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5069A - 고리형 체결장치 및 설치방법 - Google Patents

고리형 체결장치 및 설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5069A
KR20240035069A KR1020220114066A KR20220114066A KR20240035069A KR 20240035069 A KR20240035069 A KR 20240035069A KR 1020220114066 A KR1020220114066 A KR 1020220114066A KR 20220114066 A KR20220114066 A KR 20220114066A KR 20240035069 A KR20240035069 A KR 202400350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deck plate
length extension
hook
scaffold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40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식
Original Assignee
이상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식 filed Critical 이상식
Priority to KR10202201140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35069A/ko
Publication of KR202400350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50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0Railings; Protectors against smoke or gases, e.g. of locomotives; Maintenance travellers; Fastening of pipes or cables to bridges
    • E01D19/106Movable inspection or maintenance platforms, e.g. travelling scaffolding or vehicles specially designed to provide access to the undersides of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4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or for buildings of particular shape, e.g. chimney stacks or pyl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4Means for fastening, supporting, or bracing scaffolds on or against building constru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계 파이프에 데크 플레이트를 고정하는 고리형 체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곡선으로 휘어진 고리 형상의 부재로서 비계 파이프에 걸리는 후크부(110); 상기 후크부(110)의 일측 단부에서 직선 형태로 연장되어 상기 후크부(110)와 하나의 몸체를 이루는 길이연장부(120); 상기 길이연장부(120)의 일측을 관통하는 체결구멍(130); 직선 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체결구멍(130)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체결핀(210); 및, 상기 체결핀(210)의 일측 단부가 벤딩되어 형성되는 잠금돌기부(2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고리형 체결장치 및 설치방법{Hook Type Fastener and Installation Method}
본 발명은 교량 비계 등의 바닥판을 비계 파이프에 고정하는 체결장치 및 설치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바닥판을 구성하는 데크 플레이트의 상부에서 모든 설치 작업이 가능하여 작업자의 안전과 편리를 도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지금까지 교량 비계의 바닥판은 대부분 합판을 사용하고 일부는 기성품인 안전발판을 활용하고 있는데, 교량의 하부 공간(공중)에 넓게 펼쳐지도록 설치되는 일반적인 교량 비계에 시중에 보급된 기성품인 안전발판을 바닥판으로 활용할 경우 발판의 무게가 필요 이상으로 지나치게 증가하고, 규격화된 체결고리(훅)에 비계 파이프의 위치와 각도가 정확하게 일치해야만 체결 설치가 가능하여 통상적으로 별도 장비를 타고 설치 및 해체가 이루어져야 하고, 발판 간의 간격이 필연적으로 발생하여 발판 간의 틈새를 연속하여 완전히 막아야 하는 교량 비계에 적용하기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프레임에 체결고리가 없는 조선용 발판을 활용하는 경우에도 비계 파이프에 철선으로 묶거나 볼트를 이용하여 고정하는데, 이러한 고정 작업(해체 작업 포함)은 별도의 장비를 이용해야만 보다 편리하고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별도 장비 없이 먼저 설치된 발판 위에서 발판의 옆으로 손을 내려서 어렵게 작업한다면 고공의 공중작업에서 작업 능률과 안전성을 심각하게 저해하는 문제점이 있다.
