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7860B1 - 원터치 조립 및 해체 가능한 요철 비계 - Google Patents

원터치 조립 및 해체 가능한 요철 비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7860B1
KR100997860B1 KR1020080049971A KR20080049971A KR100997860B1 KR 100997860 B1 KR100997860 B1 KR 100997860B1 KR 1020080049971 A KR1020080049971 A KR 1020080049971A KR 20080049971 A KR20080049971 A KR 20080049971A KR 100997860 B1 KR100997860 B1 KR 1009978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unevenness
clamp
scaffolding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99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23999A (ko
Inventor
최석균
Original Assignee
최석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석균 filed Critical 최석균
Priority to KR10200800499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7860B1/ko
Publication of KR200901239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39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78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78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02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with separate coupling elements
    • E04G7/06Stiff scaffolding clamps for connecting scaffold members of common shape
    • E04G7/12Clamps or clips for crossing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08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ban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0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 F16B7/04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in angled relationshi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터치 조립 및 해체 가능한 요철 비계에 관한 것으로, 다수의 제1요철이 연속하여 형성되는 파이프; 및 상기 제1요철에 대응하는 제2요철이 형성되어 격자형으로 배치되는 2개의 파이프의 교차지점에서 상기 제1요철을 상기 제2요철에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2개의 파이프를 결속하는 클램프;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파이프와 클램프의 결속 및 해체를 원터치로 간단하게 하면서도 파이프와 클램프의 결합력이 향상되어, 비계 설치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비계, 파이프, 클램프, 요철, 원터치

Description

원터치 조립 및 해체 가능한 요철 비계{UNEVEN SCAFFOLD ABLE TO ASSEMBLE AND DISMANTLE WITH ONE-TOUCH}
본 발명은 원터치 조립 및 해체 가능한 요철 비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서로 대응되는 요철이 형성된 파이프와 클램프를 원터치 방식으로 결합하여 파이프 간을 용이하면서도 강하게 결속할 수 있는 원터치 조립 및 해체 가능한 요철 비계에 관한 것이다.
비계(Scaffold)는 공사 시공상 설치하는 시설물의 일종으로서, 건물이나 교량 등을 건설할 때 작업자가 외부에서 작업하는 공간으로 사용함과 아울러, 자재의 운반 및 작업자의 이동 통로로 사용할 수 있는 시설물이다.
이러한 비계는 크게, 수직향향과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파이프와 상기 파이프 간을 결속하는 클램프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종래의 비계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비계에서 파이프(1)는 일반적으로 원형의 강관이 사용된다. 그리고 클램프(2)는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수평-파이프(1a)와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수직-파이프(1b)를 각각 결속하기 위하여 동일한 구조로 이 루어진 제1결속유닛(3)과 제2결속유닛(4)이 90°각도로 교차되게 고정되어 있다. 이때 제1결속유닛(3)과 제2결속유닛(4)은 서로에 대해 자유롭게 회전가능하게 마련될 수도 있다.
이러한 클램프(2)로 파이프(1)를 결속하는 위해서는, 먼저 상기 각 결속유닛(3,4)의 베이스부(5)에 파이프(1)를 안착시킨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부(5)의 일단에 힌지결합된 덮개부(6)를 회전시켜 상기 파이프(1)를 덮은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부(5)의 타단에 힌지 결합된 체결볼트(7)를 덮개부(6)의 절개부위에 삽입한다. 이때 상기 체결볼트(7)에는 조임너트(8)가 끝단에서부터 체결될 수 있으므로, 상기 조임너트(8)를 조여 상기 베이스부(5)와 덮개부(6) 사이에 파지된 파이프(1)를 결속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교차지점에 있는 2개의 파이프(1), 즉 수평-파이프(1a)와 수직-파이프(1b)를 차례대로 상기 클램프(2)에 결속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비계를 제작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기술에 의한 클램프(2)에서는, 교차지점에서 2개의 파이프(1)를 체결하거나 체결된 파이프(1)에서 상기 클램프(2)를 해체할 때 상기 조임너트(8)를 조이거나 풀어야 하므로, 상기 체결 및 해체에 소요되는 시간이 증가됨에 따라 작업비용의 상승과 작업자의 피로를 증가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상기 클램프(2)를 계속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체결볼트(7) 또는 조임너트(8)의 나사산이 마모된 경우에는 상기 클램프(2)의 체결력이 약해져 파이프(1)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없게 되고, 또한 상기 덮개부(6)의 장착부위에 과도한 하중이 집중되게 되므로 파손의 우려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비계에서는 파이프(1) 간의 간격을 줄자를 통해 일정하게 결정하는데, 각 파이프(1) 간의 수평 및 수직방향 간격을 줄자로 일일이 잰다는 것이 번거로웠다. 