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5650B1 - 수학적 항등식을 기반으로 한 복식 분개 및 복식회계 처리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수학적 항등식을 기반으로 한 복식 분개 및 복식회계 처리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5650B1
KR101275650B1 KR1020110042873A KR20110042873A KR101275650B1 KR 101275650 B1 KR101275650 B1 KR 101275650B1 KR 1020110042873 A KR1020110042873 A KR 1020110042873A KR 20110042873 A KR20110042873 A KR 20110042873A KR 101275650 B1 KR101275650 B1 KR 1012756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thdrawal
deposit
balance
input
transa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28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24928A (ko
Inventor
이원노
Original Assignee
이원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원노 filed Critical 이원노
Priority to KR10201100428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5650B1/ko
Publication of KR201201249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49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56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56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12Accoun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G06F17/10Complex mathematical operations
    • G06F17/11Complex mathematical operations for solving equations, e.g. nonlinear equations, general mathematical optimization probl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Finance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Algebra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echnology Law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학적 항등식을 기반으로한 복식분개와 이를 기반으로 하는 복식회계 처리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이 시스템은 입금/출금 또는 입금/출금/이체입금/이체출금 등으로 이루어진 거래유형 및 상기 거래유형에 대응하는 계정과목 테이블을 저장하고 있으며, 수학적 항등식으로 거래를 입력하는 분개장 파일을 저장하고, 입력과 상기 분개장 입력을 기초로 하여 회계처리를 하도록 하는 회계 처리 프로그램 및 회계처리 결과를 저장하는 보조 기억장치; 사용자로 하여금 거래 내역을 연월일, 입금, 출금, 이체입금, 이체출금으로 이루어진 거래 유형, 계정과목, 금액, 거래처, 적요로 분해하여 입금/출금 방식으로 입력하도록 입력화면인 분개장 화면을 출력하는 출력장치; 사용자가 거래정보를 입력하거나 기저장된 정보를 조회하되, 상기 출력장치로부터 특정의 출력결과인 계정별 원장 및 기타 회계정보를 얻기 위한 검색조건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장치; 상기 보조 기억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회계처리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상기 입력장치에 의해 입력된 현금수지 내역과 계정과목 테이블을 이용하여 현금출납장 파일을 작성하고, 입력장치를 통한 사용자의 요청신호에 따라 과목별 원장, 잔액 시산표, 대차 대조표, 및 손익 계산서를 선택적으로 작성하되 중앙처리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수학적 항등식을 기반으로 한 복식 분개 및 복식회계 처리방법 및 시스템{MATHEMATICAL IDENITY BASED DOUBLE ENTRY JOUNALIZING AND ACCOUNTING PROCESSING METHOD}
본 발명은 수학적 항등식을 기반으로한 복식분개와 복식회계 처리방법 및 복식회계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분개장과 분개장 데이터를 부분적으로 추출하여 작성되는 총계정원장(이하 '계정별 원장' 또는 '원장'이라 함) 및 각종 집계 장부와 재무제표를 수학적 항등식 원리를 이용하여 누구나 쉽게 작성 및 해석할 수 있도록 하는 수학적 항등식을 기반으로한 복식분개와 복식회계 처리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업 경영 활동에서 거래가 발생하면, 각 기업의 회계처리 방식에 따라 그 거래를 체계화하여 분류하는 이른바 부기(book-keeping)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도 1은 일반적으로 행해지고 있는 종래의 회계처리 방식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먼저 거래가 발생하면(단계 S110), 그것이 부기상의 거래인지 판별한다(단계 S120). 이 판별에서 부기상의 거래가 아니라고 판정되면 프로그램을 종료하고, 부기상의 거래라고 판정되면 거래를 차변과 대변으로 구분하여 즉 분개하여 분개장 또는 전표에 그 거래를 기록한다(단계 S130). 여기서, 분개는 거래의 성격이 자산, 비용의 증가 및 부채, 자본, 수익의 감소이면 계정과목과 금액을 차변으로 할당하고, 자산, 비용의 감소 및 부채, 자본, 수익의 증가이면 계정과목과 금액을 대변으로 할당하는 작업을 의미한다. 이렇게 하여 전표의 작성이 완료되면, 입력된 전표를 집계하여 계정별원장 및 잔액시산표(이하 시산표) 등의 중간 장부를 작성한다(단계 S140 및 S150). 그리고, 최종적으로 시산표를 토대로 대차대조 및 손익계산서 등의 재무제표를 작성한다(단계 S160).
그런데, 이상과 같은 종래의 회계처리 방식은 이해하기가 어려워 배우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배운 바대로 회계거래를 기록, 집계하고 이를 해석하여 경영 실무에 활용하는데 많은 문제가 있다. 거래를 분개장에 기록할 때에 어느 계정과목(이하 계정 또는 과목이라 함)을 차변에 기록하고, 어느 과목을 대변에 기록해야 할지, 그 판단능력을 갖는데 많은 시간과 교육이 소요된다. 즉, 자산의 증가는 차변, 자산의 감소는 대변, 부채의 증가는 대변, 부채의 감소는 차변, 자본의 증가는 대변, 자본의 감소는 차변, 비용의 발생은 차변, 수익의 발생은 대변 등에 기입해야 한다는 등의 절차를 아무런 이유도 원리도 모른 채 그 누구나 달달 구구단 외우듯이 해야 한다는 심각한 문제가 있다.
또한 분개시 기록되는 과목의 속성이 자산/부채/자본/수익/비용 중 어느 그룹에 속하는지 반드시 파악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차입금, 토지, 건물, 인건비 등은 그것이 부채인지 자산인지 비용인지 상식적으로 누구나 쉽게 파악할 수 있지만, 당기순이익.배당금.각종충당금.이익준비금.감채적립금 등이 자산/부채/자본/수익/비용 중 어느 그룹(이하 계정과목의 속성)에 속하는지는 상당히 고도의 학력을 지닌 사람도 쉽게 파악하기 어렵다. 즉, 현행부기는 과목의 속성조차 거의 아무도 쉽게 알 수 암호적 회계 시스템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원장 전기시에 분개장 금액을 차대 어느 쪽에 기입해야 하는지에 대하여 혼동이 많고, 원장의 잔액계산시 차변에서 대변을 차감해야 하는지 또는 대변에서 차변을 차감해야 하는 지에 대하여도 혼동이 많다. 이는 잔액 시산표 작성 및 해석 시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이러한 이유로 기업의 경리 담당자 및 관련 임직원들도 그들이 작성한 분개장, 원장, 재무제표가 정확한 이론적 절차에 따라 작성된 것인지 아닌지 불확실한 상태에서 손익 및 재무관리를 하고 있는 경우가 많아 효율적인 기업경영에 중대한 장애 요소가 되고 있다. 또한 기업뿐만 아니라 가계부를 기록하는 가정, 상인 및 농가 등 모든 경제주체에서 이러한 장애가 발생하고 있어, 각 경제주체의 합리적인 재무관리에 중대한 장애를 초래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종래의 회계 방식에서와 같이 이론적 근거도 취약한 차변과 대변 방식의 분개장 기록이 아니라 현금출납장에서 사용되는 입금과 출금 방식의 기록방법에 의하여 특히 수학적 항등식을 이용하여 거래를 입력하고 집계하므로 비전문가라도 복식으로 분개입력하고, 분개장에 입력되는 과목의 속성과 그 속성에 따른 증감여부를 학습하지 않고도 분개장에서 파생되는 계정별원장 등의 집계장부 및 재무제표 역시 수학적 항등식을 이용하여 복식으로 쉽게 작성 및 해석할 수 있도록 하는 수학적 항등식을 기반으로한 복식분개와 복식회계 처리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복식 회계 처리 방법은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장치, 분개장 화면을 출력하기 위한 출력장치, 회계처리프로그램 및 회계처리결과를 저장하는 보조기억장치 및 상기 장치 전반을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를 포함하는 수학적 항등식을 기반으로한 복식회계 처리시스템을 통한 복식회계 처리방법으로서, (i)상기 입력장치로부터의 입력신호에 따라 거래 내역으로서 연월일, 출금, 입금, 이체출금, 이체입금으로 이루어진 거래 유형, 계정과목, 금액, 거래처, 적요란이 포함된 입금/출금 방식의 분개장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ii) 상기 거래 내역을 연월일, 거래 유형, 계정과목, 금액, 거래처, 적요로 구분하여 회계 전표가 입력완료 됨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분개장 파일을 형성 및 저장하는 단계; (iii) 상기 입력장치로부터의 입력신호에 따라 과목별 원장 작성이 요구됨에 따라 상기 회계 처리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상기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분개장 파일을 검색하여 해당 계정 과목이 입력된 전표를 하나씩 추출하여 과목별 원장을 작성하는 단계; (iv) 상기 입력장치로부터의 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과목별 원장에 대한 잔액시산표가 요구됨에 따라 해당 과목별 원장에 대한 과목별 잔액 정보를 집합시킨 잔액 시산표를 작성하는 단계; (v) 대차 대조표 또는 손익 계산서가 요구되어 있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vi) 상기 입력장치로부터의 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대차 대조표가 요구된 경우 상기 잔액 시산표에서 자산, 부채 계정 잔액을 추출하여 입출겸용 방식의 대차대조표를 작성하고, 상기 손익 계산서가 요구된 경우 상기 잔액 시산표에서 수익,비용 계정잔액을 추출하여 입출겸용 방식의 손익 계산서를 작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학적 항등식을 기반으로한 복식회계 처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계 (i)에서는 입력장치로부터 입금과 출금 항목 하나를 선택하여 입력하도록 제어되며, 이후 대응되는 입금과 출금 항목 하나를 수학적 항등식 관계의 짝을 이루어 입력하도록 제어되며,
상기 단계 (iii)은 과목별 원장에서 입금총액과 출금총액을 비교하여 잔액을 벡터연산 방식으로 산출하고,
상기 단계 (iv)에서 잔액시산표가 표시된 인터페이스 화면에서 대차손익을 결정하고, 손익계산서에서 산출된 당기순이익을 대차대조표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단계 (i)에서 현금 입금의 경우 자동으로 입금에 대응하는 짝을 이루는 금고계정이 생성되어 표시 및 기록(record)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학적 항등식을 기반으로한 복식회계 처리방법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거래유형이 현금거래인 경우, 상기 단계 (ii)는
(ii-1) 상기 입력장치를 통해 초기 분개장 화면에서 거래일을 입력하는 단계;
(ii-2) 거래 유형에 따라 현금출금과 현금입금을 구분하여 입력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ii-3) 현금의 입출금의 원인인 계정과목을 입력하고, 금액은 현금입금이면 입금 항목에, 현금출금이면 출금 항목에 입력하고, 이후 거래처, 적요를 입력하는 단계; 및
(ii-4) 입력된 현금거래 내용을 포함하는 전표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현금전표의 입력이 완료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거래 유형이 이체거래인 경우, 단계 (ii)는
(ii-가) 상기 입력장치를 통해 상기 초기 현금출납장 화면에서 거래일을 입력하는 단계;
(ii-나) 거래 유형으로 3 이체출금 및 4 이체입금을 선택하는 방식으로, 1건의 거래마다 이체입금용 전표 및 이체출금용 전표로 이루어진 적어도 2개 전표를 입력하는 단계;
(ii-다) 상기 이체입금용 전표 및 상기 이체출금용 전표에 해당 계정과목, 해당금액, 거래처, 및 적요를 입력하는 단계; 및
(ii-라) 상기 이체입금 전표의 금액과 이후에 들어온 이체출금 전표의 금액을 비교하여, 양자가 일치하면 적어도 2건의 이체전표에 대하여 1개의 동일한 전표번호를 부여하여 1건의 이체거래 입력으로 인정함과 동시에 상기 한 쌍의 이체전표를 상기 보조 기억장치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이체거래 전표 입력 도중에 입출 동액이 아닌 상태에서 순수한 현금전표를 입력하면, 프로그램은 입출이 일치하지 않으므로 오류 메시지를 표시하여 입출 일치를 하도록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i)에서의 분개 항등식은 [입 과목 금액 = 출금 과목 금액]이고, 분개 항등식의 약형은 [입 = 출]이며, 분개장에는 이 항등식의 입변과 출변 각 변을 1 행에 입력하되, 과목별 입금전표와 출금전표 최소 2 전표 방식으로 입력하고, 현금거래는 입금전표 또는 출금전표 어느 하나를 1행으로 입력하고, 이체거래는 입금전표 및 출금전표를 동시 동액으로 최소 2행에 걸쳐 입력하고, 특정과목이 자산인지 부채인지 자본인지, 수익인지 비용인지 그 속성여부에 상관없이 임의의 과목명칭으로 입금 또는 출금으로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i)에서의 원장전기의 항등식은 [잔액 = 입1 + 입2 +...+ 입n + 출1 + 출2 +...+출n]이고, 원장의 잔액 산출 항등식은 [잔액 =
