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8111B1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필터용 점착필름 - Google Patents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필터용 점착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8111B1
KR101008111B1 KR1020090003102A KR20090003102A KR101008111B1 KR 101008111 B1 KR101008111 B1 KR 101008111B1 KR 1020090003102 A KR1020090003102 A KR 1020090003102A KR 20090003102 A KR20090003102 A KR 20090003102A KR 101008111 B1 KR101008111 B1 KR 1010081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sensitive adhesive
pressure
plasma display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31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83627A (ko
Inventor
이희원
이상훈
문기정
전해상
Original Assignee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031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8111B1/ko
Publication of KR201000836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36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81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81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J1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09J7/25Plastics; Metallised plastic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255Polyes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11/34Vessels, containers or parts thereof, e.g. substrates
    • H01J11/44Optical arrangements or shielding arrangements, e.g. filters, black matrices, light reflecting means or electromagnetic shield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7/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solid cathode
    • H01J17/38Cold-cathode tubes
    • H01J17/48Cold-cathode tubes with more than one cathode or anode, e.g. sequence-discharge tube, counting tube, dekatron
    • H01J17/49Display panels, e.g. with crossed electrodes, e.g. making use of direct curr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18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for the production of liquid crystal display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67/00Presence of polyester
    • C09J2467/006Presence of polyester in the substra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dhesive Tap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필터용 점착필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우수한 투명성과 메쉬 필름의 충전시 기포발생이 없어 충진성이 양호한 물성을 가지고 도전성 메쉬 패턴의 투명화시 이물 혼입이나 찍힘, 눌림 등의 외관 불량을 제거할 수 있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필터용 점착필름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필터용 점착필름은 기재필름과 상기 기재필름의 일 면에 형성된 점착층으로서, 수평균 분자량 1,000,000 ~ 3,000,000인 아크릴계 고분자 100중량부와 경화제 0.3 ~ 5.0중량부로 이루어진 점착제 조성물로 도포된 점착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 투명화, 점착필름

Description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필터용 점착필름{Pressure Sensitive Adhesive Film of PDP Filter}
본 발명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필터용 점착필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우수한 투명성과 메쉬 필름의 충전시 기포발생이 없어 충진성이 양호한 물성을 가지고 도전성 메쉬 패턴의 투명화시 이물 혼입이나 찍힘, 눌림 등의 외관 불량을 제거할 수 있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필터용 점착필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PDP용 전면 필터는 전자파 차폐를 위해 도전성 메쉬 필름을 포함하는데, 이러한 도전성 메쉬 필름은 기재인 폴리에스테르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의 일면에 금속 메쉬 패턴이 접착된 도전성 메쉬 필름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러한 금속 메쉬 패턴은 에칭에 의해 형성되기 때문에 광투과성이 낮아 필터의 투명도를 저하시킬 수 있다.
이러한 불투명을 해결하기 위하여 메쉬 패턴을 메워 투명화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투명화 방법으로는, 메쉬 필름의 메쉬 패턴을 에폭시계, 페녹시계 수지 등과 같은 접착제 수지로 코팅하여 메쉬 패턴을 메운 후 건조시키는 방법이 일본 특개평 13-134198호에 개시되어 있다. 여기서는 메쉬 필름 상에 광경화수지 등을 도포하고 경화시켜 광경화 수지층을 형성하는 방법이 제시되고 있으나, 위의 이러한 방법들은 고가의 수지로 경제성 면에서 불리한 측면이 있다.
