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6227B1 - 폴라송신기에 사용되는 스위치모드 전력증폭기 - Google Patents

폴라송신기에 사용되는 스위치모드 전력증폭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6227B1
KR101016227B1 KR1020080052176A KR20080052176A KR101016227B1 KR 101016227 B1 KR101016227 B1 KR 101016227B1 KR 1020080052176 A KR1020080052176 A KR 1020080052176A KR 20080052176 A KR20080052176 A KR 20080052176A KR 101016227 B1 KR101016227 B1 KR 1010162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istor
input signal
output node
power amplifier
mode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21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26035A (ko
Inventor
윤상웅
Original Assignee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800521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6227B1/ko
Publication of KR200901260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60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62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62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20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 H03F3/21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3F3/217Class D power amplifiers; Switching amplifiers
    • H03F3/2173Class D power amplifiers; Switching amplifiers of the bridge type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32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educe non-linear distortion
    • H03F1/3241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educe non-linear distortion using predistortion circuits
    • H03F1/3264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educe non-linear distortion using predistortion circuits in audio amplifi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20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 H03F3/21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3F3/217Class D power amplifiers; Switching amplifiers
    • H03F3/2176Class E amplifi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451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the amplifier being a radio frequency amplifier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541Transformer coupled at the output of an amplifi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Amplif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라송신기에 사용되는 스위치모드 전력증폭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모드 전력증폭기는, 상기 스위치모드 전력증폭기의 스위칭을 위해 적어도 4개의 트랜지스터들을 구비하며, 상기 적어도 4개의 트랜지스터들은, 게이트로 제1입력신호를 입력받고, 제1출력노드와 접지 사이에 연결되는 제1트랜지스터와; 상기 제1입력신호와는 위상이 다른 제2입력신호를 게이트로 입력받고, 제2출력노드와 접지사이에 연결되는 제2트랜지스터와; 게이트로 상기 제1입력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제2출력노드에 드레인이 연결되는 제3트랜지스터와; 게이트로 상기 제2입력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제1출력노드에 드레인이 연결되는 제4트랜지스터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위치모드 전력증폭기의 비선형성을 개선시켜 선형성을 개선할 수 있게 된다.
전력증폭기, 트랜지스터, AM, PM, 선형성

Description

폴라송신기에 사용되는 스위치모드 전력증폭기{Switch mode power amplifier for use in polar transmitter}
본 발명은 폴라송신기에 사용되는 스위치 모드 전력증폭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공급전압이 낮아질 경우에 발생되는 비선형성(non-linearity)을 개선한 스위치 모드 전력증폭기에 관한 것이다.
고주파 신호들의 고효율 전력 증폭을 요구하는 애플리케이션들에 사용되기 위하여 스위치 모드 전력 증폭기들에 많은 관심이 집중되어 왔다. 이러한 소자들의 어플리케이션들의 예들은 무선 통신 시스템들, 위성 통신 시스템들, 및 진보된 레이더 시스템들을 위한 전력 증폭기들을 포함한다. 특히, 고전력, 고주파 전력 증폭기들은 3G 및 4G PCS 시스템들, 및 디지털 비디오 방송 시스템들과 같은 디지털 통신 시스템들에 필요하다.
고출력 전력을 요구하는 애플리케이션들에 있어서, 전력 증폭기는 시스템에 의하여 소비되는 전체 전력의 상당한 부분을 담당한다. 따라서, 통신 시스템에서 전력 증폭기 회로의 효율성을 최대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력 증폭기는 트랜지스터의 사용 용도에 따라 크게 선형 전력증폭기와 비선형 전력증폭기로 나눌 수 있다. 선형 전력증폭기는 A급(class A), B급, AB급, C급 등이 있으며, 전력 증폭기의 효율 향상에는 어느 정도 한계가 있다. 반면에, 비선형 전력증폭기는 트랜지스터가 스위치로 동작함으로써 트랜지스터에서 소모하는 전력을 줄여 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D급(class D), E급, F급 등이 있다. 이러한 비선형 전력증폭기는 스위치를 이용함에 따라 스위치모드 전력증폭기라 불리기도 한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스위치 모드 전력증폭기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은 대표적인 예로서 E급 전력증폭기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에 대한 구조나 소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잘 알려져 있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스위치 모드 전력증폭기에서, 입력신호(VS)는 트랜지스터(M0)의 게이트에 인가되어 트랜지스터(M0)의 상태를 제어한다.
