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6739B1 - 관람 의자용 팔걸이대 - Google Patents

관람 의자용 팔걸이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6739B1
KR101006739B1 KR1020080052972A KR20080052972A KR101006739B1 KR 101006739 B1 KR101006739 B1 KR 101006739B1 KR 1020080052972 A KR1020080052972 A KR 1020080052972A KR 20080052972 A KR20080052972 A KR 20080052972A KR 101006739 B1 KR101006739 B1 KR 1010067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memo
memo stand
case
cover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29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13154A (ko
Inventor
고성학
Original Assignee
혜성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혜성산업(주) filed Critical 혜성산업(주)
Priority to KR10200800529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6739B1/ko
Publication of KR200901131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31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67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67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47C7/68Arm-rest tables ; or back-rest tables
    • A47C7/70Arm-rest tables ; or back-rest tables of foldable 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3/00Combinations comprising two or more pieces of furniture of different kinds
    • A47B83/02Tables combined with se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12Theatre, auditorium, or similar chairs
    • A47C1/121Theatre, auditorium, or similar chairs having tipping-up se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47C7/622Receptacles, e.g. cup holders, storage containers
    • A47C7/624Receptacles, e.g. cup holders, storage containers located on side of seat, e.g. on armres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람 의자용 팔걸이대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성은 관람 의자(2)의 등받이(4) 양쪽 위치 중에서 적어도 한쪽 위치에 직립 설치되며 상면에는 개구부가 형성된 메모대 케이스(10)와, 상기 메모대 케이스(10)에 일측부가 힌지부(40)를 매개로 결합되어 상기 메모대 케이스(10)의 상면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된 커버(30)와, 후단부측에 돌출되도록 구비된 커버 개방 작동체(50)가 힌지부(53)를 매개로 상기 메모대 케이스(10)에 결합되며 상기 커버 개방 작동체(50)의 상면에는 후단부에서 전단부로 갈수록 상향 경사진 개방 가이드면(150)이 형성된 메모대 받침판(70)과, 상기 메모대 받침판(70)의 상면에 장착된 메모대(8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메모대(80)와 상기 커버 개방 작동체(50)를 상기 메모대 케이스(10)의 상기 힌지부(53)를 중심으로 상기 등받이(4) 방향으로 접어주는 과정에서 상기 커버 개방 작동체(50)의 상면에 형성된 상기 개방 가이드면(150)을 상기 커버(30)의 전단부가 타고 올라가면서 상기 커버(30)가 상기 힌지부(53)를 상기 메모대 케이스(10)의 일측면 방향으로 자동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관람 의자, 메모대 케이스, 커버 개방 작동체, 제1커버, 제2커버

Description

관람 의자용 팔걸이대{Audience chair arm supporter with double cover structure}
본 발명은 관람 의자용 팔걸이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착석자가 의자의 시트에 앉아서 메모대를 자신의 신체 방향으로 당겨주기만 하면 자동으로 팔걸이대의 커버가 개방되는 구조를 취한 새로운 관람 의자용 팔걸이대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메모대 케이스의 상면 개구부를 덮어주는 구조를 이중 커버 구조로 함으로써, 소음 발생이나 도장이 벗겨지는 현상없이 커버를 개방하여 메모대를 수납하거나 꺼낼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관람 의자용 팔걸이대에 관한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관람중에 화재 발생과 같은 비상 상황이나 위급 상황시에 메모대를 잡고 그냥 뒤로 제껴주기만 하면 되므로, 위험 상황에서 신속하게 탈출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관람 의자용 팔걸이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극장이나 연극 공연장 등에는 관람석이 계단식으로 구비되고, 계단식 관람석의 바닥에는 복수개의 관람용 의자가 옆으로 나란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관람용 의자는 등받이와, 이 등받이의 양측에 구비된 한 쌍의 의자 다리와, 의자 다리에 양측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접혀질 수 있도록 된 시트를 갖는 구조를 취한다.
이러한 구조의 관람용 의자는 계단식으로 된 관람석의 바닥에 의자 다리가 앵커링 볼트와 너트 등에 의해 고정되어 설치되는 것으로, 관람자가 시트를 수평 방향으로 펼친 다음, 시트에 앉아서 관람하게 된다.
