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7015B1 - 간격유지장치가 구비된 보도 현수교 - Google Patents

간격유지장치가 구비된 보도 현수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7015B1
KR101007015B1 KR1020080049533A KR20080049533A KR101007015B1 KR 101007015 B1 KR101007015 B1 KR 101007015B1 KR 1020080049533 A KR1020080049533 A KR 1020080049533A KR 20080049533 A KR20080049533 A KR 20080049533A KR 101007015 B1 KR101007015 B1 KR 1010070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cable
holder
reinforcement
cable
suspension bri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95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23451A (ko
Inventor
강창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휴먼브릿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휴먼브릿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휴먼브릿지
Priority to KR10200800495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7015B1/ko
Publication of KR200901234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34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70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70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1/00Suspension or cable-stayed bridges
    • E01D11/02Suspension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4Towers; Anchors ; Connection of cables to bridge parts; Saddle suppor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6Suspension cables; Cable clamps for suspension cables ; Pre- or post-stressed c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격유지장치가 구비된 보도 현수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면에 설치되는 앵커블럭과 한 쌍의 주탑에 연결된 하나의 주케이블 및 상기 주케이블과 보강형을 연결하는 다수의 행어로 이루어진 현수교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주탑 사이에 위치된 주케이블의 중앙부와 상기 보강형을 연결시키는 간격유지장치를 설치하여 환경변화 및 활하중에 의해 발생되는 종방향신축량을 감소시킬 수 있고, 횡방향의 풍하중에 의해 발생되는 주케이블과 보강형의 상대변위에 의해 행어로프에 과다한 응력이 발생되는 것을 완화할 수 있고 특히 삼각형식으로 이루어진 지지대는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구조계로 향상시킬 수 있다.
현수교, 주케이블, 보강형, 간격유지장치

