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1486B1 - 하이브리드 음/전 변환장치 - Google Patents

하이브리드 음/전 변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1486B1
KR101011486B1 KR1020100047942A KR20100047942A KR101011486B1 KR 101011486 B1 KR101011486 B1 KR 101011486B1 KR 1020100047942 A KR1020100047942 A KR 1020100047942A KR 20100047942 A KR20100047942 A KR 20100047942A KR 101011486 B1 KR101011486 B1 KR 1010114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board
printed circuit
sound
terminal
electronic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79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갑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필코씨에스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필코씨에스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필코씨에스티
Priority to KR10201000479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14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14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1486B1/ko
Priority to CN2011800016644A priority patent/CN102405655A/zh
Priority to EP11752453A priority patent/EP2406965A2/en
Priority to US13/259,890 priority patent/US20120057737A1/en
Priority to JP2012517420A priority patent/JP2012523806A/ja
Priority to PCT/KR2011/003740 priority patent/WO2011149222A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4Structural association of microphone with electric circuitry therefo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18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 H05K1/181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associated with surface mounted compon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13Electrical arrang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1/0216Reduction of cross-talk, noise or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 H05K1/023Reduction of cross-talk, noise or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using auxiliary mounted passive components or auxiliary substan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9Shape and layout
    • H05K2201/09009Substrate related
    • H05K2201/09027Non-rectangular flat PCB, e.g. circula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lectrostatic, Electromagnetic, Magneto- Strictive, And Variable-Resistance Transducers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 Amplif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음/전 변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인쇄회로기판의 내부에 회로 칩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로드 레지스터를 추가로 내장·설치하여, 전자기기 측 회로보드에 로드 레지스터가 설치되지 않은 환경 하에서도, 해당 회로 칩 측에서 인쇄회로기판 내부의 로드 레지스터를 활용하여, 일련의 동작전원을 정상적으로 취득/조절 받을 수 있도록 유도하는 조치>, <전자기기 측 회로보드와 접합되는 인쇄회로기판의 접합부위에 접지단자, 신호출력단자, 전원수취단자를 추가 설치함과 아울러, 신호출력단자 및 전원수취단자 모두를 인쇄회로기판 내부의 로드 레지스터 및 회로 칩과 전기적으로 연결시켜, 해당 로드 레지스터 및 회로 칩 측에서 전자기기 측 회로보드에 단지, 접지단자 및 출력신호접수단자 만이 구비되어 있는 환경 하에서도(즉, 전원공급단자가 구비되어 있지 않은 환경 하에서도), 출력신호접수단자 및 신호출력단자를 우회적으로 활용하여, 전자기기 측에서 공급되는 동작전원을 정상적으로 취득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조치> 등을 탄력적으로 응용 구현하고, 이를 통해, 최종 완성된 제품이 마이크로폰용 회로보드(즉, 전원공급단자가 구비되어 있지 않은 회로보드) 및 패키지용 회로보드(즉, 로드 레지스터가 구비되어 있지 않은 회로보드) 모두에서 안정적인 하이브리드형 동작을 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생산자(예컨대, 음/전 변환 마이크로폰 생산자, 음/전 변환 패키지 생산자, 전자기기 생산자 등) 측에서 별다른 어려움 없이 자사의 제품 경쟁력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가이드 할 수 있다.

Description

하이브리드 음/전 변환장치{Hybrid acoustic/electric signal converting device}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음/전 변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최종 완성된 제품이 마이크로폰용 회로보드(즉, 전원공급단자가 구비되어 있지 않은 회로보드) 및 패키지용 회로보드(즉, 로드 레지스터가 구비되어 있지 않은 회로보드) 모두에서 안정적인 하이브리드형 동작을 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생산자(예컨대, 음/전 변환 마이크로폰 생산자, 음/전 변환 패키지 생산자, 전자기기 생산자 등) 측에서 별다른 어려움 없이 자사의 제품 경쟁력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가이드 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음/전 변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정보통신기기, 음향기기 등과 같은 각종 전기/전자기기의 관련기술이 급격한 발전을 이루면서, 음향신호(Acoustic signal)를 전기적인 신호(Electric signal)로 변환시키는 음/전 변환장치(예컨대, 음/전 변환 마이크로폰, 음/전 변환 패키지 등)의 수요 또한 급격한 증가 추세를 나타내고 있다.
통상, 이러한 종래의 기술에 따른 음/전 변환장치, 예컨대, 음/전 변환 마이크로폰(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향유입구(1a)가 구비된 원통형상의 케이스(1)와, 이 케이스(1)의 내부공간에 수용되며, 앞의 음향 유입구(1a)를 통해 입력되는 음향에 의해 진동하는 기구물들과, 앞의 기구물들을 탑재한 상태에서, <해당 기구물들의 진동에 따른 정전용량 변화를 전기적으로 처리하는 회로 칩(20)(예컨대, FET 칩)>, <외부 RF 노이즈를 감쇄 처리하는 노이즈 감쇄소자(21)(예컨대, 캐패시터 소자, 인덕터 소자, 저항소자 등)> 등을 구비한 인쇄회로기판(2)이 체계적으로 조합된 구성을 취하게 된다.
이 경우, 케이스(1)의 외곽 테두리(1b)는 일련의 커링절차을 통해, 수용공간 방향으로 구부려져 케이스(1) 내부의 기구물들을 외부로부터 밀봉시키는 구조를 견고하게 형성하게 되며, 앞의 회로 칩(20) 및 노이즈 감쇄소자(21)는 전기연결와이어, 전기연결패턴 등의 다양한 전기연결수단을 통해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조를 취하게 된다.
이때, 앞의 기구물들로는 예컨대, 진동판 어셈블리(5)를 이루는 폴라링(3) 및 진동판(4)과, 이 진동판(4)과 간극을 유지하는 유전체판(7)과, 진동판(4) 및 유전체판(7) 사이의 간극 형성을 위한 스페이서링(6)과, 유전체판(7) 및 인쇄회로기판(2)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도전베이스링(8)과, 도전베이스링(8) 및 유전체판(7)을 케이스(1)로부터 절연시키기 위한 절연베이스링(9) 등이 선택될 수 있다.
추후, 출하 완료된 음/전 변환 마이크로폰(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기기(정보통신기기, 음향기기 등을 위시한 각종 전기/전자기기 등)에 내장된 회로보드(90)에 표면 실장되어, 해당 회로보드(90)와 전기적인 연결관계를 형성함으로써, 자신에게 주어진 음향 에너지/전기 에너지 변환역할을 정상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음/전 변환 마이크로폰(10) 측 인쇄회로기판(2)의 후면에는 <음/전 변환 마이크로폰(10)의 접지를 위한 접지단자(2a)>, <음/전 변환 마이크로폰(10) 측 전기신호를 외부로 출력시키기 위한 신호출력단자(2b)>가 추가로 배치되며, 이에 상응하여, 전자기기 측 회로보드(90)에는 <음/전 변환 마이크로폰(10)의 접지를 위한 접지단자(91)>, <음/전 변환 마이크로폰(10) 측으로부터 출력되는 전기신호의 접수를 위한 출력신호접수단자(92)> 등이 추가 배치된다.
