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4413B1 - 낚싯대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낚싯대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4413B1
KR100994413B1 KR1020057013057A KR20057013057A KR100994413B1 KR 100994413 B1 KR100994413 B1 KR 100994413B1 KR 1020057013057 A KR1020057013057 A KR 1020057013057A KR 20057013057 A KR20057013057 A KR 20057013057A KR 100994413 B1 KR100994413 B1 KR 1009944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ing rod
prepreg material
manufacturing
prepreg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30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93831A (ko
Inventor
고우키 카와시타
무네키 오카다
토시히사 키시모토
마사히데 카나자와
아츠시 모리타
료조 오쿠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ublication of KR200500938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38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44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44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29C70/28Shaping operations therefor
    • B29C70/30Shaping by lay-up, i.e. applying fibres, tape or broadsheet on a mould, former or core; Shaping by spray-up, i.e. spraying of fibres on a mould, former or co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0Agricultural usage or equipment
    • B29L2031/7002Agricultural usage or equipment for fish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shing R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연 소재로 제조되는 낚싯대와 같은 양호한 장대의 휨새를 연출할 수 있는 낚싯대를 공업적으로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임의의 장대의 휨새를 연출할 수 있는 낚싯대를 공업적으로 제조할 수도 있다.
이 방법은, 복수의 장대를 연결하여 한 개의 낚싯대로 하였을 때의 낚싯대의 제1차 공진 진동수를 결정하고, 필요한 장대 상의 중량 밸런스를 계산하는 공정과, 심재에 프리프레그(prepreg) 소재를 권회(券回)하여, 프리프레그 소재의 축 방향에서의 중량 분포를 조정하여 계산된 중량 밸런스를 도모하고, 프리프레그 소재를 소성(燒成)하여 낚싯대를 구성하는 통상체(筒狀體)인 각 장대를 각각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낚싯대의 제조 방법, 휨새, 장대, 공진 진동수, 중량 밸런스

Description

낚싯대의 제조 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FISHING ROD}
본 발명은 낚싯대 특히 탄소 섬유나 유리 섬유 등의 강화 섬유에 합성 수지를 함침(含浸)시킨 섬유 강화 수지로 이루어지는 낚싯대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시(近時)의 많은 낚싯대는 탄소 섬유나 유리 섬유 등의 강화 섬유에 합성 수지를 함침시킨 섬유 강화 수지 소재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소재를 이용하는 것으로 경량화·물리적 강도의 향상 등을 도모하고 있다. 또한, 낚싯대는 경량화·물리적 강도 등뿐만 아니라, 낚싯대 채비의 투입이나 물고기를 거두어들이는 등의 때에 조작성을 크게 좌우하는 굴곡성·강성·원상 회복성 등도 중요한 요소로 여겨진다. 그래서 낚싯대의 굵기나 두께 등을 조정하여 양호한 낚싯대의 특성 (장대의 휨새)을 연출하고 있다.
예를 들어, 장대를 제조하기 위한 섬유 강화 수지 소재를 부분적으로 적층시키면서 권회(券回, winding)하는 기술 (예를 들어,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2-209477호 공보, 도 2 참조)이나, 축 방향으로 부분적으로 탄성이 다른 섬유 강화 수지 소재를 권회하는 기술 (예를 들어,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11-289925호 공보, 도 2 참조) 등이 제안되었다.
그런데 낚시꾼이 가장 양호한 「장대의 휨새」를 가진다고 느끼는 낚싯대의 하나가 천연 대나무 등의 천연 소재로 이루어지는 낚싯대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섬유 강화 수지 소재로 제조되는 낚싯대의 「장대의 휨새」를 양호한 것으로 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고안이 개발되고 있지만, 아직 낚시꾼이 바라는 천연 소재로 이루어지는 낚싯대와 같은 「장대의 휨새」를 실현하는데 이르지 못하였다.
즉, 장대의 두께·소재의 탄성률·섬유의 배향 방법 등 다양한 파라미터를 설정 변경하여, 양호한 「장대의 휨새」를 설정하고자 시도되고 있지만, 반드시 낚시꾼이 바라는 것과 같은 낚싯대를 충분히 제공하는데 이르지 못하였다.
본 발명의 과제는, 천연 소재로 제조되는 낚싯대와 같은 양호한 장대의 휨새를 연출할 수 있는 낚싯대를 공업적으로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임의의 장대의 휨새를 가지는 낚싯대를 공업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문제점에 감안하여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낚시꾼이 「장대의 휨새」를 양호하다고 느끼는 중요한 요소의 하나가 낚싯대의 공진 진동 특성에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여기서, 공진 진동 특성이란, 공진 진동수 및 공진 진동 시의 모드의 형상 (특히 배 및 마디의 위치)을 의미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 공진 진동 특성은 낚싯대의 중량 분포나 낚싯대의 휨 강성의 분포에 의하여 결정되는 특성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지견에 기초하는 것이며, 낚싯대의 제1차 ~ 제3차 공진 진동수를 미리 설정하여 소정의 공진 진동 특성을 가지는 낚싯대를 제조하는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은 낚싯대를 구성하는 낚싯대의 휨 강성도 고려한 다음 소정의 공진 진동 특성을 가지는 낚싯대를 제조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공진 진동 특성을 설정하여 제조된 낚싯대는 일정한 진동수에서 제1차 ~ 제3차 공진 진동을 일으키게 된다. 또한, 소정의 휨 강성을 가지는 것으로 된다.
