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0173B1 - 무전원 열차접근 경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무전원 열차접근 경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0173B1
KR101000173B1 KR1020090000432A KR20090000432A KR101000173B1 KR 101000173 B1 KR101000173 B1 KR 101000173B1 KR 1020090000432 A KR1020090000432 A KR 1020090000432A KR 20090000432 A KR20090000432 A KR 20090000432A KR 101000173 B1 KR101000173 B1 KR 1010001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in
alarm
unit
electricity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04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81142A (ko
Inventor
김주일
Original Assignee
대아티아이(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아티아이(주) filed Critical 대아티아이(주)
Priority to KR10200900004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0173B1/ko
Publication of KR201000811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11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01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01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3/00Control, warning or like safety means along the route or between vehicles or trai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9/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craft where the kind of craft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전원 열차접근 경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를 위해 침목과 레일의 사이에 하나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이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 구비되며, 열차의 바퀴가 레일을 지나갈 때 열차의 하중에 의한 강한 압력에 의해 전류를 발생시킨 후 전기를 생산하는 전기발생부(1); 및 상기 전기발생부와 연결되며, 전류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여 발생된 전기에너지에 의해 시각적인 신호와 청각적인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레일의 일측 또는 양측에 설치되는 경보부(6);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선로 상에 압전기를 설치하여 열차 운행시에 열차 하중에 의한 압력변화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여 발생된 전기로 열차가 운행하는 전방에 보행자와 동물들을 보호하기 위한 경보신호(시각적인 신호등, 청각적인 경고음)를 제공하고 또한 이는 결과적으로 열차운행의 안전과 보행자 및 보행동물들은 안전하게 보호하게 되며 이로 인해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켜 운영자로 하여금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Figure R1020090000432
무전원, 전기발생부, 압전기, 열차접근, 경보시스템.

Description

무전원 열차접근 경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A no power supply train access alarm system and its contra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무전원 열차접근 경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선로 상에 압전기를 설치하여 열차 운행시에 열차 하중에 의한 압력변화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여 발생된 전기로 열차가 운행하는 전방에 보행자와 동물들을 보호하기 위한 경보신호(시각적인 신호등, 청각적인 경고음)를 제공하고 또한 이는 결과적으로 열차운행의 안전과 보행자 및 보행동물들은 안전하게 보호하게 되며 이로 인해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켜 운영자로 하여금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열차는 철도 신호에 의해 운행되게 함으로 열차운전의 안전을 확보하였다. 철도 신호는 신호, 전호, 표지 등으로 구분되는데 신호의 종류에는 상치신호기, 임시신호기, ATC 차상신호등이 있고, 전호에는 출발전호, 전철 신호, 입환신호 등이 있으며, 표지에는 자동식별표지, 서행허용표지 등이 있다. 이러한 모 든 철도 신호는 기관사에게 열차 운행 조건을 알려주거나 열차 차상장치에 신호조건을 송신하고 그에 따라 열차 운행이 되도록 하였다. 즉, 기존의 신호시스템은 기관사 위주로 되어있었다. 철도 건널목의 경우에는 선로를 횡단하는 사람이나 동물들을 보호하기 위한 차단막 또는 경고음을 통해 보행자의 열차가 통과할 때 보행자의 선로진입을 차단하였다. 그러나 건널목이 아닌 경우에는 선로를 횡단하려는 보행자 또는 동물들에게 열차가 다가오고 있다는 경계신호를 주는 방법이 없었다. 단순히 사고 다발지역에서 기관사의 판단에 의해 미리 경적을 울려주는 수동적인 방식만이 있었기 때문에 열차 운행 선로 전 구간에 대한 경고 신호 발생 시스템이 존재하지 않았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본인이 선출원하여 등록받은 열차접근 경보장치가 있다.
