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5332B1 - Wireless control trainer for firefighting training - Google Patents

Wireless control trainer for firefighting train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5332B1
KR102395332B1 KR1020210132030A KR20210132030A KR102395332B1 KR 102395332 B1 KR102395332 B1 KR 102395332B1 KR 1020210132030 A KR1020210132030 A KR 1020210132030A KR 20210132030 A KR20210132030 A KR 20210132030A KR 102395332 B1 KR102395332 B1 KR 1023953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flame
piece
wheel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203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우희석
Original Assignee
나라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라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나라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320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533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53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533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62C99/0081Training methods or equipment for fire-fighting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011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associated with a remote control arrangem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ublic Health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In accordance wit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wireless control firefighting trainer, which is provided to reproduce the scene of a fire for fire suppression training, includes: a travelling part including a wheel part travelling on a floor surface while kept supported by the floor surface, a frame part connected to an upper side of the wheel part and providing a flat installation space, a driving part driving the wheel part while kept placed on an upper side of the rear of the frame part, and a wheel control part changing a direction or a rotation speed of the wheel part in accordance with an inputted signal value; a flame generation part, while kept placed in the installation space, connected with the frame part, and generating flames upward; an extinguishing cover part connected with the frame part, and, while kept placed between the driving part and the flame generation part, moved to a cover position for covering the flame generation part and an opening position for opening the flame generation part; a firefighting part installed in the frame part, and extinguishing the flames generated from the flame generation part; a flame air-blast part formed on the edge of the frame part, and generating an air blast to the installation space; and a wind velocity setting part changing the intensity of the air blast from the flame air-blast part, while kept connected with the flame air-blast part.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preventing a fire-related accident by enabling practical fire suppression training.

Description

훈련용 소방 트레이너{Wireless control trainer for firefighting training}Firefighting trainer for training {Wireless control trainer for firefighting training}

본 발명은 훈련용 소방 트레이너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화재진화 훈련을 위하여, 화재현장을 재연하는 훈련용 소방 트레이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re-fighting trainer for training, and more particularly, to a fire-fighting trainer for training that reproduces a fire scene for fire extinguishing training.

소화 훈련 분야에서, 특히, 제어되는 실 화재 상황 하에서의 훈련 등과 같은 개인들에 대한 소화 훈련을 가능하게 하는 장치 및 시스템에 대한 상당한 노력들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In the field of fire fighting training, significant efforts continue to be made, particularly for devices and systems that enable fire extinguishing training for individuals, such as training under controlled live fire situations.

특히, 초·중·고등학교에서 학생에 대해 실시하는 안전교육계획 중 특히, 화재안전교육의 프로그램에는 소화기 사용법과 경보시스템에 대한 사용요령 등이 명시되어 있으나, 많은 학생들을 주어진 시간 내에 체험교육시킬 수 있는 장비와 도구가 전혀 뒷받침되지 않기 때문에 형식적인 교육에 그친다는 문제점이 있다.In particular, among the safety education plans implemented for students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the fire safety education program specifically states how to use a fire extinguisher and how to use an alarm system, but many students cannot be given experience education within a given time.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only a formal education because the equipment and tools are not supported at all.

고 비용, 부상에 대한 높은 위험성, 위험하고 환경적으로 유해 물질에 노출, 정량적 및 정성적 피드백의 부족(lack of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feedback), 및 최근 장치 및 시스템에 대한 사용자 지도의 부족 때문에, 이러한 소화 훈련에 대한 사용자의 이용은 제한을 받으며 그리고 개인, 상업, 정부 부문들이 채택하기에는 종종 비현실적(비실용적)이다.Because of the high cost, high risk of injury, exposure to hazardous and environmentally hazardous substances, the lack of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feedback, and the lack of user guidance on recent devices and systems, this digestion Employers' use of training is limited and often impractical (impractical) for adoption by the private, commercial and governmental sectors.

따라서, 개인들에 대한 소화 훈련의 분야에서 전술한 결점들 및 다른 결점들의 최소한 하나를 극복하는 장치, 방법 및 시스템에 대한 필요가 있다.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n apparatus, method and system that overcomes at least one of the above and other drawbacks in the field of fire extinguishing training for individuals.

