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5177B1 - 커넥터 유닛 - Google Patents

커넥터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5177B1
KR100995177B1 KR1020040020954A KR20040020954A KR100995177B1 KR 100995177 B1 KR100995177 B1 KR 100995177B1 KR 1020040020954 A KR1020040020954 A KR 1020040020954A KR 20040020954 A KR20040020954 A KR 20040020954A KR 100995177 B1 KR100995177 B1 KR 1009951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antenna
internal antenna
radio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09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87258A (ko
Inventor
구끼따히로아끼
다구찌히로유끼
Original Assignee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872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72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51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51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0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 H01R13/7031Shorting, shunting or bussing of different terminals interrupted or effected on engagement of coupling part, e.g. for ESD protection, line continuity
    • H01R13/7033Shorting, shunting or bussing of different terminals interrupted or effected on engagement of coupling part, e.g. for ESD protection, line continuity making use of elastic extensions of the termina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1/00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 E04C1/40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s, e.g. composed of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or stones with filling material or with insulating inse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4Walls having neither cavities between, nor in, the solid elements
    • E04B2/06Walls having neither cavities between, nor in, the solid elements using elements having specially-designed means for stabilising the position
    • E04B2/10Walls having neither cavities between, nor in, the solid elements using elements having specially-designed means for stabilising the position by filling material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s in small channels in, or in grooves between, the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14Walls having cavities in, but not between, the elements, i.e. each cavity being enclosed by at least four sides forming part of one single element
    • E04B2/16Walls having cavities in, but not between, the elements, i.e. each cavity being enclosed by at least four sides forming part of one single element using elements having specially-designed means for stabilising the position
    • E04B2/20Walls having cavities in, but not between, the elements, i.e. each cavity being enclosed by at least four sides forming part of one single element using elements having specially-designed means for stabilising the position by filling material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s in small channels in, or in grooves between, the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9/00Coupling parts for selective co-operation with a counterpart in different ways to establish different circuits, e.g. for voltage selection, for series-parallel selection, programmable connec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02/0256Special feature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02/0269Building elements with a natural stone fac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02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24/4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 H01R24/42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comprising impedance matching means or electrical components, e.g. filters or switches
    • H01R24/46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comprising impedance matching means or electrical components, e.g. filters or switches comprising switc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Transceive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Details Of Aerials (AREA)

Abstract

커넥터 유닛은 하우징과, 제1 내부 안테나와, 무선부와, 외부 안테나를 갖는 고주파 무선 장치에 이용된다. 커넥터 유닛은 제1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 및 제2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이 설치된 프린트 기판과, 이 프린트 기판 상에 설치된 고정 콘택트와, 상기 프린트 기판 상에 설치된 가동 콘택트와, 소켓을 구비한다. 이 커넥터 유닛에서는, 외부 안테나를 소켓에 삽입함으로써 외부 안테나의 선단부는 가동 콘택트와 상기 고정 콘택트 사이로 인입되어 가동 콘택트에 접촉하는 동시에, 가동 콘택트를 압박하여 상기 고정 콘택트로부터 이격시킨다. 한편, 외부 안테나를 소켓으로부터 빼냄으로써 가동 콘택트는 고정 콘택트에 접촉한다. 이에 의해, 간이한 구성으로 안테나의 절환 기구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제1 내부 안테나 및 외부 안테나를 최적의 상태로 사용할 수 있다.
본체, 입력부, 제어부, 포트, 쉘, 고정 콘택트, 가동 콘택트

Description

커넥터 유닛 {CONNECTOR UNIT}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한 커넥터 유닛이 적용된 고주파 무선 장치로서의 노트형 PC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2는 상기 실시 형태에 관한 무선부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모식도.
도3a 및 도3b는 상기 실시 형태에 관한 커넥터 유닛의 사시도.
도4a는 상기 실시 형태에 관한 커넥터 유닛의 평면도.
도4b는 상기 실시 형태에 관한 커넥터 유닛의 정면도.
도4c는 상기 실시 형태에 관한 커넥터 유닛의 배면도.
도4d는 도4c의 X-X선 단면도.
도5는 상기 실시 형태에 관한 커넥터 유닛의 일부의 분해 사시도.
도6은 상기 실시 형태에 관한 커넥터의 확대 단면도.
도7a는 제1 실시예에 관한 임피던스 매칭 회로의 회로도.
도7b는 제2 실시예에 관한 임피던스 매칭 회로의 회로도.
도7c는 제3 실시예에 관한 임피던스 매칭 회로의 회로도.
도7d는 제4 실시예에 관한 임피던스 매칭 회로의 회로도.
도7e는 제5 실시예에 관한 임피던스 매칭 회로의 회로도.
도8은 제2 실시예에 관한 임피던스 매칭 회로가 적용된 커넥터 유닛의 사시 도.
도9는 제4 실시예에 관한 임피던스 매칭 회로가 적용된 커넥터 유닛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커넥터
1A : 하우징
10 : 소켓
10A : 소켓 하우징
10B, 10C, 10G : 관통 구멍
10E : 너트
11, 12, 32 : 콘택트
11A, 12A : 선단부
11C : 절곡부
12B : 기단부
13, 14 : 쉘
13C, 13D, 14C, 14D : 접촉 부재
20 : 기판
20A : 글랜드 패턴
20C : 회로 소자 실장 영역
30 : 플러그
40 : 무선부
41 : 서큘레이터
42 : 수신부
43 : 변복조부
44 : 송신부
45 : 안테나 스위치
50 : 제어부
60 : 본체
61 : 입력부
62 : 표시부
ANT : 안테나
C : 칩 콘덴서
CB : 동축 케이블
MSL :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
P : 포트
본 발명은 커넥터 유닛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노트형 퍼스널 컴퓨터나 데스크탑 퍼스널 컴퓨터에 이용되는 무선 LAN(Local Area Network) 용 커넥터 유닛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네트워크 형태로서는 유선 LAN이 알려져 있지만, 최근 이 유선 LAN 대신에 무선 LAN이 보급되고 있다. 이 무선 LAN은, 예를 들어 길거리의 핫스폿(Hotspot), 사무실, 가정에서 이용되고 있다.
핫스폿(Hotspot)에서는, 노트형 퍼스널 컴퓨터에 무선 LAN 어댑터를 접속하거나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를 이용하는 것만으로, 특정 서비스에 가입하거나 전용 소프트웨어를 인스톨하거나 하는 일 없이 사용자가 자유롭게 인터넷에 액세스할 수 있다.
또한 사무실이나 가정에서는, 노트형 퍼스널 컴퓨터(이하, PC라 함)에 무선 LAN 어댑터를 접속하는 것만으로 브로드 밴드 루터에 임의의 장소로부터 무선으로 접속하여, 사용자가 자유롭게 인터넷에 액세스할 수 있다.
