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3669B1 - 디스플레이 모듈 및 그를 구비한 단말기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모듈 및 그를 구비한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3669B1
KR100853669B1 KR1020080042832A KR20080042832A KR100853669B1 KR 100853669 B1 KR100853669 B1 KR 100853669B1 KR 1020080042832 A KR1020080042832 A KR 1020080042832A KR 20080042832 A KR20080042832 A KR 20080042832A KR 100853669 B1 KR100853669 B1 KR 1008536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mold frame
light
main mold
display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28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동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토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토비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토비스
Priority to KR10200800428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36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36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36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iquid Crystal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모듈 및 그를 구비한 단말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모듈은, 화상이 형성되는 화상 표시영역과, 화상 표시영역의 외곽에 형성되되 흑색 처리된 블랙 매트릭스 구간(back matrix)과 흑색 처리되지 않은 트랜스패런트 글라스 구간(transparent glass)으로 구분된 노이즈 영역을 구비한 패널; 및 패널의 배후에 배치되어 패널로 빛을 투사하는 백라이트 유닛(Back Light Unit); 패널 및 백라이트 유닛을 지지하는 메인 몰드프레임; 및 패널의 트랜스패런트 글라스 구간의 크기에 기초하여 메인 몰드프레임과 패널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고 해당 위치에서 패널 측으로의 빛샘 발생을 저지시키는 서브 몰드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트랜스패런트 글라스(transparent glass) 구간의 크기가 서로 다른 패널에도 공용으로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 종래와 같이 패널의 화상 표시영역에 인접된 위치에서 빛샘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저지하여 선명한 화상 형성을 구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모듈 및 그를 구비한 단말기{Display module and portable phon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모듈 및 그를 구비한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트랜스패런트 글라스(transparent glass) 구간의 크기가 서로 다른 패널에도 공용으로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 종래와 같이 패널의 화상 표시영역에 인접된 위치에서 빛샘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저지하여 선명한 화상 형성을 구현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모듈 및 그를 구비한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란 PCS폰, PDA 등을 포함하는 개인 휴대전화기를 가리킨다. 현대인들에게 있어 단말기는 더 이상의 사치품이 아닌 생필품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이에, 단말기 제조사들의 경우, 새로운 신기술을 내장시키거나 혹은 외관 디자인을 화려하게 만들어 수시로 제품을 출시하고 있으며, 소비자들도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단말기를 교체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하에서 자세히 설명하겠지만, 단말기는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부분과, 입력된 정보를 출력하거나 외부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분으로 나뉜다. 표시부분이란 소위, 액정이라고도 불리는 디스플레이 모듈(Display Module)을 가리킨다.
디스플레이 모듈은 크게, 화상이 형성되는 패널(Panel)과, 패널의 배후에 결합되어 패널로 빛을 투사하는 백라이트 유닛(Back Light Unit)과, 이들이 수용되어 결합되는 메인 몰드프레임(Mold Frame)을 구비한다.
패널로는 주로 LCD(Liquid Crystal Display)가 채용되는데, LCD로 적용된 패널은 그 자체적으로 빛을 발산하지 못하고 빛의 투과율을 조절하는 방식으로 채용되기 때문에 패널에 소정의 화상이 형성되도록 하려면 패널로 빛을 투사해야 한다. 이러한 기능은 백라이트 유닛이 담당한다.
백라이트 유닛은 광원을 패널의 평면 일 측에 배치하여 패널 전면을 직접 조광하는 직하 방식과, 패널의 일측면 또는 다수의 측면에 선 광원 혹은 점 광원을 배치시켜 도광판 및 반사시트 등에 광선을 반사 및 확산하는 에지(edge) 방식으로 나뉜다. 현재, 휴대전화기라 불리는 단말기 등과 같은 기기는 주로 후자의 에지 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한편, LCD로 적용된 패널은 실제 화상이 형성되면서 표시되는 화상 표시영역과 화상 표시영역의 외곽에 형성되는 노이즈 영역으로 구분된다. 노이즈 영역은 다시 흑색 처리된 블랙 매트릭스 구간(back matrix)과 흑색 처리되지 않은 트랜스패런트 글라스 구간(transparent glass)으로 나뉜다.
