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7053B1 - 대형 중공체의 내경 엔씨가공 전용장치 - Google Patents

대형 중공체의 내경 엔씨가공 전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7053B1
KR100997053B1 KR1020100072769A KR20100072769A KR100997053B1 KR 100997053 B1 KR100997053 B1 KR 100997053B1 KR 1020100072769 A KR1020100072769 A KR 1020100072769A KR 20100072769 A KR20100072769 A KR 20100072769A KR 100997053 B1 KR100997053 B1 KR 1009970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d
hollow body
cutting arm
large hollow
cooling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27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해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해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해정
Priority to KR10201000727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70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70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70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5/00Turning-machine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work;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23B5/08Turning-machine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work;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turning axles, bars, rods, tubes, rolls, i.e. shaft-turning lathes, roll lathes; Centreless tur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5/00Turning-machine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work;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23B5/08Turning-machine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work;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turning axles, bars, rods, tubes, rolls, i.e. shaft-turning lathes, roll lathes; Centreless turning
    • B23B5/12Turning-machine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work;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turning axles, bars, rods, tubes, rolls, i.e. shaft-turning lathes, roll lathes; Centreless turning for peeling bars or tubes by making use of cutting bits arranged around the workpie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3/00Milling particular work; Special milling operations; Machines therefor
    • B23C3/02Milling surfaces of revolution
    • B23C3/04Milling surfaces of revolution while revolving the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chine Tool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길이가 길어 일반 선반에서는 작업이 불가능한 중공체의 내경 가공을 위한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베드; 상기 베드의 일단부 상측에 결합되며 대형 중공체의 일측단부를 파지하여 회전동작되는 고정척이 형성되는 주축대; 상기 주축대와 마주보게 상기 베드 상면에 마련되는 설치대; 상기 설치대 상면에 형성되어 상기 베드의 길이방향인 Y축 방향으로 직선이동될 수 있으며 일측단부에는 절삭팁이 부착되는 절삭아암; 상기 주축대와 설치대 사이로 상기 베드 위에 마련되어 상기 대형 중공체의 하부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중공체의 내경 엔씨가공 전용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대형 중공체의 내경 엔씨가공 전용장치{EXCLUSIVE USE NC APPARATUS FOR WORKING A BORE}
본 발명은 길이가 길어 일반 선반에서는 작업이 불가능한 대형 중공체의 내경 가공을 위한 기술에 대한 것이다.
금속소재의 절삭가공에 있어서 가장 보편적인 장치가 선반이라 할 수 있고 그 외 밀링머신 등이 있다. 특히 선반은 범용장치로서 다양한 가공이 가능하며 근래에는 NC, CNC 선반이 보급되고 있다. 통상 이와 같은 자동화 장비를 NC 장치라 부른다.
길이가 짧고 직경이 그다지 크지 않은 소재의 경우 일반 선반이나 NC 선반을 이용하여 소재의 내경 또는 외경가공이 가능하지만 대형 중공체의 경우에는 작업 자체가 불가능하게 된다. 여기에서 대형 중공체라 함은 직경이 대략 1~3m 정도에 길이는 2~7m에 이르는 정도의 중공체를 말한다.
종래기술로서 일반 선반이나 NC 장치에 장착이 불가능할 정도의 길이가 긴 대형 중공체의 내경 가공은 아래와 같은 방법에 의하여 이루어졌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대한 개략적인 장치 구성도를 보여준다.
