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8530B1 - 자전거 도로 탄력 운영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자전거 도로 탄력 운영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8530B1
KR100998530B1 KR1020100074611A KR20100074611A KR100998530B1 KR 100998530 B1 KR100998530 B1 KR 100998530B1 KR 1020100074611 A KR1020100074611 A KR 1020100074611A KR 20100074611 A KR20100074611 A KR 20100074611A KR 100998530 B1 KR100998530 B1 KR 1009985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tion
vehicle
control
main controller
bicy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46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큐프라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큐프라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큐프라임
Priority to KR10201000746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85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85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85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5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with provision for distinguishing between two or more types of vehicles, e.g. between motor-cars and cycl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04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 G08G1/0137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8G1/0145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active traffic flow control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7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 G08G1/0175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by photographing vehicles, e.g. when violating traffic ru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전거 도로의 소정 구간을 촬영하여 그 촬영된 영상을 상기 메인제어기에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검지장치; 상기 검지장치로부터 영상을 전송받아 그 영상을 바탕으로 자전거가 주행중인지를 판단하고, 차량의 통행 허용 여부 제어 신호를 단속제어기에 전송하는 메인제어기; 상기 메인제어기로부터 차량의 통행 허용 여부 제어 신호를 전송받아 그 신호를 바탕으로 표시장치에 차량의 통행 허용 여부 표시를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속제어기; 상기 단속제어기에 의해 차량 통행 허용 여부 표시가 출력되는 표시장치; 및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솔라셀 또는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표시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를 포함하는 자전거 도로 탄력 운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개방형 자전거 전용차로를 탄력적으로 운영함으로써 청소 작업 등의 도로 관리에 불편함을 제거하는 동시에 교통상황과 자전거 운행상황에 맞도록 차로를 운영하여 도로 운용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자전거 도로 탄력 운영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전거 도로 탄력 운영 시스템 및 그 방법{FLEXIBLY OPERATING SYSTEM FOR BIKE LANE AND THE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자전거 도로 탄력 운영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청소작업 등의 도로관리에 불편함을 제거하고 교통상황과 자전거 운행상황에 따라 차로를 탄력적으로 운영하여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자전거 도로 탄력 운영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자전거 도로 탄력 운영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자전거전용도로는 차로 폐쇄식과 개방식이 있다. 차로 폐쇄식은 U-블록, 펜스, 화단 등의 경계시설을 통하여 일반차도에서 차량주행로와 자전거주행로를 완전히 분리하는 방식으로 이러한 차로 폐쇄식은 눈, 쓰레기, 오물에 대한 청소를 어렵게 하는 등의 도로관리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반면에 차로 개방식의 경우, 자전거전용차로를 차선이나 도로면의 도색만으로 일반 차로와 분리함으로써 일반차량이 무단으로 진입하여 주행하기 쉽기 때문에 이로 인하여 자전거주행의 안전관리에 문제가 있다. 또한, 기존의 폐쇄식과 개방식 모두 일반차도에서 자전거전용차로를 확보하는 과정에서 차량주행을 위한 일반차로를 줄이게 되어 차량 통행 측면에서는 도시의 교통체증을 심화시키고, 자전거 전용차로의 사용 측면에서는 계절적, 기후적 요인으로 인한 차로 이용빈도가 급감하게 되어 일반 차로는 막히고 자전거전용차로는 텅 비어 있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어 도로 운용의 효율성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개방형 자전거 전용차로를 탄력적으로 운영함으로써 청소 작업 등의 도로 관리에 불편함을 제거하는 동시에 교통상황과 자전거 운행상황에 맞도록 차로를 운영하여 도로 운용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자전거 도로 탄력 운영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자전거 전용 도로에 자전거 주행 상황을 검지할 수 있는 카메라 등을 설치하여 카메라 등이 촬영한 영상에 따라 자동으로 자전거의 주행 상황을 판단하여 자전거가 주행 중인 경우 자전거의 주행 지점으로부터 일정 거리에는 차량이 통행할 수 없도록 표시장치를 자동 제어하여 자전거의 주행 상황에 따라 실시간으로 차량 통행 허용 여부를 결정할 수 있어 자전거 도로를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자전거 도로 탄력 운영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기 이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교통 관제 센터 등에 중앙 서버를 두어 교통상황에 따라 또는 