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5050B1 - 신호 처리 장치 및 신호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신호 처리 장치 및 신호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5050B1
KR101015050B1 KR1020090062933A KR20090062933A KR101015050B1 KR 101015050 B1 KR101015050 B1 KR 101015050B1 KR 1020090062933 A KR1020090062933 A KR 1020090062933A KR 20090062933 A KR20090062933 A KR 20090062933A KR 101015050 B1 KR101015050 B1 KR 1010150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amplifier
outputting
output
frequency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29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5409A (ko
Inventor
이정훈
정민수
Original Assignee
인티그런트 테크놀로지즈(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티그런트 테크놀로지즈(주) filed Critical 인티그런트 테크놀로지즈(주)
Priority to KR10200900629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5050B1/ko
Publication of KR201100054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54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50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50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14Picture signal circuitry for video frequency region
    • H04N5/21Circuitry for suppressing or minimising disturbance, e.g. moiré or halo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189High-frequency amplifiers, e.g. radio frequency ampl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2Automatic gain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0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1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 H04H2201/11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0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1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 H04H2201/2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digital audio broadcasting [DA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Noise Elimin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신호 처리 장치는 외부로부터의 수신 신호를 증폭하여 증폭 신호를 출력하는 증폭기, 상기 증폭기로부터 출력된 증폭 신호를 하향변환함으로써 하향변환신호를 출력하는 믹서, 상기 하향변환신호를 필터링하여 특정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출력하는 필터, 상기 특정 주파수 대역의 신호 중 특정 구간에서 동일 채널 간섭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여 기준값보다 크면 제1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 강도 측정부, 상기 제1 제어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증폭기의 RF 게인값을 감소시키는 제2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게인 콘트롤러를 포함한다.
Figure R1020090062933
제2 고조파, 널 프레임, DAB, DMB

Description

신호 처리 장치 및 신호 처리 방법{SIGNAL PROCESSING DEVICE AND SIGNAL PROCESS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신호 처리 장치 및 신호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확하고 안정적인 신호 처리를 위하여 필요한 것 중의 하나가 원하지 않는 신호의 영향을 없애거나 감소시키는 것이다. 원하는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원하지 않는 주파수 대역의 신호까지 처리될 수 있기 때문이다.
신호 처리 장치는 필터를 통하여 입력된 특정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처리한다. 그러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주파수 대역의 신호에는 원하지 않는 주파수 대역의 신호가 섞일 수 있다.
예를 들어, DAB(Digital Audio Broadcasting)나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서비스를 수행하는 신호 처리 장치는 174.928 MHz ~ 239.200 MHz 대역의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또한 FM 주파수 대역의 신호는 87.5 MHz ~ 108.0 MHz 이며, FM 신호의 제2 고조파는 175.0 MHz ~ 216.0 MHz 대역의 주파수를 갖는다.
이 때 FM 신호의 제2 고조파의 주파수 대역 대부분은 DAB나 DMB 신호의 주파수 대역과 겹치게 된다. 이와 같이 원하는 신호의 대역에 존재하는 원하지 않는 주 파수 대역의 신호를 동일 채널 간섭 신호(co-channel interferer signal)라 한다. 이에 따라 DAB나 DMB 신호의 주파수 대역과 겹치는 FM 신호의 제2 고조파 신호는 동일 채널 간섭 신호가 된다.
이에 따라 DAB나 DMB 서비스를 수행하는 신호 처리 장치는 원하는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처리할 때 FM 신호의 제2 고조파와 같이 원하지 않는 신호가 DMB 신호처리의 방해요소로 작용하게 된다. 이와 같은 제2 고조파의 영향을 줄이기 위하여 DAB나 DMB 서비스를 수행하는 신호 처리 장치는 고사양의 FM 저지 RF 대역 통과 필터(FM rejection RF band pass filter)를 필요로 한다.
