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6643B1 - 다리장치 - Google Patents

다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6643B1
KR101006643B1 KR1020087019540A KR20087019540A KR101006643B1 KR 101006643 B1 KR101006643 B1 KR 101006643B1 KR 1020087019540 A KR1020087019540 A KR 1020087019540A KR 20087019540 A KR20087019540 A KR 20087019540A KR 101006643 B1 KR101006643 B1 KR 1010066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g
tubular member
support
support shaft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95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4838A (ko
Inventor
고이치로 나카타니
Original Assignee
베루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루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베루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0870195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6643B1/ko
Publication of KR201000048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48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66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66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4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 F16M11/26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by telescoping, with or without folding
    • F16M11/32Undercarriages for supports with three or more telescoping le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4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 F16M11/26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by telescoping, with or without folding

Abstract

사용시에는 필요한 높이를 확보할 수 있고, 미사용시에는 충분히 컴팩트하게 할 수 있는 다리장치를 제공한다.
다리장치(1)는, 기본체(2)와 기본체(2)에 대해서 회전운동 가능한 신축다리체(3)와 신축다리체(3)를 회전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다리 지지체(11)를 구비한다. 신축다리체(3)는, 끼워맞춤 구멍부(16)를 상단 근방에 형성한 제 1 관형상부재(13)를 갖는다. 제 1 관형상부재(13)내에는, 제 1 관형상부재(13)의 하단으로부터의 돌출 길이가 조정 가능한 제 2 관형상부재(14)를 삽입한다. 다리 지지체(11)는, 끼워맞춤 구멍부(16)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끼워맞춤한 지지축부(25)를 갖는다. 신축다리체(3)가 짧아진 상태시에는, 제 2 관형상부재(14)의 상단이 지지축부(25)보다 위쪽에 위치한다.

Description

다리장치{LEG APPARATUS}
본 발명은, 사용시에는 필요한 높이를 확보할 수 있고, 미사용시에는 충분히 컴팩트하게 할 수 있는 다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하기의 특허문헌 1의 도 7 및 도 8에 기재된 삼각 등의 다리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 종래의 다리장치는, 기본체와, 이 기본체에 대해서 회전운동 가능한 신축다리체와, 기본체와 신축다리체를 연결하는 지지축을 구비하고 있다. 신축다리체는, 지지축이 삽입 관통된 삽입관통구멍부를 갖는 제 1 관형상부재와, 이 제 1 관형상부재내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어 제 1 관형상부재에 대한 이동에 의해 제 1 관형상부재의 하단으로부터의 돌출길이가 조정 가능한 제 2 관형상부재를 갖고 있다. 그리고, 신축다리체가 짧아진 상태시에는, 제 2 관형상부재의 상단이 지지축에 접촉하여 이 지지축보다 아래쪽에 위치한다.
특허문헌 1 : 일본특허공개공보 2001-65786호(도 7 및 도 8)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러나, 상기 종래의 다리장치와 같이, 신축다리체가 짧아진 상태시에, 제 2 관형상부재의 상단이 지지축에 접촉하여 이 지지축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는 구성에서는, 신축다리체의 다리 신축비가 작기 때문에, 예를 들면 휴대시 등의 미사용시의 컴팩트성을 추구하면 사용시에 필요한 높이를 확보하지 못하고, 또 반대로, 사용시의 높이를 추구하면 미사용시의 컴팩트성이 불충분하게 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사용시에는 필요한 높이를 확보할 수 있고, 미사용시에는 충분히 컴팩트하게 할 수 있는 다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청구항 1 기재의 다리장치는, 기본체와, 이 기본체에 대해서 회전운동 가능한 신축다리체와, 상기 기본체와 상기 신축다리체와의 사이에 배열설치되고, 상기 신축다리체를 회전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다리 지지체를 구비하고, 상기 신축다리체는, 끼워맞춤 구멍부가 상단 근방에 형성된 제 1 관형상부재와, 이 제 1 관형상부재내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제 1 관형상부재에 대한 이동에 의해 상기 제 1 관형상부재의 하단으로부터의 돌출길이가 조정 가능한 제 2 관형상부재를 갖고, 상기 다리 지지체는, 상기 제 1 관형상부재의 상기 끼워맞춤 구멍부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끼워맞춤된 지지축부를 갖고, 상기 신축다리체가 짧아진 상태시에는, 상기 제 2 관형상부재의 상단이 상기 지지축부보다 위쪽에 위치하는 것이다.
