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5099B1 - Experiencing apparatus for fire fightingeducation and training - Google Patents

Experiencing apparatus for fire fightingeducation and train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5099B1
KR101015099B1 KR1020100053339A KR20100053339A KR101015099B1 KR 101015099 B1 KR101015099 B1 KR 101015099B1 KR 1020100053339 A KR1020100053339 A KR 1020100053339A KR 20100053339 A KR20100053339 A KR 20100053339A KR 101015099 B1 KR101015099 B1 KR 1010150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g
fire
unit
heater
generat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333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소율영
강주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성진하이텍
호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성진하이텍, 호원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성진하이텍
Priority to KR10201000533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509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50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509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5/00Model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09B23/00,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5/00Model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09B23/00,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5/08Model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09B23/00,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of scenic effects, e.g. trees, rocks, water surfa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9/00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PURPOSE: An experiencing device for a firefighting safety education is provided to easily reproduce a fire field. CONSTITUTION: A plurality of sheets(310) expresses a flame shape. A light emitting member(330) emits light to the plurality of sheets. A blowing unit ventilates a high pressure air in order to wave the plurality of sheets upward. A fog sensing unit(370) senses fog sprayed from an educational fire extinguisher. A controller controls the light emitting member and the blowing unit according to the sensed result of the fog sensing unit.

Description

소방안전교육용 체험장치{EXPERIENCING APPARATUS FOR FIRE FIGHTINGEDUCATION AND TRAINING}EXPERIENCED APPARATUS FOR FIRE FIGHTINGEDUCATION AND TRAINING}

본 발명은 대형사고로 번질 수 있는 화재관련사고에 대한 대처능력을 배양하기 위한 실제와 비슷한 화재현장을 보다 용이하게 재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를 토대로 실제상황과 유사한 실전에서의 화재진화체험교육을 실질적으로 행함에 따라 화재관련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는 소방안전교육용 체험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can easily reproduce a fire scene that is similar to reality to cultivate the ability to cope with a fire-related accident that can spread to a large-scale accident, but also based on this, it provides practical training on fire extinguishing experience in a situation similar to the actual situa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xperience in fire safety education that can prevent fire-related accidents in advance.

일반적으로, 소방안전교육은 이미 오래전부터 실시해 온 것으로 쉽게 짐작이 가능한데, 이는 불을 사용하던 시기부터 소방교육이 이루어졌다고 믿을 만한 증거는 누구나 불을 잘못 다루면 재산상의 피해와 사람의 신체에 위험을 가져오기 때문이었을 것이다.In general, it is easy to assume that fire safety education has been conducted for a long time, and there is evidence to believe that fire fighting education has been conducted since the time of use of fire. It would have come.

또, 허물어져 가는 오두막집이나 궁궐 같은 기와집에서도 쉽게 볼 수 있는 잠재성 요인이기 때문으로도 풀이된다.It is also because it is a potential factor that can be easily seen in tiled houses such as shattered cottages and palaces.

소방안전교육의 관련된 법률로써, '아동복지법'과 '학교보건법' 두 개의 실정법 근거가 있으며, 이를 따라 의무적으로 재난을 대비한 교육을 실시하도록 되어있다.As a related law of fire safety education, there are two grounds of the Child Welfare Act and the School Health Act, which are required to provide disaster preparedness education.

아동복지법 제9조제3항에서는 "아동복지시설, 영유아보육시설, 유치원, 초·중·고등학교의 장은 교통안전, 약물오남용 예방 및 재난대비 안전교육을 실시하여야 한다."라고 명시되어 있고, Article 9 (3) of the Child Welfare Act states that "child welfare facilities, infant and child care facilities, kindergarte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heads must provide traffic safety, drug abuse prevention and disaster preparedness safety education."

같은 법 시행령 제4조제1항에서는 "아동복지시설 및 영유아보육시설의 장은 교육대상아동의 연령을 고려하여 안전교육기준에 따라 매년 안전교육계획을 수립하여 교장은 안전교육계획 및 교육실시결과를 관할 시장, 군수, 구청장(자치구의 구청장을 말한다.)에게 매년 1회 보고하여야 한다."라고 명시되어 있고,According to Article 4 (1) of the Enforcement Decree of the same law, "The heads of the children's welfare facilities and infants and childcare centers shall establish a safety education plan every year in accordance with the safety education standards, taking into account the age of the children to be trained, Report to the head of the county, county or ward (referring to the ward head of the borough) once a year. "

제3항에서는 "유치원, 초·중·고등학교의 장의 안전교육실시에 관하여는 교육과학기술부장관이 정하는 안전교육계획에 의한다."라고 명시되어 있다.Paragraph 3 states, "The safety education plan of the kindergarte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shall be based on the safety education plan determined by the Minister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한편, '학교보건법' 제12조에서는 "학교의 장은 학생의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하여 학교의 시설, 장비의 점검 및 개선, 학생에 대한 안전교육의 실시 기타 필요한 조치를 하여야 한다."라고 명시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Article 12 of the School Health Act states, "To prevent the student's safety accidents, the head of the school shall perform the inspection and improvement of the school's facilities and equipment, the implementation of safety education for the student, and other necessary measures." have.

상기 법령에 대한 하위법령인 시행령 또는 시행규칙에 구체적인 내용이 재정되어 있지 않고 있지만, 교육과학기술부장관이 정하는 안전교육계획에 의거하여 연간 20시간의 범위에서 시행하도록 시, 도교육청에 하달되고 있다.Although no specific details are prescribed in the Enforcement Decree or the Enforcement Regulations, which are subordinate to the above laws, the Ministry of Education, Education, and Energy is required to carry out within 20 hours per year based on the safety education plan determined by the Minister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초·중·고등학교에서 학생에 대해 실시하는 안전교육계획 중 특히, 화재안전교육의 프로그램에는 소화기 사용법과 경보시스템에 대한 사용요령 등이 명시되어 있으나, 많은 학생들을 주어진 시간 내에 체험교육시킬 수 있는 장비와 도구가 전혀 뒷받침되지 않기 때문에 형식적인 교육에 그친다는 문제점이 있다.Among the safety education plans for students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the fire safety education program specifies how to use fire extinguishers and how to use the alarm system. The problem is that formal education is not supported because tools and tools are not supported at all.

본 발명자는 대형사고로 번질 수 있는 화재관련사고에 대한 대처능력을 배양하기 위해 실제와 비슷한 화재현장을 재연할 수 있는 장비를 구축한 후 이를 토대로 실제상황과 유사한 실전에서의 화재진화체험교육을 행함에 따라 화재관련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는 소방안전교육용 체험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In order to cultivate the ability to cope with fire-related accidents that can spread to large-scale accidents, the present inventors construct equipment that can reproduce fire scenes that are similar to the real world, and then conduct fire extinguishing education in actual situations similar to the actual situation. In this regard, we would like to propose a firefighting safety training experience system that can prevent fire-related accidents in advance.

본 발명은 대형사고로 번질 수 있는 화재관련사고에 대한 대처능력을 배양하기 위한 실제와 비슷한 화재현장을 보다 용이하게 재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를 토대로 실제상황과 유사한 실전에서의 화재진화체험교육을 실질적으로 행함에 따라 화재관련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는 소방안전교육용 체험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can easily reproduce a fire scene that is similar to reality to cultivate the ability to cope with a fire-related accident that can spread to a large-scale accident, but also based on this, it provides practical training on fire extinguishing experience in a situation similar to the actual situation.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irefighting safety training experience device that can prevent fire related accidents in advanc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작동손잡이 및 분사노즐이 구비된 몸체와, 상기 몸체내에 설치되고 포그액이 충진되는 포그액 용기와, 상기 포그액 용기에 충진되어 상기 분사노즐로 공급되는 포그액에 열을 가하여 기화시키는 히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교육용 소화기와; 불꽃 형상을 표현하는 복수의 시트와, 상기 복수의 시트로 빛을 발광하는 발광부재와, 상기 복수의 시트가 상측으로 휘날리도록 상기 복수의 시트에 고압공기를 송풍시키는 송풍부와; 상기 교육용 소화기로부터 분무되는 포그를 감지하는 포그감지부와, 상기 포그감지부의 포그감지여부에 따라 상기 발광부재 및 상기 송풍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화재발생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안전교육용 체험장치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provided with a body having an operation handle and a spray nozzle, a fog liquid container installed in the body and filled with the fog liquid, and filled in the fog liquid container is supplied to the spray nozzle Educational fire extinguisher comprising a heater to vaporize by applying heat to the fog liquid; A plurality of sheets expressing a flame shape, a light emitting member for emitting light to the plurality of sheets, and a blowing unit for blowing high pressure air to the plurality of sheets so that the plurality of sheets are bent upward; And a fire detection unit comprising: a fog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fog sprayed from the educational fire extinguisher,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light emitting member and the blower unit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 fog detection unit is fog detected. To provide a fire fighting safety training experience.

