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8919A - 포장상자 - Google Patents

포장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8919A
KR20230068919A KR1020210155223A KR20210155223A KR20230068919A KR 20230068919 A KR20230068919 A KR 20230068919A KR 1020210155223 A KR1020210155223 A KR 1020210155223A KR 20210155223 A KR20210155223 A KR 20210155223A KR 20230068919 A KR20230068919 A KR 202300689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bottom case
cover
box
pro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52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종호
조한형
Original Assignee
몸엔용바이오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몸엔용바이오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몸엔용바이오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552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68919A/ko
Publication of KR202300689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89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64Lids
    • B65D5/66Hinged lids
    • B65D5/6602Hinged lids formed by folding one or more extensions hinged to the upper edge of a tubular container body
    • B65D5/6608Hinged lids formed by folding one or more extensions hinged to the upper edge of a tubular container body the lid being held in closed position by self-locking integral fl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46Handles
    • B65D5/46008Handles formed separately from the container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64Lids
    • B65D5/66Hinged lids
    • B65D5/6626Hinged lids formed by folding extensions of a side panel of a container body formed by erecting a "cross-like" blank
    • B65D5/665Hinged lids formed by folding extensions of a side panel of a container body formed by erecting a "cross-like" blank the lid being held in closed position by self-locking integral flaps or tabs
    • B65D5/6655Local flaps or tabs provided at the lid edge opposite to the hin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 B65D81/1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using blocks of shock-absorbing material
    • B65D81/113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using blocks of shock-absorbing material of a shape specially adapted to accommodate cont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Abstract

개시되는 포장상자는, 외부케이스와, 상기 외부케이스의 내측에 구비되는 내측판을 포함하여 수용공간을 갖는 바닥케이스; 상기 수용공간에 구비되는 상품거치대; 상기 상품거치대의 각 거치공간에 배치되는 복수의 상품케이스; 및 상기 바닥케이스에 연결되어 상기 수용공간을 개방하기 위해 상기 바닥케이스에서 분리되거나, 또는 상기 수용공간을 폐쇄하기 위해 상기 바닥케이스에 결합되는 상자덮개;를 포함하며, 상기 상자덮개에 구비된 덮개판의 가장자리에 구비되는 끝단결합판과 측단결합판이 상기 외측케이스 및 내측판이 이루는 사이공간으로 결합됨으로써, 안정적인 결합 상태를 제공하여 내부에 수용되는 상품들을 안전하게 포장 및 보관할 수 있다.

Description

포장상자{PACKING BOX}
본 발명(Disclosure)은, 포장상자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복수의 상품케이스가 배치되는 상품거치대가 수용된 바닥케이스에 상자덮개가 연결되어 결합되되, 상자덮개의 가장자리에 구비되는 끝단결합판과 측단결합판이 바닥케이스의 내측면과 상품거치대의 외측면이 이루는 사이공간으로 결합됨으로써, 안정적인 결합 상태를 제공하여 내부에 수용되는 상품들을 안전하게 포장 및 보관할 수 있는 포장상자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는, 본 발명에 관한 배경기술이 제공되며, 이들이 반드시 공지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This section provides backgrou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esent disclosure which is not necessarily prior art).
일반적으로, 대다수의 상품들은 공장 등에서 적절한 포장수단으로 포장되어 출하되고 있으며, 이러한 상품들은 상품 가치를 증대시킴과 동시에 시각적 측면에서 소비자의 관심을 유발하고, 상품의 보호와 더불어 취급 및 운반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포장상자 등과 같은 적당한 형태의 포장재로 포장되고 있다.
이러한 포장상자는 사각 형상을 이루도록 전면, 후면, 좌측 면, 우측 면, 저면 등으로 구성되고, 통상적으로는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최근에는 상자에 수납되는 내용물에 따라 포장 상자의 형상이 정육면체 형상을 이루도록 구성하거나, 또는 상자본체의 상부를 개폐하기 위해 상자 본체를 덮을 수 있는 상자커버를 구비한 포장상자로 사용하고 있다.
한편, 상자커버는 직사각 형상의 바닥 판, 바닥 판으로부터 연장된 4개의 측면들, 4개의 측면들 사이에 형성되며 4개의 측면들로부터 연장된 모서리면들이 하나로 이어진 형태의 골판지로 구성될 수 있으며 여섯 곳에 접착제가 도포되어 뚜껑 형태의 커버를 완성한다.
