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8180B1 - 아이솔레이터 - Google Patents

아이솔레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8180B1
KR100998180B1 KR1020070141526A KR20070141526A KR100998180B1 KR 100998180 B1 KR100998180 B1 KR 100998180B1 KR 1020070141526 A KR1020070141526 A KR 1020070141526A KR 20070141526 A KR20070141526 A KR 20070141526A KR 100998180 B1 KR100998180 B1 KR 1009981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nge
buffer member
annular
isolator
mou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415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73552A (ko
Inventor
이창준
Original Assignee
우신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신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우신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415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8180B1/ko
Publication of KR200900735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35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81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81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18Construction facilitating manufacture, assembly, or disassembly
    • F01N13/1805Fixing exhaust manifolds, exhaust pipes or pipe sections to each other, to engine or to vehicle body
    • F01N13/1811Fixing exhaust manifolds, exhaust pipes or pipe sections to each other, to engine or to vehicle body with means permitting relative movement, e.g. compensation of thermal expansion or vib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18Construction facilitating manufacture, assembly, or disassembly
    • F01N13/1838Construction facilitating manufacture, assembly, or disassembly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nection between parts of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e.g. between housing and tubes, between tubes and baffles
    • F01N13/1844Mechanical joints
    • F01N13/1855Mechanical joints the connection being realised by using bolts, screws, rivet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02Springs made of steel or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Wound, torsion, leaf, cup, ring or the like springs, the material of the spring not being relevant
    • F16F1/32Belleville-type 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450/00Methods or apparatus for fitting, inserting or repairing different elements
    • F01N2450/24Methods or apparatus for fitting, inserting or repairing different elements by bolts, screws, rivet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동체와 이 진동체에 장착되는 구조물 사이에 설치되는 아이솔레이터(isolator)에 관한 것이다. 아이솔레이터(isolator)는 구조물과 장착물 사이에 게재되며 제1 완충 부재, 제2 완충 부재, 그리고 체결 부재를 포함한다. 제1 완충 부재는 상기 구조물에 지지되는 환형의 제1 플랜지, 상기 장착물의 한 면에 지지되는 환형의 제2 플랜지, 그리고 상기 제1 플랜지와 상기 제2 플랜지를 연결하는 중공 형상의 제1 몸체를 포함한다. 제2 완충 부재는 환형의 제3 플랜지, 상기 장착물의 나머지 한 면에 지지되는 환형의 제4 플랜지, 그리고 상기 제3 플랜지와 상기 제4 플랜지를 연결하는 중공 형상의 제2 몸체를 포함한다. 체결 부재는 상기 제1 완충 부재와 상기 제2 완충 부재를 상기 구조물에 체결한다. 아이솔레이터의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보다 균일하고 향상된 진동 감쇄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진동, 감쇄