입력신호(VS)는 트랜지스터(M0)의 핀치 오프(pinch-off) 전압과 근사하게 바이어스된다. 트랜지스터(M0)의 드레인은 출력노드(n0)에 연결되고, 트랜지스터(M0)의 소오스는 접지에 연결된다.
공급 전압(Vdd)은 인덕터(L1)를 통하여 출력 노드(n0)에 전달된다. 출력 노드(n0)에서의 전압은 인덕터(L2)와 커패시터(C2)를 포함하는 직렬공진회로에 인가된다.
트랜지스터(M0)가 온 상태(on state)가 되면, 상기 트랜지스터(M0)는 접지에 대해 단락 회로(short circuit)로 기능하며, 출력노드(n0)의 전압이 영(0)의 레벨이 된다. 이어서, 인덕터(L1)를 통하는 전류는 선형적으로 증가한다.
상기 트랜지스터가 오프 상태(off state)가 되면, 인덕터(L1)를 통하는 전류는 출력노드(n0)와 접지사이에 연결된 커패시터(C1)로 흐르게 되고, 출력노드(n0)의 전압이 최대값에 도달할 때까지 증가하며, 최대값에 도달되면, 상기 커패시터(C1)가 부하로 역류하는 전류원이 되면서 출력노드(n0)에서의 전압레벨이 감소하기 시작한다. 상기 트랜지스터(M0)가 다시 온 상태가 되기 전에 정상상태(steady state)에서 출력노드(n0)에서의 전압레벨이 대략 영(0)이 되도록, 인덕터(L2)와 커패시터(C2)를 포함하는 직렬공진회로가 동조되게 된다. 상기 직렬공진회로는 이상적으로는 출력노드(n0)에서의 전압의 기본 주파수(fundamental frequency)만을 통과시킨다. 상술한 구조 및 동작에서 상기 커패시터(C1,C2)와 인덕터(L2)를 통칭하여 정합회로로 칭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스위치모드 전력증폭기는, 스위치로 이용되는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게이트간 커패시턴스(Cdg(drain-gate capacitance))성분 등에 의한 영향을 포함하여 트랜지스터의 존재 자체에 의해 출력신호의 진폭 및 출력 신호의 위상에 영향을 받게 된다. 특히, 폴라 송신기(polar transmitter)에 사용되는 스위치 모드 전력증폭기의 경우에는 공급전압이 0의 값으로 내려갈수록 공급전압(Vdd)과 출력 진폭(Amplitude)사이의 관계인 AM(Amplitude Modulation)-AM(Amplitude Modulation)의 비선형성이 증가하고, 또한, 공급전압(Vdd)과 출력위상(phase)의 관계인 AM(Amplitude Modulation)-PM(Phase Modulation)의 비선형성이 증가하게 된 다.
따라서 이러한 AM-AM 또는 AM-PM의 비선형 특성을 완화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제시되어 오고 있다. 예를 들어, 전력 증폭기의 비선형 성분을 상쇄할 수 있는 우수한 성능의 전치왜곡기(Predistorter)를 설계하여 전력증폭기의 비선형성을 감소시키는 등의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전치왜곡을 통한 비선형성의 감소도 한계가 있으며, 전력증폭기 자체에서도 비선형성을 감소시킬 필요성이 대두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는 스위치 모드 전력증폭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비선형성을 감소시켜 선형성을 개선할 수 있는 스위치 모드 전력증폭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들의 일부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화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모드 전력증폭기는, 상기 스위치모드 전력증폭기의 스위칭을 위해 적어도 4개의 트랜지스터들을 구비하며, 상기 적어도 4개의 트랜지스터들은, 게이트로 제1입력신호를 입력받고, 제1출력노드와 접지 사이에 연결되는 제1트랜지스 터와; 상기 제1입력신호와는 위상이 다른 제2입력신호를 게이트로 입력받고, 제2출력노드와 접지사이에 연결되는 제2트랜지스터와; 게이트로 상기 제1입력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제2출력노드에 드레인이 연결되는 제3트랜지스터와; 게이트로 상기 제2입력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제1출력노드에 드레인이 연결되는 제4트랜지스터를 구비한다.
상기 제1트랜지스터는 공급전압의 레벨에 대응하여 상기 제1입력신호를 증폭하여 상기 제1출력노드로 제공하며, 상기 제2트랜지스터는 상기 공급전압의 레벨에 대응하여 상기 제2입력신호를 증폭하여 상기 제2출력노드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2입력신호는 상기 제1입력신호와 위상이 반대인 신호일 수 있다.