즉, 특허등록 제0497993호(출원번호 제2002-0068813호)는 도 1,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차접근 경보장치(100)는 선로의 전압상태를 감지하여 열차 진입 판단신호를 출력하는 감지부(10)와, 상기 열차 진입 판단신호에 반응하여 열차가 경보구간 내로 진입하고 있음을 인식한 후, 열차의 진입방향을 체크하여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열차의 진행 방향이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경보음이 발생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20)와, 상기 제어부(20)의 제어에 응하여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경보부(30)와, 상기 제어부(20)의 제어에 응하여 열차의 진행 방향 표시등이 점등되도록 하는 표시부(40)와, 상기 작업자의 조작에 응하여 경보음 중단신호를 출력하는 제1 스위치(51)를 포함하는 작업자 입력부(50)와, 정전되었다가 전원이 자동으로 복구되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전원복구 신호를 출력하는전원감지부(60)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작업자 입력부(50)는 상기 작업자의 조작에 의해 경보개시신호를 출력하는 제2 스위치(52)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경보개시신호 에 응하여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상기 표시부(40) 및 경보부(30)를 구동시킨다. 그리고, 상기 감지부(10)는 일정 영역 이내에서 송신되는 무선신호를 수신받는 무선수신부(11)를 더 포함하며, 상기 무선신호는 열차에 고정, 설치되는 무선 송신부(200)로부터 송신되게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의 열차접근 경보장치(100)의 제어부(20)는 감지부(1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지속적으로 체크(S100)한다. 즉 감지부(10)는 상용궤도회로 또는 무절연 궤도회로에 의한 연속폐전로 방식으로 열차가 경보구간 내로 진입하고 있는지를 감지하는 블록으로서, 감지부(10)는 열차가 진입하지 않는 경우와 진입하는 경우 서로 다른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제어부(20)로 입력되도록 한다. 그리고 제어부(20)는 감지부(10)로부터 열차진입 판단신호가 입력되는지를 체크(S110)하고, 열차진입 판단신호가 입력되면(S110의 예), 이에 반응하여 열차가 경보구간 내로 진입하고 있음을 인식하고, 열차의 진행방향을 체크하여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표시부(40)의 열차진행 방향 표시등을 점등시켜 열차의 진행방향을 표시하고 경보부(30)를 구동시켜 경보음이 발생(S120)되도록 한다. 즉, 감지부(10)는 상하행선 선로에 모두 설치되며, 제어부(20)는 어느 선로에 설치된 감지부(10)로부터 열차 진입 판단신호가 입력되는지를 체크하여 열차의 진행방향을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20)는 미리 설정된 구간에 설치된 열차접근 경보장치(100)로부터 열차 진입 판단신호를 입력받아 열차의 종류를 판별하여 경보부(30)를 제어하여 경보음이 발생되도록 한다. 즉 제어부(20)는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몇 개의 열차 진입 판단신호가 입력되는지를 체크하여 현재 경보구간 내로 진입하는 열차의 속도를 체크할 수 있으며, 상기 열차의 속도에 따라 경보부(30)를 제어하여 가장 적절한 시간에 경보음이 발생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경보부(30)를 통해 경보음이 울리고 있는 경우, 상기 작업자는 안전하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상기 경보부(30) 및 표시부(40)의 구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즉, 작업자는 작업자 입력부(50)의 제 1 스위치(51)를 조작하여 경보음 중단 신호가 제어부(20)로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경보음 중단신호를 입력되는지를 체크하여(S130), 경보음 중단신호가 입력되면(S130의 예) 상기 경보부(30) 및 표시부(40)를 제어하여 열차진행 표시등이 멸등되도록 하는 한편, 출력되고 있는 경보음이 중단되도록 한다(S140). 만약, 상기 S130 과정의 체크 결과, 상기 경보음 중단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S130의 아니오), 제어부(20)는 미리 설정된 시간이 도래하였는지를 체크(S150)하여, 미리 설정된 시간이 도래한 경우(S150의 예) 제어부(20)는 경보부(30)및 표시부(40)를 제어하여 열차진행 표시등이 멸등되도록 하는 한편, 출력되고 있는 경보음이 중단되도록 한다(S160). 그리고 상기 S150 과정의 체크 결과 미리 설정된 시간이 도래하지 않은 경우 제어부(20)는 S120 과정을 반복 수행한다.
상기한 종래의 기술은 열차가 경보구간 내로 진입하는 경우 경보음 및 열차진행 표시등이 점등되도록 하여 열차를 감시하는 감시자의 사각지대인 곡선구간 등에서 열차가 접근하는 경우에도 쉽게 알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나, 무전원 방 식이 아니라는 커다란 단점이 있다.
즉, 전원이 인가되어야만 작동되기 때문에 전원을 제대로 공급하지 못하는 산간 벽지나, 시베리아횡단철도, 사막을 가로지르는 철도 등에는 적용하기 힘들다는 커다란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또한 상기 종래의 기술은 복잡한 감지시스템이나 전원공급원이 필요로 하다는 커다란 문제점도 발생 되었다.
