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5054B1 - 승강기 언밸런스하중 및 최대적재하중 측정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승강기 언밸런스하중 및 최대적재하중 측정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5054B1
KR101015054B1 KR1020090046777A KR20090046777A KR101015054B1 KR 101015054 B1 KR101015054 B1 KR 101015054B1 KR 1020090046777 A KR1020090046777 A KR 1020090046777A KR 20090046777 A KR20090046777 A KR 20090046777A KR 101015054 B1 KR101015054 B1 KR 1010150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
elevator
current
power
unbalanc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67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28402A (ko
Inventor
김윤겸
Original Assignee
김윤겸
(주)한양엘리베이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윤겸, (주)한양엘리베이터 filed Critical 김윤겸
Priority to KR10200900467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5054B1/ko
Publication of KR201001284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84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50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50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87Devices facilitating maintenance, repair or inspection tas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06Monitoring devices or performance analysers
    • B66B5/0037Performance analysers

Landscapes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소한 장비를 이용하여 승강기의 언밸런스하중 및 최대적재하중을 측정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승강기 최대적재하중 측정방법은, (a) 승강기를 무부하 운전하여 전동기(14)의 무부하시 전류 또는 전력을 측정하는 단계(ST100); (b) 카(22)에 승강기의 정격하중에 비해 50% 이하의 소정 비율로 감소된 시험하중을 적재하고 승강기를 하강 운전하여 전동기(14)의 시험하중 적재시 전류 또는 전력을 측정하는 단계(ST110); (c) "(무부하 언밸런스하중-시험하중):시험하중 적재시 전류 또는 전력 = 무부하 언밸런스하중:무부하시 전류 또는 전력"의 비례식을 이용하여 무부하 언밸런스하중을 연산하는 단계(ST120); (d) 승강기의 무부하 상태에서 비상정지장치 또는 로프고정장치를 작동시키고 로프(20)와 로프풀리(18) 사이에 미끌림이 발생하도록 균형추(24)를 들어올리는 방향으로 전동기(14)를 회전시켜 미끌림 발생시의 전류 또는 전력을 측정하는 단계(ST130); (e) "무부하 언밸런스하중:무부하시 전류 또는 전력 = 미끌림발생하중:미끌림 발생시의 전류 또는 전력"의 비례식을 이용하여 미끌림발생하중을 연산하는 단계(ST140); 및 (f) 상기 무부하 언밸런스하중의 배수에 상기 미끌림발생하중을 합산하여 승강기 최대적재하중을 연산하는 단계(ST15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카 및 균형추 등 중량 설비의 하중을 모르는 상황에서도 전류계 또는 전력계 등의 간소한 장비를 이용하여 승강기 언밸런스하중 및 최대적재하중을 측정할 수 있으며, 정격하중에 비해 매우 작은 시험하중을 이용하여 측정작업이 간편하고 안전사고 발생 위험이 거의 없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승강기, 언밸런스하중, 최대적재하중, 전동기, 미끌림하중, 전류계, 전력계

Description

승강기 언밸런스하중 및 최대적재하중 측정방법 및 장치{Unbalance load and max load measurement method and device for elevator}
본 발명은 승강기 언밸런스하중 및 최대적재하중 측정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카 및 균형추의 하중을 모르는 상황에서도 매우 간소한 장비로 승강기의 언밸런스하중 및 최대적재하중을 구할 수 있으며, 측정절차가 간편하고 측정작업시 안전사고 등이 발생하지 않는 승강기 언밸런스하중 및 최대적재하중 측정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승강기는 건물에 수직으로 형성된 승강로를 따라 카를 승강시켜 승객을 원하는 층으로 이동시키는 장치이다. 이러한 승강기는 로프를 이용하여 카를 승강시키는 권상방식으로 구성된다.