예를 들면, 각 모서리면의 절취선을 따라 절개된 일부가 바닥 판의 단변으로부터 연장된 제 1 측면에 접착되고, 바닥 판의 장변으로부터 연장된 제 2 측면이 바닥 판과 직각을 이룬 상태에서 제 1 측면이 바닥 판 내부로 삽입되어 4개의 모서리를 갖는 뚜껑 형태의 상자 커버가 제조될 수 있다.
이때, 각 모서리면에서 제 1 측면에 접착되지 않은 부분은 제 2 측면과 이어진 연결부위로 제 1 측면 내부로 접힌 상태에서 상자 커버의 형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포장상자는 포장용의성, 기능성, 심미성 등의 측면에서 다양하게 개발 및 판매되고 있으며, 좀 더 향상된 기능을 갖는 포장상자의 개발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1.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04791호(2010.09.29.공개)
본 발명(Disclosure)은, 복수의 상품케이스가 배치되는 상품거치대가 수용된 바닥케이스에 상자덮개가 연결되어 결합되되, 상자덮개의 가장자리에 구비되는 끝단결합판과 측단결합판이 바닥케이스의 내측면과 상품거치대의 외측면이 이루는 사이공간으로 결합됨으로써, 안정적인 결합 상태를 제공하여 내부에 수용되는 상품들을 안전하게 포장 및 보관할 수 있는 포장상자의 제공을 일 목적으로 한다.
여기서는, 본 발명의 전체적인 요약(Summary)이 제공되며, 이것이 본 발명의 외연을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된다(This section provides a general summary of the disclosure and is not a comprehensive disclosure of its full scope or all of its features).
상기한 과제의 해결을 위해, 본 발명을 기술하는 여러 관점들 중 어느 일 관점(aspect)에 따른 포장상자는, 외부케이스와, 상기 외부케이스의 내측에 구비되는 내측판을 포함하여 수용공간을 갖는 바닥케이스; 상기 수용공간에 구비되는 상품거치대; 상기 상품거치대의 각 거치공간에 배치되는 복수의 상품케이스; 및 상기 바닥케이스에 연결되어 상기 수용공간을 개방하기 위해 상기 바닥케이스에서 분리되거나, 또는 상기 수용공간을 폐쇄하기 위해 상기 바닥케이스에 결합되는 상자덮개;를 포함하며, 상기 상자덮개에 구비된 덮개판의 가장자리에 구비되는 끝단결합판과 측단결합판이 상기 외측케이스 및 내측판이 이루는 사이공간으로 결합된다.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포장상자에서, 상기 상자덮개는, 상기 덮개판의 끝단부 선단에 상기 포장상자를 이동시키기 위한 손잡이가 구비될 수 있다.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포장상자에서, 상기 내측판은, 외측면에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상자덮개는, 상기 끝단결합판 및 측단결합판의 각 내측면에 상기 결합홈에 대응하는 결합돌기가 구비되며, 상기 바닥케이스에 상기 상자덮개가 결합될 경우 상기 결합돌기가 상기 결합홈에 삽입 결합될 수 있다.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포장상자에서, 상기 결합돌기는, 탄력재료로 제공될 수 있다.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포장상자에서, 상기 거치공간은, 상기 복수의 상품케이스의 인출을 위해 바닥면에 서로 다른 높이의 단이 형성될 수 있다.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포장상자에서, 상기 상품덮개는, 상기 덮개판의 측면선단이 돌출되어 걸림턱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상품케이스가 배치되는 상품거치대가 수용된 바닥케이에 상자덮개가 연결되어 결합되되, 상자덮개의 가장자리에 구비되는 끝단결합판과 측단결합판이 바닥케이스의 내측면과 상품거치대의 외측면이 이루는 사이공간으로 결합됨으로써, 안정적인 결합 상태를 제공하여 내부에 수용되는 상품들을 안전하게 포장 및 보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장상자를 예시한 도면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장상자의 개방 상태를 예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장상자의 상품거치대와 복수의 상품케이스를 예시한 도면이고,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장상자의 결합 상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포장상자를 구현한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본질적인(intrinsic) 기술적 사상은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형태에 의해 그 실시 가능 형태가 제한된다고 할 수는 없고, 본 발명의 본질적인(intrinsic) 기술적 사상에 기초하여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형태를 치환 또는 변경의 방법으로 용이하게 제안될 수 있는 범위를 포섭함을 밝힌다.
