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3721B1 - 차량과 적재함의 탈부착 구조 - Google Patents

차량과 적재함의 탈부착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3721B1
KR101003721B1 KR1020080130197A KR20080130197A KR101003721B1 KR 101003721 B1 KR101003721 B1 KR 101003721B1 KR 1020080130197 A KR1020080130197 A KR 1020080130197A KR 20080130197 A KR20080130197 A KR 20080130197A KR 101003721 B1 KR101003721 B1 KR 1010037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chassis frame
guide rail
roller
loading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01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71466A (ko
Inventor
임대우
Original Assignee
임대우
김종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대우, 김종일 filed Critical 임대우
Priority to KR10200801301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3721B1/ko
Publication of KR201000714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14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37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37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52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rollers in the load-transport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9/00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 B60S9/02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for only lifting or suppor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5Haulage vehicles, trailing tru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과 적재함의 탈부착 구조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일단부에 양측이 하향경사진 일측 롤러 및 타측 롤러로 구성된 제 1가이드부가 구비되고, 타단부에 양측이 하향경사진 일측 롤러 및 타측롤러로 구성된 제 2가이드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 1, 2가이드부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유도판이 형성되는 샤시프레임과; 타단부의 저면에 일단부로 갈수록 상향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되는 일측 가이드레일과, 타단부의 저면에 일단부로 갈수록 상향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샤시프레임의 제 1, 2가이드부의 일측 롤러 및 타측 롤러의 상단의 폭보다는 크고 하단의 폭보다는 작게 형성되는 가이드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일측 가이드레일의 타측에 이격되어 형성되는 타측 가이드레일과, 상기 일측 가이드레일과 타측 가이드레일의 양측벽의 전후에 아웃트리거가 형성되는 적재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과 적재함의 탈부착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샤시프레임 상부에 적재함을 보다 용이하게 안착시킬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샤시프레임 상부에서 상기 적재함을 간편하게 분리시켜 상기 적재함 자체를 보관장소의 지면에 안착시킬 수 있기 때문에 작업자의 작업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게 되고, 나아가 상기 적재함의 아웃트리거의 높이를 낮춤으로써, 상기 적재함이 보관장소에서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아웃트리거의 높이가 낮더라도 상기 샤시프레임이 상기 적재함 하부 타단 부에서 일단부 방향으로 보다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샤시프레임, 적재함

Description

차량과 적재함의 탈부착 구조{FITTING-REMOVING STRUCTURE OF THE VEHICLE AND LOADING BOX}
본 발명은 일단부에 양측이 하향경사진 일측 롤러 및 타측 롤러로 구성된 제 1가이드부가 구비되고, 타단부에 양측이 하향경사진 일측 롤러 및 타측롤러로 구성된 제 2가이드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 1, 2가이드부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유도판이 형성되는 샤시프레임과; 타단부의 저면에 일단부로 갈수록 상향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되는 일측 가이드레일과, 타단부의 저면에 일단부로 갈수록 상향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샤시프레임의 제 1, 2가이드부의 일측 롤러 및 타측 롤러의 상단의 폭보다는 크고 하단의 폭보다는 작게 형성되는 가이드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일측 가이드레일의 타측에 이격되어 형성되는 타측 가이드레일과, 상기 일측 가이드레일과 타측 가이드레일의 양측벽의 전후에 아웃트리거가 형성되는 적재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과 적재함의 탈부착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특수용도를 제외한 것 외에는 화물차의 샤시프레임과 바퀴와의 결합은 운행의 용이함과 안전성을 위하여 판 스프링 구조로 가설된다.
상기 샤시프레임의 상부에는 대게 내부에 박스 등의 적재물이 내부에 적재된 일정크기의 적재함이 올려지게 되는데, 상기 적재함을 분리하여 보관장소로 이동시키고자 할 시 보관장소로 상기 적재함이 보다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적재함의 지상고(地上高)를 최대한 낮추어야 한다.
