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6060B1 - 법규조문 구조를 이용한 개정지시 데이터 생성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법규조문 구조를 이용한 개정지시 데이터 생성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06060B1 KR101006060B1 KR1020100053251A KR20100053251A KR101006060B1 KR 101006060 B1 KR101006060 B1 KR 101006060B1 KR 1020100053251 A KR1020100053251 A KR 1020100053251A KR 20100053251 A KR20100053251 A KR 20100053251A KR 101006060 B1 KR101006060 B1 KR 10100606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ord
- data
- revised
- current
- articl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66—Editing, e.g. inserting or deleting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2—Use of codes for handling textual entities
- G06F40/151—Transformation
- G06F40/154—Tree transformation for tree-structured or markup documents, e.g. XSLT, XSL-FO or stylesheet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20—Natural language analysis
- G06F40/205—Parsing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20—Natural language analysis
- G06F40/232—Orthographic correction, e.g. spell checking or vowelis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Abstract
법규조문 구조를 이용한 개정지시 데이터 생성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법규조문 구조를 이용한 개정지시 데이터 생성방법은 현행 조문데이터 및 개정 조문데이터를 각각 현행법규 조문DB 및 개정법규 조문DB로부터 불러오는 단계와, XML 문서를 생성하는 단계와, 현행조문 데이터와 개정조문 데이터의 각 문장을 어절 단위로 분리하고, 분리된 어절의 상대적인 위치정보를 추출하여 분리된 어절 단위 및 추출된 위치정보를 각각 비교하여 개정지시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생성된 개정지시 데이터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따르면, 개정지시 데이터를 자동적으로 생성할 수 있게 되어, 법규 개정시 법규 편집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개정지시 데이터 생성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법규문서 편집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법규조문 구조를 이용한 개정지시 데이터 생성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중앙행정부처 및 지방자치단체는 「행정절차법」 등에 의하여 입법예고, 기관 및 부서협의, 규제심사, 부패영향평가, 법규심사 등 입안 과정상에서 적법한 절차를 거치고 있고, 지방공기업 및 일반기업 또한 내부규정에 의하여 법규문서의 검토절차를 거치고 있는 등 단순 수작업에 의하여 반복적으로 법규문서의 개정문과 신ㆍ구조문대비표를 작성하고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법 조문은 "장·절"의 구분과 "조-항-호-목"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법조문 번호, 법조문 제목이 개정되는 경우는 물론이고 법 조문 내용 즉 본문 또는 단서, 전단 또는 후단 등의 내용자체가 개정되는 경우가 흔하다.
상기 법 조문 내용의 길이가 짧은 경우에는 단순 수작업을 통해 어떠한 조문 내용이 개정되었는지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으나, 현행조문의 내용이 길거나, 개정내용이 여러 조문에 걸쳐서 다수의 내용이 개정되는 경우에는 현행법 조문의 어떠한 내용이 개정되었는지를 용이하게 파악하기 어렵다.
따라서, 법규 데이터가 개정되는 경우 개정 전 법규 데이터와 개정된 법규 데이터 사이에 개정내용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법규문서를 자동으로 검토하고 편집 가능한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법규 개정시 현행법규와 개정법규 사이의 편집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법규조문 구조를 이용한 개정지시 데이터 생성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법규 개정시 현행법규와 개정법규 사이의 편집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법규조문 구조를 이용한 개정지시 데이터 생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법규 개정시 현행법규와 개정법규 사이의 편집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법규조문 구조를 이용한 개정지시 데이터 추출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법규조문 구조를 이용한 개정지시 데이터 생성방법은 현행조문 데이터 및 개정하고자 하는 내용이 반영되어 편집된 개정조문 데이터를 각각 현행조문 DB 및 개정조문 DB로부터 불러오는 단계; 현행조문 데이터 및 개정조문 데이터의 XML 문서를 생성하는 단계; 현행조문 데이터와 개정조문 데이터의 각 문장을 어절 단위로 분리하고, 각 문장에서 어절의 상대적인 위치정보를 추출하여 분리된 어절 단위 및 추출된 위치정보를 각각 비교하여 개정지시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법규문서 편집화면상에 개정지시 데이터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개정지시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현행조문 데이터 및 개정조문 데이터에 공통적으로 포함되어 있는 공통어절의 앞 어절 및 뒷 어절을 검색하는 단계; 검색결과 현행조문 데이터와 개정조문 데이터에서 분리된 어절별로 일치하는지를 판단하여, 일치하지 않는 어절을 변경부분으로 추출하는 변경부분 추출단계; 및 현행조문 데이터 및 개정조문 데이터에서 변경부분으로 추출된 어절 또는 어절에 포함된 단어를 이용하여 개정과정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변경부분 추출단계는 현행조문 데이터 내에 존재하는 제1 공통어절의 앞 어절 또는 뒷 어절에 포함되어 있는 제1 조문단어가 제1 공통어절에 대응되는 것으로서, 개정조문 데이터 내에 존재하는 제2 공통어절의 앞 어절 또는 뒷 어절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현행조문 데이터의 상기 제1 조문단어가 상기 개정조문 데이터 내에서는 삭제되어 변경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변경부분 추출단계는 현행조문 데이터 내에 존재하는 제1 공통어절의 앞 어절 또는 뒷 어절에 포함되어 있는 제1 조문단어가 제1 조문단어에 대응되는 것으로서, 개정조문 데이터 내에 존재하는 제2 공통어절의 앞 어절 또는 뒷 어절 내에 존재하는 제2 조문단어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현행조문 데이터의 제1 조문단어가 개정조문 데이터 내에서는 제2 조문단어로 변경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개정지시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개정조문 데이터가 미리 설정된 법규 자구체계 및 법규조문 표현형식에 따라 편집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판단결과, 편집된 개정조문 데이터가 미리 설정된 법규자구체계 또는 상기 설정된 법규조문 표현규칙 중 어느 하나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법규오류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개정조문 데이터가 미리 설정된 법규 자구체계에 따라 편집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는 맞춤법 검사, 순화대상 용어 검사, 이동조문 참조검사를 포함할 수 있다.