Figure 112011033643937-pat00001
+
Figure 112011033643937-pat00002
]이고, 시산표 전기의 항등식은 [입1 + 입2 +...+ 입n = 출1 + 출2 +...+출n]이고, 손익계산서의 항등식 역시 [입1 + 입2 +...+ 입n = 출1 + 출2 +...+출n]이고, 그 약형은 [입 = 출]이고, 대차대조표 항등식 역시 [입1 + 입2 +...+ 입n = 출1 + 출2 +...+출n]이고, 그 약형은 [입 = 출]이고, 대차대조표는 다음 기 기초대차대조표 테이블로 전송되어 다음 기 원장의 기초잔액으로 활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iii)에서 잔액산출 방식은 벡터연산값인 입초/출초 잔액 방식으로 표시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iv)의 잔액시산표는 입력된 모든 계정의 잔액이 입초, 출초 방식으로 표시되고, 그 입출 각각의 합계가 같고, 이 각 계정잔액에 대하여 사용자가 대차손익 속성을 지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출금, 입금, 이체출금, 및 이체입금으로 이루어진 거래 유형 및 상기 거래 유형에 대응하는 계정과목 테이블을 저장하고 있으며, 분개장 파일을 저장하고, 입력과 상기 분개장 입력을 기초로 하여 회계처리를 하도록 하는 회계 처리 프로그램 및 회계처리 결과를 저장하는 보조 기억장치; 사용자로 하여금 거래 내역을 연월일, 출금, 입금, 이체출금 및 이체입금으로 이루어진 거래 유형, 계정과목, 금액, 거래처, 적요로 분해하여 입금/출금 방식으로 입력하도록 입력화면인 분개장 화면을 출력하는 출력장치; 사용자가 거래정보를 입력하거나 기저장된 정보를 조회하되, 상기 출력장치로부터 특정의 출력결과인 계정별 원장 및 기타 회계정보를 얻기 위한 검색조건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장치; 상기 보조 기억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회계처리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상기 입력장치에 의해 입력된 현금출납 내역과 계정과목 테이블을 이용하여 분개장 파일을 작성하고, 입력장치를 통한 사용자의 요청신호에 따라 과목별 원장, 잔액 시산표, 대차 대조표, 및 손익 계산서를 선택적으로 작성하는 중앙처리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중앙처리장치는 거래 유형이 현금거래인 경우에는, 상기 입력장치를 통해 초기 현금출납장 화면에서 거래일을 입력받고; 거래 유형에 따라 출금과 입금을 구분하도록 특정신호를 입력받고; 현금의 입출금의 원인인 계정과목을 입력받고, 금액은 입금이면 입금 란에, 출금이면 출금 란에 입력받고, 이후 거래처, 적요를 입력받고; 입력된 현금거래 내용을 포함하는 전표를 저장하는 과정을 수행하여 현금전표의 입력을 완료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학적 항등식을 기반으로한 복식 회계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회계처리프로그램은 회계처리 프로그램 입출력화면 및 전체 진행화면을 처리하는 화면처리모듈;
거래유형 등 입력과정에서 항등식 처리가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항등식 처리모듈;
입력신호에 따라 과목 원장 별 잔액 등을 입금 및 출금 항목을 기준으로 연산하여 처리결과를 출력하는 벡터연산모듈;
분개장 입력파일에 입력된 자료에 대하여 사용자가 입력장치를 통해 대차손익 중 하나를 결정하도록 하여 그 신호를 처리하는 대차손익 결정모듈;
입력된 분개장 파일 자료를 근거로 손익을 처리하여 표시하고 그 결과를 저장하는 손익계산서 처리모듈;
입력된 분개장 파일 자료를 근거로 대차대조 과정을 처리하여 표시하고 그 결과를 저장하는 대차대조표 처리모듈;
과목별로 미리 입력된 분개장 파일 자료를 근거로 계정과목별 파일을 생성하여 저장하는 과목원장 처리모듈;
입력장치에 의해 입력 저장된 분개장 파일을 근거로 잔액을 처리하여 그 결과를 표시하고 저장하는 잔액시산표 처리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항등식 처리모듈은 입력장치로부터 입력된 항목에 대응되는 항목이 수학적 항등식 관계의 짝을 이루어 입력되도록 제어하되, 현금 입금의 경우 자동으로 입금에 대응하는 짝을 이루는 금고계정을 생성하여 표시 및 기록(record)하고,
상기 벡터연산모듈은 과목별 원장에서 입금총액과 출금총액을 벡터 방식으로 입금 총액과 출금 총액을 비교하여 벡터연산 방식으로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학적 항등식을 기반으로한 복식회계 처리시스템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입력장치를 통해 입력되는 거래유형은 현금거래의 경우 항등식의 1변 만을 입력하면 자동으로 항등식의 다른 변이 기록 저장되며, 이체거래의 경우에는 이체 수입과 이체 지출로써 수학적 항등식을 이루도록 양변을 입력하되, 화면에서는 행을 달리하여 2행이 1조로 구성되어 입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학적 항등식을 기반으로한 복식분개와 복식회계 처리 시스템 및 복식회계 처리방법은 전표입력시 차대 분개장이 아니라, 첫번째 방법으로 소규모 사업자 개인의 경우 쉽게 분개장을 기록할 수 있도록 2가지 항목 즉 입금/출금 항목만으로 분개하며, 원칙적으로는 법인이나 협회의 경우 입금/출금/이체입금/이체출금이라는 4가지 항목으로 상식적인 용어를 사용하여 이체거래를 포함한 모든 거래를 기존의 현금출납장과 동일한 양식의 현금입출분개장(이하 분개장)에 통합적으로 입력하고, 원장 및 시산표 등의 작성 및 출력 시에도 차변 및 대변이 아니라 입금 및 출금이라는 상식적인 용어를 사용하므로, 비전문가라도 쉽게 거래를 복식으로 분해 입력하고, 여기서 파생되는 계정별원장 및 각종 집계 장부와 재무제표를 쉽게 복식으로 작성 및 해석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거래의 분개를 간단한 수학적 항등식으로 분해하여 현금입출 방식으로 기록한다는 원리를 제시하고, 이 원리에 따라 분개장에 입력하는 것이므로 거의 누구나 간단한 지침만 단시간 동안 교육을 받으면, 누구나 현금 및 대체거래를 포함한 모든 거래를 입력하고, 과목별 잔액 역시 간단한 수리 방정식 즉 벡터연산 방식으로 쉽게 산출하고, 그 잔액으로 시산표 및 재무제표를 작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시산표 및 재무제표도 수학적 항등식으로 표현할 수 있으므로 시산표 및 재무제표를 논리적으로 쉽게 구성하고 또 이 장표들이 의미하는 바를 정확하게 해석하여 경영전략의 수립에 반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산회계 프로그램에서는 사용자가 현금출납장 형식의 분개장만 입력하면 원장 및 재무제표가 자동으로 출력되지만, 그 출력되는 제반장표를 이제는 어떤 원리에 의하여 생성되었고, 그 장표의 구체적인 의미가 무엇인지 누구나 쉽게 파악하여 이를 재무관리 및 경영전략에 반영하여 각 경제주체의 성장과 발전을 체계적으로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으로 행해지고 있는 종래의 회계처리 방식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현금출납장을 기반으로한 복식 회계 처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현금출납장을 기반으로한 복식 회계 처리 방법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현금출납장을 기반으로한 복식 회계 처리 방법을 상세하게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수학적 항등식을 기반으로한 복식 분개 및 복식회계 처리방법 및 시스템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종래의 회계 방식에서와 같이 이론적 근거도 취약한 차변과 대변 방식의 분개가 아니라 거래를 수학적 항등식에 의한 입금과 출금방식의 기록방법에 의하여, 특히 예금이체지급 거래의 경우 [입금 보통예금 1000 = 출금 전기료 1000] 등과 같은 간단한 수학적 항등식을 기반으로한 분개방법에 의하여 비전문가라도 쉽게 거래를 입금과 출금 항등식으로 분개장에 입력한다. 이후 각 계정과목의 속성이 자산인지 부채인지 자본인지 수익인지 비용인지 등의 사전적 파악 또는 사전적 학습 없이 단지 사용자가 분개장에 입력한 과목별 입출내역을 추출하여 과목별 잔액을 수학적 벡터연산 방식으로 쉽게 산출한다. 이렇게 산출된 잔액으로 시산표 및 재무제표를 작성하는 것으로 복식부기 작업이 완료된다.
[수학적 항등식 분개입력과 원장 그리고 재무제표 작성의 근본원리]
* 장표작성 단계별 항등식
<거래의 입출 분개 항등식>
원형 : In X M = Out Y M, 약형 : 입 = 출
입금 과목명칭 금액 = 출금 과목명칭 금액
(In/Out : 입금과 출금, X/Y : 과목명칭, M : Money 금액)
* 현금거래 항등식
수취거래 : 입 X 1000원 (= 출 금고 1000원) => 금고변은 분개 생략
입금 매출액 1000 (= 출금 금고 1000)
지급거래 : 출 X 1000 (= 입 금고 1000)
출금 전기료 1000 (= 입금 금고 1000) => 금고변은 분개생략
* 이체거래 항등식
입 X 1000원 = 출 Y 1000원
입금 차입금 1000 = 출금 보통예금 1000
* 모든 거래의 항등식 : 입 X 금액 = 출 Y 금액
* 다변수 분개 항등식
원형 : 입 X1 + 입 X2 + ... 입Xn = 출 Y1 + 출 Y2 +...+ 출 Yn
(Xi, Yi는 과목과 금액 의미)
약형 : X1 + X2 +...+ Xn = Y1 + Y2...+ Yn
(한 변은 입변, 그 반대변은 출변)
<과목원장의 항등식>
* 전기 항등식
과목 X = 입1 + 입2 +...+입n + 출1 +출2 +...+출n
* 잔액산출 항등식 (벡터연산)
과목 X의 잔액 = ∑
Figure 112011033643937-pat00003
i + →∑
Figure 112011033643937-pat00004
i = 입금총액 + 출금총액
(벡터연산 예시)
Figure 112011033643937-pat00005
+
Figure 112011033643937-pat00006
=
Figure 112011033643937-pat00007
Figure 112011033643937-pat00008
-
Figure 112011033643937-pat00009
=
Figure 112011033643937-pat00010
입금 700 + 출금 100 = 입초 600 (← : 입금, → : 출금 )
입금 700 - 출금 100 = 입초 600 (+/- 에 상관없이 값은 동일)
<시산표 작성의 항등식>
∑입초잔액 = X1 + X2 + X3...+ Xn
∑출초잔액 = Y1 + Y2 + Y3...+ Yn (Xi, Yi는 과목과 그 잔액)
∑입초잔액 = ∑출초잔액 (분개장 및 원장전기의 정확성 검증)
* 대차손익 분리확정 원칙 *
임의의 과목 X의 잔액이
* 회수가능한 금액이면 대여(자산)으로 결정
* 회수불가능한 금액이면 손실(비용)으로 결정
* 상환의무가 있는 금액이면 차입(부채 또는 자본)으로 결정
* 상환불필요한 금액이면 이익(수익)으로 결정
<손익계산서 작성의 항등식>
입초잔액 중 수익잔액 = S1 + S2 + S3 +...+Sn
출초잔액 중 비용잔액 = C1 + C2 + C3 +...+Cn
당기순이익 = ∑입초잔액 - ∑출초잔액
∑입초잔액 = ∑출초잔액 + 당기순이익
<대차대조표 작성의 항등식>
입초잔액 중 자산잔액 = A1 + A2 + A3 +...+An
출초잔액 중 부채잔액 = L1 + L2 + L3 +...+Ln
당기순이익 = ∑입초잔액 - ∑출초잔액
∑입초잔액 = ∑출초잔액 + 당기순이익
* 각 단계별 항등식과 원장의 수식적 관계 해설
* 분개 항등식과 입력방법 해설
상기의 항등식 중 분개 항등식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분개는 거래를 입금과 출금으로 분해하여 원시기록하는 작업이다. 현금거래를 비롯한 모든 거래는 입출 양변으로 분개한다. 즉, 현금거래도 원칙적으로는 입출 양변으로 분개한다. 분개 항등식은 전술한 바와 같이 [입금 과목명칭 금액 = 출금 과목명칭 금액]이다. 항등식에서 각 변은 각각의 전표를 의미한다. 즉, 입금변은 입금전표, 출금변은 출금전표라고 한다. 등호는 양변이 항상 동액이라는 의미이고, 동시에 전산입력을 위한 행 분리기호이고, 이는 한 건의 거래를 최소 2 행에 걸쳐 입금전표와 출금전표 2 개를 입력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서 항등식의 한 변 각각이 전표이고, 전표이므로 분개장에는 하나의 독립행에 입력된 다는 의미이다.
그러나 현금을 수취하거나 지급하는 거래는 그 상대방이 반드시 '금고'계정으로 정의되어 있으므로 현금거래는 편면으로 입력한다. 즉, 현금지급 거래는 [출금 전기료 100 = 입금 금고 100]과 같은 분개가 원형이지만, 여기서 금고변 입력은 생략한다. 현금수취 분개는 [입금 차입금 100 = 출금 금고 100]과 같은 분개가 원형이지만, 역시 금고변 분개는 생략한다. 금고변 분개를 생략해도 되는 것은 현금입출의 상대방 계정은 반드시 금고계정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금고변의 생략은 분개단계에서의 생략이므로, 프로그램은 금고변 전표를 보충하여 추가적으로 분개장 파일에 저장한다. 즉, 현금전표도 양변전표로 변환하여 저장한다. 그리고 이 금고전표를 금고원장 또는 현금원장에 전기하여 반드시 금고잔액 즉, 현금잔액을 산출한다. 현금거래 분개에서 금고변의 의미는 아래와 같다.
<금고변이 갖는 의미>
현금수취의 경우 : 입금 매출액 1000 = 출금 금고 1000
=> 현금을 받아 이를 회사내 금고에 예치출금하다.
현금지급의 경우 : 입금 금고 400 = 출금 전기료 400
=> 현금을 금고에서 인출수취하여 전기료로 지급하다.
<현금거래 및 이체거래 분개 통합 항등식>
원형 항등식 : In X M = Out Y M
=> 축약형 In X = Out Y, In = Out, 입금 = 출금, 입 = 출
다변수 전표 항등식 : [In X1 + X2 +...Xn = Out Y1 +Y2 +...Yn]
(X, Y는 변수 즉, 과목명)
비현금 이체거래는 반드시 [입 = 출] 방식으로 양변 즉, 최소 2행으로 입력해야 한다. 입출 각 변의 좌우 또는 상하위치는 전표의 유효성과 무관하다. 어느 방식으로 입력하든 입출 양변 동액이면 유효한 전표가 된다. 또한 입변과 출변의 변수 즉, 과목명과 그 금액의 개수는 제한이 없으나, 1 건의 거래로 입력하는 경우에는 반드시 [입금액 = 출금액] 조건을 충족해야 한다. 이체거래의 입력기호는 '입금/출금'으로 기록해도 무방하고, 현금거래 전표와 이체거래 전표를 분개장에서 식별하기 위하여 또 이체거래의 입출동액 여부 검증을 위하여 이체거래 전표에는 이체입금/이체출금 등과 같이 이체라는 단어를 부가해도 무방하다. 상기의 항등식을 양식지 분개로 변환한 예시는 아래의 [표1]에 현금거래의 수학적 항등식과 분개장 입력예시와 같다.
Figure 112011033643937-pat00011
또한 [표 2]는 이체거래의 수학적 항등식과 분개장 입력예시를 나타낸 것이다.
Figure 112011033643937-pat00012
요약하면, 본 발명에서 모든 거래는 입출 양변전표로 입력하되, 현금거래는 금고변을 생략한 편면으로 입력하지만, 시스템은 금고전표까지 추가하여 분개장 파일에 저장한다. 그리고 그에 따른 금고원장 즉 현금원장을 작성하여 현금잔액을 산출 표시한다. 그리고 이체거래는 반드시 양변 동액으로 입력해야 한다. 그리고 분개 입력단계에서 입력의 정확성을 검증하는 유일한 수단이 이체거래의 입출 동액여부의 확인이다.