그러나, 상기 샤시프레임의 상부에 상기 적재물을 올려놓거나 상기 적재물을 상기 샤시프레임에서 분리하고자 할 시 화물차의 샤시프레임의 자연부상되는 높이와 보관장소의 지형적인 상황이 고려되어야 함으로, 화물차량의 프레임 상단부와 적재함 하단부를 과도하게 이격시켜야 했을 뿐더러 특히, 상기 적재함을 상기 샤시프레임의 상부에 올려놓거나 상기 샤시프레임에서 상기 적재함을 분리할 시 상호간섭을 피하기 위해 아웃트리거를 과도하게 이격시켜야됨으로써, 특히 공간이 한정적인 물류센서 등에서 상기 적재함이 차지하는 공간이 과도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샤시프레임 상부에 적재함을 보다 용이하게 안착시킬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샤시프레임 상부에서 상기 적재함을 간편하게 분리시켜 상기 적재함 자체를 보관장소의 지면에 안착시킬 수 있기 때문에 작업자의 작업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게 되고, 나아가 상기 적재함의 아웃트리거의 높이를 낮춤으로써, 상기 적재함이 보관장소에서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아웃트리거의 높이가 낮더라도 상기 샤시프레임이 상기 적재함 하부 타단부에서 일단부 방향으로 보다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는 차량과 적재함의 탈부착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단부에 양측이 하향경사진 일측 롤러 및 타측 롤러로 구성된 제 1가이드부가 구비되고, 타단부에 양측이 하향경사진 일측 롤러 및 타측롤러로 구성된 제 2가이드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 1, 2가이드부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유도판이 형성되는 샤시프레임과; 타단부의 저면에 일단부로 갈수록 상향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되는 일측 가이드레일과, 타단부의 저면에 일단부로 갈수록 상향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샤시프레임의 제 1, 2가이드부의 일측 롤러 및 타측 롤러의 상단의 폭보다는 크고 하단의 폭보다는 작게 형성되는 가이드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일측 가이드레일의 타측에 이격되어 형성되는 타측 가이드레일과, 상기 일측 가이드레일과 타측 가이드레일의 양측벽의 전후에 아웃트리거가 형성되는 적재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과 적재함의 탈부착 구조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샤시프레임의 제 1가이드부는 상기 샤시프레임의 일단부 상하부면에 좌우방향으로 연장형성된 가이드슬릿내에 상하이동가능하게 구비되거나, 상기 샤시프레임의 제 1, 2가이드부 모두는 상기 샤시프레임의 일단부와 타단부 상하부면에 좌우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상기 가이드슬릿내에 상하이동가능하게 구비되고,상기 제 1가이드부는 상기 샤시프레임의 일단부 내부에 수평방향으로 구비된 가이드바 양측에 상하이동가능하게 수직으로 구비된 상태에서 외주연에 구비된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가이드슬릿내에서 상하이동되거나, 상기 제 1, 2가이드부 모두는 상기 샤시프레임의 일단부와 타단부 내부에 수평방향으로 구비된 상기 가이드바 양측에 상하이동가능하게 수직으로 구비된 상태에서 외주연에 구비된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가이드슬릿내에서 상하이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샤시프레임의 제 1가이드부는 상기 샤시프레임의 일단부 상하부면에 좌우방향으로 연장형성된 가이드슬릿내에 좌우이동가능하게 구비되거나, 상기 샤시프레임의 제 1, 2가이드부 모두는 상기 샤시프레임의 일단부와 타단부 상하부면에 좌우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상기 가이드슬릿내에 좌우이동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제 1가이드부는 상기 샤시프레임의 일단부 내부 양측에 각각 수평방향으로 구 비되어 상기 가이드바의 양단부와 연결되는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가이드바가 좌우방향으로 이동될 시 상기 샤시프레임의 일단부 상하부면에 좌우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상기 가이드슬릿을 따라 좌우이동되거나, 상기 제 1, 2가이드부는 상기 샤시프레임의 일단부와 타단부 내부 양측에 각각 수평방향으로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바의 양단부와 연결되는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가이드바가 좌우방향으로 이동될 시 상기 샤시프레임의 일단부와 타단부 상하부면에 좌우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상기 가이드슬릿을 따라 좌우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과 적재함의 탈부착 구조.
