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7421B1 - communication system for deaf person - Google Patents

communication system for deaf pers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7421B1
KR101017421B1 KR1020080110098A KR20080110098A KR101017421B1 KR 101017421 B1 KR101017421 B1 KR 101017421B1 KR 1020080110098 A KR1020080110098 A KR 1020080110098A KR 20080110098 A KR20080110098 A KR 20080110098A KR 101017421 B1 KR101017421 B1 KR 1010174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hearing impaired
communication device
key input
interpr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009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00050959A (en
Inventor
양승호
송지원
Original Assignee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801100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7421B1/en
Publication of KR201000509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095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74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742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47Telephone sets including user guidance or feature selection means facilitating their use
    • H04M1/2474Telephone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disabled people
    • H04M1/2475Telephone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disabled people for a hearing impaired u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6Simultaneous speech and data transmission, e.g. telegraphic transmission over the same conductors

Abstract

본 발명은 청각장애인을 위한 의사 소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청각장애인이 통화를 접속하면 수화화상통화가 가능한 통역사가 상주하는 원격지의 통역센터와, 상기 통역센터에 원격으로 접속하여 통역사와 수화화상통화를 할 수 있는 휴대통신장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munication system for a hearing impaired person, a remote interpretation center where an interpreter who can do a sign language call resides when the deaf person accesses a call, and remotely connects the interpreter and a sign language call to the interpreter center. It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capable of.

본 발명에 따른 의사 소통 시스템을 이용하면 청각장애인들은 통역센터와 원격 접속이 가능한 휴대통신장치를 이용함으로써 근거리 또는 원거리의 건청인과 원활하면서도 정확한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By using th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ring impaired people have an advantage that they can communicate smoothly and accurately with a near or long-distance hearing person by using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capable of remote access with an interpretation center.

청각, 장애인, 통역, 건청인 Hearing impaired, disabled, interpreter

Description

청각장애인을 위한 의사 소통 시스템 { communication system for deaf person }Communication system for deaf person {communication system for deaf person}

본 발명은 청각장애인을 위한 의사 소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청각장애인들의 실제 생활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의사소통이 충분히 전달 및 만족될 수 있게 사용되는 청각장애인을 위한 의사 소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munication system for the hearing impaired, and more specifically, to a communication system for the hearing impaired, which is used to be sufficiently delivered and satisfied communication in the real life of the hearing impaired. will be.

일반적으로 정보화 사회에 있어서 정보통신의 접근은 의사소통 및 정보획득의 수단으로 일상생활을 영위하는 핵심요소로 인식되며 이에 대한 접근이 배제된다는 것은 사회적 참여로부터 배제됨을 의미한다. In general, in the information society, access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is recognized as a key element of daily life as a means of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acquisition, and the exclusion of access means that it is excluded from social participation.

한편, 최근 우리나라는 정보화가 급진전 되었지만, 아직도 정보화 취약계층에 대한 사회적 배려는 부족한 형편이다. On the other hand, although Korea has recently advanced in information technology, social considerations for the vulnerable informatization are still insufficient.

특히, 장애인의 정보접근성은 비장애인의 1/3 수준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는데, 장애인들이 지니고 있는 사회경제적, 인구학적 특성이 정보 및 통신의 접근에 매우 불리하게 작용하고 있다. In particular, information accessibility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is less than one-third of non-disabled people, and the socioeconomic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are very detrimental to access to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그러나, 그보다 더 중요한 것은 사회 경제학적, 인구학적 특성(고연령, 저학력, 저소득 등) 뿐만 아니라 장애 그 자체가 직접적으로 정보의 습득과 활용에 매우 큰 영향을 끼치고 있다는 사실이다. 정보 사회에서 정보 및 통신의 접근이 보장되지 않는다면 이미 물리적 세계에서 접근이 제한적인 장애인들은 더욱 소외되고 차별 받을 수밖에 없다. More important, however, is that the disability itself, as well as socioeconomic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high age, low education, low income, etc.), directly affects the acquisition and use of information. If access to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is not guaranteed in the information society, people with limited access in the physical world will be further alienated and discriminated against.

따라서, 장애인들에게 정보와 통신에 대한 접근 방법과 기회를 제공하는 것은 이들의 소외와 차별을 해소하고 사회적 참여를 보장하기 위한 중요한 요소이다. Thus, providing access and opportuniti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to acces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is an important factor in resolving their alienation and discrimination and ensuring their social participation.

한편, 장애인의 경우 일반인들과는 상당히 다른 신체적, 심리적 및 사회적 특성과 인지능력을 보여준다. On the other hand, people with disabilities exhibit phys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characteristics and cognitive abilitie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general public.

이와 같은 장애 중에 청각장애는 말을 이루는 소리를 듣는 청각기관에 이상이 생기거나 또는 들은 소리를 뜻 있는 말로 해석하는 중추기관에 이상이 생겨 의사소통에 지장이 있는 경우를 일컫는 것으로, 미국의 장애인 교육법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Act)에 의하면 청각장애는 농과 난청을 포함하는데, “농”이란 음을 증폭하여 들려주든, 증폭하지 않든 청각으로 언어를 처리하는데 장애가 있을 정도로 아동의 교육적 수행에 부정 영향을 미치는 대단히 심한 청각장애를 의미하는 것으로 정의하고, “난청”이란 농의 정의에는 포함되지 않으나 아동의 교육적 수행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영구적인 또는 변동하는 청각장애를 의미한다. Among these disorders, hearing impairment refers to a case in which the hearing organ that listens to a speech makes an abnormal condition or the central organ that interprets the sound that is interpreted as a meaningful word has difficulty in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Act, deafness includes deafness and deafness, which greatly affect children's educational performance to the extent that they have impaired ability to process speech by hearing, whether amplified or not. "Deafness" is defined as meaning severe hearing impairment, and "hard hearing" means a permanent or variable hearing impairment that is not included in the definition of agriculture but has a negative effect on the educational performance of the child.