합판을 바닥판으로 사용하는 경우 그 자체의 강도가 약하여 쉽게 파손되고 이로 인하여 작업자가 추락하는 사례가 빈번하고, 또 재활용하는 가설재의 특성상 시공하기 위해 현장에 투입되는 합판 상태로 인하여 발주자와 시공자 간에 항상 분규가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며, 비계 파이프 위에 합판을 고정하는 특별한 방법이 없으므로 그냥 합판을 바닥에 겹쳐서 깔고 못으로 합판끼리만 고정하여 마무리하는 경우가 많아 강풍 등으로 합판이 날리고 떨어져 교량 아래로 통행하는 차량의 손상이 수시로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날이 갈수록 원목 원자재의 수급이 어려워져 합판 단가가 올라가고 있어 경제적인 부담이 가중된다는 문제도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판재를 철재의 데크 플레이트로 대체하고자 하는 열망은 있었으나 건설 현장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비계 파이프와 데크 플레이트를 안전하고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는 수단이 구비되지 못하여 안전사고의 위험이 상존하고, 별도의 장비를 동원하여 작업자가 발판 하부에서 철선이나 유(U)볼트 등을 데크 플레이트에 형성된 구멍에 끼워주면 발판 상부에서 다른 작업자가 묶거나 체결하는 방식이 적용되는 사례도 있으나 별도 장비가 소요되고 작업이 번거롭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바닥판의 상부에서만 바닥판과 비계 파이프를 안전하게 고정하거나 해체할 수 있는 새로운 수단의 개발이 절실한 상황인데, 특히 등록특허 제10-2127345호 또는 등록특허 제10-2059081호는 교통 통제나 장비 사용을 최소화하고 자체 비계 위에서 브래킷을 거더의 플랜지에 결착하고 전·후진하면서 설치·해체를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바, 그 기능을 충분히 발휘하기 위해서도 바닥판과 비계 파이프를 효과적으로 체결할 수 있는 새로운 수단이 필요한 실정이다.
[선행기술문헌]
등록특허 제10-2127345호
등록특허 제10-2059081호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작된 본 발명은 교량 비계 등에서 바닥판으로 철재의 데크 플레이트를 사용하고, 이러한 데크 플레이트를 별도의 장비를 사용하지 않고 데크 플레이트 상부에서 안전하고 편리하게 설치하거나 해체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고리형 체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작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비계 파이프에 데크 플레이트를 고정하는 고리형 체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곡선으로 휘어진 고리 형상의 부재로서 비계 파이프에 걸리는 후크부(110); 상기 후크부(110)의 일측 단부에서 직선 형태로 연장되어 상기 후크부(110)와 하나의 몸체를 이루는 길이연장부(120); 상기 길이연장부(120)의 일측면을 관통하는 체결구멍(130); 직선 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체결구멍(130)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체결핀(210); 및, 상기 체결핀(210)의 일측 단부가 벤딩되어 형성되는 잠금돌기부(2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비계 파이프에 데크 플레이트를 고정하는 고리형 체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곡선으로 휘어진 고리 형상의 부재로서 비계 파이프에 걸리는 후크부(110); 상기 후크부(110)의 일측 단부에서 직선 형태로 연장되어 상기 후크부(110)와 하나의 몸체를 이루는 길이연장부(120); 상기 길이연장부(120)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나사산부(140); 일측 단부에 통과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길이연장부(120)에 삽입되며 상기 길이연장부(120)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누름대(310); 및, 상기 나사산부(140)에 체결되어 상기 누름대(310)가 상기 길이연장부(120)에서 분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상기 누름대(310)를 눌러주는 잠금너트(3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비계 파이프에 데크 플레이트를 고정하는 고리형 체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곡선으로 휘어진 고리 형상의 부재로서 비계 파이프에 걸리는 후크부(110); 상기 후크부(110)의 일측 단부에서 직선 형태로 연장되어 상기 후크부(110)와 하나의 몸체를 이루는 길이연장부(120); 상기 길이연장부(120)의 일측면을 관통하는 체결구멍(130); 상기 길이연장부(120)에 삽입되는 코일 스프링(410); 및, 상기 길이연장부(120)의 체결구멍(130)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코일 스프링(410)의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부(150)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고리형 체결장치를 이용한 체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기술적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별도의 장비를 동원할 필요가 없으며, 데크 플레이트(520)의 상부에서 작업자가 편리하고 안전하게 데크 플레이트(520)와 비계 파이프(510)를 하나로 결합하여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으며, 해체 과정도 데크 플레이트(520) 상부 작업만으로 안전하고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둘째, 바닥재로 합판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합판을 받쳐 주는 비계 파이프를 조밀하게 배치하여야 했으나, 철제의 데크 플레이트로 대체함으로써 합판을 사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비계 파이프(장선 파이프)의 사용 수량을 감소시켜 작업성 및 경제성을 높일 수 있다.
셋째, 재활용 가설재라는 점에서 합판에 비하여 수명이 길고 허용 하중이 보장되어 안전성과 경제성을 높일 수 있다.
