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5057B1 - 디스플레이 모듈 및 그를 구비한 단말기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모듈 및 그를 구비한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5057B1
KR100995057B1 KR1020080090094A KR20080090094A KR100995057B1 KR 100995057 B1 KR100995057 B1 KR 100995057B1 KR 1020080090094 A KR1020080090094 A KR 1020080090094A KR 20080090094 A KR20080090094 A KR 20080090094A KR 100995057 B1 KR100995057 B1 KR 1009950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chassis
panel
display module
bottom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00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31149A (ko
Inventor
박상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토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토비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토비스
Priority to KR10200800900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5057B1/ko
Publication of KR201000311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11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50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50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14Back fram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50Protective arrangements
    • G02F2201/503Arrangements improving the resistance to shock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모듈 및 그를 구비한 단말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모듈은, 화상이 형성되는 패널(Panel)의 일측에 배치되어 패널로 빛을 투사하는 백라이트 유닛(Back Light Unit); 패널과 백라이트 유닛을 지지하는 완충프레임; 및 완충프레임의 외곽을 부분적으로 감싸 지지하되 강도 보강을 위한 적어도 2중 측벽을 갖는 섀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섀시의 두께를 증가시키지 않고서도 섀시의 측벽 강도를 종래보다 더 보강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전반적으로 디스플레이 모듈에 대한 구조적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모듈 및 그를 구비한 단말기{Display module and portable phon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모듈 및 그를 구비한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섀시의 두께를 증가시키지 않고서도 섀시의 측벽 강도를 종래보다 더 보강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전반적으로 디스플레이 모듈에 대한 구조적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디스플레이 모듈 및 그를 구비한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란 PCS폰, PDA 등을 포함하는 개인 휴대전화기를 가리킨다. 현대인들에게 있어 단말기는 더 이상의 사치품이 아닌 생필품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이에, 단말기 제조사들의 경우, 새로운 신기술을 내장시키거나 혹은 외관 디자인을 화려하게 만들어 수시로 제품을 출시하고 있으며, 소비자들도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단말기를 교체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하에서 자세히 설명하겠지만, 단말기는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부분과, 입력된 정보를 출력하거나 외부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분으로 나뉜다. 표시부분이란 소위, 액정이라고도 불리는 디스플레이 모듈(Display Module)을 가리킨다.
디스플레이 모듈은 크게, 화상이 형성되는 패널과, 패널의 배후에 결합되어 패널로 빛을 투사하는 백라이트 유닛을 구비한다.
패널로는 주로, LCD(Liquid Crystal Display)가 채용된다. LCD로 적용된 패널은 그 자체적으로 빛을 발산하지 못하고 빛의 투과율을 조절하는 방식으로 채용되기 때문에 패널에 소정의 화상이 형성되도록 하려면 패널로 빛을 투사해야 한다. 이러한 기능은 백라이트 유닛(Back Light Unit)이 담당한다.
백라이트 유닛은 광원을 패널의 평면 일 측에 배치하여 패널 전면을 직접 조광하는 직하 방식과, 패널의 일측면 또는 다수의 측면에 선 광원 혹은 점 광원을 배치시켜 도광판 및 반사시트 등에 광선을 반사 및 확산하는 에지(edge) 방식으로 나뉜다. 현재, 휴대전화기라 불리는 단말기 등과 같은 기기는 주로 후자의 에지 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이러한 백라이트 유닛은 패널과 함께 내부가 빈 사각 루프형상의 완충프레임에 결합되고 이후에 섀시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구현한다.
참고로, 완충프레임은 보통 폴리카보네이트(PC, Polycarbonate)라는 재료를 사출성형하여 제조한다. 폴리카보네이트에 의한 사출성형으로 완충프레임을 제조할 경우, 양산성이 좋을 뿐만 아니라 동일한 복제성이 좋으며, 원자재 구입이 용이하여 생산 단가가 낮아지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대부분의 제조사에서는 완충프레임을 폴리카보네이트에 의한 사출성형으로 제조하고 있는 것이다.
