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0697A - 법령체계도 조항간 관계 네트워크 구축과 멀티뷰어 구축 시스템 - Google Patents

법령체계도 조항간 관계 네트워크 구축과 멀티뷰어 구축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0697A
KR20220040697A KR1020200123711A KR20200123711A KR20220040697A KR 20220040697 A KR20220040697 A KR 20220040697A KR 1020200123711 A KR1020200123711 A KR 1020200123711A KR 20200123711 A KR20200123711 A KR 20200123711A KR 20220040697 A KR20220040697 A KR 202200406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ws
information
statute
legal
legal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37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51949B1 (ko
Inventor
이후록
이예은
최수용
Original Assignee
이후록
이예은
최수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후록, 이예은, 최수용 filed Critical 이후록
Priority to KR10202001237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1949B1/ko
Publication of KR202200406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06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19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19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8Legal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2Indexing; Data structures therefor; Storage structures
    • G06F16/2228Indexing structures
    • G06F16/2246Trees, e.g. B+tre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1Indexing; Data structures therefor; Storage structures
    • G06F16/9024Graphs; Linked lis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20Natural language analysis
    • G06F40/205Par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Technology Law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법령체계도 조항간 관계 네트워크 구축과 멀티뷰어 구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법령체계도 제공 서버(300), 빅데이터 서버(400)를 포함하는 법령체계도 조항간 관계 네트워크 구축과 멀티뷰어 구축 시스템에 있어서, 법령체계도 제공 서버(300)는 빅데이터베이스(400)에서 관리하고 있는 법령에 대해서 법령을 구성하는 법, 령, 규칙의 기본 법령 정보 외에 규정, 보도자료, 판례를 포함하여 구분되는 확장 법령 정보에 대해서 기본 법령 정보와 확장 법령 정보의 모든 구성요소에 해당하는 n(n은 4 이상의 자연수)차 법령 정보를 구분하는 데이터파싱을 수행하여 자체 데이터베이스(330)로 관리 및 DB화 하기 위해 텍스트로 파싱된 법령에 대해서 n차로 세분화하여 하나의 법령 유닛 단위로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하는 데이터파싱모듈(32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종래의 법령체계도의 비교 방식에 해당하는 단방향을 양방향으로 확장하고, 법령의 각 조 단위의 링크를 항, 호, 목 단위, 그 밖의 설정에 따라 n차 트리구조의 링크로 확장하여 제공할 뿐만 아니라 DB를 확보함으로써, 법령 해석을 더 쉽고 간결하게 할 수 있게 구현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법령체계도 조항간 관계 네트워크 구축과 멀티뷰어 구축 시스템{System for establishment of relational network between provisions and multiviewer}
본 발명은 법령체계도 조항간 관계 네트워크 구축과 멀티뷰어 구축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종래의 법령체계도의 비교 방식에 해당하는 단방향을 양방향(참조, 역참조)으로 확장하고, 법령의 각 조 단위의 링크를 항, 호, 목 단위, 그 밖의 설정에 따라 n차 트리구조의 링크로 확장하여 제공할 뿐만 아니라, DB를 확보함으로써, 법령 해석을 더 쉽고 간결하게 할 수 있게 구현하도록 하기 위한 법령체계도 조항간 관계 네트워크 구축과 멀티뷰어 구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대한민국 법령체계도는 상위 법령과 하위 법령간의 관계를 기반으로 제정되어 있다. 법령의 이해를 위해서는 상위 및 하위 법령의 관계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나, 현재 법령 체계도는 상위 법령에서 하위 법령으로 위임을 하는 구조로, 이를 접근하는데에 어려움이 있다. 또한 현재 통용되는 법령체계도 비교 방식의 경우 각 법령을 조 단위로 서로 비교할 수 있게 하나, 수작업 기반으로 비교되어 누락된 관계가 있고, 관계도는 인용이나 위임 등의 단일 방향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해당 기술 분야에 있어서는 종래의 법령체계도의 비교 방식에 해당하는 단방향을 양방향(참조, 역참조)으로 확장하고, 각 조 단위의 링크 구조를 보다 하위 세부 분류 구조의 체계로 확장함으로써, 법령 해석을 더 쉽고 간결하게 할 수 있게 구현하도록 하기 위한 기술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44101호 등록특허공보 제10-1664454호
본 발명은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종래 법령체계도의 비교 방식에 해당하는 단방향을 양방향(참조, 역참조)으로 확장하도록 하기 위한 법령체계도 조항간 관계 네트워크 구축과 멀티뷰어 구축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법령의 각 조 단위의 링크를 조, 항, 호, 목 단위, 그 밖의 설정에 따라 n차 트리구조의 링크로 확장하여 제공할 뿐만 아니라, DB를 확보하여 법령 해석을 더 쉽고 간결하게 할 수 있게 구현하도록 하기 위한 법령체계도 조항간 관계 네트워크 구축과 멀티뷰어 구축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여기에 언급된 목적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목적은 아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법령체계도 조항간 관계 네트워크 구축과 멀티뷰어 구축 시스템은, 법령체계도 제공 서버(300), 빅데이터 서버(400)를 포함하는 법령체계도 조항간 관계 네트워크 구축과 멀티뷰어 구축 시스템에 있어서, 법령체계도 제공 서버(300)는, 빅데이터베이스(400)에서 관리하고 있는 법령에 대해서 법령을 구성하는 법, 령, 규칙의 기본 법령 정보(보험업법으로 본다면 보험업법, 보험업법 시행령, 보험업법 시행규칙, 특허법으로 본다면, 특허법, 특허법 시행령, 특허법 시행규칙) 외에 규정, 보도자료, 판례를 포함하여 구분되는 확장 법령 정보에 대해서 기본 법령 정보와 확장 법령 정보의 모든 구성요소에 해당하는 n(n은 4 이상 자연수)차 법령정보를 구분하는 데이터파싱(parsing)을 수행하여 자체 데이터베이스(330)로 관리 및 DB화 하기 위해 텍스트로 파싱된 법령에 대해서 n차로 세분화하여 하나의 법령 유닛 단위로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하는 데이터파싱모듈(322)을 포함한다.
