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4846B1 - 건고추 건조기 - Google Patents

건고추 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4846B1
KR101014846B1 KR1020080051220A KR20080051220A KR101014846B1 KR 101014846 B1 KR101014846 B1 KR 101014846B1 KR 1020080051220 A KR1020080051220 A KR 1020080051220A KR 20080051220 A KR20080051220 A KR 20080051220A KR 101014846 B1 KR101014846 B1 KR 1010148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air
pepper
dry
housing
ai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12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24809A (ko
Inventor
몽 필 김
Original Assignee
몽 필 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몽 필 김 filed Critical 몽 필 김
Priority to KR10200800512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4846B1/ko
Publication of KR200901248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48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48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48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05Preserving by heating
    • A23B7/0053Preserving by heating by direct or indirect contact with heating gases or liqui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2Dehydrat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23B7/0205Dehydrat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by contact of the material with fluids, e.g. drying gas or extracting liqui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0Drying, dehydrat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고추가 투입되는 하우징이 구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이송부재가 건고추를 교반시킴과 동시에 전방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부가 구성되며, 상기 이송부의 하부에 건고추에 잔존하는 수분을 건조시키도록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공급부가 구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순환팬이 회전하면서 정화필터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를 순환시켜 외부로 배기시키는 공기순환부가 구성되며, 상기 열풍공급부의 하단부에 열풍공급부를 지지하는 지지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하우징의 내부에 투입된 건고추를 이송부재가 회전하면서 교반함과 동시에 열풍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열풍으로 건고추에 잔존하는 수분을 효과적으로 건조하므로 건조시간 단축 및 건조효율을 극대화시키는 건고추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건고추 건조기{dryer of pepper}
본 발명은 건고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우징으로 투입되는 건고추를 교반부재가 교반하면서 열풍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열풍으로 건고추에 잔존하는 수분을 건조시키는 건고추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추는 우리 식생활에서 가장 많이 소요되는 조미 채소류로서, 양념류, 김치류, 고추장 등의 가공식품에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국민 1인당 연간 소비량은 고추가루 기준으로 2.5kg에 이르고 있다.
이러한 고추를 분말상태로 만들기 위해서는 먼저, 수분을 함유하고 있는 고추를 일정시간 동안 건조하여 건고추로 만드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건조과정을 거친 건고추라 하더라도 내부에 일정한 수분을 함유하고 있으며, 이러한 건고추는 고온의 건조실에서 재차 건조되어 일정수치의 수분을 함유해야만 분쇄를 할수 있으며, 분쇄된 고추가루는 포장과정을 거쳐 소비자에게 공급되어 진다.
상기와 같은 건고추 건조방법은, 건고추의 건조시 교반과정을 거치지 않고 건조되기 때문에 건고추에 잔존하는 수분을 효과적으로 건조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많은 건조시간이 소요되고, 건조된 건고추는 별도의 이송장치를 거쳐 다음공정에 투입되므로 작업공정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결함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하우징의 내부에 투입된 건고추를 이송부재가 회전하면서 교반함과 동시에 열풍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열풍으로 건고추에 잔존하는 수분을 건조시키므로 건조시간 단축 및 건조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건고추 건조기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건고추가 투입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이송부재가 건고추를 교반시킴과 동시에 전방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부와;
상기 이송부의 하부에 건고추에 잔존하는 수분을 건조시키도록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공급부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순환팬이 회전하면서 정화필터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를 순환시켜 외부로 배기시키는 공기순환부와;
