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0895B1 - 법률의 개정내용 심사 및 제/개정 작업을 위한 자동화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법률의 개정내용 심사 및 제/개정 작업을 위한 자동화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0895B1
KR100910895B1 KR1020080059732A KR20080059732A KR100910895B1 KR 100910895 B1 KR100910895 B1 KR 100910895B1 KR 1020080059732 A KR1020080059732 A KR 1020080059732A KR 20080059732 A KR20080059732 A KR 20080059732A KR 100910895 B1 KR100910895 B1 KR 1009108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revision
legal
law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97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필호
하영빈
나의룡
김영랑
Original Assignee
송필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필호 filed Critical 송필호
Priority to KR10200800597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08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08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08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8Legal services; Handling legal docu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7Print job management
    • G06F3/1244Job translation or job parsing, e.g. page banding
    • G06F3/1246Job translation or job parsing, e.g. page banding by handling markup languages, e.g. XSL, XML, HTM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7/00Conversion of a code where information is represented by a given sequence or number of digits to a code where the same, similar or subset of information is represented by a different sequence or number of digits
    • H03M7/30Compression; Expansion; Suppression of unnecessary data, e.g. redundancy reduction
    • H03M7/70Type of the data to be coded, other than image and sound
    • H03M7/707Structured documents, e.g. XML

Abstract

본 명세서는 법률의 개정내용 심사 및 제/개정 작업을 위한 자동화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법률의 개정내용 심사 및 제/개정 작업을 위한 자동화 시스템은 입력된 공포문으로부터 법률내용 정보를 형태별로 추출하는 법률내용 형태 추출부, 상기 법률내용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공포문에 관한 법률 해석을 수행하는 법률 해석부 및 상기 법률 해석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공포문에 관한 심사 및 제/개정 작업에 필요한 표현매체를 생성하는 표현매체 생성부를 포함한다.
법률내용, 개정문, 공포문

Description

법률의 개정내용 심사 및 제/개정 작업을 위한 자동화 시스템 및 그 방법{AUTOMATIC SYSTEM AND METHOD FOR EXAMINING CONTENT OF LAW AMENDENT AND FOR ENACTING OR AMENDING LAW}
본 발명은 심사 및 제/개정 작업을 위한 자동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법률의 개정내용에 대한 심사 및 제/개정 작업을 자동으로 수행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법률의 제정 또는 개정 작업은 주관부서, 법제부서 또는 의회 상호간의 다소 복잡한 업무 협조를 통해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법을 관리 및 시행하는 부서인 주관부서는 주관부서에서 시행하고 있는 법률을 관리하거나 새로운 법률이 필요하거나 또는 기존의 법률 내용을 변경해야 하는 경우 개정문을 작성하여 법제부서로 제출한다. 이 때, 개정문은 개정이유 및 개정내용, 수정안, 신구대조문 등과 같은 것을 포함한다.
또한, 법제부서는 주관부서에서 입안하고자 하는 법을 개정문을 통해 심사하여 법률이 올바르게 작성되었는지 다른 규제 사항과 중복되지 않는 지와 같은 총체적인 검토를 수행한 후 이러한 개정문을 의회로 송부함으로써 입안을 처리한다. 또한, 의회는 제정 또는 개정되는 법률에 대한 실무적 심사를 수행하고, 다수결 원칙에 의하여 법률을 채택할 것인지 아닌지를 결정하고, 채택된 법률을 기존의 개정문에서 수정사항이 반영된 공포문으로 작성하여 법제부서로 송달한다. 이 때, 공포문은 의회에 입안하기 위해 작성된 개정문과 구별하여 시민에게 공포하기 위해 작성된 문서이다.
이와 같이, 법률의 제정 또는 개정 작업은 주관부서, 법제부서 또는 의회 상호간의 개정문 또는 공포문에 의한 다소 복잡한 업무 협조를 통해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개정문 및 공포문은 각 부서 담당자에 의해 직접 작성되고 관리된다. 따라서, 법률의 제정 또는 개정 작업에는 누락이나 오류의 가능성이 상당히 포함될 수 있고, 시간 및 관리 비용이 많이 소요될 수 있다. 그 결과 최근 개정문과 공포문 나아가 법률내용을 저장하고 이를 관리하는 법률 관리 시스템의 사용이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
다만, 법률 관리 시스템은 개정문 또는 공포문을 단순히 저장하고, 요청에 대응하여 자료를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할 뿐이다. 따라서, 법제부서는 주관부서에서 서술형태로 작성된 개정문의 내용을 검수함에 있어 많은 시간과 비용을 소비하고 있으며, 개정하고자 하는 내용에 대한 서술적 해석 및 판단을 위해 관련 자료를 직접 검색해야 하고, 개정문 또는 공포문의 수정을 위해서 법률 관리 시스템에 접속하여 일일이 변경된 내용을 수정하는 작업을 해주어야 한다.