상기 제3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4트랜지스터는 소오스가 오픈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4트랜지스터는 동일 사이즈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출력노드에는 상기 제1출력노드 신호의 정합을 위한 제1정합(matching)회로가 연결되고, 상기 제2출력노드에는 상기 제2출력노드 신호의 정합을 위한 제2정합회로가 연결되며, 상기 제1 및 제2정합회로를 통해 정합된 제1출력노드신호 및 제2출력노드신호는 발룬(balun)을 통해 통합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스위치 모드 전력증폭기는 D급(class D), E급(class E), 및 F급(class F)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전력증폭기일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들의 일부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구체화에 따 라,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모드 전력증폭기는, 상기 스위치모드 전력증폭기의 스위칭을 위해 적어도 4개의 트랜지스터들을 구비하며, 상기 적어도 4개의 트랜지스터들은, 베이스로 제1입력신호를 입력받고, 제1출력노드와 접지 사이에 연결되는 제1트랜지스터와; 상기 제1입력신호와는 위상이 반대되는 제2입력신호를 베이스로 입력받고, 제2출력노드와 접지사이에 연결되는 제2트랜지스터와; 베이스로 상기 제1입력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제2출력노드에 컬렉터가 연결되며, 이미터가 오픈되는 제3트랜지스터와; 베이스로 상기 제2입력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제1출력노드에 컬렉터가 연결되며, 이미터가 오픈되는 제4트랜지스터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위치모드 전력증폭기의 비선형성을 개선시켜 선형성을 개선할 수 있게 된다. 특히 AM to AM 또는 AM to PM의 비선형 특성을 완화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철저한 이해를 제공할 의도 외에는 다른 의도 없이,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모드 전력증폭기의 회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모드 전력증폭 기는 스위칭을 위해 사용되는 4개의 트랜지스터들 즉 제1 내지 제4 트랜지스터들(M1~M4)이 차동(differential) 연결 구조를 가진다.
제1트랜지스터(M1)는 게이트로 제1입력신호(VS1)를 입력받고, 제1출력노드(n1)와 접지 사이에 연결된다. 예를 들어, 드레인이 상기 제1출력노드(n1)에 연결되고 소오스는 접지된다. 상기 제1트랜지스터(M1)가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인 경우에는 베이스로 상기 제1입력신호(VS1)을 입력받고, 컬렉터가 상기 제1출력노드(n1)에 연결되고 이미터는 접지된다.
제2트랜지스터(M2)는 상기 제1입력신호(VS1)와는 위상이 다른 제2입력신호(VS2)를 게이트로 입력받고, 제2출력노드(n2)와 접지사이에 연결된다. 예를 들어, 드레인이 상기 제2출력노드(n2)에 연결되고 소오스는 접지된다. 상기 제2트랜지스터(M2)가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인 경우에는 베이스로 상기 제2입력신호(VS2)를 입력받고, 컬렉터가 상기 제2출력노드(n2)에 연결되고 이미터는 접지된다.