비상시에 센터에서 도로 관리 운영자가 수동으로 임의의 구간에 차량 통행 허용 여부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 차량 통행이 매우 혼잡한 시간대 또는 긴급 차량의 통행 필요성 등이 있는 경우에 자전거 도로를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자전거 도로 탄력 운영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차량 통행 금지 구간을 통행하는 차량을 검지할 수 있는 단속카메라, 레이저 검지기, 루프 검지기 등의 단속장치를 설치하여 차량 통행 금지 구간을 주행하는 차량의 단속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통해 위반 차량에 대한 단속고지서 등을 자동으로 발급하도록 하여 개방형 자전거 전용 도로의 차량 통행 금지 구간을 주행하는 차량을 효율적으로 통제할 수 있고, 차량 통행 허용된 경우에는 차량번호를 촬영하여 범죄 차량 등의 이동 경로 추적에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자전거 도로 탄력 운영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의 자전거 도로 탄력 운영 시스템은, 자전거 도로의 소정 구간을 촬영하여 그 촬영된 영상을 메인제어기에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검지장치; 상기 검지장치로부터 영상을 전송받아 그 영상을 바탕으로 자전거가 주행중인지를 판단하고, 차량의 통행 허용 여부 제어 신호를 단속제어기에 전송하는 메인제어기; 상기 메인제어기로부터 차량의 통행 허용 여부 제어 신호를 전송받아 그 신호를 바탕으로 표시장치에 차량의 통행 허용 여부 표시를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속제어기; 상기 단속제어기에 의해 차량 통행 허용 여부 표시가 출력되는 표시장치; 및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솔라셀 또는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표시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메인제어기는, 자신이 관할하는 자전거 도로의 소정 구간 내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검지장치로부터 영상을 실시간으로 전송받아 그 영상을 바탕으로 자전거가 주행중인지를 판단하고, 자전거가 주행중인 경우 상기 소정 구간을 포함하여 미리 설정된 특정 구간을 차량통행금지구간으로 지정하고, 상기 차량통행금지구간 중 자신이 관할하는 상기 소정 구간 내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속제어기에 차량의 통행 금지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차량통행금지구간 중 상기 소정 구간 밖의 구간을 관할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인제어기에 차량 통행 금지 신호를 전송하도록 중앙서버에 요청하고, 상기 차량통행금지구간의 지정에 따라 이전 차량통행금지구간에서 이탈되는 구간을 관할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인제어기에 차량 통행 허용 신호를 전송하도록 중앙서버에 요청한다.
또한, 상기 메인제어기는, 자전거 도로의 소정 구간 내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검지장치로부터 영상을 실시간으로 전송받아 그 영상을 바탕으로 자전거가 주행중인지를 판단하고, 자전거가 주행중인 경우 자전거의 주행 지점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일정 거리 또는 미리 설정된 일정 구간을 차량통행금지구간으로 지정하여 상기 차량통행금지구간 내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속제어기에 차량의 통행 금지 신호를 전송하되, 자전거가 계속 주행함에 따라 차량통행금지구간을 자전거의 주행 방향과 동일하게 계속 이동하도록 지정하고, 상기 차량통행금지구간이 계속 이동함에 따라 새로 차량통행금지구간으로 편입되는 구간의 단속제어기에는 차량 통행 금지 신호를 전송하고, 차량통행금지구간에서 이탈되는 구간의 단속제어기에는 차량 통행 허용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관리자로부터 자전거 도로의 차량 통행의 제어 방법을 입력받고, 수동 제어 방법이 입력되는 경우 차량 통행 허용 구간을 포함한 설정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차량 통행 허용 구간 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인제어기에 차량 통행 허용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차량 통행 허용 구간 밖의 구간인 차량통행금지구간 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인제어기에 차량 통행 금지 신호를 전송하는 중앙서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인제어기는, 상기 중앙서버가 관리자로부터 수동제어방법을 입력받는 경우, 상기 중앙서버로부터 차량 통행 허용 여부 제어 신호를 전송받아 자신이 관할하는 구간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속제어기에 상기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메인제어기는, 차량 통행 금지 또는 허용 신호를 자신이 관할하는 구간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속제어기 중 가장 근거리에 설치된 단속제어기에 전송하고, 상기 신호를 전송받은 단속제어기가 순차적으로 다음 단속제어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차량통행금지구간 내를 주행하는 차량을 촬영하고 상기 촬영된 영상을 포함한 단속정보를 단속제어기에 전송하는 단속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속제어기는, 단속장치로부터 단속정보를 전송받아 자신이 설치된 구간을 관할하는 메인제어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메인제어기는, 단속제어기로부터 전송받은 단속정보를 중앙서버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중앙서버는, 메인제어기로부터 전송받은 단속정보의 촬영 영상을 바탕으로 차량번호를 추출하고, 단속정보에 포함된 촬영 시각, 차량 주행 속도, 촬영 위치 등을 바탕으로 상기 차량의 단속자료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의 자전거 도로 탄력 운영 방법은, (a) 메인제어기가 자신이 관할하는 자전거 도로의 소정 구간 내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검지장치로부터 자전거 도로를 촬영한 영상을 전송받는 단계; (b) 상기 메인제어기가 상기 (a) 단계에서 전송받은 영상을 바탕으로 자전거가 주행 중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c) 상기 (b) 단계에서 자전거가 주행중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메인제어기가 자신이 관할하는 소정 구간을 포함하여 미리 설정된 구간을 차량통행금지구간으로 지정하는 단계; 및 (d) 상기 (c) 단계에서 차량통행금지구간이 지정되면 상기 메인제어기가 차량통행금지구간 중 자신이 관할하는 소정 구간 내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속제어기에 