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0102B1 - 데이터 전송 시스템, 데이터 전송 장치, 데이터 기록장치, 데이터 관리 방법, 식별자 생성 방법 - Google Patents

데이터 전송 시스템, 데이터 전송 장치, 데이터 기록장치, 데이터 관리 방법, 식별자 생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0102B1
KR101010102B1 KR1020037002045A KR20037002045A KR101010102B1 KR 101010102 B1 KR101010102 B1 KR 101010102B1 KR 1020037002045 A KR1020037002045 A KR 1020037002045A KR 20037002045 A KR20037002045 A KR 20037002045A KR 101010102 B1 KR101010102 B1 KR 1010101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content
recording medium
identifier
content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20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22391A (ko
Inventor
미끼 아베
다까후미 호소이
히로미 마쯔다
마사오 다나까
Original Assignee
소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300223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23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01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01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4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providing a confidential data exchange among entities communicating through data packet networks
    • H04L63/042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providing a confidential data exchange among entities communicating through data packet networks wherein the data content is protected, e.g. by encrypting or encapsulating the payloa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10Protecting distributed programs or content, e.g. vending or licensing of copyrighted material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8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8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 G11B20/00094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measures which result in a restriction to authorised record carriers
    • G11B20/00115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measures which result in a restriction to authorised record carriers wherein the record carrier stores a unique medium identifi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8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 G11B20/0016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measures which result in a restriction to authorised content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a record carrier, e.g. music or softwar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8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 G11B20/0016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measures which result in a restriction to authorised content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a record carrier, e.g. music or software
    • G11B20/00181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measures which result in a restriction to authorised content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a record carrier, e.g. music or software using a content identifier, e.g. an international standard recording code [ISRC] or a digital object identifier [DOI]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8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 G11B20/00188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measures which result in a restriction to authorised devices recording or reproducing contents to/from a record carrier
    • G11B20/00195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measures which result in a restriction to authorised devices recording or reproducing contents to/from a record carrier using a device identifier associated with the player or recorder, e.g. serial numbers of playback apparatuses or MAC address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8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 G11B20/0021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encryption or decryption of content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a record carri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8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 G11B20/0021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encryption or decryption of content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a record carrier
    • G11B20/00217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encryption or decryption of content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a record carrier the cryptographic key used for encryption and/or decryption of content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the record carrier being read from a specific source
    • G11B20/00224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encryption or decryption of content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a record carrier the cryptographic key used for encryption and/or decryption of content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the record carrier being read from a specific source wherein the key is obtained from a remote serv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8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 G11B20/0071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a purchase ac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8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 G11B20/0071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a purchase action
    • G11B20/00724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a purchase action wherein a prepaid credit balance is registered on the recording medium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8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 G11B20/00855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a step of exchanging information with a remote serv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11B27/034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on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2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 G11B27/105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of operating disc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2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221/2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21/00 and subgroups addressing additional information or applications relating to 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221/2103Challenge-respons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11B20/1217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 G11B20/1251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for continuous data, e.g. digitised analog information signals, pulse code modulated [PCM] data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1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of read-only, rewritable, or recordable type
    • G11B2220/215Recordable discs
    • G11B2220/216Rewritable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1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of read-only, rewritable, or recordable type
    • G11B2220/215Recordable discs
    • G11B2220/218Write-once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25Magneto-optical [MO] discs
    • G11B2220/2529Mini-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45C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62DVDs [digital versatile discs]; Digital video discs; MMCDs; HDC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62DVDs [digital versatile discs]; Digital video discs; MMCDs; HDCDs
    • G11B2220/2575DVD-R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463/00Additional details relating to 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covered by H04L63/00
    • H04L2463/101Additional details relating to 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covered by H04L63/00 applying security measures for digital rights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chnology Law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원 발명은, 콘텐츠 전송의 적절한 관리 및 동작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데이터 전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데이터 전송 장치측(1차 기록 매체측)에서는, 저장되어 있는 각 콘텐츠 데이터에 대한 전송 권리를 관리함과 함께, 데이터 기록 장치(2차 기록 매체측)로 전송한 콘텐츠 데이터에 대해서는, 그 콘텐츠 데이터에 대응하는 제1 콘텐츠 식별자와 데이터 기록 장치측로부터 송신되어 온 제2 콘텐츠 식별자를 대응시킨 테이블 데이터를 생성한 상태에서, 콘텐츠 데이터의 전송 권리를 관리한다. 즉 2차 기록 매체측에서 콘텐츠 식별자(콘텐츠 ID)를 기록할 수 없는 경우에도, 2차 기록 매체측에서 발생시키는 콘텐츠 ID(제2 콘텐츠 식별자)를 이용하여 2차 기록 매체 상의 콘텐츠 데이터를 식별할 수 있고, 또한 그것이 1차 기록 매체측의 콘텐츠 ID(제1 콘텐츠 식별자)와 대응되도록 한다.
콘텐츠 ID, 콘텐츠 식별자, SDMI 콘텐츠, 콘텐츠 전송

Description

데이터 전송 시스템, 데이터 전송 장치, 데이터 기록 장치, 데이터 관리 방법, 식별자 생성 방법{DATA TRANSFER SYSTEM, DATA TRANSFER APPARATUS, DATA RECORDING APPARATUS, DATA MANAGEMENT METHOD, IDENTIFIER GENERATION METHOD}
본 발명은, 음악 등의 콘텐츠 데이터의 전송/기록에 적합한, 데이터 전송 시스템, 데이터 전송 장치, 데이터 기록 장치, 데이터 관리 방법, 식별자 생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퍼스널 컴퓨터의 HDD(하드디스크 드라이브)를 1차 기록 매체로서 취급하여 음악 등의 콘텐츠 데이터를 저장함과 함께, 저장한 콘텐츠 데이터를 전송하여 다른 기록 매체(2차 기록 매체)에 기록하고, 그 2차 기록 매체측에서 음악 등의 재생을 즐긴다고 하는 사용 형태가 있다. 또한 콘텐츠 데이터란, 예를 들면 음악 데이터, 영상 데이터, 게임 데이터, 컴퓨터 소프트웨어 등의 배신/전송/사용의 목적이 주가 되는 데이터이다.
이 경우, HDD에는, CD-DA(Compact Disc Digital Audio)나 DVD(Digital Versatile Disc) 등의 패키지 미디어로부터 재생된 음악 등의 콘텐츠 데이터가 축적되거나, 혹은 퍼스널 컴퓨터가 접속된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의 음악 서버 등으로부터 다운로드된 콘텐츠 데이터가 축적된다. 그리고 사용자는, 퍼스널 컴퓨 터에 2차 기록 매체의 기록 장치를 접속하여, HDD에 축적된 콘텐츠 데이터를 2차 기록 매체에 복사(복제) 또는 무브(이동)시켜, 이 2차 기록 매체에 대응하는 재생 장치에서 음악 등의 콘텐츠 데이터를 재생시킨다.
2차 기록 매체로서는, 예를 들면 플래시 메모리 등의 반도체 메모리를 이용한 메모리 카드나, 광 자기 디스크로서의 미니 디스크, 혹은 CD-R(CD Recordable), CD-RW(CD Rewritable), DVD-RAM, DVD-R, DVD-RW 등을 생각할 수 있다.
2차 기록 매체에 대응하는 기록 장치, 재생 장치로서, 이들 미디어(기록 매체)에 대응하는 레코더/플레이어는, 널리 보급되어 있어, 거치형의 기록 재생 장치나, 포터블 타입의 기록 재생 장치 등으로서 다양하게 존재하고, 각 사용자는 각각 자신의 기호나 소유하는 기기에 맞춰, 콘텐츠 데이터의 기록/재생을 행하게 된다.
또한, 예를 들면 이러한 콘텐츠 데이터의 사용 형태를 생각할 때는, 콘텐츠 데이터에 대한 저작권 보호를 고려해야 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콘텐츠 데이터의 배신 서비스를 이용하거나, 패키지 미디어의 구입 등을 행하여, HDD에 콘텐츠 데이터를 축적한 후, 그 콘텐츠 데이터를 무제한으로 2차 기록 매체에 복사 가능하게 하면, 저작권자의 정당한 보호가 도모되지 않는 사태가 발생한다. 이 때문에 디지털 데이터로서의 콘텐츠 데이터의 취급상 저작권 보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기술이나 데이터 처리상의 약정이 제안되어 있으며, 그 중 하나로 SDMI(SECURE DIGITAL MUSIC INITIATIVE)라는 규격이 있다.
이 SDMI로 책정된 데이터 패스에 대해서는 후술하지만, 예를 들면 1차 기록 매체로서의 HDD를 구비한 퍼스널 컴퓨터에 축적된 콘텐츠, 예를 들면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배신된 콘텐츠 데이터(이하, 네트워크 콘텐츠)나, 예를 들면 퍼스널 컴퓨터에 내장되어 있는 CD-ROM 드라이브 등의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혹은 퍼스널 컴퓨터와 접속된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서 재생되는 CD-DA, DVD 등의 패키지 미디어로부터 판독된 콘텐츠 데이터(이하, 디스크 콘텐츠)에 대하여, 2차 기록 매체로의 전송/기록이, 저작권 보호와 일반 사용자의 이익(사적 복제의 권리)을 감안한 후에, 적절하게 행해지도록 되어 있다.
한편, HDD 등의 1차 기록 매체로부터 미니 디스크나 메모리 카드 등의 2차 기록 매체로 콘텐츠 데이터를 전송하여 복사하는 경우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저작권 보호나 사적 복제의 권리의 양쪽을 만족시키기 위한 연구가 실시되고 있다.
즉 상기 SDMI 대응의 2차 기록 매체에 대한 전송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이 되어 있다.
SDMI 대응의 2차 기록 매체란, 예를 들면 플래시 메모리 등의 반도체 메모리를 이용한 SDMI 대응의 메모리 카드 등이 상정되고, 이 2차 기록 매체에는 콘텐츠가 암호화된 상태로 기록된다. 예를 들면 HDD 등의 1차 기록 매체에서는, SDMI 방식의 콘텐츠인 경우에는 암호화가 실시되어 축적되고, 따라서, 그 암호화 상태 그대로 2차 기록 매체에 복사되게 된다.
물론 2차 기록 매체에 대한 재생 기기에서는, 암호 해독 기능이 구비되어 있으며, 따라서 암호화 상태로 복사된 콘텐츠 데이터를 재생시킬 수 있다.
또한 SDMI 대응의 2차 기록 매체에서는 각 콘텐츠 데이터에 대한 식별자가 되는 콘텐츠 ID를 기록하는 영역이 포맷 상, 준비되어 있다.
콘텐츠 ID는, 1차 기록 매체측의 기기에서 1차 기록 매체(HDD)에 축적된 각 콘텐츠 데이터에 대하여 생성되어, 콘텐츠 데이터와 함께 저장되는 것이지만, 콘텐츠 데이터를 2차 기록 매체에 복사하는 경우에는, 그 콘텐츠 데이터에 대한 콘텐츠 ID도 2차 기록 매체에 기록되게 된다.
콘텐츠 ID는, 1차 기록 매체측과 2차 기록 매체측에서의 콘텐츠 권리 관리에 이용된다. 여기서 말하는 콘텐츠 권리란, 1차 기록 매체측에 대해서는 2차 기록 매체로의 전송권(2차 기록 매체에 복사시킬 권리)이고, 2차 기록 매체측에 대해서는 복사한 콘텐츠 데이터의 재생권이 된다.
또한, 이하, 1차 기록 매체로부터 2차 기록 매체로의 콘텐츠 데이터의 전송(권리 양도)을 「체크아웃」이라고 하고, 또한 2차 기록 매체로부터 1차 기록 매체로의 콘텐츠 데이터의 반환(실제로는 권리의 반환)을 「체크인」이라고 한다.
SDMI 방식에서는, 체크아웃, 체크인에 관해서는, 전송의 취급 룰(Usage Rule)이 정해진다.
일례로서는, 하나의 콘텐츠 데이터에 대하여, 1차 기록 매체로부터 2차 기록 매체로의 체크아웃은 3회 허용된다(상기 전송권은 「3회」로 된다).
체크아웃이 행해지면, 권리가 2차 기록 매체측으로 양도되게 되어, 1차 기록 매체측에서는 그 콘텐츠 데이터의 남은 전송권은 2회로 된다. 한편, 2차 기록 매체측에서는 재생권을 얻게 된다.
또한, 2차 기록 매체로부터 1차 기록 매체에 체크인을 행하면, 권리가 반환되게 된다. 즉, 2차 기록 매체측에서는 재생권을 상실하고, 1차 기록 매체측에서 는 전송권이 하나 부활된다.
이러한 체크아웃/체크인의 관리는, 각 콘텐츠 데이터 별로 콘텐츠 ID를 이용하여 행해진다.
그리고 체크아웃 시에는, 콘텐츠 데이터 및 콘텐츠 ID가 2차 기록 매체측에 기록됨으로써, 2차 기록 매체측에서는 콘텐츠 데이터의 재생이 가능해진다(재생권을 얻는다). 1차 기록 매체에서는, 콘텐츠 ID를 하나 양도한 것으로 간주하여, Usage Rule에 의한 전송권을 하나 감소시킨다.
또한 체크인 시에는, 실제로는 콘텐츠 데이터의 반환 전송은 행해지지 않고, 2차 기록 매체에서 콘텐츠 데이터를 소거하고, 1차 기록 매체측에서는 콘텐츠 ID가 반환된 것으로 하여, Usage Rule에 의한 전송권을 하나 증가시킨다. 2차 기록 매체측에서는 재생권을 상실하게 된다.
이와 같이 SDMI 대응의 2차 기록 매체에 대해서는, 콘텐츠 데이터가 암호화 상태로 복사 기록되고, 또한 체크아웃, 체크인에 따라 콘텐츠의 권리가 관리됨으로써, 무제한의 복사를 방지하여 저작권 보호를 도모하며, 또한 한편으로 사용자의 사적 복제권을 확보하고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외부 서버로부터 1차 기록 매체로서의 HDD에 다운로드되어 저장되는 콘텐츠 데이터는 콘텐츠 키 CK로 암호화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의 설명을 위해, 1차 기록 매체인 HDD에는, ATRAC3 방식(물론 다른 압축 방식이어도 되지만)으로 압축된 콘텐츠 데이터 「A3D」가 콘텐츠 키 CK로 암호화되어 저장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을 위해, 키 X로 암호화된 데이터 y를,
E(x, y)
로 표현한다.
또한 그 암호화 데이터 E(x, y)에 대하여, 키 x에 의해 암호화를 복호한 데이터를,
D{x, E(x, y)}
로 표현하기로 한다.
따라서, 예를 들면 상기한 바와 같이 ATRAC3 방식의 압축 데이터를 「A3D」라고 하면, 콘텐츠 키 CK로 암호화된 콘텐츠 데이터 「A3D」는,
E(CK, A3D)
로 된다.
또한 E(CK, A3D)가 키 CK로 복호된 데이터는,
D{CK, E(CK, A3D)}
로 표현할 수 있다.
또한 1차 기록 매체인 HDD에는, 암호화 콘텐츠 데이터 E(CK, A3D)와 함께, 루트 키 KR로 암호화된 상태의 콘텐츠 키 CK, 즉, E(KR, CK)도 저장된다. 예를 들면 외부 서버로부터 암호화 콘텐츠 데이터 E(CK, A3D)와 함께, 암호화 콘텐츠 키 E(KR, CK)가 다운로드된다.
이 경우, 1차 기록 매체인 HDD로부터 2차 기록 매체로 콘텐츠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암호화 콘텐츠 데이터 E(CK, A3D)와 암호화 콘텐츠 키 E(KR, CK)를 송 신하면 된다.
2차 기록 매체측 기기에서는, 루트 키 KR를 보유하고 있음으로써, 루트 키 KR을 이용하여 콘텐츠 키 CK를 복호하고, 또한 복호한 콘텐츠 키 CK를 이용하여 암호화 콘텐츠 데이터를 복호할 수 있게 된다.
단 루트 키 KR은, 저작권자측의 의지나 각종 사정에 따라서 변경되는 것으로, 콘텐츠 데이터마다 다른 루트 키 KR을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구체예에 대해서는 후술하지만, 루트 키 KR의 처리에 의해 콘텐츠 배신처를 한정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다.
이 때문에, EKB(Enabling Key Block: 유효화 키 블록)로 불리는 데이터가 배신되는 경우도 있으며, 콘텐츠 데이터가 전송되는 정규 단말기에서는, EKB에 의해 루트 키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 방식도 채용되고 있다. 즉 EKB도 상기 암호화 콘텐츠 데이터나 암호화 콘텐츠 키와 함께 서버로부터 배신되어 HDD에 저장된다.
여기서, 현재 널리 보급되어 있는 미니 디스크(광 자기 디스크)를 2차 기록 매체로서 이용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예를 들면 SDMI 대응의 미니 디스크 기록 장치를 생각하는 경우, 그 미니 디스크 기록 장치는, 체크아웃된 콘텐츠 데이터에 대하여, 암호화된 상태 그대로인 E(CK, A3D)의 상태로 미니 디스크에 기록하는 것으로 된다.
그리고 재생 시에는 SDMI 대응의 미니 디스크 재생 장치가, D{CK, E(CK, A3D)}=A3D로서 암호 해독된 ATRAC3 데이터(A3D)를 얻은 후에, 소정의 디코드 처리를 행하여 음악 등의 재생 출력을 행하게 된다.
한편, 일반적으로 보급되어 있는 미니 디스크 시스템에서는, 미니 디스크에 암호화 데이터를 기록하지 않는다. 당연히, 미니 디스크 재생 장치에는 암호 해독 기능은 없다.
따라서, SDMI 대응의 미니 디스크 기록 장치에서 콘텐츠 데이터를 미니 디스크에 기록한다고 해도, 그 미니 디스크에 기록된 콘텐츠 데이터를, SDMI 대응이 아닌 대부분의 미니 디스크 플레이어에서는 재생할 수 없게 된다. 즉 재생 호환성이 얻어지지 않는다.
이것은, 일반 사용자가 구입한 SDMI 콘텐츠의 적정한 이용을 제한하게 되어, 일반 사용자에 대한 SDMI 콘텐츠 제공 서비스의 가치나 만족도를 크게 저하시키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면, SDMI 콘텐츠를, 2차 기록 매체에 복사 기록할 때에, 암호화를 푼 상태에서, 예를 들면 SDMI에 대응하지 않는 미니 디스크 기록 장치로 전송하여, 암호화되어 있지 않은 상태로 미니 디스크 등의 2차 기록 매체에 기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그와 같은 복사를 가능하게 하는 것은, 콘텐츠 데이터의 복사를 용이하게 한다. 이것은 위법한 복사를 가능하게 하는 여지를 남기게 되어, SDMI 본래의 목적인 저작권 보호를 실현할 수 없는 우려가 있다.
따라서 콘텐츠 데이터 전송의 하나의 방법으로서, 다음과 같은 전송 방식을 본 출원인은 먼저 제안한다.
즉, 콘텐츠 데이터 전송 시에는, 데이터 전송 장치(1차 기록 매체측 기기)가 전송처로 되는 데이터 기록 장치(2차 기록 매체측 기기)의 인증을 행하여, 인증 OK로 되는 것, 및 콘텐츠 제공자측(저작권자 등)의 허락이 있는 것을 조건으로 하여 콘텐츠 데이터를 전송 허가한다. 그리고 콘텐츠 데이터는 암호화 상태로 전송로 상으로 전송되지만, 2차 기록 매체에는 암호화가 풀어져 기록된다. 또한, 체크아웃, 체크인에 대한 권리 관리도 행해진다.
이에 의해, 비암호화 상태에서의 복사 기록을 허용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함과 함께, 저작권 보호 기능이 상실되지 않도록 한다.
그러나 이러한 전송 방식에 대해서는, 이하와 같은 문제가 있다.
종래부터 보급되고 있는 미니 디스크 등의 미디어를 2차 기록 매체로 하여, SDMI 콘텐츠의 체크아웃/체크인을 행하고자 하는 경우, 미니 디스크측에 콘텐츠 ID를 기록할 수 없다고 하는 사정이 있다. 즉 미니 디스크 상에서는 콘텐츠 ID를 기록하는 영역이 준비되어 있지 않으며, 또한 이미 보급된 미니 디스크 레코더에서는 콘텐츠 ID를 관리하는 기능이 없다.
예를 들면 미니 디스크의 관리 영역(U-TOC) 등에 콘텐츠 ID를 기록하는 영역을 새롭게 설정할 수는 있어도, 종전의 미니 디스크 레코더에서 기록이나 편집이 행해져 U-TOC가 갱신되면, 콘텐츠 ID는 상실되게 된다.
즉 종전의 기기와의 호환성을 획득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함으로써, 미니 디스크측에서 콘텐츠 ID를 관리할 수 없다.
그리고 콘텐츠 ID를 관리할 수 없기 때문에, 예를 들면 체크인을 관리할 수 없게 된다.
한편, 미니 디스크 등의 2차 기록 매체측에서 예를 들면 콘텐츠 데이터 그 자체로부터 각 콘텐츠 데이터의 식별자가 되는 콘텐츠 ID를 생성하는 것은 가능하다.
그러나 콘텐츠 ID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디스크를 씨크하여 콘텐츠 데이터의 일부를 판독하는 것 등이 필요하여, 처리에 시간이 걸린다고 하는 난점이 있음과 함께, 그와 같이 하여 2차 기록 매체측에서 콘텐츠 ID를 생성해도, 1차 기록 매체측의 콘텐츠 ID와 일치하지 않기 때문에, 결국 관리 불능으로 된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1차 기록 매체와 비암호화 상태로 콘텐츠 데이터를 기록하는 2차 기록 매체 사이에서의 콘텐츠 데이터의 전송 관리를 적절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하여, 처리의 효율화를 실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데이터 전송 장치와 데이터 기록 장치로 이루어지는 데이터 전송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데이터 전송 장치는, 1차 기록 매체에 대하여 데이터의 기록 재생을 행하는 1차 기록 매체 드라이브 수단과, 암호화된 콘텐츠 데이터 및 해당 콘텐츠 데이터에 고유하게 생성한 제1 콘텐츠 식별자를, 상기 1차 기록 매체에 저장시키는 저장 제어 수단과, 상기 데이터 기록 장치와의 사이에서, 콘텐츠 데이터의 전송을 포함하는 각종 데이터 통신을 행하는 통신 수단과, 상기 각 콘텐츠 데이터에 대한 전송 권리를 관리함과 함께, 상기 데이터 기록 장치에 대하여 전송한 콘텐츠 데이터에 대해서는, 해당 콘텐츠 데이터에 대응하는 상기 제1 콘텐츠 식별자와 상기 데이터 기록 장치측으로부터 송신되어 온 제2 콘텐츠 식별자를 대응시킨 테이블 데이터를 생성한 상태에서, 콘텐츠 데이터의 전송 권리를 관리하는 전송 관리 수단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전송 관리 수단은, 각 콘텐츠 데이터에 대한 상기 전송 권리로서, 외부의 데이터 기록 장치에 대한 전송 허가 횟수를 관리한다.
또한 상기 전송 관리 수단은, 상기 2차 기록 매체에 기록시킨 임의의 콘텐츠 데이터에 대하여, 상기 2차 기록 매체측에서의 재생 권리를 소실시킬 때에, 상기 데이터 기록 장치에 대하여, 해당 콘텐츠 데이터에 대한 상기 제2 콘텐츠 식별자를 요구하고, 송신되어 온 제2 콘텐츠 식별자를 상기 테이블 데이터에서 대조한 후에, 해당하는 콘텐츠 데이터에 대한 전송 권리를 갱신한다.
또한 본 발명의 데이터 기록 장치는,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와의 사이에서, 콘텐츠 데이터의 수신을 포함하는 각종 데이터 통신을 행하는 통신 수단과 2차 기록 매체에 대하여 데이터의 기록 재생을 행하는 2차 기록 매체 드라이브 수단과,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암호화된 콘텐츠 데이터를 비암호화 상태로 복호하는 복호 수단과, 상기 복호 수단으로 복호된 콘텐츠 데이터를 상기 2차 기록 매체 드라이브 수단에 의해 상기 2차 기록 매체에 기록시키는 기록 제어 수단과, 비암호화 상태의 콘텐츠 데이터로부터 상기 제2 콘텐츠 식별자를 생성하는 식별자 생성 수단과, 상기 식별자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된 상기 제2 콘텐츠 식별자를 상기 통신 수단에 의해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로 송신시키는 식별자 송신 제 어 수단을 구비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식별자 생성 수단은, 콘텐츠 데이터의 데이터 길이에 기초하여 특정된 샘플링 포인트에 의해 콘텐츠 데이터의 일부를 추출하고, 추출한 데이터를 이용한 연산 처리에 의해 상기 제2 콘텐츠 식별자를 생성한다.
이 경우, 상기 샘플링 포인트는, 콘텐츠 데이터의 선두 부분 및 종단 부분을 제외한 하나 또는 복수의 포인트로 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로부터 콘텐츠 데이터가 전송되어 올 때에, 상기 식별자 생성 수단은, 상기 복호 수단에 의해 복호된 콘텐츠 데이터가 상기 2차 기록 매체에 기록되기까지의 데이터 경로 상에서, 상기 샘플링 포인트의 데이터를 추출해 놓고, 추출한 데이터를 이용한 연산 처리에 의해 상기 제2 콘텐츠 식별자를 생성하며, 상기 식별자 송신 제어 수단은,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로부터의 콘텐츠 데이터 전송 완료 후에, 상기 식별자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된 상기 제2 콘텐츠 식별자를 상기 통신 수단에 의해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로 송신시킨다.
콘텐츠 데이터가 기록된 상기 2차 기록 매체가 데이터 기록 장치에 장착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2차 기록 매체 드라이브 수단은, 상기 2차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각 콘텐츠 데이터에 대하여, 사전에 상기 샘플링 포인트의 데이터를 재생하여 기억 수단에 기억시켜 두고,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로부터 상기 2차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콘텐츠 데이터에 대한 상기 제2 콘텐츠 식별자가 요구되었을 때에는, 상기 식별자 생성 수단은,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된 샘플링 포인트의 데이터를 이용한 연산 처리에 의해 상기 제2 콘텐츠 식별자를 생성하고, 상기 식별자 송신 제어 수단은, 생성된 상기 제2 콘텐츠 식별자를 상기 통신 수단에 의해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로 송신시킨다.
또는, 콘텐츠 데이터가 기록된 상기 2차 기록 매체가 데이터 기록 장치에 장착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2차 기록 매체 드라이브 수단은, 상기 2차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각 콘텐츠 데이터에 대하여, 사전에 상기 샘플링 포인트의 데이터를 재생하고, 상기 식별자 생성 수단은, 상기 재생된 샘플링 포인트의 데이터를 이용한 연산 처리에 의해 상기 각 콘텐츠 데이터에 대한 상기 제2 콘텐츠 식별자를 생성하여 기억 수단에 기억시켜 두고,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로부터 상기 2차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콘텐츠 데이터에 대한 상기 제2 콘텐츠 식별자가 요구되었을 때에는, 상기 식별자 송신 제어 수단은,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제2 콘텐츠 식별자를 상기 통신 수단에 의해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로 송신시킨다.
본 발명의 데이터 관리 방법은, 암호화되어 1차 기록 매체에 기록된 콘텐츠 데이터에 대한, 2차 기록 매체로의 전송 권리를 관리하는 데이터 관리 방법으로서, 상기 각 콘텐츠 데이터에 대하여 생성한 제1 콘텐츠 식별자에 각각 대응시켜, 각 콘텐츠 데이터의 전송 권리를 관리함과 함께, 2차 기록 매체로 전송한 콘텐츠 데이터에 대해서는, 이 콘텐츠 데이터에 대응하는 상기 제1 콘텐츠 식별자와 상기 2차 기록 매체측 기기로부터 송신되어 온 제2 콘텐츠 식별자를 대응시킨 테이블 데이터를 생성한 상태에서, 콘텐츠 데이터의 전송 권리를 관리한다.
이 경우, 각 콘텐츠 데이터에 대한 상기 전송 권리로서, 외부의 2차 기록 매체에 대한 전송 허가 횟수를 관리한다.
또한 2차 기록 매체에 기록시킨 임의의 콘텐츠 데이터에 대하여, 상기 2차 기록 매체측에서의 재생 권리를 소실시킬 때에, 2차 기록 매체측 기기에 대하여, 해당 콘텐츠 데이터에 대한 상기 제2 콘텐츠 식별자를 요구하고, 송신되어 온 제2 콘텐츠 식별자를 상기 테이블 데이터에서 대조한 후에, 해당하는 콘텐츠 데이터에 대한 전송 권리를 갱신한다.
본 발명의 식별자 생성 방법은, 콘텐츠 데이터의 데이터 길이에 기초하여 특정된 샘플링 포인트에 의해 콘텐츠 데이터의 일부를 추출하고, 추출한 데이터를 이용한 연산 처리에 의해 콘텐츠 식별자를 생성한다.
이 경우, 상기 샘플링 포인트는, 콘텐츠 데이터의 선두 부분 및 종단 부분을 제외한 하나 또는 복수의 포인트로 한다.
또한 암호화된 콘텐츠 데이터가 수신되어, 비암호화 상태로 복호되어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경우에, 복호된 콘텐츠 데이터가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되기까지의 데이터 경로 상에서, 상기 샘플링 포인트의 데이터를 추출해 놓고, 추출한 데이터를 이용한 연산 처리에 의해 콘텐츠 식별자를 생성한다.
또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각 콘텐츠 데이터에 대해서는, 외부 기기로부터의 콘텐츠 식별자의 요구에 앞서서, 사전에 상기 샘플링 포인트의 데이터를 기록 매체로부터 재생하여 기억해 놓고,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콘텐츠 데이터에 대한 콘텐츠 식별자가 요구되었을 때에, 상기 기억한 샘플링 포인트의 데이터를 이용한 연산 처리에 의해 콘텐츠 식별자를 생성한다.
혹은,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각 콘텐츠 데이터에 대해서는, 외부 기기 로부터의 콘텐츠 식별자의 요구에 앞서서, 사전에 상기 샘플링 포인트의 데이터를 기록 매체로부터 재생하고, 재생한 샘플링 포인트의 데이터를 이용한 연산 처리에 의해 콘텐츠 식별자를 생성하여 기억해 둔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데이터 전송 장치와 데이터 기록 장치 사이의 콘텐츠 데이터의 체크아웃/체크인에 따른 권리 관리를, 제1, 제2 콘텐츠 식별자(콘텐츠 ID)를 이용하여 적정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기록 장치측에서의 제2 콘텐츠 식별자의 생성도 효율화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이용되는 암호화 방식의 트리 구조의 설명도.