또한, 이하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선택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본질적인(intrinsic) 기술적 사상을 파악하는 데 있어서, 사전적 의미에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로 적절히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장상자를 예시한 도면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장상자의 개방 상태를 예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장상자의 상품거치대와 복수의 상품케이스를 예시한 도면이고,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장상자의 결합 상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장상자는 바닥케이스(110), 상품거치대(120), 복수의 상품케이스(130), 상자덮개(14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장상자는 다양한 재질로 제조될 수 있는데, 특히 종이재질의 경우 예를 들면, 마닐라지, 골판지, 합지, 싸바리 등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포장상자의 재질로 사용되는 모든 재질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바닥케이스(110)는 수용공간(S1)을 갖는 케이스로서,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육면체 형상의 수용공간(S1)을 가지는 함체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그 수용공간(S1)에는 상품거치대(120)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바닥케이스(110)는 외측케이스(111)와, 외측케이스(111)의 내부에 구비되는 내측판(112)을 포함하며, 외측케이스(111)와 내측판(112)의 사이 공간에 상자덮개(140)의 끝단결합판(142)과 측단결합판(143)이 삽입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외측케이스(111)와 내측판(112)의 사이 공간의 폭은 상자덮개(140)의 끝단결합판(142)의 두께 또는 측단결합판(143)의 두께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도록 설정될 수 있다.
한편, 도 3, 도 4,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판(112)의 외측면 하부에는 결합홈(113)이 형성될 수 있는데, 결합홈(113)은 외측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장공 형태로 구비될 수 있고, 상자덮개(140)에 구비된 끝단결합판(142)의 내측면과 측단결합판(143)의 내측면에 구비되는 결합돌기(145)가 결합홈(113)에 결합될 수 있다.
즉, 바닥케이스(110)에 상자덮개(140)가 결합될 경우 상자덮개(140)에 구비되는 끝단결합판(142)과 측단결합판(143)이 각각 바닥케이스(110)에 구비된 외측케이스(111)와 내측판(112)의 사이 공간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는데, 이 때, 탄력재질로 제조되는 결합돌기(145)가 내측판(112)의 외측면을 따라 이동하여 결합홈(113)에 삽입됨으로써, 바닥케이스(110)에 상자덮개(140)가 결합된 상태에서 그 포장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물론, 바닥케이스(110)에서 상자덮개(140)를 결합시킬 때보다 상대적으로 더 강한 힘으로 분리시킬 경우 탄력재질의 결합돌기(145)가 결합홈(113)에서 이탈된 후 결합돌기(145)가 내측판(112)의 외측면을 따라 외부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외측케이스(111)와 내측판(112)의 사이공간에서 외부로 분리됨으로써, 바닥케이스(110)에서 상자덮개(140)를 쉽게 분리시킬 수 있다.
상품거치대(120)는 복수의 상품케이스(130)를 배치하기 위해 바닥케이스(110)에 마련된 수용공간(S1)에 구비되는 것으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상품케이스(130)에 각각 대응하는 형상의 거치공간(S2)이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상품거치대(120)는 종이재질로 제조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지만, 필요에 따라 스티로폼, 스폰지 등 다양한 탄력재질로 제조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에서, 상품거치대(120)의 가로 크기 및 세로 크기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용공간(S1)의 가로 크기 및 세로 크기에 대응하는 크기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품거치대(120)는 복수의 상품케이스(130)가 배치되는 거치공간(S2)이 복수개 구비될 수 있는데, 거치공간(S2)은 복수의 상품케이스(130)의 인출을 위해 바닥면에 서로 다른 높이의 단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거치공간(S2)은 상단부(121)와 하단부(122)로 단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거치공간(S2)에 배치되는 상품케이스(130)의 상부 일측부(즉, 하단부(123)가 위치하는 상품케이스(130)의 상부)를 누를 경우 해당 상품케이스(130)의 해당 부분이 하향 이동하면서 반대측 부분이 상향 이동할 수 있으며, 해당 상품케이스(130)를 쉽게 인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품케이스(130)의 상부 일측부가 하향 이동하면서 상부 타측부가 상향 이동할 경우 인출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바닥케이스(110)에서 상자덮개(140)를 분리시킨 상태에서 상품을 전시할 경우에도 경사진 상태로 상품을 전시할 수 있어 상품 전시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상단부(121)와 하단부(122)는 서로 다른 길이비율로 단을 이루게 되는데, 상단부(121)가 하단부(122)보다 상대적으로 더 큰 길이를 갖도록 하여 하단부(122) 위치를 누르지 않을 경우(즉, 평상 시)에는 상품케이스(130)가 거치공간(S2)에서 수평상태로 배치 및 보관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체길이 100을 기준으로 상단부(121)의 길이는 55-80으로 설정할 수 있고, 하단부(122)의 길이는 20-45로 설정할 수 있다.