한편, 관람 의자의 다리 부분에는 메모대 케이스가 구비되고, 메모대 케이스에는 메모대가 의자의 전방으로 회동 인출되거나 의자의 등받이 방향으로 회동 수납되도록 구성되어, 메모대를 메모대 케이스에서 회동 인출시켜 수평 방향으로 펼쳐놓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 있다. 또한, 메모대를 메모대 케이스 안으로 수납하였을 때, 메모대 케이스의 상면 개구부는 커버로 덮어주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메모대 케이스를 커버로 덮어줌으로써, 커버 위에 팔을 올려놓을 수 있는 팔걸이대 기능을 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종래에는 메모대 케이스에 메모대를 수납하기 위해서는 착석자가 먼저 메모대 케이스 상면의 커버를 열어주어야 하므로, 메모대 수납시 불편을 주는 단점이 있다. 즉, 메모대를 착석자의 방향으로 상향 회동시키면 자동으로 커버가 열리면서 메모대 케이스에 메모대를 그대로 수용할 수 있는 구조가 아니므로, 메모대 수납시 불편을 주는 등의 단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종래에는 메모대 케이스의 커버가 단일의 커버로만 구성되어, 커버를 열어줄 때, 커버가 관람 의자의 등받이 옆에 부딪혀서 심한 소음이 발생되는 단점이 있다. 예를 들어, 조용하게 영화를 관람하는 도중에 커버가 등받이 옆에 부딪혀 소음이 나게 되면, 다른 사람들의 관람에 방해가 되는 것과 같이 바람직하지 못한 결과를 초래한다.
아울러, 커버를 열때마다 등받이 옆에 부딪히는 충격력이 누적됨으로 인하여, 커버 표면의 도장이 벗겨지는 단점이 있으며, 이처럼 커버의 도장이 벗겨지면 미관상으로도 좋지 않은 것이다.
또한, 종래에는 화재 발생시와 같은 비상 상황이나 긴급 상황 발생시 대피할 때에 문제가 될 수 있다. 즉, 비상시나 위급시 긴급 대피하고자 할 때에는 메모대가 걸리적거리면서 사람들이 신속하게 대피할 수 없는 관계로, 메모대를 신속하게 제껴서 통로를 확보해야만 하는데, 종래에는 메모대 케이스의 커버를 열어준 다음, 다시 메모대를 뒤로 제껴 주어야만 하므로, 대피 통로 확보 시간이 그만큼 많이 길어지기 때문에, 비상시나 위급시 긴급 대피하고자 하는 경우 방해가 되는 등의 문제를 일으킬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착석자가 메모대를 자신의 신체 방향으로 당겨주기만 하면 자동으로 팔걸이대의 커버가 개방되는 구조를 취하므로, 메모대 수납이 보다 편리하게 이루질 수 있으면서도 메모대 수납시 커버가 자동 개방되는 구조를 심플한 구조로 구현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갖는 새로운 커버 자동 개방 구조를 구비한 관람 의자용 팔걸이대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메모대 케이스의 상면 개구부를 덮어주는 구조를 이중 커버 구조로 함으로써, 커버를 열어 줄 때에 등받이에 커버가 부딪힘으로 인한 소음이 발생되는 현상을 방지하고, 커버가 관람 의자의 등받이에 부딪힘으로 인하여 도장이 벗겨지는 경우를 방지하여 미관상으로 바람직한 이중 커버 구조를 구비한 관람 의자용 팔걸이대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비상 사태나 위급 상황으로 인하여 신속한 대피가 필요한 경우, 메모대를 잡고 뒤로 제껴주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위험 상황에서 신속하게 탈출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성의 관람 의자용 팔걸이대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관람 의자의 등받이 양쪽 위치 중에서 적어도 한쪽 위치에 직립 설치되며 상면에는 개구부가 형성된 메모대 케이스와, 상기 메모대 케이스에 일측부가 힌지부를 매개로 결합되어 상기 메모대 케이스의 상면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된 커버와, 후단부측에 돌출되도록 구비된 커버 개방 작동체가 힌지부를 매개로 상기 메모대 케이스에 결합되며 상기 커버 개방 작동체의 상면에는 후단부에서 전단부로 갈수록 상향 경사진 개방 가이드면이 형성된 메모대 받침판과, 상기 메모대 받침판의 상면에 장착된 패널 형상의 메모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메모대와 상기 커버 개방 작동체를 상기 메모대 케이스의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상기 등받이 방향으로 접어주는 과정에서 상기 커버 개방 작동체의 상면에 형성된 상기 개방 가이드면에 상기 커버의 전단부가 타고 올라가면서 상기 커버가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상기 메모대 케이스의 일측 방향으로 자동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자동 개방 구조를 구비한 관람 의자용 팔걸이대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관람 의자의 등받이 양쪽 위치 중에서 적어도 한쪽 위치에 직립 설치되며 상단부에는 개구부가 형성된 메모대 케이스와, 상기 메모대 케이스의 상면 개구부 중에서 상기 등받이의 측면부와 인접된 부분의 후방측 개구부를 덮어주도록 상기 메모대 케이스에 고정된 제1커버와, 상기 메모대 케이스의 상면 개구부 중에서 상기 등받이의 측면부를 벗어난 전방측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상기 메모대 케이스에 힌지부를 매개로 결합된 제2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된 이중 커버 구조를 구비한 관람 의자용 