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7511A - 턱받침용 어셈블리를 구비한 의자 - Google Patents

턱받침용 어셈블리를 구비한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7511A
KR20090007511A KR1020070070900A KR20070070900A KR20090007511A KR 20090007511 A KR20090007511 A KR 20090007511A KR 1020070070900 A KR1020070070900 A KR 1020070070900A KR 20070070900 A KR20070070900 A KR 20070070900A KR 20090007511 A KR20090007511 A KR 200900075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r
jaw
support assembly
pillar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09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용
Original Assignee
김태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용 filed Critical 김태용
Priority to KR10200700709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7511A/ko
Publication of KR200900075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75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38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head
    • A47C7/383Detachable or loose head- or neck-supports, e.g. horse-shoe shaped

Landscapes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트프레임을 구비한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시트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결합하고, 수직위치로 회동시 고정되도록 고정수단을 구비한 회동지지파이프와; 하단이 상기 회동지지파이프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기둥부와, 상기 기둥부의 상단에 마련된 턱받침대를 구비한 턱받침용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의자에 착석한 상태에서 장시간 업무를 하거나 공부하는 동안에도 인체에 무리가 가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의자, 턱받침, 상체지지

Description

턱받침용 어셈블리를 구비한 의자{CHAIR HAVING CHIN SUPPORTING ASSEMBLY}
본 발명은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턱받침용 어셈블리를 구비한 의자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들은 많은 시간을 의자에 앉아서 지내고 있다. 즉, 사무직에 종사하는 직장인들은 책상과 의자에 앉아서 장시간 업무를 수행하고 있으며, 학생들의 경우 장시간 책상 앞에 앉아 공부를 하고, 컴퓨터를 하는 경우에도 의자를 이용한다.
이와 같이 많은 현대인들이 장시간 일정한 자세로 의자에 앉아 시간을 보내는 관계로, 상기 의자는 인체에 많은 무리가 가해지지 않게끔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종래의 일반적인 의자는 등받침대와 팔걸이를 구비하거나 둘 중 어느 하나만을 구비하거나, 또는 착석을 위한 시트 부분만 구비한 경우가 있다.
그러나, 착석자의 인체에 무리를 가하지 않도록 한다는 측면에서, 상기 팔걸이는 별다른 기능을 하는 바가 없고, 상기 등받침대는 업무 내지 공부를 잠시 쉬는 경우에 한해 편안한 휴식을 위해 기능할 뿐이다. 요컨대, 종래의 의자에 있어서는 업무를 하거나 공부하는 동안에 인체에 무리를 가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이 별도로 부여된 바가 없다고 할 것이다.
의자에 착석하여 업무를 수행하는 자세를 살펴보면, 많은 사람들이 상체를 앞으로 구부정하게 숙이고서 업무를 수행함을 알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불안정한 자세를 장시간 유지할 경우에는 인체의 척추, 등, 허리 등에 상당한 무리가 가해지게 되며, 심한 경우 치료가 필요한 정도로까지 상태가 악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의자에 착석한 상태에서 장시간 업무를 하거나 공부하는 동안에도 인체에 무리가 가해지지 않도록 한 의자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시트프레임을 구비한 의자에 있어서, 상기 시트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결합하고, 수직위치로 회동시 고정되도록 고정수단을 구비한 회동지지파이프와; 하단이 상기 회동지지파이프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기둥부와, 상기 기둥부의 상단에 마련된 턱받침대를 구비한 턱받침용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턱받침용 어셈블리는, 상기 기둥부의 중간 부위에서 좌우 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상체받침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시트프레임은, 일측에 상기 턱받침용 어셈블리를 걸어두기 위한 걸림부가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의자에 있어서, 전방에 전후 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삽입홀이 형성된 시트프레임; 및 하단이 상기 삽입홀에 탈착가능하게 안착되는 기둥부와, 상기 기둥부의 상단에 마련된 턱받침대를 구비한 턱받침용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턱받침용 어셈블리는, 상기 기둥부의 중간 부위에서 좌우 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상체받침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시트프레임은, 일측에 상기 턱받침용 어셈블리를 걸어두기 위한 걸림부가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등받이프레임을 구비한 회전의자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프레임의 상측에 상하로 신축가능하게 결합되는 기둥부와, 상기 기둥부의 상단에 마련된 턱받침대를 구비한 턱받침용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의자.
여기서, 상기 턱받침용 어셈블리는, 상기 기둥부의 중간 부위에서 좌우 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상체받침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턱받침용 어셈블리를 이용하여 착석자의 턱을 지지하여 줌으로써 착석자가 장시간 착석한 상태에서 업무를 하거나 공부하는 동안에도 인체에 무리가 가해지지 않아 자세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턱받침용 어셈블리를 구비한 의자(10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자(100)는 상부의 시트부(110), 시트부(110)의 후방에 마련된 등받이부(120), 시트부(110)의 하부에 마련되어 시트부(110)를 지지 및 이동하는 이동지지부(130)를 포함한다.