청구항 2 기재의 다리장치는, 청구항 1 기재의 다리장치에 있어서, 다리 지지체는, 기본체의 내면과 제 1 관형상부재의 외면에 의해서 끼워 지지된 본체판부와, 이 본체판부의 한쪽면측에 돌출 설치되어 지지축부를 구성하는 원형판부와, 상기 본체판부의 다른쪽면측에 돌출 설치되고, 상기 기본체와 걸어맞춤하는 빠짐방지용 걸어맞춤부를 갖는 것이다.
청구항 3 기재의 다리장치는, 청구항 2 기재의 다리장치에 있어서, 본체판부는, 변형 허용용 절결부가 형성된 제 1 판과, 이 제 1 판에 설치되고, 상기 변형 허용용 절결부내를 향하여 탄성변형 가능한 제 2 판으로 구성되고, 원형판부가 상기 제 1판에 돌출 설치되고, 빠짐방지용 걸어맞춤부가 상기 제 2판에 돌출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청구항 4 기재의 다리장치는, 청구항 1 내지 3 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의 다리장치에 있어서, 신축다리체가 짧아진 상태시에는, 제 2 관형상부재의 상단이 지지축부보다 위쪽의 위치에 있어서 제 1 관형상부재의 상단과 대략 동일면상에 위치하는 것이다.
(발명의 효과)
청구항 1에 관한 발명에 의하면, 신축다리체가 짧아진 상태시에는 제 2 관형상부재의 상단이 지지축부보다 위쪽에 위치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신축다리체의 다리 신축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고, 따라서, 사용시에는 필요한 높이를 확보할 수 있고, 미사용시에는 충분히 컴팩트하게 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관한 발명에 의하면, 다리 지지체는, 기본체의 내면과 제 1 관형상부재의 외면에 의해서 끼워 지지된 본체판부와, 본체판부의 한쪽면측에 돌출 설치되어 지지축부를 구성하는 원형판부와, 본체판부의 다른쪽면측에 돌출 설치되어 기본체와 걸어맞춤하는 빠짐방지용 걸어맞춤부를 갖기 때문에, 이 다리 지지체에 의해서 신축다리체를 적절히 지지할 수 있다.
청구항 3에 관한 발명에 의하면, 다리 지지체의 본체판부의 제 2 판을 제 1 판의 변형 허용용 절결부내를 향하여 탄성변형시키는 것에 의해, 기본체에 대한 신축다리체의 부착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청구항 4에 관한 발명에 의하면, 신축다리체가 짧아진 상태시에는 제 2 관형상부재의 상단이 지지축부보다 위쪽의 위치에 있어서 제 1 관형상부재의 상단과 대략 동일면상에 위치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신축다리체의 다리 신축비를 적절히 향상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한 다리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다리장치의 일부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다리장치의 신축다리체 및 다리 지지체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상기 다리장치의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 5는 상기 신축다리체의 기본체에의 부착시에 다리 지지체의 일부가 탄성변형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부호의 설명]
1 : 다리장치 2 : 기본체
3 : 신축다리체 11 : 다리 지지체
13 : 제 1 관형상부재 14 : 제 2 관형상부재
16 : 끼워맞춤 구멍부 21 : 본체판부
22 : 변형 허용용 절결부 23 : 제 1 판
24 : 제 2 판 25 : 지지축부
26 : 원형판부 32 : 빠짐방지용 걸어맞춤부
본 발명의 다리장치의 일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 있어서, 1은 다리장치이고, 이 다리장치(1)는, 예를 들면 카메라나 비디오 카메라 등의 피지지물(도시하지 않음)을 지지하는 운대(雲臺)부착 삼각대이다.
