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1464A - 엘리베이터의 권상능력평가 및 브레이크 제동력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권상능력평가 및 브레이크 제동력 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1464A
KR20160081464A KR1020140195338A KR20140195338A KR20160081464A KR 20160081464 A KR20160081464 A KR 20160081464A KR 1020140195338 A KR1020140195338 A KR 1020140195338A KR 20140195338 A KR20140195338 A KR 20140195338A KR 20160081464 A KR20160081464 A KR 201600814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rope
hoisting
bracket
load c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53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91265B1 (ko
Inventor
범희팔
김선대
박용관
서종호
하성기
Original Assignee
한국승강기 안전관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승강기 안전관리원 filed Critical 한국승강기 안전관리원
Priority to KR10201401953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1265B1/ko
Publication of KR201600814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14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12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12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06Monitoring devices or performance analysers
    • B66B5/0018Devices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levator system
    • B66B5/0031Devices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levator system for safety reasons

Landscapes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단한 구성에 의해 검사상의 편리함을 제공함과 동시에 검사 신뢰성을 대폭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권상능력평가 및 브레이크 제동력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승객이 탑승하도록 된 승강카(11)와, 상기 승강카(11)를 승강시키도록 연결된 다수의 권상로프(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엘리베이터(10)의 측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10)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도록 구비되는 지지봉(31) 또는 슬링벨트(32)와; 상기 지지봉(31) 또는 슬링벨트(32)를 장착하도록 구비되는 지지브라켓(33)과; 상기 권상로프(13)에 고정되도록 다수의 로프홈(35)이 형성된 로프브라켓(34)과; 상기 지지브라켓(33)과 로프브라켓(34)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권상로프(13)에 작용하는 힘을 측정하도록 된 로드셀(36)과; 상기 로드셀(36)에 연결되는 측정값을 표시하도록 연결된 표시기(3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엘리베이터의 권상능력평가 및 브레이크 제동력 측정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권상능력평가 및 브레이크 제동력 측정장치{Hoisting capacity test and braking force measuring device of an elevator}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권상능력 평가 및 브레이크 제동력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성에 의해 검사상의 편리함을 제공함과 동시에 검사 신뢰성을 대폭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권상능력평가 및 브레이크 제동력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의 하중 또는 자중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로드셀이나 유압계 등을 사용하게 되는데, 이러한 종래의 측정장치의 일례를 도시된 도면에 의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적인 엘리베이터(10)는 사람이 탑승할 수 있도록 된 승강카(11)를 다수의 권상로프(13)의 일단에 연결한 상태에서 모터(15)와 감속기(16) 및 이에 연결되는 로프풀리(175)를 포함한 권상수단(14)에 의해 승강시키게 되고, 상기 권상수단(14)의 일측에는 상기 로프풀리(17)의 회전력을 저지하도록 브레이크드럼(19)과 패드(20)를 포함한 제동수단(18)이 결합되며, 상기 권상로프(13)의 타단에는 상기 승강카(11)의 하중을 보상하기 위한 균형추(12)가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엘리베이터(10)는 상기 승강카(11)와 균형추(12)의 하중이나 권상수단(14)의 토크 등에 의해 정격하중(승강카(11)의 안전한 운행이 가능한 상태에서의 허용되는 적재하중)이 결정되고, 이 정격하중은 최대 적재하중을 안전율로 나눈 값의 이하로 결정되며, 이러한 정격하중에 대한 정보는 대개 승강카(11)의 내부에 표시되어 관리자나 탑승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엘리베이터(10)를 장시간 사용하게 되면 로프풀리(17)의 마모나 권상로프(13)의 노후화 등에 의해 승강카(11)의 최대 권상력(최대 적재하중)이 변하게 되고, 이로 인해 정격하중이 감소함에 따라 주기적으로 또는 필요에 따라 최대 권상력을 재측정하여 안전여부를 판단한 후에, 로프풀리(17)나 권상로프(13)의 교체 등과 같은 유지보수 작업을 행하게 된다.
