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2917B1 - 피롤 헵탄산 화합물의 신규한 결정형 - Google Patents

피롤 헵탄산 화합물의 신규한 결정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2917B1
KR101012917B1 KR1020080019764A KR20080019764A KR101012917B1 KR 101012917 B1 KR101012917 B1 KR 101012917B1 KR 1020080019764 A KR1020080019764 A KR 1020080019764A KR 20080019764 A KR20080019764 A KR 20080019764A KR 101012917 B1 KR101012917 B1 KR 1010129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ula
compound
alcohol
hydrat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97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80959A (ko
Inventor
김문성
유무희
이재걸
김용직
박성진
최준호
성시영
임홍규
차대원
Original Assignee
동아제약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아제약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아제약주식회사
Priority to EP08723256A priority Critical patent/EP2132171A4/en
Priority to RU2009136427/04A priority patent/RU2421445C1/ru
Priority to US12/449,867 priority patent/US7915302B2/en
Priority to PCT/KR2008/001218 priority patent/WO2008108572A1/en
Priority to JP2009552583A priority patent/JP2010520273A/ja
Priority to CA002679317A priority patent/CA2679317A1/en
Publication of KR200800809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09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29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29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0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207/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with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07D207/3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with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having tw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07/3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with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having tw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6Antihyperlipidemics

Abstract

본 발명은 도1 또는 도3에 기재된 X선 회절피크를 갖는 화학식 1화합물의 신규한 결정형 D1형, D2형 및 이들의 수화물을 제공한다. 또한 이들의 제조방법과 이들을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신규의 결정형은 대량제조에 적합할 뿐만 아니라 우수한 안정성을 나타낸다.
Figure R1020080019764
피롤 헵탄산 화합물, 결정형

Description

피롤 헵탄산 화합물의 신규한 결정형 {Novel Crystal Forms of Pyrrolylheptanoic acid derivatives}
본 발명은 피롤 헵탄산 화합물인 [R-(R*,R*)]-2-(4-플루오로페닐)-β,δ-디히드록시-5-(1-메틸에틸)-3-페닐-4-[(페닐아미노)카르보닐]-1H-피롤-1-헵탄산 헤미칼슘염의 신규한 결정형 및 이의 수화물, 이들의 제조 방법 및 이들을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롤 헵탄산 화합물 중 [R-(R*,R*)]-2-(4-플루오로페닐)-β,δ-디히드록시-5-(1-메틸에틸)-3-페닐-4-[(페닐아미노)카르보닐]-1H-피롤-1-헵탄산은 약물 작용기전이 이미 상세히 공지되어 있는 스타틴 계열의 약물로서, 혈전증을 유발하는 저밀도 지단백질(LDL)의 농도을 낮추는데 가장 유용한 약물로 알려져 있다. 현재 헤미칼슘염-삼수화물의 형태로 시판되고 있으며, [R-(R*,R*)]-2-(4-플루오로페닐)-β,δ-디히드록시-5-(1-메틸에틸)-3-페닐-4-[(페닐아미노)카르보닐]-1H-피롤-1-헵탄산 헤미칼슘염(이하 '화학식 1 화합물'이라 한다.)의 구조식은 하기와 같다.
[화학식 1]
Figure 112008015678212-pat00001
이러한, [R-(R*,R*)]-2-(4-플루오로페닐)-β,δ-디히드록시-5-(1-메틸에틸)-3-페닐-4-[(페닐아미노)카르보닐]-1H-피롤-1-헵탄산은 미국 특허 제4,681,893호에서 처음으로 공개되었다. 미국 특허 제5,273,995호에는 상기 화학식 1 화합물의 제조방법으로 나트륨염과 CaCl2의 교환 반응으로 생긴 염수 용액으로부터 결정화하여 칼슘염을 얻은 다음 에틸 아세테이트와 헥산의 5:3 혼합물로부터 재결정화하여 이를 정제한다고 개시하고 있다.