이때 데이터파싱모듈(322)은, 금융감독원에서 관리하고 있는 금융 법령을 파싱(parsing)하여 자체 데이터베이스(330)로 관리하기 위해 모든 금융 법 등을 DB화하며, 텍스트로 파싱된 법령은 정규표현식(regex)를 통해 조, 항, 호, 목 단위로 세분화하여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파싱모듈(322)은, n차 법령 정보가 법, 령, 규칙의 기본 법령 정보로 이루어진 경우, 각 l각 법령의 조 단위, 항 단위, 호 단위, 목 단위를 트리구조로 계층화함으로써, 트리구조의 노드에 대해서 서로 참조, 역참조에 따라 링크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파싱모듈(322)은, 조, 항, 호, 목 그 밖의 n차의 계층화를 수행하며, 각 법령의 조는 항, 호, 목의 하위 계층을 포함하며, 각 조의 데이터를 파싱하여 더 세분화된 DB를 관리를 위해 조, 항, 호, 목을 포함하는 n차의 트리(tree) 구조로 계층화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법령체계도 제공 서버(300)는, 트리 구조에 해당하는 n차 파라미터 관계인 링크(link))에 있어서, 자연어처리 기법을 활용, 모든 법령의 링크를 기존 수작업 기반이 아닌 정규표현식(regex)를 활용하여 새로 생성하는 링크정보 생성모듈(32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링크정보 생성모듈(323)은, 법령을 문장단위로 쪼개어 각 문장의 키(key) 값으로, 조, 항, 호, 목을 포함하는 각 파라미터 별로 정규표현식을 활용하여 대응하는 value 값을 추출할 수 있으며, 아울러 링크정보 생성모듈(323)은, 각 법령의 인용을 패턴을 갖는 정규표현식을 활용하여 인용되는 조문 정보를 추출하여 링크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법령체계도 조항간 관계 네트워크 구축과 멀티뷰어 구축 시스템은, 종래의 법령체계도의 비교 방식에 해당하는 단방향을 양방향(참조, 역참조)으로 확장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법령체계도 조항간 관계 네트워크 구축과 멀티뷰어 구축 시스템은, 법령의 각 조 단위의 링크를 항, 호, 목 단위, 그 밖의 설정에 따라 n차 트리구조의 링크로 확장하여 제공할 뿐만 아니라, DB를 확보함으로써, 법령 해석을 더 쉽고 간결하게 할 수 있게 구현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법령체계도 조항간 관계 네트워크 구축과 멀티뷰어 구축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법령체계도 조항간 관계 네트워크 구축과 멀티뷰어 구축 시스템 중 법령체계도 제공 서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법령체계도 조항간 관계 네트워크 구축과 멀티뷰어 구축 시스템의 서비스 동작 개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7, 도 8a, 도 8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법령체계도 조항간 관계 네트워크 구축과 멀티뷰어 구축 시스템 상에서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된 UI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데이터 또는 신호를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은 법령체계도 조항간 관계 네트워크 구축과 멀티뷰어 구축 시스템(1)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법령체계도 조항간 관계 네트워크 구축과 멀티뷰어 구축 시스템(1)은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100)로 이루어진 사용자 단말기 그룹(100g), 네트워크(200), 법령체계도 제공 서버(300), 빅데이터 서버(400)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200)는 대용량, 장거리 음성 및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한 대형 통신망의 고속 기간 망인 통신망이며, 인터넷 또는 고속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유선 및 무선 망일 수 있다. 네트워크(200)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100)로 이루어진 사용자 단말기 그룹(100g), 법령체계도 제공 서버(300), 빅데이터 서버(400), 그 밖의 시스템 상호 간의 신호 및 데이터를 상호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도 2는 법령체계도 조항간 관계 네트워크 구축과 멀티뷰어 구축 시스템(1) 중 법령체계도 제공 서버(300)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3은 법령체계도 조항간 관계 네트워크 구축과 멀티뷰어 구축 시스템(1)의 서비스 동작 개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법령체계도 제공 서버(300)는 송수신부(310), 제어부(320) 및 데이터베이스(3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320)는 정보수집모듈(321), 데이터파싱모듈(322), 링크정보 생성모듈(323), 기초DB 생성모듈(324), 양방향 링크생성모듈(325) 및 정보 제공모듈(326)을 포함할 수 있다.