또한, 일본 특개평 13-134198 호에는, 열접착시트(thermal adhesive sheet) 사이에 넣고 진공 하에서 일정한 온도와 압력으로 압착하여 투명화하고 있다. 이 방법의 경우 시트의 압착으로 인해 공정 중 혼입된 이물의 찍힘이나 눌림 등의 외관 불량이 초래된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우수한 투명성과 메쉬 필름의 충전시 기포발생이 없어 충진성이 양호한 물성을 가지고 도전성 메쉬 패턴의 투명화시 이물 혼입이나 찍힘, 눌림 등의 외관 불량을 제거할 수 있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필터용 점착필름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과 이점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하기의 설명으로부터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상기 목적은, 기재필름과 상기 기재필름의 일 면에 형성된 점착층으로서, 수평균 분자량 1,000,000 ~ 3,000,000인 아크릴계 고분자 100중량부와 경화제 0.3 ~ 5.0중량부로 이루어진 점착제 조성물로 도포된 점착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필터용 점착필름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필터용 점착필름의 헤이즈는 1%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재필름은 폴리에틸렌테레트탈레이트(PET)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점착층의 상기 아크릴계 고분자의 유리전이 온도(Tg)는 -20℃ 이하이고, 분산도는 4.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우수한 투명성과 메쉬 필름의 충전시 기포발생이 없어 충진성이 양호한 물성을 가지고 도전성 메쉬 패턴의 투명화시 이물 혼입이나 찍힘, 눌림 등의 외관 불량을 제거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투명성 및 헤이즈 특성이 우수한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필터용 점착필름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장치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광학 필터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제시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필터용 점착필름을 포함하는 점착시트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필터용 점착필름을 메쉬필름과 접합된 상태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A 부분 확대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필터용 점착필름은 기재필름과 상기 기재필름의 일 면에 형성된 점착층으로서, 수평균 분자량 1,000,000 ~ 3,000,000인 아크릴계 고분자 100중량부와 경화제 0.3 ~ 5.0중량부로 이루어진 점착제 조성물로 도포된 점착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필터용 점착필름은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의 전자파 차폐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도전성 메쉬필름을 투명화하기 위한 점착시트로서 기재 일면에 점착층을 형성하고 도전성 메쉬필름을 투명화 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점착층을 이루는 상기 점착제 조성물 중 아크릴계 고분자는 아크릴계 모노머를 공중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투명성과 동시에 내후성이 좋으며 헤이즈가 낮아 투명화시 전체 메쉬 필름의 투과율을 저하시키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아크릴계 고분자의 구성물질은 에틸 아크릴레이트, 부틸 아크릴레이트, 아밀 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옥틸 아크릴레이트, 사이클로헥실 아크릴레이트, 벤질 아크릴레이트 등과 같은 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와 부틸 메타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메타크릴레이트, 사이클로헥실 메타크릴레이트, 벤질헥실 메타크릴레이트, 사이클로헥실 메타크릴레이트, 벤질 메타크릴레이트 등과 같은 메타크릴산 알킬에스테르, 메틸 아크릴레이트,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비닐 아세테이트, 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무수마레이산, 이타콘산과 같은 카르복실산 그룹을 함유하는 단량체, 2-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4-하이드록시 부틸 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와 같은 히드록시 그룹을 함유하는 단량체, N-메틸올아크릴아미드, 아크릴아미드, 메타크릴아미드, 글리시딜아미드 등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아크릴계 고분자의 구성물질로 라우릴아크릴레이트, 에톡시디에틸렌글리콜아크릴레이트, 메톡시트리에틸렌글 리콜아크릴레이트, 페녹시에틸아크릴레이트, 테트라히드로푸릴아크릴레이트, 이소보닐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3-페녹시아크릴 레이트 등의 단일 작용기 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 