한국등록특허 제10-1015099호Korean Patent No. 10-1015099

본 발명의 목적은, 대형사고로 번질 수 있는 화재관련사고에 대한 대처능력을 배양하기 위해 실제와 비슷한 화재현장을 재연할 수 있는 장비를 구축한 후 이를 토대로 실제상황과 유사한 실전에서의 화재진화체험교육을 행함에 따라 화재관련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는 훈련용 소방 트레이너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uild equipment that can reproduce a fire scene similar to the real one in order to cultivate the ability to cope with a fire-related accident that can spread to a large-scale accident, and then based on this, a fire extinguishing experience similar to the real situation It is to provide a fire-fighting trainer for training that can prevent fire-related accidents in advance through educ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제어 소방 트레이너는, 화재진화 훈련을 위하여, 화재현장을 재연하는 훈련용 소방 트레이너에 있어서, 바닥면에 지지된 채 상기 바닥면을 주행하는 바퀴부, 상기 바퀴부에 상측에 연결되며, 편평한 설치공간을 제공하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의 후방 상측에 배치된 채, 상기 바퀴부를 구동시키는 구동부 및 입력된 신호값에 따라 상기 바퀴부의 방향 또는 회전속도를 변화시키는 바퀴제어부를 구비하는 주행부, 상기 설치공간에 배치된 채, 상기 프레임부에 연결되며, 상측을 향해 화염을 발생시키는 화염발생부, 상기 프레임부에 연결되되, 상기 구동부와 상기 화염발생부 사이에 배치된 채, 상기 화염발생부를 커버하는 커버위치와 상기 화염발생부를 개방하는 개방위치로 위치 이동되는 소화커버부, 상기 프레임부에 설치되며, 상기 화염발생부로부터 발생된 화염을 소화하는 소화부, 상기 프레임부의 테두리에 형성되며, 상기 설치공간으로 송풍을 발생시키는 화염송풍부 및 상기 화염송풍부에 연결된 채, 상기 화염송풍부에 의한 송풍 세기를 변화시키는 풍속설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바퀴제어부는, 무선통신에 의해 입력된 신호값에 따라 상기 바퀴부의 방향 또는 회전속도를 변화시킬 수 있다.A radio-controlled fire fighting tr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fire fighting trainer for reenacting a fire scene for fire extinguishing training, a wheel part that runs on the floor while being supported on the floor, the wheel part A frame part connected to the upper side of the hood and providing a flat installation space, a driving part for driving the wheel part while being disposed on the rear upper part of the frame part, and a wheel control part for changing the direction or rotation speed of the wheel part according to an input signal value A traveling part having a, disposed in the installation space, connected to the frame part, a flame generating part generating a flame upwardly, connected to the frame part, disposed between the driving part and the flame generating part A fire extinguishing cover part which is moved to a cover position for covering the flame generating part and an open position for opening the flame generating part, an extinguishing part installed in the frame part and extinguishing the flame generated from the flame generating part, the frame It is formed on the rim of the part, and includes a flame blowing unit for generating air to the installation space and a wind speed setting unit for changing the blowing intensity by the flame blowing unit while connected to the flame blowing unit, wherein the wheel control unit includes wireless communication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direction or rotation speed of the wheel part according to the signal value input by the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제어 소방 트레이너는, 상기 프레임부에 설치된 채, 자연풍의 풍향 및 풍속을 측정하는 자연풍측정부 및 상기 자연풍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측정값을 기초로 상기 바퀴제어부, 상기 풍향설정부 및 상기 화염발생부를 제어하는 메인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메인제어부는, 상기 자연풍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자연풍의 풍향과 상기 프레임부의 전방이 대향하도록 상기 바퀴제어부를 제어하고, 상기 자연풍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자연풍의 풍속의 세기와 비례하여 상기 화염송풍부의 송풍 세기가 변화되도록 상기 풍속설정부를 제어하며, 상기 프레임부의 전방이 자연풍의 풍향과 대향하지 않은 경우, 상기 화염발생부가 구동되지 않도록 상기 화염발생부를 제어할 수 있다.The wireless control fire fighting tr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heel control unit based on the measured values measured by the natural wind measuring unit and the natural wind measuring unit for measuring the wind direction and wind speed of the natural wind while being installed in the frame unit, Further comprising a main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wind direction setting unit and the flame generating unit, wherein the main control unit controls the wheel control unit so that the wind direction of the natural wind measured by the natural wind measuring unit and the front of the frame unit are opposite to each other, The wind speed setting unit is controlled so that the blowing strength of the flame blowing unit is changed in proportion to the strength of the wind speed of the natural wind measured by the natural wind measuring unit, and when the front of the frame unit does not face the wind direction of the natural wind, the flame generating unit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flame generating unit so as not to be drive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제어 소방 트레이너의 상기 주행부는, 상기 프레임부에 연결된 채, 하부에 위치한 상기 바퀴부를 커버하는 바퀴커버부 및 상기 바퀴커버부의 외측면을 따라 방사상으로 형성된 채, 외측면의 법선 벡터 방향으로 송풍을 발생시켜 상기 프레임부 상에서 발생된 화염의 상기 바퀴부로의 이동을 방해하는 바퀴송풍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바퀴부는, 상기 프레임부의 전방 저면 일측에 배치되는 제1 전방바퀴편, 상기 프레임부의 전방 저면 타측에 배치되는 제2 전방바퀴편, 상기 프레임부의 후방 저면 일측에 배치되는 제1 후방바퀴편 및 상기 프레임부의 후방 저면 타측에 배치되는 제2 후방바퀴편을 구비하고, 상기 바퀴커버부는, 상기 제1 전방바퀴편을 커버하는 제1 커버편 및 상기 제2 전방바퀴편을 커버하는 제2 커버편을 구비하며, 상기 제1 커버편은, 상기 프레임부의 길이방향 일측 테두리로부터 연장되되, 속이 빈 반구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전방바퀴편의 상측을 커버하는 제1 반구형성편 및 상기 제1 반구형성편의 상기 제1 후방바퀴편을 대향하는 일측단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연장편을 구비하고, 상기 제2 커버편은, 상기 프레임부의 길이방향 타측 테두리로부터 연장되되, 속이 빈 반구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2 전방바퀴편의 상측을 커버하는 제2 반구형성편 및 상기 제2 반구형성편의 상기 제2 후방바퀴편을 대향하는 일측단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연장편을 구비하며, 상기 바퀴송풍부는, 상기 제1 반구형성편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제1 바퀴송풍편 및 상기 제2 반구형성편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제2 바퀴송풍편을 구비할 수 있다.The traveling part of the radio-controlled fire fighting tr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radially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wheel cover part and the wheel cover part that cover the wheel part located in the lower part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frame part, etc. Further comprising a wheel blower for generating air in the direction of the normal vector of the side to prevent movement of the flame generated on the frame portion to the wheel portion, wherein the wheel portion includes a first front wheel disposed on one side of the front bottom surface of the frame portion One, a second front wheel piece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front bottom surface of the frame part, a first rear wheel piec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rear bottom surface of the frame part, and a second rear wheel piece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rear bottom surface of the frame part, The wheel cover portion includes a first cover piece for covering the first front wheel piece and a second cover piece for covering the second front wheel piece, wherein the first cover piece includes a longitudinal rim of the frame portion. A first hemispherical forming piece extending from the doedoe, formed in a hollow hemispherical shape and covering the upper side of the first front wheel piece, and a first hemispherical forming piece extending downward from one end of the first hemispherical forming piece facing the first rear wheel piece A second hemispherical forming piece extending from the other longitudinal rim of the frame portion, the second hemispherical forming piece extending from the other longitudinal edge of the frame portion, the second hemispherical forming piece is formed in a hollow hemispherical shape to cover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front wheel piece, and the second and a second extension piece extending downwardly from one end opposite to the second rear wheel piece of the hemispherical forming piece, wherein the wheel blowing unit includes a first wheel blowing piece formed alo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hemispherical forming piece and the A second wheel blowing piece formed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hemispherical forming piece may be provid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제어 소방 트레이너의 상기 소화커버부는, 상기 프레임부의 상면으로부터 기립되어 형성되는 기립부, 상기 기립부와 이웃하게 배치된 채, 상기 기립부의 후방에 배치되는 개방위치에서 상기 기립부를 넘어 상기 기립부의 전방에 배치되는 커버위치로 이동되는 위치이동부 및 상기 기립부의 상측 테두리와 상기 위치이동부의 하측 테두리를 연결하되, 변형 가능한 방화재질로 형성되는 방화변형부를 구비하며, 상기 위치이동부는, 속이 빈 반구형상으로 형성된 채, 상기 커버위치에서 상기 기립부, 상기 방화변형부 및 상기 프레임부의 상면과 폐쇄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방화변형부는, 상기 위치이동부가 상기 커버위치에 위치한 경우, 상기 기립부와 상기 위치이동부 사이의 이격 공간의 기밀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The fire extinguishing cover portion of the radio-controlled fire fighting tr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tanding portion formed by standing up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portion, disposed adjacent to the standing portion, in an open position disposed behind the standing portion A position moving part moving beyond the standing part to a cover position disposed in front of the standing part and connecting the upper rim of the standing part and the lower rim of the position moving part, a fire-proof deformable part formed of a deformable fire-proof material, the position The moving part is formed in a hollow hemispherical shape, and forms a closed space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standing part, the fire deformation part and the frame part in the cover position, and the fire deformation part is, when the position moving part is located in the cover position ,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airtightness of the spaced apart space between the standing part and the moving par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제어 소방 트레이너의 상기 기립부 및 상기 위치이동부는, 상기 개방위치에서 상기 구동부와 상기 화염발생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화염발생부로부터 발생된 화염이 상기 구동부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메인제어부는, 상기 위치이동부가 상기 개방위치에서 상기 커버위치로 위치 이동되면, 상기 소화부가 구동되도록 하며, 상기 소화부는, 상기 폐쇄공간 내로 소화물질을 분사하여, 상기 폐쇄공간 내의 화염이 소화되도록 하고, 상기 메인제어부는, 상기 화염발생부 또는 상기 소화부가 구동되는 경우, 상기 바퀴송풍부가 구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standing part and the position moving part of the radio-controlled fire fighting tr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sposed between the driving part and the flame generating part in the open position, and the flame generated from the flame generating part is transferred to the driving part to prevent movement, and the main control unit, when the position moving unit is moved from the open position to the cover position, causes the fire extinguishing unit to be driven, and the fire extinguishing unit injects a fire extinguishing material into the closed space to close the closing The flame in the space is extinguished, and the main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wheel blower to be driven when the flame generating unit or the extinguishing unit is drive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제어 소방 트레이너는, 상기 화염송풍부에 연결된 채, 상기 화염송풍부에 의한 송풍 방향을 변화시키는 풍향설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화염송풍부는, 상기 프레임부의 길이방향 일측 테두리에 형성되는 제1 화염송풍편 및 상기 프레임부의 길이방향 타측 테두리에 형성되는 제2 화염송풍편을 구비하고, 상기 풍향설정부는, 상기 제1 화염송풍편의 송풍 방향을 변화시키는 제1 풍향설정편 및 상기 제1 화염송풍편의 송풍 방향을 변화시키는 제2 풍향설정편을 구비하며, 상기 제1 풍향설정편 및 상기 제2 풍향설정편은, 사용자에 의해 발신된 신호값을 입력 받아 상기 제1 화염송풍편 또는 상기 제2 화염송풍편의 송풍 방향을 변화시킬 수 있다.The wirelessly controlled fire fighting tr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comprises a wind direction setting unit for changing the blowing direction by the flame blowing unit, while connected to the flame blowing unit, wherein the flame blowing unit i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ame unit A first flame blowing piece formed on one edge and a second flame blowing piece formed on the other edge of the fram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wind direction setting unit, a first wind direction setting for changing the blowing direction of the first flame blowing piece a piece and a second wind direction setting piece for changing the blowing direction of the first flame blowing piece, wherein the first wind direction setting piece and the second wind direction setting piece receive a signal value transmitted by a user and the first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blowing direction of the flame blowing piece or the second flame blowing pie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제어 소방 트레이너의 상기 화염발생부는, 상기 프레임부의 상면으로부터 함입된 복수의 제1 함입부에 장착된 채, 상측으로 연료를 분사하여 상기 프레임부의 상면에 연료가 안착되도록 하는 연료분사부, 상기 프레임부의 상면으로부터 함입된 제2 함입부에 장착된 채, 상기 연료분사부로부터 분사된 연료를 점화하는 점화부 및 상기 프레임부에 형성되되, 상기 복수의 제1 함입부를 커버하거나 개방하는 연료커버부를 구비하며, 상기 연료커버부는, 상기 프레임부의 상부플레이트의 하부에 배치된 채, 상기 복수의 제1 함입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복수의 대응홀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제1 함입부와 상기 복수의 대응홀이 중첩되는 중첩위치에서 수평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어 상기 복수의 제1 함입부와 상기 복수의 대응홀이 중첩되지 않는 중첩해제위치로 위치 이동되며, 상기 복수의 제1 함입부는, 상기 연료커버부의 상기 중첩위치에서 개방되며, 상기 연료커버부의 상기 중첩해제위치에서 폐쇄될 수 있다.The flame generating unit of the radio-controlled fire fighting tr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plurality of first recessed parts recesse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part, and the fuel is injected upwardly so that the fuel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part. A fuel injection unit to be formed, an ignition unit for igniting the fuel injected from the fuel injection unit while being mounted on the second recessed unit recesse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unit, and formed in the frame, the plurality of first recessed parts A fuel cover part to cover or open is provided, wherein the fuel cover part is disposed under the upper plate of the frame part and has a plurality of corresponding holes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first recessed parts, the plurality of of the first recessed portion and the plurality of corresponding holes are mov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overlapping position where they overlap, and the plurality of first recessed portions and the plurality of corresponding holes are moved to the overlapping release position where they do not overlap, the plurality of The first recessed portion of the may be opened at the overlapping position of the fuel cover portion, and may be closed at the overlapping position of the fuel cover portion.