나아가, 상기 적재함의 일측 가이드레일과 타측 가이드레일의 타단부 내측면에는 외측에서 내측방향으로 갈수록 상향경사지는 경사면이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샤시프레임 양단부에 일측 롤러 및 타측 롤러로 구성된 제 1, 2가이드부가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제 1, 2가이드부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유도판이 형성되고, 적재함의 하부에 일측 가이드레일과 타측 가이드레일이 형성되기 때문에 샤시프레임이 상기 적재함 하부 타단부에서 일단부방향으로 보다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게 되어 샤시프레임 상부에 상기 적재함을 보다 용이하게 안착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샤시프레임 상부에 안착시킨 상기 적재함 또한 샤시프레임 타단부에서 일단부방향으로 보다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기 때문에 샤시프레임에서 상기 적재함 자체를 보다 간편하게 분리하여 보관장소의 지면에 안착시킬 수 있게 되어 작업자의 작업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적재함의 아웃트리거의 높이를 종래에 비해 낮춤으로써, 상기 적재함이 보관장소에서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적재함의 일측 가이드레일과 타측 가이드레일의 타단부 저면에 일단부로 갈수록 상향경사진 경사면이 각각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아웃트리거의 높이가 낮더라도 상기 경사면을 통해 샤시프레임이 상기 적재함 하부 타단부에서 일단부 방향으로 보다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샤시프레임의 제 1가이드부가 상기 샤시프레임의 일단부 상하부면에 좌우방향으로 연장형성된 가이드슬릿내에 상하이동가능하게 구비되거나, 상기 샤시프레임의 제 1, 2가이드부 모두가 상기 샤시프레임의 일단부와 타단부 상하부면에 좌우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상기 가이드슬릿내에 상하이동가능하게 구비되기 때문에 상기 샤시프레임의 제 1가이드부 또는 특히 제 1, 2가이드부 모두가 상기 적재함의 높이에 맞게 상하이동하여 상기 적재함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음은 물론 이로 인해 상기 샤시프레임이 상기 적재함 하부 타단부에서 일단부 방향으로 보다 원활히 이동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샤시프레임의 제 1가이드부가 상기 샤시프레임의 일단부 상하부면에 좌우방향으로 연장형성된 가이드슬릿내에 좌우이동가능하게 구비되거나, 특히 상기 샤시프레임의 제 1, 2가이드부 모두가 상기 샤시프레임의 일단부와 타단부 상하부면에 좌우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상기 가이드슬릿내에 좌우이동가능하게 구비되 기 때문에 상기 샤시프레임의 유도판 사이에 위치하게 되는 상기 적재함의 일측 가이드레일과 타측 가이드레일이 상기 유도판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치우치더라도 상기 제 1가이드부 또는 제 1, 2가이드부 모두가 좌우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일측 가이드레일과 타측 가이드레일의 내측면과 보다 용이하게 접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샤시프레임의 유도판 사이에 위치하게 되는 상기 적재함의 일측 가이드레일과 타측 가이드레일이 상기 유도판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치우치더라도 상기 샤시프레임이 상기 적재함의 하부 타단부에서 일단부 방향으로 보다 원활히 이동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상기 적재함의 일측 가이드레일과 타측 가이드레일의 타단부 내측면에 외측에서 내측 방향으로 갈수록 상향경사지는 경사면이 각각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 1가이드부 또는 제 1, 2가이드부 모두가 상기 경사면을 통해 좌우방향으로 보다 용이하게 이동하여 상기 적재함의 일측 가이드레일과 타측 가이드레일의 내측면과 보다 더욱 용이하게 접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샤시프레임(10)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적재함(30)의 하부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차량과 적재함의 탈부착 구조는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샤시프레임(10)과 적재함(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샤시프레임(10)은 화물차 등의 차량(5) 후방에 구비되는 것으로써, 예를 들어, 차량(5)의 후방에 수평방향으로 구비되는 적재대(7)의 상부에 볼트 등의 고정부재(미도시)에 의해 안착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샤시프레임(10)의 일단부에는 양측이 하향경사진 원추형상의 일측 롤러(110) 및 타측롤러(115)로 구성된 제 1가이드부(11)가 구비되고, 타단부에는 양측이 하향경사진 원추형상의 일측 롤러(130) 및 타측 롤러(135)로 구성된 제 2가이드부(13)가 구비된다.
