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3016B1 - 로터리 제진기용 협잡물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로터리 제진기용 협잡물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3016B1
KR101003016B1 KR1020100036922A KR20100036922A KR101003016B1 KR 101003016 B1 KR101003016 B1 KR 101003016B1 KR 1020100036922 A KR1020100036922 A KR 1020100036922A KR 20100036922 A KR20100036922 A KR 20100036922A KR 101003016 B1 KR101003016 B1 KR 1010030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moval
bar
chain
shaft
vibration dam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69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희
Original Assignee
중앙종합기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중앙종합기계(주) filed Critical 중앙종합기계(주)
Priority to KR10201000369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30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30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30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8Details, e.g. gates, screens
    • E02B5/085Arresting devices for waterborne materials, e.g. grat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로터리 제진기의 스크린에 걸려 끼인 각종 협잡물을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로터리 제진기용 협잡물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로터리 제진기의 레이크와 레이크 사이에 체인의 이동을 따라 회전되면서 상향이동되어 통바와 통바 사이에 걸려 끼인 협잡물을 밀어 제거하는 협잡물 제거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제진기용 협잡물 제거장치를 제공하여 제거부재에 의해 협잡물이 밀어 올려져 제거되므로 협잡물의 끼임으로 인한 물의 흐름 저항이 최소화되고, 이에 따라 목 매김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Description

로터리 제진기용 협잡물 제거장치{A apparatus for eliminating dregs for rotary auto screen}
본 발명은 로터리 제진기용 협잡물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로터리 제진기의 스크린에 걸려 막혀진 각종 협잡물을 보다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로터리 제진기용 협잡물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로터리 제진기는 수로에 설치되어 수류를 따라 흘러내리는 협잡물 등을 걸러내는데 널리 사용되는 것이다.
도 6은 종래 로터리 제진기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종래 로터리 제진기의 사용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터리 제진기는 에이프런(100)의 상면으로 경사지게 주 스크린(200)이 장착되고, 상기 주 스크린(200)의 전방 하부로 전위 스크린(300)이 구비되며, 상기 주 스크린(200)과 전위 스크린(300)에 걸린 협잡물을 제거하도록 다수개의 레이크(400)가 구비되며, 상기 레이크(400)의 양측으로 체인(500)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체인(500)이 모터로 구동되는 구동스프로킷(600)에 의해 회전되며, 상기 체인(500)의 무한궤도 이동을 안내하도록 그 상하로 가이드레일(700)이 장착되며, 상기 가이드레일(700)의 사이로 다수의 지지대(800)가 장착되어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주 스크린(200)은 세로방향으로 구비되어 협잡물이 직접적으로 걸러지는 다수개의 통바(210)를 서로 연결하는 가로방향의 연결바(220)로 구성되고, 통바(210)와 통바(210) 사이에 스페이서를 개재시켜 일정간격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연결바(220)는 다수개가 일정 높이 이격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통바(210)의 배면에 구조물과의 결합 및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지지편(230)이 구비된다.
이러한 로터리 제진기는 가이드레일(700)을 따라 체인(500)이 회전됨으로써 체인(500)과 연결된 레이크(400)가 주 스크린(200)의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되어 통바(210)에 의해 걸러지는 협잡물을 레이크(400)의 부채살 갈퀴로 걷어 올려 제거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 로터리 제진기는 스크린(200)(300)의 목 매김 현상으로 인하여 물의 흐름이 방해될 뿐만 아니라 물의 흐름 저항도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여기서 목 매김 현상이라 함은 통바(210)와 통바(210) 사이에 걸려진 협잡물이 레이크(400)의 작동으로 통과되지 않고 계속 끼어 막혀있음에 따라 물의 흐름을 방해하고, 물의 흐름 저항을 증가시키는 현상을 의미한다.