특히, 음/전 변환 마이크로폰(10)을 수용한 전자기기 측 회로보드(90)에는 <음/전 변환 마이크로폰(10) 측으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모듈(93)> 및 이 전원공급모듈(93) 측 공급전원의 회로 적인 처리(예컨대, 공급전원을 회로 칩(20)의 출력전압에 맞도록 조절하는 처리 등)를 위한 별도의 구성요소, 예컨대, 로드 레지스터(94)(Load resister)가 추가로 구비되며, 이 로드 레지스터(94)를 통과한 전원공급모듈(93) 측 공급전원은 <회로보드(90) 측 출력신호접수단자(92)>, <음/전 변환 마이크로폰(10) 측 인쇄회로기판(2)의 신호출력단자(2b)> 등을 경유하여, 회로 칩(20)으로 공급되는 절차를 겪게 된다.
한편, 종래의 또 다른 기술에 따른 음/전 변환장치, 예컨대, 음/전 변환 패키지(7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전 변환 소자(16), 신호처리회로세트(30), 전자파 감쇄소자(50)(예컨대, 캐패시터 소자, 인덕터 소자, 저항소자 등) 등을 탑재하고 있는 인쇄회로기판(40)과, 이 인쇄회로기판(40) 상에 얹혀져, 음/전 변환 소자(16) 및 신호처리회로세트(30)를 커버하는 커버용기(60)가 긴밀하게 조합된 구성을 취하게 된다.
이때, 인쇄회로기판(40) 상에 탑재된 음/전 변환 소자(16)는 MEMS(Micro-ElectroMechanical System) 기술을 통해 제조된 진동판(15)과, 이 진동판(15)을 커버하면서, 음향 홀(12a) 및 에어 갭(13:Air gap)을 구비/형성하는 백 플레이트(12)와, 앞의 진동판(15), 백 플레이트(12) 등을 지지하면서, 백 챔버(14:Back chamber)를 형성/정의하는 기판(11) 등이 유기적으로 조합된 구성을 취하게 된다(물론, 이러한 구성은 상황에 따라 다양한 변형을 이룰 수 있다).
이 상황에서, 음/전 변환 소자(16)는 커버용기(60)에 형성된 음향유입구(61)를 통해, 음향이 유입되고, 이 음향이 상술한 음향 홀(12a), 에어 갭(13), 나아가, 백 챔버(14) 등을 거쳐 흐르는 경우, 해당 음향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생성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음/전 변환 소자(16)에 근접 배치된 신호처리회로세트(30)는 전기연결와이어, 전기연결패턴 등의 다양한 전기연결수단을 통해 음/전 변환 소자(16)의 백 플레이트(12), 진동판(15) 등과 일련의 전기적인 연결관계를 형성하면서, 음/전 변환 소자(16) 측으로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함과 아울러, 음/전 변환 소자(16)에 의해 변환·생성된 전기적인 신호를 후속 처리한 후, 후속 처리 완료된 전기적인 신호를 전자기기(정보통신기기, 음향기기 등을 위시한 각종 전기/전자기기 등) 측으로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물론, 이 경우에도, 추후 출하 완료된 음/전 변환 패키지(7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기기(정보통신기기, 음향기기 등을 위시한 각종 전기/전자기기 등)에 내장된 회로보드(80)에 표면 실장되어, 해당 회로보드(80)와 전기적인 연결관계를 형성함으로써, 자신에게 주어진 음향 에너지/전기 에너지 변환역할을 정상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음/전 변환 패키지(70) 측 인쇄회로기판(40)의 후면에는 <음/전 변환 패키지(70)의 접지를 위한 접지단자(41)>, <음/전 변환 패키지(70) 측 전기신호를 외부로 출력시키기 위한 신호출력단자(42)>, <전자기기 측 전원을 수취하기 위한 전원수취단자(43)가 추가로 배치되며, 이에 상응하여, 전자기기 측 회로보드(80)에는 <음/전 변환 패키지(70)의 접지를 위한 접지단자(81)>, <음/전 변환 패키지(70) 측으로부터 출력되는 전기신호의 접수를 위한 출력신호접수단자(82)>, <음/전 변환 패키지(70) 측으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단자(83)>가 추가로 구비된다.
여기서, 커버용기(60)는 인쇄회로기판(40)의 전후좌우면, 상부면 등을 견고하게 커버하는 구조를 통해, 인쇄회로기판(40)의 상부에 <외부와 분리된 일련의 챔버공간(S)>을 정의하고, 이를 통해, 음향 유입구(61)를 통과한 음향이 음/전 변환 소자(16) 측에 정상적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가이드 하는 역할을 수행함과 아울러, 음/전 변환 패키지(70)가 전자기기 측에 실장되는 국면에서, 해당 전자기기에 구비된 각종 디바이스들로부터 일련의 전자파가 출력된다 하더라도, 이 전자파가 인쇄회로기판(40) 측의 음/전 변환 소자(16), 신호처리회로세트(30) 등에 별다른 악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보호하는 일련의 EMI(Electro-Magnetic Interference) 차폐체 역할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체제 하에서, 상술한 음/전 변환 마이크로폰(10), 음/전 변환 패키지(70) 등은 각자의 정상적인 음/전 변환기능 수행을 위해, 주변환경이 각자의 고유특성(예컨대, 전기적 특성, 디자인 특성 등)에 맞게 정교하게 세팅될 것을 까다롭게 요구하고 있기 때문에, 이를 만족하는 각자의 회로보드(90,80) 상에서는 자신에게 부여된 일련의 음/전 변환기능을 정상적으로 수행할 수 있지만, 이를 만족하지 못하는 타 회로보드(80,90) 상에서는 자신에게 부여된 음/전 변환기능을 정상적으로 수행할 수 없게 되는 결정적인 단점을 나타내게 된다(즉, 어느 한 전자기기의 회로보드(80,90) 상에서만 단편적으로 설치/동작될 수 있는 결정적인 단점을 나타내게 된다).
예를 들어, 종래의 음/전 변환 마이크로폰(10)은 로드 레지스터(94)를 자신의 정상적인 동작수행에 반드시 필요한 구성요소로써 요구하고 있기 때문에, 해당 로드 레지스터(94)가 정상적으로 구비되어 있는 회로보드(90)(즉, 마이크로폰용 회로보드) 상에서는 자신에게 부여된 음/전 변환기능을 정상적으로 수행할 수 있지만, 이 로드 레지스터(94)가 구비되어 있지 아니한 타 회로보드(80)(즉, 패키지용 회로보드) 상에서는 자신에게 부여된 음/전 변환기능을 정상적으로 수행할 수 없게 되며, 결국, 특정 전자기기 측 회로보드(90) 상에서만 단편적으로 설치/동작될 수 있는 결정적인 단점을 나타내게 된다(도 2 및 도 4 참조).
