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3549B1 - 선반으로 변형이 가능한 조립식 포장상자 - Google Patents

선반으로 변형이 가능한 조립식 포장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3549B1
KR101003549B1 KR1020100091632A KR20100091632A KR101003549B1 KR 101003549 B1 KR101003549 B1 KR 101003549B1 KR 1020100091632 A KR1020100091632 A KR 1020100091632A KR 20100091632 A KR20100091632 A KR 20100091632A KR 101003549 B1 KR101003549 B1 KR 1010035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inner box
outer box
shelf
prefabric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16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진우
Original Assignee
노진우
피엠지인터내셔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진우, 피엠지인터내셔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노진우
Priority to KR10201000916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35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35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3549B1/ko
Priority to US13/233,368 priority patent/US20120067771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64Lids
    • B65D5/68Telescope flanged li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3/00Bottle cupboards; Bottle r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52External stands or display elements for contents
    • B65D5/5206External stands for supporting the container in display position, e.g. easels, covers forming a support for the containers in the display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30/00Furniture jointing; Furniture with such jointing
    • A47B2230/0074Mortise and tenon joints or the like including some general male and female connections
    • A47B2230/0092Furniture assembled by mutually slotted j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반으로 변형이 가능한 조립식 포장상자에 관한 것으로, 마주하는 2개의 옆면이 개방된 겉상자 및 마주하는 2개의 옆면이 개방되어 있으며 상기 겉상자에 삽입되어 닫힌 직육면체를 이루는 속상자로 이루어지며, 상기 겉상자 및 속상자는 서로 분리된 후 교차 결합하여 X자 선반을 구성하도록 옆면 일측에 각각 2개의 절개선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선반으로 변형이 가능한 조립식 포장상자{ASSEMBLING PACKAGE BOX CAPABLE OF BEING TRANSFORMED INTO RACK}
본 발명은 선반으로 변형이 가능한 조립식 포장상자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와인과 같이 눕혀서 보관해야 하는 물품을 눕혀 보관할 수 있는 선반으로의 조립이 가능한 포장상자에 관한 것이다.
코르크 마개는 유연하고 신축성이 있어 병 목에 쉽게 삽입되고 일단 들어가면 다시 팽창하기 때문에 와인 병마개로 자주 이용된다. 특히 코르크 마개는 다량의 공기가 들어와 와인이 산화되는 것을 막으면서도 코르크 조직 사이로 미세한 양의 산소가 오랜 시간을 두고 서서히 유입되어 와인을 천천히 숙성시킬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와인 병마개로 선호된다.
그런데 코르크 마개가 건조해지면 수축하여 틈이 벌어지면서 바깥 공기를 빠르게 흡수해 와인이 산화되거나 시어지기 때문에 건조해지지 않도록 코르크 마개를 한 와인병은 눕혀 보관해야 한다. 따라서 와인판매점에서는 와인을 눕혀 보관할 수 있는 선반(rack)에 와인을 눕혀 놓고 판매하며, 요즈음 와인이 인기를 끌면서 가정에서도 와인을 눕혀서 보관할 수 있는 가정용 선반이 많이 보급되고 있다.
하지만 일반 가정에서 이러한 선반을 모두 구비할 수 없는 상황에서 둥근 와인병을 눕혀 보관하는 것은 쉽지 않다. 물론 상자에 넣은 상태로 눕혀놓을 수 있지만 미관이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여러 병을 쌓아 보관하기 어렵다.