개정지시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현행조문 데이터와 현행조문 데이터에 대응되는 것으로서 개정조문 데이터 중에서 추출된 변경부분만을 표시한 개정조문데이터를 병렬로 배치하여 구성되는 신구조문 대비표를 생성하기 위한 신구조문 대비 XML 생성단계; 및 신구조문 대비 XML을 기반으로 하여 신구조문 대비표를 생성하여 법규문서 편집화면상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면에 따른 법규조문 구조를 이용한 개정지시 데이터 생성장치는 현행조문 데이터 및 개정하고자 하는 내용이 반영되어 편집된 개정조문 데이터를 XML 형식으로 변환하는 XML 생성부; 현행조문 데이터와 개정조문 데이터의 각 문장을 어절 단위로 분리하고, 각 문장에서 어절의 상대적인 위치정보를 추출하여 분리된 어절 단위 및 추출된 위치정보를 각각 비교하여 개정지시 데이터를 생성하는 개정지시 데이터 생성부; 및 법규문서 편집화면상에 개정지시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한다.
개정지시 데이터 생성부는 현행조문 데이터 및 개정조문 데이터에 포함된 조문을 어절단위를 분리하는 어절분리부; 현행조문 데이터 및 개정조문 데이터의 각 문장에서 분리된 어절의 상대적인 위치정보를 추출하는 어절위치 추출부; 현행조문 데이터 및 개정조문 데이터에 공통적으로 포함되어 있는 공통어절의 앞 어절 및 뒷 어절을 검색하는 대응어절 검색부; 검색결과 현행조문 데이터와 개정조문 데이터에서 분리된 어절별로 일치하는지를 판단하여, 일치하지 않는 어절을 변경부분으로 추출하는 변경부분 추출부; 및 현행조문 데이터 및 개정조문 데이터에서 변경부분으로 생성된 어절 또는 상기 어절에 포함된 단어를 이용하여 개정과정 데이터를 생성하는 개정과정 데이터 생성부를 포함한다.
변경부분 추출부는 현행조문 데이터 내에 존재하는 제1 공통어절의 앞 어절 또는 뒷 어절에 포함되어 있는 제1 조문단어가 상기 제1 공통어절에 대응되는 것으로서, 개정조문 데이터 내에 존재하는 제2 공통어절의 앞 어절 또는 뒷 어절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현행조문 데이터의 제1 조문단어가 개정조문 데이터 내에서는 삭제되어 변경된 것으로 판단한다.
변경부분 추출부는 현행조문 데이터 내에 존재하는 제1 공통어절의 앞 어절 또는 뒷 어절에 포함되어 있는 제1 조문단어가 제1 조문단어에 대응되는 것으로서, 개정조문 데이터 내에 존재하는 제2 공통어절의 앞 어절 또는 뒷 어절 내에 존재하는 제2 조문단어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현행조문 데이터의 제1 조문단어가 개정조문 데이터 내에서는 제2 조문단어로 변경된 것으로 판단한다.
개정지시 데이터 생성부는 개정조문 데이터가 미리 설정된 법규 자구체계 및 법규조문 표현형식에 따라 편집되었는지를 판단하고, 판단결과, 편집된 개정조문 데이터가 미리 설정된 법규 자구체계 또는 미리 설정된 법규조문 표현규칙 중 어느 하나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법규오류 메시지를 생성하는 법규오류 판단부를 더 포함한다.
개정지시 데이터 생성부는 맞춤법 사전을 기반으로 하는 맞춤법 검사, 순화대상용어 사전을 기반으로 하는 순화대상 용어 검사, 인용구조를 검사하는 이동조문 참조검사를 수행하여 개정조문 데이터가 미리 설정된 법규 자구체계에 따라 편집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개정지시 데이터 생성부는 현행조문 데이터와 현행조문 데이터에 대응되는 것으로서, 개정조문 데이터 중에서 추출된 변경부분만을 표시한 개정조문 데이터를 병렬로 배치하여 구성되는 신구조문 대비표를 생성하기 위한 신구조문 대비 XML을 상기 XML 생성부로부터 전달받고, 신구조문 대비 XML을 기반으로 하여 신구조문 대비표를 생성하여 표시부로 전달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현행 법규의 조문데이터와 개정대상 법규 조문데이터를 각각 어절단위로 분리하고, 상기 어절단위로 현행법규와 개정법규를 비교함으로써 현행법규 중 개정대상 및 상기 개정대상의 개정내용 포함하는 개정지시 데이터를 자동적으로 생성할 수 있게 되어, 법규 개정시 법규 편집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개정지시 데이터의 생성과 동시에 현행법규와 개정법규 사이의 신구조문 대비표를 생성하도록 하여 법규 개정시 사용자의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법규 조문구조를 이용한 편집장치의 개략적인 블럭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개정지시 데이터 생성부의 블럭 구성도이다.
도 3은 현행법규 조문데이터와 개정대상 법규 조문데이터 사이의 분리된 어절 단위 및 상기 추출된 위치정보를 각각 비교하여 개정지시 데이터를 생성하는 편집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4는 개정지시 데이터와 신·구 조문 대비표를 함께 표시한 편집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법규 조문구조를 이용한 편집방법의 순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개정지시 데이터 생성부의 블럭 구성도이다.
도 3은 현행법규 조문데이터와 개정대상 법규 조문데이터 사이의 분리된 어절 단위 및 상기 추출된 위치정보를 각각 비교하여 개정지시 데이터를 생성하는 편집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4는 개정지시 데이터와 신·구 조문 대비표를 함께 표시한 편집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법규 조문구조를 이용한 편집방법의 순서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법규조문 구조를 이용한 개정지시 데이터 생성장치의 개략적인 블럭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법규조문 구조를 이용한 개정지시 데이터 생성장치(100)는 현행조문 데이터베이스(110), 개정대상 법규조문 데이터베이스(120), XML 생성부(130), 개정지시 데이터 생성부(140), 신·구조문 대비표 생성부(150) 및 표시부(160)를 포함한다.