차량 통행 금지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d) 단계는, (d1) 상기 메인제어기가, 상기 (c) 단계에서 차량통행금지구간이 지정되면 그 차량통행금지구간 중 자신이 관할하는 소정 구간 밖의 구간을 관할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인제어기에 차량 통행 금지 신호를 전송하도록 중앙서버에 요청하는 단계; 및 (d2) 상기 메인제어기가 상기 (c) 단계에서 차량통행금지구간이 지정되면 그 차량통행금지구간의 지정에 따라 이전 차량통행금지구간에서 이탈되는 구간을 관할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인제어기에 차량 통행 허용 신호를 전송하도록 중앙서버에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e) 상기 단속제어기가 상기 (d) 단계에서 차량 통행 금지 신호를 전송받으면 표시장치에 차량통행 금지 표시를 출력하는 단계; (f) 상기 단속제어기가 단속장치로부터 상기 차량통행금지구간을 주행중인 차량을 촬영한 영상을 포함한 단속정보를 전송받는 단계; (g) 상기 단속제어기가 상기 (f) 단계에서 전송받은 단속정보를 자신이 설치된 구간을 관할하는 메인제어기에 전송하는 단계; 및 (h) 상기 메인제어기가 상기 (g)단계에서 전송받은 단속정보를 중앙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i) 상기 중앙서버가, 상기 (h) 단계에서 메인제어기로부터 전송받은 단속정보의 촬영 영상을 바탕으로 차량번호를 추출하고, 단속정보에 포함된 촬영 시각, 차량 주행 속도, 촬영 위치 등을 바탕으로 상기 차량의 단속자료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개방형 자전거 전용차로를 탄력적으로 운영함으로써 청소 작업 등의 도로 관리에 불편함을 제거하는 동시에 교통상황과 자전거 운행상황에 맞도록 차로를 운영하여 도로 운용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자전거 도로 탄력 운영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자전거 전용 도로에 자전거 주행 상황을 검지할 수 있는 카메라 등을 설치하여 카메라 등이 촬영한 영상에 따라 자동으로 자전거의 주행 상황을 판단하여 자전거가 주행 중인 경우 자전거의 주행 지점으로부터 일정 거리에는 차량이 통행할 수 없도록 표시장치를 자동 제어하여 자전거의 주행 상황에 따라 실시간으로 차량 통행 허용 여부를 결정할 수 있어 자전거 도로를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자전거 도로 탄력 운영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교통 관제 센터 등에 중앙 서버를 두어 교통상황에 따라 또는 비상시에 센터에서 도로 관리 운영자가 수동으로 임의의 구간에 차량 통행 허용 여부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 차량 통행이 매우 혼잡한 시간대 또는 긴급 차량의 통행 필요성 등이 있는 경우에 자전거 도로를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자전거 도로 탄력 운영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 통행 금지 구간을 통행하는 차량을 검지할 수 있는 단속카메라, 레이저 검지기, 루프 검지기 등의 단속장치를 설치하여 차량 통행 금지 구간을 주행하는 차량의 단속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통해 위반 차량에 대한 단속고지서 등을 자동으로 발급하도록 하여 개방형 자전거 전용 도로의 차량 통행 금지 구간을 주행하는 차량을 효율적으로 통제할 수 있고, 차량 통행 허용된 경우에는 차량번호를 촬영하여 범죄 차량 등의 이동 경로 추적에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자전거 도로 탄력 운영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도로 탄력 운영 시스템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도로 탄력 운영 시스템의 구조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도로 탄력 운영 시스템의 일실시예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도로 탄력 운영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도로 탄력 운영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도로 탄력 운영 방법의 차량 통행 금지 구간을 주행하는 차량의 단속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자전거 도로 탄력 운영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도로 탄력 운영 시스템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도로 탄력 운영 시스템의 구조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도로 탄력 운영 시스템의 일실시예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도로 탄력 운영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도로 탄력 운영 시스템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의 자전거 도로 탄력 운영시스템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검지장치(100), 메인제어기(200),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속제어기(300), 표시장치(400), 전원공급장치(미도시), 단속장치(500) 및 중앙서버(600)를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여 위 장치들이 장착된 구조를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자전거 도로에 설치된 가로등에 검지장치(100), 메인제어기(200), 단속제어기(300), 표시장치(400) 및 단속장치(500)가 설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가로등의 상단에는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솔라셀(도면부호 미표시)이 장착되고, 가로등의 하단에는 전원공급장치(미도시)가 실장되어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즉, 가로등의 하단에 실장되는 전원공급장치(미도시)는 외부 전원을 직접 공급받을 수도 있고, 또한, 복합 충전 리튬이온배터리 등의 축전지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주간에는 솔라셀로부터 태양에너지로 충전하고, 야간에는 가로등의 주전원 등의 외부 전원으로부터 충전하여 위 장치들에게 전원을 공급하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자전거 도로 탄력 운영 시스템이 운영되는 모습을 살펴보면,
먼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검지장치(100)는 메인제어기(200)가 설치되는 가로등 등에 설치되거나 메인제어기(200)가 관할하는 자전거 도로의 소정 구간 내에 일정 구간마다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각 검지장치(100)는 자신의 촬영 가능 구역을 촬영하여 그 촬영된 영상을 자신이 설치된 구간을 관할하는 메인제어기(200)에 전송한다.