도 2A 내지 도 2B는 실시예에서 이용되는 암호화 방식의 EKB의 설명도.
도 3은 실시예에서 이용되는 암호화 방식의 EKB 구조의 설명도.
도 4는 실시예의 시스템 구성의 블록도.
도 5는 실시예의 SDMI 콘텐츠의 데이터 패스예의 설명도.
도 6은 실시예의 1차 기록 매체측 기기의 블록도.
도 7은 실시예의 2차 기록 매체측 기기의 블록도.
도 8은 미니 디스크 시스템의 클러스터 포맷의 설명도.
도 9는 미니 디스크의 에리어 구조의 설명도.
도 10은 미니 디스크 시스템의 U-TOC 섹터0의 설명도.
도 11은 미니 디스크 시스템의 U-TOC 섹터0의 링크 형태의 설명도.
도 12는 실시예의 인증 처리의 흐름도.
도 13은 실시예의 배신/전송되는 콘텐츠 데이터 및 암호화 상태의 설명도.
도 14A 내지 도 14B는 실시예의 암호화 방식예 및 DNK의 설명도.
도 15는 실시예의 콘텐츠 데이터의 암호 해제 수순의 설명도.
도 16은 실시예의 체크아웃 컨트롤 커맨드의 설명도.
도 17은 실시예의 체크아웃 응답 커맨드의 설명도.
도 18은 실시예의 레코드 오브젝트 컨트롤 커맨드의 설명도.
도 19는 실시예의 레코드 오브젝트 응답 커맨드의 설명도.
도 20은 실시예의 체크인 컨트롤 커맨드의 설명도.
도 21은 실시예의 체크인 컨트롤 커맨드의 서브 기능의 설명도.
도 22는 실시예의 체크인 응답 커맨드의 설명도.
도 23은 실시예의 체크인 응답 커맨드의 설명도.
도 24는 실시예의 배타적 로그인 컨트롤 커맨드의 설명도.
도 25는 실시예의 배타적 로그아웃 컨트롤 커맨드의 설명도.
도 26은 실시예의 체크아웃 동작의 흐름도.
도 27은 실시예의 체크아웃 동작의 흐름도.
도 28은 실시예의 체크인 동작의 흐름도.
도 29는 실시예의 콘텐츠 ID 생성의 설명도.
도 30은 실시예의 콘텐츠 ID 대응 테이블의 설명도.
도 31은 실시예의 체크아웃 시의 콘텐츠 ID 생성 처리의 흐름도.
도 32A 내지 도 32B는 실시예의 체크인 전의 콘텐츠 ID 생성 처리의 흐름도.
도 33A 내지 도 33B는 실시예의 체크인 전의 콘텐츠 ID 생성 처리의 흐름도.
도 34는 실시예의 기입 제어 플래그에 의한 동작의 설명도.
도 35는 실시예의 과금 정보 판독 동작의 흐름도.
도 36은 실시예의 과금 관리 시스템의 설명도.
도 37은 실시예의 고객 데이터베이스의 설명도.
도 38은 실시예의 선불 정보의 설명도.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다음의 순서로 설명한다.
1. 암호화 키의 트리 구조 및 EKB
2. 시스템 구성
3. SDMI 콘텐츠의 데이터 패스
4. 데이터 전송 장치의 구성예(1차 기록 매체측 기기/PC)
5. 데이터 기록 장치의 구성예(2차 기록 매체측 기기/기록 재생 장치)
6. 미니 디스크의 관리 방식
7. 인증 처리
8. 콘텐츠 암호화 방식
9. 각종 커맨드
10. 콘텐츠의 체크아웃/체크인
11. 콘텐츠 ID의 생성 및 관리 방식
12. 체크아웃 시 및 체크인 전의 콘텐츠 ID의 생성 처리
13. 콘텐츠 기입 제어 플래그
14. 과금 정보 처리
《1. 암호화 키의 트리 구조 및 EKB》
우선 실시예의 전송 시스템의 구체적인 설명에 앞서서, 콘텐츠 배신에 이용되는 암호화 방식 키의 구조를 설명한다.
이를 위해 도 1, 도 2A 내지 도 2B, 도 3을 이용하여, 콘텐츠 배신측으로부터 콘텐츠 수신측의 각 디바이스로 암호 데이터를 배신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각 디바이스에서의 암호 처리 키의 보유 구성 및 데이터 배신 구성을 설명한다.
도 1은 암호화 키의 트리 구조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1의 최하단에 도시하는 번호 DV0∼DV15가 콘텐츠 수신측이 되는 개개의 디바이스이다. 즉, 도시하는 계층 트리 구조의 각 리프(leaf)가 각각의 디바이스에 상당한다.
각 디바이스 DV0∼DV15는, 제조 시 혹은 출하 시, 혹은 그 후에, 도 1에 도시한 계층 트리 구조에서, 자신의 리프로부터 루트에 이르기까지의 노드에 할당된 키(노드 키) 및 각 리프의 리프 키로 이루어지는 키 세트를 메모리에 저장한다. 이 키 세트는 DNK(Device Node Key)로 불리지만, 그 구체예에 대해서는 후에 설명한다.
도 1의 최하단에 도시하는 K0000∼K1111이 각 디바이스 DV0∼DV15에 각각 할당된 리프 키이며, 최상단의 KR(루트 키)에 이어, 최하단부터 2번째 노드에 기재된 키 K0∼K111을 노드 키로 한다. 또한 문언상 「루트 키」도 「노드 키」에 포함되는 경우가 있다.
도 1에 도시한 트리 구성에서, 예를 들면 디바이스 DV0은 상기 DNK로서, 리프 키 K0000과, 노드 키 K000, K00, K0, 루트 키 KR을 소유한다. 예를 들면 DNK에서는 노드 키 K000, K00, K0, 루트 키 KR을 리프 키 K0000에 의해 암호화한 상태로 소유한다.
디바이스 DV5는 마찬가지의 방식으로, 리프 키 K0101, 노드 키 K010, K01, K0, 루트 키 KR을 소유한다. 디바이스 DV15도 마찬가지의 방식으로, 리프 키 K1111, 노드 키 K111, K11, K1, 루트 키 KR을 소유한다.
또한, 도 1의 트리에는 디바이스가 DV0∼DV15의 16개만이 기재되고, 트리 구조도 4단 구성의 균형 잡힌 좌우 대칭 구성으로 도시하고 있지만, 더 많은 디바이스가 트리 내에 구성되고, 또한, 트리의 각 부에서 다른 단수 구성을 갖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 1의 트리 구조에 포함되는 각 정보 처리 장치(디바이스)에는, 다양한 기록 매체, 예를 들면, 디바이스 매립형 혹은 디바이스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된 DVD, CD, MD, 플래시 메모리 등을 사용하는 다양한 타입의 정보 처리 장치가 포함되어 있다. 또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서비스가 공존 가능하다. 이러한 서로 다른 디바이스, 서로 다른 어플리케이션의 공존 위에 도 1에 도시한 콘텐츠 혹은 키 배포 구성인 계층트리 구조가 적용된다.
이들 다양한 정보 처리 장치(디바이스), 어플리케이션이 공존하는 시스템에서, 예를 들면 도 1의 점선으로 둘러싸인 부분, 즉 디바이스 DV0, DV1, DV2, DV3을 동일한 기록 매체를 이용하는 하나의 그룹으로서 설정한다. 예를 들면, 이 점선으 로 둘러싸인 그룹 내에 포함되는 디바이스에 대해서는, 일괄적으로, 공통의 콘텐츠를 암호화하여 프로바이더로부터 송부하거나, 각 디바이스 공통으로 사용하는 콘텐츠 키를 송부하거나, 혹은 각 디바이스로부터 프로바이더 혹은 결제 기관 등에 콘텐츠 요금의 지불 데이터를 역시 암호화하여 출력하는 등의 처리가 실행된다. 콘텐츠 프로바이더, 혹은 결제 처리 기관 등, 각 디바이스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행하는 기관은, 도 1의 점선으로 둘러싸인 부분, 즉 디바이스 DV0, DV1, DV2, DV3을 하나의 그룹으로서 일괄하여 데이터를 송부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이러한 그룹은, 도 1의 트리 내에 복수 존재한다. 콘텐츠 프로바이더, 혹은 결제 처리 기관 등, 각 디바이스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행하는 기관은, 메시지 데이터 배신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또한, 노드 키, 리프 키는, 임의의 하나의 키 관리 센터에 의해 통괄하여 관리되어도 되고, 각 그룹에 대한 다양한 데이터 송수신을 행하는 프로바이더, 결제 기관 등의 메시지 데이터 배신 수단에 의해 그룹별로 관리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들 노드 키, 리프 키는 예를 들면 키의 누설 등의 경우에 갱신 처리가 실행되고, 이 갱신 처리는 키 관리 센터, 프로바이더, 결제 기관 등이 실행한다.
이 트리 구조에서, 도 1로부터 명백해진 바와 같이, 하나의 그룹에 포함되는 3개의 디바이스 DV0, DV1, DV2, DV3은 노드 키/루트 키로서 공통의 키 K00, K0, KR을 보유한다. 이 노드 키 공유 구성을 이용함으로써, 예를 들면 공통의 콘텐츠 키를 디바이스 DV0, DV1, DV2, DV3에만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면, 공통으로 보유하는 노드 키 K00 자체를 콘텐츠 키로서 설정하면, 새로운 키 송부를 실행하지 않고 디바이스 DV0, DV1, DV2, DV3만이 공통의 콘텐츠 키의 설정이 가능하다. 또한, 새로운 콘텐츠 키 CK를 노드 키 K00으로 암호화한 값 E(K00, CK)를, 네트워크를 통해 혹은 기록 매체에 저장하여 디바이스 DV0, DV1, DV2, DV3에 배포하면, 디바이스 DV0, DV1, DV2, DV3만이, 각각의 디바이스에서 보유하는 공유 노드 키 K00을 이용하여 암호 E(K00, CK)를 풀어 콘텐츠 키 CK를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임의의 시점 t에서, 디바이스 DV3이 소유하는 키 K0011, K001, K00, K0, KR이 공격자(해커)에 의해 해석되어 노출된 것을 발견한 경우, 그 이후, 시스템(디바이스 DV0, DV1, DV2, DV3의 그룹)에서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지키기 위해, 디바이스 DV3을 시스템으로부터 분리할 필요가 있다.
그를 위해서는, 노드 키 K001, K00, K0, 루트 키 KR을 각각 새로운 키 K(t)001, K(t)00, K(t)0, K(t)R로 갱신하여, 디바이스 DV0, DV1, DV2에 그 갱신 키를 전달할 필요가 있다. 여기서, K(t)aaa는 키 Kaaa의 세대(Generation) : t의 갱신 키인 것을 나타낸다.
물론 콘텐츠 배신 시에, 다른 사정, 예를 들면 저작권자측의 요망이나 시스템 배신상의 형편 등의 각종 사정에 따라, 노드 키나 루트 키 KR을 갱신하는 경우도 있다.
이 때문에, 정규의 디바이스에 대하여 키 갱신을 전달할 필요가 있다.
갱신 키의 배포 처리 대하여 설명한다. 키의 갱신은, 예를 들면, 도 2A에 도시한 유효화 키 블록(EKB : Enabling Key Block)으로 불리는 블록 데이터에 의해 구성되는 테이블을, 예를 들면 네트워크, 혹은 기록 매체에 저장하여 디바이스에 공급함으로써 실행된다. 예를 들면 상기한 바와 같이 디바이스 DV3을 분리하는 경우에는, EKB를 디바이스 DV0, DV1, DV2에 공급한다.
또한, 유효화 키 블록(EKB)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트리 구조를 구성하는 각 리프에 대응하는 디바이스에 새롭게 갱신된 키를 배포하기 위한 암호화 키에 의해 구성된다. 유효화 키 블록(EKB)은, 키 갱신 블록(KRB : Key Renewal Block)으로 불리는 경우도 있다.
도 2A에 도시한 유효화 키 블록(EKB)에는, 노드 키의 갱신이 필요한 디바이스만이 갱신 가능한 데이터 구성을 갖는 블록 데이터로서 구성된다. 도 2A 내지 도 2B의 예는, 도 1에 도시한 트리 구조 내의 디바이스 DV0, DV1, DV2에서, 세대 t의 갱신 노드 키를 배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형성된 블록 데이터이다.
예를 들면 상기한 바와 같이 키 K0011, K001, K00, K0, KR이 부정하게 노출된 경우를 상정하면, 디바이스 DV0, 디바이스 DV1은 갱신 키로서 K(t)00, K(t)0, K(t)R이 필요하게 되고, 디바이스 DV2는 갱신 키로서 K(t)001, K(t)00, K(t)0, K(t)R이 필요하게 된다.
도 2A의 EK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경우 EKB에는 복수의 암호화 키가 포함된다. 최하단의 암호화 키는 E(K0010, K(t)001)이다. 이것은 디바이스 DV2가 갖는 리프 키 K0010에 의해 암호화된 갱신 노드 키 K(t)001이고, 디바이스 DV2는, 자신이 갖는 리프 키에 의해 이 암호화 키를 복호하여, K(t)001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복호에 의해 얻은 K(t)001을 이용하여, 도 2A의 아래로부터 2단째 암 호화 키 E(K(t)001, K(t)00)를 복호할 수 있어, 갱신 노드 키 K(t)00을 얻을 수 있다. 이하, 도 2A의 위로부터 2단째 암호화 키 E(K(t)00, K(t)0)를 복호하여, 갱신 노드 키 K(t)0을 얻고, 또한 위로부터 1단째의 암호화 키 E(K(t)0, K(t)R)을 복호하여 갱신 루트 키 K(t)R을 얻는다. 한편, 디바이스 DV0, DV1에서 각각 리프 키 K0000, K0001, 및 노드 키 K000은 갱신하는 대상에 포함되어 있지 않고, 갱신 키로서 필요한 것은 K(t)00, K(t)0, K(t)R이다.
이 때문에 디바이스 DV0, DV1에서는, 각각 도 2A의 위로부터 3단째 암호화 키 E(K000, K(t)00)를 복호하여 갱신 노드 키 K(t)00을 취득하고, 또한 암호화 키 E(K(t)00, K(t)0)를 복호하여 갱신 노드 키 K(t)0을 취득하며, 또한 암호화 키 E(K(t)0, K(t)R)를 복호하여 갱신 루트 키 K(t)R을 얻는다.
이와 같이 하여, 디바이스 DV0, DV1, DV2는 갱신한 루트 키 K(t)R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도 2A의 인덱스는 복호 키로서 사용하는 노드 키, 리프 키의 절대 번지를 나타낸다.
또한, 도 1에 도시한 트리 구조의 상위 단의 노드 키 K(t)0, K(t)R의 갱신이 불필요하고, 노드 키 K00만의 갱신 처리가 필요한 경우에는, 도 2B의 유효화 키 블록(EKB)을 이용함으로써, 갱신 노드 키 K(t)00을 디바이스 DV0, DV1, DV2에 배포할 수 있다.
도 2B에 도시한 EKB는, 예를 들면 특정한 그룹에서 공유하는 새로운 콘텐츠 키를 배포하는 경우에 이용할 수 있다.
구체예로서, 도 1에 점선으로 나타내는 그룹 내의 디바이스 DV0, DV1, DV2, DV3이 있는 기록 매체를 이용하고 있으며, 새로운 공통의 콘텐츠 키 CK(t)가 필요한 것으로 한다. 이 때, 디바이스 DV0, DV1, DV2, DV3의 공통의 노드 키 K00을 갱신한 K(t)00을 이용하여 새로운 공통의 갱신 콘텐츠 키 CK(t)를 암호화한 데이터 E(K(t)00, CK(t))를 도 2B에 도시한 EKB와 함께 배포한다.
이 배포에 의해, 디바이스 DV4 등, 그 밖의 그룹의 기기에서는 복호되지 않은 데이터로서의 배포가 가능해진다.
즉, 디바이스 DV0, DV1, DV2는 EKB를 처리하여 얻은 K(t)00을 이용하여 상기 암호문을 복호하면, t 시점에서의 콘텐츠 키 CK(t)를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과 같이 키 구조가 트리 구조로 됨과 함께, 상기 예와 같은 EKB에 의해 임의로 각 키를 갱신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키 구조를 이용함으로써, 각종 사정에 따라 루트 키 KR이나 노드 키를 갱신하는 것도 용이하게 가능하여, 정규 상태에서의 콘텐츠 배신을 플렉시블하게 실행할 수 있다.
도 3에 유효화 키 블록(EKB)의 포맷예를 도시한다.
4바이트로 노드 키의 수를 나타낸다.
4바이트로 노드 키의 깊이를 나타낸다. 이것은 유효화 키 블록(EKB)의 배포처의 디바이스에 대한 계층 트리의 계층 수를 나타낸다.
4바이트로 EKB의 버전을 나타낸다. 또한 버전은 최신의 EKB를 식별하는 기능과 콘텐츠와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는 기능을 갖는다.
리저브는 예비 영역이다.
오프셋 어드레스로서 16바이트의 위치로부터, 16×M바이트의 영역에 EKB의 실내용이 되는 암호화된 노드 키(1 또는 복수)가 도시된다. 즉 도 2A 내지 도 2B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암호화 키이다.
또한, 암호화 EKB 버전이나, 전자 서명(Signature)이 도시된다. 전자 서명은, 유효화 키 블록(EKB)을 발행한 EKB 발행국, 예를 들면 키 관리 센터, 콘텐츠 프로바이더, 결제 기관 등이 실행하는 전자 서명이다. EKB를 수령한 디바이스는 서명 검증에 의해 정당한 유효화 키 블록(EKB) 발행자가 발행한 유효화 키 블록(EKB)인 것을 확인한다.
《2. 시스템 구성》
상기한 키 구조를 채용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도 4에 시스템 구성예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데이터 전송 장치에 상당하는 것은 1차 기록 매체측 기기(1)이고, 본 발명의 데이터 기록 장치에 상당하는 것은 2차 기록 매체측 기기(20A)이다. 그리고 1차 기록 매체측 기기(1)와 2차 기록 매체측 기기(20A)에 의해 데이터 전송 시스템이 구축된다.
1차 기록 매체측 기기(1)는, 예를 들면 퍼스널 컴퓨터에 의해 형성된다.
이하, 설명의 편의상, 1차 기록 매체측 기기(1)를 퍼스널 컴퓨터(1)로 표기하는 경우도 있다. 단 1차 기록 매체측 기기(1)는, 반드시 퍼스널 컴퓨터에 의해 형성되는 것은 아니다.
1차 기록 매체측 기기(1)는, 예를 들면 퍼스널 컴퓨터 상에서 기동되는 SDMI 콘텐츠 데이터의 축적/전송 등을 실행하는 소프트웨어에 의해, 본 발명에서 말하는 데이터 전송 장치로서의 동작을 실행한다.
그리고 퍼스널 컴퓨터(1)에 내장(또는 외부 부착)된 HDD(5)가 1차 기록 매체(및 1차 기록 매체 드라이브 수단)가 된다. 또한 실시예의 설명에서는 HDD(5)를 1차 기록 매체로 하지만, 물론 1차 기록 매체에 상당하는 기록 미디어는 HDD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광 디스크, 광 자기 디스크 등의 미디어, 기기 내장의 반도체 메모리, 가반형 반도체 메모리(메모리 카드 등) 등, 각종의 것을 생각할 수 있다.
1차 기록 매체측 기기(1)는, 통신 네트워크(110)를 통해 콘텐츠 서버(91)와 통신 가능하게 되며, 이에 의해 음악 등의 콘텐츠 데이터의 다운로드가 가능해진다. 물론 콘텐츠 서버(91)는 복수 존재하여, 퍼스널 컴퓨터(1)의 사용자는 다양한 데이터 다운로드 서비스를 임의로 이용할 수 있다.
콘텐츠 서버(91)로부터 퍼스널 컴퓨터(1)로 다운로드되는 콘텐츠 데이터로서는, SDMI 준거의 콘텐츠 데이터도 있고 SDMI에 준거하지 않는 콘텐츠 데이터도 있다.
네트워크(110)를 형성하는 전송로는, 유선 또는 무선의 공중 회선망으로 되어 있어도 되고, 퍼스널 컴퓨터(1)와 콘텐츠 서버(91)의 전용 회선으로 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네트워크(110)로서는, 예를 들면 인터넷, 위성 통신망, 광 파이버망, 그 밖에 각종 통신 회선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퍼스널 컴퓨터(1)의 HDD(5)에는, 내장 혹은 외부 부착의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 의해 CD-DA나 DVD 등의 패키지 미디어(90)(이하, 디스크(90), 리무버 블 기록 매체(90)라고도 함)로부터 재생된 음악 등의 콘텐츠 데이터를 축적시킬 수도 있다.
퍼스널 컴퓨터(1)에는, 2차 기록 매체측 기기(20A, 20B)를 접속하고, 이 2차 기록 매체측 기기(20A, 20B)에 대하여, HDD(5)에 축적된 콘텐츠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2차 기록 매체측 기기(20A, 20B)는 2차 기록 매체에 대한 기록 장치(기록 재생 장치)가 된다. 그리고 퍼스널 컴퓨터(1)로부터 전송되어 온 콘텐츠 데이터를 2차 기록 매체에 복사 기록할 수 있게 된다.
2차 기록 매체측 기기(20A, 20B)의 구체예로서는 다양하게 생각할 수 있지만, 여기서 말하는 2차 기록 매체측 기기(20B)는 SDMI 대응의 기록 장치이다.
이 SDMI 대응의 기록 재생 장치(20B)에서는, 2차 기록 매체로서, 예를 들면 플래시 메모리 등의 반도체 메모리를 이용한 SDMI 대응의 메모리 카드가 상정된다. 따라서 2차 기록 매체측 기기(20B)란, 예를 들면 SDMI 대응의 메모리 카드에 대한 기록 재생 장치가 된다. 이 경우, 2차 기록 매체에는 SDMI 콘텐츠가 암호화된 상태로 기록되게 된다.
또한 SDMI 대응의 2차 기록 매체에는 SDMI 콘텐츠의 식별자가 되는 콘텐츠 ID를 저장하는 관리 정보 포맷이 형성되어 있다. 퍼스널 컴퓨터(1)에서는 HDD(5)에 콘텐츠 데이터를 저장할 때에, 그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콘텐츠 ID가 발생되어, 콘텐츠 데이터와 함께 HDD(5)에 저장된다. 또한 체크아웃/체크인의 관리도 콘텐츠 ID를 이용하여 행해지지만, SDMI 대응의 2차 기록 매체에서는, 콘텐츠 데이터를 기록하는 경우에는 해당 콘텐츠 ID도 기록할 수 있게 된다.
한편, 2차 기록 매체측 기기(20A)는 SDMI 대응이 아닌 데이터 기록 장치에 상당하며, 상세는 후술하지만, 저작권 보호가 요구되는 SDMI 콘텐츠를, 암호화를 푼 상태로 2차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것이다. 여기서의 2차 기록 매체의 예로서는, 미니 디스크를 예로 들 수 있다. 따라서 2차 기록 매체측 기기(20A)는 미니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가 된다. 이하, 2차 기록 매체측 기기(20A)를 기록 재생 장치(20A)로 표기하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 SDMI 콘텐츠를 비암호화 상태로 기록해도 저작권 보호 기능이 손상되지 않도록, 후술하는 인증 등이 복사의 조건이 된다.
또한 이 경우의 미니 디스크 등의 2차 기록 매체(즉 종래부터 보급되고 있는 미디어)에는, 콘텐츠 ID를 저장하는 영역이 준비되어 있지 않다. 이 때문에 후술하지만, 콘텐츠 ID에 대해서는 특별한 관리 방식이 채용된다.
또한, 2차 기록 매체측 기기(20A)가 기록 재생하는 미디어는 미니 디스크 이외에도, 예를 들면 플래시 메모리 등의 반도체 메모리를 이용한 메모리 카드나, 광 자기 디스크로서의 미니 디스크, 혹은 CD-R(CD Recordable), CD-RW(CD Rewritable), DVD-RAM, DVD-R, DVD-RW 등을 생각할 수 있다. 따라서, 2차 기록 매체측 기기(20A)로서는 이들 미디어에 대응하는 기록 장치이면 된다.
퍼스널 컴퓨터(1)와 2차 기록 매체측 기기(20A, 20B)는, 예를 들면 USB(Universal Serial Bus), IEEE1394 등의 전송 규격에 기초하는 접속이 행해진다. 물론 다른 전송 규격의 유선 전송로, 혹은 무선 전송로에 의해 콘텐츠 데이터 등의 전송이 가능하게 되어도 된다.
《3. SDMI 콘텐츠의 데이터 패스》
예를 들면 도 4와 같은 시스템을 상정한 경우의, SDMI로 책정된 데이터 패스를 도 5에 도시한다.
또한, 이 데이터 패스는, 예를 들면 1차 기록 매체로서의 HDD(5)를 구비한 퍼스널 컴퓨터(1)에서, 음악 콘텐츠의 축적 및 외부 기기(2차 기록 매체측 기기(20A, 20B))로의 전송 처리에 대한 데이터 패스이며, 다시 말하면 퍼스널 컴퓨터(1)에서 음악 콘텐츠의 축적/전송 처리를 행하는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것이다.
도 5의 데이터 패스 상의 수순/처리는 부호 DP1∼DP9를 붙이고 있으며, 이하의 설명에서는 대응 위치를 이 부호로 나타낸다.
도 4에 도시한 네트워크(110)를 통해 외부 콘텐츠 서버(91)로부터 배신된 콘텐츠 데이터(네트워크 콘텐츠)는, 우선 그것이 SDMI에 준거한 저작권이 보호되는 콘텐츠인지의 여부가 확인된다(DP1).
배신되는 네트워크 콘텐츠로서는, 서버측이 SDMI에 준거한 콘텐츠로서 송신해 오는 것(이하, SDMI 준거 콘텐츠)과, SDMI와는 무관계한 콘텐츠(이하, 비(非)SDMI 콘텐츠)가 있다.
그리고 SDMI 준거 콘텐츠인 경우에는, 그 데이터는 예를 들면 DES 등의 키 암호에 의해, 콘텐츠 키 CK로 암호화되어 있다. 콘텐츠 데이터 자체를, 원래는 ATRAC3 등의 압축 방식으로 인코드된 데이터(A3D)라고 하면, SDMI 준거 콘텐츠는 E(CK, A3D)의 상태로 배신된다.
배신된 네트워크 콘텐츠가 SDMI 준거 콘텐츠인 경우에는, 1차 기록 매체인 HDD(5)에 SDMI 콘텐츠로서 축적된다(DP1→DP2).
이 경우, 콘텐츠 데이터는 배신된 E(CK, A3D)의 상태로 HDD(5)에 기입된다. 혹은, 암호화가 일단 복호된 후, 다른 키 CK'로 암호화가 행해지고, 즉 키의 교환이 행해져, E(CK', A3D)의 상태로 HDD(5)에 기입되는 경우도 있다.
한편, 네트워크 콘텐츠가 비SDMI 콘텐츠인 경우에는, 워터마크 체크, 즉 전자 워터마크에 의한 스크리닝 처리가 행해진다(DP1→DP3).
또한, 예를 들면 퍼스널 컴퓨터(1)에 장착되어 있는 CD-ROM 드라이브 등의 내장 드라이브, 혹은 퍼스널 컴퓨터(1)와 접속된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서 재생되는 CD-DA, DVD 등의 패키지 미디어로부터 판독된 콘텐츠 데이터(디스크 콘텐츠)에 대해서는, 직접 워터마크 체크가 행해진다(DP3).
즉 SDMI에 준거하지 않는 콘텐츠 데이터에 대해서는, 워터마크 체크가 행해지게 된다.
만약 워터마크 체크에 합격하지 못한 경우에는, 그 콘텐츠 데이터는 SDMI 데이터 패스 상에서 복사 불가로 취급된다(DP3→DP5). 구체적인 취급은 소프트웨어 설계에 의해 다양하게 생각할 수 있지만, 예를 들면 HDD(5)에는 저장하지만, 다른 미디어에의 복사/이동을 위한 전송이 불가능한 콘텐츠 데이터로 취급하도록 하거나, 혹은 SDMI 준거의 콘텐츠 처리상에 있어서 HDD(5)에 저장되지 않는 것으로 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워터마크 체크에 합격한 경우, 즉 전자 워터마크가 존재하고, 또한 복사 컨 트롤 비트로서 복사 허가가 확인된 경우에는, 합법적으로 복사 가능한 콘텐츠 데이터로 판단되며, 계속해서 그 콘텐츠 데이터를 SDMI 취급으로 할지의 여부가 확인된다(DP4). 이러한 콘텐츠 데이터를 SDMI에 준거한 것으로서 취급할지의 여부는, 소프트웨어 설계나 사용자 설정 등에 따른 것으로 하면 된다.
SDMI 취급으로 하지 않는 경우에는, 비SDMI 취급으로 하여 해당 SDMI에 준거한 콘텐츠 데이터 패스로부터 제외된다(DP6). 예를 들면 SDMI에 대응하지 않는 기록 장치로의 전송 등을 가능하게 해도 된다.
한편, SDMI 취급으로 하는 경우에는, 그 콘텐츠 데이터는 암호화되어, SDMI 콘텐츠로서 HDD(5)에 축적된다(DP4→DP2). 예를 들면 E(CK, A3D)의 상태, 또는 E (CK', A3D)의 상태로 HDD(5)에 축적된다.
이상의 데이터 패스에 의해, 1차 기록 매체로서의 HDD(5)에는, 네트워크(110)를 통해 얻어진 SDMI 취급의 콘텐츠(SDMI 네트워크 콘텐츠)나, CD-DA 등의 디스크 혹은 다른 미디어로부터 추출한 SDMI 취급의 콘텐츠(SDMI 디스크 콘텐츠)가 축적되게 된다.
또한 SDMI 콘텐츠에 대해서는, 콘텐츠별로 후술하는 Usage Rule의 관리 등을 위해, 콘텐츠마다 고유한 데이터로 되는 콘텐츠 ID가 생성되어 HDD(5)에 기억된다.