종래에는 상기 권상로프(13) 중의 하나에 로드셀을 장착하여 권상력을 측정한 후에, 상기 권상로프(13)의 전체 가닥수를 곱하여 권상력을 표시한 것으로, 이는 상기 권상로프(13)의 장력에 따른 마찰계수가 고려되지 않은 것일 뿐만 아니라 하나의 권상로프(13)의 측정시에 같은 로프풀리(17)에 연결되어 있는 다른 권상로프(13)에 의해 마찰이 발생됨을 고려하지 않음에 따른 정확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권상수단(14)에 의한 권상력이 좋아도 상기 제동수단(18)의 제동력이 약하면 상기 로프풀리(17)의 미끌림 현상이 발생될 수 있는데, 종래에는 전술된 바와 같이 하나의 권상로프(13) 만을 캐처하여 권상력을 측정함에 따라 검사상의 안전성이 떨어지는 것이고, 이에 따라 상기 제동수단(18)을 제동상태를 개방하여 제동력을 측정하는 데에 어려움이 따르는 것이다.
한국 등록특허공보(제10-1015054호) 2011. 02. 09.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간단한 구성에 의해 설치와 해체 및 측정작업에 따른 검사상의 편리함과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엘리베이터의 모든 권상로프를 캐처한 상태로 측정이 이루어져 검사 신뢰성을 대폭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권상능력평가 및 브레이크 제동력 측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승객이 탑승하도록 된 승강카(11)와, 상기 승강카(11)를 승강시키도록 연결된 다수의 권상로프(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엘리베이터(10)의 측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10)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도록 구비되는 지지봉(31) 또는 슬링벨트(32)와;
상기 지지봉(31) 또는 슬링벨트(32)를 장착하도록 구비되는 지지브라켓(33)과;
상기 권상로프(13)에 고정되도록 다수의 로프홈(35)이 형성된 로프브라켓(34)과;
상기 지지브라켓(33)과 로프브라켓(34)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권상로프(13)에 작용하는 힘을 측정하도록 된 로드셀(36)과;
상기 로드셀(36)에 연결되는 측정값을 표시하도록 연결된 표시기(3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권상능력평가 및 브레이크 제동력 측정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로프브라켓(34)은 상기 로프홈(35)의 개수가 다른 다수로 구비되고, 상기 각 로프브라켓(34)은 상기 로드셀(36)의 일단에 선택적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권상능력평가 및 브레이크 제동력 측정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지지브라켓(33)은 상기 지지봉(31)과 슬링벨트(32)를 선택적으로 장착하도록 상기 지지봉(31)을 끼우도록 된 삽입부(39) 및 상기 삽입부(39)의 일측에 위치되어 상기 슬링벨트(32)를 걸도록 된 링부(4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권상능력평가 및 브레이크 제동력 측정장치가 제공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지지봉(13)이나 슬링벨트(32)를 지지브라켓(33)에 의해 엘리베이터(10)의 일측에 고정하고, 엘리베이터(10)에 구비되는 다수의 권상로프(13)를 로프브라켓(34)에 의해 일체로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권상로프(13)에 작용하는 힘을 로드셀(36)과 표시기(37)에 의해 측정 및 확인하도록 구비됨으로써, 상기 로프브라켓(34)에 의해 엘리베이터(10)의 모든 권상로프(13)를 일체로 캐처한 상태로 권상력을 측정함에 따라 권상로프(13)에 작용하는 마찰계수나 부하 등이 총체적으로 반영되어 측정값에 대한 오차를 최소화하여 측정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10)의 모든 권상로프(13)를 캐처한 상태로 장착됨에 따라 디지털 토크렌치(44)와 같은 보조장비를 이용하여 제동수단(18)의 제동력을 점검하는 데에 용이할 뿐만 아니라 이에 의해 상기 권상로프(13)의 권상력의 측정에 더하여 로프풀리(17)에 걸린 권상로프(13)의 미끌림 현상 등을 점검하는 데에 효과적인 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권상로프(13)의 가닥수에 따라 다른 로프브라켓(34)을 선택적으로 사용하도록 구비됨에 따라, 권상로프(13)의 가닥수를 달리하는 다양한 엘리베이터(10)를 용이하게 점검하는 데에 유효하고, 또한 엘리베이터(10)의 종류나 설치환경에 