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틀테트라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아크릴산벤조에이트등의 다작용기 아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산 유도체, 2-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n-스테아릴메타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테트라히드로푸르푸릴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단일 작용기 메타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글리세린디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다작용기 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메타아크릴산 유도체, 글리세린디메타아크릴레이트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펜타에리스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등의 단량체 또는 올리고머를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중합개시제로 아조계 중합개시제를 사용한다. 아조계 중합개시제는, 통상의 라디칼 중합에서 사용하는 아조계 중합개시제이면 특별히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AIBN), 2,2'-아조비스(2-메틸부티로니트릴)(AMBN), 2,2'-아조비스(2,4-디메틸발레로니트릴)(ADMVN), 1,1'-아조비스(1-시클로헥산카르보니트릴)(ACHN), 디메틸 2,2'-아조비스이소부티레이트(MAIB), 4,4'-아조비스(4-시아노발레릭산)(ACVA), 1,1'-아조비스-(1-아세톡시-1-페닐에탄), 2,2'-아조비스(2-메틸부틸아미드), 2,2'-아조비스(4-메톡시-2,4-디메틸발레로니트릴), 2,2'-아조비스(2-메틸아미디노프로판)이염산염, 2,2'-아조비스[2-(2-이미다졸린-2-일)프로판], 2,2'-아조비스[2-메틸-N-(2-히드록시에틸)프로피온아미드], 2,2'-아조비스(2,4,4-트리메틸펜탄), 2-시아노-2-프로필아조포름아미드, 2,2'-아조비스(N-부틸-2-메틸프로피온아미드), 2,2'-아조비스(N-시클로헥실-2-메틸프로피온아미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아조 계 중합개시제는 반응조건에 따라서 적절히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점착층을 이루는 상기 점착제 조성물 중 아크릴계 고분자는 수평균 분자량이 1,000,000 ~ 3,000,000인 것이 바람직하다. 아크릴계 고분자의 수평균 분자량이 1,000,000 미만이면 본 발명이 원하는 내열성을 얻을 수 없고, 수평균 분자량이 3,000,000을 초과하면, 점착제가 너무 단단하여 투명화용 점착제에는 적합하지 않으며, 중합 개시하는 시간이 많이 들어 경제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단점이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아크릴계 고분자의 분산도는 4.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분산도가 4.0 이하이다. 이는 아크릴계 고분자의 분산도가 4.5 이상이 되면 반응 후 거품(bubble)이 많이 생길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아크릴계 고분자의 유리전이온도(Tg)는 -20℃ 이하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리전이온도가 -20℃보다 크면 중합 반응을 조절하는 것이 쉽지 않고, 갑작스런 발열반응이 일어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통상적으로 점착 조성물을 중합시키기 위하여 사용하는 중합 개시제는 열, 자외선, 가시광선 등의 발산에 의하여 활성 라디칼을 생성할 수 있다면 그 종류에 제한을 받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아크릴계 고분자 의 분자량을 높임과 동시에 저온에서 중합 개시할 수 있는 중합 개시제를 이용하여 갑작스런 발열반응을 억제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요건을 만족하는 중합 개시제로 본 발명에서는 2'-아조비스(2,4-디메틸발레로니트릴)[2,2'-azobis(2,4-dimethylvaleronitrile)](이하 'ADMVN'이라 함.)을 사용한다. 이러한 ADMVN은 저온 중합 개시제로서, 본 발명에서는 부가 중합 개시제로 많이 사용되는 기존의 아조비스이소부틸로니트릴(azobis isobutyronitrile)(이하 'AIBN'이라 함)이나 벤조일 퍼옥사이드(benzoyl peroxide)(이하 'BPO'라 함) 등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개시 온도에서 분해되어 아크릴계 단량체의 중합 반응을 개시하는 ADMVN의 특성을 이용한다.
본 발명에서 ADMVN은 28℃ 내지 48℃의 저온에서 중합 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35℃ 내지 46℃이다. 또한, ADMVN은 아크릴계 고분자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중량부 내지 0.9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0.7중량부이다. 통상적인 용도에서는 아크릴계 고분자 100 중량부에 대하여 ADMVN은 0.05 내지 4 중량부를 사용한다. 