도 1은 권상박식의 일반적인 승강기 구조를 보여준다. 도 1을 참조하면, 건물 내부에 수직으로 형성된 승강로(10)의 상부에는 기계실(12)이 형성된다. 기계실(12)에는 승강기의 승강 구동을 위한 전동기(14)가 설치되며, 전동기(14)의 회전 축에는 감속기(16)가 연결된다. 감속기(16)를 매개로 하여 전동기(14)의 회전축과 연결되는 로프풀리(18)에는 로프(20)가 권취되며, 로프(20) 양단에 카(22)와 균형추(24)가 연결된다. 이러한 승강기는 균형추(24)로 카(22)의 하중을 보상한 상태에서 전동기(14)의 회전력으로 카(22)를 승강시키며, 도시되지 않는 제동장치를 이용하여 카(22)를 정지시킨다.
통상 승강기는 최초 설계단계에서 카(22) 및 균형추(24)의 하중, 전동기(14)의 토크 등에 의해 정격하중이 결정된다. 정격하중은 승강기에 적재를 허용하는 허용하중을 의미한다. 통상 승강기의 정격하중은 실제로 적재 가능한 최대적재하중에 비해 낮은 값으로 결정된다. 예컨대, 정격하중은 승강기의 최대적재하중을 안전율로 나눈 값 이하의 값으로 결정된다. 위와 같은 정격하중은 대개 카(22) 내부에 표시되어 관리자 및 이용자들이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런데, 승강기를 장시간 이용하게 되면, 승강기의 보수 및 설계변경, 로프풀리(18)의 마모, 로프(20)의 노후화 등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승강기의 최대적재하중이 변하게 된다. 예컨대, 로프풀리(18)의 마모 및 로프(20)의 노후화가 승강기의 최대적재하중을 감소시키는 주요인이 되고, 또한 승강기를 이용하는 승객이 적은 경우 등에 전동기(14)의 부하부담 및 승강기의 소음을 줄이기 위해 균형추(24)의 하중을 줄이는 경우가 있으며, 이러한 이유들로 인해 승강기의 최대적재하중이 작아진다. 승강기의 최대적재하중 감소는 허용하중의 감소를 초래하며, 따라서 주기적으로, 또는, 부대시설의 추가 등이 발생할 경우 승강기의 최대적재하중을 새로 측정하고, 만약 최대적재하중이 크게 낮아졌다면 균형추(24)를 추가하거나 로프풀 리(18) 및 로프(20)를 교체하는 등의 보수작업을 해야 한다.
종래 승강기의 최대정격하중을 측정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았다. 먼저 빈 카(22)의 하중을 알고 있는 상태라면, 카(22) 내부에 정격하중에 대응하는 무게추를 직접 실어보고 정상 운전 및 제동이 가능한지, 로프풀리(18)에서의 미끌림이 발생하는지 등을 통해 승강기의 최대적재하중을 테스트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테스트방법으로는 승강기의 정확한 최대적재하중을 알아내기 어려우며, 정격하중에 대응하는 무게추가 상당히 무거워 이를 운반하는 등의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무게추 이동중 안전사고가 발생될 위험성이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다음으로, 빈 카(22)의 하중이나 균형추(24)의 하중을 모르는 상태라면, 카(22) 및 균형추(24)의 하중을 새로 측정해야 하는데, 협소한 승강로(10) 내에서 카(22)와 균형추(24)의 하중을 측정하는 작업이 상당히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예컨대, 인장저울을 이용하여 카(22)의 하중을 측정하는 경우, 체인블록과 대형의 와이어 등을 필요로 하는데, 이와 같은 중량의 장비들은 취급이 매우 곤란할 뿐만 아니라, 측정작업 중 안전사고가 발생되기 쉽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승강기의 카 및 균형추의 하중을 측정하는 방법 및 최대적재하중을 측정하는 방법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승강기의 전동기의 입력전류 또는 전력이 승강기의 하중변화에 비례하여 변한다는 점에 착안하여, 이러한 원리를 이용하여 매우 간소한 장비로 균형추와 카의 언밸런스하중을 측정하여 측정된 언밸런스하중에 따라 균형추를 가감하는 것으로 카와 균형추의 하중 밸런스를 적절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언밸런스하중으로부터 최대적재하중을 측정함으로써 승강기의 허용하중을 쉽게 알 수 있고 승강기의 안전관리가 매우 용이하며, 