상기 제 1, 2가이드부(11, 13)의 일측 롤러(110, 130)와 타측 롤러(115, 135)는 예를 들어, 상기 샤시프레임(10)의 일단부와 타단부에 일정간격으로 구비되는 일측 수직축(111, 131) 및 타측 수직축(117, 137)과; 상기 일측 수직축(111, 131) 및 타측 수직축(117, 137)의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되는 일측 롤러부재(113, 133) 및 타측 롤러부재(119, 139);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1, 2가이드부(11, 13) 사이에는 길이방향으로 유도판(15)이 형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적재함(30)은 상기 샤시프레임(10)의 상부에 분리가능하게 안착되는 것으로써,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타단부의 저면에 일단부로 갈수록 상향경사진 경사면(311)이 형성되는 일측 가이드레일(310)과; 타단부의 저면에 일단부로 갈수록 상향경사진 경사면(331)이 형성되고, 상기 샤시프레임(10)의 제 1, 2가이드부(11, 13)의 일측 롤러(110, 130) 및 타측 롤러(115, 135)의 일측 롤러부재(113, 133)와 타측 롤러부재(119, 139)의 상단의 폭(W1)보다는 크고 하단의 폭(W2)보다는 작게형성(도 6 참조.)되는 가이드공간(333)이 형성되도록 상기 일측 가이드레일(310)의 타측에 이격되어 형성되는 타측 가이드레일(330)과; 상기 일측 가이드레일(310)과 타측 가이드레일(330)의 양측벽의 전후에 높이조절이 가능한 공지된 아웃트리거(350)가 형성된다.
도 4 및 도 5는 샤시프레임(10)이 적재함(30) 방향으로 이동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4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차량(5)의 상기 샤시프레임(10)이 상기 적재함(30)방향으로 이동될 시 상기 샤시프레임(10)은 상기 적재함(30)의 하부 타단부에서 일단부방향으로 이동된다.
여기서, 상기 아웃트리거(350)의 높이가 낮더라도 상기 적재함(30)의 일측 가이드레일(310)과 타측 가이드레일(330)의 타단부 저면에 일단부로 갈수록 상향경사진 상기 경사면(311, 331)이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경사면(311, 331)을 통해 상기 샤시프레임(10)이 상기 적재함(30) 하부 타단부에서 일단부 방향으로 보다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도 6은 도 5의 A - A선에서 바라본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한편,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샤시프레임(10)의 제 1가이드부(11)는 상기 샤시프레임(10)의 일단부 상하부면에 좌우방향으로 연장형성된 가이드슬릿(150)내에 상하이동가능하게 구비되거나, 특히 상기 샤시프레임의 제 1, 2가이드부(11, 13) 모두는 상기 샤시프레임(10)의 일단부와 타단부 상하부면에 좌우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상기 가이드슬릿(150)내에 상하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이 좋다.
여기서, 상기 제 1가이드부(11)의 일측 수직축(111) 및 타측 수직축(117)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샤시프레임(10)의 일단부 내부에 수평방향으로 구비된 가이드바(101) 양측에 상하이동가능하게 수직으로 구비된 상태에서 외주연에 구비된 탄성부재(17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가이드슬릿(150)내에서 상하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가이드부(13)의 일측 수직축(131) 및 타측 수직축(137) 역시 상기 샤시프레임(10)의 타단부 내부에 수평방향으로 구비된 가이드바(101) 양측에 상하이동가능하게 수직으로 구비된 상태에서 외주연에 구비된 상기 탄성부재(170) 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가이드슬릿(150)내에서 상하이동될 수 있다.
상기 샤시프레임(10)의 제 1가이드부(11)가 상기 샤시프레임(10)의 일단부 상하부면에 좌우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상기 가이드슬릿(150)내에 상하이동가능하게 구비되거나, 특히 상기 샤시프레임(10)의 제 1, 2가이드부(11, 13) 모두가 상기 샤시프레임(10)의 일단부와 타단부 상하부면에 좌우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상기 가이드슬릿(150)내에 상하이동가능하게 구비되기 때문에 상기 샤시프레임(10)으 제 1가이드부(11) 또는 특히 제 1, 2가이드부(11, 13) 모두가 상기 적재함(30)의 높이(도 6의 h)에 맞게 상하이동하여 상기 적재함(30)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음은 물론 이로 인해 상기 샤시프레임(10)의 상기 적재함(30)의 하부 타단부에서 일단부 방향으로 보다 원활히 이동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도 7은 유도판(15)이 적재함(30)의 일측 가이드레일(310)과 타측 가이드레일(330)을 유도하고 있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8은 유도판(15)이 적재함(30)의 일측 가이드레일(310)과 타측 가이드레일(330)을 유도하고 있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다음으로, 차량(5)의 상기 샤시프레임(10)이 상기 적재함(30)의 하부 중심부를 지나 일단부로 이동될 시 상기 샤시프레임(10)의 유도판(15) 사이에는 도 7 및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적재함(30)의 일측 가이드레일(310)과 타측 가이드레일(330)이 수용된다.