정보수집모듈(321)은 네트워크(200)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100)의 액세스(access)에 따라 회원 ID 및 비밀번호, 개인정보를 수집하는 회원가입과정을 사용자 단말기(100)에게 제공하고 수집된 회원 ID, 비밀번호, 개인정보를 데이터베이스(330) 상에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파싱모듈(322)은 빅데이터베이스(400)에서 관리하고 있는 법령에 대해서 법령을 구성하는 법, 령, 규칙의 기본 법령 정보 외에 규정, 보도자료, 판례를 포함하여 구분되는 확장 법령 정보에 대해서 기본 법령 정보와 확장 법령 정보의 모든 구성요소에 해당하는 n(n은 4 이상의 자연수)차 법령 정보를 구분하는 데이터파싱(parsing)을 수행하여 자체 데이터베이스(330)로 관리 및 DB화 하기 위해 텍스트로 파싱된 법령에 대해서 n차로 세분화하여 하나의 법령 유닛 단위로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실시예로, 데이터파싱모듈(322)은 금융감독원에서 관리하고 있는 금융 법령을 파싱(parsing)하여 자체 데이터베이스(330)로 관리하기 위해 모든 금융 법을 DB화하며, 텍스트로 파싱된 법령은 정규표현식(regex)를 통해 조, 항, 호, 목 단위로 세분화하여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데이터파싱모듈(322)은 n차 법령 정보가 법, 령, 규칙의 기본 법령 정보로 이루어진 경우, 각 기본 법령 정보의 파라미터에 대해서 관계도 파악을 위해 각 법령의 조 단위, 항 단위, 호 단위, 목 단위를 트리구조로 계층화함으로써, 트리구조의 노드에 대해서 서로 참조, 역참조에 따라 링크를 생성하도록 할 수 있다.
데이터파싱모듈(322)은 조, 항, 호, 목 그 밖의 n차의 계층화를 수행하며, 각 법령의 조는 항, 호, 목의 하위 계층을 포함하며, 하단의 도 4와 같이, 각 조의 데이터를 파싱하여 더 세분화된 DB를 관리를 위해 조, 항, 호, 목을 포함하는 n차의 트리(tree) 구조로 계층화를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링크정보 생성모듈(323)은 트리 구조에 해당하는 n차 파라미터 관계(이하, 링크(link))(예를 들어, 조, 항, 호, 목 간 관계)에 있어서, 자연어처리 기법을 활용, 모든 법령의 링크를 기존 수작업 기반이 아닌 정규표현식(regex)를 활용하여 새로 생성한다.
이를 위해 링크정보 생성모듈(323)은 법령을 문장단위로 쪼개어 각 문장의 키(key) 값으로, 조, 항, 호, 목에 정규표현식을 활용하여 대응하는 value 값을 추출할 수 있다.
링크정보 생성모듈(323)은 각 문장의 시작에 제○조에 대응하는 문구를 정규표현("제([0-9])*\.조")를 활용하여 대응되는 '조'의 value값을 추출하고, 제○항에 대응하는 문구도 ①, ②, ③, …의 패턴을 기반으로 한 동일한 방식의 정규표현("제([①-⑨])*\.항")을 활용하여 대응되는 '항'의 value값을 추출하고, 제○목에 대응하는 문구도 가, 나, 다, …의 패턴을 기반으로 한 동일한 방식의 정규표현("제([가-하])*\.목")을 활용하여 대응되는 '목'의 value값을 추출하고, 조의 하위 구성요소 또는 확장 법령 정보에 해당하는 제○호에 대응하는 문구도 1, 2, 3, …의 패턴을 기반으로 동일한 방식의 정규표현현("제([0-9])*\.호")을 활용하여 대응되는 '호'의 value값을 추출하여, 각 추출된 value값을 데이터베이스(330) 상에 DB화 할 수 있다.
즉 링크정보 생성모듈(323)은 정규표현식을 이용하여 법령의 텍스트에서 조, 항, 호, 목 등의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링크정보 생성모듈(323)은 법령의 관계도를 추출하는데, 각 법령은 하기의 표 1과 같이 타 법령을 인용한다.
④ 법 제2조제1호다목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계약"이란 다음 각 호의 계약을 말한다.