무엇보다 위와 같은 언밸런스하중 및 최대적재하중의 측정작업이 간편하고 측정작업 도중에 안전사고 발생의 위험성이 거의 없는 승강기 언밸런스하중 및 최대적재하중 측정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승강기 언밸런스하중 측정방법은, 로프풀리(18)에 권취되는 로프(20) 양단에 카(22)와 균형추(24)가 연결되고, 전동기(14)를 이용해서 상기 로프풀리(18)를 회전시켜 카(22)를 승강시키는 승강기에서 상기 카(22)와 균형추(24)에 작용하는 승강기의 언밸런스하중을 측정하는 승강기 언밸런스하중 측정방법에 있어서, (a) 승강기를 무부하 운전하여 상기 전동기(14)의 무부하시 전류 또는 전력을 측정하는 단계(ST100); (b) 상기 카(22)에 승 강기의 정격하중에 비해 50% 이하의 소정 비율로 감소된 시험하중을 적재하고 승강기를 하강 운전하여 상기 전동기(14)의 시험하중 적재시 전류 또는 전력을 측정하는 단계(ST110); 및 (c) "(무부하 언밸런스하중-시험하중):시험하중 적재시 전류 또는 전력 = 무부하 언밸런스하중:무부하시 전류 또는 전력"의 비례식을 이용하여 무부하 언밸런스하중을 연산하는 단계(ST12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승강기 최대적재하중 측정방법은, 로프풀리(18)에 권취되는 로프(20) 양단에 카(22)와 균형추(24)가 연결되고, 전동기(14)를 이용해서 상기 로프풀리(18)를 회전시켜 카(22)를 승강시키는 승강기에서 상기 카(22)에 적재 가능한 최대적재하중을 측정하는 승강기 최대적재하중 측정방법에 있어서, (a) 승강기를 무부하 운전하여 상기 전동기(14)의 무부하시 전류 또는 전력을 측정하는 단계(ST100); (b) 상기 카(22)에 승강기의 정격하중에 비해 50% 이하의 소정 비율로 감소된 시험하중을 적재하고 승강기를 하강 운전하여 상기 전동기(14)의 시험하중 적재시 전류 또는 전력을 측정하는 단계(ST110); (c) "(무부하 언밸런스하중-시험하중):시험하중 적재시 전류 또는 전력 = 무부하 언밸런스하중:무부하시 전류 또는 전력"의 비례식을 이용하여 무부하 언밸런스하중을 연산하는 단계(ST120); (d) 승강기의 무부하 상태에서 비상정지장치 또는 로프고정장치를 작동시키고 로프(20)와 로프풀리(18) 사이에 미끌림이 발생하도록 균형추(24)를 들어올리는 방향으로 전동기(14)를 회전시켜 미끌림 발생시의 전류 또는 전력을 측정하는 단계(ST130); (e) "무부하 언밸런스하중:무부하시 전류 또는 전력 = 미끌림발생하중:미끌림 발생시의 전류 또는 전력"의 비례식을 이용하여 미끌림발생하중을 연산하는 단계(ST140); 및 (f) 상기 무부하 언밸런스하중의 배수에 상기 미끌림발생하중을 합산하여 승강기 최대적재하중을 연산하는 단계(ST15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승강기 최대적재하중 측정장치는, 상기에 기재된 승강기 최대적재하중 측정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승강기 최대적재하중 측정장치로서, 상기 전동기(14)의 전원입력단에 설치되며 전동기(14)에 입력되는 전류 또는 전력을 측정하는 전류계(30) 또는 전력계와, 상기 전류계(30) 또는 전력계와 연결되며 전동기(14)에 입력되는 전류값 또는 전력값으로부터 승강기 언밸런스하중 및 최대적재하중을 연산하는 연산장치(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승강기 언밸런스하중 측정방법에 따르면, 승강기의 전동기 전원입력단에 전류계 또는 전력계를 설치하고 무부하시 전동기의 전류 또는 전력과 정격하중에 비해 소정 비율 감소된 시험하중 적재시 전동기의 전류 또는 전력을 측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무부하 언밸런스하중을 연산함으로써, 매우 간소한 장비로 카와 균형추 사이에 작용하는 언밸런스하중을 측정할 수 있으며, 측정된 언밸런스하중을 참조하여 균형추의 중량을 증감하는 것으로 승강기의 효율적인 관리를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승강기 최대적재하중 측정방법 및 장치에 따르면, 승강기를 강제로 미끌림이 발생되도록 운전하여 그때의 전류 또는 전력을 측정하고, 상기한 승강기 언밸런스하중 측정에 의해 얻어진 무부하시 전류 또는 전력과 무부하 언밸런스하중으로부터 미끌림발생하중을 연산하며, 