여기서, 상기 교육용 소화기의 포그액 용기는 포그액이 압축충진되는 압축용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the fog liquid container of the educational fire extinguisher is preferably made of a compressed container in which the fog liquid is compressed and filled.

그리고, 상기 몸체의 내부에는 상기 포그액 용기와 상기 분사노즐을 연결하는 연결관과; 상기 연결관에 구비되고, 상기 히터의 내측에 위치하여 상기 히터로부터 열을 전달받는 나선관과; 상기 히터의 외주면과 상기 몸체의 내주면 사이에 구비되는 보온재와; 상기 히터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와; 상기 연결관을 개폐하는 전자밸브와; 상기 히터 및 상기 전자밸브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와; 상기 온도센서가 감지한 온도값과 기설정된 기준온도값을 비교하여 상기 히터와 전자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nd, the inside of the body and the connecting pipe for connecting the fog liquid container and the injection nozzle; A spiral tube provided in the connection pipe and positioned inside the heater to receive heat from the heater; An insulating material provided betwee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eater and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A temperature sensor for sensing a temperature of the heater; An electromagnetic valv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connection pipe; A battery for supplying power to the heater and the solenoid valve; Preferably,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heater and the solenoid valve is provided by comparing the temperature value detected by the temperature sensor with a preset reference temperature value.

또한, 상기 화재발생부에 연기발생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moke generating unit is provided with the fire generating unit.

나아가, 상기 화재발생부의 제어부는 상기 포그감지부의 감지신호에 따라 일정시간동안 상기 연기발생부를 구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Further,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trol unit of the fire generating unit drives the smoke generating unit for a predetermined time according to the detection signal of the fog detecting unit.

더불어, 상기 화재발생부의 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상기 포그감지부가 포그를 연속적으로 감지한 경우 상기 발광부재와 송풍부로의 전원공급을 차단하는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trol unit of the fire generating unit cut off the power supply to the light emitting member and the blower when the fog detecting unit continuously detects the fog for a preset time.

아울러, 상기 교육용 소화기의 몸체 저면에 충전단자가 구비되고, 상기 충전단자와 접하는 접속단자가 구비되는 충전거치대와; 상기 몸체가 상기 충전거치대로부터 분리된 경우 상기 화재발생부로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무선통신부;가 구비되며, 상기 화재발생부에는 상기 무선통신부가 송신하는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무선통신부가 구비되고, 상기 화재발생부의 제어부는 상기 무선통신부가 제어신호를 수신할 시 상기 발광부재 및 상기 송풍부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charging cradle is provided with a charging terminal on the bottom of the body of the educational fire extinguisher, and a connection terminal in contact with the charging terminal;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to the fire generating unit when the body is separated from the charging cradle. The fire generating unit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a control signal transmitted by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he controller of the generation unit preferably controls the light emitting member and the blower when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receives the control signal.

본 발명은 분사노즐을 통해 기화상태인 포그액을 분사하는 교육용 소화기와 불꽃 형상을 표현하는 복수의 시트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화재발생부를 사용하여 대형사고로 번질 수 있는 화재관련사고에 대한 대처능력을 배양하기 위한 실제와 비슷한 화재현장을 보다 용이하게 재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를 통대로 실제상황과 유사한 실전에서의 화재진화체험교육을 실질적으로 행함에 따라 화재관련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bility to cope with a fire-related accident that can spread to large-scale accidents using a fire generating unit comprising an educational fire extinguisher and a plurality of sheets expressing a flame shape through the injection nozzle for spraying the vaporized fog liquid. Not only can the fire site resemble the actual fire site to be reproduced more easily, but it also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fire-related accidents in advance through practical training on fire extinguishing in actual situations similar to the actual situation. .

그리고, 상기 교육용 소화기의 포그액 용기가 포그액이 압축충진되는 압축용기로 이루어질 경우 별도의 펌프를 사용하지 않고도 상기 분사노즐로 포그액을 보다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when the fog liquid container of the educational fire extinguisher is made of a compressed container in which the fog liquid is compressed and filled, the fog liquid may be more easily supplied to the injection nozzle without using a separate pump.

또한, 상기 교육용 소화기의 제어부(240)가 온도센서가 감지한 히터의 온도값과 상기 제어부에 기설정된 기준온도값을 비교하여 상기 히터와 전자밸브를 제어하기 때문에 상기 분사노즐을 통해 분사될 포그액을 보다 용이하게 예열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상기 분사노즐을 통해 분사될 상기 포그액을 보다 높은 효율로 기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control unit 240 of the educational fire extinguisher controls the heater and the solenoid valve by comparing the temperature value of the heater detected by the temperature sensor with the reference temperature set in the control unit, the fog liquid to be injected through the injection nozzle. Not only can it be preheated more easily, and thus there is an effect that the fog liquid to be injected through the injection nozzle can be vaporized with higher efficiency.

나아가, 상기 화재발생부에 연기발생부가 구비되기 때문에 화재관련사고에 대한 대처능력을 배양하기 위한 실제와 비슷한 화재현장을 보다 더욱 현실적으로 재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Furthermore, since the smoke generating unit is provided in the fire generating unit, there is an effect that can more realistically reproduce a fire scene similar to reality for cultivating the ability to cope with a fire-related accident.

더불어, 상기 화재발생부의 제어부가 포그감지부의 감지신호에 따라 일정시간동안 상기 연기발생부를 구동시키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상기 연기발생부가 구동될 우려가 없음은 물론 이로 인한 불필요한 전력낭비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control unit of the fire generating unit drives the smoke generating unit for a predetermined time according to the detection signal of the fog detection unit, there is no fear that the smoke generating unit is continuously driven and the unnecessary power consumption can be minimized. have.

아울러, 상기 화재발생부의 제어부가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상기 포그감지부가 포그를 연속적으로 감지한 경우 발광부재와 송풍부로의 전원공급을 차단하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상기 발광부재와 송풍부가 구동될 우려가 없음은 물론 이로 인한 불필요한 전력낭비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f the fog detecting unit continuously detects the fog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control unit of the fire generating unit cuts off the power supply to the light emitting member and the blower, there is no concern that the light emitting member and the blower are continuously driven. This has the effect of minimizing unnecessary power consumption.

그리고, 충전거치대로부터 상기 교육용 소화기의 몸체가 분리된 경우 무선통신부가 상기 화재발생부로 제어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화재발생부의 무선통신부가 상기 무선통신부가 송신하는 제어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화재발생부의 제어부가 상기 발광부재와 송풍부를 제어하기 때문에 상기 충전거치대를 통해 상기 교육용 소화기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과정 중에 상기 화재발생부의 발광부재와 송풍부가 구동될 우려가 없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when the body of the educational fire extinguisher is separated from the charging cradle,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ransmits a control signal to the fire generating unit, and when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of the fire generating unit receives a control signal transmitted by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he fire generating unit Since the controller controls the light emitting member and the blower, there is no fear that the light emitting member and the blower of the fire generating unit may be driven while the battery of the educational fire extinguisher is charged through the charging cradl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소방안전교육용 체험장치의 교육용 소화기가 충전거치대에 거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소방안전교육용 체험장치의 화재발생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교육용 소화기의 내부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화재발생부의 내부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5는 교육용 소화기의 제어부 및 화재발생부의 제어부의 제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고,
도 6은 교육용 소화기가 화재발생부로 기화상태인 포그액을 분사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n educational fire extinguisher of a fire extinguishing safety training experienc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charging cradle;
Figure 2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fire generating unit of the experience device for fire safety train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internal state of the educational fire extinguisher of FIG. 1,
4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internal state of the fire generating unit of FIG.
5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trol state of a controller of an educational fire extinguisher and a controller of a fire generator;
6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n educational fire extinguisher is spraying a fog solution in a vaporized state to a fire generating unit.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Of cours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xamples,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소방안전교육용 체험장치의 교육용 소화기(10)가 충전거치대(210)에 거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소방안전교육용 체험장치의 화재발생부(3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n educational fire extinguisher 10 of the experience device for fire safety education, which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charging cradle 210, and FIG. 2 is an experience of fire safety education that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fire generating section 30 of the apparatus.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소방안전교육용 체험장치는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교육용 소화기(10)와 화재발생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Fire extinguishing safety training experienc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s 1 and 2, largely comprises an educational fire extinguisher 10 and the fire generating unit (30).