제3트랜지스터(M3)는 게이트로 상기 제1입력신호(VS1)를 입력받고, 상기 제2출력노드(n2)에 드레인이 연결된다. 이때 상기 제3트랜지스터(M3)의 소오스는 오픈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3트랜지스터(M3)가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베이스로 상기 제1입력신호(VS1)를 입력받고, 상기 제2출력노드(n2)에 컬렉터가 연결되며, 이미터가 오픈되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제4트랜지스터(M4)는 게이트로 상기 제2입력신호(VS2)를 입력받고, 상기 제1출력노드(n1)에 드레인이 연결된다. 이때 상기 제4트랜지스터(M4)의 소오스는 오픈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4트랜지스터(M4)가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로 구성 되는 경우에는 베이스로 상기 제2입력신호(VS2)를 입력받고, 상기 제1출력노드(n1)에 컬렉터가 연결되며, 이미터가 오픈되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트랜지스터(M1)는 일반적인 스위치모드 전력증폭기에서의 스위칭 소자와 동일하게, 공급전압(Vdd)의 레벨에 대응하여 상기 제1입력신호(VS1)를 증폭하여 상기 제1출력노드(n1)로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2트랜지스터(M2)는 상기 공급전압(Vdd)의 레벨에 대응하여 상기 제2입력신호(VS2)를 증폭하여 상기 제2출력노드(n2)로 제공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2입력신호(VS2)는 상기 제1입력신호(VS1)와 위상이 반대인 신호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2입력신호(VS2)는 상기 제1입력신호(VS1)과 위상차가 180 ㅀ인 신호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입력신호(VS2)는 상기 제1입력신호(VS1)의 위상변화신호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입력신호(VS1) 및 상기 제2입력신호(VS2)는 위상변조(PM) 된 신호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급전압(Vdd)는 진폭변조(AM) 신호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내지 제4트랜지스터(M1~M4)는 동일 사이즈를 가질 수 있다. 특히 제1트랜지스터(M1)와 제3트랜지스터(M3)의 사이즈는 동일해야하며, 제2트랜지스터(M2)와 제4트랜지스터(M4)의 사이즈는 동일해야 할 것이다. 이는 제1트랜지스터(M1)의 드레인-게이트간 커패시턴스(Cdg)와, 상기 제3트랜지스터(M3)의 드레인 게이트간 커패시턴스(Cdg)가 서로 상쇄되도록 하고, 제2트랜지스터(M2)의 드레인-게이트간 커패시턴스(Cdg)와, 상기 제4트랜지스터(M4)의 드레인 게이트간 커패시턴스(Cdg)가 서로 상쇄되도록 하기 위해 필수적인 구성이다.
상기 제1출력노드(n1)에는 상기 제1출력노드신호의 정합을 위한 제1정합(matching)회로(110)가 연결되고, 상기 제2출력노드에는 상기 제2출력노드신호의 정합을 위한 제2정합회로(120)가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정합회로(110,120)를 통해 정합된 제1출력노드신호 및 제2출력노드신호는 발룬(balun)(130)을 통해 통합되어 안테나 등을 통해 출력되게 된다.
상기 제1정합회로(110) 및 상기 제2정합회로(120)는 종래와 동일하게 커패시터(C1,C2)와 인덕터(L2)의 연결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정합회로(110)는 상기 제1출력노드(n1)과 접지사이에 연결되는 커패시터(C1), 상기 제1출력노드(n1)과 상기 인덕터(L2) 사이에 연결되는 커패시터(C2), 상기 커패시터(C2)와 상기 발룬(130) 사이에 연결되는 인덕터(L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정합회로(120)의 연결구조는 상기 제1출력노드(n1) 대신 제2출력노드(n2)와 연결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1정합회로(120)의 연결구조와 동일하다.
상기 스위치 모드 전력증폭기는 D급(class D), E급(class E), 및 F급(class F)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전력증폭기일 수 있으며, 트랜지스터를 스위치로 사용하는 모든 스위치 모드 전력증폭기에 사용가능하다.
이하 도 2에 도시된 스위치 모드 전력증폭기의 동작을 간단히 살펴본다.
우선 상기 제1입력신호(VS1)가 제1트랜지스터(M1) 및 제3트랜지스터(M3)의 게이트로 입력되고, 상기 제2입력신호(VS2)가 제2트랜지스터(M2) 및 제4트랜지스터(M4)의 게이트로 입력된다. 상기 제1입력신호(VS1)와 상기 제2입력신호(VS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180 ㅀ의 위상차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입력신호(VS1)가 상기 제1트랜지스터(M1)의 게이트로 입력됨에 따라, 상기 제1출력노드(n1)에는 상기 제1입력신호(VS1)과는 180 ㅀ의 위상차를 가지는 증폭된 제1출력노드신호가 발생되게 된다. 또한 상기 제2입력신호(VS2)가 상기 제2트랜지스터(M2)의 게이트로 입력됨에 따라, 상기 제2출력노드(n2)에는 상기 제2입력신호(VS2)과는 180 ㅀ의 위상차를 가지는 증폭된 제2출력노드신호가 발생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입력신호(VS1)와 상기 제2출력노드신호는 동일위상을 가지게 될것이고, 상기 제2입력신호(VS2)와 상기 제1출력노드신호는 동일위상을 가지게 될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1출력노드(n1)와 연결된 상기 제1트랜지스터(M1)의 드레인과 상기 제2출력노드(n2)에 연결된 상기 제3트랜지스터의 드레인에는 서로 반대되는 위상을 가지는(180°의 위상차를 가지는) 신호가 인가되는 형태가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트랜지스터(M1)의 드레인-게이트간 커패시턴스(Cdg)와, 상기 제3트랜지스터(M3)의 드레인 게이트간 커패시턴스(Cdg)가 서로 상쇄되는 효과가 발생된다.