무부하 언밸런스하중의 배수에 미끌림발생하중을 합산하여 승강기 최대적재하중을 연산함으로써, 매우 간소한 측정장비로 승강기 최대적재하중을 측정할 수 있으며, 특히 카 및 균형추 등의 하중을 모르는 상황에서도 최대적재하중의 측정이 가능하며, 정격하중에 비해 매우 가벼운 시험하중을 이용함으로써 측정절차가 간편함은 물론 중량의 장비를 이용할 필요가 없는 등 안전사고 발생을 크게 경감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및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은 전동기의 전원입력단에 전류계 또는 전력계를 설치하고, 승강기의 부하변동에 따라 전동기의 입력전류 또는 전력이 비례적으로 변화되는 특성을 이용하여 승강기 언밸런스하중 및 최대적재하중을 측정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전동기의 전원입력단에 전류계를 설치하여 전동기의 입력전류를 측정하는 것을 예시하겠지만, 전류계를 대신하여 전력계가 이용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언급되는 "언밸런스하중"이라 함은, 승강기의 카와 균형추 사이에 언밸런스하게 작용하는 하중으로서, 실제로 언밸런스 하중은 카에 적재되는 하중에 의해 변화되는 것이지만, 이하의 설명에서 "언밸런스하중"은 무부하시에 균형추의 하중에서 빈 카의 하중을 뺀 값인 "무부하 언밸런스하중"과 같은 의미로 통용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 최대적재하중 측정장치의 설치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건물 내부에 수직으로 형성된 승강로(10)의 상부에는 기계실(12)이 형성된다. 기계실(12)은 승강기의 승강 구동을 위한 구성들이 설치되는 개소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전동기(14)가 설치되며, 전동기(14)의 RPM을 강하시키기 위해 전동기(14)의 회전축에는 감속기(16)가 연결된다. 감속기(16)를 매개로 하여 전동기(14)의 회전축에는 로프풀리(18)가 연결되며, 로프풀리(18)에 권취되는 로프(20)의 양단에는 카(22)와 균형추(24)가 연결된다. 그리고, 도시 안된 제동장치가 전동기(14)의 회전축에 설치되어 카(22)의 승강을 정지시킨다. 이와 같은 승강기의 구조는 통상의 승강기 구조와 다름없다.
위와 같은 구조에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동기(14)의 전원입력단에는 전류계(30)가 설치된다. 물론,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전류계(30)는 전력계로 대체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전류계(30)에는 연산장치(32)가 연결된다. 연산장치(32)는 전류계(30)의 출력을 이용하여 승강기의 언밸런스하중 및 최대적재하중을 연산하는 장치로서, 전류계(30)의 아날로그 출력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컨버터, AD컨버터의 출력값을 이용하여 무부하 언밸런스하중, 미끌림발생하중, 승강기의 최대적재하중 등을 연산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마이크로프로세서에서 연산된 결과를 화면으로 출력하는 표시수단 및 사용자가 기본적인 파라미터를 입력하는 키입력수단 등으로 구성된다.
도 3은 상기 연산장치(32)에서 승강기 최대적재하중을 연산하는 방법을 단계적으로 보인 흐름도이고, 도 4는 카(22)에 시험하중을 적재하고 운전할 때 전동기(14)의 전류변화를 보인 그래프이다. 이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 언밸런스하중 및 최대적재하중 측정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기본적인 승강기 구조에 도 2에 도시한 바이 같은 전류계(30) 및 연산장치(32)를 설치한 상태에서, 승강기를 무부하 운전하여 무부하 운전시 전동기(14)에 입력되는 전원의 전류를 측정한다(ST100). 즉, 카(22) 내부에 아무런 하중도 적재하지 않은 상태에서, 무부하 운전을 실시하고(바람직하게는 카(22)를 하강 운전하고) 이때의 전동기(14) 입력단 전류를 측정한다.
