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5999B1 - 소비 전류를 줄이기 위한 블루투스 모듈이 구비된 휴대용단말기 간의 인터콤 연결 방법 - Google Patents

소비 전류를 줄이기 위한 블루투스 모듈이 구비된 휴대용단말기 간의 인터콤 연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5999B1
KR100995999B1 KR1020030041149A KR20030041149A KR100995999B1 KR 100995999 B1 KR100995999 B1 KR 100995999B1 KR 1020030041149 A KR1020030041149 A KR 1020030041149A KR 20030041149 A KR20030041149 A KR 20030041149A KR 100995999 B1 KR100995999 B1 KR 1009959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terminal
intercom
transmitting
receiving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11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00671A (ko
Inventor
박정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411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5999B1/ko
Publication of KR200500006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06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59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59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2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where the received signal is a wanted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2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with bell or annunciator systems
    • H04M11/025Door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Bluetooth inte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소비 전류를 줄이기 위한 블루투스 모듈이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 간의 인터콤 연결 방법이 개시된다. 휴대용 단말기 간의 인터콤 연결 방법은, 송신 휴대용 단말기가 인터콤 기능 동작 시 인터콤 모드 전환을 요청하는 제1커멘드를 수신 휴대용 단말기에 전송하는 과정과, 수신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제1커멘드를 수신하면, 블루투스모듈을 구동시켜 인터콤모드로 전환하고, 인터콤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수신대기(Page scan)상태임을 알리는 제2커맨드를 송신 휴대용 단말기에 전송하는 과정과, 송신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제2커멘드 수신 시 통신을 위한 연결요청신호를 수신 휴대용 단말기에 전송하는 과정과, 수신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연결요청신호 수신 시 연결요청에 대한 확인정보를 송신 휴대용 단말기에 전송하여 송신 휴대용 단말기와 수신 휴대용 단말기의 연결이 설정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인터콤, 블루투스, 휴대폰, 휴대용 단말기, 전류 소비, 최소화, 수신대기

Description

소비 전류를 줄이기 위한 블루투스 모듈이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 간의 인터콤 연결 방법{INTERCOM CONNECTING METHOD BETWEEN MOBILE TERMINALS HAVING A BLUETOOTH MODULE FOR REDUCING CURRENT CONSUMPTION}
도 1은 인터콤으로 이용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를 간략하게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류 소비를 줄이기 위해 블루투스 인터콤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 간에 인터콤 연결 방법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류 소비를 줄이기 위해 블루투스 인터콤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 간에 인터콤 연결 방법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블루투스 인터콤(Bluetooth Intercom)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블루투스 인터콤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들 간에 통신에 따른 소비 전류를 최소화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블루투스는 문자데이터, 음성데이터, 비디오데이터와 같은 정보를 10 내지 100m내의 거리에서 무선으로 최대 1Mbps 속도로 전송할 수 있는 근거리 무선 통신기술이다. 이하에서는 블루투스를 이용한 통신 방식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한다.
블루투스 통신방식에 의해 상호 통신을 할 수 있도록 된 블루투스기기는 인콰이어리(Inquiry), 인콰이어리 스캔(Inquiry Scan), 페이지(Page), 페이지 스캔(Page Scan)과 같은 동작 수행을 통해 통신이 가능한 연결상태를 구성한다. 이 과정에서 그 역할에 따라 마스터(master)기기와 슬레이브(slave)기기가 정해진다.
블루투스기기 상호간에 새롭게 연결상태를 구성하고자 할 경우 블루투스기기 상호간의 동작 클럭 및 주파수 패턴을 맞추어야 한다. 이렇게 연결상태를 구성하기 위해 수행되는 과정중 인콰이어리는 슬레이브기기가 마스터기기와 주파수 패턴을 맞출 수 있도록 마스터에서 동작 주파수를 반복해서 송출하는 동작을 말한다. 인콰이어리 스캔은 슬레이브기기에서 수행되는 것으로 수신된 주파수를 검출하고, 검출된 주파수에 동기를 맞추는 과정을 말한다. 페이지는 마스터의 동작 클럭에 슬레이브기기들이 맞출 수 있도록 마스터기기에서 클럭 신호를 송출하는 과정을 말하고, 페이지 스캔은 슬레이브기기가 수신된 클럭을 검출하여 동기를 맞추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마스터기기에 대해 하나 이상의 슬레이브기기가 연결상태를 구성하여 형성된 네트웍을 피코넷(piconet)이라 한다.