즉, 종래 로터리 제진기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바(210)와 통바(210)사이에 걸려진 협잡물이 레이크(400)를 통해 완전히 제거되지 못하고, 남아있어 막힘에 따라 목 매김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통바와 통바 사이의 공간에 걸려진 협잡물을 밀어 제거함으로써 목 매김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로터리 제진기용 협잡물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끼어 있는 협잡물을 더욱 효율적으로 밀어내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비닐이나 풀 등의 작은 협잡물을 자르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부에 위치한 레이크에서 낙하된 협잡물로 인한 협잡물 제거부의 고장 또는 작동 중단을 방지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거부재로 밀어낸 협잡물이 더욱 효율적으로 제거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로터리 제진기의 레이크와 레이크 사이에 체인의 이동을 따라 회전되면서 상향이동되어 통바와 통바 사이에 걸려 끼인 협잡물을 밀어 제거하는 협잡물 제거부를 구비하되, 상기 협잡물 제거부는, 양단이 체인과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축과; 상기 축을 체인의 상향이동에 따라 상향되면서 회전시키기 위한 스프라켓 및 고정체인과; 상기 축과 측면이 결합되어 축의 동작에 따라 회전 및 상향이동되면서 협잡물을 밀어 제거하는 다수개의 제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로터리 제진기용 협잡물 제거장치를 제공한다.
삭제
삭제
삭제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거부재는 일정 폭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제거면이 형성되고, 각 제거면이 접하는 경계부는 각 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거부재의 제거면이 곡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거부재는 제거면과 양 측면의 경계부가 날카롭게 형성되어 커터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협잡물 제거부는 협잡물 제거부 상부에 위치한 레이크에서 낙하되는 협잡물을 차단하기 위한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통바와 통바의 사이에는 후방에 넓은 목부가 형성되는 경량바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로터리 제진기용 협잡물 제거장치는 통바와 통바 사이에 위치되어 회전 및 상향이동되는 제거부재를 포함하는 협잡물 제거부가 구비됨에 따라 통바와 통바 사이에 끼인 협잡물이 제거부재의 제거면에 의해 밀려 제거되므로 협잡물이 끼여 막힘으로 인한 물의 흐름 저항이 최소화되고, 이에 따라 목 매김 현상이 방지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제거부재의 제거면이 곡면으로 형성되어 이 곡면을 따라 협잡물을 서서히 밀어내기 때문에 더욱 효과적으로 통바와 통바 사이에 끼인 협잡물을 제거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제거부재에 커터부가 구비되어 통바와 제거부재 사이의 좁은 공간에 끼인 각종 작은 협잡물을 잘라낼 수 있게 됨에 따라 통바와 제거부재 사이의 끼인 작은 협잡물의 제거도 가능하게 되고, 이에 따라 더욱 효과적인 목 매김 현상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제거부재의 상향이동 또는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협잡물 제거부의 작동중단이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협잡물 제거부에 커버가 구비되어 상부에 위치한 레이크에서 낙하되는 협잡물이 제거부재에 바로 떨어져 끼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협잡물로 인하여 협잡물 제거부의 고장이 발생하거나 작동이 중단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통바와 통바 사이에 후방에 넓은 목부를 형성하는 경량바가 구비되어 연결바가 위치한 부분에도 넓은 공간이 확보될 수 있어 협잡물의 끼임을 줄일 수 있고, 레이크 또는 제거부재를 통한 협잡물의 제거시에도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가 가능한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터리 제진기용 협잡물 제거장치를 보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로터리 제진기용 협잡물 제거장치의 협잡물 제거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도 2의 제거부재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2의 요부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터리 제진기용 협잡물 제거장치의 요부를 보인 평면도.
도 6은 종래 로터리 제진기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종래 로터리식 제진기의 사용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측면도 및 평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는 하나, 본 발명이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 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터리 제진기용 협잡물 제거장치를 보인 정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로터리 제진기의 스크린에 걸린 협잡물을 제거하기 위한 로터리 제진기용 협잡물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로터리 제진기의 레이크(400)와 레이크(400) 사이에 체인(500)의 이동을 따라 회전되면서 상향이동되어 통바(210)와 통바(210) 사이에 걸려 끼인 협잡물을 밀어 제거하는 협잡물 제거부(10)가 구비된 것을 요부로 한다.