시트부(110)는 이동지지부(130)의 상단에 체결되는 시트프레임(111)과 시트프레임(111)의 상부에 마련되는 시트(112)를 포함한다. 시트프레임(111)에는,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도 2에서는 아래쪽)에 위치한 횡파이프(113)에 회동지지파이프(140)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에 대응하여, 시트(112)는 회동지지파이프(140)가 전방으로 회동 및 상승하여 돌출될 수 있도록 공간부(112a)가 형성되어 있다.
회동지지파이프(14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ㄱ'자 형태로 꺾여 있으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위치로 회전되어 시트(112) 위로 돌출된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볼트(141)를 포함한다. 회동지지파이프(140)의 회전 후 고정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상기 고정볼트(141) 이외에도 탄성가압에 의한 볼(ball)과 홀(hole) 간의 결합, 래칫(ratchet)과 폴(pawl) 간의 결합 등 다른 고정수단에 의할 수도 있다.
시트프레임(111)의 일측에는 걸림부(111a)가 마련되어 후술하는 턱받침용 어셈블리(150)를 걸어둘 수 있도록 한다.
턱받침용 어셈블리(15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로 연장형성되는 기둥부(151), 기둥부(151)의 상단에 결합되는 턱받침대(152), 기둥부(151)의 중간 부위에 좌우 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상체받침부(153)를 포함한다.
기둥부(151)의 하단부에는 상하로 다수의 체결홈(151h)이 형성되어 있으며, 체결홈(151h)에는 고정볼트(154)가 결합되어 있다. 기둥부(151)는 상체의 지지를 위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으로(도면에서는 좌측으로) 굽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턱받침대(152)는 기둥부(151)의 상단에 삽입 결합되는 턱받침프레임(152a), 턱받침프레임(152a)을 둘러싼 턱받침쿠션(152b)을 포함한다.
이상과 같은 턱받침용 어셈블리(15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부(151)의 하단부가, 수직위치로 회동 고정된 회동지지파이프(140)의 상단부에 삽입되어 고정볼트(154)를 통해 체결된다. 체결된 턱받침용 어셈블리(150)는 턱받침대(152)를 통해 착석자의 턱을 지지하는 한편, 기둥부(151) 및 상체받침부(153)를 통해 착석자의 상체를 지지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턱받침용 어셈블리를 구비한 의자(100)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턱받침용 어셈블리(150)는 회동지지파이프(140)에 삽입 결합되어 의자(100)에 장착된다. 착석자(1)는 턱받침대(152)에 턱을 괴고 기둥부(151) 및 상체받침부(153)에 상체를 받친 상태에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전방에서 턱 및 상체와 같은 신체 일부를 지지하게 되면 착석자(1)에게 무리를 가하지 않는 자세를 유지할 수 있으며 아울러 착석시 구부정한 자세를 교정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도 9는 상기 탁받침용 어셈블리를 구비한 의자(100)의 변형례로서, 시트(112')에 공간부(도 1의 112a 참조)가 형성되지 않는다. 또한, 시트프레임(111)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회동지지파이프(140)는 도 3의 경우에 비해 전방으로 전진 배치된다. 이에 따라, 회동지지파이프(140)는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시트(112')의 전방으로 회동 및 상승하여 돌출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턱받침용 어셈블리를 구비한 의자에서, 시트프레임(211)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실시예와 달리 회동지지파이프(도 2의 140)가 마련되지 않고, 시트프레임(211)에 다수의 삽입홀(211h)이 형성되어 있다. 삽입홀(211h)은 시트프레임(211)의 전방(도면에서는 아래측)에 하나 이상으로 마련되어 있으며, 턱받침용 어셈블리(도 5의 150)의 기둥부(151)가 삽입 결합된다.
기둥부(151)의 하단부에는 삽입홀(211h)에 의해 지지될 수 있도록 둘레에 턱(step)이 형성될 수도 있다. 또는, 삽입홀(211h)이 원통 형상으로 마련되어 내주면이 상기 기둥부(151)의 외주면과 고정볼트(도 5의 154 참조)에 의해 고정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시트프레임(211)의 형상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1실시예와 대동소이하므로 기타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턱받침용 어셈블리를 구비한 회전의자(30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턱받침용 어셈블리(350)는 등받이부(320)의 상부에 신축가능하게 결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등받이부(320)는 단일봉으로 마련된 등받이프레임(321)을 가지며, 턱받침용 어셈블리(350)의 기둥부(351)가 상기 등받이프레임(321)의 상측에 상하로 신축가능하게 결합한다. 기둥부(351)와 등받이프레임(321) 간의 결합상태를 고정하기 위해 고정볼트(도 5의 154 참조)와 같은 고정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회전의자(300)에 의하면, 착석자는 시트부(310)를 반바퀴 돌린 다음 턱받침용 어셈블리(350)를 필요한 만큼 상승시켜 고정한 상태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등받이프레임(321) 및 턱받침용 어셈블리(350)의 형상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1실시예와 대동소이하므로 기타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의자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도 1의 의자의 시트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및 측면도,
도 4는 도 3의 회동지지파이프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도,
도 5 및 도 6은 도 1의 턱받침용 어셈블리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와 측면도,
도 7은 도 6의 턱받침용 어셈블리의 결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도,
도 8은 도 1의 의자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변형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의자의 시트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시트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의자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의자 110: 시트부
111: 시트프레임 112: 시트
120: 등받이부 130: 이동지지부
140: 회동지지파이프 150: 턱받침용 어셈블리
151: 기둥부 152: 턱받침대
153: 상체받침부