따라서 작업자의 경험에 의해 짐작으로 그 간격이 결정됨으로써 정확한 시공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종래의 비계에서는 파이프(1)의 외면이 매끈하여 작업자가 비계 설치 및 해체 작업중에 미끄러져 안전사고가 발생할 위험성이 상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파이프와 클램프의 결속 및 해체를 원터치로 간단하게 하면서도 파이프와 클램프의 결합력이 향상된 원터치 조립 및 해체 가능한 요철 비계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간이한 결속으로도 클램프가 파이프를 길이방향으로 고정할 수 있는 원터치 조립 및 해체 가능한 요철 비계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파이프와 클램프의 결속이 해체되는 비상시에도 파이프와 클램프의 체결상태를 임시로 고정할 수 있는 구조를 마련하는 원터치 조립 및 해체 가능한 요철 비계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파이프에 형성된 요철에 눈금을 표시하여 파이프 간의 간격을 쉽게 조절함과 아울러, 상기 요철을 통해 비계 설치 작업중 작업자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는 원터치 조립 및 해체 가능한 요철 비계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제1발명은 원터치 조립 및 해체 가능한 요철 비계에 관한 것으로, 다수의 제1요철이 연속하여 형성되는 파이프; 및 상기 제1요철에 대응하는 제2요철이 형성되어 격자형으로 배치되는 2개의 파이프의 교차지점에서 상기 제1요철을 상기 제2요철에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2개의 파이프를 결속하는 클램프;를 포함한다.
제2발명은, 제1발명에서, 상기 클램프는, 상기 파이프에 각각 체결되고 서로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제1결속유닛과 제2결속유닛을 포함하고, 각 결속유닛은, 내주연에 제2요철이 형성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일단에 회동 가능하여 연결되고 내부연에 상기 제2요철이 형성되는 덮개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타단에 돌출 형성되는 걸림부와, 상기 덮개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걸림부에 걸릴 수 있는 걸림고리를 구비하여 상기 베이스부에 안착되는 파이프를 상기 덮개부로 두른 상태로 결속하는 레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3발명은, 제2발명에서, 상기 레버부 또는 덮개부와 상기 걸림부에는, 상기 걸림부와 레버부의 결속을 보조함과 아울러, 상기 걸림부와 레버부의 비정상적인 분리시에 임시로 상기 걸림부와 레버부의 결속을 유지하는 체결보조기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4발명은, 제3발명에서, 상기 체결보조기구는, 상기 레버부 또는 덮개부에 톱니 형상으로 구비되는 숫체결구와, 상기 걸림부에 관통 형성되고 탄성에 의해 상기 숫체결구와 선택적으로 체결되는 암체결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5발명은, 제2발명에서, 상기 베이스부와 덮개부 중 하나 이상에는 상기 파이프와의 밀착을 위해 가스켓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6발명은, 제1발명 내지 제5발명 중 어느 하나에서, 상기 제1요철은 상기 파이프를 둘러 돌출 형성되는 링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요철은 상기 제1요철이 삽입될 수 있는 동일 형태로 상기 베이스부와 덮개부에 함몰 형성되는 것을 특 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조립 및 해체 가능한 요철 비계는, 파이프와 클램프의 결속 및 해체를 원터치로 간단하게 하면서도 파이프와 클램프의 결합력이 향상되어, 비계 설치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클램프가 요철을 통해 파이프의 길이방향 이동을 제한하게 되므로 클램프의 파이프에 대한 간이한 결속으로도 클램프가 파이프를 길이방향으로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파이프와 클램프의 결속이 해체되는 비상시에도 파이프와 클램프의 체결상태를 임시로 고정할 수 있는 구조를 마련하여, 비계의 붕괴로 인한 인명 및 재산피해를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파이프에 형성된 요철에 눈금을 표시하여 파이프 간의 간격을 쉽고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어 비계 설치작업이 용이해 짐과 아울러, 불필요한 파이프의 설치가 감소되어 비계 설치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파이프에 형성된 요철을 통해 비계 설치 작업중 작업자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어 비계 설치 및 해체 작업 중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조립 및 해체 가능한 요철 비계에 관하여 첨부되어진 도면과 더불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조립 및 해체 가능한 요철 비계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를 클램프로 결속하기 전 및 후의 상태를 각각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부와 덮개부에 가스켓이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조립 및 해체 가능한 요철 비계는 크게 파이프(10)와 클램프(20)로 구성된다. 상기 파이프(10)는 일반적으로 원형 또는 사각형의 강관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원형의 강관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예시되어 있다.