이상의 노트형 PC나 PDA에서는, 무선 전파를 송수신하기 위한 안테나가 내장된다. 또한 무선 LAN의 규격으로서는, 예를 들어 IEEE(미국 전기 전자 학회)에 따른 IEEE 802.11b 외에, 근거리 무선 통신을 행하기 위한 블루투쓰(Bluetooth)가 있다.
여기서 노트형 PC로서는, 수신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다이버시티 방식을 채용한 복수의 안테나가 설치되는 경우가 있다(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제2003-37538호 공보 참조). 이 노트형 PC에는, 다이버시티 방식으로 수신하는 2개의 안테나와, 이 안테나와는 다른 무선 통신 방식으로 수신하는 1개의 안테나가 케이스 내부의 제한된 공간에 유효 배치되어 있다. 또한, 안테나의 수신 감도를 향상시키 기 위해, 이들 내부 안테나는 기기 케이스의 가능한 한 높은 위치, 즉 기기 케이스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일본 특허 공개 제2003-37538호 공보에 개시된 노트형 PC에서는, 기기 케이스의 내부에 안테나를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기기 케이스가 무선 전파를 전자(電磁) 차폐해 버리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무선 전파의 감도를 높이기 위해 기기의 위치를 움직일 필요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기 케이스에 스위치 기능이 부가된 동축 커넥터를 설치하여 이 동축 커넥터에 외부 안테나를 접속하는 구조가 제안되어 있다. 이 제안에 따르면, 내부 안테나와 외부 안테나를 선택적으로 무선부에 접속함으로써, 감도가 좋은 쪽의 안테나로 무선 전파를 송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안테나와 이 외부 안테나가 접속되는 동축 커넥터는 임피던스 매칭하도록, 임피던스가 50 Ω이 되도록 설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동축 커넥터의 형상에 제약이 있기 때문에, 반드시 용이하게 임피던스를 50 Ω으로 설정할 수는 없다. 또한, 주파수 특성에 따라서는 임피던스를 50 Ω으로 함으로써 반드시 전송 손실을 적게 할 수 있는 것은 아니므로, 필요한 주파수를 효율적으로 취출하는 것이 곤란해질 우려가 있었다.
한편, 무선 LAN 등에 적용되는 무선 통신 방식은 급격하게 변화하고 있다. 예를 들어, IEEE 802.11에서는 2.4 ㎓ 주파수 대역이 규격되고, IEEE 802.11a에서는 5.2 ㎓ 주변 주파수 대역이 규격되어 있다. 그 밖에도, IEEE 802.11b에서는 2.4 ㎓ 주파수 대역이 규격되고, IEEE 802.11g에서는 2.4 ㎓ 주파수 대역이 규격되 어 있다. 또한, 장래적으로는 5.8 ㎓ 주변의 주파수 대역의 규격도 기대되고 있다.
이 중, 5 ㎓ 주파수 대역 정도의 고주파수가 되면, 외부 안테나와 무선부를임피던스 매칭할 수는 있어도 내부 안테나와 무선부를 임피던스 매칭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내부 안테나와 무선부를 임피던스 매칭시키는 임피던스 매칭 회로가 필요해진다.
그러나, 이 임피던스 매칭 회로는 고주파 회로로, 기기 케이스 내부에 실장되는 무선부나 데이터를 처리하는 제어부와는 별도로 설치된다. 따라서, 무선 통신 기기 메이커는, 적용 주파수 대역이 바뀔 때마다 이 임피던스 매칭 회로를 설계해야만 해 불편했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내부 안테나와 외부 안테나를 절환하는 기기에 이용되고 외부 안테나와 내부 안테나를 임피던스 매칭할 수 있는 커넥터 유닛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발명자는, 상기 목적을 충족시키기 위해 이하와 같은 새로운 커넥터 유닛을 발명하였다.
(1) 하우징과, 이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된 제1 내부 안테나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무선 신호를 처리하는 무선부와, 상기 하우징에 외부로부터 삽입 발출 가능한 외부 안테나를 갖는 고주파 무선 장치에 이용되는 커넥터 유닛이며, 상기 무선부에 접속되는 제1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 및 상기 제1 내부 안테나에 접속되는 제2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이 설치된 프린트 기판과, 이 프린트 기판 상에 설치되고 상기 제2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에 접속된 고정 콘택트와, 상기 프린트 기판 상에 설치되고 상기 제1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에 접속되고 또한 상기 고정 콘택트를 향해 압박된 탄성 변형 가능한 가동 콘택트와, 상기 가동 콘택트 및 상기 고정 콘택트를 덮는 소켓을 구비하고, 상기 외부 안테나를 상기 소켓에 삽입함으로써, 상기 외부 안테나의 선단부는 상기 가동 콘택트와 상기 고정 콘택트 사이로 인입되어 상기 가동 콘택트에 접촉되는 동시에, 상기 가동 콘택트를 압박하여 상기 고정 콘택트로부터 이격시키고, 상기 외부 안테나는 임피던스 매칭되어 상기 무선부에 접속되고, 상기 외부 안테나를 상기 소켓으로부터 빼냄으로써, 상기 가동 콘택트는 상기 고정 콘택트에 접촉되고, 상기 제1 내부 안테나는 임피던스 매칭되어 상기 무선부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유닛.
제1 내부 안테나는 1개의 안테나라도 좋고, 다이버시티 방식을 채용한 2개의 안테나 중 1개라도 좋다. 제1 내부 안테나는, 휴대용 전자 기기에 탑재되는 경우 소형인 것이 바람직하고, 기기의 상부판을 구성하는 금속판의 공진을 이용한 역F 안테나라도 좋다.
무선 전파는, 주파수 300 ㎒ 이상의 UHF대 이상이라도 좋다.
하우징이라 함은, 예를 들어 노트형 PC 또는 PDA 등의 휴대용 전자 기기의 케이스이며, 디스플레이 부분을 포함해도 된다.
외부 안테나는 선형 안테나라도 좋고, 휘프 안테나라도 좋다. 이 외부 안테나에는 동축 케이블이 접속되고, 이 동축 케이블의 선단부에는 플러그가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가동 콘택트는 판 스프링이라도 좋다. 이 가동 콘택트는, 고정 콘택트에 일정한 접촉압으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고 생각해도 좋다.
가동 콘택트는, 프린트 기판의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에 땜납으로 고정되어 있다고 생각해도 좋다. 마찬가지로, 고정 콘택트는 프린트 기판의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에 땜납으로 고정되어 있다고 생각해도 좋다.
이 프린트 기판은, 유전체인 베이스 부재와 이 베이스 부재 상에 형성된 신호의 전송 선로인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 및 글랜드 패턴을 갖는다. 전송 선로의 특성 임피던스는, 프린트 기판의 베이스 부재의 비유전율이나 판 두께 및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의 두께나 폭 등에 의해 정해져도 좋다. 프린트 기판으로서는, UHF대 내지 SHF대의 고주파 회로에서는 비유전율이 4.8 정도인 유리 에폭시 기판을 이용해도 좋다.