다시 말해서, 현금거래든 비현금 이체거래든 모두 입금전표와 출금전표라는 양변전표로 구성된 것이나, 현금거래는 금고변 전표를 생략하고 편면으로 입력한다. 현금과 외상혼합 거래 등과 같이 현금과 이체가 혼합된 경우의 항등식은 상기 표 하단의 혼합매출 및 혼합매입의 예와 같고, 이 경우 현금수취 또는 현금지급분은 '금고'라는 과목명칭으로 분개하여 입출을 일치시킨다. 그리고 이 금고분개 전표는 금고원장에 전기하여 현금잔액을 산출한다. 즉, 본 발명에서 현금거래 전표의 상대전표인 금고전표는 금고원장으로 전기되고, 이체거래에서 사용된 금고전표도 금고원장으로 전기되므로 본 발명에서 현금잔액은 금고원장에서 산출된다.
<본 발명의 수기장부 기록 예시분개>
1.1 출자금 현금수취, [입금 자본금 1000 = 출금 금고 1000], 김두승
1.2 상품 현금매입, [출금 상품 500 = 입금 금고 500], 중경상사
1.3 임차료 현금지급, [출금 임차료 30 = 입금 금고 30], 건물주
1.4 상품 현금매출, [입금 상품매출 450 = 출금 금고 450], 북경상사
1.5 대여금 현금지급, [출금 대여금 200 = 입금 금고 200], 김철호
1.6 차입금 이체수취, [입금 차입금 700 = 출금 보통예금 700], 민영호/서울은행
아래 [표 3]은 본 발명의 입출 분개장 원형을 나타낸 것이다.
Figure 112011033643937-pat00013
상기의 분개장은 본 발명에 의한 분개장의 원형이다. 분개내역은 수기장부 예시분개를 그대로 컴퓨터 입력화면에 입력한 것이다. 즉, 전술한 항등식 분개를 양식지에 표현한 것이다. 분개장에서 각각의 행은 항등식 분개의 각 변의 내용에 해당된다. 즉, 분개 항등식의 입금변은 입금전표로, 출금변은 출금전표로 입력된 것이다.
현금거래를 포함한 모든 거래는 상기와 같이 입금전표와 출금전표라는 방향이 다른 최소 2개의 전표로 입력된다. 상기의 예시분개에서 전표번호가 같은 것은 1 건의 거래를 의미한다. 현금의 수취거래도 현금의 지급거래도 모두 입금전표와 출금전표로 분해 입력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현금수취 입금전표의 짝이 되는 전표는 반드시 [출금 금고] 전표이고, 현금지급 전표의 짝이 되는 전표는 반드시 [입금 금고]이므로 현금수취 및 현금지급 거래의 입력 시 사용자는 그 짝이 되는 전표의 입력을 생략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의 예시분개에서 밑줄이 그어진 전표는 금고전표이고, 이 금고전표는 사용자 입력이 생략된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하여 밑줄을 그은 것이다.
그러나 사용자는 업무시간의 절약 등의 편의를 위하여 금고전표의 입력을 생략하지만, 시스템은 밑줄이 그어진 금고전표까지 추가하여 저장한다. 이로써 완전한 입출 양변 복식부기 레코드가 분개장 파일에 저장되는 것이다. 이렇게 저장된 금고전표는 금고원장에 전기되어 금고잔액 즉, 현금잔액 산출에 활용된다.
이체거래는 상기의 전표번호 6과 같이 역시 입출 양변으로 분해 입력하여 저장한다. 물론 양변의 금액은 반드시 동액이어야 하고, 시스템은 이를 확인 후 분개장 파일에 1 건의 거래로 저장한다.
본 발명의 분개에 대하여 요약하면, 원칙적으로 현금거래를 포함한 모든 거래를 입금과 출금 양변으로 입력하고, 이 각각의 전표를 해당과목의 원장으로 전기하여 과목별 잔액을 산출하고, 이 잔액으로 시산표 및 재무제표를 작성하는 것이다.
아래 [표 4]는 본 발명에 따른 입출 분개장 약형을 나타낸 것이다.
Figure 112011033643937-pat00014
상기의 분개장은 본 발명의 원형분개를 간략히 한 것이다. 현금수취 및 지급거래를 편면1행으로 분개한 것이 보인다. 그러나 비현금 이체거래는 원형대로 입출 양변 동액으로 입력한 것이 보인다. 현금거래의 편면 1행 분개는 업무효율도 높고 사용자의 이해가능성도 높으므로 이하에서는 이 약식 분개방식으로 본 발명의 회계 시스템을 설명하고자 한다.
(2) 과목원장의 작성과 항등식 해설
과목원장은 분개장 기록 중에서 해당과목의 입출 전표만을 추출하여 작성되는 장부이다. 과목원장의 항등식을 다시 제시하면 아래와 같다.
<임의의 과목X의 원장잔액(벡터연산) 항등식>
X의 잔액 Z = 입금1 + 입금2 +...+입금N + 출금1 + 출금2 +...+출금 N
X의 잔액 Z =
Figure 112011033643937-pat00015
+
Figure 112011033643937-pat00016
(+는 벡터연산기호)
X의 잔액 Z = ∑
Figure 112011033643937-pat00017
i + ∑
Figure 112011033643937-pat00018
i (+는 벡터연산기호)
<차입금 거래분개 예시>
1) 차입금 현금수취 : 입금 차입금 700
2) 차입금 현금수취 : 입금 차입금 400
3) 차입금 현금상환 : 출금 차입금 100
<차입금 원장 항등식>
1) 차입금 잔액 =
Figure 112011033643937-pat00019
700 +
Figure 112011033643937-pat00020
400 +
Figure 112011033643937-pat00021
100
2) 차입금 잔액 =
Figure 112011033643937-pat00022
1100 +
Figure 112011033643937-pat00023
100 = 입초 1000
아래 [표 5]는 차입금 원장 양식을 나타낸 것이다.
Figure 112011033643937-pat00024
상기의 차입금 거래분개와 차입금원장 그리고 원장양식은 본 발명에 의한 것이며, 차입금 원장의 항등식 1)은 차입거래 발생분을 순서대로 전기한 것이다. 항등식 2)는 차입금 잔액을 계산하기 위한 것이며, 여기서 + 기호는 벡터연산 기호이다. 벡터연산 결과 차입금 잔액은 [입초 1000]으로 산출된다. 그리고 차입금원장 양식은 차입금 원장 항등식을 양식지에 표현한 것에 불과하다. 반대로 양식지에 표현된 내용을 수식화 한 것이 원장의 항등식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은 현금, 보통예금, 대여금, 자본금, 지급이자, 상품매출액 등의 모든 과목의 원장에 적용된다. 그리고 벡터연산 기호 +는 -로 사용해도 결과는 같다.
그러나 현행부기에서는 과목의 잔액을 산출하려면 반드시 그 과목의 속성을 먼저 파악해야 한다. 속성이란 특정과목이 자산/부채/자본/수익/비용 중 어느 그룹에 속하느냐를 의미한다. 즉, 현행부기는 먼저 과목의 속성을 결정한 후 그에 따라 잔액의 산출방법이 채택된다. 현행부기의 잔액산출방법은 아래와 [표 6]과 같다.
Figure 112011033643937-pat00025
이러한 방법은 전술한 바와 같이 각 과목의 속성을 모르는 경우에는 적용하기 힘든 방법이고, 또 왜 차변 또는 대변에서 그 반대편을 차감하는지에 대한 논리가 없이 그냥 외워서 사용해야 한다는 심각한 문제가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의 수식과 같이 과목의 속성을 회계자가 미리 알 필요가 없고, 잔액산출 수식 또한 과목의 종류나 속성에 상관없이 1 가지로 단일화 되어있으므로 누구나 쉽게 각 과목의 잔액을 산출할 수 있다. 물론 과목의 속성을 알아 두면 더 편리한 점은 있으나, 그것이 잔액산출의 전제조건은 아니다.
* 본 발명에 의한 과목잔액의 산출원리*
잔액 = 입금1+입금2+...+입금n+출금1+출금2...+출금n
잔액 =
Figure 112011033643937-pat00026
+
Figure 112011033643937-pat00027
=
Figure 112011033643937-pat00028
-
Figure 112011033643937-pat00029

과목잔액의 산출은 상기와 같이 벡터연산법이 적용된다. 입금과 출금은 그 힘의 방향이 정반대인 사건이므로 별도의 절차 없이 가장 단순한 벡터연산이 적용되는 것이다. 방향을 달리하는 두 힘의 합산은 가산하든 감산하든 그 결과가 같으므로 벡터연산에 의한 잔액산출 수식은 1 가지로 통일되는 것이다. 즉, 어떤 과목의 속성여부에 상관없이 각 과목의 잔액을 산출할 수 있다.
잔액산출의 원리를 설명하면, 해당과목의 거래내역을 상기의 수식처럼 입금전표는 입금전표대로 금액을 나열 후 입금총액을 산출하고, 출금전표는 출금전표대로 금액을 나열 후 출금총액을 산출한다. 이후 입금총액과 출금총액을 비교하여 절대값 차액과 그 방향을 표시하면 그것이 어느 과목의 잔액이다. 기초잔액은 상기의 잔액에 그대로 가산하면 된다. 과목별 잔액은 벡터값이므로 입 또는 출이라는 방향이 원칙적으로 수치 앞에 표시되어야 하지만, 상황에 따라 생략할 수 있다. 잔액은 입초/입금/입, 출초/출금/출 등과 같이 방향표시를 한다. 입초는 입금액이 더 큰 경우이고, 출초는 그 반대의 경우이다. 이렇게 산출된 잔액은 시산표로 전기되어, 재무제표 작성에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의 벡터연산의 의미는 사용자가 입금과 출금으로 나누어서 분개입력하면 컴퓨터가 계정별로 입금총액 및 출금총액을 별도산출후 양자비교하여 차액을 산출하여 표시하는 것으로서, 계정별 차액을 산출하는 것을 말한다. 즉 원장요구시 벡터연산을 수행하는 것이다.
* 시산표 작성과 항등식
*시산표 항등식
∑입초잔액 = X1 + X2 + X3...+ Xn
∑출초잔액 = Y1 + Y2 + Y3...+ Yn (Xi, Yi는 과목과 그 잔액)
∑입초잔액 = ∑출초잔액 (분개장 및 원장전기의 정확성 검증)
시산표는 각 과목의 잔액을 입초와 출초로 구분하여 작성된 표이고, 이를 항등식으로 표현한 것이 상기의 수식이다. 즉, 과목별잔액을 그 방향에 따라 입초는 입초대로, 출초는 출초대로 해당변에 전기하고, 각 변의 합계를 산출한다. 이것이 상기의 시산표 항등식이다. 시산표에서 입초총액과 출초총액은 일치해야 한다. 분개장에서 입출을 일치시켰기 때문이다. 만일 불일치한 경우에는 분개장, 원장 등을 재조사하여 반드시 일치시켜야 한다.
시산표는 제1차로 작성 후, 결산정리 분개를 실시한 후, 이 분개를 반영한 최종시산표를 작성해야 한다. 그러나 결산분개 역시 분개장에 입력하고, 분개장에 입력하면 원장의 잔액이 달라지고, 이 원장잔액으로 다시 최종시산표를 작성한다. 따라서 상기의 시산표는 1차 시산표이자 최종시산표 원형이라고 할 수 있다. 시산표에서 입출이 일치하면 이제 대차대조표와 손익계산서를 작성해야 한다.
이 재무제표를 작성하기 전에 필수적으로 실시해야 하는 절차가 과목별 대차손익의 확정이다. 즉, 임의의 과목이 대차손익 어느 그룹에 속하는지를 확정해야 한다. 여기서 대차손익을 확정해야 하는 이유는 시산표 작성 이전까지 각 과목의 대차손익 속성을 정의한 바가 없기 때문이고, 동시에 시산표에 나열된 각 잔액을 그 대차손익 속성에 따라 대차대조표와 손익계산서로 전기해야 하기 때문이다.
여기서 대차손익이란, 자산/부채및자본/손실/수익 등의 4 가지를 의미한다. 대차손익에서 대차는 현행부기의 대차변과는 그 의미가 무관하다. 여기서 대(貸)는 대여(금)의 약어이고, 그 의미는 회사가 회수가능한 금액으로 현행부기의 자산과 같다. 차(借)는 차입(금)의 약어이고, 그 의미는 회사가 상환해야 하는 금액이며 현행부기의 부채, 자본과 같다. 즉, 본 발명의 용어 차는 현행부기의 부채와 자본 모두를 포괄하는 용어이다. 그리고 손익은 현행부기의 비용 및 수익과 같다. 각 잔액을 대차손익으로 분리하는 원리는 다음 [표 7]과 같다.
Figure 112011033643937-pat00030
상기의 대차손익 분리원칙을 부연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임의의 과목 X의 잔액이
회수가능한 금액이면 대여(자산)으로 결정
회수불가능한 금액이면 손실(비용)으로 결정
상환의무가 있는 금액이면 차입(부채 또는 자본)으로 결정
상환불필요한 금액이면 이익(수익)으로 결정 한다.
아래 [표 8]은 본 발명에 의한 입출식 시산표와 대차손익의 결정을 나타낸 것이다.
Figure 112011033643937-pat00031
상기 [표 8]의 예시 시산표는 본 발명이 제시하는 대차손익 원리에 따라 각 과목별 잔액을 사용자가 대차손익으로 분류 기입한 것이다. 이렇게 확정된 잔액을 그 속성에 따라 대차대조표와 손익계산서로 전송하면 재무제표가 작성되는 것이다. 회계 장부를 최초로 작성하는 경우에는 상기와 같이 사용자가 일일이 각 잔액의 속성을 지정하지만, 그 다음 기부터는 각 과목의 속성이 이미 지정된 것이므로 시스템은 다음 기 기초잔액 테이블에 상기의 속성을 저장 표시하므로 사실상 제2기부터는 새로운 과목에 대하여만 대차손익 속성을 사용자가 판별해 주면 된다.
* 재무제표의 작성과 항등식
아래 [표 9]는 손익계산서 항등식을 나타낸 것이다.
*손익계산서 작성 항등식
입초잔액 중 수익잔액 = 상품매출 1350
출초잔액 중 비용잔액 = 임차료 30 + 전기료 60 + 전화료 70 + 매출원가 1000
당기순이익 = 입초잔액 1350 -출초잔액 1160 = 190
Figure 112011033643937-pat00032
또한, 아래 [표 10]은 대차대조표 항등식을 나타낸 것이다.