Description

아이솔레이터{ISOLATOR}
본 발명은 진동체와 이 진동체에 장착되는 구조물 사이에 설치되는 아이솔레이터(isolator)에 관한 것이다.
진동체에 장착되는 구조물에 전달되는 진동을 저감하기 위해 아이솔레이터가 진동체와 구조물 사이에 장착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차량의 배기 매니폴드에 히트 프로텍터를 설치하는 경우, 히트 프로텍터에 전달되는 진동을 저감하기 위해 아이솔레이터가 양자 사이에 설치된다.
종래에 다양한 형태의 아이솔레이터가 소개된 바 있다. 예를 들어, 메쉬(mesh) 형의 아이솔레이터, 그물(net) 형의 아이솔레이터 등이 소개된 바 있다.
그러나 종래의 아이솔레이터들은 구조가 복잡하거나 제조 원가가 비싸고 균일한 댐핑을 얻기 어려운 문제점 등 여러 가지 문제를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구조가 간단하며 보다 균일하고 향상된 진동 감쇄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아이솔레이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아이솔레이터(isolator)는 구조물과 장착물 사이에 게재되며 제1 완충 부재, 제2 완충 부재, 그리고 체결 부재를 포함한다. 제1 완충 부재는 상기 구조물에 지지되는 환형의 제1 플랜지, 상기 장착물의 한 면에 지지되는 환형의 제2 플랜지, 그리고 상기 제1 플랜지와 상기 제2 플랜지를 연결하는 중공 형상의 제1 몸체를 포함한다. 제2 완충 부재는 환형의 제3 플랜지, 상기 장착물의 나머지 한 면에 지지되는 환형의 제4 플랜지, 그리고 상기 제3 플랜지와 상기 제4 플랜지를 연결하는 중공 형상의 제2 몸체를 포함한다. 체결 부재는 상기 제1 완충 부재와 상기 제2 완충 부재를 상기 구조물에 체결한다.
상기 제2 플랜지의 내경은 상기 제1 플랜지의 외경보다 클 수 있고, 상기 제4 플랜지의 내경은 상기 제3 플랜지의 외경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제1 몸체는 상기 제1 플랜지의 외측 단과 상기 제2 플랜지의 내측 단을 연결할 수 있고, 상기 제2 몸체는 상기 제3 플랜지의 외측 단과 상기 제4 플랜지의 내측 단을 연결할 수 있다.
복수의 제1 관통공이 상기 제1 몸체에 둘레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고, 복수의 제2 관통공이 상기 제2 몸체의 둘레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1 관통공 각각은 상기 제1 플랜지와 상기 제2 플랜지를 연결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복수의 제2 관통공 각각은 상기 제3 플랜지와 상기 제4 플랜지를 연결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완충 부재와 상기 제2 완충 부재는 서로 대칭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아이솔레이터의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보다 균일하고 향상된 진동 감쇄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이솔레이터가 장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이솔레이터의 완충 부재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Ⅲ-Ⅲ 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이솔레이터(isolator)는 진동이 있는 구조물(100)과 장착물(200) 사이에 게재되어 구조물(100)에서 장착물(200)로 전달되는 진동을 감쇄하는 기능을 한다. 예를 들어, 구조물(100)은 자동차의 배기 매니폴드(exhaust manifold)일 수 있고, 장착물(100)은 배기 매니폴드에 설치되는 히트 프로텍터(heat protector)일 수 있다. 이때,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이솔레이터는 구조물(100)에 고정된 장착대(101)에 설치될 수 있다. 도시의 편 의를 위해, 도 1 및 도 3에는 구조물(100)과 장착물(200)의 일부분만이 도시되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이솔레이터는 제1 완충 부재(10), 제2 완충 부재(30), 그리고 체결 부재(40)를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완충 부재(10)는 구조물(100), 즉 장착대(101)에 지지되는 환형의 제1 플랜지(11)를 포함한다. 제1 플랜지(11)의 내측 단에는 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절곡부(19)가 구비될 수 있다. 이 절곡부(19)는 체결 부재(40)와 접촉이 보다 원활하도록 하기 위해 형성된다.
그리고 제1 완충 부재(10)는 장착물(200)의 한 면, 즉 도 1 및 도 3에서 장착물(200)의 아래 면에 지지되는 환형의 제2 플랜지(13)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1 완충 부재(10)는 제1 플랜지(11)와 제2 플랜지(13)를 연결하는 중공 형상의 제1 몸체(15)를 포함한다.