그리고, 메인제어기(200)가 검지장치(100)로부터 영상을 전송받으면 그 영상을 바탕으로 자전거가 주행중인지를 판단하고, 차량의 통행 허용 여부 제어 신호를 단속제어기에 전송한다.
도 3을 참조하여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메인제어기(200)가 자신이 관할하는 자전거 도로의 소정 구간 내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검지장치(100)로부터 촬영영상을 실시간으로 전송받아 그 영상을 바탕으로 자전거가 주행중인지를 판단한다.
그리고, 메인제어기(200)는 자전거가 주행중이라고 판단하는 경우 자신이 관할하는 소정 구간을 포함하여 미리 설정된 특정 구간을 차량통행금지구간으로 지정한다.
그리고, 차량통행금지구간 중 자신이 관할하는 소정 구간 내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속제어기(300)에 차량의 통행 금지 신호를 전송하고, 차량통행금지구간 중 자신이 관할하는 소정 구간 밖의 구간을 관할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인제어기(200)에 차량 통행 금지 신호를 전송하도록 중앙서버(600)에 요청한다.
그리고, 그 차량통행금지구간의 지정에 따라 이전 차량통행금지구간에서 이탈되는 구간을 관할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인제어기(200)에 차량 통행 허용 신호를 전송하도록 중앙서버(600)에 요청한다.
이때, 차량 통행 금지 또는 허용 신호를 자신이 관할하는 구간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속제어기(300) 중 가장 근거리에 설치된 단속제어기(300)에 전송하고, 그 신호를 전송받은 단속제어기(300)가 순차적으로 다음 단속제어기(300)에 전송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순차적으로 직렬로 전송하도록 하면 메인제어기(200)로부터 먼거리에 위치해 있는 모든 단속제어기(300)에 신속하게 전송할 수 있어, 자전거 도로에 설치되는 메인제어기(200)의 수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예를 들어 설명하면, 먼저 Main A, B, C는 메인제어기(200)를 의미하고, Sub A-1, A-2, Sub B-1, B-2, Sub C-1, C-2는 단속제어기(300)를 의미한다.
도 3의 상단에는 자전거가 미주행인 경우 전 구간이 차량 통행 허용 구간으로 지정되어 모든 표시장치에 차량 통행 허용 표시가 출력되어 있다.
그리고, 도 3의 하단에는 메인제어기(200), 즉, Main B가 검지장치(100)로 부터 촬영한 영상을 바탕으로 자전거를 검지하면 Main B가 관할하는 구간인 Sub-area B를 포함하여 Sub-area A와 Sub-area B를 차량통행금지구간으로 지정한다.
이때, 차량통행금지구간으로 지정될 구간은 미리 관리자로부터 설정정보를 입력받아 설정해 놓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3에서는 자전거를 검지한 메인제어기(Main B)가 관할하는 구간(Sub-area B)과 자전거가 주행하는 방향의 바로 앞에 설치된 메인제어기(Main A)가 관할하는 구간(Sub-area A)을 차량통행금지구간으로 지정하도록 설정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Main B는 자신이 관할하는 구간(Sub-area B)내에 설치된 단속제어기(300)들인 Sub B-1, B-2에 차량 통행 금지 신호를 전송한다.
이때, 메인제어기(200)가 관할하는 구간이 넓을수록 먼거리에 위치한 단속제어기(300)에는 차량통행금지 신호를 신속히 전송하는 데 한계가 있을 수 있으므로, 이 경우에는 메인제어기가 가장 가까이에 설치되어 있는 단속제어기(300)에 전송하면, 그 단속제어기(300)가 순차적으로 다음 단속제어기(3000에 신호를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즉, Main B는 Sub B-1 ...... Sub B-n에 동시에 차량 통행 허용 여부 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Main B가 Sub B-1에 전송하면, Sub B-1이 Sub B-2에 전송하고, 순차적으로 Sub B-n까지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Main B는 중앙서버(600)에 차량통행금지구간(Sub-area A, B) 중 자신의 관할 구간(Sub-area B)이 아닌 구간(Sub-area A)을 관할하는 메인제어기(Main A)에 차량통행금지 신호를 전송하도록 중앙서버(600)에 요청한다.