상기 파이프(10)에는 다수의 제1요철(11)이 형성된다. 상기 제1요철(11)은 서로 다른 모양의 조합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고, 돌출된 것과 함몰된 것이 조합되어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 제1요철(11)은 다양한 형태의 조합이 패턴을 이루어 일정 간격으로 반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제1요철(11)의 전부 또는 일부에 대응하는 제2요철(31a, 33a)이 클램프(20)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클램프(20)는 파이프(10)의 임의의 지점에 장착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파이프(10)에 형성된 제1요철(11)은 비계를 설치하는 작업자가 파이프(10)를 손으로 잡거나 발로 밟는 경우에 작업자가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해 주는 역할도 수행한다.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는 요철 중에서, 본 실시예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요철(11)이 상기 파이프(10)의 외주연에 링 형태로 돌출 형 성되고 이러한 링 형태의 제1요철(11)이 상기 파이프(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하여 구비되는 것이 예시되어 있다.
또한 상기 파이프(10)에는 상기 제1요철(11)을 통하여 파이프(10) 간의 간격을 확인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마다 길이를 표시하는 눈금(미도시)이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파이프(10)의 길이방향으로 1m마다 상기 눈금이 표시되어 있을 수 있고, 작업자는 상기 눈금을 확인하면서 수평-파이프(10a)와 수직-파이프(10b)의 체결부위를 결정할 수도 있다.
한편, 클램프(20)는, 비계를 형성하기 위하여 격자형으로 배치되는 파이프(10) 중 2개의 파이프(10a, 10b)의 교차지점에 배치되어 상기 교차지점에서 상기 2개의 파이프(10a, 10b)를 서로 결속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클램프(20)는 2개의 파이프(10a, 10b)를 각각 결속하기 위한 제1결속유닛(30)과 제2결속유닛(40)으로 구성된다.
이때 각 결속유닛(30, 40)은, 베이스부(31, 41), 덮개부(33, 43), 걸림부(35, 35), 레버부(37, 37)로 구성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베이스부(31, 41)의 외측에는 각 결속유닛(30, 40)이 서로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내측에는 파이프(10)가 안착할 수 있도록 상기 파이프(10)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특히 상기 베이스부(31, 41)의 내측에는 상기 파이프(10)의 제1요철(11)에 대응하는 제2요철(31a, '41'의 제2요철은 미도시)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요철(11)이 링 형태로 돌출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1요철(11)이 상기 제2요철(31a)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2요철(31a)은 링 형태로 함몰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덮개부(33, 43)는 상기 베이스부(31, 41)의 일단에서 상기 베이스부(31, 41)와 힌지축(31b, 41a)에 의해 힌지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부(31, 41)에 안착된 파이프(10)를 덮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덮개부(33, 43)에도 제2요철(43a, '33'에 대한 제2요철은 미도시)이 형성되는데, 베이스부(31, 41)에 형성된 제2요철(31a)과 마찬가지로 상기 제1요철(11)의 형태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요철(11)이 링 형태로 이루어지므로, 상기 덮개부(33, 43)에 형성되는 제2요철(43a)은 상기 베이스부(31, 41)에 형성되는 제2요철(31a)과 연속되게 형성되어 상기 제1요철(11)이 삽입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상기 제2요철(31a, 43a)을 포함하는 상기 베이스부(31, 41)의 내주연과 상기 덮개부의 내주연(33, 43) 상에는 상기 베이스부(31, 41)와 덮개부(33, 43)에 의해 파지되는 파이프(10)와의 밀착을 강화하기 위하여 상기 내주연의 형상에 대응하는 가스켓(50)이 장착될 수 있다(도 5 참조). 상기 가스켓(50)은 일반적으로 고무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베이스부(31, 41)와 덮개부(33, 43) 중 어느 하나에만 장착될 수도 있다.