이때, 상기 제 1가이드부(11)의 일측 롤러부재(113) 및 타측 롤러부재(119)는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일측 가이드레일(310)과 타측 가이드레일(330)의 내측면과 접하여 상기 샤시프레임(10)이 상기 적재함(30)의 하부 타단부에서 일단부 방향으로 보다 원활히 이동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도 9는 도 7의 B - B선에서 바라본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0은 샤시프레임(10)의 상부에 적재함(30)이 안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여기서, 상기 샤시프레임(10)의 제 1가이드부(11)는 상기 샤시프레임(10)의 일단부 상하부면에 좌우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상기 가이드슬릿(150)내에 좌우이동가능하게 구비되거나, 특히 상기 샤시프레임(10)의 제 1, 2가이드부(11, 13) 모두는 상기 샤시프레임(10)의 일단부와 타단부 상하부면에 좌우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상기 가이드슬릿(150)내에 좌우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이 좋다.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1가이드부(11)는 상기 샤시프레임(10)의 일단부 내부 양측에 각각 수평방향으로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바(101)의 양단부와 연결되는 탄성부재(19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가이드바(101)가 좌우방향으로 이동될 시 상기 샤시프레임(10)의 일단부 상하부면에 좌우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상기 가이드슬릿(150)을 따라 좌우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가이드부(13) 역시 상기 샤시프레임(10)의 타단부 내부 양측 에 각각 수평방향으로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바(101)의 양단부와 연결되는 상기 탄성부재(19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가이드바(101)가 좌우방향으로 이동될 시 상기 샤시프레임(10)의 타단부 상하부면에 좌우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상기 가이드슬릿(150)을 따라 좌우이동될 수 있다.
상기 샤시프레임(10)의 제 1가이드부(11)가 상기 샤시프레임(10)의 일단부 상하부면에 좌우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상기 가이드슬릿(150)내에 좌우이동가능하게 구비되거나, 특히 상기 샤시프레임(10)의 제 1, 2가이드부(11, 13) 모두가 상기 샤시프레임(10)의 일단부와 타단부 상하부면에 좌우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상기 가이드슬릿(150)내에 좌우이동가능하게 구비되기 때문에 상기 샤시프레임(10)의 유도판(15) 사이에 위치하게 되는 상기 적재함(30)의 일측 가이드레일(310)과 타측 가이드레일(330)이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유도판(15)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치우치더라도상기 제 1가이드부(11) 또는 상기 제 1, 2가이드부(11, 13) 모두가 좌우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일측 가이드레일(310)과 타측 가이드레일(330)의 내측면과 보다 용이하게 접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샤시프레임(10)의 유도판(15) 사이에 위치하게 되는 상기 적재함(30)의 일측 가이드레일(310)과 타측 가이드레일(330)이 상기 유도판(15)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치우치더라도 상기 샤시프레임(10)이 상기 적재함(30)의 하부 타단부에서 일단부 방향으로 보다 원활히 이동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한편,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적재함(30)의 일측 가이드레일(310)과 타측 가이드레일(330)의 타단부 내측면에는 외측에서 내측방향으로 갈수록 상향경 사지는 경사면(351)이 각각 형성되는 것이 더더욱 좋다.