그리고, Main B는 자전거가 Sub-area C 구간을 주행중 Main C에 의해 검지되어 이전 차량통행금지구간으로 지정되었던 Sub-area C구간을 차량통행금지구간에서 해제하여 중앙서버(600)에 Main C에게 차량 통행 허용 신호를 전송하도록 요청한다.
그러면, 중앙서버(600)는 Main B로부터 요청을 받으면 차량통행 금지 신호를 단속제어기(300)에 전송하도록 Main A에 전송하고, Main C에는 차량 통행 허용신호를 전송한다.
그리고, 중앙서버(600)로부터 신호를 전송받은 Main A와 Main C는 자신이 관할하는 구간인 Sub-area A, C에 설치된 단속제어기 Sub A-1, A-2, C-1, C-2에 그 신호를 전송한다. 전송방식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한편, 도 4를 참조하여 다른 실시예를 살펴보면, 메인제어기(200)는, 자전거 도로의 소정 구간 내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검지장치(100)로부터 영상을 실시간으로 전송받아 그 영상을 바탕으로 자전거가 주행중인지를 판단한다.
그리고, 자전거가 주행중인 경우 자전거의 주행 지점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일정 거리 또는 미리 설정된 일정 구간을 차량통행금지구간으로 지정하여 상기 차량통행금지구간 내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속제어기(300)에 차량의 통행 금지 신호를 전송한다.
즉, 자전거가 검지된 지점으로부터 일정거리 예를 들어 자전거 주행 전방 500 미터, 후방 1000 미터를 미리 차량 통행 금지구간으로 지정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그러면, 메인제어기(200)가 자전거를 검지하면, 자전거가 검지된 지점을 파악하여 미리 설정되어 있는 거리를 차량 통행 금지구간으로 지정하고, 그 구간에 설치되어 있는 모든 단속제어기(300)에 동시에 차량 통행 금지 신호를 전송하거나, 또는 그 구간이 매우 넓을 경우 자전거를 검지한 메인제어기(200)로부터 가장 근거리에 있는 전후 단속제어기(300)들에 차량 통행 금지 신호를 전송하면 그 단속제어기(300)들이 전후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다른 단속제어기(300)들에 전송하도록 한다.
이때, 자전거가 계속 주행함에 따라 차량통행금지구간을 자전거의 주행 방향과 동일하게 계속 이동하도록 지정하고, 상기 차량통행금지구간이 계속 이동함에 따라 새로 차량통행금지구간으로 편입되는 구간의 단속제어기(300)에는 차량 통행 금지 신호를 전송하고, 차량통행금지구간에서 이탈되는 구간의 단속제어기(300)에는 차량 통행 허용 신호를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자전거 도로 탄력 운영 시스템은 자동 제어 방식과 수동 제어 방식을 모두 적용하여 운영되도록 함이 바람직한데,
자동제어 방식의 경우, 중앙서버(600)에서 차량통행금지구간으로 지정할 구간정보 또는 거리 정보 등을 설정해 놓으면,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메인제어기(200)가 검지장치(100)로부터 영상 정보를 전송받아 자동으로 자전거를 검지하여 미리 설정되어 있는 차량 통행 금지 구간 정보 등을 바탕으로 자동으로 차량 통행 금지 또는 허용 신호가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수동 제어 방식의 경우 중앙서버(600)는 관리자로부터 자전거 도로의 차량 통행의 제어 방법을 입력받고, 수동 제어 방법이 입력되는 경우 차량 통행 허용 구간을 포함한 설정 정보를 입력받아 차량 통행 허용 구간 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인제어기(200)에 차량 통행 허용 신호를 전송하고, 차량 통행 허용 구간 밖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인제어기(200)에 차량 통행 금지 신호를 전송한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인제어기(200)는, 중앙서버(600)로부터 차량 통행 허용 여부 제어 신호를 전송받으면 자신이 관할하는 구간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속제어기(300)에 그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
즉, 수동제어방식은 차량통행이 매우 혼잡한 시간대, 긴급히 차량통행을 허용할 필요가 있는 경우 또는 통계 자료를 활용하여 시간대별, 구간별로 탄력적으로 설정하여 중앙서버(600)가 일괄 통제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자전거 통행이 매우 적은 구간 또는 시간대에 차량 통행을 허용하여 도로를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속제어기(300)는 메인제어기(200)로부터 차량의 통행 허용 여부 제어 신호를 전송받아 그 신호를 바탕으로 표시장치에 차량의 통행 허용 여부 표시를 출력한다.
