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6645B1 - 파일럿 체크 밸브가 내장된 금형 고정용 클램프 장치 및구동방법 - Google Patents

파일럿 체크 밸브가 내장된 금형 고정용 클램프 장치 및구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6645B1
KR101006645B1 KR1020080054260A KR20080054260A KR101006645B1 KR 101006645 B1 KR101006645 B1 KR 101006645B1 KR 1020080054260 A KR1020080054260 A KR 1020080054260A KR 20080054260 A KR20080054260 A KR 20080054260A KR 101006645 B1 KR101006645 B1 KR 1010066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check valve
hole
pilot check
m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42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28206A (ko
KR101006645B9 (ko
Inventor
이명효
Original Assignee
이명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1688659&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006645(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이명효 filed Critical 이명효
Priority to KR10200800542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6645B1/ko
Publication of KR200901282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82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66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6645B1/ko
Publication of KR101006645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6645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02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for mounting on a work-table, tool-slide, or analogous part
    • B23Q3/06Work-clamping means
    • B23Q3/067Blocks with collet chucks
    • B23Q3/068Blocks with collet chucks fluid-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20Opening, closing or clamping
    • B29C33/26Opening, closing or clamping by pivotal movement
    • B29C33/28Opening, closing or clamping by pivotal movement using hydraulic or pneumatic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실린더 내부에 파일럿 체크 밸브가 내장됨으로써, 사고 등으로 인해 유체 공급이 중단되었을 경우에 클램프 상태를 유지시켜 안전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파일럿 체크 밸브가 내장된 금형 고정용 클램프 장치 및 구동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를 위하여 클램프 몸체, 레버, 회전축, 및 내부에 파일럿 체크 밸브를 포함하는 실린더를 포함하는 파일럿 체크 밸브가 내장된 금형 고정용 클램프 장치 및 구동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파일럿 체크 밸브가 내장된 금형 고정용 클램프 장치 및 구동방법을 사용하면, 사고 등으로 인해 유체 공급이 중단되었을 경우에도 클램프 상태를 유지시켜 안전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나아가 클램프 장치가 금형을 파지하는 힘을 증대시킬 수 있고, 또한, 클램프 장치의 소형화를 기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파일럿 체크 밸브가 내장된 금형 고정용 클램프 장치 및 구동방법{CLAMP DEVICE FOR HOLDING MOLD HAVING PILOT CHECK VALV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금형 고정용 클램프 장치 및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 파일럿 체크 밸브를 실린더 내부에 내장함으로써, 불의의 사고(유체 밸브 파손 또는 정전)로 인해 유체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아도 클램프 상태를 유지시켜 안전성을 증대시킴은 물론, 유압을 이용해 금형을 보다 견고히 파지할 수 있도록 한 파일럿 체크 밸브가 내장된 금형 고정용 클램프 장치 및 구동방법에 대한 것이다.
제품을 성형하기 위해서는 금형을 프레스, 압출기 또는 사출기 등에 고정시켜야 되며, 금형을 프레스, 압출기 또는 사출기 등에 고정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종래에는 다수개의 금형 고정용 볼트와 너트를 이용해 금형을 프레스, 압출기 또는 사출기 등에 고정시키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다수개의 금형 고정용 볼트와 너트를 이용한 방법은 금형을 프레스, 압출기 또는 사출기 등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는 있으나, 다수의 볼트와 너트를 사 용함으로써 금형을 통한 제품의 성형 완료 후, 금형 교체를 위해서 다수개의 볼트와 너트를 풀었다가 다시 체결하는 동작을 반복해야하는 번거로움이 문제점으로 지적되었고, 또한, 금형의 교체 시간이 오래 걸려 금형 작업의 효율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금형 교체할 때 보다 신속하고 간편하게 프레스, 압출기 또는 사출기 등으로부터 금형을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금형 고정용 클램프기기가 개발되었다.
예를 들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07772호(2006년01월26일 등록)에 "금형 고정용 클램프"가 개시되어 있다.