도시된 바와 같이 대형 중공체(10)를 고정시켜두고 대형 중공체의 내부로 회전되는 절삭수단(20)을 투입하여 소정의 형상으로 내경 가공을 하였었다. 하지만 절삭수단(20)이 회전되어야 하기 때문에 탭 가공시와 같이 대형 중공체(10)의 중심축을 따라 직선이동시키면서 내경을 확장하거나 매끈하게 가공할 수는 있었으나, 대형 중공체의 내경면에 내경 사이즈가 달라지는 단차 부위가 있는 제품의 가공시에는 절삭수단의 회전과 함께 절삭수단을 공전되게 제어해야 하기 때문에 이와 같은 장치의 제작에는 많은 어려움과 비용적인 부담이 있었다. 또한, 대형 중공체의 내경 가공시에는 절삭시 열이 많이 발생되기 때문에 열에 의한 회전축이나 절삭수단의 열변형을 초래하게 되는데 이에 대한 적절한 대비책이 없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대형 중공체의 내경 가공에 적합한 전용 가공장치로서 대형 중공체의 내경면에 대한 복잡한 형상으로의 가공이 가능하며 자동화 가능하고 보다 정밀한 가공이 이루어질 수 있는 내경 NC가공 전용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제시한 바와 같은 과제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대형 중공체의 내경 엔씨가공
전용장치는, 베드; 상기 베드의 일단부 상측에 결합되며 대형 중공체의 일측단부를 파지하여 회전동작되는 고정척이 형성되는 주축대; 상기 주축대와 마주보게 상기 베드 상면에 마련되는 설치대; 상기 설치대 상면에 형성되어 상기 베드의 길이방향인 Y축 방향으로 직선이동될 수 있으며 일측단부에는 절삭팁이 부착되는 절삭아암; 상기 주축대와 설치대 사이로 상기 베드 위에 마련되어 상기 대형 중공체의 하부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 절삭아암은, 외면에 나선홈이 형성되어 회전되도록 상기 설치대에 마련되는 회전체와 맞물리도록 상기 절삭아암 외면 일측면에 연속적인 물림홈이 형성되어 상기 절삭아암의 직선이동이 이루어지며, 상기 절삭아암 외면에는 직선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함몰된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설치대에는 가이드홈에 끼워지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 절삭아암은, 내부에 빈 공간인 냉각챔버가 형성되되, 상기 냉각챔버는 길이방향으로 격벽에 의해 제1냉각챔버와 제2냉각챔버로 구분되고 상기 제1냉각챔버로 냉각수가 유입된 후 상기 냉각수는 제2냉각챔버로 유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 절삭아암은, 상기 설치대 위에 마련되는 다수의 지지블럭에 의해 외면이 감싸여지면서 지지되고, 상기 설치대는 하부 설치대와 상부 설치대로 구분되되, 상기 하부 설치대는 상기 베드 위에 결합되고 상기 상부 설치대는 상기 하부 설치대에 대해 Y축 방향과 직각인 X축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대형 중공체의 내경 엔씨가공 전용장치는 대형 중공체에 대한 내경 가공을 자동적으로 진행시킬 수 있고 가공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절삭 작업시에 지속적으로 냉각수가 절삭아암 내부로 공급되어 냉각작용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절삭아암의 열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대한 개략적인 장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대형 중공체의 내경 엔씨가공 전용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3은 도 2에 대한 정면도.
도 4는 도 2에 대한 측면도.
도 5는 절삭아암의 내부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6은 대형 중공체의 내경 엔씨가공 전용장치의 개념도.
도 7은 절삭아암에 대한 확대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대형 중공체의 내경 엔씨가공의 한 예를 보여주는 예시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첨부되는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대형 중공체의 내경 엔씨가공 전용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며, 도 3은 정면도이고, 도 4는 측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절삭아암의 내부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6은 대형 중공체의 내경 엔씨가공 전용장치의 개념도이며, 도 7은 절삭아암에 대한 확대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대형 중공체의 내경 엔씨가공 전용장치는 크게 베드(100), 주축대(200), 설치대(300), 절삭아암(400) 및 지지대(500)를 포함하게 된다. 본 발명의 대형 중공체의 내경 엔씨가공 전용장치는 통상의 NC장치와 같이 가공전에 프로그래밍을 하여 저장시켜 두도록 함으로써 반복적인 작업을 자동적으로 연속 실시하게 된다. NC 장치에서의 프로그래밍은 대형 중공체(10)의 형상과 치수를 고려하여 특정 좌표를 기준으로 하여 작성되는 것이며 이와 같은 프로그래밍 자체는 공지의 기술인 바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지면상에 길다란 베드(100)가 마련되며 상기 베드(100)의 일단부 상측에 주축대(200)가 결합된다. 상기 주축대(200)에는 대형 중공체(10)의 일측단부를 파지하게 되는 고정척(210)이 마련되며, 상기 고정척(210)은 주축대(200)에 구비되는 모터(미도시)에 의해 회전하게 된다.
상기 주축대(200)와 마주보게 상기 베드(100)의 타단부에 설치대(300)가 마련되며 상기 설치대(300) 위에 절삭아암(400)이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주축대(200)와 설치대(300) 사이의 상기 베드(100) 위에 대형 중공체(10)의 하부를 회전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지지대(500)가 마련된다.
상기 절삭아암(400)의 일단부에는 절삭팁(410)이 결합되며 베드(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절삭아암(400)은 직선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인 설명에 앞서 베드(100)의 길이방향을 Y축이라 하며, Y축과 직교되는 방향을 X축이라 한다.