블랙 매트릭스 구간은 화상 표시영역에 표시되는 화상의 선명도를 높이기 위해 마련된다. 트랜스패런트 글라스 구간은 대면적 원기판으로부터 다수의 단위기판을 절단할 때에 원기판 대비 다수의 단위기판에 대한 생산 수율을 고려하여 그 사이즈가 결정되는데, 근자에 들어서는 트랜스패런트 글라스 구간이 점차 커지고 있 는 실정이다.
그리고 백라이트 유닛을 이루는 다수의 부품 중에 하나인 차광테이프는 패널과 확산시트 사이에 마련되어 패널과 확산시트를 상호간 접착시킴으로써, 패널의 화상 표시영역 외의 부분으로 빛이 새는 이른 바, 빛샘 방지의 역할을 담당한다.
그런데, 종래의 디스플레이 모듈에 있어서는, 메인 몰드프레임의 크기가 일률적으로 규격화되어 있기 때문에 규격화된 메인 몰드프레임에 트랜스패런트 글라스 구간의 크기가 서로 다른 패널을 공용으로 적용할 수 없어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디스플레이 모듈에 있어서는, 차광테이프가 존재한다 하더라도 차광테이프의 위치적인 한계 또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구조적인 한계로 인해 도광판으로부터의 빛이 부품들 간의 결합 영역을 경유하여 패널의 측면과 메인 몰드프레임 사이의 공간을 통해 새어(누설되어) 선명한 화상 형성에 지장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이러한 현상은 블랙 매트릭스 구간이 좁을수록 더더욱 심화되어 선명한 화상 형성에 지장을 초래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대책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트랜스패런트 글라스(transparent glass) 구간의 크기가 서로 다른 패널에도 공용으로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 종래와 같이 패널의 화상 표시영역에 인접된 위치에서 빛샘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저지하여 선명한 화상 형성을 구현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모듈 및 그를 구비한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화상이 형성되는 화상 표시영역과, 상기 화상 표시영역의 외곽에 형성되되 흑색 처리된 블랙 매트릭스 구간(back matrix)과 흑색 처리되지 않은 트랜스패런트 글라스 구간(transparent glass)으로 구분된 노이즈 영역을 구비한 패널; 및 상기 패널의 배후에 배치되어 상기 패널로 빛을 투사하는 백라이트 유닛(Back Light Unit); 상기 패널 및 상기 백라이트 유닛을 지지하는 메인 몰드프레임; 및 상기 패널의 트랜스패런트 글라스 구간의 크기에 기초하여 상기 메인 몰드프레임과 상기 패널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고 해당 위치에서 상기 패널 측으로의 빛샘 발생을 저지시키는 서브 몰드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및 그를 구비한 단말기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백라이트 유닛은, 도광판; 상기 도광판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패널을 향해 빛을 확산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확산시트; 및 양면의 적어도 일 영역이 상기 패널, 상기 확산시트, 상기 메인 몰드프레임 및 상기 서브 몰드프레임에 부분적으로 접착되어 상기 패널의 화상 표시영역에 인접된 위치에서 빛샘 발생을 저지시키는 차광테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광테이프는, 상면의 일 영역이 상기 패널 및 상기 서브 몰드프레임의 하면에 접착되고, 하면의 일 영역은 상기 메인 몰드프레임 및 상기 확산시트의 상면에 접착될 수 있다.