이는 공압식의 간단한 구조로 구성되며, 클램핑 상태에서 공압이 발생되지 않더라도 코일스프링(113)의 탄성력과 링크(320)의 편심 위치에 의하여 금형(20)의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금형 고정용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이 기술의 경우 공압식을 이용함으로써 간단한 구조를 이룰 수는 있으나, 공압이 유압에 비해 압력이 낮아 클램프가 고정할 수 있는 금형의 무게가 유압을 이용한 클램프에 비해 낮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금형 고정용 클램프"는 예상치 못한 원인으로 압축공기가 공급되지 않더라도 코일스프링(113)이 피스톤(112)의 후면에 탄지하고 있어 피스톤로드(110)가 후진되는 것을 저지하는 기술이나, 이 역시 클램핑하고 있는 금형의 무게가 매우 클 경우 위에서 언급한 코일스프링(113)의 탄성력으로 무거운 금형을 지탱하는 것이 어려워 코일스프링(113) 만으로 피스톤로드(110)의 후진을 저지하는데 그 한계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201235호(1999년06월15일 공고)에 "금형고정 파지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는 오일챔버의 용량 차이를 이용해 피스톤을 상승시키고, 다른 한편으로 유압라인의 고장 또는 정전으로 인해 오일 공급이 중단되어도 금형파지상태를 유지하도록 한 금형고정 파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기술의 경우 각각의 오일챔버(17)(18)에 동일 압력의 오일을 공급되면, 오일챔버(17)(18)의 용량차이로 인해 공급되는 오일이 차이가나며, 이로 인해 큰 오일챔버(18) 측의 유압이 작은 오일챔버(17) 측의 유압보다 높아져 피스톤(10)이 좌측으로 슬라이딩하게 된다.
피스톤(10)이 좌측으로 슬라이딩함에 따라 피스톤(20)의 경사면(20b)에 접해 있는 로드(35)가 유압실린더(9)에 형성되어 있던 관통구멍(9a)을 따라 유압실린더(9) 밖으로 돌출 상승되어 클램프수단(7)의 기단부(7a)를 상부로 밀어낸다.
이에 따라 상기 클램프수단(7)은 축(5)을 중심으로 한쪽 방향으로 회전하므로, 상기 클램프수단(7)의 파지부(7b)는 금형의 일면을 형판(3)을 향해서 견고하게 클램프하게 된다. 이와 같이 금형고정 파지장치로 금형을 고정하면 큰 오일챔버(18)내에 설치되어 있던 탄성수단(22)에 의해 피스톤(20)이 좌측으로 탄성력을 받고 있으므로, 금형을 견고하게 파지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금형고정 파지장치에 의해 금형을 고정하면, 사출기의 작동 중에 유압호스가 파손되거나, 또는 정전되어도 상기 큰 오일챔버(18)내에 배설된 탄성수 단(22)에 의해 피스톤(20)을 작은 오일챔버(17)쪽으로 밀어내는 상태를 유지하므로, 금형(100)을 파지하는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위에서 언급한 사출기의 작동 중에 유압호스가 파손되거나, 또는 정전될 경우 피스톤(20)의 대경부(20r)측의 탄성수단(22)에 의해 피스톤(20)이 큰 오일챔버(18)측으로 밀리지 않고 작은 오일챔버(17)측으로 지지되도록 하고 있으나, 피스톤(20)과 로드(35)의 연결구조상 피스톤(20)이 슬라이딩되면 로드(35)가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지만, 반대로 로드(35)가 하강할 때는 피스톤(20)이 슬라이딩되지 않기 때문에 피스톤(22)을 작은 오일챔버(17)측으로 지지하기 위한 별도의 탄성수단(22)이 불필요하게 된다.
이는 탄성수단(22)을 구성하기 위해 대경부(20r)에 탄성수단(22)을 설치하기 위한 요홈부(20a)를 가공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탄성수단(22)의 조립 작업등이 필요하므로 부품의 생산, 조립작업이 많아지고, 제조원가가 상승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위에서 언급한 선행기술들에서 재기된 문제점인 보다 간편하게 금형 교체가 이루어지도록 함은 물론, 구조가 간단하며, 불의의 사고로 인해 공압 또는 유압이 공급되지 않아도 금형이 사출기로부터 떨어지지 않아 작업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클램프 기기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각종 사고(유체 밸브 파손 또는 정전)로 인해 유체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아도 클램프 상태를 유지시켜 안전성을 증대시킴은 물론, 유압을 이용해 금형을 보다 견고히 파지할 수 있으며, 실린더 내부의 구조를 간단하게 함으로써 클램프 장치를 소형화 할 수 있도록 한 파일럿 체크 밸브가 내장된 금형 고정용 클램프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파일럿 체크 밸브를 이용해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도록 하는 파일럿 체크 밸브가 내장된 금형 고정용 클램프 장치의 