Claims (8)

  1. 시트프레임을 구비한 의자에 있어서,
    상기 시트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결합하고, 수직위치로 회동시 고정되도록 고정수단을 구비한 회동지지파이프와;
    하단이 상기 회동지지파이프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기둥부와, 상기 기둥부의 상단에 마련된 턱받침대를 구비한 턱받침용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턱받침용 어셈블리는,
    상기 기둥부의 중간 부위에서 좌우 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상체받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프레임은, 일측에 상기 턱받침용 어셈블리를 걸어두기 위한 걸림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4. 의자에 있어서,
    전방에 전후 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삽입홀이 형성된 시트프레임; 및
    하단이 상기 삽입홀에 탈착가능하게 안착되는 기둥부와, 상기 기둥부의 상단에 마련된 턱받침대를 구비한 턱받침용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턱받침용 어셈블리는,
    상기 기둥부의 중간 부위에서 좌우 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상체받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프레임은, 일측에 상기 턱받침용 어셈블리를 걸어두기 위한 걸림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7. 등받이프레임을 구비한 회전의자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프레임의 상측에 상하로 신축가능하게 결합되는 기둥부와, 상기 기둥부의 상단에 마련된 턱받침대를 구비한 턱받침용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의자.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턱받침용 어셈블리는,
    상기 기둥부의 중간 부위에서 좌우 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상체받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의자.
KR1020070070900A 2007-07-14 2007-07-14 턱받침용 어셈블리를 구비한 의자 KR2009000751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0900A KR20090007511A (ko) 2007-07-14 2007-07-14 턱받침용 어셈블리를 구비한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0900A KR20090007511A (ko) 2007-07-14 2007-07-14 턱받침용 어셈블리를 구비한 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7511A true KR20090007511A (ko) 2009-01-19

Family

ID=404881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0900A KR20090007511A (ko) 2007-07-14 2007-07-14 턱받침용 어셈블리를 구비한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751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05528A2 (ko) * 2010-07-09 2012-01-12 Lee Sang-Ho 자세 교정용 의자의 서포터 조정 장치
KR200487539Y1 (ko) 2018-06-20 2018-10-05 이시환 미용의자용 턱 받침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05528A2 (ko) * 2010-07-09 2012-01-12 Lee Sang-Ho 자세 교정용 의자의 서포터 조정 장치
WO2012005528A3 (ko) * 2010-07-09 2012-05-03 Lee Sang-Ho 자세 교정용 의자의 서포터 조정 장치
KR200487539Y1 (ko) 2018-06-20 2018-10-05 이시환 미용의자용 턱 받침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395448C (en) Chair with upper and lower backrest portions
KR101232825B1 (ko) 의자
KR200421443Y1 (ko) 보조등받이가 구비된 의자
KR20090007511A (ko) 턱받침용 어셈블리를 구비한 의자
JP4950486B2 (ja) 椅子
KR100908737B1 (ko) 의자
JP6872989B2 (ja) 介助装置
JP2012040109A (ja) 椅子
JP5510954B2 (ja) 椅子及び椅子のフック
JP4477985B2 (ja) 椅子のヘッドレスト装置
JP7217110B2 (ja) 椅子
JP4181348B2 (ja) 椅子の肘フレーム取付構造
KR101320049B1 (ko) 각도 조절이 가능한 좌식의자
JP6097049B2 (ja) 椅子
JP2012040110A (ja) 椅子
KR200340269Y1 (ko) 학생용 의자의 틸팅 구조
JP4197045B2 (ja) 椅子
KR200371544Y1 (ko) 머리받침대 및 옷걸이가 구비된 의자
JP2020058764A (ja) 椅子
JP6636296B2 (ja) 姿勢保持具及び家具セット
KR200471916Y1 (ko) 의자의 허리받이와 머리받이로 겸용 가능한 받침부재
KR102182578B1 (ko) 탈부착형 가슴받이
CN212394383U (zh) 多功能椅子
KR100858161B1 (ko) 의자의 틸팅 장치
JP7121600B2 (ja) 椅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