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44101A - 효율적인 법령 편집 지원 및 자동화 기술을 이용한 법령안편집 방법 - Google Patents

효율적인 법령 편집 지원 및 자동화 기술을 이용한 법령안편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44101A
KR20090044101A KR1020070110024A KR20070110024A KR20090044101A KR 20090044101 A KR20090044101 A KR 20090044101A KR 1020070110024 A KR1020070110024 A KR 1020070110024A KR 20070110024 A KR20070110024 A KR 20070110024A KR 20090044101 A KR20090044101 A KR 200900441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gislation
amendment
revision
revised
edi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00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창희
김학용
이병도
김광민
권혁
Original Assignee
(주)오픈베이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오픈베이스 filed Critical (주)오픈베이스
Priority to KR10200701100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44101A/ko
Publication of KR200900441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41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1Collaborative creation, e.g. joint development of products or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8Legal 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Technology Law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국가 법령의 입법과정상에서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제ㆍ개정법령에 대한 개정작업이 보다 효율적이고 체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율적인 법령 편집 지원 및 자동화 기술을 이용한 법령안 편집 방법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법령안을 편집하는 방법에 있어서, 작성하고자 하는 법령안의 기본정보를 입력하고, 입력 정보를 기반으로 법령 종류에 따라 관련 표준 서식을 로드하는 단계와, 상기 로드된 표준 서식을 기반으로 의결서나 제안개요 또는 별첨 내용을 작성하는 단계, 법령안의 제ㆍ개정 유형이 제정 및 전부개정인지 또는 일부개정인지를 판별하는 단계, 상기 법령안의 제ㆍ개정 유형이 제정 및 전부개정인 것으로 판별되면, 유사법령을 불러와서 법령집 형식으로 편집을 진행함에 의해, 조문과 부칙 및 별표ㆍ서식의 제정 및 전부개정 작업을 진행하는 단계, 상기 법령안의 제ㆍ개정 유형이 일부개정인 것으로 판별되면, 개정 대상의 현행법령을 불러와서 현행법령과 개정법령을 비교하여 법령 편집을 진행함에 의해, 조문과 부칙 및 별표ㆍ서식의 개정 작업을 진행하는 단계, 상기 제정 및 전부개정 작업이 진행중이거나 작업이 완료된 이후 또는 상기 일부개정 작업이 진행중이거나 작업이 완료된 이후에 법령자구 체계 검사 및 문서 형식 검사를 통해 법령 오류를 검증하는 단계 및, 상기 제정 및 전부개정 대상의 법령인 경우 제정문 및 전부개정문을 생성하여 법령안을 생성하고, 상기 일부개정 대상의 법령인 경우 개정문을 삽입하여 법령안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법령, 편집, 법령안, 제정문, 개정문, 신ㆍ구조문대비표, 신ㆍ구정원대비표, 개정, 제정, 전부개정, 일부개정, 조문, 부칙, 별표, 서식

Description

효율적인 법령 편집 지원 및 자동화 기술을 이용한 법령안 편집 방법{Method for Supporting Laws Edit Efficiently and Editing Laws and Ordinances Using Automatic Technology}
본 발명은 국가 법령의 입법과정상에서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제ㆍ개정법령에 대한 개정작업이 효율적이고 체계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하는 효율적인 법령 편집 지원 및 자동화 기술을 이용한 법령안 편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중앙행정부처는 입법예고, 부처협의, 규제심사, 부패영향평가, 법령심사 등 입안 과정상에서 반복적으로 단순 수작업에 의존하여 법령안의 제ㆍ개정문과 신ㆍ구조문대비표, 신ㆍ구정원대비표를 작성하고 있어 법령안에 포함된 제ㆍ개정문 및 신ㆍ구조문대비표 등에 오류의 소지가 발생하며, 업무 효율이 저하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법령안의 제ㆍ개정문과 신ㆍ구조문대비표, 신ㆍ구정원대비표 등을 작성하는데 있어서 그 작성규칙이 난해하여 담당자의 주된 업무가 아닌 1년에 한두번 작성하는 입장에서는 작성에 많은 어려움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국가 법령의 입법과정상에서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제ㆍ개정법령에 대한 개정작업이 보다 효율적이고 체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율적인 법령 편집 지원 및 자동화 기술을 이용한 법령안 편집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법령의 전용 편집 기술을 기반으로 조문, 부칙, 별표ㆍ서식을 편집하고, 법령자구 체계 검사, 참조ㆍ인용 조문 검토, 현행과 개정법령 비교 분석, 개정문 자동생성, 신ㆍ구조문대비표 자동생성 및 개정문 자동반영 등의 기능을 활용하여 입법과정 상에 단순ㆍ반복적인 수작업을 줄이고, 법령 입안 및 심사 본연의 업무에 충실할 수 있도록 기여하는 효율적인 법령 편집 지원 및 자동화 기술을 이용한 법령안 편집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르면, 법령안을 편집하는 방법에 있어서, 작성하고자 하는 법령안의 기본정보를 입력하고, 입력 정보를 기반으로 법령 종류에 따라 관련 표준 서식을 로드하는 단계와, 상기 로드된 표준 서식을 기반으로 의결서나 제안개요 또는 별첨 내용을 작성하는 단계, 법령안의 제ㆍ개정 유형이 제정 및 전부개정인지 또는 일부개정인지를 판별하는 단계, 상기 법령안의 제ㆍ개정 유형이 제정 및 전부개정인 것으로 판별되면, 유사법령을 불러와서 법령집 형식으로 편집을 진행함에 의해, 조문과 부칙 및 별표ㆍ서식의 제정 및 전부개정 작업을 진행하는 단계, 상기 법령안의 제ㆍ개정 유형이 일부개정인 것으로 판별되면, 개정 대상의 현행법령을 불러와서 현행법령과 개정법령을 비교하여 법령 편집을 진행함에 의해, 조문과 부칙 및 별표ㆍ서식의 개정 작업을 진행하는 단계, 상기 제정 및 전부개정 작업이 진행중이거나 작업이 완료된 이후 또는 상기 일부개정 작업이 진행중이거나 작업이 완료된 이후에 법령자구 체계 검사 및 문서 형식 검사를 통해 법령 오류를 검증하는 단계 및, 상기 제정 및 전부개정 대상의 법령인 경우 제정문 및 전부개정문을 생성하여 법령안을 생성하고, 상기 일부개정 대상의 법령인 경우 개정문을 삽입하여 법령안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율적인 법령 편집 지원 및 자동화 기술을 이용한 법령안 편집 방법을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법령 입안과정 상에 표준화된 서식, 작성지침 및 모범례를 제공하고, 법령집 형식의 편집을 지원하며, 법령에 대한 오류 검증과 함께 자동화된 도구를 통하여 제ㆍ개정문과 신ㆍ구조문대비표 등을 자동 생성을 통하여 법령안 작성의 편리하고 효율적인 작성을 지원함에 따라, 법령안 작성의 체계적인 작업 절차를 지원하고, 제ㆍ개정유형에 따른 다양한 도구를 지원함으로서 사용자의 편의성을 도모하고 복잡하고 어려운 작업을 손쉽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게 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즉,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효율적인 법령 편집 지원 및 자동화 기술을 이용한 법령안 편집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법령안 편집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방법이 적용된 법령안 편집 시스템은 법령 입안과정 상에 표준화된 서식, 작성지침 및 모범례를 제공하고, 법령집 형식의 편집을 지원하며, 법령에 대한 오류 검증과 함께 자동화된 도구를 통하여 제ㆍ개정문과 신ㆍ구조문대비표 등을 자동 생성하여 법령안 작성의 편리하고 효율적인 작성을 지원한다.
한편, 법령의 제ㆍ개정 작업은 크게 제정 및 전부개정과 일부개정으로 나눌 수 있으며, 제정 및 전부개정의 경우 법령의 조문, 부칙, 별표ㆍ서식을 신규 작성 및 재작성하는 방식이고, 일부개정은 법령의 일부분만을 다양한 개정유형에 따라 수정하는 방식이다.
통상적으로 제정은 이제까지 없던 새로운 법령을 만드는 것을 의미하며, 전부개정 방식은 개정의 범위가 3분의 2이상을 개정하거나, 수차의 개정을 거듭한 결과로서 삭제된 조항과 가지번호의 장ㆍ절 또는 조ㆍ항이 많아 새로운 체제로 정비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사용된다. 일부개정 방식은 대상 항목(조ㆍ항, 부칙 등)에 대하여 신설, 삭제, 전부개정, 이동, 일부개정, 맞교환 등의 개정지시문과 개정내용으로 개정문을 만들어 입안하는 방식이다.