이때,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플랜지(13)의 내경은 제1 플랜지(11)의 외경보다 크도록 형성될 수 있고, 제1 몸체(15)는 제1 플랜지(11)의 외측 단과 제2 플랜지(13)의 내측 단을 연결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몸체(15)는 위쪽으로 갈수록 외측으로 넓어지도록 비스듬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복수의 제1 관통공(17)이 제1 몸체(15)에 둘레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제1 관통공(17) 각각은 제1 플랜지(11)와 제2 플랜지(13)를 연결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관통공(17) 은 제1 플랜지(11)의 일부분까지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완충 부재(30)는 제1 완충 부재(10)와 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완충 부재(30)는 환형의 제3 플랜지(33)와 장착물(200)의 한 면, 즉 도 1 및 도 3에서 장착물(200)의 위 면에 지지되는 환형의 제4 플랜지(31)를 포함한다. 제3 플랜지(33)의 내측 단에는 아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절곡부(39)가 구비될 수 있다. 이 절곡부(39)는 체결 부재(40)와 접촉이 보다 원활하도록 하기 위해 형성된다.
그리고 제2 완충 부재(30)는 제3 플랜지(33)와 제4 플랜지(31)를 연결하는 중공 형상의 제2 몸체(35)를 포함한다.
이때,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 플랜지(31)의 내경은 제3 플랜지(33)의 내경보다 크도록 형성될 수 있고, 제2 몸체(35)는 제3 플랜지(33)의 외측 단과 제4 플랜지(31)의 내측 단을 연결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몸체(35)는 아래 쪽으로 갈수록 외측으로 넓어지도록 비스듬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복수의 제2 관통공(37)이 제2 몸체(35)의 둘레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제2 관통공(37) 각각은 제3 플랜지(33)와 제4 플랜지(31)를 연결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제1 관통공(17)과 유사하게, 제2 관통공(37)은 제3 플랜지(33)의 일부분까지 연장될 수 있다.
체결 부재(40)는 제1 완충 부재(10)와 제2 완충 부재(30)를 구조물(100)에 체결한다. 예를 들어, 체결 부재(40)는 볼트(41)와 너트(43)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장착물(200)과 구조물(100)의 장착대(101)에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으며, 볼트(41)가 제2 완충 부재(30), 장착물(200)의 관통공, 제1 완충 부재(10), 그리고 장착대(101)의 관통공을 차례로 통과하도록 삽입된 상태에서 장착대(101)의 아래에서 너트(43)가 볼트(41)에 체결된다.
제1 완충 부재(10)가 구조물(100)에 고정된 장착대(101)와 장착물(200) 사이에 배치되고 제2 완충 부재(30)가 제1 완충 부재(10)와 대칭인 상태로 장착물(200) 위에 배치된 상태에서, 제1 완충 부재(10), 장착물(200), 그리고 제2 완충 부재(30)가 볼트(41)와 너트(43)에 의해 구조물(100)의 장착대(101)에 체결된다.
이와 같은 아이솔레이터의 구조에 의해, 구조물(100)이 진동하는 경우 제1 완충 부재(10)와 제2 완충 부재(30)가 도 3에서 상하 방향으로 변형되고 이 과정에서 진동이 감쇄된다. 이에 따라 구조물(100)의 진동이 장착물(200)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특히, 제1 완충 부재(10)의 제2 플랜지(13)의 내경이 제1 플랜지(11)의 외경보다 크고 제1 몸체(15)가 제1 플랜지(11)의 외측 단과 제2 플랜지(13)의 내측 단을 연결하고 제2 완충 부재(30)는 제1 완충 부재(10)와 대칭을 이루도록 형성됨으로써, 제1 완충 부재(10)와 제2 완충 부재(30)가 구조물(100)의 진동이 있는 경우에 보다 잘 변형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진동 감쇄 효과가 향상된다.
더 나아가, 제1 완충 부재(10)의 제1 몸체(15)에 복수의 관통공(17)이 형성되고 제2 완충 부재(30)의 제2 몸체(35)에 복수의 관통공(37)이 형성됨으로써, 제1 완충 부재(10)의 제1 몸체(15)와 제2 완충 부재(30)의 제2 몸체(35)가 더욱 효과적으로 변형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진동 감쇄 효과가 더욱 향상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한 것으로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이솔레이터가 장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이솔레이터의 완충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Ⅲ-Ⅲ 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제1 완충 부재 30: 제2 완충 부재
40: 체결 부재 100: 구조물
200: 장착물