넷째, 기성품인 안전발판을 바닥판으로 활용할 경우보다 발판의 무게를 감량시킬 수 있고 규격화된 체결고리(훅)와는 달리 비계 파이프의 위치와 각도가 조금 어긋날 경우에도 쉽게 체결 설치가 가능하다.
도1은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2는 본 발명의 다른 구체적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적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4는 데크 플레이트(520)의 구체적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5는 도1에 도시된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를 사용하여 도4의 데크 플레이트(520)를 비계 파이프(510)에 고정하는 과정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6은 도5에 따라 설치가 완료된 상태를 위에서 내려다 본 형상과 View A-A를 도시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구성하는 각각의 구성요소들은 구체적인 언급이 없으면 기능 수행에 적합한 강도를 지닌 다양한 금속재질로 제작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도1은 비계 파이프에 데크 플레이트를 고정하는 고리형 체결장치의 구체적 실시예로서 후크부(110)와 별도로 제작되어 결합되는 체결핀(210)으로 구성되는 경우를 도시한다.
후크부(110)는 곡선으로 휘어진 고리 형상의 부재로서 비계 파이프에 걸리는 역할을 한다.
길이연장부(120)는 이러한 후크부(110)의 일측 단부에서 직선 형태로 연장되어 후크부(110)와 하나의 몸체를 이룬다.
체결구멍(130)은 길이연장부(120)의 일측을 관통하는데, 체결구멍(130)은 체결핀(210)이 통과하면서 자유롭게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할 정도의 직경을 가져야 하며, 길이연장부(120)도 체결구멍(130)이 형성되는 부위는 체결구멍(130)의 직경을 수용할 수 있을 정도의 폭을 가져야 한다.
체결핀(210)은 전체적으로 직선 형상의 부재로서, 체결구멍(130)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체결핀(210)의 일측 단부는 벤딩되어 잠금돌기부(220)가 형성되고, 체결핀(210)의 타측 단부는 벤딩되어 손잡이부(230)가 형성될 수 있다.
잠금돌기부(220)의 일측 단부에는 제2이탈방지부(250)가 구비되는데, 제2이탈방지부(250)는 체결구멍(130)의 내경보다 큰 크기를 가지며 잠금돌기부(220)가 체결구멍(130)에서 빠져나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일종의 스토퍼 기능을 하는 것이다.
손잡이부(230)에도 제1이탈방지부(240)가 구비되는데, 이러한 제1이탈방지부(240)는 체결구멍(130)의 내경보다 큰 크기를 가지며 체결핀(210)이 체결구멍(130)에서 빠져나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체결핀(210)은 적절한 탄성력을 가진 금속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도2는 비계 파이프에 데크 플레이트를 고정하는 고리형 체결장치의 다른 구체적 실시예를 도시한다.
후크부(110)는 곡선으로 휘어진 고리 형상의 부재로서 비계 파이프에 걸리는 역할을 한다.
길이연장부(120)는 후크부(110)의 일측 단부에서 직선 형태로 연장되어 후크부(110)와 하나의 몸체를 이룬다.
나사산부(140)는 길이연장부(120)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다.
누름대(310)는 일측 단부에 통과구멍이 형성되어 길이연장부(120)에 삽입되며, 길이연장부(120)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잠금너트(320)는 나사산부(140)에 체결되어 누름대(310)가 길이연장부(120)에서 분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누름대(310)를 눌러주는 역할을 한다.
누름대(310)의 경우도 적절한 탄성력을 가진 금속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아울러, 첨부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누름대(310)의 타측 단부의 하부면에는 데크 플레이트(520)의 골(531)의 내측 상부면과 맞닿도록 하향 돌출된 돌기가 형성될 수도 있다.
도3은 비계 파이프에 데크 플레이트를 고정하는 고리형 체결장치의 또 다른 구체적 실시예를 도시한다.
후크부(110)는 곡선으로 휘어진 고리 형상의 부재로서 비계 파이프에 걸리는 역할을 한다.
길이연장부(120)는 후크부(110)의 일측 단부에서 직선 형태로 연장되어 후크부(110)와 하나의 몸체를 이룬다.