도 1에서, 본 발명의 방법이 적용되는 법령안 편집 시스템은, 법령안의 기본정보를 관리하고, 법령의 검색/조회, 사용자 편집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법령안의 구조를 자동적으로 분석하는 법령안 구성요소 관리 모듈(10)과, 법령 입안 에 관련된 서식을 생성하기 위해 참고 자료를 검색 및 조회하는 법령 입안 관련 서식 관리 모듈(12), 별첨 문서 관리 모듈(14), 데이터 저장 모듈(16), 제정/전부개정 관리 모듈(20), 조문 편집 모듈(22), 부칙 편집 모듈(24), 별표/서식 편집 모듈(26), 일부개정 관리 모듈(30), 조문 개정 처리 모듈(32), 부칙 개정 처리 모듈(34), 별표/서식 처리 모듈(36)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제ㆍ개정 작업을 지원하는 절차는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법령의 제ㆍ개정 작업은 법령안을 작성하는 것이라 할 수 있으며, 법령의 종류에 따라 그 양식이 상이하다.
먼저, 법령안의 초안 생성시 법령안의 기본정보 즉, 법령명과, 제ㆍ개정 구분, 법종 구분, 소관 부처, 개정대상 법령(전부개정, 일부개정시)을 입력하게 되면(단계 S10), 그 입력된 기본 정보를 바탕으로 표준화된 기본서식을 제공하게 되는 바, 법령의 종류에 따라 관련 서식을 도르하게 되는데, 법률, 대통령령의 경우에는 의결서 형식이고, 부령, 대통령 훈령, 국무총리 훈령의 경우에는 제안 개요 형식에 해당된다(단계 S11).
그 다음에, 의결서 또는 제안개요의 해당 항목에 해당 법령안의 의결주문, 제안이유 및 주요내용 등을 입력하고(단계 S12), 제ㆍ개정유형을 판단하여(단계 S13), 그 제ㆍ개정유형에 따라 자동화 도구를 통하여 제정ㆍ전부개정과 일부개정에 대해 제ㆍ개정문, 신ㆍ구조문 대비표를 손쉽게 작성할 수 있도록 별도의 편집 화면을 제공하여 편집을 수행한다.
제정ㆍ전부 개정의 경우에는 유사법령의 불러오게 되고(단계 S14), 법령집 형식의 편집을 지원하게 되며(단계 S15), 법령자구 체계의 검사를 거쳐서(단계 S16), 참조ㆍ인용조문의 검토를 수행하고(단계 S17), 참조ㆍ인용조문의 검토가 수행되면 제정문 또는 전부개정문을 생성하여 법령안을 생성하게 된다(단계 S22).
일부개정의 경우에는 개정 대상의 현행법령을 불러오게 되고(단계 S19), 현행ㆍ개정 법령에 대한 비교ㆍ편집을 진행하게 되는데, 자동화 기능에 따라 개정문 자동 생성(조문, 부칙), 신ㆍ구조문대비표의 자동 생성, 개정문의 자동 반영, 별지의 자동 추출, 신ㆍ구정원대비표의 자동 생성을 수행한다(단계 S20).
그 다음에, 법령의 자구 체계에 대한 검사를 수행하고(단계 S16), 참조ㆍ인용조문의 검토를 거쳐서(단계 S17), 작성 완료된 제ㆍ개정문, 신ㆍ구조문대비표를 법령안의 해당 위치에 삽입하게 됨에 따라(단계 S21), 최종적으로 법령안을 완성하게 된다(단계 S22).
이하에서는 도 2의 플로우차트에 나타난 각 단계에서의 동작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법령안 기본정보 입력
사용자는 법령안 편집기능을 구동하여 작성하고자 하는 법령안의 기본정보를 입력하고, 입력된 정보를 기반으로 관련 표준 서식을 로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정의 경우는 법령명, 법종구분, 소관부처 정보만을 입력하고, 전부개정, 일부개정은 현행법령을 변경하는 작업이므로 대상 현행법령을 검색을 통하여 선택하게 된다.
사용자가 입력한 기본정보의 법종구분에 따라 법률, 대통령령은 법제처 심사 및 국무ㆍ차관 회의의 의결을 거쳐서 의결서 형식을 취하며, 부령, 대통령 훈령, 국무총리 훈령은 법제처의 법령 심사만을 수행함에 의해 제안개요 형식으로 작성하게 된다.
법령안 기본서식 제공
본 발명의 법령안 편집기능에서는 입력 정보를 기반으로 관련 서식을 자동 로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의결서 형식의 법령안은 표지, 1. 의결주문, 2. 제안개요, 3. 주요내용, 4. 주요토의과제, 5. 참고사항, 제ㆍ개정문, 부칙, 별표ㆍ서식, 별첨, 뒷표지의 목차로 구성되며, 2. 제안개요와 3. 주요내용은 내용에 따라 합쳐서 2. 제안개요 및 주요내용으로 작성될 수 있으며, 이때 3. 주요토의과제, 4. 참고사항으로 변경하여 작성한다.
의결서(또는 제안개요) 작성
제안개요 형식의 법령안은 1. 개정(제정)이유, 2. 주요내용, 3. 참고사항, 제ㆍ개정문, 부칙, 별표ㆍ서식, 별첨의 목차로 구성된다. 해당 목차의 순서는 변경될 수 없으며, 별첨의 경우는 주요토의과제, 관계법령, 신ㆍ구조문대비표, 입법예고 결과, 재정소요추계서가 별도로 첨부될 수 있다. 도 4는 법령안 편집기를 통하여 의결서 형식의 법령안을 작성하는 예시이다.
법령안 편집기능을 사용하여 로드된 표준 서식을 기반으로 사용자는 의결서(제안개요) 또는 별첨의 내용을 작성하게 된다. 이 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련 참고 자료 검색을 활용하여 관련 문서의 모범례, 작성지침 등을 참고하여 작성할 수 있다.
법령안의 별첨문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별첨문서 관리를 통하여 해당 추가할 문서를 선택하면 해당 문서의 표준 서식을 로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별첨의 순서는 변경될 수 없으며, 별첨의 구분과 순서를 의미하는 “[별첨 O]”는 별첨 문서 왼쪽 상단에 표시되며, 하나의 별첨 문서를 첨부하는 경우는 생략되며, 둘 이상의 별첨 문서를 첨부하는 경우만 사용된다. 편집기는 해당 별첨 문서 추가 및 삭제 시에 별첨 문서의 순서 및 종류를 파악하여 자동으로 “[별첨 O]" 번호 부여 및 순서를 자동으로 설정한다.
제ㆍ개정문 및 신ㆍ 구조문대비표 작성 방식
제정 및 전부개정과 일부개정 모두 전체 법령을 편집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며 표준화된 작성 지침에 따라 작성하게 되고, 법령의 구조적 표현의 기준을 법령 표준 XML Schema를 기반으로 하게 된다. 모든 개정이 완성된 하나의 법령을 만드는 과정이므로 편집과 검증 기능은 동일한 자동 검증을 통해 이루어진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법령 XML 생성 절차와 같이 법령 편집기능을 통하여 작성된 조문, 부칙, 별표ㆍ서식은 법령의 자구 체계 검사, 법령 XML 형식 검사를 통하여 검증되게 된다.
즉, 도 7에서는 법령 편집기를 실행시켜서(단계 S30), 사용자에 의한 법령의 편집을 진행하고(단계 S31), 검사 규칙으로서 맞춤법 사전과, 순화대상용어 사전을 이용하는 한편, 이동 조문 참조 검사, 참조 인용 조문 검사, 법령형식 검사와 같은 법령자구 체계 및 형식 검사를 거쳐서(단계 S32), 법령의 표준 XML을 생성하게 된다(단계 S33).
상기 법령의 표준 XML이 생성되면, 그 법령의 XML 형식에 대한 검사를 수행하게 되는 바, XML의 형식 검증과 법령 표준 XML 스키마의 유효성을 체크하게 된다(단계 S34).
한편, 실제 법령안에 포함되어 제ㆍ개정 내용을 파악하는 방식은 제정문 전체를 포함하는 제정, 전부개정과 개정문, 신ㆍ구조문대비표로 표현하는 일부개정의 형식이 상이하므로 작업자의 편의성을 도모하기 위해 그 구성화면이 상이하게 된다. 제정 및 전부개정은 조문, 부칙, 별표ㆍ서식 전체를 새로 작성하게 되며, 작성의 편의성을 위해 유사법령을 로드하여 편집하여 작성할 수 있고, 일부개정은 현행법령을 일부개정하는 형식이므로 현행법령을 로드하여 자동화된 기능을 통하여 개정문, 신ㆍ구조문대비표를 자동생성하게 된다.