통상 무부하 상태에서는 카(22)와 균형추(24) 사이에 최대의 언밸런스하중이 작용하므로, 카(22)는 균형추(24)의 자중에 의해 상승된다. 카(22)가 균형추(24)에 의해 상승될 때에는 도 4의 그래프에서 보여지듯이 전동기(14)의 전류소모가 거의 없다. 반면, 카(22)를 하강시킬 때는 전동기(14)의 회전력이 작용하므로 부하의 변동에 비례하여 전동기(14)의 입력전류가 감소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도 4의 그래프를 참조하면, 이와 같은 반비례특성은 대개 정격하중의 50% 이하까지 나타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전동기(14)의 입력전류와 부하변동의 비례식을 이용하여 언밸런스하중 및 최대적재하중을 측정하는 것으로서, 상기 단계 ST100에서 무부하시 전 류 측정은 카(22)가 하강할 때의 전동기(14) 전류를 측정한다. 도 4의 그래프는 정격하중이 1000kg인 승강기에 대한 실험치를 보인 것으로서, 도 4의 실시예에서 측정된 무부하시 전류는 19.5A이다.
다음으로, 카(22) 내부에 승강기의 정격하중에 비해 50% 이하의 소정 비율로 감소된 시험하중을 적재하고 승강기를 운전하여 전동기(14)에 입력되는 전원의 전류를 측정한다(ST110). 바람직하게는, 단계 ST110에서는 승강기의 정격하중에 비해 10% 내외의 시험하중을 적재하고 시험하중 적재시 전류를 측정한다. 예컨대, 승강기의 정격하중이 1000kg일 경우 100kg의 시험하중을 카(22) 내부에 적재한다. 도 4의 실시예에서 시험하중 10%를 적재한 경우, 시험하중은 100kg이고 시험하중 적재시 전류는 15.8A이다.
100kg의 시험하중은 25kg의 무게추 네 개를 적재하는 것으로 달성될 수 있다. 지나치게 작은 시험하중은 시험오차가 발생될 수 있으며, 지나치게 많은 시험하중은 무게추 등의 운반 등이 어려우므로, 10-20%의 시험하중이 가장 적합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언밸런스하중 및 최대적재하중 측정방법은 종래 정격하중에 대응하는 하중을 카(22)에 적재하여 최대적재하중을 테스트하는 방식에 비해 상당히 가벼운 시험하중을 이용하므로, 시험하중의 운반 및 취급이 용이하다.
위와 같은 두 단계(ST100, ST110)를 통해 무부하시 전류와 시험하중 적재시 전류를 얻을 수 있으며, 시험하중은 미리 선택된 값이므로 고정된 값이다. 그리고 무부하시에 전동기(14)가 카(22)를 하강할 때 전동기(14)에 작용하는 하중은 무부하시에 카(22)와 균형추(24) 사이에 작용하는 언밸런스하중, 즉, 무부하 언밸런스 하중이며, 시험하중을 적재한 경우 전동기(14)에 작용하는 하중은 무부하 언밸런스하중에서 시험하중을 감한 값이므로, 무부하 언밸런스하중을 미지수 X로 하는 다음의 비례식이 성립된다.
(X - 시험하중):시험하중 적재시 전류 = X:무부하시 전류
위와 같은 비례식을 이용하여 무부하 언밸런스하중을 연산한다(ST120). 즉, 단계 ST120에서 빈 카(22)의 하중 및 균형추(24)의 하중을 별도로 측정하지 않고도, 카(22)와 균형추(24) 사이에 작용하는 언밸런스하중을 구할 수 있다. 위에 예시된 바에 의하면, 시험하중이 100kg이고, 시험하중 적재시 전류가 15.8A이고, 무부하시 전류가 19.5A이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식이 구해진다.