체결구멍(130)은 길이연장부(120)의 일측을 관통하는데, 체결구멍(130)은 막대 형상의 공구를 삽입할 수 있는 정도의 직경을 가지며, 이러한 체결구멍(130)이 형성되는 길이연장부(120) 부위는 체결구멍(130)의 직경을 수용할 수 있을 정도의 폭을 가져야 한다.
코일 스프링(410)은 길이연장부(120)에 삽입되도록 장착된다.
걸림부(150)는 길이연장부(120)의 체결구멍(130)의 하부에 구비되는데, 코일 스프링(410)이 길이연장부(120)에서 이탈하여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하며, 구체적인 형상은 길이연장부(120) 외부로 돌출되는 단순한 핀 형상일 수도 있고, 길이연장부(120)의외주면을 따라 돌출되는 와샤 형상이 될 수도 있다.
즉, 길이연장부(120)에서 돌출되어 코일 스프링(41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라면 어떤 형상이라도 무방하다.
아울러 첨부 도면에 별도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코일 스프링(410)의 하단부에는 코일 스프링(410)과 함께 움직이는 와샤 형상의 부재가 부착(추가)될 수도 있다.
도4는 고리형 체결장치를 사용하여 비계 파이프(510)에 고정되는 데크 플레이트(520)의 구체적 실시예를 도시한다.
데크 플레이트(520)의 단면 구조를 보면 일정한 간격으로 골(531)이 형성되어 있고, 골(531)에는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후크통과공(532)이 구비되는 구조인데, 후크통과공(532)은 모든 골(531)에 구비될 필요는 없고 도4에 도시된 것처럼 중앙에 위치한 골(531)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도5는 도1에 도시된 고리형 체결장치의 설치방법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제1단계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 비계 파이프(510)의 상부에 데크 플레이트(520)를 거치하는 과정이다. 이러한 과정은 첨부도면에 별도로 도시되어 있지 않으며 미리 정해진 시공계획에 따라 비계 파이프(510)를 설치하고 그 위에 데크 플레이트(520)를 배치하되 서로 이웃하는 데크 플레이트(520) 사이에 빈 공간이 형성되어 그 곳을 통하여 낙하물이 떨어지지 않도록 데크 플레이트(520)의 경계 부위가 적절히 겹쳐지도록 한다.
도5는 비계 파이프(510)의 상부에 데크 플레이트(520)가 이미 설치되어 있는 것을 가정하고 그 가운데 어느 하나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2) 제2단계
데크 플레이트(520)의 상부에서 데크 플레이트(520)에 구비된 후크통과공(532)으로 고리형 체결장치의 후크부(110)를 통과시키는 과정이다.
비계 파이프(510)와 반대 방향으로 후크부(110)의 열려 있는 쪽이 향하도록 후크부(110)의 단부를 후크통과공(532)에 삽입한다.
(3) 제3단계
체결핀(210)을 잡고 고리형 체결장치를 회전시켜 후크부(110)에 비계 파이프(510)가 걸리도록 하는 과정으로서, 도5의 3번째 및 4번째 그림이 여기에 해당한다.
(4) 제4단계
체결핀(210)의 잠금돌기부(220)가 길이연장부(120)를 향하여 이동하도록 체결핀(210)을 밀어주는 과정이다.
도5의 5번째 그림처럼 체결핀(210)을 눕혀 잠금돌기부(220)가 데크 플레이트(520)의 골(531) 내측 상부면에 맞닿도록 위치를 잡은 후 6번째 그림처럼 잠금돌기부(220)가 길이연장부(120)를 향하도록 체결핀(210)을 밀어준다.
(5) 제5단계
잠금돌기부(220)가 길이연장부(120)로 접근함에 따라 데크 플레이트(520)의 골(531) 내측 상부면과 맞닿은 잠금돌기부(220)의 작용으로 비계 파이프(510)에 걸려 있는 후크부(110)가 점차 상승하여 체결핀(210)과 후크부(110) 사이에 데크 플레이트(520)와 비계 파이프(510)가 압착 고정되는 과정으로서 도5의 7번째 그림이 여기에 해당한다.
도6은 도5에 따라 설치가 완료된 상태를 위에서 내려다 본 형상과 View A-A를 도시한다.