*대차대조표 작성 항등식
출초잔액 2290 = 금고 240 + 보통예금 470 + 상품 600 + 매출채권 780 + 대여금 200
입초잔액 2100 = 매입채무 500 + 차입금 600 + 자본금 1000
당기순이익 190 = 출초잔액 2290 - 입초잔액 2100
출초잔액 2290 = 입초잔액 2100 + 당기순이익 190
Figure 112011033643937-pat00033
상기의 손익계산서와 대차대조표는 각각의 항등식을 양식지에 표현한 것이다. 각 과목의 속성은 시산표에서 결정된 것이다. 입출차액인 당기순이익은 추가된 자본금에 속하므로 그 속성은 '차'이고, 이 금액은 대차대조표 입금변에 전기되어 입출을 일치시킨다.
즉, 시산표 상의 각 잔액에 대차손익이라는 식별기호를 사용자가 선택입력한 후, 이 기호에 따라 대차대조표와 손익계산서를 작성한다. 즉, 손익 속성의 잔액은 손익계산서로 전기하고, 대차 속성의 잔액은 대차대조표로 전기한 것이 상기의 예시 재무제표이다.
손익계산서 전기 후에는 입금총액(수익총액)에서 출금총액(비용총액)을 차감하여 당기순이익을 산출한다. 손익계산서에서도 당기순이익의 대차손익 속성을 결정해 주어야 한다. 당기순이익은 주주지분에 속하므로 회사의 채무이다. 따라서 그 속성을 상기와 같이 '차'로 지정한다. 손익계산서에서 산출된 당기순이익을 대차대조표 입금(차입)변에 전기하는 바, 그 이유는 손익계산서에서 당기순이익의 속성을 '차'로 지정하였기 때문이다. 물론 당기순손실도 그 속성은 '차'이다. 또한 대차대조표 자체에서도 입금총액(부채및자본 총액)에서 출금총액(자산총액)을 벡터연산하여 당기순이익을 산출할 수 있다. 어느 방법으로 대차대조표를 작성하든 대차대조표 상의 입출은 일치해야 한다.
원칙적으로 손익계산서 상의 당기순이익을 대차대조표로 전기하여 대차대조표 상에서 입출이 일치하면 시산표에서 재무제표로의 전기가 정확하게 이루어진 것으로 간주하고, 결산을 완료한다. 이렇게 산출된 대차대조표는 다음 기 기초대차대조표 테이블로 전기되어 다음 기의 해당과목 잔액 산출에 활용된다. 이것이 본 발명에 의한 회계 그리고 복식부기이다.
이하, 첨부된 예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학적 항등식을 기반으로한 복식분개와 복식회계 처리 시스템 및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말하는 분개장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현금출납장과 외견상 유사하나, 그 기능면에서는 매우 큰 차이가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학적 항등식을 기반으로한 복식분개와 복식회계 처리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수학적 항등식을 기반으로한 복식분개와 복식회계 처리 시스템(200)은 보조 기억장치(210), 출력장치(250), 입력장치(230), 중앙처리장치(CPU)(2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보조 기억장치(210)는 출금, 입금, 이체출금, 및 이체입금으로 이루어진 거래 유형 및 상기 거래 유형에 대응하는 계정과목 테이블을 저장하고 있으며, 분개장 입력과 그 입력을 기초로 하여 회계처리를 하도록 하는 회계처리 프로그램(220) 및 회계처리 결과를 저장한다.
상기 회계처리 프로그램(220)은
본 발명의 회계처리 프로그램 입출력화면 및 전체 진행화면을 처리하는 화면처리모듈(221);
거래유형 등 입력과정에서 항등식 처리가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항등식 처리모듈(222);
입력신호에 따라 과목 원장 별 잔액 등을 입금 및 출금 항목을 기준으로 연산하여 처리결과를 출력하는 벡터연산벡터연산모듈(223);
분개장 입력파일에 입력된 자료에 대하여 사용자가 입력장치를 통해 대차손익 중 하나를 결정하도록 하여 그 신호를 처리하는 대차손익 결정모듈(224);
입력된 분개장 파일 자료를 근거로 손익을 처리하여 표시하고 그 결과를 저장하는 손익계산서 처리모듈(225);
입력된 분개장 파일 자료를 근거로 대차대조 과정을 처리하여 표시하고 그 결과를 저장하는 대차대조표 처리모듈(226);
과목별로 미리 입력된 분개장 파일 자료를 근거로 계정과목별 파일을 생성하여 저장하는 과목원장 처리모듈(227);
입력장치에 의해 입력 저장된 분개장 파일을 근거로 잔액을 처리하여 그 결과를 표시하고 저장하는 잔액시산표 처리모듈(228)을 포함한다.
상기 출력장치(250)는 입력화면인 분개장 화면을 출력한다. 즉, 사용자로 하여금 거래 내역을 연월일, 출금, 입금, 이체출금, 이체입금으로 이루어진 거래 유형, 계정과목, 금액, 거래처, 적요 등으로 분해하여 입력할 수 있는 화면을 출력한다. 이와 같은 출력장치(250)는 어떤 상태나 회계 처리 결과 데이터를 화상으로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예컨대, 컴퓨터 모니터)(252)와, 상기 회계 처리 결과 데이터를 인쇄물로 제공하는 프린터(254)로 구성될 수 있다.
입력장치(230)는 사용자가 거래정보를 입력하는 한편 상기 출력장치(250)로부터 특정의 출력결과, 즉 계정별 원장 및 기타 회계정보를 얻기 위한 검색조건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입력장치(230)로는 키보드, 마우스, 전자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CPU(240)는 상기 보조 기억장치(210)에 저장되어 있는 회계처리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입력된 현금출납 내역과 계정과목 테이블을 이용하여 회계처리를 수행한다. 이와 같은 CPU(240)에는 데이터 처리를 위한 기억장치인 ROM(Read Only Memory) 및 RAM(Random Access Memory)이 포함된다.
그러면,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수학적 항등식을 기반으로한 복식분개와 이를 기반으로 하는 복식회계 처리 시스템에 의한 회계처리 방법에 대하여 설명해 보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학적 항등식을 기반으로한 복식분개와 복식회계 처리 방법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기업에서 구매 및 판매 등의 거래가 발생하면, 사용자는 본 발명의 회계처리 시스템(200)을 가동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회계처리 시스템(200)의 출력장치(220)는 사용자가 거래 내역을 입력할 수 있도록 분개장을 디스플레이한다. 분개장이 디스플레이되면, 사용자는 회계처리 시스템(200)의 입력장치(230)를 이용하여 거래정보 항목인 연월일을 입력한다(단계 S310).
이후 회계처리 시스템(200)은 보조 기억장치에 코드화되어 저장되어 있는 4가지 거래 유형을 디스플레이 장치(252)를 통해 표시한다. 이를 참조하여 사용자는 현재 입력대상 거래의 유형을 선택 입력한다(단계 S320). 선택가능한 거래 유형은 출금/입금/이체출금/이체입금의 4가지이다. 이 4가지는 크게 두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즉 입금과 출금이다. 입금은 현금입금의 약어이고, 출금은 현금출금의 약어이므로 입금/이체입금은 입금 그룹에 해당되고, 출금/이체출금은 출금 그룹에 해당된다. 설명의 편의상 이체출금은 이출, 이체입금은 이입으로 약칭할 수도 있다. 또한 출금과 입금은 지출과 수입 또는 수취와 지급으로 표현할 수도 있다.
거래 유형이 선택 입력되면 프로그램은 계정과목 테이블을 참조하여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계정과목을 디스플레이 장치(252)를 통해 표시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이 선택한 거래 유형에 대응되는 계정과목을 입력장치(230)를 통해 입력한다(단계 S330).
그리고, 거래금액, 거래처, 적요, 등의 부가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는 바에 따라 문자 또는 숫자로 입력함으로써 회계처리를 위한 데이터 입력과정, 즉 거래 내역 입력과정을 완료한다(단계 S340).
사용자가 입력장치(230)를 통해 거래 내역 입력을 완료하면, 수학적 항등식을 기반으로한 복식분개와 이를 기반으로 하는 복식회계 처리 시스템(200)은 보조 기억장치(210)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회계정보, 즉 거래전표를 처리한다(단계 S350). 여기서, 거래전표의 처리는 사용자가 입력한 전표가 바르게 입력된 것인지를 판단하고 그 판단결과 오류가 없다고 결정되면 그 전표를 파일, 즉 보조 기억장치(210)에 저장하는 것을 말한다. 전표입력 오류 여부 판단의 핵심은 이체거래 입력시 이체출금과 이체입금을 동액으로 입력하였는가의 판별인데, 이에 대하여는 후술하고자 한다.
그리고, 데이터베이스에 축적된 전표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특정의 전표처리 절차를 거쳐 계정별원장 및 시산표, 손익계산서, 대차대조표 등의 보고서를 디스플레이장치(252)를 통해 화면상에 출력하는 한편 프린터(254)를 통해 인쇄물로 출력한다(단계 S360).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회계처리 방법에 대하여 [표 11][표11-1][표11-2]를 참조하여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해 보기로 한다.
[표 11]은 본 발명에 따른 거래입력 화면, 즉 분개장 화면이다. 이 분개장 화면은 외견상으로는 상식적인 의미의 일반적인 수기 현금출납장과 비슷하며, 그 기능은 현금출납장, 이체현금출납장 등의 2가지 장부의 기능을 갖는다. 분개장 입력 화면은 일자, 전표번호, 거래 유형, 계정과목, 입금액, 출금액, 현금잔액, 거래처, 적요 등의 입력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표 11]의 입력방법을 설명하면, 거래가 발생하면, 사용자는 1) 먼저 연월일을 기록한다. 2) 전표번호는 시스템이 자동으로 부여하므로 사용자는 그 입력을 생략한다. 3) 입력하고자 하는 거래 유형을 선택한다. 거래 유형은 전술한 바와 같이 출금/입금/이체출금/이체입금의 4 가지가 있고, 사용자는 이 중 하나를 선택하여 입력하여야 한다. 4) 다음에는 계정과목을 입력한다. 계정과목은 전기료, 전화료 등과 같이 입출의 원인에 해당된다. 계정과목을 입력해야 계정과목별로 금액의 입출 내역과 잔액을 파악할 수 있다. 5) 금액은 거래 유형이 출금이면 출금 란에, 입금이면 입금 란에 입력해야 한다. 여기서 출금이란 출금/이체출금 등의 2가지 거래 유형을 의미하고, 입금은 입금/이체입금 등의 2가지 거래 유형을 의미한다. 즉, 현금입출금 거래가 아닌 이체거래인 경우에도, 거래 유형으로 이체출금을 선택하였으면 그 금액을 출금 란에 입력해야 하고, 이체입금을 선택하였으면 그 금액을 입금 란에 입력해야 한다는 의미이다. 6) 금액을 입력 후에는 거래처와 적요를 입력하여야 하는데, 거래처와 적요 이 두 가지 요소는 필수입력 사항은 아니다. 그러나 거래처를 입력하면 거래처별 매출액 등과 같이 거래처별 계정별 잔액을 파악할 수 있으므로 고급 회계관리를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필수적 입력사항이라고 할 수 있다. 7) 현금거래의 경우에는 거래처와 적요까지 입력 후 엔터를 누르면 1행의 입력으로 1 건의 거래입력이 완료된 것이다. 8) 그러나 이체거래의 경우에는 1행의 입력으로 거래입력이 완료되지 않고, 도 5의 예제거래 중 전표번호 6번의 거래처럼 최소 2행에 걸쳐 거래를 입력하되, 금액을 입출 동액으로 입력하여 [이체입금 금액 = 이체출금 금액] 조건을 충족해야 한다. 사용자가 거래 유형을 이체출금 또는 이체입금을 선택하고, 이후 계정과목, 금액, 적요 등을 입력하면, 프로그램의 항등식 처리모듈(222)은 [이체입금 금액 = 이체출금 금액]인지 비교하여 동액이 아니면 오류 메세지를 출력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이체입금 금액 = 이체출금 금액] 조건을 충족하는 상대전표를 입력하도록 강제한다. 이후 [이체입금 금액 = 이체출금 금액] 조건 즉 입출 동액 조건이 충족되면, 프로그램은 이체거래와 관련된 부분전표 각각에 대하여 동일한 전표번호를 부여한다. 그리고 다음 거래 입력을 대기한다. 본 발명에서 이체거래는 현행부기의 대체거래라는 용어와 같은 의미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식 회계 처리 방법을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기업에서 부기상의 거래가 발생하면, 즉, 사용자가 입력 장치(230)를 이용하여, 거래 요청 버튼(도시안됨)을 선택하면(단계 S400), 중앙 처리 장치(240)는 [표 11]의 초기 분개장 화면을 디스플레이 장치(252)에 디스플레이한다(S402). 그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초기 분개장 화면에서 거래일자를 입력한다(단계 S405). 그리고 나서는 거래의 종류가 현금 거래인지 아닌지를 판단해야 한다(단계 S410). 단계 S410의 판단 결과, 현금 거래이면 입력장치(230)를 이용하여 거래 유형에 따라 현금출금 거래이면 1 출금, 현금입금 거래이면 2 입금을 입력한다(단계 S420). 이후에 입력장치(230)를 이용하여 현금의 입출금의 원인인 계정과목을 입력하고, 금액은 입금이면 입금 란에, 출금이면 출금 란에 입력하고, 이후 거래처 등의 기타요소를 입력한다(단계 430). 이 단계에서 금액을 입금 란 또는 출금 란에 입력하면, CPU(240)는 보조 기억장치(210)에 저장된 회계 처리 프로그램(220)을 구동하여 현금잔액을 자동으로 산출하여 디스플레이 장치(252)를 통하여 표시해 준다(단계 S435). 사용자가 최종입력 칸인 적요에서 엔터를 누르면 입력 커서는 분개장의 다음 행 좌단의 월 입력 칸에 위치하게 되면서, 동시에 조금 전에 입력한 현금거래 전표를 보조 기억 장치(210)에 저장하고, 동시에 입력된 전표에 대응되는 금고전표를 추가적으로 입력하므로서 현금전표의 입력이 완료된다(단계 S440). 여기서 시스템이 입력하는 전표 금고변 전표는 사용자에게 노출되지 않는다.
