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7661B1 - 프레임보강재가 형성된 창호 - Google Patents

프레임보강재가 형성된 창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7661B1
KR101007661B1 KR1020100061809A KR20100061809A KR101007661B1 KR 101007661 B1 KR101007661 B1 KR 101007661B1 KR 1020100061809 A KR1020100061809 A KR 1020100061809A KR 20100061809 A KR20100061809 A KR 20100061809A KR 101007661 B1 KR101007661 B1 KR 1010076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window
reinforcement
wing portion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18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흥기
Original Assignee
(주)세창스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세창스틸 filed Critical (주)세창스틸
Priority to KR10201000618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76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76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76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96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06Single frames
    • E06B3/08Constructions depending on the use of specified materials
    • E06B3/12Constructions depending on the use of specified materials of 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oor And Window Frames Mounted To Open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는 창틀프레임과, 상기 창틀프레임 내부에 삽입되는 프레임보강재를 갖는 창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프레임보강재의 날개부에 리브를 형성하여 더욱 강도를 향상시킨 창호이다.

Description

프레임보강재가 형성된 창호{Fittings with frame reinforcement}
본 발명은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는 창틀프레임과, 상기 창틀프레임 내부에 삽입되는 프레임보강재를 갖는 창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프레임보강재의 날개부에 리브를 형성하여 더욱 강도를 향상시킨 창호이다.
근래에 창호로 사용되기 위한 창틀프레임은 자재비 절감, 중량감소 및 미관적인 이유로 보통 합성수지재로 형성되고, 이러한 합성수지재 창틀프레임은 그 자체만으로도 고강성이 유지되기가 힘들므로 내부에 중공부를 형성하고 상기 중공부에 금속재 프레임보강재를 삽입하여, 합성수지재 창틀프레임의 단점을 보완하고 있다.
이러한 용도로 사용되는 프레임보강재는 창틀의 강성유지를 위해서는 재료의 두께가 두꺼워야만 고강성 유지에 더욱 유리하나, 재료비 증대 및 창틀의 중량증가 등 반대급부적인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종래의 프레임보강재가 형성된 창호로서는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0413731호에 개시되어 있는 것과 같은 보강재연결구조를 갖는 용접식 창틀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창호구조가 있으며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프레임보강재는 강화유리를 수용하기 위해 홈이 형성되어 있는 창틀프레임의 형상과 같이 내부에 수용부가 형성되고, 수용부 받대쪽은 레일의 형상에 맞추어 홈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프레임보강재는 폭에 비해 길이가 늘어날수록 강성저하의 우려로 인해 보다 두꺼운 소재를 사용할 수밖에 없어 생산원가가 증대되고 창호의 무게를 무겁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는 창틀프레임과, 상기 창틀프레임 내부에 삽입되는 프레임보강재를 갖는 창호를 제공하되, 상기 프레임보강재의 날개부에 리브를 형성하여 강도를 높인 프레임보강재가 형성된 창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리브를 원소재에 별도의 소재를 덧댄 것이 아닌 코일 형태의 소재를 이용하여 롤포밍라인을 거쳐 요철 형상으로 형성한 프레임보강재가 형성된 창호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프레임보강재가 형성된 창호는 프레임보강재는 창틀프레임의 보강재삽입홈에 삽입되는 긴 막대 형상으로 중심부와 날개부를 길이 방향으로 형성하며, 상기 날개부에는 프레임보강재의 강도를 높여주기 위해 리브를 형성한다.
본 발명에 의한 프레임보강재가 형성된 창호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는 창틀프레임과, 상기 창틀프레임 내부에 삽입되는 프레임보강재를 갖는 창호를 제공하되, 상기 프레임보강재의 날개부에 리브를 형성하여 소재의 두께를 얇게 하여도 강도를 높일 수 있어 창호 제작에 따른 원가절감 및 경량화를 이룰 수 있다.
도 1은 종래 창호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구성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부구성예시도
도 4는 도 3의 A-A섹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타실시예시도
도 6은 도 5의 A-A섹션 단면도