더하여 상기 종래의 기술은 구조적으로 복잡함과 아울러 투자비용이 과다하게 지출되고 또한 관리비용이 추가적으로 지출되는 등의 많은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선로 및 주변에 전기발생부 및 경보부가 구비됨을 제1목적으로 한 것이고, 제2목적은 선로 상에 압전기를 설치하여 열차 운행시에 열차 하중에 의한 압력변화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여 발생된 전기로 열차가 운행하는 전방에 보행자와 동물들을 보호하기 위한 경보신호(시각적인 신호등, 청각적인 경고음)를 제공하는 것이며, 제3목적은 이는 결과적으로 열차운행의 안전과 보행자 및 보행동물들은 안전하게 보호하게 되는 것이고, 제4목적은 특히 산간 벽지나 장거리에 걸쳐 특별한 건널목 시설이 없으면서도 간헐적으로 있을 수 있는 선로 보행자나 동물들을 매우 적은 관리비용으로 보호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제5목적은 더하여 복잡한 감지시스템이나 전원공급원이 필요하지 않으면서 보행자 또는 산간지방에서 선로를 통과하려는 동물들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제6목적은 이로 인해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켜 운영자로 하여금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무전원 열차접근 경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은 열차접근 경보시스템에 있어서, 침목과 레일의 사이에 하나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이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 구비되며, 열차의 바퀴가 레일을 지나갈 때 열차의 하중에 의한 강한 압력에 의해 전류를 발 생시킨 후 전기를 생산하는 전기발생부; 및 상기 전기발생부와 연결되며, 전류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여 발생된 전기에너지에 의해 시각적인 신호와 청각적인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레일의 일측 또는 양측에 설치되는 경보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원 열차접근 경보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열차접근 경보 제어방법에 있어서, 열차 운행시에 열차 하중에 의한 압력변화를 전기발생부가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단계; 이후 충전기가 전기 에너지를 모아 두었다가 필요한 때에 전기로 재생하는 단계; 이어서 상기 전기에너지로 열차 진행방향 전방에 있는 경보부의 경보등과 스피커를 작동시키는 단계;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원 열차접근 경보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선로 및 주변에 전기발생부 및 경보부가 구비되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선로 상에 압전기를 설치하여 열차 운행시에 열차 하중에 의한 압력변화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여 발생된 전기로 열차가 운행하는 전방에 보행자와 동물들을 보호하기 위한 경보신호(시각적인 신호등, 청각적인 경고음)를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열차운행의 안전과 보행자 및 보행동물들은 안전하게 보호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산간 벽지나 장거리에 걸쳐 특별한 건널목 시설이 없으면서 도 간헐적으로 있을 수 있는 선로 보행자나 동물들을 매우 적은 관리비용으로 보호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더하여 본 발명은 복잡한 감지시스템이나 전원공급원이 필요하지 않으면서 보행자 또는 산간지방에서 선로를 통과하려는 동물들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한 효과로 인해 본 발명은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켜 운영자로 하여금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효과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적용된 무전원 열차접근 경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은 도 3 내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는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먼저, 본 발명은 선로 및 주변에 전기발생부(1) 및 경보부(6)가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한 기술적 구성 중에서 상기 전기발생부(1)는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목(101)과 레일(102)의 사이에 하나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이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 구비되며, 열차(103)의 바퀴(104)가 레일(102)을 지나갈 때 열차(103)의 하중에 의한 강한 압력에 의해 전류를 발생시킨 후 전기를 생산하게 된다.
또한 상기 경보부(6)는 상기 전기발생부(1)와 연결되는 동시에 전류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여 발생된 전기에너지에 의해 시각적인 신호와 청각적인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레일(102)의 일측 또는 양측에 설치된다.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전기발생부(1)의 기술적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목(101)과 침목(101)의 사이에 고정 설치되는 브라켓트(3)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브라켓트(3)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고, 상부는 레일(102)의 하부에 맞닿아 설치되는 압전기(2)가 구비된다.
이때 본 발명은 상기 압전기(2)의 눌림 폭을 조절할 수 있도록 체결구(3c)가 끼워지는 브라켓트(3)의 양단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공(3c)이 형성되게 구성하게 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브라켓트(3)의 하부에 고정 설치되며, 일단은 압전기(2)와 연결됨과 아울러 타단은 경보부(6)와 연결되게 전선이 연결된 충전기(4)가 구비된다.