한편, 걸림부(35, 45)는, 일단에 상기 덮개부(33, 45)가 형성되는 베이스부(31, 41)의 타단에서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레버부(37, 47)는 상기 덮개부(33, 43)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걸림부(35, 45)에 걸릴 수 있는 걸림고리(38, 48)를 구비한다. 따라서 상기 레버부(37, 47)의 걸림고리(38, 48)가 상기 걸림부(35, 45)에 걸린 상태에서 상기 레버부(37, 47)를 상기 덮개부(33, 43)의 외면을 향하여 회동시켜 상기 베이스부(31, 41)와 덮개부(33, 43) 사 이에 파이프(10)가 결속되게 한다.
또한 상기 레버부(37, 47)는 상기 덮개부(33, 43)에 밀착된 상태에서 그 하단이 들어 올려진 굴곡부(37a, 47a)를 구비한다. 상기 굴곡부(37a, 47a)는 손가락을 넣어 상기 레버부(37, 47)를 해체 방향으로 회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레버부(37, 47)의 걸림고리(38, 48)와 걸림부(35, 45)만으로 상기 베이스부(31, 41)와 덮개부(33, 43)를 체결하는 경우에, 만일 파이프(10)에 강한 하중이 작용하거나 상기 클램프(20)에 진동이 작용하거나 또는 상기 클램프(20)가 장시간 외부에 노출됨에 따라 부식되어 상기 걸림부(35, 45)에서 상기 걸림고리(38, 48)가 이탈하게 된다면, 상기 베이스부(31, 41)와 덮개부(33, 43)의 체결이 와해되고 그에 따라 비계가 붕괴되면서 대형사고를 일으킬 수도 있다. 따라서 이러한 불상사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체결보조기구(60)가 구비된다.
상기 체결보조기구(60)는, 상기 레버부(37, 47) 또는 덮개부(33, 43)와, 걸림부(35, 45)에 구비되어 상기 걸림부(35, 45)와 레버부(37, 47)의 결속을 보조함과 아울러, 상기 걸림부(35, 45)와 레버부(37, 47)의 비정상적인 분리시에 임시로 상기 걸림부(35, 45)와 레버부(37, 47)의 결속을 유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여기서 도면에서는 제2결속유닛(40)에 대한 체결보조기구는 도시가 생략되어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의 체결보조기구(60)는 덮개부(33, 43)와 걸림부(35, 45)에 구비된다. 또한 상기 체결보조기구(60)는 숫체결구(61)와 암체결구(63)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덮개부(33, 43)에는 톱니 형상의 숫체결구(61)가 구비되고, 상기 걸림부(35, 45)에는 상기 숫체결구(61)에 선택적으로 체결되는 암체결구(63)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숫체결구(61)는 장시간 외부에 노출되더라도 부식되지 않는 재료, 예를 들면, 플라스틱 소재로 제작될 수도 있다. 그런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숫체결구(61)가 금속 소재로 제작되어 상기 덮개부(33, 43)에 일체로 제작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암체결구(63)는 상기 숫체결구(61)가 삽입될 수 있는 관통공(39)에 마련되고, 탄성력에 의해 상기 걸림부(35, 45)의 외부에 돌출되어 있는 한 쌍의 스위치(63a)와, 상기 스위치(63a)에 일체로 연결되어 상기 스위치(63a)의 작동에 따라 상기 관통공(39)의 일부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스토퍼(미도시)와, 상기 스토퍼의 일단에 연결되는 스프링(미도시)으로 구성된다. 즉, 도 2에서 상기 걸림부(35, 45)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마련된 스위치(63a)는 상기 스토퍼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스토퍼는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이때 상기 스토퍼는 상기 숫체결구(61)의 톱니에 대응되게 배치되고 상기 숫체결구(61)의 진입에 따라 스프링에 의해 탄성력을 받는 상태로 상기 톱니면을 따라 이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상기 체결보조기구(60)는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은 기능을 수행할 수만 있다면, 상기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다른 구성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조립 및 해체 가능한 요철 비계의 작용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10)는 건물 외부의 비계를 형성하기 위해 격자형으로 조립된다. 먼저 상기 파이프(10) 중 수직방향으로 세워지는 수직-파이프(10b)를 지면에 설치한다. 이때 지면에는 상기 수직-파이프(10b)를 조립할 수 있는 조립구조물이 미리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수직-파이프(10b)를 세운 후, 수평방향으로 조립되는 수평-파이프(10a)를 상기 수직-파이프(10b)와 결속한다. 이때 수직-파이프(10b)와 수평-파이프(10a)를 결속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클램프(20)가 사용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파이프(10)에는 외주연에 돌출 형성되는 링 형태의 제1요철(1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클램프(20)의 제1결속유닛(30)과 제2결속유닛(40)의 베이스부(31, 41)와 덮개부(33, 43)에는 상기 제1요철(11)에 대응하는 제2요철(31a, 43a)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1결속유닛(30)으로 상기 수평-파이프(10a)를 결속하기 위하여, 상기 수평-파이프(10a)의 제1요철(11)이 상기 제1결속유닛(30)의 베이스부(31)와 덮개부(33)의 제2요철(31a)에 끼워지는 위치에서 상기베이스부(31)와 덮개부(33) 사이에 상기 수평-파이프(10a)를 파지한다.