(공진 진동수에 대하여)
여기서 말하는 「제1차 ~ 제3차 공진 진동수」란, 이하와 같은 방법으로 측정된 낚싯대의 진동수이다. 우선, 낚싯대의 장대 기단 측 단부(端部)로부터 80mm의 범위를 협지체(挾持體)로 협지하고 고정하여 고정단(固定端)으로 하고, 수선(穗先) 측 단부를 자유단으로 하여 낚싯대를 수평 방향으로 유지한다. 이 협지체를 통하여 가진기로부터 낚싯대에 진동을 가한다 (낚싯대의 진동수). 이 가진기에서의 가속도를 가속도 센서로 검지하여 입력 가속도(A)로 한다. 한편, 낚싯대의 장대 기단 측 단부에서 180mm의 위치에서의 가속도를 가속도 센서로 검지하여 출력 가속도(B)로 한다 (도 4 참조). 그리고 이 B/A의 비를 낚싯대의 진동수에 대하여 플롯(plot)하여, 이 B/A의 비가 피크로 된 상태 (공진 진동 상태)의 진동수를 낚싯대의 진동수가 작은 쪽으로부터 순차로 제1차, 제2차, 제3차 공진 진동수로 하였다. 참고로, 낚싯대의 제1차 ~ 제3차 공진 진동의 모드 형상을 도시한 도면을 도 5에 도시한다.
또한, B/A의 비를 낚싯대의 진동수에 대하여 플롯한 그래프의 일례를 이하에 도시한다 (덧붙여, 표 1은 예시이며, 그 수치는 본건 발명에서의 구체적 수치에 관련하는 것은 아니다).
Figure 112005038126874-pct00001
예를 들어, 목표로 하는 양호한 장대의 휨새를 가지는 낚싯대의 공진 진동수를 상술과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여 두고, 제조하는 낚싯대를 이러한 공진 진동 특성을 가지도록 설계하는 것으로 목표로 하는 장대의 휨새를 가지는 낚싯대를 공업적으로 양산(量産) 가능하게 된다.
이 양자의 관계는 낚싯대의 전체 길이·낚싯대를 구성하는 장대의 소재·두께·테이퍼(taper)·중량 분포 등의 다양한 요소에 의하여 변화한다. 그래서 구성하는 장대의 축 방향에서의 직경의 변화·길이·프리프레그(prepreg) 소재의 탄성·무게 등으로부터, 제1차 ~ 제3차 공진 진동으로 될 때의 낚싯대의 진동수 (공진 진동수)가 특정 진동수로 되도록 하는 (즉, 소정의 공진 진동 특성을 낚싯대가 가지도록) 각 장대에서의 중량 분포를 시뮬레이트하여 산출한다. 그리고 재료 배치·재료의 비중 등으로부터 예정의 중량 분포를 실현하고 소정의 공진 진동 특성을 실현하여, 양호한 「장대의 휨새」를 가지는 낚싯대를 설계한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구체적인 방법의 하나는, 복수의 장대를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낚싯대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장대를 연결하여 한 개의 낚싯대로 하였을 때의 낚싯대의 제1차 공진 진동에 관한 공진 진동 특성을 정하고, 이 공진 진동 특성에 필요한 장대 상의 중량 밸런스를 계산하는 공정과, 심재에 프리프레그 소재를 권회하여, 프리프레그 소재의 축 방향에서의 중량 분포를 조정하여 계산된 중량 밸런스를 도모하고, 프리프레그 소재를 소성(燒成)하여 낚싯대를 구성하는 통상체(筒狀體)인 각 장대를 각각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다른 방법은 복수의 장대를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낚싯대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장대를 연결하여 한 개의 낚싯대로 하였을 때의 낚싯대의 제2차 공진 진동에 관한 공진 진동 특성을 정하고, 이 공진 진동 특성에 필요한 장대 상의 중량 밸런스를 계산하는 공정과, 심재에 프리프레그 소재를 권회하여, 프리프레그 소재의 축 방향에서의 중량 분포를 조정하여 계산된 중량 밸런스를 도모하고, 프리프레그 소재를 소성하여 낚싯대를 구성하는 통상체인 각 장대를 각각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나아가, 다른 방법은 복수의 장대를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낚싯대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장대를 연결하여 한 개의 낚싯대로 하였을 때의 낚싯대의 제3차 공진 진동에 관한 공진 진동 특성을 정하고, 이 공진 진동 특성에 필요한 장대 상의 중량 밸런스를 계산하는 공정과, 심재에 프리프레그 소재를 권회하여, 프리프레그 소재의 축 방향에서의 중량 분포를 조정하여 계산된 중량 밸런스를 도모하고, 프리프레그 소재를 소성하여 낚싯대를 구성하는 통상체인 각 장대를 각각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덧붙여, 각 장대를 형성하는 공정에서는 심재에 프리프레그 소재를 권회하고, 프리프레그 소재의 둘레면에 부분적으로 고비중 프리프레그를 권회하여 축 방향에서의 중량 분포를 조정하여도 무방하다.