다리장치(1)는, 외형 대략 직방체형상의 기본체(2)를 구비하고 있다. 기본체(2)의 하면측에는, 복수개, 예를 들면 3개의 긴 방향을 따라서 신축 가능한 긴 형상의 신축다리체(3)의 상단부측이 회전운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기본체(2)의 상면에는 대략 구형상의 운대 유지체(5)가 돌출 설치되고, 이 운대 유지체(5)에는 운대(6)가 전체방향으로 회전운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운대(6)는 피지지물을 지지하는 지지판부(7)를 갖고, 이 지지판부(7)의 상면으로부터 피지지물의 하면의 나사구멍에 나사식 맞춤하는 나사(8)가 위쪽을 향하여 돌출하고 있다.
또한, 기본체(2)는, 아래쪽으로 향하여 개구하는 오목형상의 복수, 예를 들면 3개의 다리 피부착부인 다리 피부착 오목부(10)를 갖고 있다. 그리고, 도 2 내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다리 피부착 오목부(10)에는, 신축다리체(3)의 상단부가 복수, 예를 들면 2개의 대략 판형상의 다리 지지체(11)를 사이에 두고 그 다리 피부착 오목부(10)에 삽입되어 빠짐방지된 상태로, 회전운동 가능하게 부착되 어 있다. 즉, 각 다리 피부착 오목부(10)에는 신축다리체(3)의 상단부 및 2개의 다리 지지체(11)가 끼워 넣어지고, 그들 2개의 다리 지지체(11)에서 신축다리체(3)의 상단부가 회전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각 다리 지지체(11)는, 기본체(2)의 다리 피부착 오목부(10)와 신축다리체(3)의 상단부와의 사이에 그들 기본체(2) 및 신축다리체(3)에서 끼워 지지된 상태로 끼워맞춤 배열설치되어 있다.
3개의 신축다리체(3)는 모두 동일 구성의 것으로, 각 신축다리체(3)는, 예를 들면 사각통형상의 복수개, 예를 들면 10개의 관형상부재 등으로 이루어지는 복수단식, 예를 들면 10단식의 것으로, 최상단의 관형상부재인 제 1 관형상부재(13) 및 위로부터 2단째의 제 2 관형상부재(14) 등을 갖고 있다. 최하단의 관형상부재의 하단부에는 발받침(15)이 부착되어 있다.
제 1 관형상부재(13)는, 축방향 양단면인 상하 단면이 개구한 사각통형상의 것으로, 제 1 관형상부재(13)의 상단 근방에는, 서로 이간 대향하는 원형상의 관통구멍인 2개의 끼워맞춤 구멍부(16)가 형성되어 있다. 즉, 제 1 관형상부재(13)는, 4개의 직사각형판부(13a)로 구성되어, 서로 이간 대향하는 2개의 직사각형판부(13a)의 상단 근방에 끼워맞춤 구멍부(16)가 그 직사각형판부(13a)에 관통하여 관통 형성되어 있다.
제 2 관형상부재(14)는, 제 1 관형상부재(13)와 같이 축방향 양단면인 상하 단면이 개구한 사각통형상의 것으로, 축방향의 길이 치수가 제 1 관형상부재(13)와 대략 동일하고, 폭치수가 제 1 관형상부재(13)보다 작고, 제 1 관형상부재(13)내에 이 제 1 관형상부재(13)에 대해서 축방향인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끼워맞춤 삽입되고 있다. 그리고, 제 2 관형상부재(14)는, 제 1 관형상부재에 대한 이동에 의해 제 1 관형상부재의 하단으로부터의 돌출길이가 조정 가능해지고 있다. 또한, 제 2 관형상부재(14)는 4개의 직사각형판부(14a)에서 구성되어 이 직사각형판부(14a)의 두께 치수는 제 1 관형상부재(13)의 직사각형판부(13a)의 두께 치수와 대략 동일하다.