현행조문 데이터베이스(110)는 개정되기 전의 현재 법규 데이터들을 저장하며, 개정대상 법규조문 데이터베이스(120)는 현재 법규 데이터들 중에서 일부 또는 전부를 개정하는 소정의 개정편집 과정을 거친 개정 법규 데이터들을 저장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법규조문 구조를 이용한 개정지시 데이터 생성장치(100)는 단순하게 법규 문서를 편집하는 편집장치가 아니라 현행조문과 개정조문의 차이점을 추출하여 개정지시 데이터를 생성하고, 현행조문 중에서 개정대상이 되는 내용과 상기 개정대상이 어떻게 개정되었는지를 일목요연하게 편집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개정지시 데이터 생성장치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현행법규의 조문데이터와 개정법규의 조문데이터가 필요하다. 개정법규의 조문데이터는 법규 개정과정에서 참여하는 사용자가 현행법규를 참조하여 개별적인 조문 내용을 변경, 삭제 등의 편집과정을 통해 생성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상기 개정조문 데이터는 미리 작성된 개정조문 데이터를 개정조문 데이터베이스에서 읽어들일 수도 있으나, 현행조문 데이터가 편집화면에 2단으로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제1단의 현행조문과 비교하여 제2단에서 현행조문의 개정대상을 직접 편집하는 과정을 통해 생성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에는 개정조문을 별도의 메모리(미도시)에 저장하여 개정조문 데이터베이스를 갱신시킬 수 있다.
XML 생성부(130)는 현행조문 데이터베이스(110)와 개정조문 데이터베이스(120)에서 각각 현행조문 데이터와 개정조문 데이터를 독출한다. 상기 독출된 현행조문 데이터 및 개정조문 데이터는 일정한 표준화된 작성지침에 따라 작성되어야 하고, 법규의 구조적인 표현의 기준은 법규 표준 XML 스키마를 기준으로 한다. 따라서, XML 생성부(130)는 현행조문 데이터와 개정조문 데이터의 XML 문서를 생성한다.
개정지시 데이터 생성부(140)는 현행조문 데이터와 개정조문 데이터의 각 문장을 어절 단위로 분리하고, 분리된 상기 어절의 현행조문 데이터 및 개정조문 데이터에서의 상대적인 위치정보를 추출한다. 위치정보가 추출되면 상기 위치에 있는 상기 분리된 어절의 앞 어절 및 뒷 어절을 각각 비교하여 개정된 사항이 있는지를 판단한다. 만약, 상기 비교결과 개정된 사항이 존재하면, 개정지시 데이터 생성부(140)는 현행조문 데이터의 어떤 내용이 개정조문 데이터에서 어떠한 내용으로 변경되었는지를 하나의 문장형식으로 표현된 개정지시 데이터를 생성한다.
본 발명에는 상기 개정지시 데이터를 생성할 때, 현행조문 데이터와 개정조문 데이터 상에 어떠한 표시 예컨대, 현행조문 데이터 상에 개정대상 내용을 식별할 수 있는 식별표시가 되어야 한다거나, 개정조문 데이터 상에 상기 현행조문 데이터의 개정대상 내용에 대응하는 상기 개정조문 데이터 상의 개정내용에 소정의 식별표시가 되어야 할 필요가 없다. 즉, 현행조문 데이터와 개정조문 데이터를 불러들이기만 하면, 개정지시 데이터 생성부(140)에서는 자동적으로 개정지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도 3에서 현행조문 데이터(200)의 제1조의 제목이 "목적"이었으나, 개정조문 데이터(300)의 제1조의 제목은 "목적과 개요"로 변경되었다. 이 때, 개정지시 데이터 생성부(140)를 통해 생성되는 개정지시 데이터(400)는「"제1조의 "목적"을 "목적과 개요"로 한다.」와 같이 생성될 수 있다. 상기 자동적으로 개정지시 데이터(400)를 생성할 수 있다는 의미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개정지시 데이터(400)를 생성하기 위하여 현행조문 데이터(200)의 "목적"과 개정조문 데이터(300)의 "목적과 개요"를 식별하기 위하여 상기 "목적"과 상기 "목적과 개요" 부분에 식별표시를 수행하는 어떠한 과정도 거칠 필요가 없다는 의미이다.
한편, 개정지시 데이터 생성부(140)는 현행조문 데이터와 개정조문 데이터를 각각 불러들이는 제1 단계와, 상기 현행조문 데이터와 개정조문 데이터를 비교하여 개정지시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2 단계로 구분되어 실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단계가 수행된 후, 사용자에 의해 개정조문 데이터 생성지시(예컨대, 도 3의 개정문 생성 아이콘 클릭)가 존재하는 경우 제2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단계와 상기 제2 단계가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다.
신·구조문 대비표 생성부(150)는 개정지시 데이터 생성부(140)를 통해 확인된 개정내용을 기초로 하여 현재조문 데이터와 개정조문 데이터를 병렬로 함께 나열하여 신·구조문 대비표를 생성한다.