팔걸이대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메모대를 펼쳐서 사용하다가 의자 착석자가 메모대를 자신의 신체 방향으로 당겨주면 자동으로 팔걸이대의 커버가 개방되는 구조를 취하므로, 메모대 수납이 보다 편리하게 이루질 수 있으며, 메모대 수납시 커버가 자동 개방되는 구조를 심플한 구조로 취득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메모대 케이스의 상면 개구부 중에서 관람 의자의 등받이 측면부에 위치되는 부분은 제1커버가 고정 결합되고, 등받이의 측면 부위를 벗어난 위치에는 회동 개폐되는 제2커버를 갖는 이중 커버 구조를 취함으로써, 제2커버를 열어줄 때, 등받이의 측면 부위에 제2커버가 부딪히는 일이 없기 때문에, 커버를 열어 줄 때에 등받이에 부딪힘으로 인한 소음이 발생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으며, 조용한 관람이 필요한 장소에서 소음으로 인한 관람 방해을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고, 아울러, 커버가 관람 의자의 등받이에 부딪힘으로 인하여 표면의 도장이 벗겨지는 경우를 방지하므로, 미관상으로도 바람직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메모대가 수직 방향으로 회동된 상태에서는 코일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스톱퍼가 커버 개방 작동체의 제2스톱퍼 안착홈에 수용되도록 하여 수직 상태를 유지하고, 메모대가 수평 방향으로 펼쳐진 때에는 코일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스톱퍼가 커버 개방 작동체의 제1스톱퍼 안착홈에 수용되도록 하여 수평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메모대의 수직 상태와 수평 상태를 비교적 심플하면서도 견고한 구조도 겸비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관람장에 화재가 발생하는 것과 같은 긴급 상황 시나 위험 상황시에 착석자가 손으로 메모대를 잡고 뒤로 제껴주는 동작을 하게 되면, 메모대 케이스의 커버가 자동적으로 열리는 구조를 취한 것으로, 긴급 상황 발생시에 보다 신속하고 용이하게 메모대를 제껴놓고 대피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를테면, 본 발명은 메모대를 커버를 먼저 열지 않고 메모대를 제끼면서 동시에 커버를 열어주는 구조를 취함으로써, 보다 빠르게 관람석에 대피 통로를 확보할 수 있으므로, 긴급 상황시나 위급 상황시에 신속하게 대피하는데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는 발명이라 하겠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을 채용한 관람 의자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제2커버를 메모대 케이스에서 열어놓은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을 채용한 관람 의자의 메모대 케이스에서 메모대를 인출하여 사용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메모대 받침판와 메모대 및 커버 개방 작동체를 분해하여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조립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제2커버가 자동 개방되는 상태를 측면에서 보여주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주요부인 제1커버와 제2커버의 측면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제1커버의 후면도,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커버 개방 작동체를 중심으로 메모대 받침판을 회동시키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관람 의자(2)의 등받이(4) 양쪽 위치 중에서 적어도 한쪽 위치에 직립 설치되며 상단부에는 개구부가 형성된 메모대 케이스(10)와, 메모대 케이스(10)에 일측부가 힌지부(40)를 매개로 결합되어 메모대 케이스(10)의 상면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된 커버(30)와, 후단부측에 돌출되도록 구비된 커버 개방 작동체(50)가 힌지부(53)를 매개로 상기 메모대 케이스(10)의 전방 상측에 결합되며 커버 개방 작동체(50)의 상면에는 후단부에서 전단부로 갈수록 상향 경사진 개방 가이드면(150)이 형성된 메모대 받침판(70)과, 메모대 받침판(70)의 상면에 장착된 메모대(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메모대 케이스(10)는 관람 의자(2)의 양쪽 위치의 다리(6)에 지지되어 수직 방향으로 직립 설치된다. 이러한 메모대 케이스(10)는 내부에 수납 공간이 형성된 박스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메모대 케이스(10)의 상면에는 개구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은 제1커버(20)와 제2커버(30)를 구비한 이중 커버 구조로 이루어진다. 제1커버(20)는 저면에 사각 블록 형상의 삽입 결합부(22)가 구비되어, 이 삽입 결합부(22)가 메모대 케이스(10)의 내부에 억지 끼움식으로 결합되어 제1커버(20)가 메모대 케이스(10)에 견고하게 고정 결합된다. 제1커버(20)는 관람 의자(2)의 등받이(4)의 측면과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메모대 케이스(10)의 상면 후방 개구부를 막는 구조를 취한다.