바람직하게 본 실시예에서 설치대(300)는 하부 설치대(300a)와 상부 설치대(300b)로 구분되는 것으로 하며, 하부 설치대(300a)는 베드(100) 위의 임의의 지점에서 고정되며 대형 중공체(10)의 길이에 따라 하부 설치대(300a)의 위치는 조정될 수 있다. 베드(100)의 길이방향인 Y축에 대해 직교되는 X축 방향으로 하부 설치대(300a)는 결합되며, 상기 하부 설치대(300a) 상면에 상부 설치대(300b)가 결합되고 상부 설치대(300b)는 하부 설치대(300a)에 대해 X축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
하부 설치대(300a)에 대해 상부 설치대(300b)가 X축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하부 설치대(300a) 상면에는 제1모터(M1)가 설치되며, 제1모터(M1)의 구동력을 받아 회전되는 스크류(310)가 하부 설치대(300a) 상면에 X축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부 설치대(300b)는 스크류(310)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제1모터(M1)가 회전되면 고정된 하부 설치대(300a)에 대해 상부 설치대(300b)는 X축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게 된다. 하부 설치대(300a)에 대해 상부 설치대(300b)가 X축 방향으로 안정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부 설치대(300a)와 상부 설치대(300b)는 상호 안내레일(320)과 같은 수단으로 구속되는 것으로 함이 바람직하다.
X축 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는 상부 설치대(300b) 상부에 Y축 방향으로 배치되어 이동되는 절삭아암(400)이 마련되는데, 상기 절삭아암(400)은 다수의 지지블럭(600)에 의해 감싸여지면서 설치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부 설치대(300b)의 Y축 방향 좌우 끝단부에 하나씩의 지지블럭(600)이 마련되는 것으로 하고 절삭아암(400)은 두 지지블럭(600)에 의해 상부 설치대(300b) 위에서 Y축 방향으로 직선 이동될 수 있는 구조가 된다.
대형 중공체 내경에 대한 절삭 가공시에 절삭아암(400)은 상부 설치대(300b)로부터 길게 돌출되기 때문에 절삭저항에 의해 절삭아암(400)에는 굽힘모멘트가 작용된다. 굽힘모멘트로 인해 절삭아암(400)의 위치가 변경되면 정밀한 가공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격거리를 두고 두개의 지지블럭(600)을 상부 설치대(300b)에 배치하여 절삭아암(400)이 두 지점에서 지지되게 함으로써 굽힘모멘트가 작용하게 되더라도 절삭아암(400)이 Y축을 벗어나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절삭아암(400)은 길다란 봉상부재인 것으로 하며 그 일측단부에는 절삭팁(410)이 부착되고 외주면 일측에는 Y축 방향을 따라 소정의 구간에 걸쳐서 물림홈(420)이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절삭아암(400)은 지지블럭(600)에 의해 지지된 채 Y축 방향을 따라 이동되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 상부 설치대(300b)에는 제2모터(M2)가 설치되며 제2모터(M2)와 연결되어 회전되는 회전체(700)는 절삭아암(400)에 형성되는 물림홈(420)과 치합된다.
즉, 회전체(700)는 원통형상으로 외면에 나선홈(71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나선홈(710)이 절삭아암(400)에 형성되는 물림홈(420)과 맞물리게 됨으로써 상기 회전체(700)가 회전되면 절삭아암(400)은 직선 운동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회전체(700)와 물림홈(420)은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시킬 수 있는 수단을 의미하는 것이며 서로 맞물린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베드(100) 위에는 대형 중공체(10)가 안정적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지지대(500)가 설치되며, 지지대(500)는 중공체(10)의 하부에서 회전가능하도록 지지하게 된다. 지지대(500)는 주축대(200)와 설치대(300) 사이에서 베드(100)와 결합되며 중공체(10)의 사이즈에 따라 지지대(500)의 위치는 가변될 수 있다. 중공체(10)의 일단이 주축대(200)의 고정척(210)에 물린 상태에서 회전되기 때문에 지지대(500)를 중공체(10)의 타단부 근처에 위치시켜 중공체(10)의 하부를 지지토록 함으로써 중공체가 안정적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바람직하게 지지대(500)는 베드(100) 상면에 결합되며, 오목한 형태를 이루는 연결구(510)와 상기 연결구(510)에 결합되어 회전되는 롤러(520)로 구성되고, 롤러(520)가 중공체(10)와 접촉된 상태에서 중공체의 회전시 함께 회전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절삭아암(400)의 외면에는 함몰된 가이드홈(430)을 두는 것으로 하며, 가이드홈(430)은 Y축 방향을 따라 소정구간에 걸쳐 형성되고 상부 설치대(300b)에는 가이드홈(430)에 끼워지는 가이드돌기(P)를 두어서 절삭아암(400)의 직선이동을 안내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절삭아암(400)의 Y축 방향 이동시에 직진 이동될 수 있도록 하며, 중공체(10)에 대한 절삭 가공시에 절삭팁(410)을 통해 전달되는 회전모멘트에 의해 절삭아암(400)이 흔들리거나 회전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가이드홈(430)에 가이드돌기(P)가 끼워지도록 구성한다.