이에 반해 섀시는 완충프레임의 외곽을 감싸 지지하여 완충프레임이 임의로 변형되는 것을 저지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완충프레임 보다는 상대적으로 강한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스틸(SUS)로 제조된다.
특히, 섀시를 제조함에 있어, 섀시의 두께가 두꺼울 경우에는 전반적으로 디스플레이 모듈의 두께가 증가하게 되므로, 통상적으로는 마치 종이와 같이 두께가 얇은 한 장의 스테인리스 스틸 판을 대략 사각 박스 형상으로 절곡시켜 섀시를 제조하게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이 두께가 얇은 한 장의 스테인리스 스틸 판을 대략 사각 박스 형상으로 절곡시켜 단순하게 섀시를 제조할 경우에는 특히 측벽에서의 원하는 강도를 유지하기 어렵고 쉽게 휘어질 우려가 높기 때문에 LCD 패널을 보호하는 본연의 기능을 수행하기 어렵다. 그렇다고 해서 비교적 두께가 두꺼운 스테인리스 스틸 판을 사용하여 섀시를 제조하게 되면 원하는 강도를 유지할 수도 있겠지만 전반적으로 디스플레이 모듈의 두께가 증가되기 때문에 단말기의 슬림화(slim)에 부합하기 어렵고, 그만큼 비용 손실이 유발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실제로 위에서 기술한 종래의 방법대로 섀시를 제조한 후, 섀시 내에 패널과 백라이트 유닛이 결합된 완충프레임을 결합시켜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제조한 다음, 이를 휴대전화기인 단말기에 적용할 경우, 실수로 단말기를 떨어뜨리거나 혹은 단말기로 원치 않는 충격이 가해지면 강도가 약한 섀시의 측벽이 완충프레임으로부터 이탈되는 등의 이유로 인해 가해진 충격이 그대로 패널로 전달되기 때문에 패널이 깨지는 등, 패널이 쉽게 손상되는 문제가 보고 되기도 하였다. 참고로, 도 1은 단말기의 낙하 시, 충격에 의해 단말기가 순간적으로 변형된 상태의 이미지이고, 도 2는 도 1의 충격으로 인해 패널의 우상단 일부분이 깨진 형상의 이미지로서 도면 참조부호 없이 삽입한 도면이다.
따라서 섀시의 강도, 특히 섀시의 측벽 강도를 향상시킬 필요성이 요구되는데 특히, 섀시의 두께를 증가시키지 않으면서도 섀시의 측벽이 원하는 강도를 가질 수 있도록 섀시를 구조 개선함으로써 디스플레이 모듈에 대한 구조적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섀시의 두께를 증가시키지 않고서도 섀시의 측벽 강도를 종래보다 더 보강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전반적으로 디스플레이 모듈에 대한 구조적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디스플레이 모듈 및 그를 구비한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화상이 형성되는 패널(Panel)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패널로 빛을 투사하는 백라이트 유닛(Back Light Unit); 상기 패널과 상기 백라이트 유닛을 지지하는 완충프레임; 및 상기 완충프레임의 외곽을 부분적으로 감싸 지지하되 강도 보강을 위한 적어도 2중 측벽을 갖는 섀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및 그를 구비한 단말기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섀시는, 상기 패널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바닥벽; 및 상기 바닥벽의 외곽 영역에서 상기 패널의 두께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완충프레임에 접촉 지지되는 측벽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측벽은 외측벽과 내측벽을 구비한 2중 측벽일 수 있다.
상기 외측벽과 상기 내측벽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적어도 1회의 벤딩(bending) 가공에 의한 스프링벽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외측벽은 상기 바닥벽의 단부 영역을 적어도 1회 벤딩 가공하여 제작될 수 있으며, 상기 내측벽은 상기 외측벽에 인접된 상기 바닥벽의 일 영역을 절취한 후 적어도 1회 벤딩 가공하여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외측벽과 상기 내측벽은 이격간격을 두고 상호간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이격간격 사이에는 강도 보강용 충전부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강도 보강용 충전부는 상기 이격간격 사이에 충전되어 고착되는 사출물질일 수 있다.