제2커버(30)는 메모대 케이스(10)의 상면 개구부에 힌지부(40)(본 실시예에서는 경첩)를 중심으로 옆으로 회동 개폐되도록 결합된 것으로, 메모대 케이스(10) 의 상면 개구부 중에서 관람 의자(2)의 등받이(4) 측면 부위를 벗어난 부분을 개폐하게 된다. 즉, 제2커버(30)가 관람 의자(2)의 등받이(4) 측면 부위를 벗어난 위치에서 힌지부(40)를 중심으로 메모대 케이스(10)의 일측면부 방향으로 회동 개폐되므로, 제2커버(30)를 열더라도 제2커버(30)가 관람 의자(2)의 등받이(4)에 부딪히는 일이 없게 된다.
한편, 상기 메모대 케이스(10)의 전방 상측에는 힌지부(53)를 중심으로 커버 개방 작동체(50)가 결합된다. 즉, 메모대 케이스(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힌지축(42)이 커버 개방 작동체(50)의 기단부에 일체화된 힌지축 지지관(50a)에 결합되므로, 커버 개방 작동체(50)가 힌지부(53)를 중심으로 메모대 케이스(10)의 전방으로 회동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커버 개방 작동체(50)의 힌지축 지지관(50a) 양단부에는 합성수지 부시(44)가 결합되고, 힌지축(42)은 힌지너트(42a)와 힌지볼트(42b)로 구성되어, 메모대 케이스(10)의 양측벽을 관통하여 결합된 힌지너트(42a)와 힌지볼트(42b)를 커버 개방 작동체(50)의 힌지축 지지관(50a) 양단부에 결합된 합성수지 부시(44)에 삽입하여 서로 나사식으로 결합하면, 커버 개방 작동체(50)를 힌지부(53)를 중심으로 메모대 케이스(10)의 전방으로 회동 인출시키거나 수납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커버 개방 작동체(50)에는 메모대 받침판(70) 후방의 연결축(72)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메모대 받침판(70)의 상면에는 메모대(80)가 결합된다. 또한, 커버 개방 작동체(50)에는 스톱퍼 작동공(52)이 형성되고, 스톱퍼 작동공(52)은 커버 개방 작동체(50)의 길이 방향에 대해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또한, 스톱퍼 작동공(52)의 내벽면에는 중간의 돌출된 임계부(56)를 기준으로 양측에 제1스톱퍼 안착홈(54)과 제2스톱퍼 안착홈(56)이 형성된다.
상기 커버 개방 작동체(50)를 힌지부(53)를 중심으로 메모대 케이스(10)의 전방으로 인출하였을 때, 커버 개방 작동체(50)의 상측을 기준으로 제1스톱퍼 안착홈(54)은 커버 개방 작동체(50)의 상면 방향에 위치되고, 상기 제2스톱퍼 안착홈(56)은 커버 개방 작동체(50)의 측면 방향에 위치된다.