(X - 100):15.8 = X:19.5
위 식으로부터 얻어진 언밸런스하중은 대략 527kg이다.
언밸런스하중은 여러 가지 용도로 이용될 수 있다. 예컨대, 언밸런스하중이 지나치게 작거나 큰 경우, 균형추(24)를 가감하는 보수작업을 통해 카(22)와 균형추(24)의 하중 밸런스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만약, 승강기 이용객이 비교적 적어 전동기(14)의 부하부담을 줄이는 보수작업이 필요한 경우, 위와 같은 방법으로 언밸런스하중을 측정하고, 승강기의 안전율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언밸런스하중을 낮추는 보수작업을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승강기를 무부하 상태에서 비상정지장치 또는 로프고정장치로 정지시키고, 균형추(24)를 들어올리는 방향(즉, 카를 하강시키는 방향)으로 전동기(14)를 회전시켜 로프(20)와 로프풀리(18) 사이에 미끌림이 발생될 때 전동기(14)에 공급되는 전류를 측정한다(ST130). 일예로서, 카(22)를 고정한 후에 강제로 미끌림 시험을 실시한 후 측정된 전류는 25.4A이다.
이제 측정을 통해 얻어진 무부하시 전류와 미끌림 발생시의 전류, 그리고 상기 단계 ST120에서 연산을 통해 얻어진 무부하 언밸런스하중을 이용하여 미끌림이 발생될 때 로프(20)에 걸리는 하중 즉, 미끌림발생하중을 구하고, 이를 이용하여 최대적재하중을 연산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미끌림발생하중을 미지수 Y로 한다면, 다음의 비례식이 성립된다.
무부하 언밸런스하중:무부하시 전류 = Y:미끌림 발생시의 전류
위와 같은 비례식을 이용하여 미끌림발생하중을 연산한다(ST140). 상기한 예시에서, 무부하 언밸런스하중은 527kg이고, 무부하시 전류는 19.5A이고, 미끌림 발생시의 전류는 25.4A이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식이 구해진다.
527:19.5 = Y:25.4
위 식으로부터 얻어진 미끌림발생하중은 대략 686kg이다.
최종적으로는, 단계 ST120에서 연산된 무부하 언밸런스하중의 배수에 단계 ST140에서 연산된 미끌림발생하중을 합산하여 최대적재하중을 연산한다(ST150). 위 예시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식이 구해진다.
최대적재하중 = ((527*2)+686)
따라서, 최종적으로 얻어진 최대적재하중은 1740kg이다.
본 실험예시는 정격하중이 1000kg인 승강기에 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측정방법에 의해 얻어진 언밸런스하중은 527kg이고 최대적재하중은 1740kg이다. 최대적재하중을 안전율 1.1로 나누어도 정격하중 1000kg에 비해 높음을 알 수 있으 며, 따라서 실험대상 승강기는 정격하중 1000kg을 안전하게 견인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전술한 실시예는 전동기(14)의 전원입력단에 전류계(30)를 설치하고 전동기(14)의 입력전류를 이용하여 승강기 언밸런스하중 및 최대적재하중을 측정하는 방법을 예시하였다. 하지만, 전류계(30)는 전력계로 대체될 수 있다. 만약, 전력계를 이용하여 승강기 언밸런스하중 및 최대적재하중을 측정하는 경우, 역률 등과 같은 파라미터가 더 고려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한 실시예에서 언급되지는 않았지만, 최종적으로 측정된 최대적재하중은 로프풀리(18)와 로프(20)의 마찰지점에서의 정지마찰계수 및 운전마찰계수, 승강기의 노후도 등을 고려하여 다소 보정될 수도 있다. 그리고 일정속도를 감속하여 측정한 경우에도 관성모멘트를 고려하여 측정된 최대적재하중을 보정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흐름도에서, 각 단계들은 순서를 달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단계 ST130에서 미끌림 발생시의 전류 측정단계는, 단계 ST120의 무부하 언밸런스하중 연산단계, 또는, 단계 ST110의 시험하중 적재시 전류 측정단계 이전에 실시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승강기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승강기 최대적재하중 측정장치의 설치예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승강기 최대적재하중 측정방법의 예를 보인 흐름도