도 3은 도 1의 교육용 소화기(10)의 내부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3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internal state of the educational fire extinguisher 10 of FIG.

먼저, 상기 교육용 소화기(10)는 도 1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몸체(110), 포그액 용기(130) 및 히터(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First, the educational fire extinguisher 10 includes a body 110, a fog liquid container 130 and a heater 150, as shown in Figs.

상기 몸체(110)의 상부에는 작동손잡이(111) 및 분사노즐(113)이 구비되고, 상기 작동손잡이(131)를 누르면 상기 분사노즐(113)을 통해 기화상태인 포그가 분사될 수 있다.An operating handle 111 and an injection nozzle 113 are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body 110, and when the operating knob 131 is pressed, a fog in an evaporated state may be injected through the injection nozzle 113.

상기 포그액 용기(130)는 상기 몸체(110)의 하부 일측 내부에 설치된다.The fog liquid container 130 is installed inside the lower one side of the body (110).

상기 포그액 용기(130)의 내부에는 포그액이 충진된다.The fog liquid is filled in the fog liquid container 130.

상기 포그액 용기(130)의 교체의 편의성을 위해 상기 몸체(110)의 하부 전측 외주면에는 개폐문(110a)이 구비될 수 있다.Opening and closing door 110a may be provided on the lower front sid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110 for the convenience of replacing the fog liquid container 130.

상기 히터(150)는 상기 포그액 용기(130)와 인접한 거리에 위치하도록 상기 몸체(110)의 하부 내부에 설치된다.The heater 150 is installed inside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110 to be located at a distance adjacent to the fog liquid container 130.

상기 히터(150)는 상기 포그액 용기(130)에 충진되어 상기 분사노즐(113)로 공급되는 포그액에 열을 가하여 상기 포그액을 기화시키게 된다.
The heater 150 is filled in the fog liquid container 130 to vaporize the fog liquid by applying heat to the fog liquid supplied to the injection nozzle 113.

도 4는 도 2의 화재발생부(30)의 내부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4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internal state of the fire generating unit 30 of FIG.

다음으로, 상기 화재발생부(30)는 도 2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본체(309), 복수의 시트(310), 발광부재(330), 송풍부(350), 포그감지부(370) 및 제어부(도 5의 39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Next, the fire generating unit 30 is large, as shown in FIGS. 2 and 4, the main body 309, the plurality of sheets 310, the light emitting member 330, the blowing unit 350, and the fog detecting unit ( 370) and the controller 390 of FIG. 5.

상기 본체(309)의 하부 일측과 타측 각 모서리에는 지면과 접하는 캐스터 등을 포함한 이동바퀴(309a, 309b)가 각각 축결합될 수 있다Each of the lower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309 may be coupled to the moving wheels (309a, 309b) including a caster in contact with the ground, respectively.

상기 본체(309)의 상부면에는 후술할 연기발생부에서 발생된 연기 및 상기 송풍부(350)가 발생시킨 고압공기가 통과하는 상하측이 개방된 관통공(309c)이 좌우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309, through-holes 309c,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which the smoke generated by the smoke generating unit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high pressure air generated by the blower 350 pass, are open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Can be formed.

상기 복수의 시트(310)는 상기 관통공(309c) 주변에 위치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309)의 상부면에 좌우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구비되어 상기 관통공(309c)을 통과하는 고압공기 및 상기 발광부재(330)가 상기 복수의 시트(310)로 발광하는 빛에 의해 불꽃형상을 표현하게 된다.The plurality of sheets 310 are provided with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309 so as to be located around the through hole (309c) and the high pressure air passing through the through hole (309c) and the The light emitting member 330 expresses a flame shape by the light emitted by the plurality of sheets 310.

상기 복수의 시트(310)는 천, 부직포, 직물, 두께가 얇은 탄성력을 지닌 필름 또는 종이 재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겠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보다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plurality of sheets 310 may be made of a cloth, a nonwoven fabric, a fabric, a film or paper material having a thin elastic force,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may be made of more various materials.

상기 발광부재(330)는 상기 관통공(309c)과 인접한 거리에 위치하고, 상기 복수의 시트(310)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본체(309)의 상부면에 좌우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구비되어 상기 복수의 시트(310)로 빛을 발광하게 된다.The light emitting member 330 is disposed at a distance adjacent to the through hole 309c and is provid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a left and right direction on an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309 so as to be positioned between the plurality of sheets 310. The sheet 310 emits light.

한편, 상기 복수의 시트(310)의 색상이 적색계열인 경우 상기 발광부재(330)는 백색계열의 빛을 상기 복수의 시트(310)로 발광할 수 있고,On the other hand, when the color of the plurality of sheets 310 is a red series, the light emitting member 330 may emit light of a white series to the plurality of sheets 310,

상기 복수의 시트(310)의 색상이 백색계열인 경우 상기 발광부재(330)는 적색계열의 빛을 상기 복수의 시트(310)로 발광하여 상기 복수의 시트(310)가 보다 용이하게 불꽃 형상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겠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보다 다양한 방법에 의해 상기 복수의 시트(310)가 불꽃 형상을 표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When the color of the plurality of sheets 310 is white, the light emitting member 330 emits light of a red series to the plurality of sheets 310 so that the plurality of sheets 310 have a flame shape more easily. Although it may be possible to express, i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the plurality of sheets 310 may express a flame shape by various methods.

상기 송풍부(350)는 상기 본체(309)의 내부 타측에 구비된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시트(310)가 상기 본체(309)의 상측으로 휘날리도록 상기 복수의 시트(310)에 고압공기를 송풍시키게 된다.The blower 350 blows high pressure air to the plurality of sheets 310 such that the plurality of sheets 310 are bent toward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309 in a state provided at the other inner side of the main body 309. Let's go.

상기 송풍부(350)는 블로워 모터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겠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복수의 시트(310)가 상기 본체(309)의 상측으로 휘날리도록 할 수 있는 것이라면 모두 사용할 수 있다.The blower 350 may be made of a blower motor or the like,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any one may be used as long as the plurality of sheets 310 may be bent upwards of the main body 309.

상기 포그감지부(370)는 상기 본체(10)의 일측면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교육용 소화기(10)로부터 상기 본체(10)의 일측면 방향으로 분무되는 기화상태인 포그를 감지하게 된다.The fog detection unit 370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10 to detect the fog in the vaporized state sprayed in one direction of the main body 10 from the educational fire extinguisher 10.

상기 제어부(390)는 상기 본체(10)의 내부 또는 상기 본체(10)의 외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별도구비되는 배터리 또는 상기 본체(10) 외부의 별도의 전원공급부(391)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포그감지부(370)의 포그감지지여부에 따라 상기 발광부재(330) 및 상기 송풍부(350)를 제어하게 된다.The control unit 390 is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10 or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body 10 and separately provided in the main body 10 or a separate power supply unit 391 outside the main body 10. The power is controlled from the light emitting member 330 and the blower 350 according to whether the fog detection unit 370 is fog detection.