상기 서브 몰드프레임은 상기 메인 몰드프레임의 측벽을 강제로 후퇴시켜 형성된 공간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백라이트 유닛은, 상기 도광판의 하부에 마련되어 상기 도광판으로 빛을 반사시키는 반사시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 몰드프레임의 하부에는 반사시트가 부분적으로 삽입 배치되는 홈부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홈부에 삽입된 반사시트의 하면과 상기 메인 몰드프레임의 하면은 일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패널은 LCD(Liquid Crystal Display)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트랜스패런트 글라스(transparent glass) 구간의 크기가 서로 다른 패널에도 공용으로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 종래와 같이 패널의 화상 표시영역에 인접된 위치에서 빛샘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저지하여 선명한 화상 형성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이 적용된 단말기의 사 시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10)는 크게 본체부(11)와, 본체부(11)의 전면을 개폐하는 폴더부(15)와, 본체부(11)와 폴더부(15) 사이에 마련되어 본체부(11)에 대해 폴더부(15)를 회동시키는 힌지(17)와, 본체부(11)의 배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배터리(18)를 갖는다. 도 1에 도시된 단말기(10)는 소위 폴더형 휴대전화기이다.
본체부(11)의 내면에는 복수의 키버튼(12)이 마련되어 있다. 키버튼(12)들의 하부에는 음성을 전달하는 마이크(13)가 마련되어 있으며, 그 상부에는 기능버튼(14)들이 구비되어 있다. 기능버튼(14)들은 전화번호나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키버튼(12)들과는 달리 단말기(10)에 저장된 각종 메뉴를 검색하거나 기능을 선택하는 데 활용된다.
폴더부(15)의 내면 상측에는 상대방으로부터의 음성을 수신하는 수신부(16)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수신부(16)의 하부에는 전화번호, 배터리(18)의 충전상태, 진동 여부, 알람상태 표시 등을 포함하여 문자나 화면이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모듈(20)이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모듈(20)은 폴더부(15) 그 자체가 될 수도 있고, 혹은 폴더부(15) 내의 한 부분일 수도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의 Ⅳ-Ⅳ선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20)은 화상이 형성되는 패널(30, Panel)과, 패널(30)의 배후에 배치되어 패 널(30)로 소정의 빛을 투사하는 백라이트 유닛(40, Back Light Unit)과, 패널(30) 및 백라이트 유닛(40)을 지지하는 메인 몰드프레임(50, Mold Frame)과, 메인 몰드프레임(50)과 패널(30)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고 해당 위치에서 패널(30) 측으로의 빛샘 발생을 저지시키는 서브 몰드프레임(60)을 구비한다.
패널(30)로는 전술한 바와 같이, PDP(Plasma Display Panel),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FED(Field Emission Display) 등이 적용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LCD 패널(30)을 적용하기로 한다.
LCD 패널(30)에 대해 부연하면, LCD 패널(30)은 내부에 액정(Liquid Crystal, 미도시)이 주입된 상태에서 상호 부분적으로 면배치되는 상부 글라스(31) 및 하부 글라스(32)로 이루어진다. 도시하고 있지는 않지만 상부 글라스(31) 및 하부 글라스(32)의 외측면에는 각각 상부 및 하부 편광판(P, Polarizer Film)이 접착된다.
칼라의 화상을 형성하는 상부 글라스(31, Color Filter Glass)는 하부 글라스(32, TFT Panel)에 비해 그 면적이 작게 형성된다. 따라서 하부 글라스(32)의 상면에는 상부 글라스(31)가 중첩되지 않는 부분이 존재하는데, 이 부분에는 드라이버 IC(33)가 장착된다. 드라이버 IC(33)는 FPC(30a, Flexible Printed Circuit)에 의해 단말기(10)에 구비된 인쇄회로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 미도시)과 연결된다.
이러한 LCD 패널(3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제 화상이 형성되면서 표시되는 화상 표시영역(P1)과 화상 표시영역(P1)의 외곽에 형성되는 노이즈 영역(P2)으로 구분된다.
노이즈 영역(P2)은 다시 흑색 처리된 블랙 매트릭스 구간(B, back matrix)과 흑색 처리되지 않은 트랜스패런트 글라스 구간(T, transparent glass)으로 나뉜다.