이에 본 발명자는 와인 포장상자가 와인을 눕혀 보관할 수 있는 선반으로 변형이 가능한 새로운 형태의 조립식 포장상자를 개발하기에 이른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물품을 포장하는 포장상자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선반으로 변형이 가능한 조립식 포장상자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겉상자와 속상자로 이루어졌으며, 서로 분리된 후 교차 결합하여 X자 선반으로 변형이 가능한 조립식 포장상자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하나의 겉상자와 겉상자에 나란히 삽입되는 두 개의 속상자로 이루어져 두 개의 물품을 수납할 수 있으며, 서로 분리된 후 교차 결합하여 더욱 안정적인 X자 선반으로 변형이 가능한 조립식 포장상자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물품이 수납되는 속상자의 하부에 수납 물품 바닥면에 대응하는 구멍이 형성된 하부 고정판을 구비함으로써 물품이 속상자에 안정적으로 수납될 수 있는 선반으로 변형이 가능한 조립식 포장상자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물품이 수납되는 속상자 상부에 물품의 상부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물품 상부면에 대응하는 구멍이 형성된 상부 고정판을 구비함으로써 물품이 속상자에 안정적으로 수납될 수 있는 선반으로 변형이 가능한 조립식 포장상자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속상자 내부에 위치하는 상부 고정판과 하부 고정판이 제거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어 선반으로 변형시 선반 기능에 제한을 주지 않는 선반으로 변형이 가능한 조립식 포장상자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부 고정판과 하부 고정판이 속상자 내부에 형성된 가이드 홈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속상자에 위치 또는 분리될 수 있는 선반으로 변형이 가능한 조립식 포장상자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외부로 노출되는 속상자 옆면에 손잡이를 형성하여 겉상자와 속상자의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선반으로 변형이 가능한 조립식 포장상자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선반 변형시 서로 마주하는 제1 속상자 단면 및 제2 속상자 단면에 서로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재가 구비되어 안정적으로 선반을 형성할 수 있는 선반으로 변형이 가능한 조립식 포장상자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의 목적들은 하기 설명되는 본 발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반으로 변형이 가능한 조립식 포장상자의 일실시예는 마주하는 2개의 옆면이 개방된 겉상자(10) 및 마주하는 2개의 옆면이 개방되어 있으며 상기 겉상자에 삽입되어 닫힌 직육면체를 이루는 속상자(20)로 이루어지며, 상기 겉상자 및 속상자는 서로 분리된 후 교차 결합하여 X자 선반을 구성하도록 옆면 일측에 각각 2개의 절개선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속상자의 절개선 길이(A) 및 겉상자의 절개선 길이(B)의 합은 상기 속상자의 옆면 너비(l2) 이상 상기 겉상자의 옆면 너비(l1) 이하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겉상자의 절개선 길이(B)가 상기 속상자의 절개선 길이(A) 보다 긴 것이 보다 안정적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반으로 변형이 가능한 조립식 포장상자의 다른 실시예는 마주하는 2개의 옆면이 개방된 겉상자(10), 마주하는 2개의 옆면이 개방되어 있으며 상기 겉상자의 일측에 삽입되는 제1 속상자(20), 및 마주하는 2개의 옆면이 개방되어 있으며, 상기 겉상자의 타측에 삽입되는 제2 속상자(30)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2 속상자는 겉상자에 나란히 삽입되어 닫힌 직육면체를 이루고 분리된 후 상기 겉상자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교차 결합하여 X자 선반을 구성하도록 상기 겉상자의 옆면 양측, 상기 제1, 2 속상자의 옆면 일측에 각각 2개의 절개선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속상자 절개선 길이 및 제2 속상자 절개선 길이의 합이 상기 겉상자 옆면 너비에서 겉상자의 옆면 양측에 형성된 절개선 길이의 합을 뺀 나머지 길이와 동일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겉상자의 절개선 길이(B)가 상기 속상자의 절개선 길이(A) 보다 긴 것이 보다 안정적이다.
