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2141B1 - 적층 가능한 주방 기기를 위한 손잡이 그리고 이러한손잡이들 및 기기들의 세트 - Google Patents

적층 가능한 주방 기기를 위한 손잡이 그리고 이러한손잡이들 및 기기들의 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2141B1
KR101002141B1 KR1020087017370A KR20087017370A KR101002141B1 KR 101002141 B1 KR101002141 B1 KR 101002141B1 KR 1020087017370 A KR1020087017370 A KR 1020087017370A KR 20087017370 A KR20087017370 A KR 20087017370A KR 101002141 B1 KR101002141 B1 KR 1010021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housing
additional
stud
hand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73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78721A (ko
Inventor
파스칼 쿠일레리
스테파엔 프리촌
가이 메그노우루스
진-프란코이스 브라스세트
Original Assignee
세브 에스.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브 에스.아. filed Critical 세브 에스.아.
Publication of KR200800787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87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21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21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47J45/061Saucepan, frying-pan 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32Collapsible helmets; Helmets made of separable parts ; Helmets with movable parts, e.g. adjustable
    • A42B3/322Collapsible helm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2Multiple-unit cooking vessels
    • A47J27/122Multiple-unit cooking vessels with adaptation of shape to that of adjacent vessels for forming a unit, e.g. sector-shap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47J45/062Bowl han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Stackable Containers (AREA)
  • Cooker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 Frying-Pans Or Fryers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 Devices For Warming Or Keeping Food Or Tableware Hot (AREA)

Abstract

요리 도구 또는 호브(hob) 상에서 요리하기 위한 주방 기기의 아이템을 위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손잡이의 시스템이 제공된다. 아이템들의 부재는 서로 적층될 수 있다. 각 손잡이는 적층 형태로 포개진 아이템들을 유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스터드(125)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131)을 가지며, 따라서, 하우징 및/또는 스터드는 각각 설계되어 다른 스터드를 수용하고 그리고/또는 다른 보완적인 하우징에 수용된다. 각각의 손잡이는 각각 설계된 락킹 돌출부(162) 및 수용 지역(162)을 더 포함하여 다른 손잡이에 제공된 다른 수용 지역과 맞물리며, 다른 아이템을 위하여 사용된 손잡이에 제공된 다른 락킹 돌출부의 맞물림을 수용한다.
주방 요리 기기, 손잡이, 용기, 스터드, 락킹 돌출부, 수용 지역

Description

적층 가능한 주방 기기를 위한 손잡이 그리고 이러한 손잡이들 및 기기들의 세트{HANDLE FOR A STACKABLE CULINARY ARTICLE AND A SET OF SUCH HANDLES AND ARTICLES}
본원 발명은 요리 도구(cooker) 및 핫 플레이트(hotplate)를 위하여 요리용 주방 기기를 적층시키기 위한 조건들(conditions)을 향상시키는 것이며, 그리고 적층 동작(stacking movement)에 따른 주방 기기를 또한 고려하려 이러한 상황에 적합한 손잡이들을 생산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건의 주방 기기의 특성들에 따라 적어도 어떤 경우들에 있어서는 적층된 소스 냄비들(saucepans), 프라이팬들(frying pans) 및 쿠킹 포트들(cooking pots) 중으로부터 바람직하게는 동일하거나 또는 다른 이와 같은 몇 개의(적어도 두 개) 주방 기기들을 포함하는 세트(set)에 관한 것이다.
주방 기기들이 다른 주방 기기와 적층될 수 있는 것은 잘 알려져 있으며, 각각의 주방 기기는 그들 내에 특정 음식을 수용하기 위한 용기(container) 및 맨손(bare hand)으로 파지(grip)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손잡이를 포함하고, 이 손잡이는 다른 주방 기기 상에 포개진 상부(top) 주방 기기를 적층 방법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손잡이의 오목한 영역(hollow area)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정의된 적어도 하나의 스터드(stud)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housing)을 구비하고, 하우징 및/또는 스터드는 전술한 사항(aforementioned)과 서로 보완적(complementary)이고 그리고 이러한 다른 주방 기기의 손잡이에 제공된 다른 스터드를 수용하고 그리고/또는 다른 하우징에 수용되기에 각각 적합하도록 하기 위한 목적이다.
바람직한 특정 명세서에서, 본 발명은 손잡이들을 포갤 수 있는(nesting) 실질적으로 수평한 개개의 위치를 이용하여 개략적으로 실질적으로 수직하는 프라이팬 또는 소스 냄비들/쿠킹 포트들의 세트를 결과적으로 고려한다.
여기서 제시된 적층 문제의 정황(context)에 있어서, 예를 들어, 적층의 중간에 있는 기기는 적층의 하부에 있는 기기 상에 적층되는 경우에 해당하는 이러한 구성(configuration)이 가능하게 유지되도록 일관되지 않은 직경들(non-consecutive diameters)을 가지는 두 개의 기기들을 적층시키는 것이 우선적으로 요구된다.
또한, 만일 가능하다면, 기기들 또는 적층 가능한 손잡이들의 직립 적층(erected stack)을 수평적으로 또는 수평에 근접한 상태로 안정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부 기기가 하부 기기를 마주하면서(vis-a-via)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수직 또는 실질적으로 수직한 축(axis)에 대하여 적층하는 방법으로 기기들을 안정화시킬 수 있는 것이 요구된다.
바람직하게는, 서로와 관련하여 기기들의 측면 경사(laternal inclination) 또는 수직 적층 축에 대하여 각 방향(angular orientation)을 안정화시키도록 또한 추구하다.
따라서, 일반적인 관점에서, 사용 방법이 쉽고, 제한된 비용으로, 제조하기가 쉽고, 손잡이 및/또는 다른 주방 기기를 간단하게 일체(integrate)시킬 수 있으며, 생성된 결과와 관련하여 기계적으로 능률적(mechanically efficient)이며, 만일 가능하다면, 다른 평면들(수평적, 수직적 등) 내에서 적층 내의 손잡이들 및/또는 기기들의 방향으로, 또한 가능한한 실용적이고, 효과적이며, 비용이 많이 들지 않으며(inexpensive), 인간 환경 공학적인(ergonomical) 해체가능한(releasable) 락킹(locking) 효과를 가지는 안정적으로 균형잡힌 직립 적층을 쉽게 하는 해결책(solution)을 여기서는 추구한다.