상기 외측벽과 상기 내측벽은 상호간 면접촉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외측벽과 상기 내측벽은 상기 바닥벽의 3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측벽의 길이는 상기 외측벽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닥벽으로부터 상기 외측벽과 상기 내측벽의 높이는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섀시는 스테인리스 스틸(SUS) 박판에 의해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섀시의 두께를 증가시키지 않고서도 섀시의 측벽 강도를 종래보다 더 보강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전반적으로 디스플레이 모듈에 대한 구조적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이 마련되어 있는 단말기에 대한 사시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10)는 크게 본체부(11)와, 본체부(11)의 전면을 개폐하는 폴더부(15)와, 본체부(11)와 폴더부(15) 사이에 마련되어 본체부(11)에 대해 폴더부(15)를 회동시키는 힌지(17)와, 본체부(11)의 배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배터리(18)를 갖는다. 도 3에 도시된 단말기(10)는, 소위 폴더형 휴대전화기이다.
본체부(11)의 내면에는 복수의 키버튼(12)이 마련되어 있다. 키버튼(12)들의 하부에는 음성을 전달하는 마이크(13)가 마련되어 있으며, 그 상부에는 기능버튼(14)들이 구비되어 있다. 기능버튼(14)들은 전화번호나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키버튼(12)들과는 달리 단말기(10)에 저장된 각종 메뉴를 검색하거나 기능을 선택하는 데 활용된다.
폴더부(15)의 내면 상측에는 상대방으로부터의 음성을 수신하는 수신부(16)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수신부(16)의 하부에는 전화번호, 배터리(18)의 충전상 태, 진동 여부, 알람상태 표시 등을 포함하여 문자나 화면이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모듈(20)이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모듈(20)은 폴더부(15) 그 자체가 될 수도 있고, 혹은 폴더부(15) 내의 한 부분일 수도 있다.
도 4는 도 3의 디스플레이 모듈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5 및 도 6은 각각 도 4에 도시된 섀시의 정면 및 배면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5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8의 (a) 내지 (e)는 각각 섀시에 외측벽을 제작하는 과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20)은 화상이 형성되는 패널(30, Panel)과, 패널(30)의 배후에 배치되어 패널(30)로 소정의 빛을 투사하는 백라이트 유닛(40, Back Light Unit)과, 패널(30) 및 백라이트 유닛(40)을 지지하는 수단으로서의 완충프레임(50)과 섀시(60)를 구비한다.
패널(30)로는 PDP(Plasma Display Panel),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FED(Field Emission Display) 등이 적용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LCD 패널(30)을 적용하기로 한다.
백라이트 유닛(40)은, 도광판(41)과, 후술할 완충프레임(50)을 사이에 두고 도광판(41)의 하부에 배치되는 반사시트(42)와, 도광판(41)의 상부에 배치되는 한 쌍의 확산시트(43,44)와, 패널(30)과 확산시트(44) 사이에서 접착되는 차광테이프(45)와, 후술할 섀시(60)의 배면에 결합되며 패널(30)의 일측에 결합된 FPC(30a, Flexible Printed Circuit)이 연결되고 구동용 LSI(Large Scale Integration)를 포함하는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연성인쇄회로기판, 미도시)와, 도광 판(41)으로 빛을 발생시키는 LED(Light Emitting Diode, 발광다이오드, 미도시)가 구비된 LED장착FPCB(46)를 구비한다.
도면에서 보면, 도광판(41)이 거의 사각형의 판상체로 도시되어 있다. 하지만, 도광판(41)은 확산시트(43,44)를 향한 상면은 평평하고 그 하면은 일단으로부터 타단으로 갈수록 그 폭이 좁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도 있다.
반사시트(42)는 도광판(41)의 면적과 거의 동일하게 배치되어 도광판(41)의 하부로 빛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누출된 빛을 다시 반사시켜 도광판(41)을 통해서 패널(30) 측으로 인도하는 역할은 한다. 이러한 반사시트(42)의 일면, 즉 도광판(41)을 향한 면은 거울과 같은 경면을 이룬다.