또한, 음/전 변환 패키지(70) 역시도, 전원을 공급해 줄 수 있는 전원공급단자(83)를 자신의 정상적인 동작수행에 반드시 필요한 구성요소로써 요구하고 있기 때문에, 전원공급단자(83)가 정상적으로 구비되어 있는 회로보드(80)(즉, 패키지용 회로보드) 상에서는 자신에게 부여된 음/전 변환기능을 정상적으로 수행할 수 있지만, 전원공급단자(83)의 구비 없이, 단지, 접지단자(91), 출력신호접수단자(92)만을 구비하고 있는 타 회로보드(90)(즉, 마이크로폰용 회로보드) 상에서는 음/전 변환기능을 정상적으로 수행할 수 없게 되며, 결국, 특정 전자기기 측 회로보드(80) 상에서만 단편적으로 설치/동작될 수 있는 결정적인 단점을 나타내게 된다(도 2 및 도 4 참조).
물론, 이처럼, 음/전 변환 마이크로폰(10), 음/전 변환 패키지(70) 등이 자신에게 맞는 특정 전자기기 측 회로보드 상에서만 단편적으로 동작하는 까다로운 환경 하에서, 생산자(예컨대, 음/전 변환 마이크로폰 생산자, 음/전 변환 패키지 생산자, 전자기기 생산자 등) 측에서는 제품의 탄력적인 운영에 있어서, 큰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게 되며, 결국, 자사의 제품 경쟁력이 크게 저하되는 피해를 피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인쇄회로기판의 내부에 회로 칩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로드 레지스터를 추가로 내장·설치하여, 전자기기 측 회로보드에 로드 레지스터가 설치되지 않은 환경 하에서도, 해당 회로 칩 측에서 인쇄회로기판 내부의 로드 레지스터를 활용하여, 일련의 동작전원을 정상적으로 취득/조절 받을 수 있도록 유도하는 조치>, <전자기기 측 회로보드와 접합되는 인쇄회로기판의 접합부위에 접지단자, 신호출력단자, 전원수취단자를 추가 설치함과 아울러, 신호출력단자 및 전원수취단자 모두를 인쇄회로기판 내부의 로드 레지스터 및 회로 칩과 전기적으로 연결시켜, 해당 로드 레지스터 및 회로 칩 측에서 전자기기 측 회로보드에 단지, 접지단자 및 출력신호접수단자만이 구비되어 있는 환경 하에서도(즉, 전원공급단자가 구비되어 있지 않은 환경 하에서도), 출력신호접수단자 및 신호출력단자를 우회적으로 활용하여, 전자기기 측에서 공급되는 동작전원을 정상적으로 취득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조치> 등을 탄력적으로 응용 구현하고, 이를 통해, 최종 완성된 제품이 마이크로폰용 회로보드(즉, 전원공급단자가 구비되어 있지 않은 회로보드) 및 패키지용 회로보드(즉, 로드 레지스터가 구비되어 있지 않은 회로보드) 모두에서 안정적인 하이브리드형 동작을 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생산자(예컨대, 음/전 변환 마이크로폰 생산자, 음/전 변환 패키지 생산자, 전자기기 생산자 등) 측에서 별다른 어려움 없이 자사의 제품 경쟁력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가이드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커버용기와; 상기 커버용기 내에 고정된 상태로 수용되며, 상기 커버용기 내로 유입되는 음향에 의해 진동하는 기구물들과; 상기 커버용기를 지지하며, 상기 기구물들의 진동에 따른 정전용량 변화를 전기적으로 처리하는 회로 칩을 구비하면서, 전자기기 측 회로보드에 실장되는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일부에는 상기 회로 칩의 구동을 위한 로드 레지스터가 배치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다른 일부에는 전자기기 측 회로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지단자, 신호출력단자, 전원수취단자가 배치되며, 상기 로드 레지스터는 상기 신호출력단자 및 전원수취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음/전 변환장치를 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는 원통형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에 수용되며, 상기 케이스 내로 유입되는 음향에 의해 진동하는 기구물들과; 상기 케이스 내에 수용되며, 상기 기구물들의 진동에 따른 정전용량 변화를 전기적으로 처리하는 회로 칩을 구비하면서, 전자기기 측 회로보드에 실장되는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일부에는 상기 회로 칩의 구동을 위한 로드 레지스터가 배치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다른 일부에는 전자기기 측 회로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지단자, 신호출력단자, 전원수취단자가 배치되며, 상기 로드 레지스터는 상기 신호출력단자 및 전원수취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음/전 변환장치 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서는 <인쇄회로기판의 내부에 회로 칩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로드 레지스터를 추가로 내장·설치하여, 전자기기 측 회로보드에 별도의 로드 레지스터가 설치되지 않은 환경 하에서도, 해당 회로 칩 측에서 인쇄회로기판 내부의 로드 레지스터를 활용하여, 일련의 동작전원을 정상적으로 취득/조절 받을 수 있도록 유도하는 조치>, <전자기기 측 회로보드와 접합되는 인쇄회로기판의 접합부위에 접지단자, 신호출력단자, 전원수취단자를 추가 설치함과 아울러, 신호출력단자 및 전원수취단자 모두를 인쇄회로기판 내부의 로드 레지스터 및 회로 칩과 전기적으로 연결시켜, 해당 로드 레지스터 및 회로 칩 측에서 전자기기 측 회로보드에 단지, 접지단자 및 출력신호접수단자만이 구비되어 있는 환경 하에서도(즉, 전원공급단자가 구비되어 있지 않은 환경 하에서도), 출력신호접수단자 및 신호출력단자를 우회적으로 활용하여, 전자기기 측에서 공급되는 동작전원을 정상적으로 취득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조치> 등을 탄력적으로 응용 구현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본격적인 실시 환경 하에서, 최종 완성된 제품은 마이크로폰용 회로보드(즉, 전원공급단자가 구비되어 있지 않은 회로보드) 및 패키지용 회로보드(즉, 로드 레지스터가 구비되어 있지 않은 회로보드) 모두에서 안정적인 하이브리드형 동작을 취할 수 있게 되며, 결국, 생산자(예컨대, 음/전 변환 마이크로폰 생산자, 음/전 변환 패키지 생산자, 전자기기 생산자 등) 측에서는 별다른 어려움 없이 자사의 제품 경쟁력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음/전 변환 마이크로폰을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음/전 변환 마이크로폰의 전자기기 측 회로보드로의 실장절차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3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음/전 변환 패키지를 도시한 예시도.
도 4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음/전 변환 패키지의 전자기기 측 회로보드로의 실장절차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 따른 패키지 타입의 하이브리드 음/전 변환장치를 분리하여 도시한 예시도.
도 6은 도 5를 뒤집어 도시한 예시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음/전 변환장치의 마이크로폰용 회로보드로의 실장절차 및 회로연결관계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음/전 변환장치의 패키지용 회로보드로의 실장절차 및 회로연결관계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 따른 마이크로폰 타입의 하이브리드 음/전 변환장치를 분리하여 도시한 예시도.