한편, 우리나라의 장애인 복지법에서는 청각장애로 인하여 장기간에 걸쳐 일상생활 또는 사회생활에 상당한 제약을 받는 자를 청각장애인으로 정의하고 있으 며, 동법시행령은 청각장애인의 기준으로, 두 귀의 청각 손실이 각각 60dB이상인 자, 한 귀의 청각손실이 80dB 이상, 다른 귀의 청력 손실이 40dB 이상인 자, 두 귀에 들리는 보통 말소리의 명료도가 50 퍼센트 이하인 자로 규정하고 있다.Meanwhile, the Korean Welfare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defines the deaf as a hearing impaired person who is severely constrained in their daily or social life for a long time due to hearing impairment. Now, the hearing loss of one ear is more than 80dB, the hearing loss of another ear is more than 40dB, and the clarity of speech in both ears is less than 50%.

한편, 난청인과 일부 농인들은 청능 훈련을 받고 음성언어를 습득하여 구화법을 사용하기도 하나, 청각장애인 사회에서의 주된 의사소통 언어로 수화(手話)를 사용한다. 이와 같은 수화는 소리 없이 동작으로 의사를 소통하는 언어로 수화의 사용에는 때때로 지문자(指文字)와 음성언어가 보조수단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On the other hand, deaf people and some peasants receive hearing training, acquire a spoken language, and use speech, but they use sign language as the main communication language in the hearing-impaired society. This sign language is a language that communicates by voiceless movement. Sometimes, a sign language and a voice language are used as an auxiliary means to use sign language.

이때, 수화는 조사나 용언의 활용 등 문법체계가 국어와 달라서 소리글자인 국어와 수화 기호는 일대일 대응관계를 갖지 못하기 때문에 국어의 문법체계를 따르는 문법성 수화가 개발되어 청각장애인에게 읽기 및 쓰기 능력을 향상시키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그 효과는 아직 검증되지 않았다. 그 밖에도 필담이나 몸짓 등으로 의사소통을 하기도 한다.At this time, sign language is different from Korean language because the grammar system such as survey or use of verbal language does not have a one-to-one correspondence between the Korean language and the sign language. Attempts have been made to improve abilities, but the effects have not yet been validated. Others may communicate by writing or gestures.

그런데,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청각장애인은 다른 신체 장애인들과 비교하여 외관(外觀)으로 확연히 구분되는 장애의 특징은 없으나 의사소통의 어려움은 내적인 문제를 유발한다고 보고되고 있다. 심리학자나 언어학자들의 연구 결과에 의하면 청각장애인들의 인지능력은 정상인(이하, '건청인'이라 한다.)과 차이가 없다. However, the hearing impaired person as described above does not have distinctive features of the disorder clearly distinguished from other physically disabled persons, but it is reported that difficulty in communication causes internal problem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psychologists and linguists, the cognitive abilities of the hearing impaired are no different from those of normal people.

그러나, 농아인의 학문성취도는 기대수준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나는데, 이는 학문 성취 수준이 지체되어 있기 보다는 그들의 언어 이해력이 낮은 탓이다. 또한 청각장애인들은 사회 및 성격적 적응에 있어서 건청인과 차이가 없지만, 의사소통 문제로 인한 스트레스는 청각장애인들의 정신 건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처럼 청각장애로 인한 의사소통의 문제는 이들의 언어와 심리, 학습 등을 포함한 일상생활을 제약하게 되어 이들의 삶의 질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However, the academic achievement of deaf people appears to be lower than expected, because their language comprehension is low rather than delayed academic achievement. Hearing impaired people are no different from healthy people in social and personal adaptation, but stress due to communication problems can affect the mental health of the hearing impaired. As such, communication problems caused by hearing impairments are limiting their daily lives, including their language, psychology, and learning.

한편, 최근에 이와 같은 청각장애인들의 의사소통을 도와주는 보조기기들이 출시되고 있으나, 대부분 청각장애인들의 신체적인 특성인 청각의 장애에 따른 의사소통의 문제를 도와주기 위해 작은 목소리를 크게 확장시켜주거나 입력된 문자 정보를 청각정보로 변환 시켜주는 것과 같이 단편적인 해결책만을 제시하고 있다.Recently, assistive devices to help the hearing-impaired people have been released. However, in order to help the communication problems caused by the hearing impairment, which is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hearing-impaired people, a large voice is greatly expanded or inputted. Only a fractional solution is presented, such as the conversion of written character information into auditory information.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단순한 정보의 변환이나 정보의 형태 변환과 같은 일차적 대안보다는 청각장애인들의 실제 생활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의사소통이 충분히 전달 및 만족될 수 있도록 고안된 청각장애인을 위한 의사 소통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is problem,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designed to sufficiently communicate and satisfy the communication in the real life of the hearing impaired, rather than the primary alternatives such as the simple conversion of information or the form of information. The aim is to provide a communication system for the deaf.

특히, 본 발명은 청각장애인이 근거리 또는 원거리의 건청인과의 의사소통 및 원거리의 청각장애인과의 원활한 의사소통이 가능하도록 하는 청각장애인을 위한 의사 소통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In particular,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mmunication system for the hearing impaired to enable the hearing impaired to communicate with the near-distance or long-distance hearing impaired and smoothly with the remote-deaf.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such a problem;

청각장애인이 통화를 접속하면 수화화상통화가 가능한 통역사가 상주하는 원격지의 통역센터와, 상기 통역센터에 원격으로 접속하여 통역사와 수화화상통화를 할 수 있는 휴대통신장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각장애인을 위한 의사 소통 시스템을 제공한다.Hearing impaired by the hearing impaired is composed of a remote interpretation center where the interpreter who is capable of a sign language call resides, and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that can remotely access the interpreter center to make a sign language call with the interpreter. Provide a communication system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이때, 상기 휴대통신장치는; 상기 청각장애인의 영상 및 음성을 캡쳐하는 카메라 및 마이크와, 상기 통역사의 음성정보를 출력하는 스피커와, 상기 통역센터에 연결하여 수화화상통화시에 통역사의 영상이 표시되는 제1디스플레이부와, 문자나 숫자 및 특수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제1키입력부와, 상기 통역센터에 접속하여 정 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장거리 통신부와, 상기 장거리통신을 제어하기 위한 메인제어프로그램 및 전화번호를 저장 및 관리하는 제1메모리부와, 상기 제1키입력부와 장거리 통신부와 제1메모리부의 기능을 감시 및 제어하는 제1제어부와,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1배터리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 camera and microphone for capturing the image and sound of the hearing impaired, a speaker for outputting the interpreter's voice information, a first display unit connected to the interpreter center to display an interpreter's video during a sign language call, and a text message. A first key input unit capable of inputting numbers and special characters, a long distance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by accessing the interpretation center, a main control program and a phone number for controlling and controlling the long distance communication; And a first memory part for monitoring and controlling the functions of the first key input part, the long distance communication part, and the first memory part, and a first battery part for supplying power.