(휨 강성에 대하여)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중량 밸런스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다른 방법은 목표로 하는 양호한 장대의 휨새를 가지는 낚싯대의 휨 강성을 이하와 같은 방법으로 측정한다. 그리고 제조하는 낚싯대의 장대를 소정의 휨 강성을 가지도록 설계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소정의 공진 진동 특성을 가지는 낚싯대를 제조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목표로 하는 장대의 휨새를 가지는 낚싯대를 공업적으로 양산할 수 있다.
낚싯대의 휨 강성은 낚싯대를 구성하는 장대의 소재 (프리프레그 소재로 불리는 섬유 강화 수지)·두께·테이퍼 등의 다양한 요소에 의하여 변화한다. 그래서 낚싯대를 구성하는 장대의 축 방향에서의 직경의 변화·길이·프리프레그 소재의 탄성 (특히 프리프레그 소재 내에서 축 방향으로 혼합되어 있는 강화 섬유의 탄성) 등을 선택하여, 낚싯대가 소정의 휨 강성을 가지도록 한다.
덧붙여, 이와 같은 낚싯대의 휨 강성은 상술한 공진 진동 특성에도 영향을 주는 것이며, 공진 진동 특성을 결정하기 위한 요소이다. 그래서 낚싯대의 휨 강성도 포함하여, 제1차 ~ 제3차 공진 진동으로 될 때의 낚싯대의 공진 진동 특성이 특정의 공진 진동 특성으로 되도록 하는 각 장대에서의 중량 분포를 시뮬레이트하여 산출한다. 그리고 재료 배치·재료의 비중 등으로부터 예정의 중량 분포를 실현하여 낚싯대를 설계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하나의 방법은 복수의 장대를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낚싯대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장대를 연결하여 한 개의 낚싯대로 하였을 때의 낚싯대의 제1차 공진 진동에 관한 공진 진동 특성을 정하고, 이 공진 진동 특성에 필요한 장대 상의 중량 밸런스를 계산하는 것과 함께 소재를 구성하는 프리프레그 소재를 선택하여 휨 강성을 결정하는 공정과, 심재에 선택된 프리프레그 소재를 권회하여, 프리프레그 소재의 축 방향에서의 중량 분포를 조정 계산된 중량 밸런스를 도모하고, 프리프레그 소재를 소성하여 낚싯대를 구성하는 통상체인 각 장대를 각각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또한, 다른 방법은 복수의 장대를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낚싯대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장대를 연결하여 한 개의 낚싯대로 하였을 때의 낚싯대의 제2차 공진 진동에 관한 공진 진동 특성을 정하고, 이 공진 진동 특성에 필요한 장대 상의 중량 밸런스를 계산하는 것과 함께 소재를 구성하는 프리프레그 소재를 선택하여 휨 강성을 결정하는 공정과, 심재에 선택된 프리프레그 소재를 권회하여, 프리프레그 소재의 축 방향에서의 중량 분포를 조정하여 계산된 중량 밸런스를 도모하고, 프리프레그 소재를 소성하여 낚싯대를 구성하는 통상체인 각 장대를 각각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나아가, 다른 방법은 복수의 장대를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낚싯대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장대를 연결하여 한 개의 낚싯대로 하였을 때의 낚싯대의 제3차 공진 진동수에 관한 공진 진동 특성을 정하고, 이 공진 진동 특성에 필요한 장대 상의 중량 밸런스를 계산하는 것과 함께 소재를 구성하는 프리프레그 소재를 선택하여 휨 강성을 결정하는 공정과, 심재에 선택된 프리프레그 소재를 권회하여, 프리프레그 소재의 축 방향에서의 중량 분포를 조정하여 계산된 중량 밸런스를 도모하고, 프리프레그 소재를 소성하여 낚싯대를 구성하는 통상체인 각 장대를 각각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채용한 낚싯대의 전체도이다.
도 2는 도 1 중대(2)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장대의 제조 공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서의 낚싯대의 공진 진동수를 측정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낚싯대의 제1차 ~ 제3차 공진 진동의 모드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유한 요소 모델에서의 참고도이다.
도 7은 링크 모델에서의 참고도이다.
도 8은 낚시꾼의 낚싯대의 휨새에 대한 평가를 가로축으로, 휨새 지수를 세로축으로 한 회귀 분석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채용한 낚싯대에 대하여 설명한다.