단계 S410의 판단 결과, 현금거래가 아니라 예금이체 수취 및 예금이체 지급거래, 외상거래 또는 감가상각비 계상 및 매출원가 계상 등의 이체거래인 경우, 사용자는 이체거래라는 1건의 거래를 적어도 입금전표와 출금전표로 분해하여 분개장에 입력하여야 한다. 즉 1건의 거래를 적어도 2개의 전표로 즉 2 개의 행에 입력하여야 한다(단계 S480 ~ S500). 외상매출 거래의 경우, 사용자는 먼저 상품 매출액을 현금으로 받은 것으로 가정하여, 거래월일 입력 후, 거래 유형에 4를 입력하여 이체입금으로 선택한다(단계 S480). 일단 현금매출로 가정하므로 계정과목은 상품매출이고, 계정과목 란에 상품매출을 입력 후, 입금액, 거래처, 적요 등을 입력한다(단계 S490). 이로써 이체입금 전표의 입력이 완료되나, 아직 입출이 일치하지 않으므로 사용자는 이체출금 전표를 입력해야 한다. 앞의 이체입금 전표 중 맨 마지막 입력사항인 적요를 입력 후 엔터를 누르면 커서는 월일란으로 이동한다. 이체입금 전표와 동일한 월일을 입력하고, 거래 유형으로는 3을 입력하여 이체출금을 선택한다(단계 S480). 계정과목은 매출채권을 선택하고 출금액, 거래처 및 적요를 입력하여 이체출금 전표 입력을 완료한다(단계 S490). 이체출금으로 입력하는 이유는 상대방에게 매출대금을 현금으로 받아 이를 다시 그 상대방에게 대여 지급해 준 것으로 가정하기 때문이다. 최종 입력칸인 적요에서 엔터를 눌러 이체전표 입력 완료신호가 들어오면 시스템은 직전에 입력된 이체입금 전표의 금액과 이후에 들어온 이체출금 전표의 금액을 비교하여(단계 S500), 양자가 일치하면 적어도 2건의 이체전표에 대하여 1개의 동일한 전표번호를 부여하여 1건의 이체거래 입력으로 인정함과 동시에 2행의 이체전표를 보조 기억장치(210)에 저장한다(단계 S440). 그리고는 이체전표 판단과 관련된 변수 값을 초기화한 후, 다음의 또 다른 거래의 입력을 대기한다.
[표 11]은 본 발명의 분개장으로서 거래전표 입력화면을 나타낸다. 거래전표 입력의 핵심 요소인 거래유형 4 가지에 대하여 1 ~ 4의 번호를 부여하고 있는데, 번호 자체에는 큰 의미가 없다. 거래유형 번호는 단지 식별을 기호일 뿐이다. 따라서 식별이 가능한 모든 기호를 거래유형에 대응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번호 대신에 A ~ F 까지의 알파벳 문자로도 번호를 대용할 수 있다.
Figure 112011033643937-pat00034
거래유형은 상기와 같이 모두 4가지가 있다. 입금과 출금 또는 수입과 지출의 기준점은 나 또는 회사이다. 따라서 내가 현금을 받으면 입금, 주면 출금이다. 또한 이체입금은 현금등가액 또는 의제현금을 내가 받는 사건이다. 이체출금은 내가 현금등가액을 주는 사건이다. 이체거래는 현금등가액의 수수거래이지만, 그 현금등가물은 말 그대로 현금과 등가이므로 이체입금 = 현금입금, 이체출금 = 현금출금 이라는 정의가 성립한다. 따라서 분개입력시 현금입금이든 이체입금이든 원장의 입금 란에 전기되고, 현금출금과 이체출금은 역시 원장의 출금 란에 전기된다.
Figure 112011033643937-pat00035
[표 12]의 분개장은 [입금 과목 금액 = 출금 과목 금액]이라는 분개 항등식을 양식지 방식으로 기록한 것이다. 다만, 전술한 바와 같이 현금거래는 항등식의 1변만을 입력한 것이고, 이체거래는 항등식의 양변을 입력한 것이다.
Figure 112011033643937-pat00036
[표13]는 이체거래도 현금거래처럼 입금과 출금이라는 기호로 입력한 예시이다. 표 하단의 1월 6일자 외상매출 거래의 분개를 이체기호를 부가하지 않고 입금과 출금이라는 기호를 이용하여 입출 양방으로 입력하였다. 이렇게 분개 입력해도 원장에 주는 효과는 동일하므로, 이렇게 분개입력 해도 된다는 의미이다. 즉, 본 발명의 분개장은 입금과 출금만으로 이체거래를 비롯한 모든 거래를 입력할 수도 있고, 현금거래는 입금과 출금으로, 이체거래는 이체입금과 이체출금 방식으로 입력할 수도 있으며, 이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다.
Figure 112011033643937-pat00037
[표 14]은 거래가 현금거래인지 이체거래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거래유형 필드를 추가하고, 그 후에 입금인지 출금인지를 기록하는 분개장이다. 이렇게 분개하여도 표12의 분개장과 효과는 같다.
Figure 112011033643937-pat00038
Figure 112011033643937-pat00039
Figure 112011033643937-pat00040
[표 15][표16][표17]에는 본 발명에 따른 거래종류별, 즉 현금거래 및 이체거래 입력 방법이 예시되어 있다. 상기의 예시분개는 [입금 과목명칭 금액 = 출금 과목명칭 금액]이라는 항등식 분개를 양식지에 표현한 것이다. 항등식의 각 변에 기록된 변수(과목명칭)는 각각 1 개의 전표이므로 이 전표를 독립된 행에 입력해야 한다는 것을 이해하면 누구나 쉽게 입력할 수 있다. 물론 현금거래는 그 고정된 상대변인 '금고'계정 전표는 생략하고 편면으로 입력한 것이다.
[표 15][표16][표17]를 참조하면, 현금거래는 회사가 현금을 받았으면 입금을 선택하고, 회사가 현금을 주었으면 출금을 거래 유형으로 선택 후, 계정과목, 금액, 거래처, 적요 등을 [표 15][표16][표17]의 예시와 같이 입력하면 된다. 이체거래는 전술한 바와 같이 1건의 거래를 입금전표와 출금전표로 나누어 2행에 걸쳐 입출 동액으로 입력해야 하는데, 외상매출 및 외상매입 등의 주요 이체거래 입력방법에 대하여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고, 이체거래에서 사용되는 거래유형인 이체입금과 이체출금 역시 회사가 받으면 이체입금이고, 회사가 주었으면 이체출금이라는 정의는 현금거래의 입출에 대한 정의와 같다.
1) 외상매출 : 현금매출 입금 후, 그 대금의 대여 출금 가정
제 1행 : 이체입금 상품매출 금액
제 2행 : 이체출금 매출채권 금액
2) 외상매입 : 현금차입 입금 후, 그 대금으로 상품구입 출금 가정
제 1행 : 이체입금 매입채무 금액
제 2행 : 이체출금 상품 금액
3) 예금이체 수취 : 현금으로 수취입금 후, 예금통장에 예치출금 가정
제 1행 : 이체입금 차입금 금액
제 2행 : 이체출금 보통예금 금액
4) 예금이체 지급 : 예금통장에서 현금인출 입금 후, 그 현금으로 지급출금 가정
제 1행 : 이체입금 보통예금 금액
제 2행 : 이체출금 전기료 금액
5) 매출원가 계상 : 상품의 현금매출 입금 후, 매출원가(비용) 출금 계상
제 1행 : 이체입금 상품 금액
제 2행 : 이체출금 매출원가 금액
분개에 대하여 요약하면, 기록자는 분개과목이 자산인지 부채인지 하는 속성에 상관없이 먼저 과목명칭 그 자체만을 확정한 후, 현금을 받으면 현금입금, 현금을 주었으면 현금출금이라고 입력하기만 하면 된다. 이체거래는 최소 2개의 현금입출 전표로 분해하여 입금과 출금 양방 동액으로 입력하기만 하면 완전한 입력이라는 것이다. 물론 이체거래 입력 시에도 과목의 명칭만을 지정하면 되는 것이고, 그 과목의 속성은 굳이 반드시 알 필요는 없다. 원장에서 과목의 속성에 상관없이 잔액을 쉽게 산출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예시에 보이지 않는 유형의 분개는 현행부기의 예시를 참조하면 된다. 현행부기 분개의 대변=입금, 차변=출금이므로 현행부기의 대변과 차변을 입금과 출금으로 대체하면 본 발명의 부기와 현행부기가 같은 것이기 때문이다. [표 18]은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입금/출금 방식의 원장이다.
Figure 112011033643937-pat00041
Figure 112011033643937-pat00042
Figure 112011033643937-pat00043
분개입력 후, CPU(240)는 과목별 원장 작성 요청이 있는 지를 판단한다(단계 S507). 즉, 사용자가 입력 장치(230)를 이용하여, 과목별 원장 작성 요청 버튼을 눌렀는지를 판단한다.
단계 S507의 판단결과, 과목별 원장 작성 요청이 발생한 경우, CPU(240)는 회계 처리 프로그램(220)을 실행하여 상기 저장된 분개장 파일을 검색하여 해당 계정 과목이 입력된 전표를 하나씩 추출하여 과목별 원장을 작성한다(단계 S510). 다시 말해, 원장이 요구되면 프로그램은 분개장 파일을 검색하여, 해당 계정과목이 입력된 전표를 하나씩 추출한다. 추출이 되면, 프로그램은 입력전표의 월일을 원장 해당란에 전기하고, 입력된 거래 유형이 입금 또는 이체입금이면 그 금액을 입금 란에 전기하고, 출금 또는 이체출금이면 출금 란에 기록한다. 원장의 적요란에는 해당 거래의 상대계정과목과 거래처 및 비망사항을 전기한다. 비망사항이란 분개장 입력시 적요란에 입력된 문자열이다. 따라서 원장의 적요는 포괄적이고 통합적인 적요라고 할 수 있다. 원장의 적요에 기록되는 상대계정과목은, 현금거래의 경우에는 현금으로, 이체거래의 경우에는 각 이체전표의 상대방 계정과목이 기록된다. 원장의 잔액은 계정과목의 속성에 따라 아래의 두 가지 방식으로 산출표시된다. 원장의 잔액이란 계정과목별 잔액을 의미한다. 그리고 원장의 최종란에는 잔액의 속성이 입초 또는 출초 방식으로 표시된다.
원장 중에서 현금잔액은 현금원장 또는 금고원장에서 산출할 수 있다. 현금원장은 상기 [표 18][표19][표20]과 같이 입금전표는 현금원장의 입금란에, 출금전표는 출금란에 전기하여 입금액에서 출금액을 차감하는 상식적인 방법이다. 금고원장은 현금원장과 동일한 기능을 갖는 원장이다. 즉, 금고원장 역시 현금의 입출내역을 파악하고 최종적으로는 현금잔액을 산출하기 위한 원장이다. 금고원장은 [표 18][표19][표20]의 원장에서 두 번째에 예시되어 있다. 금고원장은 복식부기의 원리에 충실한 원장이다. 금고원장은 현금거래의 분개입력시 생략된 전표를 프로그램이 보충하여 작성하는 원장이다. 다른 원장과 마찬가지로 [입금 금고] 전표는 입금란에, [출금 금고] 전표는 출금란에 전기되고, 잔액은 벡터연산 방식으로 산출한다. 그러면 금고잔액은 정상적인 경우에는 출초잔액으로 표시된다. 이것이 현금잔액이다. 그러나 금고원장은 현금원장과 그 입출방향이 반대로 표시되므로 사용자가 이해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으므로 이 금고원장은 회계 교육용으로 사용하고, 상기업용 등에는 사용하지 않아도 되지만, 시산표 및 재무제표 작성시에는 그 표의 작성과 입출일치 검증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원장이므로 금고원장을 현금원장으로 대체하더라도 그 원리는 반드시 제시되어야 한다.
보통예금 원장은 [표 18]의 세 번째 부분에 표시되어 있다. 보통예금원장(이하 예금원장)의 양식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모든 원장과 같이 입금과 출금방식이다. 보통예금의 예치는 전술한 입출금의 정의에 따라, 회사가 은행에 예치하면 출금이고, 회사가 은행에서 인출수취하면 입금이다. 따라서 회사가 현금을 예치출금하면 예금원장의 출금란에 기재되고, 현금을 인출입금하면 예금원장의 입금란에 전기된다. 전기료의 예금 이체지급 거래 등의 경우에는 회사가 예금을 인출수취하여 전기료를 지급한 사건이므로 이 금액은 예금원장의 입금란과 전기료원장의 출금란에 전기된다. 반대로 예금이체방식으로 차입금 등을 수취한 경우에는 차입금 수취 후 예치출금한 사건이므로 이는 예금원장의 출금란과 차입금원장의 입금란에 기재되어 그 잔액이 산출된다.
즉, 사용자로부터 계정과목 원장의 작성 및 표시가 요구되면, 프로그램은 먼저 [표 18][표19][표20]의 입금/출금 방식 원장 양식을 디스플레이 장치(252)의 화면에 표시한다. 본 발명에 의한 [표 18][표19][표20]의 원장 양식은 기존(이하 설명하는 표 24)과 달리 그 누구도 이해하지 못하는 차변과 대변 방식이 아니라 [표 18][표19][표20]과 같이 입금과 출금 방식이고, 그에 따라 이해와 해석이 쉽다는데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원장작성에 대하여 요약하면, 금고원장을 비롯하여 모든 과목에 대하여, 그 분개전표가 입금이면 해당원장의 입금란에, 그 분개전표가 출금이면 해당원장의 출금란에 전기된다. 그리고 해당원장에서 입금총액과 출금총액을 비교하여 해당과목의 최종잔액을 산출한다. 보통 행 단위로 잔액을 산출하지만 이는 화면상의 표시일 뿐이다. 원장에서 행 단위로 잔액을 산출하는 것도 프로그램 내부적으로는 입금총액과 출금총액을 산출 후 그 잔액을 표시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참고로 금고계정(금고계정의 처리는 초기 현금 거래시 항등식 처리모듈(222)에서 수행함)을 포함한 모든 과목의 원장은 상기와 같이 입금전표는 원장의 입금란에, 출금전표는 원장의 출금란에 작성되는 통일적인 방법으로 작성되지만, 현금원장만큼은 전표의 입출 속성과는 반대로 원장에 기입된다. 즉, 현금원장은 복식부기 원리에 따른 원장은 아니지만, 금고원장의 이해도를 제고하기 위한 부외 적인 원장이라는 것이 본 발명의 현금원장이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의 금고원장이 진정한 현금원장이라는 의미이다. 금고원장은 주로 학습용으로 사용하고, 기업실무에서는 현금원장을 사용한다. 원장에서 잔액의 산출 원리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과목별 원장은 과목원장 처리모듈(227)에 의해 처리된다.
원장작성 단계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분개장에 전표의 입력이 완료되면 원장을 작성 표시해야 한다. [표 18][표19][표20]은 본 발명에 의한 원장이고 작성양식이다. 원장은 계정과목별 원장의 약어이고, 그 내역은 계정별 입출내역과 잔액정보라고 할 수 있다. 원장은 분개기록을 과목기준으로 필터링 추출하여 산출한다.