특히, 상기 휴대통신장치는 근거리의 건청인과 필담(筆談)이 가능하도록 상기 키입력부를 통한 키입력 문자가 상기 제1디스플레이부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particular, th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is characterized in that a key input character through the key input unit is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unit so that a near field audience and a written chat can be performed.

또한, 상기 휴대통신장치는 무선으로 신호송수신이 가능한 제1근거리통신부가 더 구비되어; 청각장애인의 손목에 착용되되 상기 제1근거리통신부와 무선으로 신호가 수신되면 진동음을 출력하는 바이브레이터 장치와 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ortable communication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first short range communication unit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ignal wirelessly; It is worn on the wrist of the hearing impaired,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terlocked with the vibrator device for outputting a vibration sound when a signal is received wirelessly with the first near field communication unit.

이때, 상기 바이브레이터 장치는; 상기 제1근거리통신부와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2근거리통신부와, 키입력을 위한 제2키입력부와, 상기 제2근거리통신부 및 제2키입력부의 입력정보를 처리하는 제2제어부와, 상기 휴대통신장치를 통해 수신되는 문자메시지 또는 키입력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제2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제2근거리통신부를 통해 통화시도신호 또는 문자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진동음을 상기 청각장애인에게 전달하기 위해 구동되는 진동모듈부와,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제2배터리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vibrator device; A second local are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ignal wirelessly with the first local area communication unit, a second key input unit for key input, a second controller for processing input information of the second local area communication unit and the second key input unit, and A second display unit capable of checking a text message or key input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driving to transmit a vibration sound to the hearing impaired when a call attempt signal or a text message is received through the second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And a second battery unit for supplying driving power to the vibration module unit.

특히, 상기 바이브레이터 장치는 현재시간을 표시하는 시계모듈부와 타인의휴대 통신 장치로부터 무선으로 신호가 수신되면 점멸되는 램프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particular, the vibrator devic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clock module for displaying the current time and the lamp unit which is blinking when a signal is received wirelessly from another person's mobile communication device.

또한, 상기 제2키입력부는 상기 청각장애인이 대응할 수 없는 음성 전화가 온 경우에 상기 휴대통신장치에 저장된 녹음메시지가 송출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응답버튼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econd key input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as an automatic answer button for transmitting a recorded message stored in th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when a voice call that the hearing impaired can not come.

한편, 상기 휴대통신장치는 가정이나 사무실에서 사용시 보다 큰 화면으로 수화를 대화할 수 있도록 디자인된 거치장치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th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urther provided with a mounting device designed to talk the sign language on a larger screen when used in the home or office.

본 발명에 따르면 청각장애인들은 통역센터와 원격 접속이 가능한 휴대통신장치를 이용함으로써 근거리 또는 원거리의 건청인과 원활하면서도 정확한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ring impaired person has an advantage of communicating smoothly and accurately with a near or long-distance hearing person by using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capable of remote access with an interpretation center.

또한, 본 발명은 손목에 착용할 수 있는 바이브레이터 장치를 구비하여 진동으로 휴대통신장치의 통화신호의 수신여부을 확인할 수 있어 휴대통신장치를 신체에 지니고 있지 않고 일정 반경 내의 위치에만 두더라도 용이하게 바이브레이터 장치를 통해 확인할 수 있어 가정에서의 일상생활 중이나 수면 시에도 휴대통신장치의 수신 정보를 놓치지 않게 함은 물론, 신체에서 멀어지면 감지할 수 없는 진동 신호의 특성으로 인한 청각장애인들의 불안감을 해소하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vibrator device that can be worn on the wrist to check whether the reception signal of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by vibrating, so that the vibrator device can be easily placed even if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is not placed on the body but only within a certain radius. It is possible to check through the recep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during everyday life or sleep at home, as well as to relieve anxiety of the hearing impaired by the characteristics of the vibration signal that can not be detected when moving away from the body .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청각장애인을 위한 의사 소통 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communication system for the hearing impair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때,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청각장애인을 위한 의사 소통 시스템을 이용한 의사 소통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청각장애인을 위한 의사 소통 시스템의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청각장애인을 위한 의사 소통 시스템의 상세 구성도이다.At this time, Figure 1 is a conceptual diagram of communication using a communication system for the hearing impair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block diagram of a communication system for the hearing impair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hea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iagram of communication system for the disabled.

먼저, 도 1 내지 도 3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청각장애인을 위한 의사 소통 시스템은 청각장애인(10)이 약국이나 상점 등에 방문하는 경우 근거리의 건청인(20)과 무리없이 의사소통을 할 수 있도록 하거나, 또는 원거리의 건청인(30) 또는 청각장애인(40)과 무리없이 의사소통을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도록 설계된다. First, according to FIGS. 1 to 3, the communication system for the hearing impair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allow a hearing impaired person 10 to communicate with the near hearing person 20 at a short distance when visiting a pharmacy or a store. , Or is designed to help communicate with the remote hearing (30) or deaf (40) without difficulty.

물론, 근거리의 청각장애인들(10,11) 끼리는 수화를 통해 직접 대화함이 가능하므로 그와 같은 경우에는 본 발명에 따른 청각장애인을 위한 의사 소통 시스템의 기능이 지극히 제한적이므로 이하에서는 그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Of course, the hearing-impaired people in the near distance (10, 11) can be directly communicated through the sign language, in which case the function of the communication system for the hearing impaired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is extremely limited,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reof Omit.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청각장애인을 위한 의사 소통 시스템은 청각장애인(10)이 휴대하며 원격지의 통역센터(50)의 통역사(51)와 수화화상통화를 할 수 있는 휴대통신장치(100)를 이용한다. Such a communication system for the hearing impaired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100 that the hearing impaired person 10 can carry and have a sign language conversation with an interpreter 51 of a remote interpretation center 50. .