현재 제안된 블루투스 통신방식에 따르면, 피코넷에서 하나의 마스터기기는 7개의 슬레이브기기들을 액티브(active) 상태로 연결시켜 상호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피코넷에 새로운 슬레이브기기를 연결시키기 위해서는, 마스터기기는 액티브상태로 연결된 7개의 슬래이브기기 중에서 어느 하나의 슬레이브기기에 대해 액티브 상태의 연결을 해체하고 새로운 슬래이브기기와 액티브상태의 통신연결을 수행한다.
한편, 블루투스 통신방식에는 슬레이브기기와 정상적인 통신을 수행하는 액티브모드(active mode) 및 통신기기의 파워를 절약하기 위한 홀드(hold)/스니프(sniff)/파크(park) 모드(mode)로 마스터기기와 슬레이브기기가 동작한다. 홀드모드는 비교적 긴 시간 동안 데이터를 보낼 필요가 없을 때 이용되는 전형적인 모드이다. 스니프모드는 마스터기기 및 슬레이브기기 상호간에 설정된 특정 시간부터 일정 기간동안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모드이다. 파크모드는 슬레이브기기가 마스터기기와의 동기유지 및 액티브모드의 전환을 요구하기 위해 마스터기기 및 슬레이브기기 상호간에 간헐적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모드이다.
액티브모드 및 홀드(hold)/스니프(sniff)/파크(park) 모드(mode)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동작하는 슬레이브기기는 소정의 주기를 가지고 반복하여 해당 모드의 동작을 수행한다. 한편, 홀드모드로 동작하는 슬레이브기기는 반복적인 주기를 가지지 않는 일회적인 동작모드이나, 정해진 시간에 슬레이브기기가 깨어나(구동하여) 마스터기기와 통신을 해야 하므로 다른 모드와 같이 주기적인 동작으로 여겨질 수 있다.
이때, 마스터기기에 연결된 슬레이브기기가 해당 모드로 변환되면 마스터기기는, 모드가 변환될 슬레이브기기와 통신 협상을 통해 해당 모드에서 각 슬레이브기기와의 통신 할당 시간을 설정한다. 이러한 슬레이브기기들은 마스터기기와의 협상을 통해 해당 모드에 대하여 주기성을 가지고 동작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슬레이브기기의 모드가 변경되기 전까지 상호 협상에 의해 설정된 통신 할당 시간 및 주기를 가지고 고정적으로 마스터기기와 슬레이브기기가 통신을 수행한다.
한편, 개인 통신 단말기(Personal Communications Services : PCS) 및 셀룰러폰 등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에 의해서 사용되는 기존의 무선전화시스템은 유선전화시스템에 비교하여 많은 사용 요금을 지불해야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휴대용 단말기에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인 블루투스모듈을 내장시켜 유선전화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는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이러한 방법은 유선네트워크와 무선네트워크 간에 상호 데이터 교환 서비스를 수행하는 액세서포인트를 통해 실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블루투스 표준화 기구에서는 한 대의 휴대용 단말기를 3가지 기능의 단말기로 사용할 수 있는 표준을 제안하고 있다. 즉, 블루투스모듈이 탑재된 휴대용 단말기를 사무실에서는 인터콤(intercom)과 연결해 인터콤의 핸드셋으로, 가정에서는 무선 전화기의 베이스 스테이션과 연결해 무선전화 핸드셋으로, 이동시에는 이동전화기로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그런데, 블루투스모듈이 내장된 휴대용 단말기들을 인터콤 기능으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상기 블루투스를 이용한 통신 방법에 대해 설명한 것과 같이 인콰이어리/인콰이어리 스캔/페이지/페이지 스캔의 과정을 거치면서 두개의 휴대용 단말기의 각 블루투스모듈 간에 연결(connection)이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나 이동 통 신 용으로 이용되는 휴대용 단말기의 경우, 전류 소비의 최소화가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이를 위해 인터콤을 위한 블루투스모듈이 내장된 휴대용 단말기가 연결 상태에서 전류의 소비 상태가 최소가 되도록 설계하는 방법이 연구되고 있다. 이 중 블루투스 스펙에 정의되어 있고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를 파크 모드(Park mode) 또는 스니프 모드(sniff mode)로 동작 모드를 전환하는 방법이 일반적으로 전류 소비를 줄이기 위한 방법 중 하나이다.