상기 본체(10)의 후측면 전측 상부에는 상기 포그감지부(370)의 포그감지여부에 따라 상기 제어부(390)의 제어에 의해 화재시 발생하는 연소음 등을 출력하는 경보부재(360)가 구비될 수도 있다.The alarm member 360 is provided on the front upper part of the rear side of the main body 10 to output combustion sounds generated in a fir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390 according to the fog detection of the fog detection unit 370. May be

다음으로, 상기 교육용 소화기(10)의 포그액 용기(130)는 포그액이 압축충진되는 압축용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Next, the fog liquid container 130 of the educational fire extinguisher 10 may be made of a compressed container in which the fog liquid is compressed and filled.

상기 교육용 소화기(10)의 포그액 용기(130)가 포그액이 압축충진되는 압축용기로 이루어질 경우 별도의 펌프를 사용하지 않고도 상기 분사노즐(113)로 포그액을 보다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When the fog liquid container 130 of the educational fire extinguisher 10 is made of a compressed container in which the fog liquid is compressed and filled, the fog liquid can be more easily supplied to the injection nozzle 113 without using a separate pump. Will be.

도 5는 교육용 소화기(10)의 제어부(240) 및 화재발생부(30)의 제어부(390)의 제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5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trol state of the controller 240 of the educational fire extinguisher 10 and the controller 390 of the fire generator 30.

다음으로, 도 3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몸체(110)의 내부에는 연결관(120), 나선관(140), 보온재(160), 온도센서(180), 전자밸브(200), 배터리(220) 및 제어부(240)가 구비될 수 있다.Next, as shown in FIG. 3 and FIG. 5, the inside of the body 110 is a connecting pipe 120, spiral tube 140, thermal insulation 160, temperature sensor 180, solenoid valve 200, battery 220 and the controller 240 may be provided.

상기 연결관(120)은 상기 포그액 용기(130)의 하단부에 하단부가 연통연결되고, 상단부가 상기 작동손잡이(111)의 하단부에 연통연결된 상태로 상기 몸체(11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The connection pipe 120 may be provided inside the body 110 in a state in which the lower end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lower end of the fog liquid container 130, the upper end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lower end of the operation handle 111. .

상기 나선관(140)은 상기 연결관(120)과 연통된 상태로 상기 연결관(120)의 하단부에 구비될 수 있다.The spiral tube 140 may be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connecting pipe 120 in a state in communication with the connecting pipe 120.

상기 나선관(140)은 상기 히터(150)의 내측에 위치하여 상기 히터(150)로부터 열을 전달받을 수 있다.The spiral tube 140 may be located inside the heater 150 to receive heat from the heater 150.

상기 나선관(140)이 상기 히터(150)로부터 전달받은 열에 의해 상기 나선관(140)을 통과하는 포그액이 가열되어 기화될 수 있다.The fog liquid passing through the spiral tube 140 may be heated and vaporized by the heat transmitted from the heater 150 to the spiral tube 140.

상기 나선관(140)으로 인해 상기 나선관(140)을 통과하며 상승하는 포그액이 상기 나선관(140)내에 보다 오랜시간동안 머무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상기 포그액의 기화효율이 보다 더욱 극대화될 수 있게 된다.The fog liquid rising through the spiral pipe 140 due to the spiral pipe 140 may not only stay in the spiral pipe 140 for a longer time, but also maximize the vaporization efficiency of the fog liquid. It becomes possible.

상기 보온재(160)는 상기 히터(150)의 외주면과 상기 몸체(110)의 하부 내주면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The insulation 160 may be provided betwee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eater 150 and a lower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110.

상기 보온재(160)를 통해 상기 히터(150)에서 발생된 고열이 상기 몸체(110)로 전달되는 것을 보다 용이하게 차단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몸체(110)에 고열이 발생될 우려가 없어지게 되어 상기 교육용 소화기(10)를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화상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될 우려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It is possible to more easily block the high heat generated from the heater 150 to be transmitted to the body 110 through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160, so that there is no fear that high heat is generated in the body 110. Therefore, the user who uses the educational fire extinguisher 10 may be prevented in advance from causing a safety accident such as a burn.

상기 보온재(160)는 스펀지, 스티로폼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겠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보다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insulation 160 may be made of sponge, styrofoam, etc.,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may be made of more various materials.

상기 온도센서(180)는 상기 히터(150)의 하부면 타측에 구비된 상태에서 상기 히터(150)의 온도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240)로 감지한 상기 히터(150)의 온도값을 출력할 수 있다.The temperature sensor 180 detects the temperature of the heater 150 in the state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heater 150 and outputs the temperature value of the heater 150 detected by the controller 240. Can be.

상기 전자밸브(200)는 상기 연결관(120)의 상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연결관(120)의 상단부를 개폐할 수 있다.The solenoid valve 200 may be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connection pipe 120 to open and close an upper end of the connection pipe 120.

상기 배터리(220)는 상기 몸체(110)의 내부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히터(150) 및 상기 전자밸브(200)로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The battery 220 is provided above the inside of the body 110 to supply power to the heater 150 and the solenoid valve 200.

상기 제어부(240)는 상기 배터리(220)와 인접한 거리에 위치하도록 상기 몸체(110)의 내부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온도센서(180)가 감지한 상기 히터(150)의 온도값과 상기 제어부(240)에 기설정된 기준온도값을 비교하여 상기 히터(150)와 전자밸브(200)를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240 is provided on the inside of the body 110 to be located at a distance adjacent to the battery 220, the temperature value of the heater 150 sensed by the temperature sensor 180 and the control unit 240 The heater 150 and the solenoid valve 200 may be controlled by comparing the preset reference temperature.

상기 온도센서(180)가 감지한 상기 히터(150)의 온도값이 상기 제어부(240)에 기설정된 기준온도값 미만인 경우 상기 제어부(240)는 상기 전자밸브(200)가 상기 연결관(120)의 상단부를 폐쇄하도록 제어하고,When the temperature value of the heater 150 sensed by the temperature sensor 180 is less than the reference temperature value preset in the controller 240, the controller 240 has the solenoid valve 200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ipe 120. To close the top of the,

이와 동시에 상기 히터(150)로 상기 배터리(220)의 전원이 지속적으로 공급되도록 제어하게 된다.At the same time, the heater 150 is controlled to continuously supply the power of the battery 220.

상기 온도센서(180)가 감지한 상기 히터(150)의 온도값이 상기 제어부(240)에 기설정된 기준온도값 이상인 경우 상기 제어부(240)는 상기 전자밸브(220)가 상기 연결관(120)의 상단부를 개방하도록 제어하고,When the temperature value of the heater 150 sensed by the temperature sensor 180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reference temperature value preset in the controller 240, the controller 240 has the solenoid valve 220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ipe 120. To open the top of the

이와 동시에 상기 히터(150)로 상기 배터리(220)의 전원이 상기 히터(150)로 공급되지 않도록 제어하게 된다.At the same time, the heater 150 is controlled so that power of the battery 220 is not supplied to the heater 150.

상기 교육용 소화기(10)의 제어부(240)가 상기 온도센서(180)가 감지한 상기 히터(150)의 온도값과 상기 제어부(240)에 기설정된 기준온도값을 비교하여 상기 히터(150)와 상기 전자밸브(200)를 제어하기 때문에 상기 분사노즐(113)을 통해 분사될 포그액을 보다 용이하게 예열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상기 분사노즐(113)을 통해 분사된 상기 포그액을 보다 높은 효율로 기화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The control unit 240 of the educational fire extinguisher 10 compares the temperature value of the heater 150 detected by the temperature sensor 180 with a reference temperature value preset in the control unit 240 and the heater 150. Since the solenoid valve 200 is controlled, the fog liquid to be sprayed through the injection nozzle 113 can be preheated more easily, and as a result, the fog liquid sprayed through the injection nozzle 113 is higher. There is an advantage to vaporize with efficiency.

다음으로, 도 4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화재발생부(30)의 본체(309)의 내부 일측에는 연기발생부(320)가 구비될 수 있다.Next, as shown in FIGS. 4 and 5, one side of the main body 309 of the fire generator 30 may include a smoke generator 320.