* 원장의 수리 항등식
1) 잔액 Z = 입금1 + 입금2 +...입금 n + 출금1 + 출금2...+출금n
2) 잔액 Z = ∑
Figure 112011033643937-pat00044
+ ∑
Figure 112011033643937-pat00045
원장은 상기의 항등식을 양식화 한 것이다. 각 전표의 전기는 수식 1)에 해당되고, 수식 2)는 원장 최하단의 입금합계와 출금합계 그리고 잔액란을 의미한다. 원장의 작성원리는 입금전표는 원장의 입금란에, 출금전표는 출금란에 전기하여 잔액을 벡터연산 방식으로 산출하는 것이다. 상기의 양식에 벡터는 최우측 란인 입초/출초란에 표시된다. 참고로 이체입금도 입금이고, 이체출금도 출금이므로 이체전표도 입금과 출금란에 전기된다.
[표 21] 및 [표 22]는 기존의 방법에 의한 잔액산출과 본 발명에 의한 벡터연산 방식의 잔액산출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Figure 112011033643937-pat00046
Figure 112011033643937-pat00047
본 발명에 의한 잔액의 산출은 기존과는 전혀 다르다. 기존의 방식은 먼저 과목의 속성을 자산/부채/자본/수익/비용 등으로 지정한 후, 그 속성에 따라 차변 또는 대변에서 다른 변을 차감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이 방식은 전술한 바와 같이 대부분의 사용자들은 각 과목이 어느 그룹에 속하는지를 반드시 파악해야 하는 심각한 문제가 있고, 또 안다고 하더라도 왜 대변에서 차변을 차감해야 하는지 그 원리는 전혀 모른채 그저 외워야만 한다는 문제가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면, 과목의 속성을 지정하지 않고도 벡터연산모듈(223)의 벡터연산에 의하여 입출 양변의 총액을 비교하여 그 차액 절대값을 잔액으로 산출하되 그 방향을 병기하는 방식이다. 즉, 입금총액이 출금총액보다 크면 [입초 300], 그 반대이면 [출초 300] 등과 같이 산출하는 지극히 상식적이어서 누구나 고민 없이 장기간 잔액산출 방법을 교육받지 않아도 과목별 잔액을 쉽게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잔액산출 방법은 전술한 바와 같이 일종의 벡터연산이다.
벡터연산 :
Figure 112011033643937-pat00048
+
Figure 112011033643937-pat00049
=
Figure 112011033643937-pat00050
벡터연산 :
Figure 112011033643937-pat00051
-
Figure 112011033643937-pat00052
=
Figure 112011033643937-pat00053

상기의 수식은 방향이 정반대인 두 힘의 합산 수식이고, 합산결과는
Figure 112011033643937-pat00054
이다. 이 수식은 그대로 과목잔액 산출에도 활용된다. 입금과 출금은 방향이 정반대이므로 입금총액과 출금총액의 합산 역시 벡터연산이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아래와 같다.
임의의 과목 X의 입금총액 1000, 출금 총액 800
벡터 연산 잔액 : 입금총액 1000 + 출금총액 800 = 입초 200
상기의 벡터연산에서 과목 X의 잔액은 [입초 200]이고, 입초 또는 입금은 방향 표시이다. 즉, 회계에서 과목의 잔액산출은 벡터연산이 그대로 적용된다. 따라서 누구든 입금총액과 출금총액의 절대값의 차액을 산출 후, 그 방향만 입금인지 출금인지 표시만 하면 되는 것이다. 즉, 항등식 분개와 이 분개에 따른 원장의 잔액을 산출하는 방법을 수식으로 표현하면 아래와 같다.
분개 (항등식 분개)
* 현금거래 : 입금 X 금액 (= 출금 금고 금액)
출금 X 금액 (= 입금 금고 금액)
* 이체거래 : 입금 X 금액 = 출금 Y 금액
원장잔액(벡터연산)
계정 X의 잔액 Z = 입금1 + 입금2 +... 입금N + 출금1 + 출금2 +...출금 N
계정 X의 잔액 Z = ∑입금i + ∑출금i = 입금총액 + 출금총액
원장의 잔액산출은 초보자와 숙달자 여부에 따라 달라진다. 즉, 본 발명에서는 아래와 같이 사용자의 수준에 따라 잔액을 산출한다.
<초보자>
벡터 연산 : 입금총액 1000 + 출금총액 800 = 입초 200
1) 초보자는 각 과목의 속성에 상관없이 벡타연산으로 과목잔액을 산출한다.
2) 벡터연산은 해당과목의 입금총액과 출금총액의 절대값 차액을 산출하는 것이다.
3) 절대값 차액에 입초 또는 출초 라는 방향을 표시한다.
4) 이 차액을 시산표에 전기하면 되고, 그 활용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숙달자>
1) 초보자의 단계를 넘어선 숙달자는 아래의 방식으로 잔액을 산출한다.
2) 초보자 단계에서 자기가 사용하는 과목을 결산시 지정하므로, 그 다음 기부터는 먼저 전기에 결정된 각 과목의 속성을 파악할 수 있다.
3) 과목은 입초잔액과 출초잔액 또는 입금잔액과 출금잔액 2 가지로 구분된다.
4) 출금잔액은 출금에서 입금을 차감하고, 입금잔액은 입금에서 출금을 차감한다.
출금잔액 계정이란 자산.비용처럼 출금으로 잔액이 증가하는 계정이다.
입금잔액 계정이란 부채.수익처럼 입금으로 잔액이 증가하는 계정이다.
기초잔액이 있으면, 그대로 상기잔액에 가산한다.
5) 즉, 숙달자 역시 벡터연산이지만, 과목의 속성을 입금 또는 출금으로 미리 파악해 두는 정도의 차이라고 할 수 있다.
6) 이 경우에도 과목이 자산/부채/자본/수익/비용 속성 중 어디에 속하는 지는 암기할 필요가 없다. 물론 알아 두면 편리하기는 하지만, 본질은 아니다.
[표 23]은 숙달자의 잔액 산출수식을 나타낸 것이다.
Figure 112011033643937-pat00055
이렇게 산출된 과목별 잔액은 시산표로 전기되고, 시산표에서는 각 과목의 잔액에 대하여 사용자가 각 과목잔액의 대차손익 속성을 지정해야 한다. 이 과정은 대차손칙 결정모듈(224)을 통해 수행되며, 그 지정원리에 대하여는 시산표 편에서 설명하고자 한다.
[표 24]는 기존의 차대변 원장을 나타낸 것이다.
Figure 112011033643937-pat00056
Figure 112011033643937-pat00057
Figure 112011033643937-pat00058
상기의 [표 24][표 25][표 26]은 기존 방식의 차대변 원장이다. 기존 방식도 차변전표는 원장의 차변에, 대변전표는 원장의 대변에 전기되는 점은 같다. 그러나 기존의 원장에서는 과목의 속성에 따라 차변 또는 대변에서 상대방을 차감하여 잔액을 산출하는데, 그 원리는 아무도 모른다는 데에 있다. 즉, 현행부기 사용자들은 아무런 원리도 모른채 분개입력하고, 원장을 작성하고 잔액을 산출하는 것이다. 즉, 모르고 회계 결산을 하는 것이다.
[표 27]은 본 발명에 따른 입출식 시산표를 나타낸 것이다.
Figure 112011033643937-pat00059
CPU(240)는 상기 과목별 원장에 대한 잔액 시산표가 요구되어 있는 지를 판단한다(S515).
단계 S515의 판단 결과, 상기 과목별 원장에 대한 잔액 시산표가 요구된 경우, CPU(240)는 해당 과목별 원장에 대한 과목별 잔액 정보를 집합시킨 잔액 시산표를 작성한다(단계 520). 이 시산표는 아직 각 과목의 속성이 정해지지 않은 것이다. 본 발명의 분개는 각 과목의 속성을 자산/부채/자본/수익/비용 등으로 사전에 정의하지 않고 입력하는 부기이기 때문이다. 일단 잔액의 정확성에 대하여 확신을 갖게 되면 사용자는 각 과목의 잔액에 대하여 그 대차손익 속성을 지정해야 한다(단계 524). 이 잔액을 대차손익 속성으로 분류하는 절차는 후술한다.
시산표 작성단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원장의 작성이 완료되면, 잔액시산표를 작성해야 한다. 잔액시산표는 말 그대로 각 계정별 잔액을 한 표에 집합시킨 것이므로, 프로그램의 잔액시산표 처리모듈(228)은 각 계정별 잔액을 [표 18][표19][표20]의 방식으로 산출하여 이를 [표 27]의 양식으로 표시하면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잔액시산표의 양식은 역시 계정별 원장의 양식과 마찬가지로 차대변 방식이 아니라 입금/출금 방식이므로 그 이해와 분석이 쉽다는 특징이 있다. 회계 처리 프로그램(220)이 잔액 시산표를 작성하는 절차는 1) 각 계정별 잔액을 산출한다. 2) 산출된 잔액과 계정명을 잔액 시산표 양식에 출력 표시한다. 3) 출초잔액 계정의 잔액은 출금 란에, 입초계정의 잔액은 입금 란에 표시한다. 4) 잔액을 표시 후, 입금 총액과 출금 총액을 표시하므로서 그 작성이 완료된다. 이렇게 출금잔액과 입금잔액으로 표시하면, 자동적으로 출금잔액란에는 자산.비용 관련 계정의 잔액이 표시되고, 입금잔액란에는 부채.수익 관련 계정의 잔액이 표시된다. 즉, 현행부기의 시산표와 동일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과목의 속성을 사전에 지정하지 않으므로 상기 시산표에 나열된 과목의 자산/부채/자본/수익/비용 속성은 아직 미정상태이다.
*잔액시산표 항등식
*총변수 항등식
금고 240 + 보통예금 470 + 상품 600 + 매출채권 780 + 대여금 200 + 임차료 30 + 전기료 60 + 전화료 70 + 매출원가 1000 = 매입채무 500 + 차입금 600 + 자본금 1000 + 상품매출 1350
*합계 항등식
입금총액 3450 = 출금총액 3450
즉, 본 발명의 시산표는 상기의 항등식을 양식지에 표현한 것이다. 상기의 항등식에서 총변수 항등식은 모든 변수 즉, 모든 과목의 잔액을 나열하여 합산한 것이고, 합계항등식은 입초잔액과 출초잔액의 합계만으로 수식화 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시산표에서 중요한 것은 금고계정이다. 금고계정의 잔액은 보통예금계정의 잔액처럼 출초잔액이므로 시산표의 출금변에 전기된다. 금고계정의 잔액이 현금잔액이므로 현금은 출금잔액이 되고, 출금잔액이므로 시산표의 출금변에 전기되어 총자산의 일부를 구성하게 된다. 그러나 현행부기에서는 명백한 논리가 없이 현금을 자산변에 기록하고 있다. 그리고 이 시산표에서의 검증기준은 입금총액과 출금총액의 일치여부이다. 상기의 시산표는 양식과 앙등식 모두에서 입출이 일치하므로 인정가능한 시산표이다. 시산표에서 입출이 일치하는 이유는 금고계정의 잔액이 출금변에 기록되기 때문이다. 이런 면에서 금고계정의 존재는 복식부기를 완성하는 중요한 전제조건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분개장 입력단계에서 입금총액과 출금총액을 반드시 일치시키므로, 데이터 파일이 물리적인 손상을 입지 않는 한 잔액시산표 및 재무제표 전반에 걸쳐 [입금총액 = 출금총액]의 입출일치 또는 대차일치 법칙이 성립하게 된다. 상기의 입출식 잔액시산표는 각 계정별 잔액을 그 입출 속성에 따라 분류하여 표시하는 표이다. 자산과 비용 관련계정은 출금으로 형성되는 속성이 있으므로 양식지의 출금 란에 표시되고, 부채 및 수익 관련계정은 입금으로 형성되는 속성이 있으므로 입금 란에 표시된다. 이렇게 입출 양방으로 표시 후 입금합계와 출금합계를 각기 산출하면 입출이 반드시 일치하게 된다. 그 이유는 분개 입력단계에서 반드시 입출을 일치시켜 저장하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는 종래의 방식인 [표 30]과 같은 내역이 표시된다.
[표 28]은 시산표에서 대차손익 결정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Figure 112011033643937-pat00060
시산표 작성 후 사용자가 해야 할 일은 각 과목잔액의 대차손익 확정이다(단계 524). 프로그램이 상기와 같은 양식을 제공하면 사용자는 대차손익 결정 칸에 대차손익 여부를 상기와 같이 선택 입력해야 한다. 이러한 절차는 본 발명에 의한 부기가 원칙적으로 사전에 각 과목의 대차손익 속성을 지정하지 않고, 시산표에서 최종확정하는 부기이기 때문이다. 각 과목의 대차손익 결정원리는 이미 제시한 바 있지만, 다시 제시하면 아래와 같다.
[표 29]는 대차손익 분리원칙을 나타낸 것이다.
Figure 112011033643937-pat00061
상기의 표는 시산표 상의 과목별 잔액을 대차손익으로 분류하는 원칙이다. 대차손익이란 자산/부채.자본/비용/수익의 약어이다. 즉, 대(貸)는 대여자산의 약어이고, 차(借)는 차입채무의 약어이다. 그리고 손(損)은 손실 즉, 비용의 약어이고, 익(益)은 수익 또는 이익의 약어이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의 대차(貸借)는 현행부기의 대변과 차변의 약어가 아니라 대차(貸借)라는 문자가 갖고 있는 본래의 뜻으로 사용된다. 특히, 대(貸)를 자산으로 정의하는 것은, 자산이라는 것이 대여금 즉, 대여금 및 보통예금 등 처럼 회사가 회수해야 할 금액이기 때문이다.
상기의 대차손익 분리원칙 표에서, 회수가능액이란 대여금, 보통예금, 보유채권, 보유주식, 상품, 토지, 건물 등의 잔액을 의미한다. 이들 계정 잔액의 본질은 회사가 회수해야 할 금액이기 때문에 대여이고 이것을 자산이라고 하는 것이다. 상환필요액이란 차입금 및 자본금 등의 채무를 의미한다. 자본금도 채무이다. 자본금의 정의는 회사의 청산시 주주에게 상환해야 하는 금액이고, 이는 상환필요액이 채무라는 정의에 부합되므로 채무이다. 당기순이익은 결국은 주주에게 상환해야 하는 금액이므로 역시 채무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차입금과 자본금 모두 채무로 간주한다. 다만, 그 채무가 주주냐 아니냐에 따라 과목의 명칭만 달리하는 것뿐이다. 회수불능액이란 회사가 지급이자처럼 금액을 주었지만 이 금액을 회수할 수 없는 금액을 의미한다. 전기료, 임차료 등 제반 비용이 이에 해당된다. 매출원가 역시 회수불능금액이다. 매출로 출고된 금액이기 때문이다. 상환불필요액이란 수입이자처럼 다시 돌려 줄 필요 즉, 상환할 필요가 없는 금액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품매출액, 국고보조금 수취액, 기부수취액, 채무면제액 등이 모두 정의에 따라 이익으로 분류된다.
