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2057A - 수입 지출방식을 기반으로한 복식 회계 처리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수입 지출방식을 기반으로한 복식 회계 처리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2057A
KR20100082057A KR1020090001359A KR20090001359A KR20100082057A KR 20100082057 A KR20100082057 A KR 20100082057A KR 1020090001359 A KR1020090001359 A KR 1020090001359A KR 20090001359 A KR20090001359 A KR 20090001359A KR 20100082057 A KR20100082057 A KR 201000820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come
expenditure
transaction
cash
trans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13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원노
Original Assignee
이원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원노 filed Critical 이원노
Priority to KR10200900013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82057A/ko
Publication of KR201000820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20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22Payment schemes or models
    • G06Q20/24Credit schemes, i.e. "pay after"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rket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종래의 회계 방식에서와 같이 이론적 근거도 취약하고 온 세상 그 누구도 이해할 수 없는 차변과 대변이라는 비논리에 의한 분개장 기록이 아니라, 금품을 주고받는 인명 간 수입, 지출 방식의 일기장 및 분개장 기록방법에 의하여 소상인 등의 비전문가라도 쉽게 거래를 복식으로 분해 기록하고, 여기서 파생되는 계정별 원장 및 각종 집계 장부와 재무제표를 복식으로 쉽게 작성 및 해석할 수 있도록 하는 일기장과, 일기장 데이터를 컴퓨터 프로그램에 입력하여 수기장부와 컴퓨터 프로그램 양자를 이용한 복식회계 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이 제공된다.
회계, 일기장, 분개장

Description

복식 회계 처리 방법 및 시스템{Double entry book keeping method and system}
본 발명은 복식 회계 처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기장부의 장점과 컴퓨터의 장점만을 결합하여 소상인, 농가, 가정 등에서 쉽게 거래를 기록.집계하여 각 경제주체의 재무적 경영관리를 고도화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수기장부 일기장과 컴퓨터 프로그램을 결합한 복식 회계 처리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업 경영 활동에서 거래가 발생하면, 각 기업의 회계처리 방식에 따라 그 거래를 체계화하여 분류하는 이른바 부기(book-keeping)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도 1은 일반적으로 행해지고 있는 종래의 회계처리 방식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먼저 거래가 발생하면(단계 S110), 그것이 부기상의 거래인지 판별한다(단계 S120). 이 판별에서 부기상의 거래가 아니라고 판정되면 프로그램을 종료하고, 부기상의 거래라고 판정되면 거래를 차변과 대변으로 구분하여 즉 분개하여 분개장 또는 전표에 그 거래를 기록한다(단계 S130). 여기서, 분개는 거래의 성격이 자산, 비용의 증가 및 부채, 자본, 수익의 감소이면 계정과목과 금액을 차변으로 할당하고, 자산, 비용의 감소 및 부채, 자본, 수익의 증가이면 계정과목과 금액을 대변으로 할당하는 작업을 의미한다. 이렇게 하여 전표의 작성이 완료되면, 입력된 전표를 집계하여 계정별 원장 및 잔액시산표(이하 시산표) 등의 중간 장부를 작성한다(단계 S140 및 S150). 그리고, 최종적으로 시산표를 토대로 대차대조 및 손익계산서 등의 재무제표를 작성한다(단계 S160).
그런데 이상과 같은 종래의 회계처리 방식은 이해하기가 어려워 배우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배운 바대로 회계거래를 기록, 집계하고 이를 해석하여 경영 실무에 활용하는데 많은 문제가 있다. 즉, 분개장 기록시 어느 계정을 차변에 기록하고, 어느 계정을 대변에 기록해야 할지, 그 판단능력을 갖는데 많은 시간과 교육이 소요된다.
또한, 원장 전기시에 분개장 금액을 차대 어느 쪽에 기입해야 하는지에 대하여 혼동이 많고, 원장의 잔액계산시 차변에서 대변을 차감해야 하는지 또는 대변에서 차변을 차감해야 하는 지에 대하여도 혼동이 많다. 이는 잔액 시산표 작성 및 해석 시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이러한 이유로 기업의 경리 담당자 및 관련 임직원들도 그들이 작성한 분개장, 원장, 재무제표가 정확한 이론적 절차에 따라 작성된 것인지 아닌지 불확실한 상태에서 손익 및 재무관리를 하고 있는 경우가 많아 효율적인 기업경영에 중대한 장애 요소가 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종래의 회계 방식에서와 같이 이론적 근거도 취약하고 온 세상 그 누구도 이해할 수 없는 차변과 대변이라는 비논리에 의한 분개장 기록이 아니라, 금품을 주고받는 인명간 수입, 지출 방식의 일기장 및 분개장 기록방법에 의하여 소상인 등의 비전문가라도 쉽게 거래를 복식으로 분해 기록하고, 여기서 파생되는 계정별 원장 및 각종 집계 장부와 재무제표를 복식으로 쉽게 작성 및 해석할 수 있도록 하는 일기장과, 일기장 데이터를 컴퓨터 프로그램에 입력하여 수기장부와 컴퓨터 프로그램 양자를 이용한 복식회계 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복식 회계 처리 방법은 (a) 예금 잔액란이 포함된 수기장부의 일기장 양식을 생성하는 단계; (b) 상기 수기장부의 일기장에 포함된 예금 잔액란을 이용하여 예금잔액을 산출 파악하는 단계; (c) 수기장부의 일기장 양식 및 컴퓨터 프로그램의 분개장 양식에 인명란을 설치하여 회계전표를 인명간 입출 개념으로 입력하는 단계; (d) 수기장부의 일기장 양식에 현금 거래는 현금수입 및 현금지출로 나누고, 예금거래는 예금수입 및 예금지출로 나누고, 외상거래는 외상수입 및 외상지출로 나누고, 신용카드거래는 카드수입 및 카드지출로 나누고, 이체거래는 이체수입 및 이체지출로 나누어 입력함으로써 일기장을 작성하는 단계; (e) 단계 (d)에서 작성된 상기 일기장을 기초로 하여 컴 퓨터 프로그램의 분개장 양식에 현금거래는 현금수입 및 현금지출로 나누고, 예금거래는 예금수입 및 예금지출로 나누고, 외상거래는 외상수입 및 외상지출로 나누고, 신용카드거래는 카드수입 및 카드지출로 나누고, 이체거래는 이체수입 및 이체지출로 나누어 거래전표로서 입력하는 단계; (f) 상기 이체거래 입력후, 분개장 처리 프로그램이 실행되어 이체 수입액과 이체 지출액을 비교하여 이체수입액과 이체지출액이 동액이면 보조기억장치에 저장하는 단계; (g) 이체거래가 아닌 경우, 상기 현금거래, 상기 예금거래, 상기 외상거래, 상기 신용카드거래를 모두 수입/지출 이체 거래 방식으로 상기 보조기억장치의 분개장 양식에 저장하여 다수의 거래전표가 함유된 분개장을 얻는 단계; (h) 상기 분개장으로부터 사용자가 요구하는 계정과목 또는 인명이 포함된 전표를 추출하여 해당 내역을 수입/지출 방식으로 전기하여 계정별 원장에서 자산/비용계정의 잔액은 지출-수입 방식으로, 부채/수익계정의 잔액은 수입-지출 방식으로 산출하여 표시 출력하는 단계; (i) 상기 계정별 원장에 대한 계정별 잔액 정보를 집합시킨 수입/지출 방식의 잔액 시산표를 표시 출력하는 단계; 및 (j) 상기 수입/지출 방식의 잔액 시산표를 기초로 하여 대차대조표 또는 손익계산서를 표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른 복식 회계 처리 시스템은 현금 거래는 현금수입 및 현금지출로 나누고, 예금거래는 예금수입 및 예금지출로 나누고, 외상거래는 외상수입 및 외상지출로 나누고, 신용카드거래는 카드수입 및 카드지출로 나누고, 이체거래는 이체수입 및 이체지출로 나누어 입력된 일기장을 구비한 수지 기록부; 현금수입, 현금지출, 외상수입, 외상지출, 예금수입, 예금지출, 카드수입, 카드지출, 이체수입, 이체지출로 이루어진 거래유형과 거래유형에 대응하는 계정과목 테이블을 저장하고 있으며, 분개장 입력과 그 입력을 기초로 하여 회계 처리를 하도록 하는 분개장 처리 프로그램 및 회계처리 결과를 저장하는 보조 기억장치; 입력 양식인 분개장 양식을 출력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거래 내역을 연월일, 현금출금, 현금입금, 예금지출, 예금수취, 이체출금, 및 이체입금으로 이루어진 거래 유형, 인명, 계정과목, 금액, 적요로 분해하여 입력하도록 하는 출력장치; 사용자가 상기 수지기록부의 일기장에 입력된 거래 내역을 기초로 하여 거래정보, 상기 출력장치로부터 특정의 출력결과인 계정별 원장 및 기타 회계정보를 얻기 위한 검색조건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장치; 및 이체거래 입력후, 분개장 처리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이체수입액과 이체지출액을 비교하여 동액이면 저장하고, 계정 테이블을 이용하여 현금거래, 예금거래, 외상거래, 신용카드거래, 및 이체거래를 모두 수입/지출 이체 거래 방식으로 상기 분개장 양식에 저장함으로써 다수의 거래전표가 함유된 분개장을 작성하고,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계정별 원장, 잔액 시산표, 대차 대조표, 및 손익계산서를 선택적으로 작성하는 중앙처리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수기 일기장과 회계프로그램을 결합한 복식 회계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으로서, 일기장에 차변과 대변으로 분개기록하는 것이 아니라 거래유형별로 수입지출이라는 상식적인 용어를 사용하여 이체거래를 포함한 모든 거래를 쉽게 기록하고, 이를 일기장과 같은 양식의 컴퓨터 분개장에 복사입력하여, 계정별 원장 및 시산표, 재무제표 등을 쉽게 작성 출력하고, 그 출력통계가 의미하는 바를 쉽게 이해할 수 있으므로, 재무제표를 근거로 하는 제반 경영활동의 효율이 대폭 제고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기 일기장의 제공으로 컴퓨터 네트워크와는 아직도 거리가 있는 소상인, 농가 등에서 보다 더 쉽게 회계전표를 기록할 수 있게 하였다는 점에서 소상인 등의 경영효율 제고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하, 첨부된 예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식 회계 처리 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한다.