"요리" 주방 기기는 오븐 밖에서, 특히, 요리 도구 또는 핫 플레이트 상에서 화염(flame) 또는 아래로부터 가열하는 표면 위에 놓을 수 있도록 특히 설계된 기기를 의미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목적들의 모두 또는 일부를 만족시키기 위하여, 위에서 개략적으로 정의된 타입의 각각은;
- 다른 기기를 위해 사용되고자 하는 손잡이 상에 제공된 다른 수용 지역(reception zone)과 맞물리도록 각각 적합한;
- 그리고 다른 기기를 위해 사용되고자 하는 손잡이 상에 제공된 다른 락킹 돌출부(locking protrusion)의 맞물림(engagement)을 수용하도록 각각 적합한;
락킹 돌출부 및 수용 지역을 또한 포함하도록 의도된 손잡이 및/또는 주방 기기가 권고된다.
이러한 "상호 맞물림(inter-engagement)"은, 특히, 다른 것과 관련하여 하나의 손잡이의 일 방향으로 틸팅(tilting)을 포함할 손잡이들의 적층 동작 동안, 각각의 지지부들(supports)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손잡이들의 락킹 돌출부 및 수용 지역 사이의 접합부(abutment)에 의해 손잡이들 사이에서 상대적인 락킹이 될 수 있으며, 그런 다음 다른 것 상에 하나가 적층된다.
따라서, 두 개의 손잡이들과 서로 상에 간단하고 그리고 효과적으로 적층된 두 개의 일반적인 기기들을 락(lock)시키는 것은 가능할 것이다.
특히, 일 실시예에서, 바람직하게 제공되는 것은:
- 스터드와 동일한 위치에 형성된 돌출부 및 수용 지역들 사이로부터의 하나, 및/또는
- 하우징과 동일한 위치 또는 하우징에 바로 인접한 부근에 형성될 돌출부 및 수용 지역 사이로부터의 다른 하나를 위한 것이다.
틸팅 동안, 만일 서로 맞물린 돌출부 및 수용 지역 사이를 상대적으로 끼운다면(jamming), 그것이 그들 내에서 락될 수 있는 이후, 제1 부분(first)이 제2 부분(second)과 맞물릴 때, 하나의 손잡이의 스터드 및 다른 손잡이의 하우징 사이에 제한된 유극(limited clearance)이 적당하게 존재할 수 있다.
틸팅에 앞서, 적층 동작은 돌출부와 해당 수용 지역의 동시 도입(coming)을 유도하는 트랜스레이션(translation)을 포함할 수 있도록 또한 권고된다.
전형적으로, 이러한 효과에 도달하기 위하여, 트랜스레이션은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배치되고, 손잡이의 (약간의) 틸팅은 하방(downwards) 및 전방(forwards)으로 이루어져서, 상부 주방 기기의 용기를 일반적으로 형성하며, 그런 다음, 그것 아래 그리고 하방으로 틸팅하는 큰 단면(corss-section)을 가지는 다른 것 내부에 배치된다. 이것은 또한 실질적으로 수평면으로(도 6 및 아래의 결과) 상대적인 피봇팅(pivoting)을 제공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첫 번째 경우에 있어서, 만일 하나의 기기의 스터드가 다른 하나의 하우징에 맞물린다면, 용기의 무게(weight) 및 전술한(반전가능한(reversible)) 끼움 위치(jamming position) 방향으로 틸팅하는 이러한 기기가 자연적으로 만들어 내는 중량(gravity)보다 더 무거운 손잡이의 "렛 고(let go)"를 충족시킬 수 있을 것이다.
위와 관련하여, 제공되는 것은;
- 제1 끝단에서 용기와 연결될(연결되도록 적합한) 손잡이,
- 및 손잡이의 제2 반대 끝단보다 제1 끝단에 더 근접하게 위치된 동일한 손잡이의 스터디 및 하우징,
- 및/또는 하부 방향으로 외관상으로 볼록한(externally convex) 하부로 기울어진 벽 영역(bottom slanting wall area)을 포함하는 돌출부, 그런 다음,
- 수용 지역, 여기서는 상부로 볼록한 기울어진 벽 영역을 구비하고 그리고 상부 하나의 손잡이 하측(lower) 벽 영역을 밀접하게 수용시키도록 적합한 해당 지지 벽(support wall)을 또한 위한 것이다.
또한,
- 수직 또는 실질적으로 수직 평면을 발생시키는 맞물림 이동(engagement movement),
- 해당 손잡이를 마주하도록 직립될 스터드 및 하우징,
- 스터드의 직립 벽(erect wall)을 따라 국부적으로 형성될 돌출부,
- 스터드 및 하우징이 상승하고 이 하우징이 연통하는 방향을 가로 지르는(transverse) 오리피스(orifice)와 동일한 지점에 형성될 해당 수용 지역이 권고 된다.
도 3에서 아래에 보여지는 것과 같이, 상술한 가로 방향 오리피스는 손잡이를 용기에 고정하기 위한 나사(serew)를 수용할 수 있다.
전반적으로, 위의 특징들은 손잡이의 생산을 용이하게 할 것이며, 가로 방향 오리피스의 존재를 이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것이며, 또한 유용할 것이다.
같은 의도에서;
- 적층 동작 동안, 해당 가로 방향 오리피스에 반(oppisite)할 때까지 본질적으로 도달하고 틸팅의 끝단에서 그들을 유지시키는 스터드,
- 및/또는 하우징이 가로 방향 오리피스와 연통하는 하우징의 가장자리(rim)에 형성될 수용 지역이 권고 된다.
기기들의 적층된 위치 내에서 돌출부의 수용 지역(여기서는 지지 벽)에 대항하여 끼우는 돌출부의 본질적인 의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제1 끝단에서 용기에 연결할 수 있고/연결될 손잡이 및 하나의 스터드 및 하우징 그리고 손잡이(아래의 도 1 내지 5에서의 경우)의 반대쪽 제2 끝단보다 제1 끝단에 더 가깝게 위치될 동일한 손잡이가 또한 권고 된다.
상기와 관련하여, 바람직하게 제공되는 것은 (도 1 내지 3):
- 외형적으로 하부 방향으로 볼록하게 하부로 기울어진 벽 영역을 포함하는 돌출부, 및
- 상부 방향으로 오목한 기울어진 벽 영역을 구비하며, 관련된 기기의 하부 벽 영역을 밀접하게 수용하도록 구성된 해당 지지 벽을 위한 것이다.
다른(variant)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것은 해당 손잡이 내에 형성된 개구부(opening) 뒤에 위치될 수용 지역을 또한 위한 것이며, 이 개구부는 돌출부가 그것을 관통하도록 하는 데 적합하며, 돌출부의 이 통로(passage)는 적층 동작 동안 발생한다.
수용 지역 및 돌출부는 스터드 및 하우징으로부터 떨어진 거리에 위치될 수 있다.