확산시트(43,44)는 도광판(41)에서 발생한 빛을 확산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의 도면에는 확산시트(43,44)의 표면에 아무런 무늬가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확산시트(43,44)의 표면에는 빛을 좀 더 많이 확산시키기 위한 미세한 도트(dot) 패턴이 연속적으로 다수 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빛의 확산으로 인해 빛이 균일해지지만, 그 부작용으로 발생하는 밝기의 저하를 막기 위해 빛의 집중효과를 발휘하는 프리즘 패턴이 형성된 프리즘 시트(미도시)가 사용될 수도 있다.
차광테이프(45)는 패널(30)의 화면표시영역 외의 부분으로 빛이 새지 못하도록 차광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LED가 발광하여 LED의 빛이 도광판(41)으로 입사된 후, 도광판(41)의 판면을 따라 진행하면, 반사 및 산란에 의해 빛의 일부는 도광판(41) 상부에 있는 확산시트(43,44)로 향하고, 나머지는 도광판(41) 하부에 위치하는 반사시트(42)로 향한다. 반사시트(42)로 향한 빛은 반사시트(42)에 의해 반사되어 다시 도광판(41)을 통해 확산시트(43,44)로 이동된다. 확산시트(43,44)로 확산된 빛은 확산시트(43,44)를 거치면서 균일하게 확산된 후, 패널(30)로 입사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패널(30)에 형성된 화상을 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백라이트 유닛(40)과 패널(30)을 지지하는 수단으로서의 첫 번째 구성인 완충프레임(50)은 백라이트 유닛(40)은 패널(30)을 완충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완충프레임(50)은 패널(30)로 가해지는 충격, 예를 들어 단말기(10)를 떨어뜨림으로써 패널(30)에 가해지는 충격(도 1의 이미지 참조)을 완충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완충프레임(50)은 충격에 대해 완충될 수 있는 예를 들어 고무나 실리콘과 같은 연성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패널(30)이 사각형상을 가지므로, 완충프레임(50) 역시 이에 대응하는 사각형상을 갖는다. 하지만, 패널(30)이 사각형상이 아니라면 이에 대응하도록 완충프레임(50)이 적절한 다른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도시하고 있지는 않지만, 완충프레임(50)의 하단 일측에는 완충프레임(50)이 섀시(60) 내에 수용되면서 결합될 때 섀시(60)의 바닥벽(70)에 형성된 복수의 가이드홀(미도시)에 삽입되는 가이드핀(미도시)이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가이드핀과 가이드홀의 상호 작용에 의해 완충프레임(50)은 섀시(60) 내에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게 된다.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완충프레임(50)은 연성재료로 제조되기 때문에 성형 후, 디스플레이 모듈(20)에 적용하여 다른 부품들과 조립되는 과정에서 형상이 변형될 수 있다. 즉, 완충프레임(50)은 상대적으로 약한 연성재료이기 때문에 열이나 혹은 외력 등에 의해 굽어지거나 뒤틀리기 쉽다.
이처럼 완충프레임(50)이 변형되면 패널(30) 및 백라이트 유닛(40)과의 결합이 쉽지 않을 수밖에 없으며, 강제적으로 조립한다 하더라도 조립 공차가 많이 발생하여 제품으로서의 신뢰성이 저하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패널(30)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하기 위해 연성재료로 완충프레임(50)을 제조하기는 하되, 제조된 완충프레임(50)의 형상이나 외형이 임의로 변형되지 않도록 하는 대비책이 필요하다. 이는 섀시(60)가 담당한다. 즉 섀시(60)는 백라이트 유닛(40)과 패널(30)이 결합된 완충프레임(50)을 외측에서 부분적으로 감싸 지지하여 완충프레임(50)의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이처럼 섀시(60)는 완충프레임(50)의 외곽을 감싸 지지하여 완충프레임(50)이 임의로 변형되는 것을 저지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섀시(60)는 완충프레임(50) 보다는 상대적으로 강한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스틸(SUS) 박판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앞서도 기술한 바와 같이, 두께가 두꺼운 스테인리스 스틸 판을 사용하여 섀시(60)를 제조하게 되면 원하는 강도를 유지할 수 있지만 전반적으로 디스플레이 모듈(20)의 두께가 증가되기 때문에 단말기(10)의 슬림화(slim)에 부합하기 어렵고, 그만큼 비용 손실이 유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두께가 얇은 스테인리스 스 틸(SUS) 박판을 이용하여 섀시(60)를 제조하기는 하되, 특히 측벽(80)의 강도면에서는 종래보다 월등히 높아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반적으로 디스플레이 모듈(20)에 대한 구조적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적인 특징을 갖는 섀시(60)는,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30)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바닥벽(70)과, 바닥벽(70)의 외곽 영역에서 패널(30)의 두께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완충프레임(50)에 접촉 지지되는 측벽(80)을 구비한다.