수기장부는 일기장, 원장, 시산표, 재무제표(즉, 대차대조표와 손익계산서)로 구성되며, 회계프로그램은 수기장부를 그 양식 그대로 컴퓨터에 구현한 시스템으로서 분개장, 원장, 시산표, 재무제표로 구성된다. 수기장부와 컴퓨터 프로그램은 내용상에 차이는 없으며, 입력수단 또는 방법상의 차이만 있다고 할 수 있다. 다만, 용어상의 구분을 위하여 수기장부의 거래 기록장은 일기장, 컴퓨터 프로그램의 거래 기록장은 분개장이라고 칭한다. 본 발명은 현행 차대변 복식부기에 대한 지식이 부족한 농가, 가정, 소상인 및 중소기업 등을 위한 것이다. 수기장부는 휴대와 이동 및 접근이 편리한 장점이 있으나, 일기장에서부터 원장, 시산표, 재무제표 등을 기록자가 일일이 전기하고 또 해당 계정의 잔액을 직접 산출해야 한다는 부담이 있어 기업 또는 거래가 많은 상인에게는 적합하지 않은 방법이다. 즉, 상기의 수기장부는 그 기록과 집계가 쉬워 현행 차대복식 부기에 문외한인 농민, 상인 및 중소규모의 기업에 유용하지만, 회계처리 속도 및 업무량 등에 있어 비효율적인 면이 많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도입된 것이 컴퓨터 회계 프로그램이고, 이 회계 프로그램의 핵심장부인 분개장을 상기의 수기 일기장과 그 양식과 기록내용이 같도록 제작하여 거래가 발생하면 먼저 일기장에 기록 후, 이를 그대로 분개장에 복사하는 개념으로 입력만 하면, 관련 원장 및 시산표, 결산서를 프로그램이 자동으로 작성해 주고자 하는 것이 본 발명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수기장부와 컴퓨터 회계프로그램 간의 관계는 사용자의 상황에 따라 독립적일 수도 있고, 상호 의존적일 수도 있는 등으로 그 활용방법은 다양하다고 할 수 있다. 그 이유는 농가 또는 소상인의 경우에는 컴퓨터 외부 작업이 많아 거래발생 시 이를 바로 컴퓨터에 입력할 상황이 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이 경우에는 휴대용 일기장에 거래를 기록 후, 임의의 시간에 컴퓨터 프로그램에 입력하는 것도 가능하고, 농민이라 하더라도 경리 전담자를 두는 경우에는 일기장을 생략하고, 바로 컴퓨터 입력이 가능하므로 컴퓨터 프로그램만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가계부의 경우에는 그 거래량이 적은 경우에는 아예 컴퓨터를 사용하지 않고 일기장 및 원장, 시산표, 재무제표 등을 순전히 수기로만 작성하는 것도 가능하기 때문이다.
사용환경 중에서 표준으로 제시하는 것은 수기 장부는 일기장만 작성 후, 이를 컴퓨터 프로그램의 분개장에 입력하여 원장 및 결산서를 작성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일기장을 비롯한 수기 회계 시스템과, 이 수기를 연동하여 활용하는 컴퓨터 회계 시스템이며, 다른 회계 시스템과의 차이는 거래의 종류 및 계정에 대한 정의의 차이와, 거래입력법이 차대변이 아니라 수입과 지출이라는 쉬운 방법 이라는데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식 회계 처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수지기록부(505)는 거래를 수입, 지출방식으로 기록하는 수기장부인 일기장과, 일기장의 전기장부인 계정별 원장, 시산표, 재무제표 등의 모든 기록양식이 포함된 포괄적인 가계부 형식의 종이장부 시스템이다. 수지 기록부(505)는 현금 거래는 현금수입 및 현금지출로 나누고, 예금거래는 예금수입 및 예금지출로 나누고, 외상거래는 외상수입 및 외상지출로 나누고, 신용카드거래는 카드수입 및 카드지출로 나누고, 이체거래는 이체수입 및 이체지출로 나누어 입력하는 일기장을 구비한다.
보조 기억장치(510)는 현금수입, 현금지출, 외상(매출)수입, 외상(매입)지출, 예금수입, 예금지출, 카드수입, 카드지출, 이체수입, 이체지출로 이루어진 거래유형과 거래유형에 대응하는 계정과목 테이블을 저장하고 있으며, 분개장 입력과 그 입력을 기초로 하여 회계 처리를 하도록 하는 분개장 처리 프로그램(212) 및 회계처리 결과를 저장한다. 상기 출력장치(220)는 입력 양식인 분개장 양식을 출력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수지 기록부(505)에 포함된 일기장 그대로를 컴퓨터 입력장부인 분개장에 거래내역을 연월일, 거래유형(현금수입, 현금지출, 외상수입, 외상지출, 예금수입, 예금지출, 카드수입, 카드지출, 이체수입, 이체지출 등 10 가지), 계정과목, 금액, 거래처, 적요 등으로 분해하여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출력장치(520)는 어떤 상태나 결과물을 화상으로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예컨대, 컴퓨터 모니터)(522)와, 어떠한 결과(데이터)를 인쇄물로 제공하는 프린터(524)로 구성될 수 있다.
입력장치(530)는 사용자가 상기 수지 기록부(505)의 일기장에 입력된 거래 내역을 기초로 하여 거래정보, 상기 출력장치(220)로부터 특정의 출력결과 즉 계정별 원장 및 기타 회계정보를 얻기 위한 검색조건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입력장치(230)로는 키보드, 마우스, 전자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중앙처리장치(CPU)(540)는 상기 보조 기억장치(510)에 저장되어 있는 회계 처리 프로그램(512)을 실행시켜, 입력된 현금 수지 내역과 상기 보조 기억 장치(510)에 저장된 상기 계정과목 테이블을 이용하여 회계처리를 수행한다. 즉, 중앙처리장치(540)는 이체거래 입력이면, 분개장 처리 프로그램(512)을 실행시켜 이체 수입액과 이체 지출액을 비교하여 입출 동액이면 분개장 파일에 저장하도록 하고, 이체거래가 아닌 거래가 입력되면 입력된 거래유형과 계정과목 테이블을 이용하여 현금거래, 예금거래, 외상거래, 신용카드거래를 모두 수입/지출 이체 거래 방식으로 상기 분개장 파일에 저장함으로써 다수의 거래전표가 함유된 분개장을 작성한다. 즉, 비이체거래도 입력은 편면으로 하지만 저장은 이체거래 방식으로 양면분개하여 저장한다는 것이다. 이후,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계정별 원장, 잔액 시산표, 대차 대조표, 및 손익 계산서를 선택적으로 작성한다. 이와 같은 중앙처리장치(CPU)(240)에는 데이터 처리를 위한 기억장치인 ROM(Read Only Memory) 및 RAM(Random Access Memory)이 포함된다.
도 3을 참조하여 수기장부인 수지기록부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 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지 기록부 작성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수지 기록부의 구성요소 중의 하나인 기초 재무표 양식에 먼저 기초재무 사항을 기록한다(S610). 수지 기록부는 기초재무표, 일기장, 원장, 잔액시산표, 기말재무표와 손익계산서를 포함한다. 표 9에는 수지 기록부의 기초 재무표의 일예이다. 기초 재무표란 현행복식부기의 기초대차대조표에 해당된다. 즉, 본 발명에서 재무표는 대차대조표를 의미한다. 재무는 재산과 채무의 약어이므로, 기초재무표는 기초시점의 사용자의 재산과 채무 각 계정별 잔액표라고 할 수 있다. 이하의 수기장부 설명에서는 자산을 재산, 대차대조표를 재무표라 하고자 한다.
재산 채무
계정과목 금액 계정과목 금액
현금 40 매입채무 120
보통예금 50 차입금 300
정기적금 20 자본금 1,000
대여금 60 이익잉여금 430
매출채권 80    
상품 100    
토지 1,200    
건물 300    
       
재산총계 1,850 채무총계 1,850
기초 재무표는 재산과 채무, 2 개의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고, 사용자는 재산과 채무 각 항목 즉 계정과목을 해당 영역에 나열한 후 각각의 잔액을 기입한다. 각 잔액을 기입하기 위해서는 먼저 표 10의 계정잔액명세서를 작성후, 이를 재무표에 전기하는 것이 잔액의 정확성 확보에 유용하다. 계정잔액 명세서는 거래처원장에 해당되는 보조장부이며, 그 작성법은 잔액이 존재하는 계정과목을 기입후, 그 계정에 해당되는 거래처별 잔액을 기입하고, 그 총액을 산출하면 된다. 그리고 산출된 총액을 재무표에 전기하는 것이다. 표 2는 기초 재무표 부속 인명별 계정 잔액 명세서이다.
계정과목 거래처 금액
매입채무 한필호 20
중경 상사 100
(총계) 120
차입금 민영호 100
현병석 200
(총계) 300
자본금 김두승 400
이태로 300
정무경 300
(총계) 1,000
기초재무표는 전년도에 창업운영한 경우에는 기입해야 하지만, 당년도 창업인 경우에는 전기 이월사항이 없으므로 기입할 필요가 없다. 재산, 채무 각 계정별 잔액을 기록한 후에는 반드시 재산총계와 채무총계를 산출해야 한다. 재산총계와 채무총계에 차액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다시 각 계정잔액의 정확성을 검토한다. 계정별 잔액이 정확함에도 불구하고 차액이 발생하는 경우, 그 차액은 채무란의 자본금에 가산하여 재산총계와 채무총계를 일치시킨다. 이 일치는 반드시 실시해야 한다.
기초 재무표 작성 후, 거래가 발생하면 사용자는 그 내역 즉 회계전표를 복식부기의 분개장에 해당되는 일기장을 기록한다(S620). 표 3은 수지 기록부의 일기장의 일예이다.
일자 거래유형 인명 과목 입금 출금 현금잔액 적요
            40  전기이월액
1.1 현금수입 김두승 차입금 1,000    1,040  현금차입거래
1.2 현금지출 중경상사 상품   500  540  현금매입 거래
1.3 현금지출 건물주 임차료   30  510  임차료 지급
1.4 현금수입 북경상사 상품매출 450    960  현금 매출 거래
1.5 현금지출 김철호 대여금   200  760  현금대여 거래
1.6 외상수입 북경상사 상품매출 300      외상매출 거래
1.7 현금수입 북경상사 매출채권 120    880  외상대 현금회수
1.8 외상지출 중경상사 상품 400      외상매입 거래
1.9 외상수입 남경상사 상품매출 600     외상매출 거래
1.10 외상지출 동경상사 상품 700     외상매입 거래
1.22 현금지출 동경상사 매입채무   600  280  외상대 현금지급
1.23 예금수입 민영호 차입금 700      차입금 예금이체수취
1.24 예금지출 한국전력 전기료   60    전기료 예금이체지급
1.25 예금지출 한국통신 전화료   70    전화료 예금이체지급
1.26 예금지출 민영호 차입금   100    차입금 예금이체상환
1.27 현금지출 주민은행 보통예금   40  240  현금의 보통예금 예치
1.28 현금수입 주민은행 보통예금 60    300  보통예금의 인출보유
1.29 카드지출 비지카드 접대비   30    접대비의 카드매입
1.30 카드수입 비지카드 상품매출 100      상품의 카드매출
1.31 이체수입 상품질 상품 1,000      출고상품 제거분개
1.31  이체지출 매출원가질 매출원가   1,000    매출원가 계상분개
1.31 이체수입 건물질 건물 30      건물감액 분개
1.31  이체지출 감가상각비질 감가상각비   30    감가상각비 계상분개
표 3의 일기장은 현행부기의 분개장에 해당되며, 그 기록요소는 월일, 거래유형, 인명, 과목, 수입액, 지출액, 현금잔액, 적요 등이다. 기록의 개요는 다음과 같다. 먼저, 기초재무표를 관찰하여 현금잔액 및 예금잔액이 있으면 이를 제 1행의 각 잔액란에 기록 후 적요란에 전기이월액이라고 기록해야 한다.
1) 월일을 기록한다.
2) 거래유형을 기록한다. 현금수입인지 현금지출인지, 아니면 예금수입인지 예금지출인지 등과 같이 구분하여 기록하는 것이며, 이 거래유형에는 총 10가지가 있다.