이때, 청각장애인(10)이 휴대통신장치(100)를 통해 수화나 SMS정보의 수신 유무 등에 관한 정보를 원활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손목에 착용하는 바이브레이터 장치(200)와, 가정이나 사무실에서 사용시 보다 큰 화면으로 수화를 대화할 수 있 도록 디자인된 거치장치(300)가 더 구비된다.At this time, the hearing impaired person (10) and the vibrator device 200 to be worn on the wrist so that the information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receiving or SMS information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100, and larger than when used at home or office It is further provided with a mounting device 300 is designed to talk sign language on the scree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청각장애인을 위한 의사 소통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부 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ach part device constituting the communication system for the hearing impair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먼저, 상기 휴대통신장치(100)는 본원 발명의 전체 시스템의 중심이 되는 모듈로서, 가로형 또는 세로형의 폴더 방식으로 디자인됨이 바람직하며, 후측에 착탈이 가능한 전원부인 배터리가 내장되며, 기기를 세울 수 있도록 하여 양손을 사용한 자유로운 수화가 가능하도록 외형 설계하고, 인터페이스에 있어서는 문자와 함께 수화로도 장치의 사용을 안내 하도록 디자인되어 문자에 능숙하지 못한 청각장애인들의 편의를 도모함이 바람직하다. First,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100 is a module that becomes the center of the entir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preferably designed in a horizontal or vertical folder type, and a battery, which is a detachable power supply unit, is built in the rear side. The external design is designed to allow the sign language to be used freely by using both hands, and the interface is designed to guide the use of the device as a sign language as well as a letter.

이와 같은 휴대통신장치(100)는 청각장애인(10)의 영상 및 음성을 캡쳐하는 카메라(102) 및 마이크(104)와, 음성정보를 출력하는 스피커(106)와, 통상적인 전화번호와 수화화상통화시에 통역사(51)의 영상이 표시되는 제1디스플레이부(108)와, SMS서비스 등을 위해 문자나 숫자 및 특수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제1키입력부(110)와, 원거리 전화통신을 위한 장거리 통신부(112)와, 메인제어프로그램 및 전화번호와 같은 관리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제1메모리부(114)와, 상기 제1키입력부(110)와 장거리 통신부(112)와 제1메모리부(114)의 기능을 감시 및 제어하는 제1제어부(116)와,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1배터리부(118)로 이루어진다.Such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100 includes a camera 102 and a microphone 104 for capturing the image and sound of the deaf 10, a speaker 106 for outputting voice information, a general telephone number and a sign language image. The first display unit 108, which displays an image of the interpreter 51 at the time of the call, the first key input unit 110 for inputting letters, numbers, and special characters for SMS service, and the like. A long distance communication unit 112, a first memory unit 114 for storing and managing management information such as a main control program and a telephone number, the first key input unit 110, a long distance communication unit 112, and a first memory A first control unit 116 for monitoring and controlling the function of the unit 114, and a first battery unit 118 for supplying power.

따라서, 상기 청각장애인(10)들은 상기 휴대통신장치(100)를 이용하여 수화영상통화 및 문자 메시지 등으로 원거리의 청각장애인(40)들과 통신하며, 근거리 또는 원거리의 건청인(20,30)과 대화나 전화시에는 통역센터(50)를 연결하여 원격통역이나 전화 중개 통역 등의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Therefore, the hearing impaired persons 10 communicate with the hearing impaired persons 40 through a sign language video call and a text message using th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100, and communicate with the near or remote hearing persons 20 and 30. At the time of conversation or telephone connection, the interpreter center 50 can be connected to receive services such as remote interpreter or telephone brokerage interpreter.

이 경우 상기 통역센터(50)는 휴대통신장치(100)와 원격으로 통신연결 가능한 장거리통신부가 구비되며 화상통신이 가능하도록 카메라와 이어마이크가 구비되는 서버 및 유/무선전화기가 구비됨은 당연하므로 통역센터의 각각의 부수적인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In this case, the interpretation center 50 is provided with a long-distance communication unit that can be remotely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100, the camera and the ear microphone is provided so that the video communication and the wire / wireless telephone is naturally Detailed description of each additional configuration of the center is omitted.

물론, 상기 휴대통신장치(100)는 통역센터(50)를 통하지 않고서도 간단히 청각장애인(10)이 문자를 입력하고 이를 근거리의 건청인(20)이 확인하며 문자입력하는 일련의 과정을 통해 간단한 대화를 돕는 디지털 필담 기능이 가능하다.Of course, th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100 is a simple conversation through a series of processes that the hearing impaired person 10 simply enters a character and confirms it by a short-term hearing person 20 without input through the interpretation center 50. A digital text chat function is available to help.

이때, 원격지의 통역센터(50)와의 연결하거나 원거리의 건청인(30) 또는 청각장애인(40)과의 통신을 위해 상기 장거리 통신부(112)는 GSM, CDMA, IMT 2000, 와이브로, 무선 TRS, UHF, VHF, AM, FM 등 장거리 통신이 가능한 모듈로 구성됨은 당연하다.At this time, the long-distance communication unit 112 is connected to the remote interpretation center 50 or the remote hearing unit 30 or hearing impaired person 40, GSM, CDMA, IMT 2000, WiBro, wireless TRS, UHF, Naturally, it consists of modules capable of long-distance communication such as VHF, AM, and FM.

한편, 상기 제1키입력부(110)는 전화번호나 문자메시지 또는 필담(筆談) 등이 가능하도록 청각장애인(10)이 직접 키입력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입력정보는 제1메모리부(114)에 저장된다.On the other hand, the first key input unit 110, the hearing impaired person 10 can directly key input such that a telephone number, a text message or a written message (筆談) and the like, such input information is input to the first memory unit 114. Stored.