구동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제 1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성형장치에 형성된 T자 형상의 홈에 슬라이딩되어 삽입 고정되도록 하부에 형성된 T자 형상의 돌출부를 포함하는 클램프 몸체; 상기 클램프 몸체 상부에 삽입 결합되어 성형장치 위에 거치된 금형을 파지하는 레버; 상기 레버가 상기 클램프 몸체 상부에 삽입 결합되어 금형을 파지 또는 해제하기 위한 반복적인 회전운동을 할 수 있도록 상기 레버를 상기 클램프 몸체 상부에 삽입 결합시키는 회전축; 및 유압을 이용해 상기 레버가 금형 파지를 위한 회전운동을 할 수 있도록 상기 클램프 몸체 측면에 결합되는 내부에 파일럿 체크 밸브를 포함하는 실린더를 포함하는 파일럿 체크 밸브가 내장된 금형 고정용 클램프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클램프 홀을 통해 유체가 유입되는 단계; 상기 클램프 홀을 통해 유입된 유체가 제1 유로를 거쳐 파일럿 체크 밸브의 제1 홀을 통해 파일럿 체크 밸브 내부로 유입되는 단계; 상기 제1 홀을 통해 파일럿 체크 밸브 내부로 유입된 유체가 포펫을 밀어 포펫에 의해 막혀있던 제2 홀을 통해 제1 포트로 유입되는 단계; 상기 제1 포트로 유입된 유체가 피스톤 하부로 유입되어 피스톤을 상승시키는 단계; 상기 피스톤을 상승시키는 단계를 통해 상승되는 피스톤이 레버의 후단부를 밀어 올려 레버의 파지부가 금형을 파지하는 단계; 및 상기 피스톤을 상승시키는 단계를 통해 피스톤의 상승이 완료된 후, 피스톤 하부 유압과 상기 클램프 홀로 유입되는 유압이 일치될 경우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상기 포펫이 원위치로 이동하여 피스톤 상승을 통한 금형파지를 유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파일럿 체크 밸브가 내장된 금형 고정용 클램프 장치의 구동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파일럿 체크 밸브가 내장된 금형 고정용 클램프 장치 및 구동방법을 사용하면, 불의의 사고로 인해 유체 공급이 중단되었을 경우에도 클램프 상태를 유지시켜 안전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그리고 불의의 사고로 인해 유체 공급이 중단되었을 경우에 피스톤으로 유입된 유체가 외부로 흘러나오지 않도록 함으로써, 불의의 사고로 인한 2차 피해를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유압을 이용함으로써 금형을 파지하는 힘을 상승시켜 금형을 보다 견 고히 파지할 수 있다.
나아가 실린더 내부의 구조를 간단하게 함으로써 클램프 장치의 소형화를 기대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파일럿 체크 밸브가 내장된 금형 고정용 클램프 장치 및 구동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파일럿 체크 밸브가 내장된 금형 고정용 클램프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파일럿 체크 밸브가 내장된 금형 고정용 클램프 장치는 베이스 역할을 하는 클램프 몸체(20), 금형을 파지 또는 해제하는 레버(40), 상기 레버(40)가 상기 클램프 몸체(20) 내부에 삽입 결합되도록 축 역할을 하는 회전축(50), 및 유압을 이용해 상기 레버(40)가 금형의 파지 또는 해제를 위한 회전운동을 할 수 있도록 상기 클램프 몸체(20) 측면에 결합되는 실린더(60)를 포함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각 구성요소별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파일럿 체크 밸브가 내장된 금형 고정용 클램프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파일럿 체크 밸브가 내장된 금형 고정용 클램프 장치는 클램프 몸체(20), 레버(40), 회전축(50), 실린더(60), 및 실린더 고정부재(90)를 포함한다.
상기 클램프 몸체(20)는 성형장치(미도시)에 형성된 T자 형상의 홈에 슬라이딩되어 삽입 고정되도록 하부에 형성된 T자 형상의 돌출부(22)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클램프 몸체(20)는 상기 레버(40)가 삽입되도록 상부에 U자 모양으로 형성된 홈(24), 상기 회전축(50)이 삽입 관통되도록 상부에 형성된 제1 홀(26), 상기 실린더(60)가 클램프 몸체(20) 측면에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된 제2 홀(28)을 포함한다.
상기 레버(40)는 상기 클램프 몸체(20) 상부에 삽입 결합되어 성형장치 위에 거치된 금형을 파지 또는 해제(파지해제)한다. 금형의 파지 또는 해제는 상기 레버(40)의 반복적인 회전운동에 의해 가능하다.
상기 레버(40)의 반복적인 회전운동을 위해서는 상기 실린더(60)에 의해 상하운동을 하는 후단부(42), 상기 후단부(42)의 상하운동에 의해 성형장치 위에 거치된 금형을 파지 또는 해제하는 상기 후단부(42)의 타단부에 형성된 파지부(44), 및 상기 회전축(50)이 삽입 관통되도록 형성된 레버 홀(46)을 포함한다.