그런데 블루투스모듈이 내장된 휴대용 단말기를 인터콤을 위해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 송신 휴대용 단말기가 인터콤을 연결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하고, 수신휴대용 단말기가 연결 요청신호를 수신 및 확인(Conform)하는 과정을 통해 상호 통신 연결이 된다. 이는 휴대용 단말기 간에 이미 베이스 밴드(Baseband) 이하의 연결이 되어있거나, 적어도 수신 휴대용 단말기가 수신가능(Page scan)상태임을 가정하는 것이다.
따라서, 기존의 휴대용 단말기는 통신을 수행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도 수십 mA의 전류가 지속적으로 소모된다. 이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는 통신을 수행하지 않는 대기 시간에도 소정의 전류가 지속적으로 소모됨에 따라 전류가 급격히 감소될 수 있다.
한편, 항상 수신 휴대용 단말기를 수신가능 상태로 두지 않을 경우, 사용자는 송신 휴대용 단말기 및 수신 휴대용 단말기를 동시에 블루투스 사용대기 상태로 설정해야 한다. 그러나, 송신 휴대용 단말기와 수신 휴대용 단말기가 수백 미터 이상 떨어져 있는 경우, 사용자들은 두 단말기를 일정 시간에 블루투스 사용 대기 상태로 맞추는 것은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연결 요청에 대해 휴대용 단말기의 소정 키를 입력하여 요청에 응답하도록 휴대용 단말기를 설계하는 경우, 블루투스를 이해하지 못하는 통상적인 사용자는 불편함을 느끼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송신 휴대용 단말기를 소지하고 있는 사용자가 연결요청을 할 경우, 수신 휴대용 단말기를 소지하고 있는 사용자는 사전에 자신의 단말기를 연결대기상태로 설정해야 한다. 그러나, 통상적인 사용자는 연결요청(Connection request)과 연결대기(Page scan) 상태 설정 같은 내용을 이해할 수 없기 때문에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상태를 변경하는 것에 대해 불편함을 느끼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인터콤으로 이용이 가능한 블루투스모듈이 내장된 휴대용 단말기의 대기상태에서 전류의 소모를 극소화하기 위한 휴대용 단말기 간의 인터콤 연결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인터콤으로 이용이 가능한 블루투스모듈이 내장된 휴대용 단말기들 간에 인터콤 연결을 위해 항상 수신 대기 상태를 유지하면서 전류를 소비하지 않고도 상호간에 인터콤을 연결하여 전류의 소모를 줄일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 간의 인터콤 연결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에 따른 본 발명은 블루투스모듈을 각각 구비하는 송신 휴대용 단말기와 수신 휴대용 단말기 간의 인터콤 연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송신 휴대용 단말기가 인터콤 기능 동작 시 인터콤 모드 전환을 요청하는 제1커멘드를 상기 수신 휴대용 단말기에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제1커멘드를 수신하면, 상기 블루투스모듈을 구동시켜 인터콤모드로 전환하고, 인터콤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수신대기(Page scan)상태임을 알리는 제2커맨드를 상기 송신 휴대용 단말기에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송신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제2커멘드 수신 시 통신을 위한 연결요청신호를 상기 수신 휴대용 단말기에 전송하는 과정과,상기 수신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연결요청신호 수신 시 연결요청에 대한 확인정보를 상기 송신 휴대용 단말기에 전송하여 상기 송신 휴대용 단말기와 수신 휴대용 단말기의 연결이 설정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송신 휴대용 단말기는 인터콤 기능 동작 전에는 이동통신에 필요한 파워 세이브 모드로 동작하고, 상기 수신 휴대용 단말기는 수신된 제1커멘드에 따라 인터콤 모드로 전환하기 전에는 이동통신에 필요한 파워 세이브 모드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송신 휴대용 단말기 및 수신 휴대용 단말기는 인터콤모드로 동작하기 전에는, 인터콤 동작을 위해 구비되는 