즉, 본 발명은 레이크(400) 만으로 제거가 어려운 스크린의 전면에 걸려있는 협잡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별도의 협잡물 제거부(10)를 둠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스크린 상에 걸린 협잡물을 제거하여 목 매김 현상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로터리 제진기용 협잡물 제거장치의 협잡물 제거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제거부재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의 요부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협잡물 제거부(10)는 축(12)과 스프라켓(13) 및 고정체인(14)과, 다수의 제거부재(11)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축(12)은 추후 설명하는 다수의 제거부재(11)를 동시에 상향 및 이동시키기 위한 운동수단으로서, 축(12)은 양단이 로터리 제진기 양측의 체인(500)과 베어링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이와 같이 체인(50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됨에 따라 축(12)이 체인(500)의 상향이동에 따라 상향이동되는 동시에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스프라켓(13) 및 고정체인(14)은 체인(500)의 상향이동에 따라 축(12)을 상향이동시키면서 회전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스프라켓(13)은 한 쌍이 구비되어 축(12)의 양측에 각각 고정되고, 상기 고정체인(14)은 스프라켓(13)의 톱니(13a)가 고정체인(14)에 맞물려 고정체인(14)을 따라 회전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이에 따라 체인(500)이 회전되어 레이크(400)를 상향이동시키면, 이와 연결된 축(12)이 체인(500)과 함께 원활하게 상향이동되기 위하여 축(12)의 양측에 고정된 스프라켓(13)이 그 톱니(13a)가 맞물려 있는 고정체인(14)을 따라 회전되며, 이와 같은 스프라켓(13)과 고정체인(14)의 작동에 의해 스프라켓(13)과 결합되어 있는 상기 축(12)이 회전되면서 상향이동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고정체인(14)은 고정되어 있는 것으로, 레이크를 회전시키는 체인(500)의 이동경로와 동일한 이동경로를 갖을 수 있도록 구비된다.
상기 다수의 제거부재(11)는 통바(210)와 통바(210) 사이에 위치되어 축(12)의 동작에 따라 회전 및 상향이동되어 통바(210)와 통바(210) 사이에 끼여 막혀있는 협잡물을 밀어 제거한다.
이러한 다수의 제거부재(11)는 축(12)과 제거부재(11)의 측면(11b)이 결합되어 축(12)의 동작에 따라 회전 및 상향이동되면서 협잡물을 밀어 제거할 수 있는 것으로, 제거부재(11)의 측면(11b)에 관통공(11c)이 형성되어 이 관통공(11c)에 상기 축(12)이 결합고정되어 각각의 제거부재(11)가 축(12)의 움직임에 따라 동일하게 움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거부재(11)는 일정 폭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제거면(11a)이 형성되고, 각 제거면(11a)이 접하는 경계부는 각 지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일정 폭으로 형성된다는 것은 제거부재(11)가 통바(210)와 통바(210) 사이를 원활하게 통과할 수 있도록 제거면(11a)의 폭이 통바(210)와 통바(210) 사이의 간격보다 좁은 폭을 갖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제거부재(11)의 각 제거면(11a)간의 경계부를 각 지게 형성하는 것은 제거면(11a)이 접하는 경계부에 각이 형성되지 않아 그 측면이 원형을 형성하는 경우보다 제거면(11a) 간의 경계부가 각이 형성되어 그 측면(11b)이 삼각형, 오각형, 사각형, 마름모 등의 다각형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경우가 제거면(11a)간의 경계부에 모서리가 형성될 수 있어 보다 협잡물이 잘 걸릴 수 있기 때문이다.