상기 레버(40)의 반복적인 회전운동은 상기 후단부(42)와 파지부(44)가 각각 상하운동을 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상기 후단부(42)가 상승운동을 하면 상기 파지부(44)는 하강운동을 하고, 반대로 상기 후단부(42)가 하강운동을 하면 상기 파지부(44)가 상승운동을 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레버(40)는 평소에는 상기 파지부(44)에서 파지 해제상태로 있다가, 상기 실린더(60)에 의해 상기 후단부(42)가 상승운동을 할 경우에만 상기 파지부(44)가 하강운동을 하면서 금형을 파지한다. 상기 파지부(44)가 금형을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실린더(60)에 의해 상기 후단부(42)가 상승운동을 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후단부(42)가 하강운동으로 하고 이에 상기 파지부(44)가 상승운동을 함으로써 금형 파지를 해제한다. 이러한 파지해제 동작은 상기 레버(40)의 중앙 하단부(48)를 경사지도록 절삭 제조하여 중앙 하단부(48) 면이 상기 클램프 몸체(20) 내부 면에 접촉되도록 상기 레버(40)를 클램프 몸체(20) 내부에 결합시킴으로써 가능하다.
상기 회전축(50)은 상기 클램프 몸체(20)의 제1 홀(26)과 상기 레버(40)의 레버 홀(46)에 삽입 관통되어 결합된다. 이렇게 결합된 회전축(50)이 상기 클램프 몸체(20)와 레버(4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좌우측 단부(클램프 몸체(20)의 제1 홀(26) 좌우측으로 돌출된 단부)에 고정 링(55)을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회전축(50)은 상기 레버(40)가 상기 클램프 몸체(20) 상부에 삽입 결합되어 금형을 파지 또는 해제하기 위한 반복적인 회전운동을 할 수 있도록 상기 레버(40)를 상기 클램프 몸체(20) 상부에 삽입 결합시킨다.
상기 실린더(60)는 상기 레버(40)가 성형장치 위에 거치된 금형의 파지를 위한 반복적인 회전운동을 할 수 있도록 상기 클램프 몸체(20) 측면에 결합된다. 상 기 실린더(60)는 상기 클램프 몸체(20) 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클램프 몸체(20) 상부에 삽입 결합된 상기 레버(40)의 후단부(42)를 위로 밀어 올리는 동작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상기 실린더(60)는 베이스 역할을 하는 실린더 몸체(61), 상기 레버(40)가 금형 파지 또는 해제를 위한 반복적인 회전운동을 할 수 있도록 상기 레버(40) 일측면을 움직이는 상기 실린더 몸체(20) 내부에 위치하는 피스톤(70), 및 상기 피스톤(70)이 상기 실린더 몸체(20)를 이탈하지 않도록 마개역할을 하는 커버(75)를 포함한다.
상기 피스톤(70)은 상단부에 피스톤 로드(71)가 형성된다. 피스톤(70)은 상기 피스톤 로드(71)를 통해 상기 레버(40)의 일측면(후단부(42))을 위로 밀어 올릴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린더(60)는 유압을 이용해 상기 피스톤(64)이 상기 레버(40)의 일측면을 밀어올릴 수 있도록 유압의 흐름을 제어하는 파일럿 체크 밸브(80)를 포함한다.
상기 실린더(60)가 내부에 파일럿 체크 밸브(80)를 포함함에 따라 파일럿 체크 밸브(80)를 통해 상기 피스톤(70)으로 유입된 유체는 상기 실린더(60)로 유체가 유입되도록 하는 유체 밸브(미도시)가 파손되더라도 상기 피스톤(70)으로 유입된 유체가 상기 실린더(60) 외부로 흘러나오지 않는다.
이는 상기 실린더(60)로 유체가 유입되도록 하는 유체 밸브의 파손에 의해 상기 피스톤(70)의 상하작용이 영향을 받지 않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또한 본 발 명의 클램프 장치를 통해 금형을 파지한 경우 유체 밸브의 파손이 발생하여도 금형의 파지는 유지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파일럿 체크 밸브가 내장된 금형 고정용 클램프 장치의 실린더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실린더 몸체(61)는 상기 피스톤(70)이 상기 레버(40)의 일측면을 움직이는(후단부(42)를 상승운동) 원동력이 되는 유체가 상기 실린더 몸체(61)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클램프 홀(62) 및 언클램프 홀(63), 상기 클램프 홀을(62) 통해 유입된 유체가 상기 파일럿 체크 밸브(80)를 통해 상기 피스톤(70) 하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제1 포트(64), 상기 클램프 홀(62)을 통해 유입된 유체가 상기 파일럿 체크 밸브(80)로 유입되도록 상기 클램프 홀(62)과 상기 파일럿 체크 밸브(80)를 연결하는 제1 유로(65), 상기 언클램프 홀(63)을 통해 유입된 유체가 상기 피스톤(70) 상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제2 포트(66), 및 상기 언클램프 홀(63)을 통해 유입된 유체가 상기 제2 포트(66)로 유입됨과 동시에 상기 파일럿 체크 밸브(80)에 유압을 가하도록 하는 상기 언클램프 홀(63)과 상기 파일럿 체크 밸브(80) 사이를 연결하는 제2 유로(67)를 포함한다.