블루투스모듈을 최대 파워 세이브 모드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최대 파워 세이브 모드는 블루투스모듈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파워 오프(Power Off) 상태를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은 블루투스모듈을 각각 구비하는 송신 휴대용 단말기와 수신 휴대용 단말기 간의 인터콤 연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송신 휴대용 단말기가 인터콤 기능 동작 시 상기 수신 휴대용 단말기로 인터콤 모드 전환을 요청하는 과정과,상기 수신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인터콤 모드 전환 요청이 있으면 상기 블루투스모듈을 구동시켜 인터콤모드로 전환하고, 통신을 위한 연결 요청 신호를 상기 송신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송신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연결 요청 신호 수신 시 상기 연결 요청에 대한 확인 정보를 상기 수신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여 상기 송신 휴대용 단말기와 수신 휴대용 단말기의 연결이 설정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평상시에는 이동통신에 필요한 파워 세이브모드로 동작하다가 송신휴대용단말기로부터 인터콤모드전환요청신호가 단문메시지로 수신되면 동작을 인터콤모드로 전환하고 인터콤모드에 따른 동작을 수신대기상태로 전환함으로써, 휴대용단말기가 인터콤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에만 소정의 전류를 소비하게 되어 결국 휴대용단말기의 소비 전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송신휴대용단말기가 인터콤모드로 동작하면서 수신대기상태를 전환하고 인터콤모드전환요청신호를 수신휴대용단말기에 전송하여 수신휴대용단말기가 인터콤모드로 전환하면서 연결요청신호를 송신휴대용단말기에 전송함으로써, 인터콤모드 전환 요청신호가 수신될 때 이동통신을 위한 파워 세이브모드에서 인터콤모드로 전환함에 따라 휴대용단말기의 전류 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인터콤으로 이용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를 간략하게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30)는, 근거리무선통신모듈(32), 마이크(34a)와 스피커(34b)와 키패드(34c) 및 표시부(34d) 등을 포함하는 공통 사 용부(34), 이동통신모듈(38)을 갖는다.
근거리무선통신모듈(32)은 휴대용 단말기(30)가 인터콤으로 동작하기 위한 모듈이다. 이때 근거리무선통신모듈(32)은 본 실시예에서 블루투스모듈을 예로 설명한다. 따라서, 휴대용 단말기(30)에는 인터콤으로 동작할 때 해당 데이터를 송수신하는데 필요한 블루투스 안테나(31a)가 마련되어 있다.
이동통신모듈(38)은 휴대용 단말기(30)의 주된 기능으로 이동통신을 수행하고자 할때 동작하는 모듈이다. 따라서, 휴대용 단말기(30)에는 이동통신을 수행하여 해당 데이터를 송수신하는데 필요한 이동통신안테나(31b)가 마련되어 있다.
근거리무선통신모듈(32)과 이동통신모듈(38)은 블루투스 스펙(Bluetooth Spec.)에 정의되어 있듯이, HCI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명령과 데이터를 상호간에 송수신하고, 오디오 데이터는 PCM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송수신한다.
한편, 마이크(34a)와 스피커(34b)와 키패드(34c) 및 표시부(34d) 등이 구비된 공통 사용부(34)는 휴대용 단말기(30)가 인터콤 기능 또는 이동통신 기능으로 동작할 때 공통으로 이용되는 부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류의 소비를 줄이기 위해 블루투스 인터콤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들 간에 통신을 위한 인터콤 연결 방법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면의 송신휴대용단말기(100) 및 수신휴대용단말기(200)는 근거리무선통신모듈(도 1의 도면부호 32)로서 블루투스모듈을 구비하고 있으며, 통신을 수행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이동통신모드로 동작하여 이동통신에 필요한 파워 세이브 모드로 동작한다.
