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0359B1 - 현금출납장을 기반으로한 복식 회계 처리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현금출납장을 기반으로한 복식 회계 처리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0359B1
KR101000359B1 KR1020080091381A KR20080091381A KR101000359B1 KR 101000359 B1 KR101000359 B1 KR 101000359B1 KR 1020080091381 A KR1020080091381 A KR 1020080091381A KR 20080091381 A KR20080091381 A KR 20080091381A KR 101000359 B1 KR101000359 B1 KR 1010003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h
withdrawal
deposit
transaction
trans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13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32476A (ko
Inventor
이원노
Original Assignee
이원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원노 filed Critical 이원노
Priority to KR10200800913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0359B1/ko
Publication of KR201000324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24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03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03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12Account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Technology Law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현금 출납장을 기반으로한 복식 회계 처리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것으로, 현금출납장을 기반으로한 복식 회계 처리 시스템은 현금출금, 현금입금, 예금지출, 예금수취, 이체출금, 및 이체입금으로 이루어진 거래 유형 및 상기 거래 유형에 대응하는 계정과목 테이블을 저장하고 있으며, 현금 출납장 파일을 저장하고, 입력과 상기 현금 출납장 입력을 기초로 하여 회계처리를 하도록 하는 회계 처리 프로그램 및 회계처리 결과를 저장하는 보조 기억장치; 사용자로 하여금 거래 내역을 연월일, 현금출금, 현금입금, 예금지출, 예금수취, 이체출금, 및 이체입금으로 이루어진 거래 유형, 계정과목, 금액, 거래처, 적요로 분해하여 입금/출금 방식으로 입력하도록 입력화면인 현금 출납장 화면을 출력하는 출력장치; 사용자가 거래정보를 입력하거나 기저장된 정보를 조회하되, 상기 출력장치로부터 특정의 출력결과인 계정별 원장 및 기타 회계정보를 얻기 위한 검색조건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장치; 상기 보조 기억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회계처리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상기 입력장치에 의해 입력된 현금출납 내역과 계정과목 테이블을 이용하여 현금 출납장 파일을 작성하고, 입력장치를 통한 사용자의 요청신호에 따라 과목별 원장, 잔액 시산표, 대차 대조표, 및 손익 계산서를 선택적으로 작성하되 중앙처리장치를 포함한다.
회계, 현금 출납장

Description

현금출납장을 기반으로한 복식 회계 처리 방법 및 시스템{Cash Income-based Double entry book keeping method and system}
본 발명은 현금 출납장을 기반으로한 복식 회계 처리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종래의 회계 방식에서와 같이 이론적 근거도 취약한 차변과 대변 방식의 분개가 아니라 현금 출납장에 입금과 출금방식의 기록방법에 의하여 비전문가라도 쉽게 거래를 입금과 출금으로 입력하고, 여기서 파생되는 총계정원장(이하 '계정별 원장'라 함) 및 각종 집계 장부와 재무제표를 쉽게 작성 및 해석할 수 있도록 하는 현금 출납장을 기반으로한 복식 회계 처리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업 경영 활동에서 거래가 발생하면, 각 기업의 회계처리 방식에 따라 그 거래를 체계화하여 분류하는 이른바 부기(book-keeping)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도 1은 일반적으로 행해지고 있는 종래의 회계처리 방식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먼저 거래가 발생하면(단계 S110), 그것이 부기상의 거래인지 판별한다(단계 S120). 이 판별에서 부기상의 거래가 아니라고 판정되면 프로 그램을 종료하고, 부기상의 거래라고 판정되면 거래를 차변과 대변으로 구분하여 즉 분개하여 분개장 또는 전표에 그 거래를 기록한다(단계 S130). 여기서, 분개는 거래의 성격이 자산, 비용의 증가 및 부채, 자본, 수익의 감소이면 계정과목과 금액을 차변으로 할당하고, 자산, 비용의 감소 및 부채, 자본, 수익의 증가이면 계정과목과 금액을 대변으로 할당하는 작업을 의미한다. 이렇게 하여 전표의 작성이 완료되면, 입력된 전표를 집계하여 계정별원장 및 잔액시산표(이하 시산표) 등의 중간 장부를 작성한다(단계 S140 및 S150). 그리고, 최종적으로 시산표를 토대로 대차대조 및 손익계산서 등의 재무제표를 작성한다(단계 S160).
그런데, 이상과 같은 종래의 회계처리 방식은 이해하기가 어려워 배우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배운 바대로 회계거래를 기록, 집계하고 이를 해석하여 경영 실무에 활용하는데 많은 문제가 있다. 즉, 분개장 기록시 어느 계정을 차변에 기록하고, 어느 계정을 대변에 기록해야 할지, 그 판단능력을 갖는데 많은 시간과 교육이 소요된다.
또한, 원장 전기시에 분개장 금액을 차대 어느 쪽에 기입해야 하는지에 대하여 혼동이 많고, 원장의 잔액계산시 차변에서 대변을 차감해야 하는지 또는 대변에서 차변을 차감해야 하는 지에 대하여도 혼동이 많다. 이는 잔액 시산표 작성 및 해석 시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이러한 이유로 기업의 경리 담당자 및 관련 임직원들도 그들이 작성한 분개장, 원장, 재무제표가 정확한 이론적 절차에 따라 작성된 것인지 아닌지 불확실한 상태에서 손익 및 재무관리를 하고 있는 경우가 많아 효율적인 기업경영에 중대한 장애 요소가 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종래의 회계 방식에서와 같이 이론적 근거도 취약한 차변과 대변 방식의 분개장 기록이 아니라 현금 출납장에서 사용되는 입금과 출금 방식의 기록방법에 의하여 비전문가라도 쉽게 거래를 복식으로 분해 입력하고, 여기서 파생되는 계정별원장 및 각종 집계 장부와 재무제표를 복식으로 쉽게 작성 및 해석할 수 있도록 하는 현금 출납장을 기반으로한 복식회계 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복식 회계 처리 방법은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장치, 현금 출납장화면을 출력하기 위한 출력장치, 회계처리프로그램 및 회계처리결과를 저장하는 보조기억장치 및 상기 장치 전반을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를 포함하는 현금출납장을 기반으로한 복식 회계 처리 시스템을 이용한 복식 회계 처리 방법에 있어서,
(i) 상기 입력장치로부터의 입력신호에 따라 거래 내역으로서 연월일, 현금출금, 현금입금, 예금지출, 예금수취, 이체출금, 이체입금으로 이루어진 거래 유형, 계정과목, 금액, 거래처, 적요란이 포함된 입금/출금 방식의 현금 출납장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ii) 상기 거래 내역을 연월일, 거래 유형, 계정과목, 금액, 거래처, 적요로 구분하여 회계 전표가 입력완료됨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현금 출납장 파일을 형성 및 저장하는 단계;
(iii) 상기 입력장치로부터의 입력신호에 따라 과목별 원장 작성이 요구됨에 따라 상기 회계 처리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상기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현금 출납장 파일을 검색하여 해당 계정 과목이 입력된 전표를 하나씩 추출하여 과목별 원장을 작성하는 단계;
(iv) 상기 입력장치로부터의 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과목별 원장에 대한 잔액시산표가 요구됨에 따라 해당 과목별 원장에 대한 과목별 잔액 정보를 집합시킨 잔액 시산표를 작성하는 단계;