본 발명에 따른 포장상자의 한쪽 면에 나란히 형성된 2개의 절개선은 각각의 옆면 중심으로부터 동일한 거리만큼 떨어져 있고, 겉상자에 형성되는 2개의 절개선은 서로 상기 속상자의 두 옆면 사이의 폭(d1)에 대응하는 거리만큼 떨어져 있고, 상기 속상자에 형성되는 2개의 절개선은 서로 상기 겉상자의 두 옆면 사이의 폭(d2)에 대응하는 거리만큼 떨어져 있도록 형성하고 상기 겉상자에 형성되는 절개선의 두께는 상기 속상자 옆면의 두께에 대응하며, 상기 속상자에 형성되는 절개선의 두께는 상기 겉상자 옆면의 두께에 대응하도록 형성하여 용이하게 X자 선반으로 변형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겉상자 및 속상자에는 상기 속상자를 겉상자 내부 정해진 위치에 삽입하기 위한 보조부재가 더 포함될 수 있으며, 보조부재로는 자석을 이용하거나 돌기와 홈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속상자의 하부에는 속상자에 수납되는 물품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수납 물품 바닥면에 대응하는 구멍이 형성된 하부 고정판(26)을 구비하고, 상부에는 상기 수납 물품의 상부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물품 상부면에 대응하는 구멍이 형성된 상부 고정판(28)을 구비하여 속상자에 수납되는 물품을 안정적으로 수납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속상자 내부에 가이드홈을 형성하여 상기 상하부 고정판을 속상자로부터 분리 가능하게하여 선반으로 변형시 이를 제거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속상자가 겉상자에 삽입되었을 때 외부로 노출되는 속상자 옆면에 손잡이를 형성하여 속상자를 겉상자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른 실시예에서는 선반 조립시 서로 마주하는 제1 속상자 단면(S1)과 제2 속상자 단면(S2)에 자석이나 서로 결합되는 돌기와 홈과 같은 결합부재를 구비하여 서로 용이하게 결합되고 그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겉상자와 속상자로 이루어져 겉상자에 속상자가 삽입되었을 때는 물품이 속상자에 안정적으로 수납될 수 있고, 겉상자와 속상자가 분리된 후 교차 결합하면 와인 등을 눕혀서 보관할 수 있는 선반으로 기능할 수 있는 선반으로 변형이 가능한 조립식 포장상자를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내용을 하기에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포장상자가 조립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포장상자의 겉상자에서 속상자가 분리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포장상자의 겉상자에서 속상자가 완전히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포장상자가 선반으로 변형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포장상자의 속상자에 분리가능하게 조립되는 상하부 고정판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포장상자의 보조부재의 한 실시예인 돌기와 홈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포장상자의 겉상자에 두 개의 속상자가 삽입되는 것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포장상자가 선반으로 변형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선반으로 변형이 가능한 조립식 포장상자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예시되는 실시예 2가지는 와인을 수납하고 와인을 디스플레이하기에 적합한 수납장으로의 변형이 가능한 조립식 포장상자이나 본 발명의 범위가 와인을 포장하는 포장상자 및 와인을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선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도1 내지 도8을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 2가지를 예를 들어 본 발명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반으로 변형이 가능한 조립식 포장상자의 일실시예(제1 실시예)는 하나의 겉상자(10)와 하나의 속상자(20)로 이루어진다.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겉상자와 속상자는 6면체 상자에서 마주하는 2개의 옆면이 개방된 띠 형태로서 속상자를 겉상자에 완전히 삽입하여 닫힌 직육면체 포장상자를 구성한다(도1 참조).
포장상자에 수납되는 물품은 속상자 내부에 위치하게 되며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속상자의 한쪽 옆면을 밀어 속상자를 겉상자와 분리함으로써 수납됨 물품을 꺼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포장상자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전히 분리된 후 겉상자와 속상자를 교차 결합하여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은 X자 선반으로 변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포장상자의 겉상자(10)와 속상자(20)의 옆면 일측에는 각각 2개의 절개선이 형성되어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겉상자(10)의 한쪽 옆면 일측에 2개의 절개선(11, 12), 다른 쪽 옆면 일측에 2개의 절개선(13, 14)이 형성되어 있고, 속상자(20)의 한쪽 옆면 일측에도 2개의 절개선(21, 22), 다른 쪽 옆면 일측에 2개의 절개선(23, 24)이 형성되어 있다.
위와 같이 절개선이 형성된 겉상자와 속상자는 교차 결합하여 X자 선반을 구성하게 되며, 구체적으로는 절개선 11과 21, 12와 23, 13과 22, 14와 24가 서로 교차하면서 X자 선반이 구성된다.