1. 제정ㆍ 전부개정 처리
법령집 형식의 편집지원
제정 및 전부개정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집기능을 통하여 제공되는 법령 전용 편집 화면을 통하여 법령을 편집하게 된다.
법령 편집은 크게 조문 편집, 부칙 편집, 별표ㆍ서식 편집으로 구분되며, 해당 항목(조문, 부칙, 별표ㆍ서식) 별로 특성에 맞게 표준 서식을 기본으로 하는 입력 화면을 제공하고 사용자는 해당 서식을 기반으로 법령을 편집하게 된다.
법령자구 체계 검사
편집기능을 통한 법령 조문 편집 작업 중 또는 완료 후 법령자구 체계 및 형식 검사를 통하여 법령 오류를 검증하게 된다. 검증되는 기능으로는 맞춤법 사전을 기반으로 하는 맞춤법 검사, 옛날 용어, 일제 잔재 용어 등 순화대상용어 사전을 기반으로 하는 순화대상 용어 검사, 법령의 제ㆍ개정으로 인해 해당 법령을 참조 인용하고 있는 법령을 조사하여 잘못 참조 인용할 소지가 있는 법령을 파악하는 이동 조문 참조 검사, 법령내 참조 인용된 조문, 별표ㆍ서식에 대하여 해당 조문 및 별표ㆍ서식의 존재 여부 및 자동 하이퍼링크 생성, 그리고 (표 1)을 기반으로 하는 법령 조문에 대한 형식 검사를 수행한다.
구분 띄어쓰기 포함 표현규칙 예제
10칸 없음 - 가장 상위의 단락 구분 기호 - 하위로 '장'을 포함하거나 바로 '조'가 출현할 수 있다. ∨∨∨∨∨∨∨∨∨∨제1편∨총칙
12칸 - 하위로 '절'을 포함하거나 바로 '조'가 출현할 수 있다. ∨∨∨∨∨∨∨∨∨∨∨∨제1장∨통칙
14칸 - 하위로 '관'을 포함하거나 바로 '조'가 출현할 수 있다. ∨∨∨∨∨∨∨∨∨∨∨∨∨∨제2절∨한정치산 및 금치산
16칸 - 하위로 바로 '조'가 출현한다. ∨∨∨∨∨∨∨∨∨∨∨∨∨∨∨∨제1관∨투자신탁의 수익증권
없음 편,장,절,관 - 조문의 번호와 제목은 '제○조(제목)~' 의 형식으로 표현한다. - 가지조의 번호와 제목은 '제○조의□ (제목)~'의 형식으로 표현한다. - 가지조의 가지번호(□)는 숫자 2이상 표현한다. - 제목 다음은 1칸을 띄우고 본문과 제1 항만 나올 수 있다. - 조문의 내용이 2줄이상을 차지할 경우 는 조문번호의 첫번째 숫자를 시작지점 으로 한다. 제3조(자동차의 종류)∨①∨자동차 는 자동차의 크기 ..... 제30조(자기인증의 면제 등)∨다음 각호의 1에 ..... 제14조의2(주행거리 변경 사유)∨법 제71 조 제2항 단서에서 .....
2칸(제1항의 경우 1칸) - 항번호는 원문자(①, ② ....)를 사용 하여 표현한다. - 제1항(①)의 경우는 조문의 제목 다음 에 한칸 띄어쓰기를 하며, 제2항(②, ③...) 이상은 다음 줄에 두칸 띄어쓰 기를 적용한다. - 항번호와 항내용은 1칸 띄어쓰기를 한 다. - 항의 내용이 2줄이상을 차지할 경우는 항번호를 시작지점으로 한다. 제7조(자동차관리)∨①∨등록된 ..... ∨∨②∨제53조의 규정에 의하여 .....
2칸 조, 항 - 호번호는 숫자와 마침표(1., 2. ...)를 사용하여 표현한다. - 시작은 2칸 띄어쓰기를 하며, 호번호와 내용 사이는 1칸 띄어쓰기를 한다. - 호의 내용이 2줄이상을 차지할 경우는 호번호의 마침표를 시작지점으로 한다. ∨∨1.∨제1항 및 제2항의 규정 에 의하여 ..... ∨∨2.∨자동차 제 작.판매자 등 에 반품한
4칸 - 목번호의 기호는 '가나다(가., 나. ...)'를 사용하여 표현한다. - 시작은 4칸 띄어쓰기를 하며, 목번호와 내용 사이는 1칸 띄어쓰기를 한다. - 목의 내용이 2줄이상을 차지할 경우는 목번호와 마침표를 시작지점으로 한다. ∨∨∨∨가.∨범죄 피해재산 에 ..... ∨∨∨∨나.∨정을 알면서 범죄피해
6칸 - 단번호의 기호는 '(1), (2), ...'를 사용하여 표현한다. - 시작은 6칸 띄어쓰기를 하며, 목번호와 내용사이는 띄어쓰지 않는다. - 단의 내용이 2줄이상을 차지할 경우 는 단번호의 닫음괄호를 시작지점으 로 한다. ∨∨∨∨∨∨(1) 범죄 피해 재산 에 대하 여 ..... ∨∨∨∨∨∨(2) 범 죄 피해 자 환부 에 .....
조문의 자구 체계 검사는 기본적으로 자동 검사 수행 전에 각 라인별로 편장절관, 조ㆍ항ㆍ호ㆍ목ㆍ단의 종류를 파악하여 자동 들여쓰기와 스타일을 적용하여 가독성 및 체계를 정비하고, 조문 구성항목 번호의 순서, 상ㆍ하위 항목의 포함 관계, 표현 형식 등의 검사를 수행하여 오류가 있을 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항목을 반전하고 메시지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수정을 유도한다. 조문에 오류가 없을 시는 상ㆍ하위 항목 간의 체계도를 형성하고, 트리 리스트(Tree List)를 만들어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차적으로 생성된 조문 체계도 트리 리스트는 법령 표준 XML을 기반으로 생성되며 이를 활용하여 전체 조문의 구성을 파악할 수 있고, 선택항목(편장절관, 조ㆍ항ㆍ호ㆍ목ㆍ단)으로의 손쉬운 이동이 가능하며 상기 (표 1)의 포함관계에 따라 조문 구성 요소에 대한 추가, 삭제 및 변경이 가능하다.
참조ㆍ인용조문 검토
조문에 대한 편집이 완료되면 해당 법령 내에 참조ㆍ인용되는 법령 및 조문에 대한 자동 검증 및 하이퍼링크 생성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법률, 대통령령, 부령의 경우 상ㆍ하위법 간에 상위법에서 하위법으로 구체적인 사항을 위임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법령간의 참조ㆍ인용 구문을 통하여 법령의 내용을 작성한다. 또한 다른 법령의 조문 또는 별표ㆍ서식을 인용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한다.
이에 사용자가 작성한 참조ㆍ인용 조문에 대한 실제 법령의 조문 또는 별표ㆍ서식의 정확성과 그 내용을 파악할 수 있는 하이퍼링크 생성 작업을 자동으로 편집기를 통하여 수행하여 작업에 편리성을 도모한다.
그 처리절차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편집기능을 사용하여 작성한 법령 텍스트(Text)를 추출하고(단계 S40), 이를 기반으로 법령명, 조문번호, 별표ㆍ서식의 참조ㆍ인용의 작성 지침 및 규칙성에 따라 패턴검사를 수행하여 참조ㆍ인용 조문의 존재여부를 확인하게 된다(단계 S41).
여기서 주의할 점은 법률, 대통령령, 부령의 경우 상하위법 관계에 의한 상위 법령을 참조ㆍ인용하는 경우 법률은 “법”으로, 대통령령의 경우는 “영”으로 축약하여 사용함으로 이에 대한 처리도 자동으로 파악하게 된다.
참조ㆍ인용 조문이 존재할 경우 참조ㆍ인용 패턴에 해당하는 부분을 추출하여 법령명, 조문번호 및 가지번호, 별표구분, 별표번호를 추출하여 참조ㆍ인용 대상을 파악하고(단계 S42), 그 정보로 현행법령명 목록, 국어 조사 사전, 링크 금지어 사전을 활용하여 해당 항목의 존재여부와 오류여부를 파악하여 오류가 존재 시 오류메시지를 사용자에게 출력한다(단계 S43).