Claims (7)

  1. 구조물과 장착물 사이에 게재되는 아이솔레이터(isolator)로서,
    상기 구조물에 지지되는 환형의 제1 플랜지, 상기 장착물의 한 면에 지지되는 환형의 제2 플랜지, 그리고 상기 제1 플랜지와 상기 제2 플랜지를 연결하는 중공 형상의 제1 몸체를 포함하는 제1 완충 부재,
    환형의 제3 플랜지, 상기 장착물의 나머지 한 면에 지지되는 환형의 제4 플랜지, 그리고 상기 제3 플랜지와 상기 제4 플랜지를 연결하는 중공 형상의 제2 몸체를 포함하는 제2 완충 부재, 그리고
    상기 제1 완충 부재와 상기 제2 완충 부재를 상기 구조물에 체결하는 체결 부재
    를 포함하되,
    복수의 제1 관통공이 상기 제1 몸체에 둘레 방향으로 형성되고, 복수의 제2 관통공이 상기 제2 몸체의 둘레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제1 관통공 각각은 상기 제1 플랜지와 상기 제2 플랜지를 연결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제2 관통공 각각은 상기 제3 플랜지와 상기 제4 플랜지를 연결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아이솔레이터.
  2. 제1항에서,
    상기 제2 플랜지의 내경은 상기 제1 플랜지의 외경보다 크고,
    상기 제4 플랜지의 내경은 상기 제3 플랜지의 외경보다 큰 아이솔레이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제1 몸체는 상기 제1 플랜지의 외측 단과 상기 제2 플랜지의 내측 단을 연결하고,
    상기 제2 몸체는 상기 제3 플랜지의 외측 단과 상기 제4 플랜지의 내측 단을 연결하는 아이솔레이터.
  4. 삭제
  5. 삭제
  6. 제3항에서,
    상기 제1 완충 부재와 상기 제2 완충 부재는 서로 대칭인 아이솔레이터.
  7.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제1 완충 부재와 상기 제2 완충 부재는 서로 대칭인 아이솔레이터.
KR1020070141526A 2007-12-31 2007-12-31 아이솔레이터 KR1009981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41526A KR100998180B1 (ko) 2007-12-31 2007-12-31 아이솔레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41526A KR100998180B1 (ko) 2007-12-31 2007-12-31 아이솔레이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3552A KR20090073552A (ko) 2009-07-03
KR100998180B1 true KR100998180B1 (ko) 2010-12-03

Family

ID=413306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41526A KR100998180B1 (ko) 2007-12-31 2007-12-31 아이솔레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818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54256A (ja) 1996-08-12 1998-02-24 Mitsubishi Motors Corp 遮音カバー
JP2002235800A (ja) 2001-02-13 2002-08-23 Sanwa Packing Kogyo Co Ltd 緩衝装置
JP2005133594A (ja) 2003-10-29 2005-05-26 Nichias Corp 防振遮熱板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54256A (ja) 1996-08-12 1998-02-24 Mitsubishi Motors Corp 遮音カバー
JP2002235800A (ja) 2001-02-13 2002-08-23 Sanwa Packing Kogyo Co Ltd 緩衝装置
JP2005133594A (ja) 2003-10-29 2005-05-26 Nichias Corp 防振遮熱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3552A (ko) 2009-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78146B1 (ko) 댐퍼 내장형 엔진마운트
US9771030B1 (en) Mounting system for electronic control module
CN110541909A (zh) 用于车辆的动态阻尼器
CN107250600B (zh) 防振装置及缓冲装置
JP6344189B2 (ja) 燃料タンク取付構造
US10661648B2 (en) Rubber stopper
US20050098374A1 (en) Mount assembly for automotive power plant
KR100820704B1 (ko) 자동차 배기계의 전방 마운트 구조
JP2008185201A (ja) エンジンマウント
KR100783514B1 (ko) 진동 절연 장치
KR100998180B1 (ko) 아이솔레이터
JP6017242B2 (ja) 防振架台
JP7411472B2 (ja) 締結具、遮蔽ユニット
JP2007137298A (ja) マフラーの弾性振動低減構造
KR101375080B1 (ko) 차량용 파이프 고정구조
JPS61258914A (ja) 自動車排気管のダイナミックダンパ装置
KR20060082909A (ko) 쇽 업소버의 인슐레이터 브라켓 어셈블리
JP6011312B2 (ja) 車載吸気系部品であるレゾネータ
KR102598415B1 (ko) 자동차용 롤 마운트
KR200205680Y1 (ko) 자동차 소음기 진동방지 고정장치
JP4767091B2 (ja) 液体封入式防振マウント
KR0112314Y1 (ko) 파이프 앵커
KR20090048094A (ko) 차량용 롤 마운팅 장치
KR101628825B1 (ko) 행거 아이솔레이터
JP2004205050A (ja) 防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1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