상기 커버 개방 작동체(50)의 스톱퍼 작동공(52)을 관통한 스톱퍼(60)는 메모대 받침판(70) 후방의 연결축(72)에 나사식으로 결합되고, 커버 개방 작동체(50)의 내부와 메모대 받침판(70) 후방의 연결축(72) 사이에는 도 4에 도시된 코일 스프링(90)이 개재되어, 메모대 받침판(70)과 이에 결합된 메모대(80)가 스톱퍼(60)와 코일 스프링(90)에 의해 수평으로 펼쳐진 상태와 수직으로 접혀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커버 개방 작동체(50)의 상면(즉, 커버 개방 작동체(50)를 힌지부(53)를 중심으로 메모대 케이스(10)의 전방으로 회동시켰을 때 위쪽을 향하는 면)에는 후단부에서 전단부로 갈수록 상향 경사진 개방 가이드면(150)이 형성된다. 개방 가이드면(150)은 커버 개방 작동체(50)의 후단부에서 전단부로 갈수록 경사진 면으로 이루어지면 되는데, 바람직하게, 개방 가이드면(150)이 커버 개방 작동체(50)의 후단부에서 전단부로 갈수록 곡면형태로 경사지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메모대 케이스(10)에 수납되어 있던 메모대(80)를 잡고 힌지부(53)를 중심으로 메모대 케이스(10)의 전방으로 회동 인출시 키면, 커버 개방 작동체(50)가 메모대 케이스(10)의 전단부에 형성된 오목 수용홈에 커버 개방 작동체(50)가 안착됨과 동시에 메모대 받침판(70)과 메모대(80)는 수직 방향(관람 의자(2)가 착석한 시트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유지된다. 물론, 메모대 받침판(70)의 연결축(72)에 고정된 스톱퍼(60)가 커버 개방 작동체(50)의 측면에 위치된 제2스톱퍼 안착홈(56)에 코일 스프링(90)의 탄성력에 의해 가압 밀착되어 수용된 상태이므로, 메모대 받침판(70)과 메모대(80)가 수직 방향으로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관람자가 메모대(80)를 파지하고 관람 의자(2)의 시트와 나란한 수평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메모대 받침판(70)과 연결축(72)도 함께 회전하게 되는데, 코일 스프링(90)의 탄성력에 의해 스톱퍼(60)가 커버 개방 작동체(50)의 스톱퍼 작동공(52) 내벽면에 가압 밀착되도록 탄지된 상태이므로, 스톱퍼(60)가 스톱퍼 작동공(52)의 내벽면을 타고 넘어가면서 중간의 돌출된 임계부(56)를 넘어가면, 스톱퍼(60)가 커버 개방 작동체(50) 상면 위치의 제1스톱퍼 안착홈(54)에 안착 결합되며, 코일 스프링(90)의 탄성력에 의해 스톱퍼(60)가 커버 개방 작동체(50)의 제1스톱퍼 안착홈(54)에 탄성 밀착되므로, 수평 방향으로 회동된 메모대 받침판(70)과 이에 장착된 메모대(80)가 수평 방향으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커버 개방 작동체(50)의 상면에는 후단부에서 전단부로 갈수록 상향 경사진 개방 가이드면(150)이 형성된 구조를 취하여, 메모대(80)를 수평으로 펼쳐서 사용하다가 착석자가 메모대(80)를 메모대 케이스(10)의 힌지부(53)를 중심으로 자신의 신체 방향으로 상향 회동시키는 순간, 커버 개방 작동체(50) 상면의 개방 가이드면(150)에 제1커버(30)의 전단부 저면이 접촉된 상태로 커버 개방 작동체(50)의 개방 가이드면(150)을 타고 올라가면서 제1커버(20)가 자동으로 일측의 힌지부(40)를 중심으로 메모대 케이스(10) 옆으로 열리기 때문에, 메모대 케이스(10)에 메모대(80)를 수납하는 과정이 쉽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다시 말해, 제1커버(20)를 미리 열어줄 필요 없이, 착석자가 메모대(80)를 메모대 케이스(10)의 힌지부(53)를 중심으로 자신의 신체 방향으로 끌어당겨 주기만 하면, 자동으로 커버 개방 작동체(50)의 개방 가이드면(150)을 타고 제1커버(20)가 열리기 때문에, 메모대(80) 수납 과정이 보다 신속하고 쉽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으며, 나아가, 메모대 케이스(10)의 커버를 자동 개방하기 위한 구조를 심플하게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메모대 케이스(10)의 상면 개구부에 제1커버(20)와 제2커버(30)로 이루진 것에 특징이 있다. 즉, 메모대 케이스(10)의 상면 개구부 중에서 등받이(4)의 측면부와 인접된 부분의 후방측 개구부를 덮도록 메모대 케이스(10)에 고정된 제1커버(20)와, 메모대 케이스(10)의 상면 개구부 중에서 등받이(4)의 측면부를 벗어난 전방측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메모대 케이스(10)에 힌지부(40)를 매개로 결합된 제2커버(30)로 구성된다.