따라서, 자동으로 공포문 또는 개정문을 심사하고, 법률 관리 시스템 상에 자동으로 제/개정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업무의 효율을 높이고 비용과 시간을 절약 할 수 있는 법률의 개정내용 심사 및 제/개정 작업을 위한 자동화 시스템 및 그 방법의 필요성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본 발명은 공포문 또는 개정문의 법률내용 정보를 이용하여 법률 해석을 수행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자동 검수가 가능한 법률의 개정내용 심사 및 제/개정 작업을 위한 자동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법률 관리 시스템과의 매핑을 통해 유효성 검사 및 연관 정보 생성을 수행함으로써,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하는 법률의 개정내용 심사 및 제/개정 작업을 위한 자동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법률해석 결과를 통해 생성한 표현매체를 노출하고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심사 관련 정보를 적용함으로써, 보다 탄력적으로 오류 정정을 수행하는 법률의 개정내용 심사 및 제/개정 작업을 위한 자동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법률해석 결과를 통해 생성한 표현매체를 법률 관리 시스템에 전송함으로써, 법률 관리 비용을 줄이는 법률의 개정내용 심사 및 제/개정 작업을 위한 자동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법률의 개정내용 심사 및 제/개정 작업을 위한 자동화 시스템은 입력된 공포문으로부터 법률내용 정보를 형태별로 추출하는 법률내용 형태 추출부, 상기 법률내용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공포문에 관한 법률 해석을 수행하는 법률 해석부 및 상기 법률 해석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공포문에 관한 심사 및 제/개정 작업에 필요한 표현매체를 생성하는 표현매체 생성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법률내용 형태 추출부는 법률 형태 사전을 이용하여 상기 공포문으로부터 법률내용 정보를 형태별로 추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법률 해석부는 상기 법률내용 정보에 포함된 개정내용을 이용하여 상기 공포문에 관한 개정 정보를 생성하는 개정 정보 생성부, 상기 법률내용 정보에 포함된 부칙을 이용하여 상기 공포문에 관한 추록 정보를 생성하는 추록 정보 생성부, 상기 법률내용 정보, 상기 개정 정보 또는 상기 추록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공포문의 유효성을 검사하는 유효성 검사부 및 상기 법률내용 정보, 상기 개정 정보 또는 상기 추록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공포문의 연관 정보를 생성하는 연관 정보 생성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개정 정보 생성부는 상기 개정내용을 일반형 개정내용 또는 서술형 개정내용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분류하는 개정내용 형태 결정부, 상기 일반형 개정내용을 이용하여 상기 공포문에 관한 개정 정보를 생성하는 일반형 처리부 및 상기 서술형 개정내용을 이용하여 상기 공포문에 관한 개정 정보를 생성하는 서술형 처리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추록 정보 생성부는 상기 부칙으로부터 추출한 추록을 이용하여 추록 정보를 생성하는 추록 처리부 및 상기 부칙에서 추출한 타 법률 개정내용으로부터 개정 정보를 추출하기 위해 상기 타 법률 개정내용을 개정 정보 생성부로 전송하는 타 법률 개정내용 전송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유효성 검사부는 상기 법률내용 정보, 상기 개정 정보 또는 상기 추록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법률 관리 시스템에 기 저 장된 법률 정보와 매핑하여 유효성을 검사하고, 상기 연관 정보 생성부는 연관 정보 데이터베이스, 법률 관리 시스템 또는 색인어 사전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색인어를 추출하는 색인어 추출기 및 상기 법률내용 정보, 상기 개정 정보 또는 상기 추록 정보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색인어와 매칭되는 부분의 검색에 따라 상기 연관 정보를 생성하는 색인어 검색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법률의 개정내용 심사 및 제/개정 작업을 위한 자동화 방법은 입력된 공포문으로부터 법률내용 정보를 형태별로 추출하는 단계, 상기 법률내용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공포문에 관한 법률 해석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법률 해석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공포문에 관한 심사 및 제/개정 작업에 필요한 표현매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공포문 또는 개정문의 법률내용 정보를 이용하여 법률 해석을 수행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자동 검수를 수행할 수 있는 법률의 개정내용 심사 및 제/개정 작업을 위한 자동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법률 관리 시스템과의 매핑을 통해 유효성 검사 및 연관 정보 생성을 수행함으로써,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법률의 개정내용 심사 및 제/개정 작업을 위한 자동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법률해석 결과를 통해 생성한 표현매체를 노출하고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심사 관련 정보를 적용함으로써, 보다 탄력적인 오류 정정이 가능한 법률의 개정내용 심사 및 제/개정 작업을 위한 자동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 다.
본 발명은 법률해석 결과를 통해 생성한 표현매체를 법률 관리 시스템에 전송함으로써, 법률 관리 비용을 줄일 수 있는 법률의 개정내용 심사 및 제/개정 작업을 위한 자동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법률의 개정내용 심사 및 제/개정 작업을 위한 자동화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법률의 개정내용 심사 및 제/개정 작업을 위한 자동화 시스템(100)은 법률내용 형태 추출부(101), 법률 해석부(102), 표현매체 생성부(103) 및 법률 해석 결과 편집부(104)를 포함할 수 있다.
법률내용 형태 추출부(101)는 입력된 공포문 또는 개정문으로부터 법률내용 정보를 형태별로 추출할 수 있다. 이 때, 개정문과 공포문은 의회를 거친 수정사항이 반영되었는가에 따른 차이, 작성부서의 차이 및 이용목적의 차이를 갖는다. 즉, 상기 개정문은 의회에 입안하기 위해서 주관부서 또는 법제부서가 작성한 문서이고, 상기 공포문은 시민에게 법률 내용을 공포하기 위하여 의회에서 작성한 문서이다. 다만, 이러한 차이에 불구하고 개정문과 공포문은 매우 유사한 법률내용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법률의 개정내용 심사 및 제/개정 작업을 위한 자동 화 시스템(100)은 공포문을 입력받은 경우 상기 공포문을 이용하여 표현매체를 생성할 수 있고, 개정문을 입력받은 경우 상기 개정문을 이용하여 표현매체를 생성할 수 있다.
법률내용 형태 추출부(101)는 법률 형태 사전을 이용하여 상기 공포문 또는 개정문에 포함된 법률내용 정보를 형태별로 추출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법률 형태 사전은 법률 형태 분리 문자 및 패턴 사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법률 형태 사전은 법률 형태 정보 패턴 사전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법률내용 형태 추출부(101) 상기 공포문 또는 개정문을 상기 법률 형태 분리 문자 및 패턴 사전을 통해 1차 분리하고, 1차 분리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법률 형태 정보 패턴 사전을 통해 2차적으로 분리하거나 추론 및 파악할 수 있는 정보로 가공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법률 형태 분리 문자 및 패턴 사전은 상기 공포문 또는 개정문 전문의 상세 내용을 분리하기 위하여 예를 들어 "개정이유" 또는 "(특수기호+공백)개정이유"와 같이 문자, 단어 또는 패턴 기반의 정보이고, 상기 법률 형태 정보 패턴 사전은 상기 공포문 또는 개정문 전문에서 추출할 수 있는 예를 들어, 법률명, 공포일자, 공포자 등과 같은 기본 정보로 활용될 수 있는 문장을 추출하기 위한 패턴 기반의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법률내용 정보는 형태별로 구분된 개정이유, 주요내용, 기본정보, 개정내용 또는 부칙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개정이유는 법률의 제/개정 또는 폐지된 이유에 대해서 서술형태로 되어있는 전문일 수 있고, 상기 주요내용은 법률에서 변경된 내용을 요약한 서술형태로 되어있는 전문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본정보는 법률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인 법률명, 공포번호, 공포일자일 수 있고, 상기 개정내용은 해당 법률에 대한 제/개정 또는 폐지할 내용에 대해서 일정한 형식 또는 서술형태로 되어있는 전문이고, 부칙은 법률에 대한 부가 규칙 또는 부가 정보에 대해서 담고 있는 일정한 형식 또는 서술형태로 되어있는 전문일 수 있다.
또한, 법률내용 형태 추출부(101)는 상기 법률내용 정보를 메타데이터 형식으로 생성하고, 그 형태별로 법률 내용 저장소에 저장하고, 이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법률 해석부(102) 또는 표현매체 생성부(103)에서 상기 법률 내용 저장소로부터 상기 법률내용 정보를 추출하여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법률은 현행 법률, 법규 또는 약관을 모두 포함하는 것을 통칭할 수 있다.
도 3은 공포문의 법률내용 및 법률내용을 형태별로 추출한 법률내용 정보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법률내용 형태 추출부(101)는 공포문(310)으로부터 법률내용 정보인 기본정보(321), 개정내용(322), 부칙(323)과 개정이유 및 주요내용(324)를 형태별로 추출할 수 있다.