한편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경보부(6)의 기술적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은 전선(5)과 연결되고, 지상으로 일정 높이로 세워지는 지주(6a)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지주(6a)의 상단에는 시각적인 경보등(8)과 청각적인 경고음을 발생하는 스피커(7)가 구비되어 구성된다.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경보부(6)는 전기발생부(1)의 전방 약 1~2Km에 위치함이 바람직하고, 필요에 따라 가감 가능함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의 구성부를 적용함에 있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무전원 열차접근 경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은 선로(레일)(102)를 따라 적절한 간격으로 보행자 및 동물에 게 열차(103)가 통과하기 전에 미리 시각과 청각 신호를 제공하는 열차접근 경보시스템으로, 이 열차접근 시스템의 전기 에너지는 압전기(2)를 통해 발생하는 전기 에너지를 이용한다.
즉,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103) 을 따라 열차(103)가 도면상 오른쪽으로 진행하게 되면 열차 바퀴(104)가 레일을 지나갈 때 레일(102)과 침목(101) 사이에 설치되 있는 압전기(2)에 강한 압력을 주어 전기가 발생하게 된다. 이 전기는 전선(5)를 통해 경보부(6)에 전달되어 경보등(8)이 점등되고 스피커(7)를 통해 경고음이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열차(103)가 진행하게 되면 선두차 전방 바퀴에서 후두차 후방바퀴가 지나갈 때까지 압전기(2)는 파동의 형태로 전류를 발생하게 된다. 이는 압전기(2) 바로 위를 바퀴(104)가 지나갈 때와 바퀴(104)와 바퀴(104) 사이에 압전기(2)가 있을 때의 압력이 변화하기 때문인데, 이러한 이유로 열차(103)가 완전히 압전기(2)를 지나갈 때까지는 계속적인 전류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 전류의 변화는 표시장치인 경보부(6)의 경보드(8)의 밝기를 변화시킨다. 즉, 열차(103)의 속도가 빠르면 점멸 속도가 빠르게 되고, 속도가 느리면 점멸속도가 느리게 된다. 이런 효과는 열차진입 경보기가 있는 데서 실제적으로 열차(103)가 얼만큼 빨리 진입해 오는지를 보행자가 판단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진행방향에 대한 전방위치는 1 ~ 2 Km로 가변 조종가능하고, 경고음은 단순경고음은 물론 경고 메시지를 방송할 수도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별도의 외부전원을 필요로 하지 않고 단순한 배선으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압전기(2)의 수명 또는 경보등(8)의 수명 동안 별도의 정비 없이 반영구적으로 사용 가능한 것이다.
상기한 본원발명의 작용효과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압전기(2)를 브라켓트(3)의 상단에 고정 설치하는 것으로, 볼트 또는 용접 등으로 고정 설치하게 된다.
이후 상기 압전기(2)가 설치된 브라켓트(3)를 양 침목(101)의 사이에 고정 설치하는 것으로, 장공(3b)에 체결구(3c)를 끼운 후 조이게 되면 체결구(3c)가 침목(101)에 체결되어 결과적으로 브라켓트(3)가 침목(101)에 견고히 고정 설치되며, 이때 압전기(2)의 상부는 레일(102)의 하단에 맞닿게 설치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상태에서 열차(103)의 바퀴(104)가 전기발생부(1)의 상단을 지나가게 되면 압전기(2)가 눌리게 되는데, 이때 압전기(2)의 눌림 작용을 선택적으로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즉, 브라켓트(3)의 장공(3b)은 상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것으로, 이는 장공(3b)의 상단쪽에 체결구(3c)를 끼운 후 조이게 되면 브라켓트(3)는 아래쪽에 위치하게 되고, 반대로 장공(3b)의 하단쪽에 체결구(3c)를 끼운 후 조이게 되면 브라켓트(3)는 상단쪽에 위치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압전기(2)를 레일(102)과 긴밀하게 접촉하거나 또는 약간 느슨하게 접촉시켜 사용할 수 있게 되고, 때문에 압전기(2)의 눌림 작용을 크게하거나 작게하여 전류의 변화 폭을 조정하면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열차의 하중에 의해 전기발생부(1)가 작동하여 전기를 발생하면 충전기(4)의 전류가 전선(5)을 통해 경보부(6)에 전달된 후 경보부(6)에서는 시각적인 경보등(8)과 청각적인 경고음이 스피커(7)를 통해 외부로 발산되어 보행자 및 보행동물들은 안전하게 보호하게 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단계를 거쳐 무전원 열차첩근 경보를 제어하게 된다.