(v) 대차 대조표 또는 손익 계산서가 요구되어 있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vi) 상기 입력장치로부터의 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대차 대조표가 요구된 경우 상기 잔액 시산표에서 자산, 부채 계정 잔액을 추출하여 입출겸용 방식의 대차 대조표를 작성하고, 상기 손익 계산서가 요구된 경우 상기 잔액 시산표에서 수익, 비용 계정잔액을 추출하여 입출겸용 방식의 손익 계산서를 작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른 복식 회계 처리 시스템은 현금출금, 현금입금, 예금지출, 예금수취, 이체출금, 및 이체입금으로 이루어진 거래 유형 및 상기 거래 유형에 대응하는 계정과목 테이블을 저장하고 있으며, 현금 출납장 파일을 저장하고, 입력과 상기 현금 출납장 입력을 기초로 하여 회계처리를 하도록 하는 회계 처리 프로그램 및 회계처리 결과를 저장하는 보조 기억장치;
사용자로 하여금 거래 내역을 연월일, 현금출금, 현금입금, 예금지출, 예금수취, 이체출금, 및 이체입금으로 이루어진 거래 유형, 계정과목, 금액, 거래처, 적요로 분해하여 입금/출금 방식으로 입력하도록 입력화면인 현금 출납장 화면을 출력하는 출력장치;
사용자가 거래정보를 입력하거나 기저장된 정보를 조회하되, 상기 출력장치로부터 특정의 출력결과인 계정별 원장 및 기타 회계정보를 얻기 위한 검색조건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장치;
상기 보조 기억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회계처리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상기 입력장치에 의해 입력된 현금출납 내역과 계정과목 테이블을 이용하여 현금 출납장 파일을 작성하고, 입력장치를 통한 사용자의 요청신호에 따라 과목별 원장, 잔액 시산표, 대차 대조표, 및 손익 계산서를 선택적으로 작성하되 중앙처리장치를 포함하여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현금 출납장을 기반으로한 복식 회계처리 시스템 및 방법은 전표입력시 차대 분개장이 아니라, 입금 및 출금(현금입금/현금출금, 예금수취/예금지출, 이체입금/이체출금)이라는 상식적인 용어를 사용하여 이체거래를 포함한 모든 거래를 현금 출납장에 통합적으로 입력하고, 원장 및 시산표 등의 작성 및 출력 시에도 차변 및 대변이 아니라 입금 및 출금이라는 상식적인 용어를 사용하므로, 비전문가라도 쉽게 거래를 복식으로 분해 입력하고, 여기서 파생되는 계정별원장 및 각종 집계 장부와 재무제표를 쉽게 복식으로 작성 및 해석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예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금 출납장을 기반으로한 복식 회계처리 시스템 및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말하는 현금 출납장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현금 출납장과 외견상 유사하나, 그 기능면에서는 매우 큰 차이가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현금 출납장을 기반으로한 복식 회계처리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현금 출납장을 기반으로한 복식 회계처리 시스템(200)은 보조 기억장치(210), 출력장치(220), 입력장치(230), 중앙처리장치(CPU)(2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보조 기억장치(210)는 현금출금, 현금입금, 예금지출, 예금수취, 이체출금, 및 이체입금으로 이루어진 거래 유형 및 상기 거래 유형에 대응하는 계정과목 테이블을 저장하고 있으며, 현금 출납장 입력과 그 입력을 기초로 하여 회계처리를 하도록 하는 회계처리 프로그램(212) 및 회계처리 결과를 저장한다.
상기 출력장치(220)는 입력화면인 현금 출납장 화면을 출력한다. 즉, 사용자로 하여금 거래 내역을 연월일, 현금출금, 현금입금, 예금지출, 예금수취, 이체출금, 및 이체입금으로 이루어진 거래 유형, 계정과목, 금액, 거래처, 적요 등으로 분해하여 입력할 수 있는 화면을 출력한다. 이와 같은 출력장치(220)는 어떤 상태나 회계 처리 결과 데이터를 화상으로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예컨대, 컴퓨터 모니터)(222)와, 상기 회계 처리 결과 데이터를 인쇄물로 제공하는 프린터(224)로 구성될 수 있다.
입력장치(230)는 사용자가 거래정보를 입력하는 한편 상기 출력장치(220)로부터 특정의 출력결과, 즉 계정별 원장 및 기타 회계정보를 얻기 위한 검색조건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입력장치(230)로는 키보드, 마우스, 전자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CPU(240)는 상기 보조 기억장치(210)에 저장되어 있는 회계처리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입력된 현금출납 내역과 계정과목 테이블을 이용하여 회계처리를 수행한다. 이와 같은 CPU(240)에는 데이터 처리를 위한 기억장치인 ROM(Read Only Memory) 및 RAM(Random Access Memory)이 포함된다.
그러면,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현금 출납장을 이용한 복식 회계처리 시스템에 의한 회계처리 방법에 대하여 설명해 보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현금 출납장을 기반으로한 복식 회계처리 방법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기업에서 구매 및 판매 등의 거래가 발생하면, 사용자는 본 발명의 회계처리 시스템(200)을 가동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회계처리 시스템(200)의 출력장치(220)는 사용자가 거래 내역을 입력할 수 있도록 현금 출납장을 디스플레이한다. 현금 출납장이 디스플레이되면, 사용자는 회계처리 시스템(200)의 입력장치(230)를 이용하여 거래정보 항목인 연월일을 입력한다(단계 S310).
이후 회계처리 시스템(200)은 보조 기억장치에 코드화되어 저장되어 있는 6가지 거래 유형을 디스플레이 장치(222)를 통해 표시한다. 이를 참조하여 사용자는 현재 입력대상 거래의 유형을 선택 입력한다(단계 S320). 선택가능한 거래 유형은 현금출금/현금입금/예금지출/예금수취/이체출금/이체입금의 6가지이다. 이 6가지는 크게 두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즉 입금과 출금이다. 현금입금/예금수취/이체입금은 입금 그룹에 해당되고, 현금출금/예금지출/이체출금은 출금 그룹에 해당된다. 설명의 편의상 현금출금은 출금, 현금입금은 입금, 예금지출은 예출, 예금수취은 예수, 이체출금은 이출, 이체입금은 이입으로 약칭할 수도 있다. 또한 출금과 입금은 지출과 수입으로 표현할 수도 있다.
거래 유형이 선택 입력되면 프로그램은 계정과목 테이블을 참조하여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계정과목을 디스플레이 장치(222)를 통해 표시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이 선택한 거래 유형에 대응되는 계정과목을 입력장치(230)를 통해 입력한다(단계 S330).
그리고, 거래금액, 거래처, 적요, 등의 부가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는 바에 따라 문자 또는 숫자로 입력함으로써 회계처리를 위한 데이터 입력과정, 즉 거래 내역 입력과정을 완료한다(단계 S340).
사용자가 입력장치(230)를 통해 거래 내역 입력을 완료하면, 현금출납장을 기반으로한 회계처리 시스템(200)은 보조 기억장치(210)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회계정보, 즉 거래전표를 처리한다(단계 S350). 여기서, 거래전표의 처리는 사용자가 입력한 전표가 바르게 입력된 것인지를 판단하고 그 판단결과 오류가 없다고 결정되면 그 전표를 파일, 즉 보조 기억장치(210)에 저장하는 것을 말한다. 전표입력 오류 여부 판단의 핵심은 이체거래 입력시 이체출금과 이체입금을 동액으로 입력하였는가의 판별인데, 이에 대하여는 후술하고자 한다.
그리고, 데이터베이스에 축적된 전표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특정의 전표처리 절차를 거쳐 계정별원장 및 시산표, 손익계산서, 대차대조표 등의 보고서를 디스플레이장치(222)를 통해 화면상에 출력하는 한편 프린터(224)를 통해 인쇄물로 출력한다(단계 S360).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회계처리 방법에 대하여 표 1을 참조하여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해 보기로 한다.