이때 상기 제거부재(11)는 측면(11b)이 다각형 중에서도 삼각형 또는 마름모 등으로 형성되는 것이 제거면(11a) 간에 생성되는 경계부, 즉, 제거면(11a)의 모서리가 보다 뾰족하게 형성될 수 있어 더욱 효율적으로 협잡물을 밀어 제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로터리 제진기용 협잡물 제거장치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인(500)의 상승시 축(12)의 상향이동에 따라 스프라켓(13)이 고정체인(14)을 따라 회전된다. 따라서 이 축(12)이 체인(500)의 상승시 회전되면서 상향이동된다.
그러면 축(12)에 고정된 다수의 제거부재(11)도 회전 및 상향이동되며, 이 과정에서 통바(210)와 통바(210) 사이에 끼인 협잡물이 제거부재(11)의 제거면(11a)에 걸리어 밀어져 통바(210)와 통바(210) 사이에서 탈출되고, 탈출된 협잡물은 제거부재(11)의 제거면(11a)을 따라 회전되어 하부에 위치한 레이크로 낙하되거나, 통바와 통바 사이로 배출되어 제거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로터리 제진기용 협잡물 제거장치는 통바와 통바사이에 위치되어 회전 및 상향이동되는 제거부재를 포함하는 협잡물 제거부가 구비됨에 따라 통바와 통바 사이에 끼인 협잡물이 제거부재의 제거면에 의해 밀려 제거되므로 협잡물의 끼임으로 인한 물의 흐름 저항이 최소화되고, 이에 따라 목 매김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거부재(11)의 제거면(11a)이 곡면으로 형성된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거면(11a)은 외측으로 볼록한 곡면으로, 이와 같이 제거면(11a)이 곡면으로 형성됨에 따라 제거부재(11)가 회전되면서 협잡물을 순간적으로 밀어제거하는 것이 아니라, 협잡물이 제거부재(11)의 제거면(11a)을 따라 서서히 밀어 올려지면서 제거될 수 있어 더욱 효과적으로 통바(210)와 통바(210) 사이에 끼인 협잡물을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구성에 더하여 상기 제거부재(11)는 제거면(11a)과 양 측면(11b)의 경계부가 날카롭게 형성되어 커터부(20)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커터부(20)는 통바(210)와 제거부재(11) 사이의 좁은 공간에 끼인 비닐이나 풀 등의 작은 협잡물을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제거부재(11)의 측면(11b)과 제거면(11a)의 경계부가 날카롭게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통바와 제거부재 사이의 좁은 공간에 끼인 각종 작은 협잡물을 잘라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통바와 제거부재 사이의 끼인 작은 협잡물의 제거가 가능하게 되고, 더욱 효과적인 목 매김 현상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협잡물에 의한 끼임이 줄어 제거부재의 상향이동 또는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협잡물 제거부의 작동중단이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로터리 제진기용 협잡물 제거장치는 레이크와 레이크의 사이에 협잡물 제거부(10)가 위치되어 작동되므로 협잡물 제거부(10)의 상부에 위치한 레이크(400)로부터 떨어진 협잡물이 협잡물 제거부(10)로 그대로 낙하되고, 이 낙하된 협잡물이 협잡물 제거부(10)의 제거부재(11)와 통바의 사이에 걸려 다시 끼임에 따라 협잡물 제거부(10)의 작동을 방해하므로 협잡물 제거부(10)의 작동이 중단되거나 고장을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한 본 발명의 로터리 제진기용 협잡물 제거장치의 상기 협잡물 제거부(10)는 협잡물 제거부(10) 상부에 위치한 레이크에서 낙하되는 협잡물을 차단하기 위한 커버(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커버(30)는 스크린의 전면으로부터 제거부재의 전면까지 일정각도 기울기를 갖는 경사부(31)가 형성되어 상부의 레이크에서 떨어진 협잡물이 자연스럽게 아래로 흘러내릴 수 있도록 하고, 상기 경사부(31)부터 제거부재의 하부까지 연결되는 낙하부(32)가 