따라서, 메모대 케이스(10)의 상면 개구부 중에서 관람 의자(2)의 등받이(4) 측면부에 위치되는 부분은 제1커버(20)가 고정 결합되고, 등받이(4)의 측면 부위를 벗어난 위치에는 회동 개폐되는 제2커버(30)를 갖는 이중 커버 구조를 취함으로써, 제2커버(30)를 열어주더라도 등받이(4)에 제2커버(30)가 부딪히는 일이 없기 때문 에, 메모대 케이스(10)에서 커버를 열어 줄 때에 등받이(4)에 부딪힘으로 인한 소음이 발생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으며, 나아가, 조용한 관람이 필요한 장소에서 소음으로 인한 관람 방해을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으며, 커버가 관람 의자의 등받이(4)에 부딪힘으로 인하여 표면의 도장이 벗겨지는 경우를 방지하므로, 미관상으로도 바람직한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제1커버(20)의 저면에는 사각 블록 형상의 삽입 결합부(22)가 형성되어, 이러한 삽입 결합부(22)를 메모대 케이스(10)의 양측벽 사이에 끼움 결합하기만 하면 되므로, 조립이 보다 신속하고 용이한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그리고, 제2커버(30)를 닫은 상태에서는 관람 의자(2)의 시트(5)에 착석한 사람이 관람중에 제2커버(30) 위에 팔을 편안하게 올려놓을 수 있게 된다. 즉, 제2커버(30)를 닫은 상태에서 팔걸이대 기능을 할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서는 제1커버(20)의 상면과 제2커버(30)의 상면은 측면에서 볼 때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원호 형상이 되도록 곡면으로 처리되어, 관람자가 보다 편안하게 팔을 올려놓을 수 있음과 동시에 미관상으로 미려한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스톱퍼(60)는 커버 개방 작동체(50)의 스톱퍼 작동공(52)에 수용되어 메모대 받침판(70)의 연결축(72)에 고정된다. 스톱퍼(60)는 하측에 나사부가 형성되고, 메모대 받침판(70)의 연결축(72)에 나사홈이 형성되므로, 스톱퍼(60)가 메모대 받침판(70)의 연결축(72)에 나사식으로 결합 고정되며, 이처럼 메모대 받침판(70)의 연결축(72)에 고정된 스톱퍼(60)는 후술할 탄지수단의 탄성력에 의해 커 버 개방 작동체(50)의 제1스톱퍼 안착홈(54) 또는 제2스톱퍼 안착홈(56)에 탄성적으로 밀착된다.
상기 코일 스프링(90)은 커버 개방 작동체(50)에 내장되어 커버 개방 작동체(50) 기단부의 힌지축 지지관(52a)과 메모대 받침판(70)의 연결축(72) 사이에 개재되어, 메모대 받침판(70)의 연결축(72)에 고정된 스톱퍼(60)가 커버 개방 작동체(50)의 스톱퍼 작동공(52)에 형성된 제1스톱퍼 안착홈(54) 또는 제2스톱퍼 안착홈(56)에 탄성적으로 밀착되도록 탄지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메모대 케이스(10)가 메모대 케이스(10)에 수납되거나 메모대 케이스(10)에서 수납되어 수평 방향으로 유지되도록 하기 위하여, 메모대 받침판(70)의 연결축(72)에 스톱퍼(60)를 고정하고, 스톱퍼(60)는 탄지수단에 의해 메모대 케이스(10)에 전후방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커버 개방 작동체(50)의 스톱퍼 작동공(52)을 따라 탄성적으로 이동되도록 구성하며, 커버 개방 작동체(50)의 스톱퍼 작동공(52)에는 중간의 돌출된 임계부(56)를 기준으로 제1스톱퍼 안착홈(54)과 제2스톱퍼 안착홈(54)을 형성한 구조로서, 메모대(80)가 수직 방향으로 회동된 상태에서는 탄지수단인 코일 스프링(90)의 탄성에 의해 스톱퍼(60)가 커버 개방 작동체(50)의 제2스톱퍼 안착홈(58)에 수용되도록 하여 수직 상태를 유지하고, 메모대(80)가 수평 방향으로 펼쳐진 때에는 코일 스프링(90)의 탄성에 의해 스톱퍼(60)가 커버 개방 작동체(50)의 제1스톱퍼 안착홈(52)에 수용되도록 하여 수평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메모대(80)의 수직 상태와 수평 상태를 심플하고 견고한 구조로 달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점이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을 채용한 관람 의자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제2커버를 메모대 케이스에서 열어놓은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을 채용한 관람 의자의 메모대 케이스에서 메모대를 인출하여 사용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메모대 받침판와 메모대 및 커버 개방 작동체를 분해하여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조립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제2커버가 자동 개방되는 상태를 측면에서 보여주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주요부인 제1커버와 제2커버의 측면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제1커버의 후면도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커버 개방 작동체를 중심으로 메모대 받침판을 회동시키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Claims (6)