링크정보 생성모듈(323)은 각 법령의 인용을 패턴을 갖는 정규표현식을 활용하여 인용되는 조문 정보를 추출하여 단방향 링크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링크정보 생성모듈(323)은 조, 항, 호, 목의 정보를 최대한 추출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예시 패턴을 사용할 수 있다.
『(패턴 예시 1) - 일반예시』
링크정보 생성모듈(323)은 항, 호, 목의 문장의 시작이 '법'이나 '영'으로 시작할 경우, 인용하는 법령(법 단위)을 뜻하게 되며, 이때 인용하는 법령의 정보에서 정규표현식을 활용하여 조, 항, 호, 목 값을 추출함
⑤ 법 제6조제3항제1호 단서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완화된 요건"이란 다음 각 호의 구분에 따른 요건을 말한다.
표 2의 예시(보험업법 시행령 제10조 5항)는 특정 항의 시작문장이 '법'으로 시작하고, 이때 링크정보 생성모듈(323)은 인용되는 법령의 조, 항, 호 값을 추출할 수 있다.
『(패턴 예시 2) - 타법 』
링크정보 생성모듈(323)은 타법을 인용할 경우, 패턴 예시의 시작이 '법'이나 '영'이 아니고 해당되는 법령을 명시하고 그 이후에 상술한 (패턴 예시 1)을 따른다. 일반적으로 법령에서 타법을 명시할 경우 특수 기호를 아래의 표 3의 예시와 같이 사용한다.
1. 「금융회사의 지배구조에 관한 법률」 제5조제1항제1호·제2호 및 제4호에 해당하는 자
위 예시의 패턴에 의하면, 타법은 일반적으로 「○○○○」의 형태를 갖고 있으며, 해당되는 타법령을 추출하기 위하여 링크정보 생성모듈(323)은 정규표현식 「(.*?[^\\])」와 같이 사용하여 추출하며, 해당 타법의 추출 이후의 법령 정보는 (패턴 예시1) 과 동일한 방법으로 세부 법령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패턴 예시3) - 간접 명시 타법 』
일반적으로 타법을 직접적으로 명시하지 않을 경우, 인용되는 법령이 해당 법령의 상위법이나 하위법으로 유추가 가능하고, 타법은 (패턴 예시2)와 같이 명시적으로 타법임을 알리고 있다. 그러나 아래의 표 4와 같은 예시와 같이 복수의 법령이 인용될 경우, 이는 동일한 타법의 다른 조문임을 의미한다.
제80조의2(「상업등기법」의 준용) 외국상호회사의 국내지점에 관하여는 「상업등기법」 제3조, 제5조제2항ㆍ제3항, 제7조부터 제11조까지, 제14조, 제17조부터 제19조까지, 제22조부터 제24조까지, 제26조부터 제30조까지, 제53조, 제55조, 제61조제2항, 제66조, 제67조, 제113조부터 제119조까지, 제121조부터 제128조까지 및 제131조를 준용한다.
위 표 4의 예시의 문장에서 인용되는 상업등기법은 제3조 외의 다른 복수의 조문을 인용하나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조는 제3조이며, 나머지 조는 법령을 읽는 사람은 동일 법의 다른 조로 유추가 가능하다. 이를 위해 같은 문장에서 타법을 인용할 경우, 링크정보 생성모듈(323)은 이를 문장단위에서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게 규칙을 추가하여 적용한다.
『(패턴 예시 4) - 범위 』
인용되는 법령이 단일 법령이 아니고, 복수의 법령일 경우, 아래의 표 5의 예시와 같이 범위를 표현한다.
제1호부터 제15호까지
링크정보 생성모듈(323)은 위 문구에서 정규표현식을 이용하여 시작되는 숫자와 끝나는 숫자를 추출하여, 해당되는 범위 내의 모든 법령을 인용하는 것으로 간주하여 범위 안의 모든 법령과 주어진 법령의 인용관계를 생성할 수 있다.
『(패턴 예시 5) - 복수의 법령 인용』
(패턴 예시 4) 외의 복수의 법령이 아래의 표 6과 같이 인용되며, 해당 법령의 정보를 모두 추출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패턴을 추가할 수 있다.
법 제6조제1항, 제2항 또는 제3항의
「',' 이후의 제 ○ 또는 '또는' 이후의 제○, 또는 」의 패턴이 등장할 시, 링크정보 생성모듈(323)은 해당되는 key 값에 대응하는 value값을 추출하고, 상위 계층이 명시화되지 않을 경우, 이전 인용 법령 정보를 이용하여 유추한다. 위의 예시에서 링크정보 생성모듈(323)은 제2항, 제3항은 모두 법 제6조 이하의 항으로 유추한다. 이 외의 복수의 법령 인용의 규칙은 ( 및, ㆍ 등 )과 같이 존재하므로 링크정보 생성모듈(323)은 해당되는 key 값에 대응하는 value값을 추출하고, 상위 계층이 명시화되지 않을 경우, 이전 인용 법령 정보를 이용하여 유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초DB 생성모듈(324)은 법령 기초DB를 생성시, 각 법령의 문단을 문장 단위로 나누어 각 문장을 문서지향 DB로 데이터베이스(330) 상에 저장한다.