또한, 단속장치(400)는 차량통행금지구간 내를 주행하는 차량을 촬영하고 그 촬영된 영상을 포함한 단속정보를 단속제어기(300)에 전송한다.
이때, 단속장치(400)에는 단속카메라, 루프 검지기 또는 레이저 검지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단속제어기(300)는, 단속장치(400)로부터 단속정보를 전송받아 자신이 설치된 구간을 관할하는 메인제어기(200)에 전송한다.
그러면, 메인제어기(200)는, 단속제어기(300)로부터 전송받은 단속정보를 중앙서버(600)에 전송하고, 중앙서버(600)는, 메인제어기(200)로부터 전송받은 단속정보의 촬영 영상을 바탕으로 차량번호를 추출하고, 단속정보에 포함된 촬영 시각, 차량 주행 속도, 촬영 위치 등을 바탕으로 차량의 단속자료를 생성한다.
또한, 단속장치(400)로 하여금 차량 통행 허용 구간을 주행하는 차량을 촬영하도록 설정하는 경우 차량 통행 허용 구간을 주행하는 차량의 영상 정보 등을 바탕으로 범죄 차량 이동 경로 등을 파악하는데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도로 탄력 운영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도로 탄력 운영 방법의 차량 통행 금지 구간을 주행하는 차량의 단속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도로 탄력 운영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메인제어기(200)가 자신이 관할하는 자전거 도로의 소정 구간 내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검지장치(100)로부터 자전거 도로를 촬영한 영상을 전송받는다(단계 S100).
그 다음, 메인제어기(200)가 단계 S100에서 전송받은 영상을 바탕으로 자전거가 주행 중인지를 판단한다(단계 S200).
그 다음, 단계 S200에서 자전거가 주행중으로 판단하는 경우 메인제어기(200)가 자신이 관할하는 소정 구간을 포함하여 미리 설정된 구간을 차량통행금지구간으로 지정한다(단계 S300).
그 다음, 단계 S300에서 차량통행금지구간이 지정되면 메인제어기(200)가 차량통행금지구간 중 자신이 관할하는 소정 구간 내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속제어기(300)에 차량 통행 금지 신호를 전송한다(단계 S400).
이때, 단계 S400은, 메인제어기(200)가 단계 S300에서 차량통행금지구간이 지정되면 그 차량통행금지구간 중 자신이 관할하는 소정 구간 밖의 구간을 관할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인제어기(200)에 차량 통행 금지 신호를 전송하도록 중앙서버(600)에 요청하는 단계(단계 S410) 및,
메인제어기(200)가 단계 S300에서 차량통행금지구간이 지정되면 그 차량통행금지구간의 지정에 따라 이전 차량통행금지구간에서 이탈되는 구간을 관할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인제어기(200)에 차량 통행 허용 신호를 전송하도록 중앙서버(600)에 요청하는 단계(단계 S420)를 포함한다.
그 다음, 단속제어기(300)가 단계 S400에서 차량 통행 금지 신호를 전송받으면 표시장치(400)에 차량통행 금지 표시를 출력한다(단계 S500).
그 다음, 단속제어기(300)가 단속장치(500)로부터 차량통행금지구간을 주행중인 차량을 촬영한 영상을 포함한 단속정보를 전송받는다(단계 S600).
그 다음, 단속제어기(300)가 단계 S600에서 전송받은 단속정보를 자신이 설치된 구간을 관할하는 메인제어기(200)에 전송한다(단계 S700).
그 다음, 메인제어기(200)가 단계 S700에서 전송받은 단속정보를 중앙서버(600)에 전송한다(단계 S800).