  1. 관람 의자(2)의 등받이(4) 양쪽 위치 중에서 적어도 한쪽 위치에 직립 설치되며 상면에는 개구부가 형성된 메모대 케이스(10)와, 상기 메모대 케이스(10)에 일측부가 힌지부(40)를 매개로 결합되어 상기 메모대 케이스(10)의 상면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된 커버(30)와, 후단부측에 돌출되도록 구비된 커버 개방 작동체(50)가 힌지부(53)를 매개로 상기 메모대 케이스(10)에 결합되며 상기 커버 개방 작동체(50)의 상면에는 후단부에서 전단부로 갈수록 상향 경사진 개방 가이드면(150)이 형성된 메모대 받침판(70)과, 상기 메모대 받침판(70)의 상면에 장착된 메모대(8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메모대(80)와 상기 커버 개방 작동체(50)를 상기 메모대 케이스(10)의 상기 힌지부(53)를 중심으로 상기 등받이(4) 방향으로 접어주는 과정에서 상기 커버 개방 작동체(50)의 상면에 형성된 상기 개방 가이드면(150)을 따라 상기 커버(30)의 전단부가 타고 올라가면서 상기 커버(30)가 상기 힌지부(53)를 상기 메모대 케이스(10)의 일측면 방향으로 자동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람 의자용 팔걸이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대 케이스(10)의 상면 개구부 중에서 상기 등받이(4)의 측면부와 인접된 부분의 후방측 개구부를 덮어주도록 상기 메모대 케이스(10)에 결합 고정된 제1커버(20)와, 상기 메모대 케이스(10)의 상면 개구부 중에 서 상기 등받이(4)의 측면부를 벗어난 전방측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상기 메모대 케이스(10)에 힌지부(40)를 매개로 결합되며 그 전단부는 상기 메모대(80)를 상기 힌지부(53)를 중심으로 상기 등받이(4) 방향으로 접을 때 상기 커버 개방 작동체(50)의 상기 개방 가이드면(150)을 타고 올라가면서 상기 힌지부(40)를 중심으로 상기 메모대 케이스(10)의 측면 방향으로 개방되는 제2커버(3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람 의자용 팔걸이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버(20)는 저면에 사각 블록 형상의 삽입 결합부(22)가 구비되어, 상기 삽입 결합부(22)가 상기 메모대 케이스(10)의 내부에 억지 끼움식으로 결합되어 상기 제1커버(20)가 상기 메모대 케이스(10)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람 의자용 팔걸이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대 받침판(70)의 후단부에 돌출된 연결축(72)이 상기 커버 개방 작동체(50)에 끼워져 결합되고, 상기 커버 개방 작동체(50)의 일측면에는 스톱퍼 작동공(52)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커버 개방 작동체(50)의 상기 스톱퍼 작동공(52)을 관통하여 상기 연결축에 스톱퍼(60)가 고정되며, 상기 커버 개방 작동체(50)와 상기 메모대 받침판(70)의 상기 연결축(72) 사이에는 상기 스톱퍼(60)를 상기 커버 개방 작동체(50)의 상기 스톱퍼 작동공(52)에 탄성적으로 밀착 시켜 상기 메모대 받침판(70)과 상기 메모대(80)를 상기 메모대 케이스(10)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펼쳐지거나 상기 메모대 케이스(10)와 나란한 방향으로 회동시킨 상태를 유지하는 코일 스프링(90)이 개재되며, 상기 스톱퍼 작동공(52)은 상기 커버 개방 작동체(50)의 길이 방향에 대해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스톱퍼 작동공(52)의 내벽면에는 중간의 임계부(56)의 양쪽에 제1스톱퍼 안착홈(54)과 제2스톱퍼 안착홈(56)이 형성되며, 상기 커버 개방 작동체(50)를 힌지부(53)를 중심으로 상기 메모대 케이스(10)의 전방으로 인출하였을 때, 상기 커버 개방 작동체(50)의 상측을 기준으로 상기 제1스톱퍼 안착홈(54)은 상기 커버 개방 작동체(50)의 상면 방향에 위치되고, 상기 제2스톱퍼 안착홈(56)은 상기 커버 개방 작동체(50)의 측면 방향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람 의자용 팔걸이대.