즉, 상기의 시산표에서 금고 잔액 240원이 대 즉, 회수가능한 금액으로 결정하는 이유는 그 잔액 240원이 금고에 현존하기 때문이다. 여기서 금고는 정식금고일 필요는 없다. 설합 등도 가능하다. 보통예금 잔액 470원 역시 회수가능하므로 '대'이다. 상품 잔액 600원은 이 상품을 판매하면 이 금액을 회수가능하다고 판단하기 때문에 '대'이다. 토지, 건물 등의 잔액도 같은 개념이 적용되나, 이 경우 시가가 아니라 원장잔액 기준이다. 임차료 잔액 30원은 회수불가능하므로 '손'이다. 전기료.전화료.매출원가 역시 같은 논리에 의하여 '손'으로 결정한다. 매입채무.차입금.자본금 등은 상환의무 금액이므로 '차'로 분류한다. 상품매출 잔액은 상환불필요한 금액이므로 '익'으로 분류한다. 여기서 예시되지 않은 과목의 경우도 모두 상기의 원리에 따른다.
참고로 상기의 용어에서 회수가능액과 상환필요액은 시가가 아니다. 장부에 입력된 원장의 잔액일 뿐이다. 건물의 경우, 사용소모분을 감가상각 후 남은 잔액이지 전혀 시가와는 무관한 경우와 같다. 즉, 상품, 토지 등 시가가 존재하는 모든 과목의 잔액은 시가가 아니라 분개장에 입력되어 원장에서 산출된 장부가액일 뿐이다.
요약하면, 시산표 상의 잔액에 대하여 대차손익 분리원칙에 따라 대차손익을 결정하고, 이 속성에 따라 손익계산서와 대차대조표를 작성한다. 즉, 시산표 잔액 중 그 속성이 대차인 것은 대차대조표로 보내고, 그 속성이 손익인 것은 손익계산서로 보낸다.
[표 30]은 현행부기 방식의 시산표를 나타낸 것이다.
Figure 112011033643937-pat00062
[표 30]은 기존의 차변/대변 방식의 잔액 시산표이다. 왜 자산.비용은 차변에, 왜 부채.자본.수익은 대변에 기록되는지 알지도 못한 채 시산표를 작성하고 가르치는 것이 현행부기이다. 또한 현금잔액이 왜 차변에 기록되어야 하는지 등에 대하여 아무런 원리도 없이 작성된 시산표이다. 즉, 상기의 차대 시산표는 작성자도 모르면서 작성해야 하므로, 이 표를 이용한 의사결정에 중대한 왜곡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이다.
시산표에서 자산.부채.자본.수익.비용 계정잔액을 분리하는 방법도 본 발명은 상기의 현행부기와는 전혀 다르다. 즉, 현행부기는 자산.부채.자본.수익.비용에 대한 정의가 미흡하여 상당한 고학력자도 특정과목이 자산인지 부채인지 수익인지 손실인지 혼동이 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현행에서는 각 과목의 속성표를 사용자가 외우고 있거나 속성표를 확보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원칙적으로 현행부기와 같은 방식으로 재무제표를 작성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은 이미 설명한 바와 같다.
[표 31]은 본 발명의 손익계산서이다.
Figure 112011033643937-pat00063
*손익계산서 항등식
*총변수 항등식
입 상품매출 1350 = 출 임차료 30 + 출 전기료 60 + 출 전화료 70 + 매출원가 1000
[합계 항등식] 입금총액 1350 = 출금총액 1160 + 당기순이익 190
본 발명의 손익계산서는 손익계산서 처리모듈(225)에 의해 처리되며, 상기의 항등식을 양식으로 표현한 것이고, 시산표의 단계 524에서 결정된 잔액 중 손익으로 분류된 것만 모아서 만든 표이다. 시산표에서 지정한대로 전기하면 입출에 차액이 발생한다. 그것이 당기순이익이다. 당기순이익은 결국 수익(입금)총액에서 비용(출금)총액을 차감하는 방식으로 산출된다. 손익계산서에서도 그 잔액인 당기순이익의 속성결정이 요구된다. 사용자 또는 프로그램은 이 잔액을 '차'로 지정해야 한다. 주주에게 상환해야 하는 금액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차'로 지정되었으므로 이 금액은 대차대조표의 입금(차입)변에 전기된다.
Figure 112011033643937-pat00064
*대차대조표 항등식
*총변수 항등식
입 매입채무 500 + 입 차입금 500 + 입 자본금 1000
= 출 금고(현금) 240 + 출 보통예금 470 + 출 상품 600 + 출 매출채권 780 + 출 대여금 200
[합계 항등식] 출금총액 2290 = 입금총액 2100 + 당기순이익 190
[표 32]는 본 발명의 대차대조표이다. 이 대차대조표는 대차대조표 처리모듈(226)에 의해 처리된다. 대차대조표는 역시 상기의 항등식을 양식지에 표현한 것이다. 동시에 시산표의 단계 S524에서 결정된 잔액 중 대차 속성의 잔액만 모아서 만든 표이다. 시산표 잔액을 전기하면 역시 차액이 발생한다. 따라서 손익계산서 상의 차액 즉 당기순이익을 대차대조표 입금변 또는 차입변에 전기해야 한다. 이렇게 당기순이익을 전기하여 입출이 일치하면 이 대차대조표는 정확하게 작성된 대차대조표로 인정되고, 이것으로 결산이 완료된다. 또 다른 방법은 대차대조표 자체에서 입금총액과 출금총액을 비교하여 그 차액을 당기순이익으로 지정하고, 이 금액을 손익계산서 상의 당기순이익과 비교하여 양자가 일치하면 정당하게 작성된 대차대조표로 간주해도 된다. 즉, 대차대조표에서 최종적으로 입출이 일치하면, 복식부기 방법에 의한 결산이 완료된 것이다.
상기의 재무제표를 작성하는 절차를 시스템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는 입출금 방식의 시산표 작성 후, CPU(240)는 손익계산서가 요구되었는지를 판단한다(S525).
단계 S525의 판단 결과, 상기 손익계산서가 요구된 경우, CPU(240)는 상기 잔액 시산표에서 결정한 대차손익 기호에 따라 해당과목 잔액을 추출하여 입출겸용 방식의 손익계산서를 작성한다(S530). 당기순이익 계산은 [표 31]의 방법에 따른다. 즉, 시산표에서 추출한 수익/비용 총액을 비교하여 당기순이익을 산출한다.
단계 S535의 판단 결과, 상기 대차대조표가 요구된 경우 CPU(240)는 상기 잔액 시산표에서 대차손익 분리원칙에 따라 대차로 결정된 계정잔액을 추출하여 입출 방식의 대차대조표를 1차로 작성한다(단계 S540). 그리고 당기순이익은 시스템 내부적으로 손익계산서 로직을 가동하여 산출하여 대차대조표의 입금변에 표시하여 대차대조표를 2차로 완성한다. 그리고 대차대조표 상의 입출일치 여부를 검증하여 일치하면 이를 그대로 화면에 표시하여 대차대조표 표시를 최종적으로 완료한다.
본 발명의 대차대조표와 손익계산서 양식 역시 종래와 달리 [표 31]과 같이 입출방식으로 표시하여 재무제표의 작성과 이해 및 활용을 제고할 수 있다. 대차대조표든 손익계산서든 각 문서에서 입출은 언제나 일치해야 하고, 분개장, 잔액시산표 등에서 이미 입출이 일치된 상태이므로, 재무제표를 구성하는 대차대조표 및 손익계산서에서도 입출은 언제나 일치하게 된다. 입출이 일치된 재무제표는 정상적인 경영분석 및 보고자료로 사용할 수 있으나, 입출이 일치하지 않는 재무제표는 당연히 사용 불가능한 자료가 되므로 입출의 일치는 재무제표의 신뢰성과 유용성 여부를 판별하는 가장 중요한 조건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분개장, 원장, 시산표, 재무제표는 반드시 입출을 일치시키므로 기업경영 분석 및 보고에 사용될 수 있는 시스템이라고 할 수 있다.
Figure 112011033643937-pat00065
[표 33]은 종래 방식의 재무제표인, 대차대조표와 손익계산서로서 본 발명에 의한 재무제표와 내용상의 차이는 없다. 요약하면, 차변과 대변이 아니라 입금과 출금 방식으로 전표를 현금출납 방식으로 입력하고, 계정과목의 속성을 모른채 또는 속성에 상관없이 입력해도 결과는 종래의 원장, 시산표, 재무제표와 같은 결과가 산출되나, 본 발명에 의한 것은 거래의 입력과 원장을 비롯한 각종 집계장부의 이해 그리고 활용이 쉽다는데 그 장점이 있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복식회계 처리 절차요약
본 발명의 복식회계 처리절차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먼저 각 단계별 항등식을 숙지해야 한다.
분개장과 원장, 시산표 및 재무제표 작성 등은 각 단계별 항등식을 해당 장표에 옮겨 적은 것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이하 복식회계 처리절차 순서이다.
1. 분개 항등식은 [입 과목 금액 = 출금 과목 금액]이다.
분개 항등식의 약형은 [입 = 출]이다.
분개장에는 이 항등식의 입변과 출변 각 변을 1 행에 입력한다.
즉, 과목별 입금전표와 출금전표 최소 2 전표 방식으로 입력한다.
특정과목이 자산인지 부채인지 자본인지, 수익인지 비용인지 그 속성여부에 상관없이 임의의 과목명칭으로 입금 또는 출금으로 입력한다.
현금거래는 입금전표 또는 출금전표 어느 하나를 1행으로 입력한다.
이체거래는 입금전표 및 출금전표를 동시 동액으로 최소 2행에 걸쳐 입력한다.
분개는 입금/출금 2 가지 기호만 사용해도 되고, 입금/출금/이체입금/이체출금 등의 4 가지 기호로 세분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2. 원장전기의 항등식은 [잔액 = 입1 + 입2 +...+ 입n + 출1 + 출2 +...+출n]이다.
원장의 잔액 산출 항등식은 [잔액 =
Figure 112011033643937-pat00066
+
Figure 112011033643937-pat00067
]이다.
과목별원장에는 분개장의 입금과 출금 전표 각각을 입금란과 출금란에 전기하고, 잔액은 벡터연산 방식으로 즉, 입금총액과 출금총액의 절대값 차액을 산출한다. 즉, 계정과목의 자산.부채.자본.수익.비용 속성에 상관없이 입금총액과 출금총액을 비교하여 입금이 크면 [입초 1000] 또는 [입금 1000] 방식으로 잔액을 기록하고, 출금이 더 크면 [출초 1000] 또는 [출금 1000] 등과 같이 잔액을 표시한다.
3. 시산표 전기의 항등식은 [입1 + 입2 +...+ 입n = 출1 + 출2 +...+출n]이다.
시산표 항등식의 약형은 [입금총액 = 출금총액]이다.
시산표는 입금잔액란과 출금잔액란 2 개로 구성되며, 과목원장의 잔액을 그 입출 속성에 따라 입금란 또는 출금란에 전기한다. 이렇게 전기 후에는 입금총액과 출금총액을 비교하여 그 동액성으로 전기의 정확성을 검증한다.
시산표의 검증이 완료되면, 대차손익 분리원칙에 따라 과목별 잔액의 대차손익 속성을 확정한다. 그리고 이 결과에 따라 손익계산서와 대차대조표로 분리하여 작성한다. 그리고 손익계산서에서 산출된 당기순이익을 대차대조표 입금(차입)변으로 전송하여 입출을 일치시켜 재무제표를 완성한다.
4. 손익계산서의 항등식 역시 [입1 + 입2 +...+ 입n = 출1 + 출2 +...+출n]이고, 그 약형은 [입 = 출]이다. 다만, 수식 내의 계정과목이 손익 속성이라는 점에 특징이 있다.
대차대조표 항등식 역시 [입1 + 입2 +...+ 입n = 출1 + 출2 +...+출n]이고, 그 약형은 [입 = 출]이다. 다만, 수식 내의 계정과목이 대차 속성이라는 점에 특징이 있다. [입 =출]이라는 항등식은 분개 항등식이기도 하다.
5. 이렇게 산출된 대차대조표는 다음 기 기초대차대조표 테이블로 전송되어 다음 기 원장의 기초잔액으로 활용된다.
6. 시산표 작성 후 결산정리는 현행부기의 경우와 같이 분개장에서 실시할 수도 있고, 시산표 상에서 실시할 수도 있다. 대기업체 등과 같이 철저한 관리가 요구되는 사업장에서는 결산분개가 필요하고, 농가.가정.소상인 등의 경우에는 시산표 상에서 실시해도 무방하다.