기초DB 생성모듈(324)은 각 문장에 대해서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로 비유하는 경우 하나의 행(row record)에 대응하도록, 문서지향 DB의 각 문서에 대해서 조, 항, 목의 key를 설정하고, 각 법령의 조, 항, 호, 목 값이 value값으로 저장하는 방식으로 Key-value pair값을 이용하여 각 문장이 해당되는 조, 항, 호, 목 값을 저장할 수 있다.
양방향 링크생성모듈(325)은 Key-value pair값이 저장된 각 조문에 대한 동적으로 참조, 역참조를 선택적으로 자유롭게 비교 가능하고 해당 링크를 타 법으로 확장하도록 하기 위한 양방향 링크를 생성할 수 있다.
기존 온라인 법령 서비스는 인용 위주의 3단 비교 서비스를 한계적으로 제공하고 있으며, 하기의 표 7의 예시(국가법령정보센터)에서 보험업법 시행령 제 1조의2는 직접적으로 인용하는 보험업법 시행규칙이 없으므로, 3단 비교에서 보험업법 시행령 기준으로 시행규칙이 나오지 않고 있다. 관련된 시행규칙이 존재한다면, 이용자는 시행령 관점에서 파악할 수 없는 한계점이 있다.
Figure pat00001
실제로 보험업법 시행규칙 제52조는 보험업법 시행령 제1조의 2를 인용하고 있으며, 기존 서비스에서 보험업법 시행령 기준으로 시행규칙 제52조를 접근할 방법이 없음에 착안하여, 본 발명에서는 양방향 링크생성모듈(325)은 역방향 링크를 생성하여 링크를 양방향화하여 어느 방향에서든 접근이 가능하도록 하며, 즉 인용하는 법령 뿐 아니라 '인용 되는' 법령도 찾아내는 기능을 추가하여 아래와 같은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한다.
제안된 기능을 위해 기존의 보험업법 시행령 제1조의 2 기준으로도 시행규칙 제52조가 연관되어 n단 뷰에서 검색이 가능하게 하여야 하며, 이는 예시 상에서 시행규칙 기준에서 시행규칙 제52조가 령 제1조의2를 인용할 때 링크를 생성함과 동시에 영 제1조의 2를 기준으로 시행규칙 제52조로의 링크를 추가적으로 생성하여 가능하다.
양방향 링크생성모듈(325)은 인공지능 분야의 하나인 자연어처리 기술을 활용하여 a 법령이 'b'법령을 인용하는 경우, 자동적으로 'a'에서 'b'로의 관계(링크)를 생성할 뿐 아니라 'b'에서 'a'로도 관계(링크)를 생성하여 어느 방향에서든 접근이 가능하도록 데이터베이스(330) 상에 양방향 링크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양방향 링크생성모듈(325)은 기초DB 생성모듈(324)에 의한 Key-value pair값을 이용하여 각 문장이 해당되는 조, 항, 호, 목 값을 저장시, 각 법령의 문서에 양방향 링크생성모듈(325)에 의해 생성된 양방향 링크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양방향 링크생성모듈(325)은 기존 문서의 참조, 역참조 key 값에 링크정보 생성모듈(323)의 단방향 링크정보와 양방향 링크정보에 해당하는 링크정보를 각각 참조 key값과 역참조 key값으로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200)를 통한 사용자 단말기(100)에 의한 액세스를 허여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한 경우, 사용자 단말기(100)에 의해 요청된 법령에 대해서 도 5와 같이 해당되는 조, 항, 호, 목의 위치에서의 오른쪽 마우스 클릭 등과 같은 요청 이벤트가 발생시 참조 선택 항목 및 역참조 선택 항목의 팝업 UI 화면이 제공되도록 제어할 뿐만 아니라, 참조 또는 역참조에 대한 사용자 단말기(100)의 선택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참조 또는 역참조과 매칭되는 value 값도 함께 제공하고, 참조 또는 역참조과 매칭되는 value 값에 대한 선택시 해당되는 법령으로 링크를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양방향 링크생성모듈(325)은 금융법의 경우 법, 령, 규칙에 해당하는 3단 이상의 비교가 필요하므로, 3단 이상으로 법령을 비교가 가능하도록 네트워크(200)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100)에 제공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함으로써, 사용자 단말기(100) 상의 법령 뷰어 UI 화면 상에서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정보 제공모듈(326)은 네트워크(200)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100)로 법령 뷰어 UI 화면 상에 동적 뷰어를 제공하기 위해, 도 6에서와 같이 데이터베이스(330) 상에 각 법령의 조, 항, 호, 목 단위를 n차의 트리구조로 계층 정보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100) 상으로 각 법령의 조, 항, 호, 목 단위를 포함하는 관계 법령을 동적으로 뷰어에서 기준 법령에 참조 법령으로 붙여서 출력하거나, 역참조 법령으로 붙여서 출력할 뿐만 아니라, 복수의 참조 및 역참조 법령을 동시에 기준 법령에 붙여서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동적뷰의 예시로 도 6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100)는 해당 법령의 참조선택의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80조' 선택시 해당 법령이 선택되어 동적으로 뷰가 가능한 효과를 제공받을 수 있다.