마지막으로, 중앙서버(600)가, 단계 S800에서 메인제어기(200)로부터 전송받은 단속정보의 촬영 영상을 바탕으로 차량번호를 추출하고, 단속정보에 포함된 촬영 시각, 차량 주행 속도, 촬영 위치 등을 바탕으로 상기 차량의 단속자료를 생성한다(단계 S900).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검지장치 200 : 메인제어기
300 : 단속제어기 400 : 표시장치
500 : 단속장치 600 : 중앙서버

Claims (10)

  1. 자전거 도로의 소정 구간을 촬영하여 그 촬영된 영상을 메인제어기에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검지장치;
    상기 검지장치로부터 영상을 전송받아 그 영상을 바탕으로 자전거가 주행중인지를 판단하고, 차량의 통행 허용 여부 제어 신호를 단속제어기에 전송하는 메인제어기;
    상기 메인제어기로부터 차량의 통행 허용 여부 제어 신호를 전송받아 그 신호를 바탕으로 표시장치에 차량의 통행 허용 여부 표시를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속제어기;
    상기 단속제어기에 의해 차량 통행 허용 여부 표시가 출력되는 표시장치; 및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솔라셀 또는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표시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를 포함하는 자전거 도로 탄력 운영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제어기는,
    자신이 관할하는 자전거 도로의 소정 구간 내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검지장치로부터 영상을 실시간으로 전송받아 그 영상을 바탕으로 자전거가 주행중인지를 판단하고, 자전거가 주행중인 경우 상기 소정 구간을 포함하여 미리 설정된 특정 구간을 차량통행금지구간으로 지정하고, 상기 차량통행금지구간 중 자신이 관할하는 상기 소정 구간 내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속제어기에 차량의 통행 금지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차량통행금지구간 중 상기 소정 구간 밖의 구간을 관할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인제어기에 차량 통행 금지 신호를 전송하도록 중앙서버에 요청하고, 상기 차량통행금지구간의 지정에 따라 이전 차량통행금지구간에서 이탈되는 구간을 관할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인제어기에 차량 통행 허용 신호를 전송하도록 중앙서버에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도로 탄력 운영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제어기는,
    자전거 도로의 소정 구간 내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검지장치로부터 영상을 실시간으로 전송받아 그 영상을 바탕으로 자전거가 주행중인지를 판단하고, 자전거가 주행중인 경우 자전거의 주행 지점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일정 거리 또는 미리 설정된 일정 구간을 차량통행금지구간으로 지정하여 상기 차량통행금지구간 내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속제어기에 차량의 통행 금지 신호를 전송하되, 자전거가 계속 주행함에 따라 차량통행금지구간을 자전거의 주행 방향과 동일하게 계속 이동하도록 지정하고, 상기 차량통행금지구간이 계속 이동함에 따라 새로 차량통행금지구간으로 편입되는 구간의 단속제어기에는 차량 통행 금지 신호를 전송하고, 차량통행금지구간에서 이탈되는 구간의 단속제어기에는 차량 통행 허용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도로 탄력 운영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관리자로부터 자전거 도로의 차량 통행의 제어 방법을 입력받고, 수동 제어 방법이 입력되는 경우 차량 통행 허용 구간을 포함한 설정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차량 통행 허용 구간 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인제어기에 차량 통행 허용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차량 통행 허용 구간 밖의 구간인 차량통행금지구간 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인제어기에 차량 통행 금지 신호를 전송하는 중앙서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인제어기는,
    상기 중앙서버가 관리자로부터 수동제어방법을 입력받는 경우, 상기 중앙서버로부터 차량 통행 허용 여부 제어 신호를 전송받아 자신이 관할하는 구간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속제어기에 상기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도로 탄력 운영 시스템.
  5. 제2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제어기는,
    차량 통행 금지 또는 허용 신호를 자신이 관할하는 구간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속제어기 중 가장 근거리에 설치된 단속제어기에 전송하고, 상기 신호를 전송받은 단속제어기가 순차적으로 다음 단속제어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도로 탄력 운영 시스템.
  6. 제2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통행금지구간 내를 주행하는 차량을 촬영하고 상기 촬영된 영상을 포함한 단속정보를 단속제어기에 전송하는 단속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속제어기는,
    단속장치로부터 단속정보를 전송받아 자신이 설치된 구간을 관할하는 메인제어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메인제어기는,
    단속제어기로부터 전송받은 단속정보를 중앙서버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중앙서버는,
    메인제어기로부터 전송받은 단속정보의 촬영 영상을 바탕으로 차량번호를 추출하고, 단속정보에 포함된 촬영 시각, 차량 주행 속도, 촬영 위치 등을 바탕으로 상기 차량의 단속자료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도로 탄력 운영 시스템.