HDD(5)에 저장된 SDMI 콘텐츠(SDMI 네트워크 콘텐츠 또는 SDMI 디스크 콘텐츠)는, 소정의 룰을 기초로, SDMI 대응의 기록 재생 장치(20B)로 전송되어, SDMI 대응의 2차 기록 매체에 복사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예의 경우에는 SDMI 대응의 기록 재생 장치(20B) 이외에, 기록 재생 장치(20A)에도 소정의 조건 하에서 전송 가능하게 된다.
우선, HDD(5)를 갖는 퍼스널 컴퓨터(1)에 SDMI 대응의 기록 재생 장치(20B)가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하와 같이 된다.
SDMI 디스크 콘텐츠인 경우에는, SDMI 디스크 콘텐츠에 대응되는 전송 취급 룰(Usage Rule)이 정해져 있고, 그 취급 룰을 기초로, SDMI 대응의 기록 재생 장치(20B)에 대하여 복사를 위한 전송이 인정된다(DP8).
또한 이 데이터 패스에서, 1차 기록 매체(HDD(5))로부터 SDMI 대응 기록 재생 장치(20B)(또는 20A)에 의해 기록 재생되는 2차 기록 매체(메모리 카드 등)에 대한 복사 전송이 「체크아웃」이고, 반대로 2차 기록 매체로부터의 1차 기록 매체로의 이동 전송이 「체크인」이다. 또한 2차 기록 매체로부터 1차 기록 매체로의 이동인 경우에는, 2차 기록 매체 상에서는 해당 콘텐츠 데이터는 소거된 상태로 된다.
SDMI 디스크 콘텐츠에 대응하는 전송의 취급 룰로서는, 하나의 콘텐츠 데이터에 관하여 예를 들면 3회까지의 체크아웃이 허용되는 등, 소정의 체크아웃 상한 횟수가 정해져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SDMI 대응의 3개의 2차 기록 매체까지는 복사(체크아웃)가 허가된다. 또한 체크인이 행해진 경우에는, 그 콘텐츠 데이터에 대한 체크아웃 횟수가 감산되게 된다. 따라서, 만약 3개의 SDMI 대응 2차 기록 매체에 복사한 후라도, 그 중 하나의 2차 기록 매체로부터 체크인이 있으면, 그 콘텐츠는 다시 한번 SDMI 대응 2차 기록 매체에 복사 가능하게 된다. 즉, 항상 최대 3개의 SDMI 대응 2차 기록 매체에 콘텐츠 데이터가 병존하는 것이 허용되게 된다.
SDMI 네트워크 콘텐츠인 경우에도, SDMI 네트워크 콘텐츠에 대응하는 전송의 취급 룰(Usage Rule)이 정해져 있고, 그 취급 룰을 기초로, SDMI 대응의 기록 재생 장치(20B)에 대하여 복사을 위한 전송이 인정된다(DP7).
이 취급 룰로서는, 상기와 마찬가지로 체크아웃 횟수의 상한 등이 정해지지만, 그 상한 횟수 등은, SDMI 디스크 콘텐츠의 경우의 취급 룰과 마찬가지로 해도 되고, 다른 횟수로 해도 된다. 예를 들면 체크아웃 상한을 1회로 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 경우에는, 하나의 콘텐츠 데이터에 관하여, 다른 하나의 SDMI 대응의 2차 기록 매체에만 복사할 수 있지만, 그 2차 기록 매체로부터 체크인하면, 재차 복사 전송이 가능해진다.
이들 취급 룰에 따라, SDMI 대응의 2차 기록 매체에 대하여 복사하기 위해 SDMI 콘텐츠가 전송되는 경우에는, 그 전송 선로 상에서는 암호화 상태 그대로 데이터 전송이 행해진다. 즉 예를 들면 상기한 E(CK, A3D)의 상태 또는 E(CK', A3D)의 상태로 전송된다.
또한, 암호화되어 전송되어 온 SDMI 콘텐츠를 수신한 SDMI 대응 기록 재생 장치(20B)는, 그 SDMI 콘텐츠를 암호화 상태 그대로 2차 기록 매체에 복사 기록한다.
SDMI 대응 기록 재생 장치(20B)는, 2차 기록 매체에 복사 기록된 SDMI 콘텐츠를 재생하는 경우에는, 2차 기록 매체로부터 판독한 콘텐츠 데이터의 암호화를 복호하여 재생한다. 즉 E(CK, A3D)의 상태 또는 E(CK', A3D)의 상태로 2차 기록 매체에 기록된 콘텐츠 데이터를, 키 CK, 또는 키 CK'에 의한 복호 처리를 행한다.
즉 D{CK, E(CK, A3D)}=A3D, 또는 D{CK', E(CK', A3D)}=A3D로서 암호 해독된 ATRAC3 데이터(A3D)로서 원래의 콘텐츠 데이터를 얻는다. 이 콘텐츠 데이터에 대해서는 ATRAC3 압축에 대한 신장 처리 등을 행함으로써, 예를 들면 오디오 데이터로서 복조하여, 음악 등의 재생 출력을 행한다.
이상과 같이, SDMI 준거의 콘텐츠 데이터는, SDMI 대응의 기록 재생 장치(20B)에 체크아웃되기까지의 데이터 패스, 또는 2차 기록 매체 상에 도달할 때까지, 암호화가 실시된 데이터로 되어 있거나, 상기 전송의 취급 룰 체크에 의한 복사 관리가 행해짐으로써, 콘텐츠 데이터에 대한 적절한 저작권 보호가 가능해진다.
한편, 퍼스널 컴퓨터(1)에 기록 재생 장치(20A)가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처리가 채용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기록 재생 장치(20A)는, SDMI 대응의 기록 재생 장치(20B)와는 달리, 2차 기록 매체로서 예를 들면 미니 디스크 등에 암호화를 푼 상태로 기록하는 것이다. 암호화를 푼 상태로 기록함으로써, 그 미니 디스크에 복사 기록된 콘텐츠 데이터는, 일반적으로 보급되어 있는 통상의 미니 디스크 재생 장치에 의해서도 재생 가능하게 되어, 이에 의해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단, 암호화를 푼 상태로 기록하는 것은, 저작권 보호의 관점에서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기록 재생 장치(20A)로 콘텐츠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소정의 조건을 충족시키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SDMI 네트워크 콘텐츠를 기록 재생 장치(20A)로 전송하여 암호화를 푼 상태 로 2차 기록 매체에 복사 기록하는 것을 허가하는 조건으로서는, 예를 들면, ① 기록 재생 장치(20A)가 인증 OK로 될 것, ② 전송하고자 하는 콘텐츠 데이터에 대하여 복사 기록을 저작권자측이 인정할 것, ③ 체크아웃/체크인으로서 전송의 취급 룰(Usage Rule)을 만족시킬 것의 3개로 된다.
이 ①②③의 전송 조건이 만족됨으로써 SDMI 대응 기록 재생 장치(20B) 이외의 기기에 대해서도, 무제한의 복사 전송은 할 수 없어, 저작권 보호 기능도 확보된다. 또한, 전송을 행하는 전송로 상에서는 암호화 상태로 되어도(기록 재생 장치(20A)측에서 암호 해독을 행함) 저작권 보호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SDMI 네트워크 콘텐츠를 기록 재생 장치(20A)로 전송하는 경우에는, 상기 ①②③의 전송 조건이 체크된다(DP9).
즉 기록 재생 장치(20A)에 대하여 소정의 인증 처리가 행해진다. 또한, 콘텐츠 데이터에 포함되는 플래그 정보 등으로부터, 저작권자측의 복사 허가의 의지가 확인된다. 또한 체크인/체크아웃의 취급 룰이 부과된다.
이들 조건에 따라, SDMI 네트워크 콘텐츠를 기록 재생 장치(20A)로 전송하는 경우에는, 그 전송 선로 상에서는 암호화 상태 그대로 데이터 전송이 행해진다. 즉 예를 들면 상기한 E(CK, A3D)의 상태 또는 E(CK', A3D)의 상태로 전송된다.
그리고 이 암호화된 SDMI 네트워크 콘텐츠는, 후술하는 도 7의 구성의 기록 재생 장치(20A)에서 수신 처리된 후, 복호 처리부(28)에서 암호화가 복호되어, 예를 들면 원래의 ATRAC3 압축 데이터(A3D)로 된다. 그리고 그 암호화가 풀린 콘텐츠 데이터는, 도 7의 EFM/ACIRC 인코더/디코더(24)에 의한 인코드 처리를 거쳐 기 록/재생부(25)에 공급되어, 미니 디스크(100)에 복사 기록되게 된다.
따라서 기록 재생 장치(20A)가, 미니 디스크(100)에 복사 기록한 SDMI 콘텐츠를 재생하는 경우에는, 미니 디스크(100)로부터 판독한 데이터에 대하여 통상의 미니 디스크 시스템에서의 디코드 처리, 즉 EFM 복조, ACIRC 에러 정정, ATRAC 압축 방식에 대한 신장 처리 등을 행하면 된다.
이것은, 해당 복사 기록된 미니 디스크(100)가, 통상의 미니 디스크 재생 장치에 내장된 경우에도, 콘텐츠 데이터를 통상적으로 재생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즉 사용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미니 디스크(100)에 복사 기록한 SDMI 네트워크 콘텐츠를, SDMI 비대응의 통상의 미니 디스크 재생 장치로 재생시켜, 음악 등을 즐길 수 있다.
한편, 도 5의 데이터 패스에서, DP7, DP8, DP9의 취급 룰 체크 등에 의해 전송 허가가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는, 기록 재생 장치(20A, 20B)에 대한 전송이 행해지지 않는 것은 물론이다.
《4. 데이터 전송 장치의 구성예(1차 기록 매체측 기기/PC)》
도 6에, 데이터 전송 장치가 되는 1차 기록 매체측 기기(1)의 구성을 도시한다. 또한, 여기서 설명하는 예는, 퍼스널 컴퓨터에 의해 1차 기록 매체측 기기(1)를 형성하는 경우이지만, 동일한 기능을 갖는 구성이 전용의 하드웨어에 의해 구축되는 것 등에 의해, 데이터 전송 전용의 기기로서 형성되어도 된다.
본 예의 경우에는, 퍼스널 컴퓨터(1)에 데이터 전송 장치로서의 기능을 실행시키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이 인스톨됨으로써 데이터 전송 장치가 되는 1차 기록 매체측 기기가 실현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퍼스널 컴퓨터」 또는 「컴퓨터」라고 하는 것은, 소위 범용 컴퓨터로서의 광의의 의미이다.
해당 프로그램은, 컴퓨터에 내장되어 있는 기록 매체로서의 하드디스크(HDD)(5)나 ROM(3)에 사전에 기록해 둘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은 플로피 디스크, CD-ROM(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MO(Magneto Optical) 디스크, DVD(Digital Versatile Disc), 자기 디스크, 반도체 메모리 등의 리무버블 기록 매체(90)에, 일시적 혹은 영속적으로 저장(기록) 해 둘 수 있다. 이와 같은 리무버블 기록 매체(90)는 소위 패키지 소트프웨어로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은, 상술한 바와 같은 리무버블 기록 매체(90)로부터 컴퓨터에 인스톨하는 것 외에, 다운로드 사이트로부터, 디지털 위성 방송용의 인공 위성을 통해, 컴퓨터에 무선으로 전송하거나, LAN(Local Area Network),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를 통해, 컴퓨터에 유선으로 전송하고, 컴퓨터에서는, 그와 같이 하여 전송되어 오는 프로그램을, 통신부(8)에서 수신하여, 내장 HDD(5)에 인스톨할 수 있다.
도 6의 컴퓨터(1)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2)를 내장하고 있다. CPU(2)에는, 버스(12)를 통해 입출력 인터페이스(10)가 접속되어 있다. CPU(2)는, 입출력 인터페이스(10)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키보드나, 마우스, 마이크 등으로 구성되는 입력부(7)가 조작됨으로써 명령이 입력되면, 그에 따라, ROM(Read Only Memory)(3)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또는, CPU(2)는, HDD(5)에 저 장되어 있는 프로그램, 위성 혹은 네트워크로부터 전송되며, 통신부(8)에서 수신되어 HDD(5)에 인스톨된 프로그램, 또는 드라이브(9)에 장착된 광 디스크 등의 리무버블 기록 매체(90)로부터 판독되어 HDD(5)에 인스톨된 프로그램을, RAM(Random Access Memory)(4)에 로드하여 실행한다. 이에 의해, CPU(2)는, 후술하는 SDMI 콘텐츠에 대한 데이터 전송 장치로서의 처리를 실행한다.
그리고 CPU(2)는, 그 처리 결과를, 필요에 따라, 예를 들면 입출력 인터페이스(10)를 통해, LCD(Liquid Crystal Display)나 스피커 등으로 구성되는 출력부(6)로부터 출력, 혹은 통신부(8)로부터 송신, 또는 HDD(5)에 기록시킨다.
본 예의 경우, 통신부(8)는 도 4의 네트워크(110)를 통한 각종 서버와의 통신이 가능해진다. 즉 컴퓨터(1)는 외부의 콘텐츠 서버(91)로부터 음악 콘텐츠 등의 네트워크 콘텐츠의 다운로드가 가능해진다. 다운로드되는 네트워크 콘텐츠는, 상술한 데이터 패스에 따라, SDMI 대응의 콘텐츠로서의 처리, 혹은 SDMI 비대응의 콘텐츠로서의 처리가 행해져, 예를 들면 적어도 SDMI 대응의 처리에서는 SDMI 콘텐츠로서 HDD(5)에 축적된다. HDD(5)에 축적된 SDMI 콘텐츠는, SDMI 대응의 2차 기록 매체측 기기(20B), 또는 인증된 2차 기록 매체측 기기(기록 재생 장치)(20A)에 대한 전송 대상의 콘텐츠가 된다.
접속부(11)는, 2차 기록 매체측 기기(20A, 20B)와의 사이에서 데이터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는 요소이다. 예를 들면 USB 인터페이스, IEEE1394 인터페이스 등의 예를 생각할 수 있다. 물론 다른 규격의 유선 인터페이스나, 적외선이나 전파를 이용한 무선 인터페이스이어도 된다.
또한, 도 5에서 설명한 데이터 패스를 실현하기 위한 각종 처리는, 각각 시계열로 처리할 필요는 없으며, 병렬로 혹은 개별로 실행되는 처리(예를 들면, 병렬 처리 혹은 오브젝트에 의한 처리)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그램은, 하나의 컴퓨터에 의해 처리되는 것이어도 되고, 복수의 컴퓨터에 의해 분산 처리되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프로그램은 먼 곳에 있는 컴퓨터로 전송되어 실행되는 것이어도 된다.
《5. 데이터 기록 장치의 구성예(2차 기록 매체측 기기/기록 재생 장치)》
2차 기록 매체측 기기(기록 재생 장치)(20A)의 구성예를 도 7에 도시한다. 이 예는, 기록 재생 장치(20A)를 예를 들면 미니 디스크 레코더로서 구성한 것이다. 따라서 2차 기록 매체(100)는 미니 디스크(광 자기 디스크)의 예가 된다. 이하 「미니 디스크(100)」로도 표기한다.
또한, 도 7에서는, 2차 기록 매체(100)로서의 미니 디스크에 대한 기록 재생 데이터의 처리계, 및 상기 1차 기록 매체측 기기(1)로부터의 데이터 전송에 대한 처리계만을 도시하고, 미니 디스크(100)에 대한 구동계, 서보계, 재생 출력계 등은 통상의 미니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자세한 도시를 생략한다.
MD 제어부(CPU)(21)는 기록 재생 장치(20A)에서 미니 디스크(100)에 대한 기록 재생 동작의 제어를 행하는 컨트롤러가 된다. 구체적으로는, 미니 디스크(100)에 대한 기록 재생을 위해, 회전 구동, 스핀들 서보, 포커스 서보, 트랙킹 서보, 쓰레드 서보 등의 제어, 광학 헤드/자기 헤드의 레이저광이나 자계 인가 동작의 제 어, 기록 재생 데이터의 인코드/디코드 처리의 제어 등을 행한다.
기록/재생부(25)는, 광학 헤드, 자기 헤드, 디스크 회전 구동계, 서보계 등이 구비되며, 실제로 미니 디스크(100)에 대하여 데이터의 기록/재생을 행하는 요소이다.
EFM/ACIRC 인코더/디코더(24)는, 미니 디스크(100)에 대한 기록 데이터의 인코드, 및 미니 디스크(100)로부터 재생된 재생 데이터의 디코드를 행한다. 공지와 같이 미니 디스크 시스템인 경우에는, 기록 데이터는 ACIRC 에러 정정 부호의 인코드 처리나 EFM 변조 처리가 실시된다. EFM/ACIRC 인코더/디코더(24)는, 기록 데이터에 대하여 ACIRC 인코드 및 EFM 인코드를 행하여 기록/재생부(25)에 공급하게 된다.
또한 재생 시에는, 기록/재생부(25)로부터 판독되어 공급되어 온 데이터(RF 신호)에 대하여 2진화 처리, EFM 복조, ACIRC 방식의 에러 정정 처리 등의 디코드 처리를 행한다.
버퍼 메모리(30)는, 미니 디스크(100)에 대한 기록 데이터, 재생 데이터의 버퍼링을 행한다. 특히 쇼크 프루프 기능으로서 알려져 있는 버퍼링 기능도 행한다.
데이터 기록 시에는, 버퍼 메모리(30)에는 ATRAC/ATRAC3 방식의 압축 부호화된 기록 데이터가 일단 축적된다. 그리고 소정 데이터량별로 간헐적으로 판독되어 EFM/ACIRC 인코더/디코더(24)에 공급되어, 기록 처리에 제공된다.
또한 데이터 재생 시에는, 미니 디스크(100)로부터 판독되어, EFM/ACIRC 인 코더/디코더(24)에서 디코드된 데이터가 일단 축적된다. 그리고, 축적된 데이터는 연속적으로 판독되어 코덱(23)에서의 압축 디코드 처리에 제공된다.
코덱(23)은, ATRAC/ATRAC3 방식의 압축 부호화에 의한 압축 처리 및 신장 처리를 행하는 요소이다.
미니 디스크(100)에 기록되는 데이터는, ATRAC/ATRAC3 방식의 압축 부호화가 행해진 후, 상기 인코드 처리가 실시된 것이다. 따라서 해당 기록 재생 장치(20A)에, 압축 부호화가 되어 있지 않은 데이터, 예를 들면 PCM 오디오 데이터 등이 기록 데이터로서 입력된 경우에는, 코덱(23)에서 ATRAC 방식 또는 ATRAC3 방식의 압축 부호화가 행해져, 그 압축 데이터가 EFM/ACIRC 인코더/디코더(24)에 공급되게 된다.
또한 재생 시에는, 기록/재생부(25)에서 판독되고, EFM/ACIRC 인코더/디코더(24)에서 디코드된 데이터는, ATRAC/ATRAC3 방식의 압축 부호화 상태의 데이터이다. 이 데이터가 버퍼 메모리(30)를 통해 코덱(23)에 공급되고, 코덱(23)에서 ATRAC/ATRAC3 방식의 압축에 대한 신장 처리가 행해짐으로써, 예를 들면 44.1㎑, 16비트 양자화의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가 복조된다. 이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는, 도시하지 않은 출력계의 회로에서, 예를 들면 D/A 변환, 아날로그 신호 처리, 증폭 처리 등이 행해져, 스피커 출력 신호로 되어, 음악 등으로서 재생된다.
혹은,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의 상태로 다른 기기에 대하여 출력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이상의 구성은, 통상의 미니 디스크 시스템의 기록 재생 장치에도 구비되는 구성 요소이지만, 본 예의 기록 재생 장치(20A)에서는, 1차 기록 매체측 기기(1)로서의 퍼스널 컴퓨터에 대응하는 요소가 더 설치된다. 즉 전송되어 오는 콘텐츠 데이터에 대한 수신·복호 등의 처리를 행하는 요소로서, 통신부(26), DMA(27), 복호 처리부(28), 캐쉬 메모리(29), 플로우 제어부(31), 시스템 제어부(32)가 설치된다.
시스템 제어부(32)(CPU)는, 해당 기록 재생 장치(20A)의 전체의 제어를 행하는 요소이다.
예를 들면, 퍼스널 컴퓨터(1)와의 사이의 인증을 위한 통신이나 데이터 생성의 지시나, 퍼스널 컴퓨터(1)로부터의 각종 커맨드의 교환, 전송되어 오는 콘텐츠 데이터에 대한 처리 등의 제어를 행한다. 또한 이들 제어에 따라 MD 제어부(21)에 지시를 내려, 미니 디스크(100)에 대한 콘텐츠 데이터의 기록/재생, 관리 정보의 판독이나 갱신 등의 제어도 행한다.
또한 도시하지 않지만, 사용자 인터페이스로서 조작부나 표시부가 설치되지만, 조작부로부터의 사용자 조작의 감시 및 조작에 따른 처리나, 표시부의 표시 제어 등도 행한다.
통신부(26)는, 도 6의 퍼스널 컴퓨터(1)의 접속부(11)와의 사이에 접속되며, 퍼스널 컴퓨터(1)와의 사이에서 데이터 통신을 행하는 요소이다. 예를 들면 USB 또는 IEEE1394 등의 통신 방식에 대응하는 신호 처리를 행한다.
통신부(26)에 의해 수신되는 퍼스널 컴퓨터(1)로부터의 통신으로서는, 각종 커맨드 및 SDMI 콘텐츠 등이 있다.
통신부(26)에서 수신된 SDMI 콘텐츠로서의 데이터는, DMA(Direct Memory Access)(27)의 제어에 의해, 캐쉬 메모리(29)에 저장된다. 또한 물론, DMA(27)가 아니라 CPU 제어에 의해, 캐쉬 메모리(29)로의 데이터 이동을 행하도록 해도 된다.
복호 처리부(28)는, SDMI 콘텐츠의 암호화 처리에 대응하기 위한 부위이다. 즉 캐쉬 메모리(29)에 기억된 콘텐츠 데이터에 대한 암호 해독 처리를 행한다. 그리고 비암호화 상태로 해독된 콘텐츠 데이터를 캐쉬 메모리(29)의 다른 영역에 기억한다.
SDMI 콘텐츠는 콘텐츠 키 CK 또는 CK'로 암호화되어 있기 때문에, 적어도 콘텐츠 키 CK, CK'를 인식할 수 있는 정보가 기억된다. 구체적으로는 후술하지만, 상기 도 1의 설명에서 언급한 DNK(Device Node Key)가 기억되게 된다. 이 기록/재생부(25)는, 도 1에서의 하나의 디바이스(DVx)에 상당하게 되며, 그 때문에, DNK에서 리프 키나, 리프 키에 의해 암호화된 노드 키, 루트 키가 기억되게 된다. 그리고 그와 같은 DNK를 이용하여,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송신되어 오는 상술한 EKB를 이용하여, 콘텐츠 키 CK를 인식할 수 있다.
SDMI 콘텐츠에 대한 콘텐츠 키 CK를 인식할 수 있는 정보인 DNK가 기억되어 있음으로써, 복호 처리부(28)는, 콘텐츠 키 CK로 암호화된 상태로 송신되는 SDMI 콘텐츠, 즉 예를 들면 E(CK, A3D)의 상태의 콘텐츠를 복호할 수 있다. 즉 D{CK, E(CK, A3D)}=A3D로 하여, 복호된 ATRAC3 압축 상태의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복호된 ATRAC3 압축 데이터는, EFM/ACIRC 인코더/디코더(24)에서의 인코드 처리를 거쳐, 기록/재생부(25)에서 미니 디스크(100)에 기록할 수 있다.
또한, SDMI 콘텐츠는, 반드시 ATRAC3 압축 데이터가 암호화된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선형 PCM 데이터가 키 CK로 암호화된 것 등도 생각할 수 있다. 즉 예를 들면 E(CK, PCM)의 상태의 콘텐츠가 전송 입력되는 경우도 있다. 그 경우는, 당연히 복호 처리부에서 D{CK, E(CK, PCM)}=PCM으로 하여 복호된 선형 PCM 데이터가 얻어진다. 그 경우에는, 해당 PCM 데이터는, 코덱(23)에서 ATRAC3 압축 처리가 행해진 후, EFM/ACIRC 인코더/디코더(24)에서의 인코드 처리를 거쳐, 기록/재생부(25)에서 미니 디스크(100)에 기록할 수 있다.
복호 처리부(28)는, 또한 인증 처리를 위한 키를 기억하는 경우도 있다. 후술하는 인증 처리예에서는 기록 재생 장치(20A)가 기억하고 있는 공개 키 P, 비밀 키 S를 사용한다. 그 경우는 공개 키 P, 비밀 키 S도, 복호 처리부(28)에 기억되게 된다. 또한 비밀 키 S를 이용한 암호화 처리도 행한다.
또한 복호 처리부(28)는, 해시 엔진도 탑재하고 있어, 소위 해시(HASH) 함수 연산에 의해 콘텐츠 ID를 생성하는 처리도 행한다.
이 콘텐츠 ID의 생성에 대해서는 후에 상술한다.
암호화가 해제된 SDMI 콘텐츠 데이터, 예를 들면 ATRAC3 방식의 압축 데이터나, PCM 데이터 상태의 콘텐츠 데이터는, 캐쉬 메모리(29)로부터 플로우 제어부(31)로 전송되게 된다.
플로우 제어부(31)는, 암호화 해제된 SDMI 콘텐츠 데이터를, 미니 디스크(100)에 기록하기 위해, 기록 처리계인 MD 제어부(21)측(코덱(23), EFM/ACIRC 인코더/디코더(24), 기록/재생부(25), 버퍼 메모리(30)측)으로 전송하는 요소이다.
그리고, MD 제어부(21)로부터의 요청(XARQ)에 따라 데이터를 전송해 간다. 이 플로우 제어부(31)에 의해, 콘텐츠 데이터의 수신, 암호 해독 처리, 및 미니 디스크(100)에 대한 기록 처리 동안의 타이밍적인 조정을 도모할 수 있다.
버스 라인(22)은 상기 MD 제어부(CPU)(21), 코덱(23), 버퍼 메모리(30), EFM/ACIRC 인코더/디코더(24), 플로우 제어부(31), DMA(27), 캐쉬 메모리(29), 통신부(26), 복호 처리부(28), 시스템 제어부(32) 사이에서 각종 데이터를 수수하기 위한 통신선이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퍼스널 컴퓨터(1)로부터 송신된 SDMI 콘텐츠 데이터로서 E(CK, A3D)의 상태의 데이터, 또는 E(CK, PCM)의 상태의 데이터는, 비암호화 상태로 되며, ATRAC3 압축 데이터의 상태로 EFM/ACIRC 인코더/디코더(24)에서의 인코드 처리를 거쳐, 기록/재생부(25)에서 미니 디스크(100)에 기록되게 된다.
그런데, 퍼스널 컴퓨터(1)로부터 기록 재생 장치(20A)에 대해서는, 콘텐츠 데이터의 체크아웃/체크인, 그 밖의 통신 세션 시에는 각종 커맨드도 송신되어 온다.
이들 커맨드는 통신부(26)에 의해 수신되면, 시스템 제어부(32)에 전달되고, 시스템 제어부(32)는, 이들 커맨드에 따라 각종 처리를 행함과 함께, 커맨드에 대한 응답을 통신부(26)로부터 퍼스널 컴퓨터(1)로 송신한다.
《6. 미니 디스크의 관리 방식》
여기서, 미니 디스크(100)에 기록되는 데이터 및 관리 정보에 대하여 설명한 다.
미니 디스크 시스템과 같은 디지털 기록/재생 시스템에서는, 기록 매체에 데이터의 기록 동작이나 재생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관리 정보로서 TOC(Table Of Contents)가 기록되어 있으며, 기록 재생 장치측에서는 사전에 디스크 등의 기록 매체로부터 이 TOC 정보를 판독하여 메모리에 보존해 놓고, 기록 재생 동작 시에, 이 TOC 정보를 참조하여 기록 위치나 판독 위치를 파악하여 기록 재생을 위한 액세스 동작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미니 디스크의 경우, TOC 정보로서는 재기입 불능인 정보로서 피트에 따라 기록되는 P-TOC(프리마스터드 TOC)와, 악곡 등의 기록, 소거 등에 따라 재기입되도록 광 자기 기록되어 있는 U-TOC(사용자 TOC)가 존재하며, U-TOC에 대해서는, 기록/소거에 따라 우선 메모리 내에서 데이터를 갱신하고, 이 갱신 데이터로 소정 타이밍에서 디스크 상의 U-TOC 영역을 재기입해 간다.
또한 U-TOC에는, 디스크 상에 기록되는 오디오 데이터 등의 콘텐츠 데이터가 트랙으로 불리는 단위로 관리된다. 즉 하나의 트랙은, 예를 들면 하나의 악곡에 상당하게 된다.
우선, 미니 디스크(100)에 기록되는 데이터로서, 클러스터라는 데이터 단위에 대하여 설명한다. 미니 디스크 시스템에서는 기록 데이터로서 1클러스터라는 단위별로 데이터 스트림이 형성되며, 이 기록 동작의 단위가 되는 클러스터의 포맷은 도 8에 도시한다.
미니 디스크 시스템에서의 기록 트랙으로서는 도 8과 같이 클러스터 CL이 연 속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1클러스터가 기록 시의 최소 단위로 된다.
그리고 1클러스터 CL은, 섹터 SCFC∼SCFE로서 나타내는 3섹터의 링킹 섹터와, 섹터 SCFF로서 나타내는 1섹터의 서브 데이터 섹터와, 섹터 SC00∼SC1F로서 나타내는 32섹터의 메인 섹터로 형성되어 있다. 즉 1클러스터는 36섹터로 구성된다.
1섹터는 2352바이트로 형성되는 데이터 단위이다.
링킹 섹터 SCFC∼SCFE는, 기록 동작의 단절 부분으로서의 완충 영역이나 각종 동작 조정, 그 외에 이용되며, 또한 서브 데이터 섹터 SCFF는 서브 데이터로서 설정된 정보의 기록에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TOC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등의 기록은 32섹터의 메인 섹터 SC00∼SC1F에 행해진다.
또한, 섹터는 사운드 그룹 단위로 더 세분화되어, 2섹터가 11사운드 그룹으로 나누어져 있다.