복수의 상품케이스(130)는 복수의 상품이 내부에 각각 구비되어 상품거치대(120)의 각 거치공간(S2)에 배치되는 케이스로, 개별 상품이 충진된 각종파우치, 정제약포장재 등이 내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사각형 형상으로 하여 설명하지만 원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거치공간(S2) 또한 유사한 형상으로 상품거치대(120)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품케이스(130)는 상향 개방하는 상자형태, 측면 개방하는 서랍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자덮개(140)는 바닥케이스(110)에 연결되어 수용공간(S1)을 개방하기 위해 바닥케이스(110)에서 분리되거나, 또는 수용공간(S1)을 폐쇄하기 위해 바닥케이스(110)에 결합되는 것으로, 덮개판(141)의 가장자리에 구비되는 끝단결합판(142)과 측단결합판(143)이 바닥케이스(110)에 구비되는 외측케이스(111)와 내측판(112)이 이루는 사이공간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상자덮개(140)는 덮개판(141), 끝단결합판(142), 측단결합판(143), 손잡이(144) 등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는데, 바닥케이스(110)의 밑면에 대응하는 크기와 형상을 갖는 덮개판(141)이 바닥케이스(110)의 측면 연결부에서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고, 덮개판(141)의 끝단부에서 수직 하향 절곡되어 끝단결합판(142)이 연장 구비될 수 있으며, 덮개판(141)의 양측단부에서 수직 하향 절곡되어 측단결합판(143)이 연장 구비될 수 있고, 손잡이(144)는 덮개판(141)의 끝단부 선단에 포장상자를 이동시키기 위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에서, 끝단결합판(142)과 측단결합판(143)의 연장 길이는 바닥케이스(110)의 수용공간(S1) 높이에 대응하여 설정될 수 있으며, 그 두께는 바닥케이스(110)의 내측면과 상품거치대(120)의 외측면 사이공간의 폭에 대응하여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끝단결합판(142)과 측단결합판(143)은 서로 인접하는 부분(즉, 모서리 부분)에서 기 설정된 간격(예를 들면, 5 mm, 10 mm 등)만큼 이격되도록 구비될 수 있고, 바닥케이스(110)와 상자덮개(140)가 연결되는 부분으로는 끝단결합판(142)과 측단결합판(143)의 단면이 완만한 경사로 만곡되어 곡선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바닥케이스(110)에 상자덮개(140)가 결합될 경우 그 모서리 부분에서 서로 간섭하지 않고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끝단결합판(142) 및 측단결합판(143)의 각 내측면에는 내측판(112)의 외측면에 구비되는 결합홈(113)에 대응하여 결합돌기(145)가 구비될 수 있으며, 바닥케이스(110)에 상자덮개(140)가 결합될 경우 결합돌기(145)가 결합홈(121)에 삽입 결합될 수 있다.
여기에서, 결합돌기(145)는 탄력재료로 제공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고무, 실리콘, 우레탄, 스티로폼 등의 재료를 포함할 수 있으며, 탄력재질로 제조되는 결합돌기(145)는 바닥케이스(110)에 상자덮개(140)가 결합될 경우 외측케이스(111)와 내측판(112)의 사이공간으로 안내되어 내측판(112)의 외측면을 따라 이동하여 결합홈(113)에 삽입됨으로써, 바닥케이스(110)에 상자덮개(140)가 결합된 상태에서 그 포장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탄력재질의 결합돌기(145)는 바닥케이스(110)에서 상자덮개(140)를 결합시킬 때보다 상대적으로 더 강한 힘으로 분리시킬 경우 결합홈(113)에서 이탈된 후 결합돌기(145)가 내측판(112)의 외측면을 따라 외부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외측케이스(111)와 내측판(112)의 사이공간에서 외부로 분리됨으로써, 바닥케이스(110)에서 상자덮개(140)를 쉽게 분리시킬 수 있다.
한편, 상품덮개(140)는 덮개판(141)의 측면선단이 측방 돌출되어 걸림턱(146)이 형성될 수 있는데, 덮개판(141)의 끝단부와 양측단부에서 각각 바로 수직 하향 절곡되지 않고,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걸림턱(146)이 형성된 후, 각각 수직 하향 절곡될 수 있다.