즉, 열차(103) 운행시에 열차(103) 하중에 의한 압력변화를 전기발생부(1)가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단계를 거치게 된다.
이후 충전기(4)가 전기 에너지를 모아 두었다가 필요한 때에 전기로 재생하는 단계를 거치게 된다.
이어서 상기 전기에너지로 열차 진행방향 전방에 있는 경보부(6)의 경보등(8)과 스피커(7)를 작동시키는 단계를 거쳐 무전원 열차접근 경보 제어방법을 제공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압력변화에 의한 전기발생부(1)는 파동의 형태로 전류를 발생시키되, 상기 전류 변화의 속도에 따라 경보등(8)의 밝기를 변화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경보등(8)의 밝기는, 열차(103)가 얼마만큼 빨리 진입해 오는지를 판단할 수 있도록 열차(103)의 속도가 빠르면 점멸속도가 빠르고, 열차의 속도가 느리면 점멸속도가 느리게 작동함에 특징이 있다.
상기한 결과 본 발명은 선로 상에 전기발생부(1)를 설치하여 열차(103) 운행시에 열차(103) 하중에 의한 압력변화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여 발생된 전기로 열 차(103)가 운행하는 전방의 경보부(6)에 보행자와 동물들을 보호하기 위한 경보신호(시각적인 신호등, 청각적인 경고음)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 무전원 열차접근 경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의 기술적 사상은 실제로 동일결과를 반복 실시 가능한 것으로, 특히 이와 같은 본원발명을 실시함으로써 기술발전을 촉진하여 산업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어 보호할 가치가 충분히 있다.
도 1 은 종래 열차접근 경보장치의 블럭 구성도.
도 2 는 종래 열차접근 경보장치의 동작 흐름도.
도 3 은 본 발명에 적용된 무전원 열차접근 경보시스템의 전체 간략 구성도.
도 4 는 본 발명에 적용된 무전원 열차접근 경보시스템의 요부 분해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적용된 무전원 열차접근 경보시스템 전기발생부의 요부
구성도.
도 6 은 본 발명에 적용된 무전원 열차접근 경보시스템 경보부의 요부 사시
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전기발생부 2: 압전기
3: 브라켓트 4: 충전기
5: 전선 6: 경보부

Claims (7)

  1. 삭제
  2. 침목과 레일의 사이에 하나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이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 구비되며, 열차의 바퀴가 레일을 지나갈 때 열차의 하중에 의한 강한 압력에 의해 전류를 발생시킨 후 전기를 생산하는 전기발생부(1); 및 상기 전기발생부와 연결되며, 전류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여 발생된 전기에너지에 의해 시각적인 신호와 청각적인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레일의 일측 또는 양측에 설치되는 경보부(6);가 구비된 무전원 열차접근 경보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전기발생부(1)는,
    침목과 침목의 사이에 고정 설치되는 브라켓트(3);
    상기 브라켓트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고, 상부는 레일의 하부에 맞닿아 설치되는 압전기(2); 및
    상기 브라켓트의 하부에 고정 설치되며, 일단은 압전기와 연결됨과 아울러 타단은 경보부와 연결되게 전선이 연결된 충전기(4);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원 열차접근 경보시스템.
  3. 청구항 2 에 있어서,
    상기 압전기의 눌림 폭을 조절할 수 있도록 체결구가 끼워지는 브라켓트의 양단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공(3c)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원 열차접근 경보시스템.
  4. 삭제
  5. 삭제
  6. 열차 운행시에 열차 하중에 의한 압력변화를 전기발생부(1)가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단계; 이후 충전기가 전기 에너지를 모아 두었다가 필요한 때에 전기로 재생하는 단계; 이어서 상기 전기에너지로 열차 진행방향 전방에 있는 경보부(6)의 경보등과 스피커를 작동시키는 단계;가 포함된 무전원 열차접근 경보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압력변화에 의한 전기발생부(1)는 파동의 형태로 전류를 발생시키되, 상기 전류 변화의 속도에 따라 경보등의 밝기를 변화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원 열차접근 경보 제어방법.