형성되며, 상기 커버의 양측면에는 경사부(31) 및 낙하부(32)의 일측면과 수직을 이루는 벽부(33)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경사부(31)는 스크린의 전면과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스크린의 전면과 경사부(31)의 일단면은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커버(30)의 경사부(31) 및 낙하부(32)가 제거부재(11)의 회전에 간섭을 주거나, 커버(30)와 제거부재(11) 사이에 제거부재(11)에 의해 밀어 올려진 협잡물이 끼지 않도록 충분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어 제거부재(11)가 원활하게 회전 및 상향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낙하부(32)는 스크린과 평행을 이루도록 형성하여 커버(30)를 따라 흘러내린 협잡물이 협잡물 제거부(10)의 바로 밑에 있는 레이크에 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만약 상기 낙하부(32)를 경사부(31)와 같이 스크린의 전면 측으로 경사를 갖도록 하는 경우, 경사부(31)에서 흘러내린 협잡물이 그대로 수로로 떨어져 스크린에 걸림에 따라 물 흐름을 방해하는 침수의 원인이 될 수 있고, 반대로 낙하부(32)가 제거부재(11) 측으로 경사진 경우 제거부재(11)를 따라 올라온 협잡물이 하부로 배출되지 못하고 걸려있음에 따라 제거부재(11)의 작동이 중단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그리고, 상기 커버(30)는 협잡물 제거부(10)의 축(12)과 함께 이동되는 것으로, 커버(30)의 벽부(33)에 축(12)이 베어링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벽부(33)는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 채로 축(12)이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도록 한다.
아울러 커버(30)의 벽부(33)는 체인(500)이 위치한 부분까지만 형성되어 협잡물 제거부(10)의 운행이 원활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협잡물 제거부에 커버가 더 구비된 본 발명의 로터리 제진기용 협잡물 제거장치는 커버를 통해 상부에 위치한 레이크에서 낙하되는 협잡물이 제거부재에 바로 떨어져 끼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협잡물로 인하여 협잡물 제거부에 고장이 발생하거나 작동이 중단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한편, 통바(210)와 통바(210)를 연결하는 연결바(220) 부분에는 스크린의 다른 부분보다 좁은 공간을 형성한다. 따라서 연결바(220)가 위치한 부분에는 보다 많은 협잡물이 끼여 제거율이 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터리 제진기용 협잡물 제거장치의 요부를 보인 평면도를 도시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바(210)와 통바(210)의 사이에는 후방에 넓은 목부(41)가 형성되는 경량바(4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는 보다 효과적으로 목 매김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경량바(40)는 통바(210)보다 좁은 폭을 갖고 있어 후방에 통바(210)와 통바(210) 사이에서 후방에 넓은 목부(41)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경량바(40)는 후방에 일정간격으로 연결바가 결합될 수 있는 결합편(미도시)이 형성되어 통바와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제거부재(11)는 통바(210)와 경량바(40)사이에 각각 위치되어 협잡물을 밀어 제거한다.
이와 같이 통바와 통바 사이에 후방에 넓은 목부를 형성하는 경량바가 구비되면, 연결바가 위치한 부분에도 넓은 공간이 확보될 수 있어 협잡물의 끼임을 줄일 수 있고, 레이크 또는 제거부재를 통한 협잡물의 제거시에도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가 가능하다.