틸팅을 가지는 해당 개구부를 관통하는 돌출부의 통로를 적당하게 포함할 수 있는 적층 동작은 개구부의 하우징 내에서 스터드의 맞물림 및 개구부의 수용 지역을 가지는 돌출부의 맞물림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제공되는 것은:
- 돌출부 및 개구부보다 용기에 더 근접하게 위치될 스터드 및 하우징,
- 및 손잡이의 표면 상에서 돌출하는(projecting) 후크(hook)의 형태인 돌출부를 위한 것이다.
적당하게는:
- 개구부는 이러한 손잡이의 상부 또는 하부 벽에 형성되거나 또는 나타날 것이며,
- 돌출부는 손잡이의 위 또는 아래로 돌출하는 후크의 형태로 될 것이다.
삭제
이것은 또한 각 손잡이 상에서 하나는 상부로 돌출하고 다른 하나는 하부로 돌출하는 두 개의 코오퍼레팅(cooperating) 후크들의 위치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비 제한적인 예시들(non-limitative examples)에 의해 독자적으로 주어진 첨부한 도면들과 관련하여 더욱 상세한 설명들이 제공되며, 여기서:
-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이와 같이 적층된 소스 냄비들 각각의 손잡이들 또는 자루들(hafts)의 연장 축(extension axis)을 관통하는 수직 평면을 따라 여기에서 나타낸 해결책들에 따른 소스 냄비들의 두 부분을 직경 단면(diametral section)으로 보여주며,
- 도 2는 어프로치 트랜스레이션(approach translation)에 해당하는 도 1에서의 실시예의 적층 동작의 제1 부분을 보여주는 확대 상세화된 보여주는 도면(II)을 나타내며, 도 3 및 4는 락킹의 연장(continuation) 및 끝단을 보여주며,
- 도 5는 도 1의 그것과 비교할 수 있는 도면에서 두 개의 소스 냄비들의 적층된 상태에 있는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며,
- 도 6은 다른 다양한 실시예를 보여주며,
- 도 7은 도 6의 라인 VII-VII에 따른 단면이며,
- 그리고, 도 8은 도 6의 손잡이를 각각 구비한 두 개의 적층된 기기들을 보여준다.
아래에서, 손잡이들은 주방 기기들에 고정되는 것으로 보여진다. 그들은 분리될 수 있다.
도 1에서, 두 개의 주방 기기들(101, 103)은 직립 적층의 방법으로 하나 상에 다른 하나가 적층된 결과를 보여준다.
이것은 그들의 용기를 통하여 서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고정될 수 있는 소스 냄비들의 동일한 묶음(batch)에 속하는 일관되지 않는 크기의 두 개의 소스 냄비들의 이런 경우에 있어서의 문제를 나타낸다.
각각의 주방 기기(101, 103)는 각각의 용기(113, 115) 및 파지 손잡이(grapping handle)(117, 119)를 포함한다.
각각의 손잡이는 여기에서 용기의 상부 개구부(121, 123) 둘레에 각 용기의 범위를 정하는(delimit) 상부 원주 가장자리(top peripheral rim)(113a, 115a)에 근접한 상부(top part)에서 용기의 측벽(lateral wall)으로 방염 기저(flame-resistant base)(120, 122)에 의해 일단에서 고정된 연장 손잡이(elongate hanle)의 형태를 가진다.
열적으로 절연된 각각의 손잡이(117, 119)는 맨손 및 전체 손으로 붙잡도록 고려된 주방 기기를 가능하게 한다.
이에 더하여, 각각의 손잡이(117, 119)는 스터드(125, 129) 및 코오퍼레이팅(cooperating) 하우징(131, 132)을 포함한다.
도 1의 실시예에서, 돌기 스터드들(projecting studs)(125, 129) 및 해당 하우징들(131, 132)은 해당 손잡이와 동일한 위치에 전적으로 형성된다.
하부 기기(103) 상에 상부 기기(101)를 안정된 방식으로 적층하기 위하여, 스터드(129)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용기가 하우징(131) 내에 배치된다.
스터드(129)의 측면(129a)과, 여기에서 하우징(도 2를 보면, 아래의 돌출부들 및 지지 벽들 사이의 접촉 지역들(contact zones)과 마찬가지로)을 밀접하게 둘러싸는 하나(131a) 사이의 접촉 이외에 다른 기기들(101, 103) 사이에서의 접촉 없이, 이러한 맞물림 때문에 적층은 안정적일 수 있다. 특히, 용기들은 서로 접촉하지 않는다.
도 1에서, 용기의 바닥부(113b)는 대략적으로 수평하게 배치되며, 적층 형성된 스터드들 및 하우징들은 수직 축들 또는 수직에 근접한 하나를 따라 모두 직립된다.
스터드(125)의 상승 축들(elevation axes) 및 해당 하우징(131) 사이의 수평 분리(horizontal separation)는 작다.
각 스터드(125, 129)는 손잡이의 상부에 직립하며, 하우징은 하부에서 반대 로 형성된다.
따라서, 두 개의 기기들은 여기서는 하우징(131) 내에서 스터드(129)의 맞물림에 의하여 단독으로 서로 돌출하여(overhanging) 삽입된다. 이러한 맞물림은 여기서 원뿔 형상이며, 스터드들 및 하우징 각각은 원추 원뿔(frustoconical) 형상이다.
스터드 및 하우징을 반대로 하는 것도 가능함으로, 다음의 것들이 스터드 및 하우징 그리고 이와 마찬가지로 돌출부 및 지지 손잡이를 반대로 적용하는 것과 마찬가지일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내기 위하여 스터드는 하우징이 하부 손잡이의 상부 면 내에 움푹 들어갈 수 있는 것과 동시에 상부 손잡이의 하부 벽 아래에 세워져 있을 수 있다.
도 1 내지 4 및 그 중에서, 스터드(129) 상에는 락킹 돌출부(162)가 나타나며, 코오퍼레이팅 하우징(131) 근처에는 수용 영역(164), 여기서는 지지 벽이 나타난다.
돌출부(162)는 기기(101)에 제공된 수용 지역/지지 벽(164)에 대항하여 수용되기에 적합하다.
손잡이들은 서로가 동일하며, 아래에 놓여있는 기기(103)의 하우징(132)은 이전의 하나와 동일한, 그러나 원칙적으로 다른 용기 크기를 가지는 다른 기기에 하우징을 대항하여 수용하기에 적합한 하우징의 부분을 위한 것이다.