  7. (a) 메인제어기가 자신이 관할하는 자전거 도로의 소정 구간 내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검지장치로부터 자전거 도로를 촬영한 영상을 전송받는 단계;
    (b) 상기 메인제어기가 상기 (a) 단계에서 전송받은 영상을 바탕으로 자전거가 주행 중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c) 상기 (b) 단계에서 자전거가 주행중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메인제어기가 자신이 관할하는 소정 구간을 포함하여 미리 설정된 구간을 차량통행금지구간으로 지정하는 단계; 및
    (d) 상기 (c) 단계에서 차량통행금지구간이 지정되면 상기 메인제어기가 차량통행금지구간 중 자신이 관할하는 소정 구간 내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속제어기에 차량 통행 금지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전거 도로 탄력 운영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d1) 상기 메인제어기가, 상기 (c) 단계에서 차량통행금지구간이 지정되면 그 차량통행금지구간 중 자신이 관할하는 소정 구간 밖의 구간을 관할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인제어기에 차량 통행 금지 신호를 전송하도록 중앙서버에 요청하는 단계; 및
    (d2) 상기 메인제어기가 상기 (c) 단계에서 차량통행금지구간이 지정되면 그 차량통행금지구간의 지정에 따라 이전 차량통행금지구간에서 이탈되는 구간을 관할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인제어기에 차량 통행 허용 신호를 전송하도록 중앙서버에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전거 도로 탄력 운영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e) 상기 단속제어기가 상기 (d) 단계에서 차량 통행 금지 신호를 전송받으면 표시장치에 차량통행 금지 표시를 출력하는 단계;
    (f) 상기 단속제어기가 단속장치로부터 상기 차량통행금지구간을 주행중인 차량을 촬영한 영상을 포함한 단속정보를 전송받는 단계;
    (g) 상기 단속제어기가 상기 (f) 단계에서 전송받은 단속정보를 자신이 설치된 구간을 관할하는 메인제어기에 전송하는 단계; 및
    (h) 상기 메인제어기가 상기 (g)단계에서 전송받은 단속정보를 중앙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자전거 도로 탄력 운영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i) 상기 중앙서버가, 상기 (h) 단계에서 메인제어기로부터 전송받은 단속정보의 촬영 영상을 바탕으로 차량번호를 추출하고, 단속정보에 포함된 촬영 시각, 차량 주행 속도, 촬영 위치 등을 바탕으로 상기 차량의 단속자료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자전거 도로 탄력 운영 방법.
KR1020100074611A 2010-08-02 2010-08-02 자전거 도로 탄력 운영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9985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4611A KR100998530B1 (ko) 2010-08-02 2010-08-02 자전거 도로 탄력 운영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4611A KR100998530B1 (ko) 2010-08-02 2010-08-02 자전거 도로 탄력 운영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98530B1 true KR100998530B1 (ko) 2010-12-07

Family

ID=43512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4611A KR100998530B1 (ko) 2010-08-02 2010-08-02 자전거 도로 탄력 운영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853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15757A (ja) * 2012-12-07 2014-06-26 Kyosan Electric Mfg Co Ltd 交通制御システム
CN111899518A (zh) * 2020-07-13 2020-11-06 深圳市多威尔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物联网的电单车违章管理系统
US10992755B1 (en) * 2019-09-17 2021-04-27 Bao Tran Smart vehicle
CN115662119A (zh) * 2022-10-19 2023-01-31 黄小兵 城市交通道路动态配置系统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15757A (ja) * 2012-12-07 2014-06-26 Kyosan Electric Mfg Co Ltd 交通制御システム
US10992755B1 (en) * 2019-09-17 2021-04-27 Bao Tran Smart vehicle
CN111899518A (zh) * 2020-07-13 2020-11-06 深圳市多威尔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物联网的电单车违章管理系统
CN115662119A (zh) * 2022-10-19 2023-01-31 黄小兵 城市交通道路动态配置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42182A (ko) Its 현장장비 통합 제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its 현장장비 통합 제어 시스템
CN107792261B (zh) 一种通过探测识别设备智能识别车辆停放环境的管理系统
KR101698026B1 (ko) 이동차량 추적에 의한 cctv 불법주정차 단속시스템
CN112349090B (zh) 车辆远程指示系统以及远程指示装置
CN105096653B (zh) 一种停车引导方法及系统
CN109191911A (zh) 一种隧道路况预警系统、方法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7052343B2 (ja) 自律移動体および情報収集システム
KR100998530B1 (ko) 자전거 도로 탄력 운영 시스템 및 그 방법
TWI585722B (zh) 停車管理系統及與其雙向通訊之資訊提示系統
CN110085049B (zh) 一种停车管理装置、系统和方法
CN101901543A (zh) 一种智能交通集成管理系统
CN102867343A (zh) 高速公路收费站智能诱导方法
CN105513375A (zh) 一种区域完全交通控制系统
CN101572006A (zh) 交通信号灯控制方法
CN101572000A (zh) 干道优先的路口交通控制方法
CN109208995B (zh) 智能交通杆及智能道路系统
CN113409596A (zh) 一种全自动智能控流交通系统及智能交通控流方法
CN110533920A (zh) 一种基于光储充的停车视频桩
CN106710261A (zh) 智能交通指示装置
CN112562407B (zh) Odd状态预判的方法、装置及自主代客泊车系统
CN109887325A (zh) 基于线走机构的路内停车场管理装置及其方法
CN107230376B (zh) 停车管理系统
US20220392336A1 (en) Vehicle to infrastructure information sharing and infrastructure control based on the information
Ramachandra et al. A novel dynamic traffic management system using on board diagnostics and Zigbee protocol
KR20090035394A (ko) 위법차량 감시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