이와 같이 고리형 체결장치를 데크 플레이트(520) 상부 작업만으로 쉽고 안전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고리형 체결장치 전체가 데크 플레이트(520)의 골(531) 내부에 위치함으로써, 데크 플레이트(520) 상부에서 작업하는 작업자들이 고리형 체결장치에 걸려 넘어질 위험도 없다.
또한, 체결핀(210)이 탄성력을 가진 금속으로 제작될 경우 적절한 탄성력이 지속적으로 작용하여 설치 후 작업자의 이동이나 풍하중에 따른 진동이 발생하더라도 체결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고리형 체결장치의 분리 순서는 별도의 도면으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위에서 언급한 제1단계 내지 제5단계의 역순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분리하는 작업도 데크 플레이트(520) 상부 작업만으로 가능하다.
첨부도면에 별도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도2에 도시된 잠금너트(320)와 누름대(310)가 구비된 고리형 체결장치의 설치방법은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진행될 수 있다.
(1) 제1단계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 비계 파이프(510)의 상부에 데크 플레이트(520)를 거치하는 과정으로서 도1에 도시된 고리형 체결장치를 이용하는 경우와 동일하거나 극히 유사한 방식으로 진행될 수 있다.
(2) 제2단계
데크 플레이트(520)의 상부에서 데크 플레이트(520)에 구비된 후크통과공(532)으로 고리형 체결장치의 후크부(110)를 통과시키는 과정으로서 도1에 도시된 고리형 체결장치를 이용하는 경우와 동일하거나 극히 유사한 방식으로 진행될 수 있다.
(3) 제3단계
누름대(310)를 잡고 고리형 체결장치를 회전시켜 후크부(110)에 비계 파이프(510)가 걸리도록 하는 과정으로서, 체결핀(210)을 사용하여 고리형 체결장치를 회전시키는 도1에 도시된 고리형 체결장치를 이용하는 경우와 극히 유사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4) 제4단계
고리형 체결장치의 길이연장부(120)에 체결된 잠금너트(320)를 돌려서 조여주는 과정으로서 잠금너트(320)를 조여주면 잠금너트(320)가 누름대(310)를 눌러주게 된다.
(5) 제5단계
잠금너트(320)를 조여줌에 따라 잠금너트(320)가 누름대(310)를 눌러주게 되고, 이에 따른 반작용으로 후크부(110)가 상승하면서 누름대(310)와 후크부(110) 사이에 데크 플레이트(520)와 비계 파이프(510)가 압착 고정될 수 있다.
즉, 데크 플레이트(520) 상부에서 모든 설치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분리하는 과정도 이의 역순으로 데크 플레이트(520) 상부에서 진행하면 된다.
첨부도면에 별도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도3에 도시된 코일 스프링(410)이 구비된 고리형 체결장치의 설치방법은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진행될 수 있다.
(1) 제1단계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 비계 파이프(510)의 상부에 데크 플레이트(520)를 거치하는 과정으로서 도1의 고리형 체결장치를 이용하는 경우와 동일하거나 극히 유사한 방식으로 진행될 수 있다.
(2) 제2단계
데크 플레이트(520)의 상부에서 데크 플레이트(520)에 구비된 후크통과공(532)으로 고리형 체결장치의 후크부(110)를 통과시키는 과정으로서, 도1의 고리형 체결장치를 이용하는 경우와 동일하거나 극히 유사한 방식으로 진행될 수 있다.
(3) 제3단계
길이연장부(120)의 체결구멍(130)에 막대 형상의 공구를 삽입한 후 길이연장부(120)의 상단부를 눌러 코일 스프링(410)을 압착하면서 공구를 잡고 돌려 고리형 체결장치를 회전시키고,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후크부(110)에 비계 파이프(510)가 수용되어 걸리도록 한다.
(4) 제4단계
길이연장부(120)의 상단부를 눌러주던 힘을 제거하면 압착되었던 코일 스프링(410)이 복귀하면서 코일 스프링(410)의 탄성력으로 코일 스프링(410)과 후크부(110) 사이에 데크 플레이트(520)와 비계 파이프(510)가 압착 고정되고, 막대 형상의 공구는 체결구멍(130)에서빼내어 분리시킨다.