따라 지지봉(31)이나 슬링벨트(32)를 선택적으로 결합하도록 구비되어 다양한 작업환경에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엘리베이터의 일례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설치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측면도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측정장치(30)는 권상로프(13)가 걸리는 로프풀리(17)를 포함하는 권상수단(14)과 이 권상수단(14)에 연결된 제동수단(18)이 일체로 장착되는 엘리베이터(10)의 받침대(B) 상에 고정되어 상기 권상로프(13)를 캐처하여 상기 권상수단(14)에 의한 권상력 및 상기 제동수단(18)에 의한 제동력을 측정함과 동시에 그 측정값에 의해 엘리베이터(10)의 권상능력을 평가하거나 권상로프(13)의 미끌림 등을 점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엘리베이터(10)의 받침대(B)에 걸친 상태로 고정되는 지지봉(31)과 이 지지봉(31)이 장착되는 지지브라켓(33)이 구비되고, 상기 권상로프(13)에 고정되는 로프브라켓(34)이 구비되는데, 상기 로프브라켓(34)은 상기 권상로프(13)의 가닥수에 대응되도록 다수의 로프홈(35)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브라켓(33)과 로프브라켓(34) 사이에는 상기 권상로프(13)에 작용하는 힘을 측정하도록 된 로드셀(36)과 이에 연결되어 측정값을 표시하도록 된 표시기(3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봉(31)은 일정 길이로 연장되는 각파이프 형태로 구비되어 받침대(B) 상에 안정적으로 거치되고, 양측에는 상기 받침대(B)에 고정될 수 있는 클램프(38)가 구비된 것이다.
또한 상기 지지브라켓(33)은 측방에서 상기 지지봉(31)을 끼우도록 된 삽입부(39)가 형성된 것으로, 이러한 지지브라켓(33)에는 상기 지지봉(31) 대신에 일정 길이로 된 슬링벨트(32)가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삽입부(39)의 일측에는 상기 슬링벨트(32)를 걸기 위한 링부(40)가 형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로프브라켓(34)은 각 엘리베이터(10)의 권상로프(13)의 가닥수에 대응된 다수의 로프홈(35)이 형성되고, 상기 로프홈(35)에 삽입되는 권상로프(13)를 가압한 상태로 고정하도록 한 쌍의 판부재로 이루어져 조임볼트(41)에 의해 조여지도록 된 것으로, 이러한 로프브라켓(34)은 상기 로프홈(35)의 개수를 달리하는 다수로 구비되어 상기 권상로프(13)의 가닥수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며, 이때에, 상기 로프브라켓(34)은 연결구(42)에 의해 상기 로드셀(36)에 선택적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동상태를 도 5를 더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로드셀(36)의 하단이 상기 지지봉(31)과 지지브라켓(33)에 의해 엘리베이터(10)의 받침대(B)와 같은 설치장소에 고정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로드셀(36)의 상단에 위치되는 로프브라켓(34)을 권상로프(13)에 고정하게 되는데, 이때에 상기 로드셀(36)은 양측에서 잡아당기는 인장타입으로 구비되고, 상기 로프브라켓(34)은 상기 로드셀(36)의 인장방향에 대해 후방으로 편심된 상태에서 상기 권상로프(13)를 캐처하도록 구비되어 설치상의 편리함을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상기 권상수단(14)의 작동에 의해 권상로프(13)를 당김에 따라 작용하는 힘을 상기 로드셀(36)과 표시기(37)에 의해 권상력을 측정하게 되고, 이 권상력은 상기 권상로프(13)의 하단에 결합된 승강카(11)의 견인력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상기 로프브라켓(34)에 의해 엘리베이터(10)의 권상로프(13)를 모두 캐처한 상태로 권상력의 측정이 이루어짐에 따라 종래처럼 권상로프(13) 중의 한가닥 만을 캐처하는 것에 비해 측정오차를 줄일 수 있는 것이며, 이에 더하여 상기 제동수단(18)에 의한 브레이크 제동력을 측정하는 데에도 활용할 수 있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동수단(18)의 제동력을 측정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측정장치(30)를 설치하기 이전에 미리 디지털 토크렌치(44)를 제동수단(18)에 끼운 후에 제동상태를 개방하여 그에 작용하는 토크값을 확인하게 되는데, 이때의 토크값은 승강카(11)와 균형추(12) 간의 균형을 유지하는 밸런스 토크값에 해당되는 것이다.