즉 도시한 바와 같이, 섹터 SC00 등의 짝수 섹터와 섹터 SC01 등의 홀수 섹터의 연속하는 2개의 섹터에, 사운드 그룹 SG00∼SG0A가 포함되는 상태로 되어있다. 하나의 사운드 그룹은 424바이트로 형성되어 있으며, 11.61msec 시간에 상당하는 음성 데이터량으로 된다.
하나의 사운드 그룹 SG 내에는 데이터가 L 채널과 R 채널로 나누어져 기록된다. 예를 들면 사운드 그룹 SG00은 L 채널 데이터 L0과 R 채널 데이터 R0으로 구성되며, 또한 사운드 그룹 SG01은 L 채널 데이터 L1과 R 채널 데이터 R1로 구성된다.
또한, L 채널 또는 R 채널의 데이터 영역이 되는 212바이트를 사운드 프레임이라고 부른다.
도 9는 미니 디스크(100)의 에리어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도 9의 (a)는 디스크 최내주측으로부터 최외주측까지의 에리어를 도시하고 있으며, 광 자기 디스크로서의 미니 디스크(100)는, 최내주측은 엠보스 피트에 의해 재생 전용의 데이터가 형성되는 피트 영역으로 되어 있으며, 여기에 P-TOC가 기록되어 있다.
피트 영역보다 외주는 광 자기 영역으로 되며, 기록 트랙의 안내 홈으로서의 그루브가 형성된 기록 재생 가능 영역으로 되어 있다.
이 광 자기 영역의 최내주측의 클러스터0∼클러스터49까지의 구간이 관리 에리어로 되며, 실제의 악곡 등이 각각 하나의 트랙으로서 기록되는 것은, 클러스터50∼클러스터2251까지의 프로그램 에리어로 된다. 프로그램 에리어보다 외주는 리드아웃 에리어로 되어 있다.
관리 에리어 내를 자세히 도시한 것이 도 9의 (b)이다. 도 9의 (b)는 가로 방향에 섹터, 세로 방향에 클러스터를 도시하고 있다.
관리 에리어에서 클러스터0, 1은 피트 영역과의 완충 에리어로 되어 있다. 클러스터2는 파워 캘리브레이션 에리어 PCA로 되어, 레이저광의 출력 파워 조정 등을 위해 이용된다.
클러스터3, 4, 5는 U-TOC가 기록된다. U-TOC의 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후술하지만, 하나의 클러스터 내의 32개의 각 메인 섹터(SC00∼SC1F)에서 데이터 포 맷이 규정되어, 각각 소정의 관리 정보가 기록된다. 즉 프로그램 에리어에 기록되어 있는 각 트랙의 어드레스, 프리 에리어의 어드레스 등이 기록되며, 또한 각 트랙에 부수하는 트랙 네임, 기록 일시 등의 정보를 기록할 수 있도록 U-TOC 섹터가 규정되어 있다. 이러한 U-TOC 데이터가 되는 섹터를 갖는 클러스터가, 클러스터3, 4, 5에 3회 반복하여 기록된다.
클러스터47, 48, 49는 프로그램 에리어와의 완충 에리어가 된다.
또한 사선 부분 PD는, 후술하는 선불 정보의 기록 영역으로서 설정할 수 있다.
클러스터50(=16진 표기로 32h) 이후의 프로그램 에리어에는, 하나의 클러스터 내의 32개의 각 메인 섹터(SC00∼SC1F)에서, 악곡 등의 음성 데이터가 ATRAC로 불리는 압축 형식으로 기록된다. 기록되는 각 트랙(콘텐츠 데이터)이나 기록 가능한 영역은 U-TOC에 의해 관리된다. 또한, 프로그램 영역에서의 각 클러스터에서, 섹터 SCFF는 상술한 바와 같이 서브 데이터로서의 정보의 기록에 이용할 수 있다.
도 10에 의해 U-TOC 섹터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P-TOC는 도 9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디스크(90)의 최내주측의 피트 에리어에 형성되는 것으로, 판독 전용의 정보이다. 그리고, P-TOC에 의해 디스크의 기록 가능 에리어(기록 가능 사용자 에리어)나, 리드아웃 에리어, U-TOC 에리어 등의 위치의 관리 등이 행해진다. 또한, 모든 데이터가 피트 형태로 기록되어 있는 재생 전용의 광 디스크에서는, P-TOC에 의해 ROM화되어 기록되어 있는 악곡의 관리도 행할 수 있도록 되어, U-TOC는 형성되지 않는다. P-TOC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 명을 생략한다.
도 10은 U-TOC 섹터0의 포맷을 도시한다. U-TOC 섹터로서는 섹터0∼섹터32까지 설정할 수 있다. 즉 상기한 1클러스터 내의 메인 섹터 SC00∼SC1F에 상당하여 기록되는 섹터로 된다.
그 중에서, 섹터1, 섹터4는 문자 정보, 섹터2는 녹음 일시를 기록하는 에리어로 되어 있다. 이들 섹터1, 섹터2, 섹터4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U-TOC 섹터0은, 기록된 악곡 등의 콘텐츠 데이터(트랙)나 새롭게 콘텐츠 데이터를 녹음할 수 있는 프리 에리어에 대한 관리 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 영역이 된다.
예를 들면 미니 디스크(100)에 임의의 악곡의 녹음을 행하고자 할 때는, MD 제어부(21)는, U-TOC 섹터0으로부터 디스크 상의 프리 에리어를 찾아 내어, 거기에 데이터를 기록하게 된다. 또한, 재생 시에는 재생해야 할 악곡이 기록되어 있는 에리어를 U-TOC 섹터0으로부터 판별하고, 그 에리어에 액세스하여 재생 동작을 행한다.
도 10의 U-TOC 섹터0의 데이터 영역(4바이트×588의 2352바이트)은, 선두 위치에 모두 0 또는 모두 1인 1바이트 데이터가 배열되어 형성되는 동기 패턴이 기록된다.
계속해서 클러스터 어드레스(Cluster H)(Cluster L) 및 섹터 어드레스(Sector)가 되는 어드레스가 3바이트에 걸쳐 기록되며, 또한 모드 정보(MODE)가 1바이트 부가되어, 이것으로 헤더가 된다. 여기서의 3바이트의 어드 레스는 그 섹터 자체의 어드레스이다.
또한, 동기 패턴이나 어드레스가 기록되는 헤더 부분에 대해서는, 이 U-TOC 섹터0에 한정되지 않고, P-TOC 섹터, 프로그램 에리어에서의 섹터에서도 마찬가지이며, 섹터 단위로 그 섹터 자체의 어드레스 및 동기 패턴이 기록되어 있다.
계속해서 소정 바이트 위치에, 메이커 코드, 모델 코드, 최초 트랙의 트랙 번호(First TNO), 최후 트랙의 트랙 번호(Last TNO), 섹터 사용 상황(Used sectors), 디스크 일련 번호, 디스크 ID 등의 데이터가 기록된다.
또한, 사용자가 녹음을 행하여 기록되어 있는 트랙(악곡 등)의 영역이나 프리 에리어 등을 후술하는 테이블에 대응시킴으로써 식별하기 때문에, 포인터부로서 각종 포인터(P-DFA, P-EMPTY, P-FRA, P-TNO1∼P-TNO255)가 기록되는 영역이 준비되어 있다.
그리고 포인터(P-DFA∼P-TNO255)에 대응되도록 되는 테이블로서 (01h)∼(FFh)까지의 255개의 파트 테이블이 설치되고, 각각의 파트 테이블에는, 임의의 파트에 대하여 기점이 되는 스타트 어드레스, 종단이 되는 엔드 어드레스, 그 파트의 모드 정보(트랙 모드)가 기록되어 있다. 또한 각 파트 테이블로 나타내는 파트가 다른 파트에 계속해서 연결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그 연결되는 파트의 스타트 어드레스 및 엔드 어드레스가 기록되어 있는 파트 테이블을 나타내는 링크 정보를 기록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파트는 하나의 트랙 내에서 시간적으로 연속한 데이터가 물리적으로 연속하여 기록되어 있는 트랙 부분을 말한다.
그리고 스타트 어드레스, 엔드 어드레스로서 나타나는 어드레스는, 하나의 악곡(트랙)을 구성하는 1 또는 복수의 각 파트를 나타내는 어드레스가 된다.
이들 어드레스는 단축형으로 기록되며, 클러스터, 섹터, 사운드 그룹을 지정한다.
이러한 종류의 기록 재생 장치에서는, 하나의 악곡(트랙)의 데이터를 물리적으로 불연속적으로, 즉 복수의 파트에 걸쳐 기록되어 있어도 파트간에서 액세스하면서 재생해 감으로써 재생 동작에 지장이 없기 때문에, 사용자가 녹음하는 악곡 등에 대해서는, 녹음 가능 에리어의 효율적인 사용 등의 목적으로, 복수 파트로 나누어 기록하는 경우도 있다.
그 때문에, 링크 정보가 설정되고, 예를 들면 각 파트 테이블에 주어진 번호 (01h)∼(FFh)에 의해, 연결해야 할 파트 테이블을 지정함으로써 파트 테이블을 연결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즉 U-TOC 섹터0에서의 테이블부에서는, 하나의 파트 테이블은 하나의 파트를 표현하고 있으며, 예를 들면 3개의 파트가 연결되어 구성되는 악곡에 대해서는 링크 정보에 의해 연결되는 3개의 파트 테이블에 의해, 그 파트 위치의 관리가 행해진다.
또한, 실제로는 링크 정보는 소정의 연산 처리에 의해 U-TOC 섹터0 내의 바이트 포지션으로 되는 수치로 나타난다. 즉, 304+(링크 정보)×8(바이트째)로서 파트 테이블을 지정한다.
U-TOC 섹터0의 테이블에서의 (01h)∼(FFh)까지의 각 파트 테이블은, 포인터 부에서의 포인터(P-DFA, P-EMPTY, P-FRA, P-TNO1∼P-TNO255)에 의해, 이하와 같이 그 파트의 내용이 표시된다.
포인터 P-DFA는 광 자기 디스크(90) 상의 결함 영역을 나타내고 있으며, 흠 등에 의한 결함 영역이 되는 트랙 부분(=파트)이 도시된 하나의 파트 테이블 또는 복수의 파트 테이블 내의 선두의 파트 테이블을 지정하고 있다. 즉, 결함파트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포인터 P-DFA에서 (01h)∼(FFh) 중 어느 하나가 기록되어 있으며, 그것에 상당하는 파트 테이블에는, 결함 파트가 스타트 및 엔드 어드레스에 의해 표시되어 있다. 또한, 그 외에도 결함 파트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그 파트 테이블에서의 링크 정보로서 다른 파트 테이블이 지정되며, 그 파트 테이블에도 결함 파트가 표시되어 있다. 그리고, 다른 결함 파트가 없는 경우에는 링크 정보는 예를 들면 『00h』로 되어, 이후 링크 없음으로 된다.
포인터 P-EMPTY는 테이블에서의 1 또는 복수의 미사용의 파트 테이블의 선두의 파트 테이블을 나타내는 것으로, 미사용의 파트 테이블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포인터 P-EMPTY로서, (01h)∼(FFh) 중 어느 하나가 기록된다.
미사용의 파트 테이블이 복수 존재하는 경우에는, 포인터 P-EMPTY에 의해 지정된 파트 테이블로부터 링크 정보에 의해 순차적으로 파트 테이블이 지정되어, 모든 미사용의 파트 테이블이 테이블 상에서 연결된다.
포인터 P-FRA는 광 자기 디스크(90) 상의 데이터가 기입 가능한 프리 에리어(소거 영역을 포함함)를 나타내고 있으며, 프리 에리어가 되는 트랙 부분(=파트)이 나타나는 1 또는 복수의 파트 테이블 내의 선두 파트 테이블을 지정하고 있다. 즉, 프리 에리어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포인터 P-FRA에서 (01h)∼(FFh) 중 어느 하나가 기록되어 있으며, 그에 상당하는 파트 테이블에는, 프리 에리어인 파트가 스타트 및 엔드 어드레스에 의해 표시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파트가 복수개 있어, 즉 파트 테이블이 복수개 있는 경우에는 링크 정보에 의해, 링크 정보가 『00h』로 되는 파트 테이블까지 순차적으로 지정되어 있다.
도 11에 파트 테이블에 의해 프리 에리어로 되는 파트의 관리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한다. 이것은 파트 (03h) (18h) (1Fh) (2Bh) (E3h)가 프리 에리어로 되어 있을 때에, 이 상태가 포인터 P-FRA에 이어 파트 테이블 (03h) (18h) (1Fh) (2Bh) (E3h)의 링크에 의해 표현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상기한 결함 영역이나 미사용 파트 테이블의 관리 형태도 이와 마찬가지로 된다.
포인터 P-TNO1∼P-TNO255는 디스크(90)에 사용자가 기록을 행한 악곡 등의 트랙을 나타내고 있으며, 예를 들면 포인터 P-TNO1에서는 제1 트랙의 데이터가 기록된 1 또는 복수의 파트 중 시간적으로 선두가 되는 파트가 나타나는 파트 테이블을 지정하고 있다.
예를 들면 제1 트랙으로 된 악곡이 디스크 상에서 트랙이 분단되지 않고, 즉 하나의 파트로 기록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제1 트랙의 기록 영역은 포인터 P-TNO1로 나타나는 파트 테이블에서의 스타트 및 엔드 어드레스로서 기록되어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제2 트랙으로 된 악곡이 디스크 상에서 복수의 파트에 흩어져 기록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제2 트랙의 기록 위치를 나타내기 위해 각 파트가 시간적인 순서에 따라 지정된다. 즉, 포인터 P-TNO2로 지정된 파트 테이블부터, 또한 링크 정보에 의해 다른 파트 테이블이 순차적으로 시간적인 순서에 따라 지정되어, 링크 정보가 『00h』로 되는 파트 테이블까지 연결된다(상기 도 11과 마찬가지의 형태).
이와 같이, 예를 들면 2곡째를 구성하는 데이터가 기록된 모든 파트가 순차적으로 지정되어 기록되어 있음으로써, 이 U-TOC 섹터0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2곡째의 재생 시나, 그 2곡째의 영역에의 덧씌우기 기록을 행할 때에, 기록 재생 헤드를 액세스시켜 흩어져 있는 파트로부터 연속적인 음악 정보를 추출하거나, 기록 에리어를 효율적으로 사용한 기록이 가능해진다.
그런데, 각 파트 테이블에는 1바이트의 트랙 모드가 기록되지만, 이것은 트랙의 속성 정보가 된다.
1바이트를 구성하는 8비트를 d1(MSB)∼d8(LSB)로 하면, 이 트랙 모드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d1 … 0 : 라이트 퍼미티드, 1 : 라이트 프로텍트(덧씌우기 소거, 편집 금지)
d2 … 0 : 저작권 있음, 1 : 저작권 없음
d3 … 0 : 오리지널, 1 : 제1 세대 이상
d4 … 0 : 오디오 데이터, 1 : 미정의
d5, d6 … 01 : 노멀 오디오, 기타 : 미정의
d7 … 0 : 모노, 1 : 스테레오
d8 … 0 : 엠퍼시스 오프, 1 : 엠퍼시스 온
이상과 같이, 재기입 가능한 광 자기 디스크(90)에 대해서, 디스크 상의 에리어 관리는 P-TOC에 의해 이루어지고, 또한 기록 가능 사용자 에리어에서 기록된 악곡이나 프리 에리어 등은 U-TOC에 의해 행해진다.
또한, 이러한 U-TOC 구조에 의해, 미니 디스크(100)에 기록된 트랙에 대해서는, 트랙의 분할, 복수 트랙의 1트랙에의 연결, 소거 등의 편집이 U-TOC를 재기입하는 것만으로 가능하다는 것이 이해된다.
기록 재생 장치(20A)에서 MD 제어부(21)는, 기록/재생부(25)에 미니 디스크(100)가 장착되었을 때는, 우선 이 TOC 정보를 판독하고, 판독한 U-TOC 정보를 버퍼 메모리(30)의 특정한 에리어에 기억시킨다. 그리고 이후, 그 미니 디스크(100)에 대한 기록/재생/편집 동작 시에 참조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콘텐츠 데이터(트랙)의 기록이나, 기록되어 있는 트랙의 편집 등이 행해지는 경우, U-TOC 섹터의 갱신 처리는, 일단, 버퍼 메모리(30)에 기억된 U-TOC 데이터에 대하여 행해진다.
그리고 소정 시점에서 버퍼 메모리(30)에 기억되어 있는(갱신된) TOC 정보가 미니 디스크(100)에 기입됨으로써, 디스크 상에서의 U-TOC 갱신이 행해진다.
《7. 인증 처리》
SDMI 데이터 패스의 설명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미니 디스크(100)에 대하여 암호화를 푼 상태로 콘텐츠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 재생 장치(20A)에 대해서는, 그 전송/기록(체크아웃)의 조건의 하나로서, 퍼스널 컴퓨터(1)로부터의 인증이 OK로 되어야만 한다. 인증이란, 비암호화 상태에서의 콘텐츠 데이터의 기록 동작이 허가된 기기로서 정당한 것인지를 확인하는 처리로 된다.
이 인증 처리는, 퍼스널 컴퓨터(1)의 접속부(11)에, SDMI 대응 기록 재생 장치(20B) 이외의 기록 재생 장치가 접속된 경우에 행해진다. 또한, SDMI 대응 기록 재생 장치(20B)가 접속된 경우에는, 그 기기가 본 예에서 말하는 SDMI 대응의 기록 재생 장치(20B)인 것을 확인하는 처리가 행해진다. 즉 접속 기기가, SDMI 대응의 기록 재생 장치(20B)라고 확인되지 않은 경우에, 이하 설명하는 인증 처리가 행해져, 기록 재생 장치(20A)인지의 여부가 확인되게 된다.
본 예에서의 인증 처리는, 비대칭 암호(공개 키 암호)를 이용한 인증 방식을 실행하는 것으로 한다. 비대칭 암호에서는, 암호화의 키와 복호화의 키가 다르다. 현재, 암호 전의 데이터를 Db, 암호 키를 Ke, 복호 키를 Kd로 하면, 암호화 데이터 C는 C=E(Ke, Db)로 암호화가 행해지고, 또한 D(Kd, C)=Db로 데이터 Db가 복호된다.
여기서 암호 키 Ke, 복호 키 Kd는 키의 쌍으로 불리며, 한쪽은 공개 키로서 공개되며, 다른쪽은 비밀 키로서 소정 요소에 저장된다.
이하 설명하는 인증 처리에서는, 키의 쌍 Ke, Kd 중에서 공개 키를 P, 비밀 키를 S로서 나타내어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 경우, 기록 재생 장치(20A)는, 복호 처리부(28)(또는 시스템 제어부(32))에 암호 키 Ke, 복호 키 Kd로 되는, 공개 키 P, 비밀 키 S를 기억하게 된다.
인증 처리에서는, 예를 들면 1차 기록 매체측 기기(퍼스널 컴퓨터)(1)의 CPU(2)는, 2차 기록 매체측 기기(기록 재생 장치)(20A)의 시스템 제어부(32)에 대하여 인증 요구의 커맨드를 송신한 후, CPU(2)(1차 기록 매체측 기기(퍼스널 컴퓨 터)(1))와, 시스템 제어부(32)(2차 기록 매체측 기기(기록 재생 장치)(20A)) 사이에서 도 12와 같은 처리가 행해지게 된다.
인증 처리가 개시되면, 우선 2차 기록 매체측 기기(20A)의 시스템 제어부(32)는, 처리 S1로서, 복호 처리부(28)에 기억되어 있는 공개 키 P를 통신부(26)로부터 1차 기록 매체측 기기(1)로 송신시킨다. 또한, 공개 키 P는 1차 기록 매체측 기기(1)측도 알고 있는 키이다. 따라서, 공개 키 P에 대하여 양자가 일치한 인식이 얻어지는 경우에는, 해당 처리 S1은 반드시 실행되지 않아도 된다.
1차 기록 매체측 기기(1)의 CPU(2)는, 공개 키 P를 수신하면, 계속해서 처리 S2로서, 난수 r을 발생시킨다. 그리고 처리 S3으로서, 2차 기록 매체측 기기(20A)로 난수 r을 송신한다.
다음으로 2차 기록 매체측 기기(20A)의 시스템 제어부(32)는, 처리 S4로서 수신된 난수 r을, 복호 처리부(28)에 기억된 비밀 키 S를 이용하여 암호화한다. 그리고 처리 S5로서, 암호화 데이터 E(S, r)를 1차 기록 매체측 기기(1)로 송신한다.
1차 기록 매체측 기기(1)의 CPU(2)는, 암호화 데이터 E(S, r)를 수신하면, 처리 S6으로서, 암호화 데이터 E(S, r)를 공개 키 P에 의해 복호한다. 즉 D{P, E(S, r)}의 처리를 행한다.
그리고 처리 S7로서, 상기 처리 S2에서 발생시킨 난수 r과, 상기 처리 S6에서의 복호 결과 D{P, E(S, r)}를 비교한다.
여기서, 공개 키 P와 비밀 키 S가 적정한 키의 쌍이라고 하면, r=D{P, E(S, r)}의 결과가 얻어질 것이다.
따라서, 비교 결과가 일치하는 경우에는, 해당 2차 기록 매체측 기기(20A)가, 공개 키 P에 대한 비밀 키 S를 보유하고 있는 것이 확인되기 때문에, 처리 S8로부터 처리 S9로 진행하여, 해당 2차 기록 매체측 기기(20A)를 정당한 접속 상대로서 인증한다.
한편, 비교 결과가 일치하지 않으면 처리 S8로부터 처리 S10으로 진행하여, 접속된 2차 기록 매체측 기기는, 정당한 접속 상대(즉 SDMI 콘텐츠를 전송해도 되는 기기)가 아닌 것으로 하여 인증 NG로 한다.
예를 들면 이상과 같은 인증 처리에 의해, 접속된 기기가 적정한 2차 기록 매체측 기기(20A)로서 인증되면, 1차 기록 매체측 기기(1)는 그 접속된 기기에 대하여 SDMI 콘텐츠의 전송을 허가하는 조건 중 하나가 만족된 것으로 인식하게 된다.
《8. 콘텐츠 암호화 방식》
본 예의 시스템에서, 도 1에 도시한 구조의 최하단의 디바이스에 상당하는 것은 기록 재생 장치(20A, 20B)가 되며,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암호화 구조를 해당 시스템에서 실현하는 경우의 예를 설명한다.
우선 도 13은 콘텐츠 데이터 및 키의 흐름을 도시하고 있다.
도 4에 도시한 외부 콘텐츠 서버(91)로부터 퍼스널 컴퓨터(1)로 임의의 콘텐츠 데이터 CT1이 배신되는 경우, 이 1단위의 콘텐츠 데이터 CT1에 대해서는, E(CK, A3D), E(KR, CK), 및 EKB가 송신되어 HDD(5)에 저장되게 된다.
E(CK, A3D)는 콘텐츠 키 CK로 암호화된 ATRAC3 압축 콘텐츠 데이터이며, 즉 배신 목적이 되는 실제의 음악 그 밖의 정보이다.
E(KR, CK)는, 콘텐츠 데이터의 암호 해독을 위한 콘텐츠 키 CK를 도 1에서 설명한 루트 키 KR로 암호화된 정보이다.
EKB는 도 1∼도 3에서 설명한 유효화 키 블록의 정보로, 본 실시예의 설명에서는, 루트 키 KR을 갱신하기 위한 정보로 한다.
하나의 콘텐츠 데이터의 배신에 따라, 이들이 세트로 배신되며, 도시한 바와 같이 HDD(5)에는, 이들의 세트로서 콘텐츠 데이터 CT1, CT2, …이 저장되게 된다.
퍼스널 컴퓨터(1)가 기록 재생 장치(20A 20B)에 콘텐츠 데이터 전송을 행하는 경우에는, 이 세트로서의 정보로서 E(CK, A3D), E(KR, CK), 및 EKB를 소정의 수순으로 송신한다.
도 1에서 설명한 디바이스(단말기)에 상당하는 기록 재생 장치(20A, 20B)에서는, 각각 고유의 리프 ID가 설정되어 있으며, 또한 DNK(Device Node Key)를 기억하고 있다.
그리고 퍼스널 컴퓨터(1)로부터 상기 세트의 콘텐츠 데이터가 송신되어 오는 것에 따라, 콘텐츠 데이터의 암호 해독을 행하여(또는 암호화 상태 그대로), 2차 기록 매체에 기록한다. SDMI 대응의 기록 재생 장치(20B)인 경우는, 재생 시에 암호 해독을 행하게 된다. 또한 기록 재생 장치(20A)의 경우에는, 기록 시에 암호 해독을 행한다.
이 암호 해독 처리로서는, 도시한 바와 같이, 우선 기억하고 있는 DNK와 송 신되어 오는 EKB를 이용하여 루트 키 KR을 해독한다.
계속해서, 해독한 루트 키 KR을 이용하여 콘텐츠 CK를 해독한다.
그리고 해독한 콘텐츠 키 CK를 이용함으로써, 암호화를 해제한 콘텐츠 데이터 A3D를 얻을 수 있다.
기록 재생 장치(20A)의 경우의 DNK 및 암호 해독 수순을 도 14A 내지 도 14B, 도 15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지금, 도 14A와 같은 키의 트리 구조를 상정하여, 예를 들면 기록 재생 장치(20A)에 리프 ID=SET0, 리프 키=K000이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이 경우, 기록 재생 장치(20A)에 기억되는 DNK는 도 14B와 같은 정보를 갖는다.
우선 리프 ID로서 「SET0」이 기억된다.
또한 리프 키로서 「K000」이 기억된다.
그리고 리프 키 「K000」부터 도 14A의 구조에서 루트 키 KR까지 찾아갈 수 있는 정보가 기억된다. 즉, 노드 키 K00, K0, 루트 키 KR이 기억된다. 단 이 노드 키 K00, K0, 루트 키 KR은, 리프 키 K000에 의해 암호화된 상태로 기억된다. 즉 도시한 바와 같이,
E(K000, K00)
E(K000, K0)
E(K000, KR)
이 기억된다.
이러한 DNK가 기억되어 있음으로써, 기록 재생 장치(20A)는, 전송되어 온 콘텐츠 데이터 E(CK, A3D)를, 동일하게 전송되어 온 E(KR, CK)를 이용하여 암호 해독할 수 있다.
즉 이 경우에는, 기록 재생 장치(20A)는 리프 키 K000을 이용하여 D{K000, E(K000, KR)}의 복호를 행함으로써 루트 키 KR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복호한 루트 키 KR을 이용하여 D{KR, E(KR, CK)}의 복호를 행함으로써 콘텐츠 키 CK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복호한 콘텐츠 키 CK를 이용하여 D{CK, E(CK, A3D)}의 복호를 행함으로써 암호 해독된 콘텐츠 데이터 A3D를 얻을 수 있다.
단, 상술한 바와 같이 루트 키 KR이나 노드 키는 불변의 것이 아니라 다양한 사정에 따라 변경된다. 그리고 이 예와 같이 콘텐츠 키 CK를 루트 키 KR로 암호화하여 전송하는 시스템인 경우에는, 콘텐츠 데이터마다 루트 키 KR을 변경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음악 배신업자에 따라서는 하나의 콘텐츠 데이터마다 루트 키 KR을 변경하고, 이에 의해 저작권 보호를 강화하는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상기한 바와 같이 EKB를 동시에 송신하여, 정규의 디바이스에 대하여 변경된 루트 키 KR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현재,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임의의 콘텐츠 데이터 E(CK, A3D)에 대하여, 변경된 루트 키 KR'로 암호화한 콘텐츠 키 E(KR', CK) 및 EKB가 송신되어 오는 것으로 한다. 이 경우 EKB에는, 예를 들면 노드 키 K0으로 암호화한 갱신 루트 키 KR'로서 E(K0, KR')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갱신 루트 키 KR'을 노드 키 K0으로 암호화하는 것은, 예를 들면 도 14A 도 내지 도 14B의 디바이스 (SET0)∼(SET3)에 대해서만, 새로운 루트 키 KR'을 통지하는 경우 등에 행해지는 예가 된다. 물론 디바이스 (SET0) (SET1)만을 통지 대상으로 하면, 갱신 루트 키 KR'을 노드 키 K00으로 암호화한 E(K00, KR')의 정보가 포함하는 EKB를 발행하면 된다.
한편, 기록 재생 장치(20A)의 DNK는, 도 14B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리프 키 K000과, 리프 키로 암호화된 노드 키 및 루트 키로서 E(K000, K00), E(K000, K0), E(K000, KR)이 기억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콘텐츠 데이터 A3D를 복호하기까지의 수순을 도 15에 ①∼④로 도시하고 있다.
① EKB로서 E(K0, KR')의 정보가 송신되어 옴에 따라, 우선 DNK로부터 K0을 얻는다. 즉 리프 키 K000을 이용하여 D{K000, E(K000, K0)}의 복호를 행함으로써 노드 키 K0을 얻는다.
② 다음으로 노드 키 K0을 이용하여, EKB에 의한 E(K0, KR')를 해독한다. 즉 D{K0, E(K0, KR')}의 복호를 행함으로써 갱신 루트 키 KR'을 얻는다.
③ 해독한 갱신 루트 키 KR'을 이용하여, 송신되어 온 콘텐츠 키 E(KR', CK)를 해독한다. 즉 D{KR', E(KR, CK)}의 복호를 행함으로써 콘텐츠 키 CK를 얻는다.
④ 복호한 콘텐츠 키 CK를 이용하여 D{CK, E(CK, A3D)}의 복호를 행함으로써 암호 해독된 콘텐츠 데이터 A3D를 얻는다.
이상의 수순에 의해, 기록 재생 장치(20A)에서는, 전송되어 온 콘텐츠 데이터의 암호화를 해제하여, 미니 디스크(100)에 기록할 수 있다.
또한 기록 재생 장치(20B)인 경우에는, 암호화된 상태로 2차 기록 매체에 기록한 콘텐츠 데이터를 재생할 때에, 상기 수순에 의해 암호화를 해제하여, 음악 등의 재생을 행할 수 있다.
《9. 각종 커맨드》
1차 기록 매체측 기기인 퍼스널 컴퓨터(1)와 2차 기록 매체측 기기인 기록 재생 장치(20A)(20B) 사이에는, 체크아웃/체크인 혹은 다른 각종 동작을 위한 통신 세션에서, 각종 컨트롤 커맨드 및 그에 대한 응답 커맨드의 교환이 행해진다.