표시부(160)는 법규문서를 편집하기 위하여 현행조문 데이터, 개정조문 데이터, 생성된 개정지시 데이터, 생성된 신·구조문 대비표를 법규문서 편집화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표시부(160)를 통해 표시되는 상기 데이터들은 현재조문 데이터와 개정조문 데이터가 동시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현재조문 데이터와 개정조문 데이터를 이용하여 개정지시 데이터를 생성하는 경우, 상기 현재조문 데이터, 개정조문 데이터 및 개정지시 데이터를 동시에 3단 나열구조 형식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개정지시 데이터가 생성되면 상기 생성된 개정지시 데이터와 함께 상기 개정 기초로 하여 생성된 신·구조문 대비표를 2단 나열구조 형식으로 표시될 수 있다. 표시부(160)에 상기 데이터들을 표시하는 방법은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제어될 수 있으며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개정지시 데이터 생성부의 블럭 구성도이고, 도 3은 현행법규 조문데이터와 개정법규 조문데이터 사이의 분리된 어절 단위 및 상기 생성된 위치정보를 각각 비교하여 개정지시 데이터를 생성하는 편집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법규조문 구조를 이용한 개정지시 데이터 생성장치의 개정지시 데이터 생성부(140)는 어절분리부(142), 어절위치 생성부(143), 대응어절 검색부(144), 변경부분 추출부(155) 및 개정과정 데이터 생성부(156)를 포함할 수 있다.
어절분리부(142)는 현행조문 데이터의 어떤 내용이 개정조문 데이터에서 어떤 내용으로 변경되었는지를 판단하기 위하여 상기 현행조문 데이터 및 개정조문 데이터의 각 문장을 어절단위로 구분한다. 예컨대, 도 3의 현행조문 데이터베이스(200)를 참조하면, 개정되기 전의 현행조문인 "제1조(목적)「"이 조례는 ~ 목적으로 한다.」"에서 상기 제1조는 하나의 문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띄어쓰기를 기준으로 하여 총 27개의 어절로 분리될 수 있다. "이", "조례는",…, "목적으로", "한다."가 제1조에서 분리된 어절들을 구성한다. 어절분리부(142)의 어절분리는 해당 법규의 모든 "조"에 대하여 실행될 수 있으며, 하나의 "조"에 복수의 문장이 포함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어절위치 추출부(143)는 현행조문 데이터를 기준으로 하여 개정조문 데이터의 문장에 포함되어 있는 각각의 분리된 어절들의 상대적인 위치를 추출한다. 예컨대, 도 3을 참조하면, 현행조문 데이터(200)에 포함되어 있는 "시민"이라는 단어는 개정조문 데이터(300)에서 "국민"으로 개정되어 있다. 이 때, 상기 "시민"이라는 단어의 뒷 어절에는 "쾌적한" 이라는 어절이 위치하고, 앞 어절에는 "보전·관리하여"라는 어절이 위치한다. 또한, 개정조문 데이터(300)에서 "국민"은 뒷 어절에 "쾌적한" 이라는 어절이 위치하고, 앞 어절에는 "보전·관리하여"라는 어절이 위치한다.
이와같이 어절위치 추출부(143)에서는 조문 데이터에 포함된 모든 어절(단어 포함)들의 앞 어절, 뒷 어절과의 관계를 파악하여 각 어절들의 상대적인 위치를 파악한다.
대응어절 검색부(144)는 현행조문 데이터(200)와 개정조문 데이터(300)에 공통적으로 포함되어 있는 공통어절의 앞 어절 및 뒷 어절을 검색한다. 본 발명에서 현행조문 데이터(200)에서 개정된 내용을 용이하게 파악하기 위하여 공통어절의 개념을 이용한다. 예컨대, 도 3을 참조하면, 현행조문 데이터(200)와 개정조문 데이터(300)에 공통적으로 포함되어있는 상기 공통어절은 상기 현행조문 데이터의 내용이 개정되지 않은 이상 모든 어절들이 공통어절로 인식될 수 있다.
현행조문 데이터(200)의 "쾌적한"이라는 어절은 개정조문 데이터(300)에도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쾌적한"이라는 어절은 공통어절이다. 대응어절 검색부(144)는 현행조문 데이터(200)에서 상기 "쾌적한"이라는 공통어절에 대응되는 앞 어절 및 뒷 어절을 검색한다. 앞 어절은 "시민이"이고 뒷 어절은 "환경에서 이다. 대응어절 검색부(144)는 또한 개정조문 데이터(300)에서 상기 "쾌적한"이라는 공통어절에 대응되는 앞 어절 및 뒷 어절을 검색한다. 검색결과 앞 어절은 "국민이"이고 뒷 어절은 "환경에서"이다. 본 발명에서 공통어절의 개념을 이용하는 것은 현행조문 데이터(200)에서 개정된 내용을 용이하게 파악하기 위함이다.
한편, 대응어절 검색부(144)에서는 상기 공통어절 부근 예컨대 공통어절의 앞 어절 및 뒷 어절을 검색하여 조문의 변경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기초 근거를 제공한다. 그러나 상기 공통어절의 부근이라 함은 공통어절의 앞 어절 및 뒷 어절에만 한정되지 않고, 사용자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예컨대, 공통어절의 앞의 두 어절, 뒤의 두 어절을 검색대상의 범위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현행조문 데이터(200)에는 본문의 내용만이 기재되어 있으나 개정조문 데이터(300)에는 단서의 내용이 신설되어 있다. 이 경우, 공통어절은 "한다."이며, 현행조문 데이터(200)에서의 "한다" 어절은 앞 어절만을 가지면 뒤 어절은 존재하지 않는다. 개정조문 데이터(300)에서는 "한다"의 앞 어절은 현행조문 데이터(200)와 동일하나, 뒤 어절은 단서가 생성되어 현행조문 데이터(200)를 기준으로 변경되었다.
변경부분 추출부(145)는 대응어절 검색부(144)에서 검색된 결과를 이용하여 현행조문 데이터(200)와 개정조문 데이터(300)에서 분리된 어절들이 일치하는지를 판단하여 일치하지 않는 어절을 변경된 부분으로 추출한다. 예컨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대응어절 검색부(144)의 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공통어절을 "쾌적한"으로 하였을 때, 현행조문 데이터(200) 내에 포함된 상기 공통어절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상기 공통어절의 앞 어절이 서로 일치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현행조문 데이터에서 "시민이"라는 어절이 개정조문 데이터(300)에서 "국민이"라는 어절로 변경되었음을 알 수 있다.