본 발명은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는 창틀프레임과, 상기 창틀프레임 내부에 삽입되는 프레임보강재를 갖는 창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프레임보강재의 날개부에 리브를 형성하여 더욱 강도를 향상시킨 창호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구성예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부구성예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단면도로서, 본 발명에 의한 프레임보강재가 형성된 창호는 합성수지재 창틀프레임(1)과, 상기 창틀프레임(1) 내부에 삽입되는 프레임보강재(2)를 포함하여 구성된 창호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보강재(2)는 창틀프레임(1)의 보강재삽입홈(1a)에 삽입되는 긴 막대 형상으로 중심부(5)와 날개부(3)가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되, 상기 날개부(3)에는 프레임보강재(2)의 강도를 높여주기 위해 리브(4)가 형성되어 있다.
먼저, 상기 합성수지재 창틀프레임(1)은 프레임보강재(2)가 삽입될 수 있는 보강재삽입홈(1a)이 형성되어 있어야하며, 경우에 따라 프레임보강재(2)가 창틀프레임(1)에 결합된 후에는 별도의 고정부재를 이용하거나 접착제, 용접 등으로서 창틀프레임(1)과 프레임보강재(2)를 서로 고정 결합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보강재(2)는 통상적인 사각형 창호의 형상에 맞도록 긴 막대형상이 바람직하나, 창호의 형상이 반원 또는 일정한 곡률을 갖는 호(acr)의 형상일 경우 프레임보강재 역시 창틀프레임과 동일한 형태를 가져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프레임보강재(2)의 수용부(8) 좌우측에 형성된 부분 즉, 절곡부(7)가 형성된 부분을 날개부(3)가 지칭하고, 날개부(3) 사이에 홈(6)이 형성된 부분은 중심부(5)라 칭한다. 여기서, 상기 홈(6)은 창틀프레임(1)에 형성된 홈(1b)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창틀프레임(1)에 형성된 홈(1b)은 창틀(도시하지 않음)의 레일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창틀이 이동된다.
상기 프레임보강재(2)의 날개부(3)에는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브(4)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리브(4)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이 '<' 형상과 '>' 형상이 반복하여 형성된 모양으로 형성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 또는 '>' 형상을 하나만 형성하거나 둘 이상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리브(4)는 날개부(3)가 형성된 방향 즉, 프레임보강재(2)의 길이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날개부(3) 전체에 걸쳐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경우에 따라서는 날개부 중 일부분에만 리브(4)를 형성할 수도 있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와 달리 도 5 내지 도 6과 같이 리브(4)를 날개부(3)가 형성된 방향과 일정한 각을 이루도록 형성할 수도 있으며, 리브의 형상을 각지지 않게 유연한 요철 형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들에서 본 발명의 프레임보강재(2)에 형성된 리브(4)는 도 4나 도 6과 같이 그 단면의 두께가 리브가 형성된 부분과 형성되지 않은 부분의 두께를 일정하게 유지해줌으로써 재료의 경량화와 함께 생산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프레임보강재(2)의 소재는 녹이 슬지 않으며 비교적 고강도가 유지될 수 있으며 관용적으로 사용되는 롤포밍 라인(roll forming line)에서 가공될 수 있는 소재가 적합하며, 이러한 소재로서 아연도금강판을 사용하거나 스테인레스스틸 또는 알루미늄합금판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 중 프레임보강재(2)는 관용적으로 사용되는 롤포밍 라인에서 코일형태로 감겨 있는 철판을 이용하여 가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프레스 라인에서 포밍(forming) 또는 딥드로잉(deep drawing) 공정으로도 성형할 수도 있다.
이러한 롤포밍 라인이나 프레스 라인에서 생산하는 것은 관용적인 기술이므로 이러한 부분에 대해서는 보다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상기 창틀프레임(1)에 형성된 보강재삽입홈(1a)은 프레임보강재(2)의 날개부(3)와 접하는 면의 형상을 날개부(3)에 형성된 리브(4)의 형상과 동일한 형태로 형성할 수도 있다.
<실시예>
1.2mm의 철판(측정 두께는 1.18mm)과 0.8mm의 철판(측정 두께는 0.88mm)의 철판으로 동일한 형상을 만들어 인장시험을 하였다.

표시 두께
(mm)

측정 두께
(mm)

길이(mm)

인장시험

비고
항복점
Y.P
인장강도
T.S
연신율
EL.

1.2

1.18

1200

214

327

44.6

리브 없음

0.8

0.88

1200

725

742

6.2

리브 형성
위 [표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시험표로서 위 [표 1]과 같이 1.2mm 철판으로 리브가 없는 형태로 형성한 프레임보강재에 비해 0.8mm 철판으로 리브가 있도록 형성한 프레임보강재가 연신율은 많이 떨어지나, 항복점 및 인장강도가 매우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
1. 창틀프레임 1a. 보강재삽입홈 1b. 홈
2. 프레임보강재 3. 날개부
4. 리브 5. 중심부
6. 홈 7. 절곡부

Claims (6)

