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0154A - 창호 설치용 l-브라켓 - Google Patents

창호 설치용 l-브라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0154A
KR20210080154A KR1020200073671A KR20200073671A KR20210080154A KR 20210080154 A KR20210080154 A KR 20210080154A KR 1020200073671 A KR1020200073671 A KR 1020200073671A KR 20200073671 A KR20200073671 A KR 20200073671A KR 20210080154 A KR20210080154 A KR 202100801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bracket
fixing part
wall
thick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36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23863B1 (ko
Inventor
이경훈
김희준
이은국
홍성택
이인규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to CN202022798027.3U priority Critical patent/CN215332285U/zh
Publication of KR202100801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01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38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38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56Fastening frames to the border of openings or to similar contiguous frames
    • E06B1/60Fastening frames to the border of openings or to similar contiguous frames by mechanical means, e.g. anchor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호의 상부 및 측부에 설치되는 창호 설치용 L-브라켓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창호에 고정되기 위한 복수 개의 제1 장착 홀을 포함하는 제1 장착부를 갖는 창호 고정부; 창호 고정부와 연결되고, 벽체에 고정되기 위한 복수 개의 제2 장착 홀을 포함하는 제2 장착부를 갖고, 상기 복수 개의 제2 장착 홀과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 개의 인서트 홀이 각각 형성된 인서트 부재를 포함하는 벽체 고정부; 및 상기 복수 개의 제2 장착 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둘러싸도록 형성된 함몰부를 포함하고, 상기 인서트 부재의 적어도 일부 영역은 함몰부에 의해 노출 형성된, 창호 설치용 L-브라켓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창호 설치용 L-브라켓{L-type Bracket for mounting Window}
본 발명은 창호 설치용 L-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일반 주택 등의 침실이나 주방의 경우 단열 및 방음을 목적으로 PL 창호용 단창 또는 이중창을 시공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과거에는, PL 창호용 단창 또는 이중창의 두께가 일반적으로 내벽 두께보다 작았지만, 단열 및 방열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PL 창호용 단창 또는 이중창의 두께가 점점 두꺼워지고 있는 것이 요즘 추세이다.
내벽 두께가 PL 창호용 단창 또는 이중창의 두께보다 작기 때문에 별도의 고정 지지대(L-브라켓 또는 C-브라켓)를 설치하여 단창 또는 이중창의 창틀이 안쪽으로 처지지 않도록 지지해 주여야 한다.
특히, 창호의 전면에 장착되어 창호를 지지하는 지지대로는 L-브라켓이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L-브라켓은 'ㄱ'자 형태로 창호 고정부와 벽체 고정부가 수직 연결된 구조로서, 창호 고정부는 창호에 고정되고, 창호 고정부와 연결된 벽측 고정부는 앵커나 못 등의 체결수단을 통해 벽체(예를 들어, 발코니벽)에 고정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L-브라켓은 일반적으로 스틸로 제작되었는데, 스틸 L-브라켓은 내구성은 좋으나, 장시간 사용하게 되면 부식이 되거나 휨 변형이 발생되어 내구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열전도도가 높아서 단열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스틸 L-브라켓은 높은 열전도도 때문에 열교 현상이 발생하여 창호 및 창호 주변부에 결로 발생 및 마감재 훼손 등의 문제가 빈번히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 스틸-L 브라켓 대비 경량화, 우수한 압축 강도 및 낮은 열전도도가 구현되고, 원가 절감 및 대량 생산 측면에서 유리한 창호 설치용 L-브라켓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창호의 상부 및 측부에 설치되는 L-브라켓으로서, 창호에 고정되기 위한 복수 개의 제1 장착 홀을 포함하는 제1 장착부를 갖는 창호 고정부; 창호 고정부와 연결되고, 벽체에 고정되기 위한 복수 개의 제2 장착 홀을 포함하는 제2 장착부를 갖고, 상기 복수 개의 제2 장착 홀과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 개의 인서트 홀이 각각 형성된 인서트 부재를 포함하는 벽체 고정부; 및 상기 복수 개의 제2 장착 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둘러싸도록 형성된 함몰부를 포함하고, 상기 인서트 부재의 적어도 일부 영역은 함몰부에 의해 노출 형성된, 창호 설치용 L-브라켓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예와 관련된 창호 설치용 L-브라켓은 종래 스틸-L 브라켓 대비 경량화, 우수한 압축 강도 및 낮은 열전도도가 구현되고, 원가 절감 및 대량 생산 측면에서 유리한 장점을 갖는다.
