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2427B1 - 알에프 교통카드 회수 및 환불장치 - Google Patents

알에프 교통카드 회수 및 환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2427B1
KR101012427B1 KR1020080122089A KR20080122089A KR101012427B1 KR 101012427 B1 KR101012427 B1 KR 101012427B1 KR 1020080122089 A KR1020080122089 A KR 1020080122089A KR 20080122089 A KR20080122089 A KR 20080122089A KR 101012427 B1 KR101012427 B1 KR 1010124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roller
refund
collection
traff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20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63531A (ko
Inventor
정원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희망과재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희망과재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희망과재미
Priority to KR10200801220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2427B1/ko
Publication of KR201000635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35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24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24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7/00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 G07F7/06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by returnable containers, i.e. reverse vending systems in which a user is rewarded for returning a container that serves as a token of value, e.g. bottles
    • G07F7/0618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by returnable containers, i.e. reverse vending systems in which a user is rewarded for returning a container that serves as a token of value, e.g. bottles by carts
    • G07F7/0672Special lock-activating tokens, serving as replacement of a payment or of a coin
    • G07F7/0681Special lock-activating tokens, serving as replacement of a payment or of a coin in which a card, pay-card or card-like object is used as the special token required to get permission or activate the lock to use the trolley or car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G06K17/0022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arrangements or provisious for transferring data to distant stations, e.g. from a sensing device
    • G06K17/0025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arrangements or provisious for transferring data to distant stations, e.g. from a sensing device the arrangement consisting of a wireless interrogation device in combination with a device for optically marking the record carrier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006Details of the software used for the vending machin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 Conveying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스나 지하철을 이용할때 사용하는 RF교통카드의 회수 및 환불장치에 관한 것으로, 사용하지 않는 선불식 교통카드를 회수하여 타인이 재활용 할수 있게 하고, 카드를 회수할 때 예치금 또는 카드에 남은 잔존금액을 환불하여 주도록하는 회수를 겸한 환불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카드투입구에 카드의 규격을 신속 정확하게 인식하는 포토센서를 설치하되, 투입구 양쪽에 각각 설치되는 포토센서의 벌림간격을 교통카드의 폭과 일치하도록 설치하여 불량카드를 투입부에서 검출하여 투입부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하고 내측에는 카드의 회수방향 전환장치와 복수개의 적재함을 설치하여 카드를 종류별로 분리 회수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RF교통카드, 회수장치, 환불장치, 불량카드 검출장치, 방향전환장치.

Description

알에프 교통카드 회수 및 환불장치{RECYCLE AND REFUND MACHINE OF RF TRASPORTATION CARD}
본 발명은 버스나 지하철을 이용할때 사용하는 RF교통카드의 회수 및 환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사용하지 않거나 충전금액이 소진된 선불식 교통카드(1회권)를 회수하여 타인이 재활용 할수 있게 하고, 카드를 회수할 때 카드예치금이나 카드에 남은 잔존금액을 환불하여 주도록 한 선불식 교통카드의 회수를 겸한 환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RF교통카드를 사용하려면 일정한 금액이 충전된 선불식 카드(1회권)를 구입하여 사용하다가 충전금액이 소진되면 카드회수기에 넣어주고 약500원정도의 예치금을 환불받으며, 회수된 카드는 다른 사람이 구입하여 재활용할 수 있게 한다.
선불식 RF교통카드는 충진금액이 소진되면 충전하여 사용하기도 하지만, 아 예 헌 카드를 버리고 새카드를 구입하는 경우도 많고, 분실하는 경우도 많다.
카드를 제작하는데는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에 사용된 헌카드를 버리는 것은 큰 낭비다. 따라서 사용된 헌카드를 버리기 보다는 충전하면서 계속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버려지는 헌카드를 수거하여 다른 사람에게 주면 금액을 충전하여 재활용할 수 있고, 그 만큼 카드구입비용(제작비용)이 절약될 수 있다.
더구나 회수과정에서 헌카드에 남아있는 약간의 잔금까지도 환불하여 준다면 그 만큼 회수율이 좋고 카드 수거효과도 향상될 수 있다.