여기서는, 다양한 커맨드 중, 후술하는 본 예의 특징적인 동작에 직접적으로 관련되는 커맨드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16에 체크아웃 컨트롤 커맨드, 도 17에 체크아웃 응답 커맨드의 각 포맷을 도시한다.
체크아웃 컨트롤 커맨드는 25바이트로 구성되며, 체크아웃 응답 커맨드는 17 바이트로 구성된다.
그리고 체크아웃 컨트롤 커맨드는, 체크아웃을 위한 통신 세션에 의해 2차 기록 매체측으로 전송한 콘텐츠 데이터를, 실제로 2차 기록 매체측이 재생 가능한 상태로 한 것(재생권을 제공함)을 지시하기 위해, 퍼스널 컴퓨터(1)가 기록 재생 장치(20A)(20B)에 대하여 발하는 커맨드가 된다.
한편, 기록 재생 장치(20A(20B))는, 이에 대응하여 소정의 처리를 행하여, 컨트롤 커맨드에 대한 응답으로서 체크아웃 응답 커맨드를 퍼스널 컴퓨터(1)로 송신한다.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체크아웃 컨트롤 커맨드에서는, 오퍼레이션 코드로서 「체크아웃」이 표시되고, 통신 결과(result), 통신 대상 기기의 식별 코드(List ID), 체크아웃 콘텐츠에 대한 2차 기록 매체측에서의 트랙 번호(object position number), 암호화 세션 키(DES CBC(Ks, 0))로서의 각 정보 비트가 준비된다.
또한 체크아웃 응답 커맨드는,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퍼레이션 코드로서 「체크아웃」이 표시되고, 통신 결과(result), 통신 대상 기기의 식별 코드(List ID), 체크아웃 콘텐츠에 대한 2차 기록 매체측에서의 트랙 번호(object position number)로서의 각 정보 비트가 준비된다.
도 18에 30바이트로 되는 레코드 오브젝트 컨트롤 커맨드, 도 19에 62바이트의 레코드 오브젝트 응답 커맨드의 각 포맷을 도시한다.
레코드 오브젝트 컨트롤 커맨드는, 예를 들면 체크아웃을 위한 통신 세션에서 실제의 콘텐츠 데이터의 전송 시에 그 콘텐츠 데이터의 정보를 통지하기 위해, 퍼스널 컴퓨터(1)가 기록 재생 장치(20A)(20B)에 발하는 커맨드가 된다.
한편, 기록 재생 장치(20A(20B))는, 이에 대응하여 통지된 정보 등에 관한 처리를 행하여, 컨트롤 커맨드에 대한 응답으로서 체크아웃 응답 커맨드를 퍼스널 컴퓨터(1)로 송신한다.
또한 후술하지만, 기록 재생 장치(20A)에서는, 전송되어 오는 콘텐츠 데이터 의 일부를 이용하여 콘텐츠 ID를 생성하지만, 레코드 오브젝트 응답 커맨드에 의해, 이 생성된 콘텐츠 ID를 퍼스널 컴퓨터(1)에 통지하는 것도 행한다.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코드 오브젝트 컨트롤 커맨드에서는, 오퍼레이션 코드로서 「레코드 오브젝트」가 표시되고, 통신 결과(result), 통신 대상 기기의 식별 코드(Destination List ID), 체크아웃 콘텐츠에 대한 2차 기록 매체측에서의 트랙 번호(new object position number), 콘텐츠 데이터의 타입(content type), 1차 기록 매체측의 콘텐츠 데이터 포맷(Download Format Track Attribute), 2차 기록 매체에서의 콘텐츠 속성(Track Mode), 콘텐츠 데이터의 데이터 길이(Content Size), 콘텐츠 데이터의 벌크 데이터 길이(Bulk Data Size)로서의 각 정보 비트가 준비되다.
1차 기록 매체측의 콘텐츠 데이터 포맷(Download Format Track Attribute)이란, HDD(5)에 저장되어 있는, 송신하고자 하는 콘텐츠 데이터의 압축 방식 및 비트 레이트의 정보나, 콘텐츠 데이터를 전송로로 송출할 때의 콘텐츠 데이터의 압축 방식 및 비트 레이트의 정보이다.
2차 기록 매체에서의 콘텐츠 속성(Track Mode)이란, 미니 디스크(100)에 기록할 때의 압축 방식의 지정 정보나, 스테레오, 모노, 그 밖의 속성 정보이다. 압축 방식으로서는, 예를 들면 ATRAC, ATRAC3의 132kbps, ATRAC3의 66kbps 중 어느 하나가 지정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도 19에 도시한 레코드 오브젝트 응답 커맨드는, 오퍼레이션 코드로서 「레코드 오브젝트」가 표시되고, 통신 결과(result), 통신 대상 기기 의 식별 코드(Destination List ID), 체크아웃 콘텐츠에 대한 2차 기록 매체측에서의 트랙 번호(new object position number), 콘텐츠 데이터의 타입(content type), 1차 기록 매체측의 콘텐츠 데이터 포맷(Download Format Track Attribute), 2차 기록 매체에서의 콘텐츠 속성(Track Mode), 콘텐츠 데이터의 데이터 길이(Content Size), 콘텐츠 데이터의 벌크 데이터 길이(Bulk Data Size)로서의 각 정보 비트가 준비된다.
또한 응답 커맨드인 경우에는, 32바이트의 세션 데이터로서, 기록 재생 장치(20A)에서 산출된 콘텐츠 ID의 정보를 퍼스널 컴퓨터(1)에 통지하는 영역이 준비되어 있다.
콘텐츠 ID에 대해서는 후에 상술한다.
도 20에 체크인 컨트롤 커맨드, 도 22에 체크아웃 응답 커맨드의 각 포맷을 도시한다.
체크인 컨트롤 커맨드는 17바이트로 구성되며, 체크인 응답 커맨드는 25바이트로 구성된다.
그리고 체크인 컨트롤 커맨드는, 통신 세션에 의해 2차 기록 매체측의 콘텐츠 데이터를 체크인시키는, 즉 2차 기록 매체측에서의 재생권을 반환시킬 것을 지시하기 위해, 퍼스널 컴퓨터(1)가 기록 재생 장치(20A(20B))에 대하여 발하는 커맨드가 된다.
단, 체크인 이외에 퍼스널 컴퓨터(1)가 2차 기록 매체측의 고유 정보를 얻기 위해 발하는 경우도 있다.
한편, 기록 재생 장치(20A(20B))는, 체크인 컨트롤 커맨드에 대응하여 소정의 처리를 행하여, 컨트롤 커맨드에 대한 응답으로서 체크인 응답 커맨드를 퍼스널 컴퓨터(1)로 송신한다.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체크인 컨트롤 커맨드에서는, 오퍼레이션 코드로 서 「체크인」이 표시되고, 통신 결과(result), 서브 기능(Subfunction), 통신 대상 기기의 식별 코드(List ID), 체크인 콘텐츠에 대한 2차 기록 매체측에서의 트랙 번호(object position number)로서의 각 정보 비트가 준비된다.
여기서, 서브 기능은 도 21과 같이 정의되며, 이에 의해 체크인 커맨드에 의한 지시 내용이 지정된다.
서브 기능의 값이 「00h」이면, 그 체크인 컨트롤 커맨드는 콘텐츠 ID를 요구하는 것으로 된다. 이것은 2차 기록 매체측의 재생권을 반환시키는 실제의 체크인으로서의 지시가 된다.
서브 기능의 값 「01h」는 리저브로 된다. 단 실제의 체크인 처리 과정에서의 지시에 이용해도 된다.
서브 기능의 값이 이들 이외인 경우에는, 그 체크인 컨트롤 커맨드는 선불 정보를 요구하는 것이 된다. 선불 정보에 대해서는 후술하지만, 이것은 2차 기록 매체에 기록된 고유 정보의 하나이다. 그리고, 이 경우에는, 체크인 컨트롤 커맨드는, 어디까지나 선불 정보의 판독을 지시하는 것으로, 체크인(재생권의 반환)은 행해지지 않는다.
또한, 선불 정보 이외에, 2차 기록 매체측의 고유 정보, 예를 들면 사용자 정보나 사용 상황 등의 정보 등을 요구할 수 있도록 서브 기능의 값을 정의할 수도 있다.
또한 체크인 응답 커맨드는,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퍼레이션 코드로서 「체크인」이 표시되며, 통신 결과(result), 서브 기능(Subfunction), 통신 대상 기기의 식별 코드 (List ID), 체크인 콘텐츠에 대한 2차 기록 매체측에서의 트랙 번호(object position number)로서의 각 정보 비트가 준비된다.
또한 HASH 함수 처리에 의해 형성된 콘텐츠 ID를 퍼스널 컴퓨터(1)측에 통지하기 위한 8바이트(Hash MAC)가 준비된다.
단, 이 최후의 8바이트에 콘텐츠 ID가 포함되어 통신되는 것은, 상기 체크인 컨트롤 커맨드로서 서브 기능의 값이 「00h」인 경우, 즉 실제로 체크인이 행해지는 경우이다.
체크인 컨트롤 커맨드의 서브 기능의 값에 의해 선불 정보가 요구된 경우에는, 도 23과 같이 최후의 8바이트에 선불 정보가 포함되어, 퍼스널 컴퓨터(1)로 송신된다.
도 24는 배타적 로그인 컨트롤 커맨드, 도 25는 배타적 로그아웃 컨트롤 커맨드를 도시하고 있다.
이 커맨드는, 퍼스널 컴퓨터(1)가 기록 재생 장치(20A)에 대하여 배타적 제어를 행하기 위한 커맨드이다.
배타적 로그인 컨트롤 커맨드에서는, 서브 유닛 타입(subunit type), 서브 유닛 ID(subunit ID)에 의해 제어 대상 기기가 표시된다. 그리고 우선 순위 (priority)의 값에 의해, 제어 레벨이 지시된다.
또한, 배타적 로그아웃 컨트롤 커맨드는, 기록 재생 장치(20A)에 대한 배타적 제어를 해제하기 위한 커맨드로, 이 경우에는 우선 순위(priority)의 값을「00h」로 하여, 프리 상태의 제어 레벨임을 지시하는 커맨드로서 형성되어 있다.
배타적 로그인 컨트롤 커맨드에 의해, 기록 재생 장치(20A)는 2차 기록 매체(미니 디스크(100))에 대한 콘텐츠 데이터의 소거, 편집, 혹은 디스크 배출, 전원 제어 등이 금지 또는 제한된다.
즉 이 커맨드는, 이들의 동작 처리는 어디까지나 퍼스널 컴퓨터(1)측으로부터 지시되는 상태로 천이시키는 커맨드이다.
이 배타적 로그인 컨트롤 커맨드에 의한 우선 순위의 값에 따라서는, 동작 금지 또는 제한으로서 다양한 상태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록 재생 장치(20A)에 대하여,
제어 레벨4 : 퍼스널 컴퓨터(1) 이외의 일체의 지시에 대응하는 처리를 금지한다.
제어 레벨3 : 퍼스널 컴퓨터(1) 이외의 지시에 의한 전원 제어, 배출, 트랙의 분할, 연결, 소거를 금지한다.
제어 레벨2 : 퍼스널 컴퓨터(1) 이외의 지시에 의한 트랙의 분할, 연결, 소거를 금지한다.
제어 레벨1 : 체크아웃 콘텐츠가 아닌 트랙에 대해서는 편집이나 소거를 허가한다.
제어 레벨0 : 제한 없음.
등과 같이 각종 상태를 설정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제어 레벨의 설정은 일례이며, 실제로는 제어 레벨의 단계 수나 내용은 다양하게 생각할 수 있다.
《10. 콘텐츠의 체크아웃/체크인》
계속해서 퍼스널 컴퓨터(1)의 HDD(5)에 저장된 콘텐츠 데이터를 기록 재생 장치(20A)에 체크아웃시키는 경우, 및 체크아웃시킨 콘텐츠 데이터를 체크인시키는 경우의 각각에 대하여, 퍼스널 컴퓨터(1)와 기록 재생 장치(20A)에서 행해지는 처리를 설명한다.
또한, 실제로는 하나의 통신 세션으로 복수의 콘텐츠 데이터의 체크아웃/체크인이 행해지는 경우도 많지만, 설명의 간략화를 위해, 하나의 콘텐츠 데이터의 체크아웃/체크인으로서의 처리의 흐름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26, 도 27은 체크아웃을 위한 처리를 도시하고 있다. 도 26, 도 27에서, 퍼스널 컴퓨터(1)의 CPU(2)가 실행하는 제어 처리를 단계 F101∼F112로 하고, 또한 기록 재생 장치(20A)의 시스템 제어부(32), 복호 처리부(28) 등에 의해 실행되는 제어 처리를 단계 F201∼F215로서 나타내고 있다.
통신 세션은 각종 컨트롤 커맨드와 그에 대응하는 응답 커맨드에 의해 행해진다.
HDD(5)에 저장되어 있는 임의의 콘텐츠 데이터의 전송을 행하는 경우에는, CPU(2)는 도 26의 단계 F101에서 기록 재생 장치(20A)에 인증 처리의 개시를 요구한다. 즉 인증 개시 컨트롤 커맨드를 송신한다.
이에 대하여 기록 재생 장치(20A)는 퍼스널 컴퓨터(1)에 단계 F201에서 인증 개시 허가를 통지한다. 즉 인증 개시 응답 커맨드를 송신한다.
그렇게 하면 퍼스널 컴퓨터(1)는 단계 F102에서 리프 ID를 요구하고, 이에 따라 기록 재생 장치(20A)는 단계 F202에서 기억하고 있는 리프 ID를 송신한다.
또한, 퍼스널 컴퓨터(1)는 접속된 기록 재생 장치(20A)를, 이와 같이 리프 ID를 확인하여, 현재 유효한 리프 ID의 기기인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계속해서, 퍼스널 컴퓨터(1)는 단계 F103에서, 지금부터 전송하고자 하는 콘텐츠 데이터에 대한 EKB를 기록 재생 장치(20A)로 송신한다.
기록 재생 장치(20A)에서는, EKB가 송신되어 오면, 우선 단계 F203에서 EKB의 버전 번호를 기억한다(도 3 참조). 또한 단계 F204에서, 수신한 EKB와 기억하고 있는 DNK를 이용하여, 도 15에서 설명한 수순 ①②와 같이 하여, 금회의 전송에 관한 콘텐츠 데이터의 루트 키 KR을 탐색하고, 얻어진 루트 키 KR을 기억한다.
그리고 단계 F205에서, 루트 키 KR의 탐색 완료를 퍼스널 컴퓨터(1)측에 통지한다.
이상의 처리로 루트 키 KR의 확인이 완료되었기 때문에, 퍼스널 컴퓨터(1)는 단계 F104에서, 실제의 체크아웃 세션의 개시를 요구한다. 이에 대하여, 기록 재생 장치(20A)는 단계 F206에서 체크아웃 세션 개시를 승낙하는 통지를 행한다.
또한, 이 세션 개시의 컨트롤 커맨드 및 응답 커맨드 시에는, 도 12에서 설명한 인증 처리도 행해지게 된다.
즉, SDMI 비대응이며, 암호화를 풀어 콘텐츠 데이터를 2차 기록 매체에 기록 하는 기록 재생 장치(20A)로서, 정규의 것인지의 여부의 인증이 행해진다. 도 26에는 도시하지 않지만, 물론 인증 NG로 되면 체크아웃 세션은 중지된다.
다음으로 퍼스널 컴퓨터(1)는 단계 F105에서, 금회 전송하고자 하는 콘텐츠 데이터에 관계되는, 암호화 콘텐츠 키 E(KR, CK)를 송신한다.
이것을 받은 기록 재생 장치(20A)는 단계 F207에서 상기 도 15의 수순 ③과 같이, 기억한 루트 키 KR을 이용하여, 암호화 콘텐츠 키 E(KR, CK)를 복호하여, 콘텐츠 키 CK를 해독한다. 그리고 단계 F208에서, 퍼스널 컴퓨터(1)에 콘텐츠 키 CK의 해독 완료를 통지한다.
계속해서 퍼스널 컴퓨터(1)는 단계 F106에서, 도 18에 의해 설명한 레코드 오브젝트 컨트롤 커맨드를 송신하고, 기록 재생 장치(20A)에, 체크아웃하고자 하는 콘텐츠의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도시하지 않지만, 이에 대하여 기록 재생 장치(20A)는 응답 커맨드를 회신한다(이 경우의 응답 커맨드는 도 19의 형식이 아니라, 도시 및 설명을 생략한 25바이트 형식이다).
그리고 콘텐츠 키 CK의 해독 완료 통지 및 레코드 오브젝트 컨트롤 커맨드에 대한 응답에 따라, 퍼스널 컴퓨터(1)는 기록 재생 장치(20A)측에서 콘텐츠 데이터 수신/해독을 위한 준비가 완료되었음을 인식할 수 있기 때문에, 다음으로 「P1」로서 나타낸 바와 같이 도 27의 단계 F107로 진행하여, 콘텐츠 데이터의 전송을 실행한다. 즉 콘텐츠 키 CK로 암호화된 콘텐츠 데이터 E(CK, A3D) 를 송신한다.
기록 재생 장치(20A)측에서는 「R1」로 나타낸 바와 같이 도 27의 단계 F209 로 진행하여, 송신되어 온 콘텐츠 데이터 E(CK, A3D)의 수신 처리, 도 15의 수순 ④와 같이 콘텐츠 키 CK를 이용한 복호 처리, 및 복호된 콘텐츠 데이터 A3D의 미니 디스크(100)에의 기록 처리를 행하게 된다.
또한, 자세히는 후술하지만, 수신되어 비암호화 상태로 복호된 콘텐츠 데이터로부터 콘텐츠 ID를 생성하는 처리도 행한다.
하나의 콘텐츠 데이터(예를 들면 하나의 악곡)에 대하여, 퍼스널 컴퓨터(1)로부터의 전송 및 미니 디스크(100)로의 기록이 완료되면, 그 시점에서 미니 디스크(100) 상의 U-TOC의 갱신이 필요하게 된다.
미니 디스크(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1곡 단위로서의 트랙의 스타트 어드레스/엔드 어드레스 그 밖의 것을, 디스크 내주부에 기록되는 U-TOC 에서 관리하며, 트랙 재생 시에는 U-TOC로부터 디스크 상의 어드레스를 파악한다.
단 본 예에서는, 하나의 콘텐츠 데이터에 대한 미니 디스크(100)에의 기록이 종료된 시점에서는, 단계 F210으로서 나타낸 바와 같이, 버퍼 메모리(30) 상에서 U-TOC만을 갱신하는 것에 그치고, 미니 디스크(100) 상에서 U-TOC의 갱신은 행하지 않는다.
그리고, 버퍼 메모리(30) 상에서 U-TOC 갱신을 완료하면, 단계 F211에서 퍼스널 컴퓨터(1)에, 도 19에서 설명한 레코드 오브젝트 응답 커맨드를 송신한다.
이에 의해, 하나의 콘텐츠 데이터의 기입에 관한 처리를 완료하고, 또한, 그 콘텐츠 데이터에 대하여 단계 F209에서 생성한 콘텐츠 ID를 퍼스널 컴퓨터(1)에 통지한다.
퍼스널 컴퓨터(1)측에서는, 콘텐츠 ID의 통지에 따라, 단계 F108에서 콘텐츠 ID 테이블의 처리를 행한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지만, 이것은 HDD(5)에 축적된 콘텐츠 데이터에 대응하여 퍼스널 컴퓨터(1)측에서 부여한 콘텐츠 ID와, 상기한 단계 F209의 처리에서 기록 재생 장치(20A)측에서 생성된 콘텐츠 ID를 대응시키는 처리로 된다.
다음으로 퍼스널 컴퓨터(1)는, 단계 F109에서, 도 17에 도시한 체크아웃 컨트롤 커맨드를 송신한다.
또한 퍼스널 컴퓨터(1)는, 이와 같이 체크아웃을 행함에 따라, 단계 F110에서, 해당 콘텐츠 데이터에 관하여 취급 룰(Usage Rule)을 갱신한다. 즉 전송 허가 횟수로서의 콘텐츠 권리를 하나 감산한다.
기록 재생 장치(20A)측에서는, 체크아웃 컨트롤 커맨드에 의해 체크아웃이 실제로 지시된 것으로 하여 처리를 행한다. 즉 단계 F212에서, 미니 디스크(100) 상에서 U-TOC를 갱신하고, 기록한 콘텐츠 데이터를 재생 가능한 상태로 한다. 이에 의해 2차 기록 매체 상에 콘텐츠 데이터의 재생권이 주어지게 된다.
또한, 이 때, 해당 콘텐츠 데이터에 대응하는 U-TOC 섹터0의 트랙 모드에서, 상술한 비트 d1=1로 되어 있어, 즉 해당 콘텐츠 데이터는 라이트 프로텍트 상태로 된다.
그리고, 기록 재생 장치(20A)는, 체크아웃에 관한 U-TOC 갱신을 종료함에 따라, 단계 F213에서 체크아웃 응답 커맨드를 송신하여, 완료를 통지한다.
이상으로 체크아웃, 즉 콘텐츠 권리의 양도가 완료된다.
체크아웃의 완료에 따라, 퍼스널 컴퓨터(1)는 단계 F111에서 세션 종료 요구의 컨트롤 커맨드를 기록 재생 장치(20A)로 송신한다. 기록 재생 장치(20A)는 단계 F214에서 세션 종료를 승낙하는 응답 커맨드를 퍼스널 컴퓨터(1)로 송신한다.
또한 퍼스널 컴퓨터(1)는 단계 F112에서, 인증 상태를 종료시키는 컨트롤 커맨드를 송신하고, 기록 재생 장치(20A)는 단계 F215에서, 인증 상태 종료를 승낙하는 응답 커맨드를 송신한다.
이상으로, 체크아웃을 위한 일련의 통신이 종료된다.
또한, 이러한 통신에 의해 복수의 콘텐츠 데이터를 체크아웃하는 경우에는, 각 콘텐츠에 대하여 루트 키가 공통이면, 단계 F105∼F108 및 F 207∼F211의 처리가 반복되면 된다.
또한 EKB 버전이 다른 콘텐츠 데이터를 연속적으로 전송하는 경우에는, 콘텐츠에 대응하여 EKB 전송도 행하면 된다.
계속해서 체크인인 경우의 처리를 도 28에서 설명한다.
도 28에서, 퍼스널 컴퓨터(1)의 CPU(2)가 실행하는 제어 처리를 단계 F101∼F156으로, 또한 기록 재생 장치(20A)의 시스템 제어부(32), 복호 처리부(28) 등에 의해 실행되는 제어 처리를 단계 F201∼F257로서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에도, 통신 세션은 각종 컨트롤 커맨드와 그에 대응하는 응답 커맨드에 의해 행해진다.
체크인인 경우에도, 인증 개시로부터 EKB 전송, 루트 키 탐색 등의 처리는 상기 체크아웃인 경우와 마찬가지로 행해진다. 즉 상기 도 26과 동일한 단계 번호 를 붙인 단계 F101∼F103, F201∼F205는,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의 처리가 행해지므로, 중복 설명을 피한다.
퍼스널 컴퓨터(1)는 단계 F150에서, 체크인 세션의 개시를 요구하는 컨트롤 커맨드를 송신한다.
이에 따라 기록 재생 장치(20A)는 단계 F250에서, 응답 커맨드를 회신한다.
또한, 이 경우에도, 도 12에서 설명한 인증 처리가 행해진다.
체크인 세션이 개시되고, 또한 기록 재생 장치(20A)가 인증 OK로 되면, 퍼스널 컴퓨터(1)는 단계 F151에서, 체크인시키고자 하는 콘텐츠 데이터에 대한 콘텐츠 ID를 요구한다. 예를 들면 기록 재생 장치(20A)에 대하여 체크인시키는 콘텐츠 데이터의 미니 디스크(100) 상의 트랙 번호를 지정하고, 그 콘텐츠 ID를 요구한다.
기록 재생 장치(20A)는, 이에 따라, 우선 단계 F251에서, 그 지정된 콘텐츠 데이터(트랙)가, 체크인 가능한 콘텐츠 데이터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 판단은 트랙에 대응하여 U-TOC에 기록되어 있는 기입 제어 플래그의 상태(트랙 모드의 d1)로 판별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여기서 판단하는 체크인 가능한 콘텐츠 데이터란, 체크아웃된 콘텐츠 데이터이며, 또한 미니 디스크(100)측에서 편집이 행해지지 않은 콘텐츠 데이터이다.
체크인 가능한 콘텐츠 데이터이면, 단계 F252에서, 그 콘텐츠 데이터에 대한 콘텐츠 ID를 준비한다. 이 경우, 이 시점에서 콘텐츠 ID를 산출하거나, 혹은 이미 산출되어 기억되어 있는 콘텐츠 ID를 판독하는 처리로 된다. 이에 대해서도 후술한다.
그리고 단계 F253에서, 콘텐츠 ID를 퍼스널 컴퓨터(1)로 송신한다.
또한, 체크인 가능한 콘텐츠 데이터가 아닌 경우에는, 그러한 취지를 퍼스널 컴퓨터(1)에 통지하고, 이후에는 에러 처리로 된다.
퍼스널 컴퓨터(1)는 단계 F152에서, 송신되어 온 콘텐츠 ID를 대조한다. 즉, 기록 재생 장치(20A)측에서 생성되어 송신되어 온 콘텐츠 ID와, 체크아웃 시에 기록 재생 장치(20A)측에서 생성하고 퍼스널 컴퓨터(1)측에서 생성한 콘텐츠 ID에 대응시켜 테이블 데이터로서 보존한 콘텐츠 ID를 대조하여, 체크인 대상의 콘텐츠 데이터를 올바르게 나타내고 있는지를 대조한다.
그리고 대조 OK이면 단계 F153에서 실제로 체크인을 지시한다. 대조 NG이면 에러 처리가 된다.
단계 F153의 체크인 지시는, 도 20에서 설명한 체크인 컨트롤 커맨드를 송신하는 것으로 된다. 이 때 체크인 컨트롤 커맨드에서는, 서브 기능의 값을 「00h」 로 하고(도 21 참조), 이에 의해 실제의 체크인 지시임을 명시한다. 또한 리스트 ID의 값을 기록 재생 장치(20A)를 지정한 값으로 하고, 오브젝트 포지션 번호의 값으로서, 체크인시킬 콘텐츠 데이터의 미니 디스크(100) 상의 트랙 번호를 지정하게 된다.
또한, 체크인 지시에 따라 단계 F154에서, 해당 콘텐츠 데이터에 대한 취급 룰(Usage Rule)을 갱신한다. 즉 전송 허가 횟수로서의 콘텐츠 권리를 하나 부활시킨다.
기록 재생 장치(20A)측은, 이에 따라 단계 F254에서, U-TOC 데이터를 갱신한 다. 즉 체크인 대상으로 된 트랙을, 미니 디스크(100) 상으로부터 소거되도록 U-TOC 섹터0의 내용을 갱신한다. 즉 재생 불능으로 하여, 재생권을 소실한 상태로 한다.
그리고 단계 F255에서 도 22의 체크인 응답 커맨드를 송신한다.
이상으로 체크인, 즉 콘텐츠 권리의 반환이 완료된다.
체크인의 완료에 따라, 퍼스널 컴퓨터(1)는 단계 F155에서 세션 종료 요구의 컨트롤 커맨드를 기록 재생 장치(20A)로 송신한다. 기록 재생 장치(20A)는 단계 F256에서 세션 종료를 승낙하는 응답 커맨드를 퍼스널 컴퓨터(1)로 송신한다.
또한 퍼스널 컴퓨터(1)는 단계 F156에서, 인증 상태를 종료시키는 컨트롤 커맨드를 송신하고, 기록 재생 장치(20A)는 단계 F257에서, 인증 상태 종료를 승낙하는 응답 커맨드를 송신한다.
이상으로, 체크인을 위한 일련의 통신이 종료된다.
또한, 이러한 통신에 의해 복수의 콘텐츠 데이터를 체크인하는 경우에는, 각 콘텐츠 ID의 확인 및 체크인 지시, 즉 단계 F151∼F154 및 F251∼F255의 처리가 반복되면 된다.
《11. 콘텐츠 ID의 생성 및 관리 방식》
체크아웃/체크인에서의 Usage Rule은, 각 콘텐츠별로 콘텐츠 ID를 이용하여 관리된다.
상술하였지만, SDMI 대응의 2차 기록 매체에서는, 콘텐츠 ID를 저장할 수 있는 기록 포맷이 채용되어 있다. 따라서, 체크아웃/체크인 시에도, 퍼스널 컴퓨터(1)와 SDMI 대응의 기록 재생 장치(20B) 사이에는, 원래 퍼스널 컴퓨터(1)측에서 생성한 콘텐츠 ID에 의해, 대상으로 되어 있는 콘텐츠 데이터를 특정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부터 보급되고 있는 미니 디스크(100) 등의 2차 기록 매체를 대상으로 하는 기록 재생 장치(20A)에서는 이것을 할 수 없다. 즉 미니 디스크(100) 상에는, 체크아웃에 의해 기록된 콘텐츠 데이터에 대한 콘텐츠 ID를 저장해 둘 영역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만약 U-TOC 등에서 그와 같은 영역을 새롭게 규정하여 콘텐츠 ID를 기록한다고 해도, 종래 기종의 미니 디스크 레코더에 의해 U-TOC 갱신이 행해지는 경우, 콘텐츠 ID는 소거되게 된다. 이 때문에 미니 디스크(100)에서는 콘텐츠 ID를 관리할 수 없다.
2차 기록 매체측에서 콘텐츠 ID를 관리할 수 없으면, 체크아웃은 가능하여도 체크인 시에는 콘텐츠 데이터의 대조가 행해지지 않기 때문에, 체크인 불능으로 된다.
따라서 기록 재생 장치(20A)에서는, 콘텐츠 데이터 자체로부터 콘텐츠 ID를 생성하는 기능을 구비하도록 한다.
그리고 퍼스널 컴퓨터(1)측에서는, 퍼스널 컴퓨터(1)측에서 발생시킨 제1 콘텐츠 ID와, 기록 재생 장치(20A)측에서 생성한 제2 콘텐츠 ID를 대조할 수 있도록 테이블 데이터를 준비한다.