즉, 송신 휴대용 단말기(100) 및 수신 휴대용 단말기(200)는 인터콤모드로 동작하기 전에는, 인터콤 동작을 위해 구비되는 블루투스모듈(32)을 최대 파워 세이브 모드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최대 파워 세이브 모드는 블루투스모듈(32)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파워 오프(Power Off) 상태를 의미한다.
먼저, 송신휴대용단말기(100)는 인터콤 통화를 원하는 수신단말기(200)에 대한 정보를 본딩(Bonding) 과정을 통해 저장한다(S100). 상기 본딩에 대한 기술적 내용은 "Bluetooth specification Version 1.1 Generic Access Profile"의 43-44 페이지에 자세히 기술되어 있는 일반적인 기술이다. 따라서, 본딩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 송신휴대용단말기(100)는 본딩 과정에서 수신휴대용단말기(200)에 대한 전화번호정보를 더 저장한다.
송신휴대용단말기(100)는 인터콤기능으로 동작이 전환되도록 설정된 키가 입력되면, 설정키의 입력에 따라 동작을 인터콤기능으로 구동한다(S110). 이때, 송신휴대용단말기(100)는 인터콤모드전환을 요청하는 커멘드신호를 무선통신망을 통해 수신휴대용단말기(200)에 전송한다(S120).
수신휴대용단말기(200)는 수신된 커멘드신호를 분석하여 동작을 블루투스모듈을 이용하여 인터콤모드로 전환하고, 인터콤모드에 따른 동작상태를 수신대기(Page scan)상태로 전환한다(S130). 이때, 수신휴대용단말기(200)는 현재 동작이 인터콤모드로 동작하고 있으며 수신대기상태로 전환된 것을 알리는 커멘드신호를 무선통신망을 통해 송신휴대용단말기(100)에 전송한다(S140).
본 실시예에서 송신 휴대용단말기(100) 및 수신 휴대용단말기(200)에서 전송 하는 커멘드신호는 단문메시지(SMS) 형식으로 전송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무선통신망은 셀룰라망이 이용된다.
이에 따라, 인터콤 모드로 동작하는 송신휴대용단말기(100)와 수신휴대용단말기(200)는 이하 설명되는 S150 단계 내지 S210 단계를 통해 인터콤 통신을 위한 일반적인 연결 동작을 수행한다.
송신휴대용단말기(100)는 수신휴대용단말기(200)의 인터콤 및 수신대기 상태로의 전환정보가 수신되면, 연결요청신호를 수신휴대용단말기(200)에 전송한다(S150). 수신휴대용단말기(200)는 연결요청신호가 수신되면, 연경요청을 확인(Conform)하고(S155) 연결요청확인정보를 송신휴대용단말기(100)에 전송한다(S160). 이에 따라, 송신휴대용단말기(100)와 수신휴대용단말기(200) 간에 연결이 설정된다(S170).
단말기(100,200) 간에 연결이 설정되면, 송신휴대용단말기(100)는 통화요구신호를 수신휴대용단말기(200)에 전송한다(S180). 수신휴대용단말기(200)는 송신휴대용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된 통화요구신호에 대한 응답신호를 송신휴대용단말기(100)에 전송한다(S190). 이에 따라, 송신휴대용단말기(100)와 수신휴대용단말기(200) 간에 음성통화를 위한 채널이 설정된다(S200). 또한, 설정된 음성통화채널을 통해 송신휴대용단말기(100)와 수신휴대용단말기(200) 간에 음성통화를 수행한다(S210).