락킹 돌출부 및 관련된 지지 벽 사이의 접합부에 의해 이들 기기 사이에서 상대적으로 락킹될 때까지, 특히, 아래에 놓여 있는 기기(103)와 관련하여 상부 기 기(101)로 하여금 화살표(arrow) 방향으로 경사지게 이루게 하는 적층 동작 동안 상대적인 맞물림의 이러한 상태는 발생한다.
지지 벽은 패인 곳 밖에서(hollowed out) 스터드와 동일한 위치에 있을 수 있으며, 돌출부는 하우징과 동일한 지점에 형성된다.
여기서는 서로 반대다. 지지 벽(164)은 하우징(131)으로부터 약간 함몰되어(recessed) 형성된다.
주방 기기들은 수직으로 또는 실질적으로 수직 방향으로 적층된다(수직과 관련하여 경사진 기울어진 어프로치(slanting approach)를 볼 수 있다).
가로로의 이러한 맞물림 방향 및 특히 여기서의 실질적으로 수평적으로의 제한된 유극은 제1 부분이 화살표(168)의 방향으로 트랜스레이션에 의해 제2 부분과 맞물릴 때, 기기의 스터드 및 다른 기기의 하우징 사이에 존재한다.
이후는, 도 4의 화살표(170)와 같이 틸팅이 발생할 때, 스터드(129)는 하우징(131)에 락된다.
따라서, 상대적인 끼움은 돌출부(162) 및 맞물려진 지지 벽 사이에 도달된다.
트랜스레이션, 여기서는 결과적인 이전의 틸딩은 이러한 돌출부를 안내하고, 그것의 해당 지지 벽(164)은 서로 밀접하게 된다.
참조 번호 162와 같은 돌출부는 여기서는 스터드의 넓은 하부 기저(broadened bottom base)에 근접하고 용기에 근접한 측 상에서, 여기서는 스터드의 전방에서 스터드의 직립 측벽(129a)을 따른 위치에 형성된다.
참조 번호 164와 같은 해당 지지 벽은 도 3 및 4에서 하우징(131)이 세워져 있는 곳을 따른 방향을 가로지르는 오리피스(178)의 지점에 형성된다.
이 오리피스(178) 및 하우징은 연통하며, 특히, 도 3의 참조 번호 180에서 개략적으로 보여진 나사와 같은 용기 상에서 손잡이를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을 맞물리게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대안적으로서, 돌출부는 스터드의 상부 방향으로 후방에 위치될 수 있으며, 그런 다음, 따라서 코오퍼레이팅 하우징은 하우징의 상부에서 후방에 위치된다.
도 2 내지 4에서, 지지 벽(164)은 관련된 하우징의 가장자리에서, 여기서는 가로 방향 오리피스(178)의 교차점(intersection)의 가장자리에서 형성된다.
삭제
따라서, 트렌스레이션 동안, 돌출부(162)는 이러한 가로 방향 오리피스(도 3 및 4 참조)를 마주하며, 여기서는 위의 벽(164)이 락킹 틸팅 동안 그 곳에 남아 있을 수 있어서 그것의 통로(path) 상에 위치된 지지 벽과 맞물린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참조 번호 125 등의 스터드, 참조 번호 131 등의 하우징 및 참조 번호 101 등의 동일한 손잡이에는, 이 손잡이의 제2 반대 끝단부(117b)보다 손잡이가 용기에 연결되는 제1 끝단부(117a)가 더 근접하게 위치된다.
이것은 용기 측 상의 부가적인 중량과 결합되고, 그리고 코오퍼레이팅 돌출부 및 하우징의 맞물림은 얻어질 락킹을 발생시키는 "자연적인" 틸팅 요구를 향상 시킨다.
또한, 참조 번호 162와 같은 각각의 돌출부는 높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타원형 기저(oval base)를 가지는 원뿔대(truncated cone)의 만곡된 놉(rounded knob)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돌출부는 하부 방향으로 외형적으로 볼록한 기울어진 벽(162a)의 하부 지역(bottom zone)을 포함한다.
보완적인 방법에 있어서, 참조 번호 164와 같은 해당 지지 벽은 상부 방향으로 오목한 기울어진 벽 영역에 의해 정의된다.
도 4에서, 적어도 두 개의 접촉 지역들(162a 내지 164 및 182b)은 하우징 내에서 스터드의 맞물림 및 지지 벽(164)에 대항하는 돌출부(162)의 맞물림으로 인하여 정의된다.
제1 접촉 지역(162a 내지 164)은 용기의 가장 근접한 측 상에서 스터드가 맞물리는 곳을 관통하는 하우징(131) 내의 개구부에 근접한 돌출부의 기저 방향으로 위치되어, 손잡이는 고정된다.
다른 접촉 지역(182b)(여기서는 상부 및 후방)은 하우징(131)의 하부(131b) 방향 및 스터드(129)의 상부(129b) 방향에 반대하여 위치된다.
용기의 측의 전방(front)(AV) 및 반대의 후방(rear)(AR)을 고려하면, 제1 주변 접촉 지역(first peripheral contact zone)은 다른 반대 접촉 지역(182b)이 후방 및 상부에 위치됨과 동시에 하우징 및 스터드의 하부 전방에 위치된다.
도 5에서의 변형에 있어서, 지지 벽(201)은 해당 손잡이(200)에 형성된 개구부(203)의 뒤에 위치된다.
이러한 개구부는 돌출부(205)로 하여금 그것을 관통하도록 적합하게 하며, 이 통로는 적층 동작 동안 발생한다.
지지 벽(207) 및 돌출부(205)는 손잡이(210)의 고정되지 않은(free) 끝단(210a)에 근접한 스터드(209) 및 하우징(211)으로부터 이격되어 위치된다.
이 도면에서, 기저(213)와 접촉하는 손잡이(210)의 전방 끝단에 근접한 손잡이(210)의 바닥 부분에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하방으로 유도된 스터드(209)는 하부 기기의 손잡이(200)의 상부에 형성된 하우징(215) 내에서 맞물린다.
더욱 정확히 말하면, 각각의 하우징은 손잡이의 벽에 의해서 부분적으로 그리고 동일한 기기의 용기의 영역에 의해서 부분적으로 정의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상부 기기(217)를 위하여, 외부 가장자리(external rim)에 이르면서 정면(frontal)(전방) 부분에서 이 하우징이 용기(221)의 측벽의 상부에 의해 범위가 정해짐과 동시에 손잡이(210)의 전방 부분에 세워져 있는 정면 벽(219)에 의해 등 부분(dorsal part)에서 하우징(211)의 범위가 정해진다.