표 1은 본 발명에 따른 거래입력 화면, 즉 현금 출납장 화면이다. 이 현금 출납장 화면은 외견상으로는 상식적인 의미의 일반적인 수기 현금 출납장과 비슷하며, 그 기능은 현금 출납장, 예금출납장, 이체현금 출납장 등의 3가지 장부의 기능을 갖는다. 여기서 예금이란 요구불예금 즉 보통예금을 의미한다. 현금 출납장 입력 화면은 일자, 전표번호, 거래 유형, 계정과목, 입금액, 출금액, 현금잔액, 거래처, 적요 등의 입력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표 1의 입력방법을 설명하면, 거래가 발생하면, 사용자는 1) 먼저 연월일을 기록한다. 2) 전표번호는 시스템이 자동으로 부여하므로 사용자는 그 입력을 생략한다. 3) 입력하고자 하는 거래 유형을 선택한다. 거래 유형은 전술한 바와 같이 현금출금/현금입금/예금지출/예금수취/이체출금/이체입금의 6가지가 있고, 사용자는 이 중 하나를 선택하여 입력하여야 한다. 4) 다음에는 계정과목을 입력한다. 계정과목은 전기료, 전화료 등과 같이 입출의 원인에 해당된다. 계정과목을 입력해야 계정과목별로 금액의 입출 내역과 잔액을 파악할 수 있다. 5) 금액은 거래 유형이 출금이면 출금 란에, 입금이면 입금 란에 입력해야 한다. 여기서 출금이란 현금출금/예금지출/이체출금 등의 3가지 거래 유형을 의미하고, 입금 현금입금/예금수취/이체입금 등의 3가지 거래 유형을 의미한다. 즉 거래 유형으로 예금지출을 선택한 경우, 그 금액을 출금 란에 입력해야 하고, 예금수취를 선택한 경우에는 입금 란에 그 금액을 입력해야 한다는 의미이다. 현금잔액은 현금입금에서 현금출금을 차감하여 시스템이 자동으로 표시해 주므로 사용자는 입력할 필요가 없다. 6) 금액을 입력 후에는 거래처와 적요를 입력하여야 하는데, 거래처와 적요 이 두 가지 요소는 필수입력 사항은 아니다. 그러나 거래처를 입력하면 거래처별 매출액 등과 같이 거래처별 계정별 잔액을 파악할 수 있으므로 고급 회계관리를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필수적 입력사항이라고 할 수 있다. 7) 현금거래 및 예금거래의 경우에는 거래처와 적요까지 입력 후 엔터를 누르면 1행의 입력으로 1 건의 거래입력이 완료된 것이다. 8) 그러나 이체거래의 경우에는 1행의 입력으로 거래입력이 완료되지 않고, 도 5의 예제거래 중 전표번호 6번의 거래처럼 최소 2행에 걸쳐 거래를 입력하되, 금액을 입출 동액으로 입력하여 이체입금=이체출금 조건을 충족해야 한다. 사용자가 거래 유형을 이체출금 또는 이체입금을 선택하고, 이후 계정과목, 금액, 적요 등을 입력하면, 프로그램은 이체입금=이체출금인지 비교하여 동액이 아니면 오류 메세지를 출력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이체입금=이체출금 조건을 충족하는 상대전표를 입력하도록 강제한다. 이후 이체입금=이체출금 조건 즉 입출 동액 조건이 충족되면, 프로그램은 이체거래와 관련된 부분전표 각각에 대하여 동일한 전표번호를 부여한다. 그리고 다음 거래 입력을 대기한다. 본 발명에서 이체거래는 현행부기의 대체거래라는 용어와 같은 의미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금출납장을 이용한 복식 회계 처리 방법을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기업에서 부기상의 거래가 발생하면, 즉, 사용자가 입력 장치(230)를 이용하여, 거래 요청 버튼(도시안됨)을 선택하면(단계 S400), 중앙 처리 장치(240)는 초기 현금 출납장 화면을 디스플레이 장치(222)에 디스플레이한다(S402). 그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초기 현금 출납장 화면에서 거래일자를 입력한다(단계 S405). 그리고 나서는 거래의 종류가 현금 거래인지 아닌지를 판단해야 한다(단계 S410). 단계 S410의 판단 결과, 현금 거래이면 입력장치(230)를 이용하여 거래 유형에 따라 현금출금 거래이면 1, 현금입금 거래이면 2를 입력한다(단계 S420). 이후에 입력장치(230)를 이용하여 현금의 입출금의 원인인 계정과목을 입력하고, 금액은 입금이면 입금 란에, 출금이면 출금 란에 입력하고, 이후 거래처 등의 기타요소를 입력한다(단계 430). 이 단계에서 금액을 입금 란 또는 출금 란에 입력하면, CPU(240)는 보조 기억장치(210)에 저장된 회계 처리 프로그램(212)을 구동하여 현금잔액을 자동으로 산출하여 디스플레이 장치(222)를 통하여 표시해 준다(단계 S435). 사용자가 최종입력 칸인 적요에서 엔터를 누르면 입력 커서는 현금 출납장의 다음 행 좌단의 월 입력 칸에 위치하게 되면서, 동시에 조금 전에 입력한 현금거래 전표를 보조 기억 장치(210)에 저장하므로서 현금전표의 입력이 완료된다(단계 S440).
단계 S410의 판단에서 현금거래가 아니면, 사용자가 원하는 거래 종류가 예금 거래인 지를 판단한다(S450).
단계 S450의 판단결과, 상기 사용자가 원하는 거래 종류가 예금 거래인 경우에는 먼저 예금으로 지출한 경우에는 거래 유형으로 예금 지출이면 3을 입력한다(단계 S460). 이후에는 그 입출의 원인인 계정과목, 그리고 금액 및 거래처 등의 기타요소를 입력한다(단계 S470). 전기료를 예금으로 이체지급한 경우, 거래 유형은 예금지출, 계정과목은 전기료, 해당금액은 출금 란에 기록하면 되는 것이다. 반대로 예금으로 수취한 경우에는 거래 유형으로 예금수취를 선택하고(즉 4를 입력하고)(단계 S460), 금액은 입금 란에 기록하고 거래처, 적요 등을 입력하므로써 예금수취거래의 입력이 완료되는 것이다(단계 S470). 예를 들어, 차입금을 예금으로 수취한 경우 거래 유형은 예금수취, 계정과목은 차입금, 금액은 입금 란에 해당금액을 기입하면 된다. 예금거래는 현금거래가 아니므로 시스템은 예금거래 입력 후 현금잔액을 계산 표시하지 않는다.
단계 S450의 판단 결과, 외상거래 또는 감가상각비 계상 및 매출원가 계상 등의 순수한 이체 거래인 경우, 사용자는 이체거래라는 1건의 거래를 적어도 2건의 간접 입출 거래로 분해하여 현금 출납장에 입력하여야 한다. 즉 1건의 거래를 적어 도 2개의 전표로 즉 2 개의 행에 입력하여야 한다(단계 S480 ~ S500). 외상매출 거래의 경우, 사용자는 먼저 상품 매출액을 현금으로 받은 것으로 가정하여, 거래월일 입력 후, 거래 유형에 6을 입력하여 이체입금으로 선택한다(단계 S480). 일단 현금매출로 가정하므로 계정과목은 상품매출이므로 계정 과목 란에 상품매출을 입력 후, 해당금액, 거래처, 적요 등을 입력한다(단계 S490). 이로써 이체입금 전표의 입력이 완료되나, 아직 입출이 일치하지 않으므로 사용자는 이체출금 전표를 입력해야 한다. 앞의 이체입금 전표 중 맨 마지막 입력사항인 적요를 입력 후 엔터를 누르면 커서는 월일란으로 이동한다. 이체입금 전표와 동일한 월일을 입력하고, 거래 유형으로는 5를 입력하여 이체출금을 선택한다(단계 S480). 계정과목은 매출채권을 선택하고 거래처 및 적요를 입력하여 이체출금 전표 입력을 완료한다(단계 S490). 이체출금으로 입력하는 이유는 상대방에게 매출대금을 현금으로 받아 이를 다시 그 상대방에게 대여해 준 것으로 가정하기 때문이다. 적요에서 엔터를 눌러 이체전표 입력 완료신호가 들어오면 시스템은 이전의 이체전표 여기서는 이체입금 전표의 금액과 이후에 들어온 이체출금 전표의 금액을 비교하여(단계 S500), 양자가 일치하면 적어도 2건의 이체전표에 대하여 1개의 동일한 전표번호를 부여하여 1건의 이체거래 입력으로 인정함과 동시에 2행의 이체전표를 보조 기억장치(210)에 저장한다(단계 S440). 그리고는 다음의 또 다른 거래의 입력을 대기한다.