본 발명에 의하면, 대형사고로 번질 수 있는 화재관련사고에 대한 대처능력을 배양하기 위한 실제와 비슷한 화재현장을 보다 용이하게 재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를 토대로 실제상황과 유사한 실전에서의 화재진화체험교육을 실질적으로 행함에 따라 화재관련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ore easily reproduce a fire scene similar to the real one for cultivating the ability to cope with a fire-related accident that can spread to a large-scale accident, and based on this, fire extinguishing experience education in a real battle similar to the actual situation based on this In practice, fire-related accidents can be prevented in advan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훈련용 소방 트레이너를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훈련용 소방 트레이너의 주행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훈련용 소방 트레이너의 소화커버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훈련용 소방 트레이너의 화염발생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fire fighting trainer for train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the running portion of the training fire tr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the extinguishing cover portion of the training fire fighting tr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a flame generating unit of the training fire fighting tr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However,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presented embodiment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ho underst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dd, change, delete, etc. other elements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spirit, and may use other degenerative inventions or the present invention. Other embodiments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may be easily proposed, but this will also b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In addition, components having the same function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idea shown in the drawings of each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us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훈련용 소방 트레이너를 도시한 개략도이다.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fire fighting trainer for train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훈련용 소방 트레이너(1)는, 화재진화 훈련을 위하여 화재현장을 재연하는 장치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a fire fighting trainer 1 for train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device for reenacting a fire scene for fire extinguishing training.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훈련용 소방 트레이너(1)는 주행부(10), 화염발생부(20), 소화커버부(30), 소화부(40), 화염송풍부(50)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e fighting trainer 1 for train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riving unit 10 , a flame generating unit 20 , a fire extinguishing cover unit 30 , a fire extinguishing unit 40 , and a flame blowing unit 50 . can do.

상기 주행부(10)는 바퀴부(11), 프레임부(13), 구동부(15) 및 바퀴제어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The driving unit 10 may include a wheel unit 11 , a frame unit 13 , a driving unit 15 , and a wheel control unit (not shown).

상기 바퀴부(11)는, 바닥면에 지지된 채 상기 바닥면을 주행할 수 있다.The wheel part 11 may travel on the floor surface while being supported on the floor surface.

상기 프레임부(13)는, 상기 바퀴부(11)에 상측에 연결되며, 편평한 설치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The frame part 13 is connected to the upper side of the wheel part 11, and may provide a flat installation space.