고정 스터드(retaining stud)(209)에서, 후방에서 하우징(215)의 하부에 근접하게 위치된 하부 후방 부분과 접촉하는 고정 스터드(209)의 상부에 근접한 스터드의 후방 측면의 사이의 후방 접촉 지역(223b)의 주변(environment)에서, 그러나 사실은 스터드의 기저에 근접하고 용기의 가장자리 끝단과의 접촉에 의해 발생된 고정 스터드(209) 전방에 위치된 지역(225) 내의 전방 접합부에서 후방 하우징이 얻어지는 것을 또한 알 수 있다.
가장자리의 부재(absense) 또는 다른 실시예에서는, 전방 지지부(225)가 관련된 용기의 벽과 접촉이 보다 아래(lower)에서 발생하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다시 말해서, 스터드가 하우징(215)과 맞물릴 때, 상부 기기의 전방(용기 측 상으로)으로 약간 틸팅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틸팅은 개구부(203)를 관통하는 돌출부(205)의 통로에 의해 상위에 위치된다.
틸팅은 돌출부(205) 및 해당 지지 벽(201) 사이에 접합부를 구비하는 스터드(209)의 하우징 내에서 스터드(209)의 맞물림에 의해 발생된다.
스터드와 하우징은 돌출부 및 참조 번호 210과 같은 각 손잡이의 개구부보다 용기에 더 근접하게 위치된다.
돌출부는 여기서 본 건의 손잡이의 표면 상에서 돌출하는 후크의 형태를 가진다.
참조 번호 203과 같은 각각의 개구부는 본 건의 손잡이의 상부 벽(227)에 형성된다.
참조 번호 205와 같은 돌출부는 손잡이 아래로 돌출한다.
후크(205)는 실질적으로 수평인 외부 가장자리와 유사하게, 하부에서 손잡이의 끝단(210a)에 형성된다.
참조 번호 203과 같이 각각의 개구부는 이 끝단(여기서는 참조 번호 200a)으로부터 약간 함몰되어(recessed) 벽(201)이 개구부와 이 끝단(200a) 사이에 위치된 다.
상부 방향으로의 돌기를 구비한 돌출부를 형성하고, 그런 다음, 손잡이들의 하부 벽 내의 각각의 개구부를 생성하는 가능하다.
소스 냄비 대신에, 여기에 관련된 손잡이들을 다른 타입의 기기, 특히, 프라이 팬 및/또는 쿠킹 포트들에 연결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스터드 없이 또는 심지어 각각의 하우징을 정의하는 배치(conformation) 없이 만족스러운 양질의 적층(quality of stacking)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는, 손잡이 또는 (각각의) 손잡이의 세트가 손잡들 사이를 고정시키는 것과 관련된 포갬 수단(nesting means)을 가진 채, 특정 보호 영역(protection field)을, 본 도 5에 관련하여 도시된 돌출부 및 개구부(지지 벽을 구비)만을 정의할 수 있다.
이러한 가능성(possibility)은 수평이거나 수평에 근접한 맞물림을 가지는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기능들을 이행할 수 있는 스터드/하우징 어셈블리(assembly)이거나 또는 서로 근접한 두 개의 손잡이들 사이에서 각각의 경우에 맞물림을 제공하는 돌출-개구부(protrusion-opening)/수용 지역 어셈블리에서 각각의 손잡이(301 또는 303) 상에 배치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는 것이 도 6 내지 8에 도시되어 있다.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여기서는 두 번째 경우가 고려된다. 그러나, "돌출부" 대신에 "스터드" 그리고 "개구부(그것의 수용 지역, 보이드(void) 또는 솔 리더(solid)를 포함하는)" 대신에 "하우징"으로 수정될 수 있다.
하부 손잡이(303) 아래에는 지지 벽(307)을 정의하고 오목한 후크(hollow hook)의 종류를 서술하는, 여기서는 후방에 내부 가장자리를 가지는 개구부(305)가 제공된다.
이 손잡이의 상면에는 도시된 락킹 돌출부를 정의하는 후크(309)가 있으며, 그들의 형상은 상대적으로 밀접하게, 그러나 상부 손잡이(301)의 하부 면에서 개구부(305)의 이미지(image)인 후크 형상의 개구부(311) 내에 특정 간극을 가지고 맞물리기에 적합하다
이 손잡이의 상면(top face)에서는 후크(309)와 동일한 후크(305)가 존재한다.
도시된 기기들의 용기들은 크기가 다르다. 반면에, 앞에서 보여준 것과 같이, 손잡이들(301, 303)은 서로 동일하다.
도 7에서, 화살표 317에서 보여지는 것과 같이, 수평에 근접한 수평면으로 피봇 운동(pivoting movement)하는 본 건의 후크의 맞물림 또는 맞물림 해제(disengagement)를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개구부(311)가 오픈(open)된 것을 측면으로 보여준다.
여기서 직립된 벽(319)은 일 방향으로 피봇팅하는 개구부의 범위를 정하는 개구부(311)로 하부 측을 정의한다.
대안적으로서, 이러한 후크(315)의 일 측 상에 측면 하부 벽(lateral bottom wall)을 제공할 수 있다.
손잡이의 상면에서 후크(315)의 전방에서, 그리고 하부 면에서 개구부(311)의 전방에서, 손잡이의 벽은 비스듬히 경사진다(정면(320a) 또는 뒤로(320b) 경사진 표면).
손잡이를 적층시키는 최종적인(definitive) 위치에서, 틸팅이 아직 발생하지 않은 도 8의 화살표 321에서 보여지는 것과 같이 상부 손잡이(301)의 약간의 틸팅이 하부 손잡이(303)와 관련하여 바람직하게 제공된다. 조작자(operator)가 상부 손잡이(301)를 해제(release)시킬 때 발생한다.
따라서, 후크 형상의 개구부 또는 하우징(311)(벽(325a))을 형성하는 오목한 곳에 지지부가 일반적으로 존재한다. 다른 접합부가 존재한다. 다른 접합부는 후크(309)의 상부 외부 면(309a)에서, 경사진 전방 면(311)에서, 또는 (상부 손잡이 및 해당 용기 사이에서 연결 부분(connecting piece)(327)의 하부 면(327a)과의 접촉 또는 이 연결 부분에 인접하고 이 연결 부분을 붙잡을 수 있는 기저(329)의 하부 면과 접촉하는) 하부 용기(325)의 가장자리(325a)에서도 존재할 수 있다.
손잡이를 용기(333)에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나사(331))과 맞물리는 가로 방향 오리피스(329)는 면(320b) 상에 나타난다.
도 6 또는 8에서, 각각의 손잡이는 어떤 방법으로 참조 번호 315와 같은 하나의 상부 및 후크 형상의 개구부(311)에 밀착하여(immediately) 인접하게(바로 뒤(just behind)) 형성된 참조 번호 323과 같은 다른 하부 상에 두 개의 후크들을 구비한다.