화학식 1 화합물의 비결정형을 제조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 및 주요 중간체들은 미국 특허 제5,003,080호; 동 제5,097,045호; 동 제5,103,024호; 동 제5,124,482호; 동 제5,149,837호; 동 제5,155,251호; 동 제5,216,174호; 동 제5,245,047호; 동 제5,248,793호; 동 제5,280,126호; 동 제5,397,792호; 동 제 5,342,952호; 동 제5,298,627호; 동제5,446,054호; 동 제5,470,981호; 동 제5,489,690호; 동 제5,489,691호; 동 제5,510,488호; 동 제5,998,633호; 및 동 제6,087,511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비결정형은 생성물 여과 및 건조와 관련하여 대량생산이 부적합하고, 열, 광, 산소 및 습기로부터 보호되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결정다형은 분자식이 동일하나, 서로 다른 물성을 가지므로 별개의 고체로 여겨진다. 화학식 1 화합물의 여러 가지 결정형 형태에 대하여 미국 특허 제5,969,156호 및 동 제6,121,461호에 공개되어 있다. 또한, 국제 특허 출원 공개 번호 WO 01/36384호에도 화학식 1 화합물의 결정 다형(Polymorphism)이 개시되어 있으며, 보다 안정하고 다루기 쉬운 결정형 형태가 당업계에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순도가 높으며, 제조하기 편리하고 우수한 안정성을 갖는 화학식 1 화합물의 신규한 결정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화학식 1 화합물의 신규한 결정형 D1형, D2형 및 이들의 수화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신규한 결정형을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화학식 1 화합물의 결정형 D1형 및 D2형은 X-선 분말 회절 및 고체상태 13C NMR 핵자기공명 기법을 이용하여 확인한 결과, 공지된 화학식 1 화합물의 다른 결정형태와는 다른 신규한 결정 형태로 밝혀 졌다.
본 발명의 X-선 분말 회절값은 Mac Science사의 M18HF-SRA회절계 상에서 CuKα방사를 사용하여 측정한 것이며, 13CNMR은 Bruker사의 AVANCE-500분광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본 발명의 결정형 D1형은 X-선 분말 회절도와 관련하여, 표1 및 도1과 같이, 상대 강도가 10% 초과인 2θ 및 상대 강도 값을 가진다.
[표1]
d(Å) 상대강도 (>10%)
5.36 16.4745 13.4
7.38 11.9689 17.0
7.68 11.5022 29.6
8.14 10.8531 31.7
8.60 10.2733 68.6
8.88 9.9503 30.4
10.24 8.6312 45.3
12.48 7.0867 19.7
13.80 6.4115 12.7
17.14 5.1691 14.5
17.78 4.9844 45.3
18.22 4.8651 12.8
18.52 4.7870 10.1
19.36 4.5811 100
19.96 4.4447 13.0
20.76 4.2752 45.1
22.40 3.9658 17.9
23.20 3.8307 12.6
24.18 3.6777 11.5
25.62 3.4742 14.1
한편, 본 발명의 결정형 D1형은 상기 표1에서 열거된 X선 분말 회절피크 이외에 약한(weak) 강도로 6.8, 10.8, 14.8, 16.2, 21.8, 25.1, 26.1, 27.2, 27.8, 28.5 및 30.4° 2θ에서 X선 분말 회절피크를 추가로 가질 수 있다.
약한(weak) 강도란 위 표에서 나타난 상대강도 10% 미만의 피크를 나타낸다.본 발명의 X-선 분말 회절 패턴 이론에 관한 내용은 해당분야의 문헌 X-ray diffraction procedures, H.P. Klug and L.E. Alexander, J. Wiley, New York(1974) 등에서 찾아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결정형 D1형의 13C NMR(핵자기공명) 스펙트럼은 표2 및 도2와 같은 화학적 이동(chemical shift)을 나타낸다.
[표2]
탄소의 지정 화학적 이동
C12 또는 C25 179.6
C12 또는 C25 169.1
C16 162.5
방향족 탄소
C2-C5, C13-C18, C19-C24, C27-C32
140.0, 138.0, 133.8, 131.9, 129.6, 126.0, 119.2, 114.7
C8, C10 73.6, 71.2, 69.9
메틸렌 탄소
C6, C7, C9, C11
48.0, 45.54, 43.2
C33 29.0, 28.6
C34 24.2, 22.2
*위 표에서 나타낸 탄소의 지정번호는 하기 화학식 2 에 기재된 탄소의 번호와 일치한다.
화학식 2
Figure 112008015678212-pat00002
본 발명의 화학식 1 화합물의 결정형 D2형은 X-선 분말 회절도와 관련하여, 표3 및 도3과 같이, 상대 강도가 10% 초과인 2θ 및 상대 강도 값을 가진다.