도 12는 도 11을 뒤집어 도시한 예시도.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 따른 하이브리드 음/전 변환장치의 마이크로폰용 회로보드로의 실장절차 및 회로연결관계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 따른 하이브리드 음/전 변환장치의 패키지용 회로보드로의 실장절차 및 회로연결관계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음/전 변환장치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에 따른 하이브리드 음/전 변환장치, 예를 들어, 패키지 타입의 하이브리드 음/전 변환장치(100)는 음향유입구(111)를 구비하면서, 각진 형상(예컨대, 사각형상)을 가지는 커버용기(110)와, 이 커버용기(110)의 내부공간에 수용되면서, 앞의 음향유입구(111)를 통해 입력되는 음향에 의해 진동하는 기구물(150)들과, 앞의 커버용기(110)를 지지하면서, <기구물(150)들의 진동에 따른 정전용량 변화를 전기적으로 처리하는 회로 칩(191)(예컨대, FET 칩)>, <외부의 RF 노이즈를 감쇄 처리하는 노이즈 감쇄소자(192)(예컨대, 캐패시터 소자, 인덕터 소자, 저항소자 등)> 등을 구비하는 인쇄회로기판(190)이 체계적으로 조합된 구성을 취하게 된다.
이 경우, 앞의 회로 칩(191) 및 노이즈 감쇄소자(192)는 전기연결와이어, 전기연결패턴 등의 다양한 전기연결수단을 통해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조를 취하게 된다.
이때, 앞의 기구물(150)들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컨대, 커버용기(110)의 상부에 순차적으로 얹혀져, 커버용기(110)의 내부 수용공간에 순차적으로 탑재되는 진동판 어셈블리(120), 스페이서판(Spacer plate:123), 절연/압착 베이스블록(130), 유전체판(140), 도전접촉블록(160), 절연/압착 보조블록(170) 등이 조합된 구성을 취할 수 있다(물론, 이러한 기구물들(150)은 상황에 따라, 그 종류, 배치형태 등에 탄력적인 변형을 이룰 수 있다).
이 경우, 진동판 어셈블리(120)는 고정판(122) 및 진동판(121)이 조합된 구성을 취하게 되며, 유전체판(140)은 상황에 따라, 예컨대, 폴리머 재질 또는 Si 재질을 탄력적으로 취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앞의 커버용기(150)는 예컨대, 알루미늄(Al), 또는 동(Cu)으로 이루어지며, 고정판(122)은 예컨대, 니켈(Ni)이 플랫팅(Plating)된 동판(Brass plate)으로 이루어지고, 스페이서판(123)은 예컨대, PET 필름(Polyetyleneterephtalate film), PI 필름(Polyimide film) 등으로 이루어지며, 진동판(121)은 금 또는 니켈이 코팅된 PET 필름, 금 또는 니켈이 코팅된 PPS 필름(Polyphenylene sulfide film) 등으로 이루어진다(물론, 이러한 각 구성요소들의 재질, 형태 등이 상황에 따라 다양한 변형을 이룰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체제 하에서, 추후 출하 완료된 음/전 변환장치(100)는 도 7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기기(정보통신기기, 음향기기 등을 위시한 각종 전기/전자기기 등)에 내장된 회로보드(90,80)에 표면 실장되어, 해당 회로보드(90,80)와 전기적인 연결관계를 형성함으로써, 자신에게 주어진 음향 에너지/전기 에너지 변환역할을 정상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전자기기 측 회로보드, 예컨대, 마이크로폰용 회로보드(90)에는 <음/전 변환장치(100)의 접지를 위한 접지단자(91)>, <음/전 변환장치(100) 측으로부터 출력되는 전기신호의 접수를 위한 출력신호접수단자(92)>, <음/전 변환장치(100) 측으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모듈(93)> 등이 추가 배치되며(도 7 참조), 다른 종류의 전자기기 측 회로보드, 예컨대, 패키지용 회로보드(80)에는 <음/전 변환장치(100)의 접지를 위한 접지단자(81)>, <음/전 변환장치(100) 측으로부터 출력되는 전기신호의 접수를 위한 출력신호접수단자(82)>, <음/전 변환장치(100) 측으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단자(83)> 등이 추가 배치된다(도 9 참조).
물론, 이 상황에서, 생산자(예컨대, 음/전 변환 마이크로폰 생산자, 음/전 변환 패키지 생산자, 전자기기 생산자 등) 측에서는 <최종 완성되는 제품(100)이 마이크로폰용 회로보드(90)(즉, 전원공급단자가 구비되어 있지 않은 회로보드)(도 7 참조) 및 패키지용 회로보드(80)(즉, 로드 레지스터가 구비되어 있지 않은 회로보드)(도 8 참조) 모두에서 안정적인 동작을 취할 수 있으면 어떨까>하는 필요성을 느끼게 된다.
이러한 민감한 상황에서, 도 7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인쇄회로기판(190)의 일부(예컨대, 내부 표면)에 회로 칩(19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회로 칩(191)의 구동을 위한 공급전원의 회로 적인 처리(예컨대, 공급전원을 회로 칩(191)의 출력전압에 맞도록 조절하는 처리 등)를 수행하는 로드 레지스터(193)를 추가로 내장·설치하는 조치>(이 경우, 로드 레지스터(193)는 인쇄회로기판(190) 내에 임베디드(Embedded)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인쇄회로기판(190)의 다른 일부(예컨대, 회로보드 접촉면)에 음/전 변환장치(100)의 접지를 위한 접지단자(194), 음/전 변환장치(100) 측 전기신호를 외부로 출력시키기 위한 신호출력단자(195), 전자기기 측 전원을 수취하기 위한 전원수취단자(196) 등을 추가 설치하는 조치> 등을 취함과 아울러, 도 8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출력단자(195) 및 전원수취단자(196) 모두를 인쇄회로기판(190)의 로드 레지스터(193)와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조치>를 탄력적으로 취하게 된다.