사용된 헌카드를 회수하려면 카드단말기 형태의 카드회수기가 필요하며, 통상의 우체통처럼 도로 또는 지하철의 요소마다 카드회수기를 고정 설치하여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알려진 카드회수기는 도 10, 도 11과 같이 통상의 카드단말기(현금지급기)와 같이 카드가 출입되는 카드투입구(1)에 셔터장치(2)를 설치하고 내측에는 투입된 카드의 정보를 인식하는 카드정보인식장치(3)와, 카드를 인식하여 카드의 예치금을 환불하는 환불장치(5)와, 환불처리된 카드를 수거함에 수거처리하는 수거장치 (6)와, 상기 구성부를 통제하는 제어장치(7)가 결합되어 이루어진 카드회수 및 환불장치로서 카드를 투입구에 넣으면 셔터가 열리면서 카드의 유입이 허락되고 카드 정보인식에 의해서 환불 절차가 이루어지며 카드는 수거통으로 안내되어 적재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종래의 카드회수기는 도 11과 같이 카드투입구 폭(W)에 비해서 카드 폭(M)이 좁은 불량카드나 가짜카드를 고의적으로 투입하여도 일단 내측으로 유입되었다가 막히는 등 고장율이 많으며, 고장이 해소되기 까지는 다른사람이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카드의 진부 여부를 투입경로에서 체크하여 투입구가 막히지 않도록 하는 것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다른 문제점은 카드를 종류별로 분리 회수할 수 없다는 점이다.
통상적으로 선불식 RF교통카드는 정상권과 활인권 등으로 구분 판매되므로 카드를 회수할 때 이들 카드를 종류별로 분리 회수하면 운반, 보관, 분류처리가 편리하지만, 종래의 카드 회수기는 카드를 종류별로 분리 회수할 수 없는 구조로 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카드회수기의 카드투입구에 안전 검출장치를 설치하여 불량카드나 가짜카드의 유입을 투입부에서 신속 정확히 가려서 즉시 퇴출 처리하여 고장이나 막힘이 없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다른 목적은 카드투입경로에 카드의 종류를 인식하여 회수방향을 전환시키는 분리 회수장치를 제공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카드투입구에 카드의 규격을 신속 정확하게 인식하는 포토센서를 설치하되, 투입구 양쪽에 각각 설치되는 포토센서의 벌림간격을 교통카드의 폭과 일치하도록 설치하여 불량카드를 투입부에서 검출하여 투입부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하고, 카드의 이송경로상에 자중에의해서 작동하는 방향전환장치를 설치하여 카드를 종류별로 각각 분리 회수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카드 투입구에 카드의 정규격을 체크하여 출입여부를 처리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실수 내지는 고의적으로 불량카드나 가짜카드를 투입구에 넣으면 정확히 검출 처리하여 즉시 반출처리함으로써 고장의 우려를 방지하고 기기의 신뢰성과 품질 향상을 기할수 있다.