소켓은 프린트 기판에 나사 등의 체결구로 고정되어도 좋다. 또한, 소켓에 고정 콘택트나 가동 콘택트를 부착하고, 이들 고정 콘택트나 가동 콘택트를 프린트 기판에 땜납 등으로 고정함으로써 소켓을 프린트 기판에 고정해도 좋다.
제1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과 무선부는 동축 케이블로 결선되어도 좋다. 제2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과 제1 내부 안테나는 동축 케이블로 결선되어도 좋다.
(1)의 발명에 따르면, 플러그를 커넥터 유닛에 삽입 발출하는 것만으로 외부 안테나와 제1 내부 안테나를 절환할 수 있으므로, 간이한 구성으로 안테나의 절환 기구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제1 내부 안테나 및 외부 안테나와 무선부 사이에,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에 의한 임피던스 매칭 회로를 개재시켰기 때문에, 제1 내부 안테나나 외부 안테나가 반드시 50 Ω이 아닌 경우라도 임피던스 매칭할 수 있으므로 제1 내부 안테나 및 외부 안테나를 최적의 상태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커넥터 유닛의 구조적인 설계의 자유도를 넓힐 수 있고, 그 결과 예를 들어 5 ㎓ 주파수대에 대응할 수 있다.
(2) (1)에 기재된 커넥터 유닛에 있어서, 상기 외부 안테나의 선단부에는 핀형의 신호 콘택트와, 이 신호 콘택트를 둘러싸는 원통 형상의 글랜드 콘택트를 구비하는 플러그가 설치되고, 상기 소켓은 상기 가동 콘택트 및 상기 고정 콘택트를 덮고 또한 접지된 원통 형상의 제1 쉘과, 이 제1 쉘을 덮고 또한 접지된 원통 형상의 제2 쉘을 갖고, 상기 플러그를 상기 소켓에 삽입하면 상기 신호 콘택트는 상기 제1 쉘 내부로 인입하여 상기 가동 콘택트를 상기 고정 콘택트로부터 이격시키고, 상기 글랜드 콘택트는 상기 제1 쉘과 상기 제2 쉘 사이로 인입하여 상기 제1 쉘 및 상기 제2 쉘의 양방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유닛.
(2)의 발명에 따르면, 플러그를 커넥터 유닛에 삽입함으로써 글랜드 콘택트의 외측면과 내측면은, 제1 쉘 및 제2 쉘의 양방에 접촉시켰기 때문에 접지 라인을 확실하게 접지할 수 있다.
(3) (1) 또는 (2)에 기재된 커넥터 유닛에 있어서, 상기 프린트 기판은 글랜드 패턴과 이 글랜드 패턴 및 상기 제2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 사이에 형성되어 회로 소자가 실장되는 회로 소자 실장 영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유닛.
프린트 기판의 한 쪽면에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을 형성하여 소켓으로 덮고, 다른 쪽면에 글랜드 패턴을 형성해도 좋다. 혹은, 기판의 한 쪽면에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과 글랜드 패턴을 형성해도 좋다. 이 경우, 특성 임피던스에 영향이 없도록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과 글랜드 패턴 사이에 어느 정도의 간격을 두어도 좋다.
회로 소자는 고주파 회로에 대응하여, 칩 콘덴서나 칩 코일 등의 무선의 칩 부품이 바람직하다.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 및 글랜드 패턴의 형상은, 대응하는 무선 전파의 주파수 대역에 따라 다르다. 그로 인해, 회로 소자 실장 영역의 형상도 대응하는 무선 전파의 주파수 대역에 따라 다르다.
그래서 (3)의 발명에 따르면, 패턴 설계시에 미리 상정되는 회로 소자의 실장 영역을 확보해 둔다. 따라서, 미리 회로 소자 실장 영역을 마련하였기 때문에, 설계 공정수를 그다지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커넥터 유닛의 제조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에 오픈 스터브나 숏 스터브를 형성함으로써, 커넥터 유닛의 제조 비용을 더욱 저감할 수 있다.
또, 회로 소자의 실장 영역에는 실제로 회로 소자를 실장하지 않아도 된다.
(4) (3)에 기재된 커넥터 유닛에 있어서, 상기 회로 소자는 상기 제1 내부 안테나의 차단 주파수 이하의 신호를 그대로 통과시켜, 상기 제1 내부 안테나의 차단 주파수 이상의 신호를 감쇠시키는 칩 콘덴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무선용 커넥터 유닛.
(5) (3)에 기재된 커넥터 유닛에 있어서, 상기 회로 소자는 상기 제1 내부 안테나의 차단 주파수 이상의 신호를 그대로 통과시켜, 상기 제1 내부 안테나의 차단 주파수 이하의 신호를 감쇠시키는 칩 코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무선용 커넥터 유닛.
(6) (1) 또는 (2)에 기재된 커넥터 유닛에 있어서, 상기 프린트 기판에는 상기 제2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에 직렬 접속된 칩 콘덴서가 설치되고, 이 칩 콘덴서는 상기 제1 내부 안테나의 차단 주파수 이하의 신호를 그대로 통과시켜, 상기 제1 내부 안테나의 차단 주파수 이상의 신호를 감쇠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유닛.
(7) (1) 또는 (2)에 기재된 커넥터 유닛에 있어서, 상기 프린트 기판에는 상기 제2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에 직렬 접속된 칩 코일이 설치되고, 이 칩 코일은 상기 제1 내부 안테나의 차단 주파수 이상의 신호를 그대로 통과시켜, 상기 제1 내부 안테나의 차단 주파수 이하의 신호를 감쇠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유닛.
(4) 및 (6)의 발명에 따르면, 예를 들어 임피던스 매칭 회로에 로우패스 필터를 부가함으로써, 제1 내부 안테나에 있어서 요구되는 차단 주파수 이하의 주파수의 신호(전파)만을 통과시켜, 불필요한 차단 주파수 이상의 신호(전파)를 감쇠시킨다.
따라서, 차단 주파수(컷 오프 주파수) 이상에서는, 신호(전파)의 이득이 작아져 응답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불필요한 고주파 성분의 정배파(定倍波)를 간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5) 및 (7)의 발명에 따르면, 예를 들어 임피던스 매칭 회로에 하이패스 필터를 부가하는 것만으로 제1 내부 안테나에 있어서 요구되는 차단 주파수 이상의 주파수의 신호(전파)만을 통과시켜, 불필요한 차단 주파수 이하의 신호(전파)를 감쇠시킨다.