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대 케이스(10)는 상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제2커버(30)에 의해 상면 개구부의 일부가 개폐되며, 상기 메모대 케이스(10)의 전단부에는 상면으로 개구된 오목 수용홈(22)이 형성되고, 상기 메모대 케이스(10)의 상기 오목 수용홈(22)에 근접된 위치에는 힌지부(53)를 매개로 전방으로 상향 회동되는 커버 개방 작동체(50)가 결합되며, 상기 커버 개방 작동체(5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메모대 받침판(70)의 상면에는 메모대(80)가 결합되며, 상기 커버 개방 작동체(50)와 상기 메모대 받침판(70) 및 상기 메모대(80)를 상기 힌지부(53)를 중심으로 상기 메모대 케이스(10)의 전방으로 회동 인출시킬 때, 상기 메모대 케이스(10)의 상기 오목 수용홈(22)에 상기 커버 개방 작동체(50)가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람 의자용 팔걸이대.
  6. 삭제
KR1020080052972A 2008-04-25 2008-06-05 관람 의자용 팔걸이대 KR1010067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2972A KR101006739B1 (ko) 2008-04-25 2008-06-05 관람 의자용 팔걸이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8605 2008-04-25
KR1020080052972A KR101006739B1 (ko) 2008-04-25 2008-06-05 관람 의자용 팔걸이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3154A KR20090113154A (ko) 2009-10-29
KR101006739B1 true KR101006739B1 (ko) 2011-01-10

Family

ID=41554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2972A KR101006739B1 (ko) 2008-04-25 2008-06-05 관람 의자용 팔걸이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673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2422B1 (ko) * 2013-07-19 2013-09-10 주식회사 다원체어스 강의실 의자의 수강판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42158U (ja) 1983-08-31 1985-03-25 株式会社 久保商店 椅子用受台
JPS61105061U (ko) 1984-12-14 1986-07-03
JPS63148250U (ko) 1987-03-19 1988-09-29
JPH0558455U (ja) * 1992-01-22 1993-08-03 カヤバ工業株式会社 収納テーブル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42158U (ja) 1983-08-31 1985-03-25 株式会社 久保商店 椅子用受台
JPS61105061U (ko) 1984-12-14 1986-07-03
JPS63148250U (ko) 1987-03-19 1988-09-29
JPH0558455U (ja) * 1992-01-22 1993-08-03 カヤバ工業株式会社 収納テーブル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3154A (ko) 2009-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16101B2 (en) Toilet chair assembly
FR2769286A1 (fr) Siege pour une cabine d'avion
KR101006739B1 (ko) 관람 의자용 팔걸이대
KR101054636B1 (ko) 관람의자용 시트 완충장치
JP2002136388A (ja) 椅子の背凭れ構造
JPH1175979A (ja) 劇場ホール用椅子
JP2007044147A (ja) ソファ
KR102125981B1 (ko) 익스텐션 틸팅 장치
JP6899247B2 (ja) 椅子
JP7096394B2 (ja) 椅子用背凭れ
KR101001932B1 (ko) 관람석 의자의 등받이 스톱퍼 구조 및 이를 구비한 관람석 의자
KR101398978B1 (ko) 편의성 향상 연결식 관람용 의자
KR100806352B1 (ko) 의자 팔걸이 구조
JP2002045246A (ja) 玄関収納装置
RU53862U1 (ru) Кресло для залов и стадионов
KR200257047Y1 (ko) 접었을 때 등받이와 좌판이 밀착되는 관람용 의자
JP6960824B2 (ja) 椅子
KR20090007511A (ko) 턱받침용 어셈블리를 구비한 의자
JP2013123575A (ja) 座跳ね上げ式椅子
TWI458455B (zh) 輕便控制傾斜鎖定裝置
JP6338213B2 (ja) 椅子
JP6338269B2 (ja) 椅子
CH200966A (fr) Chaise de salle publique.
KR101084998B1 (ko) 키높이 연단
KR200388370Y1 (ko) 수납공간을 가지는 의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8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