[표3]
d(Å) 상대강도 (>10%)
5.56 15.8806 26.1
8.54 10.3456 100
10.96 8.0659 10.3
11.38 7.7694 36.0
14.32 6.1801 11.0
14.90 5.9408 11.5
18.18 4.8757 37.8
18.66 4.7513 29.3
19.04 4.6573 18.0
19.74 4.4938 20.0
22.38 3.9693 10.8
22.96 3.8703 14.9
한편, 본 발명의 결정형 D2형은 상기 표3에서 열거된 X선 분말 회절피크 이외에 약한(weak) 강도로 9.0 및 11.8(w)° 2θ에서 추가로 X선 분말 회절피크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결정형 D2형의 13C NMR(핵자기공명) 스펙트럼은 표4 및 도4와 같은 화학적 이동(chemical shift)을 나타낸다.
[표4]
탄소의 지정 화학적 이동
C12 또는 C25 183.3
C12 또는 C25 170.3
C16 164.0(광폭)
방향족 탄소
C2-C5, C13-C18, C19-C24, C27-C32
138.1(광폭), 136.0, 131.7, 125.7, 121.8, 120.2
C8, C10 73.0 (광폭)
메틸렌 탄소
C6, C7, C9, C11
44.3 (광폭)
C33 29.1
C34 24.6
* 위 표에서 나타낸 탄소의 지정번호는 상기 화학식 2에 기재된 탄소의 번호와 일치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화학식 1 화합물에 대한 결정형 D1형 및 D2형의 수화물을 제공한다. D1형은 0.5~2.5%수분을 함유할 수 있으며, D2형은 3.5%~5.5%수분을 함유할 수 있다. 이들의 수분함량은 온도 및 보관중의 상대습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학식 1 화합물의 신규한 결정형은 미국특허 제5,969,156호에 기재되고 현재 시판중인 결정질 Ⅰ형의 물질에 비해 다음과 같은 유리한 성질을 갖는다.
결정형 I형의 경우 화학식 1 화합물의 천연형(미국특허 제5,273,995호의 실시예10에 따라 제조)으로부터 40℃에서 메탄올/물의 혼합 용매와 반응시켜 생산되는데, 이 때 동일한 메탄올/물의 혼합용매와 반응시킨다 하여도 반응온도를 실내온도로 낮출 경우에는 전혀 다른 결정형인 II형이 생성되게 된다 (미국특허번호 제5,969,156호). 즉, I형의 제조시에는 반응 온도에 따라 수득되는 결정형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원하는 결정형을 순수하게 얻기 위해서는 반응온도에 대한 세심한 주의를 필요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D1형 및 D2형은 실내온도를 포함한 넓은 온도 범위에서 균질한 한 가지 형태의 결정형만이 생산되기 때문에 반응온도에 대한 세심한 주의가 불필요하다. 예를 들어, 화학식 1 화합물을 시판품인 I형으로 제조할 때에는 40°C의 가온 조건이 필요한 것에 비해, 본 발명의 D2형은 실내온도에서 제조될 수 있어, 제조공정이 편리하고 안전하며 가격이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화학식 1 화합물의 천연형'은 미국특허 제5273995호의 실시예 10에 따라 제조된 화합물로서 무정형, 결정형 등이 혼재하는 상태의 화학식 1 화합물을 의미한다.
또한, D1형은 고융점을 갖는다는 추가적인 장점이 있다. 시판품인 I형은 약 176~178°C의 융점을 가지나, D1형은 232℃의 융점을 가지므로, 고온에서 진행되는 추가적 가공시 유리하다.
