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8218B1 - 인시투 트랜스글루타미나아제의 활성도 측정방법 - Google Patents

인시투 트랜스글루타미나아제의 활성도 측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8218B1
KR101008218B1 KR1020080113283A KR20080113283A KR101008218B1 KR 101008218 B1 KR101008218 B1 KR 101008218B1 KR 1020080113283 A KR1020080113283 A KR 1020080113283A KR 20080113283 A KR20080113283 A KR 20080113283A KR 101008218 B1 KR101008218 B1 KR 1010082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tu
transglutaminase
activity
aminopropyltrimethoxysilane
cell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32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54378A (ko
Inventor
하권수
박진영
Original Assignee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801132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8218B1/ko
Publication of KR201000543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43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82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82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4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transferase
    • C12Q1/52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transferase involving transaminas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31Production of immunochemical test materials
    • G01N33/532Production of labelled immunochemicals
    • G01N33/533Production of labelled immunochemicals with fluorescent label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YENZYMES
    • C12Y203/00Acyltransferases (2.3)
    • C12Y203/02Aminoacyltransferases (2.3.2)
    • C12Y203/02013Protein-glutamine gamma-glutamyltransferase (2.3.2.13), i.e. transglutaminase or factor XIII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Zo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Microbi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Hemat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ll B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시투 트랜스글루타미나아제의 활성도 측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살아있는 세포나 조직 내에서 아미드교환반응(transamidation) 반응이 유도된 세포 추출물을 어레이(array) 형태의 기판에 고정시키고 감도가 높은 형광으로 표지된 검출자를 이용해 형광값을 측정하여 인시투 트랜스글루타미나아제(in situ transglutaminase; in situ TGase)의 활성도를 분석함으로써, 기존의 ELISA plate assey를 이용하거나 Western blot 방법과 달리 어레이 형태의 단백질 분석칩을 이용하기 때문에 다수의 세포와 조직을 동시에 분석할 수 있고, 그 분석시간을 현저하게 단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활성도 분석 시 감도가 높은 형광을 사용하기 때문에 적은 시료로도 고감도로 측정할 수 있어 세포내에서 일어나는 기전을 규명할 수 있는 분석 방법에도 활용이 가능하며, 세포내 활성도 측정을 통한 세포의 조절 및 기능 연구에 이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혈액 등과 같은 체액을 이용한 각종 질환 검사에도 활용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인시투 트랜스글루타미나아제의 활성도 측정방법{In situ transglutaminase activity assay method}
본 발명은 치매 등의 퇴행성 뇌질환, 퇴행성관절염, 자가면역 질환 등 다양한 질환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알려진 트랜스글루타미나아제(transglutaminase)의 인시투(in situ) 활성도를 분석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다수의 시료를 빠르고 환경 친화적으로 분석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적은 시료로도 고감도 분석이 가능하도록 한 인시투 트랜스글루타미나아제의 활성도 측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트랜스글루타미나아제(transglutaminase; TGase)는 라이신 (또는 폴리아민)과 글루타민의 공유결합을 촉매하며, 다양한 질환, 특히 치매 등의 퇴행성 뇌질환, 퇴행성관절염, 자가면역질환 등과 같은 질환에 관여한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TGase는 정상적인 상황에서는 혈액 응고나 상처 치유 등의 보호적 작용을 하는 효소이다.
그러나, TGase는 발현이 조절 받지 못하는 경우에는 많은 질병의 병리적 기 전에서 주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염증을 동반하는 질병들에서 TGase의 활성이 증가되는데, 이러한 질병의 예로서 퇴행성 관절염, 당뇨병, 자가 면역 근육염, 동맥경화, 뇌졸중, 간경화, 악성유방암, 뇌막염, 염증성 위궤양 등이 있다. 뿐만 아니라 TGase의 활성도는 치매에서 상승되는 것이 보고된 바 있다.