하지만, 중합 개시제가 아크릴계 고분자 함량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많으면 개시 반응을 수행하는 아크릴계 단량체가 다량 발생함에 따라 얻어지는 아크릴계 고분자의 분자량이 낮아지게 되므로, 본 발명에서는 아크릴계 고분자 100 중량부에 대하여 ADMVN의 함량을 최대 0.9 중량부 사용한다. ADMVN의 함량이 0.01 중량부보다 작을 경우는 원하는 수준의 중합 개시를 얻을 수 없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중합 반응을 개시하는 개시제 외에도, 아크릴계 고분자 의 중합 반응의 속도를 제어하거나 반응을 종료시키기 위하여 분자량 조절제 또는 연쇄이동제(chain-transfer)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로필 머캅탄(propylmercaptan), 부틸 머캅탄(butyl mercaptan) 등의 알킬 머캅탄(alkyl mercaptan)과, 페닐 머캅탄(phenyl mercaptan), 티오크레졸(thio cresol) 등의 방향족 머캅탄(aromatic mercaptan)과, 에틸렌 글리콜(ethylene glycol), 네오펜틸 글리콜(neopentyl glycol), 펜타에리스리톨(pentaerythritol), 솔비톨(sorbitol) 등의 다가 알콜을 사용한다. 사용하는 양은 한정하진 않으며, 본 발명에서는 중합에 따라 다양한 양을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점착층을 이루는 상기 점착제 조성물 중 경화제는 아크릴 고분자에 존재하는 관능기의 형태에 따라 적절히 선택 및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 에폭시계 화합물, 아지리딘계 화합물, 금속 킬레이트 화합물, 금속 알콕사이드 금속염, 아민 화합물, 히드리진 화합물 등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의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은 디페닐메탄 이소시아네이트(diphenylmethane isocyanate), 자이렌 디이소시아네이트(xylene diisocyanate) 등의 방향족 디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 헥사메틸 디이소시아네이트(hexamethyl diisocyanate) 등의 지방족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aliphatic diisocyanate) 등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에폭시계 화합물은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글리시딜 에테르(polyethylene glycol diglycidyl ether), 디글리시딜 에테르(diglycidyl ether), 트리메틸올 프로판 트리글리시딜 에테르(trimethylol propane triglycidyl ether)등을 단독 또는 혼합하 여 사용한다. 아크릴계 고분자간 가교 결합을 할 수 있도록 본 발명에서의 경화제는 아크릴계 고분자 100 중량부에 대하여 0.3중량부 내지 5.0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4중량부 내지 3.0중량부이다. 본 발명에서 경화제는 아크릴계 고분자의 중합과정에서 분자량 또는 사슬 구조를 제어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첨가제로서 전술한 범위에서 경화제를 사용하면 상 분리 현상 등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투명화용 점착필름은 폴리에스테르 계열의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폴리에틸렌테레트탈레이트(PET) 필름을 들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헤이즈는 0.8% 미만인 것을 사용하여야 점착층과의 전체 헤이즈가 1.0% 미만인 투명화용 점착필름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도레이사에서 제작된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사용하였다.
이하, 실시예와 비교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아크릴계 고분자의 제조
아크릴계 점착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질소 가스가 환류되고 온도 조절이 용이하고 발열반응을 제어하기 쉽도록 냉각장치가 설치된 1,000㏄ 반응기에 에틸 아세테이트 용매 150g을 주입하고, 여기에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30g, 2-하이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5g, 아크릴산 7g 및 4-하이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3g을 포함한 단량체들의 혼합물을 투입하고, 산소를 제거하기 위하여 30분간 질소분위기에서 교반하였다. 이 후 반응기 내의 온도를 45℃로 유지한 후 아조비스디메틸발레 로니트릴(ADMVN) 0.017g을 투입하고, 3시간 내지 8시간 중합 반응을 수행하여 아크릴계 고분자를 얻었다. 실험의 재현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동일한 실험을 5회 실시하였으며 상기 단량체가 고분자로 전화되는 전환율은 97% 내지 98%였다. 제조된 아크릴계 고분자를 GPC를 이용하여 수평균 분자량 및 분산도를 측정한 결과, 수평균 분자량이 120만 내지 250만이었고, 분자량 분포도가 3.0 내지 3.5로 나타났다.
2.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의 점착층 형성
상기 제조된 아크릴계 고분자 100g에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인 트리메틸올프로판의 톨리렌디이소시아네이트 부가물 2.7g을 균일하게 혼합하여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을 이형 필름에 코팅하여 건조시킨 후 두께 25㎛의 균일한 점착층을 얻었다. 얻어진 점착층을 폴리에스테르필름[U34, (주)도레이새한]과 합지하고, 상온에서 5일간 숙성시켰다. 위의 아크릴계 고분자 및 점착제 조성물을 이용하여 만들어진 본 발명의 실시예의 각 성분은 표 1에 나타나 있다.