이 후 상기 제1결속유닛(30)의 레버부(37)에 마련된 걸림고리(38)를 걸림부(35)에 걸친 상태에서 상기 레버부(37)를 상기 덮개부(33)를 향하여 회전시키면, 상기 레버부(37)는 상기 걸림고리(38)를 잡아당겨 상기 걸림고리(38)가 걸림부(35)를 가압하면서 상기 파이프(10)가 베이스부(31)와 덮개부(33) 사이에서 결속되게 된다.
특히 상기 베이스부(31)와 덮개부(33)의 제2요철(31a)에 상기 파이프(10)의 제1요철(11)이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파이프(10)가 결속되므로, 상기 수평-파이프(10a)에 제1결속유닛(30)만이 체결된 상태라도 상기 클램프(20)는 상기 수평-파이프(10a)에서 길이방향으로 이동됨이 없이 상기 수평-파이프(10a)에 고정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클램프(20)의 제2결속유닛(40)에 수직-파이프(10b)를 결속한다.
이와 같이 클램프(20)로 수평-파이프(10a)와 수직-파이프(10b)를 원터치 방식으로 결속하면, 종래와 같이 스패너 등으로 너트를 조이는 번거로움 없이도 파이프(10)를 신속하고 강하게 체결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파이프(10)와 클램프(20)에 각각 형성된 요철에 의해 파이프(10)와 클램프(20) 상호간의 이동이 제한되어 결속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파이프(10)와 클램프(20)에 형성된 요철을 통해 파이프(10) 간의 간격을 확인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파이프(10)에는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마다 길이를 표시하는 눈금이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파이프(10)의 길이방향으로 1m마다 상기 눈금이 표시되어 있을 수 있고, 작업자는 상기 눈금을 확인하면서 수평-파이프(10a)와 수직-파이프(10b)의 체결부위를 결정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상기 클램프(20)에 가스켓(50)이 구비되어 상기 클램프(20)의 제1결속유닛(30)과 제2결속유닛(40)이 각각 수평-파이프(10a) 및 수직-파 이프(10b)와 체결될 때 보다 밀착되면서 강하게 결속되게 할 수 있다.
그런데 본 발명에서 상기 각 결속유닛(30, 40)은 레버부(37, 47)의 걸림고리(38, 48)가 걸림부(35, 45)에 걸쳐짐으로써 체결되는 방식을 취하고 있는데, 장기간의 사용으로 인한 부식이나 과도한 하중으로 인하여 상기 걸림고리(38, 48)가 레버부(37, 47)로부터 이탈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이때에는 주변의 클램프(20)에서 문제가 발생한 클램프(20)의 하중을 분산받아 당장의 위험은 피할 수 있지만, 이러한 현상이 연쇄적으로 발생되는 경우에는 자칫 비계 전체의 붕괴를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체결보조기구(60)가 구비되어 상기 걸림부(35, 45)와 레버부(37, 47)의 결속을 보조함과 아울러, 상기 걸림부(35, 45)와 레버부(37, 47)의 비정상적인 분리시에 임시로 상기 걸림부(35, 45)와 레버부(37, 47)의 결속을 유지한다.