또한, D1형은 일수화물 형태의 결정형으로 삼수화물의 결정형 I형에 비해 보다 적은 물을 함유하여 단위 중량에 보다 많은 화학식 1 화합물 분자를 함유하므로, 시판품인 삼수화물의 결정형 I형 보다 더 나은 효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화학식 1 화합물의 신규한 결정형 D1형 및 D2형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학식 1 화합물 결정형 D1형은 화학식 1 화합물의 천연형(미국특허 제 5,273,995호의 실시예10에 따라 제조된 형태임)을 알코올과 테트라히드로퓨란의 혼합 용액 속에 용해시키고, 역용매로서 물을 첨가하여 본 발명의 D1형으로 결정화시킬 수 있다. 현탁액을 0 내지 60℃, 특히 30 내지 50℃에서 특히 10시간 내지 72시간과 같이 장시간 동안 교반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우에 따라, 제조 공정 동안 D1형으로 씨딩 시킬 수 있다. 상기 제조방법에서, 알코올: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물의 부피비는 1: 1: 8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화학식 1 화합물 결정형 D2형은 화학식 1 화합물의 천연형을 알코올과 메틸렌클로라이드의 혼합 용액 속에 용해시키고, 역용매로서 물을 첨가하여 화학식 1 화합물 D2형으로 결정화시킬 수 있다. 현탁액을 0 내지 40℃, 특히 20 내지 30℃에서 특히 4시간 내지 48시간과 같이 장시간 동안 교반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우에 따라, 제조 공정 동안 D2형으로 씨딩 시킬 수 있다. 여기서, 알코 올: 메틸렌클로라이드: 물의 부피비가 10: 3: 3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조방법에서 사용되는 알코올은 탄소수 1 내지 6인 저급 알코올이 바람직하며, 메탄올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화학식 1 화합물 결정형 D1형, D2형, 또는 이의 수화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저밀도 지단백질(LDL)의 농도 저하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 붕해제, 감미제, 결합제, 피복제, 팽창제, 윤활제, 활택제, 가용화제 등의 보조제, 첨가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의 저밀도 지단백질(LDL)의 농도저하 용도 및 상기 조성물을 대상자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저밀도 지단백질(LDL)의 농도저하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저밀도 지단백질(LDL)은 혈류중에 존재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3-히드록시-3-메틸클루타릴-조효소 A 환원요소 (HMG-CoA 환원요소)의 억제제로서 유용하며, 상기 조성물을 골다공증, 고지질혈증, 고콜레스테롤혈증 또는 알쯔하이머병 등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적 조성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3-히드록시-3-메틸클루타릴-조효소 A 환원요소 (HMG-CoA 환원요소)의 억제 용도로 사용가능하며, 골다공증, 고지혈증, 고콜레스테롤혈증, 또는 알쯔하이머 병 등의 치료 및/또는 예방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을 대상자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3-히드록시-3-메틸클루타릴-조효소 A 환원요소 (HMG-CoA 환원요소)의 억제방법에 상기 조성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조성물을 대상자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골다공증, 고지질혈증, 고콜레스테롤혈증 또는 알쯔하이머병 등의 치료 및/또는 예방방법에 상기 조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또는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즉, 해당분야의 적절한 방법으로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 등에 개시되어 있는 방법을 이용하여 각 질환에 따라 또는 성분에 따라 바람직하게 제제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쥐, 생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내 경막 또는 뇌혈관내 (intracerebroventricular)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일일투여량 범위는 저밀도 지질단백질(LDL) 저하용도, 고지질혈증, 고콜레스테롤혈증, 골다공증, 알쯔하이머병 등의 치료 및/또는 예방 목적으로 투여할 경우 본 발명의 화학식 1 화합물 결정형 D1형, D2형 또는 이의 수화물의 각각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0.5 내지 100mg 일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화학식 1 화합물 결정형 D1형, D2형 또는 이의 수화물의 각각 또는 혼합물을 2.5 내지 80mg을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결정형 또는 이의 수화물의 1일 투여량은 환자의 질환, 중증정도, 연령, 성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공지된 화학식 1 화합물의 1일 투여량과 동일하다.
본 발명에 따른 결정형은 비결정형 생성물보다 순도가 높으며, 제조하기 편리하고 우수한 안정성을 나타낸다.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R-(R*,R*)]-2-(4-플루오로페닐)-β,δ-디히드록시-5-(1-메틸에틸)-3-페닐-4-[(페닐아미노)카르보닐]-1H-피롤-1-헵탄산 헤미칼슘염 결정형 D1형 제조.