또한, 상기 휴대통신장치(100)는 청각장애인(10)이 항상 휴대하고 있어야 하고 통화시도 또는 SMS문자메시지 등의 송수신 여부를 수시로 확인하기 어렵다 따라서, 상기 휴대통신장치(100)와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바이브레이터 장치(200)가 구 비된다.In addi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100 should always be carried by the hearing impaired person 10, and it is difficult to check whether or not a communication attempt or SMS text message is frequently performed. Therefore,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100 is possible. The vibrator device 200 is provided.

이와 같은 바이브레이터 장치(200)와 휴대통신장치(100)가 무선으로 근거리통신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휴대통신장치(100)는 상기 바이브레이터 장치(200)와 무선으로 신호송신이 가능한 제1근거리통신부(120)가 구비되고, 상기 바이브레이터 장치(200)도 상기 제1근거리통신부(120)와 무선통신이 가능한 제2근거리통신부(202)가 구비된다.In order to enable the vibrator device 200 and th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100 to perform short-range communication wirelessly, th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100 may include a first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capable of wirelessly transmitting a signal with the vibrator device 200 ( 120 is provided, and the vibrator device 200 is also provided with a second near field communication unit 202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near field communication unit 120.

이때, 상기 제1 및 제2근거리통신부(120,202)는 무선 통신 반경 10m이내의 비허가 주파수대역(예 ISM밴드)을 이용하는 블루투스(bluetooth), 직비(igbee) 등의 무선모듈로 구성되어 쌍방향 통신을 하게 된다. In this case, the first and second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120, 202 is composed of a wireless module, such as Bluetooth (bluetooth), direct access (igbee) using an unlicensed frequency band (e.g., ISM band) within a wireless communication radius of 10m to perform two-way communication Done.

즉, 상기 바이브레이터 장치(200)는 손목에 착용이 가능한 밴드부(202)가 일측에 구비되는 하우징(200a)에 구비되되 상기 휴대통신장치(100)와 근거리통신을 위한 제2근거리통신부(202)와, 키입력을 위한 제2키입력부(204)와, 상기 제2근거리통신부(202) 및 제2키입력부(204)의 입력정보를 처리하는 제2제어부(206)와, 상기 휴대통신장치(100)를 통해 수시되는 문자메시지 또는 키입력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제2디스플레이부(208)와, 상기 제2근거리통신부(202)를 통해 통화시도신호 또는 문자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진동음 또는 점멸신호를 상기 청각장애인에게 전달하기 위해 구동되는 진동모듈부(210) 또는 램프구동부와, 구동프로그램이 저장되는 제2메모리부(216)와,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제2배터리부(212)로 이루어진다.That is, the vibrator device 200 is provided in the housing 200a having a band portion 202 worn on the wrist on one side, and the second near field communication unit 202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100. A second key input unit 204 for key input, a second control unit 206 for processing input information of the second near field communication unit 202 and the second key input unit 204, and th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100 A second display unit 208 capable of confirming a text message or key input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second display unit 208 and a vibration sound or a flashing signal when a call attempt signal or a text message is received through the second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202. Vibration module unit 210 or a lamp driving unit for driving to deliver to the hearing impaired, the second memory unit 216 to store the drive program, and a second battery unit 212 to supply the driving power.

이때, 상기 휴대통신장치(100)와 바이브레이터 장치(200)의 제1 및 2디스플레이부(108,208)는 LCD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and second display units 108 and 208 of th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100 and the vibrator device 200 are configured of LCD.

이와 같이 구성되는 바이브레이터 장치(200)를 손목에 시계처럼 착용한 상태로 사용할 수 있으며 휴대통신장치(100)의 수신 신호를 무선으로 수신받게 되면 진동으로 알려준다. The vibrator device 20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may be used in a state of being worn like a watch on a wrist and vibrates when a reception signal of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100 is received wirelessly.

따라서, 청각장애인(10)이 신체에서 멀어지면 감지할 수 없는 진동 신호의 특성 때문에 청각장애인(10)이 불안해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되며, 가정에서의 일상생활 중이나 수면 시에도 휴대통신장치(100)의 수신 정보를 놓치지 않게 된다.Therefore, the hearing impaired person 10 can solve the problem that the hearing impaired person 10 is unstable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vibration signal that cannot be detected when the person is far from the body,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100 during everyday life or sleep at home. ) Will not miss the received information.

한편, 상기 바이브레이터 장치(200)는 별도의 시계모듈부(214)가 더 구비된다. 이와 같은 시계모듈부(214)가 더 구비되어 평소에는 시간을 확인할 수 있어 그 기능이 확대되며, 휴대통신장치(100)에 메시지나 전화가 수신되는 경우에는 바이브레이터 장치(200)를 통해 간단한 수신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vibrator device 200 is further provided with a separate clock module unit 214. The clock module unit 214 is further provided such that the time can be checked at normal times and its function is expanded. When a message or a telephone is receiv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100, the reception information is simply received through the vibrator device 200. You can check.

또한, 상기 제2키입력부(204)는 자동응답버튼(204a)이 구비된다. 이와 같은 자동응답버튼(204a)은 특히 청각장애인(10)이 대응할 수 없는 음성 전화가 온 경우에는 휴대통신장치(100)의 제1메모리부(114)에 저장된 “청각장애인이니 문자 메시지로 연락주세요”하는 녹음된 메시지가 송출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하여, 편리한 대응을 가능하도록 하였다. In addition, the second key input unit 204 is provided with an auto answer button 204a. This automatic answer button (204a) is a hearing impaired person 10, especially when a voice call comes to the first memory unit 114 of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100 "deaf hearing impaired, please contact by text message To make a recorded message to be sent out, so that a convenient response is possible.

이와 같은 바이브레이터 모듈(200)은 휴대통신장치(100)를 손목에 착용할 수 있는 결합부의 역할을 하여 이동 중이나 자동차 등의 장소에서 수화영상통화를 장시간 사용하게 될 때에 편리를 도모하도록 디자인됨이 바람직하다.The vibrator module 200 serves as a coupling part that can be worn on the wris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100, so that the vibrator module 200 is designed to be convenient when the sign language video call is used for a long time in a place such as a car or a car. Do.