따라서, 차단 주파수(컷 오프 주파수) 이하에서는 신호(전파)의 이득이 작아져 응답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불필요한 저주파 성분의 정배파를 간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8)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커넥터 유닛에 있어서, 상기 제1 내부 안테나 및 상기 외부 안테나는 IEEE 802.11로 규격된 2.4 ㎓ 주파수 대역의 전파, IEEE 802.11a로 규격되는 5.2 ㎓ 주변 주파수 대역의 전파, IEEE 802.11b로 규격되는 2.4 ㎓ 주파수 대역의 전파 및 IEEE 802.11g로 규격되는 2.4 ㎓ 주파수 대역의 전파 중 어느 하나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유닛.
(8)의 발명에 따르면, 무선 LAN에 있어서의 Bluetooth나 5.8 ㎓ 주변 주파수 대역의 규격에도 대응할 수 있다.
(9) (8)에 기재된 커넥터 유닛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무선부에 접속되는 제2 내부 안테나를 갖고, 다이버시티 방식을 채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유닛.
이하에,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를 도면을 기초로 하여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한 커넥터 유닛으로서의 커넥터가 적용된 고주파 무선 장치로서의 노트형 PC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노트형 PC는 본체(60)와, 이 본체(60)에 설치된 입력부(61) 및 표시부(62)와, 본체(60)에 단속 가능한 외부 안테나(ANT3)를 구비한다.
입력부(61)는, 예를 들어 키보드나 마우스로 구성되고, 본체(60)의 후술하는 제어부(50)에 조작 신호를 출력하는 것이다.
표시부(62)는,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이고, 본체(60)의 후술하는 제어부(50)로부터 출력된 화상 정보를 표시하는 것이다.
본체(60)는 하우징(1A), 이 하우징(1A)의 내부에 설치된 내부 안테나(ANT1, ANT2), 커넥터(1), 무선부(40) 및 제어부(50)를 갖는다.
제어부(50)는, 예를 들어 CPU나 메모리를 포함하는 메인 기판으로 구성되고, 무선부(40), 입력부(61) 및 표시부(62)를 제어하여 데이터를 처리하는 것이다. 또, 무선부(40)는 제어부(50)의 메인 기판 상에 일체적으로 설치되어도 좋다.
커넥터(1)는 제1 내부 안테나(ANT1) 혹은 외부 안테나(ANT3)를 선택적으로 무선부(40)에 접속하는 것으로, 접속 단자로서의 제1 포트(P1) 및 제2 포트(P2)를 갖고 있다. 제1 포트(P1)는 무선부(40)의 제3 포트(P3)에 동축 케이블(CB1)을 거쳐서 접속되어 있다. 제2 포트(P2)는 제1 내부 안테나(ANT1)에 동축 케이블(CB2)을 거쳐서 접속되어 있다.
이상의 커넥터(1)에서는, 외부 안테나(ANT3)가 본체(60)의 커넥터(1)에 접속되면, 이 외부 안테나(ANT3)는 제1 포트(P1)에 접속된다. 한편, 외부 안테나(ANT3)가 본체(60)의 커넥터(1)에 접속되지 않으면, 제2 포트(P2)와 제1 포 트(P1)가 접속되고 그 결과 제1 내부 안테나(ANT1)는 제1 포트에 접속된다.
안테나(ANT1 내지 ANT3)는 다이버시티 방식을 채용하고 있으며, 제1 내부 안테나(ANT1) 및 외부 안테나(ANT3)는 송신 및 수신을 행하는 안테나(메인 안테나)이고, 제2 내부 안테나(ANT2)는 수신만을 행하는 안테나(서브 안테나)이다.
다이버시티 방식에서는, 데이터 송신시에는 메인 안테나를 사용하고 데이터 수신시에는 메인 안테나, 또는 서브 안테나 중 수신 레벨이 높은 쪽을 선택적으로 사용한다. 이에 의해, 수신 전파의 레벨 변동을 가능한 한 적게 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내부 안테나(ANT1) 및 외부 안테나(ANT3)를 메인 안테나로 하고, 제2 내부 안테나(ANT2)를 서브 안테나로 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반대로 해도 좋다.
도2는 무선부(40)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무선부(40)는 무선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여 처리하는 것으로, 접속 단자로서 제3 포트(P3) 및 제4 포트(P4)를 갖고 있다. 제3 포트(P3)는 후술하는 커넥터(1)의 제1 포트(P1)에 동축 케이블(CB2)을 거쳐서 접속되어 있고, 제4 포트(P4)는 제2 내부 안테나(ANT2)에 동축 케이블(CB3)을 거쳐서 접속되어 있다.
무선부(40)는 서큘레이터(41), 수신부(42), 변복조부(43), 송신부(44) 및 안테나 스위치(45)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송신부(44)는 송신용 무선 신호를 출력한다.
수신부(42)는, 수신한 무선 신호를 소정의 주파수 및 레벨로 변환 및 증폭하여 수신 신호로 한다.
안테나 스위치(45)는 제3 포트(P3) 혹은 제4 포트(P4)를 선택한다. 즉 제3 포트(P3)를 선택한 경우에는, 제1 내부 안테나(ANT1) 및 외부 안테나(ANT3)로부터의 무선 신호를 수신부(42)로 출력한다. 제4 포트(P4)를 선택한 경우에는, 제2 내부 안테나(ANT2)로부터의 무선 신호를 수신부(42)로 출력한다.
서큘레이터(41)는 송신부(44)로부터의 송신용 무선 신호를 안테나 스위치(45)로 출력하는 동시에, 안테나 스위치(45)로부터의 수신용 무선 신호를 수신부(42)로 출력한다. 또한, 서큘레이터(41)는 안테나(ANT1 내지 ANT3)로 수신한 무선 신호, 혹은 안테나(ANT1, ANT3)로부터 송신하는 무선 신호가 수신부(42) 또는 송신부(44)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는 아이솔레이터의 기능을 갖는다.
변복조부(43)는 제어부(50)로부터의 디지털 신호를 변조하여 송신부(44)로 출력하고, 수신부(42)로부터의 수신 신호를 복조하여 복조 데이터인 디지털 신호를 제어부(50)로 출력한다.
또한, 변복조부(43)는 무선부(40)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송신 신호나 수신 신호의 주파수 선택, 송신부(44)가 출력하는 무선 신호의 레벨 제어 및 안테나 스위치(45)의 스위칭 등을 행한다.
무선 신호를 수신할 때의 무선부(40)의 동작은 이하와 같아진다. 우선, 안테나(ANT1 내지 ANT3)로 수신한 무선 신호는, 서큘레이터(41)를 거쳐서 수신부(42)에서 증폭된다. 이 증폭된 무선 신호는, 또한 변복조부(43)에서 디지털 신호로 복조되어 제어부(50)로 출력된다.