표 1은 본 발명의 현금 출납장으로서 거래전표 입력화면 또는 현금 출납장 파일을 나타낸다. 거래전표 입력의 핵심 요소인 거래유형 6 가지에 대하여 1 ~ 6의 번호를 부여하고 있는데, 번호 자체에는 큰 의미가 없다. 거래유형 번호는 단지 식 별을 기호일 뿐이다. 따라서 식별이 가능한 모든 기호를 거래유형에 대응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번호 대신에 A ~ F 까지의 알파벳 문자로도 번호를 대용할 수 있다.
일자 전표
번호
거래 유형 계정과목 입금 출금 잔액 거래처 적요
1.1 1 2 현금입금 241 자본금 1,000   1,000 901 김두승 현금원시출자 거래
1.2 2 1 현금출금 121 상품   500 500 202 중경상사 현금매입 거래
1.3 3 1 현금출금 411 임차료   30 470   임차료 지급
1.4 4 2 현금입금 301 상품매출 450   920 203 북경상사 현금 매출 거래
1.5 5 1 현금출금 113 대여금   200 720 902 김철호 현금대여 거래
1.6 6 6 이체입금 301 상품매출 300     203 북경상사 외상매출 거래
  6 5 이체출금 108 매출채권   300   203 북경상사 외상매출 거래
1.7 7 2 현금입금 108 매출채권 120   840 203 북경상사 외상대 현금회수
1.8 8 6 이체입금 201 매입채무 400     202 중경상사 외상매입 거래
  8 5 이체출금 121 상품   400   202 중경상사 외상매입 거래
1.9 9 6 이체입금 301 상품매출 600     204 남경상사 외상매출 거래
  9 5 이체출금 108 매출채권   600   204 남경상사 외상매출 거래
1.10 10 6 이체입금 201 매입채무 700     205 동경상사 외상매입 거래
  10 5 이체출금 121 상품   700   205 동경상사 외상매입 거래
1.22 11 1 현금출금 201 매입채무   600 240 205 동경상사 외상대 현금지급
1.23 12 4 예금수취 209 차입금 700     903 민영호 차입금 예금이체수취
1.24 13 3 예금지출 412 전기료   60   904 한국전력 전기료 예금이체지급
1.25 14 3 예금지출 413 전화료   70   905 한국통신 전화료 예금이체지급
1.26 15 3 예금지출 209 차입금   100   903 민영호 차입금 예금이체상환
1.31 16 6 이체입금 121 상품 1,000       출고상품 제거분개
  16 5 이체출금 401 매출원가   1,000     매출원가 계상분개
* 예금거래와 이체거래 입력 후에는 현금잔액을 계산하지 않음.
* 계정코드 체계예시
자산 : 101~199, 부채 : 201~299, 수익 : 301~399, 비용 : 401~499, 제조원가 : 501~599
이체거래 입력법에 대하여 요약하면, 이체거래는 최소 2개 이상의 전표로 입력해야 하고, 입출 동액을 유지하는 한 그 입력 건수의 제한과 입력 순서의 제한은 없다. 입력순서란 이체출금과 이체입금 전표의 입력순서를 말하며, 그 순서에 상관없이 입출 동액을 유지한다면 어떤 방식으로 입력해도 정당한 전표로 인정된다는 의미이다. 다만, 이체거래 전표 입력 도중에 즉 입출 동액이 아닌 상태에서 순수한 현금전표를 입력하면, 프로그램은 입출이 일치하지 않으므로 오류 메시지를 표시하여(단계 S505) 입출 일치를 하도록 유도한다. 또한 입출 동액이 아닌 상태에서 현금 출납장 입력 프로그램 전체를 강제로 종료하고자 하는 경우, 회계 처리 프로그램(212)은 오류 메시지를 표시하고(S505), 그래도 종료시키는 경우에는 입출이 일치하지 않는 이체전표 모두를 삭제한 후, 해당 프로그램을 종료시키므로, 현금 출납장 입력에서는 그 어느 경우에나 입출이 일치하도록 되어 있다. 입출 동액 여부의 판단은 프로그램이 첫 이체전표가 입력되는 순간부터 이체출금 및 이체입금 금액을 보조 기억 장치(210)에 누산하여 보전하고 있기 때문에 가능하고, 입출 동액으로 판정되어 정상적인 이체전표로 저장 완료되는 경우, 프로그램의 메모리에 저장된 이체출금 및 이체입금액이 초기화되기 때문에 언제나 각 거래 별 입출 동액 여부의 판단이 가능한 것이다.
표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거래종류별, 즉 현금거래, 예금거래 및 이체거래 입력 방법이 예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현금거래 입력방법 예시>
거래의 종류 거래 유형 계정과목 입금 출금
현금 출자 2 현금입금 241 자본금 1,000  
현금 차입 2 현금입금 209 차입금 1,000  
현금 매출 2 현금입금 301 상품매출 500  
현금 이자수입 2 현금입금 307 수입이자 500  
보통예금의 인출수취 2 현금입금 103 보통예금   200
현금 경비지급 1 현금출금 412 전기료   100
상품의 현금구매 1 현금출금 137 상품   400
기계장치 현금구매 1 현금출금 153 기계장치   300
차입금 현금상환 1 현금출금 209 차입금   100
매입채무 현금상환 1 현금출금 201 매입채무   200
현금의 보통예금 예치 1 현금출금 103 보통예금   300
<본 발명의 예금거래 입력방법 예시>
거래의 종류 거래 유형 계정과목 입금 출금
자본금의 예금이체수취 4 예금수취 241 자본금 1,000  
차입금의 예금이체수취 4 예금수취 209 차입금 200  
매출채권의 예금이체수취 4 예금수취 108 매출채권 400  
수입이자의 예금이체수취 4 예금수취 307 수입이자 800
경비의 예금이체지급 3 예금지출 412 전기료   120
매입채무의 예금이체지급 3 예금지출 201 매입채무   250
차입금의 예금이체지급 3 예금지출 209 차입금   300
<본 발명의 이체거래 입력방법 예시>
거래의 종류 거래 유형 계정과목 입금 출금
예금이체 경비지급 6 이체입금 103 보통예금 1,000  
  5 이체출금 412 전기료   1,000
예금이체 수취 6 이체입금 209 차입금 200  
  5 이체출금 103 보통예금   200
외상매입 6 이체입금 201 매입채무 600  
  5 이체출금 137 상품   600
외상매출 6 이체입금 301 상품매출 500  
  5 이체출금 108 매출채권   500
감가상각비 계상 6 이체입금 231 감가충당금누계액 400  
  5 이체출금 447 감가상각비   400
매출원가 계상 6 이체입금 137 상품 300  
  5 이체출금 401 매출원가   300
미수이자 6 이체입금 307 수입이자 120  
  5 이체출금 117 미수이자   120
미지급이자 6 이체입금 205 미지급이자 100  
  5 이체출금 432 지급이자   100
미지급금 6 이체입금 203 미지급금 320  
  5 이체출금 151 토지   320
제조재료비 대체 6 이체입금 135 원재료 350  
  5 이체출금 501 재료비   350
제조노무비 대체 6 이체입금 402 급여 140  
  5 이체출금 502 노무비   140
제조간접비 대체 6 이체입금 412 전기료 80  
  5 이체출금 413 전화료 50  
  6 이체입금 411 임차료 20  
  5 이체출금 510 제조간접비   150
재공품 대체 6 이체입금 501 재료비 350  
  5 이체출금 502 노무비 140  
  6 이체입금 510 제조간접비 150  
  5 이체출금 133 재공품   640
제품 대체 6 이체입금 133 재공품 600  
  5 이체출금 131 제품   600
제품매출원가 계상 6 이체입금 131 제품 450  
  5 이체출금 500 제품매출원가   450
표 2를 참조하면, 현금거래와 예금거래는 회사가 받았으면 현금입금 또는 예금수취를 선택하고, 회사가 주었으면 현금출금 또는 예금지출을 거래 유형으로 선택 후, 계정과목, 금액, 거래처, 적요 등을 표 2의 예시와 같이 입력하면 된다. 이체거래는 전술한 바와 같이 1건의 거래를 2건의 입출 전표로 나누어 2행에 걸쳐 입출 동액으로 입력해야 하는데, 외상매출 및 외상매입 등의 주요 이체거래 입력방법에 대하여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고, 다음과 같고, 이체거래에서 사용되는 거래유형인 이체입금과 이체출금 역시 회사가 받으면 이체입금이고, 회사가 주었으면 이체출금이라는 정의는 현금 및 예금거래의 입출에 대한 정의와 같다.