(떡붕어 낚싯대의 구조)
이 낚싯대는 떡붕어 낚시에 이용되는 떡붕어 낚싯대이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손잡이 측으로부터 순차로, 원대(1), 중대(2), 수선대(3)의 3개의 장대로 구성된다. 이들 장대는 탄소 섬유 또는 유리 섬유 등의 강화 섬유에 합성 수지를 함침시킨 프리프레그 소재를 소성하여 형성되어 있다. 후에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부분적으로 고비중 프리프레그도 적층된다. 이들 장대는 각각 외관을 천연 대나무를 모방하여 도장되어 있으며, 예를 들어, 대나무의 마디나 지적(枝跡) 등을 입체적으로 도장하여도 무방하다 (도 2 참조).
각 장대는, 이른바 병계(竝繼) 형식에 의하여 순차 연결되며, 예를 들어, 원대(1)의 수선 측 단부에 중대(2)의 장대 기단 측 단부가 부분적으로 삽입되어 연결된다. 무엇보다, 이 장대끼리의 연결 방법은 병계 형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주지의 수법 (예를 들어, 뽑이식, 인롱(印籠) 이음 형식 (접합부의 재(材)의 한쪽 단의 일부를 돌출시키고, 다른 쪽 단의 일부를 움푹 패게 하여 연결하는 방식) 등)을 적용하는 것도 당연히 가능하다. 또한, 원대(1)의 장대 기단 측 단부에는 우레탄 수지 등을 함침시킨 끈체를 권회하여 형성되는 그립(4)이 설치되며, 수선대(3)의 수선 측 단부에는 낚싯줄 계지구(5, 係止具)가 장착되어 있다. 덧붙여, 이들 3개의 장대를 순차 연결하였을 때의 떡붕어 낚싯대의 전체 길이는 9자 (2700mm)로 된다.
다음으로, 도 2에 있어서 이 떡붕어 낚싯대를 구성하는 장대의 구조를 중대(2)를 예로 설명한다.
중대(2)는 본층(11)과, 본층(11)의 외주층(外周層)으로서 축 방향의 일정한 범위에서 적층되어 있는 중량층(12)과, 이들 본층(11)과 중량층(12)의 둘레면에 적층되는 도료층(13)을 가진다.
본층(11)은 프리프레그 소재를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층이다. 프리프레그 소재는 동일한 것을 적층하는 경우나, 다른 종류의 것을 적층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탄소 섬유가 둘레 방향 내지 둘레 방향으로부터 일정한 각도를 가진 방향으로 배향되도록 하여 에폭시 수지를 함침시킨 프리프레그 소재를 테이프상으로 가공한 것이나, 탄소 섬유를 축 방향으로 배향하여 에폭시 수지를 함침시킨 프리프레그 소재를 시트상으로 가공한 것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중량층(12)은 비중이 큰 고비중 프리프레그 소재로 구성된다. 고비중 프리프레그 소재란, 예를 들어, 유리 스크림(glass scrim)에 에폭시 수지를 함침시키고 나아가 텅스텐 등의 금속 분말을 혼입한 것이다. 그리고 이 고비중 프리프레그는 500 ~ 600g/m2, 두께 0.100 ~ 0.150mm 정도의 것이다. 이 고비중 프리프레그 소재를, 후술하는 바와 같이 계산하여 얻는 소정의 축 방향 위치에 있어서, 상술한 본층(11) 상에 적층한다.
도료층(13)은 에폭시 수지나 우레탄 수지 등의 합성 수지 도재(塗材)를 도포하여 형성된다. 본층(11)과 중량층(12)의 단차는 이 도료층(13)에 의하여 해소된다. 또한,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중대(2)를 천연 대나무와 같은 외관을 가지도록 대나무의 마디 등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부분적으로 프리프레그 소재를 권회 하여 소성하고, 또는 에폭시 수지를 두껍게 발라, 소정의 형상으로 깎아 대나무의 마디 등을 형성한다. 덧붙여, 다른 장대도 그 직경 등을 달리하지만 같은 구조이며, 그 설명은 생략한다.