오류의 검증이 끝나면 추출된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문서의 종류(한글워드, HTML)를 맞는 하이퍼링크 정보를 생성하고(단계 S44), 사용자에 의해 생성된 하이퍼링크가 선택되면 해당 법령, 조문, 별표ㆍ서식을 검증하여 오류를 수정하고 참조 인용 조문 및 별표에 해당 항목을 바로 조회할 수 있는 문서를 생성하여 법령 참조ㆍ인용 작업을 완료하게 된다(단계 S45).
제정ㆍ 전부개정 부칙 편집
조문에 대한 작업 완료 후 법령안의 부칙에 대한 편집을 하게 된다. 부칙이란 본칙에 부수하여 그 법령의 시행일과 그 법령의 시행에 수반되는 과도적 조치, 그리고 그 법령의 시행에 따라 필요한 다른 법령의 개정 사항 등을 규정하는 부분을 말한다. 본 발명에서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칙에 규정하는 사항과 그 배열순서에 따라 해당 서식을 자동으로 로드하여 사용자의 편집을 지원한다
제정ㆍ 전부개정 별표ㆍ서식 편집
제정ㆍ전부개정에 대한 별표ㆍ서식의 편집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표 리스트를 통해 사용자가 추가, 삭제 및 수정하고자 하는 별표ㆍ서식을 관리하고, 해당 별표ㆍ서식을 호출하여 작업할 수 있다.
제정 및 전부개정의 조문, 부칙, 별표ㆍ서식에 대한 작업이 완료되면 해당 조문, 부칙, 별표ㆍ서식의 법령안의 각각의 항목에 삽입되어 하나의 문서로 완성된다.
2. 일부개정 처리
일부개정법령안은 법령의 전체 조문 중 일부분(2/3 이하)을 개정하는 것으로 법령의 개정을 지시하는 개정문과 현행ㆍ개정법령의 비교표에 해당하는 신ㆍ구조문대비표를 법령안에 포함하는 방식이다. 추가적으로 중앙행정부처의 직제에 포함되는 정원표의 변경이 있을 시 신ㆍ구정원대비표를 작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일부개정의 개정문과 신ㆍ구조문대비표의 자동 생성을 위하여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정ㆍ전부개정 편집과는 별도의 화면을 제공한다.
한편, 일부개정법령안을 위한 작업 절차는 도 15에 나타난 바와 같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정대상의 현행법령을 자동으로 불러오게 되면(단계 S50), 사용자는 자동 로드된 현행법령을 개정법령과 비교하여 법령을 편집하게 되고(단계 S51), 그 법령의 편집을 기반으로 조문 개정 작업을 진행하여 신ㆍ구조문대비표와 조문 개정문을 작성하고(단계 S52), 부칙 개정 작업을 수행하여 부칙 개정문을 작성하게 되며(S53), 별표ㆍ서식 개정 작업을 진행하여 별표ㆍ서식 개정문과, 별지, 신ㆍ구정원대비표를 작성하게 된다(단계 S54).
상기 조문 개정 작업과, 부칙 개정 작업, 별표ㆍ서식 개정 작업이 완료되면, 각각을 법령안의 해당 항목에 삽입하게 된다(단계 S55).
일부개정 조문 처리
조문 개정 작업은 조문의 개정문과 신ㆍ구조문대비표를 자동 생성하는 과정으로 사용자가 처음 일부개정 편집기를 구동 시는 현행법령과 동일한 개정법령이 화면에 표시된다. 사용자는 개정법령의 편집화면에 법령 편집 작업을 수행하고 개정문 생성을 지시하면 개정법령에 대한 법령 XML 생성 절차(도 7 참조)에 따라 조문의 자구 체계 검사, 법령 XML 형식 검사를 수행하여 오류가 발생시 오류메시지와 함께 해당 부분이 반전되어 사용자의 수정을 유도하고, 오류가 발생하지 않을 시는 개정문과 신ㆍ구조문대비표를 자동 생성하게 된다.
개정문 자동 생성
개정문 자동생성의 과정은 도 16에 나타난 바와 같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행조문과 개정조문의 편집 화면을 실행하여 개정조문에 대한 편집을 개시하게 되면(단계 S60), 현행조문과 개정조문의 XML을 생성하게 되고(단계 S61), 생성된 XML에 대한 법령 자구체계 형식 및 법령 XML의 형식 검사를 진행하여 오류가 발생되면 오류메시지를 출력하게 된다(단계 S62).
오류 검사가 완료되면, 현행조문과 개정조문의 XML을 분석하여 개정사항을 비교 가능하도록 정보를 분석하게 되고, 분석된 정보를 기반으로 현행조문과 개정조문을 비교하여 개정정보를 추출하게 되며(단계 S63), 분석된 개정 색인을 기준으로 개정문을 생성함과 더불어, 개정문을 단위지시문으로 분석하여 개정지시문으로 묶어 개정문 XML을 생성하게 되며(단계 S64), 개정문 XML 분석정보를 바탕으로 현행조문과 개정조문에 대하여 개정된 조문을 추출하여 신ㆍ구조문대비표 XML을 만듬과 더불어, 생성된 개정문 및 신ㆍ구조문대비표 XML을 해당 서식에 맞게 출력하는 과정을 수행한다(단계 S65).
상기 단계 S63에서의 현행조문과 개정조문의 XML을 분석하여 개정사항을 비교 가능하도록 정보를 분석하는 과정에서는, 이전의 XML 생성 절차 과정에서 생성된 현행ㆍ개정법령 XML을 편장절관 및 조ㆍ항ㆍ호ㆍ목ㆍ단 단위의 비교가 가능하도록 해당 정보를 추출하여 메모리에 저장한다.
메모리에 저장된 현행조문과 개정조문의 법령의 항목별 정보를 기반으로 개정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비교 작업을 아래의 절차에 따라 수행한다.
(1) 조ㆍ항ㆍ호ㆍ목ㆍ단의 조문을 비교하여 변경된 문구가 있는 조문 중 60%이상이 일치하고 조문번호가 같지 않으면 이동된 조문으로 분석하여 이동에 대한 색인을 생성한다.
1) 이동에 대한 색인은 이동된 조문의 하위 조문에 대한 색인을 포함하여 반영한다.
2) 범위 이동이 아닌 하나의 이동된 후 조문의 위치에 있는 조문이 다른 위치로 이동된 경우 연결된 이동정보에 대한 정보를 색인에 반영한다.
(2) 편장절관의 개정정보(제목전부개정, 번호 및 제목 전부개정, 제목삽입, 제목삭제, 전부개정, 신설, 삭제)를 추출한다.
(3) 조ㆍ항ㆍ호ㆍ목ㆍ단에 대한 신설, 삭제, 이동 그리고 변경된 조문(문장 중 변경된 문구가 있는 조문)의 정보를 추출한다.
(4) 조ㆍ항ㆍ호ㆍ목ㆍ단에 대한 변경된 조문에 대하여 전부개정 및 일부개정에 대한 개정정보를 추출한다.
1) 조문의 문장을 띄어쓰기로 구분하여 각 어절 및 위치정보를 추출하여 어절단위의 색인을 만든다. 단, 조문의 문장에 전단(본문)과 후단(단서)이 있을 경우 각각을 나눠서 분석한다.
2) 별표, 서식, 별지, 별도, 부록, 별책, 년월일 등에 대하여 띄어쓰기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하나의 어절단위로 인식되어야 하는 경우 패턴 또는 사용자 정의 사전을 분석하여 하나의 어절로 처리한다.
3) 현행조문에 있는 어절단위의 색인위치를 기준으로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있는 개정조문에 같은 어절이 있는지 검색하여 같은 어절이 있으면 상호간에 위치를 표시한다.
4) 현행조문과 개정조문의 위치와 어절을 비교하여 변경된 부분을 추출한다.
① 현행조문을 기준으로 상호간에 표시된 자신의 앞뒤 어절의 대상위치 범위에 자신의 대상이 있는지 검사하여 범위에 없는 경우 변경된 것으로 판단한다.
② 현행조문을 기준으로 자신의 위치와 자신의 앞뒤 어절의 대상위치 범위에 있는 경우 자신의 대상을 비교하여 틀리면 변경된 것으로 판단한다.
5) 조문의 60%이상이 변경된 경우 전부개정으로 처리 한다.