이후에는 전술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해 권상수단(14)에 의한 권상력을 측정하게 되고, 권상력의 측정 이후에는 상기 제동수단(18)의 제동상태를 개방하여 상기 표시기(37)에 의해 승강카(11)와 균형추(12)의 밸런스 무게를 확인한 후에, 상기 디지털 토크렌치(44)를 권상로프(13)의 권상방향으로 돌려 상기 표시기(37)에 정격하중의 125% 이상으로 표시된 지점에서 정지하여 상기 디지털 토크렌치(44)의 토크값을 확인하게 된다.
이와 같이 측정된 밸런스 토크값과 권상력 검사시에 측정된 무게를 KG/토크값 단위로 환산하여 권상수단(14)의 마찰저항이나 기어효율의 손실 등에 의한 오차를 보정할 수 있게 되고, 상기 제동수단(18)의 제동력은 상기 제동수단(18)의 제동력을 개방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디지털 토크렌치(44)를 권상로프(14)의 하강방향으로 회전시켜 정격하주의 125% 이상에서의 미끄럼 발생 여부를 확인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되지 않은 부호는 상기 지지브라켓(33)과 로드셀(36) 간에 결합되는 다른 연결구(43)를 나타낸 것이고, 다른 부호는 상기 로프브라켓(34)을 연결구(42)에 착탈결합하기 위한 볼트축(45)과 너트체(46)를 나타낸 것이다. 또 다른 부호는 제동수단(18)의 브레이크드럼(19)과 패드(20) 및 이를 구동하는 모터(15)를 나타낸 것으로, 제동수단(18)의 제동력의 개방상태는 상기 브레이크드럼(19)과 패드(20)가 분리된 상태이고, 상기 디지털 토크렌치(44)는 상기 모터(15)를 인위적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Claims (3)

  1. 승객이 탑승하도록 된 승강카(11)와, 상기 승강카(11)를 승강시키도록 연결된 다수의 권상로프(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엘리베이터(10)의 측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10)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도록 구비되는 지지봉(31) 또는 슬링벨트(32)와;
    상기 지지봉(31) 또는 슬링벨트(32)를 장착하도록 구비되는 지지브라켓(33)과;
    상기 권상로프(13)에 고정되도록 다수의 로프홈(35)이 형성된 로프브라켓(34)과;
    상기 지지브라켓(33)과 로프브라켓(34)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권상로프(13)에 작용하는 힘을 측정하도록 된 로드셀(36)과;
    상기 로드셀(36)에 연결되는 측정값을 표시하도록 연결된 표시기(3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권상능력평가 및 브레이크 제동력 측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프브라켓(34)은 상기 로프홈(35)의 개수가 다른 다수로 구비되고, 상기 각 로프브라켓(34)은 상기 로드셀(36)의 일단에 선택적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권상능력평가 및 브레이크 제동력 측정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브라켓(33)은 상기 지지봉(31)과 슬링벨트(32)를 선택적으로 장착하도록 상기 지지봉(31)을 끼우도록 된 삽입부(39) 및 상기 삽입부(39)의 일측에 위치되어 상기 슬링벨트(32)를 걸도록 된 링부(4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권상능력평가 및 브레이크 제동력 측정장치 .