또한, 도 4는 법률내용 정보의 메타데이터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법률내용 형태 추출부(10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법률내용 정보를 메타데이터 형식(410)으로 생성하여 법률 내용 저장소에 저장할 수 있다.
법률 해석부(102)는 상기 법률내용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공포문에 관한 법률 해석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법률 해석부(102)는 상기 법률내용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공포문에 대한 법률 해석을 수행하고, 상기 법률 해석의 결과로 법률내용 정보, 개정 정보, 추록 정보, 상기 유효성 검사 결과 또는 상기 연관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법률 해석부(102)에 대해서는 추후 도 2를 통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표현매체 생성부(103)는 상기 법률 해석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공포문에 관한 심사 및 제/개정 작업에 필요한 표현매체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법률 해석 결과는 상기 법률내용 정보, 개정 정보, 추록 정보, 상기 유효성 검사 결과 또는 상기 연관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표현매체 생성부(103)는 상기 유효성 검사 결과를 이용하여 유효성 검사 결과 표현매체를 생성하고, 상기 연관 정보를 이용하여 연관 정보 표현매체를 생성하고, 그리고 상기 법률내용 정보, 개정 정보, 추록 정보, 상기 유효성 검사 결과 또는 상기 연관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법률 해석 표현매체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유효성 검사 결과 표현매체는 입력받은 공포문 또는 개정문 내용이 규칙에 어긋나지 않았는지 또는 개정 서술문이 올바르게 작성되었는지 등을 검사한 결과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유효성 검사 결과 표현매체는 유효성 검사부(230)에 의해 산출된 유효성 검사 결과 및 법률 해석기(102) 내부의 각각의 부에서 발생한 유효성 문제에 대한 총체적인 표현매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관 정보 표현매체는 상기 공포문 또는 개정문의 내용에서 참조하고 있는 법률, 용어, 판례 정보 및 조문 정보 등을 분석한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관 정보 표현매체는 연관 정보 생성부(240)에 의해 생성된 연관 정보의 총체적인 표현매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법률 해석 표현매체는 상기 공포문 또는 개정문을 통하여 해석한 결과 법률 관리 시스템에 추가하거나 삭제 또는 수정해야 하는 법률 내용을 일정한 규칙의 형태로 표현한 결과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법률 해석 표현매체는 법률 내용 저장소, 개정 작업 저장소 및 추록 저장소에서 산출된 정보에 대한 총체적인 표현매체일수 있다.
또한, 상기 유효성 검사 결과 표현매체, 연관 정보 표현매체 또는 법률 해석 표현매체 중 어느 하나는 직접적으로 컴퓨터 또는 사람이 읽을 수 있는 형태로 커스터마이징할 수 있으며, 상기 커스터마이징의 일예는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또는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의 형태로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이후 법률 해석 결과 편집부(104)는 상기 유효성 검사 결과 표현매체, 연관 정보 표현매체 또는 법률 해석 표현매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공포문 또는 개정문에 관한 해석 결과를 노출하고, 오류의 수정 기회를 제공할 수 있으며, 제/개정 작업부(105)는 상기 유효성 검사 결과 표현매체, 연관 정보 표현매체 또는 법률 해석 표현매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법률 관리 시스템 내에 상기 공포문 또는 개정문에 대한 제/개정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표현매체 생성부(103)는 법률 내용 저장소로부터 상기 법률내용 정보를 메타데이터 형식으로 수신하고, 개정 작업 저장소로부터 상기 개정 정보를 메타데이터 형식으로 수신하고, 상기 추록 저장소로부터 상기 추록 정보를 메타데이터 형식으로 수신하고, 유효성 검사부(230)로부터 상기 유효성 검사 결과를 메타데이 터 형식으로 수신하고, 연관 정보 생성부(240)로부터 상기 연관 정보를 메타데이터 형식으로 수신하고, 상기 법률내용 정보, 개정 정보, 추록 정보, 상기 유효성 검사 결과 또는 상기 연관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유효성 검사 결과 표현매체, 연관 정보 표현매체 또는 법률 해석 표현매체 중 어느 하나를 XML 또는 HTML의 형태로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표현매체 생성부(103)는 표현 규칙 사전을 이용하여 상기 유효성 검사 결과 표현매체, 연관 정보 표현매체 또는 법률 해석 표현매체 중 어느 하나를 생성할 수 있다. 표현 규칙 사전은 메타데이터를 표현매체로 변환하기 위한 규칙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법률 해석 표현매체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현매체 생성부(103)는 XML 형태의 법률 해석 표현매체(810)를 생성할 수 있다.
법률 해석 결과 편집부(104)는 상기 표현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법률 해석 결과를 사용자에게 노출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심사 관련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법률 해석 결과 편집부(104)는 상기 유효성 검사 결과 표현매체, 연관 정보 표현매체 또는 법률 해석 표현매체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자에게 노출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노출한 정보에 대응하는 심사 관련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심사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법률 해석 표현매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즉, 법률 해석 결과 편집부(104)는 사용자의 상기 공포문 또는 개정문의 법률 해석 결과에 대한 반응(예를 들어, 오류에 대한 수정)으로서 상기 심사 관련 정보를 입 력 받고, 상기 심사 관련 정보를 상기 공포문 또는 개정문에 반영할 수 있다. 상기 업데이트된 법률 해석 표현매체는 상기 사용자의 반응이 반영된 결과일 수 있다.