화학식 1 화합물의 천연형(미국 특허 제 5,273,995호의 실시예 10 따라 제조됨) 1 g을 메탄올 5 ml, 테트라하이드로퓨란 5 ml 및 물 40ml에 현탁시키고, 반응온도 30 내지 50 ℃에서 10시간 이상 교반한 후 여과하였다. 여과하여 얻어진 결정을 40 내지 60℃에서 10 내지 24시간 진공 건조하여, 표제의 결정형 D1형 일수화물을 얻었다.(수율 80%)
X-선 분말 회절값(M18HF-SRA 회절계(Mac Science사) 상에서 CuKa방사를 사용하여 측정): 도 1, 표 1
13C NMR(AVANCE-500(Bruker 사) 분광계): 도 2, 표 2
1H NMR(Varian 400MHz, DMSO-d6):δ9.7(s, 1H), 6.8-7.5(m, 14H), 4.2(m,1H), 3.9(m,1H), 3.7(t, J=6.8Hz,2H), 3.4(m,1H), 3.3 (s,3H), 2.5(d, J=8.0Hz, 2H), 1.8(m, 2H), 1.4(d, J=6.8Hz,6H), 1.5(m, 1H)
Karl fisher(Metrohm 831 KF coulometer): 1.5% (물 1몰)
TGA(sinco TGA N-1000): 1.6% (물 1몰)
실시예 2 [R-(R*,R*)]-2-(4-플루오로페닐)-β,δ-디히드록시-5-(1-메틸에틸)-3-페닐-4-[(페닐아미노)카르보닐]-1H-피롤-1-헵탄산 헤미칼슘염 결정형 D2형의 제조.
화학식 1화합물의 천연형(미국 특허 제5,273,995호의 실시예 10에 따라 제조됨.) 1 g을 메탄올 10 ml, 메틸렌클로라이드 3 ml, 및 물 30ml에 현탁시키고, 20 내지 30 ℃에서 2시간 이상 교반한 후 여과하였다. 여과하여 얻어진 결정을 40-60℃에서 10-24시간 진공 건조하여, 표제의 결정형 D2형 삼수화물을 얻었다.(수율 85%)
X-선 분말 회절값(M18HF-SRA 회절계(Mac Science사) 상에서 CuKa방사를 사용하여 측정): 도 3, 표 3
13C NMR(AVANCE-500(Bruker 사) 분광계): 도 4, 표 4
1H NMR(Varian 400MHz, DMSO-d6):δ9.7(s, 1H), 6.8-7.5(m, 14H), 4.2(m,1H), 3.9(m,1H), 3.7(t, J=6.8Hz,2H), 3.4(m,1H), 3.3 (s,3H), 2.5(d, J=8.0Hz, 2H), 1.8(m, 2H), 1.4(d, J=6.8Hz,6H), 1.5(m, 1H)
Karl fisher(Metrohm 831 KF coulometer): 4.6% (물3몰)
TGA(sinco TGA N-1000): 4.9% (물3몰)
실험예 1 융점 측정시험
융점 측정기 (Mettler Toledo FP90)를 이용하여 실시예1, 실시예2 화합물의 융점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표 5에 나타내었다.
[표 5]
시료 융점(℃)
실시예 1 231.9
실시예 2 191.7
본 발명의 결정형은 융점이 높아 고온에서 진행되는 추가적 가공시 유리하다.
실험예 2 안정성 확인시험-함량 측정
본 발명의 신규 결정형 실시예 2 화합물 80mg과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한 순도 99.9%의 표준품 80mg을 정밀하게 달아 100ml 용량플라스크에 넣고 디메칠포름아미드로 녹이고 표선을 맞추어 각각 검액과 표준액으로 사용하고, 하기 조건에 따라 분석하여 피크면적으로 실시예 2 화합물 함량을 계산한다. 실온, 냉 장, 가속조건 및 가혹조건에서 1개월 및 6개월에 걸쳐 그 함량 변화를 평가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6에 나타내었다.
분석조건
-컬럼 : Zorbax Rx C8 (4.6mmX250mm, 5㎛) 또는 이와 유사한 컬럼
-이동상 : 0.05M 초산암모늄 완충액(pH=5.0)/아세토니트릴/테트라히드로푸란
이동상A: 0.05M 초산암모늄 완충액(pH=5.0)/아세토니트릴/테트라히드로푸란
(67/21/12)
이동상B: 0.05M 초산암모늄 완충액(pH=5.0)/아세토니트릴/테트라히드로푸란
(54/34/12)
-검출기 : 자외부흡광광도계 (측정파장 : 244nm)
-유속 : 1.0mL/분
-컬럼온도 : 35℃±2℃
-보관방법: HDPE bottle
[표 6]
실온
1개월 2개월 3개월 6개월
98.72 98.58 98.12 98.56
냉장
1개월 2개월 3개월 6개월
99.74 99.31 100.19 98.11
40℃/75% RH (가속) 60℃/Dry (가혹)
1개월 2개월 3개월 1개월
98.82 98.33 98.03 98.01
표6과 같이 실온, 냉장 조건에서 6개월 경과시 원료 함량이 유지되었으며, 가속 조건 및 가혹 조건에서도 함량 기준 98% ~ 100.2% 이내로서 적합한 안정성을 유지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결정형은 우수한 안정성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 화합물 결정형 D1형의 X-선 분말 회절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 화합물 결정형 D1형의 고체상태 13C NMR 스펙트럼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 화합물 결정형 D2형의 X-선 분말 회절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 화합물 결정형 D2형의 고체상태 13C NMR 스펙트럼이다.