그에 따라 TGase의 활성도를 분석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게 작용된다. 기존에 세포와 조직 내 인시투 TGase의 활성도를 측정하는 방법으로는 ELISA plate assay를 이용하거나 Western blot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측정방법들은 TGase의 활성도에 따라 살아있는 세포나 조직 내 단백질의 글루타민(glutamine) 잔기와 5-(바이오틴아미도)펜틸아민(5-(biotinamido)pentylamine)을 아미드교환반응(transamidation)시키고, 이를 다시 HRP-스트렙타비딘(HRP-streptavidin; Horseradish Peroxidase-streptavidin)과 반응시킨 다음 스트렙타비딘의 검출을 통해 TGase의 활성도를 검출하는 것이다.
그러나, 기존의 방법은 살아있는 여러 종류의 세포나 조직들을 동시에 분석하기가 어렵고, 시료 양 또한 많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감도가 떨어져 낮은 농도에서 TGase 활성도 분석이 어렵고, 특히 Western blot 방법의 경우 복잡한 과정을 거쳐야하기 때문에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인시투 트랜스글루타미나아제(in situ transglutaminase; in situ TGase)의 활성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어레이(array) 칩을 제작하고, 이를 이용하여 in situ TGase의 활성도를 분석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다수의 시료를 동시에 분석가능하며, 특히 소량의 시료만으로 고감도 측정이 가능하고, 최종분석까지 걸리는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할 수 있는 인시투 트랜스글루타미나아제의 활성도를 측정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수의 스폿(spot)에 의해 기판 상에 도입된 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이 노출되어 있는 어레이(array) 칩을 준비하는 단계; 측정대상이 되는 살아있는 세포나 조직에 5-(바이오틴아미도)펜틸아민(5-(biotinamido)pentylamine)을 처리하여, 인시투 트랜스글루타미나아제의 기질인 글루타민(glutamine)의 아미드(amide) 잔기와 5-(바이오틴아미도)펜틸아민의 아민(amine)기 사이의 아미드교환반응에 의해 생성된 바이오틴 결합 단백질이 포함된 세포 추출물을 습득하는 단계; 상기와 같이 수득된 세포 추출물을 어레이 칩의 스폿 부분에 올려놓고 반응시켜 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의 아민기 말단에 세포 추출물이 도입된 어레이 타입의 칩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어레이 칩에 도입된 세포 추출물의 바이오틴 결합 단백질에 형광표지된 스트렙타비딘(streptavidin)을 도입한 다음 형광스캐너로 분석하여 인시투 트랜스글루타미나아제의 활성도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시투 트랜스글루타미나아제의 활성도 측정방법을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살아있는 세포나 조직 내에서 아미드교환반응(transamidation) 반응이 유도된 세포 추출물을 어레이(array) 형태의 기판에 고정시키고 감도가 높은 형광으로 표지된 검출자를 이용해 형광값을 측정하여 인시투 트랜스글루타미나아제(in situ transglutaminase; in situ TGase)의 활성도를 분석함으로써, 기존의 ELISA plate assey를 이용하거나 Western blot 방법과 달리 어레이 형태의 단백질 분석칩을 이용하기 때문에 다수의 세포와 조직을 동시에 분석할 수 있고, 그 분석시간을 현저하게 단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활성도 분석 시 감도가 높은 형광을 사용하기 때문에 적은 시료로도 고감도로 측정할 수 있어 세포내에서 일어나는 기전을 규명할 수 있는 분석 방법에도 활용이 가능하며, 세포내 활성도 측정을 통한 세포의 조절 및 기능 연구에 이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혈액 등과 같은 체액을 이용한 각종 질환 검사에도 활용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인시투 트랜스글루타미나아제(in situ transglutaminase; in situ TGase)의 활성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종래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ELISA plate assay를 이용하거나 Western blot 방법과는 전혀 다른 칩을 기반으로 한 측정방법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시투 트랜스글루타미나아제의 활성도 측청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공정도로서, 이를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인시투 트랜스글루타미나아제 활성도 측정용 칩 및 그 제조방법, 상기 칩을 이용한 측정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함유용액에 기판을 침적하여 기판의 표면에 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을 도입하는 단계를 거치게 된다.