즉, 체결보조기구(60)의 숫체결구(61)는, 덮개부(33, 43)로 파이프(10)를 덮을 때 걸림부(35, 45)에 마련된 암체결구(63)의 관통공(39)에 삽입된다. 이때 상기 숫체결구(61)는 진행방향으로 경사진 톱니 형상을 하고 있으므로, 상기 관통공(39)의 일부를 스토퍼가 차단하고 있다 하더라도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지지되고 있는 스토퍼를 밀면서 진입한다. 상기 숫체결구(61)의 하나의 톱니가 상기 관통공(39)에 진입하면 상기 스토퍼는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복원되어 상기 숫체결구(61)가 진행방향의 역방향으로는 임의로 이동할 수 없도록 제한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숫체결구(61)를 암체결구(63)에 체결한다.
이상과 같이 파이프(10)에 체결된 클램프(20)를 해체하기 위해, 상기 레버부(37, 47)를 들어올려 상기 걸림고리(38, 48)를 상기 걸림부(35, 45)로부터 해체한다. 이때 상기 레버부(37, 47)는 상기 덮개부(33, 43)에 밀착된 상태에서 그 하단이 들어 올려진 굴곡부(37a, 47a)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상기 굴곡부(37a, 47a)에 손가락을 넣어 편리하게 상기 레버부(37, 47)를 해체 방향으로 회동시킬 수 있다.
걸림고리(38, 48)의 해체가 완료되면, 다음으로 체결보조기구(60)를 해체한다. 즉, 상기 암체결구(63)에 체결된 숫체결구(61)를 관통공(39)으로부터 빼내기 위하여 상기 암체결구(63)의 한 쌍의 스위치(63a)를 가압한다. 이때 상기 스위치(63a)는 스토퍼에 연결되어 있어 상기 스위치(63a)를 가압하면, 상기 스토퍼는 스프링을 압축하면서 관통공(39)을 개방하게 된다. 따라서 개방된 관통공(39)을 통해 상기 숫체결구(61)는 해체될 수 있다.
이렇게 제1결속유닛(30)과 제2결속유닛(40)에서 레버부(37, 47)의 걸림고리(38, 48)를 걸림부(35, 45)에서 해체하고 체결보조기구(60)를 해체하면, 상기 클램프(20)는 파이프(10)로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파이프(10)와 클램프(20)의 결속과 마찬가지로 쉽고 편리하게 상기 파이프(10)와 클램프(20)의 해체가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예를 들면, 체결보조기구의 숫체결구의 폭과 톱니 형상 방향은 가변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클램프에 큰 하중이 작용할 것이 예상되는 경우에는 상기 숫체결구의 폭을 확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숫체결구의 톱니는 상기 숫체결구의 상면에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스토퍼의 설치 및 구동의 용이성을 고려하여 측면 또는 저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비계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비계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를 클램프로 결속하기 전 및 후의 상태를 각각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부와 덮개부에 가스켓이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 파이프 11 : 제1요철
20 : 클램프 30 : 제1결속유닛
40 : 제2결속유닛 31, 41 : 베이스부
33, 43 : 덮개부 35, 45 : 걸림부
37, 47 : 레버부 38, 48 : 걸림고리
31a, 43a : 제2요철 50 : 가스켓
60 : 체결보조기구 61 : 숫체결구
63 : 암체결구 63a : 스위치

Claims (6)

  1. 원주방향 및 길이방향에서의 체결위치 변경이 가능하도록 폭방향 외주연을 둘러 형성되는 링형태의 제1요철이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연속 형성되는 파이프; 및
    상기 제1요철 중 2개의 제1요철에 대응하는 2개의 제2요철이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어 격자형으로 배치되는 2개의 파이프의 교차지점에서 상기 제1요철을 상기 제2요철에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2개의 파이프를 결속하는 클램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조립 및 해체 가능한 요철 비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는, 상기 파이프에 각각 체결되고 서로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제1결속유닛과 제2결속유닛을 포함하고,
    각 결속유닛은, 내주연에 제2요철이 형성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일단에 회동 가능하여 연결되고 내부연에 상기 제2요철이 형성되는 덮개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타단에 돌출 형성되는 걸림부와, 상기 덮개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걸림부에 걸릴 수 있는 걸림고리를 구비하여 상기 베이스부에 안착되는 파이프를 상기 덮개부로 두른 상태로 결속하는 레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조립 및 해체 가능한 요철 비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부 또는 덮개부와 상기 걸림부에는, 상기 걸림부와 레버부의 결속 을 보조함과 아울러, 상기 걸림부와 레버부의 비정상적인 분리시에 임시로 상기 걸림부와 레버부의 결속을 유지하는 체결보조기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조립 및 해체 가능한 요철 비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보조기구는, 상기 레버부 또는 덮개부에 톱니 형상으로 구비되는 숫체결구와, 상기 걸림부에 관통 형성되고 탄성에 의해 상기 숫체결구와 선택적으로 체결되는 암체결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조립 및 해체 가능한 요철 비계.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요철을 포함하는 상기 베이스부의 내주연과 상기 덮개부의 내주연 상에는 상기 파이프와의 밀착을 위해 상기 내주연의 형상에 대응하는 가스켓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조립 및 해체 가능한 요철 비계.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요철은 상기 파이프를 둘러 돌출 형성되는 링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요철은 상기 제1요철이 삽입될 수 있는 동일 형태로 상기 베이스부와 덮개부에 함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조립 및 해체 가능한 요철 비계.