변경부분 추출부(140)에서는 현행조문 데이터의 "시민"이라는 단어가 개정조문 데이터에서 "국민"으로 변경된 것으로 인식한다.
개정지시문 생성부(146)는 현행조문 데이터(200) 및 개정조문 데이터(300)를 통해 변경부분으로 추출된 어절 또는 상기 어절에 포함된 단어를 이용하여 어떤 어절(단어 포함)가 어떠한 어절(단어 포함)로 변경되었는지에 대한 설명 데이터를 생성한다. 전술한 예시와 같이 현행조문의 "시민"이 "국민"으로 개정된 경우, 개정과정 지시문 생성부(143)에서는 「제1조 중 "시민"을 "국민"으로 한다.」라는 개정과정상의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와 같은 개정지시문은 일정한 규칙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예컨대, 하나의 조문에서 개정사항이 복수인 경우, 개정지시문은 여러 개의 단위지시문을 생성할 수 있고, 여러 개의 단위지시문 중에서 첫번째 단위지시문은 "~하고"를 사용한다. 또한 개정지시문에 같은 조문 내에서 둘 이상의 일부 개정이 있을 경우 단위지시문은 "~로," 또는 "~으로,"로 종료한다. 이 경우, 앞의 단위지시문이 "~하고"로 종료될 경우 다음에 오는 단위지시문은 "~하며," 또는 "~한다."로 종료한다. 또한 앞의 단위지시문이 "~하며,"로 종료될 경우 다음에 오는 단위지시문은 "~하고," 또는 "~한다."로 종료한다. 이와 같은 단위지시문을 포함한 개정지시문의 생성규칙은 일 예일 뿐이며 새로운 개정규칙이 정해질 때다 개정지시문 생성규칙이 갱신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법규조문의 단서가 개정과정에서 생성된 경우에는 상기 단서 내용의 신설을 알리는 개정지시문을 생성한다. 즉, 조문 내용의 추가, 변경, 삭제, 이동 등 조문 내용의 개정과정에 따른 개정지시문 생성규칙이 갱신되어 저장될 수 있으며, 이와같은 개정지시문 생성규칙에 의거하여 개정지시문이 생성된다.
한편, 법규오류 메시지 생성부(141)는 개정대상 조문데이터가 미리 설정된 법규 자구체계 및 법규조문 표현형식에 따라 편집되었는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결과, 개정조문 데이터가 상기 미리 설정된 법규 자구체계 또는 상기 미리 설정된 법규조문 표현규칙 중 어느 하나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법규오류 메시지를 생성한다.
신·구조문 대비표 생성부(140)는 현행조문 데이터와 상기 현행조문 데이터에 대응되는 것으로서 개정조문 데이터 중에서 변경부분만을 표시한 개정 조문데이터를 병렬로 배치하여 구성되는 신·구조문 대비표를 생성한다. 이를 위하여 신구조문 대비 XML을 XML 생성부(도 1의 130)로부터 전달받는다. 전달받은 신구조문 대비 XML을 기반으로 하여 신·구조문 대비표를 생성하며, 이를 표시부로 전달하여 법규문서 편집 화면에 표시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법규문서 편집장치의 화면에는 생성된 개정지시 데이터를 이용하여 신·구조문 대비표가 표시될 수 있다.
도 4는 개정지시 데이터와 신·구 조문 대비표를 함께 표시한 편집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신·구조문 대비표 생성부(140)가 개정지시 데이터 생성부(140)로부터 개정지시 데이터(400)를 전달받으면 전달받은 개정지시 데이터(400)를 XML 생성부(130)로 전달하여 개정지시 데이터(400)의 XML 문서를 생성하도록 한다. 또한, 신·구조문 대비표 생성부(140)는 XML 생성부(130)로부터 현행조문 데이터의 XML 문서와 개정지시 데이터의 XML 문서를 전달받아서 이들 문서들을 분석한다. 분석결과, 현행조문 데이터에서 개정된 부분만을 개시하는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를 기반으로 하여 신·구조문 대비표 생성부(140)는 신·구조문 대비표(500)를 생성한다.
표시부(160)는 현행조문 데이터와 현행조문 데이터 중 개정된 부분만이 개시되는 데이터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법규조문 구조를 이용한 개정지시 데이터 생성방법의 순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법규조문 구조를 이용한 개정지시 데이터 생성방법은 소정의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법규조문의 데이터들을 불러들인다(S610). 즉, 개정사항이 존재하는 경우 개정되기 전의 현행조문 데이터를 현행조문 데이터베이스(110)로부터 불러들인다. 개정조문 데이터베이스(120)로부터 개정조문 데이터를 불러들인다. 이 때 개정조문 데이터는 개정조문 데이터베이스(120)에 미리 편집되어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현행조문 데이터베이스(110)로 부터 현행조문 데이터를 불러들인 후, 사용자에 의해 즉석에서 개정대상이 편집될 수도 있다.
XML 생성부(130)에서는 현행조문 데이터 및 개정조문 데이터로부터 각각 현행조문 XML 문서 및 개정조문 XML 문서를 생성한다(S620). XML 문서가 생성되면, 상기 현행조문 데이터 및 개정조문 데이터들이 소정의 법규문서 생성규칙에 따라 생성되었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즉, 법규자구체계 검사 및 현행조문 데이터로부터 개정대상이 반영된 개정조문 데이터가 법규문서의 표현규칙에 따라 편집되었는지 여부를 검사한다(S631).
법규자구체계 검사는 기본적으로 조문 데이터의 각 라인별로 "편·장·절·관·조·항·호·목·단" 의 종류를 파악하여 자동 들여 쓰기와 일정한 문서편집 스타일을 적용하여 조문 구성항목의 번호의 순서, 상·하위 항목의 포함관계 등을 일정한 규칙에 따라 작성되었는지 검사하는 단계이다.