또 노트형 PC는, 상술한 바와 같이 다이버시티 방식을 채용하고 있으므로, 무선 신호의 수신 개시시에 제2 내부 안테나(ANT2)로부터의 무선 신호의 레벨과, 제1 내부 안테나(ANT1)[또는 외부 안테나(ANT3)]와의 무선 신호의 레벨을 비교하여 안테나 스위치(45)를 스위칭하고, 무선 신호의 레벨이 높은 쪽의 안테나를 수신부(42)에 접속한다.
한편, 무선 신호를 송신할 때의 무선부(40)의 동작은 이하와 같아진다. 우선, 제어부(50)로부터 디지털 신호가 출력되면 이 디지털 신호는 변복조부(43)에서 무선 신호로 변조되고, 그 후 송신부(44)에서 증폭된다. 이 무선 신호는 서큘레이터(41)를 거쳐서, 안테나(ANT1, ANT3)로부터 복사된다.
다음에, 커넥터(1)의 구조에 대해 도3a 및 도3b는 및 도4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3a는 커넥터(1)의 사시도이고, 도3b는 커넥터(1)를 이면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4a는 커넥터(1)의 평면도이고, 도4b는 커넥터(1)의 정면도이고, 도4c는 커넥터(1)의 배면도이고, 도4d는 도4c의 X-X선 단면도이다. 또, 도4a에서는 글랜드 패턴(20A)의 패턴 레이아웃을 명료하게 하기 위해, 제1 포트(P1) 및 제2 포트(P2)는 생략되어 있다.
도5는 커넥터(1)의 일부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6은 커넥터(1)의 확대 단면도이다.
커넥터(1)는, 하우징(1A)의 측면으로부터 일부가 노출되도록 설치되어 있다(도1 참조). 이 커넥터(1)는 프린트 기판(20)과, 프린트 기판(20) 상에 설치된 고 정 콘택트(12) 및 가동 콘택트(11)와, 이들 콘택트(11, 12)를 덮는 소켓(10)을 구비한다.
외부 안테나(ANT3)는 하우징(1A)의 측면으로부터 노출된 커넥터(1)에 삽입 발출 가능하고, 이 외부 안테나(ANT3)의 선단부에는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러그(30)가 부착되어 있다. 이 플러그(30)는 외부 안테나(ANT3)에 접속된 핀형의 신호 콘택트(31)와, 이 신호 콘택트(31)를 둘러싸는 원통형의 글랜드 콘택트(32)를 구비한다.
고정 콘택트(12)는 프린트 기판(20)에 설치되고, 제2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의 타단부측에 접속되어 있다.
이 고정 콘택트(12)는 평판형이고, 제2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MSL2)의 타단부측에 땜납 등으로 고정된 기단부(12B)와, 후술하는 가동 콘택트의 절곡 부재(11C)가 접촉하는 선단부(12A)를 구비한다.
가동 콘택트(11)는 프린트 기판(20) 상에 설치되고, 제1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의 타단부측에 접속되어 있다. 이 가동 콘택트(11)는 고정 콘택트(12)를 향해 압박되어 있다.
가동 콘택트(11)는 판 스프링으로 형성되고, 제1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MSL1)의 타단부측에 땜납 등으로 고정된 기단부(11B)와, 선단부를 향함에 따라서 고정 콘택트(12)에 접근하도록 굴곡한 선단부(11A)를 구비한다.
이 선단부(11A)는 신호 콘택트(31)가 통과하는 통로로 진입하고 있다. 또, 선단부(11A)의 굴곡율은 적절하게 설정되어도 좋다.
선단부(11A)의 선단부는 고정 콘택트(12)를 향해 절곡되고, 고정 콘택트(12)에 접촉하는 절곡 부재(11C)로 되어 있다.
따라서, 고정 콘택트(12)는 제2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MSL2), 제2 포트(P2), 동축 케이블(CB2)을 거쳐서 제1 내부 안테나(ANT1)에 접속되어 있다.
한편, 가동 콘택트(11)는 제1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MSL1), 제1 포트(P1), 동축 케이블(CB1)을 거쳐서 무선부(40)에 접속되어 있다.
프린트 기판(20)은 소켓(10)의 하면에 배치되어 있다. 프린트 기판(20)의 상면에는, 도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MSL1)과, 제2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MSL2)과, 글랜드 패턴(20A)이 형성되어 있다.
글랜드 패턴(20A)은 특성 임피던스에 영향이 없도록,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MSL1, MSL2)의 사이에 어느 정도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제2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MSL2)과 글랜드 패턴(20A)과의 사이에는, 칩 콘덴서나 칩 코일 등의 회로 소자가 실장되는 회로 소자 실장 영역(20C)이 마련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회로 소자 실장 영역(20C)에는 2개의 회로 소자가 실장되는 2개의 랜드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린트 기판(20)의 하면에는 글랜드 패턴(20B)이 형성되어 있다.
제1 포트(P1)는 제1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MSL1)의 일단부측에 설치된 동축 커넥터(동축 소켓)이고, 제2 포트(P2)는 제2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MSL2)의 일단부 측에 설치된 동축 커넥터(동축 소켓)이다.
이들 제1 포트(P1) 및 제2 포트(P2)의 코어선은, 제1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MSL1) 및 제2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MSL2)의 일단부측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제1 포트(P1) 및 제2 포트(P2)의 글랜드 콘택트는 글랜드 패턴(20A)에 접속되어 접지하고 있다.
소켓(10)은 하우징(1A)의 내벽면에 고정된 대략 상자형이다. 소켓(10)은 가동 콘택트(11) 및 고정 콘택트(12)를 덮는 제1 쉘(13)과, 이 제1 쉘(13)을 덮는 제2 쉘(14)과, 이들 쉘(13, 14)을 덮는 절연성의 소켓 하우징(10A)을 구비하고 있다.
소켓 하우징(10A)에는, 하우징(1A)에 접하는 측의 측면으로부터 축방향에 따라 연장되는 관통 구멍(10G)이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가동 콘택트(11), 고정 콘택트(12), 제1 쉘(13) 및 제2 쉘(14)은 관통 구멍(10G)에 수용되고, 이 관통 구멍(10G)의 후단부측으로부터 일부가 노출되어 있다.
소켓 하우징(10A)에는, 관통 구멍(10G)의 양측에 2개의 관통 구멍(l0D)이 형성되어 있다. 이 관통 구멍(10D)에는, 도4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너트(10E)가 압입되어 있다. 하우징(1A)의 외측으로부터 수나사를 삽입하여 커넥터(1)의 너트(10E)와 체결함으로써,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넥터(1)를 하우징(1A)의 측벽에 부착할 수 있다.