또한 투입되는 카드를 종류별로 각각 분리 회수하여 운반, 보관 및 분류처리를 자동으로 수행하므로 카드 회수기로서는 물론 카드발급기로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된 교통카드를 회수하여 다른 사람이 재활용할 수 있으므로 카드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카드 구입비용 등의 낭비적인 요소는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카드가 출입되는 카드투입구에 셔터장치를 설치하고 내측에는 투입된 카드의 정보를 인식하는 카드정보인식장치와, 카드를 인식하여 카드의 예치금을 환불하는 환불장치와, 환불처리된 카드를 수거함에 수거처리하는 수거장치와, 상기 구성부를 통제하는 제어장치가 결합되어 이루어진 카드회수 및 환불장치에 있어서, 카드투입구(1)의 양측에 설치하며 RF교통카드(C)의 폭과 일치하는 벌림간격(H)으로 설치하여 투입된 카드의 진부여부를 검출하도록 한 카드검출장치(10)와, 카드투입경로에 설치되며 카드검출장치(10)의 신호를 받아 투입통로를 개폐하는 셔터장치(11)와, 카드이송통로의 중간에 설치된 제2로울러의 하부로울러축(13)에 회동가능하게 끼워져 설치되며 상부몸체에 비해서 하부몸체가 무겁게 설치되어 상부몸체가 경형으로 들려지도록 구성된 방향전환장치(14)와, 이송통로의 말단부에 설치되며 카드정보인식장치(18)의 신호에 따라서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는 분리이송로울러(15)와, 종류별로 분리배출되는 카드를 각각 격리수용하는 복수개의 적재실과, 카드투입구(1)에서 분리이송로울러(15)를 향하여 수평상으로 길게 형성되고 분리이송로울러(15)의 앞쪽이 개방된 레일형 카드이송통로(12)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상기한 카드검출장치(10)는 각각 발신기(8)와 수신기(9)를 가진 포토센서 (A)(B)를 카드투입구(1) 양측에 설치하여 카드가 투입되면 양쪽 발신기(8)의 빛이 수신기(9)에 입광 또는 차광되는 여부에 의해서 1차적으로 카드 규격을 검출하여 제어장치(7)에 신호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카드투입구(1)에 투입된 카드의 규격(폭)이 센서(A)(B)의 벌림간격(H)과 일치하면 양쪽 발신기(8)에서 조사되는 빛이 카드에 의해서 가려져서 차광되며, 차 광신호를 받은 제어장치(7)에서는 셔터장치(11)를 개방하여 카드를 내측으로 유입시킨다. 만일 카드가 비정상이면 셔터장치(11)가 열리지 않기 때문에 카드의 유입이 허락되지 않는다.
셔터장치(11)는 솔레노이드밸브와 연결되어 있고 평시에는 카드이송통로(12)를 막아주고 있다가 카드검출장치 및 제어장치의 신호를 받으면 밑으로 숙여지면서 카드이송통로(12)를 개방하여 카드의 유입을 허락한다.
카드이송통로(12)에는 카드를 내측으로 이송시키는 3쌍의 로울러가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그 중에서 제1로울러(21), 제2로울러(22)는 일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뒷쪽의 분리이송로울러(15)는 정회전 또는 역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송로울러간의 벌림간격은 카드를 양쪽에서 마주 물어줄 수 있는 간격으로 설정된다.
제2로울러(22)의 하부로울러축(13)에는 ㄱ 자형의 방향전환장치(14)가 공회전 가능하도록 헐겁게 끼워져 있다. 방향전환장치(14)는 통상의 오뚜기처럼 하무몸체가 무게추 기능을 하도록 편심형으로 설치함으로써 상부몸체가 항상 경사형으로 들려진 상태로 카드이송통로(12)를 막아주고 있다. 방향전환장치(14)의 하부몸체에는 장공(16)의 범위내에서만 회동할 수 있도록 고정핀(17)이 끼워져 회동억제 기능을 수행하므로 정도이상 들려지거나, 정도이상 숙여지지 않는다.
도5, 도6은 카드이송통로(12)를 따라서 수평상으로 이송되는 카드(C)가 제2로울러(22)에 물려져서 내측으로 이송되면서 방향전환장치(14)를 밀어서 수평상으로 뉘여주면서 분리이송로울러(15)쪽으로 이송되는 상태를 보인 것이다. 이때 기울 어진 방향전환장치(14)의 상단부는 수평상으로 위치되어 카드를 건너편으로 이송시키는 다리 기능을 한다.
도7은 정상권 카드가 이송되는 과정에서, 방향전환부 상부에 설치된 카드정보인식장치(18)의 판독에 의해서 분리이송로울러(15)가 정회전하여 정상권 카드를 배출구쪽으로 전진이송되는 상태를 보인 것이며, 도8은 전진 이송되는 정상권카드가 방향전환장치(14)를 벗어나면 그 즉시 방향전환장치(14)는 자체중량에 의해서 상단부가 위로 들려지는 상태를 보인 것으로, 카드는 전진이송되어 적재함으로 수거처리된다.