따라서, 평상시에는 이동통신에 필요한 파워 세이브모드로 동작하다가 송신휴대용단말기(100)로부터 인터콤모드전환요청신호가 단문메시지로 수신되면 동작을 인터콤모드로 전환하고 인터콤모드에 따른 동작을 수신대기상태로 전환함으로써, 휴대용단말기가 인터콤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에만 소정의 전류를 소비하게 되어 결국 휴대용단말기의 소비 전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류의 소비를 줄이지 위해 블루투스 인터콤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들 간에 인터콤 통신을 위한 연결 방법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면의 송신휴대용단말기(100) 및 수신휴대용단말기(200)는 블루투스모듈(36)을 구비하고 있으며, 통신을 수행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이동통신모드로 동작하여 이동통신에 필요한 파워 세이브 모드로 동작한다.
먼저, 송신휴대용단말기(100)는 인터콤 통화를 원하는 수신휴대용단말기(200)에 대한 정보를 본딩(Bonding) 과정을 통해 저장한다(S300). 상기 본딩과정은 도 2의 S100 단계와 동일한 동작이다.
송신휴대용단말기(100)는 인터콤기능으로 동작이 전환되도록 설정된 키가 입력되면, 설정키의 입력에 따라 동작을 인터콤기능으로 구동한다(S310). 이때, 송신휴대용단말기(100)는 인터콤 동작상태를 수신대기(Page scan)상태로 전환한다(S320). 또한, 송신휴대용단말기(100)는 인터콤모드전환을 요청하는 신호를 단문메시지(SMS)로 수신휴대용단말기(200)에 전송한다(S330).
수신휴대용단말기(200)는 수신된 단문메시지를 분석하여 동작을 블루투스모듈을 이용하여 인터콤모드로 전환한다(S340). 이때, 수신휴대용단말기(200)는 통신을 위한 연결요청신호를 송신휴대용단말기(100)에 전송한다(S350).
송신휴대용단말기(100)는 수신휴대용단말기(200)로부터 전송된 연결요청신호 가 수신되면, 연결요청을 확인(Conform)하고(S360), 수신휴대용단말기(200)의 연결요청에 대한 확인정보를 수신휴대용단말기(200)에 전송한다(S370). 이에 따라, 이에 따라, 송신휴대용단말기(100)와 수신휴대용단말기(200) 간에 연결이 설정된다(S380).
단말기(100,200) 간에 연결이 설정되면, 송신휴대용단말기(100)는 통화요구신호를 수신휴대용단말기(200)에 전송한다(S390). 수신휴대용단말기(200)는 송신휴대용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된 통화요구신호에 대한 응답신호를 송신휴대용단말기(100)에 전송한다(S400). 이에 따라, 송신휴대용단말기(100)와 수신휴대용단말기(200) 간에 음성통화를 위한 채널이 설정된다(S410). 또한, 설정된 음성통화채널을 통해 송신휴대용단말기(100)와 수신휴대용단말기(200) 간에 음성통화를 수행한다(S420).
따라서, 송신휴대용단말기(100)가 인터콤모드로 동작하면서 수신대기상태로 전환하고 인터콤모드전환요청신호를 수신휴대용단말기(200)에 전송하여 수신휴대용단말기(200)가 인터콤모드로 전환하면서 연결요청신호를 송신휴대용단말기(100)에 전송함으로써, 인터콤모드 전환 요청신호가 수신될 때 이동통신을 위한 파워 세이브모드에서 인터콤모드로 전환함에 따라 휴대용단말기의 전류 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휴대용단말기들 간에 인터콤 통신을 위해 설정된 키가 선택됨에 따라 단문메시지를 이용하여 인터콤전환요청신호를 전송하여 수신휴대용단말기(200)가 인터콤모드로 동작하여 소비 전류를 최소화하는 것을 설명하고 있으나, 다음과 같은 방법을 통해서도 본 실시예에 따른 효과가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첫째, 설정된 키가 입력됨에 따라 인터콤모드로 동작 중인 상태에서 수신휴대용단말기의 전화번호가 입력되어 통화키가 선택되면, 송신휴대용단말기(100)는 입력된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휴대용단말기에 통화요청신호를 전송하는 것이 아니라 도 3의 S120 단계인 인터콤모드전환요청신호를 단문메시지를 자동으로 전송한다. 이 후의 과정은 도 3의 S130 내지 S210 단계와 동일하다.