Description

간격유지장치가 구비된 보도 현수교{The distance maintain apparatus of the sidewalk suspension bridge}
본 발명은 현수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케이블과 보강형에 연결되고, 주케이블과 보강형의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간격유지장치를 설치하여 환경변화 및 활하중에 의해 발생되는 종방향신축량을 감소시킬 수 있고, 횡방향의 풍하중에 의해 발생되는 주케이블과 보강형의 상대변위에 의해 행어로프에 과다한 응력이 발생되는 것을 완화할 수 있다
특히 삼각형식으로 이루어진 지지대는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구조계로 향상시킬 수 있는 간격유지장치가 구비된 보도 현수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은 바다, 하천, 산간 계곡 등을 횡단하거나 도로, 철도 등을 횡단하여 차량통행의 흐름을 원활히 하고자 하는 목적이 주이고, 또한 장애물을 사람이 통과하기 위하여 설치되고 있다.
교량계획중 연약지반 통과나 하천횡단시 홍수등에 의한 통수능확보 또는 부득이한 지장물 통과를 위해 교각의 수를 줄이고 장경간으로 계획되는 빈도가 늘어 나고 있으며, 국민의 삶의 질이 중요시되는 현대에서는 수려한 미관이 중요요인으로 부상되어 장경간교량을 선호하고 있다.
이러한 현안에 있어서 현재에 사용되어지는 장경간 교량공법이 다수 있으나, 그 중에서 최대 경간을 이룰 수 있으며, 미관이 뛰어난 현수교가 단연 최고의 공법이라 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현수교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종래 현수교의 주케이블과 보강형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현수교(1)는 보강형(2)과 주케이블(4), 주케이블(4)을 지지하기 위한 행어(5) 및 주케이블(4)을 장착하는 케이블 앵커블럭(6)으로 구성된다.
현수교(1)의 주케이블(4)은 시, 종점부가 앵커블럭(6)에 고정되고, 중앙부는 주탑부(3)의 새들(7)에 거치되어 하향경사진 곡률을 형성하게 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행어(5)가 설치되어 보강형(2)을 지지하게 된다.
그러나, 보도현수교(1)는 도로현수교 보다 활하중에 의해 종방향으로 상당한 신축이 발생되고 횡방향 풍하중에 의해 발생되는 주케이블(4)과 보강형(2)의 상대변위에 의해 행어로프에 과다한 응력이 발생되며 상기의 원인들이 교량의 안전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주케이블과 보강형에 연결되고, 주케이블과 보강형의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간격유지장치를 설치하여 환경변화 및 활하중에 의해 발생되는 종방향신축량을 감소시킬 수 있고, 횡방향의 풍하중에 의해 발생되는 주케이블과 보강형의 상대변위에 의해 행어로프에 과다한 응력이 발생되는 것을 완화할 수 있다
특히 삼각형식으로 이루어진 지지대는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구조계로 향상시킬 수 있는 간격유지장치가 구비된 보도 현수교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지면에 설치되는 앵커블럭과 한 쌍의 주탑에 연결된 하나의 주케이블 및 상기 주케이블과 보강형을 연결하는 다수의 행어로 이루어진 현수교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주탑 사이에 위치된 주케이블의 중앙부와 상기 보강형의 중앙부를 회전가능하도록 연결시키는 간격유지장치가 설치되어 환경변화에 의해 유동되는 보강형과 주케이블의 간격을 유지시킨다.
바람직하게, 상기 간격유지장치는, 상기 주케이블에 설치된 케이블홀더, 상기 보강형에 설치된 보강형홀더, 및 상기 케이블홀더와 보강형홀더에 양단이 상기 주케이블의 길이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힌지 연결되는 지지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지지대는, 상기 케이블홀더의 중앙부와 상기 보강형홀더의 일단부에 연결되도록 경사지게 설치된 한 쌍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간격유지장치는, 상기 주케이블에 설치된 케이블홀더, 상기 보강형에 설치된 보강형홀더, 및 상기 케이블홀더와 보강형홀더에 양단이 전후좌우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형상을 갖는 지지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지지대는, 상기 케이블홀더의 중앙부와 상기 보강형홀더의 일단부에 연결되도록 경사지게 설치된 한 쌍으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간격유지장치가 구비된 보도 현수교에 의하면, 환경변화 및 활하중에 의해 발생되는 종방향신축량을 감소시킬 수 있고, 횡방향 풍하중에 의해 발생되는 주케이블과 보강형의 상대변위가 발생하여 행어로프에 과다한 응력이 발생되는 것을 완화할 수 있으며, 특히 삼각형식으로 이루어진 지지대는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구조계로 향상시킬 수 있게 하는 매우 유용하고 효과적인 발명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단지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 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간격유지장치가 구비된 보도 현수교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간격유지장치가 구비된 보도 현수교의 간격유지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간격유지장치가 구비된 보도 현수교의 간격유지장치에 의한 유동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간격유지장치가 구비된 보도 현수교의 간격유지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간격유지장치가 구비된 보도 현수교의 간격유지장치의 다른 실시 예의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간격유지장치가 구비된 보도 현수교의 간격유지장치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유동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현수교(10)는 지면에 고정되는 앵커블럭(600)과 앵커블럭(600) 사이에 설치되는 한 쌍의 주탑(100)이 구비되고, 앵커블럭(600)에 양단이 고정되어 주탑(100)에 걸쳐지는 주케이블(300)이 설치된다.
그리고 주탑(100)의 하단부에 위치되어 이격된 지면을 연결하는 보강형(200) 및 보강형(200)을 주케이블(300)에 연결하여 지지하는 다수의 행어(500)로 구성된다.
또한, 주케이블(300)의 하향 곡률을 이루는 중앙부와 보강형(200)을 연결하는 간격유지장치(400)가 설치되어 주케이블(300)과 보강형(200)의 간격을 일정범위 내에서 유지시켜준다.
간격유지장치(400)는 케이블홀더(410)와 보강형홀더(420) 및 지지대(430)로 구성되며, 케이블홀더(410)는 주케이블(300)의 중간부에 설치되고, 보강형홀 더(420)는 보강형(200)의 중간 일측에 설치된다.
그리고 지지대(430)는 케이블홀더(410)의 하단과 보강형홀더(420)의 상단을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된다.
다시 말해, 도 4 및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블홀더(410)는 주케이블(300)의 하향곡률을 이루는 중간부에 설치되고, 보강형홀더(420)는 케이블홀더(410)의 하측인 보강형(200)에 설치되며, 지지대(430)가 케이블홀더(410)와 보강형홀더(420)의 간격을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지지대(430)는 케이블홀더(410)와 보강형홀더(420)에 회동이 가능하도록 양단이 힌지 연결되며 삼각형 형상으로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설치되면 우선 삼각구조로서 활하중에 의한 보강형 처짐을 주케이블에 전달하여 신축이음량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횡방향 풍하중에 의한 주케이블(300)과 보강형(200) 변위차이를 지지대(430)의 높은 강성으로 줄여서 행어로프에 발생되는 응력을 줄이므로서, 구조적으로 안전하며 경제적인 교량구조물을 완성할 수 있다.
또한, 도 6 내지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간격유지장치(400')는 케이블홀더(410')와 보강형홀더(420') 및 지지대(430')로 구성되며, 케이블홀더(410')는 주케이블(300')의 중간부에 설치되고, 보강형홀더(420')는 보강형(200')의 중간부 일측에 설치된다.
그리고 지지대(430')는 케이블홀더(410')의 하단과 보강형홀더(420')의 상단을 전후좌우 회동가능하도록 연결하게 된다.
다시 말해, 지지대(430')는 케이블홀더(410')와 보강형홀더(420')와 상하좌우회동이 가능하도록 양단이 구형상으로 형성되고, 지지대(430')의 단부가 결합되는 케이블홀더(410')와 보강형홀더(420')에 이에 대응되는 결합홈이 형성된다.
또한, 지지대(430')는 다수 개 형성되어 상호 대응되는 경사를 이루도록 케이블홀더(410')와 보강형홀더(420')에 결합되는 것으로, 케이블홀더(410')의 하단 중간부에서 보강형홀더(420')의 상단 양측부에 연결되도록 경사를 이루게 된다.
다시 말해, 지지대(430')는 보강형홀더(420')를 하측변으로 삼각형 형상을 이루어 보강형(200) 및 주케이블(300)에 전달되는 외부충격을 용이하게 감소시키고, 보강형(200)과 주케이블(300)의 간격을 유지시킬 수 있어 행어(500)를 보완하게 된다.
도 1은 종래 현수교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종래 현수교의 주케이블과 보강형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간격유지장치가 구비된 보도 현수교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간격유지장치가 구비된 보도 현수교의 간격유지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간격유지장치가 구비된 보도 현수교의 간격유지장치에 의한 유동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간격유지장치가 구비된 보도 현수교의 간격유지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간격유지장치가 구비된 보도 현수교의 간격유지장치의 다른 실시 예의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간격유지장치가 구비된 보도 현수교의 간격유지장치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유동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현수교 100 : 주탑
200 : 보강형 300 : 주케이블
400, 400' : 간격유지장치 410, 410' : 케이블홀더
420, 420' : 보강형홀더 430, 430' : 지지대
500 : 행어 600 : 앵커블럭