3) 인명을 기록한다. 인명이란 기록자 즉, 회사와 금품을 주거나 받은 자를 의미하며, 이에는 개인, 법인, 국가, 지방자치단체 등 모든 경제주체를 의미하며, 현행부기에서는 거래처라고 한다. 기록자인 회사가 받았으면 입처, 회사가 준 경우에는 출처라고 한다. 모든 거래에는 반드시 입처 또는 출처라는 인명을 기록해야 하는 것이 원칙이나, 다음과 같은 예외가 있다. 소매업 매출의 경우에는 소액 다수이므로 이 경우 매출 인명은 생략할 수 있으나, 법인의 경우에는 거래명세표 또는 포스 기록으로 그 거래의 발생 증빙이 가능해야 생략할 수 있다. 즉, 매입이든 매출이든 그 입출 인명이 거대 다수인 경우 인명의 생략은 가능하나, 거래명세표 등으로 거래의 발생이 확인될 수 있어야 생략가능하다. 또한, 회사가 상품 또는 건물을 매입하는 경우에는 그 상품 또는 건물을 실제로 관리하는 담당자의 명칭을 인명란에 기록해야 하나, 역시 번거로운 점이 있으므로 이러한 경우에는 상품질, 건물질 등과 같이 해당 자산의 명칭에 인명을 의미하는 질이라는 접미사를 붙여 인명란에 기록한다. 기타의 사항은 후술하고자 한다.
3) 과목 즉, 계정과목을 기록한다. 과목은 인명의 속성에 해당된다. 현금을 대여 또는 차입하는 경우, 대여금, 차입금과 그 이자인 수입이자, 지급이자가 가장 대표적인 과목이며, 과목의 명칭은 현행부기의 명칭과 같으므로, 거래의 성격에 따라 해당과목 명을 기입하면 된다.
4) 금액을 기록하되, 거래유형이 ~수입이면 수입액란에, ~지출이면 지출액란에 기록한다.
5) 현금잔액을 기록한다. 현금잔액은 전기이월액 + 현금수입액- 현금지출액의 수식으로 산출하여 기록한다. 현금수입액이란 거래유형이 현금수입인 경우의 수입액이고, 현금지출액이란 거래유형이 현금지출인 경우의 지출액이다. 이렇게 산출된 현금잔액 최종액은 시산표로 전기되어, 대차대조표 작성에 활용된다. 이와 같이 일기장에서 현금잔액을 산출하는 경우에는 별도로 현금출납장 또는 현금원장을 작성할 필요가 없다.
6) 예금잔액을 기록한다. 여기서 예금이란 보통예금을 의미한다. 예금잔액은 전기이월액+ 예금수입액- 현금지출액의 수식으로 산출하여 기록한다. 예금수입액이란 거래유형이 예금수입인 경우의 수입액이고, 예금지출액이란 거래유형이 예금지출인 경우의 지출액이다. 이렇게 산출된 예금잔액 최종액은 시산표로 전기되어, 대차대조표 작성에 활용된다. 이와 같이 일기장에서 예금잔액을 산출하는 경우에는 별도로 보통예금원장을 작성할 필요가 없다.
7) 거래의 비망사항인 적요를 기록한다. 적요는 그 기록을 생략해도 된다.
상기의 일기장에서 가장 중요한 사항은 거래유형이다. 거래유형의 각 경우별 정의는 아래와 같다. 아래에서 용어의 정의는 회사 기준으로 설명하며, 회사는 가정, 농가, 상인 등도 포괄하는 개념으로서 회계 사용자라고 표현해도 무방하다.
1)현금수입/현금지출 : 회사가 인명으로부터 현금으로 취득하거나 지급한 경우
2)예금수입/예금지출 : 회사가 인명으로부터 예금으로 취득하거나 지급한 경우
3)외상수입(외상판매)/외상지출(외상구매) : 회사가 인명에게 외상으로 판매하거나 매입한 경우이며, 외상수입은 외상판매.외상매출, 외상지출은 외상구매.외상매입과 동의어로 정의하고자 한다.
4)카드수입(카드외상판매)/카드지출(카드외상구매) : 회사가 신용카드로 매출하거나 매입한 경우이며, 카드수입은 카드외상판매, 카드매입은 카드외상구매와 동의어로 정의한다.
5)이체수입/이체지출
현금, 외상 및 카드거래 이외의 거래 즉, 상기 1), 2), 3), 4) 이외의 거래에 사용되는 기호이다. 현행부기의 대체거래와 같은 개념이다. 즉, 원칙적으로 현금거래를 비롯한 모든 거래가 이체거래이지만, 본 발명에서는 상기 1) ~ 4)까지의 거래를 제외한 모든 거래를 이체거래로 본다. 이체거래는 수입과 지출이 동시에 발생하는 거래로 정의되며, 상품매출원가 계상분개 및 감가상각비 계상 분개 등이 대표적인 이체거래이며, 이 이체거래의 기록방법은 현행 차대변 부기와 같으나, 그 기호가 대변.차변이 아니라 입출 또는 수입.지출이라는 기호를 사용한다는 차이만이 있다.
일기장 작성시 유의할 사항은 이체거래의 기록이다. 이체거래를 제외한 거래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거래의 발생 내역을 양식에 따라 그대로 작성하면 되지만, 이체거래는 수입과 지출을 동시에 기록하여 수입액=지출액이 되도록 일기장을 작성하여야 한다는 특이성이 있기 때문이다. 즉, 이체거래 이외의 거래는 일기장에서 1 행의 기록으로 그 작업이 완료되지만, 이체거래는 최소 2행 이상으로 입력해야 한다. 다시 말해서 1 건의 이체거래가 발생하면, 이체수입 행도 다수, 이체지출 행도 다수로 기록할 수 있되, 반드시 그 수입총액과 지출총액을 일치시켜야 한다는 것이다. 주요 이체거래로는 현물출자거래, 매출원가 및 감가상각 계상거래 등이 있다.
일기장 작성 후, 원장, 즉 계정별 원장을 작성한다(S640). 계정별 원장에는 과목별원장과 인명별 원장의 2 가지가 있다. 과목별 원장은 일기장 기록 중 특정과목의 분개기록만 추출하여 작성하는 원장이고, 인명별 원장은 특정과목 원장에서 특정인명과의 분개기록만 추출하여 작성하는 원장이다. 따라서 인명별 원장의 총합이 과목별 원장이 되고, 과목별 원장의 인명별 분철이 인명별 원장이 되는 것이다. 과목별 원장과 인명별 원장의 작성순서는 임의적이다. 즉,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인명 또는 과목원장 중 아무 쪽이나 먼저 작성 후 다른 원장을 작성하면 되는 것이다.
일기장 기록을 원장으로 전기하는 절차를 예시로 설명하고자 한다.
<일기장 예시>
현금 대여 : 1.3 현금출금 김철수 대여금 10000 (적요 생략)
현금 대여 : 1.5 현금출금 이태로 대여금 20000
대여금 일부회수 : 1.8 현금입금 김철수 대여금 3000
대여금 일부회수 : 1.9 현금입금 이태로 대여금 6000
<과목원장과 인명원장 예시>
<대여금 원장>
일자 적요 수입 지출 잔액
 1.3 김철수, 현금대여   10000  10000 
 1.5  이태로, 현금대여    20000  30000
1.8 김철수, 대여금 일부회수 3000 27000
1.9 이태로, 대여금 일부회수 6000 21000
<김철호_대여금 원장>
일자 적요 수입 지출 잔액
 1.3 현금대여   10000  10000 
1.8 대여금 일부회수 3000 17000
<이태로_대여금 원장>
일자 적요 수입 지출 잔액
 1.5  현금대여    20000  20000
1.9 대여금 일부회수 6000 14000
상기의 예시원장은 예시 일기를 전기하여 작성한 것이다. 전기방법은 1) 대여금원장을 상기의 양식으로 먼저 작성한다. 2) 일자를 일자란에 전기한다. 3) 적요란에 거래내역을 간략하게 기입하되, 수취 또는 지급인명 기록 후, 상대과목을 해설식으로 기록하여도 무방하다. 적요란에 인명부터 기록하는 이유는 본 발명에 의한 부기는 인명간 입출을 인명별, 과목별로 잔액을 산출하는 것을 그 기본논리로 하기 때문이다. 4) 일기장 분개가 수입이면 원장의 수입란에, 지출이면 원장의 지출란에 금액을 기록한다. 5) 잔액을 산출 기록한다. 잔액은 자산.비용 등의 지출계정은 지출에서 수입을 차감하고, 채무.이익 등의 수입계정은 수입에서 지출을 차감한다. 전기이월이 있는 경우는 그대로 가산한다.
인명별 원장의 작성법 역시 과목별원장과 같다. 다만, 과목별 원장에서 특정 인명 분개만 추출하는 것뿐이고, 금액의 전기 위치 역시 같다. 즉 일기장의 수입은 수입란에, 지출은 지출란에 전기하고, 잔액산출 역시 그 인명이 속한 과목의 경우와 산출식이 같다.
표 4는 표 3의 일기장 분개를 모두 전기하여 작성한 과목별 원장이다. 본 발명에 따른 원장은 현행과 달리 차대변이 아니라 수입/지출 방식이라는데 큰 차이가 있다. 각 과목의 세부명세서인 인명별 원장은 예시를 생략한다. 바로 앞의 예시를 통하여 이미 그 작성법을 설명한 바가 있기 때문이다.
주요 과목원장의 작성원리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현금원장은 일기장 분개중 거래유형이 현금수입, 현금지출인 건만 추출하여 작성한 것이다. 예를 들어, [현금입금 김두승_차입금 1000]이라는 분개는 현금원장과 차입금원장, 김두승_차입금원장이라는 3개의 원장에 전기된다. 그리고 보통예금원장은 거래유형이 예금수입 또는 예금지출인 건만 추출하여 작성한 것이다. 요약하면 본 발명의 거래유형인 현금거래, 예금거래, 외상매출거래, 외상매입거래, 카드매출거래, 카드매입거래 등은 표면적으로 편면 분개되지만, 원장에 전기할 때는 거래유형을 파악하여 거래유형에 대응되는 계정에도 전기하는 것이고, 이러한 이유로 본 발명에 의한 부기가 복식부기가 되는 것이다. 참고로 일기장에 현금잔액 및 예금잔액을 기록산출하는 경우에는 현금원장과 예금원장의 작성을 생략할 수도 있다.
전기료, 전화료 등의 원장은 일기장 분개 중 과목이 전기료, 전화료인 것만 추출하여 작성한 것이다.