또한, 신축다리체(3)는, 제 2 관형상부재(14)의 제 1 관형상부재(13)에 대한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부재 등으로 구성된 잠금수단(도시하지 않음)을 갖고 있다. 그리고, 제 2 관형상부재(14)의 제 1 관형상부재(13)의 하단으로부터의 돌출 길이를 최대로 하는 등, 2단째 이후의 9개의 관형상부재의 돌출 길이를 최대로 하는 것에 의해, 신축다리체(3)를 뻗은 상태로 하면, 이 뻗은 상태의 신축다리체(3)는 잠금수단으로 그 뻗은 상태로 잠금상태가 된다. 신축다리체(3)를 짧아진 상태로 되돌리는 경우에는, 제 1 관형상부재(13)의 하단부 바깥둘레에 부착된 잠금수단 해제수단(17)의 조작부(18)를 밀어 이동하여 조작하고, 제 2 관형상부재(14)를 제 1 관형상부재(13)내에 수납하는 등, 2단째 이후의 9개의 관형상부재를 제 1 관형상부재(13)내에 수납한다.
3쌍으로 합계 6개인 다리 지지체(11)는 모두 동일 형상의 것으로, 각 다리 지지체(11)는, 다리 피부착 오목부(10)내에 위치하여 연직면을 따른 상태로 기본체(2)의 다리 피부착 오목부(10)의 내면(10b)과 제 1 관형상부재(13)의 직사각형판부(13a)의 외면에 의해서 끼워 지지된 본체판부(21)를 갖고 있다.
본체판부(21)는, 사각형상의 공간부인 변형 허용용 절결부(22)가 상단으로부 터 상하 방향대략 중앙에 걸쳐서 절결부 형성된 대략 ㄷ자형의 제 1 판(23)과, 이 제 1 판(23)의 한 면의 수평방향 중앙에 일체로 설치되어 상단측이 변형 허용용 절결부(22)내를 향하여 만곡형상으로 탄성변형 가능한 상하 방향 긴 형상의 제 2 판(24)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 1 판(23)의 수평방향 길이 치수는, 제 1 관형상부재(13)의 직사각형판부(13a)의 폭치수와 대략 동일하다.
본체판부(21)의 한쪽면측, 즉 본체판부(21)의 제 1 판(23) 중 제 1 관형상부재(13)측의 면의 대략 중앙부에는, 제 1 관형상부재(13)와 대략 같은 두께의 원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제 1 관형상부재(13)를 회전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축부(25)를 구성하는 원형판부(26)가 일체로 돌출 설치되어 있다. 이 원판형상의 지지축부(25)는, 제 1 관형상부재(13)의 끼워맞춤 구멍부(16)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끼워맞춤 되어 있고, 이 끼워맞춤 구멍부(16)내에 배치되어 있다. 즉, 본체판부(21)로부터 돌출한 지지축부(25)의 선단면은, 제 1 관형상부재(13)의 내면과 대략 동일면상에 위치하고 있고, 제 1 관형상부재(13)의 내면보다 안쪽으로는 돌출하지 않는다. 지지축부(25)인 원형판부(26)의 두께 치수는, 제 1 관형상부재(13)의 직사각형판부(13a)의 두께 치수와 대략 동일하다.
본체판부(21)의 다른쪽 면측, 즉 본체판부(21)의 제 2 판(24) 중 제 1 관형상부재(13)측과는 반대측의 면의 상단부에는, 기본체의 다리 피부착 오목부(10)에 형성된 걸어맞춤 받이부인 걸어맞춤 받이단부(31)와의 걸어맞춤에 의해, 다리 지지체(11)가 다리 피부착 오목부(10)내로부터 아래쪽으로 빠져 나오는 것을 방지하는 돌기형상의 빠짐방지용 걸어맞춤부(32)가 일체로 돌출 설치되어 있다. 빠짐방지용 걸어맞춤부(32)는, 연직방향에 대해서 경사져서, 상단일수록 제 1 관형상부재(13)측에 위치하는 가이드 경사면(33)을 갖고 있다. 또한, 빠짐방지용 걸어맞춤부(32)는, 걸어맞춤 받이단부(31)의 수평면형상의 받이면(34)과 면형상으로 접촉 걸어맞춤하는 걸어맞춤면(35)을 갖고 있다.