상기 화재발생부(30)의 본체(309)의 내부 일측에 상기 연기발생부(320)가 구비되기 때문에 화재관련사고에 대한 대처능력을 배양하기 위한 실제와 비슷한 화재현장을 보다 더욱 현실적으로 재연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Since the smoke generating unit 320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main body 309 of the fire generating unit 30, a fire scene similar to the actual one for cultivating the ability to cope with a fire related accident can be reproduced more realistically. There is an advantage.

상기 연기발생부(320)는 본체(321), 포그액용기(322), 연결관(323), 복수의 분기관(324), 나선관(325), 히터(326), 온도센서(327), 및 전자밸브(328)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겠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보다 다양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smoke generator 320 is the main body 321, the fog liquid container 322, the connection pipe 323, a plurality of branch pipes 324, spiral pipe 325, heater 326, temperature sensor 327 And, but may be made, including the solenoid valve 328,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of course it can be made in a variety of configurations.

상기 본체(321)의 상부면에는 상하측이 개방된 관통공(321a)이 좌우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321 may be formed with a through hole 321a,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which are open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상기 포그액 용기(322)는 상기 본체(321)의 내부 하측에 수평구비될 수 있다.The fog liquid container 322 may be horizontally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main body 321.

상기 포그액 용기(322)의 내부에는 상기 화재발생부(30)의 연기를 표현할 포그액이 충진될 수 있다.The fog liquid container 322 may be filled with a fog liquid to express the smoke of the fire generator 30.

상기 포그액 용기(322)는 포그액이 압축충진되는 압축용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fog liquid container 322 may be formed of a compression vessel in which the fog liquid is compressed and filled.

상기 연결관(323)은 하단부가 상기 포그액 용기(322)의 상단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본체(321)의 내부 중심부에 수직구비될 수 있다.The connection pipe 323 may be vertically provided at the inner center of the body 321 so that the lower end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upper end of the fog liquid container 322.

상기 연결관(323)의 상단부에는 상기 연결관(323)의 상단부와 연통되는 수평관(323a)이 일체형성될 수 있다.A horizontal tube 323a communicating with the upper end of the connecting tube 323 may be integrally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connecting tube 323.

상기 복수의 분기관(324)은 하단부가 상기 연결관(323)의 수평관(323a)의 상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수평관(323a)의 상부에 좌우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수직구비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branch pipes 324 may be vertically provid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n the upper portion of the horizontal tube 323a so that the lower end portion communicates with the upper portion of the horizontal tube 323a of the connecting tube 323.

상기 복수의 분기관(324)의 상단부는 상기 관통공(321a)의 하단부와 각각 연통될 수 있다.Upper ends of the branch pipes 324 may communicate with lower ends of the through holes 321a, respectively.

상기 나선관(325)은 상기 연결관(323)과 연통되도로 상기 연결관(323)의 하단부에 구비될 수 있다.The spiral tube 325 may be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connecting tube 323 to communicate with the connecting tube 323.

상기 히터(326)는 내부에 상기 나선관(325)을 수용한 상태로 상기 본체(321)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나선관(325)으로 열을 전달하게 된다.The heater 326 is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321 while receiving the spiral tube 325 therein to transfer heat to the spiral tube 325.

상기 온도센서(327)는 상기 히터(326)의 하부면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히터(326)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The temperature sensor 327 may be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heater 326 to detect the temperature of the heater 326.

상기 전자밸브(328)는 상기 수평관(323a)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연결관(323)의 상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연결관(323)의 상단부를 개폐할 수 있다.The solenoid valve 328 is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connecting pipe 323 to be positioned in the lower direction of the horizontal pipe 323a may open and close the upper end of the connecting pipe 323.

상기 화재발생부(30)의 제어부(390)는 상기 포그감지부(370)의 감지신호 및 상기 온도센서(327)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히터(326)와 상기 전자밸브(328)를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390 of the fire generating unit 30 may control the heater 326 and the solenoid valve 328 according to the detection signal of the fog detection unit 370 and the detection signal of the temperature sensor 327. Can be.

상기 포그감지부(370)가 상기 교육용 소화기(10)의 분사노즐(113)에서 분사되는 기화상태인 포그액을 감지한 상태에서 상기 온도센서(327)가 상기 히터(326)에서 발생되는 고온의 열의 온도를 감지한 경우,The temperature sensor 327 is a high temperature generated by the heater 326 in a state in which the fog detection unit 370 detects a fog liquid that is vaporized from the injection nozzle 113 of the educational fire extinguisher 10. If you sense the temperature of the heat,

상기 제어부(390)는 상기 전자밸브(328)가 상기 연결관(323)의 상단부를 개방하도록 제어하게 된다.The controller 390 controls the solenoid valve 328 to open the upper end of the connecting pipe 323.

이때, 상기 히터(326)에 의해 가열되어 기화된 연기를 표현하기 위한 포그액은 상기 연결관(323), 수평관(323a), 분기관(324), 관통공(321a) 및 상기 화재발생부(30)의 본체(309)의 관통공(309c)을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상승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fog liquid for expressing the vaporized smoke heated by the heater 326 is the connection pipe 323, horizontal pipe 323a, branch pipe 324, through hole 321a and the fire generating unit Ascending while passing through the through-hole 309c of the main body 309 of (30) sequentially.

다음으로, 상기 화재발생부(30)의 제어부(390)는 상기 포그감지부(370)의 감지신호에 따라 일정시간동안 상기 연기발생부(320)를 구동시킬 수 있다.Next, the control unit 390 of the fire generating unit 30 may drive the smoke generating unit 320 for a predetermined time according to the detection signal of the fog detection unit 370.

상기 포그감지부(370)가 상기 교육용 소화기(10)에서 기화상태로 분무되는 포그액을 감지한 경우 상기 제어부(390)는 상기 제어부(390)에 기설정된 일정시간동안 상기 연기발생부(320)의 히터(326)를 구동시킴과 동시에 상기 전자밸브(328)가 상기 연결관(323)의 상단부를 일정시간동안 개방하도록 제어하게 된다.When the fog detection unit 370 detects the fog solution sprayed in the evaporated state from the educational fire extinguisher 10, the control unit 390 is the smoke generating unit 320 for a predetermined time set in the control unit 390 While driving the heater 326 of the solenoid valve 328 is controlled to open the upper end of the connecting pipe 323 for a predetermined time.

상기 포그감지부(370)가 포그액을 감지하지 않은 경우 상기 제어부(390)는 상기 연기발생부(320)의 히터(326)의 구동을 중지시킴과 동시에 상기 전자밸브(328)가 상기 연결관(323)의 상단부를 폐쇄하도록 제어하게 된다.When the fog detection unit 370 does not detect the fog liquid, the control unit 390 stops driving the heater 326 of the smoke generating unit 320 and at the same time the solenoid valve 328 connects the connection pipe. A control is made to close the upper end of 323.

상기 화재발생부(30)의 제어부(390)가 상기 포그감지부(370)의 감지신호에 따라 일정시간동안 상기 연기발생부(320)를 구동시키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상기 연기발생부(320)가 구동될 우려가 없음은 물론 이로 인한 불필요한 전력낭비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Since the control unit 390 of the fire generating unit 30 drives the smoke generating unit 320 for a predetermined time according to the detection signal of the fog detecting unit 370, the smoke generating unit 320 is continuously driven. Of course, there is no fear that there will be an advantage that can minimize the unnecessary waste of power.

다음으로, 상기 화재발생부(30)의 제어부(390)는 상기 제어부(390)에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상기 포그감지부(370)가 포그를 연속적으로 감지한 경우 상기 발광부재(330)와 송풍부(350)로의 전원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Next, the control unit 390 of the fire generating unit 30 is the light emitting member 330 and the blower when the fog detection unit 370 continuously detects the fog for a predetermined time in the control unit 390 The power supply to 350 may be cut off.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390)에 미리 설정된 시간이 1분이라는 가정하에 상기 포그감지부(370)가 포그를 1분동안 연속적으로 감지한 경우,More specifically, when the fog detection unit 370 continuously detects the fog for 1 minute on the assumption that the time preset in the control unit 390 is 1 minute,

상기 제어부(390)는 상기 연기발생부(320)의 전자밸브(328)의 개폐정도를 제어하여 상기 연결관(323)을 서서히 폐쇄하도록 제어함과 동시에 상기 발광부재(330)와 송풍부(350)로 공급되는 별도의 배터리 또는 별도의 상기 전원공급부(391)의 전원량을 점차 줄이면서 상기 발광부재(330)와 송풍부(350)로 별도의 배터리 또는 별도의 상기 전원공급부(391)의 전원공급을 차단시키게 된다.The control unit 390 controls the opening and closing degree of the solenoid valve 328 of the smoke generating unit 320 to close the connecting pipe 323 gradually and at the same time the light emitting member 330 and the blowing unit 350 Power to the separate battery or the separate power supply 391 to the light emitting member 330 and the blower 350 while gradually reducing the amount of power supplied to the separate battery or the separate power supply unit 391. The supply will be cut off.