또한, 브라켓의 형상과 관련된 인자들의 구체적인 치수 조절을 통해 전면 및 후공 시공이 동시에 가능한 장점을 가진다.
도 1은 본 출원에 따른 예시적인 창호 설치용 L-브라켓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L-브라켓의 측면도이다.
도 3 내지 5는 도 1에 도시된 L-브라켓의 벽체 고정부를 상세히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측면 리브의 형상을 상세히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창호 전면 시공 시, 본 출원에 따른 L-브라켓의 조립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창호 후면 시공 시, 본 출원에 따른 L-브라켓의 조립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출원은 창호의 상부 및 측부에 설치되는 L-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상기 창호는 예를 들어, PL 창호용 단창 또는 이중창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 설치용 L-브라켓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시된 각 구성 부재의 크기 및 형상은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도 1은 본 출원에 따른 예시적인 창호 설치용 L-브라켓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L-브라켓의 측면도이며, 도 3 내지 5는 도 1에 도시된 L-브라켓의 벽체 고정부를 상세히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측면 리브의 형상을 상세히 나타내는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본 출원에 따른 창호 설치용 L-브라켓은 창호 고정부(100), 벽체 고정부(200) 및 함몰부(300)를 포함한다.
상기 창호 고정부(100)는 창호에 고정되기 위한 복수 개의 제1 장착 홀을 포함하는 제1 장착부(110)를 갖는다. 상기 제1 장착 홀의 형상은 원형 또는 길이방향을 따라 긴 형태의 타원형일 수 있다.
상기 벽체 고정부(200)는 창호 고정부(100)와 연결되고, 벽체에 고정되기 위한 복수 개의 제2 장착 홀(220)을 포함하는 제2 장착부를 갖고, 상기 복수 개의 제2 장착 홀과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 개의 인서트 홀이 각각 형성된 인서트 부재(210)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장착 홀의 형상은 원형 또는 길이 방향에 따라 긴 형태의 타원형일 수 있다.
벽체 고정부(200)의 경우, 벽체(외벽)에 설치 시 가 고정을 하기 위하여 타정을 하거나, 완전 고정을 하기 위하여 망치나 전동 드라이버를 사용하여 앵커를 고정하는데, 이 경우 브라켓의 강한 충격이 가해져 브라켓이 파손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본 출원에 따른 브라켓은 타정이나 앵커 고정 시 발생하는 강한 충격으로부터 견디게끔 충격 강도가 높은 인서트 부재(210)를 벽체 고정부(200)에 도입함으로써 상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인서트 부재(210)의 소재를 선택적으로 사용함으로써, 브라켓의 경량화 및 압축 강도도 크게 개선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브라켓은 판 형상의 단일 소재로 제조될 수 있고, 상기 단일 소재는 압축 성형을 거쳐 창호 고정부(100) 및 창호 고정부(100)에 대하여 소정 각도를 갖도록 절곡된 상기 벽체 고정부(200)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창호 고정부(100)와 벽체 고정부(200)는 'ㄱ' 자 또는 'L' 자 형상을 갖도록 절곡될 수 있다.