이와 같이 결합되기 위해 겉상자에 나란히 형성되는 2개의 절개선(11과 12, 13과 14)은 서로 속상자의 두 옆면 사이의 폭(d1)에 대응하는 거리만큼 떨어져 있고, 상기 속상자에 나란히 형성되는 2개의 절개선(21과 22, 23과 24)은 서로 상기 겉상자의 두 옆면 사이의 폭(d2)에 대응하는 거리만큼 떨어져 있어야 한다.
또한 상기 겉상자에 형성되는 절개선(11~14)의 두께는 상기 속상자 옆면의 두께에 대응하며, 상기 속상자에 형성되는 절개선(21~24)의 두께는 상기 겉상자 옆면의 두께에 대응하게 형성한다. 여기서 대응하는 두께라는 것은 옆면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옆면의 두께보다 조금 넓어 옆면이 절개선 내로 삽입될 수 있되 쉽게 빠지지 않는 범위의 두께를 의미한다.
또한 상기 속상자의 절개선 길이(A) 및 겉상자의 절개선 길이(B)가 너무 짧으면 겉상자(10)와 속상자(20)가 안정적으로 결합되지 않고 너무 길면 서로 교차한 후 돌출되는 부분이 많이 안정적으로나 미관적으로 좋지 않으므로 속상자의 절개선 길이(A) 및 겉상자의 절개선 길이(B)의 합이 속상자의 옆면 너비(l2) 이상 상기 겉상자의 옆면 너비(l1)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겉상자의 크기가 속상자 보다 크기 때문에 겉상자의 절개선 길이(B)를 상기 속상자의 절개선 길이(A) 보다 길게 형성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겉상자와 속상자의 옆면에 나란히 형성된 2개의 절개선을 각각의 옆면 중심으로부터 동일한 거리만큼 떨어져 있게 형성할 경우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반으로 변형된 조립식 포장상자에는 크기가 유사한 5개의 공간이 형성되고, 각각의 공간에 와인을 눕혀 수납할 수 있다. 또한 결합된 X자 선반을 서랍 내에 눕혀 위치시킬 경우 속옷, 넥타이, 액세서리 등을 정리할 수 있는 정리함으로써 활용할 수도 있다.
위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포장상자는 선반으로 변형된 후 여러 가지 물품을 위치시킬 수 있고 속상자를 겉상자 내부에 위치시켜 포장상자로 사용할 때에도 여러 가지 물품을 수납할 수 있으나 와인병과 같이 깨질 염려가 있는 물품이 수납될 경우 물품이 수납되는 속상자의 마주하는 두 옆면이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속상자를 겉상자와 분리하는 과정에서 물품이 한쪽으로 넘어져 손상될 염려가 있다.
따라서 속상자의 하부에 속상자에 수납되는 물품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수납 물품 바닥면에 대응하는 구멍이 형성된 하부 고정판(26) 또는 속상자 상부에 수납 물품의 상부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물품 상부면에 대응하는 구멍이 형성된 상부 고정판(28)을 구비하여 속상자에 수납되는 물품을 속상자 내부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이러한 상하부 고정판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상자를 선반으로 변형하였을 때 선반 내부 공간 내에 위치하기 때문에 선반으로서의 기능을 저해시킬 수 있으므로 속상자와 분리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속상자 내부에 가이드 홈(27, 29)을 형성하여 상기 하부 고정판(26) 및 상부 고정판(28)이 용이하게 속상자 내부에 위치 또는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포장상자의 겉상자(10)는 서로 마주하는 옆면이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한쪽 옆면으로 속상자(20)를 삽입하였을 때 반대쪽 옆면으로 다시 속상자가 밀려나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속상자를 겉상자 내부 정해진 위치에 삽입하기 위한 보조부재가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보조부재로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겉상자(10) 안쪽 바닥에 돌기(15)를 형성하고 속상자(20) 바깥쪽 바닥에 긴 홈(25)을 형성하여 긴 홈의 끝을 넘어 속상자가 안쪽으로 밀려들어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으며, 겉상자 안쪽 바닥에 자석을 위치시키고 이에 대응하는 속상자 바깥쪽 바닥에 금속이나 반대 극성의 자석을 위치시키는 등의 다른 구성으로도 상기 속상자가 겉상자 내부 정해진 위치에 삽입되고 쉽게 겉상자에서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렇게 겉상자 내부에 위치된 속상자는 한쪽 옆면을 밀어 겉상자로부터 빼낼 수도 있고 속상자 한쪽 옆면에 손잡이(H)를 형성한 후 이를 잡고 속상자를 빼낼 수도 있다. 다만 손잡이를 형성할 경우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옆면의 중앙에 형성할 경우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제2 실시예)로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겉상자에 두 개의 속상자가 삽입되는 조립식 포장상자를 구성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포장상자는 마주하는 2개의 옆면이 개방된 겉상자(10), 마주하는 2개의 옆면이 개방되어 있으며 상기 겉상자의 일측에 삽입되는 제1 속상자(20) 및 마주하는 2개의 옆면이 개방되어 있으며, 상기 겉상자의 타측에 삽입되는 제2 속상자(3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2 속상자는 겉상자에 나란히 삽입되어 닫힌 직육면체 포장상자를 이루고 분리된 후 상기 겉상자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교차 결합하여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은 X자 선반을 구성한다.