즉, 상기 포그감지부(370)가 포그를 1분동안 연속적으로 감지하게 되면 상기 연기발생부의 연기발생량은 점차 줄어듬과 동시에 상기 발광부재(330)의 휘도와 상기 송풍부(325)의 송풍량 또한 점차 줄어들게 되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fog detection unit 370 continuously detects fog for one minute, the smoke generation amount of the smoke generation unit gradually decreases, and the luminance of the light emitting member 330 and the air blowing amount of the blower unit 325 also gradually increase. Will be reduced.

상기 화재발생부(30)의 제어부(390)가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상기 포그감지부(370)가 포그를 연속적으로 감지한 경우 상기 발광부재(330)와 상기 송풍부(350)로의 전원공급을 차단하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상기 발광부재(330)와 송풍부(350)가 구동될 우려가 없음은 물론 이로 인한 불필요한 전력낭비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When the fog detector 370 continuously detects fog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controller 390 of the fire generator 30 cuts off the power supply to the light emitting member 330 and the blower 350. Therefore, there is no fear that the light emitting member 330 and the blower 350 are continuously driven, and thus, there is an advantage of minimizing unnecessary power waste.

다음으로, 도 3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교육용 소화기(10)의 몸체(110) 저면 중심부에는 하부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충전단자(112)가 구비될 수 있다.Next, as shown in FIGS. 3 and 5, the charging terminal 112 may be provided to protrude downward in the center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110 of the educational fire extinguisher 10.

그리고,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교육용 소화기(10)의 몸체(110)에 구비된 충전단자(112)와 접하는 접속단자(211)가 구비되는 충전거치대(210)가 구비될 수 있다.And, as shown in Figure 1 may be provided with a charging cradle 210 is provided with a connection terminal 211 in contact with the charging terminal 112 provided in the body 110 of the educational fire extinguisher 10.

상기 충전거치대(210)는 수평거치대(250)와 수직거치대(270)로 구성될 수 있다.The charging cradle 210 may be composed of a horizontal cradle 250 and a vertical cradle 270.

상기 수평거치대(250)의 저면 각 모서리에는 지면과 접하는 캐스터 등을 포함한 이동바퀴(251)가 각각 축결합될 수 있다.At each corner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horizontal holder 250, a wheel 251 including a caster and the like in contact with the ground may be axially coupled to each other.

상기 수평거치대(250)의 상부면 전측에는 상기 교육용 소화기(10)의 몸체(110) 하단부를 감싼 상태로 수용하는 상측이 개방된 수용홈(212a)이 상부에 형성된 수용부재(212)가 좌우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각각 구비될 수 있다.On the front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support 250, the receiving member 212 formed in the upper side of the receiving groove 212a having an upper side for receiving the lower end of the body 110 of the educational fire extinguisher 10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Each may be provided at regular intervals.

상기 수용부재(212)의 수용홈(212a)의 바닥면 중심부에는 상기 교육용 소화기(10)의 몸체(110)의 저면에 구비된 상기 충전단자(112)와 접하는 상기 접속단자(211)가 각각 상부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In the center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eiving groove 212a of the receiving member 212, the connection terminal 211 in contact with the charging terminal 112 provided on the bottom of the body 110 of the educational fire extinguisher 10, respectively, the upper portion It may be provided to protrude in the direction.

상기 접속단자(211)는 외부의 별도의 전원공급부(미도시)와 전선 등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connection terminal 211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n external separate power supply unit (not shown) and an electric wire.

상기 접속단자(211)와 상기 충전단자(112)가 상호접할 시 외부의 별도의 전원공급부(미도시)의 전원은 상기 교육용 소화기(10)의 배터리(200)로 공급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상기 교육용 소화기(10)의 배터리(200)에 전원을 충전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connection terminal 211 and the charging terminal 112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 power of an external separate power supply unit (not shown) may be supplied to the battery 200 of the educational fire extinguisher 10, thereby The battery 200 of the educational fire extinguisher 10 can be charged with power.

상기 수직거치대(270)는 상기 수평거치대(250)의 상부면 후측에 수직형성될 수 있다.The vertical holder 270 may be vertically formed on the rear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holder 250.

상기 수직거치대(270)의 전면 중심부에는 스피커 또는 경종 등을 포함한 경보음발생부(231)가 구비될 수 있다.An alarm sound generating unit 231 including a speaker or a bell may be provided at the front center of the vertical holder 270.

복수의 상기 수용부재(212)에서 복수의 상기 몸체(110) 전부 또는 1개 이상의 상기 몸체(110)가 상기 충전거치대(210)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충전단자(112)와 상기 접속단자(211)의 접한 상태가 해제된 경우 상기 수직거치대(27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는 별도의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상기 경보음발생부(231)는 싸이렌 소리 등을 포함한 경보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In the plurality of receiving members 212, all of the plurality of bodies 110 or one or more of the bodies 110 are separated from the charging cradle 210 so that the charging terminals 112 and the connection terminals 211 may be separated. When the contact state is released, the alarm sound generating unit 231 may generate an alarm sound including a siren sound by the control of a separate controller (not shown) which may be provided inside the vertical support 270. have.

상기 몸체(110)가 상기 충전거치대(210)로부터 분리된 경우 상기 화재발생부(30)로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무선통신부(230)가 구비될 수 있다.When the body 110 is separated from the charging cradle 210,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30 for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to the fire generating unit 30 may be provided.

상기 무선통신부(230)는 상기 충전거치대(210) 또는 상기 몸체(110)에 구비될 수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30 may be provided in the charging cradle 210 or the body 110.

상기 화재발생부(30)에는 상기 무선통신부(230)가 송신하는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무선통신부(320)가 구비될 수 있다.The fire generation unit 30 may be provided with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320 for receiving a control signal transmitted by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30.

상기 화재발생부(30)의 제어부(390)는 상기 무선통신부(320)가 제어신호를 수신할 경우 상기 발광부재(330) 및 상기 송풍부(350)를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390 of the fire generator 30 may control the light emitting member 330 and the blower 350 when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320 receives a control signal.

상기 충전거치대(210)로부터 상기 교육용 소화기(10)의 몸체(110)가 분리된 경우 상기 무선통신부(230)가 상기 화재발생부(30)로 제어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화재발생부(30)의 무산통신부(320)가 상기 무선통신부(230)가 송신하는 제어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화재발생부(30)의 제어부(390)가 상기 발광부재(330)와 송풍부(350)를 제어하기 때문에 상기 충전거치대(210)를 통해 상기 교육용 소화기(10)의 배터리(220)를 충전하는 과정 중에 상기 화재발생부(30)의 발광부재(330)와 송풍부(350)가 구동될 우려가 없는 이점이 있게 된다.
When the body 110 of the educational fire extinguisher 10 is separated from the charging cradle 210,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30 transmits a control signal to the fire generating unit 30, and the fire generating unit 30. The control unit 390 of the fire generating unit 30 controls the light emitting member 330 and the blower 350 when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320 receives the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30. Therefore, there is no fear that the light emitting member 330 and the blower 350 of the fire generator 30 may be driven while the battery 220 of the educational fire extinguisher 10 is charged through the charging cradle 210. There is an advantage.