도 4는 부하변동에 따른 전동기의 전류변화를 예시한 그래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승강로 12 : 기계실
14 : 전동기 16 : 감속기
18 : 로프풀리 20 : 로프
22 : 카 24 : 균형추
30 : 전류계 32 : 연산장치

Claims (3)

  1. 로프풀리(18)에 권취되는 로프(20) 양단에 카(22)와 균형추(24)가 연결되고, 전동기(14)를 이용해서 상기 로프풀리(18)를 회전시켜 카(22)를 승강시키는 승강기에서 상기 카(22)와 균형추(24)에 작용하는 승강기의 언밸런스하중을 측정하는 승강기 언밸런스하중 측정방법에 있어서,
    (a) 승강기를 무부하 운전하여 상기 전동기(14)의 무부하시 전류 또는 전력을 측정하는 단계(ST100);
    (b) 상기 카(22)에 승강기의 정격하중에 비해 50% 이하의 소정 비율로 감소된 시험하중을 적재하고 승강기를 하강 운전하여 상기 전동기(14)의 시험하중 적재시 전류 또는 전력을 측정하는 단계(ST110); 및
    (c) "(무부하 언밸런스하중-시험하중):시험하중 적재시 전류 또는 전력 = 무부하 언밸런스하중:무부하시 전류 또는 전력"의 비례식을 이용하여 무부하 언밸런스하중을 연산하는 단계(ST12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언밸런스하중 측정방법.
  2. 로프풀리(18)에 권취되는 로프(20) 양단에 카(22)와 균형추(24)가 연결되고, 전동기(14)를 이용해서 상기 로프풀리(18)를 회전시켜 카(22)를 승강시키는 승강기에서 상기 카(22)에 적재 가능한 최대적재하중을 측정하는 승강기 최대적재하중 측정방법에 있어서,
    (a) 승강기를 무부하 운전하여 상기 전동기(14)의 무부하시 전류 또는 전력을 측정하는 단계(ST100);
    (b) 상기 카(22)에 승강기의 정격하중에 비해 50% 이하의 소정 비율로 감소된 시험하중을 적재하고 승강기를 하강 운전하여 상기 전동기(14)의 시험하중 적재시 전류 또는 전력을 측정하는 단계(ST110);
    (c) "(무부하 언밸런스하중-시험하중):시험하중 적재시 전류 또는 전력 = 무부하 언밸런스하중:무부하시 전류 또는 전력"의 비례식을 이용하여 무부하 언밸런스하중을 연산하는 단계(ST120);
    (d) 승강기의 무부하 상태에서 비상정지장치 또는 로프고정장치를 작동시키고 로프(20)와 로프풀리(18) 사이에 미끌림이 발생하도록 균형추(24)를 들어올리는 방향으로 전동기(14)를 회전시켜 미끌림 발생시의 전류 또는 전력을 측정하는 단계(ST130);
    (e) "무부하 언밸런스하중:무부하시 전류 또는 전력 = 미끌림발생하중:미끌림 발생시의 전류 또는 전력"의 비례식을 이용하여 미끌림발생하중을 연산하는 단계(ST140); 및
    (f) 상기 무부하 언밸런스하중의 배수에 상기 미끌림발생하중을 합산하여 승강기 최대적재하중을 연산하는 단계(ST15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최대적재하중 측정방법.
  3. 제 2항에 기재된 승강기 최대적재하중 측정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승강기 최대적재하중 측정장치로서, 상기 전동기(14)의 전원입력단에 설치되며 전동기(14)에 입력되는 전류 또는 전력을 측정하는 전류계(30) 또는 전력계와, 상기 전류계(30) 또는 전력계와 연결되며 전동기(14)에 입력되는 전류값 또는 전력값으로부터 승강기 언밸런스하중 및 최대적재하중을 연산하는 연산장치(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최대적재하중 측정장치.