Claims (5)

  1. 지면에 설치되는 앵커블럭과 주탑에 연결된 하나의 주케이블 및 상기 주케이블과 보강형을 연결하는 다수의 행어로 이루어진 현수교에 있어서,
    상기 주탑 사이에 위치된 주케이블의 중앙부와 상기 보강형의 중앙 가장자리를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시키는 간격유지장치가 설치되어 환경변화에 의해 유동되는 보강형과 주케이블의 간격을 유지시키되,
    상기 간격유지장치는,
    상기 주케이블에 설치된 케이블홀더;
    상기 보강형에 설치된 보강형홀더; 및
    상기 케이블홀더와 보강형홀더에 양단이 상기 주케이블의 길이방향으로 회전가능하거나 전후좌우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지지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대는 케이블홀더의 중앙부와 상기 보강형홀더의 일단부에 연결되도록 경사지게 설치된 한 쌍으로 이루어져 보강형홀드(420')를 하측변으로하고, 지지대는 삼각형의 측변을 이루어 삼각형 형상을 갖도록 함으로써 보강형(200) 및 주케이블(300)에 전달되는 외부충격을 감소시킴과 동시에, 보강형(200)과 주케이블(300)의 간격을 유지시켜 행어(500)를 보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격유지장치가 구비된 보도 현수교.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홀더와 보강형홀더에 지지대가 조립됨에 있어, 지지대가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 연결되거나 전후좌우 회전 가능하도록 구형상으로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격유지장치가 구비된 보도 현수교.
KR1020080049533A 2008-05-28 2008-05-28 간격유지장치가 구비된 보도 현수교 KR1010070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9533A KR101007015B1 (ko) 2008-05-28 2008-05-28 간격유지장치가 구비된 보도 현수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9533A KR101007015B1 (ko) 2008-05-28 2008-05-28 간격유지장치가 구비된 보도 현수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3451A KR20090123451A (ko) 2009-12-02
KR101007015B1 true KR101007015B1 (ko) 2011-01-12