6) 조문의 60%미만이 변경된 경우 조사사전을 검색하여 조사를 제거한 후 나머지 문구에 대하여 일부개정으로 처리한다.
7) 6)에 의하여 추출된 일부개정 문구 중 괄호(열림 괄호, 닫힘 괄호)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괄호(열림 괄호, 닫힘 괄호)를 기준으로 변경된 부분만을 추출하여 일부개정 처리한다.
8) 6)에 의하여 추출된 일부개정 문구 중 중간점(·)이 있는 경우 중간점을 기준으로 나누어진 부분을 앞과 뒤에서 비교하여 남아있는 가운데 부분을 추출하여 일부개정으로 처리한다.
9) 6)에 의하여 추출된 일부개정 문구 중 쌍따옴표로 시작하고 쌍따옴표로 끝나는 경우 쌍따옴표를 제거한 나머지 부분을 추출하여 일부개정 처리한다.
10) 7) ~ 9) 항목중 변경되지 않은 부분에 같은 문구가 있는 경우 6) 항목을 기준으로 일부개정을 처리한다.
11) 6) 또는 10) 항목에도 불구하고 변경되지 않은 부분에 같은 문구가 있는 경우 조사를 붙여서 일부개정으로 처리한다.
12) 11) 항목에도 불구하고 변경되지 않은 부분에 같은 문구가 있는 경우 앞 또는 뒤 어절을 붙여서 일부개정으로 처리한다.
(5) 이미 사용자에 의하여 작성된 개정사항이 있을 경우 사용자의 개정의도를 새로 생성되는 개정사항에 반영한다.
1) 작성된 개정문 중 사용자가 작성한 일부개정이 있을 경우 새로 생성되는 개정문에 사용자가 의도한 일부개정을 반영한다.
(6) 상위 규칙에 의거하여 개정 분석 내용을 메모리에 적재한다.
(7) 개정 분석 정보를 기반으로 조ㆍ항ㆍ호ㆍ목ㆍ단의 번호를 파악하여 개정 분석 정보를 개정지시문의 순서에 맞게 정렬한다.
현행ㆍ개정법령의 비교ㆍ분석 정보에 따른 실제 개정문의 개정지시문과 개정내용은 아래의 절차에 따라 생성한다.
(1) 개정지시문은 각각의 지시문을 "~하고,"와 "~하며,"를 반복적으로 기술하여 "~한다."로 문장을 종료한다.
1) 개정지시문에 여러 개의 단위지시문이 있을 경우 첫 단위지시문은 “~하고,”를 사용한다.
2) 개정지시문에 같은 조문 내에서 둘이상의 일부개정이 있을 경우 단위지시문은 “~로,” 또는 “~으로,” 종료한다.
3) 2)의 경우 앞의 단위지시문이 “~하고,”로 종료될 경우 다음 단위 지시문은 “~하며,” 또는 “~한다.”로 종료한다.
4) 2)의 경우 앞의 단위지시문이 “~하며,”로 종료될 경우 다음 단위 지시문은 “~하고,” 또는 “~한다.”로 종료한다.
(2) 같은 조단위에 개정사항이 있을 경우 하나의 개정지시문으로 생성한다.
(3) (2) 항목일 경우라도 다음의 지시문일 경우 개정지시문을 종료한다.
1) 각 호[목, 단] 외의 부분에 대한 전부개정
2) 단서신설
3) 단서전부개정
4) 본문전부개정
5) 각 호 신설
6) 각호 전부개정
7) 1)- 6)를 제외한 전부개정 또는 신설
(4) (2) 항목 외에 다음의 지시문이 있을 경우 하나의 개정지시문으로 작성한다.
1) 조단위의 개정사항 중 (3)의 1) ∼ 7)을 제외한 전부개정과 신설이 혼합하여 나오고 (3)의 1) ∼ 7)을 제외한 전부개정과 신설 이외의 개정사항이 중간에 없는 경우
2) 조단위의 개정사항 중 이동 이외의 개정사항이 중간에 없는 경우
3) 조단위의 개정사항 중 삭제 이외의 개정사항이 중간에 없는 경우
(5) 편장절관에 대한 개정은 하나의 개정지시문으로 이루어진다.
(6) 법령명에 대한 개정은 하나의 개정지시문으로 이루어진다.
(7) 같은 조단위의 조ㆍ항ㆍ호ㆍ목ㆍ단에 같은 문구가 변경된 일부개정 사항이 있을 경우 일괄개정으로 처리한다.
(8) 2개의 연속 또는 비 연속된 전부개정, 신설, 삭제, 이동이 있을 경우 "및"을 사용하여 연결한다.
(9) 3개 이상의 연속된 전부개정, 신설, 삭제, 이동이 있을 경우 "∼부터 ∼까지"를 사용하여 연결한다.
(10) 3개 이상의 비 연속된 전부개정, 신설, 삭제, 이동이 있을 경우 쉼표로 구분한다.
(11) 연속된 이동이 아닌 이동 중 대상 위치의 조문이 다른 위치로 이동이 있을 경우 이동 대상에 있는 위치의 조문을 먼저 이동처리 후에 현재조문을 이동처리 한다.
(12) (7) ∼ (9)의 사항이 섞여서 반복되는 전부개정, 신설, 삭제, 이동에 대해서는 "및"을 사용하여 연결한다.
(13) 해당 조문에 대한 이동이 있을 경우 "(종전의 ~에서 이동)"을 표시한다.
(14) 부칙에 대한 개정문은 개정지시문 처음에 부칙의 헤드(Head)를 붙인다.
(15) 글자를 파악하여 "~으로", "~로", "~을", "~를" 등의 조사를 붙여 문장을 만든다.
(16) 한자의 문구가 있을 경우 한자사전을 검색하여 한글로 변환 후에 "∼으로", "∼로", "∼을", "∼를" 등의 조사를 붙여 문장을 만든다.
(17) 같은 조문에 일부개정과 이동이 같이 있을 경우 일부개정의 단위지시문은 “∼(으)로 하여”로 종료한 후에 이동 단위지시문이 오도록 문장을 만든다.
이전 단계에서 생성된 개정문 분석 정보와 개정문의 개정지시문 및 개정내용으로 개정문 XML을 생성하는 것에 있어서, 개정문과 신ㆍ구조문대비표를 XML로 정의하고 생성하는 이유는 현행ㆍ개정법령의 비교ㆍ분석을 통하여 파악된 정보의 체계적인 관리, 다양한 클라이언트(Client)에서의 표현지원 및 추후 개정문의 재분석 없이 개정문 XML 만으로 개정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개정문 XML을 구성하는 각 엘리먼트(Element)의 정의는 도17a 및 도 17b와 같고, 생성되는 개정문 XML은 도 18a 내지 도 18i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신ㆍ 구조문대비표 자동 생성
또한, 비교분석 정보를 바탕으로 현행법령과 개정법령에 대하여 개정된 조문을 추출하여 신ㆍ구조문대비표 XML을 생성하게 된다. 신ㆍ구조문대비표 XML을 생성하는 단계는 다음과 같다.
(1) 분석된 단위지시문을 바탕으로 이동정보를 분석한다.
(2) 단위지시문을 바탕으로 개정사항이 있는 조단위를 현행법령과 개정법령에서 추출하고 단위지시문을 같은 조단위로 묶어서 색인한다.
(3) 이동순서 및 경로을 추적하여 현행법령과 개정법령을 조단위로 묶는다.
(4) 조단위로 묶인 정보를 기준으로 신ㆍ구조문대비표를 작성한다.
(5) 신구조문 대비표의 순서를 정렬하여 XML을 생성한다.
신ㆍ구조문대비표 XML을 구성하는 각각 엘리먼트의 정의는 (표 2)와 같고, 생성되는 신ㆍ구조문대비표 XML은 하단의 도 19a 내지 도 19c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Element 구성 빈도 자료형태 비고
신구조문대비표 0 Complex 최상위 Root Element
대비표기본정보 0 Complex
버전 0 String 1.0
분석일자 0 String 2007-10-09 18:12:49
소요시간 0 Numeric 1,742ms
대비표 + Complex
조문여부 0 Boolean 조문/편장절관
조문번호 0 Numeric
대비표처리내역 0 Type 제,개정유형
구조문내용 0 String
신조문내용 0 String
상기의 과정을 통해 생성된 개정문 및 신ㆍ구조문대비표는 XML형식으로 제공됨으로 사용자의 요청 문서 형태에 따라 HTML, 한글워드 등의 형식으로 변환되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법령안 편집 기능은 클라이언트/서버(Client/Server) 환경을 기반으로 하므로 편집 시스템의 내에 포함되어 있는 한글워드 파일(예컨대 HWP) 형식으로 변환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그에 따라, 도 20 및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정문과 신ㆍ구조문대비표는 일정한 형식을 취하고 개정문의 개정내용의 편장절관, 조ㆍ항ㆍ호ㆍ목ㆍ단은 (표 1) 조문의 자구 체계의 규칙을 준수하여 생성되게 된다.