상기 바퀴부(11)는, 상기 프레임부(13)의 전방 저면 일측에 배치되는 제1 전방바퀴편(111), 상기 프레임부(13)의 전방 저면 타측에 배치되는 제2 전방바퀴편(112), 상기 프레임부(13)의 후방 저면 일측에 배치되는 제1 후방바퀴편(113) 및 상기 프레임부(13)의 후방 저면 타측에 배치되는 제2 후방바퀴편을 구비할 수 있다.The wheel part 11 includes a first front wheel piece 111 disposed on one side of the front bottom surface of the frame part 13 , and a second front wheel piece 112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front bottom surface of the frame part 13 . ), a first rear wheel piece 113 disposed on one side of the rear bottom surface of the frame portion 13 and a second rear wheel piece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rear bottom surface of the frame portion 13 may be provided.

상기 구동부(15)는, 상기 프레임부(13)의 후방 상측에 배치된 채, 상기 바퀴부(11)를 구동시킬 수 있다.The driving unit 15 may drive the wheel unit 11 while being disposed on the rear upper side of the frame unit 13 .

상기 바퀴제어부(미도시)는, 무선통신에 의해 입력된 신호값에 따라 상기 바퀴부(11)의 방향 또는 회전속도를 변화시킬 수 있다.The wheel control unit (not shown) may change the direction or rotation speed of the wheel unit 11 according to a signal value input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여기서, 입력된 신호값은 사용자의 리모트 컨트롤에 의한 신호 또는 후술할 메인제어부(미도시)로부터 입력된 신호일 수 있다.Here, the input signal value may be a signal by a user's remote control or a signal input from a main controller (not shown) to be described later.

상기 화염발생부(20)는, 상기 설치공간에 배치된 채, 상기 프레임부(13)에 연결되며, 상측을 향해 화염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화염발생부(20)는 후술할 점화부(23)에 의해 발화되어 화염을 발생시키도록 연료를 분사하는 장치일 수 있다.The flame generating part 20 is connected to the frame part 13 while being disposed in the installation space, and may generate a flame upward. The flame generating unit 20 may be a device that injects fuel so as to be ignited by an ignition unit 23 to be described later to generate a flame.

상기 소화커버부(30)는, 상기 프레임부(13)에 연결되되, 상기 구동부(15)와 상기 화염발생부(20) 사이에 배치된 채, 상기 화염발생부(20)를 커버하는 커버위치와 상기 화염발생부(20)를 개방하는 개방위치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The fire extinguishing cover part 30 is connected to the frame part 13, and is disposed between the driving part 15 and the flame generating part 20 and covers the flame generating part 20. and the flame generating unit 20 may be moved to an open position.

상기 소화커버부(30)는, 상기 화염발생부(20)로부터 발생된 화염이 상기 구동부(15)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화염발생부(20)로부터 발생된 화염을 소화하는 경우, 상기 화염발생부(20)에 공급되는 산소를 차단하기 위해 상기 화염발생부(20)의 상부를 커버하거나 상기 소화부(40)에 의한 소화액(제) 등이 비산되는 것을 막아 주위 환경 또는 사람들에게 불편함을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fire extinguishing cover unit 30 prevents the flame generated from the flame generating unit 20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driving unit 15, and when extinguishing the flame generated from the flame generating unit 20, the In order to block the oxygen supplied to the flame generator 20, it covers the upper part of the flame generator 20 or prevents the extinguishing liquid (agent) from scattering by the fire extinguishing part 40, causing inconvenience to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r people. can be prevented from giving.

상기 소화부(40)는, 상기 프레임부(13)에 설치되며, 상기 화염발생부(20)로부터 발생된 화염을 소화할 수 있다.The fire extinguishing unit 40 is installed in the frame unit 13 , and can extinguish the flame generated from the flame generating unit 20 .

상기 화염송풍부(50)는, 상기 프레임부(13)의 테두리에 형성되며, 상기 설치공간으로 송풍을 발생시킬 수 있다.The flame blowing unit 50 is formed on the edge of the frame unit 13, and can generate air blowing into the installation space.

이는, 자연풍에 의한 화염 방향이 상기 프레임부(13)의 후방에 위치한 소화커버부(30)를 향하도록 하여 프레임부(13)의 전방에서 소화 훈련을 하는 훈련자에게 화염에 의한 화상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This is to minimize the risk of burns due to flame to the trainee who performs fire fighting training in front of the frame part 13 by directing the flame direction from the natural wind toward the fire extinguishing cover part 30 located at the rear of the frame part 13. it is for

상기 화염송풍부(50)는, 상기 프레임부(13)의 상측에서 발화된 화염이 상기 프레임부(13)의 상측에 머물도록 하는 일종의 에어커튼 역할을 수행하며, 상기 자연풍의 풍속이 세질수록 상기 화염송풍부(50)에 의한 효과가 떨어질 수 있으므로, 상기 풍속설정부(미도시)는 상기 화염송풍부(50)의 송풍 세기를 높여 에어커튼의 효과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The flame blowing unit 50 serves as a kind of air curtain so that the flame ignited from the upper side of the frame unit 13 stays at the upper side of the frame unit 13, and as the wind speed of the natural wind increases, the Since the effect of the flame blowing unit 50 may be reduced, the wind speed setting unit (not shown) may increase the blowing strength of the flame blowing unit 50 to maintain the effect of the air curtain.

또한, 상기 메인제어부(미도시)는, 상기 프레임부(13)의 전방이 자연풍의 풍향과 대향하지 않은 경우, 상기 화염발생부(20)가 구동되지 않도록 상기 화염발생부(20)를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in control unit (not shown) controls the flame generating unit 20 so that the flame generating unit 20 is not driven when the front of the frame unit 13 does not face the wind direction of the natural wind. can

상기 풍향설정부는, 상기 화염송풍부(50)에 연결된 채, 상기 화염송풍부(50)에 의한 송풍 방향을 변화시킬 수 있다.The wind direction setting unit may change the blowing direction by the flame blowing unit 50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flame blowing unit 50 .

상기 화염송풍부(50)는, 상기 프레임부(13)의 길이방향 일측 테두리에 형성되는 제1 화염송풍편(51) 및 상기 프레임부(13)의 길이방향 타측 테두리에 형성되는 제2 화염송풍편(52)을 구비할 수 있다.The flame blowing part 50 is a first flame blowing piece 51 formed on one edge of the frame part 13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second flame blowing part formed on the other edge of the frame part 13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piece 52 may be provided.

상기 풍향설정부는, 상기 제1 화염송풍편(51)의 송풍 방향을 변화시키는 제1 풍향설정편 및 상기 제1 화염송풍편(51)의 송풍 방향을 변화시키는 제2 풍향설정편을 구비할 수 있다.The wind direction setting unit may include a first wind direction setting piece for changing the blowing direction of the first flame blowing piece 51 and a second wind direction setting piece for changing the blowing direction of the first flame blowing piece 51 . there is.