1) 외상매출 : 현금매출 입금 후, 그 대금의 대여 출금 가정
제 1행 : 이체입금 상품매출 금액
제 2행 : 이체출금 매출채권 금액
2) 외상매입 : 현금차입 입금 후, 그 대금으로 상품구입 출금 가정
제 1행 : 이체입금 매입채무 금액
제 2행 : 이체출금 상품 금액
3) 예금이체 수취 : 현금으로 수취입금 후, 예금통장에 예치출금 가정
제 1행 : 이체입금 차입금 금액
제 2행 : 이체출금 보통예금 금액
* 이 거래는 거래 유형으로 예금수취를 선택하면 1행으로 입력가능
4) 예금이체 지급 : 예금통장에서 현금인출 입금 후, 그 현금으로 지급가정
제 1행 : 이체입금 보통예금 금액
제 2행 : 이체출금 전기료 금액
* 이 거래는 거래 유형으로 예금지출을 선택하면 1행으로 입력가능
* 즉, 모든 예금거래는 거래 유형을 예금수취 또는 예금지출로 선택하여 입력가능
5) 매출원가 계상 : 매출원가 계상 후, 매출원가에 대응되는 상품잔액 차감
제 1행 : 이체출금 매출원가 금액
제 2행 : 이체입금 상품 금액
표 3은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입금/출금 방식의 원장이다.
<현금 원장>
일자 적요 입금 출금 잔액
1.1 자본금, 김두승 1,000   1,000
1.2 상품, 중경상사   500 500
1.3 임차료   30 470
1.4 상품매출, 북경상사 450   920
1.5 대여금, 김철호   200 720
1.7 매출채권,현금 회수 120   840
1.22 매입채무, 현금지급   600 240
  (누계) 1,570 1,330  
<보통예금 원장>
일자 적요 (예치)출금 (인출)입금 잔액
1.23 차입금, 민영호 700   700
1.24 전기료, 한국전력   60 640
1.25 전화료, 한국통신   70 570
1.26 차입금, 민영호   100 470
  (누계) 700 230  
<매출채권 원장>
일자 적요 입금 출금 잔액
1.6 상품, 북경상사   300 300
1.7 현금, 북경상사 120   180
1.9 상품, 남경상사   600 780
  (누계) 120 900  
<대여금 원장>
일자 적요 입금 출금 잔액
1.5 현금, 김철호   200 200
<상품 원장>
일자 적요 입금 출금 잔액
1.2 현금, 중경상사   500 500
1.8 매입채무, 중경상사   400 900
1.10 매입채무, 동경상사   700 1,600
1.31 매출원가 계상 1,000   600
  (누계) 1,000 1,600  
<매출원가 원장>
일자 적요 입금 출금 잔액
1.31 상품, 매출원가 계상   1,000 1,000
<임차료 원장>
일자 적요 입금 출금 잔액
1.3 현금   30 30
<전기료 원장>
일자 적요 입금 출금 잔액
1.24 보통예금, 한국전력   60 60
<전화료 원장>
일자 적요 입금 출금 잔액
1.25 보통예금, 한국통신   70 70
<매입채무 원장>
일자 적요 입금 출금 잔액
1.8 상품, 중경상사 400   400
1.10 상품, 동경상사 700   1,100
1.22 현금, 동경상사   600 500
  (누계) 1,100 600  
<차입금 원장>
일자 적요 입금 출금 잔액
1.23 보통예금, 민영호 700   700
1.26 보통예금, 민영호   100 600
  (누계) 700 100  
<자본금 원장>
일자 적요 입금 출금 잔액
1.1 현금, 김두승 1,000   1,000
<상품매출 원장>
일자 적요 입금 출금 잔액
1.4 현금, 북경상사 450   450
1.6 매출채권, 북경상사 300   750
1.9 매출채권, 남경상사 600   1,350
  (누계) 1,350 0  
전표의 입력이 완료되면 원장을 작성 표시해야 한다. 표 3은 본 발명에 의한 원장이고 작성양식이다. 원장은 계정과목별 원장의 약어이고, 그 내역은 계정별 입출내역과 잔액정보라고 할 수 있다. 원장은 현금원장과 보통예금(이하 예금)원장, 그리고 기타과목원장의 3 가지가 있다. 현금원장은 표 3의 첫 부분에 표시되어 있다. 현금원장은 본 발명에서는 원칙적으로 별도로 작성할 필요는 없다. 거래전표 입력장부인 현금 출납장에서 현금의 입출 내역과 잔액을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현금 출납장에는 이체거래까지 기록되므로 현금 출납장에서 순수한 현금입출 내역만 파악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불편함이 있을 수 있으므로, 별도로 현금원장을 만들어 이체거래를 제외한 순수 현금거래만을 추출하여 표시하는 것이 더 효율적이므로,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에서도 현금원장의 작성은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현금원장은 기존의 양식과 같으며, 현금 출납장에 입력된 전표 중 거래 유형으로 현금입금 또는 현금출금으로 기록된 전표만 추출하여 하나씩 현금원장에 전기하여 작성된다. 전기방법은 입금전표의 금액은 입금 란에, 출금전표의 금액은 출금 란에 기록하고, 잔액은 입금에서 출금을 차감하여 표시하면 된다.
예금 원장은 표 3의 두 번째 부분에 표시되어 있다. 예금원장은 현금 출납장에서 거래 유형으로 예금수취 또는 예금지출을 선택한 전표만 추출되어 작성된다. 예금원장의 양식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모든 원장과 같이 입금과 출금방식이다. 작성방법은 예금수취 전표의 금액은 (예치) 출금 란에, 예금지출 전표의 금액은 (인출) 입금 란에 기록하고, 잔액은 예입에서 인출을 차감하여 계산 표시된다. 현행의 방식은 예금잔액의 증가는 차변에, 감소는 대변에 기록하고, 잔액은 차변에서 대변을 차감하여 산출하는데, 그 원리는 아무도 이해를 못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예금잔액의 증가는 (예치) 출금 란에, 감소는 (인출) 입금 란에 기록함으로써 누구라도 쉽게 그 원리를 이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로부터 예금이 아닌 다른 계정과목 원장의 작성 및 표시가 요구되면, 프로그램은 먼저 표 3의 입금/출금 방식 원장 양식을 디스플레이 장치(222)의 화면에 표시한다. 본 발명에 의한 원장 양식은 기존(표 4)과 달리 그 누구도 이해하지 못하는 차변과 대변 방식이 아니라 표 3과 같이 입금과 출금 방식이고, 그에 따라 이해와 해석이 쉽다는데 그 특징이 있다.