즉, 데크 플레이트(520) 상부에서 모든 설치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분리하는 과정도 이의 역순으로 데크 플레이트(520) 상부에서 진행하면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변경, 공지기술의 부가나 삭제, 단순한 수치한정 등의 경우에도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함을 분명히 한다.
110:후크부
120:길이연장부
130:체결구멍
140:나사산부
150:걸림부
210:체결핀
220:잠금돌기부
230:손잡이부
240:제1이탈방지부
250:제2이탈방지부
310:누름대
320:잠금너트
410:코일 스프링
510:비계 파이프
520:데크 플레이트
531:골 532:후크통과공

Claims (8)

  1. 비계 파이프에 데크 플레이트를 고정하는 고리형 체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곡선으로 휘어진 고리 형상의 부재로서 비계 파이프에 걸리는 후크부(110);
    상기 후크부(110)의 일측 단부에서 직선 형태로 연장되어 상기 후크부(110)와 하나의 몸체를 이루는 길이연장부(120);
    상기 길이연장부(120)의 일측을 관통하는 체결구멍(130);
    직선 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체결구멍(130)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체결핀(210); 및,
    상기 체결핀(210)의 일측 단부가 벤딩되어 형성되는 잠금돌기부(22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리형 체결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체결핀(210)의 타측 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체결구멍(130)의 내경보다 큰 크기를 가지며 상기 체결핀(210)이 상기 체결구멍(130)에서 빠져나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이탈방지부(240); 및,
    상기 잠금돌기부(220)의 일측 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체결구멍(130)의 내경보다 큰 크기를 가지며 상기 잠금돌기부(220)가 상기 체결구멍(130)에서 빠져나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이탈방지부(250);
    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리형 체결장치.
  3. 제2항에서,
    상기 체결핀(210)의 타측 단부가 벤딩되어 형성되는 손잡이부(230);
    가 더 포함되고, 상기 제1이탈방지부(240)는 상기 손잡이부(230)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리형 체결장치.
  4. 비계 파이프에 데크 플레이트를 고정하는 고리형 체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곡선으로 휘어진 고리 형상의 부재로서 비계 파이프에 걸리는 후크부(110);
    상기 후크부(110)의 일측 단부에서 직선 형태로 연장되어 상기 후크부(110)와 하나의 몸체를 이루는 길이연장부(120);
    상기 길이연장부(120)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나사산부(140);
    일측 단부에 통과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길이연장부(120)에 삽입되며 상기 길이연장부(120)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누름대(310); 및,
    상기 나사산부(140)에 체결되어 상기 누름대(310)가 상기 길이연장부(120)에서 분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상기 누름대(310)를 눌러주는 잠금너트(32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리형 체결장치.
  5. 비계 파이프에 데크 플레이트를 고정하는 고리형 체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곡선으로 휘어진 고리 형상의 부재로서 비계 파이프에 걸리는 후크부(110);
    상기 후크부(110)의 일측 단부에서 직선 형태로 연장되어 상기 후크부(110)와 하나의 몸체를 이루는 길이연장부(120);
    상기 길이연장부(120)의 일측을 관통하는 체결구멍(130);
    상기 길이연장부(120)에 삽입되는 코일 스프링(410); 및,
    상기 길이연장부(120)의 체결구멍(130)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코일 스프링(410)의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부(150);
    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리형 체결장치.
  6. 제2항에 기재된 고리형 체결장치의 설치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 비계 파이프(510)의 상부에 데크 플레이트(520)를 거치하는 제1단계;
    데크 플레이트(520)의 상부에서 데크 플레이트(520)에 구비된 후크통과공(532)으로 고리형 체결장치의 후크부(110)를 통과시키는 제2단계;
    체결핀(210)을 잡고 고리형 체결장치를 회전시켜 후크부(110)에 비계 파이프(510)가 걸리도록 하는 제3단계;
    체결핀(210)의 잠금돌기부(220)가 길이연장부(120)를 향하여 이동하도록 체결핀(210)을 밀어주는 제4단계; 및,
    잠금돌기부(220)가 길이연장부(120)로 접근함에 따라 비계 파이프(510)에 걸려 있는 후크부(110)가 상승하여 체결핀(210)과 후크부(110) 사이에 데크 플레이트(520)와 비계 파이프(510)가 압착 고정되는 제5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리형 체결장치의 설치방법.