우선, 기록 재생 장치(20A)에 의해 콘텐츠 ID를 생성하는 방식을 설명한다.
콘텐츠 ID 생성에서는, 비암호화 상태로 복호된 콘텐츠 데이터에 대하여, 그 콘텐츠 데이터의 길이(콘텐츠 사이즈)나 트랙 정보 외에, 콘텐츠 데이터 스트림 내의 특정한 데이터를 샘플링하여 CBC_MAC 연산을 행하는 수단 등을 들 수 있다.
도 29에, 하나의 음악 등의 콘텐츠 데이터의 전체를 모식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이 콘텐츠 데이터는, 예를 들면 퍼스널 컴퓨터(1)로부터 체크아웃을 위해 송신되며, 암호화 상태가 복호되어, ATRAC 또는 ATRAC3 압축 상태의 데이터 스트림으로서 나타난다.
이 콘텐츠 데이터에 대하여, 예를 들면 포인트 P1, P2를 샘플링 포인트로서 설정하고, 사운드 유닛(사선 부분)의 데이터를 추출한다. 하나의 사운드 유닛은, 예를 들면 424바이트의 데이터, 즉 도 8에서 설명한 하나의 사운드 그룹에 상당하는 데이터 등으로 하면 된다. 단, 물론 그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이와 같이 샘플링한 실제의 콘텐츠 데이터의 일부를 이용하여 콘텐츠 ID를 산출한다.
여기서, 샘플링 포인트는, 무음 데이터인 경우가 많을 것으로 예상되는 콘텐츠의 선두 또는 종단은 피함과 함께, 상기 P1, P2와 같이 2곳에 설치함으로써 고유 데이터로서의 확률을 높일 수 있다. 즉 각 콘텐츠 데이터마다 다른, 식별자로서의 기능을 충분히 구비한 콘텐츠 ID를 산출할 수 있다. 물론 샘플링 포인트는 3곳 이상으로 해도 된다. 또한 선두 또는 종단을 피하면, 1곳이어도 불충분하지 않다.
또한, 이 샘플링 포인트 P1, P2는, 아주 랜덤한 위치가 아니라, 콘텐츠 데이터의 길이(데이터 사이즈)에 따라 설정되는 위치로 함으로써, 특정한 콘텐츠 데이터에 대해서는, 몇 번 산출해도 동일한 콘텐츠 ID가 얻어진다. 즉, 2차 기록 매체 상에 콘텐츠 ID를 보존해 두지 않아도 콘텐츠 데이터 자체가 기록되어 있으면, 샘플링 포인트가 일치함으로써 다른 시점에서도 동일한 콘텐츠 ID를 산출할 수 있으며, 이것은, 2차 기록 매체로서의 미니 디스크(100) 상에 콘텐츠 ID를 기록해 둘 필요를 없앨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샘플링 포인트 P1, P2는, 예를 들면 콘텐츠 데이터의 사이즈(길이)로부터 1/3의 위치, 및 2/3의 위치 등으로 하여 설정되면 된다. 물론 1/3의 위치, 2/3의 위치에 한정되지 않고, 길이에 대하여 1/2의 위치, 1/4의 위치, 3/4의 위치, 1/5의 위치, 2/5의 위치, 3/5의 위치, 4/5의 위치, 1/6의 위치, 5/6의 위치, … 등, 길이에 대한 임의의 상대적인 포인트가 규정되면 된다.
콘텐츠 데이터로부터 해시 함수를 이용하여 콘텐츠 ID를 얻는 방법을 하기 수학식 1로 나타낸다.
Figure 112003004819784-pct00001
여기서 「Key hash」는 8바이트의 고유 키 데이터이다.
Stream(P1)은, 샘플링 포인트 P1의 1사운드 그룹의 데이터, Stream(P2)는, 샘플링 포인트 P2의 1사운드 그룹의 데이터이다. 그리고 //는 연결을 나타내고 있으며, 즉 「Stream(P1)//Stream(P2)」는, 샘플링 포인트 P1, P2의 2개의 사운드 유닛을 연결한 (424×2)바이트의 데이터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IV」는 8바이트의 CBC 모드의 초기 값으로, 4바이트의 콘텐츠 길이 length, 1바이트의 트랙 정보 TrackModeByte를 이용하여 다음의 수학식 2로 주어진 다.
Figure 112003004819784-pct00002
이 경우, 4바이트의 콘텐츠 길이 length, 및 1바이트의 트랙 정보 TrackModeByte는, 도 18에 도시한 레코드 오브젝트 컨트롤 커맨드에 의해 통지되는, 4바이트의 콘텐츠 사이즈(Content Size)와 1바이트의 트랙 모드(Track Mode)의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콘텐츠 ID 생성은, 기록 재생 장치(20A)에서 예를 들면 복호 처리부(28)에 탑재되는 HASH 엔진에 의해 행해지지만, 상기 수학식 1, 2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기록 재생 장치(20A)는, 예를 들면 체크아웃 세션 시에는, 레코드 오브젝트 컨트롤 커맨드를 수신(도 26의 단계 F106)함으로써, 상기 「IV」의 값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레코드 오브젝트 컨트롤 커맨드에서의 콘텐츠 사이즈(Content Size)에 의해 콘텐츠 데이터가 전송되기 전에, 콘텐츠 데이터의 길이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콘텐츠 데이터의 길이의, 예를 들면 1/3, 2/3의 위치로서의 샘플링 포인트 P1, P2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실제로 콘텐츠 데이터의 전송이 개시되어, 샘플링 포인트 P1, P2의 데이터가 얻어진 시점 이후에는, 상기 수학식 1의 연산에 의해 콘텐츠 ID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미니 디스크(100) 상에 기록된 콘텐츠 데이터에 대해서는, 당연히 콘 텐츠 데이터의 사이즈는 U-TOC 섹터0의 데이터로부터 산출할 수 있기 때문에, 샘플링 포인트 P1, P2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체크아웃 시에 레코드 오브젝트 컨트롤 커맨드로 통지되는 트랙 모드(Track Mode)의 정보가 U-T0C 섹터0에서의 트랙 모드에 기록됨으로써, U-TOC 데이터로부터 상기 수학식 2의 산출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미니 디스크(100) 상에 기록된 콘텐츠 데이터에 대해서는, 어떠한 시점에서도 콘텐츠 ID를 산출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이와 같이 하여, 기록 재생 장치(20A)측에서는 체크아웃된 콘텐츠 데이터에 대하여 독자적으로 콘텐츠 ID를 생성할 수 있다.
단, 이것이 퍼스널 컴퓨터(1)에서 생성되고, HDD(5)에 저장된 콘텐츠 ID와 대응되지 않으면 적절하게 이용할 수 없다.
상술한 바와 같이 HDD(5)에 저장되는 콘텐츠 ID란, 퍼스널 컴퓨터(1)측의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콘텐츠 데이터에 대하여 생성된 것이다. 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사전에 구해진 콘텐츠 ID는, HDD(5) 등의 1차 기록 매체를 갖는 기기측(퍼스널 컴퓨터(1))에 고유 정보, 예를 들면 기기에 인스톨된 어플리케이션마다의 고유 ID, HDD(5)에 저장된 시간 정보나 난수 등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퍼스널 컴퓨터(1)측에서 생성된 (제1) 콘텐츠 ID와 상기 기록 재생 장치(20A)측에서 생성된 (제2) 콘텐츠 ID는, 도 30과 같은 테이블 데이터에 의해, 퍼스널 컴퓨터(1)측에서 대응지워진다.
따라서, 이 테이블 데이터는 HDD(5) 등의 1차 기록 매체를 갖는 기기별로 고 유한 조합으로 된다.
즉 체크아웃 세션 시에는, 도 27의 단계 F211에서의 레코드 오브젝트 응답 커맨드에 의해, 기록 재생 장치(20A)측에서 생성한 콘텐츠 ID를 퍼스널 컴퓨터(1)측에 통지한다. 그리고 단계 F108에서, 퍼스널 컴퓨터(1)측에서는 테이블 데이터의 처리를 행한다. 이 처리는, 즉 체크아웃을 위해 전송하는 콘텐츠 데이터에 대하여, 퍼스널 컴퓨터(1)측의 콘텐츠 ID와 해당 콘텐츠 데이터에 대하여 기록 재생 장치(20A)측에서 생성된 콘텐츠 ID가 대응되도록, 도 30의 테이블 데이터의 엘리먼트를 생성해 가는 처리이다.
도 30에서는 3개의 콘텐츠 데이터에 대하여, 각각 제1, 제2, 제3 콘텐츠 ID가 대응된 상태를 예시하고 있다.
이러한 테이블 데이터가 퍼스널 컴퓨터(1)측에서 관리됨으로써(예를 들면 HDD(5)에서 기록/갱신되어 감으로써), 미니 디스크(100)에 대하여 체크아웃된 콘텐츠 데이터를, 콘텐츠 ID로 관리하는 것이 가능해져, 즉 체크아웃/체크인의 관리가 가능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미니 디스크(100) 상에는 콘텐츠 ID를 저장하는 영역이 존재하지 않지만, 기록 재생 장치(20A)측에서는 미니 디스크(100)에 기록되어 있는 콘텐츠 데이터에 대해서 콘텐츠 ID를 산출할 수 있다.
따라서 퍼스널 컴퓨터(1)가 임의의 콘텐츠 데이터를 체크인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대상이 되는 콘텐츠 데이터에 대한 (제2) 콘텐츠 ID를 기록 재생 장치(20A)에 요구하고, 송신되어 온 (제2) 콘텐츠 ID와 도 30의 테이블 데이터에 기억되어 있는(체크아웃 시에 기록 재생 장치(20A)측에서 송신되어 온 제2) 콘텐츠 ID와의 일치를 확인함으로써, 퍼스널 컴퓨터(1)측에서 (제1) 콘텐츠 ID로 관리하고 있는 콘텐츠 데이터의 체크인 처리를 할 수 있게 된다.
이것이 도 28의 단계 F151, F152, F252, F253의 처리의 의미이다.
이러한 콘텐츠 ID 관리 방식에 의해, SDMI 비대응의 2차 기록 매체(미니 디스크(100) 등)에 대해서도, 본 시스템에서 적절하게 체크아웃/체크인의 관리, 즉 콘텐츠 권리의 관리가 가능해진다.
《12. 체크아웃 시 및 체크인 전의 콘텐츠 ID의 생성 처리》
그런데, 기록 재생 장치(20A)측에서 콘텐츠 ID를 생성할 필요가 있는 경우란, 통상, 체크아웃에 따라 콘텐츠 ID를 퍼스널 컴퓨터(1)에 통지하는 경우(퍼스널 컴퓨터(1)측에서 도 30의 테이블 데이터 관리를 행하도록 하기 위해 레코드 오브젝트 응답 커맨드로 송신하는 경우)와, 체크인 등을 위해 퍼스널 컴퓨터(1)로부터 콘텐츠 ID가 요구된 경우가 있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콘텐츠 ID는, 샘플링 포인트 P1, P2에서 추출한 콘텐츠 데이터의 일부를 이용한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체크아웃 시에는, 퍼스널 컴퓨터(1)로부터 전송된 콘텐츠 데이터가 미니 디스크(100)에 기입된 후에, 샘플링 포인트 P1, P2의 데이터를 판독하고, 그 데이터를 이용하여 콘텐츠 ID를 산출하는 수순을 통상 생각할 수 있다.
또한 체크인을 위해 퍼스널 컴퓨터(1)로부터 콘텐츠 ID가 요구된 경우에도, 그 요구에 따라 미니 디스크(100)로부터 샘플링 포인트 P1, P2의 데이터를 판독하고, 그 데이터를 이용하여 콘텐츠 ID를 산출하는 수순을 통상 생각할 수 있다.
단, 이러한 수순에서는, 체크아웃 세션 사이에 미니 디스크(100)에 대한 액세스/데이터 판독이 필요하게 되어, 그 만큼, 콘텐츠 ID 산출에 시간을 필요로 한다. 이것은 체크아웃을 위한 전체의 통신 시간을 장시간화하게 된다.
또한 체크인을 위해 콘텐츠 ID가 요구되었을 때도, 미니 디스크(100)에 대한 액세스/데이터 판독이 필요하게 되어, 그 만큼, 콘텐츠 ID 산출에 시간을 필요로 한다. 이것도 체크인을 위한 통신 시간을 장시간화시킨다.
따라서 본 예에서는, 다음과 같은 수순으로 콘텐츠 ID 산출을 행함으로써 처리의 효율화 및 통신 시간의 단축을 도모한다.
도 31은 체크아웃 세션에서의 콘텐츠 ID(CID)의 생성에 관한 처리를 도시하고 있다. 이것은 도 27의 단계 F209에서 시스템 제어부(32) 및 복호 처리부(28)에서 행해지는 처리이다.
도 26의 단계 F106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콘텐츠 데이터의 전송 직전에 퍼스널 컴퓨터(1)로부터 레코드 오브젝트 컨트롤 커맨드가 송신되어 오며, 도 27의 단계 F209에서의 도 31의 콘텐츠 ID 생성 처리에서는, 우선 단계 F301에서, 수신한 레코드 오브젝트 컨트롤 커맨드의 내용으로부터, 이제부터 전송되어 오는 콘텐츠 데이터의 길이(데이터 사이즈)를 확인한다.
그리고 단계 F302에서, 콘텐츠 데이터의 길이로부터, 콘텐츠 데이터 스트림 내에서의 샘플링 포인트 P1, P2로서의 포인트를 산출한다.
단계 F303은 실제로 전송되어 오는 콘텐츠 데이터의 수신에 관한 처리의 개시를 나타내고 있다. 즉 도 7의 블록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콘텐츠 데이터가 수신되고, 비암호화 상태로 복호되고, ATRAC3 데이터 상태로 버퍼 메모리(30)에 축적되며, 또한 EFM/ACIRC 인코더/디코더(24)에서 변조되고, 기록/재생부(25)에서 미니 디스크(100)에 기록되어 가는 처리가 개시된다.
이러한 콘텐츠 데이터의 수신/복호/버퍼링/인코드/기록의 처리 과정에서, 콘텐츠 ID에 관한 처리로서, 샘플링 포인트 P1의 데이터를 감시하고 있다. 그리고 단계 F304에서, 샘플링 포인트 P1로서의 사운드 유닛의 데이터를 예를 들면 버퍼 메모리(30)에서 확인하여, 해당 사운드 유닛의 데이터를, 데이터 스트림의 버퍼링과는 별도로, 버퍼 메모리(30)의 다른 영역에 저장해 둔다.
계속해서 마찬가지로 감시를 행하여, 단계 F305에서, 샘플링 포인트 P2로서의 사운드 유닛의 데이터를 예를 들면 버퍼 메모리(30)에서 확인하여, 해당 사운드 유닛의 데이터를, 데이터 스트림의 버퍼링과는 별도로, 버퍼 메모리(30)의 다른 영역에 저장해 둔다.
단계 F306은, 콘텐츠 데이터의 수신/복호/버퍼링/인코드/기록의 처리가 하나의 콘텐츠 데이터에 관하여 종료하였음을 나타내고 있다.
콘텐츠 데이터의 미니 디스크(100)에의 기록이 완료되면, 단계 F307에서, 복호 처리부(28)에서 Hash 엔진은, 상기한 바와 같이 버퍼 메모리(30)에 저장해 둔 샘플링 포인트 P1, P2의 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수학식 1, 2의 연산에 의해 콘텐츠 ID를 생성한다.
그리고 단계 F308에서, 레코드 오브젝트 응답 커맨드에 콘텐츠 ID를 세트한다.
이 레코드 오브젝트 응답 커맨드는, 도 27의 단계 F211에서 퍼스널 컴퓨터(1)측으로 송신되게 된다.
즉 이 처리예에서는, 샘플링 포인트 P1, P2의 데이터를, 미니 디스크(100)에 기입하기 전에 추출하여 저장해 두기 때문에, 콘텐츠 ID 산출 시에 미니 디스크(100)를 재생 상태로 하여 그 샘플링 포인트의 데이터를 씨크하고, 판독할 필요가 없다. 이에 의해 콘텐츠 ID 산출 처리가 매우 효율화되어, 체크아웃 세션 시간도 단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체크인을 위해 콘텐츠 ID가 요구되었을 때에, 신속하게 콘텐츠 ID를 송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처리를 도 32A 내지 도 32B에 도시한다.
콘텐츠 ID는, 콘텐츠 데이터 자체가 기록되어 있는 것과, 길이 및 트랙 모드를 확인할 수 있으면 산출 가능하다. 다시 말하면, 미니 디스크(100)에 기록되어 있는 콘텐츠 데이터에 대해서는, 그 콘텐츠 데이터와 U-TOC 섹터0의 정보를 판독할 수 있으면 샘플링 포인트 P1, P2의 데이터의 추출, 혹은 콘텐츠 ID의 산출이 가능하다.
따라서 도 32A의 처리에서는, 기록 재생 장치(20A)에 대하여, 미니 디스크(100)가 장착되었을 때, 혹은 미니 디스크(100)가 장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전원 온으로 된 경우 등, 즉 TOC 데이터 판독을 행하는 시점에서, 샘플링 포인트 P1, P2의 데이터를 추출하는 처리를 행하도록 하고 있다.
즉 단계 F401에서 TOC 판독을 행하면, 단계 F402에서 변수 n=1로 하여 단계 F403으로 진행하여, 우선 트랙#n(#n은 트랙 번호, 즉 최초는 제1 트랙)에 대하여, 샘플링 포인트 P1, P2를 산출한다. U-TOC 섹터0의 정보가 판독되어 있음으로써, 각 트랙에 대한 샘플링 포인트 P1, P2의 산출이 가능하다.
그리고 단계 F404에서, 트랙#n에 대한 샘플링 포인트 P1, P2의 데이터를, 실제로 미니 디스크(100)로부터 판독하여, 버퍼 메모리(30)에서 특별히 준비된 영역에 저장한다.
단계 F405에서는, 변수 n이 최후의 트랙 번호인지의 여부를 판별하여, 최후의 트랙 번호가 아니면 단계 F406에서 변수 n을 인크리먼트하고 단계 F403으로 되돌아간다. 그리고 트랙#n(즉 계속해서 제2 트랙)에 대한 샘플링 포인트 P1, P2를 산출하고, 실제로 샘플링 포인트 P1, P2의 데이터를 판독하여 버퍼 메모리(30)에 저장하는 처리를 행한다.
즉 단계 F403∼F406의 루프 처리에 의해, 미니 디스크(100)에 수록되어 있는 모든 트랙에 대하여, 각각 길이로부터 산출되는 샘플링 포인트 P1, P2의 데이터를 판독하여, 버퍼 메모리(30)에 저장해 두는 것이다.
모든 트랙에 대하여 처리를 종료하면 단계 F405로부터 종료한다.
한편, 도 28의 단계 F151과 같이, 퍼스널 컴퓨터(1)로부터 콘텐츠 ID가 요구된 경우의 처리, 즉 도 28의 단계 F252의 처리는 도 32B와 같이 된다.
즉, 단계 F451에서, 요구에 관련된 트랙 번호의 트랙에 대한 샘플링 포인트 P1, P2의 데이터를 버퍼 메모리(30)로부터 판독하고, 단계 F452에서 복호 처리부(28)의 Hash 엔진에 의해 콘텐츠 ID를 산출한다. 또한 콘텐츠 ID의 산출을 위해 상기 수학식 1, 2에서 필요한 트랙 모드나 길이는, 그 시점에서 이미 버퍼 메모리(30)에 저장되어 있는 U-TOC 데이터로부터 판별할 수 있다.
그리고 단계 F453에서 응답 커맨드에, 생성한 콘텐츠 ID를 세트한다.
이 응답 커맨드는, 도 28의 단계 F253에서 퍼스널 컴퓨터(1)로 송신된다.
이러한 처리로 함으로써, 퍼스널 컴퓨터(1)로부터 콘텐츠 ID가 요구된 시점에서, 미니 디스크(100)로부터 샘플링 포인트 P1, P2의 데이터를 판독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콘텐츠 ID 요구에 대응하는 처리를 신속화할 수 있다. 전체적으로 보면, 체크인 세션으로서의 통신 시간을 단축화할 수 있다.
그런데, 도 32A와 도 32B 대신에 도 33A와 도 33B의 처리가 행해지도록 해도 된다. 또한, 도 33A와 도 33B에서 도 32A와 도 32B와 동일한 처리는 동일한 단계 번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도 33A의 처리에서는, 단계 F403에서 트랙#n의 샘플링 포인트 P1, P2를 산출하면, 단계 F410에서 샘플링 포인트 P1, P2의 데이터를 미니 디스크(100)로부터 판독한다. 그리고 그 데이터는 복호 처리부(28)의 Hash 엔진에 공급하고, 단계 F411에서 콘텐츠 ID의 산출을 실행한다. 그리고 산출한 콘텐츠 ID를 버퍼 메모리(30)에 저장한다.
이러한 처리를 미니 디스크(100)에 수록되어 있는 모든 트랙에 대하여 행한다. 즉 사전에 콘텐츠 ID의 생성까지 행하여, 버퍼 메모리(30)에 저장해 두게 된다.
그리고 퍼스널 컴퓨터(1)로부터 콘텐츠 ID가 요구된 경우의 처리, 즉 도 28 의 단계 F252의 처리는, 도 33B와 같이 된다.
즉, 단계 F461에서, 요구에 관련된 트랙 번호의 트랙에 대한 콘텐츠 ID를 버퍼 메모리(30)로부터 판독하고, 판독한 콘텐츠 ID를 단계 F462에서 응답 커맨드에 세트한다.
이 응답 커맨드는, 도 28의 단계 F253에서 퍼스널 컴퓨터(1)로 송신되게 된다.
이러한 처리로 하는 경우, 퍼스널 컴퓨터(1)로부터 콘텐츠 ID가 요구된 시점에서, 미니 디스크(100)로부터 샘플링 포인트 P1, P2의 데이터를 판독하는 처리나, 콘텐츠 ID 산출 처리는 필요없기 때문에, 콘텐츠 ID 요구에 대응하는 처리를 더욱 신속화할 수 있다.
또한, 도 32A 또는 도 33A의 처리는, 기록 재생 장치(20A)에서 미니 디스크(100)로부터 TOC 판독을 행하는 경우에 실행되면 되지만, 예를 들면 재생 동작 중 혹은 동작 정지 중 등, 빈 시간을 이용하여 처리를 행하도록 해도 된다. 재생 동작 중으로서는, 미니 디스크 시스템에서는, 디스크로부터의 데이터 판독은 고속 레이트로 간헐적으로 행하기 때문에, 간헐적인 판독 중단 시간에 샘플링 포인트 P1, P2의 데이터의 판독을 실행하도록 하면 된다.
어느 방식으로 행해도, 퍼스널 컴퓨터(1)로부터의 콘텐츠 ID 요구에 앞서서 도 32A 또는 도 33A의 처리가 행해짐으로써, 체크인 세션의 효율화를 실현할 수 있다.
《13. 콘텐츠 기입 제어 플래그》
도 26, 도 27의 체크아웃이 행해진 경우, 미니 디스크(100)측에서는, 해당 체크아웃 콘텐츠에 대해서, U-TOC 섹터0의 트랙 모드에서의 d1 비트가 「1」로 되는 것은 앞에서 설명하였다.
이 d1 비트는, 미니 디스크(100) 상에 기록된 체크아웃 콘텐츠에 대한 기입 제어 플래그로서 기능하게 된다.
d1 비트는, 미니 디스크 시스템에서 소위 라이트 프로텍트 플래그로 된다. 즉 d1 비트가 설정된 트랙은, 소거나 분할, 연결 등의 편집이 금지된다. 즉 현재 보급되고 있는 종래의 미니 디스크 레코더이고, 상기 기록 재생 장치(20A)로서의 미니 디스크 레코더에서, d1 비트가 설정된 트랙에 대해서는 소거나 분할 등의 편집은 행해지지 않는다.
단, 실제로는 미니 디스크 시스템에서는, 미니 디스크(100) 상에 기록된 트랙에 대하여 자동적으로 d1 비트가 설정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d1 비트는, 그 트랙이 편집 금지로 될 뿐만 아니라, 퍼스널 컴퓨터(1)로부터 체크아웃된 콘텐츠임을 명시하는 정보가 된다.
본 예의 시스템에서는, 이 d1 비트를 기입 제어 플래그로서, 체크아웃 콘텐츠의 편집을 금지함과 함께, 체크인 요구 시에, 그 트랙이 체크아웃된 것인지의 여부의 판별에 이용하도록 하고 있다.
체크아웃된 콘텐츠 데이터를 체크인하기 위해서는, 콘텐츠 데이터의 내용이 일치하고 있는 것이 관리상 적합하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기록 재생 장치(20A)에서는 콘텐츠 데이터의 길이에 기초한 샘플링 포인트 P1, P2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콘텐츠 ID 산출을 행하기 때문에, 만약 분할 혹은 연결 등이 행해져 콘텐츠 데이터 자체의 데이터 길이가 변화되면, 체크아웃 시와 동일한 콘텐츠 ID를 생성할 수 없게 된다.
다시 말하면, 체크아웃 콘텐츠가 편집된 경우에는, 콘텐츠 ID의 불일치에 의해 적절한 Usage Rule 관리를 행할 수 없게 되어, 시스템 처리상, 체크인을 허용할 수 없으며, 또한 편집에 의해 내용이 변화된 콘텐츠 데이터에 대하여 체크인을 인정하는 것은 Usage Rule 관리의 이념상으로도 적절하지 않다.
이 때문에, 체크아웃 콘텐츠에 대해서는, 미니 디스크(100) 상에서는 편집할 수 없도록 하는 것이 적합하다.
도 34에, 기입 제어 플래그에 관한 기록 재생 장치(20A)의 처리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34에서의 「WPF」는 기입 제어 플래그, 즉 U-TOC 섹터0의 트랙 모드의 d1 비트이다.
체크아웃되어 미니 디스크(100)에 기록된 콘텐츠에 대해서는, 도 27의 단계 F212의 U-TOC 갱신 처리에서, 기입 제어 플래그 WPF가 온으로 된다(S100).
한편, 본 시스템에서의 체크아웃이 아니라, 다른 소스로부터 기록 재생 장치(20A) 혹은 다른 미니 디스크 레코더에 의해 미니 디스크(100)에 기록된 콘텐츠 데이터(이하, 자기 녹음 콘텐츠)에 대해서는, 기입 제어 플래그 WPF는 오프로 된 상태 그대로이다(S105).
여기서, 기입 제어 플래그 WPF가 온인 콘텐츠 데이터(트랙)에 대해서는, 이 후의 체크인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일체의 편집을 금지하는 관리 방법을 생각할 수 있다. 단, 사용자에게 체크인 할 수 없음을 경고한 후에 편집을 허가하는 관리 방법도 생각할 수 있다.
우선, 체크아웃 콘텐츠에 대한 일체의 편집을 금지하는 경우에는, 사용자 조작 그 외에 의해, 해당 콘텐츠 데이터에 대한 편집 지시가 있어도, 시스템 제어부(32)는, 편집 금지로서, 편집 지시를 접수하지 않는 처리를 행한다(S101).
따라서, 체크아웃 콘텐츠에 대해서는, 일체 편집할 수 없게 되며, 또한 기입 제어 플래그 WPF는 항상 온 상태로 되어 있다(S101→S104).
한편, 자기 녹음 콘텐츠에 대해서는, 물론 자유롭게 편집 가능하다(S106). 시스템 제어부(32)는, 사용자 조작 그 외에 의해 편집 지시가 있으면, 그에 따라 MD 제어부(21)에 U-TOC 갱신 처리를 지시하여, 편집을 실행시키면 된다.
단 편집이 행해지든 행해지지 않든, 자기 녹음 콘텐츠에 관해서는 항상 기입 제어 플래그 WPF는 오프이다(S105→S104, 또는 S105→S106→S104).
체크아웃 콘텐츠에 대하여, 상기한 바와 같이 경고를 발한 후에 편집을 허가하는 경우, 사용자 조작 그 외에 의해 편집 지시가 있는 경우에는, 시스템 제어부(32)는 우선 도 7에는 도시하지 않은 표시 기능에 의해 경고로서의 메시지 출력을 행한다(S102). 즉, 편집함으로써 체크인할 수 없게 되는 것을 경고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편집 지시를 취소한 경우에는, 당연히 편집은 실행되지 않는다(S102→S104). 한편, 경고 후 다시 사용자가 편집 지시를 행한 경우에는, 사용자가 체크인 불가로 됨을 납득한 것으로 하여 편집을 허가한다. 즉 시스템 제 어부(32)는, 사용자 조작 그 외의 편집 지시에 따라 MD 제어부(21)에 U-TOC 갱신 처리를 지시하고, 편집을 실행시킨다. 이 때, 편집에 관련된 트랙에 대한 기입 제어 플래그 WPF, 즉 U-TOC 섹터0의 해당 트랙의 트랙 모드의 d1 비트를 오프시킨다(S103).
이러한 처리에 의해, 결국, 체크아웃 콘텐츠에 대해서는, 편집이 행해지지 않는 한 기입 제어 플래그 WPF는 온이다. 한편, 편집된 체크아웃 콘텐츠, 및 편집의 유무에 상관없이 자기 녹음 콘텐츠에 대해서는, 기입 제어 플래그 WPF는 오프 상태로 된다.
따라서, 도 28의 체크인 세션에서의 단계 F151에서, 체크인 대상의 콘텐츠 ID가 퍼스널 컴퓨터(1)로부터 요구되었을 때, 기록 재생 장치(20A)에서는 단계 F251의 체크인 가부 체크로서는, 단순히, 해당 대상으로 된 콘텐츠 데이터에 대한, U-TOC 섹터0의 트랙 모드의 기입 제어 플래그 WPF(d1 비트)가 온인지의 여부를 확인하면 된다.
만약 콘텐츠 ID가 요구된 콘텐츠 데이터에 대하여 기입 제어 플래그 WPF가 오프이면, 기록 재생 장치(20A)는 퍼스널 컴퓨터(1)에 대하여 체크인 불가를 통지하면 된다. 이 경우에는, 도 28의 단계 F253, F152에서의 처리에 의해 콘텐츠 ID를 통지/대조하여, 결국 체크인 불가로 되는 불필요한 처리를 해소할 수 있다. 즉, 이 도 28의 단계 F253, F152의 처리는, 어디까지나 편집되어 있지 않은 체크아웃 콘텐츠로 확인된 것에 대하여, 콘텐츠 ID 대조를 행하는 처리로 되어, 불필요한 처리가 없어진다. 이 때문에 체크인 통신 세션 및 확인 처리를 효율화할 수 있다.