이 때, 본 실시예에서 섀시(60)에 형성되는 측벽(80)은 종래와 같은 한 겹 구조가 아닌, 외측벽(81)과 내측벽(85)을 구비한 2중 측벽(80)으로 적용된다.
이처럼 섀시(60)에 2중 측벽(80) 구조가 적용되는 경우에는, 종래의 섀시(미도시)보다 월등히 우수한 강도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완충프레임(50)의 보호 역할을 비롯하여, 백라이트 유닛(40)과 패널(30)의 보호 역할을 충분히 담당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실시예와 같이 2중 측벽(80)의 구조를 적용하면서도 바닥벽(70)의 두께는 전혀 변함이 없기 때문에 단말기(10)의 슬림화(slim) 구현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다.
섀시(60)의 구조에 대해 살펴보면, 우선 섀시(60)의 바닥벽(70)에는 도시 않은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관통공은 FPC(30a) 등의 연결 통로로 활용될 수 있지만, 반드시 형성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관통공을 형성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피어싱(piercing) 가공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참고로 피어싱 가공이란 본 실시예와 같은 박판에 홀(hole, 구멍)을 형성하는 가공 방법을 말하며, 소위 블랭킹 가공 또는 일평면 커팅 가공이라고도 한다.
한편, 강도 보강을 위해 마련된 2중 측벽(80)은 바닥벽(70)의 외곽 영역에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백라이트 유닛(40)과 패널(30), 그리고 완충프레임(50) 모두가 사각형의 구조를 가지므로, 본 실시예의 섀시(60) 역시 사각형의 구조를 갖는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중 측벽(80)은 바닥벽(70)의 3변에 형성된다.
바닥벽(70)의 나머지 한 변, 즉 2중 측벽(80)이 형성되지 않은 바닥벽(70)의 나머지 한 변은 FPC(30a, Flexible Printed Circuit) 등의 구성이 지나는 장소로 활용되기 때문에 2중 측벽(80)이 형성되지 않고 있으나, 이 영역에도 짧은 길이만큼 2중 측벽(80)의 구조를 적용해도 무방하다.
본 실시예에서 외측벽(81)과 내측벽(85)으로 이루어지는 2중 측벽(80) 모두는, 섀시(60)의 재료인 스테인리스 스틸(SUS) 박판을 부분적으로 1회 벤딩(bending) 가공한 스프링벽 형태를 갖는다.
다시 말해, 외측벽(81)과 내측벽(85) 모두는 두 겹이 하나의 벽 형태를 갖는데, 이러한 모양 및 구조를 스프링벽이라 한다. 참고로 스프링벽은 헤밍(hemming) 구조라 불리기도 한다. 이처럼 섀시(60)의 측벽(80)을 외측벽(81)과 내측벽(85)으로 이루어지는 2중 측벽(80) 구조로 적용하고, 또한 이에 더하여 외측벽(81)과 내측벽(85) 모두를 두 겹이 하나의 벽 형태인 스프링벽으로 적용함에 따라 강도가 보다 더 우수해지는 이점이 있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므로, 외측벽(81)과 내측벽(85)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는, 스테인리스 스틸(SUS) 박판을 2회 이상 벤딩 가공한 3중 이상의 스프링벽 형태가 되어도 무방하다. 즉 도면처럼 외측벽(81)과 내측벽(85)이 1회 벤딩 가공된 것이 아니라 2회 벤딩 가공되어 형성된 스프링벽의 형태가 되어도 무방하다.