그리고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클램프 홀(62및 언클램프 홀(63)을 통해 유입된 유체가 상기 피스톤(70) 상하부로 각각 유입되는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는 상기 파일럿 체크 밸브(80)는 상기 제1 유로(65) 유입된 유체가 파일럿 체크 밸브(8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제1 홀(81), 및 상기 제1 홀(81)을 통해 파일럿 체크 밸브(80) 내부로 유입된 유체가 외부(상기 피스톤(70) 하부로 유체가 유입되도록 유로 역할을 하는 제1 포트(64))로 배출되도록 형성된 제2 홀(82)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파일럿 체크 밸브(80)는 좌우 왕복운동으로 통해 상기 제2 홀(82)을 오픈 또는 차단하는 포펫(83), 상기 포펫(83)이 상기 제2 홀(82)을 오픈 또는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스프링(84), 및 상기 제2 유로(67)를 통해 유입된 유체의 유압에 의해 상기 포펫(83)을 왼쪽으로(스프링(84) 방향) 밀어 상기 제2 홀(82)이 열리도록(오픈) 하는 스풀 로드(86)를 가지는 스풀(85)을 포함한다.
상기 실린더 고정부재(90)는 상기 실린더(60)가 상기 클램프 몸체(20)의 제2 홀(28)을 통해 상기 클램프 몸체(20) 측면에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 클램프 홀(62)과 언클램프 홀(63)을 통해 유입된 유체가 상기 파일럿 체크 밸브(80)의 흐름제어에 의해 상기 피스톤(70) 상하부로 유입되는 흐름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파일럿 체크 밸브가 내장된 금형 고정용 클램프 장치가 금형을 파지할 때에 실린더 내부에 흐르는 유체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유체 흐름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피스톤(70)을 상승시키기 위한 유체의 흐름을 살펴보면, 클램프 홀(62)을 통해 유입된 유체는 제1 유로(65)를 통해 파일럿 체크 밸브(80)의 제1 홀(81)을 통해 파일럿 체크 밸브(80) 내부로 유입된다.
파일럿 체크 밸브(80) 내부로 유입된 유체는 포펫(83)을 좌측(스프링(84) 방향)으로 밀게 되고, 상기 포펫(83) 좌측으로 밀리면서 포펫(83)이 차단하고 있던 제2 홀(82)이 열리게(오픈)된다.
유체는 상기 제2 홀(82)을 통해 제1 유로(65)로 유입되며, 상기 제1 유로(65)로 유입된 유체는 피스톤(70) 하부로 유입되어 피스톤(70)을 상승시킨다.
이 후, 유체에 의해 상기 피스톤(70)이 상승할 때는 피스톤(70) 하부의 유압이 클램프 홀(62)의 유압보다 낮아 지속적으로 클램프 홀(62)을 통해 피스톤(70) 하부로 유체가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피스톤(70)의 상승이 완료되면, 피스톤(70) 하부의 유압과 클램프 홀(62)의 유압이 일치하게 되면, 상기 포펫(83)을 좌측으로 미는 유압이 없어져 스프링(84)의 탄성에 의해 좌측으로 밀려있던 포펫(83)이 원위치하여 열렸던 상기 제2 홀(82)을 차단하게 된다.
상기 포펫(83)이 원위치하여 제2 홀(82)이 차단됨에 따라 상기 피스톤(70) 하부로 유입된 유체는 동일한 유압으로 피스톤(70)이 상승 완료된 상태를 유지시킨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파일럿 체크 밸브가 내장된 금형 고정용 클램프 장치가 금형 파지를 해제할 때에 실린더 내부에 흐르는 유체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유체 흐름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피스톤(70)을 하강시키기 위한 유체의 흐름을 살펴보면, 언클램프 홀(63)을 통해 유입된 유체는 제2 포트(66)와 제2 유로(67)로 동시에 유입된다.
제2 포트(66)로 유입된 유체는 피스톤(70) 상부로 유입되어 피스톤(70)이 하강시킨다.