도 6은 교육용 소화기(10)가 화재발생부(30)로 기화상태인 포그액을 분사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FIG. 6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educational fire extinguisher 10 sprays the fog liquid in a vaporized state to the fire generating unit 30.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분사노즐(113)을 통해 기화상태인 포그액을 분사하는 상기 교육용 소화기(10)와, 불꽃 형상을 표현하는 상기 복수의 시트(310)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상기 화재발생부(30)를 사용하여 대형사고로 번질 수 있는 화재관련사고에 대한 대처능력을 배양하기 위한 실제와 비슷한 화재현장을 보다 용이하게 재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를 토대로 실제상황과 유사한 실전에서의 화재진화체험교육을 실질적으로 행함에 따라 화재관련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the educational fire extinguisher 10 for injecting the fog solution in the vaporized state through the injection nozzle 113, as shown in Figure 6, and the plurality of sheets 310 to represent the flame shape By using the fire generating unit 30, including, etc., it is not only possible to easily reproduce a fire scene similar to the actual one for cultivating the ability to cope with a fire-related accident that can spread to a large accident, but also based on this. The practice of fire extinguishing experience training in a situation similar to that of a situation has the advantage of preventing fire related accidents in advance.

10; 교육용 소화기, 110; 몸체,
110a; 개폐문, 111; 작동손잡이,
112; 충전단자, 113; 분사노즐,
120; 연결관, 130, 322; 포그액 용기,
140, 325; 나선관, 150, 326; 히터,
160; 보온재, 180, 327; 온도센서,
200, 328; 전자밸브, 210; 충전거치대,
211; 접속단자, 212; 수용부재,
212a; 수용홈, 220; 배터리,
230, 320; 무선통신부, 231; 경보음 발생부,
240; 제어부, 250; 수평거치대,
251, 309a, 309b; 이동바퀴, 270; 수직거치대,
30; 화재발생부, 309; 본체,
309c, 321a; 관통공, 310; 시트,
320; 연기발생부, 321; 본체,
323; 연결관, 323a; 수평관,
324; 분기관, 330; 발광부재,
350; 송풍부, 360; 경보부재,
370; 포그감지부, 390; 제어부.
10; Educational fire extinguishers, 110; Body Part,
110a; Door closed, 111; Operation handle,
112; Charging terminal 113; Spray nozzle,
120; Connectors, 130, 322; Fog Liquid Container,
140, 325; Spiral tubes, 150, 326; heater,
160; Thermal insulation, 180, 327; temperature Senser,
200, 328; Solenoid valve 210; Charging stand,
211; Connection terminal, 212; Receiving member,
212a; Receiving groove, 220; battery,
230, 320;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31; Alarm sound generator,
240; Controller, 250; Horizontal,
251, 309a, 309b; Wheel, 270; Vertical,
30; Fire generating section 309; main body,
309c, 321a; Through hole, 310; Sheet,
320; Smoke generator, 321; main body,
323; Connector, 323a; Horizontal,
324; Branch, 330; Light emitting member,
350; Blower, 360; Alarm,
370; Fog detection unit, 390; Control unit.

Claims (7)

작동손잡이(111) 및 분사노즐(113)이 구비된 몸체(110)와, 상기 몸체(110)내에 설치되고 포그액이 충진되는 포그액 용기(130)와, 상기 포그액 용기(130)에 충진되어 상기 분사노즐(113)로 공급되는 포그액에 열을 가하여 기화시키는 히터(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교육용 소화기(10)와;
불꽃 형상을 표현하는 복수의 시트(310)와, 상기 복수의 시트(310)로 빛을 발광하는 발광부재(330)와, 상기 복수의 시트(310)가 상측으로 휘날리도록 상기 복수의 시트(310)에 고압공기를 송풍시키는 송풍부(350)와; 상기 교육용 소화기(10)로부터 분무되는 포그를 감지하는 포그감지부(370)와, 상기 포그감지부(370)의 포그감지여부에 따라 상기 발광부재(330) 및 상기 송풍부(350)를 제어하는 제어부(39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화재발생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몸체(110)의 내부에는 상기 포그액 용기(130)와 상기 분사노즐(113)을 연결하는 연결관(120)과;
상기 연결관(120)에 구비되고, 상기 히터(150)의 내측에 위치하여 상기 히터(150)로부터 열을 전달받는 나선관(140)과;
상기 히터(150)의 외주면과 상기 몸체(110)의 내주면 사이에 구비되는 보온재(160)와;
상기 히터(150)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180)와;
상기 연결관(120)을 개폐하는 전자밸브(200)와;
상기 히터(150) 및 상기 전자밸브(200)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220)와;
상기 온도센서(180)가 감지한 온도값과 기설정된 기준온도값을 비교하여 상기 히터(150)와 전자밸브(200)를 제어하는 제어부(24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안전교육용 체험장치.
A body 110 having an operating handle 111 and a spray nozzle 113, a fog liquid container 130 installed in the body 110, and filled with a fog liquid, and filled with the fog liquid container 130. And the fire extinguisher 10 for education comprising a heater 150 for applying heat to the fog liquid supplied to the injection nozzle 113 to vaporize;
A plurality of sheets 310 expressing a flame shape, a light emitting member 330 for emitting light to the plurality of sheets 310, and the plurality of sheets 310 so as to be bent upwards Blowing unit 350 for blowing high pressure air to; To control the light emitting member 330 and the blower 350 in accordance with the fog detection unit 370 for detecting the fog sprayed from the educational fire extinguisher 10 and the fog detection of the fog detection unit 370 And a fire generating unit 30 including a control unit 390.
A connection pipe 120 connecting the fog liquid container 130 and the injection nozzle 113 to the inside of the body 110;
A spiral tube (140) provided in the connection pipe (120) and positioned inside the heater (150) to receive heat from the heater (150);
An insulating material 160 provided betwee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eater 150 and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110;
A temperature sensor 180 for sensing a temperature of the heater 150;
An electromagnetic valve 20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connection pipe 120;
A battery 220 for supplying power to the heater 150 and the solenoid valve 200;
The control device 240 for controlling the heater 150 and the solenoid valve 200 by comparing the temperature value sensed by the temperature sensor 180 and the predetermined reference temperature value is provided with an experience device for fire safety education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교육용 소화기(10)의 포그액 용기(130)는 포그액이 압축충진되는 압축용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안전교육용 체험장치.
The method of claim 1,
Fog liquid container 130 of the educational fire extinguisher 10 is a fire safety training experienc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compressed container filled with the fog liqui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발생부(30)에 연기발생부(32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안전교육용 체험장치.
The method of claim 1,
Experience in the fire safety training experien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moke generating unit 320 is provided in the fire generating unit (30).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발생부(30)의 제어부(390)는 상기 포그감지부(370)의 감지신호에 따라 일정시간동안 상기 연기발생부(320)를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소방안전교육용 체험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control unit 390 of the fire generating unit 30 drives the smoke generating unit 320 for a predetermined time according to the detection signal of the fog detection unit 370,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e safety training experience devi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발생부(30)의 제어부(390)는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상기 포그감지부(370)가 포그를 연속적으로 감지한 경우 상기 발광부재(330)와 송풍부(350)로의 전원공급을 차단하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안전교육용 체험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 unit 390 of the fire generator 30 cuts off power supply to the light emitting member 330 and the blower 350 when the fog detection unit 370 continuously detects fog for a preset time. Experience in fire safety training experience device.
작동손잡이(111) 및 분사노즐(113)이 구비된 몸체(110)와, 상기 몸체(110)내에 설치되고 포그액이 충진되는 포그액 용기(130)와, 상기 포그액 용기(130)에 충진되어 상기 분사노즐(113)로 공급되는 포그액에 열을 가하여 기화시키는 히터(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교육용 소화기(10)와;
불꽃 형상을 표현하는 복수의 시트(310)와, 상기 복수의 시트(310)로 빛을 발광하는 발광부재(330)와, 상기 복수의 시트(310)가 상측으로 휘날리도록 상기 복수의 시트(310)에 고압공기를 송풍시키는 송풍부(350)와; 상기 교육용 소화기(10)로부터 분무되는 포그를 감지하는 포그감지부(370)와, 상기 포그감지부(370)의 포그감지여부에 따라 상기 발광부재(330) 및 상기 송풍부(350)를 제어하는 제어부(39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화재발생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교육용 소화기(10)의 몸체(110) 저면에 충전단자(112)가 구비되고,
상기 충전단자(112)와 접하는 접속단자(211)가 구비되는 충전거치대(210)와; 상기 몸체(110)가 상기 충전거치대(210)로부터 분리된 경우 상기 화재발생부(30)로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무선통신부(230);가 구비되며,
상기 화재발생부(30)에는 상기 무선통신부(230)가 송신하는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무선통신부(320)가 구비되고,
상기 화재발생부(30)의 제어부(390)는 상기 무선통신부(320)가 제어신호를 수신할 시 상기 발광부재(330) 및 상기 송풍부(350)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안전교육용 체험장치.
A body 110 having an operating handle 111 and a spray nozzle 113, a fog liquid container 130 installed in the body 110, and filled with a fog liquid, and filled with the fog liquid container 130. And the fire extinguisher 10 for education comprising a heater 150 for applying heat to the fog liquid supplied to the injection nozzle 113 to vaporize;
A plurality of sheets 310 expressing a flame shape, a light emitting member 330 for emitting light to the plurality of sheets 310, and the plurality of sheets 310 so as to be bent upwards Blowing unit 350 for blowing high pressure air to; To control the light emitting member 330 and the blower 350 in accordance with the fog detection unit 370 for detecting the fog sprayed from the educational fire extinguisher 10 and the fog detection of the fog detection unit 370 And a fire generating unit 30 including a control unit 390.
The charging terminal 112 is provided on the bottom of the body 110 of the educational fire extinguisher 10,
A charging cradle 210 having a connection terminal 211 in contact with the charging terminal 112; When the body 110 is separated from the charging cradle 210,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30 for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to the fire generating unit 30;
The fire generating unit 30 is provided with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320 for receiving a control signal transmitted by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30,
The control unit 390 of the fire generator 30 controls the light emitting member 330 and the blower 350 when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320 receives a control signal. Device.
삭제delete
KR1020100053339A 2010-06-07 2010-06-07 Experiencing apparatus for fire fightingeducation and training KR10101509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3339A KR101015099B1 (en) 2010-06-07 2010-06-07 Experiencing apparatus for fire fightingeducation and train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3339A KR101015099B1 (en) 2010-06-07 2010-06-07 Experiencing apparatus for fire fightingeducation and train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15099B1 true KR101015099B1 (en) 2011-02-16