결산분개를 하든 시산표 상에서 직접 결산조정을 하든 시산표는 다시 작성되어야 한다. 이것을 최종시산표라고 한다. 이 최종시산표에서도 역시 대차손익 분리원칙에 따라 대차와 손익을 분리하여 재무제표를 작성하는 것은 상기의 설명과 같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 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210: 보조 기억장치
220: 회계 처리 프로그램
250: 출력장치
252: 디스플레이 장치
254: 프린터
230: 입력장치
240: 중앙처리장치(CPU)

Claims (9)

  1.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장치, 분개장 화면을 출력하기 위한 출력장치, 회계처리프로그램 및 회계처리결과를 저장하는 보조기억장치 및 상기 장치 전반을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를 포함하는 수학적 항등식을 기반으로한 복식회계 처리시스템을 통한 복식회계 처리방법으로서,
    (i) 상기 입력장치로부터의 입력신호에 따라 거래 내역으로서 연월일, 출금, 입금, 이체출금, 이체입금으로 이루어진 거래 유형, 계정과목, 금액, 거래처, 적요란이 포함된 입금/출금 방식의 분개장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ii) 상기 거래 내역을 연월일, 거래 유형, 계정과목, 금액, 거래처, 적요로 구분하여 회계 전표가 입력완료 됨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분개장 파일을 형성 및 저장하는 단계;
    (iii) 상기 입력장치로부터의 입력신호에 따라 과목별 원장 작성이 요구됨에 따라 상기 회계 처리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상기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분개장 파일을 검색하여 해당 계정 과목이 입력된 전표를 하나씩 추출하여 과목별 원장을 작성하는 단계;
    (iv) 상기 입력장치로부터의 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과목별 원장에 대한 잔액시산표가 요구됨에 따라 해당 과목별 원장에 대한 과목별 잔액 정보를 집합시킨 잔액 시산표를 작성하는 단계;
    (v) 대차 대조표 또는 손익 계산서가 요구되어 있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vi) 상기 입력장치로부터의 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대차 대조표가 요구된 경우 상기 잔액 시산표에서 자산, 부채 계정 잔액을 추출하여 입출겸용 방식의 대차대조표를 작성하고, 상기 손익 계산서가 요구된 경우 상기 잔액 시산표에서 수익,비용 계정잔액을 추출하여 입출겸용 방식의 손익 계산서를 작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학적 항등식을 기반으로한 복식회계 처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계 (i)에서는 입력장치로부터 입금과 출금 항목 하나를 선택하여 입력하도록 제어되며, 이후 대응되는 입금과 출금 항목 하나를 수학적 항등식 관계의 짝, 즉 입금액=출금액 방식의 항등식 관계를 이루어 입금액에 대응하는 출금액이 짝을 이루어 입력되도록 제어되며,
    상기 단계 (iii)은 과목별 원장에서 입금총액과 출금총액을 비교하여 잔액을 벡터연산 방식, 즉 과목의 잔액=입금총액+출금총액의 항등식관계 방식으로 산출하고,
    상기 단계 (iv)에서 잔액시산표가 표시된 인터페이스 화면에서 대차손익을 결정하고, 손익계산서에서 산출된 당기순이익을 대차대조표로 전송하며,
    상기 단계 (i)에서 현금 입금의 경우 자동으로 입금에 대응하는 짝을 이루는 금고계정이 생성되어 표시 및 기록(record)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학적 항등식을 기반으로한 복식회계 처리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거래유형이 현금거래인 경우, 상기 단계 (ii)는
    (ii-1) 상기 입력장치를 통해 초기 분개장 화면에서 거래일을 입력하는 단계;
    (ii-2) 거래 유형에 따라 현금출금과 현금입금을 구분하여 입력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ii-3) 현금의 입출금의 원인인 계정과목을 입력하고, 금액은 현금입금이면 입금 항목에, 현금출금이면 출금 항목에 입력하고, 이후 거래처, 적요를 입력하는 단계; 및
    (ii-4) 입력된 현금거래 내용을 포함하는 전표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현금전표의 입력이 완료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학적 항등식을 기반으로한 복식회계 처리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거래 유형이 이체거래인 경우, 단계 (ii)는
    (ii-가) 상기 입력장치를 통해 초기 현금출납장 화면에서 거래일을 입력하는 단계;
    (ii-나) 거래 유형으로 이체출금 및 이체입금을 선택하는 방식으로, 1건의 거래마다 이체입금용 전표 및 이체출금용 전표로 이루어진 적어도 2개 전표를 입력하는 단계;
    (ii-다) 상기 이체입금용 전표 및 상기 이체출금용 전표에 해당 계정과목, 해당금액, 거래처, 및 적요를 입력하는 단계; 및
    (ii-라) 상기 이체입금 전표의 금액과 이후에 들어온 이체출금 전표의 금액을 비교하여, 양자가 일치하면 적어도 2건의 이체전표에 대하여 1개의 동일한 전표번호를 부여하여 1건의 이체거래 입력으로 인정함과 동시에 상기 한 쌍의 이체전표를 상기 보조 기억장치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이체거래 전표 입력 도중에 입출 동액이 아닌 상태에서 순수한 현금전표를 입력하면, 프로그램은 입출이 일치하지 않으므로 오류 메시지를 표시하여 입출 일치, 즉 입금=출금 관계를 이루도록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학적 항등식을 기반으로한 복식 회계 처리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i)에서의 분개 항등식은 [입금 과목 금액 = 출금 과목 금액] 관계이며, 분개 항등식의 약형은 [입 = 출]이며, 분개장에는 이 항등식의 입변과 출변 각 변을 1 행에 입력하되, 과목별 입금전표와 출금전표 최소 2 전표 방식으로 입력하고, 현금거래는 입금전표 또는 출금전표 어느 하나를 1행으로 입력하고, 이체거래는 입금전표 및 출금전표를 동시 동액으로 최소 2행에 걸쳐 입력하고, 특정과목이 자산인지 부채인지 자본인지, 수익인지 비용인지 그 속성여부에 상관없이 임의의 과목명칭으로 입금 또는 출금으로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학적 항등식을 기반으로한 복식 회계 처리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i)에서의 원장전기의 항등식은 [잔액 = 입금1 + 입금2 +...+ 입금n+ 출금1 + 출금2 +...+출금n]의 관계를 나타내고,
    원장의 잔액 산출 항등식은 [잔액 =
    Figure 112012107660366-pat00068
    +
    Figure 112012107660366-pat00069
    ]이고,
    시산표 전기의 항등식은 [입금1 + 입금2 +...+ 입금n = 출금1 + 출금2 +...+출금n]이고,
    손익계산서의 항등식 역시 [입금1 + 입금2 +...+ 입금n = 출금1 + 출금2 +...+출금n]이고, 그 약형은 [입 = 출]이고,
    대차대조표 항등식 역시 [입금1 + 입금2 +...+ 입금n = 출금1 + 출금2 +...+출금n]이고, 그 약형은 [입 = 출]이고,
    대차대조표는 다음 기 기초대차대조표 테이블로 전송되어 다음 기 원장의 기초잔액으로 활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학적 항등식을 기반으로한 복식 회계 처리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iii)에서 잔액산출 방식은 벡터연산값, 즉 입금총액=출금총액 방식의 연산에서 입금이 초과되거나 혹은 출금이 초과되는 경우를 나타내는 경우 각각 입초 혹은 출초 방식으로 잔액을 표시하는 입초/출초 잔액 방식으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학적 항등식을 기반으로한 복식 회계 처리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iv)의 잔액시산표는 입력된 모든 계정의 잔액이 입금총액=출금총액 방식의 연산에서 입금이 초과되거나 혹은 출금이 초과되는 경우를 나타내는 경우 각각 입초 혹은 출초 방식으로 표시되고, 그 입출 각각의 합계가 같고, 이 각 계정잔액에 대하여 사용자가 대차손익 속성을 지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학적 항등식을 기반으로한 복식 회계 처리 방법.
  8. 출금, 입금, 이체출금, 및 이체입금으로 이루어진 거래 유형 및 상기 거래 유형에 대응하는 계정과목 테이블을 저장하고 있으며, 분개장 파일을 저장하고, 입력과 상기 분개장 입력을 기초로 하여 회계처리를 하도록 하는 회계 처리 프로그램 및 회계처리 결과를 저장하는 보조 기억장치; 사용자로 하여금 거래 내역을 연월일, 출금, 입금, 이체출금 및 이체입금으로 이루어진 거래 유형, 계정과목, 금액, 거래처, 적요로 분해하여 입금/출금 방식으로 입력하도록 입력화면인 분개장 화면을 출력하는 출력장치; 사용자가 거래정보를 입력하거나 기저장된 정보를 조회하되, 상기 출력장치로부터 특정의 출력결과인 계정별 원장 및 기타 회계정보를 얻기 위한 검색조건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장치; 상기 보조 기억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회계처리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상기 입력장치에 의해 입력된 현금출납 내역과 계정과목 테이블을 이용하여 분개장 파일을 작성하고, 입력장치를 통한 사용자의 요청신호에 따라 과목별 원장, 잔액 시산표, 대차 대조표, 및 손익 계산서를 선택적으로 작성하는 중앙처리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중앙처리장치는 거래 유형이 현금거래인 경우에는, 상기 입력장치를 통해 초기 현금출납장 화면에서 거래일을 입력받고; 거래 유형에 따라 출금과 입금을 구분하도록 특정신호를 입력받고; 현금의 입출금의 원인인 계정과목을 입력받고, 금액은 입금이면 입금 란에, 출금이면 출금 란에 입력받고, 이후 거래처, 적요를 입력받고; 입력된 현금거래 내용을 포함하는 전표를 저장하는 과정을 수행하여 현금전표의 입력을 완료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학적 항등식을 기반으로한 복식 회계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회계처리프로그램은 회계처리 프로그램 입출력화면 및 전체 진행화면을 처리하는 화면처리모듈;
    거래유형 등 입력과정에서 항등식, 즉 입금총액=출금총액 방식의 항등식 처리가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항등식 처리모듈;
    입력신호에 따라 과목 원장 별 잔액 등을 입금 및 출금 항목을 기준으로 연산하여 처리결과를 출력하는 벡터연산모듈;
    분개장 입력파일에 입력된 자료에 대하여 사용자가 입력장치를 통해 대차손익 중 하나를 결정하도록 하여 그 신호를 처리하는 대차손익 결정모듈;
    입력된 분개장 파일 자료를 근거로 손익을 처리하여 표시하고 그 결과를 저장하는 손익계산서 처리모듈;
    입력된 분개장 파일 자료를 근거로 대차대조 과정을 처리하여 표시하고 그 결과를 저장하는 대차대조표 처리모듈;
    과목별로 미리 입력된 분개장 파일 자료를 근거로 계정과목별 파일을 생성하여 저장하는 과목원장 처리모듈;
    입력장치에 의해 입력 저장된 분개장 파일을 근거로 잔액을 처리하여 그 결과를 표시하고 저장하는 잔액시산표 처리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항등식 처리모듈은 입력장치로부터 입력된 항목에 대응되는 항목이 수학적 항등식 관계의 짝, 즉 입금액=출금액 방식의 항등식 관계를 이루어 입금액에 대응하는 출금액이 짝을 이루어 입력되도록 제어되며, 현금 입금의 경우 자동으로 입금에 대응하는 짝을 이루는 금고계정을 생성하여 표시 및 기록(record)하고,
    상기 벡터연산모듈은 과목별 원장에서 입금총액과 출금총액을 벡터 방식, 즉 총액=입금총액+출금총액의 항등식관계 방식으로 입금 총액과 출금 총액을 비교하는 방식인 벡터연산 방식으로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학적 항등식을 기반으로한 복식회계 처리시스템.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장치를 통해 입력되는 거래유형은 현금거래의 경우 항등식의 1변 만을 입력하면 자동으로 항등식의 다른 변이 기록 저장되며, 이체거래의 경우에는 이체 수입과 이체 지출로써 수학적 항등식을 이루도록 양변을 입력하되, 화면에서는 행을 달리하여 2행이 1조로 구성되어 입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학적 항등식을 기반으로한 복식 회계 처리 시스템.
KR1020110042873A 2011-05-06 2011-05-06 수학적 항등식을 기반으로 한 복식 분개 및 복식회계 처리방법 및 시스템 KR1012756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2873A KR101275650B1 (ko) 2011-05-06 2011-05-06 수학적 항등식을 기반으로 한 복식 분개 및 복식회계 처리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2873A KR101275650B1 (ko) 2011-05-06 2011-05-06 수학적 항등식을 기반으로 한 복식 분개 및 복식회계 처리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4928A KR20120124928A (ko) 2012-11-14
KR101275650B1 true KR101275650B1 (ko) 2013-06-17

Family

ID=47510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2873A KR101275650B1 (ko) 2011-05-06 2011-05-06 수학적 항등식을 기반으로 한 복식 분개 및 복식회계 처리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565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13210A (zh) * 2016-03-10 2018-10-26 李德求 利用综合试算表的会计处理方法及会计处理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16542B (zh) * 2021-05-11 2024-03-29 北京悦和软件有限公司 物业智能会计核算中的日结月结及年度试算方法及系统
CN115760406A (zh) * 2022-11-22 2023-03-07 中电金信软件(上海)有限公司 交易核算处理方法、装置、核算服务器及存储介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44397A (ja) 2000-05-31 2001-12-14 Maeda Corp 自動仕訳装置、自動仕訳方法、及び媒体
KR20070101115A (ko) * 2006-04-11 2007-10-16 이원노 태극 입출금 회계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00032476A (ko) * 2008-09-18 2010-03-26 이원노 현금출납장을 기반으로한 복식 회계 처리 방법 및 시스템
KR20100082057A (ko) * 2009-01-08 2010-07-16 이원노 수입 지출방식을 기반으로한 복식 회계 처리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44397A (ja) 2000-05-31 2001-12-14 Maeda Corp 自動仕訳装置、自動仕訳方法、及び媒体
KR20070101115A (ko) * 2006-04-11 2007-10-16 이원노 태극 입출금 회계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00032476A (ko) * 2008-09-18 2010-03-26 이원노 현금출납장을 기반으로한 복식 회계 처리 방법 및 시스템
KR20100082057A (ko) * 2009-01-08 2010-07-16 이원노 수입 지출방식을 기반으로한 복식 회계 처리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13210A (zh) * 2016-03-10 2018-10-26 李德求 利用综合试算表的会计处理方法及会计处理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4928A (ko) 2012-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agner Working capital management: applications and case studies
Musah Benefits and challenges of bookkeeping and accounting practices of SMEs and its effect on growth and performance in Ghana
Iriyadi et al. Financial Reporting for Micro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Towards Industrial Revolution Era 4.0
CN103930917A (zh) 一种人生元件导向财务策划系统
CN107798515A (zh) 一种数据库自动生成会计凭证的方法
Aiken et al. The evolution of bookkeeping in China: integrating historical trends with Western influences
JP4285765B1 (ja) 予算管理会計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Anandarajan et al. Historical overview of accounting information systems
KR101275650B1 (ko) 수학적 항등식을 기반으로 한 복식 분개 및 복식회계 처리방법 및 시스템
US20110202435A1 (en) Activity information accounting system
JP3415117B2 (ja) 経理処理システム及び経理処理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媒体
KR101000359B1 (ko) 현금출납장을 기반으로한 복식 회계 처리 방법 및 시스템
KR101128195B1 (ko) 세무자료 매칭 처리 기능을 구비한 복식 회계 처리 방법 및 시스템
Carlberg Business Analysis: Microsoft Excel 2010
Iyer et al. Bank Reconciliation Bot
KR20070101115A (ko) 태극 입출금 회계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
Abdulrahaman Accounting cycle and the development of Accounting Practices in Nigeria
Tiffin Executive Finance and Strategy: How to Understand and Use Financial Information to Set Strategic Goals
Sretenovic et al. Model payment order in the SEPA system
KR20100082057A (ko) 수입 지출방식을 기반으로한 복식 회계 처리 방법 및 시스템
Nino et al. Simple bookkeeping model using Microsoft excel for culinary micro-business in East Nusa Tenggara Indonesia
Carlberg Business Analysis with Microsoft Excel
Yuan et al. Some theoretical implications of new discoveries in Chinese accounting history research from original archival materials
Batty Accounting for managers
McCrary Mastering financial accounting essentials: the critical nuts and bol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8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