<현금 원장>
일자 적요 수입 지출 잔액
  전기이월 40   40
1.1 차입금, 김두승 1,000   1,040
1.2 상품, 중경상사   500 540
1.3 임차료   30 510
1.4 상품매출, 북경상사 450   960
1.5 대여금, 김철호   200 760
1.7 매출채권,현금 회수 120   880
1.22 매입채무, 현금지급   600 280
1.27 보통예금, 현금지출   40 240
1.28 보통예금,현금인출 60   300
  (누계) 1,670 1,370  
<보통예금 원장>
일자 적요 수입(인출) 지출(예입) 잔액
  전기이월   50 50
1.23 차입금, 민영호   700 750
1.24 전기료, 한국전력 60   690
1.25 전화료, 한국통신 70   620
1.26 차입금, 민영호 100   520
1.27 현금지출   40 560
1.28 현금수입 60   500
  (누계) 290 790  
<정기적금 원장>
일자 적요 수입 지출 잔액
  전기이월   20 20
<매출채권 원장>
일자 적요 수입 지출 잔액
  전기이월   80 80
1.6 상품, 북경상사   300 380
1.7 현금, 북경상사 120   260
1.9 상품, 남경상사   600 860
  (누계) 120 980  
<대여금 원장>
일자 적요 수입 지출 잔액
  전기이월   60 60
1.5 현금, 김철호   200 260
  (누계) 0 260  
<카드매출채권 원장>
일자 적요 수입 지출 잔액
1.30 상품매출, 비지카드   100 100
<상품 원장>
일자 적요 수입 지출 잔액
  전기이월   100 100
1.2 현금, 중경상사   500 600
1.8 매입채무, 중경상사   400 1,000
1.10 매입채무, 동경상사   700 1,700
1.31 매출원가 계상 1,000   700
  (누계) 1,000 1,700  
<토지 원장>
일자 적요 수입 지출 잔액
  전기이월   1,200 1,200
<건물 원장>
일자 적요 수입 지출 잔액
  전기이월   300 300
1.31 감가상각비 30   270
  (누계) 30 300  
<매출원가 원장>
일자 적요 수입 지출 잔액
1.31 상품, 매출원가 계상   1,000 1,000
<임차료 원장>
일자 적요 수입 지출 잔액
1.3 현금   30 30
<전기료 원장>
일자 적요 수입 지출 잔액
1.24 보통예금, 한국전력   60 60
<전화료 원장>
일자 적요 수입 지출 잔액
1.25 보통예금, 한국통신   70 70
<접대비 원장>
일자 적요 수입 지출 잔액
1.29 카드매입채무   30 30
<감가상각비 원장>
일자 적요 수입 지출 잔액
1.31 건물   30 30
<매입채무 원장>
일자 적요 수입 지출 잔액
  전기이월 120   120
1.8 상품, 중경상사 400   520
1.10 상품, 동경상사 700   1,220
1.22 현금, 동경상사   600 620
  (누계) 1,220 600  
<차입금 원장>
일자 적요 수입 지출 잔액
  전기이월 300   300
1.1 차입금, 김두승 1,000   1,300
1.23 보통예금, 민영호 700   2,000
1.26 보통예금, 민영호   100 1,900
  (누계) 2,000 100  
<카드매입채무 원장>
일자 적요 수입 지출 잔액
1.29 접대비, 비지카드 30   30
<자본금 원장>
일자 적요 수입 지출 잔액
  전기이월 1,000   1,000
<이익잉여금 원장>
일자 적요 수입 지출 잔액
1.1 현금, 김두승 430   430
<상품매출 원장>
일자 적요 수입 지출 잔액
1.4 현금, 북경상사 450   450
1.6 매출채권, 북경상사 300   750
1.9 매출채권, 남경상사 600   1,350
1.30 카드매출, 비지카드 100   1,450
  (누계) 1,450    
상기의 원장 외에 고정 자산 감가상각 내역서, 비교 재무표, 비교 손익계산서 등의 보조 원장도 사용자의 필요에 의하여 추가적으로 작성할 수 있다(S640).
수기장부에서 원장은 본 발명이 제시하는 상기의 양식에 계정 명칭을 기록함으로써 확보된다. 계정별로 상기 양식의 원장을 확보 후, 사용자는 원장에 기초 재무표와 수지일기장 기록을 전기하여 원장의 작성을 개시하게 된다. 여기서 전기란 어떤 장부의 기록 내역을 다른 장부에 옮겨적는 것을 의미한다. 기초 재무표의 작성목적 중의 하나가 그 잔액의 원장전기이다. 기초 재무표에서 차입금 잔액이 300 인 경우, 차입금 원장의 제 1행의 적요란에 전기이월, 수입란과 잔액란에 금액을 300 이라고 기록함으로써, 당년도 차입금의 수입.지출과 가감하여 누적잔액 산출에 사용되는 것이 기초 재무표의 각 계정별 잔액이다. 물론 기초잔액이 없는 경우에는 기록할 필요가 없다. 기초 재무표의 원장전기에 대하여 요약하면, 기초 재무표 각 계정별 잔액을 해당 원장의 제 1행에 적요는 전기이월로 기입하고, 기초잔액은 원장의 수입란 또는 지출란과 잔액란에 기록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재산계정의 기초잔액은 지출란과 잔액란에 기록하고, 채무계정의 기초잔액은 수입란과 잔액란에 기입하면 된다.
일기장 기록 내역의 원장전기는, 각 행에 기록된 거래유형과 계정과목을 중심으로 전기한다. 즉, '거래유형=예금수입, 계정과목=수입이자' 인 경우, 전기대상 원장은 보통예금원장과 수입이자원장이다. 또한 '거래유형=현금수입, 계정과목=차입금' 인 경우, 전기해야 할 원장은 현금원장과 차입금원장이다. 이 경우 사용자는 현금원장과 차입금원장을 찾아, 수지일기장의 기록 내역을 원장에 전기하여야 한다. 일기장에서 거래유형별 전기 대상원장은 아래 표 5와 같다. 인명별 원장의 경우에는 [인명_대여금]과 같이 인명과 그 인명이 속한 과목을 연결한 총명을 원장명칭으로 하는 것 외에는 과목원장과 그 작성법이 같으므로 인명별 원장의 예는 생략하고자 한다.
구분  거래유형 계정과목 전기 대상원장 금액전기 위치
현금거래 현금수입 X 현금원장, X 원장 현금원장 및 X원장의 수입란
  현금지출 X 현금원장, X 원장 현금원장 및 X원장의 지출란
예금거래 예금수입 X 보통예금원장, X 원장 보통예금원장의 지출란, X 원장의 수입란
  예금지출 X 보통예금원장, X 원장 보통예금원장의 수입란, X 원장의 지출란
외상거래 외상수입 X 매출채권원장, X 원장 매출채권원장의 지출란, X 원장의 수입란
  외상지출 X 매입채무원장, X 원장 매입채무원장의 수입란, X 원장의 지출란
카드거래 카드수입 X 카드매출채권원장 카드매출채권원장의 지출란, X 원장의 수입란
  카드지출 X 카드매입채무원장, X 원장 카드매입채무원장의 수입란, X 원장의 지출란
이체거래 이체수입 X X 원장 X 원장의 수입란
  이체지출 Y Y 원장 Y 원장의 지출란
원장전기는, 이체거래 이외의 경우에는 1 행당 2개의 원장에 전기하고, 이체거래의 경우에는 상기의 표와 같이 계정 과목란에 기록된 계정과목 원장만 각 행별로 작성하면 된다. 요약하면 이체거래는 1 행에 1 개의 원장, 비 이체거래는 1 행에 2 개의 원장을 작성해야 한다. 여기에 인명별 원장까지 포함하면 1행의 분개에 대하여 최대 3개의 원장에 전기해야 한다.
원장에 전기하는 표준적인 절차는 다음과 같다. 1) 일기장의 월일을 그대로 전기한다. 2) 적요를 기록한다. 3) 금액을 수입 또는 지출란에 전기한다. 4) 잔액을 산출 기록한다. 각 계정별로 잔액을 산출하는 일반수식은 아래와 같다.
<계정별 잔액 계산수식>
자산계정 잔액 = 전기이월액 + 지출액 - 수입액
채무계정 잔액 = 전기이월액 + 수입액 - 지출액
비용계정 잔액 = 지출액 - 수입액
수익계정 잔액 = 수입액 - 지출액
<계정 속성별 잔액계산 수식>
지출계정 : 자산/비용 계정 잔액 = 지출액 - 수입액
수입계정 : 부채/수익 계정 잔액 = 수입액 - 지출액
계정은 상기와 같이 지출계정과 수입계정으로 분류할 수 있다. 즉, 각 계정잔액은 그 계정의 속성이 지출인지 수입인지에 따라 상기와 같이 지출 - 수입 또는 수입 - 지출 방식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전기이월액은 전기분 지출액 또는 전기분 수입액이므로 수입/지출 방식의 계산결과에 단순히 가산하면 각 계정잔액이 산출된다.
각 거래 유형별 전기대상원장과 금액의 전기위치를 요약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현금거래
- 전기대상원장 : 현금원장과 계정 과목 란에 기록된 계정과목원장
- 금액의 전기 방법
. 현금원장 : 거래유형이 현금수입이면 수입란에, 현금지출이면 지출란에 전기
. 계정과목 원장 : 거래유형이 현금수입이면 수입란에, 현금지출이면 지출란에 전기
- 기타 : 일기장이 현금원장의 역할도 하므로 현금원장의 작성생략 가능함
2) 예금거래
- 전기대상 원장 : 보통예금원장과 계정과목란에 기록된 계정과목원장
- 금액의 전기 방법
. 보통예금 원장 : 거래유형이 예금수입이면 지출란에, 예금지출이면 수입란에 전기
. 계정과목 원장 : 거래유형이 예금수입이면 수입란에, 예금지출이면 지출란에 전기
3) 외상수입거래
- 전기대상원장 : 매출채권원장과 계정 과목란에 기록된 계정과목원장
- 금액의 전기 방법
. 매출채권원장 : 지출란에 전기
. 계정과목 원장 : 수입란에 전기
- 기타 : 상품판매 이외의 외상수입은 매출채권 대신에 미수금원장에 전기
4) 외상지출거래
- 전기대상원장 : 매입채무원장과 계정 과목란에 기록된 계정과목원장
- 금액의 전기 방법
. 매입채무원장 : 수입란에 전기
. 계정과목 원장 : 지출란에 전기
- 기타 : 상품구매 이외의 외상지출은 매입채무 대신에 미지급금원장에 전기
5) 카드수입거래
- 전기대상원장 : 카드매출 채권원장과 계정 과목란에 기록된 계정과목원장
- 금액의 전기 방법
. 카드매출채권원장 : 지출란에 전기
. 계정과목 원장 : 수입란에 전기
- 기타 : 상품판매 이외의 카드수입은 카드매출채권 대신에 카드미수금원장에 전기
6) 카드지출거래
- 전기 대상원장 : 카드매입채무원장과 계정 과목란에 기록된 계정과목원장
- 금액의 전기 방법
. 카드매입채무원장 : 수입란에 전기
. 계정과목 원장 : 지출란에 전기
- 기타 : 상품구매 이외의 카드지출은 카드매입채무 대신에 카드 미지급금원장에 전기
7) 이체거래
- 전기 대상원장 : 계정 과목란에 기록된 계정과목원장
- 금액의 전기 방법
. 이체수입이면 수입란에 전기, 이체지출이면 지출란에 전기
. 이체거래 전표에는 현금, 보통예금 등의 모든 계정과목이 출현할 수 있다.
. 즉, 상기의 현금거래, 예금거래, 외상거래, 카드거래 등의 모든 거래를 이체수입과 이체지출로 나누어 기록하는 방식인 이체거래 방식으로 기록할 수도 있다.
. 이체거래 분개에서 출현된 모든 계정과목에 대하여 그 거래유형이 이체수입이면, 해당 계정과목 원장의 수입란에 전기하고, 그 거래유형이 이체지출이면 해당 계정과목 원장의 지출란에 전기하면 되는 것이 원장 전기의 규칙이다.
. 이렇게 전기 후, 잔액은 그 계정의 속성 즉 그 계정이 재산.채무.손실.이익 중 어느 계정에 속하느냐에 따라 상기의 계정별 잔액계산 수식으로 해당계정의 잔액을 산출하고, 이를 시산표에 전기하고자 하는 것이 원장전기의 목적이다. 원장 작성 후, 임의의 시점에 원장의 잔액을 1장의 문서에 취합한 잔액시산표를 작성한다(S650).
표 6은 본 발명에 의한 잔액시산표이다.