도 9는 법률의 개정내용 심사 및 제/개정 작업을 위한 자동화 시스템에서 표현매체를 통해 사용자에게 노출하는 화면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법률의 개정내용 심사 및 제/개정 작업을 위한 자동화 시스템(100)과 연결된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화면 내의 공포문 입력(910)을 클릭하고, 법률의 개정내용 심사 및 제/개정 작업을 위한 자동화 시스템(100)으로 공포문 또는 개정문을 입력할 수 있다. 법률의 개정내용 심사 및 제/개정 작업을 위한 자동화 시스템(100)은 상기 공포문 또는 개정문을 이용하여 법률 해석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상기 사용자에게 노출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는 화면 상의 공포문 결과(920)를 클릭하여 상기 공포문 또는 개정문에 대한 법률 해석 결과를 확인하고, 오류(922 또는 923) 부분에 대한 수정 작업을 수행하거나, 미리보기 작업(921)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화면 상의 관련 자료(930)를 클릭하여 상기 공포문 또는 개정문에 대한 관련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법률의 개정내용 심사 및 제/개정 작업을 위한 자동화 시스템(100)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심사 관련 정보(예를 들어, 오류 부분에 대한 수정 작업)를 반영하여 상기 공포문 또는 개정문의 법률 해석 표현매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제/개정 작업부(105)는 상기 표현매체를 법률 관리 시스템에 반영하여 제/개정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개정 작업부(105)는 상기 업데이트된 법률 해석 표현매체 및 상기 연관 정보 표현매체를 법률 관리 시스템에 반영하여 제/개정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제/개정 작업부(105)는 법률 관리 시스템이 상기 법률 해석 표현매체 또는 업데이트된 법률 해석 표현매체에 의하여 제/개정 작업을 실시할 수 있도록 표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법률 관리 시스템은 별다른 기능 수정 없이 기존의 제/개정 기능을 제/개정 작업부(105)에 매핑하는 것으로 자동 제/개정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개정 작업부(105)는 표현매체 패턴 사전에 의하여 상기 법률 해석 표현매체, 업데이트된 법률 해석 표현매체 또는 연관 정보 표현매체를 해석한 후, 해석한 정보를 응용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 또는 데이터베이스 스키마를 이용하여 상기 법률 관리 시스템에 반영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표현매체 패턴 사전은 표현매체를 해석하기 위한 패턴 사전과 표현매체에 대한 형식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응용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는 다양한 법률 관리 시스템과의 인터페이스를 위해 고안된 것일 수 있으며, 상기 데이터베이스 스키마는 데이터베이스 형태의 법률 관리 시스템과의 인터페이스를 위해 고안된 것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법률 해석부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법률 해석부(102)는 개정 정보 생성부(210), 추록 정보 생성부(220), 유효성 검사부(230) 및 연관 정보 생성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개정 정보 생성부(210)는 상기 법률내용 정보에 포함된 개정내용을 이용하여 상기 공포문에 관한 개정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정 정보 생성부(210)는 개정내용 형태 결정부(211), 일반형 처리부(212) 및 서술형 처리부(213)를 포함할 수 있다.
개정내용 형태 결정부(211)는 상기 개정내용을 일반형 개정내용 또는 서술형 개정내용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분류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서술형 개정내용은 예를 들어, "제1조 중 '아름답다'를 '아름답지 못하다'로 변경한다"와 같이 개정하고자 하는 내용이 서술형으로 기록되어 있는 전문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일반형 개정내용은 예를 들어, "제1조 (조 제목) 조 내용"과 같이 개정하고자 하는 내용이 일반적인 형식에 따르는 전문으로 "편, 장, 절, 관, 목, 조, 항, 호, 목, 단" 단위 또는 별도의 단위로 기록되어 있는 전문일 수 있다.
일반형 처리부(212)는 상기 일반형 개정내용을 이용하여 상기 공포문에 관한 개정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일반형 처리부(212)는 전문 형태 사전을 이용하여 상기 일반형 개정내용을 단위 별로 분리한 후, 상기 개정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전문 형태 사전은 전문 내용을 분리 및 추출하기 위한 문자의 일예인 "1, 2, 3, 4" 또는 "제 (조 번호)조 (조 제목)" 등과 같은 형식의 패턴 기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반형 처리부(212)는 상기 개정 정보를 메타데이터 형식으로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일반형 처리부(212)는 상기 개정 정보를 개정 작업 저장소로 저장하고, 이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유효성 검사부(230), 연관 정보 생성부(240) 또는 표현매체 생성부(103)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개정 작업 저장소로부터 상기 개정 정보를 추출하여 이용할 수 있다.
서술형 처리부(213)는 상기 서술형 개정내용을 이용하여 상기 공포문에 관한 개정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서술형 처리부(213)는 상기 서술형 개정내용 내 문장을 단어 단위로 분리하고, 상기 단어에 대한 의미 파악 및 유효성 검사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개정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서술형 처리부(213)는 상기 개정 정보를 메타데이터 형식으로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개정 정보는 상기 서술형 개정내용으로부터 "개정|법률명|개정내용" 또는 "개정|조문번호|조문내용"와 같이 메타데이터 형식으로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서술형 처리부(213)는 상기 개정 정보를 개정 작업 저장소로 저장하고, 이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유효성 검사부(230), 연관 정보 생성부(240) 또는 표현매체 생성부(103)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개정 작업 저장소로부터 상기 개정 정보를 추출하여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서술형 처리부(213)는 문장 추론부(도시되지 않음), 문자 처리부(도시되지 않음) 및 문장 임시 저장소(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문장 추론부(도시되지 않음)는 상기 서술형 개정내용을 추론하는 핵심적인 모듈로써, 상기 서술형 개정내용 내 문장을 문자 처리부(도시되지 않음)에 의하여 단어 단위로 분리하고, 상기 단어에 대한 의미 파악 및 유효성을 검사할 수 있다. 또한, 문장 추론부(도시되지 않음)는 상기 단어의 분리, 의미 파악 및 유효성 검사 도중 파악한 임시 정보를 문장 임시 저장소(도시되지 않음)에 기록할 수 있다.
또한, 문장 추론부(도시되지 않음)는 문장을 완성하기 위하여 비순차적으로 추출된 단어를 최소 문장 단위 형태로 기록할 수 있고, 최종적으로 완성된 문장에 대하여 문장 패턴 사전을 이용하여 그 유효성을 검사할 수 있다. 이 때, 문장 추론부(도시되지 않음)는 상기 최종적으로 완성된 문장에 대한 유효성 검사 결과, 상기 완성된 문장이 유효하지 않은 문장일 경우, 추론 불가 문장 큐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문장 추론부(도시되지 않음)는 최종적으로 완성된 문장 또는 완성하지 못한 문장을 메타데이터 형식으로 상기 개정 작업 저장소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문장 패턴 사전은 예를 들어, "대상+검색문장+치환문장+동사"와 같이 유효한 문장일 경우에 대한 패턴 정보를 담고 있을 수 있으며, 상기 유효하지 않은 문장은 추론이 불가능한 비정상적인 문장, 패턴이 존재하지 않는 새로운 문장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효하지 않은 문장에 대한 정보는 사용자에게 노출되어 상기 문장 패턴 사전을 업데이트할 수 있는 기초자료가 될 수 있다.
또한, 문자 처리부(도시되지 않음)는 상기 서술형 개정내용에 포함된 문장의 단어들을 분리, 의미파악, 상기 단어가 지시하고 있는 다른 문장에서 추출한 단어 및 문장 또는 상기 다른 문장에서 추출한 단어 및 문장에 대한 유효성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문자 처리부(도시되지 않음)는 대상 패턴 사전, 대상 생략 추론기, 분리 문자 및 패턴 사전, 어구 사전, 동사 및 동사 준어구 사전 또는 유효성 검사기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대상 패턴 사전은 "법률명" 또는 "제 (조제목)조 (조제목)"과 같은 패턴 형태로 문장에서 대상을 파악하기 위해서 대상으로 올 수 있는 복합적인 대상 정보 패턴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대상 생략 추론기는 문장에서 연속적으로 나열되는 대상 중에서 생략된 어미 정보 예를 들어, "제 1조 및 1항"과 같이 복합적인 대상 중에서 1항에 대한 생략된 어미를 "제1조 및 제1조1항"과 같이 완성할 수 있다.