블랙 매트릭스 구간(B)은 화상 표시영역(P1)에 표시되는 화상의 선명도를 높이기 위해 마련된다. 즉, 블랙 매트릭스 구간(B)을 흑색으로 처리하게 되면, 화상 표시영역(P1)을 통하는 빛만 이미지를 형성하게 됨으로써 Contrast Ratio가 높은 선명한 이미지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창가 쪽에 TV를 놓고 대낮에 TV를 본다고 가정할 경우, 창에 두꺼운 블랙 커튼을 친다면 훨씬 선명한 화면을 볼 수 있을 것인데, 이때의 블랙 커튼의 역할을 블랙 매트릭스 구간(B)이 수행하고 있는 것이다.
트랜스패런트 글라스 구간(T)은 대면적 원기판으로부터 다수의 단위기판을 절단할 때에 원기판 대비 다수의 단위기판에 대한 생산 수율을 고려하여 그 사이즈가 결정된다. 앞서도 기술한 바와 같이, 근자에 들어서는 트랜스패런트 글라스 구간(T)이 점차 커지고 있는 실정이다.
백라이트 유닛(40)은, 패널(30)과 함께 메인 몰드프레임(50)에 결합되어 패널(30)로 소정의 빛을 투사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백라이트 유닛(40)은, 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광판(41)과, 도광판(41)의 하부에 배치되는 반사시트(42)와, 도광판(41)의 상부에 배치되는 한 쌍의 확산시트(43,44)와, 패널(30)과 확산시트(44) 사이에서 접착되는 차광테이프(45)와, 후술할 프레임지지부(52)의 배면에 결합되며 패널(30)의 일측에 결합된 FPC(30a, Flexible Printed Circuit)이 연결되고 구동용 LSI(Large Scale Integration)를 포함하는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연성인쇄회로기판, 미도시)와, 도광판(41)으로 빛을 발생시키는 LED(Light Emitting Diode, 발광다이오드, 미도시)가 구비된 LED장착FPCB(46)를 구비한다.
도면에서 보면, 도광판(41)이 거의 사각형의 판상체로 도시되어 있다. 하지만, 도광판(41)은 확산시트(43,44)를 향한 상면은 평평하고 그 하면은 일단으로부터 타단으로 갈수록 그 폭이 좁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도 있다.
반사시트(42)는 도광판(41)의 면적과 거의 동일하게 배치되어 도광판(41)의 하부로 빛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누출된 빛을 다시 반사시켜 도광판(41)을 통해서 패널(30) 측으로 인도하는 역할은 한다. 이러한 반사시트(42)의 일면, 즉 도광판(41)을 향한 면은 거울과 같은 경면을 이룬다.
확산시트(43,44)는 도광판(41)에서 발생한 빛을 확산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의 도면에는 확산시트(43,44)의 표면에 아무런 무늬가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확산시트(43,44)의 표면에는 빛을 좀 더 많이 확산시키기 위한 미세한 도트(dot) 패턴이 연속적으로 다수 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빛의 확산으로 인해 빛이 균일해지지만, 그 부작용으로 발생하는 밝기의 저하를 막기 위해 빛의 집중효과를 발휘하는 프리즘 패턴이 형성된 프리즘 시트(미도시)가 사용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확산시트(43,44)가 사용되고 있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의 개수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하부 확산시트(43)의 하부로 디퓨져(47, diffuser)가 더 구비되어 있 는데, 디퓨져(47)가 반드시 구비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차광테이프(45)는 패널(30)의 화상 표시영역(P1) 외의 부분으로 빛이 새지 못하도록 차광하는 역할을 한다. 차광테이프(45)는 상면의 일 영역이 패널(30) 및 서브 몰드프레임(60)의 하면에 접착되고, 하면의 일 영역은 메인 몰드프레임(50) 및 확산시트(44)의 상면에 접착되며, 그 위치에서 패널(30)의 화상 표시영역(P1)에 인접된 위치에서 빛샘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차광테이프(45)는 패널(30)이 사각 구조를 갖는 관계로 사각의 폐루프 형상을 이루면 그것으로 족하다.