소켓 하우징(10A)의 하면에는 2개의 돌기(10F)가 형성되어 있다. 프린트 기판(20)에는 도시하지 않은 위치 결정용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이 위치 결정용 구 멍에 소켓 하우징(10A)의 돌기(10F)를 삽입함으로써, 소켓(10)과 프린트 기판(20)을 위치 결정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제1 쉘(13)은 도통성을 갖고 있고, 선단부측이 원통형이고 기단부측이 단면 U자 형상이다. 제1 쉘(13)의 선단부측에는, 대향 배치된 한 쌍의 제1 접촉 부재(13C, 13D)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제1 접촉 부재(13C, 13D)는 탄성 변형 가능하고, 제1 쉘(13)의 외측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제1 쉘(13)의 기단부측은, 글랜드 패턴(20A)(도3a 및 도3b 참조)에 땜납 등으로 고정되어 접지하고 있다.
제2 쉘(14)은 도통성을 갖고 있고 단면 U자 형상이다. 제2 쉘(14)의 선단부측에는 대향 배치된 한 쌍의 제2 접촉 부재(14C, 14D)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제2 접촉 부재(14C, 14D)는 탄성 변형 가능하고, 제2 쉘(14)의 내측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제2 쉘(14)의 기단부측에는 플랜지가 형성되어 있고, 이 플랜지는 글랜드 패턴(20A)(도3a 및 도3b 참조)에 땜납 등으로 고정되어 접지하고 있다.
이들 가동 콘택트(11)와, 고정 콘택트(12)와, 제1 쉘(13)과, 제2 쉘(14)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켓 하우징(10A)에 압입되어 일체화된다. 가동 콘택트(11) 및 고정 콘택트(12)는 제1 쉘(13)에 기단부측으로부터 압입되고, 이 제1 쉘(13)은 제2 쉘(14)에 선단부측으로부터 압입된다.
제1 쉘(13)의 내측에는 플러그(30)의 신호 콘택트(31)가 삽입되는 제1 관통 구멍(10B)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쉘(13)과 제2 쉘(14) 사이에는, 플러그(30)의 글랜드 콘택트(32)가 삽입되는 제2 관통 구멍(10C)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제1 관통 구멍(10B)과 제2 관통 구멍(10C)은 동심원을 이루고 있다.
플러그(30)를 커넥터(1)에 삽입하면, 플러그(30)의 글랜드 콘택트(32)가 커넥터(1)의 제2 관통 구멍(10C)에 삽입된다. 그러면, 글랜드 콘택트(32)의 내측면은 제1 쉘(13)의 제1 접촉 부재(13C, 13D)에 접촉하고, 글랜드 콘택트(32)의 외측면은 제2 쉘(14)의 제2 접촉 부재(14C, 14D)에 접촉한다. 이에 의해, 글랜드 콘택트(32)를 커넥터(1)에 확실하게 접속한다.
또한, 플러그(30)를 커넥터(1)에 삽입하면, 플러그(30)의 신호 콘택트(31)가 제1 관통 구멍(10B)에 삽입된다. 그러면, 신호 콘택트(31)는 그 통로 상에 있는 가동 콘택트(11)의 선단부(11A)를 외측으로 압박한다. 이에 의해, 가동 콘택트(11)의 선단부(11A)는 탄성 변형하고, 절곡 부재(11C)는 고정 콘택트(12)의 선단부(12A)로부터 이격된다. 그 결과, 가동 콘택트(11)는 고정 콘택트(12)와 전기적으로 단절된다.
또, 플러그(30)를 커넥터(1)로부터 뽑아 내면, 가동 콘택트(11)의 선단부(11A)는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고, 절곡 부재(11C)는 고정 콘택트(12)의 선단부(12A)에 다시 전기적으로 접촉한다.
이상의 커넥터(1)에 따르면, 외부 안테나(ANT3)가 소켓(10)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플러그(30)의 신호 콘택트(31)는 가동 콘택트(11)와 고정 콘택트(12) 사이로 인입하고 있다. 따라서, 신호 콘택트(31)는 가동 콘택트(11)에 접촉하는 동시에, 가동 콘택트(11)를 압박하여 고정 콘택트(12)로부터 이격시킨다. 즉, 가동 콘택트(11)는 탄성 변형되어 고정 콘택트(12)로부터 단절되어 있다. 그 결과, 외부 안테나(ANT3)는 무선부(40)에 접속된다.
이 때, 외부 안테나(ANT3)는 제1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MSL1) 및 제1 포트(P1)에서 임피던스 매칭된다.
한편, 외부 안테나(ANT3)가 소켓(10)에 삽입되어 있지 않은 상태, 즉 외부 안테나(ANT3)를 소켓(10)으로부터 빼낸 상태에서는, 가동 콘택트(11)는 고정 콘택트(12)에 접촉하고 있다. 그 결과, 제1 내부 안테나(ANT1)는 무선부(40)에 접속된다.
이 때, 제1 내부 안테나(ANT1)는 제2 포트(P2), 제2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MSL2), 고정 콘택트(12), 가동 콘택트(11), 제1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MSL1), 및 제1 포트(P1)에서 임피던스 매칭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커넥터(1)에 관한 임피던스 매칭 회로의 실시예를 도7a 내지 도7e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7a 내지 도7e 중, 제2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MSL2)의 2개의 접속 단자는 고정 콘택트(12)와 제2 포트(P2)에 접속되어 있다.
예를 들어, 도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MSL2)과 글랜드 패턴(20B)과의 사이에 칩 콘덴서(C1)를 접속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칩 콘덴서는 제1 내부 안테나(ANT1)에 있어서 요구되는 차단 주파수 이하의 주파수의 신호(전파)를 그대로 통과시켜, 불필요한 차단 주파수 이상의 신호(전파)를 감쇠시키는 것이다.
칩 콘덴서(C1)는 회로 소자 실장 영역(20C)에 설치되어 있다. 칩 콘덴서(C1)의 한 쪽 접속 단자는 제2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MSL2)에 접속되고, 다 른 쪽 접속 단자는 글랜드 패턴(20A)에 접속된다.
또한, 도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MSL2)과 글랜드 패턴(20A)과의 사이에 칩 콘덴서(C2, C3)를 병렬로 접속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로 소자 실장 영역(20C)에는 2개의 칩 콘덴서(C2, C3)가 설치되어 있다. 2개의 칩 콘덴서(C2, C3) 중, 한 쪽 접속 단자는 제2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MSL2)에 접속되고, 다른 쪽 접속 단자는 글랜드 패턴(20A)에 접속된다.
또한, 도7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MSL2) 내에 칩 콘덴서(C4)를 직렬로 접속해도 좋다.
이에 의해, 임피던스 매칭 회로에 로우패스 필터를 설치하였으므로, 차단 주파수(컷 오프 주파수) 이상에서는 신호(전파)의 이득이 작아져 응답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불필요한 고주파 성분의 정배파를 간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도7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MSL2)과 글랜드 패턴(20A)과의 사이에 칩 코일(L1)을 접속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칩 코일은 제1 내부 안테나(ANT1)에 있어서 요구되는 차단 주파수 이상의 주파수의 신호(전파)를 그대로 통과시켜, 불필요한 차단 주파수 이하의 신호(전파)를 감쇠시키는 것이다.