잔액시산표
2008년 1월 31일 현재
지출 수입
현금 300 매입채무 620
보통예금 500 카드매입채무 30
정기적금 20 차입금 1,900
대여금 260 자본금 1,000
매출채권 860 이익잉여금 430
카드매출채권 100 상품매출 1,450
상품 700    
토지 1,200    
건물 270    
임차료 30    
전기료 60    
전화료 70    
접대비 30    
감가상각비 30    
매출원가 1,000    
(합계) 5,430 (합계) 5,430
상기 잔액시산표는 원장의 잔액을 전기하여 작성되는데, 자산.비용 계정은 시산표의 지출란에, 채무.수익계정은 수입란에 전기한다. 현금잔액은 현금시재라는 명칭으로 전기한다. 전기 후에는 수입총계와 지출총계를 비교하여야 하고, 차액이 발생하면, 그 원인이 일기장에 있는지, 원장전기에 있는지 조사하여, 그 차액을 파악 후 이를 시산표에 반영하여, 반드시 수입지출을 일치시켜야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기록시스템은 이체거래 기록시 반드시 수입지출을 일치시키게 되어 있으므로, 회계전표 또는 수지기록 행의 숫자에 상관없이 반드시 시산표에서 수입지출이 일치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그러나 수기장부에서는 분개와 전기의 정확성을 담보할 수 없다. 시산표에서 수입.지출 즉 입출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일기장과 원장기록을 일일이 대조하여 반드시 입출을 일치시켜야 한다.
또한 시산표 작성 후에는 매출원가 및 감가상각비 계상, 선수.선급 정리, 미수.미지급 정리 등의 결산분개가 요구되는데, 결산정리 분개도 일기장에서 실시하며, 결산정리분개는 전형적인 이체거래이므로 이체거래 기록방법에 따라 일기장을 작성하면 된다. 일기장이 작성되면 당연히 관련원장에 전기해야 하므로 원장의 잔액이 변동된다. 원장의 잔액이 변동되면, 시산표 역시 변동되므로 시산표를 재작성해야 한다. 따라서 시산표는 최소 2번을 작성해야 한다.
잔액시산표 작성 후, 자산.부채 잔액으로 기말 재무표를 작성하고, 수익. 비용 잔액으로는 손익계산서를 작성하므로써 그 기의 회계작업이 마무리된다(S660).
표 7은 본 발명에 의한 결산 재무표와 손익계산서이다.
재무표
2008년 1월 31일 현재
지출(자산) 수입(채무)
현금시재 300 매입채무 620
보통예금 500 카드매입채무 30
정기적금 20 차입금 1,900
대여금 260 자본금 1,000
매출채권 860 이익잉여금 430
카드매출채권 100 당기순이익 230
상품 700    
토지 1,200    
건물 270    
(합계) 4,210 (합계) 4,210
손익계산서
2008년 1.1부터~1.31까지
지출(비용) 수입(이익)
매출원가 1,000 상품매출 1,450
임차료 30    
전기료 60    
전화료 70    
접대비 30    
감가상각비 30    
당기순이익 230
(합계) 1,450 (합계) 1,450
당기순이익은 재무표와 손익계산서 양자에서 모두 산출되며, 이 양자의 순이익이 같고, 재무표의 수입과 지출이 같으면, 특별한 조작이나 오류가 없는 한 정당한 결산서로 인정된다. 손익계산서에서 당기순이익은 수익과 비용의 차액이고, 기말 재무표에서 당기순이익은 다음의 수식에 의하여 산출된다.
당기순이익 = 기말 순재산 - 기초 순재산 - 증자액 + 감자액
기말 순재산 = 기말 재산 - 기말 채무
기초 순재산 = 기초 재산 - 기초 채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식 회계 처리 방법을 상세하게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수기 일기장은 일기장 기록을 원장, 시산표, 재무제표 등에 수작업으로 전기하면서 회계작업이 완성되는 시스템이나, 전기와 관련된 모든 작업을 사용자가 해야 하는 불편이 따르고, 또한 그 과정에서 오기 또는 계산오류가 발생하는 등의 불편함이 있다. 이러한 불편은 수기장부와 컴퓨터 회계 프로그램 즉 분개장 처리프로그램 (512)을 결합하므로써 해결될 수 있다. 즉, 일기장에는 수지일기 즉 회계전표만을 수기로 기록하고, 이 일기를 사용자가 편리한 시점마다 프로그램에 전기하면, 전기작업량을 대폭 축소하고, 아울러 데이터의 보전 및 이동가능성 제고, 계산의 신속정확성 제고, 원장 및 재무제표의 자동작성이라는 이익을 거둘 수 있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임의의 편리한 시점에 본 발명에 의한 분개장 처리 프로그램(512)을 가동하여 일기장과 같은 양식으로 설계된 분개장에 일기장에 기록된 회계전표를 복사 입력하고 동시에 일기장의 기초 재무표를 역시 수지분개장 처리 프로그램(512) 상의 기초 재무표 입력메뉴에 입력한다. 즉, 사용자는 회계전표를 일기장과 프로그램에 2번 입력하게 되는 것이다. 사용자에 의하여 기초 재무표와 기중의 회계전표가 복사입력되면, 즉, 컴퓨터의 보조 기억장치에 회계전표가 파일의 형식으로 저장되면, 분개장 처리 프로그램(512)은 계정별 원장, 잔액시산표 및 결산 재무표와 손익계산서를 출력함으로써, 수기장부인 일기장과 회계 프로그램과의 연결이 이루어진다.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농가 등의 경영체에서 구매 및 판매 등의 거래가 발생하면, 사용자는 먼저 수지 기록부에 포함된 일기장, 즉, 보통예금 잔액란이 포함된 일기장 양식가 준비되었는 지를 판단한다(S702).
단계 S702의 판단 결과, 상기 일기장 양식이 준비된 경우, 상기 일기장 양식에 포함된 보통예금 잔액란을 통하여 거래일자, 거래 유형, 인명, 과목, 금액, 적요, 현금 및 예금 잔액을 산출한다(S703).
사용자가 컴퓨터로 회계 프로그램의 분개장에 복사 입력을 선택하면(S704), 회계처리 시스템(500)의 출력장치(520)는 사용자가 거래내역을 입력할 수 있도록 분개장 양식을 디스플레이 장치(222)에 디스플레이 한다(S706). 표 8은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한 분개장 양식의 예이다.
일자 거래유형 인명
 
계정과목
 
입금
 
출금
 
적요
1.1 현금수입 김두승 차입금 1000 현금차입거래
1.2 현금지출 중경상사  상품 500 현금매입 거래
1.3 현금지출 건물주  임차료  30 임차료 지급
1.4 현금수입 북경상사 상품매출 450 현금 매출 거래
1.5 현금지출 김철호 대여금  200 현금대여 거래
1.6 외상수입 북경상사 상품매출 300 외상매출 거래
1.7 현금수입 북경상사 매출채권 120  외상대 현금회수
1.8 외상지출 중경상사 상품 400  외상매입 거래
1.9 외상수입 남경상사 상품매출 600  외상매출 거래
1.10 외상지출 동경상사 상품 700  외상매입 거래
1.22 현금지출 동경상사 매입채무 600 외상대 현금지급
1.23 예금수입 민경호 차입금 700 차입금 예금이체수취
1.24 예금지출 한국전력  전기료 60 전기료 예금이체지급
1.25 예금지출 한국통신  전화료 70 전화료 예금이체지급
1.26 예금지출 민영호  차입금 100 차입금 예금이체상환
1.27 현금지출 주민은행 보통예금 40 현금의 보통예금 예치
1.28 현금수입 주민은행 보통예금 60 보통예금의 인출보유
1.29 카드지출 비씨카드  접대비 30 접대비의 카드매입
1.30 카드수입 비씨카드 상품매출 100 상품의 카드매출
1.31 이체수입 상품질 상품 1000   출고상품 제거분개
1.31 이체지출 매출원가질 매출원가  1000 매출원가 계상분개
1.31 이체수입 건물질 건물  30   건물감액 분개
1.31 이체지출 감가상각비질 감가상각비  30 감가상각비 계상분개
상기 분개장 양식은 수기장부의 일기장과 그 양식이 같아, 일기장 사용자라면 누구나 쉽게 복사입력할 수 있다. 분개장에 복사 입력을 쉽게 하려면, 종이로 된 일기장이 아니라 엑셀 프로그램에 거래를 일기장 양식 그대로 기록하면 된다. 그러면 회계 프로그램에서 엑셀 파일을 읽어 이를 분개장으로 자동입력할 수 있기 때문이다. 분개장 입력 화면은 일자, 전표번호, 거래유형, 인명, 계정과목, 입금액, 출금액, 적요 등의 입력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체거래를 제외한 거래는 그 기록방법이 상식적인 것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체거래 기록시 이체수입과 이체지출이라는 기호의 의미는 현행부기의 대변과 차변과 같다. 즉, 이체수입 = 대변, 이체지출=차변으로 정의한다. 이체거래는 회사가 특정계정으로부터 받아(수입) 다른 계정에 주는(지출) 것으로 의제하여 기록한다. 이체거래에서 수입과 지출의 기록순서와 그 기록건수는 임의적이며, 다만 한 건의 이체거래를 몇 건의 이체수입과 이체지출로 나누어 기록해도 무방하나 수입과 지출이 반드시 일치해야 하는 것 외에 특별한 규칙이 없다. 또한, 일기장 및 분개장에서 현금거래, 예금거래 등과 같이 거래유형을 구분하여 수입/지출 어느 일방만 입력하는 편면입력 방식은 사용자의 입력 편의를 위한 편의적인 방법이며, 현금거래를 비롯한 모든 거래를 표 8 하단부의 이체거래 방식으로 기록할 수 있음도 알려둔다.
표 8의 입력방법을 설명하면, 원칙적으로는 일기장 내역을 그대로 복사 전기하는 것이므로 입력방법과 개념은 일기장과 같다. 다만, 입력 및 출력의 편의를 위하여 거래유형과 인명, 계정과목 등에 코드 즉 번호를 부여하여 번호를 거래유형 및 인명, 계정과목 등의 문자 대신에 사용하는 정도라고 할 수 있다.