도9는 정상권카드가 아닌 활인권카드가 유입된 경우, 카드정보인식장치(18)가 이를 판독하고 분리이송로울러(15)를 역회전시켜 활인권카드를 반대방향으로 반송시키는 상태를 보인것이다. 이때는 방향전환장치(14)가 카드이송통로(12)를 막아서 카드의 반송통로를 차단하고 있다. 또한 분리이송로울러(15) 앞쪽의 카드이송통로(12)는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반송되는 활인권카드가 방향전환장치(14)에 부딪친 후 하방으로 유도되는 이송방향 전환작동이 이루어 진다.
상기한 반송작동에서 분리이송로울러(15)는 일단 카드를 물어서 약간 정회전 (전진)하였다가 역회전(후진)하도록 설정되어 있으며, 역회전이 개시되기 이전에 정회전이 필요한 이유는 카드가 방향전환장치(14)에서 완전히 벗어나야만 반송 방향의 전환이 용이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카드의 종류를 판독하여 카드의 이송방향을 전환시키므로 카드 회수단계에서 분리작동이 정확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분리작동이 이루어진 카드는 종류별로 해당 수거함에 적재되고, 뒤따라서 통상의 기술구조처럼 카드정보인식장치와 제어장치의 신호에 의해서 카드예치금이 환불처리된다.
또한 본 발명 카드회수기에 정규카드를 투입한 후 회수 취소를 원할 때는 반출수단을 이용하여 투입된 카드를 반출시킬 수 있으며, 반출기술은 기히 사용되고 있는 공지된 기술구조를 설치하여 사용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구성을 보인 실시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카드 투입구에 설치된 카드검출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카드검출장치의 일부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 방향전환장치의 사시도
도 5는 카드가 제2로울러로 이송되는 상태도
도 6은 카드가 방향전환장치를 밀어서 뉘여준 상태로 이송되는 상태도
도 7은 카드가 분리이송로울러에 의해서 전진이송되는 상태도
도 8은 카드가 방향전환장치에서 벗어나면서 전진 이송되는 즉시 방향전환장치가 세워지는 상태도
도 9는 분리이송로울러가 역회전하여 카드를 후진시키는 상태도
도 10은 종래의 교통카드 회수기 구조도
도 11은 종래 카드투입구의 구성도
[도면의 중요한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카드투입구 10: 카드검출장치
C: RF교통카드 11: 셔터장치
12: 카드이송통로 13: 하부로울러축
14: 방향전환장치 15: 분리이송로울러
16: 장공 18: 카드정보인식장치
21: 제1로울러 22: 제2로울러

Claims (6)

  1. 카드투입통로에 개폐장치와, 카드정보인식장치와, 카드의 예치금을 환불하는 환불장치와, 환불처리된 카드를 수거처리하는 수거장치와, 상기 장치들을 통제하는 제어장치가 결합되어 이루어진 카드회수 및 환불장치에 있어서, 카드투입구 (1)의 양측에 RF교통카드(C)의 폭과 일치하는 벌림간격(H)으로 설치한 카드검출장치(10)와, 카드검출장치(10)의 신호를 받아 투입통로를 개폐하는 셔터장치(11)와, 카드이송통로의 중간에 설치된 제2로울러의 하부로울러축(13)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하부몸체가 무겁게 설치되어 상부몸체가 경사형으로 들려지도록 구성된 방향전환장치(14)와, 이송통로의 말단부에 설치되며 카드정보인식장치(18)의 신호에 따라서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는 분리이송로울러(15)와, 종류별로 분리이송되는 카드를 각각 격리수용하는 복수개의 적재실과, 카드투입구(1)에서 분리이송로울러(15)를 향하여 수평상으로 길게 형성되고 분리이송로울러(15)의 앞쪽 일부분이 개방된 레일형 카드이송통로(12)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교통카드 회수 및 환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카드검출장치는 카드투입구(1)의 양측에 발신기(8)와 수신기(9)로 이루어진 포토센서(A)(B)를 설치하여 양쪽 포토센서(A)(B)의 벌림간격 (H)을 RF교통카드(C)의 폭과 일치하도록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교통카드 회수 및 환불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카드이송통로(12)에 설치된 3쌍의 로울러 중에서 제1로울러 (21), 제2로울러(22)는 일방향으로 정회전하도록 설치되고 뒷쪽의 분리이송로울러 (15)는 정회전 또는 역회전 가능하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교통카드 회수 및 환불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제2로울러(22)에 설치한 방향전환장치(14)는 통상의 오뚜기처럼 하무몸체가 무게추 기능을 하도록 편심형으로 설치되고 상부몸체가 경사형으로 들려져 카드이송통로(12)를 막아주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교통카드 회수 및 환불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방향전환장치(14)의 하부몸체는 장공(16)의 범위내에서만 회동할 수 있도록 고정핀(17)이 끼워져 회동억제 기능을 갖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교통카드 회수 및 환불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카드이송통로(12)는 분리이송로울러(15)의 앞쪽 일부분이 개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교통카드 회수 및 환불장치.