정보 제공모듈(326)은 빅데이터 서버(400) 상에서 모든 법령의 조단위 개정날짜 정보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수신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한 뒤, 사용자 단말기(100)에 의해 지정한 시간을 기준으로 유효한 법령만 검색이 가능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7과 같이 전문 개정의 경우, 정보 제공모듈(326)은 n차의 트리구조를 활용하여 조 하위의 항, 호, 목 등에도 적용하기 위해 항, 호, 목에 대해서 지정한 시간을 기준으로 유효한 법령에 대해서는 따로 데이터베이스(330) 상에 관리할 수 있다.
정보 제공모듈(326)은 사용자 단말기(100)에 의한 네트워크(200)를 통한 요청에 따라 타 법령으로의 확대 적용 요청시, n차의 트리구조의 단일 법령에서 상하 참조 외에 타 법령을 참조를 하는 법령의 경우, 타 법령에 대한 동일한 n차 구조까지 연결하여 법령을 해석하는데 활용할 수 있도록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00)로 전송하돌고 송수신부(310)를 제어할 수 있다.
정보 제공모듈(326)은 각 법령에 대해서 동적인용 조문비교, 단순인용 조문비교, 단순비교에 따른 읽기 기능을 네트워크(200)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100)로 제공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할 수 있다.
아울러 각 법령간 관계도를 조, 항, 호, 목 수준에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이용자는, 도 8a, 8b와 같이, 기존의 조 단위에서의 참조 역참조 뿐 아니라 항,호,목 에서 직접 참조되는 법령을 항,호, 목 수준으로 참조 접근(도 8a), 역참조 접근(도 8b)도 가능하다. 특히 역참조의 경우 현재 읽고 있는 문장 수준에서 직접 역참조 되고 있는 법령을 세밀히 이용자에게 알려줌으로써 국가법령센터 등의 한계를 명확하게 극복할 수 있다.
이하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정보 제공모듈(326)은 동적인용 조문비교의 경우, 사용자 단말기(100)에 의한 동적인용 조문비교 요청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100)에서 선택된 법령 조문을 기준으로 연관된 조문을 추출하여 동적인 창 생성 명령과 함께 연관된 조문정보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100)로 제공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함으로써, 사용자 단말기(100) 상에서 법령 내에서의 비교 조문 선택 정보에 따라 직관적이고 단순한 기능으로 법령을 검색할 때 연관된 내용만을 보여줄 수 있다.
정보 제공모듈(326)은 단순인용 조문비교의 경우, 사용자 단말기(100)에 의한 동적인용 조문비교 요청에 따라 사용자가 복수의 m개(m은 2 이상의 자연수) 법령을 선택하면, 각 선택된 법령 중 n차 트리구조에 해당하는 각 법령을 중심으로 연관된 조문을 모두 보여주는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기존 3단 비교를 넘어 보여주기 기능을 n단으로 확장함과 동시에, 타 법령으로도 확대하여 제공할 수 있다.
정보 제공모듈(326)은 단순비교의 경우, 사용자 단말기(100)에 의한 단순비교 요청에 따라 하나의 법령을 기준으로 사용자가 m개(m은 2 이상의 자연수) 법령을 선택하면, 각 법령을 n단으로 모두 보여주는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각 법령 마다 스크롤로 올리기 내리기를 자유롭게 하여, 모든 법령을 한 화면에서 용이하게 볼 수 있도록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정보 제공모듈(326)은 단순인용 조문비교와 단순 비교에 있어서, n단 비교가 가능하도록 n단의 순서를 이용자가 바꿀 수 있도록 하는 직관성 UI 화면을 사용자 단말기(1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정보 제공모듈(326)은, 기준이 되는 법령은 항상 최 좌편에 배치하는 UI 화면을 사용자 단말(100)에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보 제공모듈(326)은 각 조문과 연관된 판례를 이용자가 쉽게 검색을 하기 위하여, 조문에서 인용하는 판례를 "참조 판례"로, 판례에서 인용하는 참조하는 조문을 "역참조 판례"로 하나의 법령을 중심으로 상술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법령을 중심으로 제공하는 동적인용 조문비교, 단순인용 조문비교, 단순비교에 따른 읽기 기능을 네트워크(200)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100)로 제공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할 수 있다.