KR1020080049971A 2008-05-29 2008-05-29 원터치 조립 및 해체 가능한 요철 비계 KR1009978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9971A KR100997860B1 (ko) 2008-05-29 2008-05-29 원터치 조립 및 해체 가능한 요철 비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9971A KR100997860B1 (ko) 2008-05-29 2008-05-29 원터치 조립 및 해체 가능한 요철 비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3999A KR20090123999A (ko) 2009-12-03
KR100997860B1 true KR100997860B1 (ko) 2010-12-01

Family

ID=416859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9971A KR100997860B1 (ko) 2008-05-29 2008-05-29 원터치 조립 및 해체 가능한 요철 비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786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585328B (zh) * 2016-02-26 2017-06-01 Jun-Mei Lin 扣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9805Y1 (ko) * 2001-02-08 2001-07-19 김종찬 비계용 클램프
KR200345121Y1 (ko) * 2003-12-31 2004-03-19 주식회사 신영 건축공사용 파이프 비계의 미끄럼 방지 체결구조
KR200399466Y1 (ko) * 2005-08-12 2005-10-24 주식회사 부광 배관용 래치 클램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9805Y1 (ko) * 2001-02-08 2001-07-19 김종찬 비계용 클램프
KR200345121Y1 (ko) * 2003-12-31 2004-03-19 주식회사 신영 건축공사용 파이프 비계의 미끄럼 방지 체결구조
KR200399466Y1 (ko) * 2005-08-12 2005-10-24 주식회사 부광 배관용 래치 클램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3999A (ko) 2009-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67909B2 (ja) マット、可搬型建設用多孔マットシステム、工具および方法
JPH04249692A (ja) パイプカップリングヒンジ
KR101456778B1 (ko) 파이프용 클램프
US5896722A (en) Weldless spacer
KR100997860B1 (ko) 원터치 조립 및 해체 가능한 요철 비계
KR102099401B1 (ko) 회전 유도에 의한 텐션 체결 장치
US20090293417A1 (en) Grating fastening methods and systems
KR101480823B1 (ko) 복수의 내경을 갖는 이경 클램프
KR20160118731A (ko) 콘크리트 파일과 강관 파일 결합용 이음장치
KR101747625B1 (ko) 농업 시설물 프레임 및 비닐고정패드 결속용 클램프장치
KR20080005217U (ko) U볼트형 가설물 고정장치
JP3142803U (ja) 溝蓋の盗難防止装置
JP4944678B2 (ja) 安全帯等の支持具
US1635147A (en) Metal sheeting
JP2002174027A (ja) 足場板隙間カバー
JPH0516347Y2 (ko)
WO1988006222A1 (en) Improved couplers
KR20240035069A (ko) 고리형 체결장치 및 설치방법
JP6561470B2 (ja) 鉄筋交差部締結具
KR101571078B1 (ko) 착탈식 데크플레이트 구조 원터치식 해체도구
KR20190001817U (ko) 거푸집 간격유지 고정장치
JP4337361B2 (ja) 鋼板接合方法及び装置
JP6815011B2 (ja) タイトフレーム
JP2911848B2 (ja) 仮覆いの肋骨連結装置
JP2005350878A (ja) 帯状鋼材を連結させるための冶具及び橋脚又は柱の補強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