이와 같이 원하는 신호의 SNR (Signal to Noise Ratio)을 간단하게 향상시키기 위한 신호 처리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발명은 게인 제어를 통하여 동일 채널간섭 신호를 줄일 수 있는 신호 처리 장치 및 신호 처리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신호 처리 장치는 외부로부터의 수신 신호를 증폭하여 증폭 신호를 출력하는 증폭기, 상기 증폭기로부터 출력된 증폭 신호를 하향변환함으로써 하향변환신호를 출력하는 믹서, 상기 하향변환신호를 필터링하여 특정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출력하는 필터, 상기 특정 주파수 대역의 신호 중 특정 구간에서 동일 채널 간섭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여 기준값보다 크면 제1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 강도 측정부, 상기 제1 제어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증폭기의 RF 게인값을 감소시키는 제2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게인 콘트롤러를 포함한다.
상기 증폭기는 저잡음 증폭 유닛 및 상기 저잡음 증폭 유닛에서 출력된 신호를 증폭하는 RF 증폭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믹서는 상기 증폭 신호를 하향변환함으로써 기저 대역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특정 구간은 널 프레임 구간일 수 있다.
상기 특정 구간은 DAB 또는 DMB 서비스 신호의 널 프레임 구간일 수 있다.
상기 제2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저잡음 증폭 유닛 또는 상기 RF 증폭 유닛 중 적어도 하나의 게인이 감소될 수 있다.
상기 동일 채널 간섭 신호는 제2 고조파 이상의 고조파 신호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신호 처리 장치는 외부로부터의 수신 신호를 증폭하여 증폭 신호를 출력하는 제1 증폭기, 상기 제1 증폭기로부터 출력된 증폭 신호를 하향변환함으로써 하향변환신호를 출력하는 제1 믹서, 상기 하향변환신호를 필터링하여 특정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출력하는 제1 필터, 상기 제1 필터에서 출력된 신호를 증폭하는 제2 증폭기, 상기 제2 증폭기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하향변환함으로써 기저 대역의 신호를 출력하는 제2 믹서, 상기 기저 대역 이외의 신호를 필터링하는 제2 필터, 상기 제2 필터로부터 출력된 상기 기저 대역의 신호 중 특정 구간에서 동일 채널 간선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여 기준값보다 크면 제1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 강도 측정부, 상기 제1 제어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제1 증폭기의 RF 게인값을 감소시키는 제2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게인 콘트롤러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믹서는 상기 증폭 신호를 하향변환함으로써 중간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1 증폭기는 저잡음 증폭 유닛 및 상기 저잡음 증폭 유닛에서 출력된 신호를 증폭하는 RF 증폭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특정 구간은 널 프레임 구간일 수 있다.
상기 특정 구간은 DAB 또는 DMB 서비스 신호의 널 프레임 구간일 수 있다.
상기 제2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저잡음 증폭 유닛 또는 상기 RF 증폭 유닛 중 적어도 하나의 게인이 감소될 수 있다.
상기 동일 채널 간섭 신호는 제2 고조파 이상의 고조파 신호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신호 처리 방법은 외부로부터의 수신 신호를 증폭하여 증폭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증폭 신호를 하향변환함으로써 하향변환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하향변환신호를 필터링하여 특정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특정 주파수 대역의 신호 중 특정 구간에서 동일 채널 간섭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신호 세기가 기준값보다 크면 제1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제1 제어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증폭 신호의 RF 게인값을 감소시키는 제2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특정 주파수 대역의 신호는 중간 주파수 대역의 신호 또는 기저 대역의 신호일 수 있다.
상기 특정 구간은 널 프레임 구간일 수 있다.
상기 특정 구간은 DAB 또는 DMB 서비스 신호의 널 프레임 구간일 수 있다.
상기 동일 채널 간섭 신호는 제2 고조파 이상의 고조파 신호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신호 처리 장치 및 신호 처리 방법은 널 프레임에 포함된 신호의 세기를 통하여 원하는 신호의 SNR을 향상시킴으로써 간단하게 보다 정확하고 안정적인 신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가 상세히 설명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신호 처리 장치를 나타낸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신호 처리 장치는 증폭기(210), 믹서(220), 필터(230), 신호 강도 측정부(240), 게인 콘트롤러(250) 및 복조부(260)를 포함한다.