  7. 청구항 6 에 있어서,
    상기 경보등의 밝기는, 열차가 얼마만큼 빨리 진입해 오는지를 판단할 수 있도록 열차의 속도가 빠르면 점멸속도가 빠르고, 열차의 속도가 느리면 점멸속도가 느리게 작동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원 열차접근 경보 제어방법.
KR1020090000432A 2009-01-05 2009-01-05 무전원 열차접근 경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0001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0432A KR101000173B1 (ko) 2009-01-05 2009-01-05 무전원 열차접근 경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0432A KR101000173B1 (ko) 2009-01-05 2009-01-05 무전원 열차접근 경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1142A KR20100081142A (ko) 2010-07-14
KR101000173B1 true KR101000173B1 (ko) 2010-12-10

Family

ID=42641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0432A KR101000173B1 (ko) 2009-01-05 2009-01-05 무전원 열차접근 경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017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9596B1 (ko) * 2013-03-22 2014-10-08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철도차량 통과 확인 장치
KR101654354B1 (ko) * 2016-03-31 2016-09-09 주식회사 이엔지한터 역사 감시부와 연동되는 철도신호 시스템
KR101654345B1 (ko) * 2016-03-31 2016-09-09 주식회사 이엔지한터 선로전환기 및 신호기를 이용하는 철도신호 시스템
KR101654356B1 (ko) * 2016-03-31 2016-09-09 주식회사 이엔지한터 차상제어장치와 연동되는 철도신호 시스템
CN110775110A (zh) * 2019-11-07 2020-02-11 交控科技股份有限公司 基于车车通信的列车控制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98813A (ja) 1998-01-09 1999-07-27 Kyosan Electric Mfg Co Ltd 列車検知装置
JP2001233213A (ja) * 2000-02-23 2001-08-28 Hitachi Kasado Eng Co Ltd 車両接近警報装置
JP2003233894A (ja) * 2002-02-07 2003-08-22 Jigyo Sozo Kenkyusho:Kk 車両報知装置及び車両検出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98813A (ja) 1998-01-09 1999-07-27 Kyosan Electric Mfg Co Ltd 列車検知装置
JP2001233213A (ja) * 2000-02-23 2001-08-28 Hitachi Kasado Eng Co Ltd 車両接近警報装置
JP2003233894A (ja) * 2002-02-07 2003-08-22 Jigyo Sozo Kenkyusho:Kk 車両報知装置及び車両検出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1142A (ko) 2010-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69319B2 (en) Railway sensor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KR101000173B1 (ko) 무전원 열차접근 경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20070085703A1 (en) Traffic crossing warning device, and method for warning of an oncoming locomotive object
KR20190056754A (ko) 철도 차량 감지 시스템
KR100961489B1 (ko) 철도신호용 열차분리 검지 시스템
KR100968671B1 (ko) 철로 곡선구간에서의 안전 경보시스템
RU2313465C2 (ru) Система дистанционного контроля состояния железнодорожного пути
JP2006315573A (ja) 車両制動方法
JP2009241685A (ja) 無線列車制御システム
JP2018207687A (ja) 自動列車防護システム
KR100975289B1 (ko) 골전도 스피커를 이용한 열차접근 경보 시스템 및 방법
KR100327676B1 (ko) 철도 건널목 보안장치
RU89055U1 (ru) Система дистанционного контроля состояния железнодорожного пути
US20200180670A1 (en) Advanced preemption
CN205737213U (zh) 车载危险提示装置
CN209912137U (zh) 一种行人通过人行道警示机动车避让装置
KR20190019697A (ko) 노면전차의 교통사고 방지방법
KR100988433B1 (ko) 전차선 접근경보 및 차단장치
KR200420054Y1 (ko) 열차의 안전 주행을 위한 경고시스템
CN213502317U (zh) 一种铁路道口监控系统
KR100497993B1 (ko) 열차접근 경보장치 및 방법
KR101429258B1 (ko) 철도 궤도를 이용한 휴대용 열차 접근 경보장치와 열차 접근 경보방법
RU2725327C1 (ru) Система оповещения работающих на перегоне о приближении подвижного состава с ограждением места проведения работ
RU2565159C2 (ru) Система защиты железнодорожных переездов
CN1532341A (zh) 列车站台安全警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3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