<현금 원장>
일자 적요 입금 출금 잔액
1.1 자본금, 김두승 1,000   1,000
1.2 상품, 중경상사   500 500
1.3 임차료   30 470
1.4 상품매출, 북경상사 450   920
1.5 대여금, 김철호   200 720
1.7 매출채권,현금 회수 120   840
1.22 매입채무, 현금지급   600 240
  (누계) 1,570 1,330  
<보통예금 원장>
일자 적요 차변 대변 잔액
1.23 차입금, 민영호 700   700
1.24 전기료, 한국전력   60 640
1.25 전화료, 한국통신   70 570
1.26 차입금, 민영호   100 470
  (누계) 700 230  
<매출채권 원장>
일자 적요 차변 대변 잔액
1.6 상품, 북경상사 300   300
1.7 현금, 북경상사   120 180
1.9 상품, 남경상사 600   780
  (누계) 900 120  
<대여금 원장>
일자 적요 차변 대변 잔액
1.5 현금, 김철호 200   200
<상품 원장>
일자 적요 차변 대변 잔액
1.2 현금, 중경상사 500   500
1.8 매입채무, 중경상사 400   900
1.10 매입채무, 동경상사 700   1,600
1.31 매출원가 계상   1,000 600
  (누계) 1,600 1,000  
<매출원가 원장>
일자 적요 차변 대변 잔액
1.31 상품, 매출원가 계상 1,000   1,000
<임차료 원장>
일자 적요 차변 대변 잔액
1.3 현금 30   30
<전기료 원장>
일자 적요 차변 대변 잔액
1.24 보통예금, 한국전력 60   60
<전화료 원장>
일자 적요 차변 대변 잔액
1.25 보통예금, 한국통신 70   70
<매입채무 원장>
일자 적요 차변 대변 잔액
1.8 상품, 중경상사   400 400
1.10 상품, 동경상사   700 1,100
1.22 현금, 동경상사 600   500
  (누계) 600 1,100  
<차입금 원장>
일자 적요 차변 대변 잔액
1.23 보통예금, 민영호   700 700
1.26 보통예금, 민영호 100   600
  (누계) 100 700  
<자본금 원장>
일자 적요 차변 대변 잔액
1.1 현금, 김두승   1,000 1,000
<상품매출 원장>
일자 적요 차변 대변 잔액
1.4 현금, 북경상사   450 450
1.6 매출채권, 북경상사   300 750
1.9 매출채권, 남경상사   600 1,350
  (누계) 0 1,350  
그 후, CPU(240)는 과목별 원장 작성 요청이 있는 지를 판단한다(단계 S507). 즉, 사용자가 입력 장치(230)를 이용하여, 과목별 원장 작성 요청 버튼을 하였는 지를 판단한다.
단계 S507의 판단결과, 과목별 원장 작성 요청이 발생한 경우, CPU(240)는 회계 처리 프로그램(212)을 실행하여 상기 저장된 현금 출납장 파일을 검색하여 해당 계정 과목이 입력된 전표를 하나씩 추출하여 과목별 원장을 작성한다(단계 S510). 다시 말해, 원장이 요구되면 프로그램은 현금 출납장 파일을 검색하여, 해당 계정과목이 입력된 전표를 하나씩 추출한다. 추출이 되면, 프로그램은 입력전표의 월일을 원장 해당란에 전기하고, 입력된 거래 유형이 현금입금, 예금수취 또는 이체입금이면 그 금액을 입금 란에 전기하고, 현금출금, 예금지출 또는 이체출금이면 출금 란에 기록한다. 원장의 적요란에는 해당 거래의 상대계정과목과 거래처 및 비망사항을 전기한다. 비망사항이란 현금 출납장 입력시 적요란에 입력된 문자열이다. 따라서 원장의 적요는 포괄적이고 통합적인 적요라고 할 수 있다. 원장의 적요에 기록되는 상대계정과목은, 현금거래의 경우에는 현금으로, 예금거래의 경우에는 보통예금으로 기록되고, 이체거래의 경우에는 각 이체전표의 상대방 계정과목이 기록된다. 원장의 잔액은 계정과목의 속성에 따라 아래의 두 가지 방식으로 산출표시된다.
자산.비용에 속하는 계정잔액 : 잔액 = 출금- 입금
부채.수익에 속하는 계정잔액 : 잔액 = 입금- 출금
과목별 원장 작성 단계 S510는 누적저장된 전표를 1 건 또는 1 레코드씩 추출하여 각 전표에 기재된 계정과목별로 해당원장을 작성하여 해당계정의 일자별 거래 내역을 입금/출금/잔액 방식으로 표시하는 집계표이다. 계정별 원장에서 잔액은 그 계정의 속성에 따라 출금-입금 또는 입금-출금 방식으로 산출 표시된다. 원장의 첫 행의 잔액이 산출되면, 다음 잔액은 이전 잔액을 가산하여 간단히 산출된다. 이와 같은 절차를 검색된 모든 레코드에 실시하여 원장의 최종 잔액이 산출된다. 최종 잔액이 행 단위로 산출된 후, 프로그램은 입금 누계와 출금 누계를 별도로 산출하여, 표 4의 각 원장의 하단에 표시하고 동시에 양자의 잔액을 그 계정의 잔액 계산식에 의하여 재산출하여 행 단위로 산출한 잔액과의 일치 여부를 파악하여 원장단위로도 잔액의 정확성을 이중으로 검증한다.
이렇게 산출 확정된 잔액은 결산이 완료되면 다음 기의 원장으로 전기되는데, 이때 자산계정 잔액은 다음 기 해당원장의 출금 란에 전기되고, 부채계정 잔액은 입금 란에 전기되므로 제 2차년도에도 각 원장의 잔액 계산 수식은 상기의 수식과 동일하게 된다. 즉 제 n차 연도라 할지라도 잔액계산 수식은 상기의 수식과 언제나 동일하다는 의미이다. 표 5는 본 발명에 의한 입금/출금 방식의 잔액 시산표이다.
잔액 시산표
2008년 1월 31일 현재
출금 입금
현금 240 매입채무 500
보통예금 470 차입금 600
상품 600 자본금 1,000
매출채권 780 상품매출 1,350
대여금 200    
임차료 30    
전기료 60    
전화료 70    
매출원가 1,000    
(합계) 3,450 (합계) 3,450
CPU(240)는 상기 과목별 원장에 대한 잔액 시산표가 요구되어 있는 지를 판단한다(S515).
단계 S515의 판단 결과, 상기 과목별 원장에 대한 잔액 시산표가 요구된 경우, CPU(240)는 해당 과목별 원장에 대한 과목별 잔액 정보를 집합시킨 잔액 시산표를 작성한다(단계 520).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원장의 작성이 완료되면, 잔액시산표를 작성해야 한다. 잔액시산표는 말 그대로 각 계정별 잔액을 한 표에 집합시킨 것이므로, 프로그램은 각 계정별 잔액을 표 3의 방식으로 산출하여 이를 표 5의 양식으로 표시하면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잔액시산표의 양식은 역시 계정별 원장의 양식과 마찬가지로 차대변 방식이 아니라 입금/출금 방식이므로 그 이해와 분석이 쉽다는 특징이 있다. 회계 처리 프로그램(212)이 잔액 시산표를 작성하는 절차는 1) 각 계정별 잔액을 산출한다. 2) 산출된 잔액과 계정명을 잔액 시산표 양식에 출력 표시하되, 3) 자산.비용 계정잔액은 출금 란에, 부채.수익 계정잔액은 입금 란에 표시한다. 4) 잔액을 표시후, 입금 총액과 출금 총액을 표시하므로서 그 작성이 완료된다. 현금 출납장 입력에서 입금 총액과 출금 총액을 반드시 일치시키므로, 데이터 파일이 물리적인 손상을 입지 않는 한 잔액 시산표 및 재무제표 전반에 걸쳐 입금 총액 = 출금 총액의 입출 일치 법칙이 성립하게 된다. 상기 잔액시산표는 각 계정별 잔액을 그 속성에 따라 분류하여 표시하는 표이다. 자산과 비용계정은 출금으로 형성되는 속성이 있으므로 양식지의 출금 란에 표시되고, 부채 및 수익계정은 입금으로 형성되는 속성이 있으므로 입금 란에 표시된다. 이렇게 입출 양방으로 표시후 입금합계와 출금합계를 각기 산출하면 입출이 반드시 일치하게 된다. 그 이유는 현금 출납장 입력단계에서 반드시 입출을 일치시켜 저장하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는 종래의 방식인 표 6과 같은 내역이 표시된다. 표 6은 종래의 차변/대변 방식의 잔액 시산표이다.