증폭기(210)는 외부로부터의 수신 신호를 증폭하여 증폭 신호를 출력한다. 이와 같은 증폭기(210)는 회로 자체에서 발생되는 노이즈가 적으면서 수신 신호를 증폭하는 저잡음 증폭 유닛 및 저잡음 증폭 유닛에서 출력된 신호를 증폭하는 RF 증폭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믹서(220)는 증폭기(210)로부터 출력된 증폭 신호를 하향변환함으로써 하향변환신호를 출력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믹서(220)는 증폭 신호를 하향변환함으로써 기저 대역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필터(230)는 믹서(220)로부터 출력된 하향변환신호를 필터링하여 특정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출력한다.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신호 처리 장치는 필터(230)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필터(230)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증폭시킴으로써 복조부(260)가 신호의 복조를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신호 강도 측정부(240)는 필터(230)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입력받 을 수도 있고 필터(230)와 연결된 증폭기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입력받을 수도 있다.
신호 강도 측정부(240)는 특정 주파수 대역의 신호 중 특정 구간에서 동일 채널 간섭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여 기준값보다 크면 제1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특정 구간은 널 프레임(null frame) 구간일 수 있다.
게인 콘트롤러(250)는 제1 제어 신호를 입력받아 RF 게인값을 감소시키는 제2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 증폭기(210)의 게인이 줄어들어 증폭기(210)로부터 출력된 신호의 크기가 줄어든다.
복조부(260)는 필터(230)를 통하여 출력된 신호를 복조한다.
다음으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포함된 신호 강도 측정부(240)의 동작이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DAB 또는 DMB 전송 프레임의 구조를 통하여 신호 강도 측정부(240)의 동작을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처리 장치에서 처리될 수 있는 DAB 또는 DMB 전송 프레임의 구조(Transmission Frame Architecture)를 나타낸다.
DAB 또는 DMB 전송 프레임은 동기화 채널(Synchronization Channel), 고속정보채널(Fast Information Channel ; FIC) 및 주 서비스 채널(Main Service Channel ; MSC)를 포함한다.
동기화 채널은 신호 동기를 위한 것이고, 주 서비스 채널은 실제 서비스 데이터의 전송을 위한 것이며, 고속정보채널은 주 서비스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 채널의 구성 정보가 전송되기 위한 것이다.
동기화 채널에는 DAB 또는 DMB 신호 처리 장치가 프레임의 초기임을 인식하도록 정해진 일정한 형태를 가지며, 디지털 통신 상의 디코드를 위한 정보를 전달한다. 즉, 동기화 채널은 신호가 전송되지 않는 널 프레임 (Null frame)과 DQPSK (Differential 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변복조를 위한 위상 기준 심볼(Reference Symbol)로 구성된다.
주 서비스 채널은 하나 이상의 CIF(Common Interleaved Frame)로 구성되며, 실제 방송될 방송 서비스를 전송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주 서비스 채널에서는 데이터가 오류없이 전송되어야 하므로 실제 데이터 외의 에러 보정 데이터가 같이 전송된다.
즉, 주 서비스 채널로 서비스 데이터가 전송되는데, 고속정보채널에서는 이런 서비스 데이터들이 주 서비스 채널 내부의 어떤 채널에 전송되는 지와 그 외 필요한 정보를 전송한다.
도 4는 DAB 또는 DMB 전송 프레임의 구조에 포함된 널 프레임에서의 신호 파형을 나타낸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DAB 또는 DMB 전송 프레임의 널 프레임에서는 신호가 전송되지 않는 구간이다.
앞서 도 1을 통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FM 신호의 제2 고조파의 주파수 대역 대부분은 DAB나 DMB 신호의 주파수 대역과 겹친다. DAB 또는 DMB 서비스 신호에 FM 신호의 제2 고조파가 섞여 있는 경우 신호가 전송되지 않는 DAB 또는 DMB 전송 프레임의 널 프레임 구간에서 FM 신호의 제2 고조파와 같은 원하지 않는 신호가 검출된다.
따라서 신호 강도 측정부(240)는 널 프레임과 같이 신호가 측정되지 않아야 할 구간에서 기준값 이상의 크기를 지닌 신호가 검출될 경우 제1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제1 제어 신호를 입력받은 게인 콘트롤러(250)는 RF 게인을 감소시키기 위한 제2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 증폭기(210)의 게인이 감소한다. 제2 고조파 신호의 크기는 제2 고조파 신호의 원신호의 크기 감소 변화량에 비하여 2배만큼 감소되므로 게인이 감소할 경우 증폭기(210)로부터 출력된 원하는 신호의 크기 감소보다는 제2 고조파와 같이 원하지 않는 신호의 크기가 더 많이 감소한다.