상기 제1 풍향설정편 및 상기 제2 풍향설정편은, 사용자에 의해 발신된 신호값을 입력 받아 상기 제1 화염송풍편(51) 또는 상기 제2 화염송풍편(52)의 송풍 방향을 변화시킬 수 있다.The first wind direction setting piece and the second wind direction setting piece change the blowing direction of the first flame blowing piece 51 or the second flame blowing piece 52 by receiving a signal value transmitted by a user. can

사용자는 훈련자에게 다양한 형태의 화염 형태를 훈련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1 풍향설정편 또는 상기 제2 풍향설정편을 조절하여, 화염 형태를 변화시킬 수 있다.The user may change the flame shape by adjusting the first wind direction setting piece or the second wind direction setting piece in order to train the trainee with various types of flame shapes.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훈련용 소방 트레이너의 주행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Figure 2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the running unit of the training fire tr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훈련용 소방 트레이너(1)의 주행부(10)는 바퀴커버부(12) 및 바퀴송풍부(18)를 더 구비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 the driving unit 10 of the fire fighting trainer 1 for train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wheel cover unit 12 and a wheel blower unit 18 .

상기 바퀴커버부(12)는, 상기 프레임부(13)에 연결된 채, 하부에 위치한 상기 바퀴부(11)를 커버할 수 있다.The wheel cover part 12 may cover the wheel part 11 located below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frame part 13 .

상기 바퀴송풍부(18)는, 상기 바퀴커버부(12)의 외측면을 따라 방사상으로 형성된 채, 외측면의 법선 벡터 방향으로 송풍을 발생시켜 상기 프레임부(13) 상에서 발생된 화염의 상기 바퀴부(11)로의 이동을 방해할 수 있다.The wheel blowing unit 18 is formed radially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wheel cover unit 12, and blows air in the direction of the normal vector of the outer surface of the wheel of the flame generated on the frame unit 13. It may prevent movement to the part 11 .

상기 바퀴커버부(12)는, 상기 제1 전방바퀴편(111)을 커버하는 제1 커버편(121) 및 상기 제2 전방바퀴편(112)을 커버하는 제2 커버편(122)을 구비할 수 있다.The wheel cover part 12 includes a first cover piece 121 that covers the first front wheel piece 111 and a second cover piece 122 that covers the second front wheel piece 112 . can do.

상기 제1 커버편(121)은, 상기 프레임부(13)의 길이방향 일측 테두리로부터 연장되되, 속이 빈 반구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전방바퀴편(111)의 상측을 커버하는 제1 반구형성편(121a) 및 상기 제1 반구형성편(121a)의 상기 제1 후방바퀴편(113)을 대향하는 일측단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연장편(121b)을 구비할 수 있다.The first cover piece 121 is a first hemispherical forming piece extending from one edge of the frame portion 13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ormed in a hollow hemispherical shape, and covering the upper side of the first front wheel piece 111 . A first extension piece 121b extending downward from one end of the first hemispherical forming piece 121a facing the first rear wheel piece 113 may be provided.

상기 제2 커버편(122)은, 상기 프레임부(13)의 길이방향 타측 테두리로부터 연장되되, 속이 빈 반구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2 전방바퀴편(112)의 상측을 커버하는 제2 반구형성편(122a) 및 상기 제2 반구형성편(122a)의 상기 제2 후방바퀴편을 대향하는 일측단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연장편(122b)을 구비할 수 있다.The second cover piece 122 is a second hemispherical forming piece extending from the other edge of the frame part 13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ormed in a hollow hemispherical shape, and covering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front wheel piece 112 . (122a) and a second extension piece 122b extending downward from one end of the second hemispherical forming piece 122a facing the second rear wheel piece may be provided.

상기 바퀴송풍부(18)는, 상기 제1 반구형성편(121a)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제1 바퀴송풍편(181) 및 상기 제2 반구형성편(122a)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제2 바퀴송풍편(182)을 구비할 수 있다.The wheel blowing unit 18 includes a first wheel blowing piece 181 formed alo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hemispherical forming piece 121a and a second wheel blowing formed alo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hemispherical forming piece 122a. A piece 182 may be provided.

상기 바퀴송풍부(18)는, 화기에 약한 바퀴 재질이 불에 의한 직접 또는 간접적인 영향을 적게 받도록, 방사상으로 송풍을 발생시켜, 화염이 바퀴부(11)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wheel blower 18 generates a radial blow so that the wheel material weak to fire is less directly or indirectly affected by fire, thereby preventing the flame from moving to the wheel part 11 .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훈련용 소방 트레이너의 소화커버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Figure 3 is a schematic view for explaining the extinguishing cover portion of the training fire fighting tr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훈련용 소방 트레이너(1)의 소화커버부(30)는 기립부(31), 위치이동부(33) 및 방화변형부(35)를 구비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 the fire extinguishing cover unit 30 of the fire fighting trainer 1 for train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tanding unit 31 , a position moving unit 33 and a fire deformation unit 35 . can

상기 기립부(31)는, 상기 프레임부(13)의 상면으로부터 기립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standing part 31 may be formed to stand up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part 13 .

상기 위치이동부(33)는, 상기 기립부(31)와 이웃하게 배치된 채, 상기 기립부(31)의 후방에 배치되는 개방위치(도 3 (a) 참조)에서 상기 기립부(31)를 넘어 상기 기립부(31)의 전방에 배치되는 커버위치(도 3 (b) 참조)로 이동될 수 있다.The position moving part 33 is disposed adjacent to the standing part 31 and moves the standing part 31 in an open position (refer to FIG. 3 (a)) disposed behind the standing part 31. It can be moved to a cover position (refer to FIG. 3 (b)) disposed in front of the standing part 31 beyond.

상기 위치이동부(33)는, 속이 빈 반구형상으로 형성된 채, 상기 커버위치에서 상기 기립부(31), 상기 방화변형부(35) 및 상기 프레임부(13)의 상면과 폐쇄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The position moving part 33 can form a closed space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standing part 31, the fire deformation part 35 and the frame part 13 in the cover position, while being formed in a hollow hemispherical shape. there is.

상기 방화변형부(35)는, 상기 기립부(31)의 상측 테두리와 상기 위치이동부(33)의 하측 테두리를 연결하되, 변형 가능한 방화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re prevention deformable part 35 connects the upper edge of the standing part 31 and the lower edge of the position moving part 33, but may be formed of a deformable fire prevention material.

상기 방화변형부(35)는, 상기 위치이동부(33)가 상기 커버위치에 위치한 경우, 상기 기립부(31)와 상기 위치이동부(33) 사이의 이격 공간의 기밀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The fire-proof deformable part 35 may maintain the airtightness of the spaced apart space between the standing part 31 and the moving part 33 when the position moving part 33 is located in the cover position.

상기 기립부(31) 및 상기 위치이동부(33)는, 상기 개방위치에서 상기 구동부(15)와 상기 화염발생부(2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화염발생부(20)로부터 발생된 화염(F)이 상기 구동부(15)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standing part 31 and the moving part 33 are disposed between the driving part 15 and the flame generating part 20 in the open position, and the flame F generated from the flame generating part 20 ) can be prevented from moving to the driving unit 15 .

