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3786B1 - 김 이물질 선별 장치 - Google Patents

김 이물질 선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3786B1
KR100993786B1 KR1020080083558A KR20080083558A KR100993786B1 KR 100993786 B1 KR100993786 B1 KR 100993786B1 KR 1020080083558 A KR1020080083558 A KR 1020080083558A KR 20080083558 A KR20080083558 A KR 20080083558A KR 100993786 B1 KR100993786 B1 KR 1009937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ver
foreign matter
unit
sorting apparatus
seaw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35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24827A (ko
Inventor
이유형
조성철
윤여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쌤
Priority to KR10200800835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3786B1/ko
Publication of KR201000248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48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37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37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60Edible seawe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16Sea weed; Marine produc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dible Seaweed (AREA)
  • Sorting Of Articles (AREA)

Abstract

본 실시예는 김 이물질 선별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실시예의 김 이물질 선별 장치는, 김을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 유닛; 상기 이송 유닛을 따라 이송되는 김을 검사하기 위한 카메라; 및 상기 이송 유닛의 상방에 구비되어, 상기 김의 이송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유닛이 포함되며, 상기 가이드 유닛에는, 고정축과, 상기 고정축에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링크 부재와, 각각이 상기 각 링크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각 링크 부재의 자중에 의해서 상기 김과 접촉되는 다수의 롤러가 포함된다.
이송