여기서 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함유용액은 에탄올과 같은 통상의 알코올류 용매에 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을 용해시켜 제조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작업의 편의성을 고려하여 에탄올에 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이 1 내지 2중량%가 함유되도록 하였으나 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의 농도를 한정할 필요가 없다.
기판의 침적시간은 적어도 2시간 실시하면 충분하며, 2시간 정도 경과한 후에는 기판을 에탄올과 증류수 등으로 세척한 후 건조하게 되면 기판의 표면에 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이 도입되게 된다.
이때, 기판은 당해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는 금속 기판이나 슬라이드 글라스 기판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기판은 사용 전에 충분히 세정한 후 사용하면 된다. 세정은 당해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이 적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 에서는 증류수 100중량부에 대하여 과산화수소 10 내지 40중량부와 암모니아수 10 내지 40중량부를 혼합한 세정액에 적어도 10분간 침적하여 세정한 슬라이드 글라스를 사용하였다.
기판의 표면에 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이 도입되면, 상기 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이 도입된 기판의 표면에 소정의 간격으로 천공된 테이프나 박막을 부착하여 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이 노출된 다수의 스폿을 갖는 어레이 칩을 제조하는 단계를 거치게 된다. 상기 스폿의 수는 임의 선택이 가능하며, 테이프는 반응성이 적은 테플론 테이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어레이 칩을 제조하는 방법과 별도로, 측정대상이 되는 살아있는 세포나 조직(이하 '세포'로 통칭한다)을 5-(바이오틴아미도)펜틸아민(5-(biotinamido)pentylamine;BAPA)으로 1시간 동안 처리하며, 이러한 처리는 37℃의 5% CO2 incubator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처리를 통하여 세포 내 TGase의 활성도에 의해 TGase의 기질인 세포의 글루타민(glutamine) 잔기의 아미드 그룹(amide group)과 아민 도너(amine donor)로서 처리한 5-(바이오틴아미도)펜틸아민의 아민(amine) 사이에 아미드교환반응이 일어나 이소펩타이드 결합을 생성시키고, 그 결합의 말단에는 바이오틴(biotin)이 위치된다.
상기와 같이 반응이 완료되면 얼음 위에서 cold-PBS(Phosphate buffered saline) buffer로 세척해주고 용해버퍼(lysis buffer(50mM Tris·HCl(pH 7.5), 1% Triton X-100, protease inhibitor cocktail))를 넣어 세포를 용해시켜 그 추출물을 얻는다. 이렇게 얻은 세포 추출물은 4℃에서 14,000 rpm으로 10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그 상등액만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얻어진 세포 추출물을 전 단계에서 제조된 어레이 칩의 스폿 부분에 올려놓고 37℃의 incubator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켜 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에 세포 추출물을 도입시키게 되는데, 도입 후 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에 흡착된 세포 추출물에는 여전히 5-(바이오틴아미도)펜틸아민과의 아미드교환반응에 의한 바이오틴이 결합 말단부에 위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반응이 끝난 후에는 0.1% Tween 20이 포함된 PBS buffer로 10분 동안 washing한 후 다시 5분 동안 증류수로 세척하고, 공기를 불어주면서 건조한다. 이 때 상기 세포 추출물은 어레이 칩의 스폿을 충분히 덮을 정도로 올려놓는다.