이처럼 스프링벽 형태를 갖는 외측벽(81)과 내측벽(85)의 제작 과정을 살펴보면, 외측벽(81)은 바닥벽(70)의 단부 영역을 1회 벤딩 가공하여 제작될 수 있다. 이에 대해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원 재료인 두께가 얇은 스테인리스 스틸(SUS) 박판을 준비한다. 이 때에 스테인리스 스틸(SUS) 박판의 면적은 외측벽(81)이 1회 벤딩 가공되는 것을 감안하여 설계된다.
참고로, 도 8의 (a)는 스테인리스 스틸(SUS) 박판이고, 도 8의 (e)는 스테인리스 스틸(SUS) 박판을 절곡시켜 외측벽(81)을 형성시킨 것이므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이다. 따라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스테인리스 스틸(SUS) 박판에 대해서는 참조부호를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 별도로 준비된 금형(미도시)에 스테인리스 스틸(SUS) 박판을 올려두고,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테인리스 스틸(SUS) 박판의 양측 단부 영역을 벤딩 가공한 후, 도 8의 (c)와 같이, 완전히 접는다. 벤딩 가공이란 본 실시예와 같이, 박판을 접는 가공 방법을 가리킨다.
도 8의 (c) 상태가 되면, 도 8의 (d)와 같이, 이를 별도의 다이(95a, die)에 올려두고 접혀지지 않은 부분을 프레스(95b, press)로 가압한다. 이를 딥 드로잉 가공이라 한다. 참고로, 딥 드로잉 가공이란 본 실시예와 같이 얇은 박판을 가공하는 초정밀 프레스 공법의 일종이다. 도 8의 (d)와 같이 딥 드로잉 가공을 실시하고 나면, 최종적으로 도 8의 (e)와 같이 바닥벽(70)에 대해 측벽(80) 중에서 바깥쪽인 외측벽(81)이 형성될 수 있게 된다. 단부는 추후에 트리밍(trimming) 가공하여 매끄럽게 더 가공할 수도 있다.
한편, 섀시(60)의 2중 측벽(80) 중에서도 외측벽(81)은 도 8과 같은 방법으로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 그렇지만, 외측벽(81)의 안쪽으로 마련되는 내측벽(85)은 구조상 외측벽(81)과 동일한 형태로 가공할 수는 없다.
따라서 내측벽(85)은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벽(81)에 인접된 바닥벽(70)의 일 영역을 절취한 후 절취된 영역을 바닥벽(70)에 대해 들어 올린 후 1회 벤딩 가공하여 제작할 수 있다.
즉, 바닥벽(70)의 일 영역을 대략 'ㄷ'자 형태로 절취한 후, 우선 바닥벽(70)에 대해 벤딩시키고, 이어 도 8에서 기술한 방법의 일부를 사용함으로써 마치 외측벽(81)과 유사한 형태의 내측벽(85)을 제작할 수 있다. 바닥벽(70)의 일 영역을 대략 'ㄷ'자 형태로 절취하고자 할 때는 피어싱(piercing) 가공의 방법이 적용될 수도 있다.
내측벽(85)이 제작되고 나면, 내측벽(85) 사용에 소요된 부분만큼 바닥벽(70)에는 관통된 부분(71)이 남게 되지만, 디스플레이 모듈(20)의 성능에는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그냥 두어도 무방하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외측벽(81)과 내측벽(85)을 제작하는 경우, 외측벽(81)과 내측벽(85)은 이격간격(S)을 두고 상호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는데, 구조상 내측벽(85)의 길이는 외측벽(81)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된다.