Description

김 이물질 선별 장치{Sorting apparatus of different thing from dried laver}
본 실시예는 김 이물질 선별 장치에 관한 것이다.
김은 혈중 콜레스테롤 농도를 감소시키고 혈관벽을 튼튼하게 하여 고혈압 동맥경화의 예방과 치료에 효과가 있는 알긴산(alginic acid)를 함유하고 있는 해조류이다.
일반적으로 건조되어 시중에 유통되는 김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과정이 필요하다.
먼저 바다에서 생김을 채취하여 이송하고, 상기 채취한 김의 변질 방지를 위해 소금물과 혼합하여 보관한 뒤, 상기 생김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한다. 상기 이물질의 제거는 김이 건조되기 전 생김 혼합액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이다.
상기 생김에 포함된 이물질이 제거되면 이를 적당한 크기로 절단하게 되며, 다음으로 일종의 발효공정인 숙성과 김의 염분을 제거하기 위한 탈수 공정을 거치고 상기 탈수된 김을 짜지 않게 하기 위해 민물이 투입되어 상기 생김과 조합한다.
이러한 공정을 거쳐 김의 형태가 구성되면 수분을 제거하기 위해 탈수 공정 을 다시 거치고, 또한 이를 냉풍 및 열풍으로 건조함으로써 시중에 유통되는 건조된 김의 형태를 띄게 되는 것이다. 최근에는 상기 건조된 김을 여러가지 방법으로 가공하여 구매자에게 제공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건조된 김의 생산 및 가공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 중의 하나가 김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목적은 이물질 포함여부를 선별하여 이물질이 포함된 김을 별도로 선별하여, 양품의 건조 김만을 상품화하게 하는 김 이물질 선별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실시예의 다른 목적은 김이 이송 벨트를 따라 원활히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김 이물질 선별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일 측면에 따른 김 이물질 선별 장치는, 김을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 유닛; 상기 이송 유닛을 따라 이송되는 김을 검사하기 위한 카메라; 및 상기 이송 유닛의 상방에 구비되어, 상기 김의 이송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유닛이 포함되며, 상기 가이드 유닛에는, 고정축과, 상기 고정축에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링크 부재와, 각각이 상기 각 링크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각 링크 부재의 자중에 의해서 상기 김과 접촉되는 다수의 롤러가 포함된다.
제안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검사 카메라에 의해서 불량 김이 검사되므로, 김의 이물질 확인이 용이하고, 불량 김은 분리 유닛에 의해서 선별되므로, 양질의 김을 최종적으로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고정축에 독립적으로 연결되는 각 링크 부재에 각 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에 따라, 각 롤러가 상기 김과 접촉할 수 있게 되어 상기 김의 이동 방향 이 변화되지 않고 일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게 된다.
또한, 각 롤러에 둘러진 패킹 부재의 두께가 상기 각 롤러의 두께 보다 작게 형성되므로, 상기 김과 패킹 부재의 접촉 면적이 최소화되어 김에서 정전기가 발생되는 것이 최소화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김 이물질 선별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김 이물질 선별 장치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김 이물질 선별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김 이물질 선별 장치(1)는 외형을 이루는 본체(10)가 포함된다. 상기 본체(10)는 다수의 프레임에 의해서 외형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0)에는 김을 이송하기 위한 이송 유닛(20)과, 김이 상기 이송 유닛(20)에 의해서 이송되는 과정에서 김의 이물질을 검사 하기 위한 검사 유닛과, 상기 이송 유닛(20)에 의해서 이송되는 김의 이송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 유닛(60)과, 이물질이 포함된 김(이하 "불량 김"이라 함)을 양질의 김과 분리시키기 위한 다수의 분리 유닛(70)이 포함된다.
상기 검사 유닛은, 상기 이송 유닛(20)을 따라 이동하는 김으로 조명을 비추기 위한 제 1 조명부(31) 및 제 2 조명부(32)와, 상기 각 조명부(31, 32)의 상방에 위치되어 김의 이물질을 검사하기 위한 제 1 검사 카메라(41)와, 제 2 검사 카메라(42)가 포함된다.
상기 분리 유닛(70)은 상기 이송 유닛(20)을 따라 이동하는 불량 김이 상기 이송 유닛(20)의 하측으로 낙하되도록 한다. 상기 분리 유닛(70)은 상기 프레임(11)에 회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분리 유닛(70)이 하측으로 회전되면, 상기 불량 김이 상기 이송 유닛(20)에서 하방으로 낙하된다.
상기 이송 유닛(20)의 하방에는 낙하된 불량 김이 이송되도록 하는 다수의 이송 벨트(72)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본체(11)에는 사용자의 조작을 위한 조작부(13)와, 검사된 김의 상태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는 디스플레이부(14)가 추가적으로 더 포함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이송 유닛 및 가이드 유닛의 구조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실시에에 따른 이송 유닛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5는 이송 유닛과 가이드 유닛의 위치 관계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이송 유닛에는, 김이 투입되도록 하는 투입 컨베이어 벨트(21)와, 상기 각 검사 카메라에서 검사된 이물질이 이동되는 메인 컨베이어 벨트(22)와, 양질의 김이 배출되기 위한 배출 컨베이어 벨트(23)가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각 벨트(21, 22, 23)는 적어도 두 개의 풀리(24)에 둘러진다. 그리고, 적어도 상기 메인 컨베이어 벨트(22)의 상방에는 김의 이송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하는 가이드 유닛이 포함된다.
상기 가이드 유닛(60)은 상기 메인 컨베이어 벨트(22)의 상측에 놓인 상기 김의 상면에 접촉하여 상기 김의 좌우 유동이 방지되도록 한다.
상기 가이드 유닛(60)에는 상기 프레임(11)에 대해서 위치가 고정되는 한 쌍의 지지부(61)와, 상기 지지부에 지지되는 고정축(62)과, 상기 고정축(6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다수의 링크 부재(63)와, 상기 각 링크 부재(6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각 롤러(64)가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다수의 링크 부재(63)는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이 때, 상기 고정축(62)이 상기 메인 컨베이어 벨트(22)의 상방에 위치되고, 상기 각 링크 부재(63)가 상기 각 고정축(6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에 따라, 상기 각 링크 부재의 자중에 의해서 상기 각 롤러(64)가 상기 메인 컨베이어 벨트(22)(또는 벨트 상에 놓인 김)에 접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각 링크 부재(63)가 별개로 상기 고정축(6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상기 각 링크 부재(63)는 서로 독립적으로 움직이게 된다.
상기 각 롤러(64)의 둘레 전체에는 패킹 부재(65)가 둘러진다. 상기 패킹 부재(65)는 일 례로 고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패킹 부재(65)의 두께는 상기 롤러(64)의 두께 보다 작게 형성된다. 일 례로 상기 패킹 부재(65)의 두께는 2~4mm 정도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롤러(64) 두께는 상기 패킹 부재(65)의 두께 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패킹 부재(65)의 두께가 상기 롤러(64)의 두께 보다 작게 형성되는 경우 상기 패킹 부재(65)와 상기 김의 접촉 면적이 최소화됨에 따라 상기 김에서 정전기가 발생되는 것이 방지된다.
여기서, 상기 김에서 정전기가 발생되는 경우 상기 김과 상기 메인 컨베이어 벨트(22)와의 밀착력이 강해져 상기 메인 컨베이어 벨트(22)에서 상기 김이 배출 컨베이어 벨트(23) 측으로 이동되지 못하게 되고, 상기 메인 컨베이트 벨트(22)와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메인 컨베이어 벨트와 함께 이동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김과 상기 패킹 부재의 접촉 면적을 최소화시킴으로써, 정전기 발생을 최소화시킴으로써, 상기 메인 컨베이어 벨트에서 상기 배출 컨베이어 벨트로 용이하게 이동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각 롤러(64)가 상기 고정축에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링크 부재에 연결되므로, 상기 다수의 롤러(64)가 상기 김과 동시에 접촉할 수 있게 되어(각 롤러와 김의 접촉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기 때문) 상기 김의 진행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김의 좌우 유동이 방지되고, 김의 이송 방향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메인 컨베이어 벨트의 상방에 상기 가이드 유닛이 구비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나, 이와 달리 상기 투입 컨베이어 벨트 또는 상기 배출 컨베이어 벨트의 상방에도 상기 가이드 유닛이 구비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김 이물질 선별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김 이물질 선별 장치의 측면도.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김 이물질 선별 장치의 평면도.
도 4는 본 실시에에 따른 이송 유닛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이송 유닛과 가이드 유닛의 위치 관계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