한편, 상기 휴대통신장치(100)는 가정이나 사무실에서 사용시 보다 큰 화면 으로 수화를 대화할 수 있도록 디자인된 거치장치(300)가 더 구비된다.On the other hand,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100 is further provided with a mounting device 300 is designed to talk sign language on a larger screen when used at home or office.

이와 같은 거치장치(300)는 가정이나 사무실에서 휴대통신장치(100)를 결합하여 큰 화면에서 수화영상통화가 가능하도록 제공함과 동시에 제1배터리부(118)의 충전 등 휴대통신장치(100)의 보관을 위한 거치대의 역할을 하도록 디자인됨이 바람직하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거치장치(300)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면에 상기 휴대통신장치(100)를 거치할 수 있도록 하는 거치홈(310)이 형성되고, 전면에는 제3디스플레이부(308)가 설치되어 상기 거치홈(310)에 휴대통신장치(100)를 거치하여 결합시킨 경우, 상기 제3디스플레이부(308)를 통해 보다 큰 화면에서 수화화상통화를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Such a mounting device 300 provides a sign language video call on a large screen by combining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100 in a home or office, and at the same time, charging the first battery unit 118 of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100. It is preferably designed to serve as a holder for storage.
In more detail, as shown in Figure 2, the mounting apparatus 300, the mounting groove 310 for mounting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100 is formed on the rear, the front of the third display unit ( 308 is installed to be coupled to the mounting groove 310 by mounting th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100, the third display unit 308 is configured to allow a sign language video call on a larger screen .

그리고, 상기 거치장치(300)는 가정의 초인종이 눌려지는 경우 진동되어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청각장애인(10)들이 일상생활을 더욱 편리하게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mounting device 300 is preferably configured to be vibrated to check when the doorbell of the home is pressed to make the hearing impaired person 10 more convenient in their daily lives.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청각장애인을 위한 의사 소통 시스템을 이용한 의사소통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communication process using a communication system for a hearing impaired pers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먼저, 휴대통신장치(100)를 구비한 청각장애인(10)이 근거리의 건청인(20)과 의사소통하는 과정을 설명한다.First, a process in which the hearing impaired person 10 having th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100 communicates with the near hearing person 20 at a short distance will be described.

예를 들어 상점이나 약국에 가서 물건이나 약을 사고자 하는 경우 청각장애인(10)은 휴대통신장치(100)를 이용해 필담을 할 수 있다. 이 경우 청각장애인(10)은 휴대통신장치(100)의 제1키입력부(110)를 통해 문자정보를 입력하면 상기 휴대통신장치(100)의 제1디스플레이부(108)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며 이를 점원이나 약사와 같은 근거리의 건청인(20)이 이를 직접 확인하고 필요한 물건이나 약을 제공하게 된다.For example, when a person wants to go to a store or a pharmacy to buy an object or medicine, the deaf person 10 may write a conversation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100. In this case, when the hearing impaired person 10 inputs text information through the first key input unit 11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100, the hearing impaired person 10 is displayed through the first display unit 108 of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100. Near the office (20), such as or pharmacist will confirm this directly and provide the necessary goods or drugs.

이때, 정확한 의사소통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는 청각장애인(10)은 휴대 통신장치(100)의 제1키입력부(110)의 입력을 통해 통역센터(50)를 연결할 수 있게 된다.In this case, when the correct communication is not made, the hearing impaired person 10 may connect the interpretation center 50 through the input of the first key input unit 110 of th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100.

이때, 상기 제1키입력부(110)를 통해 통화가 시도되면 장거리통신부(112)를 통해 신호가 전송되어 통역센터(50)로 연결되며, 도움이 필요한 청각장애인(10)은 카메라(102)를 통해 필요한 내용을 수화(手話)로 표시하게 되면 청각장애인(10)의 수화화상정보가 장거리통신부(112)를 통해 통역센터(50)로 전송되며 이를 화상으로 확인한 통역사(51)는 원격으로 수화화상정보를 송수신하는 방식으로 대화하게 된다.At this time, when a call is attempted through the first key input unit 110, a signal is transmitted through the long distance communication unit 112 and connected to the interpretation center 50. When the necessary information is displayed through sign language (手 話), the sign language information of the deaf 10 is transmitted to the interpretation center 50 through the long-distance communication unit 112, and the interpreter 51 who confirms the image by the sign language remotely You communicate by send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한편, 상기 통역센터(50)의 통역사(51)는 수화를 함과 동시에 음성으로 도움이 필요한 내용을 말하게 되며 그에 따라 음성정보 역시 장거리통신부(112)를 통해 수신되어 스피커(106)를 통해 음성출력시켜 주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interpreter 51 of the interpreter center 50 is a sign language and at the same time say the content that needs help with voice and accordingly the voice information is received through the long-distance communication unit 112 to output the voice through the speaker 106 Will let you.

이와 같은 과정을 거치면서 청각장애인(10)은 휴대통신장치(100)를 이용해 청각장애인(10)은 통역사(51)와 통역을 하게 되며, 통역사(51)의 음성은 휴대통신장치(100)의 스피커(106)를 통해 출력됨으로서 근거리의 건청인(20)이 이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Through this process, the hearing impaired person 10 uses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100 to make the hearing impaired person 10 interpreter with the interpreter 51, and the voice of the interpreter 51 is the voi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100. By being output through the speaker 106, the near person 20 can confirm this.

다음으로 휴대통신장치(100)를 구비한 청각장애인(10)이 원거거리의 건청인(30) 또는 원거리의 청각장애인(40)과 의사소통하는 과정을 설명한다.Next, a process in which the hearing impaired person 10 having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100 communicates with the hearing impaired person 30 at a distant distance or the hearing impaired person 40 at a distant distance will be described.

예를 들어 병원 등에 진찰을 예약하고자 하는 경우에 청각장애인(10)은 휴대통신장치(100)를 이용해 원거리의 건청인(30)의 휴대폰이나 전화 등에 접속하여 의 사소통이 필요하다.For example, if you want to make an appointment for a hospital or the like, the deaf 10 needs to communicate by connecting to a mobile phone or a telephone of a remote hearing person 30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100.