하지만, 바닥벽(70)의 저면에서부터 외측벽(81)과 내측벽(85)까지의 높이는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함으로써 다른 구조물과의 간섭이 발생되는 것을 저지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섀시(60)에 2중 측벽(80)을 형성하는 경우, 종래기술 대비 섀시(60)의 두께를 증가시키지 않고서도 섀시(60)의 측벽(80) 강도를 종래보다 더 보강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전반적으로 디스플레이 모듈(20)에 대한 구조적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에서 섀시의 단면도이다.
전술한 실시예의 경우, 2중 측벽(80)을 이루는 외측벽(81)과 내측벽(85) 사이의 이격간격(S)은 비어 있는 구조를 개시하고 있다.
하지만, 본 실시예의 섀시(60a)와 같이, 외측벽(81)과 내측벽(85) 사이의 이격간격(S)에는 별도의 강도 보강용 충전부(P)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이 때의 강도 보강용 충전부(P)는 얇은 금속 판 등일 수도 있고, 혹은 이격간격(S) 사이에 충전되어 고착되는 사출물질일 수도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에서 섀시의 단면도이다.
전술한 실시예들의 경우에는 2중 측벽(80)을 이루는 외측벽(81)과 내측벽(85) 사이의 이격간격(S)이 형성되었으나,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외측벽(81)과 내측벽(85) 이 상호간 면접촉되도록 하고 있다.
도 10과 같은 구조가 적용된다 하더라도, 섀시(60b)의 두께를 증가시키지 않고서도 섀시(60b)의 측벽(80) 강도를 종래보다 더 보강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전반적으로 디스플레이 모듈(20)에 대한 구조적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는 본 발명의 효과를 제공하는 데에는 아무런 무리가 없다.
전술한 실시예들에서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폴더부의 내부에만 적용하고 있지만, 디스플레이 모듈을 폴더부의 외부에 적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을 하나 더 사용할 수도 있고, 혹은 섀시의 바닥벽을 개방시킨 후, 그 반대편에 보조 패널을 배치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라면 양방향으로 빛을 발산할 수 있는 도광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반사시트 대신 그 위치에 확산시트를 배치해야 할 것이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단말기를 PCS폰 및 PDA 등의 전화기로 한정하고 있지만, 디스플레이 모듈이 적용될 수 있는 디지털카메라나 캠코더, 계산기 등에도 그 영역을 확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도 1은 단말기의 낙하 시, 충격에 의해 단말기가 순간적으로 변형된 상태의 이미지이다.
도 2는 도 1의 충격으로 인해 패널의 우상단 일부분이 깨진 형상의 이미지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이 마련되어 있는 단말기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디스플레이 모듈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각각 도 4에 도시된 섀시의 정면 및 배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8의 (a) 내지 (e)는 각각 섀시에 외측벽을 제작하는 과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에서 섀시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에서 섀시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단말기 11 : 본체부
15 : 폴더부 18 : 배터리
20 : 디스플레이 모듈 30 : 패널
40 : 백라이트 유닛 41 : 도광판
50 : 완충프레임 60 : 섀시
70 : 바닥벽 80 : 측벽
81 : 외측벽 85 : 내측벽

Claims (13)

  1. 화상이 형성되는 패널(Panel)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패널로 빛을 투사하는 백라이트 유닛(Back Light Unit);
    상기 패널과 상기 백라이트 유닛을 지지하는 완충프레임; 및
    상기 완충프레임의 외곽을 부분적으로 감싸 지지하되 강도 보강을 위한 적어도 2중 측벽을 갖는 섀시를 포함하며,
    상기 섀시는,
    상기 패널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바닥벽; 및
    상기 바닥벽의 외곽 영역에서 상기 패널의 두께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완충프레임에 접촉 지지되고, 외측벽과 내측벽을 구비하는 2중 측벽을 포함하며,
    상기 외측벽과 상기 내측벽은 이격간격을 두고 상호간 나란하게 배치되되 상기 이격간격 사이에는 강도 보강용 충전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벽과 상기 내측벽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적어도 1회의 벤딩(bending) 가공에 의한 스프링벽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벽은 상기 바닥벽의 단부 영역을 적어도 1회 벤딩 가공하여 제작되며, 상기 내측벽은 상기 외측벽에 인접된 상기 바닥벽의 일 영역을 절취한 후 적어도 1회 벤딩 가공하여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도 보강용 충전부는 상기 이격간격 사이에 충전되어 고착되는 사출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벽과 상기 내측벽은 상호간 면접촉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벽과 상기 내측벽은 상기 바닥벽의 3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벽의 길이는 상기 외측벽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벽으로부터 상기 외측벽과 상기 내측벽의 높이는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섀시는 스테인리스 스틸(SUS) 박판에 의해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13. 제1항의 디스플레이 모듈이 구비되어 있는 단말기.