또한, 법규문서 표현규칙은 상기 "편·장·절·관·조·항·호·목·단"에 해당하는 데이터들이 일정한 규칙에 따라 편집되어야 하는 것으로서 띄어쓰기, 포함관계 여부, 표현규칙 등을 규정하고 있다. 예컨대, "조"는 띄어쓰기가 없으며, 상위개념으로 편·장·절·관을 포함할 수 있다. 그 표현규칙으로는 ⅰ) 조문의 번호와 제목은 "제○조(제목)~"의 형식으로 표현되어야 한다. ⅱ) 가지조의 번호와 제목은 "제○조의 □(제목)~"의 형식으로 표현되어야 한다. ⅲ) 가지조의 가지번호(□)는 숫자 2 이상으로 표현되어야 한다. ⅳ) 제목 다음은 1칸을 띄우고 본문과 제1항만 기재되어야 한다. ⅴ) 조문의 내용이 2줄 이상을 차지할 경우는 조문번호의 첫번째 숫자를 시작지점으로 하여야 한다. 이와 같은 법규조문의 표현규칙은 다양하며, 지속적으로 갱신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에 의해 조문이 개정편집되는 과정에서 개정조문 데이터가 이와같은 표현규칙에 적합한지 여부를 판단하여(S633), 상기 개정편집된 개정조문 데이터가 상기 표현규칙에 맞지 않으면 즉, 오류가 있으면 법규오류 메시지가 생성된다(S635).
상기 오류 존재여부에 대한 검사결과 오류가 없으면 현재조문 데이터와 개정조문 데이터의 문장에 포함된 어절들을 띄어쓰기 단위로 분리한다. 또한, 상기 조문데이터에서 상기 분리된 어절들의 상대적인 위치를 지정한다. 상기 조문을 구성하는 단위를 어절단위로 구분하는 것에 한정하지 않고, 단어 단위로 구분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현행조문 데이터 중에서 개정된 부분을 추출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조문 데이터를 어절단위로 분리한 것이며, 상기 분리단위는 어절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조문 데이터에 대하여 어절분리가 완료되면, 현재조문 데이터와 개정조문 데이터에 공통적으로 존재하는 공통어절을 선정하고, 모든 공통어절에 대하여 앞 어절 및 뒷 어절에 존재하는 단어들이 무엇인지를 검색한다(S643). 그리고 이와같은 공통어절 부근의 어절들을 검색하는 과정에서 변경부분을 추출한다(S647)(도 3 참조).
변경부분이 추출되면(S647), 개정지시 데이터를 생성한다(S650). 개정지시 데이터가 생성되면 이를 기반으로 하여 신구조문 대비표를 생성하고(S660), 개정지시 데이터와 신구조문 대비표를 2단 병렬구조로 배열하여 법규문서 편집기 화면상에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법규문서 편집 서비스는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되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폰(Smart phone), 핸드헬드(handheld) PC, 핸드폰, MP3 플레이어 등과 같이 CDMA(Code Division Multiplexing Access) 모듈, 블루투스 모듈, 적외선 통신모듈(IrDA), 유무선 랜카드와 같이 소정의 통신모듈을 구비할 수 있으며, 소정의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탑재함으로써 연산능력을 갖춘 단말기를 통칭하는 개념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이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매체일 수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법규조문 구조를 이용한 법규문서 편집장치
110: 현행조문 데이터베이스 111: 개정조문 데이터베이스
130: XML 생성부 140: 개정지시 데이터 생성부
141: 법규오류 메시지 생성부 142: 어절분리부
143: 어절위치 추출부 144: 대응어절 검색부
145: 변경부분 추출부 146: 개정지시문 생성부
150: 신구조문 대비표 생성부 160: 표시부
110: 현행조문 데이터베이스 111: 개정조문 데이터베이스
130: XML 생성부 140: 개정지시 데이터 생성부
141: 법규오류 메시지 생성부 142: 어절분리부
143: 어절위치 추출부 144: 대응어절 검색부
145: 변경부분 추출부 146: 개정지시문 생성부
150: 신구조문 대비표 생성부 160: 표시부
Claims (15)
- 현행 조문데이터 및 개정하고자 하는 내용이 반영되어 편집된 개정 조문데이터를 각각 현행법규 조문DB 및 개정법규 조문DB로부터 불러오는 단계;
상기 현행조문 데이터 및 개정조문 데이터의 XML 문서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현행조문 데이터와 상기 개정조문 데이터의 각 문장을 어절 단위로 분리하고, 상기 각 문장에서 상기 어절의 상대적인 위치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분리된 어절 단위 및 상기 추출된 위치정보를 각각 비교하여 개정지시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법규문서 편집화면상에 상기 개정지시 데이터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개정지시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현행조문 데이터 및 상기 개정조문 데이터에 공통적으로 포함되어 있는 공통어절의 앞 어절 및 뒷 어절을 검색하는 단계;
상기 검색결과 상기 현행조문 데이터와 상기 개정조문 데이터에서 상기 분리된 어절별로 일치하는지를 판단하여, 일치하지 않는 어절을 변경부분으로 추출하는 변경부분 추출단계; 및
상기 현행조문 데이터 및 상기 개정조문 데이터에서 상기 변경부분으로 생성된 어절 또는 상기 어절에 포함된 단어를 이용하여, 조문 내용의 개정과정을 나타내는 개정과정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법규조문 구조를 이용한 개정지시 데이터 생성방법.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부분 추출단계는
상기 현행조문 데이터 내에 존재하는 제1 공통어절의 앞 어절 또는 뒷 어절에 포함되어 있는 제1 조문단어가 상기 제1 공통어절에 대응되는 것으로서, 상기 개정조문 데이터 내에 존재하는 제2 공통어절의 앞 어절 또는 뒷 어절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현행조문 데이터의 상기 제1 조문단어가 상기 개정조문 데이터 내에서는 삭제되어 변경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인 법규조문 구조를 이용한 개정지시 데이터 생성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부분 추출단계는