상기 적재함(30)의 일측 가이드레일(310)과 타측 가이드레일(330)의 타단부 내측면에 외측에서 내측 방향으로 갈수록 상향경사지는 상기 경사면(351)이 각각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 1가이드부(11) 또는 제 1, 2가이드부(11, 13) 모두가 상기 경사면(351)을 통해 좌우방향으로 보다 용이하게 이동하여 상기 적재함(30)의 일측 가이드레일(310)과 타측 가이드레일(330)의 내측면과 보다 더욱 용이하게 접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샤시프레임(10) 양단부에 일측 롤러(110, 130) 및 타측 롤러(115, 135)로 구성된 제 1, 2가이드부(11, 13)가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제 1, 2가이드부(11, 13)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유도판(15)이 형성되고, 적재함(30)의 하부에 일측 가이드레일(310)과 타측 가이드레일(330)이 형성되기 때문에 샤시프레임(10)이 상기 적재함(30) 하부 타단부에서 일단부방향으로 보다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게 되어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샤시프레임(10) 상부에 상기 적재함(30)을 보다 용이하게 안착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샤시프레임(10) 상부에 안착시킨 상기 적재함(30) 또한 샤시프레임(10) 타단부에서 일단부방향으로 보다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기 때문에 샤시프레임(10)에서 상기 적재함(30) 자체를 보다 간편하게 분리하여 보관장소의 지면에 안착시킬 수 있게 되어 작업자의 작업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적재함(30)의 아웃트리거(350)의 높이를 종래에 비해 낮춤으로써, 상기 적재함(30)이 보관장소에서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적재함(30)의 일측 가이드레 일(310)과 타측 가이드레일(330)의 타단부 저면에 일단부로 갈수록 상향경사진 경사면(311, 331)이 각각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아웃트리거(350)의 높이가 낮더라도 상기 경사면(311, 331)을 통해 샤시프레임(10)이 상기 적재함(30) 하부 타단부에서 일단부 방향으로 보다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샤시프레임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적재함의 하부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 및 도 5는 샤시프레임이 적재함 방향으로 이동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A - A선에서 바라본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7은 유도판이 적재함의 일측 가이드레일과 타측 가이드레일을 유도하고 있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8은 유도판이 적재함의 일측 가이드레일과 타측 가이드레일을 유도하고 있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9는 도 7의 B - B선에서 바라본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0은 샤시프레임의 상부에 적재함이 안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차량, 7; 적재대,
10; 샤시프레임, 11; 제 1가이드부,
110, 130; 일측 롤러, 111, 131; 일측 수직축,
113, 133; 일측 롤러부재, 115, 135; 타측 롤러,
117, 137; 타측 수직축, 119, 139; 타측 롤러부재,
13; 제 2가이드부, 150; 가이드슬릿,
170, 190; 탄성부재, 15; 유도판,
30; 적재함, 310; 일측 가이드레일,
311, 331, 351; 경사면, 330; 타측 가이드레일,
333; 가이드공간, 350; 아웃트리거.

Claims (4)

  1. 일단부에 양측이 하향경사진 일측 롤러 및 타측 롤러로 구성된 제 1가이드부가 구비되고, 타단부에 양측이 하향경사진 일측 롤러 및 타측롤러로 구성된 제 2가이드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 1, 2가이드부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유도판이 형성되는 샤시프레임과;
    타단부의 저면에 일단부로 갈수록 상향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되는 일측 가이드레일과, 타단부의 저면에 일단부로 갈수록 상향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샤시프레임의 제 1, 2가이드부의 일측 롤러 및 타측 롤러의 상단의 폭보다는 크고 하단의 폭보다는 작게 형성되는 가이드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일측 가이드레일의 타측에 이격되어 형성되는 타측 가이드레일과, 상기 일측 가이드레일과 타측 가이드레일의 양측벽의 전후에 아웃트리거가 형성되는 적재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과 적재함의 탈부착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샤시프레임의 제 1가이드부는 상기 샤시프레임의 일단부 상하부면에 좌우방향으로 연장형성된 가이드슬릿내에 상하이동가능하게 구비되거나, 상기 샤시프레임의 제 1, 2가이드부 모두는 상기 샤시프레임의 일단부와 타단부 상하부면에 좌우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상기 가이드슬릿내에 상하이동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제 1가이드부는 상기 샤시프레임의 일단부 내부에 수평방향으로 구비된 가이드바 양측에 상하이동가능하게 수직으로 구비된 상태에서 외주연에 구비된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가이드슬릿내에서 상하이동되거나, 상기 제 1, 2가이드부 모두는 상기 샤시프레임의 일단부와 타단부 내부에 수평방향으로 구비된 상기 가이드바 양측에 상하이동가능하게 수직으로 구비된 상태에서 외주연에 구비된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가이드슬릿내에서 상하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과 적재함의 탈부착 구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샤시프레임의 제 1가이드부는 상기 샤시프레임의 일단부 상하부면에 좌우방향으로 연장형성된 가이드슬릿내에 좌우이동가능하게 구비되거나, 상기 샤시프레임의 제 1, 2가이드부 모두는 상기 샤시프레임의 일단부와 타단부 상하부면에 좌우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상기 가이드슬릿내에 좌우이동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제 1가이드부는 상기 샤시프레임의 일단부 내부 양측에 각각 수평방향으로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바의 양단부와 연결되는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가이드바가 좌우방향으로 이동될 시 상기 샤시프레임의 일단부 상하부면에 좌우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상기 가이드슬릿을 따라 좌우이동되거나, 상기 제 1, 2가이드부는 상기 샤시프레임의 일단부와 타단부 내부 양측에 각각 수평방향으로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바의 양단부와 연결되는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가이드바 가 좌우방향으로 이동될 시 상기 샤시프레임의 일단부와 타단부 상하부면에 좌우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상기 가이드슬릿을 따라 좌우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과 적재함의 탈부착 구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함의 일측 가이드레일과 타측 가이드레일의 타단부 내측면에는 외측에서 내측방향으로 갈수록 상향경사지는 경사면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과 적재함의 탈부착 구조.