(떡붕어 낚싯대의 제1 제조 방법)
다음으로, 이 떡붕어 낚싯대의 제1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공진 진동 특성은, 예를 들어, 다른 몇 가지의 공진 진동 특성을 가지는 떡붕어 낚싯대를 제조하고, 낚시꾼이 실제로 사용해 보는 감성 시험을 행하여, 장대의 휨새가 뛰어나다고 여겨진 값 등을 채용한다. 낚시꾼의 대부분이 양호한 장대의 휨새를 가진다고 하는 천연 대나무로 이루어지는 떡붕어 낚싯대를 목표치로서 채용하여도 무방하다. 이와 같은 목표로 하는 낚싯대의 전체 길이와 공진 진동수와의 관계로서, 예를 들어, 전체 길이가 2700mm이고, 그 제2차 공진 진동수를 5.45Hz로 설정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우선, 예정하는 원대(1) ~ 수선대(3)를 연결하여 한 개의 떡붕어 낚싯대로 하였을 때의 낚싯대의 제2차 공진 진동수가 5.45Hz로 되도록 장대 상의 중량 밸런스를 계산한다. 즉, 예정하는 원대(1) ~ 수선대(3)의 직경·길이·프리프레그 소재·고비중 프리프레그 소재의 탄성·무게 등으로부터, 제2차 공진 진동으로 될 때의 낚싯대의 진동수 (공진 진동수)가 5.45Hz로 되는 각 장대에서의 중량 분포를 시뮬레이트하여, 상술한 고비중 프리프레그 소재를 적층해야 할 축 방향 범위를 개개의 장대마다 산출한다. 이와 같은 중량 분포를 시뮬레이트하는 데에는 유한 요소법(Finit Element Method) 또는 링크 모델 등의 수법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한 요소법에 의한 해석으로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낚싯대를 절점(節點)에서 병진 방향과 회전 방향의 2개의 자유도를 가지는 N개의 일차원의 들보 요소로 구성되는 캔틸레버(cantilever)의 탄성 들보로 모델화한다. 각 들보 요소에서는 요소 내에서 일양(一樣) 단면이라고 가정한다. 일단을 고정단으로 하고, 타단을 자유단으로서의 경계 조건 하에서 공진 진동수 그것에 대응하는 모드 형상을 계산한다.
또한, 링크 모델에 의한 해석으로는 낚싯대는, 사용 중에 큰 변형을 일으키기 때문에 대변형 (기하학적 비선형성)에 대응한 멀티 보디 다이내믹스에 의한 모델화를 행한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여기에서는, 절점에 회전 용수철을 가지는 N개의 강체 링크로 이루어지는 멀티 보디를 이용하여 모델화한다. 링크 모델을 이용하여 낚싯대를 모델화하는 것에 의하여, 인접하는 강체 링크끼리의 자세각에 제한이 없어지기 때문에, 어떠한 대변형에서도 기술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속 조건부의 낚싯대의 운동 방정식은 수학식 1로서 도출할 수 있다.
Figure 112005038126874-pct00002
다음으로, 도 3(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각의 장대의 직경 내지 테이퍼 변화에 맞추어 설치되어 있는 맨드릴(100)에 필요한 프리프레그 소재 P1을 권회하고 (상술과 같이, 테이프상의 것이나 시트상의 것을 권회할 수 있다), 상기 산출한 소정의 축 방향 범위에는 고비중 프리프레그 소재 P2를 권회한다 (도 3(b)). 중량을 충분히 연출하기 위하여 고비중 프리프레그 소재 P2를 수 플라이(ply) 감아도 무방하다. 또한, 도 3(b)에서는 1매의 고비중 프리프레그 소재 P2만을 프리프레그 소재 P1 상에 권회하고 있지만, 축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2 이상의 고비중 프리프레그 소재 P2를 권회하여도 무방하다.
나아가, 원대(1) ~ 수선대(3)에 상당하는 장대 소재를 각각 작성하고, 이들을 용광로 내에서 소성한다. 소성 후, 둘레면을 연마 가공하고, 양단을 절단하여 소정의 축 방향 길이로 하여 각 장대를 제조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제2차 공진 진동의 공진 진동 특성을 기초로 낚싯대를 설정 조정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지만, 제1차, 제3차 공진 진동의 공진 진동 특성에 있어서 낚싯대를 설정 조정하여도 무방하다. 이 경우도, 상기 방법과 마찬가지로, 목표로 하는 낚싯대의 제1차, 제3차 공진 진동수를 측정하고, 이것을 목표로 각 장대에서의 중량 분포를 시뮬레이트하여, 상술한 고비중 프리프레그 소재를 적층해야 할 축 방향 범위를 개개의 장대마다 산출하게 된다.
덧붙여, 이 실시예에서는 떡붕어 낚싯대에서 설명하고 있지만, 낚싯대의 종류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떡붕어 낚싯대 이외의 종류의 낚싯대에서도, 일반적으로, 낚싯대에서는 「장대의 휨새」가 중요한 요소로 여겨지는 것이기 때문에, 다른 종류의 낚싯대에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것은 당연히 가능하다. 예를 들어, 플라이용 낚싯대, 루어용 낚싯대 등에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것도 극히 효과적이다.
(떡붕어 낚싯대의 제2 제조 방법)
다음으로, 떡붕어 낚싯대의 제2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제법은 낚시꾼이 소망하는 장대의 휨새를 가지는 낚싯대를 제공하기 위한 낚싯대의 제조 방법이다.
떡붕어 낚싯대에서는 장대의 휨새를 나타내기 위하여 특히 끝 휨새, 중간 휨새, 뒷 휨새로 불리는 표현이 있다. 끝 휨새란 낚싯대의 수선 측이 특히 양호하게 휘기 쉬운 휨새를 말한다. 중간 휨새란 낚싯대의 축 방향의 중앙 부근이 특히 양호하게 휘기 쉬운 휨새를 말한다. 뒷 휨새란 낚싯대의 손잡이 측이 특히 양호하게 휘기 쉬운 휨새를 말한다. 낚시꾼은 희망하는 장대의 휨새를 가지는 떡붕어 낚싯대를 선택한다. 이 제조 방법은 낚싯대의 휨 강성도 고려하여 상술한 공진 진동 특성을 설정하는 것으로, 이와 같은 소정의 장대의 휨새를 가지는 낚싯대를 제조하는 것이다.