개정문 자동 반영
한편, 자동 생성된 개정문과 신ㆍ구조문대비표는 상기 정의된 규칙에 의하여 항상 동일한 형식으로 생성되나, 아래와 같이 일부 특정한 경우에 개정문을 수정하여 개정문 자동반영을 통하여 개정조문과 신ㆍ구조문대비표를 자동 생성할 수 있다.
(1) 일부개정의 범위를 넓히는 경우
(2) 3분의 2 미만의 일부개정 사항에 대하여 전부개정 처리를 하는 경우
(3) 한 조문의 개정사항이 너무 많아 여러 줄로 분리하여 개정지시문을 작성하고자 하는 경우
(4) 신설, 전부개정 등 하나의 조문에 여러 항목(항ㆍ호ㆍ목ㆍ단)에 대한 처리로 가독성 및 모호한 부분을 예방하기 위해 임의적으로 분리하는 경우
개정문 자동반영은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편집한 개정문을 추출하여 개정지시문과 개정내용으로 분리하며, 분리된 개정지시문을 분석하여 편장절관, 조ㆍ항ㆍ호ㆍ목ㆍ단 중 그 개정의 대상과 그 대상 중 “제목”, “본문”, “후단”, “단서” 등 세부 지시항목을 파악한다. 또한 개정지시문의 문장의 유형을 파악하여 “신설”, “삭제”, “전부개정”, “이동”, “맞교환”, “일부개정” 등 개정유형을 분석한다.
“신설”, “전부개정”의 경우는 분리된 개정 내용 중 해당 대상의 개정 항목을 분리한다. 분석된 개정대상, 개정유형과 개정내용을 기반으로 현행법령 XML에 개정대상을 찾아 개정유형에 맞게 개정내용을 반영하여 개정법령 XML을 생성하여 제공한다. 분석된 개정문 XML와 현행법령 XML을 기반으로 상위의 신ㆍ구조문대비표 생성 규칙과 동일한 과정을 거쳐 신ㆍ구조문대비표 XML을 생성한다.
상기 개정문, 신ㆍ구조문대비표의 생성 및 검증 작업을 통해 조문 일부개정 작업을 완료하게 되면, 다음은 부칙에 대한 개정 작업을 수행한다.
일부개정 부칙 처리
부칙의 일부개정 작업은 크게 과거 연혁 부칙에 대한 일부개정 작업과 법령안과 함께 공포될 신설 부칙에 대한 작업으로 나눌 수 있다. 부칙은 조문의 형식과 유사하나 조문의 구분없이 내용이 시작하거나 항으로만 내용을 구성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개정문의 형식도 개정대상 조문번호로 시작하지 않고 공포당시의 법령의 기본정보로 표시하고 개정문이 출현한다. 예를 들어 「소년법」의 과거 부칙의 일부개정은 하기한 (표 3)과 같이 표시한다.
개정문 형식 예 시
『법종구분명』 + 『공포번호』 + 『공포당시의 법령명』 + 『제ㆍ개정유형명』 + 『“부칙”』 + 『개정지시문』 법률 제4929호 少年法 일부개정법률 부칙 제1조 중 “施行한다”를 “6개월 후 施行한다”로 한다.
부칙에 대한 개정문은 자동생성을 원하는 부칙의 내용을 부칙의 예외사항(조문의 구분없이 내용이 시작, 항으로만 구성)을 고려하여 현행ㆍ개정법령 XML을 생성하고, 조문의 개정문 자동 생성 규칙과 방식과 동일한 방식으로 개정문 지시문과 개정내용을 생성하고, 개정대상 부칙의 대상의 법령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조회하여 부칙의 공포 당시의 기본정보를 근거로 부칙에 대한 개정문을 생성하게 된다. 법령안과 함께 공포될 신설 부칙은 규정하는 사항과 그 배열순서에 따라 해당 서식을 자동으로 표준 서식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편집을 지원한다.
도 23에서는 부칙에 대한 개정작업을 지원하는 화면으로 과거 연혁 부칙을 조회할 수 있는 트리 리스트를 제공하고, 해당 부칙을 선택하여 부칙을 로드하고 현행부칙과 개정부칙을 비교ㆍ편집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수정된 부칙은 개정문 자동 생성 기능을 통해 부칙 개정문을 자동 생성하여 표시하고, 부칙 트리 리스트 중 가장 하단의 신설부칙을 선택하면 부칙의 표준 서식을 제공하고 사용자의 편집을 지원한다.
일부개정 별표ㆍ서식 처리
별표ㆍ서식에 대한 개정작업은 크게 별표ㆍ서식의 개정문, 별지 및 신ㆍ구정원대비표 생성 작업으로 구분할 수 있다.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정 대상 법령의 현행 별표ㆍ서식을 트리 리스트 형태로 제공하고 선택한 별표ㆍ서식을 편집화면에 표시하여 사용자는 개정 별표ㆍ서식에 직접 개정사항을 편집할 수 있다.
별표ㆍ서식의 개정문 작업은 트리 리스트를 통하여 신설, 삭제, 전부개정 등 개정유형을 선택하면 해당 별표ㆍ서식의 개정문을 자동으로 생성한다. 별표ㆍ서식 개정문 생성의 규칙은 신설, 전부개정의 경우 대상 별표ㆍ서식을 별도의 별지 형태로 관리하며, 삭제의 경우는 해당 개정 별표ㆍ서식의 내용을 삭제하고 “[별표 O] 삭제” 문구를 삽입니다. 개정문의 형식은 하기한 (표 4)과 같다.
개정유형 대상이 하나인 경우 대상이 둘인 경우 대상이 셋이상인 경우
신설 별표○을 별지와 같이 신설한다. 별표○ 및 별표△을 각각 별지와 같이 신설한다. 별표○, 별표△ 및 별표□을 각각 별지와 같이 신설한다.
전부개정 별표○을 별지와 같이 한다 별표○ 및 별표△을 각각 별지와 같이 한다. 별표○, 별표△ 및 별표□을 각각 별지와 같이 한다.
삭제 별표○을 삭제한다 별표○ 및 별표△을 각각 삭제한다. 별표○, 별표△ 및 별표□을 각각 삭제한다.
위의 개정문 형식에서 대상이 둘 이상인 경우는 낮은 번호에서 높은 번호순으로 대상을 나열하고, 별표ㆍ서식의 종류에 따라 별표는 “별표 ○”, 서식은 “별지 제○호 서식”, 별지는 “별지 ○”, 별도는 “별도 ○”, 부록은 “부록 ○”로 표시하며, 또한, 개정지시문의 순서도 별표, 서식, 별지, 별도, 부록의 순으로 개정지시문도 분리하여 자동 생성한다. 별표ㆍ서식의 개정문 생성에 대한 것은 도 25에 예시된 바와 같다.
별표ㆍ서식의 일부개정은 개정별표 편집화면에 해당 개정사항을, 개정문에는 추가적으로 일부개정 사항에 대해서 사용자가 작업한다.
위와 같이 개정문 작업이 완료되면, 개정지시문을 분석하여 신설, 전부개정 지시문을 구분하고, 별표ㆍ서식 대상을 파악하여 별지로 자동 추출하게 된다.
신ㆍ구정원대비표 자동 생성은 중앙행정부처의 직제 또는 직제 시행규칙의 별표ㆍ서식에 포함된 정원표에 개정사항이 발생한 경우 이를 구 정원표와 대비하여 비교표를 자동 생성함을 의미한다. 신ㆍ구정원대비표의 경우 “총계”, “단위계”, “해당정원” 형태로 작성되며, 정원의 변동이나 신설, 삭제에 따라 해당 부분을 파악하여 작성된다.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현행ㆍ개정의 정원표를 비교하여 개정 별표의 해당 정원을 수정하고, 별도의 신ㆍ구정원대비표 자동 생성으로 신ㆍ구정원대비표를 자동 생성한다.