일기장의 내용을 분개장에 복사 입력하려면 사용자는 1) 먼저 연월일을 기록한다. 2) 전표번호는 시스템이 자동으로 부여하므로 사용자는 그 입력을 생략한다. 3) 입력하고자 하는 거래유형을 선택한다. 거래유형은 전술한 바와 같이 현금수입/현금지출 등의 10 가지가 있고, 사용자는 이 중 하나를 선택하여 입력하여야 한다. 4) 그리고 나서 인명을 입력한다. 인명은 일기장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원칙적으로는 필수 입력사항이나, 경우에 따라 생략할 수 있고, 인명이 입력되면, 인명별 입출내역 즉 인명별 원장을 작성할 수 있다. 5) 다음에는 계정과목을 입력한다. 계정과목은 차입금, 대여금, 전기료, 전화료 등과 같이 입출의 원인 또는 인명의 속성에 해당된다. 계정과목을 입력해야 계정과목별로 금액의 입출 내역과 잔액을 파악할 수 있다. 6) 금액은 거래유형이 ~수입이면 수입란에, ~지출이면 지출란에 입력해야 한다. 즉 거래유형으로 예금지출을 선택한 경우, 그 금액을 지출란에 입력해야 하고, 예금수입을 선택한 경우에는 수입란에 그 금액을 입력해야 한다는 의미이다. 현금잔액과 에금잔액의 산출표시는 생략할 수 있다. 현금원장과 예금원장에서 사용자가 쉽게 그 잔액을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다. 7) 금액을 입력 후에는 적요를 입력하여야 하는데, 적요는 필수입력 사항은 아니다. 8) 이체거래 외의 경우에는 적요까지 입력 후 엔터를 누르면 1행의 입력으로 1 건의 거래입력이 완료된 것이다. 9) 그러나 이체거래의 경우에는 1행의 입력으로 거래입력이 완료되지 않고, 도 7의 예제거래 중 마지막 거래인 매출원가 계상 거래처럼 최소 2행에 걸쳐 거래를 입력하되, 금액을 수입지출 동액 즉 입출 동액으로 입력하여 이체수입액=이체지출액 조건을 충족해야 한다. 이체거래 입력은 입출 동액이 충족되는 한, 그 입력순서 및 입력 행수에 제한은 없다. 또한, 거래유형에 제한도 없다. 즉, 현금거래 및 예금거래, 외상거래, 카드거래 등도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이체거래 방식으로 입력할 수도 있음도 알려 두고자 한다. 사용자가 거래유형을 이체수입 또는 이체지출을 선택하고, 이후 인명, 계정과목, 금액, 적요 등을 입력하면, 분개장 처리 프로그램(512)은 이체수입액=이체지출액인지 비교하여 동액이 아니면 오류 메시지를 출력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이체수입액=이체지출액 조건을 충족하는 상대전표를 입력하도록 강제한다. 사용자가 이후 이체수입액=이체지출액 조건을 이행하지 않고 다른 유형의 거래를 입력하는 경우에는 오류 메시지를 표출하여 조건이행을 강제하고 그래도 입출동액 조건을 충족시키지 않는 경우에는 그 조건을 이행하지 않는 전표를 강제로 제거한다. 또한, 입출동액 조건이 충족되지 않는 상태에서 수지분개장 처리 프로그램(512)을 종료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입출 불일치에 해당되는 전표는 제거한 후 분개장 처리 프로그램(512)을 종료한다. 그러나 사용자가 입출동액 조건을 충족시키면, 분개장 처리 프로그램(512)은 이체거래와 관련된 부분전표 각각에 대하여 동일한 전표번호를 부여한다. 그리고 다음 거래 입력을 대기한다.
원칙적으로는 이체거래든 아니든 수기장부인 일기장에 기록된 그대로 복사입력하면 된다. 유의사항은 이체거래의 경우에는 최소 2행에 걸쳐 입력하여 입출동액 조건을 충족시켜야 분개장 처리 프로그램(512)이 이를 정상적인 입력으로 인식하여 이 입력분을 보조 기억장치(510)에 저장할 수 있다는 것이다.
전표 입력에서 사용자 입력과 프로그램 저장에는 약간의 차이가 있다. 이체거래 이외의 거래는 사용자는 전표를 1행에 입력함으로써 사용자의 역할은 종료되지만, 분개장 처리 프로그램(512)은 현금거래, 예금거래, 외상거래, 카드거래 등의 전표도 이체거래 방식으로 입력저장한다. 즉, 이체거래 입력과 마찬가지로 수입과 지출 2행으로 보조 기억장치(510)에 저장하되, 화면 표시는 사용자가 입력한 그대로 1행으로 보여준다. 즉, 차입금이 보통예금으로 이체 입금되는 경우, 사용자는 예금수입/차입처/차입금/금액으로 한 행으로 입력하면 되지만, 프로그램은 아래와 같이 이체거래 방식으로 2행으로 입력저장하되 화면표시는 사용자가 입력한 그대로 1행으로 보여준다는 의미이다. 물론 경우에 따라서는 또는 사용자의 요구가 있으면 입력한 그대로가 아니라 이체거래 방식으로 보여줄 수도 있다. 표 9는 차입금의 예금(이체) 수입 거래 저장 방법이다. 즉, 분개장 입력은 [예금수입 민영호 차입금 700] 과 같이 편면으로 즉 단식으로 하여도, 파일로 저장되는 것은 아래와 같은 복식이다.
전표번호 거래유형 수입/지출 계정과목 수입액 지출액
1 예금수입 수입 차입금 10,000
1 예금수입 지출 보통예금 10,000
표 9의 저장방법에서 수입/지출 필드는 프로그램 저장 시 추가되는 필드이다. 입력된 전표를 저장할 때, 프로그램은 거래유형 외에, 수입.지출 여부를 구분하는 필드를 추가하여 저장하므로써 현금거래를 포함한 모든 거래를 이체거래 방식으로 저장하는데, 그 기본원리는 수입지출 동액의 원칙이다.
각 거래유형별로 이체거래 방식으로 저장하는 내역은 아래와 같다.
(현금수입거래)
R1 : 현금수입, 수입, 인명, 과목, 금액
R2 : 현금수입, 지출, 현금질, 현금, 금액
* R은 레코드의 약어이고, R1은 사용자 입력분, R2는 시스템의 추가저장분이다.
* 여기서 인명과 과목은 분개장의 해당란에 입력된 내용을 의미한다.
* 현금질은 회사내에서 현금을 취급하는 담당자 또는 경영주를 의미한다.
(현금지출거래)
R1 : 현금지출, 수입, 현금질, 현금, 금액
R2 : 현금지출, 지출, 인명, 과목, 금액
(예금수입거래)
R1 : 예금수입, 수입, 인명, 과목, 금액
R2 : 예금수입, 지출, 인명, 보통예금, 금액
* 추가저장분의 인명은 사용자 입력분을 그대로 저장하되,
* 사용자가 그 인명을 달리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이체거래로 입력해야 한다.
(예금지출거래)
R1 : 예금지출, 수입, 인명, 보통예금, 금액
R2 : 예금지출, 지출, 인명, 과목, 금액
(외상수입거래)
R1 : 외상수입, 수입, 인명, 상품매출, 금액
R2 : 외상수입, 지출, 인명, 매출채권, 금액
(외상지출거래)
R1 : 외상지출, 지출, 인명, 과목, 금액
R2 : 외상지출, 수입, 인명, 매입채무, 금액
(카드수입거래)
R1 : 카드수입, 수입, 인명, 상품매출, 금액
R2 : 카드수입, 지출, 인명, 카드매출채권, 금액
(카드지출거래)
R1 : 카드지출, 지출, 인명, 과목, 금액
R2 : 카드지출, 수입, 인명, 카드매입채무, 금액
(이체거래)
R1 : 이체수입, 수입, 인명, 과목, 금액
R2 : 이체지출, 지출, 인명, 과목, 금액
분개장 입력화면이 디스플레이되면, 사용자는 회계처리 시스템(500)의 입력장치(530)를 통하여 거래정보 항목인 거래일을 연월일로서 입력한다(단계 S708).
그 후, 거래의 종류 또는 유형이 이체 거래인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710). 선택가능한 거래유형은 현금수입/현금지출, 예금수입/예금지출, 외상수입/외상지출, 카드수입/카드지출, 이체수입/이체지출의 10 가지이다. 이 10 가지는 크게 두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즉 수입과 지출이다.
현금수입/예금수입/외상수입/카드수입/이체수입은 수입 그룹에 해당되고, 현금지출/예금지출/외상지출/카드지출/이체지출은 지출 그룹에 해당된다. 설명의 편의상 현금수입은 입금, 현금지출은 출금, 예금수입은 예입, 예금지출은 예출 등으로 약칭할 수도 있다. 또한 수입과 지출을 입금과 출금 또는 단순하게 입출로도 표현할 수도 있다.
단계 S708의 거래일자 입력 후 커서가 거래유형 입력 칸에 위치하게 되면, 회계처리 시스템(200)은 보조 기억장치에 코드화 되어 저장되어 있는 상기의 10 가지 거래유형을 디스플레이 장치(222)를 통해 표시한다. 이를 참조하여 사용자는 현재 입력대상 거래의 유형을 선택 입력한다.
단계 S710의 판단 결과, 이체 거래가 아니면, 입력장치(530)를 이용하여 거래 유형에 따라 현금 지출이면 1, 현금 수입이면 2, 예금 지출이면 3, 예금 수입이면 4, 외상 지출이면 5, 외상 수입이면 6, 카드 지출이면 7, 카드 수입이면 8을 입력한다(S712).
거래유형을 선택 입력하고, 입출 인명을 입력하면, 회계 처리 프로그램(512)은 과목 즉 계정과목 테이블을 참조하여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계정과목을 디스플레이 장치(522)를 통해 표시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이 선택한 거래유형에 대응되는 계정과목을 입력장치(530)를 통해 입력한다(단계 S714).
그리고 거래금액을 입력한 후, 적요 등의 부가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는 바에 따라 문자 또는 숫자로 입력함으로써 회계처리를 위한 데이터 입력과정, 즉 거래내역 입력과정을 완료한다.
사용자가 입력장치(530)를 통해 거래내역 입력을 완료하면, 회계처리 시스템(500)은 보조 기억장치(510)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회계정보, 즉 거래전표를 처리한다(단계 S716). 여기서, 거래전표의 처리는 사용자가 입력한 전표가 바르게 입력된 것인지를 판단하고 그 판단결과 오류가 없다고 결정되면 그 전표를 파일 즉 보조 기억장치(510)에 저장하는 것을 말한다. 전표입력 오류 여부 판단의 핵심은 이체거래 입력시 이체 출금과 이체입금을 동액으로 입력하였는가의 판별인데, 이에 대하여는 후술하고자 한다. 이체거래가 아닌 거래는 필수입력요소인 날짜, 거래유형, 과목, 금액의 입력 여부만 확인한 후, 다른 검증절차 없이 저장한다. 물론 여기서 인명은 생략가능한 요소이므로 검증대상에서는 제외된다.
단계 S710의 판단 결과, 이체 거래이면, 입력장치(530)를 이용하여 거래 유형에 따라 이체 지출이면 9, 이체 수입이면 10을 입력한다(S718). 이체거래 기록시 이체수입과 이체지출이라는 기호는 현행부기의 대변과 차변과 같다. 즉, 이체수입 = 대변, 이체지출=차변으로 정의한다. 이체거래는 회사가 특정계정으로부터 받아(수입) 다른 계정에 주는(지출) 것으로 의제하여 기록한다. 이체거래에서 수입과 지출의 기록순서와 그 기록건수는 임의적이며, 다만 한 건의 이체거래를 몇 건의 이체수입과 이체지출로 나누어 기록해도 무방하나 수입과 지출이 반드시 일치해야 하는 것 외에 특별한 규칙이 없다. 또한, 일기장 및 분개장에서 현금거래, 예금거래 등과 같이 거래유형을 구분하여 수입/지출 어느 일방만 입력하는 편면입력 방식은 사용자의 입력 편의를 위한 편의적인 방법이며, 현금거래를 비롯한 모든 거래를 표 8의 예시와 같이 이체거래 방식으로 기록할 수 있음도 알려둔다.
사용자가 계정과목, 금액, 적요 등을 입력하면(S720), 분개장 처리 프로그램(512)은 이체수입액=이체지출액인지 비교하여(S722), 동액이 아니면 오류 메시지를 출력하여(S724), 사용자로 하여금 이체수입액=이체지출액 조건을 충족하는 상대전표를 입력하도록 강제한다. 사용자가 이후 이체수입액=이체지출액 조건을 이행하지 않고 다른 유형의 거래를 입력하는 경우에는 오류 메시지를 표출하여 조건이행을 강제하고 그래도 입출동액 조건을 충족시키지 않는 경우에는 그 조건을 이행하지 않는 전표를 강제로 제거한다. 또한, 입출동액 조건이 충족되지 않는 상태에서 분개장 프로그램을 종료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입출 불일치에 해당되는 전표는 제거한 후 분개장 프로그램을 종료한다. 그러나 사용자가 입출동액 조건을 충족시키면, 프로그램은 이체거래와 관련된 부분전표 각각에 대하여 동일한 전표번호를 부여하여 입력된 각행을 파일로 저장한다. 그리고 다음 거래 입력을 대기한다.