그리고 제2 유로(67)로 유입된 유체는 파일럿 체크 밸브(80)의 스풀(85)을 좌측으로 밀고, 유체에 의해 좌측으로 밀린 스풀(85)은 단부에 형성된 스풀 로드(86)를 통해 포펫(83)을 좌측으로 밀게 된다.
상기 스풀 로드(86)에 상기 포펫(83)이 좌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차단하고 있던 제2 홀(82)이 열리게 되고, 이에 따라 피스톤(70) 하부에 있던 유체가 제1 포트(64)와 상기 제2 홀(82)을 통해 파일럿 체크 밸브(80)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 파일럿 체크 밸브(80) 내부로 유입된 유체는 제1 홀(81)을 통해 제1 유로(65)로 유입되고, 제1 유로(65)로 유입된 유체는 클램프 홀(62)을 통해 배출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파일럿 체크 밸브가 내장된 금형 고정용 클램프 장치의 구동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상술한 파일럿 체크 밸브가 내장된 금형 고정용 클램프 장치에 대한 기재와 공통되는 부분의 기재는 생략하거나 약술하기로 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파일럿 체크 밸브가 내장된 금형 고정용 클램프 장치의 금형 파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파일럿 체크 밸브가 내장된 금형 고정용 클램프 장치의 금형 파지 방법은 클램프 홀을 통해 유체가 유입되는 단계(S10), 상기 클램프 홀을 통해 유입된 유체가 제1 유로를 거쳐 파일럿 체크 밸브의 제1 홀을 통해 파일럿 체크 밸브 내부로 유입되는 단계(S12), 상기 제1 홀을 통해 파일럿 체크 밸브 내부로 유입된 유체가 포펫을 밀어 포펫에 의해 막혀있던 제2 홀을 통해 제1 포트로 유입되는 단계(S14), 상기 제1 포트로 유입된 유체가 피스톤 하부로 유입되어 피스톤을 상승시키는 단계(S16), 상기 피스톤을 상승시키는 단계를 통해 상승되는 피스톤이 레버의 후단부를 밀어올려 레버의 파지부가 금형을 파지하는 단계(S18), 및 상기 피스톤을 상승시키는 단계를 통해 피스톤의 상승이 완료된 후, 피스톤 하부 유압과 상기 클램프 홀로 유입되는 유압이 일치될 경우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상기 포펫이 원위치로 이동하여 피스톤 상승을 통한 금형파지를 유지시키는 단계(S20)를 포함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파일럿 체크 밸브가 내장된 금형 고정용 클램프 장치의 금형 파지 해제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파일럿 체크 밸브가 내장된 금형 고정용 클램프 장치의 금형 파지 해제방법을 살펴보면, 언클램프 홀을 통해 유체가 유입되는 단계(S30), 상기 언클램프 홀을 통해 유입된 유체가 제2 포트로 유입되고, 제2 포트로 유입된 유체는 피스톤 상부로 유입되어 피스톤을 하강시키는 단계(S40), 상기 피스톤을 하강시키는 단계를 통해 레버의 후단부를 밀어올리고 있던 피스톤이 하강하면서 레버의 파지부가 금형 파지를 해제하는 단계(S50), 상기 언클램프 홀을 통해 유입된 유체가 상기 제2 포트로 유입됨과 동시에 제2 유로로 유입되는 단계(S32), 상기 제2 유로로 유입된 유체가 파일럿 체크 밸브의 스풀을 밀고 상기 스풀은 포펫을 밀어 포펫에 의해 막혀있던 제2 홀이 오픈되는 단계(S34), 상기 제2 홀이 오픈됨과 동시에 피스톤의 상승을 지탱하고 있던 유체가 제1 포트를 거쳐 파일럿 체크 밸브의 상기 제2 홀을 통해 파일럿 체크 밸브 내부로 유입되는 단계(S36), 및 상기 제2 홀을 통해 파일럿 체크 밸브 내부로 유입된 유체가 제1 홀을 통해 제1 유로로 유입되고, 제1 유로로 유입된 유체는 클램프 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단계(S38)를 포함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파일럿 체크 밸브가 내장된 금형 고정용 클램프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파일럿 체크 밸브가 내장된 금형 고정용 클램프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파일럿 체크 밸브가 내장된 금형 고정용 클램프 장치의 실린더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파일럿 체크 밸브가 내장된 금형 고정용 클램프 장치가 금형을 파지할 때에 실린더 내부에 흐르는 유체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유체 흐름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파일럿 체크 밸브가 내장된 금형 고정용 클램프 장치가 금형 파지를 해제할 때에 실린더 내부에 흐르는 유체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유체 흐름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파일럿 체크 밸브가 내장된 금형 고정용 클램프 장치의 금형 파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파일럿 체크 밸브가 내장된 금형 고정용 클램프 장치의 금형 파지 해제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간단한 설명 *