Claims (15)

  1. 5.4, 7.4, 7.7, 8.1, 8.6, 8.9, 10.2, 12.5, 13.8, 17.1, 17.8, 18.2, 18.5, 19.4, 19.9, 20.8, 22.4, 23.2, 24.2, 및 25.6° 2θ에서 X선 분말 회절피크를 갖는 하기 화학식 1화합물의 결정형 D1형 또는 이의 수화물.
    [화학식 1]
    Figure 112008015678212-pat00003
  2. 제1항에 있어서, 약한(weak) 강도로 6.8, 10.8, 14.8, 16.2, 21.8, 25.1, 26.1, 27.2, 27.8, 28.5 및 30.4° 2θ에서 X선 분말 회절피크를 추가로 갖는 화학식 1화합물의 결정형 D1형 또는 이의 수화물.
  3. 제1항에 있어서, 약 179.6, 169.1, 162.5, 140.0, 138.0, 133.8, 131.9, 129.6, 126.0, 119.2, 114.7, 73.6, 71.2, 69.9, 48.0, 45.5, 43.2, 29.0, 28.6, 24.2 및 22.2 ppm에서 고체상태 13C NMR 신호를 나타내는 화학식 1화합물의 결정형 D1형 또는 이의 수화물.
  4. 5.6, 8.5, 10.9, 11.4, 14.3, 14.9, 18.2, 18.7, 19.0, 19.7, 22.4 및 22.9° 2θ 에서 X선 분말 회절피크를 갖는 화학식 1화합물의 결정형 D2형 또는 이의 수화물.
    [화학식 1]
    Figure 112008050001367-pat00008
  5. 제4항에 있어서, 약한(weak) 강도로 9.0 및 11.8(w)° 2θ 에서 X선 분말 회절피크를 추가로 갖는 화학식 1화합물의 결정형 D2형 또는 이의 수화물.
  6. 제4항에 있어서, 약 183.3, 170.3, 164.0(광폭), 138.1(광폭), 136.0, 131.7, 125.7, 121.8, 120.2, 73.0 (광폭), 44.3 (광폭), 29.1, 및 24.6 ppm에서 고체상태 13C NMR 신호를 나타내는 화학식 1화합물의 결정형 D2형 또는 이의 수화물.
  7. 화학식 1화합물의 천연형을 알코올,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및 물의 혼합용액 속에 현탁 시키는 단계 및 현택액을 0 내지 60℃의 온도에서 교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1항의 결정형 D1형의 제조방법.
    [화학식 1]
    Figure 112008050001367-pat00009
  8. 제7항에 있어서, 알코올: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물의 부피비가 1: 1: 8인 제조방법.
  9. 화학식 1화합물의 천연형을 알코올, 메틸렌클로라이드 및 물의 혼합용액 속에 현탁 시키는 단계 및 현택액을 0 내지 40℃의 온도에서 교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4항의 결정형 D2형의 제조방법.
    [화학식 1]
    Figure 112008050001367-pat00010
  10. 제9항에 있어서, 알코올: 메틸렌클로라이드: 물의 부피비가 10: 3: 30인 제조방법.
  11. 제7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알코올은 탄소수 1내지 6인 저급 알코올인 제조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알코올이 메탄올인 제조방법.
  13.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결정형 또는 이의 수화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저밀도 지단백질(LDL)의 농도 저하용 약학적 조성물.