그리고, 도 4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다리장치(1)에서는, 신축다리체(3)가 가장 짧아진 상태시에는, 제 2 관형상부재(14)의 상단이 지지축부(25)보다 위쪽의 위치에 있어서 제 1 관형상부재(13)의 상단과 대략 동일면상에 위치한다. 즉 예를 들면 도 4에 나타내는 상태에서는, 제 1 관형상부재(13)의 상단, 제 2 관형상부재(14)의 상단 및 다리 지지체(11)의 상단은, 다리 피부착 오목부(10)의 피접촉면(10a)에 접촉하여 동일면상에 위치한다. 한편, 기본체(2)에는, 걸어맞춤 받이단부(31)에 임한 구멍부(41)가 형성되어, 이 구멍부(41)는 다리 피부착 오목부(10)내에 연이어 통하여, 위쪽을 향하여 개구한다.
다음에, 다리장치(1)의 작용 등을 설명한다.
신축다리체(3)를 기본체(2)의 다리 피부착 오목부(10)에 부착하는 경우, 우선, 2개의 다리 지지체(11)를 신축다리체(3)의 제 1 관형상부재(13)의 상단부 외면측에 부착한다. 즉, 다리 지지체(11)의 지지축부(25)를 제 1 관형상부재(13)의 끼워맞춤 구멍부(16)에 끼워넣고, 지지축부(25)로 끼워맞춤 구멍부(16)를 서로 끼워맞춤시킨다.
이어서, 2개의 다리 지지체(11)가 부착된 제 1 관형상부재(13)의 상단부를 그들 2개의 다리 지지체(11)와 함께 기본체(2)의 다리 피부착 오목부(10)내에 삽입 하여, 다리 지지체(11)의 빠짐방지용 걸어맞춤부(32)와 기본체(2)의 다리 피부착 오목부(10)의 걸어맞춤 받이단부(31)를 서로 걸어맞춤시켜, 제 1 관형상부재(13)의 상단부가 기본체(2)의 다리 피부착 오목부(10)내로부터 빠져 나오지 않게 한다.
이 제 1 관형상부재(13)의 상단부의 다리 피부착 오목부(10)내에의 삽입시에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리 지지체(11)의 제 2 판(24)의 상단측은, 다리 피부착 오목부(10)의 연직면형상의 내면(10b)으로 밀리는 것에 의해, 변형 허용용 절결부(22)내를 향하여 만곡형상으로 구부러져 탄성변형한다. 그 후, 다리 지지체(11)의 제 2 판(24)의 상단측은, 다리 피부착 오목부(10)의 걸어맞춤 받이단부(31)의 위치에 도달하면, 다리 피부착 오목부(10)의 연직면형상의 내면(10b)으로부터 멀어져, 탄성 복원력에 기초하여 원래의 형상으로 복귀하여, 그 결과, 빠짐방지용 걸어맞춤부(32)와 걸어맞춤 받이단부(31)가 서로 걸어맞춤하여, 이 걸어맞춤에 의해서 다리 지지체(11) 및 제 1 관형상부재(13)의 상단부가 다리 피부착 오목부(10)내로부터 빠져 나오는 것이 방지된다.
이렇게 하여 다리 피부착 오목부(10)에 다리 지지체(11)를 사이에 두고 부착된 신축다리체(3)는 다리 지지체(11)의 지지축부(25)를 중심으로 회전운동 가능하고, 다리장치(1)를 사용하여 카메라 등의 피지지물을 지지하는 경우에는, 3개의 신축다리체(3)를 지지축부(25)를 중심으로 열림 방향으로 회전운동시킨 후, 신축다리체(3)를 짧아진 상태로부터 뻗은 상태로 하여, 그 후, 운대(6)에 피지지물을 부착한다.