신ㆍ구정원대비표는 도 28과 같은 형식으로 작성되며, 편집기능에서는 현행별표와 개정별표를 행단위로 비교ㆍ판단하여 정원의 변동이나, 신설, 삭제된 항목으로 파악하고, 정원의 차이를 계산하여 메모리에 적재한다. 신ㆍ구정원대비표의 작성규칙은 항상 “총계”가 표시되며, “해당정원”이 변경 시 해당 “단위계”도 함께 표시하게 되어 있다. 개정 정원표의 행 순서에 따라 변경된 행 사이의 간격이 하나인 경우는 하나의 가운뎃점으로 구분으로 둘 이상인 경우는 두개의 가운뎃점으로 행간을 구분한다. 신설된 정원의 경우는 현행은 “<신설>”로 표시하며, 삭제인 경우는 개정안을 “<삭제>”로 표시하고, 해당 직급명은 밑줄을 사용하여 표시한다.
이상과 같이 일부개정의 조문, 부칙, 별표ㆍ서식에 대한 작업이 완료되면 (표 5)와 같이 법령안의 해당 부분에 삽입되어 법령안을 완성하게 된다.
일부개정 편집기를 통하여 생성된 문서 법령안의 삽입위치
조문 개정문 개정문
신구조문대비표 신구조문대비표
부칙 개정문 개정문(조문 개정문 이후에 병합)
신설부칙 부칙
별표,서식 개정문 개정문(부칙 개정문이 있는 경우는 부칙 개정문 이후에 병합, 부칙 개정문이 없는 경우는 조문 개정문 이후에 병합)
별지 별표
신구정원대비표 신구조문대비표 이후에 병합
사용자는 도 4의 법령안 편집화면을 통하여 최종 검토 및 수정을 하고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컴퓨터에 저장ㆍ보관하여 입안 과정 중 수정사항이 발생시 불러오기를 통하여 수정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이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본 발명에 첨부된 청구범위 안에 속한다고 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법령안 편집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법령안 편집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법령안 편집 방법을 통한 제ㆍ개정 절차를 전반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법령안의 기본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화면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의결서 형식의 법령안을 작성하는 상태를 표시한 인터페이스 화면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법령안의 별첨 문서 관리를 위한 기본 정보가 입력되는 상태를 표시한 인터페이스 화면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참고 자료를 검색하는 상태를 표시한 인터페이스 화면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ㆍ개정문 및 신ㆍ구조문 대비표를 작성하는데 있어서 법령 XML이 생성되는 절차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법령의 전용 편집 화면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라 조문의 자구 체계를 검사하는 상태를 표시한 인터페이스 화면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라 조문 체계도의 트리 리스트(Tree List)를 활용하는 상태를 표시한 인터페이스 화면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따라 법령내의 참조, 인용 조문 검증 및 하이퍼링크의 생성 절차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12는 본 발명에 따라 부칙의 편집 화면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13은 본 발명에 따라 별표ㆍ서식의 편집 화면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14는 본 발명에 따라 법령안의 일부개정을 처리하는 인터페이스 화면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일부개정 작업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16은 본 발명에 따라 개정문의 자동적인 생성 과정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17a 및 조 17b는 본 발명에 따라 개정문 XML을 구성하는 각 엘리먼트의 정의를 도표로 나타낸 도면,
도 18a 내지 도 18i는 도 17a 및 도 17b의 엘리먼트 정의에 따라 생성되는 개정문 XML을 개정문과의 비교표를 나타낸 도면,
도 19a 내지 도 19c는 본 발명에 따라 신ㆍ구조문대비표와 신ㆍ구조문대비표 XML의 비교표를 나타낸 도면,
도 20은 본 발명에 따라 개정문이 자동 생성되는 상태에 대한 인터페이스 화면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1은 본 발명에 따라 신ㆍ구조문 대비표가 자동 생성되는 상태에 대한 인터페이스 화면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2는 본 발명에 따라 개정문이 자동 반영되는 과정을 설명하는 플로우차 트,
도 23은 본 발명에 따라 부칙에 대한 개정 작업이 진행되는 상태에 대한 인터페이스 화면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4는 본 발명에 따라 별표ㆍ서식에 대한 개정 작업이 진행되는 상태에 대한 인터페이스 화면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5는 본 발명에 따라 별표ㆍ서식의 개정문이 자동 생성되는 상태에 대한 인터페이스 화면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6은 본 발명에 따라 개정문의 작업 완료에 따라 개정지시문을 분석하여 별지로 자동 추출되는 상태에 대한 인터페이스 화면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7은 본 발명에 따라 정원표의 편집 화면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8은 본 발명에 따라 신ㆍ구정원 대비표가 자동 생성되는 상태에 대한 인터페이스 화면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9는 본 발명에 따라 최종 검토 및 수정이 완료된 법령안 편집 데이터를 저장하는 상태에 대한 인터페이스 화면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법령안 구성요소 관리모듈, 12:법령 입안 관련 서식 관리 모듈,
14:별첨문서 관리 모듈, 16:데이터 저장 모듈,
20:제정/전부개정 관리모듈, 22:조문 편집 모듈,
24:부칙 편집 모듈, 26:별표/서식 편집 모듈,
30:일부개정 관리 모듈, 32:조문 개정 처리 모듈,
34:부칙 개정 처리 모듈, 36:별표/서식 처리 모듈.

Claims (9)

  1. 법령안을 편집하는 방법에 있어서,
    작성하고자 하는 법령안의 기본정보를 입력하고, 입력 정보를 기반으로 법령 종류에 따라 관련 표준 서식을 로드하는 제1단계와;
    상기 로드된 표준 서식을 기반으로 의결서나 제안개요 또는 별첨 내용을 작성하는 제2단계;
    법령안의 제ㆍ개정 유형이 제정 및 전부개정인지 또는 일부개정인지를 판별하는 제3단계;
    상기 법령안의 제ㆍ개정 유형이 제정 및 전부개정인 것으로 판별되면, 유사법령을 불러와서 법령집 형식으로 편집을 진행함에 의해, 조문과 부칙 및 별표ㆍ서식의 제정 및 전부개정 작업을 진행하는 제4단계;
    상기 법령안의 제ㆍ개정 유형이 일부개정인 것으로 판별되면, 개정 대상의 현행법령을 불러와서 현행법령과 개정법령을 비교하여 법령 편집을 진행함에 의해, 조문과 부칙 및 별표ㆍ서식의 개정 작업을 진행하는 제5단계;
    상기 제정 및 전부개정 작업이 진행중이거나 작업이 완료된 이후 또는 상기 일부개정 작업이 진행중이거나 작업이 완료된 이후에 법령자구 체계 검사 및 문서 형식 검사를 통해 법령 오류를 검증하는 제6단계; 및
    상기 제정 및 전부개정 대상의 법령인 경우 제정문 및 전부개정문을 생성하여 법령안을 생성하고, 상기 일부개정 대상의 법령인 경우 개정문을 삽입하여 법령 안을 생성하는 제7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율적인 법령 편집 지원 및 자동화 기술을 이용한 법령안 편집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법령의 구조적 표현의 기준을 법령 표준 XML 스키마(Schema)를 기반으로 하여 XML 형식의 문서로 개정 작업을 진행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율적인 법령 편집 지원 및 자동화 기술을 이용한 법령안 편집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5단계는, 현행법령과 개정법령의 XML을 분석하여 개정 사항의 비교를 위한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와,
    상기 분석 정보를 기반으로 현행법령과 개정법령을 비교하여 개정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분석된 개정색인을 기준으로 개정문을 생성하는 단계,
    개정문을 단위지시문으로 분석하여 개정지시문으로 묶어서 개정문 XML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개정문 XML 분석정보를 기반으로 현행법령과 개정법령에 대하여 개정된 조문을 추출하여 신ㆍ구조문대비표 XML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개정문 및 신ㆍ구조문대비표 XML을 해당 서식에 맞게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율적인 법령 편집 지원 및 자동화 기술을 이용한 법령안 편집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5단계에서, 일부개정의 범위를 넓히거나, 3분의 2 미만의 일부개정 사항에 대하여 전부개정 처리를 하는 경우 또는 한 조문의 개정사항이 너무 많아 여러 줄로 분리하여 개정지시문을 작성하고자 하는 경우나, 신설, 전부개정 등 하나의 조문에 여러 항목(항ㆍ호ㆍ목ㆍ단)에 대한 처리로 가독성 및 모호한 부분을 예방하기 위해 임의적으로 분리하는 경우 중에서 하나의 경우에 개정문을 수정하여 개정문 자동반영을 통하여 개정조문과 신ㆍ구조문대비표를 자동 생성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개정문 자동반영은,
    상기 개정문을 개정지시문과 개정내용으로 분리하고 분리된 개정지시문을 분석하여 개정의 대상과 그 대상에서 세부 지시항목을 파악하는 단계와,
    상기 개정지시문의 문장의 유형을 파악하여 “신설”, “삭제”, “전부개정”, “이동”, “맞교환”, “일부개정” 등 개정유형을 분석하는 단계,