또한, 분리 문자 및 패턴 사전은 문장에서 단어를 분리하기 위한 따옴표, 공백 및 "(공백)특정문자"와 같은 문자 및 패턴을 포함하고, 어구 사전은 단어에 대한 목적 및 의미를 파악하여 해당 단어가 문장에서 어떠한 역할로 사용되지는 지에 대해서 추론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동사 및 동사 준어구 사전은 문장에서 사용될 수 있는 동사 및 동사와 동급으로 사용될 수 있는 어구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으며, 상기 동사 및 동사와 동급으로 사용될 수 있는 어구에 대한 정보는 최종적으로 개정인지 삭제인지 등과 같이 해당 문장이 하고자 하는 형태를 파악하기 위한 정보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유효성 검사기는 단어를 처리하던 도중에 한 단어가 다른 문장을 참조하거나 인용하는 경우 문장 추론부(도시되지 않음) 또는 작업 명령 큐에 의해 검색된 인용 문장이 유효한지에 대해서 검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효한지에 대한 검사 결과는 문장으로 완성하기 위한 정보로 사용될 수 있다.
문장 임시 저장소(도시되지 않음)는 다양한 단어들을 비순차적으로 저장한 후에 최종적으로 단어들을 결합하여 문장으로 만들거나 문자 처리부(도시되지 않음)에서 부여된 특정 형태의 전문을 찾아야만 문장을 완성할 수 있는 일종의 검색 작업 명령 등을 저장하여 문장 추론부(도시되지 않음)에서 문장을 읽으면서 해당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문장 임시 저장소(도시되지 않음)는 대상 큐, 작업 명령 큐, 목적어 큐 또는 작업 형태 큐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대상 큐는 문장 추론부(도시되지 않음) 및 문자 처리부(도시되지 않음)에 의해서 파악된 대상, 개정내용에 대해서 개정 작업을 요구하는 단일 대상, 복합적인 대상 또는 개정 작업을 해서는 안 되는 대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러한 대상에 관한 정보는 문장의 완성을 위해 기준 및 기초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업 명령 큐는 문장 추론부(도시되지 않음) 및 문자 처리부(도시되지 않음)에 의해서 파악된 인용 문장에 대한 검색 지시 등과 같이 문장 추론부(도시되지 않음)가 문장을 읽으면서 인용하는 문장을 찾을 때까지 상기 유효성 검사기가 유효성 검사 작업을 하기 위한 명령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어 큐는 대상 또는 동사가 아니고, 목적을 가지고 있는 모든 어구 정보를 저장하며, 이러한 어구 정보는 어구 사전에 의해서 파악된 의미 또는 역할에 대한 정보와 함께 상기 문장 패턴 사전에 의하여 문장을 결합하기 위한 정보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업 형태 큐는 동사 및 동사 준어구 사전에 의해서 해당 문장의 동사가 신설인지 삭제인지와 같이 추출된 정보를 임시로 저장하고 있고, 문장을 완성할 때에 해당 문장의 작업 형태 또는 역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개정내용으로부터 개정 정보를 생성하는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술형 처리부(212)는 서술형 개정내용(510)을 이 용하여 개정 정보(520)를 생성할 수 있다. 특히, 서술형 처리부(212)는 서술형 개정내용(510) 내의 소정의 문장(511)을 메타데이터 형식인 개정 정보(521)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일반형 처리부(211)는 일반형 개정내용(530)을 이용하여 개정 정보(540)를 생성할 수 있다.
추록 정보 생성부(220)는 상기 법률내용 정보에 포함된 부칙을 이용하여 상기 공포문에 관한 추록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록 정보 생성부(220)는 추록 처리부(221) 및 타 법률 개정내용 전송부(222)를 포함할 수 있다.
추록 처리부(221)는 추록 패턴 사전을 기반으로 상기 부칙으로부터 추출한 추록을 이용하여 추록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추록은 법률 내용에 부가적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정보로써 예를 들어, 법률의 시행일자, 일부 조문의 시행일자 또는 단서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추록 패턴 사전은 상기 추록의 형태를 파악하기 위해서 예를 들어, "(공포일)(시행한다)"와 같은 일반형 패턴 또는 서술형 패턴 기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추록 처리부(221)는 상기 추록 정보를 메타데이터 형식으로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추록 정보는 상기 추록으로부터 "법률|분류|시행일자" 또는 "조문|분류|부가정보"와 같이 메타데이터 형식으로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추록 처리부(221)는 상기 추록 정보를 추록 저장소로 저장하고, 이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유효성 검사부(230), 연관 정보 생성부(240) 또는 표현매체 생성부(103)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추록 저장소로부터 상기 추록 정보를 추출하여 이 용할 수 있다.
타 법률 개정내용 전송부(222)는 상기 부칙에서 추출한 타 법률 개정내용으로부터 개정 정보를 추출하기 위해 상기 타 법률 개정내용을 개정 정보 생성부(2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타 법률 개정내용은 현 법률을 참조하는 다른 법률에 대한 제/개정 정보에 대해서 담고 있는 전문으로써 한 개의 공포문을 통해 다수의 법률을 제/개정할 때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타 법률 개정내용은 일반형 개정내용 및 서술형 개정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타 법률 개정내용 전송부(222)는 부칙 형태 분리 문자 및 패턴 사전 또는 부칙 정보 패턴 사전을 통해서 상기 부칙에서 타 법률 개정내용을 추출할 수 있으며, 상기 타 법률 개정내용을 개정 정보 생성부(21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개정 정보 생성부(210)는 상기 타 법률 개정내용을 이용하여 개정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부칙 형태 분리 문자 및 패턴 사전은 부칙의 상세 내용을 분리하기 위해서 예를 들어, "편, 장, 절, 관, 목, 조, 항, 호, 목, 단" 또는 "1, 2, 3, 4"와 같은 일반형 패턴 또는 서술형 패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칙 정보 패턴 사전은 상기 부칙에서 추출한 정보가 추록인지 타 법률 개정내용인지를 파악하기 위한 패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부칙으로부터 추록 정보를 생성하는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록 처리부(221)는 부칙(610) 내 추록(621)을 이용하여 메타데이터 형식의 추록 정보(622)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타 법률 개정내용 전송부(222)는 부칙(610)으로부터 타 법률 개정내용(630)을 추출하여 개정 정 보 생성부(210)로 전송할 수 있다.