상기 소화부(40)는, 상기 폐쇄공간 내로 소화물질을 분사하여, 상기 폐쇄공간 내의 화염이 소화되도록 할 수 있다.The fire extinguishing unit 40 may inject a fire extinguishing material into the closed space so that the flame in the closed space is extinguished.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훈련용 소방 트레이너의 화염발생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Figure 4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the flame generating unit of the training fire fighting tr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훈련용 소방 트레이너(1)의 화염발생부(20)는 연료분사부(21), 점화부(23) 및 연료커버부(25)를 구비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 the flame generating unit 20 of the fire fighting trainer 1 for train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uel injection unit 21 , an ignition unit 23 , and a fuel cover unit 25 . can do.

상기 연료분사부(21)는, 상기 프레임부(13)의 상면으로부터 함입된 복수의 제1 함입부(H1)에 장착된 채, 상측으로 연료를 분사하여 상기 프레임부(13)의 상면에 연료가 안착되도록 할 수 있다.The fuel injection part 21 is mounted on the plurality of first recessed parts H1 recesse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part 13 , and injects fuel upward to inject fuel into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part 13 . can be set to settle.

상기 점화부(23)는, 상기 프레임부(13)의 상면으로부터 함입된 제2 함입부(H2)에 장착된 채, 상기 연료분사부(21)로부터 분사된 연료를 점화할 수 있다.The ignition part 23 may ignite the fuel injected from the fuel injection part 21 while being mounted in the second recessed part H2 recesse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part 13 .

상기 연료커버부(25)는, 상기 프레임부(13)에 형성되되, 상기 복수의 제1 함입부(H1)를 커버하거나 개방할 수 있다.The fuel cover part 25 is formed in the frame part 13, and may cover or open the plurality of first recessed parts H1.

상기 연료커버부(25)는, 상기 프레임부(13)의 상부플레이트의 하부에 배치된 채, 상기 복수의 제1 함입부(H1)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복수의 대응홀을 구비할 수 있다.The fuel cover part 25 may include a plurality of corresponding holes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first recessed parts H1 while being disposed under the upper plate of the frame part 13 . .

또한, 상기 연료커버부(25)는, 상기 복수의 제1 함입부(H1)와 상기 복수의 대응홀이 중첩되는 중첩위치에서 수평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어 상기 복수의 제1 함입부(H1)와 상기 복수의 대응홀이 중첩되지 않는 중첩해제위치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uel cover part 25 is moved horizontally from the overlapping position where the plurality of first recessed parts H1 and the plurality of corresponding holes overlap, and the plurality of first recessed parts H1 and The plurality of corresponding holes may be moved to a non-overlapping position.

상기 복수의 제1 함입부(H1)는, 상기 연료커버부(25)의 상기 중첩위치에서 개방되며, 상기 연료커버부(25)의 상기 중첩해제위치에서 폐쇄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first recessed portions H1 may be opened at the overlapping position of the fuel cover portion 25 and closed at the overlapping position of the fuel cover portion 25 .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서는 대형사고로 번질 수 있는 화재관련사고에 대한 대처능력을 배양하기 위한 실제와 비슷한 화재현장을 보다 용이하게 재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를 토대로 실제상황과 유사한 실전에서의 화재진화체험교육을 실질적으로 행함에 따라 화재관련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ore easily reproduce a fire scene similar to the real one for cultivating the ability to cope with a fire-related accident that can spread to a large-scale accident, and based on this, Fire-related accidents can be prevented in advance by practically conducting fire extinguishing experience education.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In the above, the configuration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based on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t is understood that various changes or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intended that such changes or modification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refore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 훈련용 소방 트레이너
10: 주행부
20: 화염발생부
21: 연료분사부
30: 소화커버부
40: 소화부
50: 화염송풍부
1: Training Fire Trainer
10: driving part
20: flame generating unit
21: fuel injection unit
30: fire extinguishing cover part
40: digestive department
50: flame blower

Claims (5)