  1. 합성수지재 창틀프레임(1)과, 상기 창틀프레임(1) 내부에 삽입되는 프레임보강재(2)를 포함하여 구성된 창호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보강재(2)는 창틀프레임(1)의 보강재삽입홈(1a)에 삽입되는 긴 막대 형상으로 중심부(5)와 날개부(3)가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되, 상기 날개부(3)에는 프레임보강재(2)의 강도를 높여주기 위해 리브(4)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리브(4)는 그 단면이 '<' 또는 '>' 형상이거나, '<' 또는 '>' 형상이 반복하여 형성된 모양이며,
    상기 리브(4)는 날개부(3)가 형성된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날개부(3) 전체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는 것이 특징인 프레임보강재가 형성된 창호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4)는 날개부(3)가 형성된 방향과 일정한 각을 이루면서 날개부(3) 전체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는 것이 특징인 프레임보강재가 형성된 창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보강재(2)는 부식 방지를 위해 아연이 도금된 강판으로 형성된 것이 특징인 프레임보강재가 형성된 창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창틀프레임(1)에 형성된 보강재삽입홈(1a)은 프레임보강재(2)의 날개부(3)와 접하는 면의 형상을 날개부(3)에 형성된 리브(4)의 형상과 동일한 형태로 형성한 것이 특징인 프레임보강재가 형성된 창호
KR1020100061809A 2010-06-29 2010-06-29 프레임보강재가 형성된 창호 KR1010076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1809A KR101007661B1 (ko) 2010-06-29 2010-06-29 프레임보강재가 형성된 창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1809A KR101007661B1 (ko) 2010-06-29 2010-06-29 프레임보강재가 형성된 창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07661B1 true KR101007661B1 (ko) 2011-01-13

Family

ID=436161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1809A KR101007661B1 (ko) 2010-06-29 2010-06-29 프레임보강재가 형성된 창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766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44990U (ko) * 1989-05-11 1990-12-10
KR20040028780A (ko) * 2001-11-08 2004-04-03 동경 엘렉트론 주식회사 양극 산화 장치, 양극 산화 방법
KR20060084167A (ko) * 2005-01-19 2006-07-24 김미옥 강성 증대용 엠보스가 형성된 창호용 보강재와 그보강재를 제조하는 방법 및 제조 장치
KR200428780Y1 (ko) * 2006-07-20 2006-10-16 이봉학 창짝프레임의 연결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44990U (ko) * 1989-05-11 1990-12-10
KR20040028780A (ko) * 2001-11-08 2004-04-03 동경 엘렉트론 주식회사 양극 산화 장치, 양극 산화 방법
KR20060084167A (ko) * 2005-01-19 2006-07-24 김미옥 강성 증대용 엠보스가 형성된 창호용 보강재와 그보강재를 제조하는 방법 및 제조 장치
KR200428780Y1 (ko) * 2006-07-20 2006-10-16 이봉학 창짝프레임의 연결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K2870313T3 (en) Spacer for double glazing
US20090165415A1 (en) Door and window system with stiffeners
US20110167753A1 (en) Frame assembly having stile and rail tabs for coupling stile and rail members together
US20090165423A1 (en) Strengthened door with stiffeners
US20190145155A1 (en) Sash for a sliding window or a sliding door and method for providing an untreated metal surface in such a sash
KR101007661B1 (ko) 프레임보강재가 형성된 창호
CN103253107A (zh) 一种车门分体式玻璃导轨结构及其固定方法
US20140062144A1 (en) Hybrid combination structure of roof frame
KR102098679B1 (ko) 창호용 코너조립브라켓
CN106567645A (zh) 外铝内木单滑轨推拉门窗
CN212428468U (zh) 一种玻璃垫块及玻璃窗
KR20190141378A (ko) 차량 도어용 프레임 몰딩
CN211313858U (zh) 组合式断桥隔热型材及门窗
KR102216669B1 (ko) 창호 설치용 브라켓
KR20150036874A (ko) 보강재가 구비된 창호용 프로파일
KR101105673B1 (ko) 외장재 착탈구조를 갖는 강화 도어 프레임
US10101076B2 (en) Household appliance component having a coextruded decorative part
CN207902112U (zh) 车窗上边框、车门总成及汽车
US20200116201A1 (en) Slide unit
EA032396B1 (ru) Составной профиль и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составного профиля
CN210807165U (zh) 太阳能光伏边框
CN110725635A (zh) 一种隔热断桥铝门窗
CN208855387U (zh) 一种车辆蝶形窗
KR20210080154A (ko) 창호 설치용 l-브라켓
CN210622601U (zh) 中庭连接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