잔액 시산표
2008년 1월 31일 현재
차 변 대 변
현금 240 매입채무 500
보통예금 470 차입금 600
상품 600 자본금 1,000
매출채권 780 상품매출 1,350
대여금 200    
임차료 30    
전기료 60    
전화료 70    
매출원가 1,000    
(합계) 3,450 (합계) 3,450
그 후, CPU(240)는 대차 대조표가 요구되었는 지를 판단한다(S525).
단계 S525의 판단 결과, 상기 대차 대조표가 요구된 경우, CPU(240)는 상기 잔액 시산표에서 자산, 부채 계정 잔액을 추출하여 입출겸용 방식의 대차 대조표를 작성한다(S530). 표 7은 본 발명의 재무제표 즉, 대차 대조표와 손익 계산서이다.
대차 대조표
2008년 1월 31일 현재
자산(출금) 부채(입금)
현금 240 매입채무 500
보통예금 470 차입금 600
상품 600 자본금 1,000
매출채권 780 당기순이익 190
대여금 200    
(합계) 2,290 (합계) 2,290
손익계산서
2008년 1.1부터~1.31까지
비용(출금) 수익(입금)
매출원가 1,000 상품매출 1,350
임차료 30    
전기료 60    
전화료 70    
당기순이익 190    
(합계) 1,350 (합계) 1,350
단계 S525의 판단 결과, 상기 대차 대조표가 요구되지 않은 경우, CPU(240)는 손익 계산서가 요구되었는 지를 판단한다(S535).
단계 S535의 판단 결과, 상기 손익 계산서가 요구된 경우 CPU(240)는 상기 잔액 시산표에서 수익, 비용 계정잔액을 추출하여 입출겸용 방식의 손익 계산서를 작성한다(단계 S540).
대차 대조표와 손익 계산서 역시 입출 즉 대차가 일치해야 하는데, 입력장부인 현금 출납장에서 이미 입출을 일치시킨 것이므로, 그 하부장표인 시산표, 재무제표에서도 입출이 표 7과 같이 일치할 수밖에 없다. 대차대조표와 손익계산서 양식 역시 종래와 달리 표 7과 같이 입출 겸용 방식으로 표시하여 재무제표의 작성과 이해 및 활용을 제고할 수 있다.
대차 대조표든 손익계산서든 각 문서에서 입출은 언제나 일치해야 하고, 현금 출납장, 잔액시산표 등에서 이미 입출이 일치된 상태이므로, 재무제표를 구성하는 대차대조표 및 손익계산서에서도 입출은 언제나 일치하게 된다. 입출이 일치된 재무제표는 정상적인 경영분석 및 보고자료로 사용할 수 있으나, 입출이 일치하지 않는 재무제표는 당연히 사용 불가능한 자료가 되므로 입출의 일치는 재무제표의 신뢰성과 유용성 여부를 판별하는 가장 중요한 조건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현금 출납장, 원장, 시산표, 재무제표는 반드시 입출을 일치시키므로 기업경영 분석 및 보고에 사용될 수 있는 시스템이라고 할 수 있다.
대차대조표
2008년 1월 31일 현재
자산 부채
현금 240 매입채무 500
보통예금 470 차입금 600
상품 600 자본금 1,000
매출채권 780 당기순이익 190
대여금 200    
(합계) 2,290 (합계) 2,290
손익계산서
2008년 1.1부터~1.31까지
비용 수익
매출원가 1,000 상품매출 1,350
임차료 30    
전기료 60    
전화료 70    
당기순이익 190    
(합계) 1,350 (합계) 1,350
표 8은 종래 방식의 재무제표인, 대차대조표와 손익계산서로서 본 발명에 의한 재무제표와 내용상의 차이는 없다. 요약하면, 차변과 대변이 아니라 입금과 출금 방식으로 전표를 현금출납 방식으로 입력해도 결과는 종래의 원장, 시산표, 재무제표와 같은 결과가 산출되나, 본 발명에 의한 것은 거래의 입력과 원장을 비롯한 각종 집계장부의 이해 그리고 활용이 쉽다는데 그 장점이 있다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 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현금출납장을 기반으로한 복식 회계 처리 방법 및 시스템은 기업, 가계, 및 국가 등의 모든 경제 주체의 종 회계 장부를 작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으로 행해지고 있는 종래의 회계처리 방식을 보여주는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현금출납장을 기반으로한 복식 회계 처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현금출납장을 기반으로한 복식 회계 처리 방법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현금출납장을 기반으로한 복식 회계 처리 방법을 상세하게 보여주는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0: 보조 기억장치
212: 회계 처리 프로그램
220: 출력장치
222: 디스플레이 장치
224: 프린터
230: 입력장치
240: 중앙처리장치(CPU)

Claims (8)

  1. 삭제
  2.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장치, 현금 출납장화면을 출력하기 위한 출력장치, 회계처리프로그램 및 회계처리결과를 저장하는 보조기억장치 및 상기 장치 전반을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를 포함하는 현금출납장을 기반으로한 복식 회계 처리 시스템을 이용한 복식 회계 처리 방법에 있어서,
    (i) 상기 입력장치로부터의 입력신호에 따라 거래 내역으로서 연월일, 현금출금, 현금입금, 예금지출, 예금수취, 이체출금, 이체입금으로 이루어진 거래 유형, 계정과목, 금액, 거래처, 적요란이 포함된 입금/출금 방식의 현금 출납장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ii) 상기 거래 내역을 연월일, 거래 유형, 계정과목, 금액, 거래처, 적요로 구분하여 회계 전표가 입력완료됨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현금 출납장 파일을 형성 및 저장하는 단계;
    (iii) 상기 입력장치로부터의 입력신호에 따라 과목별 원장 작성이 요구됨에 따라 상기 회계 처리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상기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현금 출납장 파일을 검색하여 해당 계정 과목이 입력된 전표를 하나씩 추출하여 과목별 원장을 작성하는 단계;
    (iv) 상기 입력장치로부터의 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과목별 원장에 대한 잔액시산표가 요구됨에 따라 해당 과목별 원장에 대한 과목별 잔액 정보를 집합시킨 잔액 시산표를 작성하는 단계;
    (v) 대차 대조표 또는 손익 계산서가 요구되어 있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vi) 상기 입력장치로부터의 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대차 대조표가 요구된 경우 상기 잔액 시산표에서 자산, 부채 계정 잔액을 추출하여 입출겸용 방식의 대차 대조표를 작성하고, 상기 손익 계산서가 요구된 경우 상기 잔액 시산표에서 수익, 비용 계정잔액을 추출하여 입출겸용 방식의 손익 계산서를 작성하는 단계를 포함ㅎ하되,
    상기 거래 유형이 현금거래인 경우, 단계 (ii)는
    (ii-1) 상기 입력장치를 통해 초기 현금 출납장 화면에서 거래일을 입력하는 단계;
    (ii-2) 거래 유형에 따라 현금출금과 현금입금을 구분하도록 특정신호를 입력하는 단계;
    (ii-3) 현금의 입출금의 원인인 계정과목을 입력하고, 금액은 현금입금이면 입금 란에, 현금출금이면 출금 란에 입력하고, 이후 거래처, 적요를 입력하는 단계; 및
    (ii-4) 입력된 현금거래 내용을 포함하는 전표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현금전표의 입력이 완료되도록 하는 현금출납장을 기반으로한 복식 회계 처리 방법.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거래 종류가 예금 거래인 경우, 단계 (ii)는
    (ii-a) 상기 입력장치를 통해 상기 초기 현금 출납장 화면에서 거래일을 입력하는 단계;
    (ii-b) 상기 예금 거래가 예금 지출인지 예금수취인지에 따라 특정신호를 입력하는 단계; 및
    (ii-c) 상기 예금 입출의 원인인 계정과목, 그리고 금액 및 거래처, 적요를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예금입출거래의 입력이 완료되도록 하는 현금출납장을 기반으로한 복식 회계 처리 방법.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거래 유형이 이체거래인 경우, 단계 (ii)는
    (ii-가) 상기 입력장치를 통해 상기 초기 현금 출납장 화면에서 거래일을 입력하는 단계;
    (ii-나) 거래 유형으로 5 이체출금 및 6 이체입금을 선택하는 방식으로, 1건의 거래마다 이체입금용 전표 및 이체출금용 전표로 이루어진 적어도 2개 전표를 입력하는 단계;
    (ii-다) 상기 이체입금용 전표 및 상기 이체출금용 전표에 해당 계정과목, 해당금액, 거래처, 및 적요를 입력하는 단계; 및
    (ii-라) 상기 이체입금 전표의 금액과 이후에 들어온 이체출금 전표의 금액을 비교하여, 양자가 일치하면 적어도 2건의 이체전표에 대하여 1개의 동일한 전표번호를 부여하여 1건의 이체거래 입력으로 인정함과 동시에 상기 한 쌍의 이체전표를 상기 보조 기억장치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이체거래 전표 입력 도중에 입출 동액이 아닌 상태에서 순수한 현금전표를 입력하면, 프로그램은 입출이 일치하지 않으므로 오류 메시지를 표시하여 입출 일치를 하도록 유도하는 현금출납장을 기반으로한 복식 회계 처리 방법.