구체적인 제조 방법은 상술한 제1 제조 방법에 준한다. 즉, 상술한 제1 제조 방법과 마찬가지로, 예정하는 원대(1) ~ 수선대(3)의 직경·길이·프리프레그 소재·고비중 프리프레그 소재의 탄성·무게, 또한 프리프레그 소재의 축 방향으로 배향되어 있는 강화 섬유의 종류, 강화 섬유의 함유량 등으로부터 제1차 공진 진동 또는 제2차, 제3차 공진 진동으로 될 때의 낚싯대의 공진 진동 특성이 소정의 값으로 되도록 하는 각 장대에서의 중량 분포 및 휨 강성을 시뮬레이트하여, 상술한 고비중 프리프레그 소재를 적층해야 할 축 방향 범위를 개개의 장대마다 산출한다. 이와 같은 중량 분포를 시뮬레이트하는 데에는 유한 요소법 또는 링크 모델 등의 수법을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시뮬레이트에 의하여 산출된 중량 분포 등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제법으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로, 맨드릴에 필요한 프리프레그 소재를 권회하여 소성하여 각 장대를 제조한다.
나아가, 다른 구체적인 제조 방법의 하나로서 특히 휨 강성 지수를 고려하여 제조하는 방법을 이하에 나타낸다.
우선, 「휨 강성」을 수치화한다. 여기서, 수치화된 「휨 강성」을 「휨 강성 지수」라고 부르기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의 「휨 강성 지수」란, 이하와 같은 방법으로 측정되어 산출된 수치를 의미한다.
이 수치는, 복수의 장대를 연결한 낚싯대에 있어서, 그 수선 측 단부를 수평 방향으로부터 75도의 각도를 향하여 손잡이 측 단부를 고정하고, 낚싯대의 수선 측 단부에 200g의 추를 달아 낚싯대를 만곡(彎曲)시켜, 이 상태에서의 이하의 수학식 2에 의하여 산출한 값이다.
Figure 112005038126874-pct00003
나아가, 시판된 80개 정도의 낚싯대에 관하여, a) 휨 강성 지수, b) 제2차 공진 진동 특성, c) 제3차 공진 진동 특성을 측정하여, 이들 값과 낚시꾼의 낚싯대의 휨새에 대한 평가의 대응 정도를 해석하였다. 그리고 낚시꾼의 낚싯대의 휨새에 대한 평가와 상기 3개의 팩터(factor)의 대응이 취해진 낚싯대의 휨새를 나타내는 「휨새 지수」를 얻었다. 이와 같은 대응을 도모한 해석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 프를 도 8에 도시한다.
이와 같은 제2차 공진 진동 특성 및 제3차 공진 진동 특성은 장대 상의 중량 밸런스의 계산 및 장대의 휨 강성으로부터 계산된다. 즉, 상술한 제1 제조 방법과 마찬가지로, 예정하는 원대(1) ~ 수선대(3)의 직경·길이·프리프레그 소재·고비중 프리프레그 소재의 탄성·무게, 나아가 프리프레그 소재의 축 방향으로 배향되어 있는 강화 섬유의 종류, 강화 섬유의 함유량 등으로부터, 제2차 공진 진동 및 제3차 공진 진동으로 될 때의 낚싯대의 공진 진동 특성이 소정의 값으로 되도록 하는 각 장대에서의 중량 분포를 시뮬레이트하여, 상술한 고비중 프리프레그 소재를 적층해야 할 축 방향 범위를 개개의 장대마다 산출한다. 이와 같은 중량 분포를 시뮬레이트하는 데에는 유한 요소법 또는 링크 모델 등의 수법을 이용할 수 있다.
시뮬레이트에 의하여 산출된 중량 분포 등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제법에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로, 맨드릴에 필요한 프리프레그 소재를 권회하여 소성하여 각 장대를 제조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천연 소재로 제조되는 낚싯대와 같은 양호한 「장대의 휨새」를 연출할 수 있는 낚싯대를 공업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소망하는 「장대의 휨새」를 연출할 수 있는 낚싯대를 임의로 공업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그리고 구체적인 개개의 낚싯대마다의 장대의 휨새를 그 공진 진동 특성과의 관계를 분명히 하여 낚싯대의 구입자에게 알려주는 것으로, 구입자는 자신이 바라는 「장대의 휨새」를 가지는 낚싯대를 구입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구입자 가 종전에 소유하고 있는 낚싯대와 다른 「장대의 휨새」를 가지는 낚싯대를 구입하거나, 파손하여 버린 종전에 소유하고 있던 낚싯대와 같은 「장대의 휨새」를 가지는 낚싯대를 구입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Claims (8)

  1. 복수의 장대를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낚싯대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장대를 연결하여 한 개의 낚싯대로 하였을 때의 낚싯대의 제1차 공진 진동에 관한 공진 진동 특성을 정하고, 이 공진 진동 특성에 필요한 장대 상의 중량 밸런스를 계산하는 공정과,
    심재에 프리프레그(prepreg) 소재를 권회(券回)하여, 상기 프리프레그 소재의 축 방향에서의 중량 분포를 조정하여 상기 계산된 중량 밸런스를 도모하고, 상기 프리프레그 소재를 소성(燒成)하여 낚싯대를 구성하는 통상체(筒狀體)인 각 장대를 각각 형성하는 공정
    을 포함하는, 낚싯대의 제조 방법.
