기기와 연결되어 외부 기기로부터 음향정보를 입력받는 음향입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음향출력부는,
    상기 음향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음향신호에 따라 자기신호를 발생시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각장애인을 위한 컨텐츠 음향 출력장치.
KR1020210026812A 2021-02-26 2021-02-26 청각장애인을 위한 컨텐츠 음향 출력장치 KR1025984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6812A KR102598498B1 (ko) 2021-02-26 2021-02-26 청각장애인을 위한 컨텐츠 음향 출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6812A KR102598498B1 (ko) 2021-02-26 2021-02-26 청각장애인을 위한 컨텐츠 음향 출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2324A KR20220122324A (ko) 2022-09-02
KR102598498B1 true KR102598498B1 (ko) 2023-11-07

Family

ID=832809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6812A KR102598498B1 (ko) 2021-02-26 2021-02-26 청각장애인을 위한 컨텐츠 음향 출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849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3706461U (zh) 2013-12-30 2014-07-09 宜新文化事业有限公司 发音分离式蓝牙点读笔
US20210183400A1 (en) 2019-12-11 2021-06-17 Mayo Foundation For Medical Education And Research Auditory stylus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2808B1 (ko) * 1999-10-09 2002-03-18 김철수 노이즈 성분 측정에 의한 노이즈 필터 회로 자동 설계장치
KR20070056706A (ko) * 2005-11-30 2007-06-04 주식회사 팬택 동작 인식 펜으로부터의 키를 인식하는 통신 단말기 및방법
KR20180016195A (ko) * 2016-08-05 2018-02-14 이지명 문자음성 변환기술을 이용한 한국어 자가학습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3706461U (zh) 2013-12-30 2014-07-09 宜新文化事业有限公司 发音分离式蓝牙点读笔
US20210183400A1 (en) 2019-12-11 2021-06-17 Mayo Foundation For Medical Education And Research Auditory stylus system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56706호(2007.6.4. 공개) 1부.*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16195호(2018.2.14. 공개) 1부.*
등록특허공보 제10-2000282호(2019.7.15. 공고) 1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2324A (ko) 2022-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303052A1 (en) Wearable auditory feedback device
KR101759047B1 (ko) 연골 전도부를 갖는 휴대 전화
JP6798484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Robitaille The illustrated guide to assistive technology and devices: Tools and gadgets for living independently
US20130343585A1 (en) Multisensor hearing assist device for health
CN106714902B (zh) 听力设备的用户接口
US10453459B2 (en) Interpreting assistant system
US20120114158A1 (en) Hearing assistance system
US20150296308A1 (en) Method for providing distant support to a personal hearing system user and system for implementing such a method
US20220369050A1 (en) Advanced assistance for prosthesis assisted communication
KR102598498B1 (ko) 청각장애인을 위한 컨텐츠 음향 출력장치
KR20100050959A (ko) 청각장애인을 위한 의사 소통 시스템
US11962976B2 (en) Method for operating a hearing aid system, and hearing aid system with a hearing aid
KR101835349B1 (ko) 좌우 청력 보정 기능을 갖는 이어폰
KR101413598B1 (ko) 진동 스피커가 부착된 의자를 이용한 발음 교정 장치 및 방법
US20170018281A1 (en) Method and device for helping to understand an auditory sensory message by transforming it into a visual message
Olaosun et al. Assistive technology for hearing and speech disorders
Thibodeau Advanced practices: assistive technology in the age of smartphones and tablets
KR20200087940A (ko) 감정의 전달이 가능한 청각장애인 스마트글래스
JP6594096B2 (ja) 補聴器を用いた会話支援システム
US10299050B2 (en) Mobile audio receiver
US10580431B2 (en) Auditory interpretation device with display
JP2010161431A (ja) 補聴状態チェックシステム
KR101121063B1 (ko) 인공성대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
JP6014070B2 (ja) スピーカ装置、及び、会話支援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