상기 함몰부(300)는 상기 복수 개의 제2 장착 홀(22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인서트 부재(210)의 적어도 일부 영역은 상기 함몰부(300)에 의해 노출 형성된다. 상기 함몰부(300)는 브라켓의 경량화에 기여하며, 원가 절감 측면에서 유리한 효과가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복수 개의 제2 장착 홀(220)은 복수 개의 앵커 홀(221) 및 타정 홀(222)을 포함하고, 함몰부(300)는 상기 복수 개의 앵커 홀(221)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경량화와 브라켓의 압축 강성, 내구성 등을 함께 고려할 때, 상기 함몰부(300)는 앵커 홀(221)에 주변에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앵커 홀(221) 주변에만 함몰부(300)가 형성됨에 따라, 창호 설치 시 앵커 및 창호 조립 단면 길이를 증가시켜 궁극적으로 브라켓 강도 및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앵커 홀(221)은 벽체 고정부(200)의 하측에 마련되고, 타정 홀(222)은 벽체 고정부(200)의 상측에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측 또는 하측은 도면을 기준으로 상대적 위치를 나타내는 것일 뿐이고, 예를 들어, 상측은 창호 고정부(100)와 벽체 고정부(200)의 경계 부분에 인접한 방향이고, 하측은 상측의 반대 방향이다.
그리고, 인서트 부재(210)는 상기 복수 개의 앵커 홀(221) 및 타정 홀(222)에 대응하는 인서트 홀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인서트 부재(210)는 인서트 사출 성형을 거쳐 벽체 고정부에 인서트될 수 있다. 창호 시공 시, 앵커 또는 못이 앵커 홀(221), 타정 홀(222) 및 인서트 홀에 각각 관통되어 브라켓은 벽체 및 창호에 고정될 수 있다.
도 7은 창호 전면 시공 시, 본 출원에 따른 L-브라켓의 조립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은 창호 후면 시공 시, 본 출원에 따른 L-브라켓의 조립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및 8을 참조하면, 본 출원에 따른 L-브라켓(10)은 창호 시공 시, 창호 프레임(20)과 외벽(30)의 두께에 따라 전면 또는 후면 시공을 한다. 예를 들어, 창호 프레임(20)의 두께가 외벽(30)보다 두꺼운 경우 전면 시공을 하고 (도 7 참조), 창호 프레임(20)과 외벽(30)의 두께가 동일한 경우 후면 시공을 한다 (도 8 참조).
본 출원에 따른 L-브라켓은 형상과 관련된 인자들의 구체적인 치수, 비율을 아래와 같이 조절함으로써, 전면과 후면 시공이 모두 가능한 장점을 가진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장착 홀(200)의 높이(미도시)는 벽체 고정부(200)의 두께(t2)와 동일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장착 홀의 높이와 벽체 고정부(200)의 두께(t2)가 동일하도록 형성됨에 따라, 전면과 후면 시공 시 조립 단차가 최소화되어 브라켓 변형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장착 홀의 높이와 벽체 고정부(200)의 두께(t2)는 각각 5 내지 20 mm, 7 내지 15mm 또는 9 내지 12mm 범위 내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0mm일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벽체 고정부(200)의 두께에 대한 창호 고정부(100)의 두께 비는 1 미만, 0.9 미만, 0.8 미만, 0.7 미만, 0.6 미만 또는 0.5 미만일 수 있다. 상기 비율은 창호 고정부(100)의 두께가 벽체 고정부(200)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되는 것을 의미한다. 창호 고정부(100)의 두께는 특히 후면 시공 가능 여부를 결정하는데 중요한 인자에 해당한다. 예를 들어, 상기 창호 고정부(100)의 두께는 5mm 이하, 4.5mm 이하, 4mm 이하, 3.5mm 이하 또는 3mm 이하일 수 있다. 창호 고정부(100)의 두께가 5mm 초과일 경우, 후면 시공이 불가능할 수 있다.