물론, 이러한 조치가 취해진 상황에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하이브리드 음/전 변환장치(100)가 마이크로폰용 회로보드(90)(즉, 전원공급단자가 구비되어 있지 않은 회로보드)에 탑재되는 경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이브리드 음/전 변환장치(100)는 접지단자(194)를 회로보드 측 접지단자(91)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킴과 동시에, 전원수취단자(196) 대신에, 로드 레지스터(19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던 신호출력단자(195)를 회로보드(90) 측 출력신호접수단자(92)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구조를 안정적으로 취할 수 있게 되며, 결국, 본 발명의 하이브리드 음/전 변환장치(100) 측에서는 전자기기 측 회로보드(90)에 단지, 접지단자(91) 및 출력신호접수단자(92)만이 구비되어 있는 환경 하에서도(즉, 별도의 전원공급단자가 구비되어 있지 않은 환경 하에서도), 출력신호접수단자(92) 및 신호출력단자(195)를 우회적으로 활용하여, 전자기기 측에서 공급되는 동작전원을 정상적으로 취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술한 조치가 취해진 상황에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하이브리드 음/전 변환장치(100)가 패키지용 회로보드(80)(즉, 로드 레지스터가 구비되어 있지 않은 회로보드)에 탑재되는 경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이브리드 음/전 변환장치(100)는 자신의 접지단자(194), 신호출력단자(195), 전원수취단자(196) 등을 회로보드 측 접지단자(81), 출력신호접수단자(82), 전원공급단자(83) 등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면서, 자체 내장된 로드 레지스터(193)를 활용하여, 전원공급단자(83) 측으로부터 출력되는 일련의 동작전원을 정상적으로 취득/조절할 수 있게 되며, 결국, 본 발명의 하이브리드 음/전 변환장치(100) 측에서는 전자기기 측 회로보드(80)에 별도의 로드 레지스터가 설치되지 않은 환경 하에서도, 별다른 문제점 없이, 일련의 음/전 변환기능을 정상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인쇄회로기판(190)의 내부에 회로 칩(191)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로드 레지스터(193)를 추가로 내장·설치하여, 전자기기 측 회로보드(80)에 별도의 로드 레지스터가 설치되지 않은 환경 하에서도, 해당 회로 칩(191) 측에서 인쇄회로기판(190) 내부의 로드 레지스터(193)를 활용하여, 일련의 동작전원을 정상적으로 취득/조절 받을 수 있도록 유도하는 조치>, <전자기기 측 회로보드(80,90)와 접합되는 인쇄회로기판(190)의 접합부위에 접지단자(194), 신호출력단자(195), 전원수취단자(196)를 추가 설치함과 아울러, 신호출력단자(195) 및 전원수취단자(196) 모두를 인쇄회로기판(190) 내부의 로드 레지스터(193) 및 회로 칩(191)과 전기적으로 연결시켜, 해당 로드 레지스터(193) 및 회로 칩(191) 측에서 전자기기 측 회로보드(90)에 단지, 접지단자(91) 및 출력신호접수단자(92)만이 구비되어 있는 환경 하에서도(즉, 별도의 전원공급단자가 구비되어 있지 않은 환경 하에서도), 출력신호접수단자(92) 및 신호출력단자(195)를 우회적으로 활용하여, 전자기기 측에서 공급되는 동작전원을 정상적으로 취득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조치> 등을 탄력적으로 응용 구현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본격적인 실시 환경 하에서, 최종 완성된 제품(100)은 마이크로폰용 회로보드(90)(즉, 전원공급단자가 구비되어 있지 않은 회로보드) 및 패키지용 회로보드(80)(즉, 로드 레지스터가 구비되어 있지 않은 회로보드) 모두에서 안정적인 하이브리드형 동작을 취할 수 있게 되며, 결국, 생산자(예컨대, 음/전 변환 마이크로폰 생산자, 음/전 변환 패키지 생산자, 전자기기 생산자 등) 측에서는 별다른 어려움 없이 자사의 제품 경쟁력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7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에 따른 패키지 타입의 하이브리드 음/전 변환장치(100)는 인쇄회로기판(190)보다 적은 사이즈의 커버용기(110)가 이 인쇄회로기판(190)에 얹혀져 접합·배치되는 구조를 취하기 때문에, 생산자 측에서는 커버용기(110)의 외곽 테두리를 손쉽게 커링시킬 수 없는 어려움을 겪게 된다(물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러한 어려움은 본 발명의 독특한 구조에 의해 장점으로 승화된다).
이 상황에서, 앞의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커버용기(110) 내에 절연/압착 베이스블록(130) 및 절연/압착 보조블록(170)을 추가 배치하는 조치를 강구하게 된다.
이때, 절연/압착 베이스블록(130) 측에서는 각 기구물(150)들이 결합되는 국면에서, 진동판(121) 및 고정판(122), 그리고, 유전체판(140)의 외곽을 압착하여 감싼 상태로, 커버용기(110) 내에 밀착 수용되는 구조를 취함으로써, <진동판(121) 및 고정판(1220, 그리고, 유전체판(140)을 커버용기(110) 내에 고정시키는 역할>, <진동판(121) 및 고정판(122), 그리고, 유전체판(140)을 커버용기(110)와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는 역할> 등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절연/압착 보조블록(170) 측에서는 앞의 절연/압착 베이스블록(130)이 커버용기(110) 내에 밀착 수용된 상태에서, 절연/압착 베이스블록(130) 내에 밀착 수용되는 구조를 취함으로써, 절연/압착 베이스블록(130)에 의해 감싸 안겨져 있던 진동판(121) 및 고정판(122), 그리고, 유전체판(140)이 커버용기(110) 내부로 눌려 고정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결국, 상술한 절연/압착 베이스블록(130) 및 절연/압착 보조블록(170)의 역할 수행 하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에 따른 패키지 타입의 하이브리드 음/전 변환장치(100) 측에서는 커버용기(110)의 커링 없이도, 각 기구물들(150)을 커버용기(110) 내에서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에 따른 패키지 타입의 하이브리드 음/전 변환장치(100) 측에서는 절연/압착 베이스블록(130) 및 절연/압착 보조블록(170)의 활용을 통해, 커버용기(110)의 커링절차를 손쉽게 회피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구현환경 하에서, 생산자 측에서는 상술한 <장치(100)의 하이브리드형 사용장점> 이외에도, 커버용기(110)의 커링에 따른 각종 문제점, 예컨대, 커링 스트레스에 기인한 기구물(150)들의 간극 평형도 파괴 문제점, 백 챔버(즉, 인쇄회로기판(190)의 상부에 형성되는 음향통과 공간)의 평형도 파괴 문제점, 유전체판(140)이 커링절차에 기인한 스트레스에 의해 변형/파손되는 문제점, 각 평형도 파괴/커링미스에 기인한 음향의 외부 누설 문제점 등을 용이하게 회피할 수 있는 장점을 효과적으로 획득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압착 보조블록(170) 및 절연/압착 베이스블록(130) 사이에는 예컨대, 사각 링 형상을 가지는 본체(162) 및 이 본체(162)와 일체로 연결되면서, 일정 높이로 돌출 형성된 핀(161)이 체계적으로 조합된 도전접촉블록(160)이 추가 배치된다(물론, 상술한 핀(161)의 형상, 개수 등은 상황에 따라 다양한 변형을 이룰 수 있다).
이 경우, 도전접촉블록(160) 측에서는 각 기구물(150)들이 결합되는 국면에서, 자신의 핀(161)을 절연/압착 보조블록(170)의 본체(171) 외벽 및 절연/압착 베이스블록(130)의 본체(131) 내벽에 삽입시킨 상태에서, 핀(161) 및 본체(162)를 유전체판(140) 및 인쇄회로기판(190)에 각기 접촉시켜, 해당 유전체판(140) 및 인쇄회로기판(190)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절연/압착 보조블록 본체(171)의 외벽에는 도전접촉블록(160) 측 핀(161)의 삽입을 가이드 하기 위한 제 1 핀 가이드 홈(172)이 추가 배치되며, 절연/압착 베이스블록 본체(131)의 내벽에도 도전접촉블록(160) 측 핀(161)의 삽입을 가이드 하기 위한 제 2 핀 가이드 홈(132)이 추가 배치된다(도 5 및 도 6 참조).