  2. 복수의 장대를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낚싯대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장대를 연결하여 한 개의 낚싯대로 하였을 때의 낚싯대의 제2차 공진 진동에 관한 공진 진동 특성을 정하고, 이 공진 진동 특성에 필요한 장대 상의 중량 밸런스를 계산하는 공정과,
    심재에 프리프레그 소재를 권회하여, 상기 프리프레그 소재의 축 방향에서의 중량 분포를 조정하여 상기 계산된 중량 밸런스를 도모하고, 상기 프리프레그 소재를 소성하여 낚싯대를 구성하는 통상체인 각 장대를 각각 형성하는 공정
    을 포함하는, 낚싯대의 제조 방법.
  3. 복수의 장대를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낚싯대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장대를 연결하여 한 개의 낚싯대로 하였을 때의 낚싯대의 제3차 공진 진동에 관한 공진 진동 특성을 정하고, 이 공진 진동 특성에 필요한 장대 상의 중량 밸런스를 계산하는 공정과,
    심재에 프리프레그 소재를 권회하여, 상기 프리프레그 소재의 축 방향에서의 중량 분포를 조정하여 상기 계산된 중량 밸런스를 도모하고, 상기 프리프레그 소재를 소성하여 낚싯대를 구성하는 통상체인 각 장대를 각각 형성하는 공정
    을 포함하는, 낚싯대의 제조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장대를 형성하는 공정은 심재에 프리프레그 소재를 권회하고, 상기 프리프레그 소재의 둘레면에 부분적으로 고비중 프리프레그를 권회하여 축 방향에서의 중량 분포를 조정하고 있는, 낚싯대의 제조 방법.
  5. 복수의 장대를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낚싯대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장대를 연결하여 한 개의 낚싯대로 하였을 때의 낚싯대의 제1차 공진 진동에 관한 공진 진동 특성을 정하고, 이 공진 진동 특성에 필요한 장대 상의 중량 밸런스를 계산하는 것과 함께 소재를 구성하는 프리프레그 소재를 선택하여 휨 강성을 결정하는 공정과,
    심재에 상기 선택된 프리프레그 소재를 권회하여, 상기 프리프레그 소재의 축 방향에서의 중량 분포를 조정하여 상기 계산된 중량 밸런스를 도모하고, 상기 프리프레그 소재를 소성하여 낚싯대를 구성하는 통상체인 각 장대를 각각 형성하는 공정
    을 포함하는, 낚싯대의 제조 방법.
  6. 복수의 장대를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낚싯대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장대를 연결하여 한 개의 낚싯대로 하였을 때의 낚싯대의 제2차 공진 진동에 관한 공진 진동 특성을 정하고, 이 공진 진동 특성에 필요한 장대 상의 중량 밸런스를 계산하는 것과 함께 소재를 구성하는 프리프레그 소재를 선택하여 휨 강성을 결정하는 공정과,
    심재에 상기 선택된 프리프레그 소재를 권회하여, 상기 프리프레그 소재의 축 방향에서의 중량 분포를 조정하여 상기 계산된 중량 밸런스를 도모하고, 상기 프리프레그 소재를 소성하여 낚싯대를 구성하는 통상체인 각 장대를 각각 형성하는 공정
    을 포함하는, 낚싯대의 제조 방법.
  7. 복수의 장대를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낚싯대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장대를 연결하여 한 개의 낚싯대로 하였을 때의 낚싯대의 제3차 공진 진동수에 관한 공진 진동 특성을 정하고, 이 공진 진동 특성에 필요한 장대 상의 중량 밸런스를 계산하는 것과 함께 소재를 구성하는 프리프레그 소재를 선택하여 휨 강성을 결정하는 공정과,
    심재에 상기 선택된 프리프레그 소재를 권회하여, 상기 프리프레그 소재의 축 방향에서의 중량 분포를 조정하여 상기 계산된 중량 밸런스를 도모하고, 상기 프리프레그 소재를 소성하여 낚싯대를 구성하는 통상체인 각 장대를 각각 형성하는 공정
    을 포함하는, 낚싯대의 제조 방법.