제2 실시예는 제1 실시예와 달리 하나의 겉상자에 두 개의 속상자가 삽입되므로 제1 실시예와 달리 겉상자의 크기가 속상자의 2배 정도이며, 겉상자 일측 및 타측에 제1, 2 속상자가 각각 교차 결합해야하기 때문에 제1 실시예의 겉상자와 달리 옆면 양측에 각각 2개의 절개선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1 실시예의 속상자 및 겉상자와 거의 동일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실시예에서 설명되었던 보조부재, 상하부 고정판이 제2 실시예에도 구비될 수 있으며, 특히 손잡이(H)의 경우 제2 실시예의 조립식 포장상자에는 2개의 속상자 즉, 제1, 2 속상자가 나란히 겉상자 내부에 위치되므로 각각의 속상자를 용이하게 겉상자에서 빼내기 위해 상기 속상자가 겉상자에 삽입되었을 때 외부로 노출되는 속상자 옆면에 손잡이(H)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속상자 및 겉상자에 형성된 절개선의 형태도 제1 실시예와 동일하나 상기 제1 속상자 절개선 길이(A) 및 제2 속상자 절개선 길이(A)의 합(2×A)이 상기 겉상자 옆면 너비에서 겉상자의 옆면 양측에 형성된 절개선 길이의 합(2×B)을 뺀 나머지 길이와 동일하게 형성할 경우 도8과 같이 선반으로 변형되었을 때 제1, 2 속상자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서로 마주하는 제1 속상자 단면(S1)과 제2 속상자 단면(S2)에 서로 결합할 수 있도록 자석이나 서로 결합되는 돌기와 홈 같은 결합부재가 구비되어 있다면 보다 안정적으로 선반이 구성될 수 있다.
이렇게 형성된 선반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립상자를 이용하여 형성한 선반보다 물건을 거치할 수 있는 선반의 길이가 2개가 되어 와인병과 같이 길이가 긴 물건을 거치할 때 보다 안정적이다.
본 발명은 선반으로 변형이 가능한 조립식 포장상자에 관한 것으로 비록 특정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였으나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는 상기 설명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이고,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남 없이 다양한 변경과 개량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10 : 겉상자 11, 12, 13, 14 : 절개선
15 : 돌기 20 : (제1) 속상자
21, 22, 23, 24 : 절개선 25 : 홈
26 : 하부 고정판 27, 29 : 가이드 홈
28 : 상부 고정판 30 : 제2 속상자

Claims (15)

  1. 마주하는 2개의 옆면이 개방된 겉상자(10); 및
    마주하는 2개의 옆면이 개방되어 있으며, 상기 겉상자에 삽입되어 닫힌 직육면체를 이루는 속상자(20);
    로 이루어지며, 상기 겉상자 및 속상자는 서로 분리된 후 교차 결합하여 X자 선반을 구성하도록 옆면 일측에 각각 2개의 절개선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으로 변형이 가능한 조립식 포장상자.