또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인서트 부재(210)는 인서트 길이(lc)가 1.5mm 이상, 2.0mm 이상 또는 2.5mm 이상일 수 있다. 인서트 길이(lc)는 벽체 고정부에 인서트되는 인서트 부재의 가장 자리의 길이를 의미하며, 인서트 길이(lc)를 상기 범위로 조절함으로써, 인서트 부재(210)의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반면, 인서트 길이(lc) 가 1.5mm 미만인 경우, 높은 압축 하중 시 인서트 부재(210)와 벽체 고정부(200) 사이의 계면 박리가 발생하여 브라켓이 파괴될 우려가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브라켓은 길이방향을 따라 창호 고정부(100) 및 벽체 고정부(200)에 걸쳐 마련되며, 창호 고정부(100) 및 벽체 고정부(200)의 적어도 일부 영역이 두께 방향을 따라 돌출된 포밍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포밍부(500)는 길이 방향을 따라 창호 고정부(100) 및 벽체 고정부(200)에 걸쳐 연속적으로 마련될 수 있고, 또는 단속적으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창호 및 벽체와 마주보는 브라켓의 일면을 외주면이라 지칭하고, 외주면의 반대 방향의 면을 내주면이라 지칭할 때, 상기 포밍부(500)는 외주면 측에서 내주면 측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대략 단면 형상이 "U"자 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포밍부(500)는 돌출된 외주면이 평면부 및 곡면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포밍부(500)는 폭 방향을 따라 적어도 2개 이상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브라켓의 길이 방향 중심을 기준으로 양 측에 2 개의 포밍부가 대칭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창호 고정부(100)의 폭(w1)에 대한 포밍부의 폭(w3)은 0.04 내지 0.07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창호 고정부(100)의 폭(w1)이 60mm인 경우, 포밍부의 폭(w3)은 2.5 내지 4.0mm 범위 내일 수 있다.
또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브라켓은 소정 두께(t3)를 갖고 창호 고정부(100) 및 벽체 고정부(200)의 폭 방향 양측 가장자리에 마련된 측면 리브(40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창호 고정부(100)의 폭(w1)에 대한 측면 리브(400)의 두께(t4) 비는 0.05 내지 0.07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창호 고정부(100)의 폭이 60mm인 경우, 측면 리브(400)의 두께(t4)는 3 내지 4.2mm 범위 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면 리브(400)는 포밍부(500)와 소정 간격(w45)을 형성할 수 있다. 창호 고정부(100)의 폭(w1)에 대한 상기 간격(w45)의 비는 0.07 내지 0.09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창호 고정부(100)의 폭(w1)이 60mm인경우, 상기 간격(w45)은 4.2 내지 5.4mm 범위 내일 수 있다.
상기 측면 리브(400)는 소정의 두께(t4)를 가지고, 창호 고정부 및 벽체 고정부의 두께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리브 본체(410), 및 리브 본체(410)에 일체로 형성된 종단부(420)를 포함하고, 상기 리브 본체(410)와 종단부(420)의 두께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종단부(420)는 소정의 길이(l42)를 가지고, 리브 본체(410)에서 멀어지는 길이 방향을 따라 두께(t4)가 감소할 수 있다. 즉, 측면 리브(400)의 종단부(420)는 날카로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종단부(420)의 끝단의 두께(t42)는 0.5 내지 1mm 범위 내일 수 있다. 본 출원에 따른 브라켓은 창호에 설치된 후 건물 외벽에 적용 시, 단열성을 보강하기 위해 외벽 내부에 단열 마감재가 적용될 수 있다. 이 때, 측면 리브(400)의 적어도 일부 영역은 단열 마감재에 삽입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측면 리브(400)의 종단부(420)가 단열 마감재에 삽입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측면 리브(400)는 적어도 일부 영역이 날카로운 형상을 가짐에 따라, 단열 마감재의 삽입이 용이한 장점을 가진다.
하나의 예시에서, 창호 고정부(100) 및 벽체 고정부(200)는 제1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사출 소재; 또는 유리 섬유 또는 탄소 섬유, 및 제2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제1 연속 섬유 복합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열가소성 수지는 폴리프로필렌(PP), 폴리아미드(PA6, PA66), 폴리페닐 설파이드(PPS) 또는 폴리에터에터케톤(PEEK)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공지된 다양한 사출 소재를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1 연속 섬유 복합재는 섬유와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함에 따라, 금속 재질과 유사하거나, 그 이상의 강도/강성을 보유하고, 또한, 연속 섬유 복합재는 열전도도(약 0.23 내지 1.06 W/mK)가 낮아서 창호의 단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열가소성 수지는 폴리아미드(PA), 폴리카보네이트(PC) 또는 폴리프로펠렌(PP)일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제1 연속 섬유 복합재는 총 중량 기준으로 유리 섬유 30 내지 50 중량% 또는 탄소 섬유 10 내지 2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유리 섬유의 함량이 30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면 강도, 강성이 낮아지는 문제가 있고, 50중량% 초과로 포함되면 섬유가 많기 때문에 성형성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또한, 탄소 섬유의 경우, 강도, 강성 및 성형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였을 때, 상기 범위 내로 포함되는 것이 적절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인서트 부재(210)는 유리 섬유 또는 탄소 섬유, 및 제2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제2 연속 섬유 복합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연속 섬유 복합재는 전술한 제1 연속 섬유 복합재와 섬유 함량에서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연속 섬유 복합재는 총 중량 기준으로 유리 섬유 40 내지 70 중량% 또는 탄소 섬유 10 내지 3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유리 섬유의 함량이 40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면 강도, 강성이 기존 제품보다 낮을 수 있고, 70중량% 초과로 되면 섬유가 많기 때문에 성형성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또한, 탄소 섬유의 경우, 강도, 강성 및 성형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였을 때, 상기 범위 내로 포함되는 것이 적절할 수 있다.