KR1020080130197A 2008-12-19 2008-12-19 차량과 적재함의 탈부착 구조 KR1010037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0197A KR101003721B1 (ko) 2008-12-19 2008-12-19 차량과 적재함의 탈부착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0197A KR101003721B1 (ko) 2008-12-19 2008-12-19 차량과 적재함의 탈부착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1466A KR20100071466A (ko) 2010-06-29
KR101003721B1 true KR101003721B1 (ko) 2010-12-24

Family

ID=42368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0197A KR101003721B1 (ko) 2008-12-19 2008-12-19 차량과 적재함의 탈부착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372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5437B1 (ko) 2011-11-11 2013-06-17 임대우 차량과 적재함의 탈부착 장착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1629B1 (ko) * 2014-11-27 2015-05-21 알엔씨클린 주식회사 청소장치의 탑재구조가 향상된 도로 청소장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5927Y1 (ko) 2005-03-21 2005-06-03 염승식 대형 암롤차량용 2단 슬라이딩 장치
KR100940889B1 (ko) 2009-06-05 2010-02-09 지이티 주식회사 스토리지 컨테이너의 로딩과 언로딩 및 운송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5927Y1 (ko) 2005-03-21 2005-06-03 염승식 대형 암롤차량용 2단 슬라이딩 장치
KR100940889B1 (ko) 2009-06-05 2010-02-09 지이티 주식회사 스토리지 컨테이너의 로딩과 언로딩 및 운송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5437B1 (ko) 2011-11-11 2013-06-17 임대우 차량과 적재함의 탈부착 장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1466A (ko) 2010-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17790B1 (ko) 물품 반송차
JP3982562B1 (ja) スタッカクレーン
EP2957527B1 (en) Transport facility and automated warehouse
US20140110554A1 (en) Seat sliding device
JP2011515259A (ja) カーゴ取扱装置
KR101003721B1 (ko) 차량과 적재함의 탈부착 구조
US20100229755A1 (en) Container support for freight wagon
KR101035476B1 (ko) 적재함 또는 적재면을 구비한 차량
KR101422672B1 (ko) 화물차용 높이조절이 가능한 선반장치
KR101275437B1 (ko) 차량과 적재함의 탈부착 장착
KR101982860B1 (ko) 사이드 가드 구조
JP2013123965A (ja) 軌条走行機械の転倒防止装置
CN104443060A (zh) 车辆结构
KR20180013229A (ko) 전동작업차
KR20210081130A (ko) 충격완화 기능을 갖는 엘리베이터 가이드 롤러
CN116653574A (zh) 一种电池包及电动车辆
JP5673956B2 (ja) 可動荷台付き棚
KR101199983B1 (ko) 바로포크 기능을 갖는 공기압축기
JP2013103712A (ja) 線材コイル等積載用可動ラック装置、及びトラック又はトレーラー
KR20170120896A (ko) 레일형 이동 적재장치
KR101061185B1 (ko) 철도차량의 컨트롤 데스크 조립용 이송장치
JP2008094285A (ja) 車両搭載用の荷物の搬送機器および当該搬送機器を搭載した介護予防支援車両
KR200463387Y1 (ko) 차량용 슬라이딩 적재장치
JP2014148310A (ja) 貨物用ラック
KR100723637B1 (ko) 적재대가 장착된 측면 리프트용 견인차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