한편, 측정치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하여 상기 세포 추출물이 반응하지 않은 어레이 칩의 스폿의 빈 부분을 블로킹 용액으로 블로킹(blocking) 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블로킹은 분석용 칩 제작 시 일반적으로 실시하는 것으로서, BSA(Bovine serum albumin), 표준혈청(normal serum) 또는 탈지유(skim milk) 등으로 처리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PBST(Phosphate buffered saline with Tween 20)에 BSA가 1∼10중량% 포함되도록 용해시켜 얻은 블로킹 용액을 적하하여 1시간동안 방치하여 블로킹을 하였다. 한 시간 정도 경과하여 반응이 완료되면 PBST나 증류수 등으로 세척한 후 건조하게 되면 세포 추출물이 반응하지 않은 빈부분에 블로킹물질이 도입되게 된다. 이러한 블로킹물질은 후술하는 단계에서 비특이적 반응을 억제해서 측정치의 정확도를 높이는데 기여하게 된다.
이와 같이 어레이 칩에 도입된 세포 추출물 내 5-(바이오틴아미도)펜틸아민의 바이오틴은 주지된 바와 같이 형광표지된 스트렙타비딘(streptavidin)과 강하게 결합하는 물질로 정량 분석에서 유용하게 사용되는 것이다. 즉, 세포의 in situ TGase의 활성에 따라 글루타민 잔기의 아미드와 5-(바이오틴아미도)펜틸아민의 아민과의 아미드교환반응의 정도가 결정되게 되고 그에 따라 5-(바이오틴아미도)펜틸아민의 말단에 위치하는 바이오틴의 량이 결정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바이오틴에 형광표지된 스트렙타비딘을 결합시켜 형광을 확인하면 in situ TGase의 활성도를 측정할 수 있게 되며, in situ TGase의 활성도가 높으면 형광세기가 커지게 되고 활성도가 낮으면 형광세기가 낮아지게 된다.
이후 상기 아미드교환반응에 의해 단부에 위치한 바이오틴에 형광표지된 스트렙타비딘을 도입한 다음 형광스캐너로 분석하여 트랜스글루타미나아제의 활성도를 측정하는 단계를 거치게 된다.
이와 같이 바이오틴에 형광표지된 스트렙타비딘을 도입하여 형광분석하는 기술은 널리 알려진 기술에 해당되며, 스트렙타비딘에 도입되는 형광염료는 주지된 Alexa 시리즈를 포함하여, 싸이3(Cy3), 싸이5(Cy5), 알렉사(Alexa), 4,4-다이플루오로-4-보로-3a,4a-다이아자-s-인디센(4,4-difluoro-4-bora-3a,4a-diaza-s-indacene, BODIPY), 로다민(Rhodamine), 양자점(Quantum dot, Q-dot) 등에서 선택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형광분석기는 당해분야에서 일반적으로 형광분석에 사용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Scan Array Lite model(GSI Lumonics.Kanata, Ontario, Canada)을 사용하였다.
이상과 같은 측정방법으로 인시투 트랜스글루타미나아제의 활성도를 분석함으로써, 기존의 ELISA plate assay를 이용하거나 Western blot 방법과 달리 어레이 형태의 단백질 분석칩을 이용하기 때문에 다수의 세포와 조직을 동시에 분석할 수 있고, 그 분석시간을 현저하게 단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활성도 분석 시 감도가 높은 형광을 사용하기 때문에 적은 시료로도 고감도로 측정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이와 같은 측정방법은 세포내에서 일어나는 기전을 규명할 수 있는 분석 방법에도 활용이 가능하며, 세포내 활성도 측정을 통한 세포의 조절 및 기능 연구에 이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혈액 등과 같은 체액을 이용한 각종 질환 검사에도 활용이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하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시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슬라이드 글라스(slide glass)를 70℃의 세정액(H2O2 : NH4OH : dH2O = 1 : 1 : 5)에서 10분 동안 세정한 다음, 에탄올 용액에 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이 1.5중량% 함유되도록 용해시켜 제조한 용액에 상기 슬라이드 글라스를 2시간 동안 침적한 후, 에탄올과 증류수로 세척하고, 110℃의 오븐(oven)에서 1시간 동안 건조하여 슬라이드 글라스 표면에 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을 도입하였다.