상기 현행조문 데이터 내에 존재하는 제1 공통어절의 앞 어절 또는 뒷 어절에 포함되어 있는 제1 조문단어가 상기 제1 조문단어에 대응되는 것으로서, 상기 개정조문 데이터 내에 존재하는 제2 공통어절의 앞 어절 또는 뒷 어절 내에 존재하는 제2 조문단어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현행조문 데이터의 상기 제1 조문단어가 개정조문 데이터 내에서는 제2 조문단어로 변경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인 법규조문 구조를 이용한 개정지시 데이터 생성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정지시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개정대상 조문데이터가 미리 설정된 법규 자구체계 및 법규조문 표현형식에 따라 편집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결과, 상기 편집된 개정대상 조문데이터가 상기 미리 설정된 법규자구체계 또는 상기 미리 설정된 법규조문 표현규칙 중 어느 하나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법규오류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법규조문 구조를 이용한 개정지시 데이터 생성방법.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개정조문 데이터가 미리 설정된 법규 자구체계에 따라 편집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는
맞춤법 사전을 기반으로 하는 맞춤법 검사, 순화대상용어 사전을 기반으로 하는 순화대상 용어 검사, 인용구조를 검사하는 이동조문 참조검사를 수행하는 것인 법규조문 구조를 이용한 개정지시 데이터 생성방법.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개정지시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현행조문 데이터와 상기 현행조문 데이터에 대응되는 것으로서, 상기 개정조문 데이터 중에서 상기 추출된 변경부분만을 표시한 개정조문 데이터를 병렬로 배치하여 구성되는 신구조문 대비표를 생성하기 위한 신구조문 대비 XML 생성단계; 및
상기 신구조문 대비 XML을 기반으로 하여 신구조문 대비표를 생성하여 법규문서 편집화면상에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법규조문 구조를 이용한 개정지시 데이터 생성방법. - 현행조문 데이터 및 개정하고자 하는 내용이 반영되어 편집된 개정조문 데이터를 XML 형식으로 변환하는 XML 생성부;
상기 현행조문 데이터와 개정조문 데이터의 각 문장을 어절 단위로 분리하고, 상기 각 문장에서 상기 어절의 상대적인 위치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분리된 어절 단위 및 상기 추출된 위치정보를 각각 비교하여 개정지시 데이터를 생성하는 개정지시 데이터 생성부; 및
법규문서 편집화면상에 상기 개정지시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개정지시 데이터 생성부는,
상기 현행조문 데이터 및 상기 개정조문 데이터에 포함된 조문을 어절단위를 분리하는 어절분리부;
상기 현행조문 데이터 및 개정조문 데이터의 각 문장에서 상기 분리된 어절의 상대적인 위치정보를 추출하는 어절위치 추출부;
상기 현행조문 데이터 및 상기 개정조문 데이터에 공통적으로 포함되어 있는 공통어절의 앞 어절 및 뒷 어절을 검색하는 대응어절 검색부;
상기 검색결과 상기 현행조문 데이터와 상기 개정조문 데이터에서 상기 분리된 어절별로 일치하는지를 판단하여, 일치하지 않는 어절을 변경부분으로 추출하는 변경부분 추출부; 및
상기 현행조문 데이터 및 상기 개정조문 데이터에서 상기 변경부분으로 생성된 어절 또는 상기 어절에 포함된 단어를 이용하여 개정과정 데이터를 생성하는 개정과정 데이터 생성부
를 포함하는 법규조문 구조를 이용한 개정지시 데이터 생성장치. - 삭제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부분 추출부는
상기 현행조문 데이터 내에 존재하는 제1 공통어절의 앞 어절 또는 뒷 어절에 포함되어 있는 제1 조문단어가 상기 제1 공통어절에 대응되는 것으로서, 상기 개정조문 데이터 내에 존재하는 제2 공통어절의 앞 어절 또는 뒷 어절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현행조문 데이터의 상기 제1 조문단어가 상기 개정조문 데이터 내에서는 삭제되어 변경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인 법규조문 구조를 이용한 개정지시 데이터 생성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부분 추출부는
상기 현행조문 데이터 내에 존재하는 제1 공통어절의 앞 어절 또는 뒷 어절에 포함되어 있는 제1 조문단어가 상기 제1 조문단어에 대응되는 것으로서, 상기 개정조문 데이터 내에 존재하는 제2 공통어절의 앞 어절 또는 뒷 어절 내에 존재하는 제2 조문단어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현행조문 데이터의 상기 제1 조문단어가 개정조문 데이터 내에서는 제2 조문단어로 변경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인 법규조문 구조를 이용한 개정지시 데이터 생성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개정지시 데이터 생성부는
상기 개정조문 데이터가 미리 설정된 법규 자구체계 및 법규조문 표현형식에 따라 편집되었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결과, 상기 편집된 개정조문 데이터가 상기 미리 설정된 법규 자구체계 또는 상기 미리 설정된 법규조문 표현규칙 중 어느 하나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법규오류 메시지를 생성하는 법규오류 판단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인 법규조문 구조를 이용한 개정지시 데이터 생성장치.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개정지시 데이터 생성부는
맞춤법 사전을 기반으로 하는 맞춤법 검사, 순화대상용어 사전을 기반으로 하는 순화대상 용어 검사, 인용구조를 검사하는 이동조문 참조검사를 수행하여 상기 개정조문 데이터가 미리 설정된 법규 자구체계에 따라 편집되었는지를 판단하는 것인 법규조문 구조를 이용한 개정지시 데이터 생성장치.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개정지시 데이터 생성부는
상기 현행조문 데이터와 상기 현행조문 데이터에 대응되는 것으로서, 상기 개정조문 데이터 중에서 상기 추출된 변경부분만을 표시한 개정조문 데이터를 병렬로 배치하여 구성되는 신구조문 대비표를 생성하기 위한 신구조문 대비 XML을 상기 XML 생성부로부터 전달받고, 상기 신구조문 대비 XML을 기반으로 하여 신구조문 대비표를 생성하여 표시부로 전달하는 것인 법규조문 구조를 이용한 개정지시 데이터 생성장치. - 제1항 및 제3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법규조문 구조를 이용한 개정지시 데이터 생성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53251A KR101006060B1 (ko) | 2010-06-07 | 2010-06-07 | 법규조문 구조를 이용한 개정지시 데이터 생성방법 및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53251A KR101006060B1 (ko) | 2010-06-07 | 2010-06-07 | 법규조문 구조를 이용한 개정지시 데이터 생성방법 및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006060B1 true KR101006060B1 (ko) | 2011-01-07 |
Family