  8. 복수의 장대를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낚싯대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장대를 연결하여 한 개의 낚싯대로 하였을 때의 낚싯대의 제2차 공진 진동 특성, 제3차 공진 진동 특성, 및 낚싯대의 휨 강성 지수를 결정하여 상기 제2차 공진 진동 특성, 제3차 공진 진동 특성 및 낚싯대의 휨 강성 지수를 낚싯대가 가지기 위하여 필요한 장대 상의 중량 밸런스를 계산하는 것과 함께 소재를 구성하는 프리프레그 소재를 선택하는 공정과,
    심재에 상기 선택된 프리프레그 소재를 권회하여, 상기 프리프레그 소재의 축 방향에서의 중량 분포를 조정하여 상기 계산된 중량 밸런스를 도모하고, 상기 프리프레그 소재를 소성하여 낚싯대를 구성하는 통상체인 각 장대를 각각 형성하는 공정
    을 포함하는, 낚싯대의 제조 방법.
KR1020057013057A 2003-01-24 2004-01-19 낚싯대의 제조 방법 KR1009944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3/000688 WO2004064510A1 (ja) 2003-01-24 2003-01-24 釣竿の製造方法
WOPCT/JP03/00688 2003-01-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3831A KR20050093831A (ko) 2005-09-23
KR100994413B1 true KR100994413B1 (ko) 2010-11-16

Family

ID=32750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3057A KR100994413B1 (ko) 2003-01-24 2004-01-19 낚싯대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1588612A4 (ko)
JP (1) JP4385023B2 (ko)
KR (1) KR100994413B1 (ko)
CN (1) CN100407911C (ko)
AU (2) AU2003303781A1 (ko)
TW (1) TW200415987A (ko)
WO (2) WO200406451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17512B2 (ja) * 2009-07-13 2014-06-11 株式会社シマノ 釣り竿
JP2011188751A (ja) * 2010-03-12 2011-09-29 Shimano Inc 釣り竿
JP7198727B2 (ja) * 2019-06-04 2023-01-04 株式会社シマノ 釣竿
JP7209655B2 (ja) * 2020-02-26 2023-01-20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釣竿の性能を客観的に評価するための評価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75688A (ja) 1996-09-02 1998-03-24 Ryobi Ltd 釣竿等の積層管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1204305A (ja) 2000-01-27 2001-07-31 Ryobi Ltd 釣 竿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1207189A (en) * 1982-05-12 1986-07-08 Walter Schwab Rotary pump for blood and other sensitive liquids
JP2911062B2 (ja) * 1991-04-19 1999-06-23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釣 竿
JPH06125681A (ja) * 1992-10-16 1994-05-10 Daiwa Seiko Inc 釣 竿
JPH0634459U (ja) * 1992-10-16 1994-05-10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釣 竿
US6092324A (en) * 1995-05-26 2000-07-25 The Orvis Company, Inc. Damped fishing rod
US5915943A (en) * 1997-04-24 1999-06-29 Berkley Inc. Fishing rod with bulge
JP3810900B2 (ja) * 1997-08-18 2006-08-16 藤倉ゴム工業株式会社 中空パイプの製造方法
DE69931851D1 (de) * 1998-07-24 2006-07-27 Daiwa Seiko Inc Festkörpersportstäbe
JP4079524B2 (ja) * 1998-09-14 2008-04-23 株式会社シマノ 釣竿
JP2002058393A (ja) * 2000-08-22 2002-02-26 Mamiya Op Co Ltd へら竿群及びそれを構成するへら竿
TW523397B (en) * 2001-05-02 2003-03-11 Shimano Kk Fishing rod with plug-in fishing lin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75688A (ja) 1996-09-02 1998-03-24 Ryobi Ltd 釣竿等の積層管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1204305A (ja) 2000-01-27 2001-07-31 Ryobi Ltd 釣 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385023B2 (ja) 2009-12-16
AU2003303781A1 (en) 2004-08-13
KR20050093831A (ko) 2005-09-23
AU2004206163A1 (en) 2004-08-05
TW200415987A (en) 2004-09-01
EP1588612A4 (en) 2006-07-19
AU2004206163A2 (en) 2004-08-05
JPWO2004064512A1 (ja) 2006-05-18
EP1588612A1 (en) 2005-10-26
CN1741739A (zh) 2006-03-01
WO2004064510A1 (ja) 2004-08-05
TWI299253B (ko) 2008-08-01
CN100407911C (zh) 2008-08-06
WO2004064512A1 (ja) 2004-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4413B1 (ko) 낚싯대의 제조 방법
KR100970510B1 (ko) 장대 및 낚싯대
KR100938379B1 (ko) 낚싯대군
JP4599173B2 (ja) 釣竿
KR20050093834A (ko) 낚싯대
JP2005027587A (ja) 竿体及び釣竿
US7509768B2 (en) Fishing rod and method of manufacture
JP2003058584A (ja) ゴルフクラブシャフトの静的物性値のシミュレーション方法及び該シミュレーション方法を用いたゴルフクラブシャフト設計システム
FI121523B (fi) Kalastusvavan optimoitu sälerakenne
JP5517512B2 (ja) 釣り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6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