  14. 삭제
  15. 삭제
KR1020080019764A 2007-03-02 2008-03-03 피롤 헵탄산 화합물의 신규한 결정형 KR1010129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8723256A EP2132171A4 (en) 2007-03-02 2008-03-03 NOVEL CRYSTALLINE FORMS OF PYRROLYLHEPTANOIC ACID DERIVATIVES
RU2009136427/04A RU2421445C1 (ru) 2007-03-02 2008-03-03 Новые кристаллические формы производных пирролилгептановой кислоты
US12/449,867 US7915302B2 (en) 2007-03-02 2008-03-03 Crystal forms of pyrrolylheptanoic acid derivatives
PCT/KR2008/001218 WO2008108572A1 (en) 2007-03-02 2008-03-03 Novel crystal forms of pyrrolylheptanoic acid derivatives
JP2009552583A JP2010520273A (ja) 2007-03-02 2008-03-03 ピロリルヘプタン酸誘導体の新規な結晶形態
CA002679317A CA2679317A1 (en) 2007-03-02 2008-03-03 Novel crystal forms of pyrrolylheptanoic acid derivativ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20999 2007-03-02
KR1020070020999 2007-03-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0959A KR20080080959A (ko) 2008-09-05
KR101012917B1 true KR101012917B1 (ko) 2011-02-08

Family

ID=40020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9764A KR101012917B1 (ko) 2007-03-02 2008-03-03 피롤 헵탄산 화합물의 신규한 결정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915302B2 (ko)
EP (1) EP2132171A4 (ko)
JP (1) JP2010520273A (ko)
KR (1) KR101012917B1 (ko)
CN (1) CN101657419A (ko)
CA (1) CA2679317A1 (ko)
RU (1) RU2421445C1 (ko)
WO (1) WO200810857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19437A (ja) * 2010-04-14 2011-11-04 Towa Yakuhin Kk 結晶性形態tw−1のアトルバスタチンヘミカルシウム水和物とその製造方法
KR20120011249A (ko) * 2010-07-28 2012-02-07 주식회사 경보제약 아토바스타틴 헤미칼슘염의 신규한 결정형, 이의 수화물, 및 그의 제조방법
RU2555360C2 (ru) * 2012-11-06 2015-07-10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профессионального образования "Волгоград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медицин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Министерства здравоохранения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Способ определения воды в координационных соединениях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36384A1 (en) * 1999-11-17 2001-05-25 Teva Pharmaceutical Industries Ltd. Polymorphic form of atorvastatin calcium
WO2002043732A1 (en) 2000-11-30 2002-06-06 Teva Pharmaceutical Industries Ltd. Novel crystal forms of atorvastatin hemi-calcium and processes for their preparation as well as novel processes for preparing other forms
WO2003070702A1 (en) 2002-02-15 2003-08-28 Teva Pharmaceutical Industries Ltd. Novel crystal forms of atorvastatin hemi-calcium and processes for their preparation, as well as novel processes for preparing atorvastatin hemi-calcium forms i, viii and ix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94339C (fi) * 1989-07-21 1995-08-25 Warner Lambert Co Menetelmä farmaseuttisesti käyttökelpoisen /R-(R*,R*)/-2-(4-fluorifenyyli)- , -dihydroksi-5-(1-metyylietyyli)-3-fenyyli-4-/(fenyyliamino)karbonyyli/-1H-pyrroli-1-heptaanihapon ja sen farmaseuttisesti hyväksyttävien suolojen valmistamiseksi
BR9609872A (pt) * 1995-07-17 1999-03-23 Warner Lambert Co Hemi sal de cálcio de ácido (R-(R*R*)]-2-(4-fluorfenil-)-beta delta-diidróxi-5-(1-metiletil)-3-fenil-4- [(fenilamino) carbonil]-1H- pirrol-1heptanóico (atorvasta-tina)c ristalino
US7501450B2 (en) * 2000-11-30 2009-03-10 Teva Pharaceutical Industries Ltd. Crystal forms of atorvastatin hemi-calcium and processes for their preparation as well as novel processes for preparing other forms