10: 협잡물 제거부
11: 제거부재
11a: 제거면 11b: 측면 11c: 관통공
12: 축
13: 스프라켓
14: 고정체인
20: 커터부
30: 커버
31: 경사부 32: 낙하부 33: 벽부
40: 경량바
41: 넓은 목부

Claims (7)

  1. 삭제
  2. 로터리 제진기의 레이크(400)와 레이크(400) 사이에 체인(500)의 이동을 따라 회전되면서 상향이동되어 스크린의 통바(210)와 통바(210) 사이에 걸려 끼인 협잡물을 밀어 제거하는 협잡물 제거부(10)를 구비하되, 상기 협잡물 제거부(10)는,
    양단이 체인(500)과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축(12)과; 상기 축(12)을 체인(500)의 상향이동에 따라 상향되면서 회전시키기 위한 스프라켓(13) 및 고정체인(14)과; 상기 축(12)과 측면(11b)이 결합되어 축(12)의 동작에 따라 회전 및 상향이동되면서 협잡물을 밀어 제거하는 다수개의 제거부재(1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제진기용 협잡물 제거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거부재(11)는 일정 폭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제거면(11a)이 형성되고, 각 제거면(11a)이 접하는 경계부는 각 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제진기용 협잡물 제거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거부재(11)의 제거면(11a)이 곡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제진기용 협잡물 제거장치.
  5.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거부재(11)는 제거면(11a)과 양 측면(11b)의 경계부가 날카롭게 형성되어 커터부(20)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제진기용 협잡물 제거장치.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협잡물 제거부(10)는 협잡물 제거부(10) 상부에 위치한 레이크에서 낙하되는 협잡물을 차단하기 위한 커버(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제진기용 협잡물 제거장치.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통바(210)와 통바(210)의 사이에는 후방에 넓은 목부(41)가 형성되는 경량바(4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제진기용 협잡물 제거장치.
KR1020100036922A 2010-04-21 2010-04-21 로터리 제진기용 협잡물 제거장치 KR1010030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6922A KR101003016B1 (ko) 2010-04-21 2010-04-21 로터리 제진기용 협잡물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6922A KR101003016B1 (ko) 2010-04-21 2010-04-21 로터리 제진기용 협잡물 제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03016B1 true KR101003016B1 (ko) 2010-12-22

Family

ID=43513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6922A KR101003016B1 (ko) 2010-04-21 2010-04-21 로터리 제진기용 협잡물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3016B1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0022B1 (ko) * 2011-01-28 2011-07-19 동근한 로터리식 제진기
KR101157914B1 (ko) 2011-04-11 2012-06-22 허광일 제진기
KR101363638B1 (ko) 2013-11-07 2014-02-14 윤병화 제진기의 메인 스크린
KR101774021B1 (ko) * 2017-03-20 2017-09-01 세계엔텍 주식회사 메인스크린의 저부에 차단스크린을 구비한 로터리 제진기
KR101774020B1 (ko) * 2017-05-11 2017-09-01 세계엔텍 주식회사 구동체인의 이물질 부착을 방지하는 스크린 제진기
KR101774024B1 (ko) * 2017-03-07 2017-09-01 이상민 프레임지지대의 오물제거가 가능한 자동 스크린제진기
KR101783011B1 (ko) * 2017-03-20 2017-09-28 세계엔텍 주식회사 후방보조스크린에 경사단부가 형성된 구조의 로터리 제진기
KR101801283B1 (ko) * 2016-11-03 2017-11-24 황인수 제진기의 전위스크린 가변구조