이 경우 청각장애인(40)은 휴대통신장치(100)의 제1키입력부(110) 조작으로 통역센터(50)로 접속하고 통역센터(50)의 통역사(51)는 원거리의 건청인(30)의 휴대폰(31)으로 접속한 상태에서 상기 통역센터(50)의 통역사(51)는 수화영상통화를 통해 청각장애인(10)과 대화하며, 이를 통해 청각장애인(10)의 문의사항을 통역사(51)가 별도의 유선 또는 무선전화를 이용해 원거리의 건청인(30)의 휴대폰(31)에 음성통화를 하여 원하는 정보를 전달 및 수신하는 과정을 통해 청각장애인(10)과 원거리의 건청인(30)의 의사소통을 돕게 된다.In this case, the hearing impaired person 40 is connected to the interpretation center 50 by operating the first key input unit 11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100, and the interpreter 51 of the interpretation center 50 is connected to the remote hearing person 30. The interpreter 51 of the interpreter center 50 communicates with the hearing impaired person 10 through a sign language video call in the state of being connected to the mobile phone 31, thereby interpreting the inquiries of the hearing impaired person 10 into the interpreter 51.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hearing impaired person 10 and the remote hearing person 30 through a proces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esired information by making a voice call to the mobile phone 31 of the remote hearing person 30 using a separate wired or wireless telephone. Will help.

또한, 원거리의 청각장애인(40)과 의사소통을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원거리의 청각장애인(40) 역시 동일한 구조의 휴대통신장치(100)가 구비되어야 함은 당연하며, 이를 통해 직접 청각장애인들(10,40)끼리 수화영상통화를 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In addition, when communicating with the remote hearing impaired person 40, it is natural that the remote hearing impaired person 40 should also be provided with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100 having the same structure. 10,40) It is natural that you can have a video call with each other.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extends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substantially equivalent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청각장애인을 위한 의사 소통 시스템을 이용한 의사 소통 개념도.1 is a conceptual diagram of communication using a communication system for the hearing impair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청각장애인을 위한 의사 소통 시스템의 구성도. 2 is a block diagram of a communication system for the hearing impair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청각장애인을 위한 의사 소통 시스템의 상세 구성도.Figure 3 is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communication system for the hearing impaired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 ***

10: 청각장애인 11: 근거리 청각장애인10: Deaf 11: Close Deaf

20: 근거리의 건청인 30: 원거리의 건청인20: Near-fielder 30: Long-distance housekeeper

40: 원거리의 청각장애인 50: 통역센터40: Long-distance deaf 50: Interpretation Center

51: 통역사 100: 휴대통신장치51: interpreter 100: mobile communication device

200: 바이브레이터 장치 300: 거치장치200: vibrator device 300: mounting device

Claims (9)

청각장애인이 통화를 접속하면 수화화상통화가 가능한 통역사가 상주하는 원격지의 통역센터와,A remote interpretation center where a deaf person who has a hearing impaired can make a sign language call 상기 통역센터에 원격으로 접속하여 통역사와 수화화상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무선으로 신호송수신이 가능한 제1근거리통신부가 구비된 휴대통신장치와,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equipped with a first local area communication unit capable of remotely accessing the interpreter center to make a sign language call with an interpreter and to wirelessly transmit and receive a signal; 청각장애인의 손목에 착용되되 상기 제1근거리통신부와 무선으로 신호가 수신되면 진동음을 출력하는 바이브레이터 장치와,Vibrator device that is worn on the wrist of the hearing impaired and outputs a vibration sound when a signal is received wirelessly with the first near field communication unit, 후면에 상기 휴대통신장치를 거치할 수 있도록 하는 거치홈이 형성되고, 전면에는 휴대통신장치가 결합된 경우 보다 큰 화면에서 수화화상통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제3디스플레이부가 설치된 거치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되,The rear surface is provided with a mounting groove for mounting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the front display is configured to include a mounting device provided with a third display unit for enabling a sign language video call on a larger screen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is combined. , 상기 휴대통신장치는; 상기 청각장애인의 영상 및 음성을 캡쳐하는 카메라 및 마이크와, 상기 통역사의 음성정보를 출력하는 스피커와, 상기 통역센터에 연결하여 수화화상통화시에 통역사의 영상이 표시되는 제1디스플레이부와, 문자나 숫자 및 특수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제1키입력부와, 상기 통역센터에 접속하여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장거리 통신부와, 장거리통신을 제어하기 위한 메인제어프로그램 및 전화번호를 저장 및 관리하는 제1메모리부와, 상기 제1키입력부와 장거리 통신부와 제1메모리부의 기능을 감시 및 제어하는 제1제어부와,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1배터리부로 구성되고,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 camera and microphone for capturing the image and sound of the hearing impaired, a speaker for outputting the interpreter's voice information, a first display unit connected to the interpreter center to display an interpreter's video during a sign language call, and a text message. A first key input unit capable of inputting numbers and special characters, a long distance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by accessing the interpretation center, a first control program for controlling long distance communication, and a first number for storing and managing telephone numbers; A memory unit, a first control unit for monitoring and controlling functions of the first key input unit, a long distance communication unit, and a first memory unit, and a first battery unit for supplying power, 상기 바이브레이터 장치는; 상기 제1근거리통신부와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2근거리통신부와, 키입력을 위한 제2키입력부와, 상기 제2근거리통신부 및 제2키입력부의 입력정보를 처리하는 제2제어부와, 상기 휴대통신장치를 통해 수신되는 문자메시지 또는 키입력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제2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제2근거리통신부를 통해 통화시도신호 또는 문자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진동음을 상기 청각장애인에게 전달하기 위해 구동되는 진동모듈부와, 구동프로그램이 저장되는 제2메모리부와,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제2배터리부와, 현재시간을 표시하는 시계모듈부로 이루어지며, The vibrator device; A second local are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ignal wirelessly with the first local area communication unit, a second key input unit for key input, a second controller for processing input information of the second local area communication unit and the second key input unit, and A second display unit capable of checking a text message or key input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driving to transmit a vibration sound to the hearing impaired when a call attempt signal or a text message is received through the second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A vibration module unit, a second memory unit in which a driving program is stored, a second battery unit supplying driving power, and a clock module unit displaying a current time. 상기 제2키입력부는 상기 청각장애인이 대응할 수 없는 음성 전화가 온 경우에 상기 휴대통신장치에 저장된 녹음메시지가 송출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응답버튼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각장애인을 위한 의사 소통 시스템.The second key input unit is a communication system for the hearing impaired,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with an automatic answer button for transmitting a recording message stored in th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when a voice call that the hearing impaired can not respond .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휴대통신장치는 근거리의 건청인과 필담(筆談)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1 키입력부를 통한 키입력 문자가 제1디스플레이부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각장애인을 위한 의사 소통 시스템.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is a communication system for the hearing impaired, characterized in that the key input characters through the first key input unit is displayed to the first display unit to enable a near-field audience and a conversa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바이브레이터 장치는 타인의 휴대 통신 장치로부터 무선으로 신호가 수신되면 점멸되는 램프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각장애인을 위한 의사 소통 시스템. The vibrator device is a communication system for the hearing impaired, characterized in that the lamp unit which is further flickering when a signal is received wirelessly from th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of the other person.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080110098A 2008-11-06 2008-11-06 communication system for deaf person KR10101742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0098A KR101017421B1 (en) 2008-11-06 2008-11-06 communication system for deaf pers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0098A KR101017421B1 (en) 2008-11-06 2008-11-06 communication system for deaf pers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0959A KR20100050959A (en) 2010-05-14
KR101017421B1 true KR101017421B1 (en) 2011-02-28