  5. 제2 항에 있어서, 단계 (iii)에서, 상기 회계 처리 프로그램에 의해 입력전표의 월일을 원장 해당란에 전기하고, 입력된 거래 유형이 현금입금, 예금수취 또는 이체입금이면 그 금액을 입금 란에 전기하고, 현금출금, 예금지출 또는 이체출금이면 출금 란에 기록하고, 상기 원장의 적요란에는 해당 거래의 상대계정과목과 거래처 및 비망 사항을 전기함으로써 입금/출금 방식으로 상기 과목별 원장을 작성하는 현금출납장을 기반으로한 복식 회계 처리 방법.
  6. 현금출금, 현금입금, 예금지출, 예금수취, 이체출금, 및 이체입금으로 이루어진 거래 유형 및 상기 거래 유형에 대응하는 계정과목 테이블을 저장하고 있으며, 현금 출납장 파일을 저장하고, 입력과 상기 현금 출납장 입력을 기초로 하여 회계처리를 하도록 하는 회계 처리 프로그램 및 회계처리 결과를 저장하는 보조 기억장치;
    사용자로 하여금 거래 내역을 연월일, 현금출금, 현금입금, 예금지출, 예금수취, 이체출금, 및 이체입금으로 이루어진 거래 유형, 계정과목, 금액, 거래처, 적요로 분해하여 입금/출금 방식으로 입력하도록 입력화면인 현금 출납장 화면을 출력하는 출력장치;
    사용자가 거래정보를 입력하거나 기저장된 정보를 조회하되, 상기 출력장치로부터 특정의 출력결과인 계정별 원장 및 기타 회계정보를 얻기 위한 검색조건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장치;
    상기 보조 기억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회계처리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상기 입력장치에 의해 입력된 현금출납 내역과 계정과목 테이블을 이용하여 현금 출납장 파일을 작성하고, 입력장치를 통한 사용자의 요청신호에 따라 과목별 원장, 잔액 시산표, 대차 대조표, 및 손익 계산서를 선택적으로 작성하는 중앙처리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중앙처리장치는 거래 유형이 현금거래인 경우에는, 상기 입력장치를 통해 초기 현금 출납장 화면에서 거래일을 입력받고; 거래 유형에 따라 현금출금과 현금입금을 구분하도록 특정신호를 입력받고; 현금의 입출금의 원인인 계정과목을 입력받고, 금액은 현금입금이면 입금 란에, 현금출금이면 출금 란에 입력받고, 이후 거래처, 적요를 입력받고; 입력된 현금거래 내용을 포함하는 전표를 저장하는 과정을 수행하여 현금전표의 입력을 완료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금출납장을 기반으로한 복식 회계 처리 시스템.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장치는,
    회계 처리 결과 데이터를 화상으로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회계 처리 결과 데이터를 인쇄물로 제공하는 프린터를 포함하는 현금출납장을 기반으로한 복식 회계 처리 시스템.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처리장치는 상기 보조 기억장치에 저장된 상기 현금 출납장 파일을 검색하여 해당 계정 과목이 입력된 전표를 하나씩 추출하여 과목별 원장을 작성하고, 해당 과목별 원장에 대한 과목별 잔액 정보를 집합시킨 잔액 시산표를 작성하고, 상기 잔액 시산표에서 자산, 부채 계정 잔액을 추출하여 입출겸용 방식의 대차 대조표를 작성하고, 상기 잔액 시산표에서 수익, 비용 계정잔액을 추출하여 입출겸용 방식의 손익 계산서를 작성하는 현금출납장을 기반으로한 복식 회계 처리 시스템.
KR1020080091381A 2008-09-18 2008-09-18 현금출납장을 기반으로한 복식 회계 처리 방법 및 시스템 KR1010003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1381A KR101000359B1 (ko) 2008-09-18 2008-09-18 현금출납장을 기반으로한 복식 회계 처리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1381A KR101000359B1 (ko) 2008-09-18 2008-09-18 현금출납장을 기반으로한 복식 회계 처리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2476A KR20100032476A (ko) 2010-03-26
KR101000359B1 true KR101000359B1 (ko) 2010-12-13

Family

ID=421816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1381A KR101000359B1 (ko) 2008-09-18 2008-09-18 현금출납장을 기반으로한 복식 회계 처리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035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4262B1 (ko) * 2010-03-12 2012-03-13 이원노 금고계정을 가진 복식 회계 처리 방법 및 시스템
KR101128195B1 (ko) * 2010-03-12 2012-03-22 이원노 세무자료 매칭 처리 기능을 구비한 복식 회계 처리 방법 및 시스템
KR101275650B1 (ko) * 2011-05-06 2013-06-17 이원노 수학적 항등식을 기반으로 한 복식 분개 및 복식회계 처리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2476A (ko) 2010-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090823B (zh) 基于SaaS的账务数据管理系统
US8442881B2 (en) Systems and methods of processing and classifying a financial transaction
US5193055A (en) Accounting system
Musah Benefits and challenges of bookkeeping and accounting practices of SMEs and its effect on growth and performance in Ghana
JPH0388068A (ja) 現金自動取引システム
CN107798515A (zh) 一种数据库自动生成会计凭证的方法
CN110019324B (zh) 一种生成纳税人资金回路的方法及系统
CN105825425A (zh) 一种适用于阿米巴经营的存取款式的财务数据处理方法
CN102236826A (zh) 财务系统数据记录的生成方法
KR101000359B1 (ko) 현금출납장을 기반으로한 복식 회계 처리 방법 및 시스템
US20110202435A1 (en) Activity information accounting system
JP3415117B2 (ja) 経理処理システム及び経理処理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媒体
KR101275650B1 (ko) 수학적 항등식을 기반으로 한 복식 분개 및 복식회계 처리방법 및 시스템
KR101128195B1 (ko) 세무자료 매칭 처리 기능을 구비한 복식 회계 처리 방법 및 시스템
TW200411453A (en) Budget and financial analysis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KR101145427B1 (ko) 결의서를 이용한 자동 분개방법
KR20100082057A (ko) 수입 지출방식을 기반으로한 복식 회계 처리 방법 및 시스템
Nino et al. Simple bookkeeping model using Microsoft excel for culinary micro-business in East Nusa Tenggara Indonesia
KR20070101115A (ko) 태극 입출금 회계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
JP3871106B2 (ja) 会計処理システム
KR101114262B1 (ko) 금고계정을 가진 복식 회계 처리 방법 및 시스템
KR20160000620A (ko) 예금 및 신용카드거래 데이터의 단식부기방식 입력에 의하여 차대변 복식부기 전표로 변환하는 방법
Abrahams et al. The outcome of the discontinuation of cheques on bank reconciliation in South Africa
Kaur Indian Banking Industry Emerging Trends,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Liu et al. Principal Factors Affecting IDBT Evolu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3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