Claims (3)

  1. 김을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 유닛;
    상기 이송 유닛을 따라 이송되는 김을 검사하기 위한 카메라; 및
    상기 이송 유닛의 상방에 구비되어, 상기 김의 이송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유닛이 포함되며,
    상기 가이드 유닛에는,
    고정축과,
    상기 고정축에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링크 부재와,
    각각이 상기 각 링크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각 링크 부재의 자중에 의해서 상기 김과 접촉되는 다수의 롤러가 포함되는 김 이물질 선별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롤러의 둘레에는 김과 접촉되는 패킹 부재가 둘러지는 김 이물질 선별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 부재의 두께는 상기 각 롤러의 두께 보다 작게 형성되는 김 이물질 선별 장치.
KR1020080083558A 2008-08-26 2008-08-26 김 이물질 선별 장치 KR1009937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3558A KR100993786B1 (ko) 2008-08-26 2008-08-26 김 이물질 선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3558A KR100993786B1 (ko) 2008-08-26 2008-08-26 김 이물질 선별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4827A KR20100024827A (ko) 2010-03-08
KR100993786B1 true KR100993786B1 (ko) 2010-11-12

Family

ID=421765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3558A KR100993786B1 (ko) 2008-08-26 2008-08-26 김 이물질 선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378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6137B1 (ko) 2019-11-07 2020-05-28 주식회사 대양식품 이물질 선별기의 제어 방법 및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99288A (ja) 2000-04-19 2001-10-30 Yoichiro Omagari 乾燥海苔の異物検知方法及び装置
JP2003153671A (ja) 2001-11-20 2003-05-27 Yukio Obara 海苔異物除去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99288A (ja) 2000-04-19 2001-10-30 Yoichiro Omagari 乾燥海苔の異物検知方法及び装置
JP2003153671A (ja) 2001-11-20 2003-05-27 Yukio Obara 海苔異物除去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6137B1 (ko) 2019-11-07 2020-05-28 주식회사 대양식품 이물질 선별기의 제어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4827A (ko) 2010-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46591B2 (en) Apparatus for handling capsules and capsule processing equipment including such an apparatus
KR102044572B1 (ko) 즉석 유탕면의 제조 방법, 및 튀김 처리 장치
CN111069094A (zh) 一种多指标综合的球形果蔬品质分级分选装置
CN114405871A (zh) 一种油茶籽自动分选装置
KR100993786B1 (ko) 김 이물질 선별 장치
KR101042896B1 (ko) 김 이물질 선별 장치
JPH1159877A (ja) 物品検査装置
JPH1159875A (ja) 物品検査装置
KR101753231B1 (ko) 김치원료 처리방법 및 이를 적용한 김치원료 처리시스템
JPH1159876A (ja) 物品検査装置
CN110663584B (zh) 一种禽蛋筛选分级系统
JP2001269628A (ja) 物品回転装置
CN111050562B (zh) 用于检测水载产品中的异常的向上照射的检查站
JP2004125673A (ja) X線異物検出装置
CN111974702A (zh) 一种马铃薯净理与多等级品质分选线
JPH0543913Y2 (ko)
KR200442761Y1 (ko) 벨트타입 정제 선별기
CN210411573U (zh) 果冻内容物检查系统
CN215744933U (zh) 一种皮蛋品质无损检测模块设备
CN220983164U (zh) 一种皮蛋品质无损检测设备
CN213604232U (zh) 一种咸蛋裹浆设备
JP6998082B1 (ja) 乾燥海苔製造システム
CN219723658U (zh) 一种虾滑加工用挑选设备
CN212442120U (zh) 一种马铃薯净理与多等级品质分选线
KR20040032438A (ko) 김 이물질 선별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5

Year of fee payment: 9