KR20180096269A (ko) 2017-02-21 2018-08-29 주식회사 덕진엔지니어링 수로형 협잡물 제거장치
KR101893416B1 (ko) * 2018-03-07 2018-08-30 주식회사 신정기공 제진기
KR101909623B1 (ko) * 2018-03-07 2018-12-18 (주)백천이앤시 로타리식 자동 제진기
KR102657588B1 (ko) * 2023-04-13 2024-04-15 성우산업 주식회사 수량변동에 따른 운전부하 조절이 가능한 제진기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9229U (ko) 1975-07-09 1977-01-22
JPS58111214U (ja) 1982-01-20 1983-07-29 日立金属株式会社 裏掻型除塵装置
KR200386291Y1 (ko) 2005-03-15 2005-06-13 주식회사 아이엔텍 로터리 제진기
KR100623221B1 (ko) * 2005-04-30 2006-09-19 권경남 하천 수로의 쓰레기 수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9229U (ko) 1975-07-09 1977-01-22
JPS58111214U (ja) 1982-01-20 1983-07-29 日立金属株式会社 裏掻型除塵装置
KR200386291Y1 (ko) 2005-03-15 2005-06-13 주식회사 아이엔텍 로터리 제진기
KR100623221B1 (ko) * 2005-04-30 2006-09-19 권경남 하천 수로의 쓰레기 수거장치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0022B1 (ko) * 2011-01-28 2011-07-19 동근한 로터리식 제진기
KR101157914B1 (ko) 2011-04-11 2012-06-22 허광일 제진기
KR101363638B1 (ko) 2013-11-07 2014-02-14 윤병화 제진기의 메인 스크린
KR101801283B1 (ko) * 2016-11-03 2017-11-24 황인수 제진기의 전위스크린 가변구조
KR20180096269A (ko) 2017-02-21 2018-08-29 주식회사 덕진엔지니어링 수로형 협잡물 제거장치
KR101774024B1 (ko) * 2017-03-07 2017-09-01 이상민 프레임지지대의 오물제거가 가능한 자동 스크린제진기
KR101774021B1 (ko) * 2017-03-20 2017-09-01 세계엔텍 주식회사 메인스크린의 저부에 차단스크린을 구비한 로터리 제진기
KR101783011B1 (ko) * 2017-03-20 2017-09-28 세계엔텍 주식회사 후방보조스크린에 경사단부가 형성된 구조의 로터리 제진기
KR101774020B1 (ko) * 2017-05-11 2017-09-01 세계엔텍 주식회사 구동체인의 이물질 부착을 방지하는 스크린 제진기
KR101893416B1 (ko) * 2018-03-07 2018-08-30 주식회사 신정기공 제진기
KR101909623B1 (ko) * 2018-03-07 2018-12-18 (주)백천이앤시 로타리식 자동 제진기
KR102657588B1 (ko) * 2023-04-13 2024-04-15 성우산업 주식회사 수량변동에 따른 운전부하 조절이 가능한 제진기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3016B1 (ko) 로터리 제진기용 협잡물 제거장치
KR101642238B1 (ko) 협잡물 이송을 위한 로타리식 제진기
KR101075281B1 (ko) 스크래이퍼 세척부가 구비된 제진기
KR101666028B1 (ko) 로터리식 제진기
JP6829507B1 (ja) 汚水処理装置
KR101738636B1 (ko) 퇴적물 분산유닛을 갖는 제진기
KR101250253B1 (ko) 로터리 제진기
KR102074817B1 (ko) 힌지점을 구비한 제진기용 레이크
KR20160040916A (ko) 개선된 레이크가 구비된 제진기
KR101738838B1 (ko) 간격차단스크린이 설치된 로터리 제진기
KR101964591B1 (ko) 로터리 제진기
KR101331968B1 (ko) 커터장치가 설치된 로타리 제진기
KR101559449B1 (ko) 가드레일 없이 무한궤도 운전이 가능한 파워 링크 제진기
KR101406712B1 (ko) 이중 스크린 제진기
KR200411808Y1 (ko) 제진기의 진개물 유입 방지장치
KR100911346B1 (ko) 이동식 제진기
KR101695428B1 (ko) 로타리 제진기
JP6917326B2 (ja) 背面降下前面掻揚式除塵機
KR101594101B1 (ko) 인/아웃 자동 제진기
KR20140033613A (ko) 제진기의 전위스크린
KR100975915B1 (ko) 로터리식 제진기
KR101738353B1 (ko) 로터리 제진기
KR20160126726A (ko) 목 메임 방지용 로터리식 제진기
KR101731933B1 (ko) 협잡물의 누출을 방지한 구조의 로터리 제진기
KR101731936B1 (ko) 협잡물의 저부통과를 방지한 구조의 로터리 제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5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