상기 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이 도입된 슬라이드 글라스 표면에 펀치를 이용하여 직경 1.5mm의 스폿을 형성한 테플론 테이프를 부착하여 108개(18×6) 의 스폿을 갖는 어레이 칩을 제조하였다.
37℃의 5% CO2 incubator에서 인간 제대정맥 내피세포(Human umbilical vein endothelial cells;HUVECs)에 1mM의 5-(biotinamido)pentylamine(BAPA)를 1시간 동안 처리하고, 추가적으로 in situ TGase를 활성화(activation)시키는 물질로 알려진 0.1nM의 maitotoxin(MTX)을 첨부된 도 2a에 나타낸 시간별로 각각 침투시켰다. 이와 같이 반응이 완료되면 얼음 위에서 cold-PBS buffer로 세정해주고 용해버퍼(lysis buffer(50mM Tris·HCl(pH 7.5), 1% Triton X-100, protease inhibitor cocktail))를 넣어 세포를 용해시킨 다음, 4℃에서 14,000rpm으로 10분 동안 원심분리하고 그 상등액을 세포 추출물로 사용하였다.
상기와 같이 얻어진 세포 추출물을 어레이 칩의 스폿 부분에 올려놓고 37℃의 incubator에서 1시간동안 반응시키고 난 후, 0.1% Tween 20이 포함된 PBS buffer로 10분 동안 washing한 후 다시 5분 동안 증류수로 세척하고, 공기를 불어주면서 건조시켰다.
PPBST(0.1중량% Tween 20)에 BSA를 3중량%가 되도록 첨가한 블록킹 용액을 세포 추출물이 도입되지 않은 상기 어레이 칩의 스폿의 빈부분에 적하하고 1시간 동안 37℃의 인큐베이터에서 방치하였다. 이후 0.1중량% Tween 20 포함된 PBS로 10분 동안 세척해준 다음 다시 5분간 증류수로 세척해주고, 공기로 건조하여 어레이 타입의 인시투 트랜스글루타미나아제 활성도 측정용 칩을 제조하였다.
이와 같이 제조된 인시투 트랜스글루타미나아제 활성도 측정용 칩에 형광물 질 Cy3이 표지된 스트렙타비딘을 20mg/ml의 농도로 적하하여 바이오틴과 결합하도록 한 후 형광 스캐너(PerkinElmer)로 스캐닝하여 세기를 측정한 다음 그 결과를 도 2a에 나타내었으며, 상기 도 2a에 나타난 측정 결과의 형광세기를 그래프로 도식화하여 도 2b에 나타내었다.
도 2a와 도 2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마이토톡신(maitotoxin;MTX)의 처리시간에 따라 in situ TGase의 활성화 정도가 변화되어 형광세기도 상이하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마이토톡신의 처리시간이 길수록 효소의 활성도가 높아져 형광의 강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으며, 마이토톡신의 처리시간이 짧을수록 효소의 활성도가 낮아져 형광의 강도가 낮을 것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본 발명의 측정방법을 통하여 세포내에서 in situ TGase의 활성도를 소량으로 쉽고 빠르게 분석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2>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인시투 트랜스글루타미나아제 활성도를 측정하되, 인간 제대정맥 내피세포(Human umbilical vein endothelial cells;HUVECs)에 1mM의 5-biotinamidopentylamine(BAPA)를 1시간 동안 처리하고, maitotoxin(MTX)를 첨부된 도 2a에 나타낸 농도별로 각각 1시간씩 침투시킨 다음, 그 결과를 도 3a에 나타내었으며, 상기 도 3a에 나타난 측정 결과의 형광세기를 그래프로 도식화하여 도 3b에 나타내었다.