AP1571A (en) * 2001-06-29 2006-02-10 Warner Lambert Co Crystalline forms of 'R-(R* ,R*)!-2-(4- fluorophenyl)-beta, delta-dihydroxy-5-(1-methylethyl)-3-phenyl-4-'phenylamino)carbonyl!-1H-pyrrole-1-heptanoic acid calcium salt (2:1) (atorvastatin)
EP1562583A1 (en) * 2002-09-03 2005-08-17 Morepen Laboratories Ltd. Atorvastatin calcium form vi or hydrates thereof
CA2508871C (en) * 2002-11-28 2008-09-09 Teva Pharmaceutical Industries Ltd. Crystalline form f of atorvastatin hemi-calcium salt
WO2005090301A1 (en) * 2004-03-17 2005-09-29 Ranbaxy Laboratories Limited Crystalline form of atorvastatin hemi calcium
WO2006048894A1 (en) * 2004-11-05 2006-05-11 Morepen Laboratories Limited Novel crystalline forms of atorvastatin calcium and processes for preparing the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36384A1 (en) * 1999-11-17 2001-05-25 Teva Pharmaceutical Industries Ltd. Polymorphic form of atorvastatin calcium
WO2002043732A1 (en) 2000-11-30 2002-06-06 Teva Pharmaceutical Industries Ltd. Novel crystal forms of atorvastatin hemi-calcium and processes for their preparation as well as novel processes for preparing other forms
WO2003070702A1 (en) 2002-02-15 2003-08-28 Teva Pharmaceutical Industries Ltd. Novel crystal forms of atorvastatin hemi-calcium and processes for their preparation, as well as novel processes for preparing atorvastatin hemi-calcium forms i, viii and ix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657419A (zh) 2010-02-24
WO2008108572A1 (en) 2008-09-12
JP2010520273A (ja) 2010-06-10
EP2132171A4 (en) 2010-11-17
RU2009136427A (ru) 2011-04-10
CA2679317A1 (en) 2008-09-12
EP2132171A1 (en) 2009-12-16
US20100113556A1 (en) 2010-05-06
KR20080080959A (ko) 2008-09-05
RU2421445C1 (ru) 2011-06-20
US7915302B2 (en) 2011-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89518B1 (ko) 결정질[r-(r*,r*)]-2-(4-플루오로페닐)-베타,델타-디히드록시-5-(1-메틸에틸)-3-페닐-4-[(페닐아미노)카르보닐]-1h-피롤-1-헵탄산헤미칼슘염(아토르바스타틴)
BG108393A (bg) Кристални форми на[r-(r*,r*)]-2-(флуорофенил)-бета, делта-дихидрокси-5-(1-метилетил)-3-фенил-4-[(фениламино)карбонил]-1н-пирол-1-хептанова киселина калциева сол (2:1) (аторвастатин)
AU2002255479B2 (en) Crystalline forms VI and VII of atorvastatin clacium
JPH11509229A (ja) 形態▲III▼の結晶性の(R−(R▲上*▼,R▲上*▼))−2−(4−フルオロフェニル)−β,δ−ジヒドロキシ−5−(1−メチル−エチル)−3−フェニル−4−((フェニルアミノ)カルボニル)−1H−ピロール−1−ヘプタン酸ヘミカルシウム塩(アトルバスタチン)
AU2002255479A1 (en) Crystalline forms VI and VII of atorvastatin clacium
WO2005090301B1 (en) Crystalline form of atorvastatin hemi calcium
KR101012917B1 (ko) 피롤 헵탄산 화합물의 신규한 결정형
US7074818B2 (en) Crystalline forms VI and VII of Atorvastatin calcium
KR100878140B1 (ko) 아토바스타틴의 스트론튬염 또는 이의 수화물, 및 이를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US10252993B2 (en) Crystalline form of atorvastatin hemi-calcium salt, hydrate thereof,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WO2006048894A1 (en) Novel crystalline forms of atorvastatin calcium and processes for preparing them.
KR102013157B1 (ko) 결정형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7505885A (ja) [R−(R*,R*)]−2−(4−フルオロフェニル)−β,δ−ジヒドロキシ−5−(1−メチルエチル)−3−フェニル−4−[(フェニルアミノ)カルボニル]−1H−ピロール−1−ヘプタン酸の結晶性形態
KR101723783B1 (ko) 아토바스타틴 헤미칼슘염의 신규한 결정형, 이의 수화물, 및 그의 제조방법
JPS61249970A (ja) 新規な置換2−(n−アルキニル−n−フエニルアミノ)イミダゾリン誘導体
KR920003604B1 (ko) 1-(2,5-디플루오로페닐)-3-퀴놀린 카르본산 유도체 및 그 제조방법
KR20110026831A (ko) 신규 결정형의 아토바스타틴 칼슘염 또는 이의 수화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6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