이 칩 코일(L1)은,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로 소자 실장 영역(20C)에 설치되어 있다. 칩 코일(L1)의 한 쪽 접속 단자는 제2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MSL2)에 접속되고, 다른 쪽 접속 단자는 글랜드 패턴(20A)에 접속된다.
또한, 도7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MSL2) 내에 칩 코일(L2)을 직렬로 접속해도 좋다.
이에 의해, 임피던스 매칭 회로에 하이패스 필터를 설치하였으므로, 차단 주파수(컷 오프 주파수) 이하에 있어서는 신호(전파)의 이득이 작아져 응답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불필요한 저주파 성분의 정배파를 간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에서의 변형 및 개량 등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커넥터 유닛을 노트형 PC에 적용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PDA나 그 밖의 전자 기기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이상의 커넥터에서는 스트립 라인 회로를 적절하게 설계함으로써, 제1 내부 안테나 및 외부 안테나로, IEEE 802.11로 규격된 2.4 ㎓ 주파수 대역의 전파, IEEE 802.11a로 규격되는 5.2 ㎓ 주변 주파수 대역의 전파, IEEE 802.11b로 규격되는 2.4 ㎓ 주파수 대역의 전파 및 IEEE 802.11g로 규격되는 2.4 ㎓ 주파수 대역의 전파 중 어느 하나를 송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커넥터 유닛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플러그를 커넥터 유닛에 삽입 발출하는 것만으로 외부 안테나와 제1 내부 안테나를 절환할 수 있으므로, 간이한 구성으로 안테나의 절환 기구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제1 내부 안테나 및 외부 안테나와 무선부와의 사이에, 마이크로 스트 립 라인에 의한 임피던스 매칭 회로를 개재시켰으므로, 제1 내부 안테나나 외부 안테나가 반드시 50 Ω이 아닌 경우라도 임피던스 매칭할 수 있기 때문에, 제1 내부 안테나 및 외부 안테나를 최적의 상태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커넥터 유닛의 구조적인 설계의 자유도를 넓힐 수 있어, 그 결과 예를 들어 5 ㎓ 주파수대에 대응할 수 있다.

Claims (9)

  1. 하우징과, 이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된 제1 내부 안테나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무선 신호를 처리하는 무선부와, 상기 하우징에 외부로부터 삽입 발출 가능한 외부 안테나를 갖는 고주파 무선 장치에 이용되는 커넥터 유닛이며,
    상기 무선부에 접속되는 제1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 및 상기 제1 내부 안테나에 접속되는 제2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이 설치된 프린트 기판과,
    이 프린트 기판 상에 설치되고 상기 제2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에 접속된 고정 콘택트와,
    상기 프린트 기판 상에 설치되고 상기 제1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에 접속되고, 또한 상기 고정 콘택트를 향해 압박된 탄성 변형 가능한 가동 콘택트와,
    상기 가동 콘택트 및 상기 고정 콘택트를 덮는 소켓을 구비하고,
    상기 외부 안테나를 상기 소켓에 삽입함으로써, 상기 외부 안테나의 선단부는 상기 가동 콘택트와 상기 고정 콘택트 사이로 인입되어 상기 가동 콘택트에 접촉되는 동시에, 상기 가동 콘택트를 압박하여 상기 고정 콘택트로부터 이격시키고, 상기 외부 안테나는 임피던스 매칭되어 상기 무선부에 접속되고,
    상기 외부 안테나를 상기 소켓으로부터 빼냄으로써, 상기 가동 콘택트는 상기 고정 콘택트에 접촉되고, 상기 제1 내부 안테나는 임피던스 매칭되어 상기 무선부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안테나의 선단부에는 핀형의 신호 콘택트와 이 신호 콘택트를 둘러싸는 원통 형상의 글랜드 콘택트를 구비하는 플러그가 설치되고,
    상기 소켓은 상기 가동 콘택트 및 상기 고정 콘택트를 덮고 또한 상기 프린트 기판에 구비된 글랜드 패턴에 접지된 원통 형상의 제1 쉘과, 이 제1 쉘을 덮고 또한 상기 프린트 기판에 구비된 글랜드 패턴에 접지된 원통 형상의 제2 쉘을 갖고,
    상기 플러그를 상기 소켓에 삽입하면, 상기 신호 콘택트는 상기 제1 쉘 내부로 인입하여 상기 가동 콘택트를 상기 고정 콘택트로부터 이격시키고, 상기 글랜드 콘택트는 상기 제1 쉘과 상기 제2 쉘 사이로 인입하여 상기 제1 쉘 및 상기 제2 쉘의 양방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유닛.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린트 기판은 글랜드 패턴과, 이 글랜드 패턴 및 상기 제2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 사이에 형성되어 회로 소자가 실장되는 회로 소자 실장 영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유닛.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 소자는 상기 제1 내부 안테나의 차단 주파수 이하의 신호를 그대로 통과시켜, 상기 제1 내부 안테나의 차단 주파수 이상의 신호를 감쇠시키는 칩 콘덴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유닛.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 소자는 상기 제1 내부 안테나의 차단 주파수 이상의 신호를 그대로 통과시켜, 상기 제1 내부 안테나의 차단 주파수 이하의 신호를 감쇠시키는 칩 코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유닛.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린트 기판에는 상기 제2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에 직렬 접속된 칩 콘덴서가 설치되고,
    이 칩 콘덴서는 상기 제1 내부 안테나의 차단 주파수 이하의 신호를 그대로 통과시켜, 상기 제1 내부 안테나의 차단 주파수 이상의 신호를 감쇠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유닛.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린트 기판에는 상기 제2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에 직렬 접속된 칩 코일이 설치되고,
    이 칩 코일은 상기 제1 내부 안테나의 차단 주파수 이상의 신호를 그대로 통과시켜, 상기 제1 내부 안테나의 차단 주파수 이하의 신호를 감쇠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유닛.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부 안테나 및 상기 외부 안테나는 IEEE 802.11로 규격된 2.4 ㎓ 주파수 대역의 전파, IEEE 802.11a로 규격되는 5.2 ㎓ 주변 주파수 대역의 전파, IEEE 802.11b로 규격되는 2.4 ㎓ 주파수 대역의 전파 및 IEEE 802.11g로 규격되는 2.4 ㎓ 주파수 대역의 전파 중 어느 하나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유닛.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무선부에 접속되는 제2 내부 안테나를 갖고, 다이버시티 방식을 채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유닛.