전표 입력시 인명 입력법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인명을 현행부기에서는 거래처라 하고, 그 입력 필요성에 대하여는 특별한 규정이 없으나, 본 발명에서는 인명을 필수적 고려사항으로 본다. 즉, 본 발명에 의한 부기는 인명 간의 입출잔액을 정리하는 것이 부기라고 보는 것이므로 거래분개시 인명을 반드시 기록해야 한다. 인명은 김두승에게 차입 또는 대여한 경우 인명은 김두승, 과목은 차입금 또는 대여금으로 기록하게 되므로 본 발명에서 인명은 회사에 금품을 준자 또는 받은 자가 되고, 이 인명은 개인뿐만 아니라 국가, 지방자치단체, 법인기업 등 회사와 경제적 거래가 가능한 경제주체를 의미한다. 원칙적으로 모든 거래는 인명과의 거래이므로 반드시 인명을 기록해야 하나, 때로는 그 인명을 특정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다. 인명기록법의 원칙은 아래와 같다.
1) 모든 거래는 입처 또는 출처를 그 인명으로 기록한다.
2) 입처 또는 출처가 불확실한 경우에는 해당 자산의 관리책임자성명 또는 경영자성 명을 그 인명으로 기록하거나, 아예 생략할 수도 있다. 인명으로 기록하는 경우에는 상품질, 건물질 등과 같이 그 과목에 '질'이라는 접미사를 부가하여 인명으로 기록한다. 질이 부가되는 인명은 상품질, 건물질, 기계장치질, 원재료질 등이모, 매출원가질, 감가상각비질 등과 같이 결산분개에서 나타나는 과목에 대하여도 질을 부기하여 그 인명으로 기록한다.
3) 요약하면, 대여.차입 즉 채권.채무 거래와 손익거래는 그 인명을 생략해서는 안된다. 다만 손익거래의 경우 감가상각비 계상 등과 같은 결산분개 즉 회사내부적 이체거래의 경우에는 인명기록을 생략할 수 있다.
전표의 입력이 완료되면 상기한 표 4에 나타낸 수입/지출 방식의 원장을 작성표시한다(S726). 원장은 계정별 원장의 약어로서 과목별 원장과 인명별 원장이 있음은 이미 설명한 바가 있다. 원장은 과목별 원장이든 인명별 원장이든 계정별 입출내역과 잔액정보라고 할 수 있다. 과목원장에 대하여 설명하면, 원장을 작성하는 일반원칙은, 특정계정과목 원장의 작성이 요구되면, 프로그램은 분개장 테이블에 저장된 전표 중 해당 계정과목이 입력된 레코드를 하나씩 추출하여 이를 표 4의 양식의 원장에 전기하는데, 수입 레코드는 금액을 원장의 수입란에 전기하고, 지출 레코드는 금액을 원장의 지출란에 전기한다. 여기서 수입.지출 레코드란 분개장의 레코드 중 수지구분란에 입력된 기호가 수입 또는 지출인 경우를 말한다. 잔액은 그 계정의 속성에 따라 다음의 수학식 1에 의하여 산출하여 기록한다.
자산계정 잔액 = 전기이월액 + 지출액- 수입액
채무계정 잔액 = 전기이월액 + 수입액 - 지출액
비용계정 잔액 = 지출액- 수입액
수익계정 잔액 = 수입액 - 지출액
현금을 포함한 각 계정의 전기이월액은 프로그램 상의 계정별 기초잔액 입력메뉴에 사용자가 입력하여야 한다. 이렇게 입력된 기초잔액은 사용자의 원장요구시 프로그램이 기초잔액 테이블을 검색하여 각 원장 제 1행의 잔액란에 기재하여, 당기 현재의 누적잔액을 계산하는데 활용한다. 원장의 적요란 기입은 수기장부의 경우와는 약간 다르다. 수기는 사용자 임의적 판단으로 거래를 해석하여 기록하면 되지만, 컴퓨터는 그런 능력이 없으므로, 정형적으로 기록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원장의 적요는 상대 인명과 상대계정과목을 기입하며, 그 정보는 양방으로 저장된 분개장 파일에서 가져온다. 이렇게 산출 확정된 잔액은 결산이 완료되면 다음 기의 계정별 기초잔액 테이블로 전기되어, 다음 기 원장작성에 활용된다.
상기의 원장 중에서 현금원장과 보통예금원장은 두 가지 방식으로 작성할 수 있다. 먼저, 현금원장 작성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른 계정과목처럼 분개기록이 수입이면 원장의 수입란에, 지출이면 원장의 지출란에 전기하여 잔액을 산출하는 지출 잔액법이 있다. 지출 잔액법이란 지출에서 수입을 차감하여 잔액을 산출하는 방법이나, 이는 사용자의 이해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으므로 제 2 법, 즉 수입 잔액법을 채용하여 현금원장을 작성할 수도 있다. 수입 잔액법이란, 입력된 계정과목이 현금 이고 수지구분이 수입이면 원장의 지출란에 전기하고, 반대의 경우에는 원장의 수입란에 전기하여 수입에서 지출을 차감하여 잔액을 산출하는 방식이다. 이 경우는 상식적인 현금출납장과 같으므로 이해가 쉽다는 장점이 있다. 표 4의 현금원장은 제2법으로 작성된 것이다.
보통예금원장 역시 정상적인 수입.지출 전기방법으로 작성하면 지출잔액이 되나, 지출 잔액법 역시 사용자의 이해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으므로, 보통예금원장의 지출란을 예입으로, 수입란을 인출란으로 바꾸어 표기하면 예입에서 인출을 차감하여 잔액이 산출되므로, 역시 사용자의 이해가 쉽게 되는 장점이 생긴다. 표 4의 보통예금원장은 이 방법으로 작성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원장은 수기장부에서의 원장과 그 양식과 기록법이 같아, 표 10의 종래방식의 차대변 원장과 달리, 수입.지출 방식이어서 수기장부 작성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현금 원장>
일자 적요 수입 지출 잔액
  전기이월 40   40
1.1 차입금, 김두승 1,000   1,040
1.2 상품, 중경상사   500 540
1.3 임차료   30 510
1.4 상품매출, 북경상사 450   960
1.5 대여금, 김철호   200 760
1.7 매출채권,현금 회수 120   880
1.22 매입채무, 현금지급   600 280
1.27 보통예금, 현금지출   40 240
1.28 보통예금,현금인출 60   300
  (누계) 1,670 1,370  
<보통예금 원장>
일자 적요 차변 대변 잔액
  전기이월 50   50
1.23 차입금, 민영호 700   750
1.24 전기료, 한국전력   60 690
1.25 전화료, 한국통신   70 620
1.26 차입금, 민영호   100 520
1.27 현금지출 40   560
1.28 현금수입   60 500
  (누계) 790 290  
<정기적금 원장>
일자 적요 차변 대변 잔액
  전기이월 20   20
<매출채권 원장>
일자 적요 차변 대변 잔액
  전기이월 80   80
1.6 상품, 북경상사 300   380
1.7 현금, 북경상사   120 260
1.9 상품, 남경상사 600   860
  (누계) 980 120  
<대여금 원장>
일자 적요 차변 대변 잔액
  전기이월 60   60
1.5 현금, 김철호 200   260
  (누계) 260    
<카드매출채권 원장>
일자 적요 차변 대변 잔액
1.30 상품매출, 비지카드 100   100
<상품 원장>
일자 적요 차변 대변 잔액
  전기이월 100   100
1.2 현금, 중경상사 500   600
1.8 매입채무, 중경상사 400   1,000
1.10 매입채무, 동경상사 700   1,700
1.31 매출원가 계상   1,000 700
  (누계) 1,700 1,000  
<토지 원장>
일자 적요 차변 대변 잔액
  전기이월 1,200   1,200
<건물 원장>
일자 적요 차변 대변 잔액
  전기이월 300   300
1.31 감가상각비   30 270
  (누계) 300 30  
<매출원가 원장>
일자 적요 차변 대변 잔액
1.31 상품, 매출원가 계상 1,000   1,000
<임차료 원장>
일자 적요 차변 대변 잔액
1.3 현금 30   30
<전기료 원장>
일자 적요 차변 대변 잔액
1.24 보통예금, 한국전력 60   60
<전화료 원장>
일자 적요 차변 대변 잔액
1.25 보통예금, 한국통신 70   70
<접대비 원장>
일자 적요 차변 대변 잔액
1.29 카드매입채무 30   30
<감가상각비 원장>
일자 적요 차변 대변 잔액
1.31 건물 30   30
<매입채무 원장>
일자 적요 차변 대변 잔액
  전기이월   120 120
1.8 상품, 중경상사   400 520
1.10 상품, 동경상사   700 1,220
1.22 현금, 동경상사 600   620
  (누계) 600 1,220  
<차입금 원장>
일자 적요 차변 대변 잔액
  전기이월   300 300
1.1 차입금, 김두승   1,000 1,300
1.23 보통예금, 민영호   700 2,000
1.26 보통예금, 민영호 100   1,900
  (누계) 100 2,000  
<카드매입채무 원장>
일자 적요 차변 대변 잔액
1.29 접대비, 비지카드   30 30
<자본금 원장>
일자 적요 차변 대변 잔액
  전기이월   1,000 1,000
<이익잉여금 원장>
일자 적요 차변 대변 잔액
1.1 현금, 김두승   430 430
<상품매출 원장>
일자 적요 차변 대변 잔액
1.4 현금, 북경상사   450 450
1.6 매출채권, 북경상사   300 750
1.9 매출채권, 남경상사   600 1,350
1.30 카드매출, 비지카드   100 1,450
  (누계)   1,450  
원장의 작성이 완료되면, 표 6에 설명된 바와 같은 잔액시산표를 작성해야 한다(S728). 잔액시산표는 과목별 잔액시산표와 인명_과목별 잔액시산표 두 가지가 있으나, 인명별 잔액시산표는 과목별 잔액시산표의 하부명세표에 해당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고자 한다.
상기 표 6의 잔액시산표는 말 그대로 각 계정별 잔액을 한 표에 집합시킨 것이므로, 프로그램은 각 계정별 잔액을 표 4의 방식으로 산출하여 이를 표 6의 양식으로 표시하면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잔액시산표의 양식은 역시 계정별 원장의 양식과 마찬가지로 차대변 방식이 아니라 수입/지출 방식이므로 그 이해와 분석이 쉽다는 특징이 있다. 프로그램이 잔액시산표를 작성하는 절차는 1) 각 계정별 잔액을 산출한다. 2) 산출된 잔액과 계정명을 잔액시산표 양식에 출력표시하되, 3) 자산.비용 계정잔액은 수입란에, 채무.수익 계정잔액은 지출란에 표시한다. 4) 잔액을 표시후, 수입총액과 지출총액을 표시함으로써 그 작성이 완료된다. 수지분개장 입력에서 수입총액과 지출총액을 반드시 일치시키므로, 데이터 파일이 물리적인 손상을 입지 않는 한 잔액시산표 및 재무제표 전반에 걸쳐 수입총액=지출총액의 입출일치 법칙이 성립하게 된다. 결과적으로는 표 11의 종래 차대변 방식과 같은 내역이 표시된다.