ID=436158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53251A KR101006060B1 (ko) | 2010-06-07 | 2010-06-07 | 법규조문 구조를 이용한 개정지시 데이터 생성방법 및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06060B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00546B1 (ko) | 2018-09-20 | 2019-07-17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상위법령과 하위법령의 개별 조항간 직계여부를 전산적으로 설정하여 건축규정 법령을 매핑시키는 건축규정 법령정보 검색시스템 및 그 방법 |
KR102009649B1 (ko) | 2018-08-21 | 2019-08-13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건축규정 분류체계별 건축규정 법령정보 검색 시스템 및 그 방법 |
KR102009651B1 (ko) | 2018-09-13 | 2019-08-13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건축관련 법령범위가 전산적으로 설정된 건축규정 법령정보 검색 시스템 및 그 방법 |
KR20240054115A (ko) | 2022-10-18 | 2024-04-25 | 강인태 | 인공지능 기반의 자치법규 입법 평가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295500A (ja) | 2003-03-27 | 2004-10-21 | Mitsubishi Electric Information Systems Corp | 改正法令分析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
KR100470440B1 (ko) | 2004-06-14 | 2005-02-05 | (주)젠솔소프트 | 법률 개정과정에서 필요한 각종 보고서의 규칙기반 자동생성 방법 |
KR20090044101A (ko) * | 2007-10-31 | 2009-05-07 | (주)오픈베이스 | 효율적인 법령 편집 지원 및 자동화 기술을 이용한 법령안편집 방법 |
KR100910895B1 (ko) | 2008-06-24 | 2009-08-05 | 송필호 | 법률의 개정내용 심사 및 제/개정 작업을 위한 자동화시스템 및 그 방법 |
-
2010
- 2010-06-07 KR KR1020100053251A patent/KR10100606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295500A (ja) | 2003-03-27 | 2004-10-21 | Mitsubishi Electric Information Systems Corp | 改正法令分析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
KR100470440B1 (ko) | 2004-06-14 | 2005-02-05 | (주)젠솔소프트 | 법률 개정과정에서 필요한 각종 보고서의 규칙기반 자동생성 방법 |
KR20090044101A (ko) * | 2007-10-31 | 2009-05-07 | (주)오픈베이스 | 효율적인 법령 편집 지원 및 자동화 기술을 이용한 법령안편집 방법 |
KR100910895B1 (ko) | 2008-06-24 | 2009-08-05 | 송필호 | 법률의 개정내용 심사 및 제/개정 작업을 위한 자동화시스템 및 그 방법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09649B1 (ko) | 2018-08-21 | 2019-08-13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건축규정 분류체계별 건축규정 법령정보 검색 시스템 및 그 방법 |
KR102009651B1 (ko) | 2018-09-13 | 2019-08-13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건축관련 법령범위가 전산적으로 설정된 건축규정 법령정보 검색 시스템 및 그 방법 |
KR102000546B1 (ko) | 2018-09-20 | 2019-07-17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상위법령과 하위법령의 개별 조항간 직계여부를 전산적으로 설정하여 건축규정 법령을 매핑시키는 건축규정 법령정보 검색시스템 및 그 방법 |
KR20240054115A (ko) | 2022-10-18 | 2024-04-25 | 강인태 | 인공지능 기반의 자치법규 입법 평가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074820B2 (ja) | アノテーション補助装置及びそのため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 |
US6098034A (en) | Method for standardizing phrasing in a document | |
CN101167075B (zh) | 专有表现抽取装置、方法以及程序 | |
US20010047255A1 (en) | Translating apparatus, dictionary search apparatus, and translating method | |
US8818979B2 (en) | Document retrieving apparatus and document retrieving method | |
CN113190687B (zh) | 知识图谱的确定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 |
JPH0293866A (ja) | 要約生成方法および要約生成装置 | |
KR101006060B1 (ko) | 법규조문 구조를 이용한 개정지시 데이터 생성방법 및 장치 | |
JPH07325827A (ja) | ハイパーテキスト自動生成装置 | |
CN101840406A (zh) | 地名搜索装置和系统 | |
CN101398858B (zh) | 一种基于本体学习的Web服务语义提取方法 | |
CN108804592A (zh) | 知识库检索实现方法 | |
CN103440233A (zh) | 一种科技论文标准化自动检测编辑系统 | |
Dipper et al. | Simple annotation tools for complex annotation tasks: an evaluation | |
CN103440232A (zh) | 一种科技论文标准化自动检测编辑方法 | |
CN107861753A (zh) | App生成索引、检索方法和系统及可读存储介质 | |
KR20090044101A (ko) | 효율적인 법령 편집 지원 및 자동화 기술을 이용한 법령안편집 방법 | |
CN103164398A (zh) | 汉维电子辞典及其自动转译汉维语的方法 | |
JPH07182373A (ja) | 文書情報検索装置及び文書検索結果表示方法 | |
CN103207682B (zh) | 基于音节切分的维哈柯文智能输入法 | |
JPH0844771A (ja) | 情報検索装置 | |
US20080243478A1 (en) | Efficient Implementation of Morphology for Agglutinative Languages | |
CN101699438A (zh) | 数据存取方法及系统 | |
JP2000250908A (ja) | 電子書籍の作成支援装置 | |
US20040054677A1 (en) | Method for processing text in a computer and a comput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