20 : 클램프 몸체 40 : 레버
50 : 회전축 60 : 실린더
62 : 클램프 홀 63 : 언클램프 홀
64 : 제1 포트 65 : 제1 유로
66 : 제2 포트 67 : 제2 유로
80 : 파일럿 체크 밸브

Claims (5)

  1. 성형장치에 형성된 T자 형상의 홈에 슬라이딩되어 삽입 고정되도록 하부에 형성된 T자 형상의 돌출부를 포함하는 클램프 몸체;
    상기 클램프 몸체 상부에 삽입 결합되어 성형장치 위에 거치된 금형을 파지하는 레버;
    상기 레버가 상기 클램프 몸체 상부에 삽입 결합되어 금형을 파지 또는 해제하기 위한 반복적인 회전운동을 할 수 있도록 상기 레버를 상기 클램프 몸체 상부에 삽입 결합시키는 회전축; 및
    베이스 역할을 하는 실린더 몸체와, 상기 레버가 금형 파지 또는 해제를 위한 반복적인 회전운동을 할 수 있도록 상기 레버 일측면을 움직이는 상기 실린더 몸체 내부에 위치하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이 상기 실린더 몸체를 이탈하지 않도록 마개역할을 하는 커버, 및 유압을 이용해 상기 피스톤이 상기 레버의 일측면을 밀어올릴 수 있도록 유압의 흐름을 제어하는 파일럿 체크 밸브로 이루어진 실린더;
    를 포함하며,
    상기 실린더 몸체가
    상기 피스톤이 상기 레버의 일측면을 움직이는 원동력이 되는 유체가 상기 실린더 몸체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클램프 홀 및 언클램프 홀과, 상기 클램프 홀을 통해 유입된 유체가 상기 파일럿 체크 밸브를 통해 상기 피스톤 하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제1 포트와, 상기 클램프 홀을 통해 유입된 유체가 상기 파일럿 체크 밸브로 유입되도록 상기 클램프 홀과 상기 파일럿 체크 밸브를 연결하는 제1 유로와, 상기 언클램프 홀을 통해 유입된 유체가 상기 피스톤 상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제2 포트, 및 상기 언클램프 홀을 통해 유입된 유체가 상기 제2 포트로 유입됨과 동시에 상기 파일럿 체크 밸브에 유압을 가하도록 하는 상기 언클램프 홀과 상기 파일럿 체크 밸브 사이를 연결하는 제2 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럿 체크 밸브가 내장된 금형 고정용 클램프 장치.
  2. 삭제
  3. 삭제
  4. 클램프 홀을 통해 유체가 유입되는 단계;
    상기 클램프 홀을 통해 유입된 유체가 제1 유로를 거쳐 파일럿 체크 밸브의 제1 홀을 통해 파일럿 체크 밸브 내부로 유입되는 단계;
    상기 제1 홀을 통해 파일럿 체크 밸브 내부로 유입된 유체가 포펫을 밀어 포펫에 의해 막혀있던 제2 홀을 통해 제1 포트로 유입되는 단계;
    상기 제1 포트로 유입된 유체가 피스톤 하부로 유입되어 피스톤을 상승시키는 단계;
    상기 피스톤을 상승시키는 단계를 통해 상승되는 피스톤이 레버의 후단부를 밀어올려 레버의 파지부가 금형을 파지하는 단계; 및
    상기 피스톤을 상승시키는 단계를 통해 피스톤의 상승이 완료된 후, 피스톤 하부 유압과 상기 클램프 홀로 유입되는 유압이 일치될 경우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상기 포펫이 원위치로 이동하여 피스톤 상승을 통한 금형파지를 유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파일럿 체크 밸브가 내장된 금형 고정용 클램프 장치의 구동방법.
  5. 언클램프 홀을 통해 유체가 유입되는 단계;
    상기 언클램프 홀을 통해 유입된 유체가 제2 포트로 유입되고, 제2 포트로 유입된 유체는 피스톤 상부로 유입되어 피스톤을 하강시키는 단계;
    상기 피스톤을 하강시키는 단계를 통해 레버의 후단부를 밀어올리고 있던 피스톤이 하강하면서 레버의 파지부가 금형 파지를 해제하는 단계;
    상기 언클램프 홀을 통해 유입된 유체가 상기 제2 포트로 유입됨과 동시에 제2 유로로 유입되는 단계;
    상기 제2 유로로 유입된 유체가 파일럿 체크 밸브의 스풀을 밀고 상기 스풀은 포펫을 밀어 포펫에 의해 막혀있던 제2 홀이 오픈되는 단계;
    상기 제2 홀이 오픈됨과 동시에 피스톤의 상승을 지탱하고 있던 유체가 제1 포트를 거쳐 파일럿 체크 밸브의 상기 제2 홀을 통해 파일럿 체크 밸브 내부로 유입되는 단계; 및
    상기 제2 홀을 통해 파일럿 체크 밸브 내부로 유입된 유체가 제1 홀을 통해 제1 유로로 유입되고, 제1 유로로 유입된 유체는 클램프 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파일럿 체크 밸브가 내장된 금형 고정용 클램프 장치의 구동방법.