정보 제공모듈(326)은 유권해석, 비조치의견서, 보도자료를 포함하는 확장 법령 정보에서 인용되는 조문을 확장 법령 정보와 링크와 연결하여 네트워크(200)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100)에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단말기(100)에서 각 조문이 출려된 상태에서 관련된 유권해석, 비조치의견서 및 보도자료 등을 쉽게 역참조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실시예로, 금융법에 있어서 정보 제공모듈(326)은 빅데이터 서버(400)로부터 확장 법령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빅데이터 서버(400)는 유권해석에 있어서는 http://open.law.go.kr/LSO/openState/orgList.do, 비조치의견서에 대해서는 http://better.fsc.go.kr/search/search.jsp, 보도자료: http://www.fsc.go.kr/info/ntc_news_list.jsp?menu=7210100&bbsid=BBS0030로부터 정보를 각 조문별로 제공받을 수 있다.
빅데이터 서버(400)는 유권해석 비조치의견서, 보도자료 등에서 인용되는 조문을 추출하여, 해당 법령에 유권해석, 비조치의견서, 보도자료 등을 쉽게 접근이 가능하도록 법령체계도 제공 서버(300)의 데이터베이스(330) 상에 추가하는 역할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법제처 DB와 API를 활용하여 연동이 가능할 수 있다.
정보 제공모듈(326)은 법령 외에 별지, 별표에 대한 정보를 모두 빅데이터 서버(400)로부터 주기적으로 데이터 크롤링을 통하여 수집하여 사용자 단말기(100)의 요청에 따라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00)로 네트워크(200)를 통해 제공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할 수 있다.
정보 제공모듈(326)은 메모 기능으로 각 조항에 사용자 단말기(100)에 의한 메모 삽입과 정보 공유 요청시 SNS 서버(미도시) 상의 지인으로 등록되거나 전체 공개로 등록된 경우 회원간 공유 기능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데이터베이스(3300) 상에 수집을 통한 법령 재개정 수요 등을 파악하는데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특정 용어는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1 : 법령체계도 조항간 관계 네트워크 구축과 멀티뷰어 구축 시스템
100 : 사용자 단말기 100g : 사용자 단말기 그룹
200 : 네트워크 300 : 법령체계도 제공 서버
310 : 송수신부 320 : 제어부
321 : 정보수집모듈 322 : 데이터파싱모듈
323 : 링크정보 생성모듈 324 : 기초DB 생성모듈
325 : 양방향 링크생성모듈 326 : 정보 제공모듈
330 : 데이터베이스 400 : 빅데이터 서버

Claims (7)

  1. 법령체계도 제공 서버(300), 빅데이터 서버(400)를 포함하는 법령체계도 조항간 관계 네트워크 구축과 멀티뷰어 구축 시스템에 있어서, 법령체계도 제공 서버(300)는,
    빅데이터베이스(400)에서 관리하고 있는 법령에 대해서 법령을 구성하는 법, 령, 규칙의 기본 법령 정보 외에 규정, 보도자료, 판례를 포함하여 구분되는 확장 법령 정보에 대해서 기본 법령 정보와 확장 법령 정보의 모든 구성요소에 해당하는 n(n은 4 이상의 자연수)차 법령 정보를 구분하는 데이터파싱(parsing)을 수행하여 자체 데이터베이스(330)로 관리 및 DB화 하기 위해 텍스트로 파싱된 법령에 대해서 n차로 세분화하여 하나의 법령 유닛 단위로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하는 데이터파싱모듈(32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법령체계도 조항간 관계 네트워크 구축과 멀티뷰어 구축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데이터파싱모듈(322)은 법령을 DB화하며, 텍스트로 파싱된 법령은 정규표현식(regex)를 통해 조, 항, 호, 목 단위로 세분화하여 데이터베이스(330)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법령체계도 조항간 관계 네트워크 구축과 멀티뷰어 구축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데이터파싱모듈(322)은, n차 법령 정보가 법, 령, 규칙의 기본 법령 정보로 이루어진 경우, 각 기본 법령 정보의 파라미터에 대해서 관계도 파악을 위해 각 법령의 조, 항, 호, 목 단위를 트리구조로 계층화함으로써, 트리구조의 노드에 대해서 서로 참조, 역참조에 따라 링크를 생성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법령체계도 조항간 관계 네트워크 구축과 멀티뷰어 구축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데이터파싱모듈(322)은, 조, 항, 호, 목 그 밖의 n차의 계층화를 수행하며, 각 법령의 조는 항, 호, 목의 하위 계층을 포함하며, 각 조의 데이터를 파싱하여 더 세분화된 DB를 관리를 위해 조, 항, 호, 목을 포함하는 n차의 트리 구조로 계층화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법령체계도 조항간 관계 네트워크 구축과 멀티뷰어 구축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법령체계도 제공 서버(300)는,
    트리 구조에 해당하는 n차 파라미터 관계인 링크(link)에 있어서, 자연어처리 기법을 활용, 모든 법령의 링크를 기존 수작업 기반이 아닌 정규표현식(regex)를 활용하여 새로 생성하는 링크정보 생성모듈(323);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법령체계도 조항간 관계 네트워크 구축과 멀티뷰어 구축 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링크정보 생성모듈(323)은, 법령을 문장단위로 쪼개어 각 문장의 키(key) 값으로, 조, 항, 호, 목을 포함하는 각 파라미터 별로 정규표현식을 활용하여 대응하는 value 값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법령체계도 조항간 관계 네트워크 구축과 멀티뷰어 구축 시스템.