화재진화 훈련을 위하여, 화재현장을 재연하는 훈련용 소방 트레이너에 있어서,
바닥면에 지지된 채 상기 바닥면을 주행하는 바퀴부, 상기 바퀴부에 상측에 연결되며, 편평한 설치공간을 제공하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의 후방 상측에 배치된 채, 상기 바퀴부를 구동시키는 구동부 및 입력된 신호값에 따라 상기 바퀴부의 방향 또는 회전속도를 변화시키는 바퀴제어부를 구비하는 주행부;
상기 설치공간에 배치된 채, 상기 프레임부에 연결되며, 상측을 향해 화염을 발생시키는 화염발생부;
상기 프레임부에 연결되되, 상기 구동부와 상기 화염발생부 사이에 배치된 채, 상기 화염발생부를 커버하는 커버위치와 상기 화염발생부를 개방하는 개방위치로 위치 이동되는 소화커버부;
상기 프레임부에 설치되며, 상기 화염발생부로부터 발생된 화염을 소화하는 소화부;
상기 프레임부의 테두리에 형성되며, 상기 설치공간으로 송풍을 발생시키는 화염송풍부; 및
상기 화염송풍부에 연결된 채, 상기 화염송풍부에 의한 송풍 세기를 변화시키는 풍속설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바퀴제어부는,
무선통신에 의해 입력된 신호값에 따라 상기 바퀴부의 방향 또는 회전속도를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제어 소방 트레이너.
For fire extinguishing training, in the training fire trainer for reenacting the fire scene,
A wheel part running on the floor while supported on the floor surface, a frame part connected to the upper side of the wheel part and providing a flat installation space, a driving part for driving the wheel part while being disposed on the upper rear side of the frame part; a driving unit having a wheel control unit for changing a direction or a rotation speed of the wheel unit according to an input signal value;
a flame generating unit that is disposed in the installation space, is connected to the frame unit, and generates a flame toward the upper side;
a fire extinguishing cover part connected to the frame part, disposed between the driving part and the flame generating part, and being moved to a cover position for covering the flame generating part and an open position for opening the flame generating part;
a fire extinguishing unit installed in the frame unit and extinguishing the flame generated from the flame generating unit;
a flame blower formed on the edge of the frame and configured to blow air into the installation space; and
It includes a; while connected to the flame blower, wind speed setting unit for changing the blowing intensity by the flame blowing unit;
The wheel control unit,
A wireless control fire fighting trai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direction or rotation speed of the wheel part is changed according to a signal value input by wireless communic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에 설치된 채, 자연풍의 풍향 및 풍속을 측정하는 자연풍측정부; 및
상기 자연풍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측정값을 기초로 상기 바퀴제어부, 상기 풍속설정부 및 상기 화염발생부를 제어하는 메인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메인제어부는,
상기 자연풍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자연풍의 풍향과 상기 프레임부의 전방이 대향하도록 상기 바퀴제어부를 제어하고,
상기 자연풍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자연풍의 풍속의 세기와 비례하여 상기 화염송풍부의 송풍 세기가 변화되도록 상기 풍속설정부를 제어하며,
상기 프레임부의 전방이 자연풍의 풍향과 대향하지 않은 경우, 상기 화염발생부가 구동되지 않도록 상기 화염발생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제어 소방 트레이너.
According to claim 1,
a natural wind measuring unit for measuring a wind direction and a wind speed of a natural wind while being installed on the frame; and
Further comprising; a main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wheel control unit, the wind speed setting unit and the flame generating unit based on the measured value measured by the natural wind measuring unit;
The main control unit,
Controls the wheel control unit so that the wind direction of the natural wind measured by the natural wind measurement unit and the front of the frame unit are opposite,
Controls the wind speed setting unit so that the blowing strength of the flame blowing unit is changed in proportion to the strength of the wind speed of the natural wind measured by the natural wind measuring unit,
When the front of the frame portion does not face the wind direction of the natural wind, the wireless control fire trainer,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trolling the flame generator so that the flame generator is not drive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부는,
상기 프레임부에 연결된 채, 하부에 위치한 상기 바퀴부를 커버하는 바퀴커버부 및
상기 바퀴커버부의 외측면을 따라 방사상으로 형성된 채, 외측면의 법선 벡터 방향으로 송풍을 발생시켜 상기 프레임부 상에서 발생된 화염의 상기 바퀴부로의 이동을 방해하는 바퀴송풍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바퀴부는,
상기 프레임부의 전방 저면 일측에 배치되는 제1 전방바퀴편, 상기 프레임부의 전방 저면 타측에 배치되는 제2 전방바퀴편, 상기 프레임부의 후방 저면 일측에 배치되는 제1 후방바퀴편 및 상기 프레임부의 후방 저면 타측에 배치되는 제2 후방바퀴편을 구비하고,
상기 바퀴커버부는,
상기 제1 전방바퀴편을 커버하는 제1 커버편 및 상기 제2 전방바퀴편을 커버하는 제2 커버편을 구비하며,
상기 제1 커버편은,
상기 프레임부의 길이방향 일측 테두리로부터 연장되되, 속이 빈 반구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전방바퀴편의 상측을 커버하는 제1 반구형성편 및 상기 제1 반구형성편의 상기 제1 후방바퀴편을 대향하는 일측단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연장편을 구비하고,
상기 제2 커버편은,
상기 프레임부의 길이방향 타측 테두리로부터 연장되되, 속이 빈 반구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2 전방바퀴편의 상측을 커버하는 제2 반구형성편 및 상기 제2 반구형성편의 상기 제2 후방바퀴편을 대향하는 일측단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연장편을 구비하며,
상기 바퀴송풍부는,
상기 제1 반구형성편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제1 바퀴송풍편 및 상기 제2 반구형성편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제2 바퀴송풍편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제어 소방 트레이너.
3. The method of claim 2,
The driving unit,
A wheel cover part that covers the wheel part located at the lower part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frame part; and
Further comprising a wheel blower that is formed radially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wheel cover portion and generates air in the direction of the normal vector of the outer surface to prevent movement of the flame generated on the frame portion to the wheel portion,
The wheel part,
A first front wheel piec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front bottom surface of the frame portion, a second front wheel piece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front bottom surface of the frame portion, a first rear wheel piec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rear bottom surface of the frame portion, and a rear bottom surface of the frame portion and a second rear wheel piece disposed on the other side,
The wheel cover part,
A first cover piece that covers the first front wheel piece and a second cover piece that covers the second front wheel piece,
The first cover piece,
A first hemispherical forming piece extending from one side edg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ame portion and formed in a hollow hemispherical shape to cover the upper side of the first front wheel piece and one end of the first hemispherical forming piece facing the first rear wheel piece and a first extension piece extending downwardly from
The second cover piece,
A second hemispherical forming piece extending from the other side edg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ame portion and formed in a hollow hemispherical shape to cover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front wheel piece and one end of the second hemispherical forming piece facing the second rear wheel piece and a second extension piece extending downwardly from the
The wheel blower,
Radio-controlled fire fighting train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irst wheel blowing piece form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hemispherical forming piece and a second wheel blowing piece form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hemispherical forming piec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커버부는,
상기 프레임부의 상면으로부터 기립되어 형성되는 기립부,
상기 기립부와 이웃하게 배치된 채, 상기 기립부의 후방에 배치되는 개방위치에서 상기 기립부를 넘어 상기 기립부의 전방에 배치되는 커버위치로 이동되는 위치이동부 및
상기 기립부의 상측 테두리와 상기 위치이동부의 하측 테두리를 연결하되, 변형 가능한 방화재질로 형성되는 방화변형부를 구비하며,
상기 위치이동부는,
속이 빈 반구형상으로 형성된 채, 상기 커버위치에서 상기 기립부, 상기 방화변형부 및 상기 프레임부의 상면과 폐쇄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방화변형부는,
상기 위치이동부가 상기 커버위치에 위치한 경우, 상기 기립부와 상기 위치이동부 사이의 이격 공간의 기밀을 유지하도록 하고,
상기 기립부 및 상기 위치이동부는,
상기 개방위치에서 상기 구동부와 상기 화염발생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화염발생부로부터 발생된 화염이 상기 구동부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메인제어부는,
상기 위치이동부가 상기 개방위치에서 상기 커버위치로 위치 이동되면, 상기 소화부가 구동되도록 하며,
상기 소화부는,
상기 폐쇄공간 내로 소화물질을 분사하여, 상기 폐쇄공간 내의 화염이 소화되도록 하고,
상기 메인제어부는,
상기 화염발생부 또는 상기 소화부가 구동되는 경우, 상기 바퀴송풍부가 구동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제어 소방 트레이너.
4. The method of claim 3,
The fire extinguishing cover part,
a standing portion formed by standing up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portion;
A position moving part disposed adjacent to the standing part and moving from an open position disposed behind the standing part to a cover position disposed in front of the standing part beyond the standing part; and
Connecting the upper rim of the standing part and the lower rim of the moving part, and having a fire-proof deformable part formed of a deformable fire-proof material,
The position moving unit,
Forming a closed space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standing part, the fire deformation part, and the frame part in the cover position while being formed in a hollow hemispherical shape,
The fire deformation part,
When the moving part is located in the cover position, to maintain the airtightness of the spaced apart space between the standing part and the moving part,
The standing part and the position moving part,
It is disposed between the driving unit and the flame generating unit in the open position to prevent the flame generated from the flame generating unit from moving to the driving unit,
The main control unit,
When the position moving unit is moved from the open position to the cover position, the fire extinguishing unit is driven,
The digestive unit,
By spraying the extinguishing material into the closed space, the flame in the closed space is extinguished,
The main control unit,
When the flame generating unit or the fire extinguishing unit is driven, the wireless control fire trai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so that the wheel blower is driven.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화염송풍부에 연결된 채, 상기 화염송풍부에 의한 송풍 방향을 변화시키는 풍향설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화염송풍부는,
상기 프레임부의 길이방향 일측 테두리에 형성되는 제1 화염송풍편 및 상기 프레임부의 길이방향 타측 테두리에 형성되는 제2 화염송풍편을 구비하고,
상기 풍향설정부는,
상기 제1 화염송풍편의 송풍 방향을 변화시키는 제1 풍향설정편 및 상기 제2 화염송풍편의 송풍 방향을 변화시키는 제2 풍향설정편을 구비하며,
상기 제1 풍향설정편 및 상기 제2 풍향설정편은,
사용자에 의해 발신된 신호값을 입력 받아 상기 제1 화염송풍편 또는 상기 제2 화염송풍편의 송풍 방향을 변화시키고,
상기 화염발생부는,
상기 프레임부의 상면으로부터 함입된 복수의 제1 함입부에 장착된 채, 상측으로 연료를 분사하여 상기 프레임부의 상면에 연료가 안착되도록 하는 연료분사부,
상기 프레임부의 상면으로부터 함입된 제2 함입부에 장착된 채, 상기 연료분사부로부터 분사된 연료를 점화하는 점화부 및
상기 프레임부에 형성되되, 상기 복수의 제1 함입부를 커버하거나 개방하는 연료커버부를 구비하며,
상기 연료커버부는,
상기 프레임부의 상부플레이트의 하부에 배치된 채, 상기 복수의 제1 함입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복수의 대응홀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제1 함입부와 상기 복수의 대응홀이 중첩되는 중첩위치에서 수평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어 상기 복수의 제1 함입부와 상기 복수의 대응홀이 중첩되지 않는 중첩해제위치로 위치 이동되며,
상기 복수의 제1 함입부는,
상기 연료커버부의 상기 중첩위치에서 개방되며, 상기 연료커버부의 상기 중첩해제위치에서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제어 소방 트레이너.
5. The method of claim 4,
It further includes; while connected to the flame blower, a wind direction setting unit for changing the blowing direction by the flame blowing unit;
The flame blowing unit,
A first flame blowing piece formed on one edge of the fram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second flame blowing piece formed on the other edge of the fram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wind direction setting unit,
a first wind direction setting piece for changing the blowing direction of the first flame blowing piece and a second wind direction setting piece for changing the blowing direction of the second flame blowing piece;
The first wind direction setting piece and the second wind direction setting piece,
receiving the signal value transmitted by the user and changing the blowing direction of the first flame blowing piece or the second flame blowing piece,
The flame generating unit,
A fuel injection unit which is mounted on the plurality of first recessed parts recesse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part, and injects fuel upward so that the fuel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part;
An ignition unit for igniting the fuel injected from the fuel injection unit while being mounted on the second recessed unit recesse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unit;
Doedoe formed in the frame portion, having a fuel cover portion that covers or opens the plurality of first recessed portions,
The fuel cover part,
A plurality of corresponding holes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first recessed portions while being disposed under the upper plate of the frame portion,
The plurality of first recessed portions and the plurality of corresponding holes are mov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overlapping position where they overlap, and the plurality of first recessed portions and the plurality of corresponding holes are moved to the overlapping release position where they do not overlap,
The plurality of first depressions,
The radio-controlled fire traine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opened at the overlapping position of the fuel cover part, and closed at the overlapping position of the fuel cover part.
KR1020210132030A 2021-10-06 2021-10-06 Wireless control trainer for firefighting training KR10239533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2030A KR102395332B1 (en) 2021-10-06 2021-10-06 Wireless control trainer for firefighting train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2030A KR102395332B1 (en) 2021-10-06 2021-10-06 Wireless control trainer for firefighting train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5332B1 true KR102395332B1 (en) 2022-05-09