예를 들어, FM 신호의 제2 고조파 신호의 크기 감소 변화량은 FM 신호 크기 감소 변화량의 2배이다. 따라서 RF 게인이 6 dB 줄어들 경우, DAB 또는 DMB 서비스 신호와 같이 원하는 신호의 크기와 FM 신호 크기는 6 dB 줄어들지만 FM 신호의 제2 고조파 신호의 크기는 12 dB 줄어든다. FM 신호는 필터(230)에 의하여 제거되고 원하는 신호와 섞여 있는 FM 신호의 제2 고조파 신호의 영향은 감소되므로 신호 처리의 정확성 및 안정성이 증가한다.
이상에서는 동일 채널 감소 신호로 원하지 않는 신호의 제2 고조파 신호를 예를 들었으나 원하지 않는 신호의 제2 고조파 신호뿐만 아니라 제2 고조파 이상의 고조파 신호들일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2 고조파 이상의 고조파 신호들 역시 RF 게인이 감소하면 원하는 신호의 크기 감소에 비하여 더 많이 감소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제2 제어 신호에 따라 증폭기(210)의 저잡음 증폭 유닛 또는 RF 증폭 유닛 중 적어도 하나의 게인이 감소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고조파 신호의 영향을 줄이면서도 신호 처리 장치의 설계가 다양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처리 장치는 제2 고조파 신호와 같은 원하지 않는 신호를 제거하기 위하여 고가의 FM 저지 RF 대역 통과 필터(FM rejection RF band pass filter)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신호 처리 장치를 나타낸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신호 처리 장치는 제1 증폭기(510), 제1 믹서(520), 제1 필터(530), 제2 증폭기(540), 제2 믹서(550), 제2 필터(560), 신호 강도 측정부(570), 게인 콘트롤러(580) 및 복조부(590)를 포함한다.
제1 증폭기(510)는 외부로부터의 수신 신호를 증폭하여 증폭 신호를 출력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 역시 제1 증폭기(510)는 노이즈를 제거하면서 수신 신호를 증폭하는 저잡음 증폭 유닛 및 저잡음 증폭 유닛에서 출력된 신호를 증폭하는 RF 증폭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믹서(520)는 제1 증폭기(510)로부터 출력된 증폭 신호를 하향변환함으로써 하향변환신호를 출력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제1 믹서(520)는 증폭 신호를 하향변환함으로써 중간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제1 필터(530)는 제1 믹서(520)로부터 출력된 하향변환신호를 필터링하여 특정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출력한다.
제2 증폭기(540)는 제1 필터(530)에서 출력된 신호를 증폭한다.
제2 믹서(550)는 제2 증폭기(540)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하향변환함으로써 기 저 대역의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제2 필터(560)는 기저 대역 이외의 신호를 필터링한다.
도 5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신호 처리 장치는 제2 필터(560)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제2 필터(560)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증폭시킴으로써 복조부(590)가 신호의 복조를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
신호 강도 측정부(570)는 상기 제2 필터(560)로부터 출력된 기저 대역의 신호 중 널 프레임과 같이 특정 구간에서 동일 채널 간섭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여 기준값보다 크면 제1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이와 같은 신호 강도 측정부(570)의 동작은 앞서 제1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된다.
게인 콘트롤러(580)는 제1 제어 신호를 입력받아 게인값을 감소시키는 제2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 제1 증폭기(510)의 RF 게인이 줄어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제2 제어 신호에 따라 제1 증폭기(510)의 저잡음 증폭 유닛 또는 RF 증폭 유닛 중 적어도 하나의 게인이 감소할 수 있다.
복조부(590)는 제2 필터(560)를 통하여 출력된 신호를 복조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처리 방법의 순서도이다.
증폭기는 외부로부터의 수신 신호를 증폭하여 증폭 신호를 출력한다(S610). 수신 신호는 DAB 또는 DMB 서비스 신호일 수 있다.