메인 몰드프레임(50)은 패널(30) 및 백라이트 유닛(4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데, 이러한 메인 몰드프레임(50)은 완충프레임(51)과 프레임지지부(52)를 구비한다. 물론, 완충프레임(51)과 프레임지지부(52)로 분리되지 않고 단일의 구조물로서 메인 몰드프레임(50)이 제작되어도 좋다.
만약, 메인 몰드프레임(50)이 완충프레임(51)과 프레임지지부(52)로 분리된 경우라면, 완충프레임(51)은 백라이트 유닛(40)과 패널(30)을 완충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되고, 프레임지지부(52)는 백라이트 유닛(40)과 패널(30)이 결합된 완충프레임(51) 전체가 수용될 수 있도록 완충프레임(51)의 외곽을 감싸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에 대해 좀 더 부연하면, 완충프레임(51)은 패널(30)로 가해지는 충격, 예를 들어 단말기(10)를 떨어뜨림으로써 패널(30)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완충프레임(51)은 충격에 대해 완충될 수 있는 예를 들어 고무나 실리콘과 같은 연성재료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의 경우, 패널(30)이 사각형상을 가지므로, 완충프레임(51) 역시 이에 대응하는 사각형상을 갖는다. 하지만, 패널(30)이 사각형상이 아니라면 이에 대응하도록 완충프레임(51)이 적절한 다른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자세하게 도시하고 있지는 않지만, 완충프레임(51)의 측부에는 완충프레임(51)이 프레임지지부(52) 내에 수용되면서 결합될 때 프레임지지부(52)에 형성된 복수의 가이드홀(미도시)에 삽입되는 다수의 가이드핀(미도시)이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가이드핀과 가이드홀의 상호 작용에 의해 완충프레임(51)은 프레임지지부(52) 내에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게 된다. 물론, 가이드핀과 가이드홀은 구성상 제외될 수도 있다.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완충프레임(51)은 연성재료로 제조되기 때문에 성형 후, 디스플레이 모듈(20)에 적용하여 다른 부품들과 조립되는 과정에서 형상이 변형될 수 있다. 즉, 완충프레임(51)은 상대적으로 약한 연성재료이기 때문에 열이나 혹은 외력 등에 의해 굽어지거나 뒤틀리기 쉬울 수 있다.
만약 완충프레임(51)이 변형되면 패널(30) 및 백라이트 유닛(40)과의 결합이 쉽지 않을 수밖에 없으며, 강제적으로 조립한다 하더라도 조립 공차가 많이 발생하여 제품으로서의 신뢰성이 저하될 수밖에 없고, 나아가 패널(30) 및 백라이트 유닛(40)의 기능이 상실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패널(30)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하기 위해 연성재료로 완충프레임(51)을 제조하기는 하되, 제조된 완충프레임(51)의 형상이나 외형이 임의로 변형 되지 않도록 하는 대비책이 필요하다. 이는 프레임지지부(52)가 담당한다.
프레임지지부(52)는 완충프레임(51)의 외곽을 감싸 지지하여 완충프레임(51)이 임의로 변형되는 것을 저지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프레임지지부(52)는 완충프레임(51) 보다는 상대적으로 강한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스틸(SUS) 박판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두께가 두꺼운 스테인리스 스틸 판을 사용하여 프레임지지부(52)를 제조하게 되면 원하는 강도를 유지할 수 있지만 전반적으로 디스플레이 모듈(20)의 두께가 증가되기 때문에 단말기(10)의 슬림화(slim)에 부합하기 어렵고, 그만큼 비용 손실이 유발될 수 있으므로, 두께가 얇은 스테인리스 스틸(SUS) 박판을 이용하여 프레임지지부(52)를 제조하기는 하되, 강도면에서는 종래보다 월등히 높아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반적으로 디스플레이 모듈(20)에 대한 구조적 강도를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이러한 메인 몰드프레임(50)의 하부에는 전술한 반사시트(42)가 부분적으로 삽입 배치되는 홈부(50a)가 더 형성되어 있다. 홈부(50a)에는 반사시트(42)의 둘레면이 부분적으로 삽입되는데, 홈부(50a)에 반사시트(42)가 삽입되고 나면 반사시트(42)의 하면과 메인 몰드프레임(50)의 하면은 일면을 형성할 수 있다. 반사시트(42)는 접착제나 테이프(42a)에 의해 메인 몰드프레임(50)에 접착될 수 있다.