본 출원은 또한 창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 창호 시스템은 전술한 창호 설치용 L-브라켓이 설치된 단창 또는 이중창을 포함한다. 상기 창호 시스템은 창호 설치용 L-브라켓이 설치됨에 따라, 경량화, 우수한 압축 강도 및 낮은 열전도도가 구현되고, 원가 절감 및 대량 생산 측면에서 유리한 장점을 갖는다.
또한, 브라켓의 형상과 관련된 인자들의 구체적인 치수 조절을 통해 전면 및 후공 시공이 동시에 가능한 장점을 가진다.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창호 고정부
200: 벽체 고정부
300: 함몰부

Claims (16)

  1. 창호의 상부 및 측부에 설치되는 L-브라켓으로서,
    창호에 고정되기 위한 복수 개의 제1 장착 홀을 포함하는 제1 장착부를 갖는 창호 고정부;
    창호 고정부와 연결되고, 벽체에 고정되기 위한 복수 개의 제2 장착 홀을 포함하는 제2 장착부를 갖고, 상기 복수 개의 제2 장착 홀과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 개의 인서트 홀이 각각 형성된 인서트 부재를 포함하는 벽체 고정부; 및
    상기 복수 개의 제2 장착 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둘러싸도록 형성된 함몰부를 포함하고,
    상기 인서트 부재의 적어도 일부 영역은 함몰부에 의해 노출 형성된, 창호 설치용 L-브라켓.
  2. 제 1 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제2 장착 홀은 복수 개의 앵커 홀 및 타정 홀을 포함하고,
    함몰부는 상기 복수 개의 앵커 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둘러싸도록 형성된, 창호 설치용 L-브라켓.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장착 홀의 높이는 벽체 고정부의 두께와 동일하도록 형성된, 창호 설치용 L-브라켓.
  4. 제 1 항에 있어서, 벽체 고정부의 두께에 대한 창호 고정부의 두께 비는 1 미만인, 창호 설치용 L-브라켓.
  5. 제 1 항에 있어서, 창호 고정부의 두께는 5mm 이하인, 창호 설치용 L-브라켓.
  6. 제 1 항에 있어서, 인서트 부재는 인서트 길이가 1.5mm 이상인, 창호 설치용 L-브라켓.
  7. 제 1 항에 있어서, 길이방향을 따라 창호 고정부 및 벽체 고정부에 걸쳐 마련되며, 창호 고정부 및 벽체 고정부의 적어도 일부 영역이 두께 방향을 따라 돌출된 포밍부를 포함하는, 창호 설치용 L-브라켓.
  8. 제 7 항에 있어서, 창호 고정부의 폭에 대한 포밍부의 폭 비는 0.04 내지 0.07인, 창호 설치용 L-브라켓.
  9. 제 1 항에 있어서, 소정 두께를 갖고 창호 고정부 및 벽체 고정부의 폭 방향 양측 가장자리에 마련된 측면 리브를 추가로 포함하고,
    창호 고정부의 폭에 대한 측면 리브의 두께 비는 0.05 내지 0.07인, 창호 설치용 L-브라켓.