KR1020080090094A 2008-09-12 2008-09-12 디스플레이 모듈 및 그를 구비한 단말기 KR1009950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0094A KR100995057B1 (ko) 2008-09-12 2008-09-12 디스플레이 모듈 및 그를 구비한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0094A KR100995057B1 (ko) 2008-09-12 2008-09-12 디스플레이 모듈 및 그를 구비한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1149A KR20100031149A (ko) 2010-03-22
KR100995057B1 true KR100995057B1 (ko) 2010-11-18

Family

ID=42180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0094A KR100995057B1 (ko) 2008-09-12 2008-09-12 디스플레이 모듈 및 그를 구비한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505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12005A (ko) 2010-04-05 2011-10-12 주식회사 팬택 직교성을 제공하는 사이클릭 쉬프트 파라메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931334B1 (ko) * 2011-12-26 2018-12-2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모바일 기기용 표시패널 수납모듈
IT202000004051A1 (it) * 2020-02-28 2021-08-28 Vito Ippolito Dispositivo antifurto per centraline obd a smontaggio ortogonal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2097B1 (ko) 2005-11-23 2007-05-2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휴대용 표시장치
KR100759674B1 (ko) * 2006-07-07 2007-09-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휴대용 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2097B1 (ko) 2005-11-23 2007-05-2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휴대용 표시장치
KR100759674B1 (ko) * 2006-07-07 2007-09-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휴대용 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1149A (ko) 2010-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90710B2 (ja) 携帯電子機器
KR102284611B1 (ko) 핸드헬드 장치 인클로저
US7826206B2 (en) Receiving module for a display device,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thereof
KR20110019823A (ko) 디스플레이 모듈 및 그를 구비한 단말기
CN102117105A (zh) 手持式计算设备
KR100995057B1 (ko) 디스플레이 모듈 및 그를 구비한 단말기
KR20070052082A (ko) 디스플레이 모듈 및 그를 구비한 단말기
JP2004118125A (ja) 表示ユニット及び該表示ユニットを備えた電子機器
KR100703616B1 (ko) 액정디스플레이(lcd) 모듈 및 그를 구비한 단말기, 그리고 액정디스플레이(lcd) 모듈의 몰드프레임 제조방법
JP4802809B2 (ja) 両面表示型液晶モジュール
US8811036B2 (en) Electronic device and frame member
KR20100025407A (ko) 액정디스플레이(lcd) 모듈 및 그를 구비한 단말기
US8107259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JP4909827B2 (ja) 携帯電子機器
KR100853669B1 (ko) 디스플레이 모듈 및 그를 구비한 단말기
KR100731902B1 (ko) 디스플레이 모듈 및 그를 구비한 단말기
KR100897205B1 (ko) 액정디스플레이 모듈 및 그를 구비한 단말기, 그리고액정디스플레이 모듈의 프레임지지체 제조방법
KR20100127446A (ko) 디스플레이 모듈 및 그를 구비한 단말기
KR100867653B1 (ko) 액정디스플레이(lcd)모듈 및 그를 구비한 단말기
KR100760485B1 (ko) 디스플레이 모듈 및 그를 구비한 단말기
JP4063579B2 (ja) 携帯通信機器
CN201340697Y (zh) 显示器模块缓冲框架的外框架支撑部
JP5125578B2 (ja) 携帯端末装置
JP2007171738A (ja) 液晶モジュール
KR100915007B1 (ko) 디스플레이 모듈 및 그를 구비한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