절삭아암(400) 외면에 형성될 가이드홈(430)의 위치는 필요에 따라 물림홈(420)과 겹치지 않는 곳이라면 어디라도 형성시킬 수 있을 것이며, 본 실시예에서는 절삭아암(400)의 하부면에 가이드홈(430)이 형성되는 것으로 하고 상부 설치대(300b)의 상면에 가이드돌기(P)를 두어서 가이드홈(430)에 끼워질 수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절삭 가공시에는 높은 열이 발생되며 고온의 열을 적절히 식혀줄 필요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절삭아암(400)의 내부에 빈 공간을 이루는 냉각챔버(440)를 두는 것으로 하며 상기 냉각챔버(440)에 냉각수를 공급시켜서 냉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절삭 가공시 수반되는 열이 절삭아암(400)에 축적되면 절삭아암(400)은 열변형을 일으키게 되고, 이로 인해 절삭아암(400)의 직선 이동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고 약화된 절삭아암(400)은 굽힘모멘트에 취약하게 되는 문제점에 노출되는 바 적절한 냉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삭아암(400)에서 이루어지는 냉각작용을 위해 절삭아암(400)의 내부에 냉각챔버(440)를 형성시키되, 절삭팁(410)이 결합되는 절삭아암(400)의 반대측 단부면에 냉각챔버(440)로 도달되는 냉각수 주입라인(450)과 냉각수 유출라인(460)을 하나씩 두도록 한다. 냉각수 주입라인(450)을 통해 공급된 냉각수는 냉각수 유출라인(460)을 통해 배출되어 적정한 온도의 냉각수에 의한 냉각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냉각챔버(440)는 길이방향으로 격벽(470)에 의해 제1냉각챔버(440a)와 제2냉각챔버(440b)로 구분되도록 하며, 상기 격벽(470)은 절삭팁(410)이 부착되는 절삭아암(400)의 일측단부 근처에 가까운 위치에 결합되는 것으로 한다. 도시된 것처럼 절삭팁(410) 근처의 좁은 공간을 갖는 것을 제1냉각챔버(440a)라 하며 상대적으로 넓은 공간을 갖는 공간부를 제2냉각챔버(440b)라 부르도록 한다.
냉각수 주입라인(450)은 상기 격벽(470)을 관통하여 제1냉각챔버(440a)에 이르게 되는 긴 파이프이며 이에 비해 냉각수 유출라인(460)은 길이가 짧은 파이프와 같은 것이다. 이를 위해 격벽(470)에는 냉각수 주입라인(450)이 관통될 수 있는 관통홀(471)을 두도록 하며, 또한 제1냉각챔버(440a)에서 제2냉각챔버(440b)로 냉각수가 흘러 넘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개방구(472)를 두도록 한다.
냉각수 주입라인(450)를 통해 제1냉각챔버(440a)로 공급되는 냉각수는 절삭팁(410)에 의한 절삭가공시에 발생되는 열을 냉각시키게 되며 개방구(472)를 통해서 제2냉각챔버(440b)로 넘쳐 흐르게 된다. 관통홀(471)은 격벽(470)의 하부측 근처에 형성되며 개방구(472)는 격벽(470)의 상단에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격벽(470)의 상단부를 편평하게 깍아 제1냉각챔버(440a)의 내경면과 이격되게 함으로써 냉각수가 넘쳐 흐를 수 있는 개방구(472)가 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의 절삭아암(400)은 길이가 긴 부재로서 설치대(300)로부터 길게 돌출된 상태에서 절삭 가공으로 인한 발생열로 인해 상기 절삭아암(400)이 하방으로 미소하게라도 굽혀질 수 있는 바, 절삭아암(400) 내부에 냉각챔버(440)를 두어 절삭이 이루어지는 동안 바로 냉각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열에 의한 절삭아암(400)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절삭팁(410)과 가까울수록 절삭아암(400)의 온도가 높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는 냉각챔버(440)를 제1냉각챔버(440a)와 제2냉각챔버(440b)로 구분하여 냉각수가 제1냉각챔버(440a)로 먼저 공급된 후 1차 열교환이 이루어지게 한 다음 개방구(472)를 통해 제2냉각챔버(440b)로 이동되어 2차 열교환 후 냉각수 유출구(460)로 배출되도록 한다.