그리고, 상기 제2출력노드(n2)와 연결된 상기 제2트랜지스터(M2)의 드레인과 상기 제1출력노드(n1)에 연결된 상기 제4트랜지스터의 드레인에는 서로 반대되는 위상을 가지는(180°의 위상차를 가지는) 신호가 인가되는 형태가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트랜지스터(M2)의 드레인-게이트간 커패시턴스(Cdg)와, 상기 제4트랜지스터(M4)의 드레인 게이트간 커패시턴스(Cdg)가 서로 상쇄되는 효과가 발생된다.
결과적으로, 트랜지스터의 드레인-게이트간 커패시턴스(Cdg)의 영향에 의한 비선형성은 감소되는 효과를 가져오게 된다.
상기 제1출력노드신호와 상기 제2출력노드신호는 제1정합회로(110) 및 상기 제2정합회로(120)에 의해 정합되어 발룬(130)을 통해 통합되어 안테나 등을 통해 출력되게 된다.
이하 다른 동작은 도 1의 동작과 유사 또는 동일하며, 설명된 내용 외에 기재되지 않은 내용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용이하게 유추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E급 전력증폭기를 예로 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상기 전력증폭기 뿐 아니라, 트랜지스터를 스위칭소자로 하여 전력증폭을 수행하는 모든 스위치 모드 전력증폭기에 적용될 수 있음은 명백하다.
상기 스위치 모드 전력증폭기는 폴라 송신기(polar transmitter) 등에 채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의 설명은 본 발명의 더욱 철저한 이해를 위하여 도면을 참조로 예를 든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을 한정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본적 원리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할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E급 전력증폭기의 회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모드 전력증폭기의 회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VS1 : 제1입력신호 VS2 : 제2입력신호
Vdd : 공급전압 110,120 : 정합회로
130 : 발룬 M1,M2,M3,M4 : 트랜지스터

Claims (8)

  1. 스위치모드 전력증폭기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모드 전력증폭기의 스위칭을 위해 적어도 4개의 트랜지스터들을 구비하며,
    상기 적어도 4개의 트랜지스터들은,
    게이트로 제1입력신호를 입력받고, 제1출력노드와 접지 사이에 연결되는 제1트랜지스터와;
    상기 제1입력신호와는 위상이 다른 제2입력신호를 게이트로 입력받고, 제2출력노드와 접지사이에 연결되는 제2트랜지스터와;
    게이트로 상기 제1입력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제2출력노드에 드레인이 연결되어 상기 제1트랜지스터와 드레인-게이트간 커패시턴스가 상쇄되는 제3트랜지스터와;
    게이트로 상기 제2입력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제1출력노드에 드레인이 연결되어 상기 제2트랜지스터와 드레인-게이트간 커패시턴스가 상쇄되는 제4트랜지스터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모드 전력증폭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트랜지스터는 공급전압의 레벨에 대응하여 상기 제1입력신호를 증폭하여 상기 제1출력노드로 제공하며, 상기 제2트랜지스터는 상기 공급전압의 레벨에 대응하여 상기 제2입력신호를 증폭하여 상기 제2출력노드로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 는 스위치모드 전력증폭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입력신호는 상기 제1입력신호와 위상이 반대인 신호임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모드 전력증폭기.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3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4트랜지스터는 소오스가 오픈되는 구조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모드 전력증폭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4트랜지스터는 동일 사이즈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모드 전력증폭기.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모드 전력증폭기는 D급(class D), E급(class E), 및 F급(class F)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전력증폭기임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모드 전력증폭기.
  8. 스위치모드 전력증폭기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모드 전력증폭기의 스위칭을 위해 적어도 4개의 트랜지스터들을 구비하며,
    상기 적어도 4개의 트랜지스터들은,
    베이스로 제1입력신호를 입력받고, 제1출력노드와 접지 사이에 연결되는 제1트랜지스터와;
    상기 제1입력신호와는 위상이 반대되는 제2입력신호를 베이스로 입력받고, 제2출력노드와 접지사이에 연결되는 제2트랜지스터와;
    베이스로 상기 제1입력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제2출력노드에 컬렉터가 연결되며, 이미터가 오픈되어 상기 제1트랜지스터와 드레인-게이트간 커패시턴스가 상쇄되는 제3트랜지스터와;
    베이스로 상기 제2입력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제1출력노드에 컬렉터가 연결되며, 이미터가 오픈되어 상기 제2트랜지스터와 드레인-게이트간 커패시턴스가 상쇄되는 제4트랜지스터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모드 전력증폭기.