한편, 자기 녹음 콘텐츠에 대해서는 편집은 기본적으로 자유롭다. 그러나, 미니 디스크(100)에서 체크아웃 콘텐츠와 자기 녹음 콘텐츠가 혼재되어 있는 경우 등에는, 자기 녹음 콘텐츠에 대해서도 자유로운 편집을 제한하고자 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미니 디스크(100)에서의 콘텐츠 데이터를 퍼스널 컴퓨터(1)의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관리하고자 하는 경우 등이다.
이 때문에 본 예에서는, 도 24, 도 25에 도시한 배타적 로그인 컨트롤 커맨드, 배타적 로그아웃 컨트롤 커맨드가 준비되어, 퍼스널 컴퓨터(1)측에서 기록 재생 장치(20A)의 기능을 배타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퍼스널 컴퓨터(1)로부터 도 24의 배타적 로그인 컨트롤 커맨드가 기록 재생 장치(20A)로 송신되면, 시스템 제어부(32)는, 그 우선 순위의 값에 따라, 편집 금지/제한 모드로 들어간다.
예를 들면 도 3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기 녹음 콘텐츠에 대해서도 편집 그 외의 처리의 금지 또는 제한이 부과된 상태로 되어(S107), 사용자 조작에 의한 편집 지시는 접수하지 않는다.
또한, 파워 온이나 디스크 배출 등의 조작도 포함하여, 사용자 조작에 대하여 어떤 레벨까지 접수하지 않을지는, 배타적 로그인 컨트롤 커맨드에서의 우선 순위의 값에 의한, 상술한 제어 레벨에 따라 설정되게 된다.
또한, 배타적 로그아웃 컨트롤 커맨드가 송신된 경우에는, 지금까지의 편집 금지/제한이 해제되어, 자기 녹음 콘텐츠에 대해서는 편집 가능해진다(S107→S106).
이러한 배타적 로그인 컨트롤 커맨드에 의해, 퍼스널 컴퓨터(1)측이 기록 재생 장치(20A)측의 기능을 배타적으로 제어할 수 있음으로써, 시스템 동작의 형편에 따라, 편집 등을 제한할 수 있기 때문에, 시스템 동작상, 편리하게 된다.
《14. 과금 정보 처리》
계속해서, 과금 정보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6은 콘텐츠 데이터 배신에 대한 과금 처리를 위한 시스템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또한, 이 시스템 구성은 도 4와 마찬가지이지만, 콘텐츠 서버(91)측의 구성을 자세히 도시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예의 시스템은, 콘텐츠로서의 악곡 데이터 등을 서버(91)측으로부터 1차 기록 매체(HDD(5))로 다운로드하고, 또한 2차 기록 매체(미니 디스크(100))에 체크아웃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물론 콘텐츠 서버(91)가 콘텐츠 데이터를 유료로 제공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우 콘텐츠 서버(91)는, 콘텐츠 제공 서비스를 행하는 조직이나 개인에 의해 운영되는 것으로, 기본적으로는, 각종 콘텐츠를 축적하는 콘텐츠 보유 기능, 네트워크(110)를 통한 통신에 의해 퍼스널 컴퓨터(1)에 대하여 보유하고 있는 콘텐츠를 제공하는 기능, 콘텐츠 제공을 받은 사용자에 대한 과금 관리를 행하는 과금 기능을 갖는다.
이들 각 기능은, 하나의 조직, 회사 등에 의해 전체적으로 운영되어도 되지만, 각각이 다른 조직, 회사, 개인 등에 의해 운영되어, 연계적으로 동작되는 것이어도 된다. 예를 들면 각 기능의 각각이 인터넷 상의 웹 사이트로서 운영되어, 서 로 링크에 의해 연계 동작이 취해지도록 해도 된다.
사용자측에서 최종적으로 콘텐츠 데이터가 기록되는 2차 기록 매체로서는, 미니 디스크(100)나 메모리 카드로서 설명하였지만, 이 2차 기록 매체로서의 미디어에는, 후술하는 선불 정보가 재기입 불능으로 기록되어 있다. 콘텐츠 서버(91)측은, 2차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선불 정보를 수취함으로써, 개개의 사용자에 대한 과금 처리를 행한다.
콘텐츠 서버(91)는, 네트워크 배신 장치(130), 콘텐츠 데이터베이스 제어 장치(140), 고객 정보 장치(150), 콘텐츠 데이터베이스(160), 고객 데이터베이스(1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네트워크 배신 장치(130)는, 네트워크(110)를 통해 퍼스널 컴퓨터(1) 등에, 보유하고 있는 콘텐츠를 제공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요소이다.
콘텐츠 데이터 베이스 제어 장치(140) 및 콘텐츠 데이터베이스(160)는, 각종 콘텐츠를 축적하는 콘텐츠 보유 기능을 실현하는 요소이다.
고객 정보 장치(150) 및 고객 데이터베이스(170)는, 콘텐츠 제공을 받은 사용자에 대한 과금 관리를 행하는 과금 기능을 실현하는 요소이다.
콘텐츠 데이터베이스(160)는 예를 들면 하드디스크, 광 디스크 등의 기록 매체에 의해 형성되며, 이 콘텐츠 데이터베이스(160)에는, 예를 들면 다수의 음악 콘텐츠가, 사용자에 대한 제공 서비스용 콘텐츠로서 음악 라이브러리 형식으로 저장되어 있다. 콘텐츠 데이터베이스 제어 장치(140)는, 콘텐츠 데이터베이스(160)에 대하여 음악 콘텐츠 등의 기록, 판독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네트워크 배신 장치(130)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콘텐츠 데이터베이스(160)로부터 콘텐츠를 판독하여, 네트워크 배신 장치(130)에 제공한다.
고객 데이터베이스(170)는, 예를 들면 하드디스크, 광 디스크 등의 기록 매체에 의해 형성되며, 이 고객 데이터베이스(170)에는, 개개의 2차 기록 매체(100)에 기록되어 있는 선불 정보에 대응하여 과금 정보가 등록되어 있다. 고객 정보 장치(150)는, 고객 데이터베이스(170)에 대하여 과금 정보의 등록이나 판독의 제어를 행한다. 예를 들면 네트워크 배신 장치(130)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신규로 과금 정보를 고객 데이터베이스(170)에 등록하거나, 혹은 특정 과금 정보를 판독하여 네트워크 배신 장치(130)에 제공한다.
이들 콘텐츠 서버(91)로서의 각 요소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하나의 조직, 회사, 개인 등에 의해 운영되어도 되고, 각각 다른 조직 등에 의해 운영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네트워크 배신 장치(130)는 배신 서비스 회사에 의해 운영되며, 콘텐츠 데이터 베이스 제어 장치(140) 및 콘텐츠 데이터베이스(160)는 레코드 회사, 레코드 라벨 회사 등에 의해 운영되고, 고객 정보 장치(150) 및 고객 데이터베이스(170)는 과금 서비스 회사에 의해 운영되는 형태도 있을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콘텐츠 데이터베이스 제어 장치(140) 및 콘텐츠 데이터베이스(160)는 복수 존재하여, 네트워크 배신 장치(130)가 각각의 콘텐츠 데이터 베이스(160)에 저장되어 있는 콘텐츠를 배신할 수 있는 형태도 있을 수 있다.
이러한 본 예의 시스템에서는, 퍼스널 컴퓨터(1)는 콘텐츠 서버(91)와의 사이에서 통신 접속을 행하여, 제공 가능한 콘텐츠의 리스트(메뉴)를 수취한다. 사 용자는 리스트 중에서 원하는 콘텐츠를 선택하는 조작을 행한다. 그렇게 하면 콘텐츠 서버(91)측으로부터 그 콘텐츠가 퍼스널 컴퓨터(1)로 송신되어 온다. 사용자측에서는 그 콘텐츠를 상술한 체크아웃에 의해 2차 기록 매체(100)에 기록한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원하는 악곡 등을 입수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예에서는, 콘텐츠의 대가의 과금에 관해서는, 2차 기록 매체(100)에 기록되어 있는 선불 정보를 이용한다. 후술하지만, 2차 기록 매체(100)에는 선불 정보로서 개개의 미디어별로 다른 미디어 ID와 선불 금액이 포함되어 있다.
퍼스널 컴퓨터(1)는 기록 재생 장치(20A(20B))로부터 선불 정보를 수취하고, 그 선불 정보를 콘텐츠 서버(91)측으로 송신한다. 네트워크 배신 장치(130)는 그 선불 정보에 기초하여 고객 데이터베이스(170) 상에서 과금 처리를 실행시킨다. 대략적으로 말하면, 고객 데이터베이스(170)에는 각 2차 기록 매체(100)의 선불 정보에 대응하여 과금 정보가 등록되어 있으며, 콘텐츠 배신에 따라 그 대가액을 과금 정보에서의 선불 금액으로부터 감산해 간다. 즉 과금은 고객 데이터베이스(170) 상에서의 과금 정보의 갱신에 의해 행해진다.
그리고 2차 기록 매체(100)측에 기록되어 있는 선불 정보에 대해서는, 일체 재기입은 행해지지 않는다.
고객 데이터베이스(170)에는, 도 37과 같은 과금 정보가 등록된다. 여기서 말하는 과금 정보란, 하나의 선불 정보(하나의 2차 기록 매체(100))에 대응하여 등록되는 데이터군을 말하며, 예를 들면 미디어 ID, 잔액, 구입 이력 등의 데이터로 하나의 과금 정보가 구성된다. 도 37에는 미디어 ID로서의 ID1∼ID5 …의 각각에 대응하여 과금 정보 K1∼K5 …가 등록되어 있는 상태를 예시하고 있다.
과금 정보에서의 미디어 ID란, 후술하는 선불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미디어 ID이다. 잔액이란, 선불 원금으로부터 콘텐츠 구입마다 그 대금이 감산되도록 갱신되는 것으로, 현재의 선불 잔금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구입 이력이란, 구입 일시, 콘텐츠명, 콘텐츠 금액, 사용 단말기 등의 이력이며, 즉 콘텐츠 구입마다 그 상황을 기록한 정보가 된다.
물론, 이들 이외의 정보로서 선불 원금이나, 미디어 종별, 미디어 판매자, 구입 콘텐츠의 저작권자 등의 다양한 정보가 과금 정보에 포함되어도 되고, 또한 예를 들면 구입 이력은 포함되지 않아도 된다. 본 예의 배신 동작에 관하여 말하면, 적어도 미디어 ID와 잔액의 정보가 과금 정보로서 포함되어 있으면 되고, 다른 정보는 배신 시스템의 운영상의 형편이나 서비스 내용 등에 따라 설정하면 된다.
선불 정보는, 2차 기록 매체(100)에서 재기입 불능으로 기록되어 있는 정보로, 기본적으로 도 3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불 금액, 선불 서비스 ID, 미디어 ID로 구성된다.
선불 금액이란, 사용자가 선불로서 지불한 금액이 기록된다.
2차 기록 매체(100)는, 예를 들면 콘텐츠로서는 아무것도 기록되어 있지 않은 미사용의 미니 디스크나 메모리 카드로서 판매되지만, 그 판매 가격은 선불 금액을 포함한다. 즉, 미사용의 경우의 통상의 판매 가격이 500엔인 미디어인 것으로 했을 때에, 선불 정보에서 선불 금액이 5000엔으로 기록되어 있는 2차 기록 매체(100)인 경우에는, 기본적으로는 5500엔으로 사용자가 구입하게 된다. 물론 판 매 가격은 임의이며, 상기 2차 기록 매체(100)가, 미디어 자체는 무료로 되어 선불 금액만인 5000엔으로 판매되거나, 혹은 4800엔으로 디스카운트되어 판매되어도 되지만, 선불 금액이 5000엔으로 기록된 2차 기록 매체(100)를 구입한 사용자는, 본 예의 배신 시스템에 의한 콘텐츠 배신 서비스에 관하여, 5000엔을 선불한 것으로 된다.
선불 서비스 ID는, 콘텐츠 배신 서비스를 행하는 콘텐츠 서버(91)의 어드레스를 나타낸다. 예를 들면 네트워크(110)에서 네트워크 배신 장치(130)에 통신 접속하기 위한 어드레스이다. 인터넷에서의 IP 어드레스이어도 된다. 퍼스널 컴퓨터(1)는, 기록 재생 장치(20A)에 장착된 2차 기록 매체(100)에 대한 선불 정보를 수취함으로써, 선불 서비스 ID에 기초하여, 콘텐츠 서버(91)에 통신 액세스를 행하여, 접속을 구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서버(91)측의 구성에도 의하지만, 선불 서비스 ID는, 네트워크 배신 장치(130)의 어드레스가 아니며, 예를 들면 콘텐츠 데이터 베이스 제어 장치(140)의 어드레스로 하거나, 혹은 고객 정보 장치(150)의 어드레스로 해도 된다.
예를 들면 네트워크 배신 장치(130), 콘텐츠 데이터 베이스 제어 장치(140), 고객 정보 장치(150)가 각각 인터넷 상의 Web 페이지로서 형성되어, 서로 링크되는 경우, 선불 서비스 ID를 콘텐츠 데이터베이스 제어 장치(140)의 어드레스로 하여, 퍼스널 컴퓨터(1)는 콘텐츠 데이터베이스 제어 장치(140)에 대하여 통신 액세스를 행하도록 하고, 그 때에, 배신 처리의 진행에 따라 고객 정보 장치(150)가 링크되 며, 또한 이들이 네트워크 배신 장치(130)에 의해 통괄 처리되도록 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반대로, 선불 서비스 ID를 고객 정보 장치(150)의 어드레스로 하여, 퍼스널 컴퓨터(1)는 고객 정보 장치(150)에 대하여 통신 액세스를 행하도록 하고, 그 때에, 배신 처리의 진행에 따라 콘텐츠 데이터베이스 제어 장치(140)가 링크되며, 또한 이들이 네트워크 배신 장치(130)에 의해 통괄 처리되도록 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미디어 ID는, 개개의 2차 기록 매체(100)에 대하여 각각 고유하게 부가된 식별 번호이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2장의 선불 미디어로서의 2차 기록 매체(100)를 구입한 경우, 그 각 2차 기록 매체(100)에는 각각 다른 미디어 ID가 기록되어 있게 된다.
이러한 선불 정보는, 예를 들면 선불 금액에 8비트, 선불 서비스 ID에 22비트∼32비트 정도, 미디어 ID에 32∼40비트 정도를 이용한 데이터로 할 수 있다.
비트 수는 선불 시스템의 설계상의 형편에 맞게 설정하면 된다. 또한 선불 서비스 ID에는 서버의 어드레스 등을 위해 필요한 비트 수, 미디어 ID에는 판매하는 선불 미디어의 총수나 장래적인 총수 등을 감안하여, 각각 다른 ID 번호를 부가할 수 있기 때문에 충분한 비트 수로 하면 된다. 최저한으로서는, 예를 들면 선불 금액에 1바이트(8비트), 선불 서비스 ID에 3바이트 또는 4바이트, 미디어 ID에 3바이트 또는 4바이트로, 8바이트 정도의 데이터로 하면 된다.
여기서, 2차 기록 매체(100)에 기록되는 선불 정보와, 도 37에 도시한 과금 정보의 관계에 대하여 설명한다.
예를 들면 미디어 ID=ID1, 선불 금액=5000엔으로 된 2차 기록 매체(100)를 사용자가 사용한 것으로 한다. 콘텐츠 서버(91)측에서는, 이 2차 기록 매체(100)가 최초로 사용된 시점에서, 고객 데이터베이스(170)에, 도 37의 과금 정보 K1을 등록한다. 당초, 이 과금 정보 K1에서의 미디어 ID 및 잔액은, 선불 정보 상의 데이터가 그대로 등록되게 되어, 즉 과금 정보 K1의 미디어 ID=ID1로 되어, 잔액=5000엔으로 된다.
그 후, 그 2차 기록 매체(100)를 사용하여 콘텐츠의 다운로드(2차 기록 매체(100)에의 체크아웃)가 행해짐에 따라, 그 콘텐츠의 대가가, 과금 정보 K1의 잔액의 감액의 형태로 과금 처리되게 된다. 즉, 다운로드/체크아웃이 행해질 때마다, 사용되고 있는 2차 기록 매체(100)의 선불 정보에서의 미디어 ID로부터, 고객 데이터베이스(170) 상에서 대응하는 과금 정보가 검색되며, 그 과금 정보 상에서 잔액의 감산이 행해진다.
예를 들면 도 37의 과금 정보 K1에서는 잔액이 3700엔으로 되어 있지만, 이것은 사용자가 미디어 ID=ID1의 2차 기록 매체(100)를 이용하여, 1300엔분의 콘텐츠 구입을 행한 후의 상태로서 나타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과금 처리 방식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소유하는 2차 기록 매체(100)에서는 선불 정보는 전혀 갱신되지 않으며, 다시 말하면, 선불 정보는 2차 기록 매체(100)에서 재기입 불능으로 기록되어 있으면 된다.
또한, 선불 정보는 2차 기록 매체(100)에서 재기입 가능으로 해도 되지만, 선불 금액이나 미디어 ID의 개찬에 의한 악용이나, 선불 서비스 ID의 개찬에 의한 서비스 동작의 문제점의 우려도 있기 때문에, 재기입 불능으로 하는 것이 적절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2차 기록 매체(100)로서 미니 디스크를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8바이트의 선불 정보를 재기입 불능으로 기록해 두는 기록 방식은 다음과 같은 각 예를 생각할 수 있다.
(1) P-TOC 내에 선불 정보를 기록한다.
(2) U-TOC 내에 재기입 불능으로 되는 방법으로 선불 정보를 기록한다.
(3) 관리 에리어 내에서 U-TOC 영역 외에 재기입 불능으로 되는 방법으로 선불 정보를 기록한다.
P-TOC 내에 선불 정보를 기록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도 9의 (a)의 리드 인 에리어에서의 P-TOC 섹터에서 특정한 8바이트의 영역을, 선불 정보의 기록에 이용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U-TOC 내에 기록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이미 포맷이 규정되어 있는 섹터0, 1, 2, 3, 4 등에 있어서의 미사용의 영역을 이용해도 되지만, 선불 정보가 재기입될 가능성을 적절하게 배제하기 위해서는, 아직 규정되어 있지 않은 섹터를 이용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예를 들면 U-TOC 섹터5에서 소정의 8바이트를 선불 정보의 기록 영역으로서 설정하는 것이다. 또한 이 경우에는, 상술한 U-TOC 섹터0에서, 섹터 사용 상황(Used sectors)에서의 섹터5의 대응 비트를 「0」, 즉 사용하지 않은 섹터로서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선불 정보를 재기입 불능으로 할 수 있다. 즉 이에 의해 일반의 미니 디스크 레코더에 따르면, U-TOC 섹터5는 사용되고 있지 않는 섹터로서 인식되기 때문에, U-TOC 섹터5에 대하여 어떠한 갱신 처리 등도 행해지는 않는다. 즉 선불 정보는 사용자측에서 재기입 불능으로 된다.
그리고 본 예의 기록 재생 장치(20A)에서는, 선불 정보의 판독을 위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U-TOC 섹터5의 판독을 실행하는 것으로 되어 있어, 선불 정보를 판독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는 섹터5로 하였지만, 물론 섹터6, 섹터7 등 다른 섹터를 이용해도 된다.
또한 도 9의 (b)의 관리 에리어 내에서, U-TOC 이외의 영역에 기록하는 방식으로서, 예를 들면 사선 부분 PD로서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되고 있지 않은 클러스터 내의 섹터를 이용하여 선불 정보를 기록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관리 에리어 내에서는 파워 캘리브레이션 에리어 PCA나 U-TOC 에리어가 형성되며, 이들 위치는 상술한 바와 같이 P-TOC에 의해 표시되게 된다. P-TOC를 참조함으로써 통상의 미니 디스크 레코더는 파워 캘리브레이션 에리어 PCA나 U-TOC 에리어에 액세스할 수 있다.
그런데 P-TOC에 의해 위치가 표시되어 있지 않은 사선 부분 PD는, 통상의 미니 디스크 레코더에서는 액세스할 수 없는 영역(액세스해도 의미가 없는 영역)으로 된다. 따라서, 사선 부분 PD에 기록된 선불 정보는 사용자측에서 재기입 불능으로 된다.
그리고 본 예의 배신 시스템에 이용하는 기록 재생 장치(20A)에서는, 선불 정보의 판독을 위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사선 부분 PD의 판독을 실행하게 되어, 선불 정보를 판독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예를 들면, 사선 부분 PD의 개시 위치를, P-TOC로 나타나는 U-TOC 스타트 어드레스에 소정량의 오프셋을 제공한 위치로 규정해 둠으로써, 기록 재생 장치(20A)에 의해 선불 정보의 판독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면 U-TOC는 3클러스터에 걸쳐 기록되기 때문에, U-TOC 스타트 어드레스 USTA+5클러스터의 위치를 선불 정보 기록 영역의 개시 위치로 규정하면 된다.
예를 들면 이상의 예와 같이 함으로써, 미니 디스크를 선불 미디어(4)로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미니 디스크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2차 기록 매체(100)로서 메모리 카드나, CD-R, CD-RW, DVD 등의 광 디스크의 경우에 대해서도, 8바이트 혹은 그 이상의 데이터 사이즈의 선불 정보를 기록하는 경우에는, 이들 미디어의 관리 포맷 등에 기초하여, 기록 위치가 설정되면 된다.
그런데, 이러한 선불 정보를 이용한 배신 시스템을 구축하는 경우, 퍼스널 컴퓨터(1)는 기록 재생 장치(20A)에 장착된 2차 기록 매체(미니 디스크(100))에 대한 선불 정보를 판독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도 20, 도 2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체크인 컨트롤 커맨드에서 서브 기능으로 선불 정보를 지정함으로써, 기록 재생 장치(20A)에 선불 정보를 요구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기록 재생 장치(20A)는, 도 23의 체크인 응답 커맨드에 의해, 미니 디스크(100)에 기록되어 있는 선불 정보를 퍼스널 컴퓨터(1)에 통지할 수 있다.
도 35는 선불 정보 처리를 위한 처리를 도시하고 있다.
도 35에서, 퍼스널 컴퓨터(1)의 CPU(2)가 실행하는 제어 처리를 단계 F101∼F173으로 하고, 또한 기록 재생 장치(20A)의 시스템 제어부(32), MD 제어부(21) 등에 의해 실행되는 제어 처리를 단계 F201∼F274로서 나타내고 있다.
통신 세션은 각종 컨트롤 커맨드와 그에 대응하는 응답 커맨드에 의해 행해진다.
이 경우에도, 인증 개시로부터 EKB 전송, 루트 키 탐색 등의 처리는 상기 체크아웃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행해진다. 즉 상기 도 26, 도 28과 동일한 단계 번호를 붙인 단계 F101∼F103, F201∼F205는,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의 처리가 행해지는 것으로, 중복 설명을 피한다.
퍼스널 컴퓨터(1)는 단계 F170에서, 세션의 개시를 요구하는 컨트롤 커맨드를 송신한다.
이에 따라 기록 재생 장치(20A)는 단계 F270에서, 응답 커맨드를 회신한다. 또한, 이 경우에도, 도 12에서 설명한 인증 처리가 행해진다.
세션이 개시되고, 또한 기록 재생 장치(20A)가 인증 OK로 되면, 퍼스널 컴퓨터(1)는 단계 F171에서, 선불 정보를 요구한다.
즉, 도 20에서 설명한 체크인 컨트롤 커맨드를 송신하는 것으로 된다. 이 때 체크인 컨트롤 커맨드에서는, 서브 기능의 값은 「00h」 또는 「01h」가 아니 며, 즉 선불 정보 요구의 의미를 갖게 한 것으로 한다(도 21 참조).
기록 재생 장치(20A)는, 이에 따라 단계 F271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미니 디스크(100)의 특정한 영역에 기록되어 있는 선불 정보를 재생한다.
그리고 단계 F272에서, 재생한 예를 들면 8바이트의 선불 정보를, 도 23과 같이 체크인 응답 커맨드에 세트하여, 퍼스널 컴퓨터(1)로 송신한다.
체크인 응답 커맨드에 의해 선불 정보를 수취하면, 퍼스널 컴퓨터(1)는 단계 F172에서 세션 종료 요구의 컨트롤 커맨드를 기록 재생 장치(20A)로 송신한다. 기록 재생 장치(20A)는 단계 F273에서 세션 종료를 승낙하는 응답 커맨드를 퍼스널 컴퓨터(1)로 송신한다.
또한 퍼스널 컴퓨터(1)는 단계 F173에서, 인증 상태를 종료시키는 컨트롤 커맨드를 송신하고, 기록 재생 장치(20A)는 단계 F274에서, 인증 상태 종료를 승낙하는 응답 커맨드를 송신한다.
이상으로, 선불 정보 교환을 위한 통신이 종료된다.
그 후, 퍼스널 컴퓨터(1)는 선불 정보에 대한 처리로서, 통신부(8)에 의해 네트워크(110)를 통해 콘텐츠 서버(91)와 통신 접속하여, 수취한 선불 정보를 콘텐츠 서버(91)로 전송하는 처리를 행한다. 즉, 2차 기록 매체(100)에 대하여 체크아웃한 콘텐츠 데이터의 식별 정보와 함께 선불 정보를 송신함으로써, 콘텐츠 서버(91)측에서 사용자에 대한 과금 처리, 즉 도 37의 데이터베이스의 갱신 처리가 행해지도록 한다.
이와 같이 퍼스널 컴퓨터(1)가 기록 재생 장치(20A)에 대하여 2차 기록 매체(100)에서의 고유 정보인 선불 정보의 전송을 요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해당 시스템에 의한 선불 방식의 과금 처리가 가능해진다.
또한, 본 예에서 퍼스널 컴퓨터(1)가 2차 기록 매체(100)의 고유 정보로서 선불 정보를 취득하는 방식을 설명하였지만, 마찬가지의 컨트롤 커맨드 및 응답 커맨드의 설정에 의해 각종 고유 정보 취득이 가능해지는 것은 물론이다.
예를 들면 2차 기록 매체(100)에 기록된 사용자의 이용 상황, 사용자 ID 등, 다른 고유 정보를 퍼스널 컴퓨터(1)가 취득함으로써, 퍼스널 컴퓨터(1)가 2차 기록 매체(100)의 관리를 행하거나, 혹은 이들 정보를 콘텐츠 서버(91)로 송신하여, 콘텐츠 서버(91)측이 사용자에 대한 각종 서비스나 관리에 이용하는 것을 상정할 수 있다.
이상, 실시예로서의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시스템 동작으로서의 암호화, 데이터 패스, 체크아웃/체크인 방식, 인증 방식, 콘텐츠 ID 생성 방식, 콘텐츠 ID 관리 방식, 기입 제어 플래그의 실제의 예, 편집 관리, 선불 정보 등은, 각각 발명의 요지의 범위 내에서 각종 변형예를 생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으로서는, 예를 들면 상술한 1차 기록 매체로부터 2차 기록 매체로의 데이터 전송 처리의 대상이 되는 것은 SDMI 콘텐츠에 한정되지 않고, 각종 콘텐츠 데이터에 널리 적용할 수 있다.
또한 1차 기록 매체는 HDD 이외에 다양하게 생각된다.
물론 2차 기록 매체, 2차 기록 매체측 기기(20A)로서도 미니 디스크, 미니 디스크 기록 장치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예가 생각된다. 2차 기록 매체(100)로서는, CD-R, CD-RW, DVD-RAM, DVD-R, DVD-RW, 각종 메모리 카드 등이어도 된다. 따라서 2차 기록 매체측 기기(20A)는, 이들 미디어에 대응하는 기록 장치이면 된다.
또한, SDMI 대응의 기록 재생 장치(20B)에 대해서도 언급하였지만, 그 기록 재생 장치(20B)로의 콘텐츠 데이터의 전송 처리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데이터 전송 장치측(1차 기록 매체측)에서는, 저장되어 있는 각 콘텐츠 데이터에 대한 전송 권리를 관리함과 함께, 데이터 기록 장치(2차 기록 매체측)에 전송한 콘텐츠 데이터에 대해서는, 그 콘텐츠 데이터에 대응하는 제1 콘텐츠 식별자와 데이터 기록 장치측으로부터 송신되어 온 제2 콘텐츠 식별자를 대응시킨 테이블 데이터를 생성한 상태에서, 콘텐츠 데이터의 전송 권리를 관리하도록 하고 있다.
즉, 2차 기록 매체측에서 콘텐츠 식별자(콘텐츠 ID)를 기록할 수 없는 경우라도, 2차 기록 매체측에서 발생하는 콘텐츠 ID(제2 콘텐츠 식별자)를 이용하여 2차 기록 매체 상의 콘텐츠 데이터를 식별할 수 있으며, 또한 그것이 1차 기록 매체측의 콘텐츠 ID(제1 콘텐츠 식별자)와 대응되어 있기 때문에, 콘텐츠 ID에 의한 적절한 체크아웃/체크인 시의 권리 관리가 가능해진다. 따라서 비SDMI 대응의 2차 기록 매체에서 콘텐츠 데이터를 비암호화 상태로 기록하는 경우에도, 복사 전송이나 재생에 관한 콘텐츠 권리를 적절하게 관리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리성과 저작 권 보호를 양립시킬 수 있다.
또한, 2차 기록 매체에 대한 기록 재생을 행하는 데이터 기록 장치측에서의 제2 콘텐츠 식별자의 생성에 관해서는, 비암호화 상태의 콘텐츠 데이터의 일부를 추출한 연산으로 제2 콘텐츠 식별자를 생성함으로써, 각 콘텐츠 데이터마다 고유의 콘텐츠 ID로서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데이터의 데이터 길이에 기초하여 특정된 샘플링 포인트에 의해 콘텐츠 ID 생성에 이용하는 콘텐츠 데이터의 일부를 추출하는 바와 같이, 추출 포인트가 설정되어 있음으로써, 각 콘텐츠 데이터에 대해서는, 항상 각각 특정한 콘텐츠 ID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제2 콘텐츠 식별자 자체를 기록해 두지 않아도, 2차 기록 매체측의 콘텐츠 데이터로부터 특정한 제2 콘텐츠 식별자가 항상 얻어지기 때문에, 상기한 권리 관리에 이용하는 정보로서 적합하게 된다.