둘째, 설정된 키가 입력됨에 따라 인터콤모드로 동작이 전환되면, 송신휴대용단말기(100)는 이미 본딩과정을 통해 본딩된 휴대용단말기들에 대한 리스트를 표시하고 표시된 리스트 중 임의의 리스트가 선택되면 선택된 리스트에 대응하는 휴대용단말기에 도 3의 S120 단계인 인터콤모드전환요청신호를 단문메시지를 자동으로 전송한다. 이 후의 과정은 도 3의 S130 내지 S210 단계와 동일하다. 이때, 수신휴대용단말기(200)는 본딩된 전화번호가 수신되면, 이동 통신 및 인터콤 통신을 선택적으로 응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평상시에는 이동통신에 필요한 파워 세이브모드로 동작하다가 송신휴대용단말기로부터 인터콤모드전환요청신호가 단문메시지로 수신된 동작을 인터콤모드로 전환하고 인터콤모드에 따른 동작을 수신대기상태로 전환함으로써, 휴대용단말기가 인터콤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에만 소정의 전류를 소비하게 되어 결국 휴대용단말기의 소비 전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송신휴대용단말기가 인터콤모드로 동작하면서 수신대기상태를 전환하고 인터콤모드전환요청신호를 수신휴대용단말기에 전송하여 수신휴대용단말기가 인터콤모드로 전환하면서 연결요청신호를 송신휴대용단말기에 전송함으로써, 인터콤모드 전환 요청신호가 수신될 때 이동통신을 위한 파워 세이브모드에서 인터콤모드로 전환함에 따라 휴대용단말기의 전류 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Claims (9)

  1. 블루투스모듈을 각각 구비하는 송신 휴대용 단말기와 수신 휴대용 단말기 간의 인터콤 연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송신 휴대용 단말기가 인터콤 기능 동작 시 인터콤 모드 전환을 요청하는 제1커멘드를 상기 수신 휴대용 단말기에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제1커멘드를 수신하면, 상기 블루투스모듈을 구동시켜 인터콤모드로 전환하고, 인터콤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수신대기(Page scan)상태임을 알리는 제2커멘드를 상기 송신 휴대용 단말기에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송신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제2커멘드 수신 시 통신을 위한 연결요청신호를 상기 수신 휴대용 단말기에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연결요청신호 수신 시 연결요청에 대한 확인정보를 상기 송신 휴대용 단말기에 전송하여 상기 송신 휴대용 단말기와 수신 휴대용 단말기의 연결이 설정되는 과정을 포함하되,
    상기 제1커멘드 및 상기 제2커멘드는 단문메시지 형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모듈을 각각 구비하는 송신 휴대용 단말기와 수신 휴대용 단말기 간의 인터콤 연결 방법.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휴대용 단말기는 인터콤 기능 동작 전에는 이동통신에 필요한 파워 세이브 모드로 동작하고,
    상기 수신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수신된 제1커멘드에 따라 인터콤 모드로 전환하기 전에는 이동통신에 필요한 파워 세이브 모드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모듈을 각각 구비하는 송신 휴대용 단말기와 수신 휴대용 단말기 간의 인터콤 연결 방법.
  4. 블루투스모듈을 각각 구비하는 송신 휴대용 단말기와 수신 휴대용 단말기 간의 인터콤 연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송신 휴대용 단말기가 인터콤 기능 동작 시 상기 수신 휴대용 단말기로 인터콤 모드 전환을 요청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인터콤 모드 전환 요청이 있으면 상기 블루투스모듈을 구동시켜 인터콤모드로 전환하고, 통신을 위한 연결 요청 신호를 상기 송신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송신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연결 요청 신호 수신 시 상기 연결 요청에 대한 확인 정보를 상기 수신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여 상기 송신 휴대용 단말기와 수신 휴대용 단말기의 연결이 설정되는 과정을 포함하되,
    상기 송신 휴대용 단말기는 단문 메시지를 이용하여 인터콤 모드 전환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모듈을 각각 구비하는 송신 휴대용 단말기와 수신 휴대용 단말기 간의 인터콤 연결 방법.