Family

ID=43777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3339A KR101015099B1 (en) 2010-06-07 2010-06-07 Experiencing apparatus for fire fightingeducation and train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5099B1 (en)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80590A1 (en) * 2014-11-18 2016-05-26 이용철 Interactive fire drill simulation system
KR20160108885A (en) 2015-03-09 2016-09-21 이복한 Vehicle movement type self-safety education system
KR101701446B1 (en) 2016-03-30 2017-02-03 일일구국민재난안전교육진흥원 주식회사 The smoke generating system of the situation directing equipment for fire evacuation training experience
WO2018008778A1 (en) * 2016-07-07 2018-01-11 주식회사 대갑 Interactive fire safety training simulation system
CN108682220A (en) * 2018-06-28 2018-10-19 北京神州恒安科技有限公司 Emulate training exercises system
KR102021267B1 (en) * 2019-05-16 2019-09-11 권귀옥 Training material set for fire fighting training
KR20190131902A (en) * 2018-05-18 2019-11-27 김오환 Fire extinguisher practice equipment for fire fight training
KR102395332B1 (en) 2021-10-06 2022-05-09 나라기업 주식회사 Wireless control trainer for firefighting training
KR102398524B1 (en) 2021-10-06 2022-05-16 나라기업 주식회사 system for Wireless control for firefighting trainer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8422A (en) * 2000-10-10 2002-04-17 이대현 Simulator device for training fire fight
KR20030049218A (en) * 2001-12-14 2003-06-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Core for ignition coi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0349218Y1 (en) 2004-02-13 2004-05-03 최완형 The head of a fire-extinguishing apparatus for fire fighting education and training
KR20050097165A (en) * 2004-03-31 2005-10-07 (주)동현방재시스템 An artificial flame target apparatus for education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KR100758559B1 (en) * 2006-03-08 2007-09-13 이수정 Education system for extinguishing fir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8422A (en) * 2000-10-10 2002-04-17 이대현 Simulator device for training fire fight
KR20030049218A (en) * 2001-12-14 2003-06-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Core for ignition coi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0349218Y1 (en) 2004-02-13 2004-05-03 최완형 The head of a fire-extinguishing apparatus for fire fighting education and training
KR20050097165A (en) * 2004-03-31 2005-10-07 (주)동현방재시스템 An artificial flame target apparatus for education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KR100758559B1 (en) * 2006-03-08 2007-09-13 이수정 Education system for extinguishing fire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80590A1 (en) * 2014-11-18 2016-05-26 이용철 Interactive fire drill simulation system
KR20160059157A (en) * 2014-11-18 2016-05-26 이용철 Sensible fire tranining simulation system
KR101715819B1 (en) * 2014-11-18 2017-03-22 이용철 Sensible fire tranining simulation system
KR20160108885A (en) 2015-03-09 2016-09-21 이복한 Vehicle movement type self-safety education system
KR101701446B1 (en) 2016-03-30 2017-02-03 일일구국민재난안전교육진흥원 주식회사 The smoke generating system of the situation directing equipment for fire evacuation training experience
WO2017171393A1 (en) * 2016-03-30 2017-10-05 일일구국민재난안전교육진흥원 주식회사 Wide front and narrow rear type smart smoke generation device for situational directing using smoke spraying and remote control driving
WO2018008778A1 (en) * 2016-07-07 2018-01-11 주식회사 대갑 Interactive fire safety training simulation system
KR20190131902A (en) * 2018-05-18 2019-11-27 김오환 Fire extinguisher practice equipment for fire fight training
KR102079048B1 (en) * 2018-05-18 2020-02-19 김오환 Fire extinguisher practice equipment for fire fight training
CN108682220A (en) * 2018-06-28 2018-10-19 北京神州恒安科技有限公司 Emulate training exercises system
KR102021267B1 (en) * 2019-05-16 2019-09-11 권귀옥 Training material set for fire fighting training
KR102395332B1 (en) 2021-10-06 2022-05-09 나라기업 주식회사 Wireless control trainer for firefighting training
KR102398524B1 (en) 2021-10-06 2022-05-16 나라기업 주식회사 system for Wireless control for firefighting train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5099B1 (en) Experiencing apparatus for fire fightingeducation and training
US11951344B2 (en) Fire simulator
CA2642496C (en) Flameless fire extinguisher training methods and apparatus
KR100265093B1 (en) Portable firefighter training system for fire extinguisher training
CN210377926U (en) Simulation fire-extinguishing teaching device
CN112439151B (en) Simulation fire source, simulation fire extinguisher and simulation fire extinguishing teaching system
KR101285630B1 (en) The device of fire-training
KR101356038B1 (en) Fire extinguishing apparatus for simulation fire training
CN206295537U (en) A kind of solid suppression modeling system
KR100923076B1 (en) A simulation system for shifting type practical exercise of putting out a fire
CN206431878U (en) A kind of appliance fire simulation system
CN208706017U (en) Radio security device based on cigarette sense detection
CN210813669U (en) Portable exercise training system for simulating fire fighting
CN209475465U (en) Artificial intelligence hot drill system
KR100600521B1 (en) An artificial flame target apparatus for education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KR101306884B1 (en) Experience room for emergency escape
KR20150075595A (en) Sensible fire tranining simulation device
RU220318U1 (en) Mobile simulator for training in the use of primary fire extinguishing agents
RU2773813C1 (en) Training complex for working skills in use of fire extinguishers
CN215025622U (en) Vr simulation equipment for tobacco warehouse fire emergency handling ability improvement
CN206431944U (en) It is a kind of to be used to simulate the casing that solid catches fire
TWI524913B (en) A simulated fire extinguishing training device with a recyclable water system
CN219591015U (en) Fire-fighting exercise fire simulation box
KR20200000629U (en) Simulator device for training fire fight
AU2012202842B2 (en) Flameless fire extinguisher training methods and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