도 3a와 도 3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마이토톡신(maitotoxin;MTX)의 농도에 따라 in situ TGase의 활성화 정도가 변화되어 형광세기도 상이하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마이토톡신의 농도가 높을수록 효소의 활성도가 높아져 형광의 강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으며, 마이토톡신의 농도가 낮을수록 효소의 활성도가 낮아져 형광의 강도가 낮을 것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본 발명의 측정방법을 통하여 세포내에서 in situ TGase의 활성도를 소량으로 쉽고 빠르게 분석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시투 트랜스글루타미나아제의 활성도 측청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공정도
도 2a와 도 2b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라 인시투 트랜스글루타미나아제의 활성도를 측정한 결과와, 측정 결과의 형광세기를 그래프로 도식한 도면
도 3a와 도 3b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라 인시투 트랜스글루타미나아제의 활성도를 측정한 결과와, 측정 결과의 형광세기를 그래프로 도식한 도면

Claims (6)

  1. 다수의 스폿(spot)에 의해 기판 상에 도입된 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이 노출되어 있는 어레이(array) 칩을 준비하는 단계;
    측정대상이 되는 살아있는 세포나 조직에 5-(바이오틴아미도)펜틸아민(5-(biotinamido)pentylamine)을 처리하여, 인시투 트랜스글루타미나아제의 기질인 글루타민(glutamine)의 아미드(amide) 잔기와 5-(바이오틴아미도)펜틸아민의 아민(amine)기 사이의 아미드교환반응에 의해 생성된 바이오틴 결합 단백질이 포함된 세포 추출물을 습득하는 단계;
    상기와 같이 수득된 세포 추출물을 어레이 칩의 스폿 부분에 올려놓고 반응시켜 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의 아민기 말단에 세포 추출물이 도입된 어레이 타입의 칩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어레이 칩에 도입된 세포 추출물의 말단부에 위치한 바이오틴에 형광표지된 스트렙타비딘(streptavidin)을 도입한 다음 형광스캐너로 분석하여 인시투 트랜스글루타미나아제의 활성도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시투 트랜스글루타미나아제의 활성도 측정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이 노출된 다수의 스폿(spot)을 갖는 어레이(array) 칩은 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3- aminopropyltrimethoxysilane) 함유용액에 기판을 침적하여 기판의 표면에 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을 도입한 다음, 그 표면에 다수개가 천공된 테이프나 박막을 부착함으로써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시투 트랜스글루타미나아제의 활성도 측정방법.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와 같이 수득된 세포 추출물은 세포나 조직에 5-(바이오틴아미도)펜틸아민을 처리한 후 용해버퍼(50mM Tris·HCl(pH 7.5), 1% Triton X-100, protease inhibitor cocktail)에 넣어 용해시킨 후 원심분리하여 그 상등액만 취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인시투 트랜스글루타미나아제의 활성도 측정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어레이 칩에 세포 추출물이 반응하지 않은 스폿의 빈 부분을 블로킹(blocking) 용액으로 처리하여 블로킹시키는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시투 트랜스글루타미나아제의 활성도 측정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블로킹(blocking) 용액은 PBST(Phosphate buffered saline with Tween 20)에 BSA(Bovine serum albumin)가 1~10중량% 포함되도록 용해 시켜 얻은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인시투 트랜스글루타미나아제의 활성도 측정방법.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형광표지된 스트렙타비딘(streptavidin)으로 싸이3(Cy3), 싸이5(Cy5), 알렉사(Alexa), 4,4-다이플루오로-4-보로-3a,4a-다이아자-s-인디센(BODIPY), 로다민(Rhodamine) 또는 양자점(Q-dot)에서 선택된 형광표지물질이 스트렙타비딘에 결합된 것을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시투 트랜스글루타미나아제의 활성도 측정방법.