KR1020090046777A 2009-05-28 2009-05-28 승강기 언밸런스하중 및 최대적재하중 측정방법 및 장치 KR1010150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6777A KR101015054B1 (ko) 2009-05-28 2009-05-28 승강기 언밸런스하중 및 최대적재하중 측정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6777A KR101015054B1 (ko) 2009-05-28 2009-05-28 승강기 언밸런스하중 및 최대적재하중 측정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8402A KR20100128402A (ko) 2010-12-08
KR101015054B1 true KR101015054B1 (ko) 2011-02-16

Family

ID=435052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6777A KR101015054B1 (ko) 2009-05-28 2009-05-28 승강기 언밸런스하중 및 최대적재하중 측정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505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7623B1 (ko) * 2013-10-31 2015-01-30 한국승강기 안전관리원 엘리베이터의 권상력 측정방법
KR20160081464A (ko) 2014-12-31 2016-07-08 한국승강기 안전관리원 엘리베이터의 권상능력평가 및 브레이크 제동력 측정장치
KR20160081456A (ko) 2014-12-31 2016-07-08 한국승강기 안전관리원 소음진동계를 이용한 엘리베이터의 승강카 및 균형추 자중측정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6619A (ja) * 1994-07-20 1996-01-30 Hitachi Building Syst Eng & Service Co Ltd エレベータ電磁ブレーキの動作判定方法
JP2004168501A (ja) 2002-11-20 2004-06-17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エレベータのブレーキトルク測定装置および測定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6619A (ja) * 1994-07-20 1996-01-30 Hitachi Building Syst Eng & Service Co Ltd エレベータ電磁ブレーキの動作判定方法
JP2004168501A (ja) 2002-11-20 2004-06-17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エレベータのブレーキトルク測定装置および測定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7623B1 (ko) * 2013-10-31 2015-01-30 한국승강기 안전관리원 엘리베이터의 권상력 측정방법
KR20160081464A (ko) 2014-12-31 2016-07-08 한국승강기 안전관리원 엘리베이터의 권상능력평가 및 브레이크 제동력 측정장치
KR20160081456A (ko) 2014-12-31 2016-07-08 한국승강기 안전관리원 소음진동계를 이용한 엘리베이터의 승강카 및 균형추 자중측정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8402A (ko) 2010-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217219B (zh) 电梯制动力矩检测方法及检测装置
KR100936493B1 (ko) 제동성능시험장치 및 방법
FI118684B (fi) Menetelmä ja järjestelmä hissin jarrujen kunnon testaamiseksi
US9771242B2 (en) Inspection tests for an elevator without additional test weights
KR100958298B1 (ko) 승강기 언밸런스하중 및 최대적재하중 측정방법 및 장치
CN105480803B (zh) 一种便携式在用电梯制动器制动力矩测试仪
KR101487623B1 (ko) 엘리베이터의 권상력 측정방법
KR101015054B1 (ko) 승강기 언밸런스하중 및 최대적재하중 측정방법 및 장치
US12091285B2 (en) Method for determining the weight of the car and counterweight in an elevator
CN111021705A (zh) 应用于曲面的吊篮及其施工方法
KR101113324B1 (ko) 제동성능시험장치
JP4079886B2 (ja) エレベータの非常止め試験装置
WO2007075225A1 (en) Calibration and adjustment method for elevation weighing device
CN109890740B (zh) 电梯装置、以及秤装置的校正方法
KR101691265B1 (ko) 엘리베이터의 권상능력평가 및 브레이크 제동력 측정장치
EP2998259A1 (en) An elevator system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elevator safety
CN108584591A (zh) 一种电梯制动性能无载测试方法
CN111302174A (zh) 电梯平衡系数及电梯静态曳引试验的无载检测方法以及检测装置
JPH07215622A (ja) エレベータの制御機構
US20210331892A1 (en) Method for testing safety characteristics of an elevator
CN111348511B (zh) 一种基于电梯平衡系数的电梯制动力精确检测方法
JP2000238969A (ja) エレベータかごのバランスポイント調整方法
KR20160081456A (ko) 소음진동계를 이용한 엘리베이터의 승강카 및 균형추 자중측정방법
Anand et al. Elevator drives energy analysis with duty loads and behavior in dynamic conditions
EP3974367B1 (en) Method of calibraring a load weighing device of an elevator system and elevator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3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6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