  7. 청구항 5에 있어서,
    링크정보 생성모듈(323)은, 각 법령의 인용을 패턴을 갖는 정규표현식을 활용하여 인용되는 조문 정보를 추출하여 링크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법령체계도 조항간 관계 네트워크 구축과 멀티뷰어 구축 시스템.
KR1020200123711A 2020-09-24 2020-09-24 법령체계도 조항간 관계 네트워크 구축과 멀티뷰어 구축 시스템 KR1025519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3711A KR102551949B1 (ko) 2020-09-24 2020-09-24 법령체계도 조항간 관계 네트워크 구축과 멀티뷰어 구축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3711A KR102551949B1 (ko) 2020-09-24 2020-09-24 법령체계도 조항간 관계 네트워크 구축과 멀티뷰어 구축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0697A true KR20220040697A (ko) 2022-03-31
KR102551949B1 KR102551949B1 (ko) 2023-07-06

Family

ID=80934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3711A KR102551949B1 (ko) 2020-09-24 2020-09-24 법령체계도 조항간 관계 네트워크 구축과 멀티뷰어 구축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194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6268A (ko) * 2002-01-11 2004-10-08 블룸버그 엘.피. 역사적 및 현재 버전 법률 본문을 제공하는 동적 법률데이터베이스
KR20070088687A (ko) * 2004-12-01 2007-08-29 화이트스모크 인코포레이션 문서의 질을 자동으로 향상시키는 시스템 및 방법
KR20090044101A (ko) 2007-10-31 2009-05-07 (주)오픈베이스 효율적인 법령 편집 지원 및 자동화 기술을 이용한 법령안편집 방법
KR101036815B1 (ko) * 2010-04-23 2011-05-25 대한민국 한글도메인을 이용한 법령정보 제공시스템, 방법 및 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1664454B1 (ko) 2015-06-23 2016-10-10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법령 온톨로지 구축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6268A (ko) * 2002-01-11 2004-10-08 블룸버그 엘.피. 역사적 및 현재 버전 법률 본문을 제공하는 동적 법률데이터베이스
KR20070088687A (ko) * 2004-12-01 2007-08-29 화이트스모크 인코포레이션 문서의 질을 자동으로 향상시키는 시스템 및 방법
KR20090044101A (ko) 2007-10-31 2009-05-07 (주)오픈베이스 효율적인 법령 편집 지원 및 자동화 기술을 이용한 법령안편집 방법
KR101036815B1 (ko) * 2010-04-23 2011-05-25 대한민국 한글도메인을 이용한 법령정보 제공시스템, 방법 및 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1664454B1 (ko) 2015-06-23 2016-10-10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법령 온톨로지 구축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1949B1 (ko) 2023-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819824B (zh) 一种城市数据开放与信息服务系统及服务方法
US7761451B2 (en) Efficient querying and paging in databases
CN101763423B (zh) 实现万维网页面树形结构数据展示的方法、系统及装置
CN102110170B (zh) 一种具有信息发布和搜索功能的系统及信息发布方法
CN104021198B (zh) 基于本体语义索引的关系数据库信息检索方法及装置
US20090024384A1 (en) Data processing method and system, program for realizing the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storing the program
CN102622443A (zh) 一种面向微博的定制化筛选系统及方法
JPS6356726A (ja) 知識ベースからデータベースへの変換装置
CN101976246A (zh) 百科词条分类检索方法
CN101216824B (zh) 一种将树型结构数据库发布为分布式xml数据库的方法
US9626346B2 (en) Method of implementing structured and non-structured data in an XML document
CN104636265B (zh) 一种cimxml文档的高效内存模型组织的访问方法
CN113239111A (zh) 一种基于知识图谱的网络舆情可视化分析方法及系统
CN115757810A (zh) 一种知识图谱标准本体构建方法
US8584007B2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program
CN113918533A (zh) 一种基于大数据方向的rcs统一消息云服务系统及其使用方法
CN103810243A (zh) 创新热点预警识别系统及方法
KR20220040697A (ko) 법령체계도 조항간 관계 네트워크 구축과 멀티뷰어 구축 시스템
CN102930030A (zh) 基于本体的智能语义文献检索推理系统
CN115937881A (zh) 一种知识图谱构建标准表格内容自动识别方法
CN110716913A (zh) 一种Kafka与Elasticsearch数据库数据的互相迁移方法
CN107862028A (zh) 建立标准学术模型方法、服务器及存储介质
CN100489847C (zh) 网络查询四字节字符的方法及系统
Hoang et al. The virtual query language for information retrieval in the semanticLIFE framework
CN210605805U (zh) 一种工商行政管理服务平台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