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0699B1 - 도로 확장 블록 - Google Patents

도로 확장 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0699B1
KR101010699B1 KR1020100037315A KR20100037315A KR101010699B1 KR 101010699 B1 KR101010699 B1 KR 101010699B1 KR 1020100037315 A KR1020100037315 A KR 1020100037315A KR 20100037315 A KR20100037315 A KR 20100037315A KR 101010699 B1 KR101010699 B1 KR 1010106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ad
extension
filling
foundation
filling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73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명권
Original Assignee
동양특수콘크리트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양특수콘크리트 (주) filed Critical 동양특수콘크리트 (주)
Priority to KR10201000373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06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06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06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00Design or layout of roads, e.g. for noise abatement, for gas absorption
    • E01C1/002Design or lay-out of roads, e.g. street systems, cross-sections ; Design for noise abatement, e.g. sunken road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5/00Pavings specially adapted for footpaths, sidewalks or cycle tracks

Abstract

본 발명은 농로, 강가, 인도 등의 좁은 도로 또는 비탈길을 깎아 형성된 좁은 도로 상에 설치되어 자체의 하중에 의해 설치상태를 유지하면서 도로를 확장시킬 수 있는 도로 확장 블록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도로 확장 블록은, 지면의 상부에 위치하는 기초부(10)와; 기초부(10)의 상부면에 위치하면서 자갈, 흙, 돌, 모래 또는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한 어느 하나의 채움재료로 채워져서 기초부(10)의 하중을 증가시는 채움공간(20)과; 기초부(10)에서 상단측면으로 연장된 확장도로(30)와; 채움공간(20)의 상부에 위치하면서 콘크리트로 타설되어 확장도로(30)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된 중앙도로(40)와; 채움공간(20)으로 채움재료를 공급하기 위하여 중앙도로(40)의 상부에 형성된 다수의 채움홀(41)과 채움홀(41)을 덮는 덮개(4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도로 확장 블록{EXPANDING BLOCK FOR ROAD}
본 발명은 농로, 강가, 인도 등의 좁은 도로 또는 비탈길을 깎아 형성된 좁은 도로 상에 설치되어 자체의 하중에 의해 설치상태를 유지하면서 도로를 확장시킬 수 있는 도로 확장 블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의 확장은 도로에 인접한 공간을 확보하고, 성토한 후 아스팔트 또는 콘크리트로 포장하여 완성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도로 확장은 농로, 강가 등의 좁은 도로 또는 비탈길을 깎아 형성된 산간지역의 좁은 도로인 경우에는 성토할 수 있는 추가 공간을 확보할 수 없어 원천적으로 불가능한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실용신안등록 제20-0268971호에서는 도1에 나타낸 것처럼 도로 확장을 위해 기존 도로(1) 및 성토부의 일부분을 절토한 후 특정형상의 프리캐스트 구조물(3) 및 보강앵커(4)를 이용하여 도로를 확장하는 공법을 적용하였다. 