Family

ID=42276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0098A KR101017421B1 (en) 2008-11-06 2008-11-06 communication system for deaf pers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7421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72917A1 (en) * 2017-03-24 2018-09-27 Cochlear Limited Binaural segregation of wireless accessories
KR102033730B1 (en) * 2019-03-26 2019-10-17 주식회사 이큐포올 Method for providing telephone communication services between a deaf and a hearing person and cloud data conversion relay system for the same
KR102496398B1 (en) * 2022-03-04 2023-02-06 주식회사 씨와이디정보기술 A voice-to-text conversion device paired with a user device and method theref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6316A (en) * 2016-12-07 2018-06-19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Realtime service integration platform operating method for deaf
KR102152325B1 (en) * 2019-06-26 2020-09-04 주식회사 샘물정보통신 Customized service support system of unmanned device according to disability certification
KR102152326B1 (en) * 2020-02-14 2020-09-04 주식회사 샘물정보통신 Global sign language interpretation support syste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7756A (en) * 1999-11-12 2000-04-06 황병익 Apparatus for Translating of Finger Language
KR20060068121A (en) * 2004-12-16 2006-06-21 김미경 A receiving state sensing device of a mobile terminal
KR20070071854A (en) * 2005-12-30 2007-07-04 브이케이 주식회사 Communication aiding method between dumb person and normal person in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KR20080076270A (en) * 2007-02-15 2008-08-20 골든키정보통신 주식회사 System for guiding road a blind pers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7756A (en) * 1999-11-12 2000-04-06 황병익 Apparatus for Translating of Finger Language
KR20060068121A (en) * 2004-12-16 2006-06-21 김미경 A receiving state sensing device of a mobile terminal
KR20070071854A (en) * 2005-12-30 2007-07-04 브이케이 주식회사 Communication aiding method between dumb person and normal person in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KR20080076270A (en) * 2007-02-15 2008-08-20 골든키정보통신 주식회사 System for guiding road a blind perso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72917A1 (en) * 2017-03-24 2018-09-27 Cochlear Limited Binaural segregation of wireless accessories
US10136229B2 (en) 2017-03-24 2018-11-20 Cochlear Limited Binaural segregation of wireless accessories
KR102033730B1 (en) * 2019-03-26 2019-10-17 주식회사 이큐포올 Method for providing telephone communication services between a deaf and a hearing person and cloud data conversion relay system for the same
KR102496398B1 (en) * 2022-03-04 2023-02-06 주식회사 씨와이디정보기술 A voice-to-text conversion device paired with a user device and method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0959A (en) 2010-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40392B1 (en)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deaf and mute persons
KR101017421B1 (en) communication system for deaf person
US20170303052A1 (en) Wearable auditory feedback device
US8082152B2 (en) Device for communication for persons with speech and/or hearing handicap
KR101226928B1 (en) Smart doorbell system
US7830271B2 (en) Audio coordinated visual indicator
KR101846218B1 (en) Language interpreter, speech synthesis server, speech recognition server, alarm device, lecture local server, and voice call support application for deaf auxiliaries based on the local are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JP2002085444A (en) Device and method for auditory guidance, and computer readable storing medium which stores program to operate auditory guiding device
US20230260534A1 (en) Smart glass interface for impaired users or users with disabilities
RU2312646C2 (en) Apparatus for partial substitution of speaking and hearing functions
KR20090088591A (en) Rovatar and method for managing of day planing using conversation type toy
Kemper et al. Addressing the communication needs of an aging society
KR102000282B1 (en) Conversation support device for performing auditory function assistance
KR101720762B1 (en) Home-network system for Disabled
US20170018281A1 (en) Method and device for helping to understand an auditory sensory message by transforming it into a visual message
KR102633725B1 (en) Smart Glass System for the Hearing Impaired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Olaosun et al. Assistive technology for hearing and speech disorders
JP2016146870A (en) Lifesaving support device
KR102211161B1 (en) Service provided method and ward apparatus and guardian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method
KR102598498B1 (en) A Sound Output Device of Contents for Hearing Impaired Person
JP2002232944A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munication repeater, communication relay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for recording the communication relay program
Thibodeau Advanced practices: assistive technology in the age of smartphones and tablets
KR20200087940A (en) Smart glass for the deaf that can deliver the emotion
CA2214243C (en)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deaf and mute persons
KR102094906B1 (en) Augmentative and alterative communica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