상기 열풍공급부의 하단부에 열풍공급부를 지지하는 지지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하우징 내부에 이송부재가 회전하면서 건고추를 교반함과 동시에 열풍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열풍으로 건고추에 잔존하는 수분을 골고루 건조시키므로 건조효율을 극대화시킬 뿐만 아니라 건조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폐열은 배기팬이 외부에 강제로 배기시키므로 건고추 고유의 색을 유지하면서 양질의 건고추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건고추가 투입되는 하우징(100)이 구성되고,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 모터(220)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이송부재(210)가 건고추를 교반시킴과 동시에 전방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부(200)가 구성되며, 상기 이송부(200)의 하부에 건고추에 잔존하는 수분을 건조시키도록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공급부(300)가 구성되고,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 순환팬(410)이 회전하면서 정화필터(431)를 통해 공급되는 대기공기를 순환시켜 외부로 배기시키는 공기순환부(400)가 구성되며, 상기 열풍공급부(300)의 하단부에 열풍공급부(300)를 지지하는 지지대(500)를 포함 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하우징(100)은, 상기 건고추가 투입되는 몸체(110)가 구비되고, 상기 몸체(110)의 하단부에 건고추가 이송부재(210)에 의해 전방으로 이송하도록 지지하면서 열풍공급부(300)에서 열풍을 공급받도록 건고추보다 작은 통공(121)이 형성된 타공망(120)이 구비되며, 상기 몸체(110)의 일측에 이송부재(210)에 의해 교반되어 이송된 건고추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130)가 구비된다.
상기 이송부(200)는, 상기 하우징(100)에 수평으로 회전가능하게 축설되는 회전축(211)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211)의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일정각도 경사각을 가지는 지지봉(212)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봉(212)의 단부에는 건고추를 교반시키면서 전방으로 이송시키는 이송편(213)이 형성된 이송부재(210)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축(211)의 단부에 이송부재(210)를 회전시키도록 동력을 전달하는 모터(220)가 구비된다.
상기 열풍공급부(300)는, 상기 하우징(100)의 하단부에 고정되며 내부에 열풍안내공간(311)이 형성된 외체(310)가 구비되고, 상기 외체(310)의 일측에 외부공기를 흡입하는 흡입팬(320)이 구비되며, 상기 흡입팬(320)의 일측에 외부공기를 열풍으로 가열하도록 다수의 히터(331)가 장착된 열풍공급부재(330)가 구비되고, 상기 열풍공급부재(330)의 상부와 외체(310)의 일측에 연결되어 열풍안내공간(311)으로 열풍을 공급하는 공급관(340)이 구비된다.
상기 공기순환부(400)는, 상기 하우징(100)의 내측 상부에 모터(411)의 동력 으로 회전하면서 하우징(100)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도록 고정편(412)에 의해 고정되는 순환팬(410)이 구비되고, 상기 건고추가 건조되면서 발생하는 폐열을 외부에 강제로 배기시키도록 배기팬(421)이 장착된 배기관(420)이 구비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적으로 건조된 건고추가 호퍼(10)를 통해 하우징(100) 내부로 투입된다.
상기 하우징(100) 내부로 투입된 건고추는 모터(220)에 의해 회전하는 이송부재(210)에 의해 회전하면서 서로 교반된다.
상기 이송부재(210)는 회전축(211)의 외주면에 일정간격으로 엇갈리게 형성되며 지지봉(212)과 이송편(213)은 일정각도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어서 이송부재(210)가 회전할 경우 건고추를 원활하게 교반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건고추는 몸체(110)의 하부에 형성된 타공망(120)의 통공(121) 크기보다 크므로 건고추가 몸체(110)의 하부로 빠지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것이다.
또한, 상기 건고추가 하우징(100) 내부에서 서로 교반될 때, 열풍공급부(300)에서 하우징(100) 내부로 열풍을 공급하게 되는데, 열풍공급부(300)의 흡입팬(320)은 외부공기를 흡입하게 되고, 흡입된 외부공기는 다수의 히터(331)가 내장된 열풍공급부재(330) 내부로 유입되어 히터(331)에 의해 가열된다.
상기와 같이 가열된 열풍은 공급관(340)을 통해 열풍안내공간(311)으로 공급 되어 지며, 상기 열풍은 몸체(110)의 하부에 통공(121)이 형성된 타공망(120)을 통해 하우징(100) 내부로 공급되는 것이다.
상기 하우징(100) 내부로 공급된 열풍은 이송부재(210)에 의해 회전하면서 교반되는 건고추에 골고루 공급되어 건고추에 남아있는 수분을 건조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100) 내부에 열풍이 공급되어 건고추가 건조되는 상태에서, 몸체(110)의 내측 상부에 장착된 순환팬(410)이 회전하면서 하부의 열풍을 흡입하여 순환팬(410)의 측면으로 순환시키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건고추가 원활하게 건조되도록 한다.
한편, 열풍에 의해 건고추를 건조시키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폐열은 배기관(420)의 내부에 장착된 배기팬(421)의 회전에 의해 외부로 강제로 배기시키게 되므로 오염되지 않은 열풍으로 건고추를 건조시킨다.
상기와 같은 과정으로 교반되면서 열풍에 의해 건조되어 이송되는 건고추는 몸체(110)의 일측에 형성된 배출구(13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정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하우징 110: 몸체
200: 이송부 210: 이송부재
220: 모터 300: 열풍공급부
310: 외체 320: 공급관
330: 열풍공급부재 340: 흡입팬
400: 공기순환부 410: 순환팬
420: 배기관