도 6 내지 8의 이러한 변형에 있어서, "스터드"로서 "돌출부"를 그리고 "하우징"으로서 "개구부(그것의 수용 지역을 가지는)"를 다시 명명(renaming)함으로써, 손잡이들의 상호 맞물림에 의해 기기들의 적층은 안정화될 수 있으며, 그들 중 일개 상의 스터드는 타개 상의 스터드에서의 보완적인 하우징 내에 수용되게 하는데, 이는 서로의 상기 손잡이들의 측면 또는 실질적인 수평 피봇팅(pivoting)에 의해 이루어진다.
- 도 6 내지 8에서, 오리피스들(그 결과의 수컷/암컷(male/female))을 구비한 스터드들이 돌출부들(그 결과의 암컷/수컷(female/male))을 구비한 하우징들과 역으로(conversely) 결합함과 동시에,
- 도 1 내지 4에서, 돌출부들(및 그 결과의 수컷/수컷)을 구비한 스터드들이 오리피스들(178)(및 그 결과의 암컷/암컷)을 구비한 하우징들과 결합하는 것을 유용하게 고려할 수 있다.
지금 까지는 후크를 구비하기 위하여 스터드가 그것의 오리피스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체적(volume)이 된다.
다시 말해서, 보완적인 하우징(311)(또는 도 8의 305)이 돌출부(해당 후킹 영역(hooking zone)을 정의하는 가장자리 323-1 또는 307-1)로 고려될 수 있는 어떤 것을 구비함과 동시에 하우징 또는 오리피스(316)을 구비하도록 하는 형상(여기서는 후킹 영역을 정의하는 가장자리(315-2)을 가지는)을 가지는 스터드(도 6의 315-1)로 후크(315)가 고려될 수 있다.
하우징(311)을 고려하면, 스터드(315-1)와 유사하게, 하우징(311)이 세워져 있는 곳을 따라, 여기서는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수직 축(311-2)으로 가로로(여기 서는 실질적으로 수평적으로) 하우징(311)이 연장되기 때문에, 도 6의 참조 번호 311-1에서 소위(so-called) "가로 방향 오리피스"를 구비하는 것을 또한 고려할 수 있다.
도 6 내지 8의 경우에 있어서, 결과적으로 적층될 기기들 사이에서 틸팅은 수직 축(도 8의 317-2) 둘레에서 서로와 관련하여 피봇하게 위치된 기기들의 손잡이들에 따라 실질적으로 수평 면(317-1 및 도 7의 화살표(317))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발생하며, 이러한(제1) 틸팅은, 만일 원한다면, 도 8의 화살표(321)에 해당하는 제2의 하나에 의해서 추가될 수 있다.
이러한 도 6 내지 8의 경우에 있어서, 지지부 없이 이것들의 오리피스(참조 번호 311-1 및 316과 같은) 내에서 돌출부(참조 번호 315-2 및 323-1과 같은)의 맞물림이 존재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수용 지역(311-1, 316)은 특히 도 1 내지 4에서의 해결책과는 달리 지지 벽 없는 "비어 있는(empty)" 체적일 수 있다.

Claims (20)

  1. 요리 도구 및 핫 플레이트 중 어느 하나에 사용될 제 1 및 제 2 요리용 주방 기기 각각을 맨손으로 파지하기 위한 제 1 및 제 2 손잡이의 세트에 있어서,
    - 상기 제 1 및 제 2 기기는 각각, 음식을 수용하고 적층 단계로 서로 적층되도록 구성된 제 1 및 제 2 용기를 포함하고,
    - 상기 제 1 및 제 2 손잡이 각각은, 적층으로 포개진 상기 제 1 및 제 2 용기를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손잡이의 오목한 지역에 의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정의된 스터드(125, 129, 209) 및 하우징을 구비하며,
    - 상기 제 1 손잡이의 하우징 및 스터드는, 상기 스터드 및 하우징과 각각 상호 보완적이고 상기 제 2 손잡이에 제공된 추가적인 스터드 및 추가적인 하우징과 각각 결합되며,
    - 락킹 돌출부 및 수용 지역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 1 손잡이에 제공되고, 각각이 상기 제 2 손잡이에 제공된 추가적인 수용 지역 및 추가적인 락킹 돌출부 중 적어도 하나와 결합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손잡이를 적층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과 스터드 및 상기 추가적인 스터드와 추가적인 하우징 각각은 상방향 및 하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및 제 2 손잡이의 세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손잡이의 수용 지역 내에서 상기 제 1 손잡이의 락킹 돌출부의 결합은, 상기 제 1 및 제 2 손잡이 중 어느 하나를 다른 하나에 대해 하방향으로 틸팅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적층 단계 도중 일어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및 제 2 손잡이의 세트.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 및 수용 지역 중 어느 하나는, 홈 및 돌기 중 어느 하나로서의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거나 하우징 인근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및 제 2 손잡이의 세트.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틸팅에 앞서 상기 적층 단계는, 상기 틸팅 도중 상기 제 1 손잡이의 돌출부와 상기 제 2 손잡이의 수용 지역이 서로 자체-잠금(self-locked)되기 전에, 상기 제 1 손잡이의 돌출부와 상기 제 2 손잡이의 수용 지역이 서로 밀접하게 되도록 하는 트랜스레이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및 제 2 손잡이의 세트.
  5. 제 2항에 있어서,
    - 상기 결합은 수직적으로 일어나거나 실질적으로 수직한 평면에서 일어나며,
    - 상기 스터드 및 하우징 중 어느 하나는 손잡이와 마주 보도록 세워지며,
    - 상기 제 1 손잡이의 돌출부는 상기 스터드의 직립된 벽을 따른 위치에 형성되며,
    - 상기 제 2 손잡이의 수용 지역은, 상기 스터드 및 상기 하우징 중 어느 하나가 상승하는 방향 및 상기 하우징이 연결되는 방향을 가로지르는 오리피스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및 제 2 손잡이의 세트.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지르는 오리피스(178)는 상기 용기에 상기 손잡이를 고정시키기 위한 나사(180)를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및 제 2 손잡이의 세트.
  7. 제 5항에 있어서,
    - 상기 돌출부 및 상기 가로지르는 오리피스는 둘 모두 상기 제 1 및 상기 제 2 손잡이에 제공되며,
    - 상기 적층 단계 도중 상기 제 1 손잡이의 돌출부는, 틸팅이 끝날 때, 상기 제 2 손잡이의 가로지르는 오리피스(178)에 마주하는 곳에 도달하고 그리고 그곳에 머무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및 제 2 손잡이의 세트.