유효성 검사부(230)는 상기 법률내용 정보, 상기 개정 정보 또는 상기 추록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공포문의 유효성을 검사할 수 있다. 이 때, 유효성 검사부(230)는 상기 법률내용 정보, 상기 개정 정보 또는 상기 추록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법률 관리 시스템에 기 저장된 법률 정보와 매핑하여 유효성을 검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핑은 응용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 또는 데이터베이스 스키마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효성 검사부(230)는 법률 내용 저장소에서 메타데이터 형식의 법률내용 정보를 읽고, 개정 작업 저장소에서 메타데이터 형식의 개정 정보를 읽고, 추록 저장소에서 메타데이터 형식의 추록 정보를 읽은 내용이 법률 관리 시스템의 기 저장된 법률 정보와 비교하여 유효한 정보인지를 결정함으로써, 유효성을 검사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유효한 정보인지의 결정은 예를 들어, 상기 법률 관리 시스템에 제/개정할 수 있는 구조인지 여부 또는 개정하고자 하는 정보의 성격이 부합하는지 여부 등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유효성 검사부(230)는 상기 유효성 검사 결과를 메타데이터 형식으로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효성 검사부(230)는 유효성 검사 결과 해당 법규 미존재와 같은 오류가 있는 경우, 상기 유효성 검사 결과를 "META-01-0002|ERR-0001|해당 법규 미존재"와 같은 메타데이터 형식으로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표현매체 생성부(103)는 상기 메타데이터 형식의 유효성 검사 결과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응용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는 응용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 매퍼 일 수 있으며, 상기 응용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 매퍼는 기존에 사용중인 법률 관리 시스템에서 법률 정보의 유효성을 검사하기 위한 콜백 형태의 응용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 및 비교 응용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들을 있도록 고안되어 있는 것으로, 정확한 법률 정보 해석을 위한 유효성 검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 스키마는 기존에 사용준인 법률 데이터베이스에서 법률 정보의 유효성을 검사하기 위한 표준 SQL 구문이 DB 벤더별로(Oracle 등) 저장되어 있고 이를 매핑할 수 있도록 고안되어 있는 것으로, 정확한 법률 정보 해석을 위한 유효성 검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법률 관리 시스템은 법률 데이터베이스 형태로 구현되거나, 또는 내부에 법률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연관 정보 생성부(240)는 상기 법률내용 정보, 상기 개정 정보 또는 상기 추록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공포문의 연관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관 정보 생성부(240)는 법률 내용 저장소에서 메타데이터 형식의 법률내용 정보를 읽고, 개정 작업 저장소에서 메타데이터 형식의 개정 정보를 읽고, 추록 저장소에서 메타데이터 형식의 추록 정보를 읽은 내용에서 색인 또는 색인어로 사용할 수 있는 대상 정보(예를 들어, 법률명 또는 조문번호)를 추출하고, 이를 내부 법률 데이터베이스 또는 내부 관련 용어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여 연관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관 정보 생성부(240)는 색인어 추출부(241) 및 색인어 검색부(242)를 포함할 수 있다.
색인어 추출부(241)는 연관 정보 데이터베이스, 법률 관리 시스템 또는 색인어 사전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색인어를 추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색인어 추출부(241)는 연관 정보 데이터베이스, 법률 관리 시스템 또는 색인어 사전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색인어 규칙 및 패턴 사전을 이용하여 색인어를 추출할 수 있다. 이 때, 연관 정보 데이터베이스는 색인어 추출부(241) 내부에 존재할 수 있으며, 상기 연관 정보 데이터베이스는 내부에 내부 법률 데이터베이스 및 내부 관련 용어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 관련 용어 데이터베이스는 해석하고자 하는 법률 정보와 관련 있는 법률 용어 또는 전문적인(Professional) 용어를 선택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하고 있고,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커스터마이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 법률 데이터베이스는 해석하고자 하는 법률 정보와 관련있는 현행 법령, 상위 법규, 타 법규, 판례집, 판례해석집 등과 같이 법률에 대한 총체적인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커스터마이징될 수 있다.
또한, 색인어 추출부(241)는 응용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 또는 데이터베이스 스키마를 이용하여 법률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색인어를 추출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응용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는 응용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 매퍼일 수 있으며, 상기 응용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 매퍼는 기존에 사용중인 법률 관리 시스템에서 법률 정보의 유효성을 검사하기 위한 콜백 형태의 응용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 및 비교 응용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들을 있도록 고안되어 있는 것으로, 색인어 추출부(241)가 내부 데이터베이스가 아닌 법률 관리 시스템과 같은 외부 법률 관리 시스템과의 연동 시 연관 정보 처리 기능을 확장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 스키마는 기존에 사용준인 법률 데이터베이스에서 법률 정보의 유효성을 검사하기 위한 표준 SQL 구문이 DB 벤더별로(Oracle 등) 저장되어 있고 이를 매핑할 수 있도록 고안되어 있는 것으로, 색인어 추출부(241)가 내부 데이터베이스가 아닌 법률 데이터베이스와 같은 외부 법률 데이터베이스와의 연동 시 연관 정보 처리 기능을 확장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법률 관리 시스템은 법률 데이터베이스 형태로 구현되거나, 또는 내부에 법률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색인어 검색부(242)는 상기 법률내용 정보, 상기 개정 정보 또는 상기 추록 정보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색인어와 매칭되는 부분의 검색에 따라 상기 연관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색인어 검색부(242)는 법률 내용 저장소에서 메타데이터 형식의 법률내용 정보를 읽고, 개정 작업 저장소에서 메타데이터 형식의 개정 정보를 읽고, 추록 저장소에서 메타데이터 형식의 추록 정보를 읽은 내용으로부터 색인어 추출부(241)에서 추출한 상기 색인어를 검색할 수 있다. 또한, 색인어 검색부(242)는 상기 법률내용 정보, 개정 정보 또는 추록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색인어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색인어와 연관된 또는 링크되어 있는 정보를 이용하여 연관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색인어 검색부(242)는 상기 연관 정보를 메타데이터 형식으로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연관 정보는 "법규|META-02-0001|META-02-0003|DB-0002"와 같은 메타데이터일 수 있다. 또한, 표현매체 생성 부(103)는 상기 메타데이터 형식의 연관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도 7은 법률내용 정보, 개정 정보 및 추록 정보로부터 생성한 유효성 검사 결과 및 연관 정보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효성 검사부(230)는 메타데이터 형식의 법률내용 정보(711), 개정 정보(712) 또는 추록 정보(713)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메타데이터 형식의 유효성 검사 결과(721)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연관 정보 생성부(240)는 메타데이터 형식의 법률내용 정보(711), 개정 정보(712) 또는 추록 정보(713)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메타데이터 형식의 연관 정보(722)를 생성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법률의 개정내용 심사 및 제/개정 작업을 위한 자동화 방법을 도시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법률의 개정내용 심사 및 제/개정 작업을 위한 자동화 방법은 단계(S1001) 내지 단계(S1003)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법률의 개정내용 심사 및 제/개정 작업을 위한 자동화 방법은 법률의 개정내용 심사 및 제/개정 작업을 위한 자동화 시스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단계(S1001)에서 상기 자동화 시스템은 입력된 공포문으로부터 법률내용 정보를 형태별로 추출할 수 있다.