  7. 제4항에 기재된 고리형 체결장치의 설치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 비계 파이프(510)의 상부에 데크 플레이트(520)를 거치하는 제1단계;
    데크 플레이트(520)의 상부에서 데크 플레이트(520)에 구비된 후크통과공(532)으로 고리형 체결장치의 후크부(110)를 통과시키는 제2단계;
    누름대(310)를 잡고 고리형 체결장치를 회전시켜 후크부(110)에 비계 파이프(510)가 걸리도록 하는 제3단계;
    고리형 체결장치의 길이연장부(120)에 체결된 잠금너트(320)를 돌려서 조여주는 제4단계; 및,
    잠금너트(320)를 조여줌에 따라 잠금너트(320)가 누름대(310)를 눌러주게 되고, 이에 따라 누름대(310)와 후크부(110) 사이에 데크 플레이트(520)와 비계 파이프(510)가 압착 고정되는 제5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리형 체결장치의 설치방법.
  8. 제5항에 기재된 고리형 체결장치의 설치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 비계 파이프(510)의 상부에 데크 플레이트(520)를 거치하는 제1단계;
    데크 플레이트(520)의 상부에서 데크 플레이트(520)에 구비된 후크통과공(532)으로 고리형 체결장치의 후크부(110)를 통과시키는 제2단계;
    길이연장부(120)의 체결구멍(130)에 막대 형상의 공구를 삽입한 후 길이연장부(120)의 상단부를 눌러주면서 공구를 잡고 고리형 체결장치를 회전시켜 후크부(110)에 비계 파이프(510)가 걸리도록 하는 제3단계; 및,
    코일 스프링(410)의 탄성력으로 코일 스프링(410)과 후크부(110) 사이에 데크 플레이트(520)와 비계 파이프(510)가 압착 고정되는 제4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리형 체결장치의 설치방법.
KR1020220114066A 2022-09-08 2022-09-08 고리형 체결장치 및 설치방법 KR202400350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4066A KR20240035069A (ko) 2022-09-08 2022-09-08 고리형 체결장치 및 설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4066A KR20240035069A (ko) 2022-09-08 2022-09-08 고리형 체결장치 및 설치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5069A true KR20240035069A (ko) 2024-03-15

Family

ID=90272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4066A KR20240035069A (ko) 2022-09-08 2022-09-08 고리형 체결장치 및 설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3506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6665B1 (ko) 지지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낙하방지용 안전망 지지장치
US11377864B2 (en) Compression post with visual indication system
US11286681B2 (en) Compression post with retainer clip
CN110593544A (zh) 一种钢柱安全操作平台
KR20240035069A (ko) 고리형 체결장치 및 설치방법
AU2021200758A1 (en) Attachment Point for Safely Working at Heights
CN210888012U (zh) 一种钢柱安全操作平台
KR101607665B1 (ko) 갱폼 고정장치
KR200417314Y1 (ko) 낙하물 방지장치
KR200441865Y1 (ko) 선체블록작업용 가설난간 지주대
KR200482903Y1 (ko) 생명선 설치용 지주
KR200489666Y1 (ko) 건설현장 계단용 난간대
JP4944678B2 (ja) 安全帯等の支持具
KR101185578B1 (ko) 강교용 가설브래킷
KR20080005217U (ko) U볼트형 가설물 고정장치
JP3668475B2 (ja) 屋根作業用安全装置
US8186024B2 (en) O-clip vertical support fastener
CN108643550B (zh) 悬挑脚手架限位装置及施工方法
JP5476738B2 (ja) スレート屋根用安全設備
KR200375319Y1 (ko) 안전작업을 위한 로프 고정대
JP5812554B1 (ja) 親綱係留用支柱の取付金具及び取付構造
KR200175311Y1 (ko) 고하중용 비계
AU2008100819A4 (en) Demolition Safetynet - DEMONET
CN220150850U (zh) 脚手板固定器
KR20070119843A (ko) 갱폼 추락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