그러나, 급경사가 있는 산간지역 도로 등에서는 절토부의 급경사로 인해 프리캐스트 구조물을 설치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특히 프리캐스트 구조물(3)을 성토부에 안착시키기 위해서는 소정 크기 이상의 지지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압밀 로울러 장비로 다지는 지반 다짐공정을 진행하게 되는데, 이또한 급경사 지역에서는 매우 어려운 공정이며 경제성 측면에서도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공법은 프리캐스트 구조물(30)의 안전한 지지를 위해 보강 앵커(6)를 설치하게 되는데 상기 보강 앵커(6)의 정착부가 성토부(1)인 점을 고려할 경우 시간의 경과에 따른 안전성 측면에서도 재고의 여지가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농로, 강가, 인도 등의 좁은 도로 또는 비탈길을 깎아 형성된 좁은 도로 상에 설치되어 자체의 하중에 의해 설치상태를 유지하면서 도로를 확장시킬 수 있는 도로 확장 블록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도로 확장 블록은, 지면의 상부에 위치하는 기초부(10)와; 기초부(10)의 상부면에 위치하면서 자갈, 흙, 돌, 모래 또는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한 어느 하나의 채움재료로 채워져서 기초부(10)의 하중을 증가시는 채움공간(20)과; 기초부(10)에서 상단측면으로 연장된 확장도로(30)와; 채움공간(20)의 상부에 위치하면서 콘크리트로 타설되어 확장도로(30)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된 중앙도로(40)와; 채움공간(20)으로 채움재료를 공급하기 위하여 중앙도로(40)의 상부에 형성된 다수의 채움홀(41)과 채움홀(41)을 덮는 덮개(4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기초부(10)의 외측면에는 기초부(10)를 지면에 고정시키는 고정부(11)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채움공간(20)은 기초부(10)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서 상부로 연장된 측벽(31)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확장도로(30)는 기초부(10)의 양측면으로 연장되거나 또는 일측면으로 연장될 수 있다.
삭제
바람직하게, 중앙도로(40)는 확장도로(30)에서 채움공간(20)의 상부로 연장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바람직하게, 기초부(10)와 확장도로(30)의 양측면에는 체결홈(51)이 형성되고, 테이퍼형상으로 양단이 기울어지는 체결봉(52)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기초부(10)와 확장도로(30)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관통된 관통홀(5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중앙도로(40)의 측면에서 관통홀(53)에는 와이어가 삽입되도록 관통된 와이어홀(4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도로 확장 블록은 농로, 강가, 인도 등의 좁은 도로 또는 비탈길을 깎아 형성된 좁은 도로 상에 설치되어 자체의 하중에 의해 설치상태를 유지하면서 도로를 확장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도로 확장 블록의 설치상태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로 확장 블록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도로 확장 블록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도로 확장 블록의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로 확장 블록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로 확장 블록은, 지면의 상부에 위치하는 기초부(10)와, 기초부(10)의 상부면에 위치하는 채움공간(20)과, 기초부(10)에서 상단측면으로 연장된 확장도로(30)와, 채움공간(20)의 상부에 위치하면서 확장도로(30)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된 중앙도로(40)를 구비한다.
기초부(10)는 콘크리트로 제작되며 지면에 수평하게 위치한다. 이때, 농로, 강가 등의 좁은 도로 또는 비탈길을 깎아 형성된 좁은 도로인 경우에는 도로와 동일한 폭을 갖도록 형성된다. 또한, 기초부(10)의 외측면에는 기초부(10)를 지면에 고정시키는 앵커볼트 등의 고정부(11)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채움공간(20)은 기초부(10)의 상부면에 놓여지며 자갈, 흙, 돌, 모래 등과 같이 손쉽게 이용가능한 채움재료를 사용하여 기초부(10)의 하중을 증가시킨다. 즉, 기초부(10)의 양측면에서 상부로 연장된 측벽(31)에 의해 채움공간(20)이 형성된다. 채움재료가 채움공간(20)에 채워지면 채움재료의 하중이 기초부(10)에 가해지기 때문에 확장도로(30)에 자전거 또는 사람 등의 중력이 가해지더라도 기초부(10)가 지면에서 안정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채움재료는 도로 지반을 형성하는 것과 같은 방법으로 채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확장도로(30)는 일단이 측벽(31)에 연결되고, 타단이 기초부(10)의 외측으로 지면에 수평하게 연장된다. 확장도로(30)는 농로와 같이 기초부(10)의 양측면으로 연장되거나 또는 비탈길과 같이 지면의 일측면으로 연장될 수 있다.