이러한 걸림턱(146)은 바닥케이스(110)의 상부 외측면 선단까지 연장되며, 덮개판(141)의 하부면에 접하여 반대측(즉, 180도)으로 절곡되어 바닥케이스(110)의 두께만큼 연장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바닥케이스(110)에 상자덮개(140)가 결합될 경우 수직 하향 절곡된 끝단결합판(142)과 측단결합판(143)이 바닥케이스(110)의 내측면과 상품거치대(120)의 외측면 사이공간에 완전히 삽입되더라도, 그 걸림턱(146)이 바닥케이스(110)의 상부면에 걸려 더 이상 상자덮개(140)가 삽입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장상자의 외형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며, 내부에 수용되는 복수의 상품케이스(130)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품 손상도 또한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에서는 복수의 상품케이스가 배치되는 상품거치대가 수용된 바닥케이스에 상자덮개가 연결되어 결합되되, 상자덮개의 가장자리에 구비되는 끝단결합판과 측단결합판이 바닥케이스의 내측면과 상품거치대의 외측면이 이루는 사이공간으로 결합됨으로써, 안정적인 결합 상태를 제공하여 내부에 수용되는 상품들을 안전하게 포장 및 보관할 수 있다.

Claims (6)

  1. 외부케이스와, 상기 외부케이스의 내측에 구비되는 내측판을 포함하여 수용공간을 갖는 바닥케이스;
    상기 수용공간에 구비되는 상품거치대;
    상기 상품거치대의 각 거치공간에 배치되는 복수의 상품케이스; 및
    상기 바닥케이스에 연결되어 상기 수용공간을 개방하기 위해 상기 바닥케이스에서 분리되거나, 또는 상기 수용공간을 폐쇄하기 위해 상기 바닥케이스에 결합되는 상자덮개;를 포함하며,
    상기 상자덮개에 구비된 덮개판의 가장자리에 구비되는 끝단결합판과 측단결합판이 상기 외측케이스 및 내측판이 이루는 사이공간으로 결합되는 포장상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자덮개는, 상기 덮개판의 끝단부 선단에 상기 포장상자를 이동시키기 위한 손잡이가 구비되는 포장상자.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내측판은, 외측면에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상자덮개는, 상기 끝단결합판 및 측단결합판의 각 내측면에 상기 결합홈에 대응하는 결합돌기가 구비되며,
    상기 바닥케이스에 상기 상자덮개가 결합될 경우 상기 결합돌기가 상기 결합홈에 삽입 결합되는 포장상자.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기는, 탄력재료로 제공되는 포장상자.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거치공간은, 상기 복수의 상품케이스의 인출을 위해 바닥면에 서로 다른 높이의 단이 형성되는 포장상자.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상품덮개는, 상기 덮개판의 측면선단이 측방 돌출되어 걸림턱이 형성되는 포장상자.
KR1020210155223A 2021-11-11 2021-11-11 포장상자 KR202300689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5223A KR20230068919A (ko) 2021-11-11 2021-11-11 포장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5223A KR20230068919A (ko) 2021-11-11 2021-11-11 포장상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8919A true KR20230068919A (ko) 2023-05-18

Family

ID=86545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5223A KR20230068919A (ko) 2021-11-11 2021-11-11 포장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68919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4791A (ko) 2009-03-19 2010-09-29 주식회사 픽시스 선물 상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4791A (ko) 2009-03-19 2010-09-29 주식회사 픽시스 선물 상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242414C2 (ru) Жесткая коробка для сигарет, частично открываемая для демонстрации
KR20170108153A (ko) 절개부를 함유하는 스페이서를 갖는 소비자 물품용 용기
KR200492642Y1 (ko) 포장상자와 물품 디스펜서
US20070175778A1 (en) Cardboard packing box for cartridge container
JP4178324B2 (ja) 茎付き花セット台と茎付き花収容容器
JP5827459B2 (ja) 包装用箱
KR20230068919A (ko) 포장상자
US2748928A (en) Paperboard doll container
JP5593155B2 (ja) 包装用箱
KR20230068921A (ko) 포장상자
JP2006240709A5 (ko)
JP3119149U (ja) 包装用箱
KR101039009B1 (ko)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한 포장 용기
KR101735939B1 (ko) 포장용 상자
JP2012166798A (ja) 包装展示兼用箱
JP2003246319A (ja) 展示機能付包装用箱
KR200457917Y1 (ko) 포장박스
KR200392144Y1 (ko) 일회용 포장용기
KR20100126906A (ko) 다단 말이 방식의 포장용 상자
KR102077551B1 (ko) 물품의 인출이 용이한 포장용 박스
JP2004210336A (ja) 包装箱
KR200436669Y1 (ko) 면용기 포장상자
JP3789114B2 (ja) 輸送箱
JP4871626B2 (ja) 積み上げ包装用容器
KR101255677B1 (ko) 전시용 포장박스의 포장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