또한, 예를 들면 사용후, 다리장치(1)를 휴대하는 경우 등에는, 카메라 등의 피지지물을 운대(6)로부터 떼어내어, 신축다리체(3)를 뻗은 상태로부터 짧아진 상태로 되돌리고, 그 후, 3개의 신축다리체(3)를 지지축부(25)를 중심으로 닫힘 방향으로 회전운동시켜 도 1 상태로 한다. 이 도 1에 나타내는 상태에서는, 3개의 신축다리체(3)는 기본체(2)의 긴 방향에 나열하여 위치한다.
그리고, 다리장치(1)에 의하면, 신축다리체(3)가 가장 짧아진 상태시에는, 적어도 제 2 관형상부재(하단 관형상부재)(14)의 상단이, 다리 지지체(11)의 지지축부(25)보다 위쪽의 위치에 있어서 제 1 관형상부재(상단 관형상부재)(13)의 상단과 대략 동일면상에 위치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신축다리체(3)의 다리 신축비를 적절히 향상할 수 있어, 따라서, 사용시에는 카메라 촬영 등에 요구되는 필요한 높이를 확보할 수 있어, 휴대시 등의 미사용시에는 충분히 컴팩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간단한 구성의 다리 지지체(11)에 의해서 신축다리체(3)를 회전운동 가능하게 적절히 지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리 지지체(11)의 본체판부(21)의 제 2 판(24)의 상단측을 제 1 판(23)의 변형 허용용 절결부(22)내를 향하여 탄성변형 시키는 것에 의해, 한번의 동작으로 신축다리체(3)를 다리 지지체(11)를 사이에 두고 기본체(2)의 다리 피부착 오목부(10)에 부착할 수 있어, 기본체(2)에 대한 신축다리체(3)의 부착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어, 조립성이 양호하다.
한편, 신축다리체(3)는, 10단식의 것에는 한정되지 않고, 적어도 2개의 관형상부재[제 1 관형상부재(13) 및 제 2 관형상부재(14)]를 갖는 것이면 좋다.
또한, 신축다리체(3)가 예를 들면 3개 이상의 관형상부재를 갖고, 이들 3개 이상의 관형상부재의 각 상단이, 신축다리체(3)가 짧아진 상태시에 지지축부(25)보 다 위쪽의 위치에 있어 대략 동일면상에 위치하는 구성이라도 좋다
게다가, 신축다리체(3)가 2개의 다리 지지체(11)로 회전운동 가능하게 지지된 구성에는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신축다리체(3)가 1개의 다리 지지체(11)만으로 회전운동 가능하게 지지된 구성이라도 좋다.
게다가, 다리장치(1)는, 3개의 신축다리체(3)를 구비한 운대 부착 삼각대에는 한정되지 않고, 운대가 없는 삼각대라도 좋고, 또한 신축다리체(3)의 개수는 임의이며, 1개, 2개의 것이라도 좋고, 4개 이상의 것이라도 좋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카메라 등을 지지하는 삼각대 등에 이용된다.