KR1020080113283A 2008-11-14 2008-11-14 인시투 트랜스글루타미나아제의 활성도 측정방법 KR1010082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3283A KR101008218B1 (ko) 2008-11-14 2008-11-14 인시투 트랜스글루타미나아제의 활성도 측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3283A KR101008218B1 (ko) 2008-11-14 2008-11-14 인시투 트랜스글루타미나아제의 활성도 측정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4378A KR20100054378A (ko) 2010-05-25
KR101008218B1 true KR101008218B1 (ko) 2011-01-17

Family

ID=42279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3283A KR101008218B1 (ko) 2008-11-14 2008-11-14 인시투 트랜스글루타미나아제의 활성도 측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821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15588A (en) 1987-10-29 1991-05-14 The Samuel Roberts Noble Foundation, Inc. Method for the detection of factor XIII in plasma
WO2006018164A2 (de) 2004-08-11 2006-02-23 N-Zyme Biotec Gmbh Fluoreszenzbasierende kinetische bestimmung der aktivität von transglutaminasen
KR100862318B1 (ko) 2007-03-19 2008-10-13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트랜스글루타미나아제의 활성도 측정용 칩 및트랜스글루타미나아제의 활성도 측정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15588A (en) 1987-10-29 1991-05-14 The Samuel Roberts Noble Foundation, Inc. Method for the detection of factor XIII in plasma
WO2006018164A2 (de) 2004-08-11 2006-02-23 N-Zyme Biotec Gmbh Fluoreszenzbasierende kinetische bestimmung der aktivität von transglutaminasen
KR100862318B1 (ko) 2007-03-19 2008-10-13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트랜스글루타미나아제의 활성도 측정용 칩 및트랜스글루타미나아제의 활성도 측정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4378A (ko) 2010-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444722T3 (es) Análisis de espectro de masas
Tang et al. Electrochemical immuno-bioanalysis for carcinoma antigen 125 based on thionine and gold nanoparticles-modified carbon paste interface
KR20140143140A (ko) 피분석물을 검출 및 측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WO2006113245B1 (en) Methods for measuring glycan levels of proteins
WO2016073833A1 (en) High-affinity immunopolymers
CN109061189A (zh) 一种肌钙蛋白i检测试剂盒及其制备方法
US20120015837A1 (en) Method for diagnosing endometrial cancer
KR100862318B1 (ko) 트랜스글루타미나아제의 활성도 측정용 칩 및트랜스글루타미나아제의 활성도 측정방법
Zhang et al. Rapid and sensitive detection of the activity of ADAM17 using a graphene oxide-based fluorescence sensor
Attia et al. A new method for early diagnosis of liver cancer using a biosensor embedded in an alginate polymer thin film
CN112710645B (zh) 一种高锰酸根引发的原位荧光反应实时检测多巴胺和碱性磷酸酶的方法及其酶联免疫应用
CN103940808A (zh) 一种双信号放大电化学发光生物传感器的制备方法及应用
WO2014110032A1 (en) Nano-well based electrical immunoassays
KR101008218B1 (ko) 인시투 트랜스글루타미나아제의 활성도 측정방법
CN104792999A (zh) 一种基于双纳米金探针检测标志物的蛋白芯片
Goel et al. Exposure profiling of reactive compounds in complex mixtures
Pohanka et al. Immunoassay of glomalin by quartz crystal microbalance biosensor containing iron oxide nanoparticles
CN115219716A (zh) 一种基于个人血糖计检测多菌灵残留的方法
Rossato et al. Quantitative MALDI‐MS Binding Assays: An Alternative to Radiolabeling
KR101430209B1 (ko) 단백질 키나아제 활성 측정 방법 및 이를 위한 키트
KR101096668B1 (ko) 혈액응고인자 13 활성도 측정용 칩 및 이를 이용한 혈액응고인자 13 활성도 측정방법
JP2021504675A (ja) 試料中のタンパク質ミスフォールディング疾患のタンパク質凝集体を定量化する方法
Meng et al. Adriamycin coated silica microspheres as labels for cancer biomarker alpha-fetoprotein detection
Yang et al. A displacement assay for the sensing of carbohydrate using zinc oxide biotracers
KR20090131745A (ko) 특정 렉틴 친화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혈액 유래당단백질을 동정하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