  10. 제 1 항에 있어서, 창호 고정부 및 벽체 고정부는 제1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사출 소재; 또는 유리 섬유 또는 탄소 섬유, 및 제2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제1 연속 섬유 복합재로 형성된, 창호 설치용 L-브라켓.
  11. 제 10 항에 있어서, 제1 열가소성 수지는 폴리프로필렌(PP), 폴리아미드(PA6, PA66), 폴리페닐 설파이드(PPS) 또는 폴리에터에터케톤(PEEK)인, 창호 설치용 L-브라켓.
  12. 제 10 항에 있어서, 제2 열가소성 수지는 폴리아미드(PA), 폴리카보네이트(PC) 또는 폴리프로펠렌(PP)인, 창호 설치용 L-브라켓.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속 섬유 복합재는 총 중량 기준으로 유리 섬유 30 내지 50 중량% 또는 탄소 섬유 10 내지 20 중량%를 포함하는, 창호 설치용 L-브라켓
  14. 제 1 항에 있어서, 인서트 부재는 유리 섬유 또는 탄소 섬유, 및 제2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제2 연속 섬유 복합재로 형성된, 창호 설치용 L-브라켓.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속 섬유 복합재는 총 중량 기준으로 유리 섬유 40 내지 70 중량% 또는 탄소 섬유 10 내지 30 중량%를 포함하는 창호 설치용 L-브라켓.
  16. 제 1 항에 따른 창호 설치용 L-브라켓이 설치된 단창 또는 이중 창호을 포함하는 창호 시스템.
KR1020200073671A 2019-12-20 2020-06-17 창호 설치용 l-브라켓 KR1026238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022798027.3U CN215332285U (zh) 2019-12-20 2020-11-27 用于安装窗户的l型支架及包括其的窗户系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2251 2019-12-20
KR20190172251 2019-12-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0154A true KR20210080154A (ko) 2021-06-30
KR102623863B1 KR102623863B1 (ko) 2024-01-12

Family

ID=766022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3671A KR102623863B1 (ko) 2019-12-20 2020-06-17 창호 설치용 l-브라켓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623863B1 (ko)
CN (1) CN215332285U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2312B1 (ko) * 2018-10-23 2019-07-23 (주)엘지하우시스 창호 설치용 브라켓 및 이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2312B1 (ko) * 2018-10-23 2019-07-23 (주)엘지하우시스 창호 설치용 브라켓 및 이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15332285U (zh) 2021-12-28
KR102623863B1 (ko) 2024-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13866B2 (en) Hinge reinforced frame assembly
KR102123690B1 (ko) 창호브라켓
KR102345489B1 (ko) 단열 커튼월
CN113692473A (zh) 樘框和/或翼扇框的框架型材以及制造该框架型材的方法
KR20170004000U (ko) 간격 조절이 용이한 창호용 단열프레임
JP2022507873A (ja) フレーム組立体
KR20210080154A (ko) 창호 설치용 l-브라켓
KR102133944B1 (ko) 진공단열재 설치용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벽체 시공방법
US20080236095A1 (en) Door frame system
KR20090106204A (ko) 결로 방지 및 단열형 도어
CN210858398U (zh) 一种门窗与幕墙的连接结构
KR102002312B1 (ko) 창호 설치용 브라켓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053956B1 (ko) 브래킷조립체와 이를 포함한 외단열 벽체의 창호 시스템 및 창호 시공 구조체
KR102216669B1 (ko) 창호 설치용 브라켓
KR20210012131A (ko) 커튼 월의 프레임과 유리의 연결구조
KR102572860B1 (ko) 벽면 모서리용 진공단열재 설치 브라켓
KR20210079962A (ko) 창호 설치용 c-브라켓
KR101098985B1 (ko) 단열성과 조립성이 우수한 금속창호
KR101467446B1 (ko) 단열 창호
KR20220029078A (ko) 진공단열재 설치용 브라켓
KR102216795B1 (ko) 창호 설치용 브라켓
KR102216797B1 (ko) 창호 설치용 브라켓
KR20200110926A (ko) 구조 보강형 단열 창호 시스템
KR102216668B1 (ko) 창호 설치용 브라켓
JP4942026B2 (ja) 合成樹脂製中空パネ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