[표 1]
조성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아크릴계
단량체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30g 30g 30g
아크릴산 7g 7g 7g
4-하이드록시
부틸아크릴레이트
3g 3g 3g
2-하이드록시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5g 5g 5g
중합개시제(ADMVN) 0.017g 0.017 g 0.017 g
반응온도(℃) 40 40 40
반응시간(hr) 7 6 5
아크릴계
고분자
수평균 분자량 170만 150만 120만
분산도 3.1 2.9 2.7
함량 100g 100g 100g
경화제 트리메틸올프로판 톨리렌디이소시아네이트 2.7g 2.7g 2.7g
[실시예 1]
상기 표 1의 조건으로 제조된 점착제 조성물을 이용하여, 이형필름 RPK101(㈜도레이새한)에 코팅하여 100℃에서 3분간 건조 후 U34(㈜도레이)의 원단(폴리에틸렌테레트탈레이트 필름)과 합지하여 25㎛의 점착층을 형성하였다.
[실시예 2]
상기 표 1의 조건으로 제조된 점착제 조성물을 이용하여, 이형필름 RPK101(㈜도레이새한)에 코팅하여 100℃에서 3분간 건조 후 U34(㈜도레이)의 원단과 합지하여 25㎛의 점착층을 형성하였다.
[실시예 3]
상기 표 1의 조건으로 제조된 점착제 조성물을 이용하여, 이형필름 RPK101(㈜도레이새한)에 코팅하여 100℃에서 3분간 건조 후 U34(㈜도레이)의 원단과 합지하여 25㎛의 점착층을 형성하였다.
[비교예 1]
비교예 1은, 아크릴계 점착제 SK-2094(소켄사)을 이형필름 RPK101((주)도레이새한)에 코팅하여 100℃에서 3분간 건조 후 U34((주)도레이)의 원단과 합지하여 25㎛의 점착층을 형성하였다.
[비교예 2]
비교예2는, 아크릴계 점착제 POL912(코스모텍사)을 이형필름 RPK101((주)도레이새한)에 코팅하여 100℃에서 3분간 건조 후 U34((주)도레이)의 원단과 합지하여 25㎛의 점착층을 형성하였다.
[실험예 1 : 헤이즈 측정]
JIS K7136 에 준거하여 닛폰덴쇼쿠 공업사 제조의 헤이즈 측정기 (NDH-2000)를 사용하여 필름의 헤이즈값을 측정하였다.
[실험예 2 : 메쉬 필름과 접합 후 메꿈성 측정]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접합된 광학 필터에 고온 고압 처리를 수행한다. 상기 처리는 오토크레이브 내의 10기압, 60℃에서 20분간 처리한다. 처리 후 육안으로 기포자국이 있으면 NG, 없으면 OK로 판단한다.
상기 실험예 1 및 2의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2]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비교예1 비교예2
헤이즈(%) 0.65 0.63 0.68 1.2 0.8
기포 OK OK OK NG NG
상기 표 2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필터용 점착필름은 헤이즈가 1% 미만으로 투명성이 우수하고 또한 기포 자국이 전혀 없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필터용 점착필름을 포함하는 점착시트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필터용 점착필름을 메쉬필름과 접합된 상태의 단면도.
도 3은 도 2의 A 부분 확대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01 : 기재필름 102 : 점착층
103 : 이형필름 104 : 메쉬필름
105 : 메쉬필름의 구리 부분

Claims (4)

  1.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필터용 점착필름에 있어서,
    기재필름과,
    상기 기재필름의 일 면에 형성된 점착층으로서, 수평균 분자량 1,000,000 ~ 3,000,000인 아크릴계 고분자 100중량부와 경화제 0.3 ~ 5.0중량부로 이루어진 점착제 조성물로 도포된 점착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필터용 점착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필터용 점착필름의 헤이즈는 1%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필터용 점착필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필름은 폴리에틸렌테레트탈레이트(PET)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필터용 점착필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의 상기 아크릴계 고분자의 유리전이 온도(Tg)는 -20℃ 이하이고, 분산도는 4.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필터용 점착필 름.