물론, 이러한 도전접촉블록(160)의 역할 수행 하에서, 커버용기(110)의 음향유입구(111)를 통과한 외부 음향에 의해, 진동판(121) 및 유전체판(140) 사이의 간극(참고로, 이러한 간극은 스페이서판(123)의 역할 수행에 의해 형성된다)이 변화하게 되고, 이 간극 변화에 따라. 일련의 전류신호 변이가 발생하게 되면, 해당 전류신호 변이는 도전접촉블록(160)을 매개로 하여, 인쇄회로기판(190)의 회로 칩(191) 쪽으로 신속하게 전달될 수 있게 되며, 결국, 음/전 변환장치(100) 측에서는 유전체판(140) 및 인쇄회로기판(190) 사이에 절연/압착 보조블록(170)이 추가 배치된 상황 하에서도, 별다른 어려움 없이, 자신에게 주어진 음/전 변환 역할을 정상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 따른 하이브리드 음/전 변환장치, 예를 들어, 마이크로폰 타입의 하이브리드 음/전 변환장치(200)는 음향유입구(211)를 구비하면서, 원통형상을 가지는 케이스(210)와, 이 케이스(210)의 내부공간에 수용되면서, 앞의 음향유입구(211)를 통해 입력되는 음향에 의해 진동하는 기구물(250)들과, 케이스(210)의 내부공간에 수용되면서, <기구물(150)들의 진동에 따른 정전용량 변화를 전기적으로 처리하는 회로 칩(291)(예컨대, FET 칩)>, <외부의 RF 노이즈를 감쇄 처리하는 노이즈 감쇄소자(292)(예컨대, 캐패시터 소자, 인덕터 소자, 저항소자 등)> 등을 구비하는 인쇄회로기판(290)이 체계적으로 조합된 구성을 취하게 된다.
이 경우, 케이스(210)의 외곽 테두리(212)는 일련의 커링절차을 통해, 수용공간 방향으로 구부려져 케이스(210) 내부의 기구물(250)들을 외부로부터 밀봉시키는 구조를 견고하게 형성하게 되며, 앞의 회로 칩(291) 및 노이즈 감쇄소자(292)는 전기연결와이어, 전기연결패턴 등의 다양한 전기연결수단을 통해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조를 취하게 된다.
이때, 앞의 기구물(250)들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컨대, 케이스(210)의 상부에 순차적으로 얹혀져, 케이스(210)의 내부 수용공간에 순차적으로 탑재되는 진동판 어셈블리(220), 스페이서링(Spacer ring:223), 절연베이스링(230), 유전체판(140), 도전베이스링(270) 등이 조합된 구성을 취할 수 있다(물론, 이러한 기구물들(250)은 상황에 따라, 그 종류, 배치형태 등에 탄력적인 변형을 이룰 수 있다). 이 경우, 진동판 어셈블리(220)는 폴라링(222) 및 진동판(221)이 조합된 구성을 취하게 되며, 유전체판(240)은 상황에 따라, 예컨대, 폴리머 재질 또는 Si 재질을 탄력적으로 취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앞의 케이스(250)는 예컨대, 알루미늄(Al), 또는 동(Cu)으로 이루어지며, 폴라링(222)은 예컨대, 니켈(Ni)이 플랫팅(Plating)된 동판(Brass plate)으로 이루어지고, 스페이서링(223)은 예컨대, PET 필름(Polyetyleneterephtalate film), PI 필름(Polyimide film) 등으로 이루어지며, 진동판(221)은 <금 또는 니켈이 코팅된 PET 필름>, <금 또는 니켈이 코팅된 PPS 필름(Polyphenylene sulfide film)> 등으로 이루어진다(물론, 이러한 각 구성요소들의 재질, 형태 등이 상황에 따라 다양한 변형을 이룰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이때, 앞의 도전베이스링(270)은 각 기구물(250)들이 결합되는 상황에서, 유전체판(240) 및 인쇄회로기판(290)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킴으로써, 진동판 어셈블리(220)의 진동판(221) 및 유전체판(240) 사이의 간극(참고로, 이러한 간극은 스페이서링(223)의 역할 수행에 의해 형성된다) 변화에 따라 전류신호 변이가 발생되면, 해당 전류신호 변이가 인쇄회로기판(290)의 회로 칩(291) 쪽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가이드 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절연베이스링(230)은 각 기구물(250)들이 결합되는 상황에서, 도전베이스링(270) 및 유전체판(240)의 테두리를 커버함으로써, 해당 도전베이스링(270) 및 유전체판(240)이 커버용기(210)의 내벽과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것을 차단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 경우, 앞의 절연베이스링(230)은 상황에 따라, 케이스(210)의 내 측 벽에 코팅된 절연필름(막)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체제 하에서, 추후 출하 완료된 음/전 변환장치(200)는 도 13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기기(정보통신기기, 음향기기 등을 위시한 각종 전기/전자기기 등)에 내장된 회로보드(90,80)에 표면 실장되어, 해당 회로보드(90,80)와 전기적인 연결관계를 형성함으로써, 자신에게 주어진 음향 에너지/전기 에너지 변환역할을 정상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에도, 전자기기 측 회로보드, 예컨대, 마이크로폰용 회로보드(90)에는 <음/전 변환장치(100)의 접지를 위한 접지단자(91)>, <음/전 변환장치(100) 측으로부터 출력되는 전기신호의 접수를 위한 출력신호접수단자(92)>, <음/전 변환장치(100) 측으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모듈(93)> 등이 추가 배치되며(도 13 참조), 다른 종류의 전자기기 측 회로보드, 예컨대, 패키지용 회로보드(80)에는 <음/전 변환장치(100)의 접지를 위한 접지단자(81)>, <음/전 변환장치(100) 측으로부터 출력되는 전기신호의 접수를 위한 출력신호접수단자(82)>, <음/전 변환장치(100) 측으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단자(83)> 등이 추가 배치된다(도 15 참조).
물론, 이 상황에서, 생산자(예컨대, 음/전 변환 마이크로폰 생산자, 음/전 변환 패키지 생산자, 전자기기 생산자 등) 측에서는 <최종 완성되는 제품(200)이 마이크로폰용 회로보드(90)(즉, 전원공급단자가 구비되어 있지 않은 회로보드)(도 7 참조) 및 패키지용 회로보드(80)(즉, 로드 레지스터가 구비되어 있지 않은 회로보드)(도 8 참조) 모두에서 안정적인 동작을 취할 수 있으면 어떨까>하는 필요성을 느끼게 된다.
이러한 민감한 상황에서, 도 13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서는 <인쇄회로기판(290)의 일부(예컨대, 내부 표면)에 회로 칩(29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회로 칩(291)의 구동을 위한 공급전원의 회로 적인 처리(예컨대, 공급전원을 회로 칩(291)의 출력전압에 맞도록 조절하는 처리 등)를 수행하는 로드 레지스터(293)를 추가로 내장·설치하는 조치>(이 경우에도, 로드 레지스터(293)는 인쇄회로기판(290) 내에 임베디드(Embedded)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인쇄회로기판(290)의 다른 일부(예컨대, 회로보드 접촉면)에 음/전 변환장치(200)의 접지를 위한 접지단자(294), 음/전 변환장치(200) 측 전기신호를 외부로 출력시키기 위한 신호출력단자(295), 전자기기 측 전원을 수취하기 위한 전원수취단자(296) 등을 추가 설치하는 조치> 등을 취함과 아울러, 도 14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출력단자(295) 및 전원수취단자(296) 모두를 인쇄회로기판(290)의 로드 레지스터(293)와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조치>를 탄력적으로 취하게 된다.