한편, 서브 몰드프레임(60)은 패널(30)의 트랜스패런트 글라스 구간(T)의 크기에 기초하여 메인 몰드프레임(50)과 패널(30)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고 해당 위치에서 패널(30) 측으로의 빛샘 발생을 저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다시 말해, 종래기술의 경우에는 메인 몰드프레임(50)의 크기가 일률적으로 규격화된 것이 전부였기 때문에, 트랜스패런트 글라스 구간(T)의 크기가 서로 다른 패널(30) 즉, 전체적인 사이즈(SIZE)나 크기가 서로 다른 패널에 한 종류의 메인 몰드프레임(50)을 적용하기가 곤란하였다. 따라서 만약 트랜스패런트 글라스 구간(T)의 크기가 좁은 경우라면 패널(30)과 메인 몰드프레임(50) 사이의 간격이 많이 발생되어 빛샘 발생이 커지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사이즈나 그 크기가 서로 다른 패널 모두에 공용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메인 몰드프레임(50)의 내측에 서브 몰드프레임(60)을 더 마련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빛샘 발생을 저지시키고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서브 몰드프레임(60)을 마련하는 경우, 서브 몰드프레임(60)의 간단한 교체만으로도 사이즈나 그 크기가 서로 다른 패널 모두에 공용으로 적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 때, 서브 몰드프레임(60)을 단순히 메인 몰드프레임(50)의 내측에 마련하는 경우 전반적으로 디스플레이 모듈(20)의 사이즈가 커질 수 있으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메인 몰드프레임(50)의 측벽을 강제로 후퇴시켜 공간부(S)를 만들고, 이 공간부(S)에 서브 몰드프레임(60)을 배치함으로써 디스플레이 모듈(20)의 사이즈가 커지는 것을 저지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메인 몰드프레임(50)의 원래의 측벽 두께는 도 4에서 공간부(S)만큼을 더한 두께인 셈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도 4와 같이 조립된 상태에서 LED가 발광하여 LED의 빛이 도광판(41)으로 입사된 후, 도광판(41)의 판면을 따라 진행하면, 반사 및 산란에 의해 빛의 일부는 도광판(41) 상부에 있는 확산시트(43,44)로 향하고, 나머지는 도광판(41) 하부에 위치하는 반사시트(42)로 향한다.
반사시트(42)로 향한 빛은 반사시트(42)에 의해 반사되어 다시 도광판(41)을 통해 확산시트(43,44)로 이동된다. 확산시트(43,44)로 확산된 빛은 확산시트(43,44)를 거치면서 균일하게 확산된 후, 패널(30)로 입사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패널(30)의 화상 표시영역(P1)에 표시된 화상을 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이와 같은 동작 중에 도광판(41)의 판면을 따라 진행하거나 혹은 도광판(41)의 날개부(41b)로부터의 빛은 부품들 간의 결합 영역을 경유하여 새 나갈 수 있지만, 빛샘의 경로 내에 차광테이프(45)와 서브 몰드프레임(60)이 배치되어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패널(30)의 화상 표시영역(P1)에 인접된 위치에서 빛샘 현상이 발생되어 선명한 화상 형성에 지장을 초래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물론, 본 실시예의 구조에서도 어느 정도의 빛샘 현상은 이루어질 수 있지만, 비록 빛샘 현상이 발생된다 하더라도 종래와 같이, 패널(30)의 화상 표시영역(P1)에 인접된 위치가 아닌 영역, 즉 도 4의 점선으로 된 화살표 방향과 같이 패널(30)의 화상 표시영역(P1)과는 거리가 먼 서브 몰드프레임(60)과 메인 몰드프레임(50) 사이의 영역에서 형성되기 때문에 종래보다는 선명한 화상 형성을 구현하기에 충분한 것이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트랜스패런트 글라스 구간(T)의 크기가 서로 다른 패널에도 공용으로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 종래와 같이 패널(30)의 화상 표시영역(P1)에 인접된 위치에서 빛샘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저지하여 선명한 화상 형성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할 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20a)은, 메인 몰드프레임(50a)이 단일 구조로 되어 있고, 차광테이프(45a)가 개방 루프 형상을 갖는다는 점에서 전술한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모듈(20)과 상이할 뿐 전반적인 구조와 기능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다.