  8.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손잡이는 제1 끝단에서 상기 제 1 용기에 연결되며,
    상기 제 1 손잡이에는, 상기 제 1 손잡이의 반대쪽 제 2 끝단보다 상기 제 1 끝단에 더 가까이 위치되는 상기 스터드 및 상기 하우징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및 제 2 손잡이의 세트.
  9.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 상기 제 1 손잡이의 락킹 돌출부는 외형적으로 하방으로 볼록한 하부 기울어진 벽 지역(162a)을 포함하고, 그리고
    - 상기 제 2 손잡이의 추가적인 수용 지역(164)은, 상방으로 오목하고 상기 하부 벽 지역(162a)을 밀접하게 수용하도록 구성된 기울어진 벽 지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및 제 2 손잡이의 세트.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손잡이의 수용 지역(201, 307, 311-1, 316)은 상기 제 1 손잡이에 제공되는 개구부 뒤에 위치되며, 상기 개구부는 상기 돌출부가 상기 개구부를 관통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및 제 2 손잡이의 세트.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손잡이의 수용 지역 내에서 상기 제 1 손잡이의 락킹 돌출부의 결합은, 상기 제 1 및 제 2 손잡이 중 어느 하나를 다른 하나에 대해 하방향으로 틸팅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적층 단계 도중 일어나며,
    상기 적층 단계는, 상기 추가적인 락킹 돌출부(205, 315)가 상기 개구부(203, 305)를 통과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통과하는 단계에 뒤이어 상기 틸팅시키는 단계가 수행되어, 상기 하우징(215) 내에서 상기 추가적인 스터드의 결합을 유발하고 상기 추가적인 락킹 돌출부와 상기 수용 지역의 결합을 유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및 제 2 손잡이의 세트.
  12. 제 10항 또는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적인 락킹 돌출부(315, 315-1, 315-2, 205)는 상기 제 2 손잡이의 표면 상에서 돌출하는 후크의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및 제 2 손잡이의 세트.
  13. 제 10항 또는 제 11항에 있어서,
    - 상기 개구부(203)는 상기 제 1 손잡이의 상부(277) 및 하부 벽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고,
    - 그리고 상기 추가적인 락킹 돌출부는 상방향 및 하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돌출하는 후크의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및 제 2 손잡이의 세트.
  14. 요리 도구 및 핫 플레이트 중 어느 하나의 가열 구역에 위치될 제 1 및 제 2 요리용 주방 기기의 세트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기는 적층 단계로 상기 제 2 기기와 적층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기기는 각각 내부에 음식을 수용하는 제 1 및 제 2 용기 및 각각 상기 제 1 및 제 2 기기를 들기 위한 제 1 및 제 2 손잡이를 포함하며,
    상기 적층 단계는:
    - 상기 제 1 및 제 2 주방 기기 중 어느 하나를 아래에 위치된 다른 하나에 대해 틸팅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손잡이에 제공된 락킹 돌출부 및 수용 지역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제 2 손잡이에 제공된 추가적인 락킹 돌출부 및 추가적인 수용 지역 중 적어도 하나를 결합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락킹 돌출부 및 수용 지역 중 적어도 하나는 스터드 및 하우징이 연장되는 각각의 방향으로 가로질러 연장되고, 상기 추가적인 락킹 돌출부 및 추가적인 수용 지역 중 적어도 하나는 추가적인 스터드 및 추가적인 하우징이 연장되는 각각의 방향으로 가로질러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및 제 2 요리용 주방 기기의 세트.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스터드 및 상기 추가적인 하우징은 하나가 다른 하나의 안으로 결합되고, 상기 락킹 돌출부(162, 205, 309)는 상기 추가적인 수용 지역(164, 201, 323a)과 결합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손잡이(117, 119, 200, 210, 301, 303)는 수직적으로 포개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및 제 2 요리용 주방 기기의 세트.
  1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 돌출부 및 수용 지역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추가적인 스터드 및 추가적인 하우징으로 각각 가로질러 연장되는 것을 특징을 하는 제 1 및 제 2 손잡이의 세트.
  1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손잡이는 동일한 손잡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및 제 2 손잡이의 세트.
  18.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 돌출부 및 수용 지역 중 적어도 하나는 각각 상기 스터드 및 하우징의 직립 벽을 따르는 지점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및 제 2 손잡이의 세트.
  19. 제 14항 또는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손잡이는 동일한 손잡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및 제 2 요리용 주방 기기의 세트.
  20. 제 1항에 있어서,
    - 상기 결합은 수직적으로 일어나거나 실질적으로 수직한 평면에서 일어나며,
    - 상기 스터드 및 하우징 중 어느 하나는 손잡이와 마주 보도록 세워지며,
    - 상기 제 1 손잡이의 돌출부는 상기 스터드의 직립된 벽을 따른 위치에 형성되며,
    - 상기 제 2 손잡이의 수용 지역은, 상기 스터드 및 상기 하우징 중 어느 하나가 상승하는 방향 및 상기 하우징이 연결되는 방향을 가로지르는 오리피스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및 제 2 손잡이의 세트.