한편, 첨부되는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대형 중공체(10)의 내경 엔씨가공의 한 예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대형 중공체(10)의 내경면을 확장 가공하되 내경이 증가되어 함몰되는 단차부(11)가 형성되도록 연속적인 가공이 가능하다.
대형 중공체(10)를 회전되게 하는 상태에서 절삭아암(400)을 Y축 방향으로 직선이동시키면서 내경 절삭가공을 하게 되며, 단차부(11)의 가공시에는 절삭깊이를 증대시키기 위해 절삭아암(400)이 소정량만큼 X축 방향으로 이동되게 함으로써 단차부에 대한 가공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대형 중공체의 내경 엔씨가공 전용장치는 일반적인 선반이나 엔씨(NC)장비에서는 가공이 곤란한 길이가 길고 직경이 큰 중공체의 내경 가공시에 중공체를 안정적으로 회전되게 하는 상태에서 절삭팁이 결합된 절삭아암을 프로그래밍된 입력치에 따라 X축, Y축 방향으로 자동제어되게 하면서 내경에 대한 절삭작업을 효과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길이가 긴 중공체에 대한 내경 가공이라는 특수성을 고려하여 절삭팁이 부착되는 절삭아암의 안정적인 직선운동을 위해 이격거리를 두고 두개의 지지블럭으로 감싸 지지토록 하되, 외면에 가이드홈을 형성시켜 설치대에 형성되는 가이드돌기와 끼워져 직선운동이 되게 하며, 구체적인 직선운동은 회전체와 물림홈의 상호 결합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절삭아암에는 냉각챔버를 두어서 절삭 작업시 곧바로 냉각수에 의한 효과적인 냉각작용이 이루어지게 하여 절삭아암의 변형을 억제함으로써 우수한 가공특성을 가지도록 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일 뿐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대형의 중공체에 대한 내경 가공시에 활용될 수 있다.
100 : 베드 200 : 주축대
210 : 고정척 300 : 설치대
300a: 하부 설치대 300b: 상부 설치대
310 : 스크류 320 : 안내레일
400 : 절삭아암 410 : 절삭팁
420 : 물림홈 430 : 가이드홈
440 : 냉각챔버 440a: 제1냉각챔버
440b: 제2냉각챔버 450 : 냉각수 주입라인
460 : 냉각수 유출라인 470 : 격벽
471 : 관통홀 472 : 개방구
500 : 지지대 510 : 연결구
520 : 롤러 600 : 지지블럭
700 : 회전체 710 : 나선홈
P : 가이드돌기 M1 : 제1모터
M2 : 제2모터 10 : 중공체

Claims (4)

  1. 삭제
  2. 베드;
    상기 베드의 일단부 상측에 결합되며 대형 중공체의 일측단부를 파지하여 회전동작되는 고정척이 형성되는 주축대;
    상기 주축대와 마주보게 상기 베드 상면에 마련되는 설치대;
    상기 설치대 상면에 형성되어 상기 베드의 길이방향인 Y축 방향으로 직선이동될 수 있으며 일측단부에는 절삭팁이 부착되는 절삭아암;
    상기 주축대와 설치대 사이로 상기 베드 위에 마련되어 상기 대형 중공체의 하부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이되,
    외면에 나선홈이 형성되어 회전되도록 상기 설치대에 마련되는 회전체와 맞물리도록 상기 절삭아암 외면 일측면에 연속적인 물림홈이 형성되어 상기 절삭아암의 직선이동이 이루어지며, 상기 절삭아암 외면에는 직선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함몰된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설치대에는 가이드홈에 끼워지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중공체의 내경 엔씨가공 전용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절삭아암은,
    내부에 빈 공간인 냉각챔버가 형성되되, 상기 냉각챔버는 길이방향으로 격벽에 의해 제1냉각챔버와 제2냉각챔버로 구분되고 상기 제1냉각챔버로 냉각수가 유입된 후 상기 냉각수는 제2냉각챔버로 유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중공체의 내경 엔씨가공 전용장치.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절삭아암은,
    상기 설치대 위에 마련되는 다수의 지지블럭에 의해 외면이 감싸여지면서 지지되고,
    상기 설치대는 하부 설치대와 상부 설치대로 구분되되, 상기 하부 설치대는 상기 베드 위에 결합되고 상기 상부 설치대는 상기 하부 설치대에 대해 Y축 방향과 직각인 X축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중공체의 내경 엔씨가공 전용장치.