  2. 마주하는 2개의 옆면이 개방된 겉상자(10);
    마주하는 2개의 옆면이 개방되어 있으며, 상기 겉상자의 일측에 삽입되는 제1 속상자(20); 및
    마주하는 2개의 옆면이 개방되어 있으며, 상기 겉상자의 타측에 삽입되는 제2 속상자(30);
    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2 속상자는 겉상자에 나란히 삽입되어 닫힌 직육면체를 이루고 분리된 후 상기 겉상자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교차 결합하여 X자 선반을 구성하도록 상기 겉상자의 옆면 양측, 상기 제1, 2 속상자의 옆면 일측에 각각 2개의 절개선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으로 변형이 가능한 조립식 포장상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속상자의 절개선 길이(A) 및 겉상자의 절개선 길이(B)의 합은 상기 속상자의 옆면 너비(l2) 이상 상기 겉상자의 옆면 너비(l1)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으로 변형이 가능한 조립식 포장상자.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속상자 절개선 길이 및 제2 속상자 절개선 길이의 합이 상기 겉상자 옆면 너비에서 겉상자의 옆면 양측에 형성된 절개선 길이의 합을 뺀 나머지 길이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으로 변형이 가능한 조립식 포장상자.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겉상자의 절개선 길이(B)가 상기 속상자의 절개선 길이(A) 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으로 변형이 가능한 조립식 포장상자.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절개선은 각각의 옆면 중심으로부터 동일한 거리만큼 떨어져 있고, 겉상자에 형성되는 2개의 절개선은 서로 상기 속상자의 두 옆면 사이의 폭(d1)에 대응하는 거리만큼 떨어져 있고, 상기 속상자에 형성되는 2개의 절개선은 서로 상기 겉상자의 두 옆면 사이의 폭(d2)에 대응하는 거리만큼 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으로 변형이 가능한 조립식 포장상자.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겉상자에 형성되는 절개선의 두께는 상기 속상자 옆면의 두께에 대응하며, 상기 속상자에 형성되는 절개선의 두께는 상기 겉상자 옆면의 두께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으로 변형이 가능한 조립식 포장상자.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겉상자 및 속상자에는 상기 속상자를 겉상자 내부 정해진 위치에 삽입하기 위한 보조부재가 더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으로 변형이 가능한 조립식 포장상자.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부재는 자석이거나 돌기와 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으로 변형이 가능한 조립식 포장상자.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속상자의 하부에는 속상자에 수납되는 물품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수납 물품 바닥면에 대응하는 구멍이 형성된 하부 고정판(26)이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으로 변형이 가능한 조립식 포장상자.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속상자의 상부에는 상기 수납 물품의 상부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물품 상부면에 대응하는 구멍이 형성된 상부 고정판(28)이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으로 변형이 가능한 조립식 포장상자.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속상자의 내부에는 상기 하부 고정판 및 상부 고정판이 용이하게 위치 또는 분리되도록 가이드 홈(27, 29)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으로 변형이 가능한 조립식 포장상자.
  1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속상자가 겉상자에 삽입되었을 때 외부로 노출되는 속상자 옆면에 손잡이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으로 변형이 가능한 조립식 포장상자.
  14. 제2항에 있어서, 선반 변형시 서로 마주하는 제1 속상자 단면(S1)과 제2 속상자 단면(S2)에 서로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재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으로 변형이 가능한 조립식 포장상자.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자석이거나 서로 결합되는 돌기와 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으로 변형이 가능한 조립식 포장상자.