잔액시산표
2008년 1월 31일 현재
(재산)지출 (채무)수입
현금 300 매입채무 620
보통예금 500 카드매입채무 30
정기적금 20 차입금 1,900
대여금 260 자본금 1,000
매출채권 860 이익잉여금 430
카드매출채권 100 상품매출 1,450
상품 700    
토지 1,200    
건물 270    
임차료 30    
전기료 60    
전화료 70    
접대비 30    
감가상각비 30    
매출원가 1,000    
(합계) 5,430 (합계) 5,430
잔액시산표에서 자산.채무 계정잔액만 추출하면 대차대조표가 작성되고(S730), 수익.비용 계정잔액만 추출하면 손익계산서가 작성된다(S732). 대차대조표와 손익계산서 역시 입출 즉 대차가 일치해야 하는데, 입력장부인 분개장에서 이미 입출을 일치시킨 것이므로, 그 하부장표인 시산표, 재무제표에서도 입출이 일치할 수밖에 없다. 재무표와 손익계산서 양식 역시 종래와 달리 상기한 표 7과 같이 수입지출 겸용 방식으로 표시하여 재무제표의 작성과 이해 및 활용을 제고할 수 있다. 표 12는 종래 방식의 재무제표이며, 본 발명에 의한 재무제표와 내용상의 차이는 없다.
대차대조표
2008년 1월 31일 현재
자산 부채
현금 300 매입채무 620
보통예금 500 카드매입채무 30
정기적금 20 차입금 1,900
대여금 260 자본금 1,000
매출채권 860 이익잉여금 430
카드매출채권 100 당기순이익 230
상품 700    
토지 1,200    
건물 270    
(합계) 4,210 (합계) 4,210
손익계산서
2008년 1.1부터~1.31까지
비용 수익
매출원가 1,000 상품매출 1,450
임차료 30    
전기료 60    
전화료 70    
접대비 30    
감가상각비 30    
당기순이익 230
(합계) 1,450 (합계) 1,450
요약하면, 차변과 대변이 아니라 전표를 수입과 지출 방식으로 입력해도 결과는 종래의 원장, 시산표, 재무제표와 같은 결과가 산출되나, 본 발명에 의한 것은 거래의 입력과 원장을 비롯한 각종 집계장부의 이해 그리고 활용이 쉽다는데 그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사용되는 수지기록부와 컴퓨터를 이용한 분개장 처리 프로그램은 그 각각이 완전한 시스템이므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수지기록부 또는 회계 프로그램만 사용할 수도 있고, 수지기록부의 일기장과 회계프로그램을 연동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기장과 분개장에서 거래유형은 현금수입/현금지출, 예금수입/예금지출, 외상수입/외상지출, 카드 외상수입/카드 외상지출, 이체수입/이체지출 등의 총 10가지이나, 원칙적으로 현금거래를 비롯한 모든 거래가 이체거래이므로, 경우에 따라서는 거래유형을 10 가지가 아니라, 이체수입금/이체지출 즉 수입/지출의 2가지로 축소하여 입력운영할 수 있음도 알려둔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 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복식 회계 처리 방법 및 시스템은 기업, 가계, 및 국가 등의 모든 경제 주체의 복식회계 장부를 작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으로 행해지고 있는 종래의 회계처리 방식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식 회계 처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지 기록부 작성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식 회계 처리 방법을 상세하게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0: 복식 회계 처리 시스템
505: 수지 기록부
510: 보조 기억장치
512: 회계 처리 프로그램
520: 출력장치
522: 디스플레이 장치
524: 프린터
530: 입력장치
540: 중앙처리장치(CPU)

Claims (2)

  1. (a) 예금 잔액란이 포함된 수기장부의 일기장 양식을 생성하는 단계;
    (b) 상기 수기장부의 일기장에 포함된 예금 잔액란을 이용하여 예금잔액을 산출 파악하는 단계;
    (c) 수기장부의 일기장 양식 및 컴퓨터 프로그램의 분개장 양식에 인명란을 설치하여 회계전표를 인명간 입출 개념으로 입력하는 단계;
    (d) 수기장부의 일기장 양식에 현금 거래는 현금수입 및 현금지출로 나누고, 예금거래는 예금수입 및 예금지출로 나누고, 외상거래는 외상수입 및 외상지출로 나누고, 신용카드거래는 카드수입 및 카드지출로 나누고, 이체거래는 이체수입 및 이체지출로 나누어 입력함으로써 일기장을 작성하는 단계;
    (e) 단계 (d)에서 작성된 상기 일기장을 기초로 하여 컴퓨터 프로그램의 분개장 양식에 현금거래는 현금수입 및 현금지출로 나누고, 예금거래는 예금수입 및 예금지출로 나누고, 외상거래는 외상수입 및 외상지출로 나누고, 신용카드거래는 카드수입 및 카드지출로 나누고, 이체거래는 이체수입 및 이체지출로 나누어 거래전표로서 입력하는 단계;
    (f) 상기 이체거래 입력후, 분개장 처리 프로그램이 실행되어 이체 수입액과 이체 지출액을 비교하여 이체수입액과 이체지출액이 동액이면 보조기억장치에 저장하는 단계;
    (g) 이체거래가 아닌 경우, 상기 현금거래, 상기 예금거래, 상기 외상거래, 상기 신용카드거래를 모두 수입/지출 이체 거래 방식으로 상기 보조기억장치의 분개장 양식에 저장하여 다수의 거래전표가 함유된 분개장을 얻는 단계;
    (h) 상기 분개장으로부터 사용자가 요구하는 계정과목 또는 인명이 포함된 전표를 추출하여 해당 내역을 수입/지출 방식으로 전기하여 계정별 원장에서 자산/비용계정의 잔액은 지출-수입 방식으로, 부채/수익계정의 잔액은 수입-지출 방식으로 산출하여 표시 출력하는 단계;
    (i) 상기 계정별 원장에 대한 계정별 잔액 정보를 집합시킨 수입/지출 방식의 잔액 시산표를 표시 출력하는 단계; 및
    (j) 상기 수입/지출 방식의 잔액 시산표를 기초로 하여 대차대조표 또는 손익계산서를 표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복식 회계 처리 방법.
  2. 현금 거래는 현금수입 및 현금지출로 나누고, 예금거래는 예금수입 및 예금지출로 나누고, 외상거래는 외상수입 및 외상지출로 나누고, 신용카드거래는 카드수입 및 카드지출로 나누고, 이체거래는 이체수입 및 이체지출로 나누어 입력된 일기장을 구비한 수지 기록부;
    현금수입, 현금지출, 외상수입, 외상지출, 예금수입, 예금지출, 카드수입, 카드지출, 이체수입, 이체지출로 이루어진 거래유형과 거래유형에 대응하는 계정과목 테이블을 저장하고 있으며, 분개장 입력과 그 입력을 기초로 하여 회계 처리를 하도록 하는 분개장 처리 프로그램 및 회계처리 결과를 저장하는 보조 기억장치;
    입력 양식인 분개장 양식을 출력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거래 내역을 연월일, 현금출 금, 현금입금, 예금지출, 예금수취, 이체출금, 및 이체입금으로 이루어진 거래유형, 인명, 계정과목, 금액, 적요로 분해하여 입력하도록 하는 출력장치;
    사용자가 상기 수지 기록부의 일기장에 입력된 거래 내역을 기초로 하여 거래정보, 상기 출력장치로부터 특정의 출력결과인 계정별 원장 및 기타 회계정보를 얻기 위한 검색조건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장치; 및
    거래전표 입력후, 분개장 처리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그 거래가 이체거래이면 이체수입액과 이체지출액을 비교하여 동액이면 분개장 파일에 저장하고, 입력된 거래가 이체거래가 아닌 경우 입력된 내역 및 계정과목 테이블을 이용하여 현금거래, 예금거래, 외상거래, 신용카드거래를 모두 수입/지출 이체거래 방식으로 상기 분개장 파일에 저장함으로써 다수의 거래전표가 함유된 분개장을 작성하고,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과목별 원장, 인명별 원장, 잔액 시산표, 대차 대조표, 및 손익계산서를 선택적으로 작성하는 중앙처리장치를 포함하는 복식 회계 처리 시스템.
KR1020090001359A 2009-01-08 2009-01-08 수입 지출방식을 기반으로한 복식 회계 처리 방법 및 시스템 KR201000820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1359A KR20100082057A (ko) 2009-01-08 2009-01-08 수입 지출방식을 기반으로한 복식 회계 처리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1359A KR20100082057A (ko) 2009-01-08 2009-01-08 수입 지출방식을 기반으로한 복식 회계 처리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2057A true KR20100082057A (ko) 2010-07-16

Family

ID=426422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1359A KR20100082057A (ko) 2009-01-08 2009-01-08 수입 지출방식을 기반으로한 복식 회계 처리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8205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8195B1 (ko) * 2010-03-12 2012-03-22 이원노 세무자료 매칭 처리 기능을 구비한 복식 회계 처리 방법 및 시스템
KR101275650B1 (ko) * 2011-05-06 2013-06-17 이원노 수학적 항등식을 기반으로 한 복식 분개 및 복식회계 처리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8195B1 (ko) * 2010-03-12 2012-03-22 이원노 세무자료 매칭 처리 기능을 구비한 복식 회계 처리 방법 및 시스템
KR101275650B1 (ko) * 2011-05-06 2013-06-17 이원노 수학적 항등식을 기반으로 한 복식 분개 및 복식회계 처리방법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agner Working capital management: applications and case studies
Bátiz-Lazo et al. Banking on change: Information systems and technologies in UK high street banking, 1919–1969
CN105825425A (zh) 一种适用于阿米巴经营的存取款式的财务数据处理方法
CN111882412A (zh) 一种用于不懂会计知识的普通人完成企业复式记账的方法
Shah Management accounting
Lerner et al. Bookkeeping and accounting
Tracy Accounting workbook for dummies
JP3415117B2 (ja) 経理処理システム及び経理処理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媒体
JP2007012026A (ja) 仕訳自動作成機能を備えた会計システム
Sprague 'The General Principles of the Science of Accounts' and'the Accountancy of Investment'
KR101128195B1 (ko) 세무자료 매칭 처리 기능을 구비한 복식 회계 처리 방법 및 시스템
Benedict et al. Financial accounting: an introduction
KR101275650B1 (ko) 수학적 항등식을 기반으로 한 복식 분개 및 복식회계 처리방법 및 시스템
KR101000359B1 (ko) 현금출납장을 기반으로한 복식 회계 처리 방법 및 시스템
KR20100082057A (ko) 수입 지출방식을 기반으로한 복식 회계 처리 방법 및 시스템
Nelson QuickBooks 2013 All-in-one for Dummies
KR20070101115A (ko) 태극 입출금 회계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arlberg Business Analysis: Microsoft Excel 2010
Tiffin Executive Finance and Strategy: How to Understand and Use Financial Information to Set Strategic Goals
Nino et al. Simple bookkeeping model using Microsoft excel for culinary micro-business in East Nusa Tenggara Indonesia
KR101114262B1 (ko) 금고계정을 가진 복식 회계 처리 방법 및 시스템
Ude Understanding the technologies for cashless economy on Nigeria’s GDP growth: Post COVID–19
MANUNGO et al. STRUCTURE, FUNCTION AND PERFORMANCE OF THE FINANCIAL SERVICES SECTOR IN ZIMBABWE SINCE 1980
Cudby Commercial Lending: Principles and Practice
Ahmed Financial Accounting And Business Law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10318

Effective date: 20121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