물론, 이러한 조치가 취해진 상황에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 따른 하이브리드 음/전 변환장치(200)가 마이크로폰용 회로보드(90)(즉, 전원공급단자가 구비되어 있지 않은 회로보드)에 탑재되는 경우,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이브리드 음/전 변환장치(200)는 접지단자(294)를 회로보드 측 접지단자(91)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킴과 동시에, 전원수취단자(296) 대신에, 로드 레지스터(29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던 신호출력단자(295)를 회로보드(90) 측 출력신호접수단자(92)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구조를 안정적으로 취할 수 있게 되며, 결국, 본 발명의 하이브리드 음/전 변환장치(200) 측에서는 전자기기 측 회로보드(90)에 단지, 접지단자(91) 및 출력신호접수단자(92)만이 구비되어 있는 환경 하에서도(즉, 별도의 전원공급단자가 구비되어 있지 않은 환경 하에서도), 출력신호접수단자(92) 및 신호출력단자(295)를 우회적으로 활용하여, 전자기기 측에서 공급되는 동작전원을 정상적으로 취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술한 조치가 취해진 상황에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하이브리드 음/전 변환장치(200)가 패키지용 회로보드(80)(즉, 로드 레지스터가 구비되어 있지 않은 회로보드)에 탑재되는 경우,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이브리드 음/전 변환장치(200)는 자신의 접지단자(294), 신호출력단자(295), 전원수취단자(296) 등을 회로보드 측 접지단자(81), 출력신호접수단자(82), 전원공급단자(83) 등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면서, 자체 내장된 로드 레지스터(293)를 활용하여, 전원공급단자(83) 측으로부터 출력되는 일련의 동작전원을 정상적으로 취득/조절할 수 있게 되며, 결국,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 따른 하이브리드 음/전 변환장치(200) 측에서는 전자기기 측 회로보드(80)에 별도의 로드 레지스터가 설치되지 않은 환경 하에서도, 별다른 문제점 없이, 일련의 음/전 변환기능을 정상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앞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서도, <인쇄회로기판(290)의 내부에 회로 칩(291)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로드 레지스터(293)를 추가로 내장·설치하여, 전자기기 측 회로보드(80)에 별도의 로드 레지스터가 설치되지 않은 환경 하에서도, 해당 회로 칩(291) 측에서 인쇄회로기판(290) 내부의 로드 레지스터(293)를 활용하여, 일련의 동작전원을 정상적으로 취득/조절 받을 수 있도록 유도하는 조치>, <전자기기 측 회로보드(80,90)와 접합되는 인쇄회로기판(290)의 접합부위에 접지단자(294), 신호출력단자(295), 전원수취단자(296)를 추가 설치함과 아울러, 신호출력단자(295) 및 전원수취단자(296) 모두를 인쇄회로기판(290) 내부의 로드 레지스터(293) 및 회로 칩(291)과 전기적으로 연결시켜, 해당 로드 레지스터(293) 및 회로 칩(291) 측에서 전자기기 측 회로보드(90)에 단지, 접지단자(91) 및 출력신호접수단자(92)만이 구비되어 있는 환경 하에서도(즉, 별도의 전원공급단자가 구비되어 있지 않은 환경 하에서도), 출력신호접수단자(92) 및 신호출력단자(295)를 우회적으로 활용하여, 전자기기 측에서 공급되는 동작전원을 정상적으로 취득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조치> 등을 탄력적으로 응용 구현되기 때문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환경 하에서도, 최종 완성된 제품(200)은 마이크로폰용 회로보드(90)(즉, 전원공급단자가 구비되어 있지 않은 회로보드) 및 패키지용 회로보드(80)(즉, 로드 레지스터가 구비되어 있지 않은 회로보드) 모두에서 안정적인 하이브리드형 동작을 취할 수 있게 되며, 결국, 생산자(예컨대, 음/전 변환 마이크로폰 생산자, 음/전 변환 패키지 생산자, 전자기기 생산자 등) 측에서는 별다른 어려움 없이 자사의 제품 경쟁력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본 발명은 음/전 변환장치를 필요로 하는 다양한 유형의 전자/전기 장치에서 전반적으로 유용한 효과를 나타낸다.
그리고,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이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80: 패키지용 회로보드 81: 접지단자 82: 출력신호접수단자
83: 전원공급단자 90: 마이크로폰용 회로보드 91: 접지단자
92: 출력신호접수단자 100: 패키지 타입의 하이브리드 음/전 변환장치
110: 커버용기 111: 음향유입구 120: 진동판 어셈블리 121: 진동판
122: 고정판 123: 스페이서판 130: 절연/압착 베이스블록
131: 절연/압착 베이스블록 본체 132: 제 2 핀 가이드 홈
140: 유전체판 150: 기구물 160: 도전접촉블록
161: 도전접촉블록 핀 162: 도전접촉블록 본체 170: 절연/압착 보조블록
171: 절연/압착 보조블록 본체 172: 제 1 핀 가이드 홈
190: 인쇄회로기판 191: 회로 칩 192: 노이즈 감쇄소자
193: 로드 레지스터 194: 접지단자 195: 신호출력단자
196: 전원수취단자 200: 마이크로폰 타입의 하이브리드 음/전 변환장치
210: 케이스 211: 음향유입구 212: 케이스 외곽 테두리
220: 진동판 어셈블리 221: 진동판 222: 폴라링 223: 스페이서링
230: 절연베이스링 240: 유전체판 250: 기구물 270: 도전베이스링
290: 인쇄회로기판 291: 회로 칩 292: 노이즈 감쇄소자
293: 로드 레지스터 294: 접지단자 295: 신호출력단자
296: 전원수취단자

Claims (5)

  1. 커버용기와;
    상기 커버용기 내에 고정된 상태로 수용되며, 상기 커버용기 내로 유입되는 음향에 의해 진동하는 기구물들과;
    상기 커버용기를 지지하며, 상기 기구물들의 진동에 따른 정전용량 변화를 전기적으로 처리하는 회로 칩을 구비하면서, 전자기기 측 회로보드에 실장되는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일부에는 상기 회로 칩의 구동을 위한 로드 레지스터가 배치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다른 일부에는 전자기기 측 회로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지단자, 신호출력단자, 전원수취단자가 배치되며, 상기 로드 레지스터는 상기 신호출력단자 및 전원수취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음/전 변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구물들은 상기 커버용기 내에 수용되며, 상기 커버용기를 통해 입력되는 음파에 의해 진동하는 진동판과;
    상기 진동판을 고정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을 지지하면서, 상기 진동판과 간극을 유지하는 유전체판과;
    상기 진동판 및 고정판, 그리고, 유전체판의 외곽을 압착하여 감싼 상태로, 상기 커버용기 내에 밀착 수용되어, 상기 진동판 및 고정판, 그리고, 유전체판을 상기 커버용기 내에 고정시킴과 아울러, 상기 진동판 및 고정판, 그리고, 유전체판을 상기 커버용기와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는 절연/압착 베이스블록과;
    상기 절연/압착 베이스블록이 상기 커버용기 내에 밀착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절연/압착 베이스블록 내에 밀착 수용되어, 상기 진동판 및 고정판, 그리고, 유전체판을 상기 커버용기 내부로 눌러 고정시키는 절연/압착 보조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절연/압착 보조블록 및 절연/압착 베이스블록 사이에는 본체 및 핀으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핀을 상기 절연/압착 보조블록의 외벽 및 절연/압착 베이스블록의 내벽에 삽입시켜, 상기 유전체판 및 인쇄회로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도전접촉블록이 추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음/전 변환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압착 보조블록의 외벽에는 도전접촉블록 측 핀의 삽입을 가이드 하기 위한 제 1 핀 가이드 홈이 추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음/전 변환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압착 베이스블록의 내벽에는 도전접촉블록 측 핀의 삽입을 가이드 하기 위한 제 2 핀 가이드 홈이 추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음/전 변환장치.