Family

ID=815826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2030A KR102395332B1 (en) 2021-10-06 2021-10-06 Wireless control trainer for firefighting train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5332B1 (en)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4336U (en) * 1989-07-21 1991-03-13
KR100895503B1 (en) * 2007-07-20 2009-04-30 주식회사 세스코 Apparatus for Capturing Vermin Combined with Outdoor Streetlight
KR20100012629U (en) * 2009-06-11 2010-12-21 김진우 Automatic fire-extinguisher system
KR101015099B1 (en) 2010-06-07 2011-02-16 주식회사 성진하이텍 Experiencing apparatus for fire fightingeducation and training
KR101851319B1 (en) * 2018-02-14 2018-06-08 (주)현대이엔지 Fire fighting alarm apparatus using electric and communication equipment of apartment house
KR20190044081A (en) * 2016-08-22 2019-04-29 캐리어 코포레이션 Jet Fuel Fire Simulator
JP2019092736A (en) * 2017-11-21 2019-06-20 芦森工業株式会社 Fire extinguisher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4336U (en) * 1989-07-21 1991-03-13
KR100895503B1 (en) * 2007-07-20 2009-04-30 주식회사 세스코 Apparatus for Capturing Vermin Combined with Outdoor Streetlight
KR20100012629U (en) * 2009-06-11 2010-12-21 김진우 Automatic fire-extinguisher system
KR101015099B1 (en) 2010-06-07 2011-02-16 주식회사 성진하이텍 Experiencing apparatus for fire fightingeducation and training
KR20190044081A (en) * 2016-08-22 2019-04-29 캐리어 코포레이션 Jet Fuel Fire Simulator
JP2019092736A (en) * 2017-11-21 2019-06-20 芦森工業株式会社 Fire extinguisher
KR101851319B1 (en) * 2018-02-14 2018-06-08 (주)현대이엔지 Fire fighting alarm apparatus using electric and communication equipment of apartment house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03024336 U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561534B1 (en) Portable firefighter training system for fire extinguisher training
CA2103054C (en) Flashover simulation for firefighter training
CA2124360C (en) Firefighter training system with thermal agent detection
CN112439151B (en) Simulation fire source, simulation fire extinguisher and simulation fire extinguishing teaching system
CN104766521A (en) Indoor fire-fighting drilling simulative scene system
KR102395332B1 (en) Wireless control trainer for firefighting training
KR102398524B1 (en) system for Wireless control for firefighting trainer
KR20170127679A (en) Fire and smoke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simulation fire training
JP200351620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imulating rapid flame spread
DE10204835B4 (en) Fire simulation device
KR20200117633A (en) Fire fighting experience system based on mixed reality
JPH02114977A (en) Method and equipment for fire fighting training
DE10208980B4 (en) Forest fire fighting simulation system
JP3631900B2 (en) Fire fighting training simulator
KR20220063049A (en) Fire safety inspection education system using AR technology
KR20200087000A (en) Fire scene experience system
KR102104242B1 (en) Apparatus for education of fire extinguisher using augmented reality
KR20230108518A (en) A simulation system for disaster response training
KR102079048B1 (en) Fire extinguisher practice equipment for fire fight training
SU828203A1 (en) Teaching device
CN114372397B (en) Simulation training method and training device for forest fire emergency suppression
KR20200018560A (en) Fire extinguisher practice equipment for fire fight training
JP4654225B2 (en) Simulated fire generator
KR101920684B1 (en) Smoke generation control system for fire training with opening and closing for flame suppression
Dababneh et al. Hands-On Fire Extinguisher Training Apparatuses: Expert Evaluations of Two Propane Fire Simulators and Air-Pressurized Water Extinguish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