믹서는 증폭기로부터 출력된 증폭 신호를 하향변환함으로써 하향변환신호를 출력한다(S620).
필터는 믹서로부터 출력된 하향변환신호를 필터링하여 특정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출력한다(S630).
신호 강도 측정부는 특정 주파수 대역의 신호 중 특정 구간에서 동일 채널 간섭 신호의 세기를 측정한다(S640).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특정 구간은 널 프레임(null frame) 구간일 수 있다.
이 때, 신호 강도 측정부는 신호 세기가 기준값보다 크면 제1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S650).
게인 콘트롤러는 제1 제어 신호를 입력받아 증폭 신호의 RF 게인값을 감소시키는 제2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S660). 이에 따라 증폭기의 게인이 줄어들어 증폭기로부터 출력된 신호의 크기가 줄어들고, 제2 고조파 신호의 크기는 게인 감소의 2배만큼 더 줄어들므로 원하는 신호와 섞여 있는 제2 고조파 신호와 같은 동일 채널 간섭 신호의 영향이 줄어든다.
이 때 필터에서 출력된 신호는 중간 주파수 대역의 신호 또는 기저 대역의 신호일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 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원하는 주파수 대역의 신호에 섞인 원하지 않는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신호 처리 장치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신호 처리 장치에서 처리될 수 있는 DAB 또는 DMB 전송 프레임의 구조(Transmission Frame Architecture)를 나타낸다.
도 4는 DAB 또는 DMB 전송 프레임의 구조에 포함된 널 프레임에서의 신호 파형을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신호 처리 장치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처리 방법의 순서도이다.

Claims (19)

  1. 외부로부터의 수신 신호를 증폭하여 증폭 신호를 출력하는 증폭기;
    상기 증폭기로부터 출력된 증폭 신호를 하향변환함으로써 하향변환신호를 출력하는 믹서;
    상기 하향변환신호를 필터링하여 특정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출력하는 필터;
    상기 특정 주파수 대역의 신호 중 특정 구간에서 동일 채널 간섭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여 기준값보다 크면 제1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 강도 측정부;
    상기 제1 제어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증폭기의 RF 게인값을 감소시키는 제2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게인 콘트롤러
    를 포함하는 신호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폭기는 저잡음 증폭 유닛 및 상기 저잡음 증폭 유닛에서 출력된 신호를 증폭하는 RF 증폭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처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믹서는 상기 증폭 신호를 하향변환함으로써 기저 대역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처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구간은 널 프레임 구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처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구간은 DAB 또는 DMB 서비스 신호의 널 프레임 구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처리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저잡음 증폭 유닛 또는 상기 RF 증폭 유닛 중 적어도 하나의 게인이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처리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일 채널 간섭 신호는 제2 고조파 이상의 고조파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처리 장치.
  8. 외부로부터의 수신 신호를 증폭하여 증폭 신호를 출력하는 제1 증폭기;
    상기 제1 증폭기로부터 출력된 증폭 신호를 하향변환함으로써 하향변환신호를 출력하는 제1 믹서;
    상기 하향변환신호를 필터링하여 특정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출력하는 제1 필터;
    상기 제1 필터에서 출력된 신호를 증폭하는 제2 증폭기;
    상기 제2 증폭기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하향변환함으로써 기저 대역의 신호를 출력하는 제2 믹서;
    상기 기저 대역 이외의 신호를 필터링하는 제2 필터;
    상기 제2 필터로부터 출력된 상기 기저 대역의 신호 중 특정 구간에서 동일 채널 간섭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여 기준값보다 크면 제1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 강도 측정부;
    상기 제1 제어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제1 증폭기의 RF 게인값을 감소시키는 제2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게인 콘트롤러
    를 포함하는 신호 처리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믹서는 상기 증폭 신호를 하향변환함으로써 중간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처리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증폭기는 저잡음 증폭 유닛 및 상기 저잡음 증폭 유닛에서 출력된 신호를 증폭하는 RF 증폭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처리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구간은 널 프레임 구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처리 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구간은 DAB 또는 DMB 서비스 신호의 널 프레임 구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처리 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저잡음 증폭 유닛 또는 상기 RF 증폭 유닛 중 적어도 하나의 게인이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처리 장치.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동일 채널 간섭 신호는 제2 고조파 이상의 고조파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처리 장치.