  5. 원통형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에 수용되며, 상기 케이스 내로 유입되는 음향에 의해 진동하는 기구물들과;
    상기 케이스 내에 수용되며, 상기 기구물들의 진동에 따른 정전용량 변화를 전기적으로 처리하는 회로 칩을 구비하면서, 전자기기 측 회로보드에 실장되는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일부에는 상기 회로 칩의 구동을 위한 로드 레지스터가 배치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다른 일부에는 전자기기 측 회로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지단자, 신호출력단자, 전원수취단자가 배치되며, 상기 로드 레지스터는 상기 신호출력단자 및 전원수취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음/전 변환장치.
KR1020100047942A 2010-05-24 2010-05-24 하이브리드 음/전 변환장치 KR1010114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7942A KR101011486B1 (ko) 2010-05-24 2010-05-24 하이브리드 음/전 변환장치
CN2011800016644A CN102405655A (zh) 2010-05-24 2011-05-20 混合声/电信号转换装置
EP11752453A EP2406965A2 (en) 2010-05-24 2011-05-20 Hybrid acoustic/electric signal converting device
US13/259,890 US20120057737A1 (en) 2010-05-24 2011-05-20 Hybrid Acoustic/Electric Signal Converting Device
JP2012517420A JP2012523806A (ja) 2010-05-24 2011-05-20 ハイブリッド音響/電気変換装置
PCT/KR2011/003740 WO2011149222A2 (en) 2010-05-24 2011-05-20 Hybrid acoustic/electric signal convert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7942A KR101011486B1 (ko) 2010-05-24 2010-05-24 하이브리드 음/전 변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11486B1 true KR101011486B1 (ko) 2011-01-31

Family

ID=43616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7942A KR101011486B1 (ko) 2010-05-24 2010-05-24 하이브리드 음/전 변환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20057737A1 (ko)
EP (1) EP2406965A2 (ko)
JP (1) JP2012523806A (ko)
KR (1) KR101011486B1 (ko)
CN (1) CN102405655A (ko)
WO (1) WO2011149222A2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0785A (ko) * 2001-06-29 2004-01-31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Cdma 시스템에서의 게이트형 파일럿 획득
KR20040015820A (ko) * 2001-07-18 2004-02-19 제너럴 인스트루먼트 코포레이션 멀티-프로토콜 비디오 및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액세스 노드
KR200410785Y1 (ko) 2005-12-29 2006-03-08 정창술 콘덴서 마이크로폰
KR200415820Y1 (ko) 2006-02-13 2006-05-08 주식회사 씨에스티 마이크로폰 조립체
KR100696164B1 (ko) * 2005-07-07 2007-03-20 주식회사 비에스이 배극판 홀더와 그를 구비하는 콘덴서 마이크로폰 및 그조립방법
KR100737726B1 (ko) * 2006-07-10 2007-07-10 주식회사 비에스이 멤스 마이크로폰 패키징 구조체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82192U (ko) * 1988-12-13 1990-06-25
US4993072A (en) * 1989-02-24 1991-02-12 Lectret S.A. Shielded electret transducer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JP3861006B2 (ja) * 2000-04-26 2006-12-20 ホシデン株式会社 半導体エレクトレットコンデンサマイクロホン
JP2006514497A (ja) * 2003-03-20 2006-04-27 ビーエスイー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広帯域阻止フィルタを使用し静電放電に対する耐性を強化したコンデンサマイクロホン
KR100531716B1 (ko) * 2003-12-04 2005-11-30 주식회사 비에스이 Smd용 콘덴서 마이크로폰
JP2005341390A (ja) * 2004-05-28 2005-12-08 Hosiden Corp 静電型マイクロホン
JP2006157837A (ja) * 2004-10-26 2006-06-15 Hosiden Corp コンデンサマイクロホン
SG130158A1 (en) * 2005-08-20 2007-03-20 Bse Co Ltd Silicon based condenser microphone and packaging method for the same
SG131039A1 (en) * 2005-09-14 2007-04-26 Bse Co Ltd Condenser microphone and packaging method for the same
US7812418B2 (en) * 2008-07-29 2010-10-12 Fortemedia, Inc Chip-scaled MEMS microphone packag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0785A (ko) * 2001-06-29 2004-01-31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Cdma 시스템에서의 게이트형 파일럿 획득
KR20040015820A (ko) * 2001-07-18 2004-02-19 제너럴 인스트루먼트 코포레이션 멀티-프로토콜 비디오 및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액세스 노드
KR100696164B1 (ko) * 2005-07-07 2007-03-20 주식회사 비에스이 배극판 홀더와 그를 구비하는 콘덴서 마이크로폰 및 그조립방법
KR200410785Y1 (ko) 2005-12-29 2006-03-08 정창술 콘덴서 마이크로폰
KR200415820Y1 (ko) 2006-02-13 2006-05-08 주식회사 씨에스티 마이크로폰 조립체
KR100737726B1 (ko) * 2006-07-10 2007-07-10 주식회사 비에스이 멤스 마이크로폰 패키징 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406965A2 (en) 2012-01-18
US20120057737A1 (en) 2012-03-08
WO2011149222A2 (en) 2011-12-01
JP2012523806A (ja) 2012-10-04
WO2011149222A3 (en) 2012-02-23
CN102405655A (zh) 2012-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71337B2 (en) Method for producing a microphone module for a hearing aid device
US20100322443A1 (en) Mems microphone
CN104618842A (zh) 封装及用于封装传声器设备的方法
US20080144874A1 (en) Microphone array with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shielding means
US20130148837A1 (en) Multi-functional microphone assembl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TW200735296A (en) Microelectromechanical microphone packaging system
KR200389794Y1 (ko) 마이크로폰 조립체
CN201830447U (zh) 非固定结构的电容扩音器组件
KR200410785Y1 (ko) 콘덴서 마이크로폰
KR101011486B1 (ko) 하이브리드 음/전 변환장치
JP5402320B2 (ja) マイクロホンユニット
US6845167B2 (en) Contacting arrangement for an electroacoustic microphone transducer
KR100634557B1 (ko) 마이크로폰 조립체
KR20130050089A (ko) 리버스 타입 하이브리드 음/전 변환장치
KR100753913B1 (ko) 마이크로폰 조립체
KR20130050090A (ko) 하이브리드 음/전 변환장치
KR200389788Y1 (ko) 마이크로폰 조립체
KR101284646B1 (ko) 음/전 변환장치 및 음향캡슐
KR101034877B1 (ko) 마이크로폰 조립체
KR100936169B1 (ko) 마이크로폰 조립체
KR200376897Y1 (ko) 마이크로폰 조립체
KR102085201B1 (ko) 마이크로폰 장치
KR100834883B1 (ko) 마이크로폰 조립세트
KR200424701Y1 (ko) 마이크로폰 조립체
KR20060114983A (ko) 마이크로폰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