KR1020080054260A 2008-06-10 2008-06-10 파일럿 체크 밸브가 내장된 금형 고정용 클램프 장치 및구동방법 KR1010066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4260A KR101006645B1 (ko) 2008-06-10 2008-06-10 파일럿 체크 밸브가 내장된 금형 고정용 클램프 장치 및구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4260A KR101006645B1 (ko) 2008-06-10 2008-06-10 파일럿 체크 밸브가 내장된 금형 고정용 클램프 장치 및구동방법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8206A KR20090128206A (ko) 2009-12-15
KR101006645B1 true KR101006645B1 (ko) 2011-01-10
KR101006645B9 KR101006645B9 (ko) 2023-04-05

Family

ID=41688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4260A KR101006645B1 (ko) 2008-06-10 2008-06-10 파일럿 체크 밸브가 내장된 금형 고정용 클램프 장치 및구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664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7145B1 (ko) * 2021-03-10 2021-08-05 김경남 바이스
KR102289579B1 (ko) * 2021-05-26 2021-08-13 (주)화진시스템 다이캐스팅 금형 파지용 클램프
CN114888328A (zh) * 2022-04-27 2022-08-12 朱丹丹 旋启式止回阀摇臂插销孔钻孔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01235B1 (ko) * 1996-03-22 1999-06-15 조욱형 금형고정 파지장치
KR20040007772A (ko) * 2002-07-11 2004-01-28 삼성전자주식회사 직하형 액정 표시 장치용 백라이트 어셈블리
KR200407772Y1 (ko) * 2005-11-21 2006-02-03 이금례 금형 고정용 클램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01235B1 (ko) * 1996-03-22 1999-06-15 조욱형 금형고정 파지장치
KR20040007772A (ko) * 2002-07-11 2004-01-28 삼성전자주식회사 직하형 액정 표시 장치용 백라이트 어셈블리
KR200407772Y1 (ko) * 2005-11-21 2006-02-03 이금례 금형 고정용 클램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8206A (ko) 2009-12-15
KR101006645B9 (ko) 2023-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6825B1 (ko) 클램프장치
JP5351487B2 (ja) 被加工部品パレットを解除可能に配置するためのチャックを備えるクランプ固定装置
EP2829354B1 (en) Chuck device
KR101006645B1 (ko) 파일럿 체크 밸브가 내장된 금형 고정용 클램프 장치 및구동방법
US6257042B1 (en) Open throat crimping machine
KR101335593B1 (ko) 오링 삽입장치
KR101751509B1 (ko) 클램프 장치
CN1017466B (zh) 能在运行时更换控制阀的系统
JP6298294B2 (ja) シリンダ装置
US20070262508A1 (en) Positioning Apparatus and Positioning System Having the Same
KR100804239B1 (ko) 실린더 테스트 장치
KR101786752B1 (ko) 자동 툴 체인저
EP3468738B1 (en)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electrode holder
KR101583530B1 (ko) 슬라이드 장치의 안전장치
JP2596077B2 (ja) ダイクッション装置
KR101277826B1 (ko) 유압클램프
KR100471848B1 (ko) 스퀘어튜브 홀 가공 금형
JP2002266814A (ja) ロック解除状態保持機構
JP2745751B2 (ja) クッションピン選択装置
KR200418179Y1 (ko) 금형 고정용 장치
CN216807940U (zh) 一种液压千斤顶
KR200388286Y1 (ko) 뉴터럴 벤딩장치
JPH0814410A (ja) ピストン弁
KR102138935B1 (ko) 프리필밸브가 내장된 매니폴드블럭 일체형 유압장치
CN210710552U (zh) 同步举升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1

Year of fee payment: 10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0100000860;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200317

Effective date: 20210217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1100002019;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210705

Effective date: 20211112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2200001018;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220103

Effective date: 20221027

J303 Written judgement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2300011039; JUDGMENT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221124

Effective date: 202303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