Claims (4)

  1. 기본체와,
    이 기본체에 대해서 회전운동 가능한 신축다리체와,
    상기 기본체와 상기 신축다리체와의 사이에 배열설치되고, 상기 신축다리체를 회전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다리 지지체를 구비하고,
    상기 신축다리체는,
    끼워맞춤 구멍부가 상단 근방에 형성된 제 1 관형상부재와,
    이 제 1 관형상부재내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제 1 관형상부재에 대한 이동에 의해 상기 제 1 관형상부재의 하단으로부터의 돌출길이가 조정가능한 제 2 관형상부재를 가지며,
    상기 다리 지지체는, 상기 제 1 관형상부재의 상기 끼워맞춤 구멍부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끼워맞춤된 지지축부를 갖고,
    상기 신축다리체가 짧아진 상태시에는, 상기 제 2 관형상부재의 상단이 상기 지지축부보다 위쪽에 위치하며,
    상기 다리 지지체는,
    기본체의 내면과 제 1 관형상부재의 외면에 의해서 끼워 지지된 본체판부와,
    이 본체판부의 한쪽면측에 돌출 설치되고, 지지축부를 구성하는 원형판부와,
    상기 본체판부의 다른쪽면측에 돌출 설치되고, 상기 기본체와 걸어맞춤하는 빠짐방지용 걸어맞춤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리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본체판부는,
    변형 허용용 절결부가 형성된 제 1 판과,
    이 제 1 판에 설치되고, 상기 변형 허용용 절결부내를 향하여 탄성변형 가능한 제 2 판으로 구성되고,
    원형판부가 상기 제 1 판에 돌출 설치되고, 빠짐방지용 걸어맞춤부가 상기 제 2 판에 돌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리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신축다리체가 짧아진 상태시에는, 제 2 관형상부재의 상단이 지지축부보다 위쪽의 위치에 있어서 제 1 관형상부재의 상단과 동일면상에 위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리장치.
KR1020087019540A 2008-04-17 2008-04-17 다리장치 KR1010066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7019540A KR101006643B1 (ko) 2008-04-17 2008-04-17 다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7019540A KR101006643B1 (ko) 2008-04-17 2008-04-17 다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4838A KR20100004838A (ko) 2010-01-13
KR101006643B1 true KR101006643B1 (ko) 2011-01-10

Family

ID=41814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9540A KR101006643B1 (ko) 2008-04-17 2008-04-17 다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664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52500U (ja) * 1991-12-20 1993-07-13 スリック株式会社 三脚における脚の開度調整装置
JP2001065786A (ja) * 1999-08-24 2001-03-16 Nippon Berubon Seiki Kogyo Kk 三 脚
JP2006153047A (ja) 2004-11-25 2006-06-15 Velbon Kk 三脚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52500U (ja) * 1991-12-20 1993-07-13 スリック株式会社 三脚における脚の開度調整装置
JP2551187Y2 (ja) * 1991-12-20 1997-10-22 スリック株式会社 三脚における脚の開度調整装置
JP2001065786A (ja) * 1999-08-24 2001-03-16 Nippon Berubon Seiki Kogyo Kk 三 脚
JP2006153047A (ja) 2004-11-25 2006-06-15 Velbon Kk 三脚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4838A (ko) 2010-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138971A1 (en) Clamping mechanism
TWI503211B (zh) 調節機構
US20120139278A1 (en) Flexible adjustable gripping device
US20070007409A1 (en) Supporting device for supporting an article thereon
JP3211516U (ja) ソケット用伸縮式磁気吸着台
CN109869591B (zh) 夹持结构及具有该夹持结构的云台
JP2018536118A (ja) 挟持構造及び該挟持構造を有する曇台
US10372153B2 (en) Lever device
US8221248B2 (en) Overload protection mechanism and shaft coupling device using the same
US8915476B2 (en) Leg device
US9195264B2 (en) Supporting apparatus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US20180334838A1 (en) Latch and assembly using the same
JP6632060B2 (ja) 規制装置
US20100158655A1 (en) Manipulator
KR101006643B1 (ko) 다리장치
KR102371621B1 (ko) 조인트
JP2016114402A (ja) プローブピン、および、これを備えた電子デバイス
JPWO2009128153A1 (ja) 脚装置
US20120325034A1 (en) Spring unit and sliding mechanism
US20180350717A1 (en) Retainer
JP6815107B2 (ja) 保持器ずれ防止機構を備えた有限直動案内ユニット
US8544969B2 (en) Chassis
US20130049277A1 (en) Positioning mechanism
US20120032385A1 (en) Clamping mechanism
US7729124B2 (en) Mounting apparatus for heat sin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