KR1020100072769A 2010-07-28 2010-07-28 대형 중공체의 내경 엔씨가공 전용장치 KR1009970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2769A KR100997053B1 (ko) 2010-07-28 2010-07-28 대형 중공체의 내경 엔씨가공 전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2769A KR100997053B1 (ko) 2010-07-28 2010-07-28 대형 중공체의 내경 엔씨가공 전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97053B1 true KR100997053B1 (ko) 2010-11-29

Family

ID=43410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2769A KR100997053B1 (ko) 2010-07-28 2010-07-28 대형 중공체의 내경 엔씨가공 전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705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4542B1 (ko) * 2016-08-04 2018-04-13 주식회사 케이엔테크 컨베이어용 롤러 가공장치
KR20220102714A (ko) * 2021-01-14 2022-07-21 정정환 포열의 강선 가공장치 및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71202A (ja) * 1982-03-31 1983-10-07 Sumitomo Metal Ind Ltd 鋼管の内面多刃切削方法
JP2000042801A (ja) * 1998-07-27 2000-02-15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管状長尺物用加工機
JP2005007560A (ja) 2003-06-23 2005-01-13 Canon Inc 円筒内面加工方法および加工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71202A (ja) * 1982-03-31 1983-10-07 Sumitomo Metal Ind Ltd 鋼管の内面多刃切削方法
JP2000042801A (ja) * 1998-07-27 2000-02-15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管状長尺物用加工機
JP2005007560A (ja) 2003-06-23 2005-01-13 Canon Inc 円筒内面加工方法および加工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4542B1 (ko) * 2016-08-04 2018-04-13 주식회사 케이엔테크 컨베이어용 롤러 가공장치
KR20220102714A (ko) * 2021-01-14 2022-07-21 정정환 포열의 강선 가공장치 및 방법
KR102506008B1 (ko) * 2021-01-14 2023-03-07 정정환 포열의 강선 가공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9202247A (ja) 工作機械及び該工作機械を用いたワークの内表面加工方法
JP6765430B2 (ja) 細穴放電加工機
TWI529028B (zh) Working machinery
JP2008238374A (ja) ガイドブッシュを備えた数値制御旋盤及びこの数値制御旋盤を用いたワークの加工方法
WO2018179280A1 (ja) 主軸装置
JP5968000B2 (ja) 歯車加工機械
KR100997053B1 (ko) 대형 중공체의 내경 엔씨가공 전용장치
JP6956114B2 (ja) フライス加工およびレーザードリル加工システム
JP4311686B2 (ja) プリント基板の加工方法
KR101257568B1 (ko) 백보링 가공이 가능한 절삭용 가공장치
JP5092121B2 (ja) スピンドルユニット
KR100997051B1 (ko) 내경 엔씨가공 전용장치를 이용한 대형 중공체의 내경 가공방법
JP5887158B2 (ja) 加工工具および工作機械
KR100988275B1 (ko) 대형 중공체의 내경 엔씨가공 전용장치의 2축 제어기구
RU2718947C2 (ru) Токарный станок и направляющая втулка
JP5580022B2 (ja) 加工方法及び加工装置
KR101003395B1 (ko) 대형 중공체의 내경 엔씨가공 전용장치의 절삭아암 냉각구조
JP3415833B2 (ja) 端面加工機
JP4971027B2 (ja) 工作機械
KR200277665Y1 (ko) 파이프절단장치
JP2015033755A (ja) 圧延ロールの加工装置
JP2018024060A (ja) 歯切り工具、歯車加工装置及び歯車加工方法
CN105234442B (zh) 用于加工内孔的刀具和系统
JP6539453B2 (ja) 細穴放電加工機
KR101476770B1 (ko) 파이프 제작 가공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