KR1020140195338A 2014-12-31 2014-12-31 엘리베이터의 권상능력평가 및 브레이크 제동력 측정장치 KR1016912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5338A KR101691265B1 (ko) 2014-12-31 2014-12-31 엘리베이터의 권상능력평가 및 브레이크 제동력 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5338A KR101691265B1 (ko) 2014-12-31 2014-12-31 엘리베이터의 권상능력평가 및 브레이크 제동력 측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1464A true KR20160081464A (ko) 2016-07-08
KR101691265B1 KR101691265B1 (ko) 2016-12-29

Family

ID=56503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5338A KR101691265B1 (ko) 2014-12-31 2014-12-31 엘리베이터의 권상능력평가 및 브레이크 제동력 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126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7395B1 (ko) * 2017-08-01 2018-07-23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태양전지판 전개용 시뮬레이터 마찰장력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마찰장력 측정방법
KR101960279B1 (ko) 2018-06-22 2019-03-20 주식회사 명신메디칼 발열 저감을 갖는 면상발열체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면상발열체
KR102027931B1 (ko) 2018-06-22 2019-10-02 주식회사 명신메디칼 발열 저감을 갖는 면상발열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26052A (ja) * 2000-02-16 2001-08-21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の昇降体重量測定方法
KR101015054B1 (ko) 2009-05-28 2011-02-16 김윤겸 승강기 언밸런스하중 및 최대적재하중 측정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26052A (ja) * 2000-02-16 2001-08-21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の昇降体重量測定方法
KR101015054B1 (ko) 2009-05-28 2011-02-16 김윤겸 승강기 언밸런스하중 및 최대적재하중 측정방법 및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7395B1 (ko) * 2017-08-01 2018-07-23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태양전지판 전개용 시뮬레이터 마찰장력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마찰장력 측정방법
KR101960279B1 (ko) 2018-06-22 2019-03-20 주식회사 명신메디칼 발열 저감을 갖는 면상발열체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면상발열체
KR102027931B1 (ko) 2018-06-22 2019-10-02 주식회사 명신메디칼 발열 저감을 갖는 면상발열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1265B1 (ko) 2016-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217219B (zh) 电梯制动力矩检测方法及检测装置
KR102073244B1 (ko) 엘리베이터 카 하중의 표시를 제공하는 엘리베이터 종단 조립체
CN102627207B (zh) 电梯平衡系数检测装置及检测方法
KR101691265B1 (ko) 엘리베이터의 권상능력평가 및 브레이크 제동력 측정장치
KR101487623B1 (ko) 엘리베이터의 권상력 측정방법
CN102307803B (zh) 用于在电梯设备中实施负载检测的设备以及用于实施此类检测的方法
JP4079886B2 (ja) エレベータの非常止め試験装置
EP3569550B1 (en) Lift
CN110411772A (zh) 电梯无载静态曳引试验检测方法及装置
WO2018083739A1 (ja) エレベーター装置、および秤装置の校正方法
KR100958298B1 (ko) 승강기 언밸런스하중 및 최대적재하중 측정방법 및 장치
CN208308166U (zh) 电梯载荷试验测控系统
CN111302174A (zh) 电梯平衡系数及电梯静态曳引试验的无载检测方法以及检测装置
KR101015054B1 (ko) 승강기 언밸런스하중 및 최대적재하중 측정방법 및 장치
JP5191315B2 (ja) 重量測定装置
JP6244281B2 (ja) エレベータの昇降体の重量測定方法及び重量測定装置
KR102143284B1 (ko) 승강기의 로프장력과 견인력 측정장치 및 방법
KR101511856B1 (ko) 엘리베이터의 하중측정 및 장력조정장치
CN102455254A (zh) 安全锁实验台
KR100365315B1 (ko) 엘리베이터 하중측정장치
CN107101810B (zh) 一种拖缆机的刹车组件的检测方法和检测系统
KR20160081456A (ko) 소음진동계를 이용한 엘리베이터의 승강카 및 균형추 자중측정방법
CN113340630A (zh) 一种卷扬吊装测力系统及吊装安全监测方法
CN221078018U (zh) 防坠器检测装置
KR200284693Y1 (ko) 무게측정장치를갖는크레인훅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