도 5와 같이 차광테이프(45)가 적어도 일측이 개방된 개방 루프(open loop) 형상을 가지는 경우, 차광테이프(45)에 확산시트(44)의 열팽창을 기구적으로 보상하는 테이프 삭제구간(A) 영역에서 확산시트(44)의 열팽창이 자유롭게 됨으로써 확산시트(44)에 우는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을 것이다.
전술한 실시예들에서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폴더부의 내부에만 적용하고 있지만, 디스플레이 모듈을 폴더부의 외부에 적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을 하나 더 사용할 수도 있고, 혹은 프레임지지부의 저판부를 개방시킨 후, 그 반대편에 보조 패널을 배치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라면 양방향으로 빛을 발산할 수 있는 도광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반사시트 대신 그 위치에 확산시트를 배치해야 할 것이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단말기를 PCS폰 및 PDA 등의 전화기로 한정하고 있지만, 디스플레이 모듈이 적용될 수 있는 디지털카메라나 캠코더, 계산기 등에도 그 영역을 확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 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이 적용된 단말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Ⅳ-Ⅳ선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단말기 20 : 디스플레이 모듈
30 : 패널 40 : 백라이트 유닛
41 : 도광판 42 : 반사시트
43,44 : 확산시트 45 : 차광테이프
46 : LED장착FPCB 50 : 메인 몰드프레임
60 : 서브 몰드프레임

Claims (9)

  1. 화상이 형성되는 화상 표시영역과, 상기 화상 표시영역의 외곽에 형성되되 흑색 처리된 블랙 매트릭스 구간(back matrix)과 흑색 처리되지 않은 트랜스패런트 글라스 구간(transparent glass)으로 구분된 노이즈 영역을 구비한 패널; 및
    상기 패널의 배후에 배치되어 상기 패널로 빛을 투사하는 백라이트 유닛(Back Light Unit);
    상기 패널 및 상기 백라이트 유닛을 지지하는 메인 몰드프레임; 및
    상기 패널의 트랜스패런트 글라스 구간의 크기에 기초하여 상기 메인 몰드프레임과 상기 패널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고 해당 위치에서 상기 패널 측으로의 빛샘 발생을 저지시키는 서브 몰드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백라이트 유닛은,
    도광판;
    상기 도광판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패널을 향해 빛을 확산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확산시트; 및
    양면의 적어도 일 영역이 상기 패널, 상기 확산시트, 상기 메인 몰드프레임 및 상기 서브 몰드프레임에 부분적으로 접착되어 상기 패널의 화상 표시영역에 인 접된 위치에서 빛샘 발생을 저지시키는 차광테이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테이프는, 상면의 일 영역이 상기 패널 및 상기 서브 몰드프레임의 하면에 접착되고, 하면의 일 영역은 상기 메인 몰드프레임 및 상기 확산시트의 상면에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몰드프레임은 상기 메인 몰드프레임의 측벽을 강제로 후퇴시켜 형성된 공간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백라이트 유닛은, 상기 도광판의 하부에 마련되어 상기 도광판으로 빛을 반사시키는 반사시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몰드프레임의 하부에는 반사시트가 부분적으로 삽입 배치되는 홈부가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에 삽입된 반사시트의 하면과 상기 메인 몰드프레임의 하면은 일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은 LCD(Liquid Crystal Display)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9. 제1항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구비한 단말기.