단계(S1002)에서 상기 자동화 시스템은 상기 법률내용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공포문에 관한 법률 해석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자동화 시스템은 상기 법률내용 정보에 포함된 개정내용을 이용하여 상기 공포문에 관한 개정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법률내용 정보에 포함된 부칙을 이용하여 상기 공포문에 관한 추록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법률내용 정보, 상기 개정 정보 또는 상기 추록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공포문의 유효성을 검사하고, 그리고 상기 법률내용 정보, 상기 개정 정보 또는 상기 추록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공포문의 연관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단계(S1003)에서 상기 자동화 시스템은 상기 법률 해석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공포문에 관한 심사 및 제/개정 작업에 필요한 표현매체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법률 해석 결과는 상기 법률내용 정보, 개정 정보, 추록 정보, 상기 유효성 검사 결과 또는 상기 연관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법률의 개정내용 심사 및 제/개정 작업을 위한 자동화 방법에 대하여 도 10을 통해 설명하지 아니한 내용은 앞서 도 1 내지 도 9를 통하여 설명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한 내용으로부터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하겠다.
본 발명에 따른 법률의 개정내용 심사 및 제/개정 작업을 위한 자동화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법률의 개정내용 심사 및 제/개정 작업을 위한 자동화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법률 해석부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공포문의 법률내용 및 법률내용을 형태별로 추출한 법률내용 정보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법률내용 정보의 메타데이터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개정내용으로부터 개정 정보를 생성하는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부칙으로부터 추록 정보를 생성하는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법률내용 정보, 개정 정보 및 추록 정보로부터 생성한 유효성 검사 결과 및 연관 정보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법률 해석 표현매체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법률의 개정내용 심사 및 제/개정 작업을 위한 자동화 시스템에서 표현매체를 통해 사용자에게 노출하는 화면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법률의 개정내용 심사 및 제/개정 작업을 위한 자동화 방법을 도시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법률의 개정내용 심사 및 제/개정 작업을 위한 자동화 시스템
102: 법률 해석부

Claims (23)

  1. 입력된 공포문으로부터 법률내용 정보를 형태별로 추출하는 법률내용 형태 추출부;
    상기 법률내용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공포문에 관한 법률 해석을 수행하는 법률 해석부; 및
    상기 법률 해석의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공포문에 관한 심사 및 제/개정 작업에 필요한 표현매체를 생성하는 표현매체 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법률내용 형태 추출부는 법률 형태 사전을 이용하여 상기 공포문으로부터 법률내용 정보를 형태별로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법률의 개정내용 심사 및 제/개정 작업을 위한 자동화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법률내용 정보는,
    형태별로 추출된 개정이유, 주요내용, 기본정보, 개정내용 또는 부칙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법률의 개정내용 심사 및 제/개정 작업 을 위한 자동화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법률 해석부는,
    상기 법률내용 정보에 포함된 개정내용을 이용하여 상기 공포문에 관한 개정 정보를 생성하는 개정 정보 생성부;
    상기 법률내용 정보에 포함된 부칙을 이용하여 상기 공포문에 관한 추록 정보를 생성하는 추록 정보 생성부;
    상기 법률내용 정보, 상기 개정 정보 또는 상기 추록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공포문의 유효성을 검사하는 유효성 검사부; 및
    상기 법률내용 정보, 상기 개정 정보 또는 상기 추록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공포문의 연관 정보를 생성하는 연관 정보 생성부
    를 포함하는 법률의 개정내용 심사 및 제/개정 작업을 위한 자동화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법률 해석의 결과는,
    상기 법률내용 정보, 개정 정보, 추록 정보, 유효성 검사 결과 또는 연관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법률의 개정내용 심사 및 제/개정 작업을 위한 자동화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법률내용 정보, 개정 정보, 추록 정보, 유효성 검사 결과 또는 연관 정보는,
    메타데이터 형식으로 생성, 저장 또는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법률의 개정내용 심사 및 제/개정 작업을 위한 자동화 시스템.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개정 정보 생성부는,
    상기 개정내용을 일반형 개정내용 또는 서술형 개정내용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분류하는 개정내용 형태 결정부;
    상기 일반형 개정내용을 이용하여 상기 공포문에 관한 개정 정보를 생성하는 일반형 처리부; 및
    상기 서술형 개정내용을 이용하여 상기 공포문에 관한 개정 정보를 생성하는 서술형 처리부
    를 포함하는 법률의 개정내용 심사 및 제/개정 작업을 위한 자동화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형 처리부는,
    전문 형태 사전을 이용하여 상기 개정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법률의 개정내용 심사 및 제/개정 작업을 위한 자동화 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서술형 처리부는,
    상기 서술형 개정내용 내 문장을 단어 단위로 분리하고, 상기 단어에 대한 의미 파악 및 유효성 검사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개정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법률의 개정내용 심사 및 제/개정 작업을 위한 자동화 시스템.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추록 정보 생성부는,
    상기 부칙으로부터 추출한 추록을 이용하여 추록 정보를 생성하는 추록 처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법률의 개정내용 심사 및 제/개정 작업을 위한 자동화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추록 정보 생성부는,
    상기 부칙에서 추출한 타 법률 개정내용으로부터 개정 정보를 추출하기 위해 상기 타 법률 개정내용을 개정 정보 생성부로 전송하는 타 법률 개정내용 전송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추록 처리부는,
    추록 패턴 사전을 기반으로 상기 추록을 이용하여 추록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법률의 개정내용 심사 및 제/개정 작업을 위한 자동화 시스템.
  12.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 검사부는,
    상기 법률내용 정보, 상기 개정 정보 또는 상기 추록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법률 관리 시스템에 기 저장된 법률 정보와 매핑하여 유효성을 검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법률의 개정내용 심사 및 제/개정 작업을 위한 자동화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매핑은,
    응용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 또는 데이터베이스 스키마를 이용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법률의 개정내용 심사 및 제/개정 작업을 위한 자동화 시스템.
  14.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관 정보 생성부는,
    연관 정보 데이터베이스, 법률 관리 시스템 또는 색인어 사전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색인어를 추출하는 색인어 추출기; 및
    상기 법률내용 정보, 상기 개정 정보 또는 상기 추록 정보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색인어와 매칭되는 부분의 검색에 따라 상기 연관 정보를 생성하는 색인 어 검색부
    를 포함하는 법률의 개정내용 심사 및 제/개정 작업을 위한 자동화 시스템.