KR1020090003102A 2009-01-14 2009-01-14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필터용 점착필름 KR1010081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3102A KR101008111B1 (ko) 2009-01-14 2009-01-14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필터용 점착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3102A KR101008111B1 (ko) 2009-01-14 2009-01-14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필터용 점착필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3627A KR20100083627A (ko) 2010-07-22
KR101008111B1 true KR101008111B1 (ko) 2011-01-13

Family

ID=426433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3102A KR101008111B1 (ko) 2009-01-14 2009-01-14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필터용 점착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811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93580A (zh) * 2011-12-31 2013-09-11 四川虹欧显示器件有限公司 滤光膜及包括其的显示屏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3387A (ko) * 2004-04-26 2005-10-31 주식회사 에이스 디지텍 아크릴계 점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20060067404A (ko) * 2004-12-15 2006-06-20 주식회사 에이스 디지텍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용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이용한 광학필름
KR100706690B1 (ko) 2005-04-04 2007-04-11 주식회사 에이스 디지텍 광확산 기능을 갖는 아크릴계 점착 조성물
JP2008046147A (ja) 2006-08-10 2008-02-28 Nitto Denko Corp 積層光学フィルム、楕円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3387A (ko) * 2004-04-26 2005-10-31 주식회사 에이스 디지텍 아크릴계 점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20060067404A (ko) * 2004-12-15 2006-06-20 주식회사 에이스 디지텍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용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이용한 광학필름
KR100706690B1 (ko) 2005-04-04 2007-04-11 주식회사 에이스 디지텍 광확산 기능을 갖는 아크릴계 점착 조성물
JP2008046147A (ja) 2006-08-10 2008-02-28 Nitto Denko Corp 積層光学フィルム、楕円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93580A (zh) * 2011-12-31 2013-09-11 四川虹欧显示器件有限公司 滤光膜及包括其的显示屏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3627A (ko) 2010-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67964B2 (ja) 放射線硬化性粘着シート
JP5696994B2 (ja) 粘着剤組成物、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KR20130130699A (ko) 아크릴계 수지 조성물, 아크릴계 점착제, 점착 시트, 양면 점착 시트, 투명 전극용 점착제, 터치 패널 및 화상 표시장치, 및 점착제층 함유 적층체의 제조 방법
US20150232707A1 (en) Adhesive composition for touch panel, adhesive film, and touch panel
TW201726849A (zh) 黏著片材、具有黏著劑層之積層體的製造方法、具有黏著劑層之積層體、影像顯示裝置及觸控面板
JP5955076B2 (ja) アクリル系樹脂組成物、アクリル系粘着剤、粘着シート、両面粘着シート、透明電極用粘着剤、タッチパネル及び画像表示装置、並びに粘着剤層含有積層体の製造方法
KR20130129223A (ko) 화상 표시 장치용 점착 시트, 화상 표시 장치 및 점착성 수지 조성물
KR20120093102A (ko) 기재 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JP5904860B2 (ja) アクリル系樹脂組成物、アクリル系粘着剤、粘着シート、両面粘着シート、透明電極用粘着剤、タッチパネル及び画像表示装置、並びに粘着剤層含有積層体の製造方法
JP2009013361A (ja) 両面粘着テープ
JPWO2012153733A1 (ja) アクリル樹脂組成物、アクリル樹脂シート、アクリル樹脂積層体、及びそれらの製造方法
WO2022114097A1 (ja) 粘着剤組成物、粘着剤、粘着シートおよび画像表示装置用粘着シート
KR101687059B1 (ko) 점착제 조성물
KR20140143006A (ko) 점착 필름, 광학부재 및 액정 표시 장치
JP5903889B2 (ja)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及び前面保護板
KR20160080549A (ko) 광경화성 점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비산방지필름
KR101509855B1 (ko) 점착제 조성물
KR101008111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필터용 점착필름
JP2009114223A (ja) 移動体通信端末用両面粘着シート及び移動体通信端末
JP2017003943A (ja) 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画像表示装置用粘着シート及び画像表示装置
JP6958358B2 (ja) アクリル系粘着剤組成物、粘着剤及び粘着シート
KR101205509B1 (ko) 표면보호필름
KR101804598B1 (ko) 광중합에 의한 용제형 점착제 조성물 제조방법
KR101133740B1 (ko) 반도체기판용 보호필름
WO2018221109A1 (ja) 光学部材用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型粘着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