KR1020100091632A 2010-09-17 2010-09-17 선반으로 변형이 가능한 조립식 포장상자 KR1010035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1632A KR101003549B1 (ko) 2010-09-17 2010-09-17 선반으로 변형이 가능한 조립식 포장상자
US13/233,368 US20120067771A1 (en) 2010-09-17 2011-09-15 Assembly type packaging box capable of being transformed into rac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1632A KR101003549B1 (ko) 2010-09-17 2010-09-17 선반으로 변형이 가능한 조립식 포장상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03549B1 true KR101003549B1 (ko) 2010-12-29

Family

ID=435132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1632A KR101003549B1 (ko) 2010-09-17 2010-09-17 선반으로 변형이 가능한 조립식 포장상자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20067771A1 (ko)
KR (1) KR10100354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341295A1 (en) * 2012-06-26 2013-12-26 Isovin Systems Pty Ltd Storage rack system
EP4001145A1 (de) * 2020-11-13 2022-05-25 Blenk Verpackung & Logistik GmbH & Co. KG Gefache zur aufbewahrung und zum transport von gegenständen und verpackungsanordnung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368083A1 (en) * 2014-06-24 2015-12-24 Coup Brands IP, LLC Bottle sabering
US9668573B2 (en) * 2014-11-05 2017-06-06 Larry A. Salani Wine bottle rack-building kit, packaging, and method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1943Y1 (ko) 2002-07-19 2002-10-11 주식회사영남코러패드 가습기용 포장박스 구조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59825A (en) * 1960-11-18 1962-10-23 Monsanto Chemicals Shipping carton
US3365112A (en) * 1966-06-30 1968-01-23 Mead Corp Compartmented container formed from blanks
US3901389A (en) * 1973-04-25 1975-08-26 Jr Paul Belokin Commodity display stand
US4067492A (en) * 1976-03-01 1978-01-10 Continental Paper Co. Slotted dividers for shipping cartons
US4258847A (en) * 1979-07-19 1981-03-31 Nierman Henri J M Nondeformable container
US4546883A (en) * 1984-12-18 1985-10-15 Youngdale Ralph A Portable wine rack
US5282567A (en) * 1992-11-03 1994-02-01 The Clorox Company Transport and display carton
US5697304A (en) * 1996-07-11 1997-12-16 Noris; Buford A. Cruciform display
US6615996B1 (en) * 2002-06-17 2003-09-09 Jason A. Ivey Carrying case and rack for wine bottles
USD525091S1 (en) * 2005-04-01 2006-07-18 Mint, Inc. Wine rack
US7565974B2 (en) * 2007-08-21 2009-07-28 Adams Jr A Stanley Bottled beverage holding luggag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1943Y1 (ko) 2002-07-19 2002-10-11 주식회사영남코러패드 가습기용 포장박스 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341295A1 (en) * 2012-06-26 2013-12-26 Isovin Systems Pty Ltd Storage rack system
EP4001145A1 (de) * 2020-11-13 2022-05-25 Blenk Verpackung & Logistik GmbH & Co. KG Gefache zur aufbewahrung und zum transport von gegenständen und verpackungsanordn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067771A1 (en) 2012-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3549B1 (ko) 선반으로 변형이 가능한 조립식 포장상자
US3251622A (en) Handle structure
JP2015040050A (ja) 集合包装容器
RU120948U1 (ru) Ящик для продуктов (варианты) и штабель из таких ящиков
JP2012025434A (ja) 段ボール箱
JP5909072B2 (ja) トレー及びその収納棚
KR20150083717A (ko) 힌지부를 포함하는 접이식 포장상자
KR200455187Y1 (ko) 이탈방지형 내부케이스를 갖는 포장 박스조립체
JP6242607B2 (ja) 包装体
KR101804131B1 (ko) 완충공간이 형성된 상품포장박스
KR200449426Y1 (ko) 접이식 플라스틱 운반상자
KR200477612Y1 (ko) 변형 조립이 가능한 조립세트가 구비된 와인 랙 겸용 케이스
JP4744852B2 (ja) 収納容器及び収容物の収納方法
JP3184263U (ja) 厚紙製包装箱
KR200288118Y1 (ko) 조립방식의 적층구조 수납함
US8511494B2 (en) Four-sided container
US20080006541A1 (en) Carrier for beverage bottles
JP2011219127A (ja) 仕切材
KR200484489Y1 (ko) 속눈썹 연장용 인조속눈썹 포장 케이스
JP3179593U (ja) 包装体
KR200468606Y1 (ko) 택배용 포장상자
JP3131308U (ja) 収縮箱
JP3183029U (ja) 梱包部材
KR200347112Y1 (ko) 셀형박스를 이용한 소물품 보관장치
KR20230068919A (ko) 포장상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6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