KR1020080042832A 2008-05-08 2008-05-08 디스플레이 모듈 및 그를 구비한 단말기 KR1008536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2832A KR100853669B1 (ko) 2008-05-08 2008-05-08 디스플레이 모듈 및 그를 구비한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2832A KR100853669B1 (ko) 2008-05-08 2008-05-08 디스플레이 모듈 및 그를 구비한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53669B1 true KR100853669B1 (ko) 2008-08-25

Family

ID=39878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2832A KR100853669B1 (ko) 2008-05-08 2008-05-08 디스플레이 모듈 및 그를 구비한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366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33948A (zh) * 2011-11-25 2013-06-05 美蓓亚株式会社 面状照明装置及其制造方法
US9588273B2 (en) 2014-01-13 2017-03-07 Samsung Display Co., Ltd. Optical pattern sheet, 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the same
CN108848223A (zh) * 2018-07-17 2018-11-20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移动终端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7185A (ko) * 2004-07-19 2006-01-24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KR20070052082A (ko) * 2005-11-16 2007-05-21 (주)엘디에스 디스플레이 모듈 및 그를 구비한 단말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7185A (ko) * 2004-07-19 2006-01-24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KR20070052082A (ko) * 2005-11-16 2007-05-21 (주)엘디에스 디스플레이 모듈 및 그를 구비한 단말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33948A (zh) * 2011-11-25 2013-06-05 美蓓亚株式会社 面状照明装置及其制造方法
CN103133948B (zh) * 2011-11-25 2016-08-10 美蓓亚株式会社 面状照明装置及其制造方法
US9588273B2 (en) 2014-01-13 2017-03-07 Samsung Display Co., Ltd. Optical pattern sheet, 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the same
CN108848223A (zh) * 2018-07-17 2018-11-20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移动终端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19823A (ko) 디스플레이 모듈 및 그를 구비한 단말기
KR100704741B1 (ko) 조명 유닛 및 그것을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
KR101386566B1 (ko) 액정표시장치
US20070229726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1272327B1 (ko) 표시 면적을 확대한 표시 장치
KR100940334B1 (ko) 액정디스플레이(lcd) 모듈 및 그를 구비한 단말기
KR20070052082A (ko) 디스플레이 모듈 및 그를 구비한 단말기
JP2007148048A (ja) 表示装置および携帯機器
KR100853669B1 (ko) 디스플레이 모듈 및 그를 구비한 단말기
KR101834941B1 (ko) 액정디스플레이 백라이트 장치
WO2019149082A1 (zh) 一种背光模组、显示组件和电子装置
KR101157352B1 (ko) 액정표시장치
KR20100025407A (ko) 액정디스플레이(lcd) 모듈 및 그를 구비한 단말기
US20070115268A1 (en) Display with window assembly and mobile phone having the same
KR20100127446A (ko) 디스플레이 모듈 및 그를 구비한 단말기
JP2004053964A (ja) 液晶表示装置
JP2009069335A (ja)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KR100859121B1 (ko) 디스플레이 모듈 및 그를 구비한 단말기
KR100703616B1 (ko) 액정디스플레이(lcd) 모듈 및 그를 구비한 단말기, 그리고 액정디스플레이(lcd) 모듈의 몰드프레임 제조방법
KR100915007B1 (ko) 디스플레이 모듈 및 그를 구비한 단말기
KR100768036B1 (ko) 디스플레이 모듈의 fpc 절곡장치
KR100995057B1 (ko) 디스플레이 모듈 및 그를 구비한 단말기
KR101029876B1 (ko) 액정디스플레이(lcd) 모듈 및 그를 구비한 단말기
JP2007298923A (ja) 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KR100731902B1 (ko) 디스플레이 모듈 및 그를 구비한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0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