중앙도로(40)는 확장도로(30)에서 채움공간(20)의 상부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이때, 중앙도로(40)의 상부에는 채움공간(20)으로 연장된 다수의 채움홀(41)이 형성되고, 덮개(42)로 마감된다. 채움홀(41)을 통해 자갈, 흙, 모래 등은 채움공간(20)에 채운 후 덮개(42)를 덮어 마감한다.
한편, 기초부(10), 확장도로(30) 또는 중앙도로(40)는 이웃하는 도로 확장 블록이 서로 정확하게 체결할 수 있도록 체결홈(51)이 형성되고, 체결상태를 견고하기 유지하기 위하여 전방에서 후방으로 관통된 관통홀(53)이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중앙도로(40)는 측면에서 관통홀(53)까지 연장되어 와이어가 삽입되도록 관통된 와이어홀(43)이 형성된다. 이때, 체결홈(51)에는 테이퍼형상으로 양단이 기울어지는 체결봉(52)이 슬라이딩되면서 삽입되고, 관통홀(53)에는 PC강선이 삽입된다. 이에 따라 서로 이웃하는 도로 확장 블록이 연결되는 경우 일측의 체결홈(51)에 체결봉(52)을 삽입한 상태에서 이웃에 위치하는 도로 확장 블록을 체결봉(52)의 타단에 슬라이딩시키면서 체결하면 서로 장치를 정확하게 위치시킬 수 있다. 또한, 서로 이웃하는 도로 확장 블록이 설치되면 관통홀(53)이 서로 연장되기 때문에 PC강선을 삽입하여 견고하게 체결시킬 수 있다. 그리고, 서로 이웃하는 와이어홀(43)을 따라 PC강선 등의 와이어를 삽입하여 고정하면 서로 이웃하는 중앙도로(40)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확장도로(30)의 측면에는 이용자의 추락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안전가드레일 등이 장착된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도로 확장 블록의 중앙도로(40)는 자갈, 흙 등이 채움공간(20)에 채워진 후에 아스팔트 또는 콘크리트 등으로 확장도로(30)와 동일한 높이가 되도록 마감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도로 확장 블록은 기초부(10)의 일측에만 측벽(31)이 형성되고, 확장도로(30)가 측벽(31)의 상단에서 외부로 연장되어 일방향으로만 형성된다. 또한, 중앙도로(40)는 기초부(10)의 상부에 형성된 자갈, 흙 등이 채움공간(20)에 채워진 후에 아스팔트 또는 콘크리트 등으로 확장도로(30)와 동일한 높이가 되도록 마감하여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 3실시예와 같은 도로 확장 블록은 비탈길을 깎아 형성된 좁은 도로의 바깥쪽으로 확장도로가 놓이도록 위치시키면 기초부(10)의 측면개구부가 산비탈면이 측벽 역할을 수행하여 별도의 측벽이 없어도 채움공간에 놓여지는 채움재료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도로 확장 블록의 설치과정을 자세히 살펴본다.
본 발명의 도로 확장 블록은 농로, 비탈길, 강변 등과 같이 폭이 좁은 지면이 있는 곳에 장착된다. 먼저, 도로 확장 블록이 수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지면을 고르게 다진 상태에서 지면과 동일하거나 좁은 폭을 갖는 기초부(10)를 올려놓는다. 이때, 도로 확장 블록은 농로와 같은 지역에서는 양측방향으로 확장도로(30)가 형성된 것을 사용할 수 있고, 비탈길, 강가 등에서는 일측방향으로 확장도로(30)가 형성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기초부(10)가 지면에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거나 또는 지면의 일부가 유실되는 경우에도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기초부(10)의 외각으로 연장된 앵커볼트 등의 고정부(11)를 통해 지면에 고정할 수 있다.
한편, 도로 확장 블록을 서로 연결한 상태에서 PC강선을 관통홀(53)에 삽입하여 양측면에서 고정하면 서로 이웃하는 도로 확장 블록을 견고하게 체결할 수 있다.
그리고, 지면위에 기초부(10)가 놓여지면 기초부(10)의 상부면에 자갈, 흙, 돌 등의 채움재료를 쌓아 기초부(10)에 가해지는 하중을 증가시킨다. 이와 같이, 기초부(10)의 하중이 증가되면 기초부(10)에서 견디는 힘도 증가되어 확장도로(30)에 자전거 또는 사람 등이 통행하더라도 안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 후, 채움재료의 상부에 확장도로(30)와 동일한 높이로 중앙도로(40)를 형성한다. 중앙도로(40)는 자갈, 흙 등이 채움공간(20)에 채워진 후에 아스팔트 또는 콘크리트 등으로 확장도로(30)와 동일한 높이가 되도록 마감하여 형성된다. 이에 따라 중앙도로(40)와 확장도로(30)는 서로 연결되어 지면보다 넓은 폭을 갖는 도로를 형성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 기초부 11 : 고정부
20 : 채움공간 20 : 채움공간
30 : 확장도로 31 : 측벽
40 : 중앙도로 41 : 채움홀
42 : 덮개 43 : 와이어홀
51 : 체결홈 52 : 체결봉
53 : 관통홀