KR1020080122089A 2008-12-03 2008-12-03 알에프 교통카드 회수 및 환불장치 KR1010124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2089A KR101012427B1 (ko) 2008-12-03 2008-12-03 알에프 교통카드 회수 및 환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2089A KR101012427B1 (ko) 2008-12-03 2008-12-03 알에프 교통카드 회수 및 환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3531A KR20100063531A (ko) 2010-06-11
KR101012427B1 true KR101012427B1 (ko) 2011-02-08

Family

ID=42363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2089A KR101012427B1 (ko) 2008-12-03 2008-12-03 알에프 교통카드 회수 및 환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242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1710A (ko) * 2001-05-31 2002-12-06 이 근 욱 재활용이 가능한 출입요금정산카드 및 이의 재활용 방법
KR20070037144A (ko) * 2005-09-30 2007-04-04 주식회사 한국스마트카드 선불 카드 충전 단말기, 시스템 및 방법
KR20070044261A (ko) * 2005-10-24 2007-04-2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교통 요금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080016359A (ko) * 2006-08-18 2008-02-21 구자욱 교통카드 사용자의 정보를 이용한 모바일 광고를 수행하는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1710A (ko) * 2001-05-31 2002-12-06 이 근 욱 재활용이 가능한 출입요금정산카드 및 이의 재활용 방법
KR20070037144A (ko) * 2005-09-30 2007-04-04 주식회사 한국스마트카드 선불 카드 충전 단말기, 시스템 및 방법
KR20070044261A (ko) * 2005-10-24 2007-04-2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교통 요금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080016359A (ko) * 2006-08-18 2008-02-21 구자욱 교통카드 사용자의 정보를 이용한 모바일 광고를 수행하는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3531A (ko) 2010-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925933B (zh) 硬币传送装置和硬币处理机
JP2006099391A (ja) 紙葉類処理装置
CN106991768A (zh) 自动存取款设备及遗钞回收方法
CN101379531B (zh) 硬币出入币机
KR100681453B1 (ko) 권종 분류 기능을 구비한 지폐 방출기
KR101001690B1 (ko) 지폐 입출금 장치
KR101012427B1 (ko) 알에프 교통카드 회수 및 환불장치
KR100475553B1 (ko) 자동개찰장치, 무선식 기록매체 발행장치 및 개찰 시스템
JP2009199170A (ja) 貨幣処理機
KR101121905B1 (ko) 지엽 취급 장치
CN104794814A (zh) 自动交易装置
KR100954489B1 (ko) 티켓 회수 처리장치
JP2013109449A (ja) 紙幣入出金装置および紙幣回収制御方法
CN214067871U (zh) 一种可找零投币箱
JP2503993B2 (ja) 紙葉類の処理装置
KR102002946B1 (ko) 매체 처리 장치 및 방법과 그의 금융기기
JP2006096484A (ja) 紙葉類処理装置
KR100639054B1 (ko) 지엽류 계수 장치
JP3214841B2 (ja) 循環式硬貨入出金機
KR101958459B1 (ko) 매체감별장치 및 금융기기
JP2007156733A (ja) 紙葉類処理装置
JP6357716B2 (ja) 料金自動収受機
KR100980437B1 (ko) 종방향 지폐 방출기 및 그 방법
JPH0585941B2 (ko)
JP2005004302A (ja) 自動改札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