  1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표현매체 생성부는,
    상기 유효성 검사 결과를 이용하여 유효성 검사 결과 표현매체를 생성하고,
    상기 연관 정보를 이용하여 연관 정보 표현매체를 생성하고, 그리고
    상기 법률내용 정보, 개정 정보, 추록 정보, 상기 유효성 검사 결과 또는 상기 연관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법률 해석 표현매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법률의 개정내용 심사 및 제/개정 작업을 위한 자동화 시스템.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현매체는,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또는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의 형태로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법률의 개정내용 심사 및 제/개정 작업을 위한 자동화 시스템.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법률의 개정내용 심사 및 제/개정 작업을 위한 자동화 시스템은,
    상기 표현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법률 해석의 결과를 사용자에게 노출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심사 관련 정보를 입력받는 법률 해석 결과 편집부
    를 더 포함하는 법률의 개정내용 심사 및 제/개정 작업을 위한 자동화 시스템.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법률의 개정내용 심사 및 제/개정 작업을 위한 자동화 시스템은,
    상기 표현매체를 법률 관리 시스템에 반영하여 제/개정 작업을 수행하는 제/개정 작업부
    를 더 포함하는 법률의 개정내용 심사 및 제/개정 작업을 위한 자동화 시스템.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법률의 개정내용 심사 및 제/개정 작업을 위한 자동화 시스템은,
    상기 유효성 검사 결과 표현매체, 연관 정보 표현매체 또는 법률 해석 표현매체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자에게 노출하고,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심사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법률 해석 표현매체를 업데이트하는 법률 해석 결과 편집부; 및
    상기 업데이트된 법률 해석 표현매체 및 상기 연관 정보 표현매체를 법률 관리 시스템에 반영하여 제/개정 작업을 수행하는 제/개정 작업부
    를 더 포함하는 법률의 개정내용 심사 및 제/개정 작업을 위한 자동화 시스템.
  20. 입력된 개정문으로부터 법률내용 정보를 형태별로 추출하는 법률내용 형태 추출부;
    상기 법률내용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개정문에 관한 법률 해석을 수행하는 법률 해석부; 및
    상기 법률 해석의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개정문에 관한 심사 및 제/개정 작업에 필요한 표현매체를 생성하는 표현매체 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법률내용 형태 추출부는 법률 형태 사전을 이용하여 상기 개정문으로부터 법률내용 정보를 형태별로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법률의 개정내용 심사 및 제/개정 작업을 위한 자동화 시스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KR1020080059732A 2008-06-24 2008-06-24 법률의 개정내용 심사 및 제/개정 작업을 위한 자동화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9108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9732A KR100910895B1 (ko) 2008-06-24 2008-06-24 법률의 개정내용 심사 및 제/개정 작업을 위한 자동화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9732A KR100910895B1 (ko) 2008-06-24 2008-06-24 법률의 개정내용 심사 및 제/개정 작업을 위한 자동화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0895B1 true KR100910895B1 (ko) 2009-08-05

Family

ID=41209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9732A KR100910895B1 (ko) 2008-06-24 2008-06-24 법률의 개정내용 심사 및 제/개정 작업을 위한 자동화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089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6060B1 (ko) 2010-06-07 2011-01-07 대한민국 법규조문 구조를 이용한 개정지시 데이터 생성방법 및 장치
KR20160011733A (ko) * 2014-07-22 2016-02-02 주식회사지란지교에스앤씨 규정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18035A (ko) 2014-08-07 2016-02-17 주식회사 에코시안 법령 정보 메타데이터 입력 지원 시스템 및 그의 처리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63490A (ja) * 1995-03-24 1996-10-11 Hitachi Ltd 法規文書更新システム
JP2004295500A (ja) * 2003-03-27 2004-10-21 Mitsubishi Electric Information Systems Corp 改正法令分析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100470440B1 (ko) * 2004-06-14 2005-02-05 (주)젠솔소프트 법률 개정과정에서 필요한 각종 보고서의 규칙기반 자동생성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63490A (ja) * 1995-03-24 1996-10-11 Hitachi Ltd 法規文書更新システム
JP2004295500A (ja) * 2003-03-27 2004-10-21 Mitsubishi Electric Information Systems Corp 改正法令分析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100470440B1 (ko) * 2004-06-14 2005-02-05 (주)젠솔소프트 법률 개정과정에서 필요한 각종 보고서의 규칙기반 자동생성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6060B1 (ko) 2010-06-07 2011-01-07 대한민국 법규조문 구조를 이용한 개정지시 데이터 생성방법 및 장치
KR20160011733A (ko) * 2014-07-22 2016-02-02 주식회사지란지교에스앤씨 규정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664830B1 (ko) * 2014-07-22 2016-10-13 주식회사지란지교에스앤씨 규정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18035A (ko) 2014-08-07 2016-02-17 주식회사 에코시안 법령 정보 메타데이터 입력 지원 시스템 및 그의 처리 방법
KR101618775B1 (ko) * 2014-08-07 2016-05-18 주식회사 에코시안 법령 정보 메타데이터 입력 지원 시스템 및 그의 처리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05063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nalyzing the validity or infringment of patent claims
US11138005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automatically generating documentation for software
RU2592396C1 (ru)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для машинного извлечения и интерпретации текстовой информации
US20050137853A1 (en) Machine translation
US20050171757A1 (en) Machine translation
US20090222395A1 (en) Systems, methods, and software for entity extraction and resolution coupled with event and relationship extraction
US10503830B2 (en) Natural language processing with adaptable rules based on user inputs
CA2853627C (en) Automatic creation of clinical study reports
MXPA04011788A (es) Aprendizaje y uso de patrones de cadena generalizados para extraccion de informacion.
RU2544739C1 (ru) Способ преобразования структурированного массива данных
US11158118B2 (en) Language model,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preting zoning legal text
JP6952967B2 (ja) 自動翻訳装置
Wax Automated grammar engineering for verbal morphology
Wolf et al. From statistical term extraction to hybrid machine translation
KR100910895B1 (ko) 법률의 개정내용 심사 및 제/개정 작업을 위한 자동화시스템 및 그 방법
JPH11272710A (ja) 情報検索システム、情報検索方法および記録媒体
US20020129066A1 (en) Computer implemented method for reformatting logically complex clauses in an electronic text-based document
Szwed Concepts extraction from unstructured Polish texts: A rule based approach
JP2007172260A (ja) 文書ルール作成支援装置および文書ルール作成支援方法並びに文書ルール作成支援プログラム
JP6976585B2 (ja) 照応・省略解析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Zeni et al. Annotating legal documents with GaiusT 2.0
JP7227705B2 (ja) 自然言語処理装置、検索装置、自然言語処理方法、検索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Haj et al. Automated generation of terminological dictionary from textual business rules
CN111339272A (zh) 代码缺陷报告检索方法及装置
Federmann et al. Multilingual terminology acquisition for ontology-based information extra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9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