Claims (11)

  1. 지면의 상부에 위치하는 기초부(10)와;
    기초부(10)의 상부면에 위치하면서 자갈, 흙, 돌, 모래 또는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한 어느 하나의 채움재료로 채워져서 기초부(10)의 하중을 증가시는 채움공간(20)과;
    기초부(10)에서 상단측면으로 연장된 확장도로(30)와;
    채움공간(20)의 상부에 위치하면서 콘크리트로 타설되어 확장도로(30)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된 중앙도로(40)와;
    채움공간(20)으로 채움재료를 공급하기 위하여 중앙도로(40)의 상부에 형성된 다수의 채움홀(41)과 채움홀(41)을 덮는 덮개(4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확장 블록.
  2. 청구항 1에 있어서, 기초부(10)의 외측면에서 외각으로 연장되어 기초부(10)를 지면에 고정시키는 고정부(11)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확장 블록.
  3. 청구항 1에 있어서, 채움공간(20)은 기초부(10)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서 상부로 연장된 측벽(31)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확장 블록.
  4. 청구항 1에 있어서, 확장도로(30)는 기초부(10)의 양측면으로 연장되거나 또는 일측면으로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확장 블록.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중앙도로(40)는 확장도로(30)에서 채움공간(20)의 상부로 연장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확장 블록.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중앙도로(40)의 측면에서 관통홀(53)에는 와이어가 삽입되도록 관통된 와이어홀(4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확장 블록.
  9. 청구항 1에 있어서, 기초부(10)와 확장도로(30)의 양측면에는 체결홈(51)이 형성되고, 테이퍼형상으로 양단이 기울어지는 체결봉(52)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확장 블록.
  10. 청구항 1에 있어서, 기초부(10)와 확장도로(30)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관통된 관통홀(5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확장 블록.
  11. 삭제
KR1020100037315A 2010-04-22 2010-04-22 도로 확장 블록 KR1010106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7315A KR101010699B1 (ko) 2010-04-22 2010-04-22 도로 확장 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7315A KR101010699B1 (ko) 2010-04-22 2010-04-22 도로 확장 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10699B1 true KR101010699B1 (ko) 2011-01-24

Family

ID=436167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7315A KR101010699B1 (ko) 2010-04-22 2010-04-22 도로 확장 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069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11804A (ja) * 1995-05-22 1996-11-26 Mirukon:Kk 道路拡幅用ブロック、及びそれを用いた水路兼用拡幅構造物
JPH10183508A (ja) * 1996-12-25 1998-07-14 Nippon Samikon Kk 道路拡張構造と道路拡張工法
JP2002356801A (ja) * 2001-03-26 2002-12-13 Shouda:Kk 道路造成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上部工版
KR100645491B1 (ko) * 2005-11-04 2006-11-23 이엔이건설주식회사 확폭플랜지부가 형성된 교량용 유형 거더 설치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11804A (ja) * 1995-05-22 1996-11-26 Mirukon:Kk 道路拡幅用ブロック、及びそれを用いた水路兼用拡幅構造物
JPH10183508A (ja) * 1996-12-25 1998-07-14 Nippon Samikon Kk 道路拡張構造と道路拡張工法
JP2002356801A (ja) * 2001-03-26 2002-12-13 Shouda:Kk 道路造成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上部工版
KR100645491B1 (ko) * 2005-11-04 2006-11-23 이엔이건설주식회사 확폭플랜지부가 형성된 교량용 유형 거더 설치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3660B1 (ko) 앵커와 콘크리트패널을 이용한 옹벽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0802338B1 (ko) 조경석을 이용한 성토부의 시공 방법
CN210658419U (zh) 一种太阳能路灯用深埋式地基
CN204551491U (zh) 一种边坡防护绿化结构
KR101063987B1 (ko) 자연석재판으로 형성된 석벽의 시공방법
KR101010699B1 (ko) 도로 확장 블록
JP2010209514A (ja) 道路用ブロック、道路及び道路拡幅方法
JP3012551B2 (ja) 張り出し歩道構造
KR100592416B1 (ko) 보도가 확보되지 않은 협소한 도로에서 콘크리트옹벽블록과 트러스형 받침대를 이용한 보도확보 및차도확폭 시공방법
KR100971444B1 (ko) 확장형 보도 블록
KR100763497B1 (ko) 낙석 방지용 울타리 시공방법
JP2005120607A (ja) 道路造成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並びに上部工版
JP4700987B2 (ja) 張出車道ブロック及び該ブロックを用いた張出車道の施工方法
JP5318257B1 (ja) コンクリート製張出歩道構成体及び該構成体を用いた張出歩道を有する車道の建設方法
KR101351075B1 (ko) 다중 그물망을 이용한 부등침하 방지기능을 갖는 보도 블록 포장구조 및 보도 블록 포장방법
JP5845560B2 (ja) 埋戻し構造及び埋戻し工法
CN104631474A (zh) 一种边坡防护绿化结构
JP4468133B2 (ja) 張出車道ブロック及び該ブロックを用いた張出車道の施工方法
KR20100001503U (ko) 비탈면 보호용 격자틀
KR102249603B1 (ko) 옹벽 시공방법
CN216338785U (zh) 一种基于山区高陡边坡的路基构造
KR101288888B1 (ko) 지오그리드와 네일을 이용한 사면복구공법
KR101186563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말뚝기초를 이용한 방음펜스 기초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CN215715242U (zh) 一种变截面t型桩板墙结构
JPS6349764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