Family

ID=41685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9533A KR101007015B1 (ko) 2008-05-28 2008-05-28 간격유지장치가 구비된 보도 현수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701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64282B (zh) * 2020-05-19 2021-08-24 中交二航局第二工程有限公司 基于斜拉扣挂法的刚性悬索加劲钢桁梁桥施工方法
CN111663428B (zh) * 2020-06-24 2022-01-04 中铁二院工程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负拉索悬索桥
CN112900231B (zh) * 2021-01-18 2022-04-19 同济大学 一种大跨度悬索桥弹塑性中央扣装置
CN113322809B (zh) * 2021-06-16 2022-03-08 同济大学 适用于强震区的双工作状态易恢复型悬索桥中央扣
CN113356026B (zh) * 2021-06-16 2022-05-13 同济大学 牺牲型中央扣减震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43608A (ja) * 1998-06-02 1999-12-14 Kobe Steel Ltd 橋梁の制振構造
JP2000154507A (ja) 1998-11-20 2000-06-06 Kawasaki Heavy Ind Ltd 塔頂変位抑制型多径間吊橋
JP2001254312A (ja) * 2000-03-10 2001-09-21 Ohbayashi Corp 斜張橋ケーブルの制振装置
JP2004293113A (ja) 2003-03-26 2004-10-21 Oriental Construction Co Ltd 橋梁における床版と連結材の格点部構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43608A (ja) * 1998-06-02 1999-12-14 Kobe Steel Ltd 橋梁の制振構造
JP2000154507A (ja) 1998-11-20 2000-06-06 Kawasaki Heavy Ind Ltd 塔頂変位抑制型多径間吊橋
JP2001254312A (ja) * 2000-03-10 2001-09-21 Ohbayashi Corp 斜張橋ケーブルの制振装置
JP2004293113A (ja) 2003-03-26 2004-10-21 Oriental Construction Co Ltd 橋梁における床版と連結材の格点部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3451A (ko) 2009-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7015B1 (ko) 간격유지장치가 구비된 보도 현수교
KR100988670B1 (ko) 주케이블을 주탑 좌우로 분리시공하는 보도 현수교
CN103821075B (zh) 大跨径斜拉装配式公路钢桥
CN203923882U (zh) 单侧背索钢结构斜拉桥
KR101624302B1 (ko) 윈드케이블의 시공방법
KR20190031617A (ko) 장경간 현수교용 공장제작형 평행강선 케이블 가설구조
WO2017129937A1 (en) Long span suspension bridges - cable geometry
CN103835238B (zh) 一种高墩斜拉桥0号块无支架施工方法及施工中的结构
JP2006322153A (ja) 不等径間における橋梁構造
CN211815595U (zh) 用于索塔的下塔柱拉压结构
KR101814532B1 (ko) 통행로의 좌굴 방지 제어수단이 구비되는 현수교
EP0666942B1 (en) Windbreak barrier for a suspension bridge structure, comprising flutter damping means
CN205295914U (zh) 城际铁路用单线简支u梁
CN108505428B (zh) 一种大夹角小半径多塔曲线斜拉桥
CN208415083U (zh) 一种桥梁抗压加固结构
CN106968178B (zh) 一种斜拉式吊桥主梁施工方法
WO2006065041A1 (en) Temporary bridge of a cable-stayed girder bridge type with a long span
CN205115986U (zh) 轨道交通用连续山型梁
CN204919326U (zh) 一种采用超高性能混凝土的简支梁桥桥面连续构造
CN221031704U (zh) 悬索式遮挡棚的安装结构
CN107574747B (zh) 一种公铁合建多塔斜拉桥的结构体系
KR100986116B1 (ko) 외부pc강선 정착기둥이 구비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슬래브교 및 이의 시공방법
CN205115985U (zh) 城际铁路用连续u梁
RU93409U1 (ru) Висячий пешеходный мост
CN212404843U (zh) 既有线路抗强风防护棚顶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