KR1020040020954A 2003-03-28 2004-03-27 커넥터 유닛 KR1009951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092360 2003-03-28
JP2003092360A JP4162525B2 (ja) 2003-03-28 2003-03-28 高周波無線用コネクタユニッ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7258A KR20040087258A (ko) 2004-10-13
KR100995177B1 true KR100995177B1 (ko) 2010-11-17

Family

ID=32821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0954A KR100995177B1 (ko) 2003-03-28 2004-03-27 커넥터 유닛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947011B2 (ko)
EP (1) EP1463162A3 (ko)
JP (1) JP4162525B2 (ko)
KR (1) KR100995177B1 (ko)
CN (1) CN100454684C (ko)
TW (1) TWI24749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64718B1 (en) * 2005-01-27 2006-06-20 Trans Electric Co., Ltd. Indoor UHF antenna device for a digital television
JP2006211470A (ja) * 2005-01-31 2006-08-10 Mitsubishi Electric Corp 無線通信装置、壁スイッチ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KR100593500B1 (ko) * 2005-11-23 2006-06-30 (주)기가레인 고주파 코넥터용 플러그
KR100809079B1 (ko) 2006-08-07 2008-03-03 (주)기가레인 고주파 신호의 스위칭을 위한 리셉터클 및 이에 결합되는플러그 및 내마모성이 강화된 리셉터클과 플러그
SE530406C2 (sv) * 2007-03-27 2008-05-27 Proant Ab Antennväljare
US20110025581A1 (en) * 2009-07-31 2011-02-03 David John Geer Antenna assembly
JP5286190B2 (ja) 2009-08-03 2013-09-11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同軸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装置
JP4865848B2 (ja) * 2009-12-07 2012-02-01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アンテナ設置方法及びこれに用いる同軸コネクタ
US9160049B2 (en) * 2011-11-16 2015-10-13 Commscope Technologies Llc Antenna adapter
US8899992B2 (en) * 2012-04-09 2014-12-02 Asustek Computer Inc. Connector
TWI481128B (zh) * 2012-04-09 2015-04-11 Asustek Comp Inc 連接器
CN103051353A (zh) * 2012-12-17 2013-04-17 苏州佳世达电通有限公司 一种行动通讯装置
EP2991171B1 (en) * 2013-04-26 2018-11-21 Sony Corporation Connector, data transmission device, data reception device, and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system
JP5772912B2 (ja) * 2013-09-30 2015-09-02 横河電機株式会社 無線機器
JP6444775B2 (ja) 2015-03-03 2018-12-26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コネクタ
US10236564B2 (en) * 2016-07-27 2019-03-19 Intel Corporation Wearable electronic device with detachable antenna support
JP2018037838A (ja) * 2016-08-31 2018-03-08 沖電気工業株式会社 無線装置およびその試験方法
CN107782356B (zh) * 2017-11-15 2024-03-15 四川理工学院 一种室外通用型无线传感器节点
KR102568548B1 (ko) * 2018-12-11 2023-08-21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방식에 의한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65027A (en) 1992-11-03 1994-11-15 Motorola, Inc. Slide switch assembly
US6473045B1 (en) 2001-07-09 2002-10-29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Coaxial connector assembly and antenna assembly having a switching function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08300A (en) * 1991-04-16 1992-04-28 Amp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with interlocked components
GB2263591B (en) * 1992-01-21 1995-05-10 Transradio Ltd Cross-connector with make-before-break switch
US5835071A (en) * 1996-09-25 1998-11-10 Ericsson, Inc. Shielded antenna connector
US5741146A (en) 1996-10-29 1998-04-21 The Whitaker Corporation Coaxial switch
JP3267890B2 (ja) * 1997-03-06 2002-03-25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アンテナ切換用同軸コネクタ
JP3079274B2 (ja) 1997-05-12 2000-08-21 エスエムケイ株式会社 スイッチ付同軸コネクタ
TW361702U (en) 1997-11-17 1999-06-11 Hon Hai Prec Ind Co Ltd Power connector
US6224407B1 (en) * 1997-12-17 2001-05-01 The Whitaker Corporation Coaxial switch connector assembly
JP2000174527A (ja) 1998-12-08 2000-06-23 Toshiba Corp 携帯型電子機器
JP4487352B2 (ja) 1999-11-12 2010-06-23 ソニー株式会社 通信端末装置
JP3519666B2 (ja) 2000-03-30 2004-04-19 シャープ株式会社 Pcカード型無線通信装置
US6213801B1 (en) 2000-04-07 2001-04-10 Kings Electronics Co., Inc. Electrical coupling and switching device with flexible microstrip
JP4461597B2 (ja) 2000-09-19 2010-05-12 ソニー株式会社 無線カードモジュール
JP4522564B2 (ja) 2000-09-22 2010-08-11 富士通株式会社 電子機器
GB0100774D0 (en) * 2001-01-11 2001-02-21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Connector device
JP4664543B2 (ja) 2001-07-26 2011-04-06 株式会社東芝 電子機器および無線アンテナの実装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65027A (en) 1992-11-03 1994-11-15 Motorola, Inc. Slide switch assembly
US6473045B1 (en) 2001-07-09 2002-10-29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Coaxial connector assembly and antenna assembly having a switching fun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538579A (zh) 2004-10-20
JP4162525B2 (ja) 2008-10-08
TW200425657A (en) 2004-11-16
EP1463162A3 (en) 2005-05-04
US20040252073A1 (en) 2004-12-16
TWI247498B (en) 2006-01-11
JP2004304313A (ja) 2004-10-28
CN100454684C (zh) 2009-01-21
EP1463162A2 (en) 2004-09-29
KR20040087258A (ko) 2004-10-13
US6947011B2 (en) 2005-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5177B1 (ko) 커넥터 유닛
US7979089B2 (en) Wireless data communication card with compact antenna
JP4461597B2 (ja) 無線カードモジュール
US6930640B2 (en) Dual frequency band inverted-F antenna
US7242353B2 (en) Bracket-antenna assembly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US6473042B1 (en) Antenna for an electronic device
US20020041258A1 (en) Three-dimensional geometric space loop antenna
EP2063488A1 (en) Dual band antenna
US7466289B2 (en) Integrated module of antenna and connector
US11322835B2 (en) Antenna system with independent ground planes
US6437745B1 (en) Expansion card for wireless data transmission and antenna structure for the same
FI114592B (fi) Kytkin- ja liitinjärjestely ulkoisten ja sisäisten antennien kytkemiseksi esimerkiksi laajennuskorttiin
US6340952B1 (en) Induced loop antenna
US7965253B2 (en) Broadband antenna
US8487825B2 (en) Communication device and system including the same
JP4955047B2 (ja) 高周波結合器
US8125404B2 (en) Monopole antenna with high gain and wide bandwidth
US6297779B1 (en) Antenna module for portable computer
CN114094330A (zh) 一种设备及其天线
JP2004227422A (ja) 無線モジュール装置及び通信装置
JP2008167365A (ja) 無線通信カードのアンテナ接続構造
KR20110048445A (ko) 고주파 결합기
JP2011035820A (ja) 差動ケーブルアセンブ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