또한, 상기 샘플링 포인트는, 콘텐츠 데이터의 선두 부분 및 종단 부분을 제외한 1 또는 복수의 포인트로 함으로써 제2 콘텐츠 식별자를, 각 콘텐츠 데이터에 고유의 정보로서 적절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오디오 콘텐츠의 경우, 선두 및 종단은 무음 상태이고, 데이터 자체가 다른 콘텐츠와 동일한 것으로 되어 있는 경우가 많지만, 그 이외의 부분은, 데이터 자체가 다른 콘텐츠와 동일하다는 것은 우선 있을 수 없기 때문이다.
또한, 체크아웃으로서 데이터 전송 장치로부터 콘텐츠 데이터가 전송되어 올 때는, 복호된 콘텐츠 데이터를 2차 기록 매체에 기록하기까지의 데이터 경로 상에서, 상기 샘플링 포인터의 데이터를 추출해 두고, 추출한 데이터를 이용한 연산 처 리에 의해 제2 콘텐츠 식별자를 생성하도록 함으로써, 제2 콘텐츠 식별자의 산출을 위해, 2차 기록 매체에 판독 액세스를 행하여 샘플링 포인트의 데이터를 얻는다고 하는 동작은 불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체크아웃 시에, 데이터 전송 장치측에 제2 콘텐츠 식별자를 통지하는 처리를 효율화할 수 있어, 일련의 체크아웃 통신 동작을 고속화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데이터가 기록된 2차 기록 매체가 데이터 기록 장치에 내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체크인 요구가 없는 시점에서, 2차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각 콘텐츠 데이터에 대하여, 사전에 상기 샘플링 포인트의 데이터를 재생하여 기억시켜 두거나, 혹은 제2 콘텐츠 식별자의 산출까지를 행하여 기억시켜 둠으로써, 체크인 등을 위해 제2 콘텐츠 식별자가 요구되었을 때에, 2차 기록 매체의 액세스는 불필요하다. 따라서 이 경우에도 체크인 등을 위한 일련의 통신 동작을 고속화할 수 있다.

Claims (25)

  1. 데이터 전송 장치와 데이터 기록 장치로 이루어지는 데이터 전송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는,
    1차 기록 매체에 대하여 데이터의 기록 재생을 행하는 1차 기록 매체 드라이브 수단과,
    암호화된 콘텐츠 데이터 및 상기 콘텐츠 데이터에 고유하게 생성된 제1 콘텐츠 식별자를, 상기 1차 기록 매체에 저장시키는 저장 제어 수단과,
    상기 데이터 기록 장치와의 사이에서 콘텐츠 데이터의 전송을 포함하는 각종 데이터 통신을 행하는 통신 수단과,
    상기 각 콘텐츠 데이터에 대한 전송 권리를 관리함과 함께, 상기 데이터 기록 장치에 대하여 전송한 콘텐츠 데이터에 대해서는, 상기 콘텐츠 데이터에 대응하는 상기 제1 콘텐츠 식별자와 상기 데이터 기록 장치측으로부터 송신되어 온 제2 콘텐츠 식별자를 대응시킨 테이블 데이터를 생성한 상태에서, 콘텐츠 데이터의 전송 권리를 관리하는 전송 관리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 기록 장치는,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와의 사이에서, 콘텐츠 데이터의 수신을 포함하는 각종 데이터 통신을 행하는 통신 수단과,
    2차 기록 매체에 대하여 데이터의 기록 재생을 행하는 2차 기록 매체 드라이 브 수단과,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암호화된 콘텐츠 데이터를 비암호화 상태로 복호하는 복호 수단과,
    상기 복호 수단에 의해 복호된 콘텐츠 데이터를 상기 2차 기록 매체 드라이브 수단에 의해 상기 2차 기록 매체에 기록시키는 기록 제어 수단과,
    비암호화 상태의 콘텐츠 데이터로부터 상기 제2 콘텐츠 식별자를 생성하는 식별자 생성 수단과,
    상기 식별자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된 상기 제2 콘텐츠 식별자를 상기 통신 수단에 의해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로 송신시키는 식별자 송신 제어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관리 수단은, 각 콘텐츠 데이터에 대한 상기 전송 권리로서, 외부의 데이터 기록 장치에 대한 전송 허가 횟수를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관리 수단은, 상기 2차 기록 매체에 기록시킨 임의의 콘텐츠 데이터에 대하여, 상기 2차 기록 매체측에서의 재생 권리를 소실시킬 때에,
    상기 데이터 기록 장치에 대하여, 상기 콘텐츠 데이터에 대한 상기 제2 콘텐 츠 식별자를 요구하고, 송신되어 온 제2 콘텐츠 식별자를 상기 테이블 데이터에서 대조한 후에, 해당하는 콘텐츠 데이터에 대한 전송 권리를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자 생성 수단은, 콘텐츠 데이터의 데이터 길이에 기초하여 특정된 샘플링 포인트에 의해 콘텐츠 데이터의 일부를 추출하고,
    추출한 데이터를 이용한 연산 처리에 의해 상기 제2 콘텐츠 식별자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샘플링 포인트는, 콘텐츠 데이터의 선두 부분 및 종단 부분을 제외한 1 또는 복수의 포인트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로부터 콘텐츠 데이터가 전송되어 올 때에,
    상기 식별자 생성 수단은, 상기 복호 수단에 의해 복호된 콘텐츠 데이터가 상기 2차 기록 매체에 기록되기까지의 데이터 경로 상에서, 상기 샘플링 포인트의 데이터를 추출해 두고, 추출한 데이터를 이용한 연산 처리에 의해 상기 제2 콘텐츠 식별자를 생성하며,
    상기 식별자 송신 제어 수단은,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로부터의 콘텐츠 데이터 전송 완료 후에, 상기 식별자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된 상기 제2 콘텐츠 식별자를 상기 통신 수단에 의해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로 송신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시스템.
  7. 제4항에 있어서,
    콘텐츠 데이터가 기록된 상기 2차 기록 매체가 데이터 기록 장치에 장착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2차 기록 매체 드라이브 수단은,
    상기 2차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각 콘텐츠 데이터에 대하여, 사전에 상기 샘플링 포인트의 데이터를 재생하여 기억 수단에 기억시켜 두고,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로부터 상기 2차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콘텐츠 데이터에 대한 상기 제2 콘텐츠 식별자가 요구되었을 때는,
    상기 식별자 생성 수단은,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된 샘플링 포인트의 데이터를 이용한 연산 처리에 의해 상기 제2 콘텐츠 식별자를 생성하고,
    상기 식별자 송신 제어 수단은, 생성된 상기 제2 콘텐츠 식별자를 상기 통신 수단에 의해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로 송신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시스템.
  8. 제4항에 있어서,
    콘텐츠 데이터가 기록된 상기 2차 기록 매체가 데이터 기록 장치에 장착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2차 기록 매체 드라이브 수단은,
    상기 2차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각 콘텐츠 데이터에 대하여, 사전에 상기 샘플링 포인트의 데이터를 재생하고,
    상기 식별자 생성 수단은, 상기 재생된 샘플링 포인트의 데이터를 이용한 연산 처리에 의해 상기 각 콘텐츠 데이터에 대한 상기 제2 콘텐츠 식별자를 생성하여 기억 수단에 기억시켜 두며,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로부터 상기 2차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콘텐츠 데이터에 대한 상기 제2 콘텐츠 식별자가 요구되었을 때는,
    상기 식별자 송신 제어 수단은,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제2 콘텐츠 식별자를 상기 통신 수단에 의해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로 송신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시스템.
  9. 1차 기록 매체에 대하여 데이터의 기록 재생을 행하는 1차 기록 매체 드라이브 수단과,
    암호화된 콘텐츠 데이터 및 상기 콘텐츠 데이터에 고유하게 생성된 제1 콘텐츠 식별자를, 상기 1차 기록 매체에 저장시키는 저장 제어 수단과,
    2차 기록 매체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외부의 데이터 기록 장치와의 사이에서 콘텐츠 데이터의 전송을 포함하는 각종 데이터 통신을 행하는 통신 수단과,
    상기 각 콘텐츠 데이터에 대한 전송 권리를 관리함과 함께, 상기 데이터 기록 장치에 대하여 임의의 콘텐츠 데이터를 전송했을 때에는, 상기 콘텐츠 데이터에 대응하는 상기 제1 콘텐츠 식별자와 상기 데이터 기록 장치측으로부터 송신되어 온 제2 콘텐츠 식별자를 대응시킨 테이블 데이터를 생성한 상태에서, 콘텐츠 데이터의 전송 권리를 관리하는 전송 관리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관리 수단은, 각 콘텐츠 데이터에 대한 상기 전송 권리로서, 외부의 데이터 기록 장치에 대한 전송 허가 횟수를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관리 수단은, 상기 데이터 기록 장치를 통해 상기 2차 기록 매체에 기록시킨 임의의 콘텐츠 데이터에 대하여, 상기 2차 기록 매체측에서의 재생 권리를 소실시킬 때에, 상기 데이터 기록 장치에 대하여, 상기 콘텐츠 데이터에 대한 상기 제2 콘텐츠 식별자를 요구하고, 송신되어 온 제2 콘텐츠 식별자를 상기 테이블 데이터로 대조한 후에, 해당하는 콘텐츠 데이터에 대한 전송 권리를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장치.
  12. 외부의 데이터 전송 장치와의 사이에서, 콘텐츠 데이터의 수신을 포함하는 각종 데이터 통신을 행하는 통신 수단과,
    2차 기록 매체에 대하여 데이터의 기록 재생을 행하는 2차 기록 매체 드라이브 수단과,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암호화된 콘텐츠 데이터를 비암호화 상태로 복호하는 복호 수단과,
    상기 복호 수단에 의해 복호된 콘텐츠 데이터를 상기 2차 기록 매체 드라이브 수단에 의해 상기 2차 기록 매체에 기록시키는 기록 제어 수단과,
    비암호화 상태의 콘텐츠 데이터로부터 콘텐츠 식별자를 생성하는 식별자 생성 수단과,
    상기 식별자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된 상기 콘텐츠 식별자를 상기 통신 수단에 의해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로 송신시키는 식별자 송신 제어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자 생성 수단은, 콘텐츠 데이터의 데이터 길이에 기초하여 특정된 샘플링 포인트에 의해 콘텐츠 데이터의 일부를 추출하고, 추출한 데이터를 이용한 연산 처리에 의해 상기 콘텐츠 식별자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샘플링 포인트는, 콘텐츠 데이터의 선두 부분 및 종단 부분을 제외한 1 또는 복수의 포인트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로부터 콘텐츠 데이터가 전송되어 올 때에,
    상기 식별자 생성 수단은, 상기 복호 수단에 의해 복호된 콘텐츠 데이터가 상기 2차 기록 매체에 기록되기까지의 데이터 경로 상에서, 상기 샘플링 포인트의 데이터를 추출해 두고, 추출한 데이터를 이용한 연산 처리에 의해 상기 콘텐츠 식별자를 생성하며,
    상기 식별자 송신 제어 수단은,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로부터의 콘텐츠 데이터 전송 완료 후에, 상기 식별자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된 상기 콘텐츠 식별자를 상기 통신 수단에 의해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로 송신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 장치.
  16. 제13항에 있어서,
    콘텐츠 데이터가 기록된 상기 2차 기록 매체가 장착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2차 기록 매체 드라이브 수단은,
    상기 2차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각 콘텐츠 데이터에 대하여, 사전에 상기 샘플링 포인트의 데이터를 재생하여 기억 수단에 기억시켜 두고,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로부터 상기 2차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콘텐츠 데이터에 대한 상기 콘텐츠 식별자가 요구되었을 때에는,
    상기 식별자 생성 수단은,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된 샘플링 포인트의 데이터를 이용한 연산 처리에 의해 상기 콘텐츠 식별자를 생성하고,
    상기 식별자 송신 제어 수단은, 생성된 상기 콘텐츠 식별자를 상기 통신 수단에 의해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로 송신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 장치.
  17. 제13항에 있어서,
    콘텐츠 데이터가 기록된 상기 2차 기록 매체가 장착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2차 기록 매체 드라이브 수단은,
    상기 2차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각 콘텐츠 데이터에 대하여, 사전에 상기 샘플링 포인트의 데이터를 재생하고,
    상기 식별자 생성 수단은, 상기 재생된 샘플링 포인트의 데이터를 이용한 연산 처리에 의해 상기 각 콘텐츠 데이터에 대한 상기 콘텐츠 식별자를 생성하여 기억 수단에 기억시켜 두고,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로부터 상기 2차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콘텐츠 데이터에 대한 상기 콘텐츠 식별자가 요구되었을 때에는,
    상기 식별자 송신 제어 수단은,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콘텐츠 식별자를 상기 통신 수단에 의해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로 송신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 장치.
  18. 암호화되어 1차 기록 매체에 기록된 콘텐츠 데이터에 대한, 2차 기록 매체로의 전송 권리를 관리하는 데이터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각 콘텐츠 데이터에 대하여 생성한 제1 콘텐츠 식별자에 각각 대응시켜, 각 콘텐츠 데이터의 전송 권리를 관리함과 함께,
    2차 기록 매체로 전송한 콘텐츠 데이터에 대해서는, 상기 콘텐츠 데이터에 대응하는 상기 제1 콘텐츠 식별자와 상기 2차 기록 매체측 기기로부터 송신되어 온 제2 콘텐츠 식별자를 대응시킨 테이블 데이터를 생성한 상태에서, 콘텐츠 데이터의 전송 권리를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관리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각 콘텐츠 데이터에 대한 상기 전송 권리로서, 외부의 2차 기록 매체에 대한 전송 허가 횟수를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관리 방법.
  20. 제18항에 있어서,
    2차 기록 매체에 기록시킨 임의의 콘텐츠 데이터에 대하여, 상기 2차 기록 매체측에서의 재생 권리를 소실시킬 때에, 2차 기록 매체측 기기에 대하여, 상기 콘텐츠 데이터에 대한 상기 제2 콘텐츠 식별자를 요구하고, 송신되어 온 제2 콘텐츠 식별자를 상기 테이블 데이터에서 대조한 후에, 해당하는 콘텐츠 데이터에 대한 전송 권리를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관리 방법.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콘텐츠 식별자는 콘텐츠 데이터의 데이터 길이에 기초하여 특정된 샘플링 포인트에 의해 콘텐츠 데이터의 일부를 추출하고, 추출한 데이터를 이용한 연산 처리에 의해 콘텐츠 식별자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관리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샘플링 포인트는, 콘텐츠 데이터의 선두 부분 및 종단 부분을 제외한 1 또는 복수의 포인트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관리 방법.
  23. 제21항에 있어서,
    암호화된 콘텐츠 데이터가 수신되어, 비암호화 상태로 복호되어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경우에,
    복호된 콘텐츠 데이터가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되기까지의 데이터 경로 상에서, 상기 샘플링 포인트의 데이터를 추출해 두고, 추출한 데이터를 이용한 연산 처리에 의해 콘텐츠 식별자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관리 방법.
  24. 제21항에 있어서,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각 콘텐츠 데이터에 대하여,
    외부 기기로부터의 콘텐츠 식별자의 요구에 앞서서, 사전에 상기 샘플링 포인트의 데이터를 기록 매체로부터 재생하여 기억해 두고,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콘텐츠 데이터에 대한 콘텐츠 식별자가 요구되었을 때에, 상기 기억한 샘플링 포인트의 데이터를 이용한 연산 처리에 의해 콘텐츠 식별자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관리 방법.
  25. 제21항에 있어서,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각 콘텐츠 데이터에 대하여, 외부 기기로부터의 콘텐츠 식별자의 요구에 앞서서, 사전에 상기 샘플링 포인트의 데이터를 기록 매체로부터 재생하고, 재생한 샘플링 포인트의 데이터를 이용한 연산 처리에 의해 콘텐츠 식별자를 생성하여 기억해 두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관리 방법.
KR1020037002045A 2001-06-13 2002-06-13 데이터 전송 시스템, 데이터 전송 장치, 데이터 기록장치, 데이터 관리 방법, 식별자 생성 방법 KR1010101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178512 2001-06-13
JP2001178512A JP3778009B2 (ja) 2001-06-13 2001-06-13 データ転送システム、データ転送装置、データ記録装置、データ管理方法
PCT/JP2002/005908 WO2002103529A1 (fr) 2001-06-13 2002-06-13 Systeme de transfert de donnees, appareil de transfert de donnees, appareil d'enregistrement de donnees, procede d'enregistrement de donnees, procede de generation d'identifiant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2391A KR20030022391A (ko) 2003-03-15
KR101010102B1 true KR101010102B1 (ko) 2011-01-24

Family

ID=190191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2045A KR101010102B1 (ko) 2001-06-13 2002-06-13 데이터 전송 시스템, 데이터 전송 장치, 데이터 기록장치, 데이터 관리 방법, 식별자 생성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7350238B2 (ko)
EP (1) EP1396791A4 (ko)
JP (1) JP3778009B2 (ko)
KR (1) KR101010102B1 (ko)
CN (1) CN100354840C (ko)
AU (2) AU2002313214B2 (ko)
CA (1) CA2419149C (ko)
RU (1) RU2284591C2 (ko)
WO (1) WO200210352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0784A (ko) * 2005-04-20 2006-10-25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통신 시스템, 기록 장치 및 방법, 기록 매체, 및 프로그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65577B2 (ja) * 2001-04-19 2010-05-19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情報処理システム、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JP3809779B2 (ja) * 2001-06-18 2006-08-16 ソニー株式会社 データ転送システム、データ転送装置、データ記録装置、データ転送方法
JP2003242280A (ja) * 2002-02-15 2003-08-29 Sony Corp コンテンツ提供システムとその方法、コンテンツ処理装置ならびにプログラム
JP2004087062A (ja) 2002-06-25 2004-03-18 Sony Corp データ記録媒体、識別情報記録方法、識別情報記録装置、識別情報再生方法、識別情報再生装置、情報サービス方法、情報サービスシステム
JP4434573B2 (ja) * 2002-11-29 2010-03-17 株式会社東芝 ライセンス移動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04355444A (ja) * 2003-05-30 2004-12-16 Pioneer Electronic Corp データ転送再生装置
JP2005025729A (ja) * 2003-06-09 2005-01-27 Sony Corp ファイル転送システムおよびファイル転送方法
JP4179093B2 (ja) * 2003-07-31 2008-11-12 ソニー株式会社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および方法、コンテンツ配信サーバ
US7225167B2 (en) * 2003-11-21 2007-05-2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rchandise-integral transaction receipt and auditable product ownership trail
US9075851B2 (en) 2003-12-09 2015-07-07 Emc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ata retention in a storage system
JP4698211B2 (ja) * 2003-12-15 2011-06-08 株式会社リコー 情報処理装置、画像形成装置、電子データの移動の取り消し方法
JP4296971B2 (ja) * 2004-03-17 2009-07-1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記録装置及び記録再生装置
KR20070028371A (ko) 2004-06-08 2007-03-12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기록 재생 장치
US8140744B2 (en) * 2004-07-01 2012-03-20 Seagate Technology Llc Method and system for increasing data storage reliability and efficiency via compression
JP4144573B2 (ja) * 2004-07-15 2008-09-03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6031394A (ja) * 2004-07-15 2006-02-02 Yamaha Corp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
US7827416B2 (en) * 2004-08-26 2010-11-02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Key management apparatus, document security and editing system, and key management method
JP4468796B2 (ja) * 2004-12-02 2010-05-26 ソニー株式会社 再生装置、再生方法および再生プログラム、ならびに、記録媒体
JP4131964B2 (ja) * 2004-12-10 2008-08-13 株式会社東芝 情報端末装置
JP4095639B2 (ja) * 2004-12-22 2008-06-0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装置の制御方法
US7684566B2 (en) * 2005-05-27 2010-03-23 Microsoft Corporation Encryption scheme for streamed multimedia content protected by rights management system
US8321690B2 (en) * 2005-08-11 2012-11-27 Microsoft Corporation Protecting digital media of various content types
US8306918B2 (en) 2005-10-11 2012-11-06 Apple Inc. Use of media storage structure with multiple pieces of content in a content-distribution system
JP4713304B2 (ja) * 2005-11-07 2011-06-29 富士通テン株式会社 データ管理装置
JP2007179273A (ja) * 2005-12-27 2007-07-12 Sony Corp ファイル転送システム、ファイル記憶装置、ファイル記憶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0725414B1 (ko) 2006-02-07 2007-06-0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컨텐츠 동기화를 위한 동기화 식별자 생성 방법 및장치
US8224751B2 (en) 2006-05-03 2012-07-17 Apple Inc. Device-independent management of cryptographic information
US8966381B2 (en) * 2007-04-10 2015-02-24 Microsoft Corporation Time intelligence for application programs
US9311492B2 (en) 2007-05-22 2016-04-12 Apple Inc. Media storage structures for storing content, devices for using such structures, systems for distributing such structures
US8347098B2 (en) * 2007-05-22 2013-01-01 Apple Inc. Media storage structures for storing content, devices for using such structures, systems for distributing such structures
US8190920B2 (en) * 2007-09-17 2012-05-29 Seagate Technology Llc Security features in an electronic device
KR20100055882A (ko) * 2008-11-18 2010-05-27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츠 제어 장치 및 컨텐츠 제어 방법
US8271629B1 (en) 2008-12-02 2012-09-18 ioBridge, Inc. Module-based device interaction system
US9681357B1 (en) 2008-12-02 2017-06-13 ioBridge, Inc. System, method,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interaction with a device via a module-based device interaction system enabl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US9497261B1 (en) 2008-12-02 2016-11-15 ioBridge, Inc. System, method,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wireless interaction with a device via a module-based device interaction system
US10756918B2 (en) 2008-12-02 2020-08-25 ioBridge, Inc. Activating a device via a module-based device interaction system
US10943030B2 (en) * 2008-12-15 2021-03-09 Ibailbonding.Com Securable independent electronic document
CN101576919B (zh) * 2009-06-19 2011-12-07 用友软件股份有限公司 标识生成方法和装置
JP5110541B2 (ja) 2009-12-01 2012-12-26 Necビッグローブ株式会社 コンテンツ選択システム、提供装置、転送装置、コンテンツ選択方法、およびコンテンツ選択プログラム
CN103380589B (zh) 2011-06-13 2016-04-27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终端装置、服务器装置、内容记录控制系统及记录方法
RU2464628C1 (ru) * 2011-06-24 2012-10-20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воен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профессионального образования "Военная академия связи имени маршала Советского Союза С.М. Буденного" Министерства обороны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Способ контроля функционирования программного обеспечения
US20130290733A1 (en) * 2012-04-26 2013-10-31 Appsense Limited Systems and methods for caching security information
US20130290734A1 (en) * 2012-04-26 2013-10-31 Appsense Limited Systems and methods for caching security information
AU2014226408B2 (en) * 2013-03-04 2017-06-22 Wabtec Holding Corp. System and method for protecting train event data
CN103645882A (zh) * 2013-12-09 2014-03-19 中颖电子股份有限公司 基于单片机的批量乱序随机数的生成方法
JP6341657B2 (ja) * 2013-12-13 2018-06-13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機器およびその制御方法、システム、プログラム並びに記憶媒体
CN104281876A (zh) * 2014-07-10 2015-01-14 上海雅海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芯片硬件id的防伪方法
EP3553980B1 (en) 2017-01-05 2021-03-10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CN107274331B (zh) * 2017-06-13 2018-03-13 重庆第二师范学院 用于数据流的鲁棒水印嵌入方法及装置
CN111314025B (zh) * 2017-09-13 2023-08-25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数据处理的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CN108536759B (zh) * 2018-03-20 2020-08-04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一种样本回放数据存取方法及装置
RU2740159C1 (ru) * 2019-10-14 2021-01-12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Россий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физической культуры, спорта, молодежи и туризма (ГЦОЛИФК)" (РГУФКСМиТ) Способ копирования или перемещения иерархически структурированных данных с устройства-носителя информации на устройство-потребитель информации
CN111611253B (zh) * 2020-04-01 2023-08-08 石化盈科信息技术有限责任公司 数据校验方法、设备和存储介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9038093A1 (en) * 1998-01-23 1999-07-29 Filepool N.V. Content addressable information encapsulation, representation, and transfer
KR20000005526A (ko) * 1996-04-17 2000-01-25 카알 실버맨 데이터를재암호화하는장치및방법
KR20010006888A (ko) * 1999-04-28 2001-01-26 니시무로 타이죠 컴퓨터 시스템 및 콘텐츠 보호 방법
JP2001084339A (ja) 1999-09-10 2001-03-30 Sony Corp 携帯端末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57021A (en) * 1995-11-07 1999-01-05 Fujitsu Ltd. Security system for protecting information stored in portable storage media
US6118873A (en) * 1998-04-24 2000-09-1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for encrypting broadcast programs in the presence of compromised receiver devices
JPH11328033A (ja) * 1998-05-20 1999-11-30 Fujitsu Ltd ライセンス委譲装置
EP2034479B1 (en) * 1998-07-22 2016-01-13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Digital data recording apparatus and a method for protecting copyrights that facilitate reproduction of encrypted digital data recorded on recording media, and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at records a program of the method
EP0984346A1 (en) * 1998-09-02 2000-03-08 Hitachi Europe Limited Copy protection apparatus and method
EP1006526B1 (en) * 1998-12-02 2005-04-2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ata copying system, data copying apparatus, data copy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WO2000039800A1 (fr) 1998-12-25 2000-07-06 Sony Corporation Dispositif et procede de traitement d'informations, et support d'enregistrement de programmes
JP3327389B2 (ja) * 1998-12-28 2002-09-2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複製システム、複製方法、書き込み装置および記録媒体
JP4356178B2 (ja) * 1999-03-09 2009-11-04 ソニー株式会社 再生装置
JP3327894B2 (ja) * 1999-04-14 2002-09-2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データ管理装置、データ管理方法及びデータ管理プログラムを記録している記録媒体
JP2000315193A (ja) * 1999-04-30 2000-11-14 Victor Co Of Japan Ltd コンテンツ販売システムのデータ転送方法及び媒体
US7134145B1 (en) * 1999-04-30 2006-11-07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Registering copy protected material in a check-out, check-in system
JP3977549B2 (ja) * 1999-04-30 2007-09-19 株式会社東芝 コンテンツ管理方法、コンテンツ利用管理システム、コンテンツ利用管理装置及び再生装置
WO2001016821A2 (en) * 1999-09-01 2001-03-08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istribution system, semiconductor memory card, receiving apparatus,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nd receiving method
JP3808673B2 (ja) * 1999-12-02 2006-08-16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著作物ファイル管理装置
WO2001041359A1 (fr) * 1999-12-03 2001-06-07 Sanyo Electric Co., Ltd Systeme de distribution de donnees et enregistreur a utiliser dans ce systeme
US6496802B1 (en) * 2000-01-07 2002-12-17 Mp3.Com,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ccess to electronic works
JP4602627B2 (ja) * 2000-03-09 2010-12-2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管理装置、編集装置、記録媒体を含むオーディオデータ管理システム、管理装置、編集装置、記録媒体、方法
JP3281920B2 (ja) * 2000-03-14 2002-05-13 東北大学長 アリルフラン化合物の製造方法
CN1189824C (zh) * 2001-05-31 2005-02-16 日本胜利株式会社 内容的复制管理方法、记录重放装置和重放装置
JP3861625B2 (ja) * 2001-06-13 2006-12-20 ソニー株式会社 データ転送システム、データ転送装置、記録装置、データ転送方法
JP3719396B2 (ja) * 2001-07-02 2005-11-24 ソニー株式会社 機器制御方法、データ転送装置、記録媒体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5526A (ko) * 1996-04-17 2000-01-25 카알 실버맨 데이터를재암호화하는장치및방법
WO1999038093A1 (en) * 1998-01-23 1999-07-29 Filepool N.V. Content addressable information encapsulation, representation, and transfer
KR20010006888A (ko) * 1999-04-28 2001-01-26 니시무로 타이죠 컴퓨터 시스템 및 콘텐츠 보호 방법
JP2001084339A (ja) 1999-09-10 2001-03-30 Sony Corp 携帯端末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0784A (ko) * 2005-04-20 2006-10-25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통신 시스템, 기록 장치 및 방법, 기록 매체, 및 프로그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419149A1 (en) 2003-02-04
US7350238B2 (en) 2008-03-25
JP2002366441A (ja) 2002-12-20
WO2002103529A1 (fr) 2002-12-27
KR20030022391A (ko) 2003-03-15
JP3778009B2 (ja) 2006-05-24
CN100354840C (zh) 2007-12-12
RU2284591C2 (ru) 2006-09-27
AU2002313214B2 (en) 2007-12-20
CA2419149C (en) 2010-04-27
CN1465011A (zh) 2003-12-31
EP1396791A4 (en) 2008-02-27
EP1396791A1 (en) 2004-03-10
AU2007237354A1 (en) 2008-01-03
AU2007237354B2 (en) 2010-06-24
US20040015713A1 (en) 2004-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0102B1 (ko) 데이터 전송 시스템, 데이터 전송 장치, 데이터 기록장치, 데이터 관리 방법, 식별자 생성 방법
JP3861625B2 (ja) データ転送システム、データ転送装置、記録装置、データ転送方法
KR100906859B1 (ko) 데이터 전송 시스템, 데이터 전송 장치, 데이터 기록장치, 및 데이터 전송 방법
JP3770101B2 (ja) データ転送方法、転送データ記録方法、データ転送システム、データ転送装置
KR100633588B1 (ko) 반도체 ic, 정보처리방법, 정보처리장치 및 프로그램 기록매체
JP2002372976A (ja) データ転送システム、データ転送装置、データ記録装置、課金処理方法
JP4379653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格納媒体
JP4277869B2 (ja) データ転送システム、データ転送装置、データ記録再生装置
JP4300442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格納媒体
JP2003178201A (ja) 通信装置、通信システム、通信方法、通信プログラムおよび通信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記録媒体
JP4333131B2 (ja) データ転送方法、データ転送システム
JP4337811B2 (ja) データ記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90629

Effective date: 20101028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