  15. 외부로부터의 수신 신호를 증폭하여 증폭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증폭 신호를 하향변환함으로써 하향변환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하향변환신호를 필터링하여 특정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특정 주파수 대역의 신호 중 특정 구간에서 동일 채널 간섭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신호 세기가 기준값보다 크면 제1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제1 제어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증폭 신호의 RF 게인값을 감소시키는 제2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신호 처리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주파수 대역의 신호는 중간 주파수 대역의 신호 또는 기저 대역의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처리 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구간은 널 프레임 구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처리 방법.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구간은 DAB 또는 DMB 서비스 신호의 널 프레임 구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처리 방법.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동일 채널 간섭 신호는 제2 고조파 이상의 고조파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처리 방법.
KR1020090062933A 2009-07-10 2009-07-10 신호 처리 장치 및 신호 처리 방법 KR1010150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2933A KR101015050B1 (ko) 2009-07-10 2009-07-10 신호 처리 장치 및 신호 처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2933A KR101015050B1 (ko) 2009-07-10 2009-07-10 신호 처리 장치 및 신호 처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5409A KR20110005409A (ko) 2011-01-18
KR101015050B1 true KR101015050B1 (ko) 2011-02-16

Family

ID=436125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2933A KR101015050B1 (ko) 2009-07-10 2009-07-10 신호 처리 장치 및 신호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505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19223A1 (ko) * 2020-12-02 2022-06-09 주식회사 텔레칩스 저잡음 증폭기 이득 제어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방송 수신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8001A (ko) * 1998-07-09 2000-02-07 김영환 통신 시스템 수신기의 가변이득 저잡음 증폭장치
KR100751554B1 (ko) 2006-06-28 2007-08-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중 대역 주파수 입력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력증폭 장치 및 전력 증폭 방법
KR20080047219A (ko) * 2006-11-24 2008-05-28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다수의 방송 서비스 채널들을 동시수신하는 방송 방법 및 방송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8001A (ko) * 1998-07-09 2000-02-07 김영환 통신 시스템 수신기의 가변이득 저잡음 증폭장치
KR100751554B1 (ko) 2006-06-28 2007-08-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중 대역 주파수 입력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력증폭 장치 및 전력 증폭 방법
KR20080047219A (ko) * 2006-11-24 2008-05-28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다수의 방송 서비스 채널들을 동시수신하는 방송 방법 및 방송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5409A (ko) 2011-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24276B2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signal processing in a receiver that can be tuned to different carriers
US6640093B1 (en) Broadcast receiver
US20130003894A1 (en) Delay adjustment using sample rate converters
US20130003904A1 (en) Delay estimation based on reduced data sets
US7224939B2 (en) Audio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and method
EP2251984B1 (en) Signal analysis for an improved detection of noise from an adjacent channel
KR101015050B1 (ko) 신호 처리 장치 및 신호 처리 방법
JP2006042025A (ja) Ofdm信号復調回路及びofdm信号復調方法
US8099067B2 (en) Data signal system
WO2016121393A1 (ja) Cn比検出回路及び受信回路
US20100285768A1 (en) Receiving apparatus
US9287912B2 (en) Multimode receiver with complex filter
JP3673997B2 (ja) 放送受信装置
JP4618868B2 (ja) ディジタル放送受信機及びセグメント数検出装置
KR100611100B1 (ko) Low-IF 방식을 이용한 디지털 초협대역 수신 장치
US20150181150A1 (en) Method and system for reception of digital television signal
JP4134920B2 (ja) Ofdm信号受信装置及びofdm信号受信方法
JP3189163B2 (ja) Ofdm受信機
JP2010171504A (ja)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
JP2006148592A (ja) Cofdm変調信号受信機
JP4392916B2 (ja) Fmラジオ受信機の信号処理回路
CN102227906A (zh) 广播接收系统及控制该系统的方法
JP2011205294A (ja) 受信装置
JP2006050599A (ja) ディジタル伝送信号受信装置のアンテナ方向調整方法
JP2004242221A (ja) Fm受信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