Claims (5)

  1. 건고추가 투입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수평으로 축설되는 회전축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일정각도 경사각을 가지는 지지봉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봉의 단부에는 건고추를 교반시키면서 전방으로 이송시키는 이송편이 형성된 이송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축의 단부에 이송부재를 회전시키도록 동력을 전달하는 모터가 구비된 이송부와;
    상기 이송부의 하부에 건고추에 잔존하는 수분을 건조시키도록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공급부와;
    상기 열풍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열풍을 순환팬이 회전하면서 순환시키고, 건고추를 건조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폐열을 외부로 배출시켜 공기를 순환시키는 공기순환부와;
    상기 열풍공급부의 하단부에 열풍공급부를 지지하는 지지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고추 건조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하우징은,
    상기 건고추가 투입되는 몸체가 구비되고, 상기 몸체의 하단부에 건고추가 이송부재에 의해 전방으로 이송하도록 지지하면서 열풍공급부에서 열풍을 공급받도록 건고추보다 작은 통공이 형성된 타공망이 구비되며, 상기 몸체의 일측에 이송부재에 의해 교반되어 이송된 건고추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고추 건조기.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열풍공급부는,
    상기 하우징의 하단부에 고정되며 내부에 열풍안내공간이 형성된 외체가 구비되고, 상기 외체의 일측에 외부공기를 흡입하는 흡입팬이 구비되며, 상기 흡입팬의 일측에 외부공기를 열풍으로 가열하도록 다수의 히터가 장착된 열풍공급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열풍공급부재의 상부와 외체의 일측에 연결되어 열풍안내공간으로 열풍을 공급하는 공급관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고추 건조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공기순환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측 상부에 모터의 동력으로 회전하면서 하우징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도록 고정편에 의해 고정되는 순환팬이 구비되고, 상기 건고추가 건조되면서 발생하는 폐열을 외부에 강제로 배기시키도록 배기팬이 장착된 배기관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고추 건조기.
KR1020080051220A 2008-05-30 2008-05-30 건고추 건조기 KR1010148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1220A KR101014846B1 (ko) 2008-05-30 2008-05-30 건고추 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1220A KR101014846B1 (ko) 2008-05-30 2008-05-30 건고추 건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4809A KR20090124809A (ko) 2009-12-03
KR101014846B1 true KR101014846B1 (ko) 2011-02-15

Family

ID=41686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1220A KR101014846B1 (ko) 2008-05-30 2008-05-30 건고추 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484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5577B1 (ko) 2019-08-02 2019-09-26 성우석 고추 건조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8456B1 (ko) * 2014-04-22 2016-06-08 김동철 고춧가루 열풍살균 건조장치
KR101534492B1 (ko) * 2014-10-29 2015-07-09 일양이엔지 주식회사 건조장치
KR20160100729A (ko) 2015-02-16 2016-08-24 오정혜 열교환기 및 이를 구비한 농산물 건조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7972Y1 (ko) * 1987-04-23 1989-11-18 김영호 로터리식 다목적 건조기
KR950007468Y1 (ko) * 1993-04-28 1995-09-13 주식회사 삼보특수건조기계제작소 농산물 건조장치
KR100603183B1 (ko) 2004-11-16 2006-07-24 이시방 고추건조기 및 그를 이용한 건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7972Y1 (ko) * 1987-04-23 1989-11-18 김영호 로터리식 다목적 건조기
KR950007468Y1 (ko) * 1993-04-28 1995-09-13 주식회사 삼보특수건조기계제작소 농산물 건조장치
KR100603183B1 (ko) 2004-11-16 2006-07-24 이시방 고추건조기 및 그를 이용한 건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5577B1 (ko) 2019-08-02 2019-09-26 성우석 고추 건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4809A (ko) 2009-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9166B1 (ko) 고추가루 살균건조기
KR101014846B1 (ko) 건고추 건조기
CN1401845A (zh) 衣物烘干机
CN201269687Y (zh) 小麦、稻谷烘干机
TW200732611A (en) Food waste drying apparatus
KR20180055947A (ko) 건조효율 향상기능을 갖는 가축 분 건조장치
CN211518869U (zh) 一种手提袋印刷后烘干装置
JP2008267738A (ja) 低速移動撹拌伝熱式乾燥方法及びその装置
KR101541039B1 (ko) 스크류 이송식 열풍건조기
CN110537572A (zh) 一种食品加工干燥处理装置
KR101240760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N111811245A (zh) 用于肉制品的干燥装置
KR101347938B1 (ko) 고춧가루 및 곡물 건조 장치
CN211400707U (zh) 一种纯电能螺旋叶片循环式粮食烘干机
CN211346139U (zh) 一种大米烘干送料装置
JP2001056178A (ja) マイクロ波乾燥機
CN109654843B (zh) 一种高效节能烘干设备
CN112452913A (zh) 一种膨化食品加工用烘干机
CN220338957U (zh) 一种粮食烘干设备
CN209335874U (zh) 一种高效干燥塑料干燥机
KR20110121429A (ko) 이중드럼을 갖는 로터리 건조기
JP2004020054A (ja) 乾燥装置
CN219244130U (zh) 一种具有干燥功能的谷物种子输送装置
JPH10325681A (ja) 穀物乾燥装置
CN211625968U (zh) 不锈钢回转窑干燥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