KR1020080052176A 2008-06-03 2008-06-03 폴라송신기에 사용되는 스위치모드 전력증폭기 KR1010162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2176A KR101016227B1 (ko) 2008-06-03 2008-06-03 폴라송신기에 사용되는 스위치모드 전력증폭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2176A KR101016227B1 (ko) 2008-06-03 2008-06-03 폴라송신기에 사용되는 스위치모드 전력증폭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6035A KR20090126035A (ko) 2009-12-08
KR101016227B1 true KR101016227B1 (ko) 2011-02-25

Family

ID=416873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2176A KR101016227B1 (ko) 2008-06-03 2008-06-03 폴라송신기에 사용되는 스위치모드 전력증폭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622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7165B1 (ko) 2012-04-17 2018-10-23 삼성전자주식회사 평형형 전력 증폭 장치 및 방법
KR102372372B1 (ko) * 2017-11-23 2022-03-0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주파수 체배 장치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92522A (ja) * 2001-06-29 2003-03-28 Nokia Corp 帯域幅信号にpwmおよびppmを使用するスイッチングモード電力増幅器
KR20050058266A (ko) * 2001-12-03 2005-06-16 아이스파이어 세미콘덕터 코오포레이션 전력 결합을 통합적으로 수행하는 스위칭-모드 전력 증폭기
US6949978B2 (en) * 2003-10-17 2005-09-27 Raytheon Company Efficient broadband switching-mode amplifier
US7560994B1 (en) 2008-01-03 2009-07-14 Samsung Electro-Mechanics Company Systems and methods for cascode switching power amplifier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92522A (ja) * 2001-06-29 2003-03-28 Nokia Corp 帯域幅信号にpwmおよびppmを使用するスイッチングモード電力増幅器
KR20050058266A (ko) * 2001-12-03 2005-06-16 아이스파이어 세미콘덕터 코오포레이션 전력 결합을 통합적으로 수행하는 스위칭-모드 전력 증폭기
US6949978B2 (en) * 2003-10-17 2005-09-27 Raytheon Company Efficient broadband switching-mode amplifier
US7560994B1 (en) 2008-01-03 2009-07-14 Samsung Electro-Mechanics Company Systems and methods for cascode switching power amplifi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6035A (ko) 2009-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li et al. A 28GHz 41%-PAE linear CMOS power amplifier using a transformer-based AM-PM distortion-correction technique for 5G phased arrays
US8274336B1 (en) Saturated power amplifier system
KR101565663B1 (ko) 전력 증폭기
KR101296149B1 (ko) 전력 증폭기의 비선형 커패시턴스 효과의 보상 장치 및 보상 방법
Reynaert et al. A 1.75-GHz polar modulated CMOS RF power amplifier for GSM-EDGE
US20110074509A1 (en) Non-linear capacitance compensation
CN106571780A (zh) 一种自适应偏置的射频功率放大器
US7679434B2 (en) Amplifier modulation method and apparatus
US7339427B2 (en) Analogue power control in a saturated amplifier
US20140112414A1 (en) Power amplifier and the related power amplifying method
CN106849879B (zh) 功率放大器电路
JP3405401B2 (ja) 前置補償型線形化器および線形化増幅器
JP2002043862A (ja) プリディストーション回路
JP5362884B2 (ja) 広帯域マイクロ波増幅器
US20070182485A1 (en) Predistorter for Linearization of Power Amplifier
CN104362988A (zh) 一种用于功放线性化的电路
US8219049B2 (en) Generating a process and temperature tracking bias voltage
KR101016227B1 (ko) 폴라송신기에 사용되는 스위치모드 전력증폭기
US20140049320A1 (en) Power amplifier circuit
US7135931B2 (en) Negative conductance power amplifier
US20120157010A1 (en) Electrical Power Amplifier Circuit, and Transmission Device and Communication Device Using the Same
CN110690863A (zh) 多级功率放大器
JPH11205049A (ja) 相補素子を用いる並列プッシュプル増幅器
KR101891619B1 (ko) 질화갈륨 집적회로 증폭기의 선형화 바이어스 회로 기술
JP2001077637A (ja) プリディストーション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