  5. 삭제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콤 모드 전환 요청 과정은
    상기 송신 휴대용 단말기가 인터콤 기능 동작 중에 전화번호가 입력된 후 통화키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수신 휴대용 단말기로 인터콤 모드 전환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모듈을 각각 구비하는 송신 휴대용 단말기와 수신 휴대용 단말기 간의 인터콤 연결 방법.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콤 모드 전환 요청 과정은
    상기 송신 휴대용 단말기가 인터콤 기능 동작 수행 시 수신 휴대용 단말기들에 대한 리스트를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리스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수신 휴대용 단말기로 인터콤 모드 전환을 요청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모듈을 각각 구비하는 송신 휴대용 단말기와 수신 휴대용 단말기 간의 인터콤 연결 방법.
  8. 삭제
  9. 삭제
KR1020030041149A 2003-06-24 2003-06-24 소비 전류를 줄이기 위한 블루투스 모듈이 구비된 휴대용단말기 간의 인터콤 연결 방법 KR1009959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1149A KR100995999B1 (ko) 2003-06-24 2003-06-24 소비 전류를 줄이기 위한 블루투스 모듈이 구비된 휴대용단말기 간의 인터콤 연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1149A KR100995999B1 (ko) 2003-06-24 2003-06-24 소비 전류를 줄이기 위한 블루투스 모듈이 구비된 휴대용단말기 간의 인터콤 연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0671A KR20050000671A (ko) 2005-01-06
KR100995999B1 true KR100995999B1 (ko) 2010-11-22

Family

ID=37216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1149A KR100995999B1 (ko) 2003-06-24 2003-06-24 소비 전류를 줄이기 위한 블루투스 모듈이 구비된 휴대용단말기 간의 인터콤 연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599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0671A (ko) 2005-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63231B2 (en) Radio communication device, parent communication device, parent-child communication device and radio communication system
US7826821B2 (en) Emergency message transmission method and mobile terminal
JP2002261879A (ja) 自動リンク連結可能の無線ヘッドセット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6148864A (ja) ブルートゥース無線機、近距離無線通信機およびプログラム
KR100605828B1 (ko) 블루투스모듈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와 블루투스 액세스포인트 간의 통신 연결 방법
AU2005202864A1 (en) Head set apparatus,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and communication system
KR100605939B1 (ko) 블루투스 무선 통신을 이용한 통화 시스템 및 방법
KR101190658B1 (ko) 무선 개인영역 통신망을 기반으로 하는 고객서비스 시스템
JP2003283693A (ja) 携帯通信端末のリモート制御方法及びシステム
US20060240817A1 (en) Multi-wireless connection device
JP2003318807A (ja) 移動通信端末
JPH10173744A (ja) 電話システム
JP2002223472A (ja) 通信システムの動作方法
KR100995999B1 (ko) 소비 전류를 줄이기 위한 블루투스 모듈이 구비된 휴대용단말기 간의 인터콤 연결 방법
JP2003198673A (ja) 携帯通信端末およびその制御方法
KR100996084B1 (ko) 전류 소비를 최소화하기 위한 블루투스모듈을 구비한휴대용 단말기와 블루투스 액세스 포인트 간의 통신 연결방법
JP2005094442A (ja) 無線通信装置及び音情報伝達装置
KR100341988B1 (ko) 휴대폰에서 블루투스를 이용한 매너모드 자동 전환방법
JPH11308653A (ja) 移動体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待ち受け処理方式
JP2003092785A (ja) 携帯電話機
JP4561985B2 (ja) 無線端末機
KR20020015745A (ko) 블루투스 칩 내장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신 전환 방법 및장치
JPH11298952A (ja) Tdma方式の携帯通信端末
JP2000101506A (ja) 外部有線インタフェースおよび赤外線インタフェース付き移動通信端末
JP2003060643A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無線中継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