    상기 분석된 개정대상, 개정유형과 개정내용을 기반으로 현행법령 XML에 개정대상을 찾아 개정유형에 맞게 개정내용을 반영하여 개정법령 XML을 생성하여 제공하고, 분석된 개정문 XML와 현행법령 XML을 기반으로 신ㆍ구조문대비표 생성 규칙과 동일한 과정을 거쳐 신ㆍ구조문대비표 XML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율적인 법령 편집 지원 및 자동화 기술을 이용한 법령 안 편집 방법.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5단계에서, 상기 부칙에 대한 일부개정 작업은, 생성을 원하는 부칙에 대한 현행법령 및 개정법령의 XML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현행법령과 개정법령의 XML을 분석하여 개정 사항의 비교를 위한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분석 정보를 기반으로 현행법령과 개정법령을 비교하여 개정문지시문과 개정내용을 생성하는 단계,
    개정대상 부칙의 대상 법령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조회하여 부칙의 공포 당시 기본정보를 근거로 부칙에 대한 개정문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율적인 법령 편집 지원 및 자동화 기술을 이용한 법령안 편집 방법.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 및 제5단계에서, 상기 별표ㆍ서식에 대한 개정 작업은, 개정 대상 법령의 트리 리스트(Tree List)를 통하여 신설, 삭제, 전부개정의 개정유형을 선택하여 해당 별표ㆍ서식의 개정문을 생성하고, 생성된 개정문의 개정 작업을 진행하는 단계와,
    상기 개정문 작업이 완료되면, 개정지시문을 분석하여 신설, 전부개정 지시 문을 구분하고, 별표ㆍ서식 대상을 파악하여 별지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별표ㆍ서식에 포함된 정원표에 개정사항이 발생되면, 구 정원표와 비교하기 위한 신ㆍ구정원대비표를 생성하여 편집 작업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율적인 법령 편집 지원 및 자동화 기술을 이용한 법령안 편집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6단계에서, 상기 법령자구 체계 검사는, 맞춤법 사전을 기반으로 하는 맞춤법 검사와, 순화대상용어 사전을 기반으로 하는 순화대상 용어 검사, 잘못 참조 인용할 소지가 있는 법령을 파악하는 이동 조문 참조 검사에 해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율적인 법령 편집 지원 및 자동화 기술을 이용한 법령안 편집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6단계는, 법령내 참조 인용된 조문, 별표ㆍ서식에 대한 해당 조문 및 별표ㆍ서식의 존재 여부를 검증하고 하이퍼링크를 생성하는 참조ㆍ인용조문의 검토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율적인 법령 편집 지원 및 자동화 기술을 이용한 법령안 편집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참조ㆍ인용조문의 검토 단계는, 사용자가 작성한 법령의 텍스트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추출한 텍스트를 기반으로 법령명과, 조문번호, 별표ㆍ서식의 패턴을 검사하는 단계,
    상기 참조ㆍ인용되는 패턴에 해당하는 부분을 추출하여 법령명과, 조문번호 및 가지번호, 별표구분, 별표번호를 추출하는 단계,
    현행법령명 목록과, 국어 조사 사전, 링크 금지어 사전을 각각 참조하여 참조ㆍ인용조문 및 별표의 정확성을 검증하고, 오류가 있으면 오류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추출한 참조ㆍ인용조문 및 별표의 정보를 기반으로 문서유형에 맞는 하이퍼링크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율적인 법령 편집 지원 및 자동화 기술을 이용한 법령안 편집 방법.
KR1020070110024A 2007-10-31 2007-10-31 효율적인 법령 편집 지원 및 자동화 기술을 이용한 법령안편집 방법 KR200900441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0024A KR20090044101A (ko) 2007-10-31 2007-10-31 효율적인 법령 편집 지원 및 자동화 기술을 이용한 법령안편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0024A KR20090044101A (ko) 2007-10-31 2007-10-31 효율적인 법령 편집 지원 및 자동화 기술을 이용한 법령안편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4101A true KR20090044101A (ko) 2009-05-07

Family

ID=40854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0024A KR20090044101A (ko) 2007-10-31 2007-10-31 효율적인 법령 편집 지원 및 자동화 기술을 이용한 법령안편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44101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6060B1 (ko) * 2010-06-07 2011-01-07 대한민국 법규조문 구조를 이용한 개정지시 데이터 생성방법 및 장치
KR102009901B1 (ko) * 2018-10-30 2019-08-12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문서 비교 분석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KR102252596B1 (ko) 2020-11-26 2021-05-17 (주)소셜인프라테크 상위 하이어아키 규제법의 자동 검토를 통한 문서 데이터 의안 검토 시스템
KR20220040697A (ko) 2020-09-24 2022-03-31 이후록 법령체계도 조항간 관계 네트워크 구축과 멀티뷰어 구축 시스템
KR102386415B1 (ko) * 2020-11-10 2022-04-15 이희영 임상시험 동의서 작성 장치 및 방법
KR102504891B1 (ko) * 2021-10-15 2023-03-03 주식회사 코딧 법률에 대한 의안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6060B1 (ko) * 2010-06-07 2011-01-07 대한민국 법규조문 구조를 이용한 개정지시 데이터 생성방법 및 장치
KR102009901B1 (ko) * 2018-10-30 2019-08-12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문서 비교 분석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KR20220040697A (ko) 2020-09-24 2022-03-31 이후록 법령체계도 조항간 관계 네트워크 구축과 멀티뷰어 구축 시스템
KR102386415B1 (ko) * 2020-11-10 2022-04-15 이희영 임상시험 동의서 작성 장치 및 방법
KR102252596B1 (ko) 2020-11-26 2021-05-17 (주)소셜인프라테크 상위 하이어아키 규제법의 자동 검토를 통한 문서 데이터 의안 검토 시스템
WO2022114434A1 (ko) * 2020-11-26 2022-06-02 (주)소셜인프라테크 상위 하이어아키 규제법의 자동 검토를 통한 문서 데이터 의안 검토 시스템
KR102504891B1 (ko) * 2021-10-15 2023-03-03 주식회사 코딧 법률에 대한 의안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oergel Indexing languages and thesauri: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EP1271355A2 (en) Auto-index method
US8046364B2 (en) Computer aided validation of patent disclosures
KR20090044101A (ko) 효율적인 법령 편집 지원 및 자동화 기술을 이용한 법령안편집 방법
US20090019362A1 (en) Automatic Reusable Definitions Identification (Rdi) Method
Kugler et al. Translator’s workbench: Tools and terminology for translation and text processing
de Boer et al. Linking the kingdom: enriched access to a historiographical text
Chieze et al. An automatic system for summarization and information extraction of legal information
Prieto Ramos et al. Building representative multi-genre corpora for legal and institutional translation research: The LETRINT approach to text categorization and stratified sampling
Besagni et al. Citation recognition for scientific publications in digital libraries
Kamajaya et al. KBBI Daring: A revolution in the Indonesian lexicography
KR102518843B1 (ko) Lda를 이용한 기업 컨텐츠 관리 시스템
KR100470440B1 (ko) 법률 개정과정에서 필요한 각종 보고서의 규칙기반 자동생성 방법
Bowers et al. TEI and Bavarian dialect resources in Austria: updates from the DBÖ and WBÖ
KR20140131833A (ko) 법령 정보 검사 시스템
JPH04348470A (ja) 対応表使用データベース検索装置
WO2007049800A1 (ja) 文書作成支援装置
Pantelia ‘Noûs, INTO CHAOS’: THE CREATION OF THE THESAURUS OF THE GREEK LANGUAGE
Greulich Indexing with Excel, Part 2. Checking indexing data
Weiner The electronic OED: The computerization of a historical dictionary
JPH0251765A (ja) 用語集自動作成方式
CA2367046A1 (en) Computerized research system and methods for processing and displaying scientific, technical, academic, and professional information
Ernštreits Lexical tools for low-resource languages: A livonian case-study
Pintzuk Adding linguistic information to parsed corpora
Luo et al. Construction and Application of Collaborative Editing System for the Nuclear Power Large Comprehensive Repor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00203

Effective date: 201203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