KR1020087017370A 2005-12-16 2006-12-08 적층 가능한 주방 기기를 위한 손잡이 그리고 이러한손잡이들 및 기기들의 세트 KR1010021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512861A FR2894802B3 (fr) 2005-12-16 2005-12-16 Poignee pour article culinaire empilable et ensemble de tels poignees et articles
FR0512861 2005-12-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8721A KR20080078721A (ko) 2008-08-27
KR101002141B1 true KR101002141B1 (ko) 2010-12-17

Family

ID=381215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7370A KR101002141B1 (ko) 2005-12-16 2006-12-08 적층 가능한 주방 기기를 위한 손잡이 그리고 이러한손잡이들 및 기기들의 세트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8272531B2 (ko)
EP (1) EP1959804B1 (ko)
JP (1) JP4751452B2 (ko)
KR (1) KR101002141B1 (ko)
CN (1) CN101330856B (ko)
AT (1) ATE469590T1 (ko)
BR (1) BRPI0619859A2 (ko)
DE (1) DE602006014724D1 (ko)
FR (1) FR2894802B3 (ko)
WO (1) WO2007080252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5099B1 (ko) * 2018-01-18 2019-04-02 김학래 냄비의 손잡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13840B2 (en) * 2005-03-28 2013-04-09 Seb S.A. Handle for cookware
KR100935597B1 (ko) * 2009-02-27 2010-01-07 정광순 이중조리기구와 그 제조방법
US8978547B2 (en) * 2011-04-08 2015-03-17 L. Paul Salvino Cooking assembly
DE102011075204B4 (de) * 2011-05-04 2014-05-22 Baumgarten handle systems KG Beschlagteil zur Befestigung an einem Koch- oder Bratgefäß
ITGE20130042A1 (it) * 2013-04-23 2014-10-24 Gruppo Palumbo S R L "apparato composto da un cestello e da una teglia o padella di contenimento, particolarmente adatto per la frittura dei cibi"
KR101533598B1 (ko) * 2013-12-05 2015-07-03 (주)삼미통상 안정성과 열효율이 향상된 이중조리용기
US10106296B2 (en) 2016-01-08 2018-10-23 Wki Holding Company, Inc. Nesting cooking vessels
US10486857B2 (en) 2016-02-25 2019-11-26 Calphalon Corporation Stackable cookware and lids
CN206852487U (zh) * 2017-01-18 2018-01-09 浙江中信厨具有限公司 一种套锅
JP6844813B2 (ja) * 2017-03-21 2021-03-17 マイヤー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ーズ リミテッド 調理用品および調理器具の取っ手部
US11039706B2 (en) 2018-12-19 2021-06-22 E. Mishan & Sons, Inc. Stackable and nestable cookware having a stable configuration
US11235906B2 (en) 2018-12-19 2022-02-01 E. Mishan & Sons, Inc. Stackable and nestable cookware having a stable configuration
USD879546S1 (en) * 2019-01-02 2020-03-31 E. Mishan & Sons, Inc. Stackable cookware
CN109974047A (zh) * 2019-04-30 2019-07-05 沈科泽 一种锅体防烫防侧翻聚能盘
USD904111S1 (en) 2019-08-02 2020-12-08 E. Mishan & Sons, Inc. Stackable piece of cookware
USD904112S1 (en) 2019-08-02 2020-12-08 E. Mishan & Sons, Inc. Stackable piece of cookware
US20220061564A1 (en) * 2020-09-02 2022-03-03 Dart Container Corporation Stackable cutlery
US11871875B2 (en) 2021-09-08 2024-01-16 Sharkninja Operating Llc Collapsible handle for cookware lid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57038A (en) 1997-01-15 1999-09-28 Shimazaki; Junji John Cooking pot with reversible multi-function top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268017A (en) * 1916-03-07 1918-05-28 Alice May Knight Saucepan.
US2073475A (en) * 1936-04-03 1937-03-09 Thomas S Gordon Pot handle
FR1301322A (fr) * 1961-07-03 1962-08-17 Perfectionnement aux casseroles et autres ustensiles similaires de cuisine
US3765563A (en) * 1969-01-09 1973-10-16 P Kraft Safety lock for pressure cooker handle
DE2553308C3 (de) * 1975-11-27 1982-03-11 Gebr. Dingerkus, 5952 Attendorn Stielgriff für einen Topf o.dgl.
US4423825A (en) * 1982-11-12 1984-01-03 Heinrich Baumgarten Kg Eisen-Und Blechwarenfabrik Steam pressure cooking pot
DE8436478U1 (de) * 1984-12-13 1985-03-21 Heinrich Baumgarten KG, Spezialfabrik für Beschlagteile, 5908 Neunkirchen Hohlgriff aus metall
JPH0425097Y2 (ko) * 1986-05-27 1992-06-15
US5422076A (en) * 1991-03-11 1995-06-06 Jones; R. Shane Combined urine specimen bottle and cap
CN2118468U (zh) * 1991-11-09 1992-10-14 周友华 压力锅合盖开盖安全防爆装置
US5924592A (en) * 1992-12-21 1999-07-20 Hieronymus; John R. Unitable utensils and container handles
JPH10153A (ja) * 1996-06-14 1998-01-06 Zojirushi Corp 電気調理器
CN2267729Y (zh) * 1996-07-01 1997-11-19 广东长久实业有限公司 压力锅手柄
GB2439271A (en) * 2006-06-24 2007-12-27 Gavin Thomson A nesting set of saucepans, with nesting lids and handl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57038A (en) 1997-01-15 1999-09-28 Shimazaki; Junji John Cooking pot with reversible multi-function top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5099B1 (ko) * 2018-01-18 2019-04-02 김학래 냄비의 손잡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PI0619859A2 (pt) 2011-10-25
KR20080078721A (ko) 2008-08-27
JP2009519069A (ja) 2009-05-14
FR2894802A1 (fr) 2007-06-22
EP1959804A2 (fr) 2008-08-27
US8272531B2 (en) 2012-09-25
CN101330856A (zh) 2008-12-24
DE602006014724D1 (de) 2010-07-15
WO2007080252A3 (fr) 2007-10-25
WO2007080252A2 (fr) 2007-07-19
ATE469590T1 (de) 2010-06-15
EP1959804B1 (fr) 2010-06-02
FR2894802B3 (fr) 2008-03-07
CN101330856B (zh) 2010-12-29
US20090049650A1 (en) 2009-02-26
JP4751452B2 (ja) 2011-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2141B1 (ko) 적층 가능한 주방 기기를 위한 손잡이 그리고 이러한손잡이들 및 기기들의 세트
KR102320240B1 (ko) 조리용품 및 도구 손잡이
KR101166283B1 (ko) 적층식 조리 기구들 및 개조된 덮개 및 액세서리
US20090321446A1 (en) Interlocking Cookware Vessel and Lids
US20080206437A1 (en) Combined Steaming/Poaching and Sauce Preparation
JP3200334U (ja) 多用途鍋
US9211039B2 (en) Cooking utensil with stab and catch detachable handle
US5656188A (en) Stackable skillet with extendable side and adjustability features
USD932227S1 (en) Cooking blender, steamer, warmer, and defroster for baby food
JP2009160037A (ja) 調理用鍋
KR102186655B1 (ko) 거름 망을 구비한 조리용 기구
KR200215679Y1 (ko) 남비의 본체 손잡이 장치
KR200450039Y1 (ko) 찜용 조리 받침대
KR20090070170A (ko) 뚝배기의 이중 뚜껑 구조
KR200302424Y1 (ko) 다용도 이중 냄비
WO2011020220A1 (en) Interlocking cookware vessel and lids
KR102678757B1 (ko) 조리기구
KR20130078014A (ko) 주방용 조리용기
KR20140020667A (ko) 조리 및 보관용 분할용기를 가진 분리형 조리기구
KR20090002989U (ko) 전자레인지용 음식 조리기
KR200482851Y1 (ko) 다기능 육류 구이판
NO163665B (no) Beholder for lagring og tilberedning av matvarer.
US263826A (en) Bail ear and lug
KR20080081109A (ko) 조리기구용 탈부착 핸들
CA2045569A1 (en) Container for liquids, in particular a microwave po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